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2024년 12월 16일, CNG TV는 ‘인공지능 시대의 건축 기술 - 건축 설계 자동화, 건설 로봇, AI 데이터’를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건축과 건설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AI 기술과 디지털화된 건축 기술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기술이 가져올 혁신과 도전 과제를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캐드앤그래픽스 최경화 국장, 엔제이스튜디오 이남주 소장, 경희대학교 김동일 교수(왼쪽부터)
이날 웨비나는 캐드앤그래픽스 최경화 국장이 사회를 맡았으며, 엔제이스튜디오 이남주 소장과 경희대학교 김동일 교수가 발표자로 참여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건축 실무에서 AI(인공지능)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이를 통해 어떤 미래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조망했다. 동시에 AI 시대의 건축과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며, 디자이너와 기술자에게 준비와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남주 소장은 ‘인공지능 시대의 디자인 도구’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데이터와 AI를 결합한 새로운 디자인 접근법과 함께 귀납적, 연역적 프로그래밍 활용 및 데이터 가공 프로세스의 자동화에 대해 설명했다. 이남주 소장은 “AI를 학습의 대상으로만 보기보다는 도구로 적극 활용하는 것이 디자이너의 중요한 역할이며, 창의적 문제 해결이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BIM, 스마트 시티, 디지털 트윈 등 차세대 디자인 플랫폼과 머신러닝, LLM, 에지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도구가 활용되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 엔제이스튜디오 이남주 소장
경희대학교 김동일 교수는 ‘인공지능 시대의 건축과 건축 기술’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축 설계와 기술 혁신에 대해 소개하며, 프리캐스트된 3D 프린팅 기둥(ETH)과 디지털 실험적 구조물(ICD/ITKE Pavilion) 등을 기술 적용 사례로 제시했다. 김동일 교수는 “디자인 의사결정 과정에서 머신러닝을 활용한 효율적인 설계 탐색이 필요하며, 건축 기술과 AI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경희대학교 김동일 교수
이번 웨비나를 통해 AI와 머신러닝은 건축 및 디자인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이 강조됐다. 이제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도구화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설계 디자이너에게 필수인 시대가 되었다. 또한 디지털 트윈, 스마트 시티, 데이터 시각화 등 실제 사례를 통해 기술의 구체적 활용성과 혁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