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SC24"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4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레노버, SC24에서 AI 잠재력 극대화하는 차세대 HPC 설루션 공개
레노버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된 ‘슈퍼컴퓨팅 2024(SC24)’에 참여해 지속 가능한 AI(인공지능) 전환을 구현하는 고성능 컴퓨팅(HPC) 기술을 선보였다. SC24 발표에서 레노버는 과학 및 기술 연구, 엔지니어링, 비즈니스 등 다방면에서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에너지 효율적인 플랫폼 및 설루션을 소개했다. 10년 이상의 노하우와 40개 이상의 특허를 바탕으로 개발된 레노버의 6세대 넵튠(Neptune) 액체 냉각 기술은 기존 공랭식 시스템에 비해 더 효율적으로 열을 제거한다. 새로 혁신된 섀시는 100% 수냉식인 컴팩트한 시스템에 서버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해 전력 소모를 줄여 에너지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제 모든 규모의 조직이 개방형 환경에서 표준 전력을 사용해 한 번에 한 트레이씩 고성능 가속 컴퓨팅을 구현할 수 있다. 6세대 레노버 넵튠 수냉식 슈퍼컴퓨팅 서버는 최신 프로세서 및 가속기 기술을 활용해 AI를 효율적으로 실행한다. 지난 10월 출시된 레노버 씽크시스템(ThinkSystem) SC777 V4 넵튠은 6세대 오픈 루프 및 직접 온수 냉각 기술을 탑재한 첨단 수냉식 서버다. 씽크시스템 SC777 V4넵튠은 엔비디아 GB200 그레이스 블랙웰(Grace Blackwell) NVL4 슈퍼칩을 지원하며, 신속함과 비용 및 에너지 효율성에 기반해 제품 출시 관련 1조 개의 매개 변수 AI 모델을 실행할 수 있다. 엔비디아 H200 NVL 플랫폼은 주류 엔터프라이즈 서버를 위한 AI 가속화를 지원한다. 레노버 씽크시스템 SR675 V3와 엔비디아 H200 NVL은 강력한 성능과 효율적인 확장을 제공하는 동시에 광범위한 HPC 워크로드의 요구 사항을 유연하게 충족한다. 또한 풀 스택 AI 포트폴리오에서 실행되는 엔비디아와의 하이브리드 AI 어드밴티지(Hybrid AI Advantage)는 조직이 인사이트를 신속하게 결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어디에서나 AI 기반 컴퓨팅을 빠르고 쉽게 제공한다. 레노버는 콜로케이션 파트너십을 통해 AI 및 HPC 성능 최대화를 필요로 하는 고객들에게 넵튠 액체 냉각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러한 콜로케이션 파트너십은 고객이 데이터센터 공간이 부족하더라도 고성능 프라이빗 AI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레노버 넵튠의 직접 수냉 시스템에 기반한 고밀도 콜로케이션을 통해 기업은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열 재활용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직접 액체 냉각을 통해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3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슈퍼컴퓨터는 자동차∙비행기 설계, 유전 탐사, 금융 리스크 평가, 유전자 맵 작성, 기상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레노버는 자사의 수냉식 슈퍼컴퓨터가 전 세계 각지에서 에너지 최적화 및 기술 혁신을 이끌고 있다고 전했다. 스콧 티즈(Scott Tease) 레노버 ISG 제품 총괄 부사장은 “생성형 AI의 시대에 데이터센터는 IT 인프라 및 디지털 경제의 중추로 자리잡고 있다. 데이터센터로 인해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에 책임 있게 대응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과제”라며 “레노버 넵튠 액체 냉각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 덕분에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및 AI 워크로드를 구현하는 고성능 컴퓨팅이 가능해졌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1-29
엔비디아, 폭스콘에 옴니버스 지원해 블랙웰 생산 설비 최적화 및 생산성 확대
엔비디아가 '슈퍼컴퓨팅 2024(SC24) 콘퍼런스에서 폭스콘이 엔비디아 옴니버스(NVIDIA Omniverse)를 통해 생산성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전자제품 제조업체 중 하나인 폭스콘은 현재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한 블랙웰(Blackwell)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사용하고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는 산업용 AI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 현재 미국, 멕시코, 대만의 생산 설비를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다. 폭스콘은 생산 설비와 장비 레이아웃을 가상으로 통합하는 데에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사용하고, 자율 로봇 테스트와 시뮬레이션에는 엔비디아 아이작 심(Isaac Sim)을, 비전 AI를 위해서는 엔비디아 메트로폴리스(Metropolis)를 활용하고 있다. 옴니버스는 산업 개발자가 실제 환경에서 비용이 많이 드는 변경 사항을 배포하기 전에 디지털 트윈에서 테스트와 최적화를 거쳐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폭스콘은 멕시코 공장에서만 큰 폭의 비용 절감과 연간 30% 이상의 전략 사용량 감소를 기대하고 있다.     폭스콘의 공장 기획자들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옴니버스와 엔비디아 AI를 사용해 물리 AI 기반 로봇 공장을 구축하고 있다. 옴니버스를 통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 폭스콘은 지멘스의 팀센터 X(Teamcenter X)와 오토데스크 레빗(Revit)과 같은 주요 산업 애플리케이션의 생산 설비와 장비 정보를 가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했다. 평면도 레이아웃은 디지털 트윈에서 먼저 최적화된다. 그리고 기획자는 메트로폴리스 시각 AI 에이전트를 통해 운영을 간소화하는 방법을 측정하고 식별하는데 도움이 되는 최적의 카메라 위치를 찾을 수 있다. 건설 과정에서 폭스콘 팀은 옴니버스 디지털 트윈을 데이터 소스로 사용해 장비의 정확한 레이아웃과 배치를 전달하고 검증한다. 옴니버스의 가상 통합은 실제 운영에서 비용이 많이 드는 변경 사항을 줄임으로써 공장 기획자에게 수백만 달러를 절약할 수 있는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이 엔비디아의 설명이다. 공장의 디지털 트윈이 구축되면, 공장은 산업용 매니퓰레이터와 자율 주행 로봇을 비롯한 폭스콘의 자율 로봇을 위한 가상 훈련장이 된다. 폭스콘의 로봇 개발자는 실제 로봇에 배포하기 전에 엔비디아 아이작 심에서 AI 로봇 모델의 시뮬레이션과 테스트, 검증을 진행한다. 폭스콘은 옴니버스를 사용해 로봇 AI를 시뮬레이션한 후, 엔비디아 젯슨(Jetson) 기반 자율 주행 로봇에 배포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 라인에서는 아이작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 라이브러리와 AI 모델을 사용해 자동 광학 검사, 물체 식별, 결함 감지, 경로 계획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설비 기획자는 옴니버스를 통해 실제 환경에 설치하기 전에 인텔리전트 카메라 배치를 테스트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장 현장을 파악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지원하고 시각적 AI 에이전트 프레임워크의 기반을 마련한다. 폭스콘은 엔비디아 옴니버스와 AI를 사용해 전 세계에 걸쳐 정밀 생산 라인을 복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폭스콘은 통합 표준을 충족하는 고품질 생산설비를 신속하게 배포해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와 적응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폭스콘의 신속한 복제 능력은 생산 전략을 신속하게 조정하고 리소스를 재할당해 변화하는 수요에 맞춰 연속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인 생산시설 구축을 가속화하고 공급망 중단에 대한 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 엔비디아의 설명이다. 폭스콘의 멕시코 공장은 2025년 초에, 대만 공장은 12월에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작성일 : 2024-11-21
엔비디아, CAE에 실시간 디지털 트윈의 활용 돕는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공개
엔비디아가 ‘슈퍼컴퓨팅 2024(SC24)’ 콘퍼런스에서 ‘엔비디아 옴니버스 블루프린트(NVIDIA Omniverse Blueprint)’를 발표했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가 항공우주, 자동차, 제조, 에너지, 기타 산업의 컴퓨터 지원 엔지니어링(CAE) 고객들이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디지털 트윈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알테어, 앤시스, 케이던스, 지멘스와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는 실시간 CAE 디지털 트윈을 위한 엔비디아 옴니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해 고객이 개발 비용과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면서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엔비디아는 이 블루프린트가 1200배 빠른 시뮬레이션과 실시간 시각화를 달성하기 위한 엔비디아 가속 라이브러리, 물리-AI 프레임워크, 대화형 물리 기반 렌더링을 포함하는 레퍼런스 워크플로라고 설명했다. 블루프린트의 첫 번째 적용 분야 중 하나는 전산유체역학(CFD) 시뮬레이션이다. 이는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 여러 제품의 설계를 가상으로 탐색하고 테스트하며 개선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계이다. 기존의 엔지니어링 워크플로는 물리 시뮬레이션부터 시각화와 설계 최적화에 이르기까지 완료하는 데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릴 수 있다. 실시간 물리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려면 실시간 물리 솔버(solver) 성능과 대규모 데이터 세트의 실시간 시각화라는 2가지 기본 기능이 필요하다. 옴니버스 블루프린트는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엔비디아 쿠다-X(CUDA-X)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솔버 성능을 가속화한다. 또한, 엔비디아 모듈러스(Modulus) 물리-AI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플로 필드를 생성하기 위한 모델을 훈련하고 배포한다. 마지막으로, 엔비디아 옴니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3D 데이터 상호운용성과 실시간 RTX 지원 시각화를 제공한다.      앤시스는 옴니버스 블루프린트를 채택해 유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앤시스 플루언트(Ansys Fluent)에 적용해 전산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을 가속화했다. 앤시스는 텍사스 첨단 컴퓨팅센터에서 320개의 엔비디아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Grace Hopper Superchip)으로 플루언트를 실행했다. 2,048개의 x86 CPU 코어에서는 거의 한 달이 걸리던 25억 셀의 자동차 시뮬레이션을 6시간 만에 완료했다. 이를 통해 밤새 고충실도 CFD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실현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업계 벤치마크를 수립했다. 루미너리 클라우드 또한 블루프린트를 채택하고 있다. 엔비디아 모듈러스를 기반으로 구축된 이 회사의 새로운 시뮬레이션 AI 모델은 GPU 가속 CFD 솔버에서 생성된 훈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류장과 자동차 형상 간의 관계를 학습한다. 이 모델은 솔버 자체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시뮬레이션을 실행해 옴니버스 API를 사용해 시각화된 실시간 공기 역학 흐름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엔비디아와 루미너리 클라우드는 SC24에서 가상 풍동을 시연했다. 이는 터널 내부에서 차량 모델을 변경하더라도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속도로 유체 역학을 시뮬레이션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엔비디아는 알테어, 비욘드 매스, 케이던스, 헥사곤, 뉴럴 컨셉, 지멘스, 심스케일, 트레인 테크놀로지스 등이 자체 애플리케이션에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옴니버스 블루프린트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구글 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를 비롯한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다. 엔비디아 DGX 클라우드(DGX Cloud)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리스케일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해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맞춤형 AI 모델을 훈련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리스케일 플랫폼은 전체 애플리케이션-하드웨어 스택을 자동화하며, 모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조직은 어떤 시뮬레이션 솔버를 사용해도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AI 모델을 준비, 훈련, 배포하며, 추론 예측을 실행하고, 모델을 시각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는 “우리는 모든 사물이 디지털 트윈을 가질 수 있도록 옴니버스를 구축했다. 옴니버스 블루프린트는 엔비디아 옴니버스와 AI 기술을 연결하는 레퍼런스 파이프라인이다. 이는 선도적인 CAE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설계, 제조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세계 최대 산업을 위해 산업 디지털화를 혁신할 획기적인 디지털 트윈 워크플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4-11-19
운용성을 향한 Open GIS 분야의 혁신
Open GIS의 이해운용성을 향한 GIS 분야의 혁신OGC(Open GIS Consortium)는 OGIS(Open Geodata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 개방형 지리자료 상호가동성 사양)을 개발하고 촉진시키기 위해, 지리정보체계의 각 분야의 의견  일치를 목적으로 설립된 회원제 비과세 법인이다. OGC는 OCF(Open GIS Foundation; 개방형 지리정보체계 재단) 위원회에 의해 1994년 8월 25일에 설립된 이후로 지리정보처리 분야에서 활동 중인 공공 민간 단체를 중심으로 협회를 구축해왔다. 이 글에서는 OGC를 중심으로 오픈GIS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알아본다.■ 김 광 수 / ETRI GIS팀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E-Mail은 enoch@etri.re.krGIS 기술은 처음에는 일부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전문가 GIS에서 발전하였으나, 최근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일반인들의 GIS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GIS라는 특수한 부문의 정보기술이 주류 정보기술 속으로 합류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다양한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보다 대중적인 정보 기술로 탈바꿈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정보 중 약 60∼80% 정도는 지리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주소, 차량 위치, 시장 조사, 인구 조사 등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다.이러한 정보 환경 변화 속에 등장한 중요한 GIS 기술 발전 동향은 개방화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분산 컴퓨팅 환경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지금처럼 특정 환경에서만 상호 정보 공유가 가능한 것이 아니라, 상이한 이기종 간에도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려는 노력에서 출발하였다. 즉, GIS 기술을 개발하는 측에서 서로 데이터의 공유에 필요한 각종 환경에 대한 합의를 통해 해당 기술의 개방화를 도모하려는 것으로 분산 환경을 지원하는 지리 정보 처리 기술의 중심에  개방형 GIS 협회(OGC, Open GIS Consortium)가 자리잡고 있다.1. 달라진 환경 변화 수용을 위해1960년대 GIS가 처음으로 세상에 나온 이후, 지리공간 자료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포맷으로 존재해 왔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에 따른 데이터 구축이 계속되고 있어 공간 데이터에 대한 집적량이 급속도로 늘어가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공간 데이터를 초기에 어떠한 형식으로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나, 현재에는 기존에 구축되어진 많은 양의 분산된 공간 데이터 중 목적에 맞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및 효율적인 이용에 관한 문제에 주된 관심의 초점이 옮겨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들은 각각 다른 데이터 포맷, 변환 방법,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소프트웨어가 사용되어지는 목적에 따라 복잡성이 점점 증폭되어 왔다. 이러한 폐쇄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기존 시스템간의 공간 데이터 공유가 거의 불가능해졌다.과거와 달라진 지리정보처리 환경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전세계 주요 GIS S/W 업체와 공공기관 및 학계로 구성된 비영리 단체인 OGC가 1994년 창설되었다. 이 단체에서는 이기종 시스템간의 공간 데이터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개방형 표준 사양을 정의하여 공포하고 있다.2. 이기종 시스템간의 공간데이터 공유오픈GIS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개발자들은 모든 종류의 지리 자료와 지리 정보처리 기능을 다룰 수 있는 미들웨어와 컴포넌트 및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서로 관계없는 그룹에 의해 각각 다른 시간대에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하더라도, 오픈GIS 기반 시스템 이용자는 잠재적으로 거대한 네트워크 데이터 공간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 공간에서는 모든 지리 자료가 기본적인 데이터 모델에 적합하게 작동한다. 기존 지리 자료 역시 오픈GIS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접근 가능하게 된다. 오픈GIS에서 추구하고 있는 이기종 시스템간의 공간 데이터 공유를 위한 구조를 <그림 1>에 표현하였다.그림 1. 이기종 지리 자료 접근을 위한 오픈GIS 분산 환경 구조오픈GIS 사양에 기반한 인터페이스네트워크 클라이언트/서버 기술관계형 DBMS   비관계형 DBMS   실시간 자료 획득   파일포맷3. 20여개 국, 200여개 단체들이 활동 중현재 전세계 20여개 국과 200여개의 공공기관, 학교, 업체에서 OGC에서 활동 중이다.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Adobe Systems, Autodesk, Cadcorp, Compaq Computer, Bentley, ESRI, Hitachi, HP, Informaix, Laser-Scan, MapInfo, MIT, Oracle, PCI Geomatics, SGI, SmallWorld, Sun Microsystems, US NASA, US National Imagery and Mapping Agency 등이며, 국내에서는 국립지리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동대학교 등 6개 기관 및 학교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다.그림 2. OGS 홈페이지   ogc001.jpg4. 오픈GIS 사양 개발 현황상호운용 가능한 지리정보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OGC의 노력은 오픈GIS 추상사양(Abstract Specification)과 오픈GIS 구현사양(Implementation Specification)의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1) 오픈GIS 추상 사양현재 오픈GIS 추상사양은 Topic 16개에 대해 버전 4.0까지 나와 있다. 버전 4.0의 경우, 이전 버전에 비해 가장 크게 변경된 부분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에 대한 부분이다. 이전에는 OMT(Object Modeling Technique) 표시법을 이용해서 의미를 전달하였으나 최근 각종 국제 표준의 개념 모델에 UML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감안하고, 의사소통의 편리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각 토픽별 오픈GIS 핵심모델을 UML로 기술하고 있다. <표 1>은 각 주제별 내용과 상호 연관성에 대해 표현하고 있다.표 1. 추상 사양의 주제별 분류 및 연관성Topic1 Feature Geometry   Topic2 Spatial Reference Systems   Topic3 Locational Geometry   Topic8 Relations Bet'n Features   Topic11 MetadataTopic10 Feature Collections   Topic14 Semantics and Info Com't's   Topic9 QualityTopic4 Stored Functions and Interpolation   Topic5 The Open GIS FeatureTopic6 The Coverage Type   Topic12 The Open GIS Service Arch.Topic7   Topic13 Catalog Services   Topic15 Image Expl. Services   Topic16 Image Coord. Transf Services(2) 오픈GIS 구현 사양OGC의 모델이 OGC에서 추구하는 목적의 달성을 위해 지구상의 다양한 실체 및 현상을 어떻게 정보시스템에서 다룰 것인가 하는데 그 핵심이 있는 만큼, 처음 OGC가 결성된 후부터 지금까지 바로 이 부분에 대하여 기술위원회(OGC Technical Committee)에서 심도 깊게 기술정보를 수집하여 오픈GIS 추상 사양을 작성하고 지속적으로 개정 작업을 하고 있다.OGC에서 지금까지 수행해온 사양개발의 최종 성과물은 바로 구현 사양이라고 할 수 있다. 구현사양은 실제로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사양으로서, 동일한 플랫폼 상에서 이를 준수하면 서로 다른 업체에서 개발했더라도 지리정보 및 지리정보처리의 '제한된 상호 운용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1996년 오픈GIS 피처 사양 제안서가 발표된 후 현재 최종적으로 발표된 오픈GIS 구현사양은,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SQL 1.1, 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OLE/COM 1.1, 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CORBA 1.1,OpenGIS Catalog Interfac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1.0,OpenGIS Web Map Server Interfaces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1.0등이다.이 사양에서 지리 객체는 객체 지향형 구조에서와 같이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OpenGIS 모델은 객체 지향형 구조와는 구현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OpenGIS에서는 상호 운용성 제공을 위하여 각각의 지리 객체들을 컴포넌트(Component)로 구현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각 지리 객체들은 자신의 기능들을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한다.(1) 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SQL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SQL은 서문, 개요, 아키텍처, 컴포넌트 사양, 지원되는 공간참조 데이터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사양의 목적은 ODBC API를 통해서 Simple Geospatial Feature를 저장, 재생, 질의, 갱신하기 위한 표준 SQL 스키마를 정의하는 것이다.Simple Geospatial Feature Collection은 개념적으로 RDBMS의 테이블로 저장되며, 이 테이블의 칼럼이 Geometry 값을 갖는다. Feature의 비공간적 속성은 표준 ODBC/SQL92 데이터타입을 가지고 있는 칼럼으로 매핑되고, Feature의 공간적 속성은 SQL의 Geometry 확장 데이터타입을 가지는 칼럼으로 매핑된다. 오픈GIS Feature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Feature Table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테이블의 칼럼 값은 Geometry Value이다. SQL92와 SQL92 with Geometry Types의 두 가지 환경을 위한 Feature Table 구현이 설명된다.SQL92 환경에서, Geometry 값을 가지는 칼럼은 Geometry 테이블에 대한 Foreign key이다. Geometry 값은 Geometry 테이블에 저장된다. Geometry 테이블은 표준적인 SQL Numeric Type이나 SQL Binary Type을 이용해서 구현된다. SQL92 with Geometry Types란 Geometry Type으로 확장된 SQL92 환경을 말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Geometry 값 칼럼은 Geometry Type에 근거한 SQL 타입의 칼럼으로 구현된다.이 사양은 오픈GIS Geometry Model과 이에 대한 SQL 함수에 기반한 표준적인 SQL Geometry Type에 대한 설명이다. 이 사양은 SQL 환경에서 Geometry Type을 추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표준화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SQL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타입을 확장하기 위한 SQL3 메커니즘은 사용자 정의 Abstract Data Type을 통해 이루어진다). SQL92와 SQL92 with Geometry Type 구현은 데이터베이스에서 Feature Table 목록, 특정 Feature Table을 위한 Geometry 칼럼 목록, 특정 Geometry 칼럼을 위한 공간참조시스템을 반환할 표준적인 Metadata Query를 지원하기 위해서 단일한 방식으로 SQL92 정보 스키마를 확장한다. SQL92와 SQL92 with Geometry Types 구현은 표준 정수, 캐릭터, 바이너리 ODBC SQL 타입을 저장하고 불러오기 위해서 ODBC를 통해서 접근된다.Geospatial Feature Collection을 위한 오픈GIS 사양과 호환되기 위해서는 Geometry 저장과 ODBC 저장을 위해 Numeric SQL Type을 사용하는 SQL92 Feature table, Geometry 저장과 ODBC 저장을 위해 Binary SQL Type을 사용하는 SQL92 Feature table Geometry에 대한 텍스트 ODBC 접근과 바이너리 ODBC 접근 모두를 지원하는 SQL92 with Geometry Types 구현의 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2) 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OLE/COM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OLE/COM은 개요, 아키텍처, 컴포넌트 사양, 지원되는 공간참조데이터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개요에서는 OLE/DB 활용의 의미를 소개하고 있으며, Architecture 부분에서는 데이터제공자, 서비스제공자, 소비자로 구성되는 데이터접근 아키텍쳐를 설명하고, Geometry Object Model과 관련 속성과 메소드, Spatial Reference System Object Model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OLE/ COM에서 양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할당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컴포넌트 사양이다. 컴포넌트 사양은 OLE/DB와 ADO 컴포넌트,  Geometry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와 클래스 Geometry를 위한 Well-known Binary 표현인 WKBGeometry, 공간참조체계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와 클래스 공간참조체계를 위한 Well-known Text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된다.이 사양은 기존의 산업표준을 최대한 활용하여, GIS 기술 제공자들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GIS 사용자들의 상호운용성과 통합에 대한 요구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지리공간적 표준을 구축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OLE/DB는 그 자체로 유용한 기술이지만, MS와 다른 third party 개발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분산처리조정자(Distributed Transaction Coordinator), ODBC, 인덱스 서버, RDS 등과 같은 기술이 뒷받침되어 더욱 강력해진다.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OLE/COM 사양의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주요 컴포넌트는 데이터 제공자 구현을 위한 OLE/DB, OLE/DB의 맨 위에서 쉽게 데이터 접근 모델을 나타내 주기 위한 ADO, 상세한 기하 및 참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Geometry and Spatial Reference이다.이러한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MS 객체 모델(COM)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ADO와 Geometry and Spatial Reference 객체는 IDispatch로 구현되기 때문에, 비주얼 베이직, 자바, 파워빌더와 같은 빠른 개발(RAD) 언어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모든 COM 인터페이스는 최적의 실행을 위해 C++ 과 같은 낮은 수준 언어로도 접근할 수도 있다.(3) 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CORBA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CORBA는 서문, 개요, 아키텍처, 컴포넌트 사양, Feature Identit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사양의 목적은 GIS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OMG의 CORBA 기술을 이용해서 Simple Geometry의 Feature로 구성되는 지리공간 정보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CORBA는 언어, 운영체계, 플랫폼, 벤더 등과 독립적인 방식으로 객체지향 분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양을 제공한다. CORBA는 다양한 상업적 ORB와 많은 사양의 객체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설비(CORBA services and CORBA facilities)로 구현된다. 설비에는 GUI나 업무관리처럼 애플리케이션이 일반적으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평적, 특정 산업이나 도메인을 목표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직적 설비가 있다. 본 사양은 OMG 작업에 지리공간정보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CORBA 설비를 포함하는 것이 될 것이다.CORBA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CORBA의 OMA 추상 사양에 나타나 있는 추상 아키텍처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CORBA의 추상 아키텍처는 CORBA-IDL에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들은 Feature와 Geometry의 2가지 서브시스템 혹은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5. 적합성 판정(Conformance Testing)OGC에서는 제정된 사양을 구현한 업체에 대해서 OGC 사양과의 적합성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 통과된 업체에 대해서만 OGC 표식의 사용을 허가함으로써 OGC 사양의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업체는 각 업체의 매출액과 회원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비용을 OGC에 지불한다. 판정대상이 되는 사양은 오픈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SQL, 오픈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OLE/COM, 오픈GIS Catalog Services Interface Specification 등 3가지이다. 이 프로그램에 통과된 업체와 제품은 <표 2>와 같다.표 2.업체   제품   Release   구현 사양ESRI   Spatial Database Engine for Informaix   Version 3.0.2   SFSESRI   Spatial Database Engine for DB2 Datajoiner Informaix   Version 3.0.2   SFSESRI   Spatial Database Engine for Oracle   Version 3.0.2   SFSOracle Corporation   Oracle8 Spatial Cartridge   Version 8.0.5   SFSOracle Corporation   Oracle8I Spatial   Version 8.1.5   SFSCadcorp   Cadcorp Simple Features for COM Component, used in Cadcorp SIS   Version 5.1   SFOCadcorp   Cadcorp Simple Feature for COM Component, used in Cadcorp PowerMap   Version 1   SFOHitachi Software Engineering   HiRDB Spatial Search Plug-in   Version 01-01   SFSHitachi Software Engineering   GeoMation GeoAdapter/J for HiRDB   Version 01-00   SFC■ SFS : 오픈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SQL, ■ SFO : 오픈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OLE/COM■ SFC : 오픈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CORBA6. 관련 표준 제정 기관OGC와 연관되어 있는 표준 제정 기관과 관련 내용은 <표 3>과 같다.표 3.표준관련기관   내용ISO/IEC JTCI SC32   SQL의 공간적 확장, Geometry 모델ISO/IEC JTCI SC24   컴퓨터그래픽ISO TC204   Mobile 컴퓨팅, 자동항법 시스템ISO TC211   지리자료의 표준 : 메타 데이터, 공간 스키마, 좌표 참조 체계, 카다로그 등OMG   CORBA 사양, 객체 관리, 도메인 서비스W3C   웹 상에서의 전자 상거래, HTML, XML 등의 사양IETF   보안, HTTP, 교통SEDRIS   Scene SynthesisSun Microsystems   Java, JINIMicrosoft   COM 기반 표준과 개념WAP   Wireless Applications Protocol7. 맺음말종래의 지리정보시스템은 독자적인 시스템으로 독립된 자료 형식과 처리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스템들 사이의 직접적인 자료 교환이 불가능하여 이기종 시스템으로 구현된 서로 다른 업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료의 공유를 위한 개방형 지리정보 체계를 수용하고, 필요한 기능을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하는 컴포넌트로 구성함으로써 지리정보 데이터의 구조나 위치에 종속되지 않고, 지리정보시스템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상호 작동 가능한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 OGC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 OGC 표준은 기존 GIS 업체의 제품을 대신하거나 경쟁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라 상호 보완 관계에 있다고 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응용 분야는 특성에 맞는 제품을 선정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기종 시스템과의 통합 관리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OGC 사양을 따라 시스템을 구현하면 독립 시스템과 통합 시스템의 조화를 통한 발전을 모색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현재의 추세라면 GIS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들은 각 제품의 내부에 OGC 사양을 지원하여 독립 시스템과 통합 시스템의 구별이 없어지는 방향으로 GIS 세계가 변화할 것으로 확신한다. ■ 참고문헌김은형, News Letter 제4호, 1996. 11김은형, News Letter 제20호, 1999. 7.Open GIS Consortium, Inc., Abstract Specification Overview Version 4, 1999. 6Open GIS Consortium, Inc., The OpenGIS Guide 3rd Edition, 1998. 6OGC, Inc., The 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SQL Revision 1.1, 1999OGC, Inc., The 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OLE/COM Revision 1.1, 1999OGC, Inc., The 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CORBA Revision 1.0, 1998CAD&Graphics 2001년 1월호
작성일 : 2005-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