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LG디스플레이"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20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LG디스플레이, 세일즈포스 세일즈 클라우드 도입
세일즈포스는 LG디스플레이가 내부 프로세스의 디지털 전환과 업무 효율화를 위해 자사의 세일즈 클라우드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세일즈포스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 Auto 사업그룹은 세일즈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와 유기적인 협업이 가능한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통합 영업 관리 시스템 구축 ▲커뮤니케이션 체계 개선 통한 고객 문의 회신 시간 단축 ▲내부 시스템과의 연동 통한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환경 구축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LG디스플레이가 도입한 세일즈 클라우드는 잠재 고객 발굴부터 거래 성사까지 전반적인 영업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지원하는 세일즈포스의 대표 설루션이다. AI 기술이 탑재된 세일즈 클라우드 아인슈타인은 실시간으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영업 담당자에게 업무 우선순위와 다음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업무 생산성 향상과 매출 증대를 지원한다. 세일즈포스는 LG디스플레이가 세일즈 클라우드를 도입함에 따라 영업 기획, 견적 관리, 프로젝트 관리까지 모든 단계를 단일 플랫폼 내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했다. 플랫폼 내 통합된 고객 데이터는 어카운트별로 쉽게 그룹화할 수 있어 보다 정교한 수주 전략 수립이 가능해졌으며, 대시보드와 이력 관리 기능을 통해 영업 진행 상황과 결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설명이다.  세일즈포스에 의하면 LG디스플레이는 세일즈 클라우드 도입 이후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효율성도 개선했다. 기존에 수동으로 진행되던 수주 가치 평가 과정을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화해 업무 생산성을 높였으며, 실적 및 매출 데이터를 대시보드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고서 준비 시간이 단축되었다. 그 결과 고객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이 13일 이내로 감소하였으며, 고객 대응 속도와 서비스 품질 또한 향상됐다. 이 밖에도 LG디스플레이는 내부 수익성 설루션인 ‘알프스’와 리스크 평가 시스템을 세일즈 클라우드와 연동 및 통합하여 데이터의 정합성과 내부 협업 역량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LG디스플레이의 영업 담당자는 각 영업 파이프라인의 정보와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마케팅 담당자는 매출 데이터를 세일즈 클라우드에서 즉각적으로 조회할 수 있어 데이터 기반의 업무 수행 및 의사결정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 Auto 마케팅팀의 이다연 선임은 “세일즈 클라우드는 전장 산업의 특징인 수주 산업을 단계별로 관리할 수 있어 LG디스플레이에 가장 적합한 설루션”이라면서, “업무 단계에 따라 쉽게 고객을 그룹화할 수 있어 고객별 특성을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이나 고객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축적 및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세일즈 클라우드의 차별화된 장점”이라고 전했다. 세일즈포스 코리아의 손부한 대표는 “세일즈포스의 세일즈 클라우드는 기업의 효과적인 영업 관리를 돕는 혁신적인 설루션으로, 고객 관리부터 실적 분석, 영업 기획 추적까지 영업 활동 전반을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서, “세일즈포스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앞으로도 LG디스플레이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업 역량을 강화하고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가는 전체 여정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LG디스플레이와 만들어 나갈 또 다른 혁신 여정이 매우 기대된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4-12-10
버넥트, 스마트제조혁신센터(SMIC)에 고도화된 XR 솔루션 구축
버넥트가 고도화된 XR 솔루션을 활용해 스마트제조혁신센터(SMIC) 지능형 분석 협업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버넥트는 스마트제조혁신센터 공장의 제조 로봇 공정에 고도화된 XR 솔루션을 접목하여 디지털 트윈 기반의 실시간 실감형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작했다. 또한 데이터 연동을 통해서 제작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도 함께 개발했다.   스마트제조혁신센터는 버넥트 솔루션 적용으로 기존의 모니터 기반 생산 관리와 사고 인지 방식을 XR 모니터링으로 대체함으로써 생산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설계 기간과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거뒀다.  아울러 원격 협업과 긴급 대응이 수월해짐에 따라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한 스마트 공장을 실현했다.   스마트제조혁신센터 관계자는 “다양한 솔루션 구축 경험을 보유한 버넥트만의 독보적인 기술과 전문성을 통해 가상 주문과 생산 모니터링이 가능한 지능형 분석 협업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버넥트와 함께 XR 기술 기반의 설계 협업 및 모니터링, 원격 협업 시스템 구축 등의 기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스마트제조혁신센터(SMIC)는 스마트 제조에 대한 연구 개발, 시험, 테스트를 수행하는 조직으로 국내외 스마트팩토리 선도기업, 기관들과 스마트제조에 대한 해법을 찾는 곳이다.   버넥트는 나이스 기술신용평가(NICE TCB) TI-2 등급에 해당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솔루션은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LG에너지솔루션 등 대기업 및 계열사를 비롯해 한국전력공사, 한국공항공사 등 189개의 기업 및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 
작성일 : 2022-09-20
버넥트, 산업현장 취약계층을 위한 'ESG경영 실천'으로 좋은이웃과 업무 협약 맺어
버넥트가 지난 7월 14일 ESG 경영의 일환으로 사단법인 ‘일하는 사람들의 생활공제회 좋은이웃(이하 좋은이웃)’과 산업재해 피해 노동자 생계 및 치료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난해 버넥트와 좋은이웃이 함께 진행했던 나눔의 성과를 돌아보고, 버넥트가 지속적으로 산업재해 피해 노동자를 위한 지원을 이어 나가기 위해 진행됐다. 사단법인 좋은이웃은 안산, 시흥지역 노동자들의 생활안정과 권익증진을 위해 신용협약, 산재노동자 지원, 취약계층 노동자 지원사업 등을 펼치고 있는 비영리 단체다.    버넥트는 매년 산업재해 피해 노동자 한 명을 선정하여 백만 원의 생계 및 치료비를 지원하기로 좋은이웃과 협의했다며, 올해는 자녀 대학등록금 마련을 위해 야간배달을 하다 사고를 당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배달노동자를 지원했다고 소개했다. 지난해에는 산업재해를 입은 특성화고 학생의 어려운 소식을 듣고 학생의 일상 복귀를 위해 지원한 바 있다.   버넥트와 좋은이웃은 산업재해를 입은 노동자 지원에 있어 수혜자의 고충점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수혜자 중심의 맞춤 나눔을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해 왔다.   버넥트 권도혁 ESG기획팀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산재노동자들에게 도움을 드릴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버넥트 산업용 XR솔루션이 업무의 효율성은 물론 현장의 안전성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좋은이웃 황훈재 대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산재노동자를 지원해준 버넥트에 감사드린다”며 “지속가능경영 및 사회적 책임을 위한 예산 지원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닌 만큼 소중한 지원금을 가치있게 활용하겠다”고 전했다.   버넥트 산업용 XR 솔루션은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LG에너지솔루션 등 56개 대기업 및 계열사를 비롯해 한국전력공사, 한국공항공사 등 25개 공기업 등 134개 기업 및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
작성일 : 2022-07-18
버넥트, 리모트 솔루션 1+1 프로모션 진행
버넥트가 6월 29일까지 버넥트 리모트(VIRNECT Remote) 솔루션 2.7 론칭을 기념해 라이선스 1개를 더 주는 1+1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버넥트 리모트는 여러 현장을 하나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XR기반 다자간 원격 협업 솔루션이다. 리모트 솔루션은 PC, 아이패드, 홀로렌즈, 리얼웨어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현장 영상 위에 AR 포인팅 및 드로잉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관리자와 현장 작업자의 작업 수행을 원활하게 돕는다. 아울러 최대 여섯 명까지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며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열 가지 외국어 번역 기능도 제공하고 있어 사용 언어가 다른 해외 작업자와 소통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버넥트 리모트는 최근 2.7 론칭을 통해 사용자들이 더 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 기능을 선보였다. ▲3D 콘텐츠 인터랙션 ▲Android OS 미러링 ▲스마트 글라스 리얼웨어 카메라 기능 확대 ▲모바일 웹 협업보드 핀치 줌.아웃 ▲사진모드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버넥트 리모트 솔루션은 실제 다양한 현장에서 작업 효율은 물론 비용 절감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가스 공급자인 미래앤서해에너지의 경우, 안정적인 가스공급을 위한 24시간 관제실 모니터링에 리모트 솔루션을 활용함으로써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제조기업인 텔스타 홈멜은 생산설비시설에 리모트 솔루션을 도입해 평택 본사와 경주 스마트 공장을 연결, 본사의 관리자가 경주까지 출장을 가지 않고도 원격으로 고장 또는 비상 상황을 조치함으로써 설비 비가동 시간 및 비용을 10분의 1 수준으로 절감하는 효과를 거뒀다. 버넥트 박근영 사업센터장은 “리모트 2.7 론칭을 맞아 더 많은 사용자들이 리모트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모션을 기획했다”며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리모트 솔루션을 특별 할인 가격으로 만나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모션은 리모트를 활용할 수 있는 아이패드, MS 홀로렌즈2, 리얼웨어 스마트 글라스 등의 기기와 함께 리모트 솔루션 라이선스를 1+1으로 제공하는 특가 이벤트로 자세한 내용은 버넥트 홈페이지 및 버넥트 네이버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버넥트 솔루션은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LG에너지솔루션 등 39개 대기업 및 계열사와 한국전력공사, 한국공항공사 등 27개 공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다.
작성일 : 2022-06-15
LG전자 주요 협력업체 및 관계사 리스트 정리
LG전자 국내 관계사 및 협력업체 명단      LG전자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 상호 주요사업 설립일 주소 엘지이노텍㈜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 매 1970.08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10로 30 ㈜하이프라자 전자제품 도,소매 1997.05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자동차부품 생산 및 판매 2021.07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322 하이엠솔루텍㈜ 기타 일반 기계 및 장비 수 리 2006.01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하이케어솔루션㈜ 용역서비스 2021.01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에이스냉동공조㈜ 공기조화장치 생산 및 판매 1998.11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수정로 299번길 43 ㈜하이텔레서비스 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 스 2009.12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지케이더블유라이팅시스템 즈코리아㈜ 자동차 조명 연구개발 2019.07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 322번길 ㈜하누리 사업시설 유지관리 2013.02 경기도 오산시 남부대로 464-16 이노위드㈜ 용역서비스 2012.05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5번로 26   국내 계열회사 현황 기업명 법인등록번호 ㈜LG 110111-0003543 ㈜LX홀딩스 110111-7875359 LG전자㈜ 110111-2487050 ㈜LX인터내셔널 110111-0004632 ㈜LG화학 110111-2207995 ㈜LG생활건강 110111-2208000 LG디스플레이㈜ 110111-0393134 ㈜LG유플러스 110111-1296676 LG이노텍㈜ 110111-0192180 ㈜지투알 110111-0375398 ㈜LX하우시스 110111-4071207 ㈜LX세미콘 160111-0089395 ㈜로보스타 110111-1655393 ㈜엘지헬로비전 110111-1144297 ㈜LG씨엔에스 110111-0516695 ㈜LG스포츠 110111-0359300 ㈜LG경영개발원 110111-0423494 ㈜LX엠엠에이 206211-0001805 ㈜미디어로그 110111-1905441 ㈜데이콤크로싱 110111-2234683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110111-2411520 ㈜하이프라자 131111-0028801 ㈜씨텍 110111-0589171 ㈜씨에스리더 110111-2271924 ㈜아인텔레서비스 180111-0367581 ㈜비즈테크파트너스 110111-2689507 코카콜라음료㈜ 110111-1342130 하이엠솔루텍㈜ 110111-3371989 ㈜씨에스원파트너 110111-3961756 ㈜에이치에스애드 110111-3076662 ㈜엘베스트 110111-3806267 ㈜하이텔레서비스 110111-4251552 ㈜한국음료 211311-0005197   ㈜곤지암예원 134211-0111354 해태에이치티비㈜ 110111-0900004 에이스냉동공조㈜ 135111-0047493 ㈜나눔누리 176011-0075546 이노위드㈜ 200111-0343156 ㈜하누리 134811-0262254 ㈜행복누리 150111-0172829 ㈜위드유 110111-5145556 ㈜LX판토스 110111-0208127 ㈜판토스부산신항물류센터 180111-0641133 ㈜헬리스타항공 120111-0528086 ㈜에프엠지 140111-0020096 ㈜밝은누리 150111-0206876 당진탱크터미널㈜ 165011-0011709 ㈜팜한농 110111-4362482 ㈜행복마루 110111-6140993 LG파루크㈜ 110111-6210647 ㈜미젠스토리 131111-0466580 ㈜미래엠 134211-0190259 ㈜드림누리 110111-6560282 태극제약㈜ 134811-0004367 ㈜그린누리 230111-0286144 ㈜한울타리 110111-6628337 ㈜로보메디 161511-0181019 ㈜울릉샘물 175811-0003526 ㈜루치펠로코리아 110111-5089316 ㈜에스앤아이씨엠 110111-7030507 ㈜유플러스홈서비스 110111-7343215 지케이더블유라이팅시스템즈코 리아㈜ 120111-1013094 ㈜로아코리아 110111-6932019 ㈜씨브이파트너스 110111-7687027 ㈜엘지에너지솔루션 110111-7701356 하이케어솔루션㈜ 110111-7737070 ㈜아름누리 150111-0302103 ㈜고운누리 134111-0575239 엘지마그나이파워트레인㈜ 120111-1161330   LG전자 타법인 출자 현황 (단위 : 백만원, 천주, %) 법인명 상장 여부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장부가액 엘지디스플레이㈜ 상장 1998.08.01 경영참여 3480623 엘지이노텍㈜ 상장 1999.10.01 경영참여 541538 ㈜하이프라자 비상장 1997.05.01 경영참여 136459 에릭슨엘지㈜ 비상장 2005.10.13 경영참여 38834 ㈜로보스타 상장 2018.07.17 경영참여 88112 ㈜로보티즈 상장 2017.12.15 경영참여 9000 하이엠솔루텍㈜ 비상장 2006.01.01 경영참여 3654 하이케어솔루션㈜ 비상장 2021.01.01 경영참여 - 에이스냉동공조 비상장 2011.05.01 경영참여 2480 ㈜아크릴 비상장 2018.03.16 경영참여 2000 ㈜하누리 비상장 2013.02.07 경영참여 360 ㈜하이텔레서비스 비상장 2010.01.01 경영참여 150 나라엠앤디㈜ 상장 1999.02.19 단순투자 22938 인베니아㈜ 상장 2001.01.01 단순투자 2997 비나텍 상장 2015.09.18 단순투자 13000 인공지능연구원 비상장 2016.07.28 경영참여 3000 스트라드비젼㈜ 비상장 2017.09.01 단순투자 133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비상장 2011.05.24 단순투자 1125 오라컴 비상장 2016.02.16 단순투자 833 나라엠텍 비상장 2005.11.01 단순투자 597 씨앤엠 비상장 2006.09.01 단순투자 400 이노프라 비상장 1999.02.01 단순투자 245 ㈜엔젤로보틱스 비상장 2017.05.02 단순투자 30 플레넷 비상장 2009.04.30 단순투자 - ㈜맥스웨이브 비상장 2004.12.01 단순투자 - 퓨처플레이㈜ 비상장 2019.06.27 단순투자 987 이엔테크놀로지㈜ 비상장 2019.06.27 단순투자 - 포티투닷㈜ 비상장 2019.10.01 단순투자 3500 레메디 비상장 2020.07.01 단순투자 1600 지이모션 비상장 2020.07.17 단순투자 1000 ㈜티랩스 비상장 2020.07.30 단순투자 1000 ㈜에임퓨처 비상장 2020.12.28 경영투자 800 ㈜이디더블유오 비상장 2021.01.11 단순투자 - (주)브이에이코퍼레이션 비상장 2021.07.29 단순투자 - (주)비바이노베이션 비상장 2021.08.10 단순투자 - 엘지마그나이파워트레인㈜ 비상장 2021.07.01 경영참여 - * 출처 : 2021년 6월 LG전자 사업 보고서  https://www.lge.co.kr/company/investor/businessReport   LG전자 관련 협력업체 리스트  신성델타테크 태화기업 엠에스이 디케이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삼아알미늄 TCC스틸 대성파인텍 대성파인텍  삼아알미늄   삼화콘덴서  신성델타테크  알루코  현우산업   에스지로보틱스 엔젤로보틱스 로보티즈 로보스타 아크릴 보사노바 로보틱스   * 이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관련 추가, 수정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적어주시거나 당사로 연락주세요.       
작성일 : 2022-03-13
애플 협력업체 리스트 2021(애플 제조 협력사)
2021년 애플 공급사 리스트 2021 Apple Supplier List   애플이 2021년 6월 발표한 ‘2021년 애플 공급사 명단’에 포함된 한국 기업은 13개(공급사 본사 소재지 기준)사로, 중국(15개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13개 기업 중 삼성·LG 계열사는 6개로 집계됐다. 애플(Apple) 공급업체 목록은 2020 회계연도에 전 세계적으로 Apple 제품 의 재료, 제조 및 조립에 대한 직접 지출의 98%를 나타내고 있다. 애플은 2012년부터 전세계 공급망 리스트를 작성해 공개하고 있으며, 이번에 공개된 공급사 명단은 2020년 회계연도 기준으로 전 세계 주요 기업 200개를 정리하고, 해당 기업의 생산시설 위치에 따라 다시 분류한 것이다. 삼성전자 계열사 중에서는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등 3곳이 이름을 올렸다. 애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중국 장쑤성, 한국 충남·경기도, 미국 텍사스, 베트남 박닌 등이 주요 공급지역으로 포함됐다.   삼성전자와 계열사는 애플에 메모리 반도체를 비롯해 스마트폰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카메라 렌즈,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등을 공급한다. LG그룹에선 LG화학,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3개사가 명단에 포함됐다. LG화학은 배터리, LG디스플레이는 OLED 패널, LG이노텍은 카메라 모듈을 애플에 납품하고 있다. 삼성과 LG를 제외하곤 SK하이닉스, 포스코, 서울반도체, 영풍그룹, 덕우전자, 범천정밀 등이 포함됐다. 생산시설이 없어서 직접적 공급 관계는 맺고 있지 않지만, 협력 체계를 갖춘 기업 명단에는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설계 업체 실리콘웍스)가 이름을 올렸다. 올해 애플이 발표한 공급사 명단 200개사 중에서 생산지역 기준으로 중국이 총 156개사로 제일 많았다. 일본 42개사, 미국 30개사, 대만 28개사, 한국 23개사, 베트남 21개사, 싱가포르 14개사 순으로 조사됐다.   관련 링크 https://www.apple.com › pdf › Apple-Supplier-List   3M Co. (NYSE: MMM) AAC Acoustic Technologies Holdings Inc. (OTCMKTS ADR: AACAY)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NYSE: ASX) AGC Inc. (OTC: ASGLY) *AKM Meadville Electronics (Xiamen) Co. Ltd.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Ltd. (NASDAQ: ) Alps Alpine Co. Ltd. (OTCMKTS: APELY)  Amkor Technology Inc. (NASDAQ: AMKR) Amphenol Corp. (NYSE: APH) ams AG (OTCMKTS: AUKUF) Analog Devices Inc. (NASDAQ: ADI)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AT & S Austria Technologie & Systemtechnik AG *Auras Technology Co. Ltd.     Biel Crystal Manufactory Ltd. BOE Technology Group Co. Ltd. Boyd Corp.  Broadcom Ltd. (NASDAQ: ) Bumchun Precision Co. Ltd. BYD Electronic Co. Ltd. (OTCMKTS ADR: ) Career Technology (Mfg.) Co. Ltd. Catcher Technology Co. Ltd.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hengdu Homin Technology Co. Ltd. China Circuit Technology Corp. CN Innovations Holdings Ltd. Compal Electronics Inc. Compeq Manufacturing Co. Ltd. *Concraft Holding Company Ltd. *Consumer HK Holdco II Ltd. Corning Inc. (NYSE: GLW) Cosmosupplylab Ltd. Cowell E Holdings Inc. CymMetrik Enterprise Co. Ltd.     Delta Electronics Inc. Derkwoo Electronics Co. Ltd. Dexerials Corp. Diodes Inc. (NASDAQ: DIOD) Dynapack International Technology Corp. ENEOS Holdings Inc. (OTCMKTS: )     Flex Ltd. (NASDAQ: FLEX) Flexium Interconnect Inc. Foster Electric Co. Ltd. *Fujian Nanping Aluminium Co. Ltd. Fujikura Ltd. *Future Hi Tech Co. Ltd. *General Interface Solution Ltd.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Global Lighting Technologies GoerTek Inc. Golden Arrow Printing Co. Ltd.     Hama Naka Shoukin Industry Co. Ltd. Henkel AG & Co. (OTCMKTS: HENOY) HI-P International Ltd. Hirose Electric Co. Ltd. Hitachi Ltd. (OTCMKTS: HTHIY)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Foxconn) (OTCMKTS ADR: ) *IDEMIA Group II-VI Inc. (NASDAQ: IIVI) INB Electronics Ltd. Infineon Technologies AG (OTCMKTS: IFNNY) Intel Corp. (NASDAQ: INTC) Inventec Corp.     *J.Pond Industry Co. Ltd.  Jabil Circuit Inc. (NYSE: JBL) †(18.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Japan Display Inc. (OTC: JPDYY) *JCET Group Co. Ltd. Jiangsu Gian Technology Co. Ltd. Jinlong Machinery & Electronic Co. Ltd. Jones Tech Plc. *Kam Kiu Aluminium Products Group Ltd. Kinsus Interconnect Technology Corp. Kioxia Holdings Corp. Knowles Corp. (NYSE: ) Kunshan Kersen Science & Technology Kyocera Group (OTCMKTS: KYOCY) Largan Precision Co. Ltd. *Lens Technology Co. Ltd. LG Chem Ltd.  (LG화학) LG Display Co. Ltd. (NYSE ADR: LPL)  (LG디스플레이) LG Innotek Co. Ltd. (LG이노텍) *Lingyi iTech (Guangdong) Co. Lite-On Technology Corp. Longwell Precision Co. Ltd. *LOTES Company Ltd. Luen Fung Group Lumileds Holding B.V. Luxshare Precision Industry Co. Ltd.     Marian Inc.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NASDAQ: MXIM) Microchip Technology Inc. (NASDAQ: MCHP) Micron Technology Inc. (NASDAQ: MU) Minebea Mitsumi Inc. (OTCMKTS: MNBEF) Molex Inc. Murata Manufacturing Co. Ltd. (OTCMKTS: MRAAY) MYS Group Co. Ltd. *Nanofilm Technologies International Private Ltd. Nanya Technology Corp. *Nexperia B.V. *NGK Spark Plug Co. Ltd. (OTCMKTS: NGKSY) Nichia Corp. Nidec Corp. (OTC ADR: NJDCY) Nissha Co. Ltd. Nitto Denko Corp. (OTCMKTS: NDEKY) NOK Corp. NXP Semiconductors N.V. (NASDAQ: NXPI)     OFILM Group Co. Ltd. ON Semiconductor Corp. (NASDAQ: ON) Paishing Technology Co. Panasonic Corp. (OTCMKTS ADR: PCRFY) Pegatron Corp. Phone In Mag-Electronics Co. Ltd. Pioneer Material Precision Tech *Plansee Group POSCO International (NYSE ADR: PKX) Primax Electronics Ltd. Qorvo Inc. (NASDAQ: QRVO) Quadrant Solutions Qualcomm Inc. (NASDAQ: QCOM) Quanta Computer Inc. R.R. Donnelley & Sons Co. (NASDAQ: RRD)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Renesas Electronics Corp. (OTC: RNECY) Robert Bosch GmbH Rohm Co. Ltd. (OTCMKTS: ROHCY) *Royal DSM     SABIC Innovative Plastics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삼성전자 (Samsung Electronics Co. Ltd. (OTCMKTS: SSNLF)) 삼성SDI(*Samsung SDI Co. Ltd.) *Selen Science & Technology Co. Ltd. 서울반도체(Seoul Semiconductor Co. Ltd.) *SFS Group AG Shandong Innovation Group *Shanghai Industrial Holdings Ltd. Sharp Corp. (OTCMKTS: SHCAY) *Shenzhen Deren Electronic Co. Ltd. Shenzhen Desay Battery Technology Co. *Shenzhen Everwin Precision Technology Co. Ltd. Shenzhen Fortunta Technology Co. Ltd. Shenzhen Sunway Communication Co. Ltd. Shenzhen YUTO Packaging Co. Ltd. Shin Zu Shing Co. Ltd. Simplo Technology Co. Ltd. SK하이닉스(SK Hynix Inc.) Skyworks Solutions Inc. (NASDAQ: SWKS) Solvay SA Sony Corp. (NYSE: SNE) STMicroelectronics NV (NYSE ADR: STM) Stora Enso (OTC: SEOAY) Sumida Corp. Sumitomo Chemical Co. Ltd. (OTCMKTS: SOMMY)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TCMKTS: SMTOY) Sunrex Technology Corp. Sunwoda Electronic Co. Ltd. Suzhou Anjie Technology Co. Ltd. Suzhou Dongshan Precision Manufacturing Co. Ltd. *Suzhou Victory Precision Manufacture Co. Ltd. *Suzhou Xinjieshun Hardware Machine Electricity Co. Ltd. Suzhou Zhongjiemai Panel Industry Technology Co. Ltd     Taiwan Hodaka Technology Co. Ltd.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NYSE: TSM) Taiyo Yuden Co. Ltd. (OTCMKTS: TYOYY) TDK Corp. (OTCMKTS: TTDKY) *Teikoku Printing Inks Manufacturing Co. Ltd. Texas Instruments Inc. (NASDAQ: TXN) *Tianma Micro-Electronics Ltd. TK Group (Holdings) Ltd. Tongda Group Holdings Ltd. Toyo Rikagaku Kenkyusho Co. Ltd. TPK Holding Co. Ltd. Trinseo LLC (NYSE: TSE) *Trio Metal Co. Ltd. Triotek Technology Inc. Tripod Technology Corp. Tsujiden Co. Ltd. *TXC Corp.     UACJ Corp. Unimicron Technology Corp. Unitech Printed Circuit Board Corp. *United Test and Assembly Center Ltd. *VARTA Microbattery GmbH *Viavi Solutions Inc. (NASDAQ: VIAV) Western Digital Corp. (NASDAQ: WDC) Wickeder Group Winox Holdings Ltd. Wistron Corp. Yageo Corp. Young Poong Corp. Zhen Ding Technology Holding Ltd. Zhenghe Group   애플은 애플 지출과 관련된 내부 제조 사이트가 없지만 공급업체에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공급업체 그룹을 나누어 발표했다.   Advanced Micro Devices Inc. (NASDAQ: AMD) Cirrus Logic Inc. (NASDAQ: CRUS) Dialog Semiconductor GmbH (OTC: DLGNF) *GigaDevice Semiconductor Incorporated Beijing Lumentum Holdings Inc. (NASDAQ: LITE) Parade Technologies Ltd. 실리콘웍스 (Silicon Works Co. Ltd.) Synaptics Inc. (NASDAQ: SYNA)     Activision Blizzard Inc. (NASDAQ: ATVI) Advanced Energy Industries (NASDAQ: AEIS) The AES Corp. (NYSE: AES) Akoustis Technologies, Inc. (NASDAQ: AKTS) Alphabet Inc. (NASDAQ: GOOGL) The Chemours Co. (NYSE: CC) Chicken Soup for the Soul Entertainment Inc. (NASDAQ: CSSE) Cinedigm Corp. (NASDAQ: CIDM) CRA International (NASDAQ: CRAI)     Digi International (NASDAQ: DGII) Dolby Laboratories Inc. (NYSE: DLB) Ecolab Inc. (NYSE: ECL) Eros STX Global Corp. (NYSE: ESGC) ESCO Technologies Inc. (NYSE: ESE) Euronet Worldwide Inc. (NASDAQ: EEFT) First Solar Inc. (NASDAQ: FSLR) Genius Brands International (NASDAQ: GNUS) Gray Television (NYSE: GTN)     IDW Media Holdings (OTCMKTS: IDW) Immersion Corp. (NASDAQ: IMMR) Innodata Inc. (NASDAQ: INOD) Intellicheck, Inc. (NASDAQ: IDN) Interdigital (NASDAQ: IDCC) Jamf Holding Corp. (NASDAQ: JAMF) Las Vegas Sands Corp. (NYSE: LVS) Lions Gate Entertainment (NYSE: LGF.A) Liquidmetal Technologies Inc. (OTCMKTS: LQMT)     The Macerich Co. (NYSE: MAC) Matthews International Corp. (NASDAQ: MATW) MDC Partners Inc. (NASDAQ: MDCA) Microsoft Corp. (NASDAQ: MSFT) Network-1 Technologies Inc. (NYSEAMERICAN: NTIP) News Corp. (NASDAQ: NWSA) Nielsen Holdings Plc. (NYSE: NLSN)     Omnicom Group Inc. (NYSE: OMC) OSI Systems Inc. (NASDAQ: OSIS) Pixelworks Inc. NASDAQ: PXLW) Qualys Inc. (NASDAQ: QLYS) Resources Connection Inc. (NASDAQ: RGP) Roblox Corp. (NYSE: RBLX) SiTime Corp. (NASDAQ: SITM) Socket Mobile Inc. (NASDAQ: SCKT)     Take-Two Interactive Software Inc. (NASDAQ: TTWO) TechTarget Inc. (NASDAQ: TTGT) TTM Technologies Inc. (NASDAQ: TTMI) United Parcel Service Inc. (NYSE: UPS) The Walt Disney Co. (NYSE: DIS) †(14%) Warner Music Group Corp. (NASDAQ: WMG) Zedge Inc. (NYSE: ZDGE) Zynga Inc. (NASDAQ: ZNGA)    
작성일 : 2022-02-21
SMATEC 2020, 한·독 국제 스마트팩토리 콘퍼런스 개최
SMATEC2020 국제 콘퍼런스가 오는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날 SMATEC2020 국제 콘퍼런스에서는 ①스마트공장 정부정책 및 지원방향 확인 ②독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동향 및 한·독 협력방안 ③기업들의 최신 기술동향과 맞춤형 스마트공장 등 3가지 테마로 진행될 예정이다. 2019년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국제 콘퍼런스 모습   이 중에서도 SMATEC2020 국제 콘퍼런스는 11월 11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진행될 ‘독일의 제조분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최신 동향 및 미래비전’과 ‘스마트제조분야 한독협력방안’ 두 세션에서 스마트제조 선진국 독일의 제조분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성과와 최신 동향이 소개된다. 이와 함께 스마트 제조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 한국과 독일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한 설명도 기대된다. ‘독일의 제조분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최신 동향 및 미래비전’에는 SAP 정대영 본부장, 지멘스 최유순 부장, 보쉬코리아 하희탁 상무, 한국훼스토 양대열 상무 등이 연사로 나설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강연 발표 후에는 SMATEC 추진위원회 김은 부위원장을 좌장으로 하는 토론회가 진행된다. 이어 진행될 ‘스마트제조분야 한독협력방안’ 세션에는 독일 플랫폼 인더스트리4.0 국제협력 책임자 Prof. Kagermann, DEKI(독일인공지능연구소) 중소벤처기업부 강성천 차관, 서울대교수/대통령특보 이정동 특보 등 국내외 유명 연사들이 출연해 한국과 독일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협력방안에 대해 정보를 공유한다. 이와 함께 SMATEC 추진위원회 주영섭 위원장을 좌장으로 한 토론회를 진행해 보다 심도 있는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2019년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국제 콘퍼런스 모습   2019년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국제 콘퍼런스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뿐만 아니라 벤츠, 보쉬, HOYA, 덴소, 3M, 지멘스 등 글로벌 기업들과 만도, 현대모비스 등 중견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언텍트)’의 시대에서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구현 기술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보고 주최측은 지난해 보다 많은 대기업 및 글로벌 기업 관계자들이 콘퍼런스를 찾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작성일 : 2020-10-21
[PLM 업계 인터뷰] PTC코리아 박혜경 지사장
통합형 커넥티드 PLM 수요 증대… IIoT & AR 시장 확대 PTC코리아는 PTC가 IIoT(산업 사물인터넷)와 AR 분야의 리더로서의 입지를 다지면서 새로운 채널 영입, 파트너십을 통한 IOT, 시뮬레이션의 강화, 현대중공업, LG디스플레이, 현대일렉트릭 등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 PTC는 최근 서브스크립션 비즈니스로 전환하는 등 빠른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데 올해는 기존 CAD/PLM 시장을 견고하게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 해 국내 PLM 시장에 대한 평가는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정보의 수집, 분석, 가공, 저장, 시각화에 통합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고 있다. 제품의 복잡성이 점점 더 높아지며, 더 많은 기업들이 연결되지 않은 시스템으로 인한 사일로(회사 안에 성이나 담을 쌓고 외부와 소통하지 않는 부서를 가리키는 말)가 제품 개발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통합형 커넥티드 PLM에 대한 수요가 크게 높아진 한 해였다. 귀 사 내부적으로 올해 변화가 있다면 지난 한 해 IoT의 맥락에서 다양한 시스템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제품 통합을 가속화하고 채널 및 에코시스템 확장에 집중했다. 올해에도 디지털 혁신의 견인차로서 물리적인 환경과 디지털 정보의 융합이 완성되는 디지털 트윈의 가치를 고객들에게 전파하고 비즈니스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귀 사의 지난 한 해 비즈니스를 평가한다면 2018년은 PTC가 IIoT(산업 사물인터넷) 리더로서의 입지를 보다 공고하게 다진 한 해였다. 씽웍스(ThingWorx)는 ABI리서치가 11개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 제조 플랫폼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특히 증강현실 활용에 대한 강력한 이점과 디지털 트윈 기능, 프로토콜 적용성(adaptability), 디바이스 연결성 등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협력 투자를 바탕으로 IIoT 사업을 강화했으며, 하반기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양사의 통합 플랫폼 ‘팩토리토크(FactoryTalk)’를 선보이기도 했다. 제조 시장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의 고객들은 이 솔루션을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산업용 장비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의사 결정자는 이를 통해 전체 환경의 산업 장비, 라인 및 시설 등에 대한 디지털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버전의 3D CAD 소프트웨어 크레오(CREO) 5.0을 출시했다. 제품의 면면에 증강현실(AR)을 적용하여 기획 단계의 콘셉을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으로 쉽고 빠르게 완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으며, 위상최적화, 적층 제조, 전산유체역학, CAM 관련 기능을 강화했다. 최근 인수한 회사들에 대한 소개와 이로 인한 변화, 전망에 대해 소개한다면 IoT 환경에서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해 뷰포리아(Vuforia)를 인수 후 광범위한 제품 통합 및 에코시스템 확장을 통해 강력한 AR 개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전세계 50만여 명의 개발자들이 뷰포리아를 기반으로 AR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제조, 서비스, 세일즈&마케팅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확보한 상황이다. 앞으로도 산업 영역에서의 AR 활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PTC는 최근에 제너레이티브(Generative) 설계 소프트웨어 업체 프러스텀(Frustum Inc.)을 인수했고, 이는 엔지니어들과 개발자들을 위한 차세대 CAD가 될 것이다. PTC의 프러스텀 인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 설계 옵션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티브 설계 기술로 PTC의 크레오(Creo)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프러스텀은 2018년 6월 라이브웍스(LiveWorx)에서 발표한 PTC와 엔시스의 전략적 관계를 보 완한다. 프러스텀과 앤시스의 기능을 가미한 크레오는 제너레이티브 설계를 통해 디자인 접근법을 추천하고, 앤시스 디스커버리 라이브(ANSYS Discovery Live)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를 안내하며, 최종적으로 앤시스 디스커버리 스위트를 통해 규모에 맞는 전체 제품 설계를 검증한다. 엔지니어들은 크레오의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혁신적인 제품을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지난 해 주요 구축 프로젝트와 성공 사례에 대해 소개한다면 PTC는 지난 해 9월에 마감된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29% 성장하고, 특히 주력하고 있는 IoT, AR의 경우 46% 가량 성장했다. 전세계 800여 곳의 파트너사들이 PTC 씽웍스를 혁신 플랫폼의 기반으로써 사용하고 있으며, 55만명의 IoT 개발자들이 씽웍스를 바탕으로 디지털 여정을 함께 하고 있다. 지난해 처음 진행된 가트너 매직쿼드런트 IIoT 플랫폼 평가에서 씽웍스는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10월 현대일렉트릭과 ICT 솔루션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현대일렉트릭의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 기술 파트너로서 함께 했다. 올해 PLM 시장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가 PLM 및 CAD 소프트웨어는 IoT와 결합되며 전통적인 설계와 수명 관리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고민하는 기업들이 많아지는 만큼 새로운 기술과의 융합이 빠르게 이루어질 것이며, 특히 제조 업계의 경우 증강현실과의 연계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어 다각적인 발전이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올해 채널 정책의 기조와 흐름, 변화에 대해 소개한다면 PTC코리아의 성장에는 항상 파트너와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PTC의 새로운 비즈니스 축인 IoT와 AR의 성공을 위해서 새로운 파트너십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2019년에도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강화하여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고객에게 원활한 기술지원과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2018년 하반기에 PTC코리아는 처음으로 총판 모델을 도입하였으며 포비스티앤씨가 총판으로 선정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새로운 파트너 약 30여개사를 발굴하였고, 파트너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협업을 통하여 만족할 만한 비즈니스 성과를 만들었다. 2019년 PTC코리아의 파트너 정책은 다음의 3가지를 중점적으로 강화하고자 한다. 총판인 포비스티앤씨와 협력하여 IoT/AR 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파트너들을 발굴하고 지속적으로 교육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고객에게 더 높은 가치를 전달하고자 한다. CAD/PLM 영역에서 높은 기술과 많은 경험을 가진 기존 PTC 파트너사들이 지속적으로 CAD/PLM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협업할 것이다. 대구/부산/울산/대전/광주 등 지방 대도시에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구축하여 각 지역별 고객들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올해 신제품 출시 계획에 대해 소개한다면 IoT/AR 및 CAD/PLM/SLM 등 전체 포트폴리오에 대해 고객의 수요를 반영하여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실질적인 비즈니스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 무장한 새로운 업데이트 버전의 솔루션들이 출시될 예정이다. 올해 업계의 화두는 무엇이라고 보는가 혁신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IoT와 AR은 더 이상 미래 기술이 아니라 기업이 오늘날 새로운 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시장을 선점하고 앞서 나가는 기업들은 이미 IoT/AR을 사용하고 있다. PTC는 전세계 스타트업부터 글로벌 엔터프라이즈까지 다양한 혁신 기업들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나갈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을 지속할 것이다. 새롭게 발표된 기술에 대한 소개와 귀 사가 추구하는 뉴 테크놀로지에 대한 귀사의 대응과 견해는 최근 새롭게 발표된 대부분의 뉴테크놀로지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기업에서 제품을 출시하기까지 기획과 개발, 테스트 등 전체 과정에서 엄청난 데이터가 생성되는데, PTC의 기술은 이러한 데이터의 가치 극대화에 집중되어 있다. 고객들은 PTC의 IoT/AR이 접목된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사용하여 기존에 가지고 있던 고유의 역량을 발전시키고,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올해 PTC코리아의 계획에 대해 소개한다면 디지털 혁신에 대한 높은 관심 덕분에 최근 몇 년간 높은 성장률을 지속해 왔다. 2019년은 특히 IoT/AR 산업 성장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PTC는 폭넓은 파트너십과 전문성을 무기로 다양한 레퍼런스를 개발하는 한편 지속 성장을 위한 모멘텀을 마련하고자 한다.   인터뷰 PDF는 '2018 국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시장조사' 기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19-02-18
LG디스플레이, PTC 뷰포리아 기반으로 증강현실 앱 개발
PTC코리아는 LG디스플레이에 증강현실(AR) 개발 플랫폼 ‘뷰포리아(Vuforia)’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PTC 뷰포리아를 기반으로 증강현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LGD AR을 출시했다. LG디스플레이는 PTC와 협력하여 전세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R SDK(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뷰포리아 엔진(Vuforia Engine)’을 사용해 AR 앱을 개발했다. LG디스플레이의 AR 앱은 소비자들이 OLED를 손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작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OLED 제품을 실제 공간에 가상 배치해보고, 3D 모델링을 통해 OLED의 특장점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LG디스플레이 임직원들은 AR 앱을 활용해 고객 접점을 다변화하고, 소비자들은 AR 기술을 이용해 생활속에서 차세대 OLED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뷰포리아는 물리적인 환경과 디지털 정보 융합을 위해 컴퓨터 비전 기술 기반의 이미지 인식 기능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카메라 및 센서가 ‘디지털 눈(digital eye)’으로서 동작하도록 구현한다. 현재 6만여 종의 AR 애플리케이션이 뷰포리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글래스 등에서 집계된 뷰포리아 기반 앱 설치 건수는 6억 2500만여 건이다. OLED 기술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관심 있는 사용자는 AR 앱을 다운로드 받은 후 실제 사용 예정인 공간에 원하는 제품을 적용해 제품을 설치했을 때의 모습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증강 모델링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의 뷰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CSO(Crystal Sound O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들의 제품별 특징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PTC코리아 박혜경 지사장은 “LG디스플레이와 같은 혁신 기술 기업들을 중심으로 영업 마케팅 영역에서 증강현실 활용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AR은 소비자들에게 디지털 제품 사용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판매 주기를 단축시키고, 마케팅 로지스틱스 비용을 절감하는 등 강력한 경쟁력 향상의 수단으로 사용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9-01-17
[피플] LG CNS 김영섭 대표이사
4차 산업혁명 시대 IT 서비스 사업 강화 LG CNS(www.lgcns.co.kr)가 여의도 전경련빌딩에서 마곡 사이언스파크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LG엔시스를 합병하는 등 중복사업을 제거하고 클라우드, 보안, 스마트 팩토리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IT 서비스 사업 주도권 강화에 나섰다. LG CNS 김영섭 사장으로부터 경영 전략 및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소개에 대해 들어보았다.  ■ 최경화 국장 LG CNS의 주요 사업 분야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LG CNS는 1987년 설립된 이후로 30년이 넘게 지속적으로 시스템 개발 역량과 산업에 대한 전문성을 축적해 왔습니다. 여기에 IoT, Cloud,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IT 신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고객의 사업경쟁력을 높이고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는 IT서비스 전문 기업입니다. 1990년 말부터 2000년 중반까지 대한민국 전자정부 구현과 금융기관 차세대 시스템 구축, 그리고 민간기업들의 ERP 도입을 주도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IT 서비스 업체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최근에는 IT 신기술에 기반한 자체 솔루션과 플랫폼을 통해 스마트 공장, 신재생에너지 등 새로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전략사업중의 하나인 스마트 공장 분야에서는 부분/단순 공장자동화의 수준을 넘어서서 공장 안의 모든 요소(4M/1E - Machine, Man, Material, Method, Environment)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능적으로 운영되는 공장을 지향점으로 정의하고 그룹 내 계열사를 대상으로 선진 사례(Best Practice) 발굴과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IT 신기술 접목을 통한 딥러닝 기반 검사 혁신, 설비예지보전 및 빅데이터 품질 분석 등의 지능화 선진 사례를 적용하여 제조경쟁력(Quality, Cost, Deliver y)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공장 솔루션 업체로 회사를 혁신시키고 성장을 주도하면서 중점을 둔 부분은 무엇인지요 첫 번째는 사업하는 방식을 완전히 혁신하는 것이었습니다. 스마트 공장 영역은 기본적으로 산업별로 요구사항이 다르며, 동일 산업에서도 공장/공정별 요구사항과 생산 현장의 가장 중요한 연결 대상인 설비가 세대별/메이커별/도입시점별로 상이합니다. 따라서 스마트 공장은 ‘맞춤형’으로 구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고객입장에서 맞춤형 스마트 공장의 구현을 위해서는 투자의 부담이 커지고 LG CNS 입장에서는 스마트 공장 구현을 통한 역량 및 노하우가 축적되지 못할 우려가 컸습니다. 실제로 계열사 내의 많은 글로벌 선진 사례가 확산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에 내부 논의를 거쳐 스마트 공장의 기능을 자동화, 정보화, 지능화 영역으로 상세하게 구분하여 각 영역별로 표준화/솔루션화/모듈화한 플랫폼(Platform)을 확보하였으며, 이러한 플랫폼 기반으로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는 이행방식을 혁신했습니다. 지속적인 고도화를 통해서 플랫폼의 완성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플랫폼을 활용한 이행 방식의 혁신이 서서히 자리잡았고 높은 품질의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향후 스마트 공장 확산 가속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두 번째는 전문가를 육성 및 확보하는 것이었습니다. 스마트 공장 플랫폼이 확보된 이후에는 내용(Contents)을 풍성하게 채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고객과 함께하는 사업과 사람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차별화된 고품질의 스마트 공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업무 및 기술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하지만 IT 신기술이 워낙 빨리 변화하는 상황에서 개개인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에 개인별로 전문 기술 영역을 선정하여 학습활동 등을 통해 지속적인 개인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대학과 연계하여 다양한 전문 기술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술지향적 조직 문화로 변화를 위해 전문가를 육성하고 있습니다. LG CNS에서 LG 그룹뿐만 아니라 시장을 확대하게 된 배경과 주요 수요 시장은 어디인지요 스마트 공장 사업 특성상 고객의 가장 중요한 솔루션 선택 기준은 산업 경험입니다. 먼저 LG CNS 스마트 공장 솔루션은 완성품(LG전자), 부품(LG디스플레이,LG이노텍), 소재(LG화학) 등 다양한 제품과 다양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LG 계열사들은 제조업 대부분의 산업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업 전체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고 인접 산업으로 전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계열사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LG CNS 스마트 공장 솔루션은 전체 제조업에 적용이 가능한 솔루션이며, 기존 계열사 스마트 공장 구현을 통해서 축적된 노하우를 차별화함으로써 외부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판단해 수요 시장을 외부로 확대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지능화 영역에서 계열사 경험을 통해 축적된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더 외부 시장 확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제약/식음료 시장에서는 기존 LG생명과학 등에 축적된 제약산업의 각종 제약(Regulation) 및 규약(GMP)을 사전에 솔루션에 반영하고 검증함으로써 글로벌 제약 솔루션과 동일한 수준으로 발전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4차산업혁명의 물결이 급속히 온 만큼 국가적 관심이 높은데다가 LG차원에서도 협력사의 품질과 경쟁력 제고가 전체 사업 경쟁력과 이어지는 만큼 기존의 솔루션에 비해서는 확장의 폭이 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LG CNS가 스마트 공장 솔루션을 준비하게 된 배경과 과정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LG CNS는 20년 이상 제조현장의 정보화 경험을 축적하여 왔습니다만, 매번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마다 고객별로 조금씩 상이한 요구사항 때문에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의 경험을 더 짧은 시간에 고객의 제조현장에 구현할까 고민하다가 표준화/솔루션화/모듈화를 통한 플랫폼화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Data Analysis & AI Platform(DAP), 생산현장의 다양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에 필요한 산업용 IoT 플랫폼 및 생산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화 솔루션(MES/UMS/ezControl) 등이 플랫폼화 전략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지속적인 고도화를 통해서 글로벌 솔루션과 동등 수준으로 발전시키고, 신규 솔루션의 추가 및 선진 사례를 내재화여 바로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통합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솔루션은 전사적으로 IT 신기술 전문조직 및 산업/업무 도메인 지식/경험을 보유한 조직이 함께 참여하여 개발했으며, 보다 기능/기술적인 측면에서 차별화되고 전체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하는 차별성을 보유할 수 있었습니다. LG CNS가 스마트 공장 솔루션, AI 빅데이터 플랫폼뿐만 아니라 인천공항으로부터 지능형 로봇을 수주하기도 했는데, 제조업용 지능형 로봇 개발은 없으신지요 LG CNS는 지난해 9월 인천국제공항 ‘지능형 로봇 제작 및 시스템 구축’ 주사업자로 선정됐습니다. LG전자와 협업해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며, LG CNS는 로봇 관제시스템 구축 등 소프트웨어를 담당하고, LG전자는 자율주행 로봇 제작 등 하드웨어를 만드는 역할을 각각 분담해 지능형 로봇 사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앞으로도 LG CNS가 로봇 자체를 개발하지는 않겠지만, 인천공항의 로봇처럼 로봇을 제어하고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기술로 로봇을 활용한 다양한 지능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로봇 서비스 플랫폼을 자체 개발 중에 있습니다. 향후 제조업 분야에서도 이러한 플랫폼 적용이 가능한 적용 사례를 적극 발굴해 나갈 예정입니다. 국내 제조업의 스마트제조시스템 구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LG CNS가 확대하고 싶은 사업 및 기여도에 대해 설명 부탁 드립니다 스마트 공장 영역 중에서도 고객이 실질적인 가치를 많이 느끼는 분야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제조지능화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스마트 공장 자동화/정보화를 통한 생산현장의 가시성(Visibility) 확보를 통해서 고객들이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이 가능하게 부분이 일차적으로 선행되어야 하겠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에 해결하지 못했던 고질불량, 비정상 생산중단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능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제조 경쟁력 강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최근 다품종 소량생산(Mass Customization) 확산 및 근로자들의 고령화로 인한 은퇴 등으로 생산현장의 노하우 유지/보존을 위해서 지능화 서비스가 많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LG 계열사 전체 생산의 70% 이상 비중을 차지하는 협력사의 개선 없이는 LG 계열사의 제조경쟁력 확보가 불가능하므로, LG 계열사의 협력회사를 포함한 중소기업들도 쉽게 도입이 가능하도록 중소기업형 스마트 공장 솔루션을 준비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의 크고 작은 제조기업들이 스마트 공장을 쉽게 구축함으로써 한국 제조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지난해 성과와 2018년 기술개발 계획 및 시장 확대 전략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2017년에는 데이터 수집 영역과 고급분석을 위한 AI/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합한 '제조 ICT 플랫폼'을 확보하였으며, 2018년에는 플랫폼의 지속적인 고도화 및 외부 전문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이 플랫폼 위에 다양한 솔루션을 적용하고 적용 사례를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제조영역의 스마트 공장 솔루션 시장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아직은 고객들도 적용가능성을 타진하는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우선은 LG 제조계열사들을 대상으로 여러 성공사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상품기획 단계부터 연구개발, 생산, 물류, 마케팅 등 전 영역에서 빠르고 다양한 현장적용 사례를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외부 시장에서는 우선적으로 저희가 강점을 갖고 있는 제약 산업, 물류센터 자동화 솔루션 영역을 집중 확대할 계획입니다. LG CNS의 스마트 공장 솔루션 ‘ezUMS’에 대한 소개와 타사 솔루션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LG CNS ‘ezUMS’는 설비에 대한 관제(SCADA) 솔루션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설비의 실시간 모니터링에서 공장의 종합 현황을 관리하는 대시보드 영역까지 기능을 확장하였습니다. 현재는 IT 신기술을 접목하여 전세계 설치된 설비를 대상으로 실시간 데이터 운영 상태 정보 수집(IoT ), 저장(Cloud), 사후/사전 분석(빅데이터)하고 설비의 이상/고장을 사전에 예측(Machine Learning)하는 시스템을 오픈해 확장 중에 있습니다. 단순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넘어서 IT 신기술과 접목함으로 고객의 전체 업무 통합과 데이터 기반의 신속한 원인분석 및 조치가 가능한 종합적인 솔루션이 차별화된 기능이라고 생각됩니다. LG CNS 스마트 공장 솔루션은 공정설계서비스와 제조 운영솔루션으로 나뉜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구분한 이유와 각 서비스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LG CNS의 스마트 공장 솔루션은 기업 내외부 전체 공급망(Supply Chain)의 수직/수평적 통합을 통한 지능형 자율 공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전체 공급망(Supply Chain) 중 공장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 영역을 담당하는 제조실행(MES), 공정관리, 품질관리, 설비관리, 설비제어를 제조운영솔루션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제조운영솔루션은 MES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으로 지능화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을 포함한 제조업(위탁생산)은 제조운영솔루션으로 스마트 공장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제조업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 중 한 가지가 제품개발(R&D) 영역입니다. 제품개발 영역은 C4/PLM을 통한 제품의 가상 개발/시뮬레이션/검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전체 공급망 통합 관점에서 보면 제품개발이 궁극적으로 생산과 연결/통합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제품개발과 생산 영역의 통합/연결하는 것이 공정설계서비스 영역입니다. 개발된 제품이 생산되기 위해서 공장이 신설/증설/개조되고, 생산을 위한 공정/설비가 도입되어야 합니다. 공정설계서비스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전통적으로 생산기술/선행생산)의 프로세스/데이터를 관리하는 솔루션입니다. 최근에 많이 강조되고 있는 디지털 매뉴팩처링/디지털 트윈 영역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LG CNS는 공정설계서비스 영역의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전체 공급망을 통합하는 스마트 공장 솔루션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최근 출시한 멀티 클라우드 기반 AI 빅데이터 플랫폼 ‘DAP’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DAP(Data Analytics & AI Platform)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처리, 고급분석, AI 알고리즘 개발까지 모두 가능한 통합 분석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고객은 DAP에 접속하여 필요한 기술요소만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사용량만큼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기술이나 대규모 초기 투자검토에서 해방되어 바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DAP는 지금까지의 경험과 글로벌 선진업체 협력을 통해 5대 서비스 오퍼링영역에서 다양한 분석 모델을 갖춰가고 있습니다. (5대 서비스 오퍼링: Smart Factory, Customer Analytics, SCM Analytics, Operation Analytics, AI Equipment) 스마트 공장 영역의 비전검사의 경우기존 검사기와 육안으로 진행하던 품질검사에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불량 판정 정확도를 99.98%까지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생산성 혁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DAP 적용 분야가 확대될수록 재활용할 수 있는 분석모델이 축적되고 업그레이드되어 자연스럽게 제공 가치도 함께 발전하는 모습을 갖춰나갈 것입니다. 궁극적으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비즈니스 문제에 최적의 답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해 나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8-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