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이종욱"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1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4 발표자료 다운로드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4 2014년 6월 25일(수) 시간 내용 09:00 - 09:30 등록 09:30 - 09:40 개회사 09:40 - 09:50 격려사 09:50 - 10:20 PLM이 미래다 / 두산인프라코어 김태환 상무 10:20 - 10:50 How you will lead Next generation product development in the era of IOT: Smart Connected Product / PTC, 조용원 지사장 10:50 - 11:20 3D 프린터와 3차 산업혁명 / 타이드 인스티튜트 고산 대표 11:20 - 11:50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PLM 적용 / 쌍용자동차 정승환 상무  11:50 - 13:10 점심 식사 트랙 Track A Track B Track C Track D Track E 전기/전자/소비재 조선/중공업/플랜트 자동차/항공 기계/건축/컨설팅 학술/신기술 13:10 - 13:45 시장에서 차별화되는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사례 연구 삼성SDS 정수원 수석 군용 항공기 개발을 위한 PLM 기반 엔지니어링 IT 인프라 대한항공 서동희 그룹장 PLM 기반의 효율적인 제품 사전원가 관리 지멘스 홍경원 수석위원  건설기계 산업의 3D Data를 이용한 가상검증 프로세스 구축 사례 두산인프라코어 이강걸 과장 Improving Innovation through implementation Technia NEIL PHIPPEN, Director 13:50 - 14:25 자동차 부품제조사 명화공업의 PLM 구축사례 명화공업 이경윤 부장 현대로템, 세화, 프론티스 사례 어성필 책임, 이태구 연구원, 이재영 과장   일본 글로벌 자동차 금형 기업의 PLM을 활용한 자원 최적화 사례 자이오넥스 방건동 상무 NX 기반 Bolt Parts Former 기계 자동화 설계 구축 효동기계 남궁용 차장  PLM SEMANTIC ANALYTICS KAIST 서효원 교수 14:25 - 14:45 휴식 14:45 - 15:20 PLM NPI process를 통해 본 System integration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임응기 과장   Qurayahh Independent Power Plant 36" Custody Metering System 생산을 위한 3D Modeling 구현 사례 및 연구 발맥스기술 강정일 과장 자동차 부품사 Global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축 사례 삼성SDS 정희석 수석 설계 품질 조기 확보(Front Loading)를 위한 Digital Mock-Up(DMU) 협업 프로세스 적용 사례 두산인프라코어 정경용 수석연구원 Holistic optimization for manufacturing process of crankshaft in terms of energy saving울산대학교 박홍석 교수 15:25 - 16:00 대용량 Data와 부품 형상검색을 통한 효과적인 엔터프라이즈 포털구축 방안 지멘스 노은희 이사  LS엠트론 PMS 구축 사례LS엠트론 변종대 부장  설치 스크립트를 이용한 ENOVIA V6 업그레이드 에스엘 김철 대리 초 연결 시대의 Smart Connected 제품 개발 및 서비스를 위한 사물 인터넷 기술의 적용PTC 황난희 이사 표준 기반 플랜트 3D CAD 데이터 교환 기술 경북대학교 문두환 교수 16:05 - 16:40 SAP 3D Visual Enterprise를 이용한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 라이트커넥트코리아 이종욱 차장  사물인터넷 사회와 커넥트 PLM 그리고 인더스트리 4.0 PLMBOK 조형식 대표 제품개발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팀센터 기반 PLM UTILITY2.0 소개 및 부품적재 최적화 솔루션 소개 씨테크시스템 최치영 부장   Introduction to Codeless PLM Solution for Power Users!!디지테크 오동훈 상무 Data를 통해 제품개발을 엿보자 - Product Data Analytics 개념과 기법 경상대학교 도남철 교수  16:40 - 17:00 휴식 17:00 - 17:30 특별 세션 - PLM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캐드앤그래픽스 최경화 국장, LG전자 김진국 부장 17:30 - 17:50 폐회
작성일 : 2016-03-31
프레지 (Prezi),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로 공유 기능 강화
청중을 사로잡는 강력한 프레젠테이션 플랫폼 프레지(www.prezi.com)가 안드로이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프레지 안드로이드 버전’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제 전세계 10억명 이상의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프레젠테이션에 접속할 수 있다. 프레지 CEO 겸 공동설립자 피터 알바이(Peter Arvai)는 “프레지 사용자들이 오피스를 벗어나 일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면서, 오랫동안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를 요청해왔다”며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귀 기울여 ‘프레지 안드로이드 버전’을 출시하게 되었으며, 이제 사용자들은 모든 프레지를 언제든 감상하고 프레젠테이션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현재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스마트폰 시장의 8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프레지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로 전세계 안드로이드 유저들도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로 스토리를 공유하고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프레지 아태지역 총괄 강명구 대표는 “한국 시장에서도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계속 있어왔다”며, “비주얼 시대를 맞아 강력한 스토리텔링 도구로 환영 받고 있는 프레지가 마침내 안드로이드 버전을 출시로 더 많은 국내 사용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프레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클라우드 동기화 : 항상 가장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어떤 기기에서든 가장 최근에 작업했던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 ■ 원격 모바일 프레젠테이션 : 각기 다른 곳에 있어도 최대 30명을 프레젠테이션으로 초대하여 동시 발표 가능 ■ 언제 어디서나 접속 가능 : 저장된 모든 프레지, 검색 및 공유된 프레지 이용 가능 ■ 최근 사용한 프레지 및 인기 프레지 오프라인 액세스 : 인터넷이 없이도 최근 10개 항목 자동 저장으로 프레젠테이션 연습 가   프레젠테이션 컨설팅 기업 파워피티(PowerPT)의 이종욱 CEO는 “프레지는 무한한 아이디어로 청중을 매료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프레젠테이션 도구”라고 말하며 “이번 프레지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로 거의 모든 스마트폰에서 프레지를 공유하고 청중을 참여시킬 수 있어 더욱 활용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프레지 안드로이드 버전에 대한 소개는 http://bit.ly/prezi_android 에서 볼 수 있다. 프레지 안드로이드 버전 다운로드 링크 : http://taps.io/Android-Prezi-KO 프레지 iOS 버전 다운로드 링크 : http://taps.io/Prezi-iOS-AN  
작성일 : 2015-02-27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4 개최
IT 기술과 제조업 연결하는 PLM의 청사진 제시 올 해로 열 번째를 맞은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4(www.plm.or.kr)'가 지난 6월 25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Connected PLM with Internet of Things'라는 주제로 최근 새롭게 이슈가 되고 있는 사물 인터넷(IoT)을 비롯해 3D 프린터와 인더스트리 4.0 등 새로운 기술과 전통적인 제조산업을 이어주는 PLM의 발전과 해법이 제시되어 약 1,000여명이 참가하여 큰 호응을 보였다. ■ 정수진 기자 sjeong@cadgraphics.co.kr 열 돌 맞은 PLM 컨퍼런스, 향후 10년을 모색하는 기회 마련 이번‘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4’는 열 번째 행사를 맞아 향후 10년을 위한 PLM의 미래와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PLM 컨소시엄 회장인 두산인프라코어 김태환 상무는 “기술 및 제품 개발 경쟁력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하는데 PLM은 큰 역할을 해 왔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사물 인터넷(IoT) 등의 흐름은 제품 개발을 혁신하는데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면서 “PLM 베스트 컨퍼런스는 지난 10년 동안 PLM 관련 트렌드와 사례를 공유하면서 국내 PLM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 왔다고 자부한다. 앞으로도 미래 지향적인 PLM을 고민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CAD/CAM학회 최영 회장은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는 제조산업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 국내 PLM의 성공 사례를 전파하면서 업계를 대표하는 행사로 성장해 왔다. 지난 10년처럼 앞으로도 최신 정보와 성공 사례를 공유하면서 살아 있는 행사가 되기를 바란다”고 축하의 인사를 전했다. 장기적이고 전사적인 PLM 전략 세워야 이번 행사의 기조 연설에서는 국내 주요 제조기업의 PLM 전략과 비전, IT 및 제조 분야의 새로운 흐름에 대한 PLM의 대응 방안 등을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두산인프라코어와 쌍용자동차에서는 자사의 PLM 추진 현황 및 제조기업 관점에서 PLM에 대한 이슈를 소개했다. 제품은 제조기업의 기반이며, 많은 기업들은 제품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제품 개발의 초기 단계는 전체 제품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제품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 이 때문에 제품 개발 초기 단계의 엔지니어링이 중요하며, 그 부가가치에 대한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PLM의 핵심은 제품 라이프사이클의 모든 단계에 걸쳐 제품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함으로써 협업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영 목표에 대한 기여도를 확보하고, 프론트 로딩(Front-loading)과 3D 기반의 엔지니어링 접목을 통한 최상의 QCD를 얻는 것을 PLM의 목표로 삼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가 PLM에서 주목한 이슈는 QCD(품질, 비용, 딜리버리)이다. 제품 양산의 전/후단계에서 많은 설계 변경이 일어남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초기에 설정한 재료 비용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비용 최적화가 필요했다. 한편으로 개발 일정이 지연되는 상황을 막는 것도 중요한 과제였다. 이에 따라 두산인프라코어는 NPD(신제품 개발), VPD(가상 제품 개발), BOM(Bills of Materials), PDM(제품 데이터 관리) 등 4개의 PLM 카테고리와 11개의 과제를 설정해 진행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 김태환 상무는 PLM 추진에서 고려할 사항에 대해 “PLM은 CEO 아젠다로서 전사 레벨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톱-다운 형식의 비즈니스 과제로 만들어야 파급력을 높일 수 있고, 개발 프로세스 혁신에 맞춰 통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ROI를 증명하기보다 이익 창출을 목표로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꾸준히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짚었다. IT 변화와 통합에 대응하는 PLM 필요 쌍용자동차는 향후 5~10년 후의 새로운 트렌드에 대비하고 영역간의 통합을 구현함으로써 제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맞춰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기 위해 설계와 생산준비, 고도화 등 3단계에 걸쳐 PLM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1단계에서는 제품 정보를 통합 관리를 중심으로 제품 설계 및 변경 등 3D 기반의 개발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3D CAD와 EBOM의 연계 관리 및 부품 사양 관리 개선을 통해 EBOM 통합 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2단계는 생산준비의 통합 관리가 핵심이다. 생산 기술 업무를 표준화하고 설계와 생산 기술을 통합하며, 디지털 생산 준비 구현 및 ERP와의 연계 등이 2단계에서 이뤄지고 있다. 향후 3단계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의 개선, 제품 사양 정보의 통합 관리, 요구사항 관리의 체계화, 해석 및 테스트 데이터의 통합 관리에 이르기까지 고객 지향 및 고도화에 초점을 둘 계획이다. 쌍용자동차 정승환 상무는 “향후 PLM은 IT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영역간의 통합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또한 기업의 인적 요소를 고려하고 새로운 기술과 방법론을 접목하는 것도 중요한 변화가 될 것”이라면서 “PLM은 결국 프로세스이며, 전사적인 사고를 통해 프로세스 변화를 관리하는 것이 성공의 관건”이라고 짚었다. 사물 인터넷 시대, 제조산업도 달라진다 PTC코리아 조용원 사장은 IT 및 제조산업에 걸쳐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에 대한 내용을 소개했다. 전 세계 70억 명의 인구 가운데 1/3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스마트 제품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2020년에는 500억 개의 커넥티드 디바이스(Connected Device)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제품의 경쟁력 외에 더 큰 패러다임 변화를 제조산업에 요구하게 될 것이다. ‘네트워크의 가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람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맥칼프의 법칙(Metcalfe’s Law)을 굳이 들지 않아도 될 만큼 사물 인터넷이 가져올 수 있는 변화는 이미 그 토대를 갖추고 눈 앞에 실현되고 있다. 제조업은 사물(Things)의 핵심에서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대응해야 한다. 기계 요소와 전기 요소가 결합된 제품은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UI)와 소프트웨어, 컨트롤러와 센서를 결합한 ‘스마트 제품’으로 발전했다. 그 다음 단계는 1:1 연결에서 복합적인 연결로 진화한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Smart, Connected Product)’이 될 것이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마이클 포터 교수는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은 가치 생성 사슬을 재정의하는 계기이자, 산업 구조와 기업의 경쟁력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짚기도 했다. 조용원 사장은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모니터, 컨트롤, 최적화, 자동화 등의 역량이 요구된다. 또한 제조업의 핵심 가치가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제품에서 클라우드 및 서비스로 변화함에 따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또한 트랙잭션(Transaction) 기반에서 서비스 세일즈로 바뀌어야 한다”면서 “PTC는 2013년 말 사물 인터넷 개발 플랫폼 기업인 씽웍스(Thingworx)를 인수하고 ‘클로즈드 루프 라이프사이클 관리(Clodes-loop Lifecycle Management)’라는 비전을 내세워 이러한 제조산업 변화를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새로운 제조 환경의 거센 물결 타이드인스티튜트 고산 대표는 개인 제조로 대표되는 제조 환경의 변화를 짚었는데, 이를 통해 제조산업이 바뀌어갈 미래의 모습에 대한 실마리를 볼 수 있었다. 현재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제조 분야의 메가 트렌드는 개인 제조의 확산에 따른 ‘3차 산업 혁명’이다. PC, 인터넷, 모바일을 거쳐 디바이스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제조와 관련한 다양한 창업 시도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 개인용의 3D 프린팅, CNC, 레이저 프린터 등장과 확산에 따른 디지털 패브리케이션(Digital Fabrication) ▲ 오픈소스 기반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인 아두이노(Arduino)의 등장으로 누구나 손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된 피지컬 컴퓨팅(Physical Computing) ▲ 개방과 공유를 바탐으로 소프트웨어의 개발 장벽을 낮추는 오픈소스의 확대 ▲ 킥스타터(Kickstarter)로 대표되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고산 대표는 “이를 통해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시장에 출시하기까지 드는 시간과 노력을 덜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제품이 등장할 수 있게 된 것이 3차 산업 혁명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면서 “아이디어의 개방 → 커뮤니티의 형성 → 오픈 R&D → 핵심 고객 확보로 이어지는 ‘메이커 문화’는 제조산업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잡고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다양한 PLM 기술 연구 및 구축 사례 소개 이 외에도 이번 행사에서는 총 5개 트랙 25편에 걸쳐 다양한 산업 및 학술 분야의 PLM 기술 트렌드와 연구 성과, 솔루션 및 실제 기업의 적용사례 등의 내용이 소개되어 참가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전기/전자/소비재 트랙에서는 ▲ 삼성SDS 정수원 수석의 ‘시장에서 차별화되는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사례 연구’ ▲ 명화공업 이경윤 부장의‘ 자동차 부품제조사 명화공업의 PLM 구축사례’ ▲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임응기 과장의 ‘PLM NPI 프로세스를 통해 본 시스템 통합’ ▲ 지멘스 노은희 이사의 ‘대용량 데이터와 부품 형상검색을 통한 효과적인 엔터프라이즈 포털구축 방안’ ▲ 라이트커넥트코리아 이종욱 차장의 ‘SAP 3D Visual Enterprise를 이용한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 등이 발표되었다. 중공업, 플랜트, 항공 트랙에서는 ▲ 대한항공 서동희 정보기술 그룹장의 ‘군용 항공기 개발을 위한 PLM 기반 엔지니어링 IT 인프라’ ▲ 현대로템, 세화, 프론티스의 PLM 적용 사례 ▲ 발맥스기술 강정일 과장의 ’Qurayahh Independent Power Plant 36” Custody Metering System 생산을 위한 3D 모델링 구현 사례 및 연구’ ▲ LS엠트론 변종대 부장의 ‘LS엠트론 PMS 구축 사례’ ▲PLMBOK 조형식 대표의 ‘사물인터넷 사회와 커넥트 PLM 그리고 인더스트리 4.0’ 등의 내용이 소개되었다. 자동차 트랙에서는 ▲ 지멘스 홍경원 수석위원의 ‘PLM 기반의 효율적인 제품 사전원가 관리’ ▲ 자이오넥스 방건동 상무의‘ 일본 글로벌 자동차 금형 기업의 PLM을 활용한 자원 최적화 사례’ ▲ 삼성SDS 정희석 수석의 ‘자동차 부품사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축 사례’ ▲ 에스엘 김철 대리의 ‘설치 스크립트를 이용한 ENOVIA V6 업그레이드’ ▲ 씨테크시스템 최치영 부장의 ‘제품개발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팀센터 기반 PLM UTILITY2.0 및 부품적재 최적화 솔루션 소개’ 등 발표가 이뤄졌다. 기계 트랙에서는 ▲ 두산인프라코어 이강걸 과장의‘ 건설기계 산업의 3D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검증 프로세스 구축 사례’ ▲ 효동기계 남궁용 차장의‘ NX 기반 Bolt Parts Former 기계 자동화 설계 구축’ ▲ 두산인프라코어 정경용 수석연구원의‘ 설계 품질 조기 확보를 위한 DMU 협업 프로세스 적용 사례’ ▲ PTC 황난희 이사의 ‘초 연결 시대의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 개발 및 서비스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술의 적용’ ▲ 디지테크 오동훈 상무의 ‘Introduction to Codeless PLM Solution for Power Users!!’ 등이 발표되었다. 학술/신기술 트랙에서는 ▲ 테크니아 닐 피펜 디렉터의 ‘Improving Innovation through implementation’ ▲ KAIST 서효원 교수의 ‘PLM SEMANTIC ANALYTICS’ ▲ 울산대학교 박홍석 교수의 ‘Holistic optimization for manufacturing process of crankshaft in terms of energy saving’ ▲ 경북대학교 문두환 교수의 ‘표준 기반 플랜트 3D CAD 데이터 교환 기술’ ▲ 경상대학교 도남철 교수의 ‘데이터를 통해 제품개발을 엿보자 - Product Data Analytics 개념과 기법’ 등 발표가 진행되었다. 또한 캐드앤그래픽스 최경화 국장과 LG전자 김진국 부장이 진행한 ‘PLM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제목의 특별 세션을 통해 국내 PLM 시장의 현황과 과제 그리고 제조기업 입장에서 PLM에 대한 접근법과 문제 해결 방안에 관한 내용을 공유하는 기회도 마련되었다.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업체들은 전시 부스를 통해 자사의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여 참가자들의 시선을 받기도 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4-07-31
PLM컨소시엄,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4 개최
- PLM 컨퍼런스 10주년 기념, 6월 25일 코엑스서 개최  ‘PLM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발표…  IOT, 3D 프린팅 등 PLM과 연계된 새로운 기술들의 소개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4’가 6월 25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개최된다.PLM 컨소시엄(www.plm.or.kr)이 주관하고 한국캐드캠학회와 캐드앤그래픽스가 공동 주최하는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이하 PLM컨퍼런스)는 2005년을 시작으로 올 해로 10회째를 맞이하였으며, 두산인프라코어,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중공업, GM, 쌍용자동차 등의 회장단사를 비롯한 국내 주요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PLM컨퍼런스는 실질적으로 국내 주요 제조기업 현업에서 산학연, 벤더를 총망라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주도하는 행사로서 PLM(제품라이프사이클관리)에 대한 이슈와 성공사례, 구축 사항 등에 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Connected PLM with Internet of Things’라는 주제로 최근 새롭게 이슈가 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3D 프린터, 인더스트리 4.0 등 새로운 기술들이 전통적인 제조산업에서 PLM, ICT 등과 결합되어 어떻게 접목되고 발전되어 가고 있는지 살펴보고 해법과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기조연설로는 두산인프라코어 김태환 상무(PLM 컨소시엄 회장)가 ‘PLM이 미래다’라는 주제로 전사적 PLM 과제 추진의 가치와 각 과제의 개략적 진행 및 접근 방법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며, 자동차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PLM 적용(쌍용자동차 정승환 상무), 3D 프린터와 3차 산업혁명(타이드 인스티튜트 고산 대표), IOT 영역에서의 차세대 제품개발(PTC 로버트 코시스 부사장) 등의 발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세부 세션은 전기/전자/소비재, 조선/중공업/플랜트, 자동차/항공, 기계/건축/컨설팅, 학술/신기술 등 5개 트랙으로 나뉘어져 30여개 세션이 진행될 계획이다. 대한항공, 현대로템, 앰코, LS엠트론 등 다양한 고객 성공사례와 함께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사물인터넷과 인더스트리 4.0, 설계 품질, 데이터 교환, 비주얼 엔터프라이즈 등 다양한 화두를 통해 PLM 분야의 다양한 신기술 동향과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사례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또한PLM 컨퍼런스 10주년 기념을 기념하여 PLM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조망할 수 있는 특별세션이 준비되어 있다. 이번 행사에는 어느 곳에서도 들을 수 없는 차별화된 콘텐츠로 현장에서만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많이 준비되어 있으며, CAD/CAM/CAE/PDM 등과 관련한 제조업계의 지속적인 고민과 함께 IOT, 3D 프린터, 인더스트리 4.0 등 최근의 핫 이슈와의 연계를 통해 제조업계의 경쟁력 강화와 관련된 비전과 해법들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1. 주요 발표 내용(1) 기조연설 PLM이 미래다 - 두산인프라코어 김태환 상무 점차 치열해지는 Global 경쟁 환경 하에서 근원적 경쟁력 확보가 기업의 지속 경영을 위한 핵심 요 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두산 인프라코어는 Product Leadership의 핵심 요소인‘기술과 제품’ 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Enabler로서 2012년 PLM을 선택하여 NPD 프로세스, VOC, BOM, 원가, 시제작, 가상 검증 등 전사적인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전사적 PLM 과제 추진의 가치와 각 과제의 개략적 진행 현황과 접근 방향에 대한 소개 및 Lessons learned 공유한다. 어떻게 차세대 제품개발을 주도할 것인가: Smart Connected Product- PTC, Robert Kocis, Senior Divisional Vice President우리는 지금 인터넷의 세계에 살고 있다. 인터넷에 연결된 제품의 수는 이미 지구상에 살고 있는 인류의 수를 초과하였고, 이러한 사실이 제조업체에 시사하는 바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광범위하다. 제품은 이제 개별적으로 독립된 개체에서, 보다 복잡한 센서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디지털 기술이 결합되어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의 복합체로 진화하고 있다. PTC는 본 세션을 통해 제조업계가 이러한 변화의 방향을 읽고, 그 흐름을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혁신 기술과 Smart Connect Product 의 실현 전략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 3D 프린터와 3차 산업혁명- 타이드 인스티튜트 고산 대표3D 프린터가 각광을 받고 있고 3차 산업 혁명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3D 프린터가 이러한 혁명을 견인하고 있긴 하지만 사실 이러한 거대한 변화가 가능한 이유는 이를 둘러싼 제반 환경요소들이 함께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페브리케이션, 피지컬 컴퓨팅, 오픈소스, 크라우드 펀딩 등이 바로 그러한 요소들이다. 3차 산업 혁명이라는 메가트렌드에 대한민국이 잘 올라타기 위해서는 이러한 전체적인 그림과 각 요소간의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러한 요소요소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PLM 적용- 쌍용자동차 정승환 상무자동차 산업의 기술 동향, PLM 도입 목표, 자동차 산업의 PLM 적용 사례 및 성공적인 PLM 도입을 위한 고려 사항 및 제언한다. (2) 트랙A시장에서 차별화되는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사례 연구 (Overcoming Barriers to Sustainable Market Differentiation: Turning Great Ideas Into Great Products)- 삼성SDS 정수원 수석아이디어를 활용해서 신제품으로 만들어내기 위해서 기업들이 겪는 어려움이 무엇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원칙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제품 아이디어의 글로벌 성공사례를 분석하고 얻어진 교훈들과 실현 방안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식음료업계 PDM 구축 사례- 디지테크 김진영 이사설계도면 및 데이터관리 시스템 구축 사례를 소개한다. PLM NPI process를 통해 본 System integration-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임응기 과장Amkor technology (반도체 팩키징 & 테스트 업체)에서 사용되는 PLM 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PLM NPI(New Product Introduce) process. PLM integration, PLM maintenance 대용량 Data와 부품 형상검색을 통한 효과적인 엔터프라이즈 포털 구축 방안- 지멘스 노은희 이사제품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 부문 협업을 지원하는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의 엔지니어링 포탈 구축 방안에 대해 소개한다. SAP 3D Visual Enterprise를 이용한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 라이트커넥트코리아 이종욱 차장 (3) 트랙 B군용 항공기 개발을 위한 PLM 기반 엔지니어링 IT 인프라- 대한항공 서동희 정보기술 그룹장군용 항공기 개발을 위한 무기 체계 개발 절차 개요 및 대한항공 무인기 개발 사업에 적용한 PLM 기반 엔지니어링 IT 인프라 구축 사례 설명 Windchill Quality Solution을 이용한 시스템 RAM 분석 및 RAM PLM 관리- 현대로템 어성필 책임연구원국방 RAM업무에 Windchill Quality Solution을 이용한 제품 모델이나 형상 별 다양한 RAM(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제원 분석 및 RAM PLM 관리 사례를 언급하고 보완 사항을 제안한다.Windchill Quality Solutions 시장 현황 및 요구사항 분석- 프론티스 이재영 과장Windchill Quality Solutions의 기능을 소개하고 최근 3년 간의 Windchill Quality Solutions에 대한 시장 현황 및 요구 사항을 살펴본다.RELEX를 활용한 신뢰성 예측 분석- 세화 이태구 연구원RELEX를 활용한 신뢰성 예측 분석을 소개한다. Qurayahh Independent Power Plant 36” Custody Metering System 생산을 위한 3D Modeling 구현 사례 및 연구- 발맥스기술 전정익 프로젝트 엔지니어당사가 사우디 아라비아 Qurayahh에서 현재 진행중인 QIPP Project에 납품한 초대형 구경 36” Custody Metering System 생산을 위하여 3D CAD를 도입, 성공적으로 구현한 사례를 설명하고 현재 학계에서 연구 중인 3D Modeling, 파일경량화, BOM 추출에 관련한 사례를 고찰하고자 한다. LS엠트론 PMS 구축 사례- LS엠트론 변종대 부장LS Mtron 1개로 통합 운영되던 중앙연구소의 R&D Process의 제품(사업)별/ 과제유형별 Process 재 정립 및 자사의 R&D 활동에 Customize 된 PMS 구축사례를 소개한다. 사물인터넷 사회와 커넥트 PLM 그리고 인더스트리 4.0- PLMBOK 조형식 대표향후 20년은 사물 인터넷 (IoT)시대이다. 인간과 인간의 연결이 아니라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의 인터넷 연결되고 소통하는 시대이다. 새로운 PLM 메가 트렌드로 커넥트 PLM과 4차 산업혁명인 인더스트리 4,0의 기업 생존 전략을 제시한다. (4) 트랙 CPLM 기반의 효율적인 제품 사전원가 관리- 지멘스 홍경원 수석위원PLM 기반의 제품 사전원가 관리의 중요성과 관리 trend 및 기능, 사례를 공유한다. 일본 글로벌 자동차 금형 기업의 PLM을 활용한 자원 최적화 사례- 자이오넥스 방건동 상무일본의 글로벌 자동차 금형 기업인 H社를 대상으로, Aras Innovator PLM 시스템을 활용하여 전 세계 H社 연구소 및 제품 개발 부서들의 프로젝트 일정 관리 및 자원 부하 시뮬레이션 최적화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 자동차 부품사 Global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축 사례- 삼성SDS 정희석 수석제품 품질 향상을 통한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Global 품질경영체계(ISO/TS16949, ISO26262)에 따른 프로세스 성숙도 향상 사례를 소개한다. 설치 스크립트를 이용한 ENOVIA V6 업그레이드- 에스엘 김철 대리내/외부 적인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설계 데이터 자산화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에스엘 주식회사에서는 PDM 솔루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기로 결정하였고,  설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3개월의 짧은 기간 안에 최소한의 인원 투입으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ENOVIA V6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신의 PDM 개념 도입 및 정착과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한 환경 구축을 이룩하였다. 제품개발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팀센터 기반 PLM UTILITY2.0 소개 및 부품적재 최적화 솔루션 소개- 씨테크시스템 최치영 부장1.Teamcenter 기반의 제품개발정보 관리 유틸리티 프로그램 -분류체계(부품/문서) 구성 -부품/문서번호 자동채번 -프로젝트 관리와 연계한 문서관리 -일정 사전 알림 -진척율 Reporting -대화창 UI 및 문서번호 규칙 관리 -형상관리 -FMEA 관리2. 부품적재 최적화 솔루션 ‘PackAssistant’ 소개 (5) 트랙 D건설기계 산업의 3D Data를 이용한 가상검증 프로세스 구축 사례- 두산인프라코어 이강걸 과장두산인프라코어 건설기계BG의 3D Data를 이용한 가상검증 프로세스 구축 사례 및 향후 DM Roadmap 공유 NX 기반 Bolt Parts Former 기계 자동화 설계 구축- 효동기계공업 남궁용 차장 NX 기반 Former 기계 자동화 설계를 위한 솔루션 구축에 대해 소개한다. 설계 품질 조기 확보(Front Loading)를 위한 Digital Mock-Up(DMU) 협업 프로세스 적용 사례- 두산인프라코어 정경용 부장신제품의 개발 시간 단축(Delivery), 개발 비용 절감(Cost), 설계 품질(Quality)의 조기 확보를 위하여 설계 초기 단계부터 가상(virtual)환경에서 검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협업 프로세스 의 적용 사례 초 연결 시대의 Smart Connected 제품 개발 및 서비스를 위한 사물 인터넷 기술의 적용- PTC코리아 이봉기 이사초 연결 시대의 Smart Connected 제품 개발 및 서비스를 위한 사물 인터넷 기술의 적용에 대해 발표 한다. Introduction to Codeless PLM Solution for Power Users- 디지테크 오동훈 상무Another Viewpoint for PLM Development (6) 트랙 EImproving Innovation through implementation- TECHNIA, Neil Phippen, Director of International SalesImplementing PLM should focus on the user experience.  In this talk, you will hear about how Technia has helped companies around the world save time and money while making life easy for their users. Technia delivers tools that dramatically change the way you work with your data across many industries. 에너지 효율에 관한 크랭크샤프트 제조 공정의 총괄적 최적화- 울산대학교 박홍석 교수이 연구는 크랭크샤프트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에너지의 흐름과 하위 공정들간의 상호 의존에 기초한 에너지 효율의 증가를 목표로 한다. 총괄적 최적화 공정은 Tecnomatix Plant Simulation을 사용하였다. 전체 공정에서 12%의 에너지 효율 증대의 최적화 결과를 보였으며. 사이클 타임과 비용이 감소하였다. PLM SEMANTIC ANALYTICS- KAIST 서효원 교수최근 국내 글로벌 기업들의 PLM 구축은 상당히 성숙되어 있고, 데이터들이 PLM에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최근 국내 PLM 활용에 관한 조사에 의하면, 이러한 데이터들이 효율적으로 활용 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데이터 부정확, 검색의 불편함, 데이터의 로컬저장 등이 이유로 언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PLM 데이터 특히 PLM DB 데이터, CAD file 데이터 및 Doc contents 데이터의 처리방법 및 검색/활용 방법에 대하여 소개 하고자 한다. 표준 기반 플랜트 3D CAD 데이터 교환 기술- 경북대학교 문두환 교수플랜트 설계 데이터는 공정 모델, 기기 사양, 2D 기능 다이어그램, 3D CAD 데이터로 구성된다.  플랜트 EPC 업체가 작성한 설계 데이터는 시공 업무뿐만 아니라 플랜트 발주기관에게 이관되어 운전 및 유지보수 업무를 위한 기반 데이터로 활용된다. 따라서 3D CAD 데이터를 포함한 플랜트 설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교환하는 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 발표에서는 ISO 15926, XMpLant, GPM 등의 플랜트 3D CAD 데이터의 교환 기술의 개발 현황에 대해서 설명한다. Data를 통해 제품개발을 엿보자 - Product Data Analytics 개념과 기법-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부 도남철 교수기업은 1970년대 이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품 개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진행해왔다. 이제 반세기에 걸쳐 축적된 제품 개발 정보를 관리자와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고민할 시기가 다가 왔다. 축적된 Data를 통해 제품 개발을 분석하고 강화시키는 Product Data Analytics 개념과 기법을 소개한다. (7) PLM컨퍼런스 10주년 특별 세션 PLM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캐드앤그래픽스 최경화 국장, LG전자 김진국 부장 참고자료 : PLM(제품수명주기관리, 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이란? PLM은 모든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단계, 즉 제품의 기획, 디자인, 설계, 생산, 유통, 서비스, 유지보수, 폐기 등 제품의 생애주기와 관련한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PLM은 전통적인 자동차, 항공, 전자, 반도체, 조선 등 제조업의 영역에서 건설, 금융, 소비재, 플랜트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어 기업의 제품개발기간 단축과 원가절감 등을 통해 제조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필수 요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작성일 : 2014-06-19
리얼타임테크-엔코아, 국내외 DB 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 체결
리얼타임테크(www.realtimetech.co.kr)와 데이터 서비스 전문기업 엔코아(www.en-core.com)는 최근 기술 제휴 기반으로 국내외 DB 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제휴를 통해 양사는 유기적인 기술 협력 체제를 구축해 리얼타임테크의 인메모리 기반 데이터베이스관리(DBMS) 솔루션 ‘카이로스(Kairos)’와 엔코아의 데이터 아키텍처 모델링 및 관리 솔루션인 ‘데이터웨어 DA#(DATAWARE DA#)’에 대한 상호 연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양사의 솔루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엔지니어 및 개발자들을 상호간에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물론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서도 공동 영업 및 마케팅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최근 중국 시장의 경우 스마트시티 개발이 확산됨에 따라 지리 및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DB 솔루션 분야에서도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어 양사는 솔루션 연동과 협력을 통해 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과 관련해 엔코아 이화식 대표는 “이번 제휴를 통해 양사간 보유한 기술과 서비스를 공유하고 공동 사업 발굴을 통한 수익 창출에 힘을 모을 예정”이라며,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DB 컨설팅 분야의 경험과 노하우가 리얼타임테크의 인메모리 DBMS 분야 핵심 기술력과 결합해 시너지를 발휘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리얼타임테크 이종욱 사장은 “엔코아의 협력 및 제품 연동을 통해 DB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산 대표 DBMS 솔루션인 ‘카이로스’의 제품 경쟁력도 한층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카이로스’의 인지도를 높이고 제품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전문 솔루션 업체들과의 파트너 협력을 점차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리얼타임테크는 그 동안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시스템, LIG넥스원이 구축하는 함정무기체계 시스템, 국도ITS 교통정보시스템 개선 구축사업, 현대기아자동차의 텔레메틱스 서비스를 위한 교통량 수집 및 가공 부분, 서울지방경찰청의 교통정보처리를 위한 시스템 등에 자사의 ‘카이로스’를 공급해 성공적으로 구축을 완료하는 등 외산 제품 대비 뛰어난 DBMS 제품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작성일 : 2014-03-12
리얼타임테크, 공간정보 DBMS를 통해 융복합 서비스 시장 공략 본격화
리얼타임테크(www.realtimetech.co.kr)는 최근 금융 분야 융복합 서비스 시스템 구축사업에 자사의 인메모리 기반 공간정보 DBMS 제품인 ‘카이로스 스페이셜(Kairos Spatial)’을 공급하는 등 융복합 서비스 시장공략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각종 정보들이 공개됨에 따라 이를 다양한 곳에서 활용하려는 위치기반의 융복합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의 경우 외산 중심의 공간정보 솔루션과 디스크 기반DBMS 제품으로 조합되어 고비용은 물론 고질적인 성능 이슈가 항상 존재했다. 이에 리얼타임테크는 다양한 융복합 공간정보 기능을 제공하는 국산 DBMS인 ‘카이로스 스페이셜’을 통해 다양한 산업분야의 융복합 서비스 시장을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이 제품은 인메모리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복잡한 공간데이터 처리 속도가 타 제품보다 빠를 뿐만 아니라 국내 DBMS 제품으로는 유일하게 3D 공간 데이터 저장 및 처리가 가능해 다양한 3D 기반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공간정보시스템(GIS)에 특화된 다양한 기능과 공간정보시각화(GIS Viewing) 기능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뷰어(Viewer)’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 기반의 자동 SQL(공간데이터 질의) 생성 기능은 공간정보시스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시스템을 손쉽게 개발 및 유지보수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융복합 서비스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리얼타임테크는 이미 지난 해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시스템, KTH Olleh 맵 OpenAPI, 현대자동차 교통량 수집정보시스템 등 다양한 융복합 시스템에 관련 DBMS를 성공적으로 공급한바 있다. 또한 올해 공간기반의 금융 융복합 분야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사업들이 점차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가시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리얼타임테크 이종욱 사장은 “기존의 고가 외산 솔루션 조합에서 탈피해 리얼타임테크의 ‘카이로스 스페이셜’은 안정적인 고성능을 기대함과 동시에 융복합 서비스를 합리적인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며, “공간정보 DBMS는 새로운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데 촉매제로 활용될 것이기에 그 동안의 구축사례를 고객들에게 적극 알려 올 한해 융복합 서비스 분야를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리얼타임테크는 올해 지난해보다 25% 성장한 약 5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융복합 서비스 분야 이외에도 국방무기체계, 공장자동화 등의 임베디드 SW 분야의 DBMS 시스템 구축사업에서도 지속적으로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작성일 : 2014-02-28
리얼타임테크, 국도ITS 교통정보시스템 개선 구축사업에 ‘카이로스 RDBMS’ 공급
리얼타임테크(www.realtimetech.co.kr)는 대전과 익산 지방국토관리청이 추진한 국도ITS 교통정보시스템 개선 구축사업에 자사의 ‘카이로스 RDBMS’를 공급해 성공적으로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국도ITS 교통정보시스템 개선 구축사업은 지난 2012년 국토교통부에서 도로교통 분야 ITS의 개발과 보급 촉진을 통한 저비용, 고효율의 미래형 스마트 교통SOC 구축을 위해 ‘자동차, 도로교통 분야 ITS 계획 2020’에 따른 것이다. 이를 통해 4차로 이상의 도로를 대상으로 실시간 도로관리, 이용자 맞춤형 대중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지능형교통체계를 확립해 교통정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리얼타임테크는 이번 사업 중 대전과 익산 국도ITS의 교통정보시스템 개선을 위해 기존 디스크 DBMS의 성능을 보완하고자 인메모리 기반의 DBMS인 ‘카이로스 RDBMS’를 공급해 교통량 수집 및 가공 부분의 처리속도를 기존보다 평균 5배 이상 빠르게 향상시켜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해결하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로써 이번 교통정보시스템은 빠른 데이터 처리속도와 정확한 교통정보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대국민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대전과 익산시의 고도화 작업을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구축을 완료함으로써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될 ITS 개선 사업에 대한 기대도 높였다. 이와 관련해 리얼타임테크 이종욱 사장은 “지난 2010년 처음 참여한 국도ITS 교통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이 전국단위 사업으로 확장됨에 따라 리얼타임테크도 인메모리 DBMS 솔루션을 공급하면서 지속적인 성과를 이루고 있다”며 “창조경제시대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ITS 구축사업이 적극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기에 리얼타임테크는 경쟁사와 차별화된 DBMS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교통체계를 만들어 나가는데 일조를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리얼타임테크는 현대기아자동차의 텔레메틱스 서비스를 위한 교통량 수집 및 가공 부분의 성능과 기능에서 외산 제품 대비 우수성을 인정받아 자사의 인메모리 기반 DBMS 솔루션을 적용함으로써 성능을 고도화한 바가 있으며, 서울지방경찰청의 교통정보처리를 위한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쏟아지는 대용량의 교통정보처리에 있어 최적의 DBMS 솔루션을 입증한 바 있다.
작성일 : 2014-01-28
티맥스소프트, 이종욱 부회장 선임
티맥스소프트는 이종욱 대표이사를 신임 부회장으로 선임했다.이종욱 신임 부회장은 2010년 4월 티맥스소프트의 대표이사로 취임한 후 2010년 하반기부터 2012년까지 9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 티맥스소프트의 제 2의 도약에 크게 기여했다. 2012년 9월에는 3년 만에 대규모 고객행사인 ‘티맥스데이 2012’를 개최하며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의 티맥스소프트의 위상을 과시한 바 있다.티맥스소프트는 이종욱 신임 부회장의 지휘 아래 ‘제우스’, ‘오픈프레임’ 등 자사 핵심제품의 경쟁력과 라인업을 더욱 강화시켜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종욱 신임 부회장은 `티맥스소프트만의 기술력과 고객가치경영을 통해 국내 미들웨어 시장을 더욱 주도해나갈 것”이라며 “국내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이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장기적으로 국내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을 넘어서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티맥스소프트는 박용연 부사장을 사장으로, 박학래 기획조정실 실장, 황성택 해외경영지원실장을 부사장으로 함께 승진, 발령하는 등 대대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이 외에도 고서윤 공공사업본부장과 이동희 금융사업본부장을 전무로 오세윤 경영지원실 재무회계팀장와 윤경규 연구소장을 각각 상무로 승진 임명했다. 또 김규형 금융1사업부장, 김상섭 기술지원본부/본부장은 각각 상무보로 승진했다.
작성일 : 2012-12-28
CAD&Graphics 2012년 4월호 목차
  테마기획 98 미래 산업을 바꾸는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 하이브리드 GPU 솔루션의 발전 및 워크플로우의 변화 / 이주석 그래픽스 기술의 진화와 하이브리드 GPU 솔루션의 발전 및 적용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의 동향 및 기술 전망 / 위원식 콘텐츠 제작의 완전 디지털화에 따른 플랫폼 및 워크플로우의 표준화 진행 3D 실시간 비주얼라이제이션 기술의 동향 / 이민정 마케팅/영업 등 활용 분야 확대 및 PLM과의 통합 강화 차세대 업무 공간, 클라우드 환경에서 일하는 새로운 방식 / 이문형 기업 업무 환경의 변화와 IT 대응 방안 의류 분야의 새 패러다임 / 고형석 디지털 클로딩(Digital Clothing) Column 34 한석희의 린 디지털 경영이야기 / 한석희 생각의 두려움 38 PLM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인생의 네 가지 42 BIM 칼럼 / 최철호 귀사는 어떤 BIM을 하십니까? 86 News 94 New Products 116 New Books Focus 68 다쏘시스템, 2012년 전략 발표 ‘3D 경험 플랫폼’ 기반, 올해는 다쏘 도약의 해 69 태성에스엔이, 앤시스 R14 업그레이드 세미나 개최 앤시스 R14의 주요 업그레이드 및 구조-유동-전자기 연동 해석 사례 소개 70 국내 최대규모의 SIMTOS2012 ‘생산제조기술, 공작기계와 하나가 되다’를 주제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다 71 인텔, 제온 프로세서 E5 2600 제품군 발표 “슈퍼컴퓨터,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 클라우드의 심장 되겠다” 72 한국HP, HP 프로라이언트 GEN8 발표 자동화된 서버로 서버시장 선도한다 73 엔비디아, 지포스 600 시리즈 출시 게이머를 위한 역대 최고의 효율 및 속도 제공 74 VM웨어, 클라우드 통한 스마트 워크 구현 방안 제시 스마트폰/태블릿 등 스마트 디바이스의 업무 사용 활성화가 관건… 클라우드 기반의 기업 앱 관리 솔루션 연내 국내 출시 계획 75 안랩, 글로벌 비즈니스 강화 계획 해외 시장 겨냥한 제품 개발로 접근 방향 변화… 글로벌 비즈니스 비중 30%까지 늘린다 81 한국와콤, 인튜어스5 출시 멀티터치 추가된 전문가용 펜 태블릿, 스마트해졌다 Hot Window 76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8 컨수머 프리뷰 발표  태블릿과 PC를 결합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야심작… 윈도우의 새로운 세상을 꿈꾼다! Case Study 36 3D 프린터 적용 사례 네슬레 커피 메이커 부품의 기능성, 조립성 테스트를 책임진 3D 프린터 44 방위 산업 첨단 기술 개발하는 한화 종합 연구소 CAE를 활용해 제품 개발에서 생산까지 문제 해결 Gallery 50 엠듀 2011 3D Design 공모전 수상작품 소개 Software Review 52 3D View와 2D CAD를 통합한 ONE Solution MODView v2012 56 모델링/렌더링 프로그램 Modo 601 60 복합가공 머신 활용에 최적화된 CAM 시스템  ESPRIT : 솔리드밀턴 2012                          63 엔지니어링 계산을 위한 소프트웨어 Mathcad Prime 2.0 66 PLM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 ILM Hardware Review 82 차세대 펜 태블릿 Intuos5 Interview 84 라이트커넥트코리아 영업부 이종욱 과장 Visual Enterprise Solution으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생태계 만들 터 Power User 78 금형설계 프리랜서, 김지만 위지위그를 잘 표현해주는 금형설계의 동반자, 씽크디자인 탐방 46 BIM으로 시공성 진화하는 포스코건설 건축사업본부 건축기술그룹 사내 표준화 구축으로 올해 3D, 4D, 5D BIM 체계 확립 48 실무경력을 바탕으로 한 BIM 컨설팅업체, ABIM건축연구소  건축계의 이슈메이커! 올해는 비즈니스로 내실 다진다 온에어 41 캐드앤그래픽스 C&G TV 지상 중계 인터랙티브 3D 콘텐츠 개발의 기술/비즈니스 동향, PLM 표준의 필요성과 STEP 기반 연구 현황 소개 183 독자엽서 Directory 178 국내 주요 CAD/CAM/CAE/PDM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디렉토리 CADPIA AutoCAD 118 오토캐드 달인 되기(3) / 맹영완 선 종류의 카탈로그 만들기 AEC 122 All BIM IPD study group / 강태욱 IPD 해외 사례와 플랫폼, 그리고 우리가 얻은 메시지 128 토목BIM 실무를 위한 CIM Study(1) / 박상민 국토설계분야 BIM 도입을 위한 준비 140 BIM을 활용한 주택설계, 기획에서 허가도면까지(1) / 함남혁, 이명훈, 유기찬, 정재수  도시형 생활주택을 BIM으로! 145 구글 스케치업 - 놀라운 루비의 세계(4) / 한정훈 루비 활용하기 - 중급 Part 1 Medical 170 의학 분야에서 CAD의 활용 / 문영래, 신동선 Facegen을 사용한 얼굴 모델링 CAID 154 Autodesk Alias를 활용한 곡면설계(2) / 서범석 Primitive object 활용하기 Mechanical 150 Creo 표준 환경 구축 / 추병호 표준화는 왜 중요한가 Analysis 132 Autodesk 해석 제품 활용 강좌(8) / 이재섭 열하중을 고려한 PC Board의 피로해석 174 ANSYS Workbench를 활용한 해석 사례 소개 / 박성근 Eulerian model을 이용한 Cyclone 설계 자동화 Manufacturing 138 가공 기술 트렌드 / 씨아이엠에스 가공속도 최적화로 가공시간 단축 164 Delcam Dental을 이용한 디자인 / 최고나 Telescopic Crown, Inlay, Veneer PLM 157 R&D IT 시스템 구축 사례 / 한청수 Seamless PLM 전략
작성일 : 2012-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