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2022"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651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PLM/DX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모음 - 발표자료 다운로드 및 영상보기(2010~2024)
PLM/DX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에서 그동안 발표되었던 자료와 영상 모음입니다. 발표 내용중 정보 공개 동의한 내용에 대해 수록되어 있습니다. #PLM/DX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24 [PLM/DX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4]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74990 [PLM/DX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4] 영상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2eHdFku31mC3obt6w_gmOJ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23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3]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73072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3] 영상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0s4kLb_-3pGu3Jw_okrBWg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22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2]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71290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2] 영상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1-spdiIszT-IBbOUQqYQYA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21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1]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69294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1] 영상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3Fum8NS_i_xD3QqF7wF1bN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20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0]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67811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0] 영상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13FV6F6GSwSVJa_ngGEcD9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9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9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65228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9] 영상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0m5uU1cLdfY4aCf1OMAG5j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8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PLM/MO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8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56644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7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294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6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6]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816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5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5]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815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4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4]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814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3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3]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783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2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2]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782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1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1]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770 #PLM베스트프랙티스컨퍼런스2010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753   #PLM컨퍼런스발표자료다운로드 #PLM컨퍼런스영상보기 
작성일 : 2025-02-17
CAE 컨퍼런스 모음 (영상 다시보기 & 발표자료 다운로드)
#CAE컨퍼런스2024 CAE 컨퍼런스 2024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75813 [CAE 컨퍼런스 2024] 영상 다시보기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2Hk2VOYwF3x-ldvndI__5_&si=Ij5w7ZwQhia6fMSH #CAE컨퍼런스2023 CAE 컨퍼런스 2023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73712 [CAE 컨퍼런스 2023] 영상 다시보기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2bw9auQuhOJiRE0QyiOvuX&si=PClDSreS7wy8zSDa #CAE컨퍼런스2022 [CAE 컨퍼런스 2022]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72008 CAE 컨퍼런스 2022 영상 다시보기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3BfK4vr2AL9W9Vn1iVGJaF&si=oiPz-u-fE4ercM-H #CAE컨퍼런스2021 [CAE 컨퍼런스 2021]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70077 CAE 컨퍼런스 2021 영상 다시보기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0C_t7PP48IPfeszClIdE93&si=RdfNKZHYyomrFcAL #CAE컨퍼런스2020 [CAE 컨퍼런스 2020]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68163 CAE 컨퍼런스 2020 영상 다시보기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1jlWVJlpCItMqTA7zNEd6U&si=FneErkcZZORCAeGK #CAE컨퍼런스2019 [CAE 컨퍼런스 2019]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65975 CAE 컨퍼런스 2019 영상 다시보기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mZNZi644_n2rsVOGTc-IExAEQ_gKe3oX&si=f85i84QxUHk_WtOt #CAE컨퍼런스2018 [CAE 컨퍼런스 2018]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57040 #CAE컨퍼런스2017 [CAE 컨퍼런스 2017]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304 #CAE컨퍼런스2016 [CAE 컨퍼런스 2016]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287 #CAE컨퍼런스2015 CAE 컨퍼런스 2015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809 #CAE컨퍼런스2014 CAE 컨퍼런스 2014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807 #CAE컨퍼런스2013      CAE 컨퍼런스 2013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76169 #CAE컨퍼런스2012 CAE 컨퍼런스 2012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774 #CAE컨퍼런스2011 CAE 컨퍼런스 2011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3&catecode=9&num=3776
작성일 : 2025-02-16
코리아그래픽스 컨퍼런스 모음(영상 다시보기 & 발표자료 다운로드)
캐드앤그래픽스에서 진행하는 코리아그래픽스 컨퍼런스 발표자료와 영상 모음입니다. 컨퍼런스 발표 내용중 정보 공개 가능한 것들을 모아두었습니다. 오래전 자료는 일부 유실된 것들도 있네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코리아그래픽스2024 [코리아 그래픽스 2024] 발표자료 다운로드 ​[코리아 그래픽스 2024] 영상 다시보기   ​#코리아그래픽스2023 [코리아 그래픽스 2023] 발표자료 다운로드 ​[코리아 그래픽스 2023] 영상 다시보기   ​#코리아그래픽스2022 [코리아그래픽스 2022] 발표자료 다운로드 [코리아그래픽스 2022] 영상 다시보기    ​#코리아그래픽스 2021 [코리아그래픽스 2021] 발표자료 다운로드 [코리아그래픽스 2021] 영상 다시보기 ​ #코리아그래픽스 2020 [코리아 그래픽스 2020] 발표자료 다운로드 ​[코리아그래픽스 2020] 영상 다시보기   #코리아그래픽스 2019 [코리아그래픽스 2019] 발표자료 다운로드   #코리아그래픽스월드 2017 [코리아 그래픽스 월드 2017] 발표자료 다운로드   #코리아그래픽스월드2014  아젠다와 이디엠 보기   #코리아그래픽스월드2013 코리아그래픽스월드 2013 발표자료 다운로드 [코리아그래픽스 2013] 영상 다시보기   #코리아그래픽스월드2012 코리아 그래픽스 월드 2012 컨퍼런스 발표자료 
작성일 : 2025-02-16
비트리 갤러리, 선물 그리고 현재를 주제로 'Present is PRESENT' 개최
비트리 갤러리 서울점은 2025년 새해를 맞아 1월 9일부터 2월 15일까지 신년 특별기획 전시 ‘Present is PRESENT’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선물'과 '현재'롤 의미하는 동음이의어 ‘Present’를 주제로, 현재를 살아가는 순간들이 모두 선물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박경수 기자   ▲ 비트리 갤러리(서울), 선물 그리고 현재를 주제로 'Present is PRESENT' 개최   다양한 장르의 현대미술 작품 선보여 이번 전시회에는 16명의 현대미술 및 공예 작가가 참여해 개성 넘치는 작품을 선보였다. 참여 작가로는 강유정, 권용래, 김효선, 맹일선, 손단비, 이상원, 이병민, 이지영, 이여름, 이학민, 유은정, 윤승희, 조원아, 정두화, 최은희, 함도하 등이 있다. 이들은 회화, 조각, 공예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시각적으로, 감성적으로 예술적인 감동을 전하고 있다. 예술적 작업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찾고 탐구하고 있는 강유정 작가를 비롯해 스테인리스 스틸과 조명을 이용하여 빛의 신비감을 보여주는 권용래 작가, 보편적 재료인 흙과 실험적 재료인 유리로 역사적 시간성과 물질의 성질을 관통하는 김효선 작가가 함께 한다. 또한, 제한된 시야와 신경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대칭과 회전을 통해 사물의 인지 방식을 탐구하며, 불완전한 대칭 속 균형을 그리는 맹일선 작가, 은을 소재로 전통의 가치를 일상에 녹이는 공예 작품의 유은정 작가(스튜디오 포), 잊혀 가는 한국 전통을 재발견해서 일상에서 다시 즐길 수 있는 쓰임이 있는 물건으로 재해석하는 공예가 손단비 작가(스튜디오 아록)도 볼 수 있다.    ▲ 이학민, Shroooom!, 2024, Graphite on Paper   ▲ 맹일선, 회전하는 오브제들 No22_022, 2022, 종이에 목탄   기억 속 여행지 혹은 일상에 대한 풍경을 개성 있게 표현한 이상원 작가, 안경이라는 소재를 활용해 관람객과 새로운 소통의 창을 만드는 이병민 작가, 시간이 흐르며 지나간 기억과 장소에 대한 그리움을 익숙함과 이국적임이 결합된 풍경 속 사적인 공간과 감정을 표현하는 이지영 작가, 휴식과 희망을 주제로 서정적인 꽃을 그려내는 윤승희 작가, 획일화된 현대 소비사회 속 개인의 정체성에 관해 유머러스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이학민 작가도 참여한다. 어린 시절 행복감을 주었던 달콤한 맛을 연상시키는 미각적 오브제인 아이스크림을 이용한 이여름 작가, 책을 모티브로 시간을 재해석한 정두화 작가, 종이 실로 여러 에너지의 파동을 그려내며 그 속에 지속과 변화를 표현하는 조원아 작가, 어린 시절 꽃과 씨앗에 관한 작가의 경험이 창작의 영감과 아이디어가 되어 자신의 본질을 화폭에 담아내고 있는 최은희 작가, 개성 있는 개개인의 사람들이 조화롭게 어울렸던 자리에 남아 있는 감정을 작품으로 의인화하여 표현하는 함도하 작가까지 총 16명 작가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 정두화, Forest 18-F5, 2018, book on wood   ▲ 조원아, Resonance microscopic 60,61,62, 2024, paper yarn   ▲ 권용래, The Eternal Flame-Parma Pink, 2023, stainless steel on canvas   일상 속 예술의 가치 조명, 그 숨은 빛을 찾아서 비트리 갤러리 정유선 대표는 “소중하지만 빠르게 흘러가는 일상 속에서 다양한 장르의 예술 작품들을 통해 2025년 새해를 맞아 새로운 희망과 소소한 기쁨을 주고받는 전시를 기획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또한 “고마웠던 분들에게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따뜻하고 정성을 담은 작품들을 준비했다”며,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예작품에서부터 페인팅, 조각 등 크고 작은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해 보기 바란다”고 전했다. 우리는 종종 예술을 갤러리 속 그림이나 공연장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예술은 우리의 일상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창문을 여는 순간 마주하는 아침 햇살, 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재즈 선율, 공원의 벤치에 앉아 낙엽이 바람에 흩날리는 모습을 바라보는 등. 예술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풍경 속에서도, 손때 묻은 오래된 물건에서도, 소소한 대화 속에서도 존재한다. 손으로 직접 만든 도자기의 따뜻한 곡선, 삐뚤삐뚤한 손글씨로 한 땀 한 땀 정성 들여 쓴 편지 한 장, 혹은 가족의 저녁식사를 정성껏 차린 식탁 위에 놓인 다양한 빛깔로 빚어낸 음식도 일상을 풍요롭게 만드는 예술의 한 조각이다. 일상 속에서 예술을 발견하고 그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무심코 지나치지 않는다면 말이다. 길을 걸을 때 건물의 그림자를 관찰해 보고, 커피를 마실 때 잔 위에 피어난 하트 모양의 거품들을 감상해 보자. 퇴근 길에 기울어가는 석양빛에 물든 저녁 하늘의 노을진 풍경을 천천히 음미해 보는 것도 좋다.   ▲ 최은희, transition_변함없이, 2024, Acrylic on linen   ▲ 이여름, Life in Icecream christmas, 2022, Colored epoxy resin, human miniature, wood   ▲ 이상원, Ski Resort, 2024, Oil on canvas 2025/2   아주 보통의 하루, 바로 지금이 소중하다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직접 꽃을 꽂아보거나, 노트를 꺼내 몇 줄의 생각을 적어보는 것으로. 그림이든, 음악이든, 글이든 상관없다. 우리의 손끝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것은 의미를 갖고 있다.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꽃이 되었던 것처럼,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예술품이 될 수 있다. 예술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순간순간이 곧 예술이다. 특별한 것을 찾기 위해 주말 여행을 계획하거나 특별한 토요일 저녁의 페스티벌을 꿈꾸고 있다면, 거창하진 않아도 순간순간 빛나는 삶을 위해 아주 보통의 삶의 여유를 느껴보기 위해서라도 가까운 갤러리에 방문해 보길 추천한다. 선물에 대한 의미와 현재의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는 ‘Present is PRESENT’ 전시회는 홍익대학교 홍문관에 위치해 있는 비트리 갤러리에서 2월 15일까지 열린다.   ▲ 이지영, Mixed media on Wood panel(Woodcarving, Acrylic, Gouache,Crayon), 2024   ▲ 함도하, Dona-Cheer up-꽃, 2024, Resin, FRP, Chrome 스와로브스키, 55x35x40cm   ▲ 함도하, TOM-Surprise-꽃, 2024, Resin, FRP, Chrome 스와로브스키, 55x35x40cm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2-04
디자인 산업 현황과 2025년 디자인 R&D 추진방향
디자인 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국내 디자인 산업이 20조원 규모로 성장했고 우리 디자인기업들이 지난해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에서 736건을 수상(전체의 13%)하는 등 글로벌 무대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산업부는 2025년을 디자인 산업의 새로운 도약 계기로 삼아, ①디자인 기업 역량강화, ②디자인 산업 외연확대, ③혁신 인프라 구축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디자인 산업을 중점 지원하기 위한 「글로벌 수준 디자인 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K-디자인 스타 기업 육성, ‘한국형 비핸스’플랫폼 구축, K-디자인 선행 연구센터 등 신규사업을 추진하고, 200억원 규모의 디자인 R&D 신규과제 등 올해 약 1,000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트렌드 분석, 디자인 유사도 검색 등 3대 AI 서비스 개발과 함께 디자인 프로세스 전주기에 필요한 7개의 디자인 AX 선도 프로젝트에 올해 110억원을 투자하여 작년 발표한 AI 디자인 확산 전략을 속도감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 글로벌 수준 디자인기업 육성방안 [수요] 디자인 활용범위·분야 확장으로 협업 확대 ① 디자인 기업 홍보·매칭 플랫폼인 한국형 비핸스(Behance) 구축 - 디자인 전문기업의 ❶기업개요(인력, 기업규모, 전문분야), ❷포트폴리오 등 정보를 제공하여 디자인 활용기업에 빠르게 정보 전달 ② 민간·공공 영역의 서비스 디자인 수요기반 확대 ③ 중소·중견 청년 디자이너 교육기관 설치(’25년 시범 사업~)  [공급] K-디자인 스타 기업 프로젝트 추진 ㅇ 디자인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을 위한 성장 단계별 디자인기업 맞춤 육성 추진 - ①(초기) 디자인 테크 유망기업 육성, ②(혁신) 디자인 혁신(융합·심화형) 기업 육성*, ③(글로벌) 로드맵 기반 디자인 기업 해외진출 지원 ** 디자인-제조 기업 피치 데이(밋업) 프로젝트 추진 (‘25년 신규 추진~) 예시 : 의료기기 등 신산업장비 → 로봇 → 가전 → 가구 → ICT 산업 順 2. 2025년 디자인 R&D 추진방향 □ (목적) ➀ 디자인산업의 역량·경쟁력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고도화하고, ➁ 유망산업과 융합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디자인 개발 □ (방향) 기존디자인-제조 융합기술의 제품화 → 개선디자인 생산성과 역량을 높이는 ➀ 디자인 요소기술 및 이를 활용한 ➁ 도전·혁신 디자인 개발 □ 사업 및 예산구조 (’25년 신규과제 : 189.4억원) ㅇ (디자인 핵심기술 개발) 113억원, 7개 과제(품목지정) ㅇ (디자인-제조 융합기술 개발) 60억원, 13개 과제(품목지정) 3. 디자인 산업 현황 □ (디자인개념) 제품, 서비스 등의 미적·기능적·경제적 가치를 최적화 하여 생산자 및 소비자의 물리적·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창작 및 개선 행위와 결과물(산업 디자인진흥법 제2조 정의) * 제품·포장·환경·시각·서비스 디자인 □ (산업규모) 국내 시장규모 19.3조원, 연평균 4.2% 성장(2018~2022)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증감률 디자인산업 16.4조원 16.8조원 17.5조원 20.2조원 19.3조원 -4.5% ㅇ (세계시장*) 산업디자인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 예상, ‘22년 3,630억불 규모로 추산됨 * 미국, 중국, 이탈리아, 대만 등 37개 국가 매출규모 합산 □ (인력규모) ’22년 기준 디자인종사자* 수는 31.2만명으로 최근 5년간 증가 추세를 보임 * (’18)28만명 → (’19)28.3만명 → (’20)28.5만명 → (’21)30.3만명 → (’22)31.2만명 ㅇ 디자인학과 졸업자*는 매년 2만명 수준 * (’18)2.2만명 → (’19)2.1만명 → (’20)2.1만명 → (’21)2.1만명 → (’22)2.0만명 □ (디자인 전문기업) 디자인전문기업 수*는 증가 중이나 대부분 영세하고 평균 매출액** 정체 * (’18)5,570개 → (’19)6,264개 → (’20)7,229개 → (’21)19,465개 → (’22)20,290개 ** (’18)6.5억원 → (’19)6.3억원 → (’20)6.1억원 → (’21)3.5억원 → (’22)3.1억원 □ (디자인 활용률) 우리 제조기업의 디자인 활용률은 ’22년 기준 37.3%로 전년과 유사 * (’18)35.9% → (’19)37.1% → (’20)39.9% → (’21)37.4% → (’22)37.3% ※ 디자인 활용률 : 디자인산업분류(한국표준산업분류 중 디자인과 연관성 높은업종 재분류) 내 5인이상 사업체 중 디자인을 활용하는(①디자인 부서 보유업체, ②디자이너 고용업체, ③디자인 외주 용역 발주업체) 업체 비율   첨부 파일 :  1. 2025년 디자인계 신년인사회 행사 개요 2. 글로벌 수준 디자인기업 육성방안 3. 2025년 디자인 R&D 추진방향 4. 디자인 산업 현황
작성일 : 2025-02-01
[무료다운로드] 생성형 AI 기반 BIM 전문가 시스템 개발해 보기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이번 호에서는 지난 연재를 통해 설명한 생성형 AI 기술을 바탕으로 BIM(건설 정보 모델링)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한다.    ■ 강태욱 건설환경 공학을 전공하였고 소프트웨어 공학을 융합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분석하거나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건설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이와 관련된 작은 메시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BIM/ GIS/FM/BEMS/역설계 등과 관련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페이스북 | www.facebook.com/laputa999 블로그 | http://daddynkidsmakers.blogspot.com 홈페이지 | https://dxbim.blogspot.com 팟캐스트 | www.facebook.com/groups/digestpodcast   이 글에서는 LLM(대규모 언어 모델)과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을 적용하여 BIM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데이터의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BIM 지식 전문가 에이전트를 개발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런 에이전트는 자연어 기반의 사용자 쿼리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며,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법은 RAG를 이용해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대안 중 하나임을 미리 밝힌다. IFC와 같은 포맷을 이용한 RAG와 LLM 사용 기법은 목적에 따라 구현 방법의 차이가 다양하다.    LLM RAG 기반 BIM 전문가 시스템 프로세스 현재 대중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LLM 기술인 ChatGPT(오픈AI), Gemini(구글), Llama(메타), Phi(마이크로소프트)는 BIM의 일반적인 지식, 예를 들어 BIM 관련 웹사이트에서 공개된 일반적인 개념 설명, PDF에 포함된 텍스트를 학습한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들 LLM 도구는 BIM 모델링 정보를 담고 있는 IFC와 같은 특수한 데이터셋 파일은 인식하지 않는다. 현재는 PDF같은 일반적인 파일 형식만 검색 증강 생성을 지원하는 RAG 기술을 이용해, 도메인에 특화된 지식 생성을 지원한다. 이는 특정 도메인 지식을 훈련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이 너무 과대하며, 도메인 지식을 모델 학습에 맞게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ChatGPT-4 모델을 훈련할 때 필요한 GPU 수는 엔비디아 A100×25,000개로 알려져 있으며, 학습에 100일이 걸렸다. A100 가격이 수천 만원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사용된 GPU 비용만 천문학적인 금액이 소모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이유로, LLM 모델을 전체 학습하지 않고 모델 중 작은 일부 가중치만 갱신하는 파인튜닝(fine-tuning), 범용 LLM는 운영체제처럼 사용하여 정보 생성에 필요한 내용을 미리 검색한 후 컨텍스트 프롬프트 정보로서 LLM에 입력해 정보를 생성하는 검색 증강 생성 기술인 RAG이 주목받고 있다. RAG는 <그림 1>과 같은 순서로 사용자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한다.   그림 1. RAG 기반 BIM 전문가 시스템 작업 흐름(한국BIM학회, 2024)   RAG는 LLM에 입력하는 템플릿에 답변과 관련된 참고 콘텐츠를 프롬프트에 추가하여 원하는 답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이런 이유로, 답변에 포함된 콘텐츠를 처리하고, 검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LLM은 입력 프롬프트에 생성에 참고할 콘텐츠를 추가하지 못하면 환각 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각 RAG 단계는 검색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셋을 청크(chunk) 단위로 분할(split)하고, 데이터는 임베딩(embedding)을 통해 검색 연산이 가능한 벡터 형식으로 변환된다. 이 벡터는 저장 및 검색 기능을 가진 벡터 데이터베이스(vector database)에 저장된다. 사용자의 질문은 검색 알고리즘을 통해 벡터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근사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얻고, 프롬프트에 추가된 후 LLM에 입력된다. 그 결과 LLM은 원하는 답변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학습하지 않은 전문 분야의 토큰을 인식하지 못하는 LLM이 원하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BIM IFC 콘텐츠 데이터 구조 분석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RAG 성능은 입력되는 데이터셋의 특징과 검색 알고리즘에 큰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개방형 BIM 데이터 형식으로 사용되는 IFC의 특징을 분석하여 BIM RAG를 위한 데이터 처리 시 이를 고려한다. IFC 파일 구조는 STEP(ISO 10303), XML 스키마 형식을 준용한다. IFC는 객체지향 모델링과 그래프 모델 구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확장성을 고려해 BIM을 구성하고 있는 건축 객체의 부재들, 관계, 속성집합에 Instance ID 및 GUID(Globally 2025/1 Unique IDentifier)와 같은 해시값(hash)을 할당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해시번호로 참조하여, 거대한 온톨로지 그래프 구조를 정의한다. <그림 2~3>은 이를 보여준다.   그림 2. IFC 객체 그래프 구조(Wall instance)   그림 3. IFC 그래프 구조 표현(강태욱, 2022)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1-06
모라이, 정보보호관리체계 ISO/IEC 27001:2022인증 획득
모라이는 국제공인 인증기관인 로이드인증원(LRQA)으로부터 국제표준 정보보호관리체계인 ISO/IEC 27001:2022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ISO 27001은 정보보관리체계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글로벌 표준으로, 기업이 정보 보안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완화할 수 있는 모범 사례를 제공하여 정보 보안 침해 가능성을 줄여준다. ISO/IEC 27001:2022는 2022년에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정하여 발표한 최신 정보보호관리체계 표준이다. 기존 ISO 27001 표준에서 요구하는 정보보호 체계뿐만 아니라, 최신 보안 위협과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에 맞춘 요구 사항이 추가 및 강화되었다. 조직 통제, 인적 통제, 물리적 통제, 기술적 통제 등 정보보호 관리 영역별 93개 세부 항목에 대한 통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모라이는 “이번 인증 획득을 통해 자사의 설루션이 최고 수준의 보안 관행을 준수하며 고객의 데이터 보호와 보안에 있어 자사의 정보 보안 관리 시스템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수준의 보안 표준을 충족함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또한, 모라이는 ISO 27001 인증을 포함해 정보보안 및 글로벌 인증 활동을 더욱 강화하여 ESG 분야에 대한 지속 가능한 경영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모라이는 자율주행과 무인이동 시스템의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 및 유럽, 중동 지역으로 비즈니스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번 인증 취득으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고객에게 더욱 신뢰할 수 있는 가상 검증 설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모라이의 홍준 대표는 “정보보호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 표준인 ISO 27001 인증을 통해 보안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기쁘다. 이번 인증으로 고객과 파트너에게 한층 더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도 정보 보안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변화하는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최고의 보안 수준을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4-11-22
유니티, ‘유나이트’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유니티 6’ 발표 예정
유니티가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인 '유나이트(Unite)'에서 안정적이고 우수한 성능을 갖춘 ‘유니티 6(Unity 6)’를 10월 17일 전 세계에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유니티 6는 개발자가 게임의 비주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그래픽 렌더링, 전체 게임 개발 수명 주기를 단축하는 간소화된 멀티플레이어 게임 개발, 웹 브라우저에 최적화된 풍부한 게임 제작을 위한 강력한 툴을 제공한다. 유니티는 “이번 유나이트 2024에는 2000명 이상의 개발자가 모여 기술 세션, 네트워킹, 학습 기회는 물론 유니티 리더십 팀과의 라운드테이블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유나이트 2024의 모든 기술 세션은 녹화되어 향후 몇 주 내에 유니티 개발자 커뮤니티에 공개될 예정이다.     GTFO의 제작사인 10 챔버스(10 Chambers)는 올해 초 유니티 6 프리뷰 버전이 출시된 이후 유니티 6를 도입한 대표적인 게임 개발사 중 하나다. 이들은 유나이트 2024에서 유니티 6의 최신 그래픽 기능을 사용하여 조명과 최적화를 거친 ‘덴 오브 울브스(Den of Wolves)’의 환경을 공개할 예정이다. 10 챔버스의 스반테 빈터나트(Svante Vinternatt) COO는 “‘덴 오브 울브스’는 원래 유니티 2022 LTS로 제작되었지만, 성능과 렌더링 품질 측면에서 유니티 6의 향상된 기능을 확인한 후 개발 도중에 유니티 6로 업그레이드하기로 결정했다”면서, “우리는 빠르게 반복하고 신속하게 확장하며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유연하고 효율적인 렌더링 기술 스택이 필요했고, 유니티 6가 그 해답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한편, 유니티 6 세대의 첫 번째 업데이트인 ‘유니티 6.1’은 2025년 4월에 출시될 예정이다. 유니티 6.1은 유니티 6의 핵심 기능을 기반으로 하며 폴더블 및 대형 화면 포맷 지원, GPU 상주 드로어에서의 디퍼드+ 렌더링(Deferred+ rendering), 새로운 빌드 타깃 및 빌드 프로파일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포함한다. 유니티 데모 팀은 유니티 6와 함께 ‘타임 고스트(Time Ghost)’라는 새로운 데모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 데모는 엔티티 컴포넌트 시스템(ECS), 적응형 프로브 볼륨(Adaptive Probe Volumes), 시나리오 블렌딩, 스피드트리(SpeedTree) 초목 등 유니티 6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여 유니티 6에서 구축할 수 있는 현실적인 월드를 보여준다. 유니티 6로 제작된 기존 ‘판타지 킹덤(Fantasy Kingdom)’ 데모는 이제 URP를 사용하여 모바일에 최적화되었으며, 판타지 킹덤 프로젝트와 에셋은 유니티 6 출시와 함께 유니티 에셋 스토어에서 비상업적 용도로 무료 제공될 예정이다. 유니티의 매튜 브롬버그(Matthew Bromberg) CEO 겸 사장은 “개발자들은 오랫동안 더 높은 안정성과 성능을 원한다는 의견을 제시해 왔으며, 유니티는 유니티 6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며, “유니티는 출시 후 더욱 심층적이고 장기적인 지원과 전담 제품 및 엔지니어링 리소스를 통해 역대 최고의 유니티 버전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개발자들은 새로운 기능, 성능 향상 및 버그 수정이 포함된 업데이트를 자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개발자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최대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4-09-19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의 이해와 구축 경쟁
'데이터 스페이스'의 이해와 구축 경쟁    [주요 내용] ‘데이터 스페이스(data space)’ 또는 ‘데이터 산업 플랫폼 (data industrial platform)’으로 알려진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특히 ‘산업’ 또는 ‘비개인’ 데이터와 관련해 국경을 넘는 데이터 공유와 관련된 일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옵션으로 추진력을 얻고 있음. o 데이터 스페이스는 디지털 경제에서 협력을 가능하게 하고, 진입장벽을 낮추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투명한 표준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는시스템 o 데이터 스페이스 활동과 관련해 가장 대표적인 것은 유럽의 Gaia-X와 IDS(International Data Spaces) 이니셔티브   IDS(International Data Spaces)는 데이터 종단점의 분산형 네트워크로, 데이터의 안전한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 주권을 보장하는 것이 목표 o IDS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IDS를 데이터 교환의 기준으로 삼고 국제적으로 확장하는 것 o 특히 거버넌스 모델, 채용 전략, IDS 참조 아키텍처를 개발하고, IDS 기반 유스케이스를 개발하며, 미래에는 데이터 교환의 국제 표준으로 IDS를 수립하고, 인증 가능한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   가이아(GAIA)-X는 차세대 유럽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개발 전략 o 유럽과 전 세계의 민간기업, 정책 입안자 및 과학기술계의 협력을 통한 안전하고네트워크화된 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목표 o 이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는 독일은 프로젝트의 목적으로 △유럽의 데이터 주권확보 △글로벌 ICT 기업에 대한 데이터 플랫폼 시장 의존성 완화 △경쟁력있는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데이터 기반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제시 o 7개국 10개 이상의 분야에서 90개 이상의 유스케이스가 개발·검토 중   ‘카테나(Catena)-X’는 유럽을 중심으로 한 자동차 산업의 횡단적인 데이터 연계플랫폼  o 자동차 산업의 공급망 간에 데이터를 교환·공유함으로써 자동차산업 경쟁력 강화와 기업 효율성 제고가 목표   독일 정부는 융합 산업 이니셔티브인 ‘매뉴팩처링-X(manufacturing-X)’를통해 데이터 스페이스 인더스트리 4.0 실행과 독일 산업의 회복성과 지속가능성, 경쟁력 향상을 도모 우리나라 기업들도 IDS, GAIA-X 및 Catena-X, 매뉴팩쳐링-X 등의 동향에 주목하면서 기업간 데이터 제휴를 보다 강력하게 추진하는 것이 필요   출처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2-08-31    
작성일 :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