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CAM"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4,010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스트라타시스, "인터몰드에서 적층 기술 통한 금형산업 비전 제시"
스트라타시스가 3월 14일부터 1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제26회 국제금형 및 관련 기기전(Intermold Korea 2023)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터몰드 2023은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금형산업 혁신기술‘이라는 주제로 전세계 20개국 350개사가 1200부스 규모로 참가해 ▲금형 및 부품 ▲공구류 ▲금형가공공작기계 ▲금형용 CAD/CAM 시스템 ▲3D 프린터 및 관련기기 ▲금형정밀측정 및 검사기기 ▲금형용 소재 등 금형산업과 관련된 전 품목을 선보인다. 스트라타시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올해 신규 출시된 엔지니어링 시제품 제작을 위한 폴리젯(PolyJet) 3D 프린터인 스트라타시스 J55 프로(Stratasys J55 Pro)를 전시한다. J55 프로는 다른 폴리젯 복합 소재 솔루션 대비 합리적인 가격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그레이 스케일 컬러와 소재를 지원한다. "최종 제품과 같은 매끄럽고 디테일한 지그, 픽스처, 기능성 파트, 콘셉트 모델 등을 제작할 수 있고 복잡한 형상, 세부 표현 및 특징을 정확하게 구현한다"는 것이 스트라타시스의 설명이다. 또한, 스트라타시스는 전시회 기간 동안 자사의 핵심 기술인 FDM 프린터 및 폴리젯 프린터와 고속 정밀 생산이 가능한 오리진 원(Origin One)을 전시하고 H350 3D 프린터, F770 FDM 3D 프린터, SL 방식의 Neo 광조형 3D프린터 솔루션 등의 글로벌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이 밖에도 3D 프린팅 시장 애플리케이션 확대를 위해 자동차와 모빌리티, 우주항공 및 국방, 생산 제조, 소비재 산업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부품 전시를 진행한다.    ▲ F370CR 3D 프린터에서 탄소섬유 복합소재로 출력된 툴링 부품   스트라타시스코리아의 문종윤 지사장은 “3D 프린터를 통해 기업이 비용을 절감하고 납기를 단축시켜서 제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삼고 있다. 적층제조 기술은 에너지와 소재 낭비가 고민인 금형 및 관련 제조업이 ESG 경영과 탄소 중립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전했다. 또한 “이번 인터몰드 2023 참가로 스트라타시스의 혁신적인 3D 프린팅 솔루션을 소개하고 국내 기업과의 협업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23-03-14
시스코, 삼성전자 갤럭시 S23와 Z 폴드4에 웹엑스 탑재
시스코 시스템즈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에서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시스코는 협업 솔루션인 웹엑스(Webex)를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 S23과 갤럭시 Z 폴드4에 적용해, 하이브리드 근무자들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히 협업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협업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모바일 카메라 쉐어(Mobile CAMera Share)’ 기능을 선보였다. 이 기능은 스마트폰의 고품질 영상 캡처, 줌, 손 떨림 방지 등 기능을 웹엑스와 결합한 것이다. ‘모바일 카메라 쉐어’가 지원되는 갤럭시 S23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웹엑스 미팅에 접속해 전·후면 카메라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미팅 참가자들과 아이디어를 나누고 도형이나 글을 화면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이거나 새로운 공간에서 원격 미팅에 접속할 때 장소의 제약 없이 협업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특징이다. 웹엑스를 이용해 공유되는 영상에 메모, 그림, 도형을 더하며 작업 진행 상황에 대해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다. 기업에서는 ‘모바일 카메라 쉐어’를 이용해서 제품의 기능을 시연하며 실시간으로 고객들에게 제품의 가치와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의료 분야에서는 웹엑스 화면에 나타난 엑스레이 사진에 표시를 하는 등 원격 진료를 포함한 향상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시스코는 접이형 스마트폰인 갤럭시 Z 폴드4의 특성을 활용한 웹엑스 미팅(Webex Meetings) 기능도 소개했다. 이 가능은 스마트폰을 태블릿 모드로 전환해 최대 12명의 참석 인원의 모습을 보거나, 멀티태스킹을 위해 화면을 접어 접속자와 콘텐츠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공유 방법, 하나의 화면 안에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픽처 인 픽처(PIP)’, 화이트보드 등을 포함한 웹엑스 미팅의 고급 기능이 갤럭시 기기에 탑재됐다. 시스코는 이를 통해 하이브리드 근로자들에게 더 높은 업무 유연성을 제공하고 하나의 모바일 기기로 업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 사용자의 업무 생산성 향상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시스코코리아의 라이언 김 협업 부문 세일즈 그룹 전무는 “시스코 웹엑스와 삼성전자의 협력은 장소와 관계없이 끊김 없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보다 원활한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혁신”이라면서, “시스코 웹엑스의 새로운 기능이 갤럭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완벽히 구현되어 하이브리드 근무 시대에 최적화된 미팅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3-03-07
NCG CAM 기능을 이용한 3D CAM 작업 (6)
정삭 가공   지난 호에서는 NCG CAM에서 황삭과 황잔삭 및 황삭 툴패스의 종류에 대하서 알아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연재 마지막회로 정삭 가공에서 사용할 수 있는 툴패스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고, 따라하기 형식으로 실습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 김민관 HD솔루션즈 솔루션사업본부 기술팀의 수석 컨설턴트이다. 이메일 | mkkim@hd-solutions.co.kr 홈페이지 | www.hd-solutions.co.kr   정삭은 황삭으로 거칠어진 면을 정리하기도 하고 정 치수에 가깝도록 마무리하는 가공이다. NCG CAM에서 제공하는 정삭 가공의 종류는 등고선, 등고선 옵셋, 등고선 결합, 헬리컬, 래스터, 크로스 래스터, 일정 피치, 몰프드, 방사선, 나선형, UV 패스가 있다.   등고선 패스 생성하기 일정한 Z 절입량으로 가공해 내려가는 등고선 패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등고선 패스는 주로 가파른 경사를 가지는 측벽부의 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Z 절입량(스텝다운)으로 가공해 내려가는 패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패스의 모양이 지도의 등고선과 유사해 ‘등고선 패스’라고 부른다. 등고선 패스는 중삭 및 정삭 시 래스터 패스, 일정 피치 패스와 더불어 가장 주로 사용되는 가공이다. 특히 기울기 바운더리 등을 생성해 완만한 구간은 래스터 패스나 일정 피치 패스로, 급격한 측벽 구간은 등고선 패스로 가공해 두 기능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같은 스텝다운일지라도 경사가 완만해지면 점점 피치(스탭오버)가 증가하기 때문에, 완만한 구간과 평면에는 등고선 가공이 사용되지 않는다.     등고선 패스 생성 실습   1. 예제 폴더에서 hsm.igs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2. I 키를 누른 후 M 키를 눌러 뷰를 ISO 뷰로 최대화한다. 3. 화면 왼쪽의 콘텐츠 트리에서 Triangulated 서피스를 활성화한다. 4. 리본 메뉴의 ‘패스’ 탭에 들어가 등고선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그래픽 창에서 마우스 우클릭해 등고선 패스를 클릭한다.       5. 공구에 그림과 같이 값을 입력하고 대화상자의 왼쪽에서 ‘패스’ 탭에 들어가 XY 가공여유, Z 가공여유, Z 절입량, 최소 각도를 그림과 같이 수정한다.       6. ‘확인’을 클릭하고 그림과 같이 등고선 패스가 생성된 것을 확인한다.       ◼︎ 전체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3-03
CAD&Graphics 2023년 3월호 목차
  INFOWORLD   Case Study 15 XR 토털 솔루션 전문 기업 삼우이머션 언리얼 엔진으로 자갈치시장의 안전관리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20 디지털 트윈을 통한 시뮬레이션 활용 사례 도시 건설부터 산업 혁신까지, 디지털 트윈의 활용 가능성 확대   New Products 24 엔지니어링 시제품 제작에 적합한 3D 프린팅 솔루션 스트라타시스 J55 프로 26 제품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성과를 높이는 시뮬레이션 솔루션 앤시스 2023 R1 52 전문가를 위한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인텔 제온 W-3400/W-2400 54 이달의 신제품   People&Company 29 알씨케이 박수진 대표 시각화 기술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과 메타팩토리 구현   Focus 32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 디지털 전환의 실질적인 활용 노력과 기술 짚다 39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으로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성 실현한다” 42 슈나이더 일렉트릭, “제조산업 지속가능성의 핵심 전략은 디지털화와 전기화” 45 어도비, “디지털 콘텐츠에서 비즈니스 기회 찾으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 48 한국IBM, 클라우드와 AI 중심으로 기업의 디지털 전환 지원 50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레드햇 리눅스를 더 쉽게 사용한다   Column 57 트렌드에서 얻은 것 No. 15 / 류용효 AI 시대의 업무와 성과 재정의(챗GPT에 질문하다) 60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챗GPT가 모든 것을 바꾼다   64 News 69 New Books   CADPIA   AEC 72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라이다-카메라 센서 퓨전을 이용한 3D 객체 인식 및 거리, 위치 자동 추출 기술 개발 방법 76 레빗에서 알아 두면 아주 유익한 꿀팁 시리즈 (16) / 장동수 평면도와 천장 평면도에서 View Range 차이를 이해하기 78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5) / 최영석  Express Tools, 문자 기능 소개 81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3 (10) / 천벼리 다중 분할   Reverse Engineering 84 이미지 정보의 취득, 분석 및 활용 (3) / 유우식 길이 측정   PLM 93 제조기업의 미래를 위한 PLM 이야기 (2) / 김성희 기업의 경영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PLM   Mechanical 96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9.0 (8) / 심미연 패밀리 테이블 생성과 편집   Manufacturing 102 NCG CAM 기능을 이용한 3D CAM 작업 (6) / 김민관 정삭 가공   Analysis 106 앤시스 워크벤치를 활용한 해석 성공 사례 / 최귀진 앤시스 그란타 셀렉터를 이용한 최적 재료 선정 프로세스    
작성일 : 2023-02-28
벤큐, 프로 디자이너를 위한 모니터암 일체형 4K 모니터 출시
벤큐는 27인치, 32인치의 IPS 패널에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프로 디자이너를 위한 모니터암 일체형 모니터 PD2705UA 및 PD3205UA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벤큐에서 운영·관리하는 벤큐 샵과 벤큐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에서 런칭하는 PD2705UA와 PD3205UA는 모니터암이 일체화된 프리모션 스탠드를 탑재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모니터 세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하, 좌우, 전후로 움직이는 프리모션 스탠드는 모니터 화면의 위치를 더욱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일반 스탠드에 비해 작아진 베이스로 데스크 공간 활용성을 높여준다.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정확한 색상 표현에 중점을 둔 제품으로 칼맨(calman)과 팬톤(PANTONE), 팬톤 스킨톤(PANTONE SkinTone) 인증을 받았으며, 개별 제품마다 팩토리 캘리브레이션 리포트를 제공해 3.0 이하의 정확한 색수차(Delta E)와 감마 성능을 보장하고 HDR10을 지원하여 생생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디자이너를 위한 편의 기능도 제공한다. 모니터와 컴퓨터의 ICC 프로파일을 일치시키는 ICC 싱크(ICC Sync) 기능을 지원하여 디바이스 간의 컬러 매핑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최대 90W 전력 공급이 가능한 USB-C 단자를 지원하여 케이블 하나로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2세대 핫키퍽이 제공되어 다이얼로 손쉽게 모니터의 밝기, 명암, 볼륨을 조절할 수 있고, 세 가지 프리셋 버튼으로 컬러모드, KVM 스위치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디자이너의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다양한 픽처모드도 제공한다. 맥북과 비슷한 색상을 보여주는 M-book 모드, 설계 디자이너가 그래픽 작업에서 복잡한 선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CAD/CAM 모드, 영상 에디터가 어두운 영역의 세밀한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명암을 조절하는 애니메이션 모드 등 10가지 픽처모드를 지원하고, 두 개의 컬러모드를 한 화면에서 보여주는 듀얼뷰(Dual View) 기능과 두 대의 PC를 하나의 모니터로 사용하는 KVM 기능을 지원하여 프리모션 스탠드와 함께 작업 효율성과 공간 활용도를 고려했다. 오랜 시간 모니터 앞에서 작업을 하는 디자이너를 위해 로우블루라이트, 플리커프리와 같은 벤큐 아이케어 솔루션도 탑재했다. 벤큐코리아 마케팅팀의 이상현 팀장은 “프로 디자이너 전용 모니터로 인기리에 판매 중인 PD2705U와 PD3205U에 프리모션 스탠드를 적용한 PD2705UA, PD3205UA는 보다 넓어진 틸트, 스위블 각도, 보다 작아진 스탠드 베이스 사이즈로 디자이너에게 최적의 워크스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며, “제품 별 사양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는 벤큐 샵과 네이버 벤큐 브랜드 스토어에서 상세한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벤큐 PD2705UA와 PD3205UA의 출시가는 각각 97만 9000 원과 139만 원이며, 패널을 포함한 무상 3년의 서비스 기간을 보증한다.
작성일 : 2023-02-23
Simcenter Mechanical simulation 2212, 전동화 및 항공우주 설계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능 확장
-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통해 물리적 테스트 이전 제품 성능에 대한 이해 높이고 자동화 향상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Siemens Digital Industries Software)는 기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심센터(Simcenter) 소프트웨어의 최신 릴리스를 발표했다. 최신 릴리스를 활용하면 전동화 엔지니어링 프로젝트를 간소화하고, 새로운 항공기가 안전마진을 충족하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내구성 테스트를 단순화할 수 있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솔루션 부문 수석 부사장 장클로드 에르콜라넬리(Jean-Claude Ercolanelli)은 "더 강력하면서도 친환경적이고 더 가벼우면서도 더 강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엔지니어링 문제를 해결하려면 완전히 통합된 CAE 솔루션이 필요하다. Simcenter의 최신 릴리스는 이전보다 효율적이고 훨씬 빠르게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강화된 여러 가지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강화된 기능을 통해 타이어 접촉 시뮬레이션을 45% 빠르게 풀거나 기체 구조 사이징 프로세싱을 최대 80% 줄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릴리스의 주요 기능은 모든 산업 및 워크플로에 적용되며 Simcenter 제품군에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적층 제조(AM)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빌드 프로세스 시뮬레이션이 필수적이다. 특히 금속 기반 파우더 베드 융합 생산 방식을 다룰 때 더욱 그렇다. 프로세스의 복잡한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AM 엔지니어는 숙련된 CAE 전문가와 협력해야 한다. 지멘스 Simcenter 3D 소프트웨어의 최신 릴리스는 심층적인 CAE 전문 지식이 없는 엔지니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간소화된 PBF(파우더 베드 융합) 빌드 프로세스 시뮬레이션용 애플리케이션을 도입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백그라운드에서 강력한 복셀(voxel) 기반 메시(mesh)를 사용해 PBF 빌드 프로세스를 신속하게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이 성공적으로 빌드되는지 여부를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이후 Simcenter 3D를 사용해 CAE 전문가가 더 자세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협업 또한 강화된다. -  Simcenter 3D 내에서 직접 원격 HPC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을 시작할 수 있는 기능이 도입돼 이제 원격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Remote Simulation Interface)에서 직접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토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는 심층 평가를 위한 대규모 결과 파일을 로컬 워크스테이션으로 다시 전송하기 전에 시뮬레이션 연구가 올바르게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1) 자동차 산업  전동화는 자동차 산업 전반의 주요 추세이며, 새로운 전기차(EV) 파워트레인의 개발은 전기 모터 설계, 변속기 분석, NVH 및 음향 등의 사일로로 세분화되는 경향이 있다. Simcenter 기계 시뮬레이션 도구는 EV 파워트레인 개발을 위해 각 분야 간 중요한 하중, 설계 및 모델 정보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일로 해소를 도울 수 있다. EV 개발 외에도 이번 릴리스의 추가적인 새로운 기능은 NVH에서부터 타이어와 윈드실드 와이퍼 성능에 이르기까지 또 다른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의 시뮬레이션을 개선한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Simcenter 3D의 새로운 접촉 패턴 디스플레이는 와이퍼 접촉 패턴의 분석을 지원한다. 와이퍼를 접촉 요소와 결합된 유연체로 모델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접촉 패턴 디스플레이로 앞유리를 가로지르는 와이퍼 힘의 결과를 쉽게 분석할 수 있게 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물리적 테스트 없이 힘이 얼마나 일관되게 또는 일관되지 않게 분배되는지 그리고 와이퍼 설계가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 마지막으로 최신 버전의 지멘스 Simcenter Tire 소프트웨어에는 주행 시뮬레이터 및 HIL(Hardware-in-the-Loop) 셋업에 필요한 고충실도 타이어 모델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대량의 도로 데이터 교환을 줄이기 위해 도로 접촉 알고리즘이 업데이트되었다. 이는 계산 성능이 최대 45% 향상되어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충실도 타이어 모델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항공우주 산업 항공우주 산업의 경우, Simcenter 3D의 새로운 기능을 통해, 얇은 항공기 스킨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하고 신속하게 안전 마진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모델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새롭게 개선된 기체 애플리케이션 기능 외에도 엔지니어가 연료 탱크의 액체 슬로싱(sloshing)을 시뮬레이션하여 로켓 발사 역학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표준 계산 템플릿이 Simcenter 3D 내의 안전 마진 분석 도구에 추가됐다. 새로운 템플릿은 일련의 규칙에 따라 모든 입력값을 자동으로 미리 채우므로 엔지니어는 계산을 적용할 지오메트리를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기존의 사용자 지정 스크립트 개발 및 관련 유지 관리 비용에 대한 의존도가 제거된다. -  Simcenter Nastran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기능 중 하나는 하중이 인장(멤브레인)이냐 압축(전단)이냐에 따라 강성 거동이 다른 얇은 외피 기체 구조에 대한 유한요소 모델을 지원한다. 오늘날 엔지니어는 일반적으로 모든 다양한 하중 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여러 유한요소 모델과 속성을 생성한다. 새로운 tension-only-quad 요소는 멤브레인 거동에서 전단 거동으로 자동 변경되므로 기체 구조를 나타내는 데 단일 모델만을 요한다.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 프로세싱 시간이 최대 80%까지 단축된다. -  저장 탱크의 액체 연료 슬로싱 역학은 항공우주 및 로켓 응용 분야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유도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Simcenter Nastran의 이번 최신 릴리스에서 새로운 비압축성 유체 모델은 슬로시 주파수 및 유체 탄성 모드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다른 산업 분야에서는 대형 선박, 자동차, 철도 차량 등의 화물, 밸러스트 또는 연료 탱크의 슬로싱을 평가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3) 산업용 기계 산업 산업용 기계 산업의 경우 기계 가동 시간이 주요 동인임에도 기계를 한계까지 물리적으로 테스트할 시간이나 자원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여기서 Simcenter는 전문 지식 없이도 내구성 예측을 지원하는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Simcenter 3D를 활용하면 강도(strength) 해석을 간소화하고 자동화하여 별도의 도구 세트와 지식 없이도 적절한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Simcenter 3D는 산업 표준 FKM 지침을 준수하는 데 필요한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계산한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는 스트레스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내구 해석을 바로 수행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기계의 작동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도울 수 있다. -  산업용 전력 변압기는 엄격한 소음 방사 표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변압기 개발을 위한 EMAG-Acoustics 모델에 적합해야 한다. 이제 Simcenter 3D에서 변압기 소음을 유발하는 복잡한 다분야 자기 변형 효과(multi-disciplinary magnetostriction effects) 시뮬레이션을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힘은 단일 환경 내에서 전자기학과 음향 성능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소음 및 진동 평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며 진동하기도 하는 회전축을 갖는 산업 기계가 있다. 엔지니어는 다양한 작동 속도에서 진동 주파수를 이해하기 위해 로터 역학(rotor dynamic) 시뮬레이션과 캠벨(CAMpbell)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선형 시스템에만 적용된다. Simcenter 3D를 이용하면, 비선형 부싱(bushing)이 포함된 비선형 시스템이 작동할 때 비선형 조화 응답 중에 콤플렉스 모드(complex mode)를 계산하여 캠밸 다이어그램을 생성해 비선형 시스템의 임계 속도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회전 구성 요소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영상 또는 링크를 통해, Simcenter 기계 솔루션의 최신 업데이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강화된 최신 시뮬레이션 기능이 워크플로를 간소화하고 제품 성능에 대한 통찰력을 높이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알아볼 수 있다.
작성일 : 2023-02-22
제26회 국제금형 및 관련기기전, 3. 14~18 일산 킨텍스서 4년 만에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
금형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 자리에서 조망할 수 있는 제26회 국제 금형 및 관련기기전(INTERMOLD KOREA 2023)이 2023년 3월 14일 막을 올린다.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진흥공단, KOTRA 등 5개 부처‧기관이 후원하는 가운데 열리는 INTERMOLD KOREA 2023은 일산 KINTEX 1전시장 2~3홀에서 3월 14~18일까지 닷새간 진행된다. 1981년 서울에서 처음 시작된 INTERMOLD KOREA는 국내‧외 우수 금형 및 원부자재, 최신금형가공기기 등 금형산업 전반의 수요창출 및 발전을 이끌어 왔으며, 자동차, 전기·전자, 반도체, 기계, 광학정밀, 생활용품 등 전방산업은 물론 금형소재·부품 및 공작기계, 열처리, 산업디자인 등 후방산업에까지 파급효과를 남겨 왔다.  코로나19로 인해 전시회의 오프라인 개최가 어려웠던 지난 2021년에는 온라인으로 전시회를 개최해 팬데믹 현상으로 인한 금형업계의 위축을 최소화 했다. 4년 만의 정상적인 오프라인 개최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이번 INTERMOLD KOREA 2023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20개국의 350개사가 1,200부스 규모로 참가해 코로나19에서 벗어난 금형산업의 지향점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INTERMOLD KOREA 2023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내로라하는 금형선진국들의 우수금형제품 및 기업들의 출품‧참가로 전시회의 질적 성장이 기대되는 바, 세계 최초이자 세계 3번째 규모의 금형전문전시회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전시품목도 금형 및 부품을 비롯해 공구류, 금형가공공작기계, 금형용 CAD/CAM 시스템, 3D 프린터 및 관련기기, 금형정밀측정 및 검사기기, 금형용 소재 등 금형산업과 관련된 전 품목이 총망라돼 전시장에서 선보여질 예정이다. “ON-OFF Line 연계 HYBRID 전시회로 마케팅 시너지 극대화” 한편, INTERMOLD KOREA 2023은 지난 2021년 온라인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던 경험을 살려, 올해는 온‧오프라인에서 동시에 INTERMOLD KOREA 2023을 개최해 전시회 성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생산금액 세계 4위, 수출액 세계 2위를 기록하면서 전세계 금형 시장에서 연간 5~6%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금형업계를 선도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코로나19를 비롯해 신3高현상(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공급망 사태 등으로 인해 금형업계는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올해 INTERMOLD KOREA 2023은 ‘실수요 창출을 통한 금형산업의 재도약’에 초점을 맞추고 운영될 예정이다. 우선 전시 기간 중 약 1,000명에 달하는 바이어들이 전시장을 방문하도록 해, ‘한국 금형’의 우수성을 알리는 한편, 전시 참가업체에게는 해외 판로 개척과 수출 다변화와 관련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금형‧부품 및 관련기기 등 구매상담을 위한 실수요자가 될 바이어들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과 미주‧유럽‧중동 등 전세계 20개국에서 전시장을 찾을 예정이다. 국내 제조업체와 해외바이어‧실수요업체가 상호간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2023 한국 금형 및 부품 수출상담회(이하 수출상담회)’도 전시기간 중 개최된다. 우리 조합과 KOTRA, 해외 유관기관들의 공동주관으로 3월 15일(수)(10:00) 전시장 내 회의실에서 열리는 수출상담회는 국내 금형‧부품 등 제조업체 50개사와 일본‧미주‧유럽 등 해외 바이어 및 실수요업체 30개사간의 활발한 상담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상담회에 참가하는 바이어들의 경우 우리 조합이 진성바이어를 엄선함으로써 수출상담회가 명실공히 실수요 창출과 금형산업의 저변확대의 장으로 자리매김 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INTERMOLD KOREA 2023은 ‘국제플라스틱‧고무산업전시회(Koplas)’와 동시에 개최돼 금형 및 연관·수요산업을 동시에 아우르는 제조업계 대표 전시회로 자리잡는 한편, 동시개최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관련업계의 구매담당자 방문 증가를 통한 출품기업 매출 증대도 기대된다. “다양한 부대행사로 풍성함 더해진 INTERMOLD KOREA 2023” 4년 만에 현장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인 만큼 전시기간 중 다양한 부대행사도 전시기간 내내 열려 전시회를 더욱 풍성하게 해준다. 전시회 개막일인 3월14일 오전에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유관기관 VIP와 참가업체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15일에는 ‘2023 한국 금형 및 부품 수출상담회’가 개최된다. 또한, 최신 금형 기술을 공유하는 ‘금형 및 관련기술 세미나‧학술포럼’이 전시기간 중 총 20여 회에 걸쳐 지속적으로 열리며, 현장 참관객과 사전 등록 참관객들을 대상으로 한 경품추첨 이벤트도 전시기간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작성일 : 2023-02-22
유니티, ‘유니버설 렌더 파이프라인’ 기능 및 기술 자료 담은 안내서 출시
유니티가 숙련된 유니티 개발자와 테크니컬 아티스트를 위한 ‘유니티 고급 사용자를 위한 유니버설 렌더 파이프라인’ 안내서를 공개했다. ‘유니티 고급 사용자를 위한 유니버설 렌더 파이프라인’은 유니티에서 지원하는 플랫폼의 수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며 관련 기술 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마련된 무료 전자책으로, 125페이지에 걸쳐 유니버설 렌더 파이프라인(Universal Render Pipeline, 이하 URP)의 설정 및 기능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유니티는 "유니티 2021 LTS(Long Term Support)에서 제공하는 최신 기능이 반영돼 실제 게임 제작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번 안내서는 기존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 기반 프로젝트를 URP로 전환하는 방법부터 URP에 적합한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 기반 광원, 셰이더, 특수 효과 업데이트, URP에서의 성능 최적화 등 URP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먼저 기존 프로젝트를 URP로 변환하는 경우, 품질 옵션을 비교할 것을 강조했다. 품질 설정에 따라 텍스처 해상도, 조명, 그림자 렌더링 등을 포함해 신(scene)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유니티는 안내서를 통해 로우엔드 및 하이엔드 설정에 따른 차이점 비교와 함께 품질 옵션을 전환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조명, 그림자 등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에서 URP로 전환할 때 발견할 수 있는 차이점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감마 조명 모델과 선형 모델 등 기본 조명 모델과 에디터 내 설정 컨트롤의 위치, 그리고 다양한 하드웨어 사양을 처리하는 방식 등 조명 설정과 관련된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 및 URP의 모든 측면을 다루고 있다. 또한, 안내서는 URP에서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으로 기본 및 고급 셰이더를 포팅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커스텀 셰이더를 코드로 작성하는 방법 등을 담은 셰이더 챕터, URP에 포스트 프로세싱 효과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단계별 지침을 제공하는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 챕터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오브젝트 렌더링과 렌더러 기능, 카메라 스태킹(CAMera Stacking), 게임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등도 소개하고 있다.
작성일 : 202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