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NEC"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51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지멘스, NEC와 협력해 로봇 훈련 자동화 설루션 개발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가 NEC와 기술 파트너 프로그램 협약을 맺고 로봇 3D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글로벌 설루션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지멘스의 테크노매틱스(Tecnomatix) 포트폴리오 내 프로세스 시뮬레이트(Process Simulate) 소프트웨어와 ‘NEC 로봇 태스크 플래닝(NEC Robot Task Planning)’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결합한 로봇 티칭(robot teaching) 자동화 설루션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이는 제조업계의 고객들이 작업 현장을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며, 사실 기반 관리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전망이다.     NEC의 블루스텔라(BluStellar)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제공되는 NEC 로봇 태스크 플래닝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로봇이 협력 작업을 수행하도록 최적화하고, AI를 활용해 로봇 동작 계획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독자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다. 이전까지 많은 로봇의 동작 계획은 숙련된 엔지니어가 ‘티칭(teach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수동으로 수행했다.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제조 현장에서 단일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로봇 동작 계획을 설계하는 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그 결과 여러 로봇을 사용하는 생산 라인의 가동 개시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이번 협력을 통해 NEC 로봇 태스크 플래닝은 프로세스 시뮬레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통합돼, 사용자는 클릭 한 번으로 로봇 동작 계획을 생성할 수 있게 됐다. 그 결과, 로봇 티칭에 필요한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 기능은 현재 프로세스 시뮬레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자동 경로 계획(automatic path planning) 및 로봇 프로그래밍 도구를 보완한다. 이와 함께 생산 라인 셋업 기간 단축, 사이클 타임(cycle time) 최적화, 사실 기반 관리를 구현하며, 전문가 개개인의 전문지식에 의존하던 운영 노하우의 공유와 이전을 용이하게 한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호리타 쿠니히코(Kunihiko Horita) 일본 지역 매니저 겸 부사장은 “지멘스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AI 역량을 활용해 NEC가 로보틱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NEC의 첨단 로봇 태스크 플래닝 설루션과 지멘스의 프로세스 시뮬레이트를 통합함으로써, 제조업체는 로봇 티칭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고, 셋업 시간을 단축하며, 생산성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협력은 지멘스가 디지털 전환과 지능형 자동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NEC와 같은 고객 및 파트너들이 전 세계 고객들에게 더욱 스마트하고 빠르며 탄력적인 제조 설루션을 제공하도록 돕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NEC의 히다시마 코스케(Kosuke Hidashima) 기술 서비스 소프트웨어 사업부 총괄 매니저는 “이번 협력으로 AI 기반의 디지털화,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장 최적화를 촉진하는 ‘NEC 로봇 태스크 플래닝’ 디지털 트윈을 지멘스의 프로세스 시뮬레이트 소프트웨어와 통합함으로써 DX(디지털 전환) 시대의 제조 혁신을 실현할 것이다. 또한 고객의 생산성과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5-11-10
SAP, 아태 지역 총괄 회장에 사이먼 데이비스 임명
SAP APAC(아시아 태평양)은 새롭게 개편된 아태 지역의 회장으로 사이먼 데이비스(Simon Davies)를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데이비스 회장은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한국, 호주, 뉴질랜드, 인도, 일본, 중화권과 동남아시아 등 아태 지역에서 SAP의 전략, 운영, 인사, 영업, 서비스, 파트너십, 수익성 등을 총괄하게 된다.  SAP는 아태 지역에서 78개 사무소에 걸쳐 3만 10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현대차·기아, NEC 코퍼레이션, 콜스 그룹(Coles Group), 위프로(Wipro), 후지쯔(Fujitsu Limited), 시세이도, 히말라야, 코클리어(Cochlear), 일본항공을 비롯한 주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비스 회장은 지난 25년간 아태 지역에서 IT 설루션을 개발, 판매 및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포스, 오라클 등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기업과 함께 일해 왔다. 가장 최근에는 스플렁크에서 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 지역의 수석 부사장 겸 총괄 책임자로 3년 넘게 근무했다. 또한 그는 여러 상장 전(pre-IPO) 기술 기업의 이사회 일원이자, 호주법인이사협회(AICD)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SAP의 아시아·태평양,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중부·동유럽(MEE) 지역 최고수익책임자(CRO)인 마노스 랩토폴로스(Manos Raptopoulos)는 “SAP는 목표, 인재, 그리고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및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면서, “사이먼 데이비스 신임 회장은 혁신을 추구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 시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으며, 다양성과 포용성을 갖추고 높은 성과를 내는 팀을 구축하는 데 뛰어난 전문성을 입증했다. SAP APAC은 데이비스 회장의 리더십 아래, 폴 매리엇 전 회장이 이끌어온 성과를 더욱 발전시키고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고객 성공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이먼 데이비스 회장은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게 되어 매우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많은 선도 기업이 SAP와 함께 전략적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면서, “특히 성공적인 클라우드 기반을 구축하고 비즈니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AI, 데이터 분석, 지속가능성 등 새로운 성장 기회를 여는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2-19
슈퍼마이크로, NEC에 인공지능 연구 위한 GPU 서버 시스템 공급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글로벌 AI 설비 기업인 NEC 코퍼레이션에 듀얼 소켓 3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와 각각 8개의 엔비디아 A100 80GB GPU를 갖춘 116개 이상의 슈퍼마이크로 GPU 서버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슈퍼마이크로에 따르면, NEC의 새 AI 슈퍼컴퓨터는 580 페타플롭 이상의 성능으로 일본 업계 내 최대 규모를 제공할 예정이며, 이미 수백 명의 NEC 연구원들이 AI 개발을 위해 일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슈퍼마이크로 580 페타플롭 시스템은 일본에서 최고의 AI 전용 연구 및 개발 환경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보다 발전된 AI 알고리즘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 이러한 슈퍼마이크로 솔루션은 엔비디아 NVLink 및 엔비디아 NV스위치(NVIDIA NVSwitch)를 포함하는 엔비디아 HGX AI 슈퍼컴퓨팅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슈퍼마이크로의 새로운 시스템은 대규모 분산 학습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SYS-420GP-TNAR 서버를 포함한다. 각 서버는 2개의 인텔 제온 플래티넘 8358 프로세서(32코어, 2.6GHz), 1TB 메모리, 8개의 엔비디아 A100 80GB 텐서 코어 GPU를 갖추었다. 또한 각 서버의 로컬 스토리지는 데이터와 관련해 1.9TB NVMe SSD 및 4개의 7.6TB NVMe SSD를 탑재했다. 서버 간의 상호 연결은 엔비디아 ConnectX-6 싱글 포트 인터페이스 5개와 스토리지용 엔비디아 ConnectX-6 듀얼 포트 인터페이스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슈퍼마이크로의 찰스 리앙(Charles Liang) 사장은 “NEC 코퍼레이션은 슈퍼마이크로의 GPU 서버를 설치해 최첨단 AI 연구에 사용하고 있다. 이번에 슈퍼마이크로가 NEC의 글로벌 AI 설비에 공급한 580 페타플롭 AI 퍼포먼스 솔루션 서버는 고난이도의 AI 워크로드에 대비하여 최고 성능의 CPU와 GPU를 갖추었다. 슈퍼마이크로는 고급 랙 스케일 서버 솔루션을 사용하여 전 세계 기업이 비즈니스 목표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도록 다양한 기업과 지속 협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NEC의 기타노 다카토시(Takatoshi Kitano) 수석 AI 플랫폼 설계자는 “NEC 코퍼레이션은 슈퍼마이크로의 GPU 서버로 최첨단 연구를 수행하여 AI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슈퍼마이크로 GPU 서버는 높은 확장성과 커스터마이징 용이성을 갖춰, 향후 AI 연구 성장에 따라 시스템이 탄력적으로 진화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AI 연구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슈퍼마이크로와 협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2-10-17
인텔, 씬앤라이트 노트북 위한 12세대 코어 P 시리즈・U 시리즈 프로세서 출시
  인텔은 12세대 인텔 코어 P 시리즈 및 U 시리즈 프로세서를 출시하며 12세대 인텔 코어 모바일 프로세서 제품군을 확장한다고 밝혔다. 높은 성능과 생산성을 위해 설계된 총 20개의 신규 모바일 프로세서는 차세대 씬앤라이트 노트북에 탑재될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LG를 비롯해 에이서, 에이수스, 델, 후지쯔, HP, 레노버, MSI, NEC 등 제조사는 3월부터 12세대 인텔 코어 P 시리즈 및 U 시리즈 프로세서가 탑재된 250개 이상의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인텔의 크리스 워커(Chris Walker) 부사장 겸 모빌리티 클라이언트 플랫폼 부문 총괄은 “인텔은 가장 빠른 게임용 모바일 프로세서를 출시한 데 이어, 12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제품군을 확장해 씬앤라이트 노트북의 성능을 크게 발전시킬 것”이라며, “인텔은 울트라씬 폼팩터부터 마니아들을 위한 최고 성능을 제공하는 세련된 디자인까지 소비자와 기업에 최고의 성능과 첨단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텔이 이번에 발표한 씬앤라이트를 위한 신규 프로세서는 다른 12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제품군과 마찬가지로 고성능 코어와 고효율 코어를 조합하는 인텔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처에 기반한다. 윈도우 11에서 구동하는 인텔 스레드 디렉터를 통해 화상 통화, 웹 브라우징 및 사진 편집 등의 워크로드들을 각자 적합한 코어에서 적합한 시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인텔7 공정이 제공하는 와트당 성능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신규 씬앤라이트용 12세대 인텔 코어 모바일 프로세서는 다음과 같은 사양과 성능을 제공한다. 최대 14코어를 갖춘 새로운 코어 아키텍처(퍼포먼스 코어 6개, 에피션트 코어 8개) 최대 96EU의 내장 인텔 아이리스 Xe 그래픽 DDR5/LPDDR5 및 DDR4/LPDDR4 등 폭넓은 메모리 지원 최대 70% 더 빠른 멀티 스레드 성능 제공 이동성을 요구하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3D 렌더링 성능 2배 향상 최대 30% 향상된 사진 편집 속도로 높아진 생산성 제공 무선 성능, 응답성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한 내장 인텔 와이-파이 6E(Gig+) 지원 모든 도크, 디스플레이 또는 엑세서리에 빠르고 간편하며 안정적인 연결성을 제공하는 썬더볼트 4 향상된 화상 회의를 위한 높은 이미지 품질 및 전력 효율성을 제공하는 인텔 IPU 6.0 한편, 12세대 인텔 코어 모바일 프로세서를 탑재한 인텔 이보(Intel Evo) 인증 노트북은 높은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품질의 이미지와 그룹 화상 통화를 지원하는 등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되어 있다. 인텔 이보 인증을 획득하고자 하는 노트북은 가장 많은 작업 부하를 처리해야 하며, 뛰어난 응답성, 인스턴트 웨이크, 실제 배터리 수명 및 급속 충전뿐 아니라 높은 화상회의 환경을 제공하는지 여부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 절차를 거치게 될 예정이다. 인텔은 "현재 150개의 생태계 파트너사와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다"면서, "올해 최초로 12세대 인텔 코어 H 시리즈를 탑재한 최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노트북 등 100개 이상의 인텔 이보 인증을 획득한 제품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작성일 : 2022-02-24
[온에어] 건물의 모든 라이프 사이클에서 데이터 관리를 돕는 전계장 솔루션, EDS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교육방송 지상 중계 캐드앤그래픽스 CNG TV는 3월 9일 ‘좋은 설계의 마지막 1%를 완성시키는 강력한 전계장 솔루션, Elecdes’를 지상 중계했다. 이번 방송에서는 제이텍솔루션 유광균 엔지니어과 이혜진 주임이 전기계장 솔루션인 EDS를 소개하고 데모 시연을 진행했다. 또한 스카다 시스템즈(Scada Systems)의 앤드류 본필드(Andrew Bonfield) 담당자도 화상연결을 통해 시청자들과 의견을 나눴다. 상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를 통해 볼 수 있다. www.cngtv.co.kr   1985년에 설립된 스카다 시스템즈는 자동 전기 설계를 위한 장비, 패널 및 전기 설계 기술을 구축해왔으며 실질적인 전기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힘써왔다. 스카다 시스템즈의 전기계장 솔루션인 EDS(Elecdes Design Suite)는 일정 작성, 전압 강하 및 오류 전류 계산, 조명설계, 메모, 세부 사항 및 그림의 수와 관계없이 전기 설비 또는 전원 시스템의 모든 측면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x-refs와 같은 기능을 사용해 문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솔루션 활용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관련 건물 정보가 캡처되고 건물 라이프 사이클의 다양한 단계에서 쉽게 정보에 접근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대화형 데이터 저장소를 갖는 것이다. EDS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인스트루먼트 매니저 : 계장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제품이다. 주요 산출물로는 루프, 데이터시트, 훅업, 와이어링 다이어그램 등이 있다. 오토캐드 P&ID와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다. ■ Elecdes : 2D 서킷 다이어그램, 스키메틱, 원라인 & 와이어링 다이어그램, 2D 패널 레이아웃, 케이블 스케줄 및 각종 전기 데이터 관련 리포트 산출과 데이터베이스 링크 기능 등이 있다. ■ 패널 레이스웨이 : 3D 모델링으로 전계장 레이아웃, 자동 케이블 라우팅, 케이블 길이 및 필 계산, 파워 분산, NEC 룰 등의 기능이 있으며 오토캐드 플랜트 3D와 나비스웍스 등을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이텍솔루션 이혜진 주임은 “전력 시스템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 기업의 시스템 분석을 위한 모델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와 리소스를 개선해야 한다”며 전계장 소프트웨어는 지속적으로 발전 중에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전계장 설계에서 BIM의 도입으로 AEC 산업 진화의 초기 단계를 넘어서고 있다. 시간 소모적인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여러 설계 반복을 분석해 관련 정보를 찾으면 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전계장에서의 BIM은 엔지니어링 워크플로를 보완하는 직관적인 도구와 리소스를 만드는 과제가 남았다. 유광균 엔지니어는 소프트웨어 데모로 더욱 자세하게 EDS에 대해서 설명했다.
작성일 : 2017-04-19
[온에어] 건물의 수명주기 데이터 관리를 돕는 전계장 솔루션, EDS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교육방송 지상 중계 캐드앤그래픽스 CNG TV는 3월 9일 ‘좋은 설계의 마지막 1%를 완성시키는 강력한 전계장 솔루션, cEdlees’를 지상 중계했다. 이번 방송에서는 제이텍솔루션 유광균 엔지니어과 이혜진 주임이 전기계장 솔루션인 EDS를 소개하고 데모 시연을 진행했다. 또한 스카시다스템즈(Scada Systems)의 앤드류 본필드(Andrew Bonfield) 담당자도 화상연결을 통해 시청자들과 의견을 나눴다. 상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를 통해 볼 수 있다. www.cngtv.co.kr ■ 홍유정 기자 hyj@cadgraphics.co.kr 1985년에 설립된 스카다 시스템즈는 자동 전기 설계를 위한 장비, 패널 및 전기 설계 기술을 구축해왔으며 실질적인 전기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힘써왔다. 스카다 시스템즈의 전기계장 솔루션인 EDS(Elecdes Design Suite)는 일정 작성, 전압 강하 및 오류 전류 계산, 조명설계, 메모, 세부 사항 및 그림의 수와 관계 없이 전기 설비 또는 전원 시스템의 모든 측면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x-refs와 같은 기능을 사용해 문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솔루션 활용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관련 건물 정보가 캡처되고 건물 라이프 사이클의 다양한 단계에서 쉽게 정보에 접근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대화형 데이터 저장소를 갖는 것이다. EDS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인스트루먼트 매니저 : 계장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제품이다. 주요 산출물로는 루프, 데이터시트, 훅업, 와이어링 다이어그램 등이 있다. 오토캐드 P&ID와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다. ■ Elecdes : 2D 서킷 다이어그램, 스키메틱, 원라인 & 와이어링 다이어그램, 2D 패널 레이아웃, 케이블 스케줄 및 각종 전기 데이터 관련 리포트 산출과 데이터베이스 링크 기능 등이 있다. ■ 패널 레이스웨이 : 3D 모델링으로 전계장 레이아웃, 자동 케이블 라우팅, 케이블 길이 및 필 계산, 파워 분산, NEC 룰 등의 기능이 있으며 오토캐드 플랜트 3D와 나비스웍스 등을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이텍솔루션 이혜진 주임은 “전력 시스템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 기업의 시스템 분석을 위한 모델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와 리소스를 개선해야 한다”며 전계장 소프트웨어는 지속적으로 발전 중에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전계장 설계에서 BIM의 도입으로 AEC 산업 진화의 초기 단계를 넘어서고 있다.  시간 소모적인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여러 설계 반복을 분석해 관련 정보를 찾으면 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전계장에서의 BIM은 엔지니어링 워크플로를 보완하는 직관적인 도구와 리소스를 만드는 과제가 남았다. 유광균 엔지니어는 소프트웨어 데모로 더욱 자세하게 EDS에 대해서 설명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7-03-31
3D 프린터 재료 개인이 직접 만든다, 데스트톱용 필라멘트 제조기
■ 개발 및 공급 : 티미스솔루션즈, 02-6124-5730■ 주요 특징 : 내열·내충격·유연성·연마성 개선, 대형출력과 후가공에 유리한 PLA필라멘트  티미스솔루션즈가 3D 프린터의 원료인 필라멘트를 집이나 사무실에서도 만들 수 있는 데스크톱용 필라멘트 제조기를 개발했다. 전 세계에 가장 많이 보급된 3D 프린터 방식인 적층형 방식의 프린터의 원료인 필라멘트를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지금까지 일반적인 필라멘트는 1Kg에 2만원~15만원까지 다소 비쌌으며, 장기 보관시 성분이 변하기까지 했다. 또한 재료 대부분이 중국에서 들여오는 것이 많아 유해한 화학적 성분이 포함 되어 있는 필라멘트도 있었으며, 색상도 획일적이어서 다양한 색상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이번에 개발한 제조기는 완성된 필라멘트에 비해 30% 정도의 금액으로 만들 수 있다. 펠렛이라는 원재료를 구입해서 투입구에 넣고 간단한 설정만 하면 집이나 사무실에서 필라멘트를 생산하여 즉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색상 또한 본인의 취향에 따라 만들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국내 대기업에서 생산된 펠렛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해 유해성이 검증되지 않은 중국산 필라멘트와 차별성을 부여했고, 소량 생산으로 보관의 부담도 덜 수 있게 됐다.티미스솔루션즈는 현재 소량 개인 생산용인 개인용 필라멘트 제조기, 다양한 재료 실험용인 중형 필라멘트제조기, 판매용 필라멘트 생산을 위한 대형필라멘트 제조기까지 라인업을 갖추고 본격적인 생산 준비에 들어갔다. 개인용 필라멘트 제조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면, 3D프린팅 소재의 다양화와 국내 소재 개발자들의 다양한 연구 성과를 즉시 구현하고 생산까지 할 수 있어 3D프린팅 산업 발전에 기여 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보실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16-09-05
백색광 박싱 데스크톱 3D 스캐너, EinScan
■ 개발 및 공급 : SHINING3D, http://en.shining3d.com■ 주요 특징 : 백색광 방식 데스크탑형 3D스캐너■ 가격 : 160만원(부가세 별도) SHINING3D(샤이닝3D)에서 개발한 아인스캔(EinScan)은 백색광 방식의 데스크톱형 3D 스캐너이다. 3D 프린터를 위한 3D 데이터는 만들기 어려운데 기존 3D 스캐너는 너무 가격이 높거나 저가 제품은측정 사이즈에 제한이 있고 속도가 너무 느려 활용도가 떨어졌다. 아인스캔은 Scan To 3D Print가 가능한 3D 스캐너로 개발됐다. 3D로스캔된 이후 빈 공간들은 자동으로 채워지고 거친 부분은 매끄럽게 보정해 3D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준다. 2015년 8월에 새롭게 출시된 아이스캔은 스캐너 본체, 자동 회전판,캘리브레이션 판, 삼각대(옵션), 보관 가방(옵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특징레이저 방식이 아닌 백색광 방식으로 0.1mm 이하의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다. 작은 물체(200x200x200mm 이하)는 자동회전 테이블에 올려 놓으면 자동으로 3D 스캔이 가능하다. 또한 스캔이 안 된 부분은 추가적으로 3D 스캔해 정렬할 수 있다. 큰 물체(700x700x700mm 이하)는 부분적으로 3D 스캔해 계속 정합하는 방식으로 스캔할 수 있다.(고가의 장비에서만 지원하는 기능으로 고가 3D 스캐너 활용 기술 습득 가능) 오토 스캔을 이용하면 전체 데이터 취득까지 4분 안에 완료된다. 기존 저가형 제품은 레이저 방식으로 속도가 느리지만 빔프로젝터를 내장한 광학 방식으로 약 4배 빠르다. 자동 회전테이블에 물체를 올려놓고 단순히 ‘클릭’만 하면, 모든 스캔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진행된다. 또한 데이터 보정이 자동으로 진행되어 빈 공간을 메우고 3D 프린팅 가능한 최적 상태의 파일로 수정된다. 주요 기능3D 스캔 후 3D 프린터 출력 시 추가적인 데이터 편집이 필요없다. 3D 스캔 완료시 빈 공간이 자동으로 채워지고 또한 출력용으로 매끄럽게 보정된다. 일반 저가형은 추가 스캔에 대한 정렬기능이 없어 정확한 형상 취득이 불가능하다. 아인스캔은 추가 스캔에 대한 정렬 기능으로 움푹 파인 제품까지 3D 스캔이 가능하다. 내장된 빔프로젝터로 구조화된 광 펄스를 주사한 후, 2개(1.3M) CCD 카메라로 3D 스캔 데이터를 측정해 높은 정밀도(0.1mm 이하) 및 높은 정확도의 데이터 생성이 가능하다. 기존 보급형 3D 스캐너보다 고품질의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며, 고가 3D 스캐너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3D 스캔 퀄리티를 제공한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보실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16-09-02
Creo Parametric 3.0의 새로운 기능
대형 어셈블리 관리 중 슈링크랩 생성 활용 이동환E-mail | dhlee@digiteki.com홈페이지 | www.digiteki.com 디지테크 서울기술지원팀의 과장으로 Creo 전 제품들의 기술지원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어셈블리에서 디스크와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주는 크리오 파라메트릭 3.0(Creo Parametric 3.0)의 슈링크랩 생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슈링크랩 모델 생성 시 사용된 품질 설정과 원본 모델의 복잡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숨겨진 컴포넌트가 많은 어셈블리의 경우 메모리가 대폭 절약된다. 슈링크랩 모델을 생성할 때 서로 다른 모델의 설정을 여러 방법으로 조합하여 일차적인 파일 크기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슈링크랩 모델의 유형에는 서피스 서브셋, 면처리된 솔리드 또는 결합된 솔리드 유형의 비연과 슈링크랩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크리오 파라메 트릭 3.0(Creo Parametric 3.0)에서 슈링크랩의 3가지 유형을 생성해 보도록 하자. 슈링크랩의 특징 ■ 디스크와 메모리 사용량을 90% 이상 줄여준다.■ 단일 라이트웨이트(LW) 부품으로 복합 설계 어셈블리를 표현할 수 있다. ■ 대형 어셈블리를 실행할 때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델의 내부 설계를 공개하지 않고도 다른 설계 팀, 공급자 또는 고객이 사용할 수있도록 모델의 정밀한 외부 표현을 제공할수 있다.■ 모델에 포함된 정보의 양과 처리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 - 슈링크랩 모델에는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원본 모델이 수정되어도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슈링크랩 모델의 유형서피스 서브셋으로 내보낸 슈링크랩 모델 생성하기 서피스 서브셋은 서피스와 기준 피처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참조 모델의 외부 표현을 나타내는 단일 부품이며, 수집한 서피스의 품질 단계를 조정할 수 있다. 더 높은 품질을 적용할 수록 슈링크랩에 포함될 서피스 양이 증가하며, 서피스를 제외하여 모델크기를 줄이거나 서피스를 추가하여 원본모델을 더 자세히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신속한 슈링크랩 방법으로 모델 크기가 가장 작으며, 서피스로만 구성된다. 원래 설계의 외형에서 수집된 각 서피스는 슈링크랩 모델로 복사된다. 색상은 보유된다. ANIMATE 어셈블리 파일 열기 후 파일→ 다른 이름으로 저장 → 복사본 저장을 클릭한다. 복사본 저장 대화상자의 유형 드롭다운 목록에서 슈링크랩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한다. 슈링크랩 생성 대화상자에서 생성 방법 탭의 서' 피스 서브셋'을 체크한다. 품질 탭에서 레벨을 10으로 설정하고(최대 10까지 가능), 특수처리 탭에서 '구멍 채우기'의 체크를 해제한 후 미리보기를 클릭한다. 서피스 서브셋 슈링크랩으로 생성된 파일을 열어 본다. 서피스 서브셋 슈링크랩의 변경된 부분을 모델 트리에서 확인할수가 있다. 파일 확장자가 ANIMATE_SW0001.PRT로 변경되고, 외부 형상 복사 피처가 생성되었다. 품질 단계가 높을수록 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제외되는 서피스 수가 적어진다. ■ 더욱 자세한 내용은 PDF를 통해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6-07-27
이튼 일렉트리컬 코리아, UL 1741 표준 규격에 부합하는 1KV 태양광 직류 차단 재결합 장치 출시
이튼 일렉트리컬 코리아(www.eaton.kr)가 UL(Underwriters Laboratories) 1741 표준 규격에 부합하는 1kV 태양광 직류(DC) 차단 재결합 장치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인증은 독립형 및 계통 연계형 전원 분산 시스템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튼의 파워 엑스퍼트(Power Xpert) 태양광 직류 차단 재결합 장치는 다수의 결합 장치로부터 태양광 인버터로 분산이 가능한 하나의 메인 버스(Buss)나 공급으로의 유입 전력 통합을 간소화하도록 설계됐다. 이는 노동력과 원료 비용을 최소화하는 한편, 태양광 시스템 효율을 유지시키기 위해 전압과 전력 손실을 방지한다. 또한 파워 엑스퍼트(Power Xpert) 태양광 직류 차단 재결합 장치는 이튼의 폭넓은 PV가드(PVGard) 태양광 회로 차단기를 기반으로 한 맞춤 제작을 통해 사용 환경 유연성과 장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kV 직류 정격전압은 고전압 태양광 설비에 대한 안정적인 성능과 접지/비접지 또는 양극성 시스템으로 구성이 가능한 유연한 설계를 갖췄다. 해당 솔루션은 모든 인버터의 최대 600A의 입력 전류와 4kA의 출력을 지원한다. 출력은 단일 정렬 출력(견인 구역), 구조당 출력, 차단기 입력당 개별 출력 세 가지 중 하나로 선택 가능하다. 이튼 일렉트리컬 동북아시아 총괄 박평원 대표는 “이튼은 고객의 시스템 요구 사항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태양광 주변장치(BOS. Balance of System) 솔루션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며, “고전압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직류 차단 재결합 장치는 태양광 발전 기반 시설의 안전성과 성능 향상을 위해 통합된 회로 보호 기능을 갖춰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양광 모듈, 결합 장치, 인버터의 배선에 대해 통합된 보호를 제공하는 이튼의 PV가드(PVGard) 회로 보호 솔루션은 UL 489B 규격에 부합하며, 설계 유연성과 비용 절감을 위해 차단기 정격의 100%, 80%를 모두 제공한다. 또한 결합 분리와 과전류 보호를 위해 단일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NEC(National Electric Code)의 요구 조건 역시 충족시킨다.
작성일 : 201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