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RTLS"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0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이에이트, TYM에 디지털 트윈 팩토리 플랫폼 공급
이에이트가 자사의 디지털 트윈 설루션 NDX PRO를 기반으로 국내 농기계 제조업체인 TYM에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에이트가 밝힌 목표는 협력사, 제조사, 딜러사 등 공급망 가치사슬(value chain) 파트너사 간 실시간 협업 관리를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실시간 디지털 공급망의 통합 연계 플랫폼을 통해 파트너사 간의 불필요한 재고를 줄이고, 비효율적인 소통 및 업무를 줄여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에이트의 TYM 협업 공급망 설루션은 협력사-제조자-딜러사가 통합 연계된 플랫폼을 지향한다. 협력사는 공급망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서 RTLS(Real-time Location Systems :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기반 납품을 관리하고, 품질 정보, 공정 이상, 재고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사는 자재 및 물류, 생산, 품질, 출하 등 제조 전반적인 과정을 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제품을 판매하는 딜러사 역시 실시간으로 실판매 처리 및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이트는 “운영비용의 경우 10분의 1로, 재고수량의 경우 3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으며 TYM의 경우 협력사와 딜러사 간의 소통 비용이 91억 수준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스마트 팩토리는 공장의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이트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인 NDX PRO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분석·연계할 수 있으며, 웹 기반의 대시보드를 통해 직관적인 시각화를 제공한다는 점을 내세운다. 이를 통해 운영자는 생산 공정과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빠르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나아가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 축적되는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의 생산, 물류, 조달 등을 최적화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조사는 적극적으로 생산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지만, 협력사 및 딜러사는 비용 부담으로 인해 디지털화가 상대적으로 더딘 상황이다. 이에이트는 이번 공급망 플랫폼을 통해 협력사와 딜러사도 점진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이트의 김진현 대표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제조 공급망 전반에 걸친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B2B 제조사를 대상으로 사업을 지속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5-02-20
buildSMART FORUM 2022 발표자료 다운로드
buildSMART FORUM 2022 발표자료 다운로드   프로그램북 다운로드   상세내용보기 https://event.buildingsmart.or.kr/Forum/2022     통합세션 / [기조강연/Keynote] 국토교통 R&D와 스마트건축 추진현황 Progress in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D and Smart Architecture □ 국토교통 R&D와 스마트건축 추진현황 - 국토교통 R&D 현황 - 스마트건축 주요 R&D project 등 박승기 원장 Park, Seungki President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통합세션 / [기조강연/Keynote] 공감하는 건설로봇 Empathetic Robot Collaboration in Construction 건설산업은 그 규모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업들에 비해 노동집약적이며 육체노동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는 건설산업이 겪고 있는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 높은 안전 위협, 인력난 등의 문제들 과도 연결된다. 최근, 건설로봇은 육체노동에 대한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건설현장에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건설 로봇의 증가로 앞으로의 건설 환경은 다양한 건설 인력과 로봇이 긴밀하게 협업하는 공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공감이 결여된 사람과 로봇 간의 협업은 건설 로봇의 기술적인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없으며 이들의 협업을 성공적으로 발휘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조연설에서는 로봇의 사람에 대한 공감을 통한 능동적이고 조화로운 협업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가 되어진 미시간대학의 Dynamic Project Management (DPM) 연구실에서 행해진 다양한 센서들과 deep learning을 적용한 연구들과 이를 바탕으로 공감하는 건설 로봇들을 위해 진행중인 연구를 소개한다. 특히 Wearable biosensor를 통해 인간이 로봇과의 협업과정에서의 어떤 감정과 인지적인 반응을 보이는 지를 이해하며 그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공감하는 건설 로봇을 이루어 질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러한 공감을 바탕으로 한 사람과 로봇의 협업이 사람 친화적인 건설 환경을 조성하여 건설산업을 더욱 생산적이고 안전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현 교수 Lee, Sanghyun Professor |미시간대학 University of Michigan   통합세션 / [기조강연/Keynote] 라이프사이클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개방형 BIM: 설계부터 FM까지 Open BIM for Lifecycle project management: from design to FM Introduction to Graphisoft & Solutions Open Standards for AECO industry – The Only Way Forward OpenBIM for the Design – Construction & Operations Case Studies 에후헤니오 폰탄 비즈니스개발매니저 Eugenio Fontán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그라피소프트 아시아 GRAPHISOFT ASIA LTD   통합세션 / [기조강연/Keynote] 디지털트윈 기반 첨단 공항시설 운영관리, 메타버스로의 확장 Airport facility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dvanced technology based on Digital Twin, expansion to Metaverse 디지털트윈 기반의 첨단기술 적용 공항시설 운영관리시스템 개발 소개 openBIM 기반의 디지털트윈 모델을 활용한 메타버스 확장 구현 사례 소개 문순배 BIM매니저 Moon, Sunbae BIM Manager |한국공항공사 Korea Airports Corporation moonsb@airport.co.kr 트랙세션 / [설계/Design] 패러다임의 전환: 빌딩 테크놀로지와 건축 설계 프로세스 A paradigm shift: building technology and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빌딩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른 건축 설계 프로세스의 전환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 디지털 기술 응용 설계 프로세스 사례 소개 김형섭 조교수 Kim, Hyoungsub Assistant professor |아주대학교 Ajou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트랙세션 / [설계/Design] 한국에서 HBIM의 다양한 시도와 활용 Various trials and uses of HBIM in Korea 한국에서 HBIM의 다양한 시도와 활용  문화재 복원 Solution  문화재 정비사업 Solution  문화재 이력관리 Solution  문화재 원형고증 Solution  문화재 발굴지 Solution  문화재 (정밀)실측 Solution  문화재 시공 Solution  문화재 BIM 가이드 라인 문화재 기록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한국 문화재 BIM의 다양한 활용을 소개 이상훈 대표 Yi,Sanghoon CEO |㈜ 집인 Zipin, Corp.   트랙세션 / [설계/Design] 가상현실 기반 건축공간 사용성 평가 기법 Usability Test for Built Environm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기존에 시공 전 건축환경 사용성 평가방법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가상현실 기술은 건축환경 설계대안들의 사용성을 미리 테스트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가상현실 기술을 통해 노약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을 포함한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이 건축환경 및 공간을 어떻게 느끼고 사용하는 지에 대한 데이터를 설계단계에서 생성해 낼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와 같은 가상현실 기반 건축환경 사용성 평가방법의 이론적 배경과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이러한 접근 방법의 한계점과 향후 해결과제들에 대한 시사점들도 제시한다 안승준 조교수 Ahn, Seungjun Assistant professor |홍익대학교 Hongik University 트랙세션 / [발주자/Owner] 내일을 위한 스마트워터시티 : 부산 EDC 사업을 통한 K-water 전략 Smart Water Cities for Tomorrow 1. K-water, 스마트워터시티 추진 : 부산EDC, 송산GC, 시화EC 2. 부산EDC사업을 통한 K-water 전략 : 4차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스마트시티 3. 부산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계획 : 비젼, 미션, 실행과제 4. 스마트시티 실증단지로서의 부산 스마트빌리지 조성 5. 스마트빌리지 A.IoT데이터 플랫폼 구축현황 및 계획 6. 스마트빌리지 스마트 기술 도입현황 및 계획 김도균 부장 Kim, Dokyoon General Manager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트랙세션 / [스마트건설/Smart Construction] 실감형 디지털트윈 데이터 제작 및 활용 사례 소개(Virtual Seoul을 중심으로) Introduction of realistic digital twin data production and use cases 지난 ’21. 6월 한국판 뉴딜 정책에 따라 정부에서는 2025년까지 1조 2000억원을 디지털 트윈 사업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하여 현실공간을 가상세계에 재현하고, 다양한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해법을 찾고자 하는 시도들이 국가, 지자체, 유관기관 및 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공간정보담당관)는 2019년 Virtual Seoul ISP 수립 및 시범사업을 거쳐 최근까지 3년간 S-Map이라는 고유의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발전시켜오고 있다. 도시변화상을 반영한 최신 정보의 유지를 위하여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서울시 전체 면적 약 605㎢, 건물 약 60만동)의 디지털 트윈 데이터셋을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있으며, 도시계획 및 관리, 소방, 안전, 환경 및 기상 등 다양한 분석 및 시뮬레이션 도구를 개발하여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지원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서울시 S-Map 서비스를 중심으로 도시 규모 디지털 트윈 데이터셋을 구축하기 위한 항공사진(또는 드론)측량기술 및 구축 데이터의 세밀도(LOD, Level Of Detail)을 소개하고, 해당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주요 서비스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토론을 통하여 보다 발전된 디지털 트윈 아이디어가 도출되길 바란다. 장세진 상무 Jang Sejin Managing Director |올포랜드 ALLforLAND   트랙세션 / [스마트건설/Smart Construction] 탈현장건설 PC공장생산 혁신을 위한 OSC 공장플랫폼 소개 Introduction of OSC factory platform for innovation of off-site construction PC factory production 탈현장건설 OSC(Off-site Construction) 통합관리 플랫폼은 PC공장의 몰드매트릭스 디지털화 기반 재고 감축, 건설현장의 생산리드타임을 연동한 시공계획 관리로 공기단축 예상됩니다. - 미래 건설 프로세스는 탈현장 공장생산 방식(OSC, Off-site Construction)으로 변화가 예상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OSC 개혁 중, 「정보의 흐름」을 생각할 때, 「PC공장와 건설현장」 정보를 일원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PC 설계정보, 설치정보, 생산계획정보, 생산완료정보, 재고정보, 운송정보 등을 시스템에서 리얼타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항상 보이는 형태로 하는 것 등이 일례입니다. 이것은 PC공장의 과잉 재고 억제로 재고 감축되며, 건설현장의 업무 효율화로 생산 리드타임 기반에 시공설치 계획이 가능하여 공기 단축으로 연결됩니다. 이상권 상무 Lee, Sangkwon Director |로이테크원 ROI Techone Inc.   트랙세션 / [스마트건설/Smart Construction] 인공지능 건설 로보틱스를 위한 디지털트윈과 블록체인의 활용 Digital Twin and Blockchain for Intelligent Robotics in Construction 최근 건설프로젝트의 생산성 향상 및 안전성 확보의 수단으로 건설 로봇의 도입이 하나의 솔루션으로 고려되고 있음. 그러나 복잡한 건설현장 환경에서 건설로봇이 높은 퍼포먼스를 내기 위해서는 많은 추가연구가 필요한 상황임. 본 발표에서는 건설현장에서 건설 로봇을 도입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상공간에 사물을 복제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최적의 대안을 찾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트윈’과 데이터의 탈중앙화를 통해 참여자 간의 신뢰성 확보와 의사결정 자동화를 가능케하는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토의해보고자 함. 이동민 조교수 Lee, Dongmin Assistant Professor |중앙대학교 Chung-Ang University dmlee@cau.ac.kr 트랙세션 / [시공&엔지니어링/E&C]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의 BIM 전환 : 발주기관의 BIM 동향 및 BIM 적용설계 프로세스 BIM Transformation in civil engineering 1. 개요 2. 발주기관의 BIM 동향 분석 3.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4. 발주기관별 BIM 적용기준 5. 기존 설계 프로세스 6. BIM 적용설계 프로세스 7. 토목분야 BIM 수행사례 8. BIM 정착을 위한 과제 서현우 이사 Seo, Hyunwoo Director |동명기술공단 Dong Myeong Engineering Consultants & Architecture   트랙세션 / [시공&엔지니어링/E&C] BIM과 스마트건설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컨버전스 The Convergence of Digital Data in BIM and Smart Construction 최근 건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있어서 현장의 정보와 목적하는 구조물의 디지털 데이터화를 위한 BIM, 레이저스캔, 드론, MMS, Matterport, 360카메라, GIS, CCTV, RTLS 데이터 연계 및 통합 조재영 책임 Cho, Jae young Leader |GS건설 GS E&C     시간Time 발표내용Presentation 발표자Speaker 비공개 [설계/Design]패러다임의 전환: 빌딩 테크놀로지와 건축 설계 프로세스 A paradigm shift: building technology and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김형섭 조교수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다운로드 [설계/Design]한국에서 HBIM의 다양한 시도와 활용 Various trials and uses of HBIM in Korea   이상훈 대표 ㈜ 집인 다운로드 [설계/Design]가상현실 기반 건축공간 사용성 평가 기법 Usability Test for Built Environm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안승준 조교수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비공개 [발주자/Owner]내일을 위한 스마트워터시티 : 부산 EDC 사업을 통한 K-water 전략 Smart Water Cities for Tomorrow   김도균 부장 한국수자원공사 스마트시티처 다운로드 [스마트건설/Smart Construction]실감형 디지털트윈 데이터 제작 및 활용 사례 소개(Virtual Seoul을 중심으로)  Introduction of realistic digital twin data production and use cases  장세진 상무 올포랜드 사업본부 사업3그룹 다운로드 [스마트건설/Smart Construction]탈현장건설 PC공장생산 혁신을 위한 OSC 공장플랫폼 소개 Introduction of OSC factory platform for innovation of off-site construction PC factory production   이상권 상무 로이테크원 솔루션사업부 다운로드 [스마트건설/Smart Construction]인공지능 건설 로보틱스를 위한 디지털트윈과 블록체인의 활용 Digital Twin and Blockchain for Intelligent Robotics in Construction   이동민 조교수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다운로드 [시공&엔지니어링/E&C]토목 엔지니어링 분야의 BIM 전환 : 발주기관의 BIM 동향 및 BIM 적용설계 프로세스 BIM Transformation in civil engineering   서현우 이사 동명기술공단 부설연구소 / BIM 설계팀 비공개 [시공&엔지니어링/E&C]BIM과 스마트건설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컨버전스 The Convergence of Digital Data in BIM and Smart Construction    조재영 책임 GS건설 BIM팀
작성일 : 2022-05-08
[칼럼]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기업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 우종남 |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한국 지사장 조선해양 산업의 침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의 경제 성장을 견인해 온 자동차, 화학, 기계 등 제조산업이 심상치 않다. 급변하는 고객의 요구와 치열한 가격 경쟁, 그리고 불완전한 글로벌 금융시장 등으로 대량생산에 집중해왔던 제조업체들이 시장 환경 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4차 산업혁명은 끊임없는 혁신이 요구되는 제조산업에 새로운 기회이다. 그간 선도적인 글로벌 브랜드들이 선보였던 스마트 제조 공정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성 제고와 고객 맞춤형 생산은 이제 모든 제조업체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이러한 핵심 기술에 힘입어, 올해는 더 많은 제조업체들이 한 차원 높은 혁신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 사슬이 디지털 변혁을 거듭하고 더욱 지능화되면서, 그런 경향에 대응하는 제조산업의 움직임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전개되는 제조산업의 여정을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제조산업은 ‘3A’를 활용해 ‘온디맨드(on-demand)’ 경제를 수용하게 될 것이다. 3A란 분석(Analytics), 자동화(Automation),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뜻한다. 온디맨드 경제의 등장으로 제조업체들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이는 고객들이 원하는 것을 더 많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급사슬 업계는 재고 수준 관리를 개선하고 실시간에 가까운 처리 능력으로 운영에 필요한 요소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기술 활용을 가속화해 자산, 인력, 제품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함으로써 고객 요구사항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3A를 활용해 기존의 공급사슬 운영과 작동 절차를 현대화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3A는 제조업체들이 인력, 프로세스, 자산을 더욱 세부적이고 자세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다 흥미롭고 개인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 제조업체들은 주요 실시간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최선의 후속 조치 마련에 필요한 가시성을 확보할 것이다. 세계가 점점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기업들은 효율적인 운영과 경쟁에서의 승리를 위해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데이터가 필수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제조업체들은 더 좋고 빠른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각자의 시스템에 투자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공급사슬 솔루션은 데이터 수집의 수준을 한 차원 높이고 이를 분석 기능과 통합시킨다. 일례로,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의 스마트팩(SmartPack)은 최첨단 3D 비전 센서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트레일러의 적재 효율성을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운송 응용분야에서 최고의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공급사슬 업계는 위치 추적 기술을 최적화해 보다 나은 가시성을 확보하고, 스마트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다. 실시간 위치추적 시스템(Real-Time Locationing Systems, 이하 RTLS)은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인 추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는 핵심 기술로, 보다 고차원적이고 예측 가능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림 1.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의 제조업 비전 스터디 조사(http://online.zebra.com/mfgvisionstudy) 최 근 발표한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의 제조업 비전 스터디(Manufacturing Vision Study)에 따르면, 제조업체들은 실시간 위치 추적 기술의 가치를 인지하고 있으며, 2022년까지 해당 기술의 사용 수준을 38%에서 61%까지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사 대상 기업들 중 55% 이상이 2022년까지 RTLS를 도입해 공급사슬 운영 전반에 요구되는 투명성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TLS는 공급사슬이 자산의 위치, 단계, 상태 등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는 전체 제조업체의 약 8%만이 실시간 모니터링을 적용하고 있지만, 2022년에는 35%까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제조산업은 단순히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 그 이상의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이미 많은 세계적 기업들이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함으로써 가시성을 개선하고 활용 가능한 인사이트를 동원해, 고객 경험을 향상시켰으며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일부 기업들은 아직 과도기에 있지만, 2018년을 기점으로 솔루션을 적극 도입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제조와 공급사슬 산업 전반에 혁신의 바람이 불어오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의 반응은 다소 미지근한 실정이다. 딜로이트 글로벌과 미국경쟁력위원회의 ‘국제 제조업 경쟁력 지수’ 보고서는 2020년에는 한국이 5위 밖 순위로 밀려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한국 제조산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단편적인 제조공정의 변화에서 더 나아가 공급사슬 전반에 걸친 통합적인 혁신을 이루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활용한 디지털 변혁을 통해, 제조업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한번 한국의 경제를 이끌어갈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8-03-05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2020년 물류창고 시장 전망 보고서 발표
지브라 테크놀로지스(www.zebra.com)는 최신 시장 전망 보고서인 ‘2020년 물류창고 비전 보고서’의 아태지역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호주, 중국, 인도 등 아태지역 국가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 보고서는 리테일, 제조업, 물류, 운송, 도매, 유통 분야에서 활동 중인 1000명 이상의 IT 전문가 및 물류창고 운영 전문가들의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전망을 비교 분석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온라인 판매가 성장함에 따라 물류창고의 수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물류창고 경영자들은 점차 증가하는 출하량에 대한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기술 및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계획 중이라고 응답했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물류창고 운영의 가시성 개선을 통해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이루고자 하는 업계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물류창고 업무에 특화된 모바일 컴퓨터 TC8000과 울트라 러기드(Ultra-rugged) 스캐너 3600 시리즈 및 토털 웨어러블 솔루션 등을 출시했다.   이번 물류창고 비전 보고서에서는 아태지역 응답자들의 74%가 물류창고 직원들을 위해 신기술을 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향후 5년간 사물인터넷(72%), 바코드 스캐닝 기술(70%), 태블릿 컴퓨터(69%), 빅데이터/데이터 분석(67%), 물류창고/화물적재 자동화(64%)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절반은 주로 운송비용 감소의 필요성에 따라 물류창고에 대한 투자가 이뤄질 것이며, 41%는 배송 시간 단축을 목적으로, 38%는 신규 공급자 및 거래 파트너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해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응답했다. 그밖에 재고 정책 변화(33%), 기술의 부족(28%), 그리고 옴니채널에 대한 부담감(21%) 등의 응답이 있었다. 기업들은 2020년까지 총 출하량 확대(74%), 프로세스 자동화(69%), 연간 재고 순환(64%), 재고관리단위(SKU : Stock Keeping Unit) 숫자(57%), 직원 수(56%) 등과 관련해 확대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81%의 응답자들이 현재 레거시 WMS(Warehouse Management Software, 물류창고 관리 소프트웨어)를 유지하고 있고, 이 숫자는 2020년에 이르러서는 그 절반인 40%로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완벽한 기능의 WMS와 실시간 위치추적 시스템(RTLS : Real-Time Location System)은 향후 5년 동안 년 평균 29% 정도의 성장을 보일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임원들은 향후 5년간 바코드가 부착될 인바운드 품목의 비율이 최소 59%에서 최대 78% 증가할 것으로 예견했다. 재고관리 영역에서는 86%가 WMS에 대한 실시간 액세스가 가능한 모바일 핸드헬드 컴퓨터나 태블릿을 사용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이들 중 79%는 RFID가 탑재된 솔루션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사람 중 24%만이 2020년에도 문서 중심의 물류창고 운영을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의 조 화이트(Joe White) 엔터프라이즈 모바일 컴퓨팅 사업부 부회장은 “지브라의 물류창고 비전 보고서에 따르면 1400여명의 물류 전문가들 중 72%가 2020년에는 음성 인식으로 작동하는 피킹 솔루션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 기대했다. 이는 2015년의 조사에서는 30%에 불과했다. 물류 전문가들은 직원들이 디바이스 사용에 정신을 쏟기보다 당면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더욱 중요함을 인식한 결과이다. 지브라의 솔루션들은 물류창고 근로자의 손과 눈을 해방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필요한 모든 정보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해 모빌리티와 편의성 및 정확성을 개선할 것”이라 말했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라이언 고(Ryan Goh) APAC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최근 몇 년간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전자상거래 활동이 급증하면서 아태지역은 ‘세계의 물류창고’로 거듭났다. 물류창고 및 유통센터의 IT 전문가와 운영 의사결정자들은 생산성 개선과 가격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들을 지속적으로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의 물류창고 비전 보고서 응답자 중 약 75%가 향후 5년 동안 그들의 물류창고 직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신기술을 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지브라는 고객들이 직면한 어려움들을 타개할 수 있도록, 향상된 운영상 가시성을 제공하는 정확한 기술과 제품, 솔루션들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고객이 더욱 민첩하고 기민하게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16-07-29
포스코, 파이넥스 공장에 유비쿼터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포스코, 파이넥스 공장에 유비쿼터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포스코는 한국IBM과 협력해 포항제철소 내 최첨단 파이넥스(FINEX) 공장에 국내 최초로 유비쿼터스 안전관리(u세이프티, u-safety)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성공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내 연산 150만톤 규모의 세계최초 친환경 저비용 파이넥스 제철공장에 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RTLS)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20여층 규모의 공장 안에서 근무하는 500여 근로자들의 안전을 강화하고 화재나 가스유출 등 재해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포스코가 도입한 u세이프티 시스템은 공장 내 모든 근로자 및 방문객들에게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기술 기반의 RFID 태그를 착용케 함으로써 90여 개 센서를 포함한 통합 시스템을 통해 이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나 가스누출 등의 사고 발생시 해당 지역의 작업자 및 방문객 유무를 즉시 확인해 신속한 대피와 재해복구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포스코는 이번 u세이프티 시스템의 성공적인 적용 뿐 아니라, 광양제철소 내 안전문화체험관에 u세이프티 체험 시설을 시험 운영 중이다. 또한 앞으로 이 같은 u세이프티 시스템을 다른 공장에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포스코 연규성 상무는 “포스코의 자랑인 세계최초 파이넥스 공장이 u세이프티 시스템 구축으로 한층 업그레이드 됐다.”면서 “포스코 및 IBM의 우수한 인력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뛰어난 솔루션 덕분에 최고의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http://www.posco.co.kr
작성일 : 2009-08-27
포스코, 파이넥스 공장에 유비쿼터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포스코, 파이넥스 공장에 유비쿼터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포스코는 한국IBM과 협력해 포항제철소 내 최첨단 파이넥스(FINEX) 공장에 국내 최초로 유비쿼터스 안전관리(u세이프티, u-safety)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성공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내 연산 150만톤 규모의 세계최초 친환경 저비용 파이넥스 제철공장에 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RTLS)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20여층 규모의 공장 안에서 근무하는 500여 근로자들의 안전을 강화하고 화재나 가스유출 등 재해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포스코가 도입한 u세이프티 시스템은 공장 내 모든 근로자 및 방문객들에게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기술 기반의 RFID 태그를 착용케 함으로써 90여 개 센서를 포함한 통합 시스템을 통해 이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나 가스누출 등의 사고 발생시 해당 지역의 작업자 및 방문객 유무를 즉시 확인해 신속한 대피와 재해복구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포스코는 이번 u세이프티 시스템의 성공적인 적용 뿐 아니라, 광양제철소 내 안전문화체험관에 u세이프티 체험 시설을 시험 운영 중이다. 또한 앞으로 이 같은 u세이프티 시스템을 다른 공장에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포스코 연규성 상무는 “포스코의 자랑인 세계최초 파이넥스 공장이 u세이프티 시스템 구축으로 한층 업그레이드 됐다.”면서 “포스코 및 IBM의 우수한 인력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뛰어난 솔루션 덕분에 최고의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http://www.posco.co.kr
작성일 : 2009-08-27
[세미나 자료]2008 U-City 국제컨퍼런스
  프로그램1일차 - 10월 30일(목) 구 분 주 요 내 용 및 발 표 자 그랜드볼룸 103 그랜드볼룸 105 08:30~09:30 등 록 및 입 장 기조연설    (사회: 오재인 교수)   09:30~10:00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일본의 접근방법(노무라연구소 Teruyasu Murakami) 10:00~10:30 도시 인프라의 경쟁력 혁신을 위한 과제(한국IBM 이휘성 사장) 개 회 식   (사회: 민병호 상무) 10:30~10:40 개 회 사남중수 회장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환 영 사이종상 회장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축 사권도엽 차관 (국토해양부) 정부의 U-City 정책방향 및 추진전략 (사회: 김정훈 연구위원)   10:40~11:00 국토해양부의 U-City 전략계획(국토해양부 김철흥 과장) 11:00~11:20 유럽의 미래 인터넷 전망과 전략(스마트시티, 무선도시, 디지털 도시를 위한 정부의 정책 및 전략)(프랑스 고등교육 및 연구부 Bernard Benhamou) 11:20~11:40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 및 응용분야로서 중국의 보안 및 관제산업의 발전 (중국 과학기술부 Hu Ruimin 박사) 11:40~13:20 중식   T1-S1 : U-City R&D 현황 및 기술전망(좌장: 고려대 김형중 교수) T2-S1 : U-City 비즈니스 (건설) 13:20~13:40 U-Eco City R&D 추진현황(한국토지공사 문창엽 단장) 코인츠의 중국 U-City 비지니스(코인츠 백기현 사장) 13:40~14:00 라이프케어를 위한 u-지능공간 시스템(아주대 조위덕 교수) 중국 디지털 시티의 개발현황 및 계획(중국 정보화 추진연맹 리우시엔쥔 부이사장 겸 비서장) 14:00~14:20 U-City구축을 위한 텔래매틱스 핵심기술 개발현황(ETRI 장병태 팀장) 송도 국제업무단지의 u-City 사업소개(송도 U-라이프 유한회사 장충무 상무) 14:20~14:40 U-City구현을 위한 원천기술개발현황 및 발전방향(전자부품연구원 윤명현 센터장) - 14:40~15:00 휴 식 휴 식   T1-S2 : U-City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추진 전략(좌장: 성균관대 김도년 교수) T2-S2 : U-City 비즈니스 (통신/SI) 15:00~15:20 실현가능한 유비쿼터스 공간 구축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전략: 기존 U-City 접근 방법의 비판 및 새로운 대안 제시(경희대 이경전 교수) 민간분야 U-City 사업동향(KT 이석우 부장) 15:20~15:40 U-City 추진 방법론에 대한 고찰(Bottom Up VS Top Down 모델비교)(한국토지공사 이상훈 책임연구원) 아시아나IDT의 u-City 추진 전략(아시아나IDT 변인섭 책임) 15:40~16:00 u-City 비즈니스모델 구축방안 및 구현사례(한국 전산감리원 변호섭 수석감리원) Ubiquitous City :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 가치와 구축이슈(삼성SDS 김준식 박사) 16:00~16:20 u-City 중장기 전략(국립한밭대 이상호 교수) LG CNS u-City 사업 추진 현황 소개 (LG CNS 김은정 총괄) 16:20~16:40 휴 식 휴 식   T1-S3 : U-City 산업기반 조성 및 활성화 방안(좌장: 경원대 김은형 교수) T2-S3 : U-City 비즈니스 (솔루션) 16:40~17:00 u-City 추진상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파주시 정원모 과장) u-City를 위한 RTLS 솔루션 활용(한국 IBM 김수연 차장) 17:00~17:20 유비쿼터스 서울(u-Seoul) 세계 최고의 전자정부(서울시 김종근 과장) 오라클의 U-City 프로젝트 지원 솔루션(한국오라클 장성우 상무) 17:20~17:40 u-City 구축을 통한 활성화 전략(대한주택공사 위성복 팀장) 대우정보시스템의 U-City 솔루션 및 기술(대우정보시스템 김은영 이사) 17:40~18:00 유비쿼터스 도시건설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검토( 전기통신기본법과 정보통신정책적 관점)(숭실대 박완규 교수) ※ 발표 및 시간은 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 ※ 언어: 한국어/영어 동시통역 프로그램2일차 - 10월 31일(금) 구 분 주 요 내 용 및 발 표 자 그랜드볼룸 103 그랜드볼룸 104-105 08:30~09:00 등 록 및 입 장   T3-S1 : u-IT 인프라 고도화 전략(좌장: NIA 이영로 단장) T4-S1 : U-City 융합 서비스 개발 (좌장: 연세대 유진수 교수) 09:00~09:20 IP WSNs - 센서 인터넷(IETF 6LoWPAN 제프 멀리건 의장) SDI, Standards and Digital Cities(James Farley, Autodesk) 09:20~09:40 미래지식기반 인프라 구축방향(한국정보사회진흥원 강선무 팀장) GML and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David Burggraf, Galdos Systems Inc.) 09:40~10:00 USN 기상관측환경 구축 현황 및 향후 발전 계획(기상청 김성진 주무관) Developing GeoWeb Service Networks (GSN) : a Paradigm of Mutual Prosperity(연세대학교, 유진수 교수) 10:00~10:20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구축사례 소개(경찰청 김시돈 경위) - 10:20~10:40 휴 식   T3-S2 : U-City 유형별 신규 프로젝트(좌장: 수원대 최창규 교수) T4-S2 : U-City 세계화의 전략과 문제점 진단(좌장: 건국대 이영환 교수) 10:40~11:00 대전 서남부권 U-City 구축사업 (대전시 김수천 과장)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세계화: i-Fashion 사례 (건국대 박창규 교수) 11:00~11:20 u춘천 전략계획에 따른 추진정책(춘천시 육영호 과장) u-City 글로벌 사례: 레몬C.U.P.(주) 독일 inHaus 2 구축 컨소시엄 참가 사례 (Lemon C.U.P. 박석일 고문) 11:20~11:40 u-인천 정보화 마스터플랜(인천시 한길자 과장) u-City 프로젝트 해외진출 방안 (KOTRA 함정오 처장) 11:40~12:00 원주기업도시 U-CITY 구현 모델- 전략 및 서비스 모델을 중심으로 -(롯데정보통신 신현수 이사) U-City 해외진출을 위한 세계시장 분석(건국대 이상엽 교수) 12:00~13:00 중식   T3-S3 : 건설-IT 융합기술 개발현황 및 전망(좌장: 한국토지공사 김형복 팀장) T4-S3 : U-City 비즈니스(GIS/가상건설) 13:20~13:40 u-City 구현을 위한 도시시설물 지능화 기술개발(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현상 실장) U-City 에서 GIS 인프라의 미래(선도소프트 윤훈주 본부장) 13:40~14:00 u-GIS기반의 건설정보화기술 (건국대 편무욱 교수) 3D 기반 재난유형별 예방/대비/대응 훈련 시스템 기술개발(웨이버스 이정호 이사) 14:00~14:20 전자파, 음향 및 건물환경을 개선하는 지능형 건설IT 융합기술 (KAIST IT융합연구소 김영민 팀장) 한진정보통신 U-City 추진 현황 및 전략(한진정보통신 김승용 팀장) 14:20~14:40 CIM (City Information Modeling) 구현을 위한 제안(한양대 전한종 교수) 4D GIS 기반 가상건설 시스템(연세대 최진원 교수) 14:40~15:00 휴 식   T3-S4 : 건설-IT 융합 사업모델(좌장: 건국대 구지희 교수) T4-S4 : U-City 비즈니스(보안/네트워크) 15:00~15:20 산업안전정보화 시스템 u-Safety (현대정보기술 송동석 부장) 포스데이타 U-city 사업 추진현황(포스데이타 유광욱 실장) 15:20~15:40 IT융합을 통한 현장관리의 투명성 확보 사례(GS건설의 TPMS)(GS건설 박찬정 팀장) 방송통신을 기반으로 한 U-City 센서 네트워크(피코스넷 박준성 사장) 15:40~16:00 U-City 내 단지 통합 관리 모델(아파트 지능형 단지 통합 시스템)(현대건설 노현승 부장) U-City 네트워크 보안 (Open Network에서의 Layer 2 보안)(엘지노텔 배준환 PM) 16:00~16:20 Ubiquitous 가설 네트워크 구축 방안(건설 현장에서의 Wireless MESH networking)(파이어타이드 조태진 지사장) 지능형 통신망 인프라 구축을 위한 메쉬네트워크(방송ㆍ통신망 기반 센서네트워크 구축 활성화 추진)(현대HDS 김일도 팀장) 16:20~17:00 성과보고 및 종합토론 (사회: 프로그램위원장) - 17:00 종 료 ※ 발표 및 시간은 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 ※ 언어: 한국어/영어 동시통역
작성일 : 2008-11-05
한국IBM, UWB 기반 한국형 위치추적시스템(RTLS) 공급
한국IBM, UWB 기반 한국형 위치추적시스템(RTLS) 공급 한국IBM은 영국 유비센스(Ubisense)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춘 ‘한국형’ 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RTLS)을 곧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IBM과 유비센스는 이번 제휴를 통해, 지난 2006년 중반 정보통신부에서 민간 사용을 승인한 7.2∼10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한국형 RTLS를 개발해 올해 하반기 중 출시할 예정이다. 유비센스는 초광대역(UWB : Ultra Wide Band)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기술을 기반으로 15cm 정확도의 3차원(3D)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자체 RTLS 플랫폼과 장비를 공급하고, IBM은 이 플랫폼 및 장비에 자사 안전관리 및 위치추적 솔루션을 결합, 제품화해 수요처에 공급하게 된다. IBM이 공급할 한국형 RTLS 제품에는 IBM 웹스피어 프레미스 서버(IBM WebSphere Premises Server)의 위치 인식 서비스 솔루션 등이 탑재될 예정이다. 한국IBM은 이번 한국형 RTLS의 개발에 있어 실제 RTLS 사용자들과 RTLS 국내 충족 요건에 대한 심도 있는 협의 과정을 거쳐 한국형 RTLS의 기준을 재검토하는 등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한 제품 개발 및 테스트에 참여한 고객을 대상으로는 향후 장비 교체에 대한 비용 부담을 줄여주고, 한국형 RTLS를 도입하는 고객들에게는 시스템 개발기간 동안 소요되는 비용 및 리소스 부담에 대해 일정한 지원도 제공할 계획이다. 유비센스는 영국에 본사를 두고 정밀 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으로, 혼다(Honda), 디에이치엘(DHL), 헬만(Hellmann), 콘티넨탈(Continental), 보잉(Boeing) 등 세계적인 제조·물류 업체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유비센스는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수많은 성공 사례를 배출했으며, 아시아 전역에서도 40개 이상의 사이트를 확보하고 있다. IBM과 제휴를 통해 영국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등 다수 고객들에 솔루션을 공급한 바 있다.한국IBM과 유비센스의 이번 제휴는 한국 및 일본 시장에서의 RTLS 시장 성장 가능성에 대한 한국IBM의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국IBM은 제품 개발 및 테스트를 거쳐 올 해 안에 고객과의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 국내시장 보급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http://www.ibm.com/kr
작성일 : 2008-07-30
한국IBM, UWB 기반 한국형 위치추적시스템(RTLS) 공급
한국IBM, UWB 기반 한국형 위치추적시스템(RTLS) 공급 한국IBM은 영국 유비센스(Ubisense)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춘 ‘한국형’ 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RTLS)을 곧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IBM과 유비센스는 이번 제휴를 통해, 지난 2006년 중반 정보통신부에서 민간 사용을 승인한 7.2∼10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한국형 RTLS를 개발해 올해 하반기 중 출시할 예정이다. 유비센스는 초광대역(UWB : Ultra Wide Band)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기술을 기반으로 15cm 정확도의 3차원(3D)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자체 RTLS 플랫폼과 장비를 공급하고, IBM은 이 플랫폼 및 장비에 자사 안전관리 및 위치추적 솔루션을 결합, 제품화해 수요처에 공급하게 된다. IBM이 공급할 한국형 RTLS 제품에는 IBM 웹스피어 프레미스 서버(IBM WebSphere Premises Server)의 위치 인식 서비스 솔루션 등이 탑재될 예정이다. 한국IBM은 이번 한국형 RTLS의 개발에 있어 실제 RTLS 사용자들과 RTLS 국내 충족 요건에 대한 심도 있는 협의 과정을 거쳐 한국형 RTLS의 기준을 재검토하는 등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한 제품 개발 및 테스트에 참여한 고객을 대상으로는 향후 장비 교체에 대한 비용 부담을 줄여주고, 한국형 RTLS를 도입하는 고객들에게는 시스템 개발기간 동안 소요되는 비용 및 리소스 부담에 대해 일정한 지원도 제공할 계획이다. 유비센스는 영국에 본사를 두고 정밀 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으로, 혼다(Honda), 디에이치엘(DHL), 헬만(Hellmann), 콘티넨탈(Continental), 보잉(Boeing) 등 세계적인 제조·물류 업체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유비센스는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수많은 성공 사례를 배출했으며, 아시아 전역에서도 40개 이상의 사이트를 확보하고 있다. IBM과 제휴를 통해 영국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등 다수 고객들에 솔루션을 공급한 바 있다.한국IBM과 유비센스의 이번 제휴는 한국 및 일본 시장에서의 RTLS 시장 성장 가능성에 대한 한국IBM의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국IBM은 제품 개발 및 테스트를 거쳐 올 해 안에 고객과의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 국내시장 보급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http://www.ibm.com/kr
작성일 : 2008-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