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CAD/CAM학회, 2015 하계 학술대회 개최
제조 IT 기술 변화에 맞춰 연구의 깊이와 폭 더한다
한국CAD/CAM학회(www.cadcam.or.kr)는 지난 8월 19~20일 경기도 용인의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에서 '2015 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기술 발전과 함께 CAD/CAM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는 엔지니어링 IT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변화에 맞춰 학회의 향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 정수진 편집장 sjeong@cadgraphics.co.kr
다양한 분야의 기술 연구 내용 소개
이틀 동안 진행된 이번 하계학술대회는 21개 세션에서 87편의 논문이 구두발표되고, 포스터 세션을 통해 39편의 연구논문이 소개되었다. 특히 7개의 연구부문 기획 세션이 진행되어 학술교류의 깊이를 더했다. 동시에‘ 창의적 개념 설계 방법 : Design Thinking and TRIZ’와‘ Science Writing in English’를 주제로 한 튜토리얼 세션이 행사 기간 중 진행되었다.
주요 세션 테마(*는 연구부문 기획 세션)
■ PDM/PLM■ BIM■ Ship CAD■ 뉴미디어 인터랙션*■ 구조 및 재료 설계*■ 모델링 & 시뮬레이션■ PLM*■ 최적화 및 피로 내구*■ 국방 M&S*■ 한옥 디자인■ 디지털 매뉴팩처링■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CAD/CAE 교육■ 인체공학■ 메커니컬 CAD■ 메디컬 애플리케이션■ VR/지오메트리
스마트 공장 위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 모색
이번 하계학술대회에서는 제조 분야의 새로운 변화를 주제로 2편의 기조연설이 진행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이규택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PD(프로그램 디렉터)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와 스마트 공장’에 초점을 맞춰 최근 제조 분야에서의 IT 접목 트렌드를 짚었다.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은 제조 산업에서도 점차 늘어나, 이제는 ‘소프트웨어가 강한 업체가 더 큰 수익을 얻는’ 시대가 되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우리 정부에서도 미래 성장 동력을 위한 19개의 산업 엔진 분야를 선정했는데, 그 면면을 살펴보면 자율 주행, 지능형, 맞춤형, 스마트 등이 핵심 키워드로 역시 소프트웨어가 핵심이다.
다양한 소프트웨어 분야 중에서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는 하드웨어 장치를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가리킨다. 운영체제, 개발도구, 미들웨어, 장치 드라이버, 제어 소프트웨어 등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속하는데, 그 특성상 안정성과 신뢰도가 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규택 PD는 “제품 개발 원가 중에서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 미국에서는 자동차의 전장화 비율이 2030년에는 8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이슈가 떠오르고, 글로벌 기업들은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편 국내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현황을 보면, 해외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국산화율이 낮고, 전체 소프트웨어 종사자 가운데 임베디드 전문 인력이 6.8%에 그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된다.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맞는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제조 분야의 이슈인 ‘스마트 공장’은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ICT 기술을 제조라인과 결합해 미래 제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이 등장하면서 전 세계적인 붐이 일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대규모 장치산업 기반의 성장 방식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인식에 따라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발표하는 등의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규택 PD는 “대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은 높지만 중소/중견기업은 자동화/정보화 수준이 낮은 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스마트 공장의 보급 확산 및 기술 개발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스마트 공장을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대부분이 외산이다. 궁극적인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국산 소프트웨어와 솔루션이 일정 부분 필요하다”면서 “전문 도메인에 대한 지식과 소프트웨어 기술을 함께 갖추는 것이 융복합 시대의 키워드”라고 전했다.
사물인터넷이 제조 환경 바꾼다
PTC코리아 조용원 사장은 ‘사물 인터넷 시대에서 제조업의 변화와 혁신’에 대해 전망하면서 최신 IT 기술이 제조업에 접목되고 제품의 정의와 함께 제조 비즈니스 모델 및 프로세스가 바뀌고 있다고 짚었다. 특히 물리적인 제품에 더해 클라우드 데이터, 외부의 정보 소스, 비즈니스 시스템의 통합 및 커뮤니케이션 등이 통합되면서 디지털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연결성(connectivity)’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용원 사장은 “CAD를 보더라도 도면을 그리는데서 시작해 3D 형상을 구현하고 되었고, 앞으로 제품 설계가 또 다른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제조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물리-디지털 융합(convergence)이 화두가 되면서 이전에 상상하지 못했던 형태의 변화도 예상된다”고 소개했다.
특히 최근 주목받는 기술 분야로 사물 인터넷(IoT)이 있다. 제조업에서 IoT를 본격 접목하면서 변화가 예상되는 분야로는 ▲제품의 모니터, 제어, 최적화, 자율화가 가능해지는 스마트 연결 제품(Smart Connected Product) ▲제조, 생산, 서비스 영역에서의 스마트 연결 운영(Smart Connected Operation) ▲농장이나 도시 등 넓은 범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을 스마트 연결 시스템(Smart Connected System) 등이 꼽힌다.
조용원 사장은 “IoT와 기존 프로세스를 결합해 더 큰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운영 효율에서 전략적 차별화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IoT 도입 전략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연구 영역 넓히는 학회의 새로운 변화에 주목
한편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제 16회 CAD/CAM 경진대회’의 시상도 진행되었다.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조선해양 설계 및 생산작업 지원을 위한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하솔, 노명일, 함승호, 구남국)’, CAD 모델링 부문에서는 ‘초음파 배관검사로봇(정창준, 김재희, 류청우, 박현우, 김준엽, 신혜지)’이 대상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수상했다.
한국CAD/CAM학회장인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이수홍 교수는 “CAD/CAM 기술은 제조업을 넘어 엔지니어링, 디자인 IT, 군사, 의료, 문화,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발히 응용되고 있으며, 타 분야와 접목을 통해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면서 “우리 학회는 꾸준히 새로운 분야에 대해 탐색해 왔으며, 특히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아 새로운 20년을 위한 비전을 마련하고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하계학술대회는 그 시작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한국CAD/CAM학회는 그간 CAD/CAM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및 기술 분야로 연구 영역을 넓혀 왔다. 학회의 외연이 꾸준히 넓어짐에 따라 학회의 명칭과 성격을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일고 있으며, 학회에서는 학회명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하계학술대회 기간 중 열린 임시총회에서는 학회의 영문 이름을 ‘Society for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SCDE)’으로 변경하는 안이 의결되었다. 학회는 2016년에 국문 학회명 변경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바뀌는 학회명은 주무관청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2016년 중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5-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