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LG생활건강"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8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포커스] 3D 콘텐츠 제작 시대, 어도비 서브스턴스가 펼치는 미래
어도비코리아가 지난 6월 26일 서울 엘타워 그랜드홀에서 ‘어도비 서브스턴스데이 서울(Adobe Substance Days Seoul)’을 개최하고, 서브스턴스 3D(Substance 3D) 기술을 활용한 최신 3D 디자인 트렌드와 실무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기업 고객 초청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어도비 서브스턴스 3D 팀을 포함해 게임, 소비재, 패션 등 다양한 국내외 산업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실제 사례 기반의 워크플로와 기술 활용법을 소개했다. ■ 박경수 기자   ▲ 어도비 페데릭 쾰러 엔터프라이즈 세일즈 디렉터의 키노트   어도비 기술의 현재와 미래…분야별 사례 위주로 소개 어도비 페데릭 쾰러(Federic Kohler) 엔터프라이즈 세일즈 디렉터는 키노트를 통해 어도비 서브스턴스 3D팀이 이룩한 최신 업데이트와 향후 로드맵을 공유하면서 3D 콘텐츠 제작 역량 강화를 강조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어도비코리아 김인호 리드 테크니컬 아티스트가 실시간 데모를 통해 서브스턴스 페인터(Substance Painter) 및 서브스턴스 디자이너(Substance Designer)의 신기능을 시연해 참가자들의 현장 반응이 뜨거웠다.   ▲ 어도비코리아 김인호 리드 테크니컬   국내 기업들의 실사 중심 사례 발표도 풍성했다. 크래프톤 진현석 3D 캐릭터 리드는 캐릭터 제작 워크플로를 ‘형태–재질–공간실루엣’의 3단계 법칙으로 정의하며, 서브스턴스 3D 기반의 생산성 향상을 실제 프로젝트 사례로 설명했다.   ▲ 크래프톤 진현석 3D 캐릭터 리드   LG생활건강 오민경 디지털 콘텐츠 팀장은 ‘버추얼 포토그래피(virtual photography)’ 적용 현황을 발표하면서, 생성형 AI와 브스턴스 기술의 결합으로 콘텐츠 제작이 어떻게 혁신되었는지를 소개했다. 이를 통해 사진 기반 비주얼 콘텐츠의 제작 기간 단축 및 품질 향상이라는 효과가 두드러졌다.   ▲ LG생활건강 오민경 디지털 콘텐츠 팀장   글로벌 연사 초청…디지털 트윈·브랜드의 3D 확장 해외 연사 세션도 눈에 띄었다. INDG의 바스티안 헬럭(Bastiaan Geluk) 디지털 패션 총괄은 INDG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GRIP을 활용한 패션 디지털 크리에이션 사례를 소개했다. 디지털 트윈 기반의 패션 콘텐츠 생산 절차와 이를 통한 자원 효율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는 GRIP 플랫폼을 기반으로 브랜드의 3D 렌더링, 디지털 샘플 제작, 캡(모자) 모델 등의 시각 콘텐츠 생성 과정을 설명했다. 디지털 트윈 기반의 3D 시각화가 강조되는 환경에서 실제 제품을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하는 제작 과정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태피스트리의 카르멘 오티즈(Carmen Ortiz)와 브랜든 키니(Brandon Keeney)는 코치(Coach)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3D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를 공유하면서, 글로벌 브랜드에서의 적용 방안을 현실적으로 시사했다.   ▲ INDG의 바스티안 헬럭 디지털 패션 총괄   네트워킹과 이벤트로 온기 더하다 마지막 세션 종료 후에는 저녁 만찬과 함께 네트워킹, 럭키 드로 이벤트가 마련되어 참석자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할 수 있는 장이 제공되었다. 어도비 3D사업부 김태원 총괄상무는 이번 행사를 통해 “다양한 산업군의 실무자들이 서브스턴스 3D 경험을 공유하고, 3D 디자인과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얻는 자리였다”고 전했다. 서브스턴스 데이 서울 2025는 기술 혁신과 실무 중심 사례 발표의 조합이 돋보였다. 생성형 AI와 버추얼 포토그래피의 결합을 비롯해 디지털 트윈 기반의 콘텐츠 제작, 글로벌 브랜드의 3D 확장 사례가 한데 어우러지며, 3D 디자인이 단순한 시각화를 넘어 전략적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앞으로도 어도비 서브스턴스 3D는 다양한 산업에서 새롭고 창의적인 콘텐츠 제작의 중심에 설 것으로 기대된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8-04
어도비, ‘Substance Days Seoul’ 개최…3D 디자인 최신 트렌드 공유
어도비(Adobe)가 6월 26일 서울 엘타워 그랜드홀에서 ‘Adobe Substance Days Seoul’을 개최하고, Substance 3D 기술을 활용한 최신 3D 디자인 트렌드와 실무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기업 고객 초청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Adobe Substance 3D 팀을 포함해 게임, 소비재, 패션 등 다양한 산업의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실제 사례 기반의 워크플로우와 기술 활용법을 소개했다. ▲ 어도비 페데릭 쾰러(Federic Kohler) 엔터프라이즈 세일즈 디렉터의 키노트   이날 행사는 어도비 페데릭 쾰러(Federic Kohler) 엔터프라이즈 세일즈 디렉터의 키노트를 시작으로, 어도비 김인호 리드 테크니컬 아티스트가 Substance 3D의 최신 기능과 실시간 데모를 선보였다. 이어 크래프톤 진현석 3D 캐릭터 리드는 ‘형태-재질-공간-실루엣’의 3단계 법칙에 기반한 캐릭터 제작 워크플로우를 발표했다. LG생활건강 오민경 디지털 콘텐츠 프로젝트 팀장은 ‘Virtual Photography’ 도입 사례를 공유하며, 생성형 AI와 Substance 기술을 결합한 콘텐츠 제작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 어도비 김인호 리드 테크니컬 아티스트의 Substance 3D의 최신 기능과 실시간 데모 모습 해외 연사 세션도 주목을 받았다. INDG의 Bastiaan Geluk 디지털 패션 총괄은 디지털 트윈 기반의 패션 콘텐츠 제작 사례를 발표했으며, Tapestry 소속의 Carmen Ortiz와 Brandon Keeney는 코치(Coach) 등 자사 브랜드에서 대규모로 3D 콘텐츠를 제작한 과정을 소개했다. 어도비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실제로 Substance 3D를 활용한 경험을 나누는 자리로, 3D 디자인과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공유하고자 마련되었다”고 전했다. 한편 행사 말미에는 저녁 만찬과 함께 네트워킹 및 럭키드로우 등도 마련되었다.
작성일 : 2025-06-26
LG전자 주요 협력업체 및 관계사 리스트 정리
LG전자 국내 관계사 및 협력업체 명단      LG전자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 상호 주요사업 설립일 주소 엘지이노텍㈜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 매 1970.08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10로 30 ㈜하이프라자 전자제품 도,소매 1997.05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자동차부품 생산 및 판매 2021.07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322 하이엠솔루텍㈜ 기타 일반 기계 및 장비 수 리 2006.01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하이케어솔루션㈜ 용역서비스 2021.01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에이스냉동공조㈜ 공기조화장치 생산 및 판매 1998.11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수정로 299번길 43 ㈜하이텔레서비스 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 스 2009.12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지케이더블유라이팅시스템 즈코리아㈜ 자동차 조명 연구개발 2019.07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 322번길 ㈜하누리 사업시설 유지관리 2013.02 경기도 오산시 남부대로 464-16 이노위드㈜ 용역서비스 2012.05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5번로 26   국내 계열회사 현황 기업명 법인등록번호 ㈜LG 110111-0003543 ㈜LX홀딩스 110111-7875359 LG전자㈜ 110111-2487050 ㈜LX인터내셔널 110111-0004632 ㈜LG화학 110111-2207995 ㈜LG생활건강 110111-2208000 LG디스플레이㈜ 110111-0393134 ㈜LG유플러스 110111-1296676 LG이노텍㈜ 110111-0192180 ㈜지투알 110111-0375398 ㈜LX하우시스 110111-4071207 ㈜LX세미콘 160111-0089395 ㈜로보스타 110111-1655393 ㈜엘지헬로비전 110111-1144297 ㈜LG씨엔에스 110111-0516695 ㈜LG스포츠 110111-0359300 ㈜LG경영개발원 110111-0423494 ㈜LX엠엠에이 206211-0001805 ㈜미디어로그 110111-1905441 ㈜데이콤크로싱 110111-2234683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110111-2411520 ㈜하이프라자 131111-0028801 ㈜씨텍 110111-0589171 ㈜씨에스리더 110111-2271924 ㈜아인텔레서비스 180111-0367581 ㈜비즈테크파트너스 110111-2689507 코카콜라음료㈜ 110111-1342130 하이엠솔루텍㈜ 110111-3371989 ㈜씨에스원파트너 110111-3961756 ㈜에이치에스애드 110111-3076662 ㈜엘베스트 110111-3806267 ㈜하이텔레서비스 110111-4251552 ㈜한국음료 211311-0005197   ㈜곤지암예원 134211-0111354 해태에이치티비㈜ 110111-0900004 에이스냉동공조㈜ 135111-0047493 ㈜나눔누리 176011-0075546 이노위드㈜ 200111-0343156 ㈜하누리 134811-0262254 ㈜행복누리 150111-0172829 ㈜위드유 110111-5145556 ㈜LX판토스 110111-0208127 ㈜판토스부산신항물류센터 180111-0641133 ㈜헬리스타항공 120111-0528086 ㈜에프엠지 140111-0020096 ㈜밝은누리 150111-0206876 당진탱크터미널㈜ 165011-0011709 ㈜팜한농 110111-4362482 ㈜행복마루 110111-6140993 LG파루크㈜ 110111-6210647 ㈜미젠스토리 131111-0466580 ㈜미래엠 134211-0190259 ㈜드림누리 110111-6560282 태극제약㈜ 134811-0004367 ㈜그린누리 230111-0286144 ㈜한울타리 110111-6628337 ㈜로보메디 161511-0181019 ㈜울릉샘물 175811-0003526 ㈜루치펠로코리아 110111-5089316 ㈜에스앤아이씨엠 110111-7030507 ㈜유플러스홈서비스 110111-7343215 지케이더블유라이팅시스템즈코 리아㈜ 120111-1013094 ㈜로아코리아 110111-6932019 ㈜씨브이파트너스 110111-7687027 ㈜엘지에너지솔루션 110111-7701356 하이케어솔루션㈜ 110111-7737070 ㈜아름누리 150111-0302103 ㈜고운누리 134111-0575239 엘지마그나이파워트레인㈜ 120111-1161330   LG전자 타법인 출자 현황 (단위 : 백만원, 천주, %) 법인명 상장 여부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장부가액 엘지디스플레이㈜ 상장 1998.08.01 경영참여 3480623 엘지이노텍㈜ 상장 1999.10.01 경영참여 541538 ㈜하이프라자 비상장 1997.05.01 경영참여 136459 에릭슨엘지㈜ 비상장 2005.10.13 경영참여 38834 ㈜로보스타 상장 2018.07.17 경영참여 88112 ㈜로보티즈 상장 2017.12.15 경영참여 9000 하이엠솔루텍㈜ 비상장 2006.01.01 경영참여 3654 하이케어솔루션㈜ 비상장 2021.01.01 경영참여 - 에이스냉동공조 비상장 2011.05.01 경영참여 2480 ㈜아크릴 비상장 2018.03.16 경영참여 2000 ㈜하누리 비상장 2013.02.07 경영참여 360 ㈜하이텔레서비스 비상장 2010.01.01 경영참여 150 나라엠앤디㈜ 상장 1999.02.19 단순투자 22938 인베니아㈜ 상장 2001.01.01 단순투자 2997 비나텍 상장 2015.09.18 단순투자 13000 인공지능연구원 비상장 2016.07.28 경영참여 3000 스트라드비젼㈜ 비상장 2017.09.01 단순투자 133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비상장 2011.05.24 단순투자 1125 오라컴 비상장 2016.02.16 단순투자 833 나라엠텍 비상장 2005.11.01 단순투자 597 씨앤엠 비상장 2006.09.01 단순투자 400 이노프라 비상장 1999.02.01 단순투자 245 ㈜엔젤로보틱스 비상장 2017.05.02 단순투자 30 플레넷 비상장 2009.04.30 단순투자 - ㈜맥스웨이브 비상장 2004.12.01 단순투자 - 퓨처플레이㈜ 비상장 2019.06.27 단순투자 987 이엔테크놀로지㈜ 비상장 2019.06.27 단순투자 - 포티투닷㈜ 비상장 2019.10.01 단순투자 3500 레메디 비상장 2020.07.01 단순투자 1600 지이모션 비상장 2020.07.17 단순투자 1000 ㈜티랩스 비상장 2020.07.30 단순투자 1000 ㈜에임퓨처 비상장 2020.12.28 경영투자 800 ㈜이디더블유오 비상장 2021.01.11 단순투자 - (주)브이에이코퍼레이션 비상장 2021.07.29 단순투자 - (주)비바이노베이션 비상장 2021.08.10 단순투자 - 엘지마그나이파워트레인㈜ 비상장 2021.07.01 경영참여 - * 출처 : 2021년 6월 LG전자 사업 보고서  https://www.lge.co.kr/company/investor/businessReport   LG전자 관련 협력업체 리스트  신성델타테크 태화기업 엠에스이 디케이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삼아알미늄 TCC스틸 대성파인텍 대성파인텍  삼아알미늄   삼화콘덴서  신성델타테크  알루코  현우산업   에스지로보틱스 엔젤로보틱스 로보티즈 로보스타 아크릴 보사노바 로보틱스   * 이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관련 추가, 수정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적어주시거나 당사로 연락주세요.       
작성일 : 2022-03-13
클라우드향(向) 미들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솔루션, LENA/TunA
개발 및 공급 : LG CNS 주요 특징 LENA - 빠르고 확장가능하며 장애에 선대응할 수 있는 운영 중심의 ‘저비용 고효율 차세대 WAS’ TunA -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함께 상세 통계자료 및 보고서를 제공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모니터링 도구 사용 환경(OS) : CentOS 6.5 이상, 윈도우 7 이상(32비트/64비트) 시스템 권장 사양 : 최소 메모리 512MB, 디스크 공간 100MB, 기본 메모리 2GB   조선산업의 혁신을 위한 제언에서 ‘언제 어느 곳에서나 설계하고, 관리하고, 추적하고, 접속한다’는 말이 있다. 이처럼 정보의 생성과 동시에 관련자에게 공유되고 수정되고 다시 공유되는 일련의 과정이 혁신의 핵심이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는 IoT 센서에서 발생하는 온습도와 같은 센싱 데이터가 될 수도 있고 제조설계, 애니메이션, 시각효과 모델링 데이터가 될 수도 있고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서 만들어진 자산(Asset)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생성된 정보가 언제 어는 곳에서든 공유되기 위해서는 접속, 즉 인터넷을 통한 접근이 유연해야 한다. 그것이 유선이든 무선이든 말이다. 인터넷에서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웹 기반이 필요한데 이를 ‘미들웨어’라고 한다. 미들웨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와 컴퓨터의 연결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미들웨어는 크게 아파치, 톰켓, 엔진X와 같은 오픈소스 기반과 웹로직, 웹스피어, JBoss, 제우스, LENA와 같은 상용 기반으로 나눈다. ‘레나(LENA)’는 LG CNS가 2014년부터 자체 개발한 국산 미들웨어(WAS : Web Application Ser ver) 솔루션이며, 20년간 서울, 인천, 부산 등 전국 4개 데이터센터를 운영한 노하우로 얻은 미들웨어 관리 방법론과 장애 감지 및 진단 알고리즘을 녹여 놓은 결과물이다. 이에 따라 LENA는 운영 중인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미리 장애를 예측하는게 가능하다. 대량 조회, 응답 지연, 사용자 증가 등 주요 장애 원인을 최대 77%까지 예측 가능하고, 메모리 과다 사용, 접속자 임계치 초과, DB 접속량 증가, CPU 과부하 등 여러 장애 유형도 최대 82%까지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클라우드 환경 속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 도입 비용이 낮고, 소프트웨어에 매년 지불하는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서버에 필요한 기능만 적용시키는 알고리즘을 사용해 CPU 사용률 10%, 메모리 사용률 20%를 향상시켜 IT 비용 절감에 효과가 크다. LENA는 대규모 시스템의 여러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중앙에서 일괄 제어하는데 최적화된 클라우드 솔루션이다. 가 장 큰 장점은 기존 미들웨어 사용 시 개별 서버를 관리하는 운영상의 어려움과 서버 확장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시스템 확장 시 서버 사용량에 따른 서버 복제와 설정 값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것은 물론 서버 사용 패턴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자동으로 늘리고 줄이는 탄력적 운영이 가능하다. LENA의 특장점 그림 1 LENA의 기대효과 그림 2 LENA 출시 후 LG, LG전자, LG유플러스, LG생활건강 등 LG 계열사 위주로 적용되다가 2017년에는 제조, 서비스, 공공, 금융 등 다양한 산업영역에 본격적으로 LENA WAS를 확대하고 있다. 메리츠화재, GS리테일, 한전KDN, K T 등 81개사의 500여 개 시스템에 적용했으며, 해외는 인도네시아 수출입은행 카드 시스템에 적용했다. 클라우드 기반 개발 환경(PaaS)을 지원하기 위해 AWS(아마존웹서비스) 마켓에 등록했으며, GS(Good Software) 인증과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호환성 인증을 받았다. LENA의 주요 기능   운영 가용성(Server Cluster)   멀티서버간 실시간 동기화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일관성을 실시간으로 유지할 있고, 운영 중 빈번히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Server Cluster)로 구성된 여러 서버 간에 설정 및 구성이 동일한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서버 간의 불일치가 발생하면 실시간 알림을 통해 동기화를 유도한다. 서버 클러스터 기능을 통해 여러 서버 간 실시간 동기화를 할 수 있어 운영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서버를 관리할 경우 일괄 처리를 통해 운영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림 3 장애 대응(Fault Tolerance)   빈번히 발생하는 장애에 대해 전통적인 전문가에 의한 사후처리 방식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WAS에 의한 장애의 선 진단 및 사전 대응방식이 중요하다. 사용자가 급증하거나 시스템 이슈가 존재할 경우, WAS의 Request를 제어하여 장애를 회복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량에 따른 장애를 원천 차단하며,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서비스하는 장애 대응기능을 제공한다. 그림 4 확장성(Auto Scalability)   기존 IT 투자는 과다 투자가 발생하고, 그럼에도 서비스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방식이었다. 이상적인 IT 투자는 실제 요구(Actual Demand)에 맞춰 용량(Capacity)을 최적화하는 것으로 비용 절감과 서비스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서 확장성은 중요한 이유이다. LENA는 자동 확장(Auto Scalability) 기능을 제공하여 서버 투자의 최적 타임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의 확장을 위해 서버 ID와 포트(PORT) 입력만으로 기존 서버의 설정을 모두 복제한 신규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리소스(Resource)를 기반으로 Scaling Policy를 정의할 수 있으며, 임계상황에 이르면 자동으로 서버가 WEB/WAS 확장을 수행한다. 그림 5 LENA와 함께 제공되는 '튜나(TunA : Tuning Assistant)'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시스템 등의 성능을 관리하는 APM 솔루션이다.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의 장애 지점 파악, 원인 분석, 튜닝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존 레거시 소프트웨어에 대한 모니터링뿐 아니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IT 자원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도구이다. APM(Application Per formance Management)은 사용자 관점 그리고 비즈니스 관점에서 실제 서비스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관리 체계이다. 이를 위해서는 신속한 장애 지점 파악, 원인 분석 그리고 튜닝을 지원할 수 있는 직관적인 도구가 필요하다. 최근 정보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분야에서 오픈소스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효율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unA의 주요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실시간 모니터링, 병목구간 확인을 위한 프로파일링 데이터와 XLog 제공 등이며, 효율적인 IT 인프라 모니터링과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를 지원한다. TunA Enterprise 그림 6 TunA의 주요 기능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응답 지연 시 상세 추적을 위한 프로파일링 데이터를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응답 시간 분포 그래프 (XLog) 제공 상세 추적을 위한 대용량 프로파일링 및 요약 정보 제공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처리 지연되고 있는 스레드(Thread) 실시간 모니터링 로딩 클래스 검색과 소켓, 쿼리 추적 가능 다양한 분석&통계 정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에 대한 문제 분석을 위한 다양한 유틸리티와 성능 데이터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한다. 스레드 상세 정보(Thread Dump, Status) JVM Heap Memory 정보(Heap Histogram, Dump) 서비스 유형 및 응답시간 분포 실시간/과거 통계 데이터 제공(일자, 분, 초 단위) 스택 빈도 분석 기능 제공 (SFA : Stack Frequency Analysis) 수집 서버 통합 및 그루핑   수집 서버 통합 기능을 통해 다수의 분산된 시스템을 단일 뷰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멀티 수집 서버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확장에 따른 수집 서버의 수평 확장 구조 사용자 관점에 따른 모니터링 대상 그루핑 기능 지원 인프라 통합 모니터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및 레거시 영역에서의 가상화, 시스템, 미들웨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한다. 가상화/시스템 : KVM, RHEL, CentOS, AIX, HP-UX, Solaris 미들웨어 : Tomcat, JBoss, Resin, Jetty, Weblogic, Websphere, JEUS 데이터베이스 : MariaDB, MySQL, Redis 이클립스 기반 맟춤형 화면 그림 7 TunA는 이상 현상 감지와 원인 파악 및 튜닝에 최적화한 대시보드를 제공하며, 사용자에 따른 이클립스 기반 맞춤형 화면을 지정 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시보드를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으로 쉽게 구성할 수 있다. 토폴로지 뷰(서비스 중심 엔드 투 엔드 연결)   그림 8 여러 개의 서비스가 상호 호출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마이크로 서비스,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에서, 사용자 단부터 서비스/DB 테이블까지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호출 관계를 갖는 시스템 중 어느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되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문제에 대해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LENA / TunA 통합 아키텍처 구성도   LENA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세션 서버, 매니저로 구성되어 높은 가용성을 보장하며, TunA는 WEB, WAS, DB 서버를 모니터링하여 최적화를 지원한다. 그림 9 LG CNS의 LENA/ TunA는 시스템의 사용자단부터 DB 서버단까지 트랜잭션을 구간별로 상세 모니터링한다. 지능화된 정책과 데이터센터 운영관리에서 경험하고 축적된 고도화된 서버 운영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지능형 IT 운영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통합 미들웨어 기반을 제공한다. 현재 LENA/ TunA 총판사는 DB Inc.이며 2018년 4월 총판 계약을 체결하여 수도권, 대전, 대구, 광주, 부산 등 지역별로 나누고 공공, 금융, 제조, 서비스 시장을 세분하여 LENA/ TunA 시장 확대를 위한 영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DB Inc.는 DB 그룹사의 WEB/WAS 표준화도 진행하고 있으며, DB손해보험에서는 LENA가 표준 WEB/WAS 소프트웨어에 선정되었다. DB Inc.는 공공 시장 LENA/TunA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나라장터를 통한 솔루션 구매가 가능하도록 조달포탈에 LENA/ TunA 등록을 진행하고 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9-01-02
클라우드향(向) 미들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솔루션, LENA/TunA
개발 및 공급 : LG CNS 주요 특징 LENA - 빠르고 확장가능하며 장애에 선대응할 수 있는 운영 중심의 ‘저비용 고효율 차세대 WAS’ TunA -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함께 상세 통계자료 및 보고서를 제공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모니터링 도구 사용 환경(OS) : CentOS 6.5 이상, 윈도우 7 이상(32비트/64비트) 시스템 권장 사양 : 최소 메모리 512MB, 디스크 공간 100MB, 기본 메모리 2GB   조선산업의 혁신을 위한 제언에서 ‘언제 어느 곳에서나 설계하고, 관리하고, 추적하고, 접속한다’는 말이 있다. 이처럼 정보의 생성과 동시에 관련자에게 공유되고 수정되고 다시 공유되는 일련의 과정이 혁신의 핵심이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는 IoT 센서에서 발생하는 온습도와 같은 센싱 데이터가 될 수도 있고 제조설계, 애니메이션, 시각효과 모델링 데이터가 될 수도 있고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서 만들어진 자산(Asset)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생성된 정보가 언제 어는 곳에서든 공유되기 위해서는 접속, 즉 인터넷을 통한 접근이 유연해야 한다. 그것이 유선이든 무선이든 말이다. 인터넷에서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웹 기반이 필요한데 이를 ‘미들웨어’라고 한다. 미들웨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와 컴퓨터의 연결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미들웨어는 크게 아파치, 톰켓, 엔진X와 같은 오픈소스 기반과 웹로직, 웹스피어, JBoss, 제우스, LENA와 같은 상용 기반으로 나눈다. ‘레나(LENA)’는 LG CNS가 2014년부터 자체 개발한 국산 미들웨어(WAS : Web Application Ser ver) 솔루션이며, 20년간 서울, 인천, 부산 등 전국 4개 데이터센터를 운영한 노하우로 얻은 미들웨어 관리 방법론과 장애 감지 및 진단 알고리즘을 녹여 놓은 결과물이다. 이에 따라 LENA는 운영 중인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미리 장애를 예측하는게 가능하다. 대량 조회, 응답 지연, 사용자 증가 등 주요 장애 원인을 최대 77%까지 예측 가능하고, 메모리 과다 사용, 접속자 임계치 초과, DB 접속량 증가, CPU 과부하 등 여러 장애 유형도 최대 82%까지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클라우드 환경 속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 도입 비용이 낮고, 소프트웨어에 매년 지불하는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서버에 필요한 기능만 적용시키는 알고리즘을 사용해 CPU 사용률 10%, 메모리 사용률 20%를 향상시켜 IT 비용 절감에 효과가 크다. LENA는 대규모 시스템의 여러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중앙에서 일괄 제어하는데 최적화된 클라우드 솔루션이다. 가 장 큰 장점은 기존 미들웨어 사용 시 개별 서버를 관리하는 운영상의 어려움과 서버 확장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시스템 확장 시 서버 사용량에 따른 서버 복제와 설정 값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것은 물론 서버 사용 패턴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자동으로 늘리고 줄이는 탄력적 운영이 가능하다. LENA의 특장점 그림 1 LENA의 기대효과 그림 2 LENA 출시 후 LG, LG전자, LG유플러스, LG생활건강 등 LG 계열사 위주로 적용되다가 2017년에는 제조, 서비스, 공공, 금융 등 다양한 산업영역에 본격적으로 LENA WAS를 확대하고 있다. 메리츠화재, GS리테일, 한전KDN, K T 등 81개사의 500여 개 시스템에 적용했으며, 해외는 인도네시아 수출입은행 카드 시스템에 적용했다. 클라우드 기반 개발 환경(PaaS)을 지원하기 위해 AWS(아마존웹서비스) 마켓에 등록했으며, GS(Good Software) 인증과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호환성 인증을 받았다. LENA의 주요 기능   운영 가용성(Server Cluster)   멀티서버간 실시간 동기화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일관성을 실시간으로 유지할 있고, 운영 중 빈번히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Server Cluster)로 구성된 여러 서버 간에 설정 및 구성이 동일한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서버 간의 불일치가 발생하면 실시간 알림을 통해 동기화를 유도한다. 서버 클러스터 기능을 통해 여러 서버 간 실시간 동기화를 할 수 있어 운영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서버를 관리할 경우 일괄 처리를 통해 운영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림 3 장애 대응(Fault Tolerance)   빈번히 발생하는 장애에 대해 전통적인 전문가에 의한 사후처리 방식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WAS에 의한 장애의 선 진단 및 사전 대응방식이 중요하다. 사용자가 급증하거나 시스템 이슈가 존재할 경우, WAS의 Request를 제어하여 장애를 회복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량에 따른 장애를 원천 차단하며,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서비스하는 장애 대응기능을 제공한다. 그림 4 확장성(Auto Scalability)   기존 IT 투자는 과다 투자가 발생하고, 그럼에도 서비스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방식이었다. 이상적인 IT 투자는 실제 요구(Actual Demand)에 맞춰 용량(Capacity)을 최적화하는 것으로 비용 절감과 서비스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서 확장성은 중요한 이유이다. LENA는 자동 확장(Auto Scalability) 기능을 제공하여 서버 투자의 최적 타임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의 확장을 위해 서버 ID와 포트(PORT) 입력만으로 기존 서버의 설정을 모두 복제한 신규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리소스(Resource)를 기반으로 Scaling Policy를 정의할 수 있으며, 임계상황에 이르면 자동으로 서버가 WEB/WAS 확장을 수행한다. 그림 5 LENA와 함께 제공되는 '튜나(TunA : Tuning Assistant)'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시스템 등의 성능을 관리하는 APM 솔루션이다.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의 장애 지점 파악, 원인 분석, 튜닝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존 레거시 소프트웨어에 대한 모니터링뿐 아니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IT 자원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도구이다. APM(Application Per formance Management)은 사용자 관점 그리고 비즈니스 관점에서 실제 서비스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관리 체계이다. 이를 위해서는 신속한 장애 지점 파악, 원인 분석 그리고 튜닝을 지원할 수 있는 직관적인 도구가 필요하다. 최근 정보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분야에서 오픈소스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효율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unA의 주요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실시간 모니터링, 병목구간 확인을 위한 프로파일링 데이터와 XLog 제공 등이며, 효율적인 IT 인프라 모니터링과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를 지원한다. TunA Enterprise 그림 6 TunA의 주요 기능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응답 지연 시 상세 추적을 위한 프로파일링 데이터를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응답 시간 분포 그래프 (XLog) 제공 상세 추적을 위한 대용량 프로파일링 및 요약 정보 제공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처리 지연되고 있는 스레드(Thread) 실시간 모니터링 로딩 클래스 검색과 소켓, 쿼리 추적 가능 다양한 분석&통계 정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에 대한 문제 분석을 위한 다양한 유틸리티와 성능 데이터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한다. 스레드 상세 정보(Thread Dump, Status) JVM Heap Memory 정보(Heap Histogram, Dump) 서비스 유형 및 응답시간 분포 실시간/과거 통계 데이터 제공(일자, 분, 초 단위) 스택 빈도 분석 기능 제공 (SFA : Stack Frequency Analysis) 수집 서버 통합 및 그루핑   수집 서버 통합 기능을 통해 다수의 분산된 시스템을 단일 뷰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멀티 수집 서버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확장에 따른 수집 서버의 수평 확장 구조 사용자 관점에 따른 모니터링 대상 그루핑 기능 지원 인프라 통합 모니터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및 레거시 영역에서의 가상화, 시스템, 미들웨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한다. 가상화/시스템 : KVM, RHEL, CentOS, AIX, HP-UX, Solaris 미들웨어 : Tomcat, JBoss, Resin, Jetty, Weblogic, Websphere, JEUS 데이터베이스 : MariaDB, MySQL, Redis 이클립스 기반 맟춤형 화면 그림 7 TunA는 이상 현상 감지와 원인 파악 및 튜닝에 최적화한 대시보드를 제공하며, 사용자에 따른 이클립스 기반 맞춤형 화면을 지정 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시보드를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으로 쉽게 구성할 수 있다. 토폴로지 뷰(서비스 중심 엔드 투 엔드 연결)   그림 8 여러 개의 서비스가 상호 호출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마이크로 서비스,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에서, 사용자 단부터 서비스/DB 테이블까지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호출 관계를 갖는 시스템 중 어느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되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문제에 대해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LENA / TunA 통합 아키텍처 구성도   LENA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세션 서버, 매니저로 구성되어 높은 가용성을 보장하며, TunA는 WEB, WAS, DB 서버를 모니터링하여 최적화를 지원한다. 그림 9 LG CNS의 LENA/ TunA는 시스템의 사용자단부터 DB 서버단까지 트랜잭션을 구간별로 상세 모니터링한다. 지능화된 정책과 데이터센터 운영관리에서 경험하고 축적된 고도화된 서버 운영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지능형 IT 운영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통합 미들웨어 기반을 제공한다. 현재 LENA/ TunA 총판사는 DB Inc.이며 2018년 4월 총판 계약을 체결하여 수도권, 대전, 대구, 광주, 부산 등 지역별로 나누고 공공, 금융, 제조, 서비스 시장을 세분하여 LENA/ TunA 시장 확대를 위한 영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DB Inc.는 DB 그룹사의 WEB/WAS 표준화도 진행하고 있으며, DB손해보험에서는 LENA가 표준 WEB/WAS 소프트웨어에 선정되었다. DB Inc.는 공공 시장 LENA/TunA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나라장터를 통한 솔루션 구매가 가능하도록 조달포탈에 LENA/ TunA 등록을 진행하고 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9-01-02
종이 예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비쥬얼마크
ArtCAM으로 고품질의 3D 입체 형상 구현 비쥬얼마크(www.visualmark.kr)는 40년 가까이 동판 생산 업계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삼성문화사의 자회사로 지난 2014년 디자인의 고급화 및 차별화를 위해 설립된 전문적인 디자인 연구개발 기업이다. 설립 초창기부터 ArtCAM(아트캠)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는 비쥬얼마크를 방문해 상상을 표현하는 3D 디자인 성과를 들어보았다. 비쥬얼마크의 주요 사업영역은 선진 특수 에칭 기술과 3D 입체 조각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종류의 복합소재 가공 및 개발, Nano Mark를 통해 위조가 불가능한 고품질의 보안 홀로그램 디자인 등으로 시장 트렌드를 리드하는 고급스럽고 유니크한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충무로에 사업장을 두고 있고 1층은 쇼룸, 2층은 사무실, 3층은 대형 창고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1층에 위치한 쇼룸은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인테리어에 다양한 종이 예술 제품들이 전시되어 있어, 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비쥬얼마크 김영삼 대표는 회사 설립 이전부터 국내외 시장조사 및 전시회 참가, 자료 조사 등을 통해 3D 디자인 및 프로그램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동종업계 최초로 ArtCAM 솔루션을 도입,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ArtCAM을 통해 상상을 현실로 표현하다 비쥬얼마크는 최신 CNC 설비와 ArtCAM(아트캠)을 통해 기존의 평면적인 디자인을 넘어선 3차원적인 디자인을 연구, 개발하며 상상을 현실로 빠르게 표현하고 있다. 각종 청첩장, 패키지 디자인에 사용되는 3D 동판을 우수한 품질로 제작하고 있으며, 국내 CNC 조각 업체 중 가장 규모 있는 설비를 갖춤으로써 담배 케이스, 화장품 패키지, 청첩장, 카드, 연하장, 어린이용 카드 등 다량의 생산을 요구하는 제품들을 문제없이 빠르고 정확한 시간 내에 생산해 내고 있다. 비쥬얼마크 디자인연구소의 이형규 대리는 “ArtCAM 도입 전에는 포토샵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그림자 기능을 주는 등의 방식으로 3D 형상처럼 보이게 하려고 이미지 작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했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을 제작하는데도 엄청난 시간이 걸렸다. ArtCAM 도입 이후 3D 형상의 구현이 매우 간편해져 작업 시간이 기존에 비해 50% 이상 단축될 수 있었다” 라고 전했다. 또한 ArtCAM의 큰 강점인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사전에 제품의 형상을 예측해 볼 수 있어 재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도 대폭 줄었고 이로 인해 비용 절감의 효과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형규 대리는 “ArtCAM은 특히 익스트루드 기능과 스핀 기능이 뛰어나고, 이와 같은 기능은 청첩장과 같은 섬세한 작업 시에 유용하다. 웨딩드레스와 같은 복잡한 디자인을 표현할 때 레이스의 웨이브 등을 기존보다 훨씬 자연스럽게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영상 대표는 “사업을 확장하기 위하여 새롭게 투입된 신규 인원들도 ArtCAM의 간편한 사용법 덕분에 빠르게 업무에 적응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또한 양산을 위해서는 품질이 균일하게 나와야 하는데 과거에는 작업자의 컨디션이나 경험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CNC 조각기와 ArtCAM 도입 이후에는 품질이 균일해져 신규 직원이 작업한 결과물도 만족스럽게 나올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현재 비쥬얼마크는 KT&G를 비롯한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국내 유명 기업들의 패키지 샘플을 납품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차별화된 디자인을 개발하여 시장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약을 향한 새로운 도전 비쥬얼마크는 2015년을 새로운 도약기로 삼아 새로운 도전을 계속 펼쳐 나갈 계획이다. 파주 지역에 금형센터를 설립할 예정에 있고, 핸드폰 백커버 작업을 새롭게 시도하기 위해 PowerMILL(파워밀)을 도입, 랩핑에 활용할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올해 하반기 진행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자인 관련 전시회인 ‘디자인페스티벌’에 한국델켐과 협업하여 전시 참가를 진행할 계획도 있다. 김영삼 대표는 “비쥬얼마크는 올해 매출뿐만이 아닌 사업 규모면에서도 큰 성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진행 중인 디자인 개발뿐만이 아닌 수출도 계획하고 있다”면서 “향후에도 한국델켐과의 적극적인 협업으로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하고 더욱 고품질의 제품으로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는 포부를 전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5-05-04
LG생활건강, IBM DB2 기반의 SAP ERP
LG생활건강, IBM DB2 기반의 SAP ERP 시스템 구축완료LG생활건강은 최근 자사의 ERP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전사규모의 ERP 시스템 구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경영 관리체계를 갖추고 LG생활건강의 장기경영목표인 소비자 마케팅 회사를 달성하기 위해 진행된 것으로 약 1년간의 구축기간을 거쳐 가동에 들어갔다. LG생활건강은 이번 ERP 구축에 IBM의 DB2 제품을 비롯, 최상급 유닉스 서버인 p5 595와 디스크 스토리지 제품인 ESS 800 등 IBM의 IT 인프라를 기반으로 구성하여 창구를 단일화하는 한편 효율적인 운영환경을 갖추게 되었다.DB2는 우수한 제품경쟁력과 기존 레가시 시스템과의 연계성, 그리고 SAP ERP 구축에 최적화할 수 있다는 점 등이 반영되어 도입되었다. 특히 가격대비성능, 관리의 통합성 등도 DB2 선정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전사규모의 ERP 업무와 14개의 레거시 업무를 2대의 p5 595 서버로 통합, 운영하고 IBM의 디스크 스토리지 제품을 도입하는 등 통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이번 ERP 구축을 확장 ERP, 그리고 SEM(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의 단계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며, 향후 진행될 ERP 프로젝트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IT 인프라 컴포넌트의 표준화를 지향하고 있다.
작성일 : 2005-09-29
LG생활건강, IBM DB2 기반의 SAP ERP
LG생활건강, IBM DB2 기반의 SAP ERP 시스템 구축완료LG생활건강은 최근 자사의 ERP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전사규모의 ERP 시스템 구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경영 관리체계를 갖추고 LG생활건강의 장기경영목표인 소비자 마케팅 회사를 달성하기 위해 진행된 것으로 약 1년간의 구축기간을 거쳐 가동에 들어갔다. LG생활건강은 이번 ERP 구축에 IBM의 DB2 제품을 비롯, 최상급 유닉스 서버인 p5 595와 디스크 스토리지 제품인 ESS 800 등 IBM의 IT 인프라를 기반으로 구성하여 창구를 단일화하는 한편 효율적인 운영환경을 갖추게 되었다.DB2는 우수한 제품경쟁력과 기존 레가시 시스템과의 연계성, 그리고 SAP ERP 구축에 최적화할 수 있다는 점 등이 반영되어 도입되었다. 특히 가격대비성능, 관리의 통합성 등도 DB2 선정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전사규모의 ERP 업무와 14개의 레거시 업무를 2대의 p5 595 서버로 통합, 운영하고 IBM의 디스크 스토리지 제품을 도입하는 등 통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이번 ERP 구축을 확장 ERP, 그리고 SEM(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의 단계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며, 향후 진행될 ERP 프로젝트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IT 인프라 컴포넌트의 표준화를 지향하고 있다.
작성일 : 2005-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