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비전 2032"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8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DN솔루션즈, EMO 2025서 '비전 2032' 성과 공개... 공작기계 글로벌 톱 리더 가속화
DN솔루션즈(DN Solutions)가 유럽 최대 규모의 공작기계 전시회인 EMO 2025에 참가해, 기술 기반 제조 솔루션 글로벌 톱 리더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고 9월 25일 밝혔다. 이번 전시를 통해 '전 세계 30만 대 공작기계 공급'라는 주요 성과를 공개하며, 유럽 산업의 믿을 수 있는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유럽 최대 공작기계전 'EMO 2025' 참가와 첨단 솔루션 공개 EMO 2025는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됐으며, 1975년부터 격년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 공작기계 박람회 중 하나다. DN솔루션즈는 올해로 23회째 이 전시회에 참가했다. DN솔루션즈는 이번 전시에서 'Explore the DN SOLUTIONS UNIVERSE'라는 콘셉트 아래, 멀티태스킹머신과 5축기 등 첨단 장비 10종과 자동화 솔루션 4종을 출품했다. 특히 올해 런칭한 PBF 적층 제조 솔루션 'DLX450D'를 선보여 많은 관람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DN솔루션즈의 EMO 2025 전시 부스 전경 '비전 2032' 가속화... 2년간 주요 성과 발표 DN솔루션즈는 이번 EMO 2025를 통해 2년 전 'EMO 2023'에서 발표했던 '비전 2032 - 기술 기반 제조 솔루션 글로벌 톱 리더'를 목표로 한 경영 활동의 주요 성과를 설명하고, 비전 달성을 위한 추진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지난 2년간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설치 기반 확장: 전 세계 30만 대 이상 공작기계 공급을 달성했으며, 주요국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다. 수요 산업 다각화: 자동차 및 반도체 분야를 넘어 항공우주, 방위 산업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첨단 기술 리더십: PBF 적층용 DLX 시리즈를 출시하고, 제조 AI 개발 선도를 위해 카본블랙에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글로벌 입지 강화: 독일 R&D 센터 안정화, 인도 신공장 및 R&D 센터 착공, 미국 시카고 신규 테크센터 개소 등 글로벌 인프라를 확대했다. 김원종 DN솔루션즈 대표이사는 "1976년 창립 이래 우리는 전 세계에 30만 대 이상의 공작기계를 공급하며,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 다양한 산업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 잡았다"며 "전략적 파트너십과 현지 투자를 통해 기술 리더십과 글로벌 입지를 계속 확장하고, 전 세계 고객에게 가장 진보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일 헬러(HELLER) 인수... 유럽과의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DN솔루션즈는 지난 8월 인수 계약을 체결한 독일 공작기계 명가 헬러(HELLER) 그룹의 경영진과 핵심 인재 등에 대한 존중을 표명했다. DN솔루션즈는 8월 26일 독일 뉘르팅엔에서 헬러 그룹 지주사의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관련 당국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김원종 대표는 기존 및 신규 계약을 성실히 이행하고 고객 지원을 지속할 것을 재확인했다. 또한 헬러가 130년 역사에 걸쳐 구축한 기술 전문성과 고객 신뢰를 보존하기 위해 헬러의 경영진과 핵심 인재를 유지할 것을 약속했다. 김 대표는 "헬러가 쌓아온 유산, 경영 철학, 기술력은 앞으로도 헬러 운영의 핵심으로 남을 것"이라며 "DN솔루션즈와 헬러는 '하나의 팀'으로서 독일 및 글로벌 산업 전반에 걸쳐 더욱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DN솔루션즈의 EMO 2025 전시 부스 현장을 참관객들이 둘러보고 있다.
작성일 : 2025-09-27
어도비, 라이트룸 CC 및 라이트룸 클래식 CC 업데이트 발표
어도비가 라이트룸 CC(Lightroom CC)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맥(Mac), 윈도우(Windows), iOS, 안드로이드 및 웹에서 구동되는 라이트룸 CC 와 라이트룸 클래식 CC(Lightroom Classic CC) 전반에 걸쳐 이뤄졌다. iOS 용 라이트룸 CC 앱에서는 업라이트(Upright), 도우미 업라이트(Guided Upright) 및 모양 슬라이더(Geometry sliders) 기능이 개선됐다. 왜곡된 수평선 및 수직선이나 구도는 더욱 정확한 교정이 가능하다. 업라이트 기능은 단순한 이미지 회전이 아닌, 이미지 분석을 통해 원근감이 훼손되지 않으면서도 구도 수정이 가능하다. 도우미 업라이트는 안내선을 그려줘 가로 및 세로 기준선이 모호한 이미지를 쉽게 교정할 수 있다.  사용자 편의성도 높아졌다. 아이폰 X 사용자는 레이아웃 최적화를 할 수 있다. 왼손잡이 아이패드 사용자도 편집 모드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필름 사진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그레인 옵션(grain option)도 추가됐다. 웹 용 라이트룸 CC의 공유 기능 및 어도비 카메라 로우(Adobe Camera Raw)의 카메라 지원도 확장됐다. 어도비는 안드로이드 및 크롬OS 용 라이트룸 CC 업데이트도 선보였다. 선명하게 하기(sharpening)와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기능이 추가돼 노이즈를 제어하고 세세한 이미지 수정이 가능하다. iOS 용과 마찬가지로 그레인 옵션도 추가됐다. 라이트룸 CC 웹을 통한 공유 기능도 강화되어, 다운로드, 메타데이터 보기 등이 가능해졌다.  이 외에도 맥과 윈도우용 라이트룸 CC는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AS) 제품을 지원한다.  라이트룸 클래식 CC에서는 디헤이즈(Dehaze) 기능을 기본 패널(Basic Panel)에서 더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톤 곡선(Tone Curve) 패널 크기도 확장돼 더 다양하고 정확한 톤 조절이 가능해졌다. 얼굴 태깅 알고리즘도 더욱 최적화되 얼굴인식도 더욱 정확해졌다.
작성일 : 2018-05-02
어도비, 라이트룸 CC 프로필 대거 업데이트
어도비가 사용자의 신속한 사진 편집 지원을 위해 라이트룸 CC(Lightroom CC), 라이트룸 클래식 CC(Lightroom Classic CC), 어도비 카메라 로우(Adobe Camera Raw)의 프로필 도구를 업데이트 했다고 발표했다.  [사진자료 1] 프로필 도구 이 프로필은 비압축 포맷의 로우 파일에 다양한 색감을 입혀주는 필터 역할을 하거나 JPEG, TIFF와 같은 렌더링이 이뤄진 파일의 경우 사진의 톤을 보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프로필(Profiles) 도구를 찾는 것이 한결 편해졌다. 프로필 도구 위치가 라이트룸 클래식 CC와 어도비 카메라 로우에서는 카메라 보정(Camera Calibration) 패널에서 기본 패널로 옮겨졌으며, 라이트룸 CC의 경우 편집 패널 맨 상단에 추가됐다.  또한, 사용자는 프로필 브라우저(Profile Browser)를 통해 다양한 프로필을 신속하게 비교해 사진에 가장 적합한 프로필을 고를 수 있게 됐다.                                                                                 어도비 표준(Adobe Standard) 프로필을 보완하는 6개의 어도비 로우 프로필(Adobe Raw profile)도 새롭게 선보였다. 어도비 로우 프로필은 어도비 카메라 로우, 라이트룸 클래식 CC, 라이트룸 CC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사용자는 카메라 기종에 관계없이 사진에 일관된 느낌을 줄 수 있다. 새로 추가된 6개의 어도비 로우 프로필은 어도비 컬러(Adobe Color), 어도비 모노크롬(Adobe Monochrome), 어도비 인물(Adobe Portrait), 어도비 풍경(Adobe Landscape), 어도비 뉴트럴(Adobe Neutral), 어도비 비비드(Adobe Vivid)이다.  [사진자료 2] 어도비 로우 프로필 새로 추가 어도비 컬러는 이번 업데이트로 프로필의 표준이 됐으며, 따뜻한 색감을 살리는 데 주로 활용된다. 또한, 색상 범위 간 전환을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며, 사진의 대비를 강화한다. 어도비 모노크롬은 흑백 사진을 편집할 때 유용하며, 어도비 표준보다 톤 분리 및 대비 효과가 향상됐다. 어도비 인물은 낮은 대비와 채도로 피부색을 자연스럽게 표현한다. 어도비 풍경은 풍경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어도비 뉴트럴은 톤 대비가 낮은 프로필로, 톤 범위가 다양한 사진 편집에 효과적이다. 어도비 비비드는 채도가 높은 프로필이다. 또한, 예술 효과(artistic), 흑백(black & white), 모던(modern) 및 빈티지(vintage) 프로필 그룹의 크리에이티브 프로필(Creative Profile) 40개가 추가됐다. 사용자는 크리에이티브 프로필을 로우 파일과 압축 파일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색상을 입체적으로 변형시켜주는 3D 검색 테이블(3D Lookup Table, LUT)을 사용해 보다 다양하게 사진의 색감과 톤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력한 로우 파일 편집 도구인 카메라 일치 프로필(Camera Matching profile)을 라이트룸 CC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 일치 프로필은 로우 파일을 카메라 화면에서 보이는 것이나 JPEG 압축 사진과 가장 흡사해 보이도록 해준다. 제공되는 옵션은 사용자의 카메라 확장자에 따라 달라진다.  [사진자료 3] 새로워진 크리에이티브 프로필 한편 서드파티 프로필도 공개됐다. 사용자는 이제 Brian Matiash, Jared Platt 등 크리에이티브 업체가 어도비와 협업해 직접 제작한 다양한 프로필을 만나볼 수 있다.
작성일 : 2018-04-26
어도비 XD 업데이트, 손쉬운 검색 및 암호 보호 기능 추가
어도비가 디자인 워크플로우를 더욱 간소화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어도비 XD의 새로운 기능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이번 업데이트로 사용자는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보다 쉽게 검색하고, 다른 사용자와 프로토타입 공유 시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먼저 어도비 XD에서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을 공유할 시, 공유 링크에 암호를 생성해 프로토타입을 보호할 수 있게 됐다. 프로토타입을 게시할 때 ‘암호 요구’ 옵션을 선택하면, 공유를 받는 사용자가 해당 프로토타입을 보기 위해 지정된 암호를 입력해야 한다. 디자인 사양(Design Specs)에서의 암호 보호 기능은 추후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 사진자료 1: 암호 기능으로 프로토타입 보호 이번 업데이트로 아트보드 내 디자인 요소를 에셋 패널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는 특정 레이어에 사용된 색상, 문자 스타일 혹은 심볼 모양 등의 요소를 바로 확인할 방법이 없었던 반면, 이제는 개별 오브젝트 혹은 레이어를 선택 후 ‘에셋의 심볼 공개’를 누르면, 선택된 오브젝트의 디자인 요소가 에셋 패널에 표시된다.  반대로 에셋 패널에서 각 요소를 선택해 ‘캔버스에서 강조표시’를 누르면, 선택된 요소가 적용된 모든 오브젝트가 아트보드에서 표시된다. 가령, 에셋 패널에서 색상 ‘#454F63’(진회색)을 선택하면 #454F63 색상이 적용된 버튼과 글씨가 아트보드에서 표시되는 방식이다. ** 사진자료 2: 에셋 검색 및 강조 표시 에셋 패널에서 에셋을 색상, 문자 스타일 혹은 심볼별로 볼 수 있는 검색 기능이 추가됐다. 또한, 에셋 패널의 검색창에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를 입력하면 프로토타입 내 해당 요소가 적용된 모든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로, ‘Helvetica Neue’를 입력하면, 해당 문자 스타일이 적용된 오브젝트를 모아서 볼 수 있다. 레이어별 검색도 가능해졌다. 레이어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레이어에 사용된 모든 디자인 요소가 나타난다. 이로써 사용자는 더욱 빠르게 에셋을 분류하고 검색해 디자인 프로세스를 가속화할 수 있게 됐다. *** 사진자료 3: 에셋 패널 내 검색 필터 추가 그 외에도 어도비 XD와 어도비 포토샵(Photoshop) 및 스케치(Sketch)와의 연동이 더욱 강화됐다. 포토샵 혹은 스케치 파일을 우클릭해 ‘XD로 열기’를 선택하거나, 파일을 XD 아이콘에 드래그하면 XD로 바로 열 수 있다. 해당 기능은 현재 맥(Mac)에서만 지원된다. 뿐만 아니라, 포토샵 파일의 아트보드나 텍스트 레이어 조절 기능, 스케치 파일의 디자인 요소 보존 기능 등이 향상됐다. 한편, 어도비는 고객 의견을 수렴해 어도비 XD의 기능을 계속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향후 업데이트될 기능들도 궁금하다.
작성일 : 2018-04-18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 월드 2017 개막
다쏘시스템이 2월 7일(미국시각 6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컨벤션센터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것을 창조하라(Create the new. The Next. The Never Before.)'를 주제로 내걸고 연례 글로벌 사용자 컨퍼런스인 ‘솔리드웍스 월드 2017(SOLIDWORKS World) 2017’을 개최했다. 올해로 19회째를 맞는 솔리드웍스 월드 2017은 나흘간의 일정으로 진행되며, 전 세계 5천여 명 이상의 엔지니어 및 산업 디자이너가 참가한다. 이 행사는 획기적인 고객 경험의 창출을 지원하는 솔리드웍스 3D CAD 애플리케이션 및 엔지니어링 기술에 대한 최신 정보와 각자의 경험에 대해 공유하는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최초의 여성 민간 우주인이자 프로디아시스템의 CEO인 아누셰 안사리(Anousheh Ansari)와 내셔널 지오그래픽스(National Geographic’s)의 인기 TV 시리즈 브레인 게임즈(Brain Games)의 진행자인 제이슨 실바(Jason Silva), 세계적인 일루션 마법기술 전문그룹 일루전 프로젝트(Illusion Projects) 등 풍부한 상상력으로 기술, 비즈니스, 지속가능성의 획기적인 전환을 지원하고 있는 유명인사들이 기조연설자로 나와 엔지니어와 산업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불어 넣는다. 또한, PRS 기타 (PRS Guitars), 프라이트 팜스(Freight Farms) 등 다양한 산업의 사용자들이 참가해 솔리드웍스를 이용한 최첨단 엔지니어링 및 디자인, 협업사례 들을 공유한다. 다쏘시스템은 솔리드웍스 월드 2017에서 초중고급 사용자 모두 참여할 수 있는 200개 이상의 세션들을 통해 3D CAD 우수 사례 및 엔지니어링 분야 기술 혁신 사례 등을 소개한다. 또한 행사장 곳곳에서는 설계자동화, 전자∙전기설계, 시뮬레이션, 제품 데이터 관리 등 다양한 부문의 브레이크아웃 세션 및 직접 체험이 가능한 트레이닝 세션이 마련되며, 솔리드웍스 월드 2017 전시장에서는100개 이상의 기업들이 참여한 가운데, 기술 및 제품의 최신 트렌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솔리드웍스 글로벌 CEO인 지안 파올로 바씨(Gian Paolo Bassi)는 “솔리드웍스 사용자 커뮤니티는 혁신, 협업, 독특한 디자인을 위한 열정을 서로 공유한다”라며, “솔리드웍스 월드는 이러한 폭발적인 열정과 에너지를 제품 개발 및 IoT, 모델 기반 정의, 적층 가공 등의 진화를 가능케 하는 기술 전략들과 융합시켜 주는 장이다. 서로 교류하고, 새로운 기술을 배우며, 제품의 설계, 제조 및 지원 방식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혁신가들을 위한 행사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솔리드웍스 월드 2017은 공식 웹사이트와 다쏘시스템코리아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 행사 관람이 가능하다.
작성일 : 2017-02-07
CAD&Graphics 2014년 7월호 목차
82   Theme.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팅, 내일을 꿈꾼다 Ⅲ Part 1. 3D 프린팅 정책과 방향3D 프린팅 정부 지원 정책   3차원 프린팅 산업육성 프로젝트3D 프린팅과 관련된 법적 문제 / 이상민   3D 프린팅 저작권과 콘텐츠 플랫폼오픈소스로 형성된 가정용 FDM 3D 프린터 시장 / 주승환   오픈소스 3D 프린터 Part 2. 3D 프린터 제품 및 소프트웨어 소개2014년형 프린터봇 심플 소개 / 미래교역   Printrbot SimpleFDM 방식에서 고성능의 초정밀 3D 프린터 개발까지 진화 / 차전호   파인봇 FB-9600 출시3D시스템즈의 다양한 포트폴리오 소개 / 이혁호   3D 프린팅의 새로운 패러다임, 3D Printing 2.0 Part 3. 3D 프린팅 적용 사례다양한 산업분야에 3D 프린팅 기술 적용   머터리얼라이즈의 3D 프린팅 기술 및 소프트웨어 적용3D 프린팅 아트 적용 사례 / 주승환   3D 프린터를 이용한 청동 흉상 제작벤틀리의 3D 프린터 적용 사례 / 프로토텍   차량의 최고급 모델 제작에 3D 프린터 사용 Infoworld Column26   PLM 지식 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연결 PLM(Connected PLM)이란 무엇인가?28   Future of Manufacturing / 미코 베커   IT 기술이 가져올‘제조업의 미래’30   한석희의 린 디지털경영 이야기 / 한석희   NPD와 Costing Ⅱ114   가치 있는 상품개발 경영(3) / 김명섭   원가 절감을 넘어서 브랜드 가치 고민116   쪽지… IT 워커 스토리텔링 Chapter 22 / 류용효   일로 승부를 걸어야 할 때 Focus33   PTC 라이브 글로벌 2014 미 보스턴 현지 취재   사물 인터넷 시대, 새로운 제품 개발 패러다임 선보인다36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 솔리드엣지 University 2014 개최   솔리드엣지 ST7 출시… 3D 모델링 가속화, 유연한 설계관리, 협업강화64   인사이드 3D 프린팅 컨퍼런스 & 엑스포   3D 프린팅, 제조 혁신 선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돋움하다65   CSLi, 자동번역 솔루션 기업‘시스트란’인수   ‘시스트란 인터내셔널’출범66   오토데스크코리아, 2015 디자인 스위트 제품군 발표   협업과 연결 강화해 설계/제조 환경 변화 이끈다68   오토데스크 자동차 런칭 투어 개최   2014 자동차 산업을 위한 오토데스크 신제품 투어70   한국엠에스씨소프트웨어, CAE 기술 및 솔루션 전략 소개   다분야 통합 해석 강화와 함께 새로운 해석 기술 개발 노력 확대72   한길아이티 컨소시엄, 국토해양기술 BIM 연구사업 콜로퀴엄 개최   차세대 설계환경대응 건축설계도구 개발 사업73   에스엔에스기술, CAD 및 PLM 솔루션 세미나 개최   기계 산업 및 중소 기업을 위한 CAD와 PLM 기술 소개74   인텔코리아, 국내 스마트러닝 시장 본격 진출   인텔 에듀케이션 솔루션 공개·스마트러닝 시장 본격 진출 선언75   브이엠웨어, 데이터센터의 새로운 모델 제시   스토리지 가상화까지 확장된‘SDDC’전략 소개76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2014 발표   어도비 주요 CC 데스크톱 앱 업데이트 및 모바일 앱 출시로 워크플로우 확장 온에어78   캐드앤그래픽스 C&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오토데스크 3D 철골 모델링 & 디테일링 솔루션 소개79   캐드앤그래픽스 C&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오토데스크 Infrastructure Design Suite 2015 소개 Software Review48   자동차 및 운송 산업을 위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BID TO WIN50   제조공정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솔루션   Visual Components54   프로세스 통합 및 설계 최적화 솔루션   PHX ModelCenter56   플랜트 솔루션을 위한 트랜스레이터   UNITEC Solutions58   필수 3D 파라메트릭 CAD 솔루션   PTC Creo Parametric 3.0 Industry Trend44   다쏘시스템의 인더스트리 기획 시리즈(5)   자동차 시각화 트렌드와 3DXCITE 솔루션의 대응 Hardware Review41   슬림 베젤에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태블릿   ASUS VivoTab 8 Case Study42   자동차 사출금형 가공업체, 근영CNC   CAM 솔루션 5축 도입으로 가공한계 극복46   자동차 및 운송 산업 성공 사례, 현대로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도입으로 설계 품질과 설계업무 효율 향상 Interview61   대경캐드그래픽컴퓨터학원 배정희 원장   변화하는 신기술인 양성의 비전을 품다62   대림화학 사업본부 박인수 이사   3D 프린팅 소재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다63   로킷 유석환 사장   2017 세계 데스크톱 3D 프린팅 시장 넘버원을 꿈꾼다 이 사람이 살아가는 이야기111   행복을 찾아 떠난 긴 여정 / 맹영완 특별기획132   벤더사들이 뽑은 2013 CAD/PDM 베스트 성공 사례   2013 제조분야 CAD/PDM 성과를 말한다 Directory172   국내 주요 CAD/CAM/CAE/PDM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디렉토리 118   News128   New Products80   New Books CADPIA AutoCAD142   오토캐드 유레카(9) / 맹영완   해치 패턴 총정리 AEC140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해외 BIM 관련 기술 개발 동향 Ⅲ149   스케치업 실무 팁(8) / 한정훈   [Layers] 창, [Outliner] 창 활용하기 Tech Trend146   기술과 사회의 만남(3) / 백승철   생활 속의 문제 해결, 인간중심 문제 해결 Manufacturing154   Creo Parametric 2.0의 다양한 설계 기능 활용하기 / 김정훈   Milling 가공 Ⅰ159   PowerMILL CAM 프로그래밍 따라하기 / 최고나   버튼 상코아 가공 Ⅵ Analysis164   ANSYS Workbench를 활용한 해석 성공 사례 / 김교순   Mixture 모델을 이용한 heat168   C3P/Cast-Designer를 활용한 다이캐스팅 주조의 설계 및 해석(6) / 김광은   주조 공정에서의 냉각 채널 설계와 고속 검증
작성일 : 2014-06-30
소프트웨어 백문백답/프로엔지니어 설치의 모든 것
소프트웨어 백문백답 Pro/ENGINEER 설치의 모든 것■ 황 종 진 / PTC아시아지역 기술지원 담당 과장으로, 싱가폴센터에서 프로엔지니어에 대한 기술적인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jhwang@ptc.comQ. MS_PRINT_MGR는 무엇인가. A. 윈도우 NT 4.0 운영체제 상에서 프로엔지니어 릴리즈 19.0을 구동하면 플로터 대화상자의 플로터 목록에서 MS_PRINT_MGR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윈도우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 프로엔지니어 파일이 출력된다. Q. table.pnt 파일은 무엇인가. A. table.pnt 파일은 프로엔지니어가 플로터 출력에 대한 Pen 설정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이다. Line의 Thickness, Type, Color, Entity Type 등 모두를 이 파일에서 정의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프로엔지니어 인터페이스 가이드의 플로팅 부분을 참고하면 된다.Q. PCF는 무엇인가. A. PCF는 'Plotter Configuration File(플로터 설정 파일)'의 줄인 말로, 이 파일에 의해 새로운 플로터 섹션이 플로터 대화상자의 Commands And Settings 부분에 추가된다. 이 새로운 옵션을 선택하며 사용자 정의 플로터 옵션이 자동으로 선택되고, PCF 파일의 파일명과 함께 새로운 메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PCF 파일의 이름이 ibmplot.pcf라고 하면, ibmplot라는 이름을 가진 새로운 메뉴가 플로터 풀-다운 메뉴 상에 나타난다. PCF 파일은 주로 다중 플로터에 대한 자동 플로팅에 사용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PCF 파일에서 플로터 옵션 설정하기 부분을 참조하고, PCF 파일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는 프로엔지니어 인터페이스 가이드의 플로팅 부분을 참고하면 된다.Q. HPGL은 무엇인가.A. HPGL은 Hewlett-Packard Graphics Language(휴렛 팩커드 그래픽 언어)의 약자로, 휴렛팩커드사가 제공하는 플로터 중 많은 수를 기본 언어로 사용하며, 그밖의 업체에서도 제공한다. HPGL은 원래 펜 플로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었기 때문에 펜 두께 명령은 지원하지 않는다. Q. HPGL/2은 무엇인가.A. HPGL/2는 Hewlett-Packard Graphics Language(휴렛팩커드 그래픽 언어)의 새로운 표준 버전의 약자로, Designjet, DraftMaster, DraftPro와 Laserjet 4 Series를 포함한 휴렛팩커드의 모든 새로운 플로터가 지원한다. 한편, HPGL/2는 잉크젯과 레이저 플로터를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기 때문에 선두께 명령은 지원하지 않는다. Q. PCI는 무엇인가.A. PCI(907)는 Calcomp 플로터가 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프로엔지니어에서 Calcomp 플로터로 출력하려면, 플로터가 PCI (907)를 받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현재 프로엔지니어는 Calcomp 언어 중 PCI (907)만을 지원한다.2. config.pro와 PCF 파일에 플로터 옵션 설정하기Q. 프로엔지니어에서 Line Weight를 제어하는 방법은. A. 프로엔지니어에서 Line Weight를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config.pro 옵션인 'pen#_line_weight'를 사용하는 것으로, 여기서 '#' 자리에 1에서 8 사이의 수 가운데 하나가 들어가게 된다. 이 옵션은 1(가장 얇다)에서 16(가장 두껍다)까지의 값에 설정되며, 각 'pip'은 두께 0.005인치를 나타낸다. 즉, 'pen1_line_weight 4' 옵션은 pen 1을 두께 0.020 인치에 설정하게 된다. table.pnt penmap 파일에서 line weight를 지정할 수도 있다.Q. config.pro 옵션인 'rotate_postscript_print'를 PCF 파일에 설정하면 작동하지 않는 이유는. A. 'rotate_postscript_print' 옵션은 Postscript의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며, config.pro 파일에 지정된다. 한편, PCF 파일에 있는 Postscript를 회전시키려면 PCF 옵션인 'rotate_plotting'을 지정한다. Q. 프로엔지니어 릴리즈 20.0에 PCF 파일을 기록하는 방법은. A. 프로엔지니어 릴리즈 20.0의 플로터 대화상자에 'save' 단추가 있다. 원하는 플로터를 선택한 뒤 환경설정을 지정하고, Printer Configuration 대화상자의 아래에 있는 이 ‘save’ 단추를 누르면, PCF 파일이 자동으로 기록된다. Q. 플롯 파일을 프로엔지니어로부터 플로터로 보내는 방법은. A. config.pro 옵션인 'plotter_command'를 선택한다. 현재의 OS 창으로부터 플롯을 보내는데 필요한 명령에 일치하는 값에 이 옵션을 설정하면 된다. plotter_command lp -d plotter 썬 솔라리스 워크스테이션에는 이와 같은 옵션과 값이 지정되어 있다. 여기서 'lp'는 해당 플롯을 보내고, '-d' 플래그(flag)는 'plotter'로 명명된 플로터를 지정한다. ■ 참조 : 윈도우 NT 플랫폼 환경 설정 및 윈도우 95 워크스테이션 환경 설정   Q. 프로엔지니어 환경 내에서 한 개의 플롯 파일을 여러 개의 플로터로 자동적으로 보내도록 프로엔지니어를 설정하는 방법은.A. 여러 개의 플로터를 '자동(Automatic)' 플로팅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단일 플로터의 플롯 설정과 유사하다(윗 부분 참고). 그러나 'plotter_command' 옵션을 여러 번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옵션이 config.pro 파일이 아닌 PCF 파일에 지정되어야 한다. 다음은 ‘자동’ 플로팅이 가능한 PCF 파일의 예이다.!Sample PCF fileplotter postscriptplotter_command lp ?d plotter3. table.pnt penmap 파일에 플로터 옵션 설정하기Q. table.pnt penmap 파일에서 line weight를 제어하는 방법은? A. pen declaration 뒤에 thickness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line weight를 table.pnt 파일에 지정한다. pen 1 thickness 0.024 inThickness의 단위는 인치(in) 또는 센티미터(cm). config.pro file에서 Line Weight를 변경할 수도 있다.Q. Color 매개변수가 table.pnt 파일에서 하는 역할은. A. table.pnt 파일의 Color 매개변수는 Color Plotter의 Pen Color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pen 1 color 0.5 0.25 0.0각각의 소수 값은 0.0에서 1.0 사이의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비율을 나타낸다. Q. Pattern 매개변수는 table.pnt 파일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A. table.pnt 파일의 Pattern 매개변수는 Hiddlen Line 또는 Phantom Line Pattern Style과 유사한 Line Pattern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pen 5 pattern 0.1 0.05 0.05 0.05 in각각의 소수는 첫번째 Dash 길이, 첫번째 Space 길이, 두번째 Dash 길이, 두번째 Space 길이를 나타낸다. Pattern 정의를 위한 단위에는 인치(in) 또는 센티미터(cm)를 사용할 수 있다.   Q. 프로엔지니어에서 여러 Line Type을 하나의 Pen에 할당할 수 있는가. A. table.pnt 파일을 이용하여 여러 Line Type을 하나의 Pen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란색 Entity(Letter_Color)를 모두 Pen 1에 설정하려면, table.pnt 파일에서 다음을 지정한다. pen 1 letter_color이렇게 지정하면 모든 노란색 Entity를 Pen 1에 설정하지만, 흰색이나 갈색과 같이 기본으로 Pen 1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색상도 그대로 계속해서 플롯하게 된다. 한편, 다음의 명령어pen 1 letter_color; half_tone_color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Pen 1의 기본 색상인 흰색(Drawing_Color) 외에도 모든 노란색 Entity(Letter_Color) 및 초록색 Entity(Attention_Color)를 Pen 1에 플롯한다. 하나의 Pen에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 색상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색상명 리스트는 프로엔지니어 인터페이스 가이드의 플로팅 섹션에 나와있다.주의 : 릴리즈 16.0 이전의 프로엔지니어에서는, table.pnt 파일에 선언된 Pen에 오직 하나의 Pen 색상만 별도로 추가할 수 있었다.   4. 프로엔지니어로 Shaded Plot 생성하기Q. 프로엔지니어에서 Shaded Postscript 플롯이 어떻게 생성되는가.A. Shaded Postscript 플롯은 다른 플롯 파일과는 다른 방법으로 생성된다. Shaded Postscript 플롯을 만들려면 다음 절차를 따른다. View 메뉴에서 Shade를 선택하여 Shaded Image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프린트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또는 File 메뉴에서 Print를 선택한다. 파일 생성을 위해 지원되는 플로터와 포맷 중 하나를 선택한다. 출력할 이미지의 크기(Size)를 지정한다. 출력할 파일의 원하는 해상도를 DPI로 지정한다. 색상의 수 또는 Image Depth 해상도를 지정한다. OK를 선택하여 파일을 생성한다. 이제 파일이 현재 작업 디렉토리 또는 'plot_dir'에 기록된다.   Q.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일곱 종류의 플로터가 아닌 다른 플로터에 대한 Shaded Image는 어떻게 생성하는가. A. 프로엔지니어는 현재 EPS shaded 출력에 대해 일곱 가지의 플로터를 지원한다: (Tektronix Phaser II PX, Tektronix Phaser III PX, Tektronix Phaser 300X, Calcomp 6613 PS, Seiko Colorpoint, HP Designjet 650C, Xerox 8830 Engineering Printer) 하지만, 이외의 플로터도 프로엔지니어가 생성한 shaded EPS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롯 파일 생성 시 리스트에서 Phaser II를 선택한다. shaded image를 export할 때 TIFF와 JPEG 포맷도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되는 플롯 파일이 플롯되지 않거나 또는 올바르지 않게 플롯되는 경우, 'Shaded EPS 파일 문제해결' 참조.  Q. Shaded Plot을 HP DesignJet750C 또는 HP DesignJet755CM 상에 플로팅 할 수 있는가. A. Designjet650C 드라이버를 Shaded Postscript 출력에 사용할 수 있다. Shaded Postscript Plot을 Designjet750C 상에 플로팅하려면 사용자의 플로터에 SIMM이 설치되어 있어야만 한다. Shaded EPS 파일을 프로엔지니어로부터 DesignJet 시리즈 플로터 상으로 출력하는데 곤란을 겪게 되는 경우, 다음 과정을 참조하기 바란다. - 플로터의 언어를 자동(Automatic)이 아닌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에 설정한다. - 플로터에 연결되어 있는 워크스테이션의 Plot Spooler가 Postscript 파일을 보내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플롯 데이터의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가능하면 병렬 연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위의 기법은 HP700과 윈도우 NT 워크스테이션에서 훌륭하게 효과를 보았다. 하드웨어 연결은 PTC의 책임사항이 아니며 단지 그에 관한 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Q. 플로터가 Shaded 이미지 대신에 와이어프레임 이미지를 플롯하는 이유는. A. 플로터 메뉴에서 Postscript 또는 Colorpostsc를 선택하면, 와이어프레임 모델만이 디스플레이 된다. Q. 한 어셈블리 내에서 지정된 일부 색상이 부정확하게 플롯되는 이유는? A. 프로엔지니어 릴리즈 17.0 이전에는 Shaded Postscript Plot이 8 비트 수준에서 구축되어, 할당 가능한 색상의 수에 제약이 있었다. 최대 색상 수에 다다르면, 프로엔지니어는 색상을 수학적으로 병합(Merge)함으로써 일부 Component를 부적절한 색상으로 플로팅 하게 된다. Color Merging 이전에 허용되는 최대색상수는 대략 20 가량이다. 이 숫자는 각 Component에 정의된 모든 색상 외에 Assembly 내에 정의된 모든 색상을 포함한 값이다. 하지만, Pro/Engineer Release 17.0부터는 8 비트 Postscript 대신에 23 비트 Postscript를 사용해 Shaded Postscript를 출력할 수 있다. 24 비트 Postscript를 사용하려면 24비트 RGB의 Image Depth를 선택한다. 24 비트 포스트스크립트 드라이버를 사용함으로써, Color Merging 이전에 훨씬 많은 수의 색상을 올바르게 플로팅 할 수 있다. 5. 플로터 출력 제어Q. Postscript Plot이 90도 회전하는 이유는. A. 프로엔지니어는 이미지를 프로엔지니어 스크린 상에 나타나는대로 플로팅 한다. 프로엔지니어 도면이 가로방향(Landscape)으로 되어 있으면, 플롯 파일도 가로방향이 된다. 도면을 세로 방향(Portrait) 플로터에서 올바르게 출력하려면, config.pro 파일의 'rotate_postscript_print' 옵션을 'yes'로 설정한다. PCF 파일이 사용되면 'rotate_plotting' 옵션을 'yes'로 설정한다.   Q. 플롯의 회전을 프로엔지니어에서 제어할 수 있는가. A. 프로엔지니어에서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을 회전하려면 config.pro 옵션인 'rotate_postscript_print'를 사용하거나 또는 PCF 옵션인 'rotate_plotting'을 사용해야 한다. 그밖의 모든 플롯 파일은 정해진 방향대로 놓여지게 된다. Q. 일부 플로터의 경우 Edge가 한두 개 빠져 플롯되는 일이 발생한다. 그 이유는. A. 이러한 현상을 ‘Clipping’이라고 부르는데, 이 현상은 플롯할 도면이 플로터의 Hard Clip Limit에 들어맞지 않을 경우 발생한다. 특별히 Pen 플로터와 같은 많은 플로터는 용지의 특정 영역만 프린트 할 수 있으며, 이 영역을 Hard Clip Limit 또는 플롯 가능 지역으로 부른다. 각 플로터에 대한 Hard Clip Limit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Clipping의 양도 그때그때 다를 수 있다.Q. Calcomp 플로터의 경우 원래와는 다른 비율로 플롯하는 이유는. A. Calcomp 플롯이 원래보다 네 배로 크게 출력되었다면, 플로터의 환경설정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엔지니어가 올바른 기능을 나타내려면 플로터의 'Steps per Inch' 설정이 '2032'에 맞추어져 있어야 한다. 이 옵션을 올바로 조정함으로써 비율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Q. Format Line을 Geometry Line과 다른 두께로 플롯하는 방법은.A. Format Line을 지정된 두께로 플로팅 하려면, Format Line이 Format 모드에서 수정되어야 한다. 즉, Format 모드에서 Modify, Line Style를 선택하고 수정할 Line을 선택한 뒤, 색상으로 Geometry 외의 다른 것을 선택한다. 프로엔지니어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 색상인 Highlight(빨간색) 또는 Edge Highlight(파란색)을 선택할 것을 권장한다.Q. 이미지를 Part 또는 Assembly 모드로부터 Scale하여 플롯하는 방법은. A. Part 이미지를 Part 또는 Assembly 모드로부터 Scale하여 플롯하려면 다음 기법을 사용한다. - 객체가 Shaded Mode에 있지 않아야 한다. - Print 대화상자에서 Configure를 선택한다. - Printer Configuration 대화상자에서 Model 탭을 선택한다. - Plot 유형을 Model Size로 변경한다. - Scale에서 원하는 Scale을 지정한다. 주의 : 플롯은 페이지의 왼쪽 하단으로부터 이미지를 Scale하기 시작한다. 만약 선택한 플롯 Scale이 선택한 지면 크기에 비해 너무 큰 경우, 이미지가 지면의 오른쪽 상단 방향으로 초과되어 넘어 갈 것이다. 또한 좀더 정확한 플로팅을 위해 드로잉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Viewing Plane이 플롯되는 서피스와 평행일 확률이 그만큼 줄기 때문이다. Q. 도면의 플롯이 지나치게 크게(또는 작게) 출력되는 이유는. A. 현재 프로엔지니어 작업창에 나타나는 이미지에 따라 플롯 출력도 결정된다. 사용자가 윈도우 상의 이미지를 확대/축소 또는 이동하면, 플롯 또한 스크린 상의 이미지에 따라 동일하게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플롯 파일 생성시 도면의 한 View 상을 확대하게 되면, 플롯 파일의 Scale도 확대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일을 방지하려면, 플롯 파일 생성 이전에 View 메뉴에서 Refit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플롯 생성 시 다음을 유의함으로써 플롯의 원래 크기를 유지할 수도 있다. - Print 대화상자에서 Configure를 선택한다. - Printer Configuration 대화상자에서 Model 탭을 선택한다. - Plot 유형을 Full Plot으로 변경한다.PCF 파일의 경우 'plot_with_panzoom no'을 추가하면 된다. 연재순서제1회 Pro/ENGINEER의 기초 Ⅰ제2회 Pro/ENGINEER의 기초 Ⅱ제3회 Pro/ENGINEER 설치의 모든 것제4회 Pro/ENGINEER 플로팅CAD & 그래픽스 99년 12월호 발췌
작성일 : 200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