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제우스"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32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티맥스소프트, ‘재팬 IT 위크 2025’ 참가 통해 DX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티맥스소프트, 클라우드 미들웨어, 메인프레임 현대화 등 DX 솔루션 대거 전시   티맥스소프트가 지난 4월 23일부터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된 일본 최대 규모 IT 전시회 ‘재팬 IT 위크 2025(Japan IT Week Spring)’에 참가하여 혁신적인 디지털 전환(DX)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섰다. ‘재팬 IT 위크’는 IT 산업 전반의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일본 최대 규모의 IT 전문 전시회로, 춘계와 추계 연 2회 개최된다. 올해 춘계 행사는 지난 4월 23일부터 3일간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티맥스소프트는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일본 시장 내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적극적으로 발굴한다는 전략이다. 최근 일본, 북미, 동남아시아를 핵심 글로벌 거점으로 삼아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전시회를 통해 티맥스소프트의 차별화된 제품과 기술력을 현지 고객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 주력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AI(인공지능)와 데이터 중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추세에 발맞춰, 티맥스소프트는 AI 환경과 클라우드 전환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전시하여 참관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전시 제품군은 클라우드 미들웨어 ‘제우스(JEUS)’와 ‘웹투비(WebtoB)’, 메인프레임 현대화 솔루션 ‘오픈프레임(OpenFrame)’, 그리고 다양한 인터페이스(FEP·EAI·MCI) 통합 및 연계 솔루션 ‘애니링크(AnyLink)’ 등으로 구성되었다. 행사 첫날부터 티맥스소프트 전시 부스에는 메인프레임 현대화 솔루션인 ‘오픈프레임’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며 참관객들의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특히 후지쯔와 히타치 메인프레임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일본 기업 고객들은 티맥스소프트의 ‘오픈프레임’ 제품과 관련 성공 사례에 대해 깊이 있는 상담을 진행했다. ‘오픈프레임’은 기업 및 금융 기관에서 오랫동안 핵심 업무 시스템 운영 환경으로 사용해 온 메인프레임 기반의 비즈니스 자산을 유닉스(UNIX)와 같은 오픈 시스템 환경 또는 클라우드 환경으로 최적화하여 이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일본은 메인프레임 보급률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이며, 오는 2030년 후지쯔의 메인프레임 사업 중단이 예정되어 있어 최근 메인프레임 현대화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티맥스소프트는 전시회 기간 동안 IT 분야 전문가 및 기업 의사결정권자 등 잠재 고객들과 적극적인 네트워킹 시간을 가졌으며, 일본 시장 내 사업 확장을 위한 역량 있는 디지털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구축 또한 모색했다. 또한 일본 내에서 클라우드 도입과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연계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티맥스소프트의 인터페이스 통합·연계 솔루션인 ‘애니링크’의 성공적인 도입 사례를 신한은행 일본 법인 SBJ DNX 고객 인터뷰 영상을 통해 소개하여 참관객들의 이해를 높였다. 티맥스소프트 전략마케팅본부장 변재학 전무는 “팬데믹 이후 일본 시장의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소프트웨어 기업에게는 새로운 도전이자 글로벌 성장의 중요한 발판이 마련되었다”며, “티맥스소프트는 해외 파트너십, 다양한 성공 레퍼런스, 그리고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일본 시장뿐만 아니라 북미,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도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작성일 : 2025-05-11
티맥스소프트-메가존클라우드, 영남지역 ‘디지털 제조 혁신 콘퍼런스’ 개최
티맥스소프트가 메가존클라우드와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지역 고객을 위한 ‘디지털 제조 혁신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양사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번 행사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스마트 공장 설루션 기업인 미라콤아이앤씨가 함께 참여했다. 클라우드 생태계를 이루는 4개사는 제조 분야 비즈니스 성장을 이끄는 디지털화와 그 설루션을 제시했으며, 종합적인 관점에서 IT 비용 절감 및 효율화 방안도 제안했다. 티맥스소프트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최적화한 미들웨어 설루션 ‘제우스(JEUS)’, ‘웹투비(WebtoB)’와, 공공, 유통, 제조, 금융 등 분야의 도입 성공사례를 소개했다. 클라우드의 장점을 활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배포·운영하는 방법론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지향하는 미들웨어 제품의 강점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제조 현장에서 필요성이 증가하는 사물인터넷(IoT) 수요를 고려해 자사의 기술력, 협력 네트워크, 사업 경험 등 차별적 역량을 토대로 제공하는 ‘실질적인 IoT 서비스’를 발표했다. AWS는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최신 클라우드 트렌드와 전망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과, 데이터 경쟁력이 돋보이는 제조 분야 디지털 전환 트렌드부터 TCO(총소유비용) 절감뿐 아니라, 업무 생산성·효율성·민첩성·고가용성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전환의 이점도 밝혔다. IoT, 기계학습, AI, 빅데이터와 관련한 AWS 서비스를 활용해 혁신을 이룬 고객 성공사례도 공유했다. 미라콤아이앤씨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된 제조 환경에서 전체 생산 영역과 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로 정의, 제어, 최적화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의 개념과 ‘클라우드 MES(제조 실행 시스템)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미래 전략’을 소개했다. 티맥스소프트의 전략마케팅실장인 변재학 전무는 “혁신이 따르는 산업에는 클라우드와 소프트웨어가 기업의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고 생산성과 서비스 품질 향상, 업무 처리 속도 개선 등 규모의 가치를 창출한다”며, “데이터, AI,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도입 등 제조 분야에 일어날 새로운 패러다임을 다양한 클라우드 기업과 협업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4-12-02
티맥스소프트, SaaS 형태의 미들웨어 솔루션 'TSP' 론칭
기업용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티맥스소프트가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TSP’를 론칭했다고 밝혔다. TSP(Tmaxsoft SaaS Platform)는 미들웨어 분야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제우스’ 및 웹 서버 ‘웹투비’를 SaaS 플랫폼 형태로 제공한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환경인 쿠버네티스 기반으로 설계돼, 보다 효율적이면서 현대적인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지원할 수 있다. 앱의 개발·배포·운영·확장을 자동화하고, 신기술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클라우드 시스템 구현을 돕는다. 또한 간단한 클릭만으로 인프라 환경에 맞게 원하는 SaaS 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티맥스소프트는 전 제품의 SaaS화 추진 전략에 따라, WAS, 웹서버로 구성된 서비스 카탈로그의 구성은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2025년에는 구축형 SaaS뿐만 아니라, 운영 빅데이터를 통한 인공지능(AI) 기반 장애 예측·진단 모델 등 신규 서비스도 추가될 예정이다. 멀티 클라우드로도 서비스 영역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티맥스소프트는 ▲ICT(정보통신기술) 시장의 주류가 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지향 ▲편리한 자동화 ▲전문 인력을 통한 관리·운영·기술 지원 서비스를 내세워 국내외 SaaS 고객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는 TSP의 주요 고객으로 국내 스타트업, 중소·중견(SMB)기업을 집중 공략하며, 대기업과 글로벌로 도입을 확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써 안정적인 SaaS 판로를 확장하기 위한 초기 전략으로 네이버클라우드와의 협업을 선택했다. 한편 최근에는 메인프레임 시스템을 오픈 환경 또는 클라우드로 현대화하는 ‘오픈프레임 리팩터’ SaaS를 아마존웹서비스(AWS)의 마켓플레이스에 출시해 글로벌 SaaS 비즈니스의 본격화에 나서기도 했다. 티맥스소프트는 전 세계적으로 복잡한 업무 환경에 최적화한 ‘산업 특화(버티컬) 클라우드’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를 충족시키는 클라우드 소프트웨어의 중요도가 함께 높아질 것으로 보고, 1997년 설립 이래 국내·외 각 산업에 맞춤 제공해 온 상용 소프트웨어(SW) 경쟁력과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반인 SaaS를 결합해 탄탄한 지속 성장의 기반을 다진다는 구상이다.   티맥스소프트의 이형배 대표는 “인프라, 개발 환경에까지 SaaS를 사용하면 많은 기업이 IT 투자 비용을 아끼고, 시스템 관리·운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전략 사업으로 키워 국내 디지털 전환 수요를 적극 공략하고 글로벌 SaaS 생태계에도 성공 안착하겠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4-03-04
티맥스소프트-더존비즈온, 기업용 ICT 솔루션 시장 공략
티맥스소프트와 더존비즈온이 함께 기업용 ICT 솔루션 시장을 공략한다. 국내 대표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티맥스소프트는 더존비즈온과 ERP 솔루션 및 미들웨어 연동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더존비즈온 ERP와 티맥스소프트 미들웨어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더존비즈온의 차세대 ERP인 'ERP 10'과 티맥스소프트의 웹애플리케이션서버 '제우스(JEUS)', 웹서버 '웹투비(WebtoB)', 오픈소스 미들웨어 제품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주는 '하이퍼프레임(HyperFrame)' 등을 연동해 패키지 형태로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국내 대표 중견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 독립 소프트웨어 공급(ISV) 업무제휴 계약을 체결해 기업 고객이 편리하게 ERP와 미들웨어 제품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고객은 패키지 상품을 통해 ERP 도입 시 더존비즈온을 통해 ERP와 미들웨어 제품을 동시에 구매할 수 있다. 또한 티맥스소프트와 더존비즈온은 정기 회의체를 구성해 주기적으로 비즈니스 및 기술 노하우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온오프라인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함께 발굴하며 개발, 마케팅, 영업 등 전 영역에 걸친 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더존비즈온 ERP사업부문 대표 이강수 사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ERP와 미들웨어 분야에서 양사가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적극 활용해 기업 및 공공 시장에 필요한 최상의 기술 경쟁력 제공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며, "양 사 간 강점을 결합한 만큼 핵심 비즈니스 솔루션의 편의성과 업무 효율성 제고를 통해 고객이 디지털 혁신을 경험할 수 있도록 상호 지속적인 협력에 나서겠다"라고 말했다. 티맥스소프트 이형배 대표이사는 "국내 미들웨어 시장과 ERP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국내 대표 SW 기업으로서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기업의 ERP 구축을 통한 업무 효율화,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ERP 도입 시 상용 WAS(제우스, 웹투비) 뿐만 아니라, 오픈소스 미들웨어를 선호하는 고객을 위한 하이퍼프레임 등 맞춤형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2-12-15
국내 반도체 관련 업체 리스트(주요 반도체 업체 명단)
국내 반도체 산업 관련 업체 400여개사 리스트 총정리 국내 반도체 관련 제조 업체 및 설계 업체, 그리고 솔루션 공급업체, 반도체 장비 업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관련 상세 업체 내역 및 리스트는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  1. 업체명 3alogics AP위성 ARM Avago Technologies(아바고테크놀로지) Cesign(씨자인) CnF Korea Coasia Furiosa AI LG이노텍 LG전자 LX세미콘 Maps(맵스) Openedge Semihow SiFive Uxfactory 가온칩스 골드퍼시픽 글로벌브릿지 글로벌트로닉스 네메시스 네오와인 네패스 넥셀 넥스트칩 넷솔 노블디자인 노블테크 노블테크 (NovelTech) 뉴라텍 다모아텍 다믈멀티미디어 다빈칩스 다이아로그 코리아 동운아나텍 디에이아이오 디퍼아이 딥엑스 라닉스 라온텍 레오LSI 레오엘에스아이 레이디오펄스 리딩유아이 만도 매크로영상기술 맵스 메타씨앤아이 베리실리콘 (VeriSilicon) 브이에스아이 비트리 빌리브 마이크론 빌리브마이크론 사피엔반도체 세미솔루션 세미파이브 세솔반도체 센서위드유 셀로코 슈가스 스카이칩스 시스템베이스 실리콘마이터스 실리콘아츠 실리콘핸즈 싸이닉솔루션 쓰리에이로직스 씨자인 아나패스 아르고 아이닉스 아이씨티케이홀딩스 아이앤씨 아이앤씨테크놀로지 아이언디바이스 아이에이 아이칩스 아태위성 (AP시스템) 알파솔루션즈 알파홀딩스 알프스 어보브 어보브반도체 에스앤에스테크놀로지 에스앤즈 에이디칩스 에이디테크놀로지 에이디테크놀로지 (ADTechnology) 에이엘피반도체 에이직랜드 엔시트론 엘디티 엠텍비젼 오픈엣지 옵토레인 옵토레인 테크놀로지 와이팜 우노실리콘 웰랑 위더맥스 위즈네트 윙코 유니쿼화이 이더블유비엠 이미지스테크놀로지 자람테크놀로지 제주반도체 지니틱스 칩스앤미디어 캔버스바이오 코아리버 코아시아넥셀 코아시아세미 코아시아세미코리아 퀄리타스반도체 큐버모티브 클레어픽셀 테크위드유 텔레칩스 티엘아이 파두 파인스 파츠 피델릭스 피앤피네트워크 피엔피네트웍스 픽셀플러스 하나텍 하이딥 하이버스 (Hybus) 해치텍 헬스리안 휴인스 (Huins) SK 하이닉스 삼성전자 싸인텔레콤 인포쉐어 반도체공학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비산 지선테크 세종공업 SiT Technology 동남하이테크 두리엔 디엔씨테크 디팜스 디팜스테크 미주정밀 삼영씨티 신원기술 에스에스티 에이치앤디테크 에이치와이티씨 우주미크론 원테크 정수미크론 주광정밀 챔피언코리아 캠아이티 케이.엠.피 케이엠피 한미반도체 한야 광성몰드 두진기술 서경테크칼 우성정밀 원호실업 이노툴 창원정밀 초일정밀 코리아탑텍 태성 한일정밀 현수정밀 금강쿼츠 네프코 뉴파워프라즈마 디에스테크노 라온테크 로보스타 리노공업 메카로 미코 미코세라믹스 쎄미콤 씰테크 아이에스시 아이원스 아진엑스텍 앤비젼 에드워드 코리아 에스케이씨솔믹스  에어포인트 엠아이 엠케이피  영신쿼츠 원익큐엔씨 윌비에스엔티 유시스템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인아오리엔탈모터 케이에스엠 케이에스티이 케이케이테크 코리아스펙트랄프로덕츠 코리아인스트루먼트 코미코 콤델코리아 티씨케이 티에프이 파웰 코퍼레이션 핫앤쿨 현대오트론 신성반도체 에스에이엠티 우원테크놀러지 한국에이티아이 미라콤아이앤씨 미래로시스템 성도이엔지 신성이엔지 에이앤아이 진성이엔지 퓨리텍 한국보싸드 한양이엔지 힘스 DB하이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DS부문 알에프세미 에이프로세미콘 온세미컨덕터코리아 유민에쓰티 이큐테크플러스 케이이씨 키파운드리 PTC코리아 니콘프레시전코리아 다쏘시스템코리아 도쿄일렉트론코리아 램리서치코리아 유한회사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 (듀폰코리아) 리버트론 매슨인터내셔널코리아 버커트코리아 시높시스 코리아 (Synopsys) 시높시스코리아 실바코코리아 앤시스코리아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코리아 에이에스엠엘코리아 엑셀리스코리아 엑시트론 엔타시스 (ENTASYS) 오토데스크코리아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코리아(유) 지멘스 EDA 지멘스(Siemens)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케이엘에이텐코코리아 타워재즈 반도체 태성TSE 파이퍼베큠세미코리아 프리마리우스 (Primarius) 하팅코리아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유) 한국아이비엠 한국요코오 현대오토에버 호리바에스텍코리아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리쓰 (Anritsu-Korea) AP시스템 국제엘렉트릭코리아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기가레인 나인벨 네온테크 넥스틴 누리플랜 다이헨한국 동성에이앤티 디아이 디아이티  디앤에이 디에스티 디엠에스 러셀 로봇앤드디자인 로체시스템즈 루켄테크놀러지스 무진전자 뮤텍코리아 미래컴퍼니 버슘머트리얼즈 한양기공 베셀 서플러스글로벌 선익시스템 세메스 세츠 시너스텍 신 비앤텍 싸이맥스 싸이머코리아 쎄미시스코 쎄믹스 씨앤에스엔지니어링 씨에스케이 아드반테스트코리아 아바코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알파플러스 에스에프에이 에스티아이 에이에스엠케이 에이치앤세온 에이치앤이루자 에이피티씨 엑셀시오 엑시콘 엔비스아나 엘아이에스 엘오티베큠 엠에이티플러스 영우디에스피 오로스테크놀로지 울텍 원익아이피에스 윈텔코퍼레이션 유니셈 유니테스트 유진테크 이솔 이오테크닉스 이큐셀 자비스 제너셈 제우스 제이티 젠 주성엔지니어링 참엔지니어링 청진테크 케이씨 케이씨텍 코리아테크노 코세스 코스텍시스템 탑엔지니어링 테스 테크윙 티에스이 파크시스템스 프로텍 피에스케이 피에스케이홀딩스 한국알박 한국에바라정밀기계 한영 한화 LG화학 OCI SK머티리얼즈 SK실트론 경인양행 네패스야하드 대성금속 동우화인켐 동진쎄미켐 로움하이텍 머크 일렉트로닉스 버슘머트리얼즈코리아 삼성SDI 삼양사 솔머티리얼즈 솔브레인 시노펙스 아데카코리아 아토텍코리아 에스앤에스텍 에어퍼스트 에어프로덕츠코리아 에프알디 에프에스티 엠에스머트리얼즈 엠이엠씨코리아 영창케미칼 웅진에너지 원익머트리얼즈 유비머트리얼즈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케이씨씨 케이피엑스케미칼 클랩 토판포토마스크 티이엠씨  피케이엘 효성화학 후성 현대자동차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에이티세미콘 큐알티 테스나 하나마이크론 엔비디아코리아 인텔코리아 인피니언 코리아 한국 National Instrument(NI) 키사이트테크놀로지 덕신   2. 관련 업체 구분  Fabless(설계업체 등)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IT기업 SW 관련기관 관련협회 금형부품 기계제조및센서 반도체 유통 반도체금형 반도체부품가공업체 부분품업체 부품제조 상사 설비업체 소자업체 솔루션공급업체 연구기관 유통 장비업체 재료업체 제조업 테스트/패키징업체 (분야별, 가나다순, 홈페이지 등)   * 관련 리스트 수정이나 추가, 업데이트를 원하는 경우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캐드앤그래픽스, 02-333-6900, mail@cadgraphics.co.kr)   연관 자료  K-반도체 전략 함께 보기  
작성일 : 2022-02-27
이노디자인, 케이엠에스파트너와 손잡고 빔프로젝터 '이노무비' 양산
이노디자인과 빔프로젝트의 기술을 축적한 자체 브랜드인 제우스(ZEUS) 빔프로젝터를 선보였던 케이엠에스파트너가 ‘디자인’과 ‘기술’의 힘을 합쳐 이노무비(innoMovie)를 양산한다. 12월, 한국 시장에 출시되는 이노무비는 케이엠에스파트너가 축적한 고화질의 빔프로젝터의 기능에 이노디자인의 디자인과 이노플라스크(innoFlask) 블루투스 스피커 개발의 노하우를 접목해서 최상의 화질뿐만 아니라 최고의 음질도 제공한다.  이노무비는 케이엠에스파트너가 자체 개발한 빔프로젝터 및 이를 이용한 음원출력 방법 특허 (10-2281057)기술과 이노디자인의 이노플라스크 블루투스 스피커를 접목시켜 만들어진 제품이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OS를 사용하며 YouTube, Netflix 등의 스트리밍 어플 사용이 가능하며, Texas Instrument DLP 기술의 프로젝터용 고화질로 최대 100인치 이상의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벽면에 띄워준다.  한편 3W 출력 2개와 우퍼 1개가 내장되어 최대 10W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저음역대부터 고음역대까지 고르게 풍부한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바라보는 화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서 울려 퍼지는 음향은 사용자들에게 작은 영화관과 같은 환경을 제공해주는 신개념의 포터블 빔프로젝터이다.  또한, 내부에는 배터리가 장착되어서 완전 충전 상태라면 전원 어댑터를 연결하지 않고도 최대 3시간 30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상하좌우 키스톤 기능으로 화면의 틀어진 위치를 ±40° 범위 내에서 상하는 자동, 좌우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천정이나 벽 등과 수평으로 되지 않아도 어느 방향에서라도 16:9 비율의 형태로 자연스러운 화면을 볼 수 있다.  2.4G와 5G 듀얼 Wi-Fi 지원으로 언제 어디서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만 있으면 다양한 콘텐츠를 빠른 속도로 즐길 수 있어서 야외에서도 설치가 간단하다. 스크린 미러링 또한 Android뿐만 아니라 IOS 제품도 안정적으로 유무선으로 연결가능해 프로젝터 화면을 즐길 수 있다. 블루투스 스피커로도 사용이 가능한 이노무비는 미니빔프로젝터를 사용하지 않고 미니빔 상단의 버튼이나 리모컨 전원버튼을 누르면 간단하게 전환하여 고음질 스테레오 출력의 블루투스 스피커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노무비의 브랜드와 디자인, 그리고 콘셉트을 창안한 이노디자인 김영세 대표는 “디지털이 변화시키는 사람들의 생활방식을 눈여겨보면서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영상과 음향을 즐길 수 있는 손안에 든 작은 영화관을 연상하며 이노무비를 탄생시켰다”고 말했다.  케이엠에스파트너 김종대 대표는 “그동안 자사 브랜드의 최소형 빔프로젝트 상품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기술 기발에 주력해 왔으나, 시장이 요구하는 상품이 어떤 것인지를 찾기 위해 이노디자인과 힘을 합쳤다”며 소감을 전했다.  한편 집안이나 캠핑 등 야외에서 영화와 그 외의 모든 영상 콘텐츠를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신개념의 이노무비 빔프로젝터의 국내에서의 구입은 케이엠에스파트너스를 통해서 가능하며 미국 등 해외판매는 이노디자인이 직영한다.  
작성일 : 2021-12-16
SMATEC 2020 개막, 13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려
제2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rt Factory & Automation Technology Fair 2020, 이하 SMATEC 2020)이 ‘새로운 제조업 시대를 열다’를 주제로, 11월 11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막했다.  올해 유일하게 개최되는 ‘스마트공장’ 및 ‘생산자동화’ 관련 전시회인 SMATEC 2020은 코로나19로 전례가 없는 위기를 겪고 있는 생산제조 기업들에게 최신 기술정보와 디지털 전환을 위한 최적의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스마트공장솔루션, 공장자동화, 자동화설비 관련 기업 120개 사가 참여하고, 250개 부스로 운영되는 SMATEC 2020은 코로나19로 인해 전시 행사들이 연기 또는 취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처음 열리는 ‘스마트공장 솔루션’ 전시회이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솔루션 공급기업의 마케팅 활동 확대와 수요업계의 정보수집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면서 비젠트로, 시스윈일렉트로닉스, 레인보우로보틱스, 코베리, 영림원소프트랩, 마이다스아이티, 제우스, 위더스테크, 오토데스크코리아 등 국내외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날 개막식에는 SMATEC추진위원장인 고려대 주영섭 교수를 비롯해 김일호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 박한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조병걸 한국산업단지공단 경기반월시화 스마트산단사업단장 등 스마트제조 및 스마트공장 관련 산학연관 주요 인사 14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시장 로비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시회에는 부스전시뿐만 아니라 스마트공장 구축 관련 정책과 지원사업들을 소개하는 뉴딜정책특별관을 비롯해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됐다. 이중에서도 국내외 스마트공장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동 산업의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새로운 비전을 창출하는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스마트 팩토리 컨퍼런스’는 개막 첫날부터 많은 수요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11일과 12일 양일간 진행되는 이번 컨퍼런스는 첫날에 ‘국내 스마트 제조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 ‘독일의 제조분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최신동향/미래비전’, ‘스마트제조분야 한독협력방안’ 등의 세션을 진행했으며,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 SPA 정대영 본부장, 플랫폼 인더스트리4.0 글로벌 Kagermann 대표 등이 연사로 참여했다. 둘째 날인 12일에는 ‘스마트 제조 최신 기술동향’, ‘Discrete Industry 분야 스마트 제조 사례 및 발전 방향’, ‘Process Industry 분야 스마트 제조 사례 및 발전 방향’ 등의 세션에 코그넥스코리아 송기영 연구소장, 건국대학교 박창규 교수, 씨와이 장영수 상무 등이 연사로 나선다. 이와 더불어 이번 전시회 기간에는 스마트공장 정책세미나, 신제품 발표 및 신기술 세미나, CAE 컨퍼런스 2020, 수출구매상담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함께 개최될 예정이다. SMATEC 2020 추진위원회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스마트공장 솔루션 업계의 제품 및 기술 트렌드를 조망하고, 위드코로나, 포스트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공장솔루션의 미래 트렌드를 제시할 것이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전시는 물론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컨퍼런스 등 다양한 부대행사로 그동안 코로나19로 어려웠던 판로 개척과 정보 교류의 가뭄을 해갈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3일간 1만 명이 다녀갈 것으로 예상되는 SMATEC 2020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1단계로 완화된 이후 처음 열리는 전시회인 만큼,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서부터 QR코드 등록, ·2차 발열체크 등 5단계에 걸친 철저한 방역시스템을 확보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지침에 따라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입장객을 관리 및 통제해 ‘안전한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작성일 : 2020-11-11
제2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 11일부터 3일간 진행
제2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rt Factory & Automation Technology Fair 2020, 이하 SMATEC 2020)이 ‘새로운 제조업 시대를 열다’를 주제로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 활동이 일상이 된 가운데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산업 전반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제조 업계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ing)의 현주소와,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핵심 키워드인 스마트 제조·스마트 공장을 실현할 기술 및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SMATEC 2020은 ▲모션 컨트롤 및 부품전 ▲FA 시스템전 ▲제어 계측·시험 검사기기전 ▲산업 로봇전 ▲3D 프린팅 및 소재전으로 구성된 ‘공장자동화관’과 ▲제조자동화전 ▲소프트웨어전으로 구성된 ‘스마트공장솔루션관’, ▲물류시스템전 ▲유공압기술전 ▲용접·FINISHING 설비전으로 구성된 ‘자동화설비관’이 전문관으로 기획됐다. 이들 전문관에서는 최신 제조 혁신 기술과 함께 스마트 공장 구현을 위한 전후방 산업의 기술 정보도 소개된다. 스마트 제조를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도 다양하게 소개된다. 오토데스크는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제조 산업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고 제조 혁신을 구현할 기술 트렌드를 공유할 계획이다. 마이다스아이티는 3D 모델링 그대로 구조 해석이 가능한 마이다스 메시프리(midas MeshFree)와 설계 검증 및 최적화 단계에서 추천하는 구조·유동 다분야 통합 해석 솔루션인 마이다스 NFX(midas NFX)를 소개할 예정이다. 영림원소프트랩은 영업 수주, 생산, 판매, 재고, 구매, 회계가 통합 운영돼 원가 관리까지 연결되는 통합 프로세스를 지향하는 맞춤형 ERP K-System 및 클라우드 서비스 ERP SystemEver를 홍보한다. 이외에도 이번 전시회에는 ▲협동 로봇을 비롯해 로봇 개발에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 생산하고 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 ▲6축 수직다관절 로봇 ‘ZERO’를 출품하는 반도체·태양전지 제조 장비 및 시스템 생산·판매업체 제우스 등을 비롯해 180여개 업체가 참가,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제조 업계에 필요한 기술 및 정보를 수요 업계와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스마트 공장 지원 정책을 확인할 수 있는 ‘뉴딜 정책 특별관’이 운영될 예정이다. 한국형 뉴딜의 핵심축이 될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실현 과정에서 스마트 공장의 역할과 필요성을 더 자세히 이해하는 계기가 될 이번 특별관에는 경기테크노파크(TP),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경기반월시화스마트산단사업단, 한국경영인증원 등 정부 기관과 오토데스크코리아 등 민간 기업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한편 SMATEC 2020 기간에는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2020’을 비롯해 ‘CAE 컨퍼런스 2020’, ‘제조 AI 기반 산업지능화 전략세미나’, 참가업체 세미나 등 여러 부대행사가 함께 진행된다. 11월 11일~12일 이틀간 개최될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에서는 ▲국내 스마트 제조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독일의 제조 분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최신 동향과 미래 비전 ▲스마트 제조 분야 한-독 협력 방안 ▲스마트 제조 최신 기술 동향 ▲Discrete Industry 분야 스마트 제조 사례 및 발전 방향 ▲Process Industry 분야 스마트 제조 사례 및 발전 방향 등 6개 세션으로 구분돼 24개 강연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11월 13일 진행되는 CAE 컨퍼런스 2020에서는 제품개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CAE(컴퓨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법)를 중심으로, 코로나19로 영향으로 도래한 언택트 시대에 시뮬레이션을 위한 디지털 전환(DX)의 필요성과 기술, 트렌드 등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SMATEC 2020 추진위원회는 "우리 경제의 원동력인 제조업이 위드 코로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흔들리지 않고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라며 내실 있는 기획을 통해 더 많은 사람에게 인사이트를 선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시회는 SMATEC2020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참관객 사전 등록을 하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작성일 : 2020-11-04
티맥스소프트, 클라우드 미들웨어 시장 공략 활성화
티맥스소프트는 증가하는 클라우드 수요에 발맞추어 자사 대표 웹 애플리케이션서버(WAS) ‘제우스(JEUS)’와 클라우드 기반 통합 미들웨어 플랫폼 ‘하이퍼프레임(HyperFrame)’을 중심으로 하반기 클라우드 미들웨어 시장 공략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티맥스소프트는 지난 2003년부터 국내 시장점유율 1위의 자리를 지켜 온 제우스의 클라우드 에디션을 출시한 바 있다. 이후 퍼블릭 클라우드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구조 및 기능을 고도화 해왔다. 제우스는 ‘오토 스케일 인/아웃(Auto Scale In-Out) 기술’을 통해 확장 용이성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대용량∙분산 컴퓨팅을 지원한다. 또한 관리와 서비스 영역을 분리해 대규모의 확장성을 제공하고, 동적 설정을 지원해 관리자의 운영 편의성을 실현한다. 또한 이기종 WAS로부터의 자동 전환을 지원하는 도구인 ‘T-Up 제우스(T-Up JEU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손쉽게 이기종 WAS를 제우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환경을 분석한 뒤 자동 전환을 시행해 클라우드 환경으로 편리한 전환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WAS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부담과 전환 소요 시간을 최소화한다. 티맥스의 통합 미들웨어 플랫폼 ‘하이퍼프레임(HyperFrame)’을 통해서도 제우스를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만날 수 있다. 하이퍼프레임은 제우스를 포함해 웹서버, 프레임워크, API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미들웨어군의 상용∙오픈소스 제품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통합 제공한다. 사용자는 하이퍼프레임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우스를 비롯한 미들웨어 통합 제품군의 기능을 편리하게 설정, 조정, 관리하고, 티맥스의 기존 제품과 오픈소스 제품을 함께 조합해 활용할 수 있다. 제우스는 최근 온라인 개학을 지원한 클라우드 기반 학습 플랫폼 ‘e학습터’의 WAS로 적용됐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최대 65만명의 동시 접속 병목을 해소하고 성공적인 관리를 실현했다.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 기존 시스템 대비 수십 배 이상 확대되는 코어와 서버를 초단기간에 증설하며 클라우드 시스템에서의 높은 사용성∙운영성을 입증했다. 또한 올 상반기에는 KT 클라우드 및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과 함께 클라우드 이용자가 콘솔에서 클릭만으로 간편하게 WAS 서버를 생성할 수 있는 서버 설치형 상품을 런칭했다. 이 외에도 AWS, MS 애저, G-클라우드 등 다양한 퍼블릭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티맥스소프트 이형배 대표는 “티맥스소프트는 20여년동안 국내 미들웨어 최강자로서 미들웨어 기술력을 공고히 다져왔다”라고 언급하며 “이제는 이러한 기술력과 경쟁력을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 시켜 전통적인 영역에서의 WAS 강자를 넘어 클라우드 시대에 걸맞는 미들웨어의 진화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0-08-24
2019 로보월드, 5G 기반의 스마트 로봇 혁신서비스 주제로 10월 9일 개최
  2019 로보월드(ROBOT WORLD 2019)가 10월 9일(수)부터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올해 전시회는 ‘5G 기반의 스마트 로봇 혁신서비스’를 주제로 운영되며, 로봇을 기반으로 관련 산업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조업용 로봇 및 서비스용 로봇, 로봇 부품 등 국내외 주요기업 참가로 예년보다 한층 더 높은 비즈니스 성과 창출이 전망된다. 두산로보틱스, 로보스타, 티로보틱스, 제우스, 뉴로메카 등 국내 대표 제조업용 로봇 기업뿐만 아니라, 제팩, RS오토메이션 등 로봇 SI 전문 기업의 참가로 로봇 활용사례를 통한 공정적용 가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현대로템을 비롯 유진로봇, 로보티즈, 한컴로보틱스, 로보링크,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서비스용 로봇 기업뿐만 아니라, 두산모트롤, 한즈모트롤, 민트로봇, 지지엠 등 로봇 부품기업이 다수 참가한다. 최근 협동로봇과 함께 로봇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무인이송로봇(AGV) 분야의 수성, 트위니, 포테닛, 한성웰텍 등의 참가로 물류 및 이송·배송 분야의 로봇 활용 티핑포인트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로봇 산업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로봇 분야의 핵심 이슈를 점검하기 위한 분야별 특별관이 구성될 예정이다. 로봇 분야 창업 활성화 및 중소·벤처·Start-Up 기업의 신규 비즈니스 기회 제공 등을 위한 ‘로봇 Start-Up 특별관’, 로봇 관련 창의적인 기량을 펼치고 로봇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K-Robot 인재 특별관’도 구성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안전한 로봇 활용 환경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제조업용 로봇 안전 특별관’ 운영, 인공지능과 로봇의 융합 서비스 비전을 조망하기 위한 ‘인공지능 특별관’ 등의 구성도 추진된다. 2019 로보월드를 총괄하는 한국로봇산업협회 김환근 상근부회장은 “로보월드는 국내를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로봇산업전”이라며 “세계 최초의 5G 기반의 로봇 융합 서비스를 제시하여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글로벌 전시회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19-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