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스플렁크"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31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시스코, 머신 데이터를 AI 인텔리전스로 전환하는 ‘시스코 데이터 패브릭’ 발표
시스코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스플렁크의 연례 행사 ‘닷컨프(.conf)’에서 머신 데이터의 가치를 AI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 아키텍처인 시스코 데이터 패브릭(Cisco Data Fabric)을 발표했다. 시스코 데이터 패브릭은 스플렁크(Splunk)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대규모 머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용과 복잡성을 줄이고, 데이터를 AI 애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일례로 기업은 맞춤형 AI 모델 훈련, 에이전틱 워크플로 구동, 머신 데이터 및 비즈니스 데이터의 다중 스트림을 상호 연계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활용할 수 있다. AI 시대를 위해 설계된 시스코 데이터 패브릭은 기업이 더 빠르게 혁신하고 보안을 강화하며 비즈니스 민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업 전반에 걸친 머신 데이터를 통합하고 활성화해, 비용과 복잡성을 줄이고, 분산 데이터 관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턴키(turnkey) 설루션을 제공한다. 시스코 데이터 패브릭은 데이터 스트림을 실행 가능한 인텔리전스로 전환해, 고객이 의사결정을 가속화하고 운영 리스크를 줄이며 혁신을 촉진하도록 지원한다. 이 프레임워크의 지능형 에지 데이터 관리 기능은 고도화된 데이터 필터링, 구조화 및 계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페더레이션(federation, 연합) 기능을 통해 다양한 도메인 전반에서 인사이트를 연계해 실시간에 가까운 엔드 투 엔드(end-to-end) 운영 인텔리전스를 제공한다. AI 어시스턴트와 에이전트 기능으로 구동되는 차세대 경험 레이어는 기업이 문제 해결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관리 부담을 줄이며, 팀은 더 빠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스코는 기업들이 시스코 데이터 패브릭을 통해 ▲대규모 머신 데이터 운영을 위한 통합형·지능형 데이터 파운데이션 및 도메인 간 실시간 검색 및 분석 ▲시계열 파운데이션 모델과 같은 독자적 데이터의 가치 활용 ▲시스코 AI 캔버스(Cisco AI Canvas)를 통한 사람과 AI 에이전트의 경험 통합 ▲데이터 수명주기의 모든 단계에 걸친 AI 네이티브 지원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스코 데이터 패브릭은 스플렁크 엔터프라이즈(Splunk Enterprise)와 스플렁크 클라우드 플랫폼(Splunk Cloud Platform) 기능을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현재 사용 가능하다. 앞으로 데이터 관리, 데이터 페더레이션, AI 전반에 걸친 발전 사항이 반영될 예정이며, 추가 기능은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제공된다. 스플렁크 AI 툴킷은 현재 사용 가능하며, 새롭게 호스팅되는 모델은 2026년에 제공될 예정이다. 시스코의 지투 파텔(Jeetu Patel) 최고제품책임자(CPO) 겸 사장은 “전 세계 기업들은 막대한 가치를 지닌 머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만, 머신 데이터를 AI에 활용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많은 비용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센서 측정값과 공장 지표부터 결제 시스템 데이터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서버, 네트워크 등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업데이트에 이르기까지, 머신 데이터는 비즈니스 운영 방식을 주도한다”면서, “스플렁크는 클라우드 데이터 및 분석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왔다. 그리고 이제 시스코 데이터 패브릭은 기업이 자체 소유의 머신 데이터를 활용해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AI 분야에서도 동일한 혁신을 이룰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시스코 자회사인 스플렁크의 카말 하티(Kamal Hathi) 수석 부사장 겸 총괄은 “스플렁크의 목표는 데이터를 행동으로 전환하는 여정을, 고객에게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제공하는 것”이라며, “플랫폼 전반에 AI를 내재화하고 개방형 표준을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기업들이 정보를 더 빨리 분석하도록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변화를 예측하고, 불필요한 복잡성 없이 혁신을 확장하며, 사용자 요구에 맞춰 더욱 탄력적이고 적응력 있으며 반응하는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9-12
시스코-엔비디아, 엔터프라이즈 AI 도입 가속화 위한 파트너십 확대
시스코가 기업용 엔터프라이즈 AI 기술 설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AI가 성장의 핵심 요소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지만, AI 레디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 복잡성과 보안 요구 사항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인해 여전히 도입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번 파트너십 확대는 AI 워크로드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려는 조직에 유연성과 선택권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사용자 간에 고성능, 저지연, 전력 효율성이 뛰어난 연결을 지원한다. 시스코와 엔비디아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엔비디아 스펙트럼-X 이더넷 네트워킹 플랫폼(Spectrum-X Ethernet networking platform)은 수많은 엔터프라이즈 AI 워크로드의 토대가 될 전망이다. 양사는 네트워킹 아키텍처 간 상호 운용성을 지원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간소화된 풀스택 설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한다. 이번 파트너십 확대의 목표는 고객이 기존 관리 도구와 프로세스를 활용하면서도 프론트엔드부터 백엔드 네트워크까지 아우르는 공동 아키텍처를 통해 AI 인프라 투자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시스코와 엔비디아의 기술을 통합하고 표준화하는 것이 더 용이해짐에 따라, 고객은 적응형 라우팅, 원격 측정, 혼잡 제어, 저지연성과 같은 엔비디아 스펙트럼-X 플랫폼의 최신 및 미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플렁크 데이터 플랫폼을 포함한 시스코의 네트워킹, 보안, 디지털 회복탄력성 포트폴리오의 이점도 누릴 수 있다.  양사는 새로운 차원의 혁신을 통해 기업 내 AI 도입을 가속화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 확대는 배포 및 운영을 간소화하면서 동시에 워크로드 성능과 가시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뒀다.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최고 성능의 이더넷 설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엔비디아의 스펙트럼-X 아키텍처를 시스코의 실리콘 원(Silicon One)으로 확장해 시스코를 스펙트럼-X 이더넷 설루션에서 지원되는 파트너 실리콘으로 만든다. 또한, 기존에 퍼블릭 클라우드 또는 SaaS 서비스로 제한되었던 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 이더넷 AI 프로젝트를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전체 배포 단계로 전환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시스코의 척 로빈스(Chuck Robbins) 회장 겸 CEO는 “기업들은 AI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배포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을 받고 있으며, 많은 리더들이 투자 대비 효과와 리스크를 균형 있게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시스코와 엔비디아가 힘을 합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고객이 인프라 투자를 최적화해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창립자 겸 CEO는 “AI는 빛의 속도로 발전해 모든 산업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며, “엔비디아의 스펙트럼-X는 AI를 위해 더욱 강화된 이더넷 설루션이다. 시스코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결합하면, 전 세계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AI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최첨단 엔비디아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작성일 : 2025-02-28
시스코, AI 기반 신기술 및 투자 계획 소개… “10억 달러 AI 펀드 마련”
시스코가 연례 행사인 ‘시스코 라이브 2024(Cisco LIVE 2024)’에서 자사의 전체 포트폴리오에 걸쳐 인공지능(AI) 기반 기능이 한층 더 강화된 네트워킹, 보안, 가시성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솔루션은 고객이 전체 디지털 발자국(digital footprint)을 연결 및 보호하고 디지털 회복탄력성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가시성과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시스코는 AI가 단지 ‘새롭게 부상한 기술적 터닝포인트’가 아니라, “전체 조직을 연결하고 보호하며 기업의 성장과 확장을 지원하고, 모두를 위한 포용적인 미래를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회복탄력성의 원천”이라고 설명했다.   ▲ 시스코 라이브 2024에서 연설하는 시스코 척 로빈스 회장   시스코는 AI와 네트워킹을 결합해 더 쉬운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시스코가 엔비디아와 함께 개발한 시스코 넥서스 하이퍼패브릭(Cisco Nexus HyperFabric) AI 클러스터는 AI 포드 및 데이터센터 워크로드를 한 곳에서 손쉽게 설계, 배포, 모니터링, 품질 보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설계부터 검증된 배포, 모니터링, 품질 보증에 이르기까지 엔터프라이즈급 AI 인프라를 위한 모든 과정을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시스코 사우전드아이즈(Cisco ThousandEyes)에 탑재된 새로운 AI 네이티브 디지털 경험 어슈런스 기능은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모든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인터넷 네트워크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한다.    AI와 보안을 결합해 안전한 인공지능 사용을 지원하는 것 또한 시스코가 내세우는 주요 전략 중 하나이다. 시스코는 시스코 시큐리티 클라우드에 도입된 신규 기능을 통해 복잡하고 초 분산된 환경에서 안전하게 기업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고객은 방화벽 인프라, 새로운 텔레메트리 소스, 뛰어난 네트워크 가시성 및 AI 네이티브 관리 아키텍처로 뒷받침되는 AI 보안 태세를 구축할 수 있다. 시스코는 AMD 펜산도 데이터 처리 장치(DPU)와 인텔 인프라 처리 장치(IPU)에 시스코 하이퍼쉴드(Hypershield)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기업들은 클라우드에서 데이터센터, 에지까지 AI 기반의 분산 보안 아키텍처를 구축할 수 있게 됐으며, 동시에 향상된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최근 스플렁크를 인수한 시스코는 이번 행사에서 신규 AI 어시스턴트와 스플렁크 로그 옵저버빌리티(Splunk Log Observability)의 기능을 시스코 앱다이나믹스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APM)과 결합한 솔루션인 앱다이나믹스 로그 옵저버 커넥트(AppDynamics Log Observer Connect)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사용자는 이를 이용해 의미 있는 가이던스와 인사이트를 확보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웹엑스 고객센터에 탑재된 새로운 기능은 기업이 대화형 셀프서비스 경험을 직접 설계 및 관리하고, 고객센터 상담원을 위한 AI 어시스턴트를 제공하며, 서드파티 버추얼 에이전트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웹엑스 스위트용 AI 어시스턴트는 조만간 모든 고객 대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IT 관리자는 웹엑스 컨트롤 허브(Webex Control Hub)에서 원격 기기 접근 관리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시스코 스페이스 데스크 예약(Desk Reservation with Cisco Spaces)을 통해 사무 공간과 시스코 협업 기기를 쉽게 찾고 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스코의 척 로빈스(Chuck Robbins) 회장은 “시스코는 인프라와 데이터의 연결 방식, 기업 보호를 혁신하는 독보적인 위치에 있으며, AI 시대에 엔터프라이즈 고객에게 알맞은 전략적 파트너”라고 전했다. 한편, 시스코 인베스트먼트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확장하기 위해 10억 달러(약 1조 3700억 원) 규모의 글로벌 AI 투자 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시스코는 고객 준비도, 컴퓨트 인프라, 파운데이션 모델, 모델 개발 및 트레이닝 등 여러 핵심 분야의 발전을 위해 기업용 대규모 언어 모델(LLM)로 유명한 캐나다의 인공지능 기업 코히어, 프랑스의 미스트랄 AI, 미국의 데이터 레이블링 스타트업 스케일 AI 등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 중이다.
작성일 : 2024-06-05
시스코, AI 기반 데이터센터·클라우드 보안 강화하는 ‘시스코 하이퍼쉴드’ 공개
시스코가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를 보호하는 기술인 ‘시스코 하이퍼쉴드(Cisco Hypershield)’를 공개했다. 인공지능(AI)이 확대되며 IT 인프라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시스코는 이 기술을 통해 인공지능과 워크로드의 활용 및 보호 방식을 재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시스코 하이퍼쉴드는 퍼블릭 및 프라이빗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 고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애플리케이션, 기기, 데이터를 보호한다. 설계 단계부터 AI 기술이 고려돼 사람의 힘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높은 수준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보안 담당자가 업무를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시스코는 이와 함께 최근 발표한 이더넷 스위칭, 실리콘, 컴퓨팅 포트폴리오를 통해 AI 인프라 가속화를 진행해 나가고 있다. 시스코 하이퍼쉴드는 신규 보안 아키텍처로 하이퍼스케일 퍼블릭 클라우드를 위해 개발된 기술이 사용됐으며, 모든 IT 팀이 조직 규모에 따른 제약 없이 구축할 수 있다. 보안 울타리보다는 보안 패브릭에 가까워 데이터센터 내 모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퍼블릭 클라우드 내 모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가상머신(VM) 및 컨테이너까지 모든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 포트를 고성능 보안 적용 지점(security enforcement point)으로 변환시켜 클라우드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 공장, 병원 영상실 등 다양한 공간에서 새로운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을 몇 분 이내로 차단하고 측면 이동 공격(lateral movement)을 막는다. 하이퍼쉴드를 통한 보안 강화는 하이퍼스케일의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강력한 하드웨어 가속기를 활용해 ▲소프트웨어 ▲가상머신 ▲네트워크, 컴퓨팅 서버, 어플라이언스 등 세 가지 계층에서 이루어진다. 하이퍼쉴드는 구축 단계부터 자율화와 예측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시스템이 스스로를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대규모의 초분산(hyper-distributed) 구조의 지원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하이퍼스케일 클라우드 안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워크로드를 연결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 메커니즘인 오픈소스 기술 eBPF(확장 버클리 패킷 필터)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시스코 하이퍼쉴드는 모든 클라우드에 걸쳐 데이터 처리 장치(DPU)와 같은 하드웨어 가속 장치를 활용해 애플리케이션 및 네트워크 동작의 이상 징후를 분석하고 대응한다. 또한, 보호가 필요한 워크로드에 보안을 더 적용한다. 시스코 하이퍼쉴드는 오늘날의 정교한 위협 환경으로부터 인프라를 방어하고 고객들이 직면하는 분산 취약점 방어, 자율 세그멘테이션, 자체 검증 업그레이드 등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시스코 하이퍼쉴드는 보안 적용 지점의 분산된 패브릭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보완 컨트롤(compensating controls)을 추가해 불과 몇 분 내로 네트워크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퍼쉴드는 기존에 가지고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자동추론 및 재평가를 진행해 네트워크를 자율적으로 세분화함으로써 대규모의 복잡한 환경에서도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이중 데이터 평면(dual data plane)을 활용해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되는 많은 테스트 및 업그레이드 배포 과정을 자동화한다. 시스코의 AI기반 교차 도메인 보안 플랫폼인 ‘시큐리티 클라우드’에 탑재된 시스코 하이퍼쉴드는 올해 8월에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최근 이루어진 스플렁크(Splunk) 인수로 인해 시스코의 기업 고객들은 모든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가시성과 인사이트를 확보하고 높은 수준의 보안 태세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시스코의 지투 파텔(Jeetu Patel) 보안 및 협업 부문 부회장 겸 총괄 매니저는 “AI는 전 세계 80억 인구의 영향력을 800억 명의 규모로 늘릴 수 있는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연결부터 보안, 운영, 확장 방식 등 데이터센터의 역할도 변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시스코 하이퍼쉴드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와 서버, 그리고 향후에는 네트워크 스위치까지 필요한 모든 곳에 보안을 적용할 수 있다. 수십만 개의 보안 적용 지점을 가진 분산된 시스템은 관리 방법의 간소화, 비용 감소를 이루고 시스템을 자율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시스코의 척 로빈스 CEO는 “시스코 하이퍼쉴드는 시스코 역사 상 가장 중요한 보안 혁신 중 하나”라면서, “시스코는 보안, 인프라, 가시성 플랫폼의 강점을 바탕으로 고객이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차별화된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성일 : 2024-04-19
마이크로소프트, 생성형 AI로 여러 산업에서 비즈니스 성장 지원
마이크로소프트가 생성형 AI 기술 및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해 전 세계 다양한 산업의 파트너 및 고객의 비즈니스 성장을 지원하면서 AI 혁신 사례를 발굴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차세대 AI 기술은 기업 조직에 큰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생성형 AI는 조직이 비즈니스, 사회,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면서, "전 세계에 분포된 마이크로소프트의 파트너, 고객들은 AI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의 성장과 수익성을 도모하고, 시장 진출 전략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모빌리티 및 제조 분야에서는 AI 기술을 통해 기업 운영 확장과 최적화에 나서고 있다. 메르세데츠-벤츠는 생성형 AI가 적용된 깃허브 코파일럿(GitHub Copilot)을 도입해, 개발자 역량을 강화하고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 역시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개발 도구 체인을 재구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코드 제안을 생성함으로써, 신규 개발자가 빠르게 온보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타이어 제조 전문 업체 굿이어(Goodyear)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Microsoft 365 Copilot)을 통해 직원들의 생산성을 높였으며, 카맥스(CarMax)는 애저 오픈AI 서비스와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해 웹사이트에 대한 고객 트래픽을 높이고, 수익 창출과 비용 절감 효과를 거뒀다.   AI는 직원 교육 및 채용 간소화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SAP는 자체 인적자원관리 솔루션 시스템인 SAP 석세스팩터스(SuccessFactors)와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및 비바 러닝(Viva Learning)을 통합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 코파일럿을 사용해 채용 직무 설명을 상황에 맞게 조정 및 검토할 뿐 아니라, 애저 오픈AI 서비스의 API를 활용해 지원자 이력이나 직무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 생성된 인터뷰 질문의 프롬프트를 팀즈(Teams) 내에서 면접관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비바 러닝 코파일럿은 직원의 경력과 목표에 맞춰 개인화된 학습 권장 사항을 제공, 리더가 직원의 스킬과 교육을 더 쉽게 도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이미지 출처 : Getty Images   다국적 회계 및 컨설팅 기업인 KPMG는 감사, 세무, 재무 등 주요 비즈니스 영역에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및 애저 오픈AI 서비스(Azure OpenAI Service) 등 AI 기술을 활용해 미화 120억 달러 상당의 점진적 성장 기회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 이를 통해 직원들이 보다 신속하게 분석을 제공하고, 전략 구축에 집중하는 등 직원 역량과 고객 서비스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PWC는 보험, 항공, 의료 등 다양한 산업 고객의 시간과 비용 절감을 돕기 위해 애저 오픈AI 서비스를 활용한 AI 역량을 확장하고 있다.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인 스플렁크(Splunk)는 애저에서 클라우드 솔루션 시스템을 구축해, 고객이 보다 유연하게 AI 보안 솔루션을 배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로써 고객은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더욱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협업을 통해 생성형 AI 서비스와 솔루션을 개발 중에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이 AI 기반 신사업을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금융 및 의료업계의 AI 혁신 사례도 늘고 있다. 미국 신용평가기업 무디스(Moody’s)는 자사의 데이터 및 분석 기능과 애저 오픈AI 서비스를 결합하고, 이를 통해 기업 인텔리전스와 리스크 평가에 대한 인사이트를 강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기업인 에픽(Epic)은 뉘앙스(Nuance)의 ‘닥스 익스프레스(DAX Express)’ 솔루션을 탑재한 전자 건강 기록(EHR : Electronic Health Record)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방문 기록을 빠르고 안전하게 생성, 의료진의 환자 관리 업무량을 줄일 수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함으로써 에픽의 EHR 생태계 전반에 걸쳐 대화형, 생성형 AI 기술을 통합해 대규모 의료 서비스에 AI 도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에픽 모듈 내에서 AI 기반의 임상 인사이트와 관리 도구에 대한 보안 액세스를 확대해 환자 관리부터 운영 효율성 및 의료 경험까지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긴급 인력 배치, 재정, 임상 액세스 등 오늘날 헬스케어 시스템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파일럿(Copilot) 솔루션을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저드슨 알소프(Judson Althoff) 수석 부사장 겸 CCO(Chief Commercial Officer)는 “마이크로소프트는 조직이 AI 여정의 전 단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진보한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파트너, 고객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기술 혁신을 통해 그들의 비즈니스 니즈를 충족시키고 산업의 미래를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3-08-25
AWS, SaaS 애플리케이션의 생산성과 보안성 높이는 'AWS 앱패브릭' 출시
아마존웹서비스(AWS)는 기업들이 기존에 사용 중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관리, 생산성을 개선하는 노코드 서비스인 AWS 앱패브릭(AWS AppFabric)을 발표했다. IT 및 보안 담당 팀은 AWS 관리 콘솔(Management Console)에서 몇 번의 클릭만으로 앱패브릭을 사용하여 기존 SaaS 애플리케이션과 생산성 제품군이 함께 더 잘 작동하도록 하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앱패브릭은 아사나(Asana), 슬랙(Slack), 줌(Zoom)과 같은 앱과 마이크로소프트365(Microsoft 365), 구글 워크스페이스(Google Workspace)와 같은 생산성 제품군의 로그 데이터를 집계하고 정규화하여 애플리케이션 관찰 가능성(Observability)을 높이고 지점(point-to-point : P2P) 간 통합의 구축 및 유지·관리와 관련된 운영 비용을 절감한다. 기업들은 특정 분야의 직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수의 SaaS 애플리케이션 라이선스를 구매, 관리하고 있으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수는 조직당 100개를 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특수 목적의 애플리케이션은 직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지만,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잘 연동되지 않아 보안이나 생산성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각 애플리케이션에는 고유한 제어, 로그, 인터페이스가 있어 IT·보안 팀이 관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하는 모든 SaaS 앱에 대해 지점 간 통합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각 통합을 완료하는 데 몇 주에서 몇 달이 걸릴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각 SaaS 애플리케이션에는 고유한 API와 데이터 형식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매우 가변적이어서 사용 패턴을 분석하기가 어렵다. SaaS 데이터의 높은 가변성과 표준화 부족은 조직 전체의 보안 위험을 높인다. 이번에 출시되는 AWS 앱패브릭은 고객들이 아사나, 아틀라시안 지라(Atlassian Jira) 제품군, 드롭박스(Dropbox), 구글 워크스페이스, 마이크로소프트 365, 미로(Miro), 옥타(Okta), 슬랙, 스마트시트(Smartsheet), 시스코 웹엑스(Webex by Cisco), 젠데스크(Zendesk), 줌 등 많이 쓰이는 SaaS 애플리케이션과 생산성 제품군을 모두 한 곳에서 연결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WS 관리 콘솔 내에서 조직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선택하여 앱패브릭에 연결하면, 앱패브릭은 연결된 모든 앱에 대해 표준화된 보안 및 운영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IT·보안 팀은 지점 간 통합을 구축 및 관리하고, 서로 다른 보안 데이터를 분석할 필요가 없다. 앱패브릭은 SaaS 애플리케이션을 로그자이오(Logz.io), 넷스코프(Netskope), 넷윗네스(Netwitness), 래피드7(Rapid7), 스플렁크(Splunk)와 같은 보안 도구에 연결하여 조직의 보안를 개선한다. 앱패브릭은 오픈 소스 스키마인 OCSF(개방형 사이버 보안 스키마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보안 데이터를 집계하고 정규화하여 이러한 도구가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IT·보안 전문가는 이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더 쉽게 분석하고 여러 SaaS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공통 정책, 알림, 통합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고객은 앱패브릭을 통해 번거로운 지점 간 통합 및 관리 작업을 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생산적이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AWS의 딜립 쿠마르(Dilip Kumar) 애플리케이션 부사장은 "AWS의 고객들은 직원의 생산성을 지원하기 위해 강력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사용하지만, 앱 통합, 관리, 보안이 IT·보안 팀의 주요 골칫거리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면서, "수십 개의 맞춤형 지점 간 통합을 구축하고 정규화 없이 데이터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실용적이지 않다. 이제 고객들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확장할 수 있는 간단한 솔루션인 앱패브릭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보안을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AWS 앱패브릭은 현재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유럽(아일랜드), 아태 지역(도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곧 사용 가능한 AWS 리전이 추가될 예정이다.
작성일 : 2023-07-05
데이터 집약적인 환경을 위한 스토리지 서버, 델EMC 파워엣지 XE7100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는 업계 최고 수준의 고밀도 5U 스토리지 서버 '델 EMC 파워엣지(PowerEdge) XE7100’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poweredge-xe7100   이번에 새롭게 발표한 파워엣지 XE7100는 경쟁 제품 대비 67% 더 많은 최대 100개의 고용량 하드 드라이브를 탑재할 수 있으며, 지능형 영상 분석, 미디어 스트리밍, 오브젝트 스토리지 등을 위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한다. 최대 4개의 가속기를 지원하는 1개 혹은 2개의 듀얼 소켓 노드로 구성되어 머신러닝 추론 성능을 끌어올리고 데이터 사일로(부서나 시스템 간의 데이터 단절 현상)를 제거한다. 8대의 파워엣지 XE7100으로 표준 42U 랙에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타사 동급 서버 대비 최대 200개 더 많은 고용량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 작업을 20% 낮추고, 전원 케이블 개수도 절반으로 줄임으로써, 고성능을 보장하면서도 TCO(총소유비용)과 복잡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효율을 높여 운영 비용을 낮추고, 탄소 배출을 최대 40% 절감할 수 있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이번 신제품과 함께 ‘오픈매니지 시스템 관리(OpenManage Systems Management)’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 했다. 동적인 인프라스트럭처를 빠르게 구축하고 확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매니지’의 이번 업데이트는 다음과 같다.  VM웨어 v센터(VMware vCenter) v5.2와 통합을 통해 물리적인 호스트 및 가상 호스트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v센터와의 통합은 엣지 환경에 최적화된 ‘델EMC 파워엣지 XE2420(Dell EMC PowerEdge XE2420)’도 지원하며, 엣지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체에서 시스템 관리 속도를 최고 수준으로 지속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8노드 구성의 파워엣지 클러스터의 경우 하이퍼바이저 및 펌웨어를 4분 이내에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됐다. 오픈매니지 엔터프라이즈 플렉스 셀렉트(OpenManage Enterprise FlexSelect) 아키텍처를 통해 최적의 유연성을 제공하고, 빠르게 시스템을 파악할 수 있다. 단일 인터페이스 내에서 ▲오픈매니지 엔터프라이즈 서포트 어시스트(OpenManage Enterprise SupportAssist)를 통해 자동으로 지원 요청이 생성되며, 지능형 분석, 예측 경보 등으로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 ▲오픈매니지 엔터프라이즈 업데이트 매니저(OpenManage Enterprise Update Manager)를 통해 카탈로그 및 저장소(repository) 작업을 자동화, 간소화하며, ▲오픈매니지 엔터프라이즈 파워 매니저(OpenManage Enterprise Power Manager)를 통해 사용되지 않는 리소스나 전원 소모를 식별하고 제어하여 워크로드를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돕는다. 플러그인 구성의 플렉스 셀렉트(FlexSelect) 아키텍처를 통해 업계 주요 콘솔들과 간편하게 통합이 가능하여 파워엣지 서버 관리에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나우(ServiceNow)와 통합을 지원해 IT 서비스 및 운영 관리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도록 지원한다. 관리자들은 또한 AI옵스(IT 운영을 위한 인공지능, AIOps) 기능을 제공하는 iDRAC과 같은 오픈매니지 시스템 관리 툴을 통해 IT 인프라에 대한 통찰력을 확보할 수 있다. iDRAC는 180개 이상의 서버 원격 측정 지표(텔레메트리 매트릭스, telemetry metrics)를 스트림하여 선제적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이벤트 간의 숨겨진 연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정교한 튜닝을 통해 인프라 및 비즈니스에 유연성을 더할 수 있다. 오픈매니지 엔터프라이즈 및 플러그인은 사전 정의된 정책에 따라 알림 및 대응을 자동화하므로 반응 속도를 높이고 안전하게 인프라를 운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델 테크놀로지스는 레드피쉬(Redfish) 원격 데이터 수집을 지원하기 위해 선도적인 데이터 분석 기업 스플렁크(Splunk)와 파트너십을 맺고 ‘델EMC iDRAC 레드피쉬 포 스플렁크 엔터프라이즈 애드온(Dell EMC iDRAC Redfish for Splunk Enterprise add-on)’을 개발했다. 또한 하나의 대시보드에서 전체 비즈니스 및 인프라 성능의 전체 스펙트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시각화 대시보드를 제공함으로써 인프라 운영에 대한 한 차원 높은 통찰력을 제공한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김경진 총괄사장은 “혁신의 핵심은 빠른 도달이 아닌 완성도와 지속성에 있다. 기업이나 기관에서 커넥티드 경험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사적인 차원의 데이터 비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하며 “델EMC 파워엣지 XE7100는 데이터 과학자, 엔지니어, 개발자들이 분석, 추론,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 다양하고 복잡한 연산처리를 위해 협력을 지속할 수 있는 최적의 기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0-11-10
델 테크놀로지스,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파워플렉스’ 출시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는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SDS: software-defined storage) 솔루션 신제품인 ‘델 EMC 파워플렉스(Dell EMC PowerFlex)’를 공개했다. ‘파워플렉스’는 소프트웨어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비즈니스 변화에 맞춰 지속적이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제공한다. 파워플렉스는 높은 성능과 확장성으로 탄력적인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유연성을 갖춰 베어 메탈 및 멀티 하이퍼바이저 환경에 사용할 수 있다. 노드를 수 천개까지 선형적으로 확장하며 용량, IO(입출력) 성능, 처리량(throughput)을 늘려 나갈 수 있고, 식스나인(99.9999%) 수준의 가용성을 제공하는 등 대규모 환경의 고성능을 추구한 솔루션이다. 파워플렉스(PowerFlex)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하드웨어 모듈을 자유롭게 분리 구성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성능에 맞게 자원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아키텍처를 변경하고 배포의 최소 단위를 사용자가 직접 정할 수 있으며, HCI(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모드를 적용해 단순화된 인프라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빠르게 진화하는 IT 워크로드에 보다 쉽게 대응하고, 확장성과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고객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단순화시켜 나가고 있다. 파워플렉스는 기존의 ‘V엑스플렉스(VxFlex)’ 솔루션을 파워(Power) 포트폴리오에 편입시킨 제품으로, 고객들이 소프트웨어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예측 가능한 I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파워플렉스는 필요에 따라 IT 인프라를 구축/운영/확장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단일 플랫폼 상에서 베어메탈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및 가상화된 워크로드는 물론 최신 클라우드 네이티브 컨테이너 방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VM웨어 외의 하이퍼바이저나 베어메탈 OS 지원이 필요한 환경을 운영하는 경우, 파워플렉스를 통해 두 계층으로 분리된 인프라를 제공받아 다양한 환경의 혼합 사용 및 확장이 가능하다. 특히 데이터 집약적인 워크로드 또는 서버와 스토리지를 각각 확장해야 하는 환경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파워플렉스는 어플라이언스 및 랙 옵션으로 사용 가능하다. 어플라이언스의 경우 대규모의 확장성과 유연한 네트워킹 옵션을 제공하며, 파워플렉스 랙(PowerFlex Rack)은 통합 네트워킹 및 프로페셔널 지원이 제공되는 통합 엔지니어드 랙-스케일 시스템이다. 기획 및 구축의 복잡성을 제거하고, 업그레이드 및 시스템 확장을 통해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도록 설계됐다. 파워플렉스는 복잡한 처리가 요구되는 비즈니스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동시에 신속한 서비스 확장을 위해 간편한 확장성을 제공하여, 고객들이 애플리케이션 SLA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비즈니스 요건에 맞춰 서비스를 온디맨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어떠한 조건에서도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 원활한 서비스를 보장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파워플렉스는 운영에 지장을 주거나, 높은 비용이 소요되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운타임이나 성능 저하 없이 노드 교체(swap out)가 가능하여, 업무 중단없이 신규 장비로의 단계적인 교체나 무중단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다. 특히, 이번 릴리즈에는 새로운 데이터 보호 서비스들이 추가되었다. 네이티브 비동기 복제와 30초 수준의 RPO(목표복구시점)가 구현되어, 보다 높은 가용성을 제공한다. 또한 의료나 금융권과 같이 거버넌스와 컴플라이언스가 중요한 분야에서 이 같은 요건을 준수할 수 있도록 안전한 스냅샷 기능이 추가됐다.     파워플렉스는 인프라 전반의 지속성을 위해 IT 프로세스 및 워크플로 자동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IT 운영 및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한 툴인 파워플렉스 매니저(PowerFlex Manager)를 통해 전체 인프라, 즉 펌웨어, BIOS, 노드, 네트워킹, 하이퍼바이저 등 서버와 스토리지 전체의 운영 워크플로를 자동화한다. 또한 개방형 API를 통해 델 테크놀로지스 클라우드(Dell Technologies Cloud)와 같은 클라우드 자동화 및 컨테이너 관리 플랫폼과 손쉬운 통합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워크로드 및 클라우드 자동화 플랫폼에 걸쳐 광범위한 에코시스템에 대해 검증 및 최적화 작업이 완료되어 있다. 에코시스템에는 오라클(Oracle), SQL 서버(SQL Server) 등의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해 SAP HANA와 같은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스플렁크(Splunk), SAS, 엘라스틱 스택(Elastic Stack)과 같은 분석 워크로드,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 VM웨어 클라우드 파운데이션(VMware Cloud Foundation), 델 테크놀로지스 클라우드(Dell Technologies Cloud), 쿠버네티스(Kubernetes), 구글 안토스(Google Anthos)와 같은 클라우드 자동화 플랫폼 등이 포함된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의 김경진 총괄사장은 “데이터의 활용과 애플리케이션 경쟁력이 매출과 운영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IT 인프라 관리의 복잡성을 낮추는 것이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다. 비즈니스의 변화,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고자 하는 기업이라면. 유연성과 확장성을 보장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파워플렉스’를 통해 단일 시스템에서 혁신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업데이트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0-07-14
VMware, 현대적인 데이터 센터를 위한 vSAN 6.6 업데이트 발표
VMware가 현대적인 데이터 센터를 위한 스토리지 가상화 솔루션 vSAN의 6.6 버전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vSAN 6.6은 업계 최초로 네이티브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Hyper-Converged Infrastructure, 이하 HCI)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강력해진 사이트 보호 및 지능형 운영을 통해 총 소유비용(TCO)을 낮추며, 올플래시 성능을 최대 50% 올린다. 최근 IDC 조사에 따르면 HCI 시스템은 컨버지드 또는 통합 시스템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기업은 소프트웨어 정의 컴퓨팅과 스토리지 기능을 업계 표준 서버와 결합한 HCI를 통해 IT 운영을 간소화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며 선행 투자 및 유지 비용을 기존 스토리지보다 절감할 수 있다. vSAN 6.6은 업계 최초로 네이티브 HCI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저장 데이터 암호화 솔루션은 간소화된 관리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원하지 않는 접근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한다. vSAN 6.6을 도입한 기업은 고가의 자체 암호화 드라이브(SEDs)를 따로 구입할 필요 없기 때문에,  하드웨어 구매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VMware vCenter Server®가 오프라인 상태일 때 작업 중단 없이 스토리지 플랫폼을 모니터링, 관리할 수 있다. vSAN 6.6은 향상된 사이트 보안 및 지능형 운영도 지원한다. 재해 및 다운타임 없는 환경을 지원하는 Stretched Clusters는 로컬 보호 기능을 이용해 사이트나 로컬 구성 요소에 발생한 장애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고가용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기존 스토리지 사이트 보호 솔루션 대비 도입 비용을 최대 50% 줄일 수 있다. 새로운 분석 프레임워크 기반의 vSAN 클라우드 분석 기능은 실시간 지원 안내와 맞춤 제안을 통해 vSAN 환경을 최적화하고 즉각적으로 vSAN 구성요소와 오류 간의 충돌을 찾아내 전체적인 모니터링 및 운영 시간을 줄인다. 사용자의 개입 없이 새로운 관리요소를 추가, 업데이트 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 효율성을 한층 높인다. 이 밖에 vSAN 6.6은 지능형 운영 및 수명 관리 기능을 통해 초기 하드웨어 설치 속도를 빠르게 하고, 소프트웨어 설치 과정을 간소화하며, 원클릭 관리 컨트롤러를 통해 하드웨어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vSAN 6.6은 효율적인 고성능 아키텍처를 통해 오늘날 데이터 센터에 필요한 최신 애플리케이션과 하드웨어를 지원한다. 특히 vSAN 6.6의 최적화된 데이터 서비스 알고리즘은 주요 비즈니스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대 50% 높인다. 그리고 지원 대상을 기존 VMware 데스크톱 및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솔루션인 VMware Horizon에서  하둡(Hadoop), 시트릭스 젠앱(XenApp), 인터시스템즈 캐시(InterSystems Cache) 및 스플렁크(Splunk) 등으로 확대했다. 또한 vSAN 6.6은 최신 플래시 기술을 지원하기 때문에 기업은 vSAN 기반의 HCI 솔루션을 이용, 원하는 서비스나 기술을 빠르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다. VMware는 최근 업계 최초로 vSAN을 통해 Intel Optane SSD를 지원해 빅데이터와 스트리밍 분석 등 쓰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가속화했다. 얀빙 리(Yanbing Li) VMware 본사 수석 부사장 겸 스토리지 및 가용성 비즈니스 부문 총괄 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7천 개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vSAN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HCI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정의스토리지”라며, “사용자들은 VMware vSAN 6.6을 통해 비용 절감은 물론, 운영을 간소화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하고 비즈니스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17-04-12
스플렁크, 머신 러닝 기반의 솔루션 대거 공개
실시간 운영 인텔리전스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인 스플렁크(Splunk)는 미국 올랜도에서 개최된 ‘스플렁크 세계 사용자 컨퍼런스 2016(이하 conf.2016)’에서 자사 솔루션의 새로운 버전을 공개했다. 이번에 업데이트된 솔루션은 스플렁크 엔터프라이즈, 스플렁크 IT 서비스 인텔리전스(ITSI), 스플렁크 엔터프라이즈 시큐리티(ES), 그리고 스플렁크 행동 분석(UBS)이다. 스플렁크는 고객사가 머신 러닝을 활용해 더욱 빠르고 쉽게 머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각 솔루션을 업데이트했다. 머신 러닝은 스플렁크 솔루션의 핵심 역량으로써 예측 분석을 기반으로 IT, 보안 및 기업 운영의 최적화를 지원한다. 스플렁크 더그 메리트(Doug Merritt) CEO는 “기업들은 머신 러닝을 기반의 디지털 변혁에 맞춰 빠르게 운영 방식을 개선하고 있다”며 “머신 러닝은 고객사들이 머신 데이터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디지털 변혁 시대에 더욱 많은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업용 머신 데이터 패브릭은 기업이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 관리 및 이해하는 과정의 핵심이다. 현재 뒷받침하기 위한 엔드투엔드(end-to-end) 분석 플랫폼을 제공하며 생태계를 지원하는 기업은 스플렁크가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인튜이트 브라이언 엘리슨(Brian Ellison) 부사장 겸 최고 아키텍트(Chief Architect)는 “인튜이트는 지난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스플렁크 솔루션은 최근 10여년 동안 성장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며 “수백 명의 인튜이트 임직원은 매일 복잡한 IT, 보안 및 비즈니스 도전 과제를 스플렁크 솔루션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머신 러닝 기술의 활용은 스플렁크 플랫폼을 더욱 강화할 것이며, 이는 인튜이트의 임직원과 고객들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플렁크 엔터프라이즈와 스플렁크 클라우드는 더욱 빠르고 쉽게 머신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하도록 지원한다.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스플렁크 엔터프라이즈 6.5와 스플렁크 클라우드는 고급 애널리틱스 기능에 기반한 머신 러닝 역량,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온프레미스 총소유비용 절감 등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스플렁클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스플렁크 ITSI 2.4는 머신 러닝 기반의 모니터링 솔루션으로, 기업이 빠르게 특정 문제의 근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강구하도록 돕는다. 또한, 특정 문제에 대한 조사와 후속 작업을 간소화해 해결책을 찾기까지의 평균 시간을 단축시킨다. 더불어, 스프렁크는 스플렁크 ES 및 스플렁크UBA의 새로운 버전을 통해 보안 및 분석 역량을 향상시켰다. 스플렁크ES 4.4는 검색, 공유 및 대응을 자동화하는 공용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다수의 벤더를 더욱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스플렁크 UBA 3.0은 새로운 머신 러닝 모델 및 추가적인 데이터 소스 등을 제공한다.
작성일 : 2016-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