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세미콘 웨스트"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44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세미콘 웨스트 2025’ 전시회에서 통합한국관 마련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북미 최대 반도체 전문 전시회 중 하나인 ‘세미콘 웨스트 2025(Semicon West 2025)’에 산업부 및 KOTRA와 공동으로 한국관을 구성해 참가했다고 밝혔다. 북미 최대 반도체 전문 전시회 중 하나인 세미콘 웨스트 2025는 10월 7일~9일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올해 행사는 30개국 875개사에서 1500개의 전시 부스 및 3만 5000여 명의 참관객이 참여했다. 이번 세미콘 웨스트 2025의 개최지인 피닉스는 최근 급성장을 보이며 미국의 반도체 제조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지역이다. 애리조나주는 2020년 이후 60건 이상의 반도체 투자 프로젝트와 누적 2050억 달러 규모의 투자, 2만 5000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기록하며, ‘미국 반도체 산업의 심장’으로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TSMC, 인텔, 앰코(Amkor), 마이크로칩(Microchip), NXP 등 글로벌 반도체 선도 기업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애리조나 주립대(ASU)를 중심으로 한 인재 양성 생태계와 친기업적 규제 환경이 결합해 세계적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올해 전시회의 핵심 주제는 ‘반도체 인재 양성과 스타트업의 성장, 첨단 패키징’으로 ‘Sustainability Pavilion’과 ‘Workforce Development Pavilion’을 운영해 반도체 산업의 환경 대응과 인력 개발 전략을 집중 조명했으며, 글로벌 기업 및 연구기관 간의 협업 세션과 기술 콘퍼런스도 동시 개최되었다.     세미콘 웨스트 2025의 한국관에는 에이아이비즈, 다산이엔지, 동주에이피, 에코에너젠, 이엠아이, 지앤비에스에코, 한솔아이원스, 아이엠티, 레이저셀, 나노텍, 넥센서, 알에프피티, 세믹스, 비츠로브이엠, 위드시스템, 영진아이엔디와 화성시 6개 기업, 지자체인 이천시를 포함한 22개 국내 반도체 장비·소재 기업이 참여했으며, 반도체 검사·계측, AI, 진공·유량제어, 소재·코팅 등 공정 전주기에 걸친 혁신 설루션을 전시했다. 한국관은 폭넓은 분야의 핵심 기술을 집약적으로 소개하며 국내 반도체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선보였다. 참가 기업들은 북미 바이어와의 상담 및 기술 협력 미팅을 진행하여 북미 공급망 내 협력 기회를 확대하고 향후 기술 교류 및 수출 확대의 기반을 마련했다. 통합한국관을 담당한 한국산업지능화협회의 김태희 센터장은 “세미콘 웨스트의 피닉스 개최는 미국 반도체 제조의 부흥을 상징하는 중요한 시점으로, 한국관 참가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북미 시장 진출의 새로운 기회를 확보할 수 있었다”면서, “협회는 앞으로도 유관기관과 협력해 기업들의 해외 진출과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5-10-13
시스코, 신임 아태∙일본∙중국 지역 총괄 사장에 벤 도슨 선임
시스코는 신임 아시아태평양∙일본∙중국(APJC) 지역을 총괄하는 사장에 벤 도슨(Ben Dawson) 시스코 호주∙뉴질랜드(ANZ) 대표를 선임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사는 APJC 지역에서 10년 이상 전략적 영향력과 리더십을 발휘해 온 데이브 웨스트(Dave West) APJC 총괄 사장이 미국 시스코 본사의 글로벌 스페셜리스트 부문 수석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김에 따라 이뤄졌다. 데이브 웨스트 수석부사장은 고객의 니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시스코의 기술 포트폴리오, 시스코의 성장과 전환을 선봉에서 이끈 경험과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시스코의 비즈니스 진화를 선도하는 글로벌 팀을 이끌 예정이다. 벤 도슨 신임 APJC 총괄 사장은 시스코에서 20년 넘게 근무하며, 미국과 호주에서 엔터프라이즈, 공공 부문, 커머셜, 채널, 서비스 프로바이더 부문 등 폭넓은 경험을 쌓아온 바 있다. 최근까지는 시스코 호주∙뉴질랜드(ANZ) 대표로서, 고객 및 파트너와 긴밀히 협력하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및 기술 도입 가속화를 수행했다. 시스코 호주∙뉴질랜드 대표를 맡기 전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시스코 웹스케일 사업 부문 세일즈를 총괄하며 주요 웹 및 클라우드 기업들과의 전략적 관계를 담당해왔다. 벤 도슨 총괄사장은 APJC 팀을 이끌며, 고객 및 파트너사가 AI 시대에 새로운 기회를 적기에 포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세계가 빠르게 진화하는 가운데, APJC 지역의 기업과 조직, 국가들도 지금껏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기회와 과제에 직면해 있다. 시스코는 보안 네트워킹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AI 시대에 고객이 성공할 수 있도록 혁신과 성장을 지원한다.     벤 도슨 신임 APJC 총괄 사장은 “AI, 사이버보안, 차세대 네트워킹이 하나로 융합되며 중대한 변곡점을 맞이한 이 시점에, 성과와 혁신의 최전선에 있는 APJC 지역을 이끌게 돼 매우 뜻깊다. 인터넷이 막 구축되기 시작했던 과거부터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고 AI로 미래를 만들어 가는 지금 이 순간까지, 저는 주요 기술 전환의 여정을 시스코에서 고객과 함께해 왔다”면서 “AI 기술 전환은 세대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기회이며 산업과 경제, 사회 전반을 재편할 막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역동성 높은 APJC 지역의 비즈니스를 이끌며 시스코의 성공을 이어 나가는 데 일조하게 되어 기대가 크다”고 소감을 밝혔다. 시스코의 올리버 투직 글로벌 세일즈 총괄 부회장 겸 최고세일즈책임자는 “지역과 글로벌 경험을 두루 갖춘 벤 도슨 총괄 사장은 APJC 지역의 성장을 가속화할 적임자로, 앞으로 시스코의 네트워킹, 보안, 가시성, 협업 기능을 모두 갖춘 ‘통합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APJC 지역에서 전략적 성장을 이끌어 온 데이브 웨스트 총괄 사장의 리더십에도 깊은 감사를 전하며, 글로벌 스페셜리스트 부문 리더로서 그의 활약 또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작성일 : 2025-07-09
AI 시대를 이끌 반도체 글로벌 협력 강화에 나선 '세미콘코리아 2025' 개최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전시회인 '세미콘 코리아 2025'가 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성황리에 진행 중이다. 이번 전시회는 글로벌 반도체 협회(SEMI) 주관으로, 국내외 500여 개의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이 참여하여 총 2,301개의 부스를 선보였다.  ▲ 코엑스 전관에서 개최 중인 세미콘 코리아 2025 이번 행사는 전시 운영과 더불어, 우리나라 반도체 소부장 기업에 최신 기술ㆍ시장 동향 정보를 공유하고 세계적 기업과의 협력과 글로벌 마케팅 기회 등을 제공하는 자리도 마련되었다. AIㆍ첨단 패키징ㆍ지속 가능한 반도체 제조 기술 등 미래를 주도할 핵심 주제들을 조명하는 기술 프로그램, 미국ㆍ베트남 등의 투자 포럼, 네덜란드와 R&D 협력 컨퍼런스, 대학생 대상 멘토링 등 30개 세부 프로그램을 구성ㆍ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는 'Lead The Edge'를 주제로 AI, 첨단 패키징, 지속 가능한 반도체 제조 기술 등 미래를 주도할 핵심 트렌드에 집중해 전시장이 꾸며졌다. 전시 참여 업체들은 이러한 기술들은 칩 디자인, 제조 공정, 글로벌 공급망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조명했다.  세미콘코리아는 전시 기간 동안 약 70,000명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반도체 전문 전시회로 최신 반도체 재료를 비롯해 장비 및 관련 기술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관련 업계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최신 정보를 교환하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특히, 약 30여 개의 기술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반도체 산업에서 주목받는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을 공유 중이다. ▲ 세라믹 가공전문 업체, 에이치케이테크 전시 부스 개막식 인사말에서 SEMI 아짓 마노차 대표는 “반도체 산업은 기존의 틀을 깨는 혁신 기술 개발과 기술적 난제 해결을 위해 개인ㆍ기업ㆍ국가간 경계를 초월한 글로벌 협력과 연대가 필수적”이라고 언급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SEMI 아짓 마노차 대표와 개막 만찬(리더십 디너) 전 사전 환담에서 “반도체 메가클러스터와 트리니티팹(미니팹)의 조성은 우리 소부장 업계에 큰 기회가 될 것”임을 전하며, “반도체 업계의 우수한 인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협력 강화”에 공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반도체 메가클러스터와 트리니티팹(미니팹)의 조성이 국내 소부장 업계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올해 반도체 정책금융 14조 원 제공과 국가전략기술 투자세액공제율 5%포인트 상향 등 제도적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미콘 코리아 2025는 반도체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 글로벌 협력과 혁신을 도모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해 왔다. 이번 행사는 오늘, 2월 21일(금)까지 코엑스 전관에서 개최된다.
작성일 : 2025-02-21
[포커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산업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기 위해 다방면의 활동 강화”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지난 2월 28일 제9차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지난 해 협회의 주요 사업성과와 올해 사업계획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협회는 산업 디지털 전환(IDX)을 중심으로 인력 양성과 R&D, 법제화 연구 등 폭넓은 활동을 밀도 있게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또한, 유망 기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할 기술지주 자회사를 설립해 재정자립도를 높일 예정이다. ■ 정수진 편집장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김도훈 회장은 개회사에서 “최근 AI와 데이터 중심의 시대로 빠르게 변화하면서 주변 환경 또한 급격히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2023년은 우리 협회가 특수법인 전환 이후 맞은 첫 해로서, 협회와 회원사의 동반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면서, “우리 협회는 사람 중심의 협업과 공감을 통해 활발한 올해도 활발한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디지털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 회원사 여러분께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내실 있는 사업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는 한 해를 만들고자 한다”고 전했다.   ▲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김도훈 회장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응해 활발한 활동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인력 양성부터 표준화 R&D까지 폭넓은 사업 진행 협회는 지난 해 인력 양성 및 교육, 세미나 및 콘퍼런스, 창업 지원, 국내외 전시 및 참관단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다. 인력 양성 및 교육 사업으로는 ▲산업혁신인재양성교육 ▲산업계 주도 청년맞춤형 훈련사업 ▲취약지역 공정전환 지원사업 ▲중견기업 디지털 혁신웨비나 ▲스마트제조 구축운영 전문가 교육과정 ▲디지털 혁신 중견기업 육성사업 ▲데이터팩토리구축 전문가 심화과정 등을 진행했다. 산업지능화 콘퍼런스, 제조 디지털 혁신 세미나 등 국내 세미나와 콘퍼런스 및 스마트공장 엑스포, 대한민국 탄소중립 엑스포, 창원국제 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 등 전시를 진행했으며, 독일 인더스트리 4.0 산업 시찰과 북미 세미콘 웨스트(SEMICON WEST) 등 해외 전시 및 참관단도 운영했다. 이외에 협회 보육 및 졸업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지원을 위해 ‘한국산업지능화협회 DX혁신투자조합’ 1호를 결성했고, 유망 중견기업에 종합적이고 적극적인 금융지원을 제공하는 ‘라이징 리더스 300’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또한, 협회는 작년 다양한 표준연계 R&D 사업과 표준화 및 인증 사업을 진행했다. 표준연계 R&D 사업은 스마트 제조 생태계를 지원하기 위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 및 데이터 표준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실증체계를 구축·운영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그리고, 공정 상황별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AI 기반의 제조 공정 물류 최적화 기술의 개발도 진행했다. 표준화 및 인증 사업으로는 ▲스마트 제조 분야 산업 표준 개발 및 정책대응 ▲AAS 적용 가이드라인 및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표준 기반 구축 ▲디지털 전환을 위한 KS 데이터 인증 제도 도입 기반 조성 ▲산업 디지털 전환 적합성 인증 및 기반 구축 등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협회는 협업지원센터를 통해 산업 디지털 전환 사례 및 공통 기반 기술을 제공하고 산업 디지털 전환의 보급과 전파 사업을 수행했으며, 산업AI얼라이언스를 본격 발족시켰다. 그리고 ▲산업 디지털 전환 지원 플랫폼의 고도화 ▲제조 환경을 위한 AI(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글로벌 데이터 비즈니스 협력을 위한 기반 구축 ▲공공 부문 산업 데이터 통합 활용 기반 구축 등도 진행했다.   밀도 있는 사업 진행으로 산업 디지털 전환 주도 협회는 올해 예산을 작년보다 17% 줄어든 약 70억 원으로 편성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이길선 사무국장은 “R&D 예산 축소의 영향으로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예산이 감축됐다”면서, “크게는 긴축 기조를 가져가면서 협회 자체 사업에 대해서는 공격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협회는 작년 사업을 대부분 승계하면서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생성형 AI 활용능력’과 ‘Data Balancer’ 등 신규 자격검정사업을 시행하고, 작년에 진행한 중견기업 디지털 혁신웨비나의 경우 우수 기업의 디지털 전환 현장을 방문하고, 실제 기업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로 변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그리고, 스마트 제조 구축 운영 전문가 자격증 교육, 중소·중견기업 재직자의 디지털 전환 역량 강화 교육, 디지털 혁신 중견기업 육성사업, 스마트 공장 구축 운영 전문가 과정 및 데이터 팩토리 구축 전문가 심화과정도 올해 진행할 예정이다.  창업 지원과 관련해서는 스타트업 보육 공간을 지속 운영하는 한편으로 초기창업기업 얼라이언스 구축, 탄소산업진흥원 창업도약기업 투자 IR 데모데이, 탄소산업진흥원 창업도약기업 쇼케이스 등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DX혁신투자조합은 올해 2호 운영을 위한 출자금 모집 및 신규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협회는 산업 디지털 전환 기반 구축 및 표준 기술력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과 인증 사업도 올해 지속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산업 디지털 전환 보급·전파 사업과 산업 디지털 전환 생태계 조성 사업을 지속하는 동시에, 산업DX지원플랫폼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 및 고도화, AI 솔루션 공급기업 지원 및 수요기업 연계와 함께 디지털 전환 협력 모델 확대도 추진된다.  이외에도, 협회는 올해 산업 인공지능 활용 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서는 산업 인공지능의 활용과 산업 데이터 공유·연계를 촉진하기 위한 관련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개선안을 도출하게 된다. 그리고 공공 부문 산업 데이터를 통합 활용할 수 있는 산업디지털플랫폼 구축 및 디지털 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기술지주 자회사 설립 계획을 소개했다.   협회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기술지주사 설립 계획 이번 총회에서 협회는 기술지주 자회사의 설립 계획을 소개했다. 자본금 10억 원을 목표로 올해 20억 원, 5년 내 2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디지털 전환 분야의 유망 기술기업에 대한 투자와 육성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 투자 대상 기업은 협회 보육기업 및 회원사의 스핀오프 기업이 우선 투자 검토 대상이 될 예정이며, 투자를 결정하는 기술지주회사 투자심의위원회의 심의에 참여할 수 있는 우선권을 회원사에게 주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협회는 4월에 가칭 ‘KOIIA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하고 8월부터 펀드 결성과 투자를 진행한다는 로드맵을 소개했으며, 기술지주회사의 대표로는 IBK기업은행 IBK컨설팅센터의 김은준 수석 컨설턴트를 선임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혁신기획본부의 장희복 창업지원단장은 “그간 협회가 양적 측면에서 꾸준히 성장해 온 한편으로 정책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점은 고민거리였다”면서, “기술지주 자회사를 통해 수익 구조의 개선을 추진하는 동시에, 회원사에 대한 혜택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협회는 투자, 네트워크, 보육에 관한 충분한 역량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KOIIA 기술지주회사를 통해 공공+민간 지주사의 선도 모델을 창출하고, 10년 내 IPO(기업공개)를 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4-01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 슈퍼 시리즈 출시
엔비디아가 최신 게임을 극대화하고 AI 기반 PC의 핵심을 구성하는 지포스 RTX 40 슈퍼 시리즈 GPU 제품군을 발표했다. 해당 제품군에는 지포스 RTX 4080 슈퍼(GeForce RTX 4080 SUPER), 지포스 RTX 4070 Ti 슈퍼(RTX 4070 Ti SUPER), 지포스 RTX 4070 슈퍼(RTX 4070 SUPER)가 포함되어 있다. 최신 RTX 40 슈퍼 시리즈 GPU는 엔비디아 에이다 러브레이스(NVIDIA Ada Lovelac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최대 52 TFLOPS, 121 RT TFLOPS, 836 AI TOPS를 지원해 게임과 창작을 하고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세계와 경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성능을 제공한다. 지포스 RTX 4070 슈퍼는 599달러부터 구매할 수 있다.  최고의 비주얼 품질을 요구하는 PC 게이머들을 위해, AI 기반 엔비디아 DLSS(Deep Learning Super Sampling) 슈퍼 레졸루션(Super Resolution), 프레임 제너레이션(Frame Generation), 레이 리컨스트럭션(Ray Reconstruction)을 레이 트레이싱과 결합했다.  이로써 ‘디아블로 IV(Diablo IV)’, ‘팍스 데이(Pax Dei)’,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Horizon Forbidden West)’와 같은 타이틀에서 클릭 한 번으로 펼쳐지는 놀라운 세계를 제공한다. DLSS를 사용하면 8개의 픽셀 중 7개를 AI로 생성할 수 있어 풀 레이 트레이싱을 최대 4배까지 가속화해 이미지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엔비디아 글로벌 지포스 마케팅 부사장인 매트 위블링(Matt Wuebbling)은 "게임 마니아부터 크리에이티브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에게 지포스 RTX 40 슈퍼 GPU는 놀라운 업그레이드이다. 지포스 RTX 슈퍼 카드는 500개 이상의 RTX 게임과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앞으로 쏟아져 나올 PC용 생성형 AI 앱의 물결에 대비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4-01-10
모라이, CES 2024에서 최신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술 소개
모라이는 2024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4’ 행사에 참여해, 자사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플랫폼인 모라이 심(MORAI SIM)의 최신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외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모라이는 라스베이거스컨벤션센터 웨스트 홀에 전시 부스를 마련하고 자율주행 자동차,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 성과와 더불어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로봇, 해양, 오프로드, 국방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적용 사례를 글로벌 고객에게 알릴 계획이다. 모라이 심은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모라이의 대표 시뮬레이션 플랫폼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UAM, 무인 로봇, 무인 선박 등 차세대 모빌리티 산업 전반에 가상 검증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모라이는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이 추진하고 있는 ‘메타버스 기반 자율주행 가상시험환경 구축 및 실증기술 개발’ 국가 R&D 과제를 비롯해 ‘레벨4 자율주행 차량 테스트베드 환경 구축’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로 교통 디지털 트윈' 과제의 성과를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파트너 존을 마련해 파트너 솔루션과의 협력 사례도 소개한다.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에서는 SDV용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자동차 소프트웨어 플랫폼 도구를 공급하는 Adaptive AUTOSAR 전문기업인 팝콘사(PopcornSAR), 차량용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인 텔레칩스 등 모라이 파트너 사와의 연동 솔루션 데모를 통해 자율주행 자동차의 인지, 판단, 제어의 단계에서 자율주행 시스템의 안전성을 테스트하고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한다. 항공 분야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UAM 버티포트 및 관제 솔루션을 전시한다. 모라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UAM 및 관제 시스템을 포함한 버티포트(vertiport) 실증 프로젝트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버티포트는 UAM과 같은 수직 이착륙 항공기를 위한 이착륙 시설로, 전시장에서는 양사의 협력 성과의 결과물인 버티포트 운영 시스템, UAM 에어 트래픽 관리 시스템, 제어를 포함한 VIPP(Virtual Integrated oPeration Platform) 시스템을 선보인다. 아울러 자율운항 선박 분야에서는 삼성중공업과의 협력 사례, EPC 산업에서 삼성엔지니어링과의 공동 개발 솔루션 등 다양한 성과를 알린다.      모라이의 정지원 대표는 “모빌리티의 혁신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모라이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하며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다”면서, “모라이는 올해에도 자율주행 자동차를 포함한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 적용될 시뮬레이션의 가치와 모라이의 저력을 글로벌 시장에 알리고자 한다. 더불어 이번 CES 2024를 통해 한국을 넘어 글로벌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분야의 리더로 발돋움하기 위해 고객 및 파트너와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3-12-26
글로벌 반도체 트렌드 한자리에 ‘세미콘 웨스트 2023’ 개최, 통합한국관 성황리에 개막
  북미 최대 반도체 소재·장비 전시회인 ‘세미콘 웨스트’가 2023년 7월 11일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오는 13일까지 진행되는 세미콘 웨스트에는 약 2만평 규모의 전시공간에 600여개 글로벌기업이 995개 부스 규모로 참여해 최신 반도체 관련 기술 및 제품을 선보이며, 3만명 가량의 참석자로 북새통을 이뤘다.  세미(SEMI) 아메리카 조 스토쿠나스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시장에 새로운 기회들이 생겨나며 산업이 급성장할 것”이라며 전세계 반도체 산업 규모는 2030년 1조 달러(약 13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기업들도 이번 세미콘 웨스트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 확대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통합한국관을 비롯하여 50여개 기업이 부스를 꾸려 미국 시장에 대한 본격적인 공략에 나섰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이번 세미콘 웨스트 통합한국관 운영을 통해 첨단 반도체 산업 관련 국내기업들의 해외 판로 개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올해 통합한국관에는 국내 반도체 선도기업(▲노바센(주), ▲디케이락(주), ▲비엠티, ▲센코, ▲아이엠티, ▲영진아이엔디(주), ▲㈜리빙케어, ▲㈜에이아이비즈, ▲㈜엔텍시스템, ▲㈜오로스테크놀로지, ▲한솔아이원스 주식회사) 11개사가 함께하여, 반도체 AI 시스템부터 부품·장비, 진단 기술까지 선보이며 대한민국 첨단 반도체 산업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윤상수 주 샌프란시스코 총영사는 통합한국관을 방문하여 국내기업들의 최신 기술 및 제품에 대한 설명과 미국 진출 현황을 들었다. 또한 총영사는 미국 진출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으며 이번 세미콘 웨스트가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진출의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통합한국관, 비즈니스 매칭 등 상세한 정보는 코트라 실리콘밸리 공식 홈페이지 또는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작성일 : 2023-07-13
삼성전자 협력업체 리스트
삼성전자 협력업체 리스트 2021년 삼성전자 협력사 명단'(2021 Samsung Supplier List)   삼성전자가 최근 공개한 '2021년 협력사 명단'(2021 Samsung Supplier List)에 포함된 101개 기업을 본사 소재지 기준으로 분류해보면 한국 기업이 40곳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관계사 중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등이 있으며, 이들 회사는 각각 LCD(액정표시장치), OLED(올레드) 등 디스플레이 패널부터 인쇄회로기판(PCB),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배터리 등의 주요 부품을 삼성전자에 공급한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소재 업체인 동진쎄미켐과 솔브레인, 장비 제조사 중에선 원익IPS와 테스도 공급사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공식 홈페이지인 '삼성닷컴'을 통해서 주요 협력회사 명단을 공개하고 있다.  공급사 명단은 거래 비중이 80% 이상이며 대외 공개에 동의한 기업에 한해서만 작성된다. 되기 때문에 실제 삼성전자에 각종 소재·부품·장비 등을 공급하는 업체들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링크  https://www.samsung.com/us/aboutsamsung/sustainability/supply-chain/supplier-list/       공급업체 주소 AAC 테크놀로지스 홀딩스 213167 중국 장쑤성 창저우시 우진 하이테크 공업구 창카오로 3호 213167호 Lot K4-2F, Que Vo Ip Bac Ninh City, Bac Ninh, 베트남 Yuhang Rd, Shuyang 경제 개발 Suqian시, 장쑤성, 중국 아데카 주식회사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2로 70 (주)어드밴테스트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3삼공단6로 140 Rm.1215,Luneng Plaza, No.18 Taigu Rd Waigaoqiao Free Trade Zone, Shanghai, China 일본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1-6 -2 신마루노우치 센터 빌딩 에어 프로덕츠 및 케미칼 주식회사 7201 Hamilton Boulevard Allentown PA, USA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농서로 46번길 3 알프스전기(주) 33(장덕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 5 변로 145-8501 일본 도쿄 오타구 유키가야 오츠카마치 1-7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8 Upper Changi North Road, 506906, 싱가포르 3050 Bowers Avenul Santa Clara CA, USA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양현로 322 (야탑동 코리아디자인센터빌딩 5층) ASM 인터내셔널 네바다 (1 동, 충남 테크노 파크 천안 밸리) (136), 직산-RO, 직산 - 읍, 서 북구, 천안시, 충청남도, 한국 3440 E University Phoenix Drive, 미국 ASM 리소그래피 Inc. 스위트 3704-3706, 타워 2, 타임 스퀘어. 1 Matheson Street, 코즈웨이 베이, 홍콩 2650 W. Geronimo Place Chandler AZ, USA 경기도 화성시 삼성1로 5길 25 AU 옵트로닉스 1 Li-Hsin Rd.2, Science-Based Industrial Park, Hsinchu, 대만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No 1 Yishun Avenue 7, 싱가포르 비엘 크리스탈 제조소(주) 블록 A, 10/F., A1-A5 Mei Hing Ind. Bldg., 16-18 Hing Yip Street, Kwun Tong, Hongkong BOE테크놀로지그룹(주) 118 Jinghaiyi Rd, Bda, 베이징, 중국 부전전자(주) Phuong Lieu Commune-Que Vo District -Bac Ninh성, 베트남 No 903, 3/2 Street, Phu Xa Commune, Thai Nguyen City, Thai Nguyen Province, Vietnam 범진 B 블록 Jinherui 산업 단지, Shanpo Vilage Lilin Town Zhongkai 하이테크 존, Huizhou시, 중국 (주)비야디 Xiangshui River, Economic Developmentme Nt Zone, Daya Bay, Huizhou, Guangdong, China No.3001, Baohe Road, Baolong Indust Rial Town, Longgang, Shenzhen, China No2, Yadi Road, New-Type Industrial Park, Xi'An National Hi-Tech Industrial Development Zone, 중국 Yan An Road,Kui Chong, Long Gang, Shenzhen, China (주)캠시스 베트남 Vinh Phuc성 Binh Xuyen Distric Ba Hien Commune Ba Thien Industrial 캐논 주식회사 30-2, Shimomaruko 3-Chome, Ohta-Ku, Tokyo 146-8501, Japan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607 (9층, 10층) One Canon Park Melville 뉴욕, 11747, 미국 씨러스로직 주식회사 7B Nightingale Way, 쿼터마일 에든버러, 영국 코어트로닉 No.2-1.Nanke 6Th.Road, Tainan Scien Ce-Based Industrial Park Tainan County, Taiwan 코닝 주식회사 원 리버프론트 플라자 코닝 뉴욕, 미국 (주)대덕전자 경기도 소망공원로 335 (정왕동) (주)대영전자 Lot Ht-2-1, Road D2, Ho Chi Minh Hi 호치민시 Dist 9, 베트남 다이후쿠 주식회사 고마키하라 고마키 아이치, 일본 경기도 화성시 동탄지성로 14 7406 웨스트 디트로이트 스트리트 챈들러, 미국 디에이피코퍼레이션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안성마춤로 474-22 (주)동진세미켐 인천광역시 서구 백범로 644 (주)동우화인켐 전라북도 익산시 약촌로 132 동양이앤피(주)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산단로 76 Tongqiao Industrial Base Zhongkai H Igh-Tech Zone Huizhou Guangdong Province, China Nhan Hoa Ward-My Hao District-Hung Yen Province, 베트남 두성테크 Luong Son Ip, Hoa Son Commune Hoa Binh Luong Son, 베트남 Dr Enc SA 드 CV Manufacturas 622 Santa Rosa Jauregui Queretaro, Mexico (주)드림텍 No.100, Huu Nghi Road, Vsip Bac Ninh Tu Son Town, Bac Ninh Province, Vietnam 에드워즈 제한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3공단1로 96 (주)이렌텍 44F, Quang Minh Industrial Zone, 하노이, 베트남 B-37, Sector-80, Phase-II , Noida(Up), 인도 Eou Unit, 57/1&2, Ecotech-I, Extens Ion-I, Greater Noida, 인도 2247, Jalan Rajawali, Kampung Batu 9 Kebun Baru, 42500 Telok Panglima Garang, 셀랑고르, 말레이시아 (주)이엠텍 Yen Phong Ip Yen Phong 지구 Bac Ninh성, 베트남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청양구 단산공업구 화현로 (주)엔테그리스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제2공단1길 72 129 Concord Road Billerica MA, 미국 117 Jonathan Blvd N Chaska MN, 미국 31 Kaki Bukit Road 3, 06-08/11 Tech Link, Singapore (주)고어텍 No.268 Dongfang Road Hi-Tech Indust Ry Development District Weifang Shandong, China Lot L-06, Que Vo Industrial Park Nam Son Commune, Bac Ninh City, Bac Ninh Province, Vietnam (주)한양이엔지 경기도 화성시 영통로26번길 72 히타치 주식회사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2공단8길 46 24-14, Nishi-Shimbashi, 1-Chome, Minato-Ku, Tokyo, Japan 15-12, Nishi-Shimbashi, 2-Chome, Minato-Ku, Tokyo, Japan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 치 1초메 9-2 Grantokyo South Tower, 100-6606, Japan 2150 N. 1St Street, St. 350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1601A 룸, 16F, Blk.1, No.18, Taigu Road, Waigaoqiao Free Trade Zone 2001 31, Shanghai, China 서울시 청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8층 경상북도 구미시 산호대로 92 (우) 730-906 2460 North First Street, Suite 290 San Jose CA, USA (주)에이치엔티전자 Luong Son Industrial Zone, Km 36, National Road 6, Hoa Son ward, Luong Son 지구, Hoa Binh, 베트남 주식회사 호시덴 Lot 1, Quang Chau Ip, Viet Yen Dics Trict, Bac Giang, 베트남 주식회사 이비덴 15#, Rongchang East Street, Bda, 베이징, 중국 일본 기후현 오가키시 가마초 3-200 (주)이노룩스 No.160 Kesyue Rd., Chu-Nan Site, Hs Inchu Science Park, Chu-Nan, Miao-LI, Taiwan 인텔 69/F, Central Plaza, 18 Harbour Road, 완차이, 홍콩 (주)인탑스 Yen Phong 1Z., Yen Phong Dist., Bac Ninh성, 베트남 Lot I-10-2,D2 Road, 9군 호치민, 베트남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148 (주)인지디스플레이 7880 Airway Road Suite# B6E San Diego San Diego, CA 92154, USA Plot 220, Road 10, Amata Industrial Dong Nai Long Binh Ward, Bien Hoa City, Vietnam 자화전자(주) 플롯 10, Khai Quang Industrial Park , Vinh Yen City, Vinh Phuc성, 베트남 강소 Simand Electric Co., Ltd. No.111,Kangyuan Road, Xiangcheng District Suzhou, 중국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한산길 54 125 North Price Rd Chandler, 미국 1008164 1-2, Otemachi 1Chome, Chiyoda-Ku, Tokyo, Japan 기린정밀(주) (하남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손재로 287 106호 287호 KLA-Tencor Corp. One Technology Drive 미국 캘리포니아 밀피타스 ㈜교세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범지기로 116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262 캄코양재타워 13층 램리서치 Avenue Edouard-Dubois 20 뇌샤텔, 스위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55번길 28 4층 4650 Cushing Parkway Fremont CA, USA 렌즈인터내셔널 HK Co., Ltd. Unit A, 7/F, Mg Tower, 133 Hoi Bun Road, Kwun Tong, Kowloon, Hongkong (주)롯트진공 (신건지동) 경기도 안성시 공단1로 68 Maxford 기술 제한 18 층, Chung Nam Building, 1 Lok Khart Road, 완차이, 홍콩 맥심 통합 제품 Inc. 160 Rio Robles Drive San Jose CA, USA (주)맥넥스 Lot Cn5, Ninh Binh City, Ninh Binh Province Phuc Son 산업 단지, 베트남 (주)미디어텍 #03-01, No. 1, Fusionopolis Walk, 싱가포르 No.1, Dusing 1St Rd., Science Park, Hsinchu, 대만 메이코 전자 주식회사 Lot Ld4, Thach That-Quoc Oai Industrial Zone, Phung Xa Commune, Thach That Dist, Hanoi, 베트남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8000 S. Federal Way 보이시 이드, 미국 1 North Coast Drive Singapore 757432, 싱가포르 (주)미래나노텍 A6-1, Saida International Industrial Complex, Xiqing Tianjin, China 무라타 제작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411 (서초동 Gt타워) 22층 Exchange Tower No.2,189 Nanjing Tianjin Heping, China 200 Yishun Ave 7, 싱가포르 9380 Carroll Park Drive 샌디에이고 CA, USA 20 Fairbanks, Suite 187 Irvine CA, USA 주식회사 나무가 Lot B9, Thuy Van Industrial Zone, Thuy Van Commune, Viet Tri City, Phu Tho, Vietnam (주)뉴모텍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7번로 8 7/156 Moo 4 T.Mabyangporn A.Pluakda Eng, Rayong, Thailnad 닛토덴코 530-0011, 일본 오사카 기타구 오후카초 4-20 그랜드 프론트 오사카 33층 누플레어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8-1, Shinsugita-Cho, Isogo-Ku, Yokohama, Kanagawa, Japan NXP반도체 NV NXP Semiconductors 네덜란드 BV High Tech Campus 60, Eindhoven 네덜란드 (주)파트론 경기도 화성시 삼성1로2길 22 ㈜포스코 158# Shenxu Road Suzhou 산업 단지, 중국 (주)파워로직스 베트남 Vinh Phuc성 Vinh Yen시 Khai Quang Ward Khai Quang 산업 지대 프렉스에어 테크놀로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2 (테헤란로,신한빌딩 16층)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3공단2로 7 (주)피에스케이 경기도 화성시 삼성1로4길 48 주식회사 코르보 1 창이 비즈니스 파크 Avenue1,#04, 싱가포르 주식회사 롬 153-803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59-13 삼성디스플레이(주) 95 삼성 2번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논서동 충청남도 서북구 천안시 4산단5길 77 Yen Phong I Industrial Zone Bac Ninh Province Yen Phong District, 베트남 삼성전기(주) (매탄동)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영로 150 Yen Binh Industrial Zone Dong Tien Ward, Pho Yen Town Thai Nguyen Province, Vietnam 중국 광동성 선전 남산 구 허우 하이 대로와 하이데 1번가 교차점 Scc 타워 A 14층 788 Nanhe Rd Kunshan Et Development 장쑤성, 중국 1, Weishan Road Xiqing Mecro-Electro Nics Industrial Park, Xiqing Dist, Tianjin, China No.80 Xiaqing Road,Teda West Zone, Tianjin, China Wellgrow Industrial Estate, 93 Moo 5, T.Bangsamak, A.Bangpakong, Chachoengsao, Thailand Semphil., Chip Block 5, Barrio, Batino, Calamba, Laguna, 필리핀 삼성SDI(주) Yen Phong I - 베트남 Bac Ninh성 Yen Phong Dist IP Yen Trung Commune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150-20 공세동 16073 경기도 의왕시 고산로 56 (주)에이플렉스 Bac Giang 성 Quang Chau 산업 단지 A. 베트남 비티엔 구 (주)실트로닉 12 Tampines Industrial Ave 5, 싱가포르 7200 Nw Front Street 포틀랜드 OR, 미국 SMART 모듈러 테크놀로지스 평균 Tegula, 888 Edificio Cristal - CEA Ponte Alta, Atibaia, 상파울루, 브라질 (주)솔브레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255번길 34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NV 5A Serangoon North Avenue 5, 싱가포르 (주)섬코 Seavans North, 1-2-1 Shibaura, Minato-Ku, Tokyo, Japan 19801 N. Tatum Blvd 피닉스 애리조나, 미국 성우전자(주) Thuan Thanh 3 산업 지대, Than H Khuong Commune, Thuan Thanh 지구, Bac Ninh성, 베트남 시냅틱스 1251 Mckay Dr. San Jose CA, USA 대만 PCB Techvest Co., Ltd. No.12, Kung Yeh 2Nd.Rd ., Pin Chen, Tao Yuan Hsien, 대만 Taiyo Nippon Sanso Corp. #1189 Bao-8 Road ,Zong He Bao Shui Xi'An Shaanxi, 중국 충청남도 아산시 음성면 음성면로 94 150 Allen Road Basking Ridge NJ, 미국 3층 2호관 Baowu Tower 1859 Expo Boulevard Shanghai Pudong, 중국 주식회사 타이요유덴 3 International Business Park Nordi C 유럽 센터 #06-28, 싱가포르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자유무역3길 43 Unit 2801-08, The Metropolis Tower, 10 Metropolis Drive, Hunghom, Kowloon, Hongkong B2B 2nd Floor, Building3, No.258 Xin Ling Road, China(Shanghai) 자유 무역 시범구, 상하이, 중국 440 Stevens Ave., Suite 300 Solana San Diego CA, USA Furth, Nordring 23, 독일 2-7-19 Kyobashi Chuo-Ku, Tokyo, Japan (주)티디케이 3505 Wharf Cable Tv Tower, 9 Hoi Sh Ing Road, Tsuen Wan, NT, 홍콩 No.1 Xingang Road, Zhangwan Town, Jiaocheng City, Ningde, Fujian Province, Prc., 중국 11 North Buona Vista Drive #13-08 메트로폴리스 타워 2, 싱가포르 St.Martin Str. 53, 뮌헨, 독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송남빌딩 8층 Nilai Industrial Estate, 71800 Nilai, Negeri Sembilan, Malaysia (주)테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중부대로 2374-36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3-6, World Shipping Centre, Harbour City, 7 Canton Road, Hongkong 다우케미칼 컴퍼니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12 (백석동)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3공단1로 56 (백석동)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성거길 112 4F No.6, Lane 280, Zhongshan North Road, 대만 사서함 60896 샬럿 노스캐롤라이나, 미국 451 Bellevue Road Newark DE, USA 울. Strefowa 16 Dzierzoniow, 폴스카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12, 14층 Bachtobe Ietrasse 3, 8810 Horgen, Horgen, 스위스 도쿄 전자 주식회사 107-6325, Tokyo 107-6325, Tokyo 미나토구 Akasaka 5-Chome 3-1 Akasaka Biz Tower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장안공단6길 51 2400 그로브 대로 미국 텍사스 오스틴 1F, No.126 Hedan Rd. 푸동 상하이 200131, 중국 도시바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517 20 Pasir Panjang Road #12-25/28 Mapletree Business City, Singapore 일본 니가타현 가모시 우라스다 2570-1 20 Pasir Panjang Road #12-25/28 Mapletree Business City, Singapore 일본 가나가와현 카와아사키시 사이와이구 호리카와초 72-34 삼각대 기술 주식회사 No.7, Middle Section, Mianzhou Aven Xiantao Hubei, 중국 (주)유일 Lot F1 Que Vo Expanded Industrial Zone, Phuonglieu, Quevo, Bacninh, 베트남 (주)알박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한산길 5 Versum Materials Inc. (신일동)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해봉로 283 7201 해밀턴 대로 미국 앨런타운 ㈜와이솔 D1-1, D1-3 국제 산업 도시 Xeda Tianjin, 중국 No.26 Street 05 Vsip Bac Ninh Industrial Zone Tu Son Town, Bac Ninh Province, Vietnam (주)원익머티리얼즈 30 Yangcheong 3 길, Yangcheong 리, 오창 - 읍, 청원 번지 청주시, 충청북도, 한국 (주)원익아이피에스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산단로 75   원본파일 : 첨부
작성일 : 2022-01-04
샌드빅, 마스터캠 제작사 CNC 소프트웨어 인수
샌드빅(Sandvik)이 CAM 소프트웨어인 마스터캠(Mastercam)을 개발한 CNC 소프트웨어(CNC Software Inc.)를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 샌드빅은 CNC 소프트웨어의 약 27만 사용자와 리셀러 네트워크, 선도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인수하게 되었다. 연초 씨지텍의 베리컷과 지난 7월 씨마트론 및 깁스캠을 포함해, 샌드빅은 올해에만 세 건의 CAM 소프트웨어 인수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기계 및 공구 제조업체로 잘 알려진 샌드빅은 CAM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하게 되었다. CNC 소프트웨어는 특히 중소 제조기업을 위한 CAM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한편, 샌드빅은 이는 중소기업을 위한 제조 가치사슬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대기업을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포인트 솔루션을 제공하려는 전략 목표를 갖고 있다. 샌드빅은 자사의 제품 및 가공 노하우와 마스터캠의 강점을 결합해, 엔드 투 엔드 제조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샌드빅의 스테판 와이딩(Stefan Widing) CEO는 “CAM은 디지털 제조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제조를 위한 설계 자동화 영역에서 새롭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가능하게 한다”면서, “이번 인수는 부품 제조와 밀접한 산업용 소프트웨어에 초점을 두면서 디지털 제조 영역에서 성장을 추구하는 자사의 전략 방향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또한, “CNC 소프트웨어 및 마스터캠 포트폴리오의 인수를 통해 설치 기반으로 측정되는 전체 CAM 시장에서 리더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NC 소프트웨어의 메건 웨스트(Meghan West) CEO는 “CNC 소프트웨어와 샌드빅은 많은 가치와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 양사는 공동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마스터캠의 개발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글로벌 리셀러 채널을 통해 지역별 표준에 대한 지원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샌드빅과 협력을 통해 '글로벌 제조 문제를 해결하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만든다'는 사명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인수는 올해 4분기에 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수가 완료된 후 CNC 소프트웨어는 샌드빅 제조 및 가공 솔루션(Sandvik Manufacturing and Machining Solutions) 내 설계 및 플래닝 자동화 사업부에 속하게 된다.
작성일 : 2021-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