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GEO"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58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어도비, 기업용 LLM 옵티마이저 출시… AI 기반 챗 서비스 및 브라우저 전반 가시성 제고
어도비가 ‘어도비 LLM 옵티마이저(Adobe LLM Optimizer)’의 정식 출시를 발표했다. 새로운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은 생성형 AI 기반 인터페이스가 빠르게 확산되는 시대에 기업이 브랜드의 연관성과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LM 옵티마이저를 통해 기업은 생성형 엔진 최적화(GEO : 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를 위한 포괄적인 설루션을 활용할 수 있다. 가령, AI 기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브랜드 가시성을 벤치마킹할 수 있으며, 자사 디지털 채널은 물론 브랜드가 인용되는 서드 파티 디지털 채널에서 발견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취할 수 있다. AI 기반 챗 서비스와 브라우저는 소비자들이 제품을 검색하고 조사하는 데 필수적인 툴이 되었다. 어도비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기업들이 디지털 존재감을 재정비해야 할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2025년 9월 기준, 어도비는 미국 소매 웹사이트로 유입된 AI 트래픽이 전년 대비 1100%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생성형 AI 소스를 통한 방문자는 비 AI 트래픽(유료 검색, 제휴사 및 파트너, 이메일, 오가닉 검색, 소셜 미디어 등) 유입 대비 체류 시간 및 페이지 뷰 등과 같은 참여도는 12%,  전환율은 5% 각각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행동의 근본적인 변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AI가 제품 검색 단계에서 더 많은 정보를 가진 소비자를 만들어내는 만큼 기업은 뒤처지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어도비의 설명이다.     기업용 어도비 LLM 옵티마이저는 ▲AI 기반 트래픽, 인용 측정 및 벤치마킹 ▲가시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및 코드 최적화 ▲비즈니스 가치 입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LLM 옵티마이저는 AI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질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데 활용하는 자사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LLM이 우선시하는 디지털 채널(예 : 특정 웹 페이지)을 파악하고 AI 추천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벤치마킹을 통해 가치가 높은 질의에서 경쟁사 대비 가시성을 평가할 수 있다. LLM 옵티마이저의 초기 고객 분석 결과, 80%가 AI 접점이 주요 제품 정보나 리뷰에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LLM 옵티마이저 내 추천 엔진은 브랜드 가시성 격차를 감지하고, 웹페이지와 FAQ 같은 자사 채널 및 위키피디아, 공개 포럼 등의 외부 채널 전반을 아우르는 개선 사항을 제안한다. 여기에는 콘텐츠 최적화뿐 아니라 누락되거나 잘못된 메타데이터 같은 기술적 수정 사항이 포함되며, LLM이 인식하지 못하는 웹 사이트 영역을 자동 감지해 콘텐츠 가시성을 높이는 조치도 해당된다. 이를 통해 팀은 한 번의 클릭으로 최적화 방안을 검토, 승인 및 배포할 수 있어 인사이트를 실질적인 성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LLM 옵티마이저는 AI 가시성을 사용자 행동과 비즈니스 성과로 연결하는 기여도 기능을 제공한다. 이로써 참여도 및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할 수 있고, 즉시 사용 가능한 리포트 기능을 활용해 조직 전반에 인사이트를 빠르게 공유할 수 있다. LLM 옵티마이저는 단독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인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 사이트(Adobe Experience Manager Sites)와 네이티브 통합된다. 또한 에이전트 투 에이전트(A2A) 및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과 같은 업계 표준을 지원해, 다양한 서드파티 설루션 워크플로와의 원활한 상호운용성을 제공한다. 어도비는 누구나 쉽게 AI 가시성 인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LLM 옵티마이저 기반 무료 크롬 확장 프로그램 ‘Is Your Webpage Citable?’도 출시했다. 이 도구를 통해 LLM이 웹사이트에서 인식하는 내용과 놓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AI 가시성의 숨겨진 격차를 발견할 수 있다. LLM 옵티마이저는 이 같은 기본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엔터프라이즈급 측정, 최적화 및 보고 기능을 포함한 종합 설루션을 제공한다. 어도비의 로니 스타크(Loni Stark) 익스피리언스 클라우드 전략 및 제품 부문 부사장은 “생성형 엔진 최적화는 경영진의 주요 관심사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선도 기업들은 이미 다양한 AI 채널에서 영향력을 구축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면서, “어도비 LLM 옵티마이저는 자사 사이트 및 타 채널에서의 브랜드 성과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최적화 조치를 취하는 즉각적인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두각을 드러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5-10-17
고속도로 지반분야 BIM 활용 방안 연구 
  [자료] 고속도로 지반분야 BIM 활용 방안 연구  발행 : 2025. 2.  형식 : pdf 137 page 제작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목차 목 차    i 표 목 차    v 그림목차    vii 요 약 문    ix ABSTRACT    x 서 론    1 1.1    배경과 목적    1 1.1.1    배경과 필요성    1 1.1.2    연구의 목적    3 1.2    연구 내용, 연구 방법, 연구 기간    4 1.2.1    연구 범위와 내용    4 1.2.2    연구 방법    5 1.2.3    연구 기간    5 국내외 BIM 적용 현황 조사    6 2.1    BIM 일반사항    6 2.1.1    BIM의 정의와 핵심 요소    6 2.1.2    BIM의 활용 (BIM uses)    8 2.1.3    BIM 성숙도 수준 (Maturity Level)    10 2.1.4    BIM 표준 (BIM Standard)    11 2.1.5    BIM 요구사항과 실행    12 2.1.6    BIM 장점과 효과    13 2.1.7    유지·운영 단계 BIM 활용    14 2.2    국외 BIM 현황    15 2.2.1    BIM 도입 국가 2.2.2    국가별 BIM 도입 정책    16 2.2.3    국외 도로관리기관의 BIM 도입    18 2.3    국내 BIM 현황    19 2.3.1    국내 BIM 도입 경과    19 2.3.2    국토부 BIM 도입 정책    20 2.4    한국도로공사 BIM 도입 현황    22 2.4.1    고속도로의 BIM 도입 현황    22 2.4.2    고속도로의 BIM 도입 시사점    23 지반 BIM 모델의 개념    25 3.1    지반 BIM 정의    25 3.1.1    지반BIM과 GEOBIM의 이해    25 3.1.2    지반 BIM 모델의 구성    27 3.2    지반 BIM 모델 작성 방법    29 3.2.1    지반 정보의 표준화    29 3.2.2    지반 BIM 모델 작성 절차    31 3.2.3    지반BIM 작성의 역할론    32 지반분야 BIM S/W 조사    33 4.1    일반 BIM 소프트웨어    33 4.1.1    BIM 소프트웨어 개발사 현황    33 4.1.2    개발사별 BIM 소프트웨어 특징    35 4.1.3    전문분야별 BIM 저작 및 해석 도구    39 4.1.4    BIM 소프트웨어 현황분석 결과    42 4.2    지반분야 BIM 소프트웨어 현황    43 4.2.1    Autodesk – Civil 3D (Geotechnical Modeler)    43 4.2.2    Bentley – Leapfrog Works (with Central)    45 4.2.3    Bentley – OpenGround    48 4.2.4    Fine Software – GEO 5    48 4.2.5    MidasIT – CIM    50 지반 BIM 모델 활용 사례    51 5.1.    국외 지반 BIM 활용 사례    51 5.1.1.    영국의 실버타운 터널 프로젝트 (Merdan and Horatiu, 2018)    51 5.1.2    해안 안벽(DWQ, Deep Water Quay wall) 기본설계 검토 (Brennan, E. 2021)    52 5.1.3    영국 Crossrail 2 Project (Ben Gilson et al, 2021)    54 5.1.4    브라질의 Underground Rerservoir 건설 프로젝트 (Henriques et al, 2024)    55 5.1.5    뉴질랜드의 지반 BIM 모델 활용 사례 (Adam et al, 2019)    56 5.2    국내 지반 BIM 활용 사례    58 5.2.1    제주도 천연동굴 3D 디지털화 사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8 5.2.2    터널 페이스 매핑 자료를 이용한 지반 BIM모델 구축(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59 5.2.3    고속도로 설계에 활용된 지반 BIM 모델 (대산-당진 4공구)    60 지반 BIM 모델 시범 구축    61 6.1    지반 BIM모델 시범 구축 개요    61 6.1.1    지반 BIM 시범구축 목표    61 6.1.2    시범 구축 대상 사업 및 자료 준비    62 6.2    지반 BIM모델 시범을 위한 BIM S/W    63 6.3    지반 BIM 모델 시범 구축 프로세스    66 6.3.1    지반 BIM모델 입력 자료 준비    66 6.3.2    지반 BIM 모델 작성 프로세스    70 6.4.    지반 BIM 모델 구축    76 6.4.1    전구간 지반 BIM 모델    76 6.4.2    교량구간 지반 BIM 모델    78 6.4.3    터널구간 지반 BIM 모델    80 6.4.4    토공구간(절토사면) 지반 BIM 모델    81   6.5    지반 BIM모델의 활용    83 6.5.1    지층단면도의 작성 (종단, 횡단)    83 6.5.2    절토 및 성토수량 산정    88 6.5.3    지반수치해석과 연계 활용    92 6.6    지반 BIM 모델구축과 활용의 시사점    101 지반 BIM 활용에 대한 의견 수렴    103 7.1    대내외 실무자 및 전문가 대상 의견 수렴    103 7.1.1    공사내 실무자 대상 의견수렴    103 7.1.2    외부 전문가 대상 의견 수렴    104 7.1.3    BIM 업무 관련자 의견수렴    111 7.2    의견 수렴 시사점    112 지반분야 BIM 중장기 연구 방향    113 8.1    중장기 연구방향    113 8.2    후속 연구과제 제안    115 요약 및 결론    117 참고문헌    118  
작성일 : 2025-03-21
리커다인 2025 : 동역학 솔버 기능 강화 및 툴킷 개선 
개발 및 공급 : 펑션베이 주요 특징 : 지속적인 솔버 개발을 통한 접촉 기능 향상, 마찰열을 고려한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 열전도 및 열응력을 고려한 동역학 해석 개선, DriveTrain 툴킷 개선 등  사용 환경(OS) : 64비트 윈도우 10/11    2024년 11월, 리커다인 2025(RecurDyn 2025)가 새롭게 출시되었다. 지속적인 솔버 개선을 통해 이번 버전에서도 다양한 솔버 관련 기능이 강화되었다. 접촉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유연체를 포함한 동역학 모델의 열해석이 강화되었다. 또한, 드라이브트레인(DriveTrain)의 지속 개발을 통해 이번에도 기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선 사항들을 좀 더 자세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솔버 기능 강화  지오 콘택트 개선  리커다인의 강력한 접촉 요소인 지오 콘택트(Geo Contact)의 다양한 성능이 향상되었다. 특히 접촉점의 수가 자주 변경되는 접촉 모델에 대해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liding & Stiction 마찰 옵션을 모든 지오 콘택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이를 통해 지오 콘택트를 이용한 접촉 모델에서도 Stiction 옵션을 이용하여 미끄러짐이 없는 정지 마찰 상태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그리고 강체의 접촉에 대해서도 컨투어(contour)를 통해 Sliding Velocity와 Pressure Velocity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접촉 모델에서 마모 특성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림 1. 접촉점의 수가 자주 변경되는 경우 MPM 옵션 사용 권장    프리미티브 콘택트 개선 각 형상에 대한 전용 접촉 요소로서 빠르고 정확한 접촉 계산이 가능한 프리미티브 콘택트(Primitive Contact)에 대해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토러스(torus)와 실린더(cylinder) 형상에 대한 전용 접촉 요소인 Tours In Cylinder Contact가 새롭게 추가되어, Tripod Type CV Joint와 같은 시스템에서 더욱 빠르고 정확한 접촉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림 2. Tours In Cylinder Contact를 이용한 Tripod CV Joint    또한, Cone To Cylinder Contact 사용 시 콘(cone)과 실린더의 면과 면 간 접촉도 고려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그리고 모든 프리미티브 콘택트에 대하여 Force Vector, Normal Force, Friction Force에 대한 시각적인 표시가 되도록 개선되었다.    그림 3. Cone To Cylinder Contact    지오 롤 콘택트  롤러(실린더)에 시트를 감는 롤 투 롤(roll to roll) 시스템을 위한 전용 접촉 요소인 지오 롤 콘택트(Geo Roll Contact)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유연체에 대한 전용 접촉으로 유연체로 구성된 시트의 두께 정보와 감겨 있는 횟수를 활용하여, 시트가 롤러에 감기는 현상을 빠르게 해석할 수 있다.    그림 4. 지오 롤 콘택트를 이용한 시트 적층 해석   이 기능을 이용하면 롤 투 롤 시스템에서 시트 적층 시 발생하는 시트의 장력 변화, 시트의 적층에 따른 두께 증가에 의한 거동 변화 등을 고려한 해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MFBD 기능 강화  프릭션 히트  지오 콘택트를 통해 유연체에 접촉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고려한 해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지오 콘택트에 추가된 프릭션 히트(Friction Heat) 기능을 이용하여 접촉에 의한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과 열전도에 의한 열응력을 고려한 MFBD(Multi Flexible Body Dynamics :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림 5. 프릭션 히트를 이용한 브레이크의 마찰열 해석   열해석 개선 유연체의 열전도에 의한 열응력을 동역학 해석에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FFlex Thermal에 대하여 열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FFlex 보디의 열변형 고려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열해석 시 해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서멀 부스트(Thermal Boost) 옵션을 이용하여 온도장의 정상 상태에 빠르게 도달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림 6   Patch Constraint  Patch Constraint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어 두 유연체를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기능을 통해 두 FFlex 보디가 접합된 것처럼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그림 7. Patch Constraint를 이용한 유연체 접합    제어 기능 강화  코링크의 파이썬 기능 개선  리커다인의 다물체 동역학 해석 환경에 통합된 제어 해석 툴킷 인 코링크(CoLink)의 파이썬(Python) 기능이 개선되었다. 기본으로 내장된 파이썬 패키지에 넘파이(NumPy)가 추가되었으며, 기본 내장된 파이썬 외에도 사용자가 설치한 파이썬 패키지를 지정하여 활용할 수 있게 개선되었다.  또한, 리커다인 리눅스 스탠드얼론 솔버(RecurDyn Linux Standalone Solver)를 사용할 때에도 코링크의 파이썬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툴킷 기능 강화  드라이브트레인 개선  리커다인 드라이브트레인 툴킷의 GearKS로 만든 기어쌍에 대한 Mesh Stif fness를 확인할 수 있게 개선되었다. 또한 BearingKS로 만든 베어링에 대한 Rotational Resistance 기능이 추가되어, 축 방향 회전에 대한 베어링의 구름 저항을 고려한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림 8. 기어쌍에 대한 Mesh Stiffness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1-04
공간정보산업진흥원, 공간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다운로드 이벤트 진행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은 ‘공간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다운로드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은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각종 공간정보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사회적 수요를 총족시키고 공간정보산업을 차세대 성장 기반으로 육성하기 위해 설립됐다.  진흥원이 참여하고 있는 공간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8월 16일부터 9월 6일까지 약 3주간 플랫폼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플랫폼 내에서 판매하는 데이터 상품(유·무료)의 구매자는 이벤트에 자동으로 응모되며, 다운로드 건수가 가장 많은 상위 80명의 회원에게 순위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 및 기프티콘이 차등 지급된다. 진흥원은 2022년부터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주관하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사업(공간융합 분야)’에 참여해 창업 및 생태계 지원, 기술지원 등 공간정보 데이터 유통 생태계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플랫폼 서비스 오픈 3년 차를 맞아 다양한 공간정보 유통 및 활용 기능이 일반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공간융합 빅데이터 창업 경진대회’ 개최, ‘2024 월드스마트시티엑스포’·‘2024 K-Geo Festa’ 참가, 온라인 이벤트 운영 등 온·오프라인 채널 다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의 손우준 원장은 “그간 진흥원은 공간정보산업 전문기관으로서 공간정보의 유통과 활용을 위해 많은 관심과 지원을 보내왔다”며, “민간의 고품질 공간정보와 신뢰성 높은 공공의 공간정보가 고루 활용될 수 있는 융복합 데이터 생태계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4-08-16
리커다인 2024 : 솔버 성능과 접촉 해석 속도 향상된 다물체 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 펑션베이 주요 특징 : 지속적인 솔버 개발을 통해 Static 솔버의 수렴성 향상, 접촉 해석 속도 향상, FFlex Static 신규 출시, Linked Assembly 툴킷 신규 출시, 지오메트리의 관계에 따른 메시 자동 업데이트, 부력 및 Gap Force 추가, 유연체 간 열전달 계산, Pre-Stress가 적용된 셸 요소 생성, DriveTrain 개선 등 사용 환경(OS) : 윈도우 10/11(64비트)     2023년 11월 출시된 리커다인(RecurDyn) 2024는 지난 리커다인 2023에서 2년여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N-R Static 솔버 성능과 접촉 해석 속도가 향상되었다. 이번 리커다인 2024에서도 지속적인 솔버의 연구 개발을 통해 Static 솔버의 수렴성이 개선되었으며, 접촉 성능 또한 향상되었다. 이러한 솔버 성능 개선을 통해 유연체를 포함한 MFBD(Multi Flexible Body Dynamics) 모델의 정적 해석을 수행하는 기능인 FFlex Static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또한, 새로운 힘 요소인 부력과 Gap Force가 추가되었으며, 유연체 간 열전달을 계산할 수 있는 Thermal Contact도 새롭게 추가되었다. 그리고 일반 CAD 지오메트리를 이용하여 체인, 무한궤도, 고무트랙, 벨트, 케이블 체인과 같은 어셈블리를 손쉽게 모델링하고 해석할 수 있는 Linked Assembly 툴킷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솔버 기능 강화 Static 솔버 개선 및 FFlex Static 리커다인 솔버는 매 버전마다 개선을 거듭하고 있다. N-R Static 솔버의 경우 최근 3년여의 연구 개발을 통해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정적 평형상태를 계산할 수 있으며, 강체와 RFlex 보디(Modal method)는 물론 FFlex 보디(Nodal method)가 포함된 비선형 MFBD 모델의 정적 해석 수렴성도 대폭 강화되었다.     특히, FFlex 보디가 포함된 모델의 정적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FFlex Static이 새롭게 추가되어 유연체에 대한 구조 해석을 통해 정적 상태의 변형 및 응력 확인이 가능하며, FFlex 보디의 Self-Contact는 물론 다른 보디 간의 접촉까지 고려한 MFBD 모델의 정적 해석을 지원한다. 또한, 유연체의 변형된 형상이 필요한 경우, 정적 해석과 Extract 기능을 활용하면 손쉽게 변형된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차, 굴착기와 같은 모델의 초기 평형 상태를 사전에 계산함으로써, 해석 속도와 정확도를 개선하고 동적 조건을 고려하기 전 정적 해석을 이용한 사전 튜닝을 통해 전체적인 해석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관성의 효과가 작은 모델의 경우 준정적 해석(quasi-static analysis)을 이용하여 모델의 거동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가동 범위(range of motion)나 보디 간의 간섭을 정적 해석으로 예측할 수 있다.     접촉 해석의 다중 프로세서 처리 확대 다중 프로세서 처리(SMP) 지원과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대폭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 기존 GEO Surface Contact 요소에 이어, 이번 리커다인 2024에서는 GEO Sphere/Cylinder/Curve(3D, 2D)/Circle(2D) Contact 요소까지 다중 프로세스 처리를 확대 지원하게 되었다. 리커다인 2024에서 별도의 모델 수정 없이 향상된 접촉 성능이 적용된다.   ▲ SMP를 통한 접촉 해석 성능 향상   또한, 커브(curve)의 3차원 접촉 모델링에 최적화된 GEO Curve 3D와 GEO Sphere to Curve 3D가 새롭게 추가되어 빔(beam) 케이블이나 베어링과 같이 커브 혹은 서클(circle) 형상을 가지는 기계 부품의 3차원을 고려한 접촉해석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 빔 케이블의 접촉 모델   MFBD 기능 강화 Thermal Contact 유연체의 열전도에 의한 열응력을 MFBD 해석에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FFlex Thermal 기능에 Thermal Contact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Thermal Contact는 전도에 의한 두 유연체 사이의 열전달을 계산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통해 서로 다른 부품 간 열전도, 열팽창 및 열응력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이 회전자에 열에너지가 발생하고 고정자로 전달되는 경우를 Thermal Contact 기능을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Thermal Contact를 활용한 열전도 모델   지오메트리 연결 관계를 통한 메시 자동 업데이트 리커다인 2024에서는 메셔(Mesher)에 Surface Mesh 기능을 추가하고 기능을 강화하여 기존 지오메트리 연결관계에 따른 형상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메시에도 확장 적용하였다. Surface Mesh를 통해 생성한 셸 요소를 기반으로 솔리드(solid) 요소를 생성하면 커브 형상 등의 기반이 되는 지오메트리 수정을 통해 솔리드 요소까지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셸 요소의 Pre-Stress 리커다인 2024에서는 손쉽게 Pre-Stress가 적용된 셸 요소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복잡한 형상의 메시에도 Pre-Stress를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기능을 통해 모델링 시간도 크게 줄일 수 있다.   ▲ Pre-Stress가 적용된 웹 핸들링 모델   Professional(MBD) 기능 강화 Buoyancy Force(부력) 부력을 계산할 수 있는 Buoyancy Force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수면 및 유속 방향의 기준 좌표와 부력 대상이 될 보디를 선택하여 부력을 적용할 수 있으며, 강체와 유연체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부력 계산을 위한 다양한 유체 속성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유속 크기가 변화하는 것도 표현할 수 있다.   ▲ 부력을 적용한 해상 크레인 모델   CFD 연성 해석을 수행하지 않고도 부력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동은 고려할 필요 없이 부력만 적용하면 되는 모델을 빠르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Gap Force 보디와 보디 사이에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두 보디 양쪽에 힘을 가하는 Gap Force 요소가 새롭게 개발되었다. 각 보디의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어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면 지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Action Body에 힘이 가해진다. Gap Force를 이용하여 공력이나 자력에 의해 부품이 떠 있는 모델을 만들어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베어링이나 마그네틱 베어링으로 부품 간의 접촉을 방지한 리니어 가이드 등을 모델링할 수 있다.   ▲ Gap Force를 이용한 리니어 가이드 모델   툴킷 기능 강화 Linked Assembly 리커다인 2024에서 새롭게 추가된 Linked Assembly는 일반 CAD 지오메트리를 이용하여 체인(Chain), 무한궤도(Caterpillar), 고무트랙(Rubber Track), 벨트(Belt), 케이블 체인(Cable Chain) 같은 어셈블리를 생성할 수 있는 모델링 자동화 및 해석 툴킷이다. 어셈블리를 생성할 때 Contact, Force와 같은 연결 관계도 자동화 기반으로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형상 또는 더욱 정밀한 형상으로 어셈블리 시스템을 만들고 동역학 해석을 할 수 있다.     또한, Assembly Body의 특정 부분이나 Passing Body, Guide를 손쉽게 유연체로 변환하고 MFBD 해석도 수행할 수 있다.     DriveTrain 개선 DriveTrain에 내장된 KISSsoft가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어 향상된 KISSsoft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선기어를 제외한 유성기어를 모델링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며, KISSsoft의 Z70(베벨 기어)과 Z80(웜 기어)의 CAD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 선기어를 제외한 유성기어 모델   그리고 랙&피니언(rack&pinion)에 대한 Involute Contact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보다 빠른 접촉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필요한 기어쌍의 접촉만을 계산함으로써 효율적인 해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11-02
주조 해석 소프트웨어, Cast-Designer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주조 해석 소프트웨어, Cast-Designer   ■ 개발 : C3P Software, www.cast-designer.com ■ 자료 제공 : 캣솔루션, 02-1688-4374, www.catsolutions.co.kr Cast-Designer는 캐스팅/주조 산업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이다. 게이팅 시스템(주조방안 설계)을 지원하고 유동, 응고, 변형에 이르기까지 캐스팅 업계의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AI 기술을 통해 자동 최적화를 지원한다.  1. 주요 기능 (1) DFM 분석  제품 분석 도구인 GEO-Designer를 지원한다. ■ CAD 모델의 기본적인 설계 요소 초기 검증 ■ 주조 예측을 위한 MDI/HDI 분석 도구 ■ 라이저 설계 및 지원 도구 ■ 3분 안에 초기 열 분석을 통한 수축 기포 사전 예측    (2) 다이캐스팅 주조방안 설계 50년의 산업 경험과 NADCA 표준 권장사항을 토대로 게이팅 주조방안 설계 및 마법사 기능을 구현했다. ■ 주조방안의 PQ 그래프 검증 기능 ■ 적정 충진 시간과 게이트 유속 자동 계산 ■ 1차/2차 속도 제어 권장 수치 자동 계산 ■ 냉각 채널 계산기 ■ 오버플로우 디자인 계산기 ■ 스프루, 게이트, 런너, 벤트, 등 게이팅 주조방안 설계 요소 모델링 기능 ■ 설계 템플릿 기능 지원 및 사용자 템플릿 생성 기능 ■ 캐스팅 존 분석 도구 : 게이트 밸런스 설계 분석 ■ 샷 슬리브 설계 도구 : 충진율에 따른 속도 제어값 자동 계산 ■ 프리 스타일 3D 모델링 기능 : 손으로 그리는 듯한 자유롭고 빠른 응답의 설계도구   (3) 중력/사형 주조 방안 설계 KBE 지식기반 데이터 탑재로 중력 주조 방안 설계를 지원한다. ■ 스마트 라이저 : 수축기포와 열간 밸런스를 고려한 라이저 자동 설계 기능 ■ 스마트 칠 ■ 프리스타일 게이팅 설계 : 손으로 그리는 듯한 자유로운 설계 도구 ■ 냉각 설계 마법사 : 냉각 영향력 분석 도구와 연동해 실시간 분석 설계 ■ 설계 템플릿 기능 지원 및 사용자 템플릿 생성 기능 ■ DISA 게이팅 설계   (4) 캐스팅 해석 ■ 3D hexa, Tetra 메시 기술과 자동 메시 기술  ■ 어셈블리 메시 기술을 통해 CAD가 불완전하더라도 자동 대응 ■ 유동 해석 • 충진 결과, 유속, 온도, 압력 결과 • 고립 가스 분석 : 내부 기포, 표면 기포 결과 • 게이트 밸런스 • 유동 재료 분석 • 최대 압력 결과 • 금형 마모 ■ 고화 해석 • 응고 결과, 온도, 시간. • 금형 온도 변화 • 수축 기포 • SDAS, Dendrite Arm Spacing • Pin Squeeze ■ 응력/변형 해석 • 변형 결과 • 변형 보정 해석 • Stress, Strain • Fatigue, Hot Tearing 등 ■ 재질 분석 • Ferrite • 강도 분석 Hardness • Grain Radius ■ 고급 유체 해석 • FVM 기반의 고급 CFD 해석으로 FEM 메시와 해석 연계 작업 지원 • 표면 장력 효과, 점성 전단 응력 연산 • 유동 현상의 정확도 향상 • 보다 정밀한 가스 기포 예측   (5) 생산 조건 최적화 사이클 타임, 다이 냉각 및 가열 조건을 시뮬레이션한다. ■ 적정한 열균형이 되도록 사이클 타임을 제어하여 최적화 공정을 계산 ■ 다이 스프레이, 냉각, 가열 등 일련의 공정을 포함 ■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도록 생산 비용 계산 ■ 센서를 통해 제어되는 목표값 설정   (6) AI 방안설계 최적화 GA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하는 Cast-Designer 방안설계 최적화 기능을 제공한다. ■ 게이팅 방안 설계 기능의 파라미터 공유 ■ 최적화 목표값으로 물리적인 문제점(유동 흐름, 온도, 응력, 변형, 재료성질, 등)을 복수로 설정 가능 ■ 설계 변수 값을 다양하게 복수로 설정 가능 ■ Generic Algorithm   (7) 구조해석 연동 ■ 캐스팅 해석과 연동되는 구조해석 기능 ■ 성형으로 인한 기포와 변화된 재질을 그대로 적용한 구조해석 ■ 단일 소프트웨어에서 데이터 이동없이 바로 해석 ■ 외력, 회전, 체결 등의 조건 설정   (8) Cellular Automation ■ 캐스팅 조직화 정밀해석 ■ 합금강이 응고될 때 생성되는 조직과 그 확산을 계산 ■ 조직화에 따른 미세기포와 그 분포를 예측 ■ 기공의 핵 생성, 확률적 핵 생성, 확산 제어 성장, 미세 가스 ■ 캐스팅 고화 해석과 연계한 해석 가능   (9) 다양한 기능 지원 ■ 고압 캐스팅, 저압 캐스팅 ■ Semi-Solid Casting ■ Gravity Sand Casting, Gravity die casting, Gravity DISA, Gravity Tilt pouring ■ Centrifugal casting ■ Lost-form casting ■ Vacuum Casting, Core bowling, Gore gas, Wax injection ■ Microstructure analysis for iron, steel, Al, Mg ■ Buoyancy Driven flow   2. 도입 효과 Cast-Designer는 잠재적인 유동, 고화, 문제가 있는 부품 특징을 예측하고 초기 설계 단계에서 주조 시스템을 평가해 주조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KBE 데이터를 통해 빠르게 설계,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3. 주요 고객 사이트 삼성전자, 현대, AUDI, Nissan, Honda, Fiat, NASA, Rolls-Royce, Bosch, Renault, MAGNA, Posco, Daewoo, 등 자동차, 전자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3-02-28
DJI, 매빅 3 클래식 카메라 드론 출시
DJI가 카메라 드론을 사용자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매빅 3 클래식(Classic)’을 출시했다. 매빅 3 클래식은 추가 망원 렌즈를 제외하면 기존 매빅 3와 동일한 사양으로, 4/3 인치 CMOS 20MP 카메라, 46분의 최대 비행시간, O3+ 전송 시스템을 갖췄다. DJI는 "매빅 3 클래식은 기존의 DJI RC Pro, DJI RC, DJI RC-N1 조종기와 호환되며, 합리적인 가격의 패키지에 프리미엄 성능을 담아 드론 크리에이터들이 최고의 카메라 드론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새로운 매빅 3 클래식은 매빅 3 시리즈의 4/3 인치 CMOS 핫셀블라드(Hasselblad) 카메라를 사용해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지원한다. 동영상 촬영의 경우 H.264 및 H.265 코덱의 5.1K/50fps(최대), 4K/60fps, 1080p/60fps 촬영이 가능하다. 4K/120fps, 1080p/200fps 슬로 모션 촬영도 가능하다. 환산 초점 거리 24mm, f/2.8~f/11의 조정 가능한 조리개, 12.8스톱의 네이티브 다이내믹 레인지를 자랑한다. 20MP 센서에 빛이 닿는 순간, 12-bit RAW 사진과 10-bit D-Log 동영상 프로세싱으로 생동감 넘치는 컬러와 풍부하고 정교한 명암을 표현한다. 매빅 3 클래식에 탑재된 카메라는 핫셀블라드의 천연색 솔루션(HNCS)을 통해 사진과 동영상을 정확한 컬러로 직접 출력하며,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 촬영을 위한 HLG 시스템 덕분에 후편집에서 별도의 컬러 수정이 필요 없다. 일출, 일몰 같은 저조도 촬영 환경에서도 야간 촬영 모드를 사용하면 노이즈를 감소시켜 더욱 선명한 장면을 담을 수 있다. 매빅 3 클래식은 매빅 3 시리즈와 동일한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최대 비행시간 46분을 지원한다. 비행 제어 및 동영상 전송을 위한 O3+ 전송 시스템은 15km 범위에서 1080p/60fps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단, 전송 거리는 신호 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매빅 3 클래식은 항상 파일럿의 시야 내에서 비행해야 한다. 매빅 3 클래식의 인텔리전트 알고리즘은 비행의 첫 순간부터 피사체를 추적하고, 이미지 구도를 잡으며, 시네마틱한 비행 패턴으로 자동으로 카메라를 움직이기 시작한다. ‘액티브트랙 5.0(ActiveTrack 5.0)’ 시스템이 다중 비전 센서를 사용해 피사체를 인식하고, 프레임 안에 고정하며 드론 및 카메라가 함께 움직이며 프로급 동영상을 촬영하게 해준다. ‘마스터샷(MasterShot)’의 경우, 촬영과 편집 기능이 자동화되어 창작 과정이 단순하고 효과적이므로 초보 파일럿도 하늘에서 자신만의 색으로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매빅 3 클래식에는 자동화 ‘퀵샷(QuickShot)’ 촬영 모드가 탑재되어 있으며 타임랩스, 하이퍼랩스, 파노라마 촬영 기능 또한 지원한다. 새로운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 기능을 사용하면, 파일럿은 드론의 비행 속도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어 수동 속도 제어에서 발생하는 카메라 흔들림을 최소한으로 줄여 이미지 촬영에 집중할 수 있다. ‘고속 퀵트랜스퍼(QuickTransfer)’ 기능을 사용하면, 매빅 3 클래식을 조종기에 연결하지 않아도 최대 80MB/s의 Wi-Fi 6 기술을 사용해 스마트폰으로 이미지와 동영상을 빠르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매빅 3 클래식은 다양한 안전 기능을 탑재했다. 8개의 시각 센서로 전방위 장애물 감지가 가능하며, 이 정보를 APAS 5.0 시스템에 전달해 장애물을 회피, 독립적 비행경로 계획을 지원한다. 고급 리턴투홈(Return To Home system) 시스템이 최대 200m 범위의 주변 환경을 스캔하고, 이륙했던 지점으로 돌아오는 최적의 비행경로를 계획해 필요에 따라 해당 경로대로 자동 복귀한다. 매빅 3 클래식에 탑재된 ‘에어센스(AirSense) ADS-B’ 수신기는 파일럿이 직접 눈으로 인근을 지나는 비행기를 확인하기 전에, ADS-B 신호를 송신하는 주변의 비행기와 헬리콥터를 인식한다. DJI의 ‘지오 2.0(GEO 2.0)’ 지오펜싱 시스템은 영공 제한과 비행 지역의 잠재적 위험 정보를 드론 파일럿에게 제공해 추가적인 안전 비행을 지원한다.  매빅 3 클래식은 다른 DJI 제품과 동일한 데이터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지정하여 허용한 사람이 아니라면 사진과 동영상, 비행 로그를 공유할 수 없다. 비행 중 드론을 인터넷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전송 시스템은 동영상 신호와 비행 제어를 모두 암호화한다. 중요도가 높은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프로젝트의 경우, DJI의 데이터 보안 시스템이 민감한 작업에 필요한 주의와 보호 기능을 지원한다. 매빅 3 클래식은 전세계의 최신 규제 시스템을 준수한다. 미국의 경우, 미국 연방 항공청(FAA)에서 다른 매빅 3 시리즈 드론과 같이 매빅 3 클래식의 원격 ID를 통한 규정 준수 방법을 승인했다. 유럽의 경우, 새로운 유럽 드론 규정 아래 전체 매빅 3 시리즈가 세계 첫 C1 인증 드론이 되었으며, 값비싼 파일럿 라이선스 시험없이 새로운 ‘A1 오픈 카테고리(Open Category)’로 비행할 수 있다. DJI 케어 리프레시(Care Refresh)는 DJI 제품에 대한 종합 보상 서비스 플랜으로, DJI 매빅 3 클래식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플라이어웨이, 충돌, 침수 피해를 포함하는 우발적 손상에 대해 교체 서비스로 보상받을 수 있다. 고장 사고 발생 시, 소액의 자기 부담금으로 손상된 제품을 교체 받을 수 있다. DJI 케어 리프레시 1년 플랜은 1년 이내 최대 2회 교체 서비스를 포함한다. DJI 케어 리프레시2년 플랜은 2년 이내 최대 3회 교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품 워런티를 구매일로부터 최대 2년까지 연장해준다. DJI 케어 리프레시의 다른 서비스로는 안전 비행에 대한 보상, 무료 배송 등이 있다.     DJI 매빅 3 클래식은 DJI 스토어(store.dji.com)와 공인 유통채널에서 3개 구성품으로 판매된다. 매빅 3 클래식(기체 단품)은 조종기나 충전기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미 DJI 드론을 소유하고 매빅 3의 퍼포먼스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구성이다. DJI RC-N1, DJI RC, DJI RC Pro 조종기와 호환된다. 소비자 권장 가격은 191만 3000원이다. 매빅 3 클래식은 충전기와 DJI RC-N1 조종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소비자 권장 가격은 210만 원이다. 매빅 3 클래식(DJI RC)은 충전기와 DJI RC 조종기를 포함한 구성이다. 소비자 권장 가격은 230만 원이다. 매빅 3 클래식 플라이 모어 키트(숄더 백)는 인텔리전트 플라이트 배터리 2개, 배터리 충전 허브(100W) 1개, 65W 차량용 충전기 1개, 저소음 프로펠러 3쌍, DJI 숄더 백 1개를 포함한다. 소비자 권장 가격은 66만 9000원이다. DJI의 페르디난드 울프(Ferdinand Wolf)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매빅 3 시리즈는 드론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왔다. 매빅 3와 매빅 3 Cine는 항공 사진 촬영 및 시네마토그래피 분야에, 매빅 3 Enterprise 및 매빅 3 Thermal은 전문 산업 분야에 변화를 가져왔다”고 말하며, “DJI는 매빅 3 시리즈의 안정적인 조작성과 훌륭한 이미지 사양을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경험하도록 한걸음 더 나아가고자 한다. 매빅 3 클래식 출시를 통해, 최고급 툴을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사용하고, 기존 한계를 넘어 무한한 창작 가능성을 펼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2-11-07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 공간정보 혁신기술 및 UAM 등 다양한 콘텐츠 소개 
국토교통부가 공간정보의 미래 기술 조망과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를 11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경기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했다. 오프라인 행사로는 3년 만에 열린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는 디지털대전환 시대 연결과 융합의 핵심 기반인 '공간정보'의 최신 기술과 산업동향을 교류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 산학연관 협력의 플랫폼으로 올해로 14회째를 맞이했다. 스마트국토엑스포는 ‘디지털 지구,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삶(Digital Earth: Better life for all)’이라는 주제 아래 전시, 비즈니스미팅·워크숍, 콘퍼런스, 체험콘텐츠, 각종 경진대회 및 창업·취업지원 프로그램 등 알차고 다채로운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올해는 국내외 공간정보 선도기업 128개사(현대차, 구글, 두산, 한컴인스페이스, 티맵, 프롭테크 기업 등)가 250여개의 부스로 전시에 참여하는 등 규모면에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전시관은 스마트모빌리티·디지털플랫폼·트윈기술·드론·AI·빅데이터 등 공간정보 기반의 미래 핵심기술들을 디지털지구 테마관, GEO 소프트웨어존, 지상지하기술존, 항공우주존, 스타트업존, 인재양성존 등 주제별로 구성되었다. 특히 올해는 도심항공교통(UAM), AI분석, 안전, 생활편의 등 디지털트윈 기반의 스마트 국토 활용 서비스를 실감나는 체험 중심 콘텐츠로 구현함으로써 대중적인 공감대와 공간정보 활용서비스의 저변을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행사에는 실시간 홀로그램으로 탄생한 나의 아바타, 실제 경비행기 조정석에서 경험하는 비행 시뮬레이션, 내 손으로 조정하는 드론택시의 도시상공 비행체험, 자전거로 떠나는 3D 안양천 여행길 등 풍성한 체험 콘텐츠가 선보였다. 기술, 융합, 정책, 학술 등 4개의 세션으로 진행되는 콘퍼런스도 올해는 양과 질적으로 깊이를 더해 32개의 콘퍼런스가 운영되었다. 올해는 오픈소스 GIS 관련 국내 최대축제인 FOSS4G((Free Open Source Software for GEOspatial) 코리아와 첫 협업을 통해 국내 오픈소스 GIS 최대 축제인 ‘오픈소스 기반 공간정보 확산을 위한 기술 콘퍼런스’를 개최하였다. 또한 국민대학교 정구민 교수와 카카오모빌리티 박일석 이사가 강연하는 ‘자율주행 2023 대전망’, 올포랜드 신한섭 상무와 아놉 토마스(Annop Tomas) GSSI 엔지니어가 강연하는 ‘2022 GSSI GPR 기술 세미나’를 비롯하여 ‘2022 LH 디지털 트윈 콘퍼런스’, ‘2022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와 스마트시티’, ‘해양정보산업 발전포럼’ 등 공간정보 지식의 대향연도 펼쳐졌다. 디지털인재를 양성하고 새싹기업(스타트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특성화교 학생들의 면접역량 강화와 성공적인 진로 설계를 위한 모의·심화 면접을 진행하며 AI 취업 컨설팅을 통해 실전 대처능력도 길러 공간정보 분야 취업역량을 갖춘 디지털 인재로의 성장을 지원했다.공간정보는 주로 토목, 건축, 도시, 환경 등 국가 인프라 분야에서 활용돼 왔지만 최근에는 우리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도 그 활용성이 증가되는 추세다. 이에 본 행사에서는 반려견 산책로 맵과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한 영상 제작 방식 사례 등을 관람객에서 처음 선보였다. 또한 국내 최초로 3차원 공간정보데이터 기반 이미지정합 기술을 활용한 넷플릭스 드라마‘오징어 게임’, BTS 삼성 스마트폰 광고 등에서 제작 과정에 참여한 '75미리사'의 공간정보 활용사례가 소개되어 많은 이들의 눈길을 끌었다.  
작성일 : 2022-11-04
리커다인 2023 : 솔버 개선 및 다물체 동역학 해석 기능 강화
개발 및 공급 : 펑션베이 주요 특징 : 지속적인 솔버 개발을 통해 Static 솔버 성능과 접촉 해석 속도가 대폭 향상, 지오메트리의 관계에 따른 형상 업데이트, 모델의 단위계 변환, 개선된 해석 결과 녹화 기능, 모델 단위계 변환 기능, 리커다인의 유연체와 파티클웍스의 유체 입자 간 양방향 열전달 해석 지원, 기본 형상에 대하여 최적의 메시를 생성하는 기능, 드라이브트레인 개선 등 사용 환경(OS) : 64비트 윈도우 8/10   새롭게 출시되는 RecurDyn 2023(리커다인 2023) 버전에서는 2년여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N-R Static 솔버 성능과 접촉 해석 속도가 대폭 향상되었다. 또한, DOE나 최적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오메트리(geometry)의 계층 관계에 따른 형상 업데이트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외에도 RecurDyn의 유연체와 Particleworks(파티클웍스)의 유체 입자 간 양방향 열전달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기본 형상에 대한 최적의 메시(mesh)를 생성해 주는 Primitive Auto Mesh(프리미티브 오토 메시)가 추가되었다. 그 밖에 Endless Simulation 기능이 추가되고 DriveTrain(드라이브트레인) 툴킷의 개선과 해석 결과 녹화 기능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솔버 기능 강화 Static Solver 개선 및 FFlex Static RecurDyn 솔버는 매 버전마다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개선을 거듭하고 있다. N-R Static 솔버의 경우 2년여의 연구 개발을 통해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이전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정적 평형상태를 계산할 수 있으며, 강체와 RFlex 보디(Modal method)는 물론 FFlex 보디(Nodal method)가 포함된 비선형 MFBD 모델의 정적 해석도 지원한다.   그림 1. 접촉을 수반한 MFBD 모델의 정적 평형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   특히, FFlex 보디가 포함된 모델의 정적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FFlex Static의 경우, 유연체에 대한 구조 해석을 통해 정적 상태의 변형 및 응력 확인이 가능하며, FFlex 보디의 Self Contact는 물론 다른 보디 간의 접촉까지 고려한 MFBD 모델의 정적 해석을 지원한다. 또한 유연체의 변형된 형상이 필요한 경우, 정적 해석과 Extract 기능을 활용하면 손쉽게 변형된 형상을 만들 수 있다.   그림 2. 팽팽하게 당긴 상태 계산   그림 3. 트랙링크의 정적 해석   그림 4. 섀시 구조 해석   그림 5. 초기 평형상태 계산   이를 통해 자동차, 굴착기와 같은 모델의 초기 평형 상태를 사전에 계산함으로써 해석 속도와 정확도를 개선하고, 동적 조건을 고려하기 전 정적 해석을 이용한 사전 튜닝을 통해 전체적인 해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관성의 효과가 작은 모델의 경우 준정적 해석(quasi-static analysis)을 이용하여 모델의 거동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가동 범위(range of motion)나 보디 간의 간섭을 정적 해석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림 6. Quasi-static을 이용한 로봇 거동 확인   접촉 해석의 다중 프로세서 처리 지원 RecurDyn에서 접촉을 해석할 수 있는 GEO Surface Contact 요소의 알고리즘 개선 및 다중 프로세서 처리(SMP) 지원을 통해 접촉 성능이 약 50%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GEO Surface Contact가 많이 사용된 시스템의 경우 해석 시간이 최대 40~50% 단축된다. RecurDyn 2023에서 별도의 모델 수정 없이 향상된 접촉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그림 7   RecurDyn의 동역학 모델에서는 접촉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모델의 해석 속도가 개선된다. 또한 강체는 물론 FFlex, RFlex와 같은 유연체가 포함된 MFBD 모델에서도 향상된 접촉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림 8. Clutch 모델 접촉 성능 31% 개선   그림 9. Web Handling 모델 접촉 성능 33% 개선   이러한 접촉 성능 개선은 연속적으로 일정한 접촉력이 발생할 때, 혹은 접촉 요소가 많고 지속적으로 접촉이 발생할 때, FFlex 계산량보다 접촉 계산량이 많을 때 더욱 유용하게 작용한다.   MFBD 기능 강화 FFlex Thermal과 Particleworks의 양방향 열유체 연성해석 RecurDyn의 유연체와 Particleworks의 유체 입자 간의 양방향 열전달 해석을 지원한다. Particleworks에서 계산한 HTC(Heat Transfer Coefficient) 및 유체의 온도 정보를 설정된 시간 스텝에 따라 RecurDyn의 유연체의 온도 정보와 교환하며, 각 온도 조건을 유체 및 고체의 열전달 해석의 경계조건으로 사용한다. 두 소프트웨어는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완전히 양방향으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그림 10   이 기능을 활용하여 유체에 의한 FFlex 보디의 냉각 및 가열 상태, 그에 따른 구조체의 팽창 및 수축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FFlex Thermal 개선으로 노드(node)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Expression 함수가 추가되어, 노드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메셔(mesher) 개선 Sphere, Box, Cone 형상에 대한 최적의 메시를 생성해 주는 Primitive Auto Mesh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RecurDyn에서 생성한 Sphere, Box, Cone 지오메트리를 지정할 수 있으며, 형상에 맞는 고품질 메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림 11   Professional(MBD) 기능 강화 지오메트리의 계층 관계에 따른 형상 업데이트 RecurDyn에서 지오메트리를 생성할 때 Curve → Surface → Solid 순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계층 구조(hierarchy)가 적용되는 지오메트리의 경우, 상위 지오메트리를 수정하면 하위 지오메트리도 그에 따라 업데이트되도록 개선되었다.   그림 12   Curve의 형상을 수정하면 서피스(surface) 혹은 솔리드(solid)까지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RecurDyn에서 보다 다양한 형상을 사용자가 모델링하고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DOE, AutoDesign 등을 통한 형상 최적화도 수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모델의 단위계 변환 RecurDyn 2023부터는 모델 생성 후에도 모델의 유닛(unit)을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롭게 추가된 Change Model Units 기능을 통해 RecurDyn 모델의 Force, Mass, Length, Time에 대한 유닛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의 유닛을 직접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모델 단위계를 변경할 수 있어, 서로 다른 나라의 엔지니어와 기술적 대응이나 교류를 할 때 해당 나라에 맞는 단위계로 손쉽게 변경하여 작업 및 결과 학인을 할 수 있다.   그림 13   Endless Simulation RecurDyn에서 해석을 수행할 때 Simulation End Time의 지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End Time 비활성화 시, End Time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Stop을 누를 때까지 시뮬레이션이 계속 진행된다. 이 기능을 Stop Condition 기능과 함께 사용하면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시뮬레이션이 종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해석 결과 녹화 기능 개선 기존의 해석 결과 녹화 기능이 개선되었다. 녹화 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거나 전체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결과 그래프가 포함된 애니메이션을 녹화할 수 있다.   그림 14   툴킷 기능 강화 DriveTrain 개선 GearTrain의 생성 방법이 개선되어 2개의 선기어와 1개의 캐리어가 사용되는 라비뇨식 기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Rack&Pinion의 생성 및 시뮬레이션 지원하여 KISSsoft Z13 파일로 가져오기 및 저장이 가능하다. 이렇게 생성한 Rack&Pinion도 다른 기어와 마찬가지로 KISSsoft를 이용한 접촉 계산, 기어 메타 모델을 이용한 계산을 지원한다.   그림 15   그리고 Contact Pressure, SV(Sliding Velocity), PV(Pressure Velocity)를 RecurDyn 컨투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개선되어, 시간에 따른 변화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림 16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2-11-01
[케이스 스터디] 삼우이머션의 VARLOS 항만 모니터링 시스템
언리얼 엔진으로 디지털 트윈 제작해 효율적 항만 물류 관리 시스템 구축   부산항은 대한민국 최대의 무역항으로서 해운물류 중심 기지다. 그러나 그간 부산항만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영, 안전, 그리고 예측을 위한 시스템들이 각각 분리되어 비효율적으로 운영돼 왔다. 이에 부산항만은 항만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된 관제 시스템을 필요로 했고, 약 1.1km2 면적의 부산항터미널 내에 위치한 신선대 부두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먼저 구축해 보기 위해 산업분야 XR 솔루션 전문기업인 삼우이머션과 협업했다. 그 결과, 언리얼 엔진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VARLOS 항만 모니터링 시스템(VARLOS Terminal Monitoring System)이 구축되었다. ■ 자료 제공 : 에픽게임즈   그림 1. VARLOS에 연동된 CCTV를 통해 현장 모니터링   데이터를 디지털 트윈에 그대로 반영 기존의 관제 시스템은 물량과 작업 정보를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CCTV를 설치하는 것이 최선이었다. 또한 최근 현장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법안들이 제정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통합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더욱 요구돼 왔다. 이러한 요구로 제작된 VARLOS는 항만 터미널로부터의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과 이를 통한 대용량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3D 기반의 디지털 관제 시스템으로 물류를 위한 차량이나 선적 장비에 탑재된 GPS 트래커로 수집된 데이터가 디지털 트윈 상에 그대로 반영된다. 컨테이너의 반출입, 장치, 양적하 작업 상태, 그리고 항만의 안전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3D로 시각화되어 직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림 2. VARLOS에 연동된 CCTV를 통해 현장 모니터링   이를 통해 항만 내근직 근로자와 현장 기술자들은 보다 밀도 높은 소통이 가능해지고, 사고 발생 시 사고 현장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알림을 통해 보다 빠르게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수집된 데이터는 AI 기반 분석 및 예측 시뮬레이션을 통해 크레인의 생산성을 높이고 이송 차량의 불필요한 투입을 감소시키는 등 보다 효율적인 항만 운영이 가능해진다.   그림 3. 관제실에서 실시간 항만 장비 작업 모니터링   그림 4. 관제실에서 실시간 항만 장비 작업 모니터링   고도화된 시스템 구축 위해 언리얼 엔진 선택 삼우이머션이 고도화된 시스템 구축에 언리얼 엔진을 선택한 배경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그 중에서도 언리얼 엔진이 WGS84 좌표 체계와 MQTT 데이터의 통합을 지원한다는 점이 가장 돋보였다. 완벽한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해서는 위성 지도 기반의 타일링 기법을 적용한 지형 매핑 및 GEO-IoT 정보의 연동이 필수다. 언리얼 엔진은 지오레퍼런스 플러그인을 통해 분산된 좌표계 데이터를 WGS84 좌표계로 통일해 GIS 정보 통합에 도움을 제공하였다. 또한 데이터 통합에는 언리얼 엔진이 풀 소스 코드까지 모두 제공한다는 점이 큰 도움이 되었다. IoT 인터페이스는 무선 단말의 특성상 저전력 및 경량화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이 요구를 만족하는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메시징 프로토콜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ISO 표준 방식이자 국내외 수많은 항만에서 사용하는 IoT 센서 디바이스의 통신 방식이다.   그림 5. 위성 지도 기반의 타일링 기법을 적용한 지형 매핑 및 GEO-IoT 정보의 연동   그림 6   따라서 실시간 MQTT 데이터를 통합하는 과정이 필수였는데, 언리얼 엔진이 풀 소스 코드를 제공한 덕에 삼우이머션은 제한 없이 필요한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를 통해서 발주처가 요구하는 프로젝트 필수 기능들을 모두 갖출 수 있었다. 또한 LTE 및 5G 통신망에 기반한 표준 IoT 플랫폼이기 때문에 어떤 IoT 디바이스와도 연동할 수 있는 확장성도 매력적인 이유가 되었다. 삼우이머션이 언리얼 엔진을 선택한 이유는 이외에도 있다. 고해상도 텍스처를 가진 사실적인 3D 데이터를 현장에서 즉시 적용하고 퍼포먼스 저하 없이 실시간으로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본격적인 코딩 전에 블루프린트 비주얼 스크립팅을 사용해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제작 및 검토해 반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했다. 또한 언리얼 엔진의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하는 여러 플러그인과 애셋을 활용해 개발 시간을 크게 단축시켰다.   그림 7   그림 8   그림 9   그림 10   언리얼 엔진의 여러 내장 기능으로 다양한 이벤트 쉽고 간단히 처리 그 밖에도 언리얼 엔진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 덕분에 3D 오브젝트 관리와 다양한 이벤트들을 쉽고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 월드 아웃라이너를 통해 월드에 존재하는 수많은 객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물론, 콜리전 기능을 활용하여 객체들 간에 충돌을 검출할 수 있는 트리거를 만들어 객체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객체들 간의 충돌 검출 트리거와 언리얼 엔진 디지털 트윈에 반영된 위상 기반 GIS 정보 및 데이터들을 통해 선적 작업 동선을 사전에 시뮬레이션하고 검증해 항만 터미널의 장비와 시설물 간의 중복될 수 있는 작업을 미리 파악하는 것도 가능해 항만 운영의 효율성 제고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림 11. 객체 간의 충돌 검출 시뮬레이션   삼우이머션의 다음 목표와 언리얼 엔진의 활용 전망 삼우이머션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체득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형 시각화 기법을 다양한 XR 통합 솔루션의 환경을 구축하는데 적용하고 있다. 언리얼 엔진의 다양한 기능들로 몰입도 높은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방대한 실제 지형 기반의 환경이 필요한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 등 방위산업의 최전선에서도 언리얼 엔진의 강력함을 적극 활용 중이다. 삼우이머션은 더 나아가 월드 파티션, 나나이트 등 언리얼 엔진 5의 새로운 기술들을 접목해 대규모 오픈월드의 형태로 디지털 트윈을 확장하는 것을 다음 목표로 삼고 있다.   ▲  인터뷰 영상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2-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