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AEP"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0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어도비, 기업의 고객 경험 오케스트레이션 혁신을 지원하는 AI 에이전트 정식 출시
어도비가 기업의 고객 경험 및 마케팅 캠페인 구축, 전달, 최적화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꿀 AI 에이전트(AI Agents)의 정식 출시를 발표했다. 또한 어도비는 익스피리언스 플랫폼(Adobe Experience Platform : AEP)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Agent Orchestrator)를 통해, 자사 및 서드파티 생태계 전반에서 에이전트가 맥락을 파악하고, 여러 단계의 작업을 계획하며, 응답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에이전트를 맞춤화, 관리하는 기업용 AI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의 토대가 되는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기업들이 전사적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연결해 기업 데이터, 콘텐츠, 워크플로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고객의 70% 이상이 어도비 및 서드파티 전반의 에이전트와 팀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인 어도비의 AI 어시스턴트를 사용하고 있다. 허쉬 컴퍼니, 레노버, 머클, 웨그먼스 푸드 마켓, 윌슨 컴퍼니 등의 브랜드가 어도비의 에이전틱 AI 설루션을 사용해 조직 내 전문성을 강화하고 영향력 있는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는 의사결정 과학 및 언어 모델 기반의 추론 엔진을 탑재해, 동적 및 적응형 추론도 지원한다. 자연어 프롬프트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해석하고, 전체적으로 조율된 계획에 따라 어떤 에이전트를 활성화할지 상황에 맞춰 결정한다. 그 결과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는 맥락에 맞게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고, 사람이 개입하는 방식을 사용해 세부 조정도 지원한다.  ▲오디언스 에이전트(Audience Agent ▲저니 에이전트(Journey Agent) ▲익스페리멘테이션 에이전트(Experimentation Agent) ▲데이터 인사이트 에이전트(Data Insights Agent) ▲사이트 옵티마이제이션 에이전트(Site Optimization Agent) ▲프로덕트 서포트 에이전트(Product Support Agent) 등의 AI 에이전트는 어도비 실시간 고객 데이터 플랫폼(Adobe Real-Time Customer Data Platform : RT-CDP),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Adobe Experience Manager), 어도비 저니 옵티마이저(Adobe Journey Optimizer), 어도비 커스터머 저니 애널리틱스(Adobe Customer Journey Analytics) 등 어도비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기업은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마케터의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 경험 오케스트레이션(CXO)를 가속화할 수 있다. 출시를 앞둔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컴포저(Experience Platform Agent Composer)는 기업이 브랜드 가이드라인, 조직 정책 관리 등에 기반해 AI 에이전트를 맞춤화하고 구성할 수 있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팀은 AI 에이전트 작업을 세밀하게 조정하고 성과를 가시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에이전트 SDK(Agent SDK) 및 에이전트 레지스트리(Agent Registry)를 포함한 새로운 개발자 툴을 통해 개발자는 에이전틱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확장 및 조율할 수 있게 돼, 새로운 산업과 사용자 페르소나에 맞춰 사용 사례를 확장할 수 있다. 팀이 더 나은 성과를 내기 위해 에이전틱 AI를 도입함에 따라, 서로 다른 생태계에 속한 AI 에이전트 간 상호운용성은 매우 중요하다. 에이전트 컴포저는 기업이 Agent2Agent 프로토콜을 사용해 여러 에이전트의 협업을 추진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특정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맞춤형 역량을 통해 더 많은 워크플로에 걸쳐 에이전틱 AI의 가치를 확장시킨다. 또한 코그니전트, 구글 클라우드, 하바스, 메달리아, 옴니콤, PwC, VML과의 새로운 에이전틱 AI 파트너십을 통해 에이전트 간 워크플로의 원활한 실행과 다양한 산업 및 사용 사례에 걸친 맞춤화도 가능해졌다. 안줄 밤브리(Anjul Bhambhri)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은 “어도비는 오랫동안 디지털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전환함으로써, 기업들이 고객에게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하도록 지원해왔다. 이제 어도비는 에이전틱 AI(Agentic AI)를 활용해 특화된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데이터, 콘텐츠, 경험 생성 워크플로에 내장하고 있다”면서, “어도비의 AI 혁신은 프로세스를 재구상하고 마케팅 팀의 생산성을 높이고, 개인화된 경험을 대규모로 제공해 비즈니스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고객 경험을 향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9-12
어도비, 기업용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 발표
어도비가 에이전틱 AI에 대한 전략과 제품을 공개했다. 어도비는 마케팅 및 고객 경험 플랫폼인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Adobe Experience Platform, AEP)에 대한 혁신으로, 마케터가 특화된 AI 에이전트를 사용해 웹사이트 최적화, 크기 조정과 같은 반복적인 콘텐츠 제작, 타깃 고객 세분화, 채널 실험 생성 및 최적화, 콘텐츠 및 디지털 미디어 제작 확장 등의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에이전틱 역량을 내장했다. 기업들이 조직 전반에 걸쳐 실시간 데이터를 연결하여 향상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도록 돕는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매년 1조 건 이상의 경험이 활성화된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차세대 AI 에이전트를 주도하기 위한 경험 플랫폼이다. 기업이 고객과 소통하는 방식과 영향력 있는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조정하는 마케터의 일상 업무를 재편할 어도비의 최신 AI 혁신은 어도비 제품 전반에 걸친 AI 에이전트 및 모델을 통합한 어도비 AI 플랫폼(AI Platform)으로 구동된다.  서드파티 생태계의 AI 에이전트를 비롯해 상업적으로 안전한 어도비 파이어플라이(Adobe Firefly), 안전한 서드파티 모델, 자사 데이터 인사이트 등을 포함한다. 이는 고객 경험(CX) 데이터, CX 언어 모델 및 AI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합한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Adobe Experience Platform)에서 실행된다. 이처럼 어도비는 AI 플랫폼을 통해 마케팅 및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통합하며 대규모로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AEP Agent Orchestrator)는 선도적인 브랜드들이 디지털 비즈니스를 강화하고 탁월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 중인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클라우드(Adobe Experience Cloud)를 통한 기업 데이터, 콘텐츠 및 고객 여정의 맥락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근간으로 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데이터 거버넌스 및 규정 준수를 갖춘 특화된 에이전틱 AI 설루션을 통해 특정 세그먼트를 겨냥한 몰입형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를 통해 기업은 어도비 및 서드파티 생태계에서 AI 에이전트를 구축, 관리 및 조율할 수 있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기반의 에이전트는 고객 데이터와 콘텐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을 강화하고, 멀티 에이전트 협업 및 역동적인 적응형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의사 결정 과학 및 언어 모델을 지원한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데이터는 무관한 데이터에서 의미를 도출하고 영향력 있는 고객 경험을 구현하는 경험 데이터 모델(Experience Data Model) 스키마에 따라 통합되어, 기업이 가치 실현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 수십억 개의 고객 프로필이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관리 및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어도비는 최초의 브랜드 중심 에이전틱 앱인 ‘브랜드 컨시어지(Brand Concierge)’도 공개했다. 이 앱은 특정 임무 수행형 챗봇 및 웹 기반 에이전트에서 진화한 형태로, 기업의 고유한 브랜드 속성과 고객 데이터를 활용해 모든 고객에게 맞춤형 브랜드 컨시어지 경험을 제공하는 브랜드 중심 에이전트 경험을 준다. 어도비 브랜드 컨시어지는 B2C및 B2B 팀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됐다. 브랜드 컨시어지는 영업 및 마케팅 팀의 공동 운영이 필요한 계정 자격 에이전트 등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를 사용해 B2B 팀만이 가진 고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례로 브랜드 컨시어지는 브랜드 웹사이트에서 일반적인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해당 계정과의 기존 관계를 기반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후속 미팅을 예약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보다 정확한 개인화를 지원해 더 많은 리드(lead)를 생성하고 전환을 촉진함으로써 세일즈 주기를 최적화한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에 구축된 새로운 AI 구동 설루션인 어도비 브랜드 컨시어지를 통해 기업은 몰입감 있는 대화형 경험을 제공하며, 소비자가 탐색부터 구매 결정을 내리는 전 과정을 안내하는 AI 에이전트를 구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멀티모달 방식의 브랜드 컨시어지는 텍스트, 음성 및 이미지를 통한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동시에 AI 기반의 풍부한 상품 추천 및 비교를 제공한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의 포괄적인 인사이트,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 브랜드 경험 및 서드 파티 소스를 활용하는 제품 어드바이저 에이전트 등을 활용해, 브랜드 컨시어지는 사용자 맥락 및 브랜드 선호도에 맞춘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신뢰성 확보와 규정 준수를 위한 자사 데이터 및 브랜드 콘텐츠에 기반한다. 또한 고객이 기업의 디지털 자산 전반에 걸쳐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파악된 감정, 행동 및 문제에 대한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전반적인 고객 경험을 알리고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어도비는 어도비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제품군을 발표했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에 구축된, 바로 사용 가능한 AI 에이전트는 어도비 실시간 고객 데이터 플랫폼(Adobe Real-Time Customer Data Platform, CDP),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Adobe Experience Manager), 어도비 저니 옵티마이저(Adobe Journey Optimizer), 어도비 커스터머 저니 애널리틱스(Adobe Customer Journey Analytics)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강화해 팀의 역량을 높인다. 어도비의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는 마케팅 및 크리에이티브 팀의 역량을 강화해 대규모 개인화 추진을 돕는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는 기업에 멀티 에이전트 협업을 위한 툴을 제공하며, 특정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맞춤화 역량을 통해 더 많은 워크플로에서 에이전틱 AI의 가치를 확장한다. 여기에는 에이전트 전반에서 고객 서비스, 엔터프라이즈 리소스 계획, 인력, 협업 및 생산성, 데이터 관리를 위한 사용 사례를 원활하게 실행하도록 액시엄(Acxiom),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제네시스(Genesys), IBM,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레인포커스(RainFocus), SAP, 서비스나우(ServiceNow), 워크데이(Workday)와의 신규 및 지속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이 포함된다. 또한 어도비는 다양한 업계 및 사용 사례에 대한 맞춤화를 추진하기 위해 액센추어(Accenture), 딜로이트 디지털(Deloitte Digital), EY, IBM과 확장된 에이전시 및 시스템 통합업체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어도비의 안줄 밤브리(Anjul Bhambhri) 익스피리언스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부문 수석 부사장은 “어도비는 신뢰할 수 있는 실시간 경험 인사이트를 핵심으로 영향력 있는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CMO(최고 마케팅 책임자), CIO(최고 정보 책임자) 및 해당 조직과 긴밀히 협력해오고 있다”면서, “에이전틱 AI는 업무 환경의 혁신을 가속화할 획기적인 도약이다. 어도비의 최신 혁신은 실무자의 생산성을 높여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돕는 한편, 특화된 AI 에이전트를 통해 개인화를 확장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3-19
로킷헬스케어, 항공·의료 부품 생산용 대형 3D 프린터 일본 수출
로킷헬스케어가 항공기 부품 생산을 위한 대형 3D 프린터를 일본에 수출하며 3D 프린팅 기술을 항공분야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로킷헬스케어는 국내 최초로 울템(PEI), PEEK 등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출력 가능한 대형 3D 프린터 AEP 450을 일본에 수출한다고 소개했다. 독자 기술로 개발한 AEP 450은 국내 최초로 울템(PEI), PEEK 등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40cm까지 출력 가능한 산업용 3D 프린터다. ▲ 로킷헬스케어 유석환 대표(오른쪽)와 사쿠라이노베이션 코지 카마모토 대표가 AEP 3D 프린터 일본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로킷헬스케어에 따르면 울템(PEI), PEEK와 같은 고강도 플라스틱은 용융온도가 400도가 넘어 고온 유지 기술이 필요하고, 대형 사이즈 출력물은 출력 시 평탄도 컨트롤이 매우 어려워 고난이도 3D 프린팅 기술이 된다. 현재까지 일반 폴리머 소재와 고강도 플리스틱 소재가 모두 출력 가능한 첨단 3D 프린터로는 로킷헬스케어의 AEP II와 AEP 450가 있다. 이와 더불어 의료용 PEEK 소재 필라멘트가 개발된다면 척추 케이지나 두개골 임플란트를 대체할 수 있는 메디컬 3D 프린터로도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번에 수출하게 된 사쿠라쿠라이노베이션은 일본 이다 지역의 항공기 부품을 제작하는 기업이다. 사쿠라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실제로 대형 부품을 PEEK로 제작 가능한 로킷헬스케어의 3D 프린터 기술력과 저렴한 장비 가격에 매우 만족한다”고 말했다.   로킷헬스케어 관계자는 “일본 이다 지역은 전통적으로 항공기 제작을 위한 공업지역으로 항공기 부품 제작을 위한 산업용 3D 프린터의 수요가 많다”며 “자사의 기술은 실제 생산 라인에 바로 투입이 가능할 정도의 품질을 갖추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로킷헬스케어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AEP 450은 일반 플라스틱 소재부터 고강도 플라스틱도 출력이 가능하며 자동 평판도 맞춤, 출력 후 자동 열처리 등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장비다. 높은 강도를 요구하면서도 적은 하중을 필요로 하는 항공기, 자동차, 우주 산업용 부품 제작을 위한 생산에 적합하다.
작성일 : 2018-12-08
[포커스] 알테어, 캐리옷 인수로 사물인터넷 플랫폼 강화
시뮬레이션-사물인터넷 연결한 디지털 트윈 전략 제시 알테어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기업인 캐리옷(Carriots)을 인수하면서, 시뮬레이션과 사물인터넷을 결합해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클라우드를 아우르는 디지털 트윈 전략을 선보였다. 지난 7월 6일 ‘ATCx for IoT’ 세미나를 진행한 한국알테어(www.altair.co.kr)는 캐리옷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국내서도 사물인터넷 관련 관련 비즈니스를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 정수진 편집장 sjeong@cadgraphics.co.kr 빠르게 성장하는 사물인터넷, 제품 개발 패러다임 바꾼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가운데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관심이 갈 수록 높아지면서 사물인터넷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가트너는 올해 전세계 사물인터넷 기기가 전년 대비 31% 증가한 84억대를 기록할 것이며, 2020년에는 204억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제조분야에서 사물인터넷은 제품을 개발하고 제조하는 방식을 바꿔 놓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 ‘제품’은 기구 구조만 가리키지 않는다. 센서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클라우드에 저장해 빅데이터로서 분석하며, 더욱 효율적인 운용방법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 및 시스템 간 통신이 이뤄지는 포괄적인 체계 및 서비스가 제품 개발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알테어는 지난 6월 IoT 플랫폼 기업인 캐리옷(Carriots)을 인수했다. 캐리옷은 디바이스를 신속하게 연결하고 관리하며,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시스템과 함께 지능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IoT 애플리케이션 지원 플랫폼(AEP : Application Enablement Platform)을 제공한다. 알테어는 캐리옷을 사물인터넷 및 M2M(Machine to Machine) 프로젝트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PaaS)으로 소개했다. 디바이스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데이터 활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소규모의 프로토타입부터 수천 개의 디바이스까지 지원하는 확장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한국알테어 문성수 대표는 “솔버와 최적화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존 엔지니어링 역량에 캐리옷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결합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선보인다는 것이 알테어의 비전”이라면서 “국내서도 사물인터넷 관련 비즈니스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사물인터넷을 포함하는 제품 개발 지원 플랫폼이라는 측면에서는 PTC가 인수한 씽웍스(Thingworx)와 경쟁도 예상된다”고 전했다. ▲ 캐리옷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하는 사물인터넷 생태계 한편 한국알테어는 지난 7월 6일 ‘ATCx for IoT’를 진행했다. 한국알테어는 특화된 주제에 맞춘 기술세미나로서 ATCx를 연중 진행하고 있는데, 사물인터넷에 초점을 둔 이번 ATCx for IoT에서는 ‘IoT와 디지털 트윈’이라는 주제로 사물인터넷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짚어보고, 제품개발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IoT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소개한 연세대학교 이준기 교수는 “사물인터넷은 ‘제품의 서비스화’라는 개념을 강화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는 주요한 수단이 상품 판매에서 고객 경험으로 옮겨가고 있다”면서 “개인화된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위해서는 데이터가 더욱 중요해지고, 이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있다”고 짚었다. 제품의 서비스화란 제품의 기능뿐만 아니라 제품을 사용하면서 더 높은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GE는 항공기 제트 엔진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운항 정보를 분석하고, 고장이 일어나기 전에 예상되는 결함이나 노후부분을 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농기계 업체인 존 디어는 세계 각지의 농기계가 작동하는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지역 환경에 맞춘 농산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IoT가 가져 올 비즈니스 기회’를 짚은 정지훈 박사는 “사물인터넷은 하드웨어,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연결되어 있고 시장이 파편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개별 기업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결국 생태계와 생태계의 핵심이 되는 플랫폼이 중요해진다”고 전했다. ▲ 알테어는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클라우드 등 포괄적인 사물인터넷 접근법을 제시했다. 시뮬레이션과 사물인터넷 결합해 효과적인 디지털 트윈 구현 사물인터넷이 중요해지는 배경에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 있다. 디지털 트윈의 해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지만, 공통적인 개념은‘ 실제 제품과 같은 디지털 모델’이라는 것이다. 겉모양뿐만 아니라 동작하는 방식까지 실제와 같으려면 구조와 동역학뿐 아니라 신호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고, 제품 개발과 제조에서도 이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한국알테어 이익중 기술총괄은 시뮬레이션(CAE)과 사물인터넷을 통한 알테어의 디지털 트윈 접근법을 소개했다. 디지털 트윈의 핵심 요소는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를 표현하는 데이터 및 정보이다. 사물인터넷은 센서, 인터페이스, 데이터 프로세스 등을 통해 실제와 가상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으로 센싱을 통해 리얼타임으로 측정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은 물리적인 한계가 있는데, 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시뮬레이션이다. 시뮬레이션과 사물인터넷은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이지만, 디지털 트윈 측면에서는 서로 연결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익중 기술총괄은 “시뮬레이션과 CAE는 산업계에서 일반화되어 있지만 사물인터넷과의 연결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앞으로는 센서의 실시간 측정 데이터를 바로 시뮬레이션하는 리얼타임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지는 등, 사물인터넷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시뮬레이션의 역할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알테어는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클라우드 측면에서 사물인터넷에 접근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도 ▲스마트 센서 디자인 ▲사물인터넷을 위한 멀티 태그/MIMO 안테나 ▲스마트 네트워크 플래닝 등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관련 기술과 함께 클라우드에 기반한 ▲멀티 GPU 활용 ▲데이터 애널리틱스 ▲loT 플랫폼과 Machine learnt 등의 내용을 소개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7-08-02
스트라타시스 제품용 대용량 3D프린팅 소재, Xtend 500 Fortus Plus
■ 개발 및 공급 : 스트라타시스(Stratasys), 02-2046-2200, www.stratasys.com■ 주요 특징 : 무인 작동 프린팅 작업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대용량 재료 스트라타시스는 포투스(Fortus) 3D 출력 시스템을 위한 대용량 필라멘트 패키지 엑스텐드500 포투스 플러스(Xtend 500Fortus Plus)를 출시했다. 스트라타시스가 새롭게 공개한 ‘엑스텐드500’은 무인 작동 프린팅 작업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대용량 재료다. 500큐빅인치(in3)에 달하는 FDM 열가소성 수지용 재료가 탑재돼 산출량이 기존 캐니스터 대비 5배 이상 높다. 포투스 3D 출력 시스템에 두 개의 엑스텐드500 패키지를 장착할 경우 400시간의 무인 가동 시간을 비롯해 최대 1,000큐빅인치의 재료를 활용할 수 있다.시제품을 만드는 제조업체와 대형 부품을 생산해야 하는 3D 프린팅 서비스 업체들이 자사의 3D 생산 시스템에 엑스텐드500을 도입할 경우, 한층 길어진 재료 교체 주기를 바탕으로 배송 및 보관에 소요되는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포투스 450mc 고객은 ABSM30(아이보리/검정)과 폴리카보네이트, 서포트 재료의 엑스텐드 500 버전을 구매해 사용할 수 있다. 포투스360mc, 400mc 및 900mc 3D 제조 시스템을 보유 중이라면 포투스 플러스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할 경우 엑스텐드 5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여러 대의 3D 프린터에서 같은 재료 패키지를 공유할 수 있어 물류 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보실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16-09-05
Creo Parametric 3.0의 새로운 기능
대형 어셈블리 관리 중 슈링크랩 생성 활용 이동환E-mail | dhlee@digiteki.com홈페이지 | www.digiteki.com 디지테크 서울기술지원팀의 과장으로 Creo 전 제품들의 기술지원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어셈블리에서 디스크와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주는 크리오 파라메트릭 3.0(Creo Parametric 3.0)의 슈링크랩 생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슈링크랩 모델 생성 시 사용된 품질 설정과 원본 모델의 복잡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숨겨진 컴포넌트가 많은 어셈블리의 경우 메모리가 대폭 절약된다. 슈링크랩 모델을 생성할 때 서로 다른 모델의 설정을 여러 방법으로 조합하여 일차적인 파일 크기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슈링크랩 모델의 유형에는 서피스 서브셋, 면처리된 솔리드 또는 결합된 솔리드 유형의 비연과 슈링크랩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크리오 파라메 트릭 3.0(Creo Parametric 3.0)에서 슈링크랩의 3가지 유형을 생성해 보도록 하자. 슈링크랩의 특징 ■ 디스크와 메모리 사용량을 90% 이상 줄여준다.■ 단일 라이트웨이트(LW) 부품으로 복합 설계 어셈블리를 표현할 수 있다. ■ 대형 어셈블리를 실행할 때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델의 내부 설계를 공개하지 않고도 다른 설계 팀, 공급자 또는 고객이 사용할 수있도록 모델의 정밀한 외부 표현을 제공할수 있다.■ 모델에 포함된 정보의 양과 처리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 - 슈링크랩 모델에는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원본 모델이 수정되어도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슈링크랩 모델의 유형서피스 서브셋으로 내보낸 슈링크랩 모델 생성하기 서피스 서브셋은 서피스와 기준 피처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참조 모델의 외부 표현을 나타내는 단일 부품이며, 수집한 서피스의 품질 단계를 조정할 수 있다. 더 높은 품질을 적용할 수록 슈링크랩에 포함될 서피스 양이 증가하며, 서피스를 제외하여 모델크기를 줄이거나 서피스를 추가하여 원본모델을 더 자세히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신속한 슈링크랩 방법으로 모델 크기가 가장 작으며, 서피스로만 구성된다. 원래 설계의 외형에서 수집된 각 서피스는 슈링크랩 모델로 복사된다. 색상은 보유된다. ANIMATE 어셈블리 파일 열기 후 파일→ 다른 이름으로 저장 → 복사본 저장을 클릭한다. 복사본 저장 대화상자의 유형 드롭다운 목록에서 슈링크랩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한다. 슈링크랩 생성 대화상자에서 생성 방법 탭의 서' 피스 서브셋'을 체크한다. 품질 탭에서 레벨을 10으로 설정하고(최대 10까지 가능), 특수처리 탭에서 '구멍 채우기'의 체크를 해제한 후 미리보기를 클릭한다. 서피스 서브셋 슈링크랩으로 생성된 파일을 열어 본다. 서피스 서브셋 슈링크랩의 변경된 부분을 모델 트리에서 확인할수가 있다. 파일 확장자가 ANIMATE_SW0001.PRT로 변경되고, 외부 형상 복사 피처가 생성되었다. 품질 단계가 높을수록 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제외되는 서피스 수가 적어진다. ■ 더욱 자세한 내용은 PDF를 통해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6-07-27
오토데스크 솔루션 총판 및 공인협력업체(2009)
오토데스크 솔루션 총판 및 공인협력업체 솔루션 총판 공인협력업체 - 상업용 공인협력업체 - 교육용 솔루션 총판 회사명 전화번호 주소 담당자 담당자 이메일 ㈜다우데이타시스템                         02-3468-0500                            서울 강남구 대치동 코스모타워 13층(135-280) 이춘수상무 chuns@daoudata.co.kr ㈜한국인프라 02-6204-5000 강남구 대치동 511번지 극동교회빌딩3층(135-280) 최영식이사 yschoi@krinfra.co.kr ㈜디디알소프트 042-825-5940~102-501-0367~8 본사 : 대전시 유성구 장대동 352-5청양빌딩 3층 (305-308) 지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34-27 명진빌딩 3층 구본훈이사 kbh@ddrsoft.co.kr 코오롱아이넷㈜ 02-2028-9455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533-2 롯데센터 (153-023) 이용균과장 viruslee@kolon.com ㈜인성디지탈 02-2105-4626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99-5 효원빌딩 7,8,9층 김진용부장 jy_kim@isd.co.kr ㈜디브릿지 02-563-1324 서울시 강남구 삼성2동 143-9 창조빌딩 3층 (135-090) 신동진이사 djshin@dbridge.co.kr ㈜티움솔루션즈(교육용) 02-3474-9692,5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23-16번지 2층 (135-080) 강진부장 jkang@tiumsolutions.com 인트라테크㈜ 070-7725-0454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371- 28호 우림라이온스벨리 c동 608호 김영준전무 yjoon@intra.co.kr ㈜캐드피아 02-3453-7661 서울 강남구 역삼동 725-7 제포빌딩5층 (135-921) 서일호이사 ihseo@cadpia.co.kr 한국씨.아이.엠㈜ 02-515-3167 강남구 신사동 630-2 신사빌딩 3층 (135-120) 조민구이사 mgcho@kcim.co.kr ㈜이디앤씨 02-2628-0020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 3가 46E&C드림타워 1113 김지연 jyk@ednc.com 공인협력업체 - 상업용 회사명 전화번호 주소 담당자 담당자 이메일 ㈜닷넷소프트                        062-372-6166                                광주시 서구 쌍촌동 1314 2층 (502-859) 오용인 팀장 yioh@dnsoft.net ㈜드림아이티 051-507-6114 부산시 연제구 거제1동 1493-4 석천빌딩 4층 (611-803) 이철상 부장 chslee@drmit.co.kr ㈜레지스터테크 02-3443-8242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522-6 신광빌딩 B1 최진성이사 choijs@softbiz.kr ㈜선경씨엔씨 041-558-3535 충남 천안 차암 5-2 테크노파크410 (330-200) 이호성 과장 hslee@skcnc.com ㈜해솔데이타 02-783-7844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1-4 라이프콤비빌딩 512호 (150-732) 고승우주임 tester123@haesoldata.co.kr 누리데이타 02-2081-1950~4     서울 구로구 구로동 222-8 코오롱 빌란트 2차 1406-2 김상민차장 smkim@nuridata.co.kr 니트로소프트㈜ 02-546-4454 서울시 서초구 잠원동 28-2 화신빌딩 5층 A호 박인호과장 ihpark@nitrosoft.co.kr 다솔정보시스템㈜ 02-573-7215 서울시 강남구 포이동 60-10 만수빌딩 2층 (135-260) 위성채과장 dasolsystem@hanmail.net 비에스엔씨㈜ 051-744-0990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57 부산디자인센터 6F,7F 임환섭부장 hslim@bsnc.co.kr 성우시스템㈜ 02-6220-3113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235-2 에이스하이엔드 타워 508호 (152-740) 박진수차장 jsupark@sws.co.kr 인트라테크㈜ 070-7725-0454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371- 28호 우림라이온스벨리 c동 608호 김영준전무 yjoon@intra.co.kr ㈜ 이하이스 02-780-4340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197-33 이앤씨벤처드림타워 606호(152-719) 김영주부사장 james@ehys.co.kr ㈜글로벌소프트 02-522-0096 서울시 서초구 서초3동 1599-11 리더스빌딩 1101-1호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445-3 국제빌딩9층 50호 (137-070) 김정현과장 jhkim@globalsoft.co.kr ㈜노바솔루션 02-2165-0165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3가 15-1 월드메르디앙 비즈센터 603호 김기진 kjkim@novasolution.kr 주노티엔씨㈜ 02-322-2511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362-17 코스모스 빌딩 2층 (121-884) 김성옥 sokim@junotnc.com ㈜뉴런솔루션 02-554-6892~4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96-8 스페이스빌딩 2층 (135-930) 신연재과장 yjshin@nrsol.co.kr ㈜단군소프트 02-538-1423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37-31 산학재단빌딩 19층 (137-070) 이승현이사 frank@tangunsoft.com ㈜디브릿지 02-563-1324 서울시 강남구 삼성2동 143-9 창조빌딩 3 (135-090) 신동진이사 djshin@dbridge.co.kr ㈜디엠비코리아 051-552-8114 부산 동래 명륜동 65-75 4층 장원익 Jwi1993@dmbkor.co.kr ㈜디지아톰 02-866-3305 서울시 구로구 구로5동 26번지 포스빌 423호 김홍석본부장 hskim@digiatom.co.kr ㈜디지탈위즈 02-424-5040 서울시 송파구 잠실본동 202번지매은빌딩 5층 김진차장 fromjin@digitalwiz.co.kr ㈜디지탈허브 02-425-2544 서울시 송파구 삼전동 133-6 402호 유지훈부장 ryu@dhurb.co.kr ㈜디지털모아 053-384-2828 대구시 북구 산격 2동 1659 대아빌딩 2층 (702-845) 하경철상무 dm2@dimoa.co.kr ㈜라인테크시스템 02-569-1814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35번지 우정빌딩 2층 (135-080) 위동국이사 dk.wi@linetek.co.kr ㈜마이트아이엔티 02-2202-2606~7 서울시 송파구 삼전동 72-5 삼전원빌딩 3층 김태석 kts@themite.co.kr ㈜바이소프트 02-538-5547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24-22 홍은빌딩 9층 (135-934) 고영명대리 ymko@buysoft.co.kr ㈜비쥬얼데이타 02-523-5123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19-9 경산빌딩 6F (135-509) 김종경이사 kimjk@vdata.co.kr ㈜새롬데이타 02-3452-0586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7가 94-46 제일 빌딩 13층 황윤재차장 redant1004@saeromdata.co.kr ㈜소프트뱅크커머스 02-2187-0160 서울 강남구 논현동 82-18 벤처캐슬 4층 (135-010) 박일흠과장 ihpark@softbank.co.kr ㈜소프트베르크 02-569-3077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42-27 세진빌딩 4층 이강희부장 khlee@softverk.co.kr ㈜큐브렉스 02-561-1770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09-2번지 현대빌딩 7층 백주열팀장 jybaek@qvrex.co.kr ㈜소프트이천 02-553-2331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43-14 덕유빌딩 2층 (135-845) 하민수팀장 msha@softmarket.co.kr ㈜소프트정보서비스 02-716-1915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40-969 관광터미널 4층 29호 (140-013) 한영신과장 yshan@softinfo.co.kr ㈜소프트포유 02-823-8286(212)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470-5 에이스테크노타워 10차 1207호 (153-803) 이종국차장 jklee@soft4you.co.kr ㈜소프트플러스 02-561-3032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90-3 오빌벤처센터 201호 남홍림이사 hlnam@dcinsoft.com ㈜시지웨이브 02-575-6495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82-8 선진빌딩 6층 신경훈대리 banskh@cgwave.co.kr ㈜씨지라인 02-584-8745~6 서울시 서초구 서초3동 1585-18 동정빌딩 별관 르호봇비지니스센터 204호 김만호대리 mano@cgline.co.kr ㈜아이뱅크 02-3397-0440 서울 금천구 가산동 60-19 SJ테크노빌 1009호 (153-801) 김진석팀장 metekjs@3ibank.com ㈜오렌지테크 02-562-7009 서울 강남구 역삼동 839-1 해송빌딩 2층 (135-935) 유재준팀장 jjyoo@orangetech.co.kr (주)와이즈시앤에스 02-3273-3277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82-20 삼향빌딩 302호 신정환 wisesolution@wisesolution.net ㈜위드엠테크놀로지 02-6204-5100 강남구 도곡2동 410 탑빌딩 3층 (135-854) 김희정 hjkim@with-m.co.kr ㈜위메이드아이앤씨   02-2057-5701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234-24 영재빌딩 2층 박종진이사 jjpark@wemadeinc.co.kr ㈜위포 042-484-5612 본사 :대전 서구 만년동 395 아트벤처빌딩 403호 신희성이사 shinhs@wefor.com ㈜위프로소프트 02-718-0058 서울 용산구 한강로 3가 1-1 전자월드 519호 (140-877) 이병내과장 leebn@weprosoft.co.kr ㈜이십일세기소프트 02-2628-5566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3가 46번지 이앤씨드림타워 12층 1212호(150-103) 배훈과장 baehoon@21soft.co.kr ㈜참빛소프트 02-866-3879 서울 강서구 염창동 240-21 우림블루나인비즈니스센터 A동 803-1호 심재웅 simy21c@charmvitsoft.co.kr ㈜캐드피아 02-3453-7661 서울 강남구 역삼동 725-7 제포빌딩5층 (135-921) 서일호이사 ihseo@cadpia.co.kr ㈜컨스트넷 02-2009-2077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02-10 아남타워빌딩 1203호 안재호팀장 jaeho.ahn@buzzsawkorea.com ㈜코스펙정보 02-584-6480 서초구 서초 1동 1427-6 갑목빌딩 3~4층 (137-864) 이병철이사 lbc@cospec.co.kr ㈜코어이엔티 02-561-5335 서울 강남 역삼 668-8 영우빌딩 3층 김민호 support@coreent.com ㈜클릭온스페이스 02-2025-4665 서울 구로구 구로동 187-10 코오롱싸이언스밸리 1차 603호 황종섭부장 jongsub.hwang@gmail.com ㈜퍼스트소프트 02-3432-7738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252-1 태정빌딩 2층 (138-864) 김종훈 jhkim@firstsoft.co.kr 프로넷소프트㈜ 02-3472-9360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909-11 나이스빌 3층 김욱년 onk@pronetsoft.co.kr 프로엠테크놀리지 051-753-4812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2동 173-22 기명빌딩 5층(613-804) 김종수팀장 kjs@cad114.co.kr ㈜포엠아이 02-3452-4041 서울시 강남구 대치4동 907-7 성진빌딩 5층 (135-841) 조용탁부장 goodman@4mi.co.kr ㈜프리모데이타 02-562-0101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957-13 남천빌딩 2층 (135-847) 원종민차장 charisma@primodata.com 한국씨.아이.엠㈜ 02-515-3167 강남구 신사동 630-2 신사빌딩 3층 (135-120) 조민구이사 mgcho@kcim.co.kr ㈜한국 아이엠유 02-2106-5900 서울시 송파구 삼전동 101-2 한림빌딩 4층 (138-839)경남 창원시 용호동 73-39 동산빌딩 6층   이충하부장 chlee@imukorea.com ㈜한국인프라 02-6204-5000 강남구 대치동 511번지 극동교회빌딩 3층 (135-280) 최영식이사 yschoi@krinfra.co.kr ㈜한주씨앤에스 02-2025-8240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426-5 월드메르디앙벤처센타 907호 (153-803) 권영학이사 yhkwon@hanjucs.co.kr ㈜효원시스템 055-262-8086 경남 창원시 상남동 17-4번지 청계빌딩4층 401호 (641-832) 류지명부장 jmryu@hyowon.co.kr ㈜헤드아이티 063-243-8972 경전북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3가 734-21번지 호빈빌딩 4층 고유원 headgo@headit.co.kr 공인협력업체 - 교육용 회사명 전화번호 주소 ㈜나우네트위크 062-233-2350 광주시 동구 서석동 375 조선대창업보유관 407 ㈜대구한컴 053-768-2547 대구 수성구 황금2동 681-1번지 2층 ㈜드림아이티 051-507-6114 부산 연제구 거제1동 1493-4 석천빌딩 4층 ㈜디엠비코리아 051-552-8114 부산 동래구 명륜동 65-75 삼양 B/D4층 ㈜디웨어소프트 02-3452-8991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640-11 예양빌딩 3층 상명정보시스템 062-372-5492 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 1289-3 문화맨션 202호 ㈜소프트피아 02-3282-3545 서울 구로구 구로동 212-26 이스페이스 502-1 소넥스 02-888-2863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번지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 138동 512호 위포 042-484-5612 본사 :대전 서구 만년동 395 아트벤처빌딩 403호 커미트 070-8271-9815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 13-3 대청타워 834호 ㈜인포메이드 042-525-2002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87-1 탄방빌딩 2F 준우테크 02-705-0114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16-49 삼구빌딩 1603 이즈메인 02-3436-6025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23-16호 TS빌딩 3층 ㈜프로엠테크놀리지 051-753-4812 부산시 수영구 광안2동 173-22번지 기명빌딩 5층 (613-804) ㈜코아인포메이션 053-382-2323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2동 1659 대아빌딩 3F 코스펙정보 02-582-5813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427-6 갑목빌딩 4층 ㈜아이엠소프트 02-3473-9916 서울 서초구 서초동 1588-7 석탑오피스텔 5층 514호 ㈜디브릿지 02-563-1324 서울시 강남구 삼성2동 143-9 창조빌딩 3 (135-090)   솔루션 총판 공인협력업체 찾기 프리미어 솔루션 제공업체 오토데스크 개발자(ADN) 오토데스크 전략 파트너(AEP)
작성일 : 2009-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