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W3C"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88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지멘스-마이크로소프트, 빌딩 IoT의 상호운용성 강화 위해 협력
지멘스 스마트 인프라(Siemens Smart Infrastructure)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빌딩의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접근 방식을 혁신하기 위한 협력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으로 지멘스의 디지털 빌딩 플랫폼인 빌딩 X(Building X)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멀티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인 애저 아크(Azure Arc) 기반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IoT 오퍼레이션(Microsoft Azure IoT Operations) 간의 상호운용성이 확보된다. 빌딩 X와 애저 IoT 오퍼레이션 간의 상호운용성은 2025년 하반기부터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빌딩 X는 고객이 빌딩 운영을 디지털화, 관리, 최적화하도록 지원하여 지속 가능하고 자율적이며 수익성 있는 애셋을 위한 길을 열어주는 디지털 빌딩 플랫폼이다. 이는 고객이 더 쉽고, 더 빠르고, 더 큰 규모로 디지털 전환을 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방형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인 지멘스 엑셀러레이터(Siemens Xcelerator)의 일부이다. 애저 IoT 오퍼레이션은 에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통합하는 도구와 인프라를 제공해, 기업이 운영을 최적화하고 IoT 환경의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빌딩 X와 애저 IoT 오퍼레이션의 상호운용성은 상업용 빌딩, 데이터센터, 고등 교육 시설 전반에 걸친 기업 고객이 IoT 기반 데이터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가능성과 운영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대형 빌딩의 하위 시스템을 이루는 난방, 환기, 공조(HVAC) 시스템, 밸브, 액추에이터와 같은 애셋의 온도, 압력, 실내 공기질과 같은 데이터 포인트를 클라우드로 가져와 자동 온보딩 및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급업체 전반에 걸쳐 개방형 표준에 기반한 IoT 데이터 통합 사례 중 하나로서, 고객이 에너지 모니터링 및 공간 최적화와 같은 자체 사용 사례를 직접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양사의 협력은 대규모의 복합 건물 자산을 운영하거나, 에너지 소비가 많고 중단 없는 운영이 필수인 분야에서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멘스는 “원클릭 디바이스 온보딩과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은 고객에게 IoT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는 독보적인 자유를 제공할 것이다. 지멘스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는 단일 공급업체 생태계에 국한되지 않고 원활하게 통합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번 협력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메타데이터와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의 웹 오브 띵스(Web of Things : WoT), 그리고 클라우드로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OPC UA를 포함한 개방형 산업 표준을 활용한다. 지멘스와 마이크로소프트는 접근성, 상호운용성, 개인정보보호, 보안에 기반한 산업 구축을 돕는 표준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W3C와 OPC 재단의 회원사이기도 하다. 지멘스의 수잔네 자이츠(Susanne Seitz) 스마트 인프라 빌딩 부문 CEO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이번 협력은 개방형 표준과 상호운용성을 통해 고객이 IoT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우리의 공동 비전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개선된 데이터 접근성은 포트폴리오 관리자에게 에너지 효율성 및 소비량과 같은 중요 지표에 대한 세분화된 가시성을 제공할 것”이라면서, “IoT 데이터가 종종 단절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 정도 수준의 투명성은 빌딩 운영을 최적화하고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려는 업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에리히 반스테트(Erich Barnstedt) 기업 표준 그룹 수석 이사 겸 아키텍트는 “지멘스는 상호운용성과 개방형 IoT 표준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중점 사항을 공유한다. 이번 협력은 IoT 데이터를 더욱 실행 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진전”이라면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전략은 업계 리더와 협력해 고객에게 IoT 설루션에 대한 더 많은 선택권과 제어권을 부여하려는 우리의 약속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5-07-16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제조산업에서 공급망 전반의 통합 보안 대응이 시급”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최근 산업 전반의 공급망이 복잡·다변화됨에 따라 물리적 측면의 공급망 안전과 디지털 측면의 사이버 보안을 아우르는 통합 공급망 리스크 대응 전략을 주제로 제조 보안 기업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설명회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IT 시스템, 산업제어시스템(ICS), 클라우드 플랫폼, IoT 장비 등이 제조 공정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으며, 해커들이 단일 부품 공급업체나 물류 시스템을 통해 전체 산업체를 마비시키는 공급망 사이버 공격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첫 번째로 발표를 맡은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김주미 수석위원은 “제조업이 현재 사이버 위협에 가장 취약한 산업 중 하나, 보안이 내재된 시스템 설계와 공급망 전반의 보안 강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하였다.  김주미 수석위원은 스마트 공장이 도입한 이후 생산성 증가, 고용 시장 확대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동시에 제조업 부문에서 사이버 공격이 300% 이상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를 소개하며, 인더스트리 4.0 기술(IIoT 장치, 클라우드 시스템, 상호 연결된 공급망) 도입으로 공격 표면(attack surface)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AI 및 머신러닝 기반의 자동화된 사이버 공격이 늘어나면서, 위협 행위자들의 표적 탐지 및 방어 우회 능력이 고도화되고 있다”며, 산업 현장에 보안 전략이 부재한 현실에 대해 언급하였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코어시큐리티 한근희 부사장은 “제조업 공급망의 안정성은 이제 물리적 보호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공급망 전반의 사이버 보안을 위한 국제 표준인 IEC 62443을 중심으로 한 보안 프레임워크의 확대 적용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급망의 회복력(resilience)은 국가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특히 ICS 보안은 기업 규모와 무관하게 모든 산업 프로세스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유럽은 디지털 요소가 포함된 모든 제품에 대해 2027년까지 국제표준 기반 보안 시스템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근희 부사장은 공급망 보안에서 가장 중요한 보안 3대 요소 중 ‘가용성(availability)’을 가장 핵심으로 지목하며, “공격 발생 시 복구가 지연될 경우 5일에 한번꼴로 사이버 공격을 받을 수 있으며, 기업의 존폐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서 케이포시큐리티의 박경철 대표는 유럽연합이 추진 중인 디지털 제품 여권(DPP)의 정책과 CEN JTC24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였다. 그는 DPP가 분산ID(DID), 블록체인 기반 무결성 검증,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erifiable Credential : VCDM) 등을 기반으로 제품 정보의 신뢰성과 추적성을 확보하는 핵심 기술임을 강조하며, ISO 및 W3C 국제 표준 기반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필수임을 설명하였다.  또한, EU는 2027년부터 배터리 제품에 DPP 적용을 의무화할 예정이며 이후에는 전 산업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한국 역시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향후 산학연 관계자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급망 보안 표준의 보급과 적용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를 함께 기획한 국가표준 첨단제조 박주상 코디네이터는 “제조 보안은 민관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기반이 되며, 표준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국제 진출과 시장 확대의 기회가 표준을 통해 더욱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성일 : 2025-05-09
ZW3D 2022 : 올인원 3D CAD/CAM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 지더블유캐드코리아 주요 특징 : VX Overdrive 커널의 독자 엔진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킨 올인원 3D CAD/CAM 프로그램, 기계 설비 및 제품 설계부터 판금·역설계·금형 및 2축 선반·3축 밀링·다축 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 제공, 강력한 하이브리드 모델링 환경을 통해 솔리드와 서피스 설계 간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보다 편리한 설계 환경을 구축  사용 환경(OS) : 원도우7 SP1/8.1/10  시스템 권장 사양 : 인텔 코어 2 듀오/OpenGL 3.1 이상 CPU, 엔비디아 쿼드로 FX 580(비디오 메모리 512MB) 이상 및 동급의 AMD 그래픽 카드   ZW3D 2022에서는 설계에서 사용자들에게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주요 기능이 개선되었고, 고품질의 서피스 설계와 워크플로 또한 대폭 강화되었다. 우선 사용자 요구사항에 대한 개선점과 강화된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CAD   향상된 선택 필터 기능 설계 작업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성분 기준이 추가 및 개선되었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뷰 방향에서 가려진 개체는 무시한 상태로 선택할 수 있어, 이전보다 면 선택을 위한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스냅 툴바가 ‘선택 도구 모음’에 추가되어, 원하는 스냅을 on/off할 수 있다. 이외에도 투명도가 있는 면을 무시하고 선택할 수 있는 옵션 등 다양한 선택적인 요소에 필터링이 다양해졌다. 가장 두드러진 선택 기능은 ‘last pick’ 기능이다. 사용자가 여러 개체를 다중으로 선택한 후 실수로 개체 선택이 해제되었을 경우에, 이전에 선택했던 부분을 복원 선택하는 기능이다.   ▲ 다양한 선택 기능에 대한 옵션   스마트 측정 엣지, 중심점, 면, 형상 등 각각의 성분에 맞춰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 정보를 화면에 즉시 표시해주는 기능이다. 사용자는 이전보다 더욱 편리하게 3D 모델링으로부터 개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개체 간의 상대적인 데이터도 가시성 있게 볼 수 있다.   ▲ 각 성분별 정보를 자동으로 나열한 측정 옵션   스케치 기능 향상 스케치에서 개선된 기능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드로잉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해준다. 처음부터 새롭게 치수를 부여하여 작업을 진행할 때 처음 치수작업에 대한 스케치의 스케일을 자동으로 보정하며, 다중 치수 편집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작업의 속도 및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 다중 치수 편집   G3 연속성 곡면 설계에서 더욱 부드러운 표면을 생성하기 위해 ‘Through point’, ‘Blend’와 같은 연속적인 커브 속성에서 G3 옵션 기능을 추가했다. 이를 통해 반사되는 조도를 고려하여 고품질의 매끄러운 플로(flow) 서피스를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 급격하게 곡률이 반전되거나 꺾이는 영역 없이, 부드러운 표면 품질을 그대로 살려 제품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향상된 곡선 연속성에 대한 G3 기능   기계 어셈블리 기구 설계의 시뮬레이션 측면에서 기계적인 구속을 통해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슬롯(slot)과 캠(CAM) 구속이 추가되었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체크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기계 어셈블리에 구현된 기구     CAM   툴패스 연산속도 향상 이전 버전과 비교할 때 ZW3D 2022 버전에서는 툴패스 연산속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작업시간에 따른 툴패스 연산에 대한 효율성이 극대화되었다.   ▲ 2021 버전 대비 툴패스 별 연산속도 비교   황삭 가공 능률 향상 T 커터 공구로 프로파일 패턴 기능을 통해 스무드플로, 옵셋 2D, 레이스와 같은 가공 전략에서 언더컷 영역에 대한 황삭 가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기능이 추가되었다. 효율적인 가공 전략을 통해 가공 시간을 단축하고, 툴패스의 활용도를 강화하였다.    ▲ 프로파일 패턴기능을 통한 황삭 언더컷 가공   평탄영역 감지 절입량으로 인해 가공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 자동으로 평탄 영역을 분석하여, 다음 가공에서 공구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분석된 영역 내에서 툴패스를 더 생성하는 기능이다.   ▲ 황삭 영역감지를 통해 보다 나은 툴패스 생성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1-06-01
로맥스 2020 Virtual Innovation Summit & User Conference
Romax Virtual Innovation Summit & User Conference 2020 이메일이 보이지 않으시면,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맥스테크놀로지 코리아가 여러분을 ‘온택트’ 행사 ‘2020 Virtual Innovation Summit’을 통해 새로운 세상으로 인도합니다.  금번 행사에서는 <버추얼 개발환경에서 전동화 실현 방법(Realize the Electrification in the Virtual Development Environment)> 을 주제로 각 산업분야의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모여 최신 기술 동향과 미래 산업 방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행사는 로맥스테크놀로지가 MSC소프트웨어와 하나가 된 후 첫번째 맞는 행사로, 시뮬레이션, 성능, 협업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세계 최고의 두 시뮬레이션이 만나 시장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보여드릴 예정입니다.  고객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로맥스는 코로나확산방지를 위해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로 전환한 ‘2020 Virtual Innovation Summit’에 참석하셔서 각 산업 분야의 리더들이 이끌어가는 트렌드를 살펴보고, 미래를 향한 변화에 함께 동행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아래 안건 및 발표자는 사정에 의해 추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DAY 1, 2020년 10월 21일 (수) DAY 2, 2020년 10월 22일 (목) DAY 3, 2020년 10월 23일 (금) Time Content 15:00 Opening Speech  개회사 Kevin Lee, Regional Manager, Romax Technology Korea Fast Analysis of Electric Powertrain NVH Performance for CAE-led Design Using Romax Spectrum CAE 기반 설계 단계에서 Romax Spectrum을 이용한 전동 파워트레인 NVH 해석 Michael Platten, Senior Product Manager, Romax Technology UK CAE-led Design of an EV Traction Motor and Test Rig with Romax Evolve Romax Evolve를 이용한 전기차 구동 모터 및 시험 장치의 CAE 기반 설계 Rob Holehouse,  Product Manager Electrification, Romax Technology UK 15:10 Using Romax Enduro to Design the Fundamental Aspects of a Transmission Romax Enduro를 이용한 변속기의 핵심 사항 설계 Kristian Kouumdjieff, Product Manager, Romax Technology UK   15:30   Advanced Acoustic Analysis Using Romax Spectrum and Actran Romax Spectrum과 Actran을 이용한 고급 음향 해석 Donmin Lee,  Senior Technical Manager, Romax Technology Korea Traction Motor NVH Simulation with Test Rig Using Romax Evolve & Nastran Super Element Romax Evolve와 Nastran Super Element를 이용한 구동 모터 및 시험 장치의 NVH 시뮬레이션 Daein Lee, Technical Manager, Romax Technology Korea 15:50 Gear Fatigue Analysis Using Romax Enduro & MSC CAE Fatigue Romax Enduro와 MSC CAE Fatigue를 이용한 기어의 피로해석 Jaemin Lee, Technical Manager, Romax Technology Korea 16:00   Enhanced Transmission Design Benchmarking Using Romax Concept and Other Nexus Product  Romax Concept과 타 Nexus 제품을 이용한 향상된 변속기 설계 벤치마킹 Simon White,  Senior Product Manager, Romax Technology UK Romax NEXUS R21 & Future Roadmap 로맥스 넥서스 R21 & 미래 로드맵 Jamie Pears,  Head of Product Management, Romax Technology UK 16:20 Accurate Prediction of Bearing Power Losses Using Romax Energy  Romax Energy를 이용한 베어링 동력 손실 정밀 예측 Dhruva Aaradhya, Product Manager, Romax Technology UK 16:30   Hexagon MI’s Integrated Solution for Benchmarking/Reverse Engineering  벤치마킹 및 역설계를 위한 Hexagon MI의 통합 솔루션 Kevin Lee, Regional Manager, Romax Technology Korea Closing & Lucky Draw 폐회 및 경품 추첨 17:00   ​​Information 본 행사는 참석비가 없는 무료 행사입니다. ​​​​​​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주셔야 온라인 행사에 참석하실 수 있는 링크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행사는 로맥스테크놀로지 고객과 업계 및 학계 관계자들을 위해 마련된 행사입니다. 따라서, 일부 부합되지 않은 분들의 경우 경품 및 기념품 제공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경품은 3일 모두 참석한 분들을 대상으로 추첨하며, 기념품은 사전등록시 기입한 핸드폰 번호로 발송됩니다.       신청하기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로21길 10, 2층 (양재동, 재윤빌딩) T: +82 (0)2 2148 0400 F: +82 (0)2 3463 1996 E: RomaxKorea.mi@hexagon.com  W: romaxtech.com                                  
작성일 :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