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CMMS"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1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AWS와 파트너십 맺고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 가속화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간소화 및 가속화하기 위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운영 기술(OT)과 AWS의 클라우드 서비스 및 글로벌 인프라를 결합함으로써, 제조 기업이 자산 성능을 최적화하고 운영 현황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며, 원시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확장 가능하고 안전하며 유연한 클라우드 설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업계 전문 지식 및 자동화 설루션과 AWS의 고도화된 클라우드 기술로 제조기업의 보다 효과적인 디지털 혁신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AWS는 산업 전용 비즈니스 부문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생명과학, 자동차 및 배터리, 소비재 등 자사의 핵심 시장 및 전략을 공유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공장 현장의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원활하게 연결하고 고급 분석 및 AI 애플리케이션, 산업용 소프트웨어 설루션을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협업의 일환으로,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팩토리토크 허브(FactoryTalk Hub) 기반 소프트웨어 서비스형 설루션(SaaS)을 AWS로 본격 확대한다. 산업용 데이터옵스(DataOps) 설루션 데이터모자익스(DataMosaix)와 컴퓨터 유지 관리 시스템(CMMS)인 픽스(Fiix)를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할 예정이며, 올해 말에 추가 팩토리토크 허브 설루션도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니콜 데닐(Nicole Denil) 글로벌 사업 부문 부사장은 “제조 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며, 보안이 강화된 설루션이 필요하다”면서, “AWS와 협업을 통해 AI 기반 인사이트, 에지와 클라우드 간 연결, 산업 자동화 고도화를 실현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산업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AWS의 오즈구르 토훔쿠(Ozgur Tohumcu) 자동차 및 제조 부문 총괄은 “이번 파트너십 체결은 AWS의 클라우드 컴퓨팅 리더십과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산업 자동화 전문 지식을 결합하여 보다 강력하고 통합적인 설루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AWS 클라우드 인텔리전스를 통해 운영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전환함으로써 제조 기업이 보다 빠르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단순히 기술을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빠르게 진화하는 오늘날의 산업 분야에서 제조기업이 보다 민첩하고 효율적이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을 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4-04
원프레딕트, AW 2025에서 디지털 산업 자산 통합 관리 설루션 전시
산업 AI 기반 설비 예측진단 설루션 기업인 원프레딕트가 3월 12일~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 참가한다. 원프레딕트는 이번 전시에서 디지털 산업 자산 통합관리 설루션을 중심으로 AI 기반 설비 예지보전·관리 설루션 제품군인 ‘가디원(guardione)’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올해로 5년째 전시회에 참가하고 있는 원프레딕트는 부스에서 디지털 산업 자산 통합 관리 설루션 ‘가디원 pdx’를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이외에도 ‘가디원 서브스테이션’, ‘가디원 터보’가 함께 전시된다. 이번 전시회의 핵심인 가디원 pdx는 가디원 제품군에 가장 최근 추가됐다. 이 제품은 APM과 CMMS, 산업 AI 기반 예지보전 기술을 결합해 제조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설비와 운영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한다. 원프레딕트 가디원 pdx 도입으로 고객은 예기치 못한 고장과 가동 중단을 예방하고, 정비 비효율성과 비용을 낮추며, 분산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원프레딕트는 가디원 pdx를 통해 고객이 창출할 수 있는 가치로 ▲도메인 지식과 AI를 융합한 산업 AI를 통해 설비 특성을 인자로 추출하고 가동 환경을 분류해 현장의 이상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MLOps를 도입한 모델의 성능 최적화와 빠른 배포로 한번 도입하면 변화에도 걱정 없이 AI 설비 관리 운용이 가능하며 ▲현장 전문가의 데이터 통합 노하우로 고해상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존 데이터 인프라와 통합해 낮은 비용으로 손쉽게 도입할 수 있고 ▲AI 업무비서인 ‘oneAGENT’를 통해 채팅창에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고, 이상 알림부터 작업 지시까지 제공해 편의성과 생산성을 강화한다는 점을 꼽았다.     이와 함께 원프레딕트는 산업 현장의 AI 기반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3월 12일에는 원프레딕트 단독 세미나가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에서 열리고, 원프레딕트 성민석 CPO가 ‘AI자율제조혁신포럼’에서 ‘자율주행과 자율제조 : 산업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파괴적 혁신’에 대해 발표한다. 3월 13일에는 원프레딕트 윤병동 대표가 ‘산업 AIX(AI Transformation)’를 주제로 ‘산업지능화 컨퍼런스’의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한편, 원프레딕트는 가디원 pdx를 앞세워 2025년 국내 영업과 해외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2025년 초에는 북미 최대 에너지, 석유 화학 기업과 가디원 설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해, 가디원 설루션의 첫 글로벌 진출에 성공했다. 하반기에는 가디원 서브스테이션의 온라인 서비스 확장과 가디원 터보의 성공 사례 확대를 추진하면서, 보다 많은 고객에게 산업 AI의 혜택을 제공해 AIX(AI Transformation) 확산에 기여할 예정이다. 원프레딕트의 윤일상 마케팅 팀장은 “원프레딕트는 자사 설루션을 통해 산업 자산 O&M(운영·유지보수)을 파괴적으로 혁신하고 있다. 설루션 도입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더 많은 고객이 AI를 통해 산업 자산 관리 방식을 혁신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며, 다운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3-11
[포커스] 로크웰 오토메이션, “OT 경험과 IT 기술 접목해 스마트 공장 플랫폼 제공”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3월 8일~10일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에 참가하면서, 스마트 공장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현하기 위한 자사의 솔루션 포트폴리오와 전략을 소개했다. 핵심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플랫폼, 서비스까지 포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제조산업의 스마트화를 성공시키겠다는 것이다. ■ 정수진 편집장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의 이용하 대표이사는 ‘고객이 원하는 비즈니스 결과를 제공한다’는 뜻을 담은 ‘Results Achieved’라는 자사의 슬로건을 소개하면서,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전통적으로 강점을 보여왔던 하드웨어 분야에서부터 AR, VR, 클라우드 등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제조 혁신을 위한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하여 고객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글로벌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의 파트너 역할을 수행하며 최근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의 시험 설비 프로젝트 참여 ▲전기자동차(EV) 배터리의 재활용 프로젝트 관계사 세 곳의 제어 시스템 및 운영 소프트웨어 수주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사의 스마트 공장 컨설팅 등 최근의 주요 비즈니스 사례도 소개했다.   ▲ 증강현실(AR)을 통한 장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비전을 위한 포괄적 솔루션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의 소프트웨어 및 제어사업 본부장인 권오혁 이사는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비전을 설명하면서, 이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자동화와 IIoT(산업 사물인터넷)를 중심으로 하는 산업 혁신 비즈니스 솔루션을 소개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전통적으로 강점을 가져 온 OT(운영기술) 분야의 지식·경험과 IT(정보기술) 영역을 접목하고, 고객의 요구를 구체화할 수 있는 컨설팅까지 연계해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구현한다는 전략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권오혁 이사는 “확장성을 중요한 화두로 놓고 산업 클라우드 플랫폼과 플랫폼 엔지니어링을 지난 몇 년간 확대·강화하고 있다”면서, “MES(제조 실행 시스템)을 통한 디지털 전환 실현, EMI(전사 제조 지능)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신속·정확한 의사결정 등이 이런 전략을 기반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자동화 IIoT 산업 혁신 비즈니스 솔루션은 컨설팅을 실시하여 고객이 원하는 구현 모델을 구체화한 후 이에 기반하여 소프트웨어, 제어 및 지능화 통합 제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고객의 상황과 목표를 파악하는 컨설팅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 이더넷 기반의 IT 통합 ▲MES와 EMI 솔루션을 결합한 실시간 통찰력 확보 ▲현장과 연동해 통찰력을 확장하는 증강현실(AR) ▲IIoT 플랫폼 ▲에지 투 클라우드 분석 등의 요소로 이뤄진다.   소프트웨어 및 IT 역량의 지속 강화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산업 자동화 장비 중심의 하드웨어 기업으로 알려져 왔지만,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세우면서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근간으로 하는 스마트 공장 솔루션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 영역을 꾸준히 확장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PTC와 협업을 통해 AR 솔루션인 뷰포리아(Vuforia) 및 IIoT 플랫폼 솔루션 씽웍스(ThingWorx)를 자사 포트폴리오의 일부로서 제공한다. AR은 고객의 제조 현장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임으로써 운영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다운타임 빈도를 줄이고 품질을 높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단순화, 가속화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IIoT 플랫폼은 공장 내 다양한 장비와 IT 솔루션을 통합해 공장의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솔루션과 연계해 최적의 인프라/기술 투자를 최적화하면서 최신의 IoT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기술 제휴뿐만 아니라 인수합병과 자체 개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IT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20년에는 AI 기반 설비관리(CMMS) 업체인 픽스(Fiix)를, 2021년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분석/운영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플렉스 시스템(Plex Systems)을 인수하면서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PTC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시스코 등 글로벌 기업과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및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IT 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한편,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자사의 주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팩토리토크(FactoryTalk) 브랜드로 재편했다. 팩토리토크는 메인터넌스 허브(FactoryTalk Maintenance Hub), 오퍼레이션 허브(FactoryTalk Operation Hub), 디자인 허브(FactoryTalk Design Hub) 등 크게 세 가지 제품군으로 구성된다. 이들 솔루션을 클라우드 기반의 SaaS로 제공하면서, 여기에 AR과 IIoT까지 더해 포괄적인 자동화 IIoT 산업 혁신 플랫폼을 선보이겠다는 것이다.   실시간 연결성 강화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서비스까지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의 인텔리전트 디바이스 사업본부장인 신동진 이사는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구현하는 또 하나의 축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강조했다. “센서, 안전 및 모터 제어 등의 제품은 물리적인 세계를 디지털 세계로 전환하는 기초 역할을 한다.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가 없이는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구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기계, 장비 및 공장 전체에 걸쳐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얻은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정보로 전환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가 필요하다는 것이 신동진 이사의 설명이다. 그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함으로써 작업자가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고, 궁극적으로 장비 뿐 아니라 제조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이더넷/IP와 같은 개방형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통해 연결하면 연결성이 향상되어, 기업의 모든 수준에서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에 걸쳐 실시간 협업과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핵심 기능으로는 ▲필드 기기 정보와 자가진단 기능 확대 ▲ICT 기술과의 융합 ▲플러그인 및 드래그앤드롭을 통한 쉬운 사용자 환경 구축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도입과 인프라 고가용성 등이 꼽힌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의 라이프사이클 서비스 사업본부장인 최태능 상무는 자사의 라이프사이클IQ 서비스(LifecycleIQ Services)를 소개하면서, “디지털 전환 여정의 성공을 위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높은 역량 및 경험에 기반한 파트너십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라이프사이클IQ 서비스는 ▲높은 역량과 경험 및 산업 전문가를 보유한 파트너 지원 ▲고객의 디지털 전환 전략을 위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지원 ▲IT/OT 융합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을 제공한다. 이용하 대표이사는 향후 비즈니스 전략과 관련해 “고객의 요구사항이 갈 수록 세분화, 구체화되고 고객이 원하는 목표나 결과도 명확해지는 추세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고도화, 복잡화, 대형화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면서, “기존 산업에서 경쟁 시장을 돌파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반면 우리나라는 배터리, 반도체, 모빌리티 등 신규 산업이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국내 비즈니스도 기대를 걸고 있다”고 전했다.   ▲ MES, MOM, IIoT 등 스마트 제조 운영을 위한 솔루션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4-0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 시대 : 건설 산업의 고민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이번 호에서는 건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디지털 트윈 사례를 소개하고, 이와 관련해 인공지능 시대에서 건설 산업의 고민을 다루어 본다. 특히 코로나19로 모든 산업이 디지털화, 비대면 비즈니스를 위한 자동화에 몰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의 디지털화를 위해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지 고민된다. 이 글에서는 건설 디지털화에 초점을 맞춰 이를 나눔한다.   ■ 강태욱 | 건설환경 공학을 전공하였고 소프트웨어 공학을 융합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분석하거나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건설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Engineering digest와 관련된 작은 메시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BIM/GIS/FM/BEMS/역설계 등과 관련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메일 | laputa99999@gmail.com 페이스북 | www.facebook.com/laputa999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bimprinciple 팟캐스트 | http://www.facebook.com/groups/digestpodcast   건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시설물 관리 먼저 BIM 기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용하고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개발한 좋은 사례가 있어 소개한다. 이 사례는 시러큐스대학(Syracuse University)의 Basak Keskin이 포스팅한 블로그에서 참고한 내용이다. Basak 팀은 2019년 11월 Forge DevCon에 인프라 관리 관련 서비스 구현 사례를 발표하였다. 이 사례는 공항 인프라가 대상이다. 공항의 ‘디자인-빌드-운영’ 수명주기를 디지털화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그림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 인프라 관리 사례   공항은 터미널, 교각, 활주로, 유도로, 주차장, 철도, 도로, 화물 구역, 다양한 유형의 건축을 캡슐화해야 한다. 다양한 인프라 시스템의 설계, 건설 및 운영을 통합하는 측면은 매우 복잡하다. AEC 부문의 역동적 경쟁 환경에는 건설을 디지털 방식으로 변화하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BIM은 건설 부문에서 정보기술을 사용해 프로젝트 단계를 간소화한다. 이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BIM은 건설 프로젝트 수명주기동안 데이터 통합, 시각화, 저장, 업데이트, 관리를 지원한다.(사실 제대로 계획, 구현할 경우에만 잘 동작한다.) 오토데스크 포지(Autodesk Forge)는 FAA 지원 공항 협력 연구 프로그램을 위한 POC(Proof-of-Concept)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운영 및 유지 보수 단계의 공항 이해 관계자를 위해 개발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은 뷰어, 데이터 관리, 모델 정보 생성을 위해 BIM 360 Forge API를 사용한다. 소유자는 프로젝트 제조업체 데이터 중 하나로 자산 속성(예: HVAC, BHS, 배관 등)을 포함하는 공항 BIM 모델에 접근한다. BIM360 API는 소유자가 관심있는 모든 BIM 모델에 액세스하는데 사용된다. 소유자는 중요 자산을 정의, 시각화하고 제조업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용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소유자는 센서를 통해 공항 중요 자산을 추적하고 레거시 FM(예: CMMS, BAS, BMS)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 자산 태그와 관련된 센서 데이터를 유지 관리한다. 소유자는 기존 FM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센서 데이터 및 자산 태그를 연결하는 No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그림 2. 디지털 트윈 구현 모습
작성일 : 2020-05-28
HID 글로벌, 스마트 빌딩을 위한 IoT 보안 솔루션 발표
보안 ID 솔루션 업체인 HID 글로벌(www.hidglobal.com)은 다양한 제조 및 안전 설비와 함께 활용해 냉난방 시스템 모니터링의 편의성 및 효과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안전한 IoT(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신제품을 발표했다. 설비관리 정보시스템(CMMS)용 HID 트러스티드 태그 서비스(Trusted Tag Services) 솔루션은 IoT 및 스마트빌딩 설비 관리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HID 글로벌의 트러스티드 ID 솔루션 제품군에 새로 추가되었다. 이번 신규 솔루션은 유지관리 팀의 안전한 존재증명을 제공함으로써 자동화와 서비스 주문 관리를 획기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해 준다. HID 트러스티드 태그 서비스 솔루션은 CMMS 시스템과 통합되어 물리적 요소들을 클라우드 기반 유지관리 시스템 및 IoT 애플리케이션과 연결시켜준다.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간단한 탭으로 서비스 콜을 자동화하고 방재설비, 오피스 및 직원 식당 설비 등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편의성을 높여준다. 또한 이 솔루션으로 현장 서비스 팀이 서비스 내역과 수리 매뉴얼에 바로 접근하고 서비스 수락 및 콜 시간, 기간, 상태를 확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모든 서비스 활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현장, 지역, 글로벌로 확인 및 추적 가능하다. 이 솔루션은 규제 장비 사용내역과 같은 컴플라이언스 관리에도 효과적이다. HID 글로벌의 전략 혁신 및 개발 사업부문 마크 로빈톤(Mark Robinton) 총괄이사는 "HID 글로벌은 사람, 자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모바일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신규 HID 트러스티드 태그 서비스는 오늘날 설비 관리자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줄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신제품은 CMMS가 기업 전반에 걸친 고부가가치 설비 및 자산의 모바일 관리 보안 및 직관성의 수준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설비 운용 최적화는 이제 필수적인 것으로 HID 글로벌은 스마트 빌딩 관리를 위한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HID 글로벌의 파트너사인 서비스채널(ServiceChannel)의 설립자 스티븐 고트프리드(Steven Gottfried)는 "자사는 문서, 프로세스, 프로토콜의 복잡성 없이 방재 및 기타 장비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자동화 부문에서 협업하는 파트너들과 전문가들의 설비 관리 방식을 혁신하는 것을 미션으로 삼고 있다. HID 글로벌은 이러한 비전을 함께 공유하고 있으며 HID의 신규 솔루션은 더 편리하고 관리가 쉬우며 응답성이 높고 생산적인 모바일 업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새롭게 발표한 CMMS를 위한 HID 트러스티드 태그 서비스 솔루션으로 IoT 애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빌딩 환경 설비 보안 제품군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장하게 되었다. ■ 유지관리 및 점검 과정 자동화 : 설비 시설, 냉난방, 스프링쿨러, 소화기, 데이터센터, IT 장비,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기타 빌딩 시스템  ■ 보안요원 순찰 기록 증명 : 보안요원들의 순찰 시 주요 보안 포인트에서 휴대폰으로 보안 태그를 탭해서 순찰 기록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주요 관리, 보안 순찰, 기타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더 정확하게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관리할 수 있음 ■ 스마트폰으로 스마트 빌딩 서비스 및 출입통제 : 스마트폰 및 HVAC 활성화로 건물 출입통제를 가능케 하는, 시설 관리자와 입주자의 경험 변환시키는 HID 모바일 엑세스 ■ 편리하고 안전한 액세스 및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제공 : 간단한 모바일 기기 탭으로 거주자는 액티브ID 탭 인증 사용가능. 더불어 똑같은 스마트 카드로 출입통제 가능 ■ 스마트 빌딩에서 사용하는 다른 보안 서비스와의 통합 : 보안 자동화 및 증가를 위해 HID 글로벌의 임베디드 솔루션으로 트러스티드 ID의 사용 확대. 근태 관리, 보안 인쇄 관리, 엘리베이터 액세스, 전자 지불 자판기 등 일반적 건물 거주자를 위한 지원 HID 글로벌 스마트 빌딩 솔루션 출시는 오늘날 커넥티드, 모바일 퍼스트 세상에서 더 편리하고 안전하며 믿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자사 모빌리티 솔루션 확대 및 투자 전략의 일환이다. 신규 솔루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트러스티드 ID를 제공하고, 신규 애플리케이션 및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HID 글로벌의 시오스(Seos) 크리덴셜 기술이 활용됐다.
작성일 : 2016-10-27
HID 글로벌, 스마트 빌딩을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 보안 솔루션 발표
보안 ID솔루션의 세계적인 리더인 HID 글로벌은 다양한 제조 및 안전 설비와 함께 활용해 냉난방 시스템 모니터링의 편의성 및 효과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안전한 IoT(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신제품을 발표했다. 설비관리 정보시스템(CMMS)용 HID 트러스티드 태그 서비스(Trusted Tag Services®) 솔루션은 IoT 및 스마트빌딩 설비 관리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HID글로벌의 트러스티드 ID 솔루션 제품군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번 신규 솔루션은 유지관리 팀의 안전한 존재증명을 제공함으로써 자동화와 서비스 주문 관리를 획기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HID 트러스티드 태그 서비스 솔루션은 CMMS 시스템과 완벽하게 통합되어 물리적 요소들을 클라우드 기반 유지관리 시스템 및 IoT 애플리케이션과 연결시켜준다.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간단한 탭으로 서비스 콜을 자동화하고, 방재설비, 오피스 및 직원 식당 설비 등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편의성을 높여준다. 또한 이 솔루션으로 현장 서비스 팀이 서비스 내역과 수리 매뉴얼에 바로 접근하고 서비스 수락 및 콜 시간, 기간, 상태를 확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모든 서비스 활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현장, 지역, 글로벌로 확인 및 추적 가능하다. 이 솔루션은 규제 장비 사용내역과 같은 컴플라이언스 관리에도 효과적이다. HID 마크 로빈톤(Mark Robinton) 전략 혁신 및 개발 사업부문 총괄이사는 “HID 글로벌은 사람, 자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모바일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신규 HID 트러스티드 태그 서비스는 오늘날 설비 관리자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줄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신제품은 CMMS가 기업 전반에 걸친 고부가가치 설비 및 자산의 모바일 관리 보안 및 직관성의 수준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설비 운용 최적화는 이제 필수적인 것으로 HID 글로벌은 스마트 빌딩 관리를 위한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또한 HID글로벌의 파트너사인 서비스채널(ServiceChannel) 스티븐 고트프리드(Steven Gottfried) 설립자는 “자사는 문서, 프로세스, 프로토콜의 복잡성 없이 방재 및 기타 장비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자동화 부문에서 협업하는 파트너들과 전문가들의 설비 관리 방식을 혁신하는 것을 미션으로 삼고 있다. HID 글로벌은 이러한 비전을 함께 공유하고 있으며 HID의 신규 솔루션은 더 편리하고 관리가 쉬우며 응답성이 높고 생산적인 모바일 업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6-09-30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0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0 아젠다   시간 내용 09:00 - 09:30 등록(행사 전경) 09:30 - 09:40 개회사 - PLM컨소시엄 회장(LG전자 김경호 전무) 09:40 - 09:50 격려사 - 한국캐드캠학회 김태완 부회장 09:50 - 10:30 Business Intelligence for Smart PLM - LG전자 김경호 전무 10:30 - 11:10 Smart and Gree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Kalypso, Bill Poston 11:10 - 11:50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를 위한 친환경 전략 및 PLM - KAIST 서효원 교수 11:50 - 13:00 점심 식사 트랙 Track A Track B Track C Track D Track E Track F 자동차, 기계 기계, 항공, 소비재 조선, 중공업, 플랜트 전기/전자, 컨설팅 컨설팅 New Tech&학술 13:00 - 13:40 Global Tracking Vehicle 구축사례 GM 대우 건설장비 부문의 PLM 적용사례에버다임 조선 PLM 구축 사례 소개 현대중공업 AGV Material Handling SimulationLG전자 Product Development Metrics and Valuation Kalypso 스마트 엔지니어링과 스마트 PLM PLMBOK 13:40 - 14:20 Project Management System의 개발 업무 적용 방안다쏘시스템 썬스타 PDM/CAD 통합 구축 사례 SunStar R&C Green&Smart PLM For Marine&Plant Industry아비바코리아 제품개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마케팅과 R&D 협업 강화 사례 소개한국hp SAP Solutions for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SAP 토목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CPLM 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성균관대학교 14:20 - 14:40 휴식 14:40 - 15:20 변화하는 제조 IT환경에 최적화된 DRM 기반의 보안 전략파수닷컴 롯데칠성음료 PLM 시스템 구축 사례 롯데칠성음료 Digital Shipyard 구현을 위한 생산단계별 접근방안Siemens PLM Software 중소/중견기업의 PLM 구축을 통한 향상된 ROI 실현 사례 소개 디지테크 Innovating for Emerging MarketsPRTM 설계 목적별 조선 통합 BOM 데이터 활용을 위한 업무 기반 BOM 데이터 관계 정보 생성 서울대학교 15:20 - 16:00 차량E/E아키텍처 설계툴 개발 현황 및 향후계획 현대자동차 Simulation Lifecycle Management다쏘시스템 선박 생애주기관리를 위한 CMMS (선박설비관리 시스템) 개발 대우조선해양 Extended PLM, 기업내 제품 정보의 전사적인 활용 방안 LG CNS Innovation Governance 삼성SDS 제품 혁신의 출발: “Idea and Insight Management” IFT Korea 16:00 - 16:30 글로벌 제품개발을 위한 환경규 통합솔루션-Insight소개 PTC코리아 Microsoft 쉐어포인트 기반의 차세대 PLM솔루션을 활용한 제조협업 기술전략 디지테크 CATIA V6의 가치를 통한 제품 개발 프로세스 혁신의 가속다쏘시스템 차세대PLM에 있어서의 포트폴리오 관리 한국IBM 현대BSNC 소개 및 프로젝트 수행 성공 사례현대BSNC 선박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제품 구조 정보의 모델링 요구 및 접근 방안 KORDI 16:30 - 16:50 휴식 16:50 - 17:40 패널 토의 17:40 - 18:00 폐회 위의 일정은 업체의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김경호 전무 - LG전자LG전자 PLM 추진 이력을 간단히 소개하고, 2010년 초 출범한 BICC(Business Intelligence Competency Center)에서 제공하는 My Window를 소개한다. My Window는 스마트한 업무 처리를 위해 PLM 및 연관 시스템에 있는 대용량의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업무영역 별로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사용자 맞춰 제공한다.               Bill Poston Managing Partner - Kalypso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technology has evolved slowly into an enterprise software domain unto itself. From its roots in computer-aided design and product data management, the definition of PLM has expanded to include functionality that supports making strategic decisions and reduce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development and production. These new capabilities create the potential for leading firms to take a smarter and a greener approach to their PLM investments. This presentation will review these new capabilities and explore case studies from companies that are using them successfully.               서효원 교수 - 카이스트친환경에 관련된 국제적인 협약, 규제, 표준의 흐름을 살펴보고, 친환경 시대의 제품의 가치를 재 조명 해보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친환경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친환경 전략을 소개한다. 또한 기존의 PLM이 이러한 친환경 전략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변화해 나아가야 하는지도 소개한다.  
작성일 : 2010-07-20
보잉 자회사 CDG, 다쏘시스템솔리드웍스 3D CAD 도입
보잉 자회사 CDG, 다쏘시스템솔리드웍스 3D CAD 도입 다쏘시스템솔리드웍스는 보잉의 자회사인 Continental DataGraphics(CDG)가 급증하는 2D-3D 변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솔리드웍스의 3D CAD를 채택했다고 밝혔다.전세계 모든 보잉 상용기의 그림이 포함된 카탈로그 및 유지 관리 설명서를 작성하고 게시하는 CDG는 폭넓은 파일 형식을 지원하는 솔리드웍스의 3D CAD 도입을 통해, 게시 및 엔지니어링 용도에 부합하도록 2D 그림을 3D 모델로 쉽고 빠르게 전환할 수 있게 됐다. CDG는 엔지니어링 서비스 역량 강화를 통해 보잉은 물론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친 더 많은 고객에게 2D-3D 모델 변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향후 비즈니스가 신속하게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CDG는 솔리드웍스의 3D CAD 솔루션을 활용함으로써 3D 데이터를 2D 등각 투영, 부품 유지관리 설명서(CMMS: Component Maintenance Manuals)나 그림 포함 파트 카탈로그(IPC: Illustrated Parts Catalog)의 기술 관련 그림에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솔리드웍스는 DWG, DXF, 프로엔지니어, IPT(오토데스크 인벤터), 미케니컬 데스크톱, 유니그래픽스, PAR(솔리드에지), CADKEY, IGES, STEP, 파라솔리드, SAT(ACIS), VDA-FS, VRML, STL, TIFF, JPG, Adobe Illustrator, Rhinocerous, IDF, HSF(Hoops) 형식을 지원하는 양방향 변환기로 방대한 데이터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작성일 : 2009-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