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대우건설"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25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건설업계 판도 변화? 2025년 시공능력평가 결과 심층 분석… 삼성물산 1위 수성
국토교통부는 2025년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결과를 7월 31일 공시했다. 총 73,657개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평가에서 삼성물산이 34조 7,219억 원의 평가액으로 1위를 차지하며 굳건히 자리를 지켰다. 이어 현대건설이 17조 2,485억 원으로 2위, 대우건설이 11조 8,969억 원으로 3위에 올랐다.   이번 평가는 발주자가 적정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신인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제도이다. 전체 건설업체 87,131개사 중 84.5%에 해당하는 73,657개사가 평가를 신청했다. 종합건설업종별 공사실적 순위를 보면, 토목건축 부문에서는 삼성물산(13.7조 원), 현대건설(11.3조 원), 현대엔지니어링(10.2조 원) 순이었다. 토목 부문은 대우건설(2.5조 원), 현대건설(1.9조 원), 에스케이에코플랜트(1.5조 원)가 상위권을 기록했다. 건축 부문은 삼성물산(12.3조 원), 현대건설(9.4조 원), 현대엔지니어링(9.3조 원)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환경설비 부문은 삼성이앤에이(13.3조 원)가 1위를 차지했으며, 조경 부문은 제일건설(726억 원)이 1위를 기록했다. 주요 공사 종류별 공사실적에서는 도로 부문 대우건설(7,936억 원), 철도 부문 포스코이앤씨(5,364억 원), 아파트 부문 현대건설(6.3조 원)이 각각 1위에 올랐다. 2025년 시공능력평가 결과는 8월 1일부터 적용되며, 공사 발주 시 입찰자격 제한 및 시공사 선정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신용평가 및 보증심사 등의 근거자료로도 활용된다. 개별 건설업체에 대한 상세한 평가 결과는 대한건설협회, 대한전문건설협회 등 업종별 건설 관련 협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25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개사 현황(토목건축) (단위 : 억원, 단위미만 반올림) 연번 2025년     2024년     업체명 평가액 순위변동 업체명 평가액 1 삼성물산(주) 347,219 - 삼성물산(주) 318,537 2 현대건설(주) 172,485 - 현대건설(주) 179,436 3 (주)대우건설 118,969 - (주)대우건설 117,088 4 디엘이앤씨(주) 112,183 1↑ 현대엔지니어링(주) 99,810 5 지에스건설(주) 109,454 1↑ 디엘이앤씨(주) 94,921 6 현대엔지니어링(주) 101,417 2↓ 지에스건설(주) 91,557 7 (주)포스코이앤씨 98,973 - (주)포스코이앤씨 91,125 8 롯데건설(주) 74,021 - 롯데건설(주) 64,699 9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68,493 -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53,712 10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주)  58,738 -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주)  51,273 11 (주)한화 49,720 - (주)한화 49,674 12 (주)호반건설 39,209 - (주)호반건설 40,343 13 디엘건설(주) 35,495 - 디엘건설(주) 34,698 14 두산에너빌리티(주) 33,931 - 두산에너빌리티(주) 31,225 15 계룡건설산업(주) 29,753 2↑ 제일건설(주) 28,252 16 (주)서희건설 28,774 2↑ 중흥토건(주) 27,709 17 제일건설(주) 26,948 2↓ 계룡건설산업(주) 27,120 18 코오롱글로벌(주) 24,944 1↑ (주)서희건설 26,707 19 (주)태영건설 23,296 5↑ 코오롱글로벌(주) 23,964 20 (주)케이씨씨건설 23,174 5↑ 금호건설(주) 22,876 21 우미건설(주) 22,482 6↑ 아이에스동서(주) 22,390 22 대방건설(주) 21,731 1↑ 동부건설(주) 21,881 23 쌍용건설(주) 21,687 3↑ 대방건설(주) 21,255 24 금호건설(주) 20,280 4↓ (주)태영건설 20,177 25 두산건설(주) 18,406 7↑ (주)케이씨씨건설 20,063 26 한신공영(주) 18,099 2↑ 쌍용건설(주) 19,438 27 효성중공업(주) 17,852 12↑ 우미건설(주) 17,542 28 동부건설(주) 17,514 6↓ 한신공영(주) 16,426 29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주) 16,150 1↑ (주)반도건설 16,414 30 (주)반도건설 15,051 1↓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주) 15,693 31 (주)호반산업 14,589 4↑ (주)동원개발 15,383 32 (주)동원개발 14,574 1↓ 두산건설(주) 15,151 33 신세계건설(주) 14,428 - 신세계건설(주) 14,905 34 (주)에이치제이중공업 14,396 2↑ 자이씨앤에이(주) 14,502 35 자이씨앤에이(주) 14,028 1↓ (주)호반산업 13,858 36 삼성이앤에이(주) 13,479 10↑ (주)에이치제이중공업 13,767 37 (주)비에스한양 12,988 - (주)한 양 13,687 38 (주)금강주택 12,924 7↑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주) 13,250 39 씨제이대한통운(주) 12,169 5↑ 효성중공업(주) 12,931 40 (주)동양건설산업 12,100 2↑ 에스지씨이앤씨(주) 12,230 41 에스지씨이앤씨(주) 12,040 1↓ 진흥기업(주) 11,255 42 중흥토건(주) 10,836 26↓ (주)동양건설산업 11,157 43 (주)대광건영 10,548 6↑ (주)라인산업 11,103 44 진흥기업(주) 10,320 3↓ 씨제이대한통운(주) 10,986 45 (주)라인산업 9,765 2↓ (주)금강주택 10,300 46 (주)라인건설 9,559 2↑ 삼성이앤에이(주) 9,871 47 에이치에스화성(주) 8,584 - 에이치에스화성(주) 9,389 48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주) 8,574 10↓ (주)라인건설 9,338 49 (주)성도이엔지 8,083 20↑ (주)대광건영 8,474 50 (주)서 한 8,074 1↑ 양우건설(주) 7,927 51 남광토건(주) 7,840 8↑ (주)서 한 7,615 52 대보건설(주) 7,724 1↑ 중흥건설(주) 7,510 53 동문건설(주) 7,246 8↑ 대보건설(주) 7,180 54 (주)태왕이앤씨 6,851 6↑ 자이에스앤디(주) 6,763 55 극동건설(주) 6,762 8↑ (주)케이알산업 6,714 56 일성건설(주) 6,401 - 일성건설(주) 6,682 57 (주)케이알산업 6,243 2↓ (주)시티건설 6,617 58 아이에스동서(주) 5,836 37↓ 신동아건설(주) 6,445 59 경남기업(주) 5,767 17↑ 남광토건(주) 6,398 60 양우건설(주) 5,577 10↓ (주)태왕이앤씨 6,373 61 (주)시티건설 5,486 4↓ 동문건설(주) 6,320 62 중흥건설(주) 5,477 10↓ 엘티삼보(주) 6,303 63 (주)모아주택산업 5,366 합병신규취득 극동건설(주) 6,188 64 (주)우미개발 5,164 14↑ (주)금성백조주택 5,951 65 동원건설산업(주) 5,025 - 동원건설산업(주) 5,872 66 (주)대명건설 5,004 7↑ 에이스건설(주) 5,692 67 일신건영(주) 4,993 1↑ 디에스종합건설(주) 4,858 68 신동아건설(주) 4,857 10↓ 일신건영(주) 4,697 69 자이에스앤디(주) 4,605 15↓ (주)성도이엔지 4,685 70 (주)금성백조건설 4,553 11↑ (주)동양 4,666 71 (주)대림 4,252 17↑ 삼부토건(주) 4,627 72 (주)대원 4,207 26↑ (주)서해종합건설 4,586 73 (주)동아지질 4,123 11↑ (주)대명건설 4,513 74 엘티삼보(주) 4,080 12↓ 보광종합건설(주) 4,491 75 (주)금성백조주택 3,885 11↓ 풍림산업(주) 4,269 76 (주)미래도건설 3,799 172↑ 경남기업(주) 4,251 77 금광기업(주) 3,783 10↑ 대방산업개발(주) 4,244 78 삼부토건(주) 3,724 7↓ (주)우미개발 4,063 79 (주)원건설 3,604 3↑ 경동건설(주) 4,041 80 강산건설(주) 3,519 3↑ 요진건설산업(주) 3,975 81 에이스건설(주) 3,468 15↓ (주)금성백조건설 3,925 82 풍림산업(주) 3,417 7↓ (주)원건설 3,780 83 (주)흥화 3,385 6↑ 강산건설(주) 3,691 84 (주)서해종합건설 3,360 12↓ (주)동아지질 3,588 85 보광종합건설(주) 3,281 11↓ 이수건설(주) 3,581 86 대방산업개발(주) 3,265 9↓ 파인건설(주) 3,559 87 이수건설(주) 3,262 2↓ 금광기업(주) 3,541 88 동아건설산업(주) 3,258 20↑ (주)대림 3,282 89 씨에이이앤씨(주) 3,084 11↑ (주)흥화 3,261 90 삼환기업(주) 3,062 16↑ 혜림건설(주) 3,214 91 (주)화성개발 3,060 2↑ 한양산업개발(주) 3,187 92 신원종합개발(주) 2,907 23↑ (주)신성건설 3,076 93 (주)비에스산업 2,856 9↑ (주)화성개발 2,905 94 요진건설산업(주) 2,832 14↓ (주)광신종합건설 2,816 95 디에스종합건설(주) 2,744 28↓ (주)한양건설 2,811 96 영진종합건설(주) 2,736 23↑ 대흥건설(주) 2,767 97 우암건설(주) 2,648 38↑ (주)유탑건설 2,766 98 (주)한양건설 2,644 3↓ (주)대원 2,741 99 (주)이안알앤씨 2,603 24↑ (주)보미건설 2,706 100 위본건설(주) 2,592 37↑ 중앙건설(주) 2,679      
작성일 : 2025-08-12
건설워커 유종현 대표, ‘제13회 대한민국교육대상’ 건설취업 부문 대상 수상
건설워커 유종현 대표가 ‘제13회 대한민국교육대상’ 건설취업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교육대상은 국가 교육 발전과 우수 브랜드 육성에 기여한 개인 및 기관에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국내외 50여 개 교육신문·언론 단체로 구성된 교육대상조직위원회, 한국교육신문연합회, 뉴스에듀신문이 주최하고 나비미디어그룹이 주관한다. 제13회 시상식은 당초 지난해 연말 개최 예정이었으나, 비상계엄, 탄핵 정국, 무안공항 여객기 사고 등의 영향으로 연기됐다. 이에 따라 행사는 올해 1월 15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유종현 대표는 건설 구인구직 플랫폼 ‘건설워커’를 통해 지난 27년간 건설사와 구직자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대상을 수상했다. 1997년 IMF 외환위기 시절에 출범한 건설워커는 건설 분야에 특화된 차별화된 구인·구직 서비스로 국내 전문 취업 플랫폼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DL이앤씨, GS건설,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한화, 호반건설 등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건설워커를 통해 인재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건설워커는 네이버, 한국건설기술인협회, 대한건설협회, 해외건설협회, 이엔지잡 등 주요 플랫폼뿐만 아니라, 취업 카페, 블로그, 페이스북, 밴드(BAND) 등 SNS 채널을 통해 구인 공고를 동시 게재하며 폭넓은 건설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유종현 대표는 수상 소감에서 "이번 수상을 통해 건설워커에 대한 이용자들의 신뢰와 기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서비스로 건설 구인·구직 시장을 선도하면서, 건설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와 실업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5-03-01
지질 및 암석 해석 소프트웨어, PLAXIS 
지질 및 암석 해석 소프트웨어, PLAXIS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벤틀리시스템즈, www.bentley.com ■ 자료 제공 : 벤틀리시스템즈코리아, 02-557-0555, www.bentley.com/ko 1. 적용 분야 PLAXIS는 지질 공학 엔지니어링 및 암석 역학의 변형 및 안정성에 대한 2차원 및 3차원 해석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토목 및 지질 공학 엔지니어링 산업 분야 및 굴착, 제방, 터널용 토대, 오일 및 가스, 광업, 저수지 지력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2. 주요 특징  토양, 암석 및 관련 구조를 위한 주요 유한 요소를 해석할 수 있다. 암반의 반응, 표면 및 건물 침하, 굴착 피트의 안정성 및 배수량, 배수 관련 문제의 통합 또는 구조물의 지지 용량 문제 해결 여부에 관계없이 직관적인 디지털 워크플로우와 철저한 계산이 가능하다. PLAXIS는 전 세계적으로 터널링, 채광 또는 저수지 고갈의 지표 침하에 사용된다. 또한 굴착 피트에 인접한 건물 침하의 차이를 예측하고, 안정성 및 굴착 피트로의 삼투 또는 다이어프램 벽의 측면 변위를 계획한다. 배수되지 않는 부하 문제에서 기공 압력 소실에 필요한 통합 시간을 계산하고, 고층 빌딩, LNG 탱크 및 기타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 및 기초 침하 해석을 추정한다. 3. 주요 기능 - 지질 모델을 정확하게 보정한다. - 벤틀리 생태계와의 상호 운용성이 향상되었다. - Python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을 자동화한다. - 유선형 모델링을 위해 CAD 파일을 가져와 시간을 절약한다. - 탁월한 구성 모델 라이브러리로 신뢰성을 강화한다. - 민감도 해석 및 매개변수 변형을 사용하여 더 많은 기능에 액세스한다. 4. 도입 효과 직관적인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해 정확하게 건설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다. 크리프, 통합을 통한 유동 변형 커플링 및 안정 상태의 지하수 또는 열 흐름을 고려한다. 또한 지진과 이동 교통량과 같은 토양에서의 진동의 영향을 해석하고, 응답 해석과 액화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열 모델링 기능 향상은 토양, 암석 및 구조물의 유압 및 기계적 거동에 대한 일시적인 열 흐름의 효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5. 주요 고객 사이트 대우조선해양, 대우건설,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한국지역난방기술, 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 외 다수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3-12-30
건설산업의 미래 이끌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첫 총회 개최와 성과 발표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11월 24일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첫 총회를 개최했다. 지난 7월 출범한 얼라이언스는 “민간이 끌고 정부가 지원한다”는 방향 아래 스마트건설 생태계를 이루는 대・중소・벤처기업(현재 313개 참여중)이 운영을 주도하고, 학계・연구원 및 공공 등이 지원하는 협의체이다.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초대 의장인 윤영준 현대건설 대표이사 사장은 “건설산업의 미래는 생산성, 안정성과 직결되는 스마트건설기술에 달렸다”면서, “해외에서 발주되는 메가 프로젝트도 스마트건설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자신감과 사명감으로 혁신기술 개발과 적용을 위해 제도·여건 마련을 위한 소통을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는 6개(BIM, OSC, 건설자동화, 디지털센싱, 스마트안전, 빅데이터·플랫폼)의 핵심 기술별로 확산 방안을 논의하는 기술위원회(위원장: 건설사, 간사: 학·협회 등)와 기술위 간 공통 이슈를 다루는 특별위원회로 구분되며, 운영위원회(위원장: 건설기술연구원)에서 기술/특별위원회 활동을 지원하고, 국토교통부는 얼라이언스 운영 전반을 총괄 지원한다   구 분 기술위원회 특별위원회 BIM OSC 건설 자동화 디지털 센싱 스마트 안전 빅데이터・플랫폼 제도 위원장 DL이앤씨 GS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현대건설 건설산업연구원& 건설정책연구원 간사 빌딩스마트협회 철강협회 건설자동화· 로보틱스 학회 건설관리학회 스마트건설 안전협회 건설산업정보원   7개의 위원회와 총 22개 분과위로 구성된 얼라이언스는 지금까지 스마트 건설기술 확산을 위한 주요 아젠다(20개)와 추진과제(44개)를 도출하였고, 개발된 기술의 현장 실증 및 포럼·전시회 개최 등의 성과를 거뒀다. 대표 실증사례인 건축물 천장 앵커(고정장치) 설치 로봇의 경우, 기존의 인력 시공 대비 16% 높은 생산성과 품질·안전 개선도 확인할 수 있었고, 산학연관이 모여 모듈러 시장 확대방안을 논의하는 모듈러포럼과 스마트 안전기술(장비) 체험 전시회 등을 통해 스마트건설 생태계 조성에 앞장섰다.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은 이러한 성과에 대해 “건설사는 물론 ICT, AI, 로봇 등 첨단기술 개발기업과 정부와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이라면서, 앞으로도 더욱 발전해 나가자는 의지를 내비쳤다.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는 초기 성과들을 토대로 내년에는 위원회별로 추진과제에 대한 제도 개선사항 등 솔루션을 도출하고, 주요 발주청별 선도 프로젝트를 선정하는 한편, 기술실증 지원 및 기술소개·투자 세미나 등 다양한 기업 지원 프로그램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 1부에서는 DPR아시아 조상우 총괄대표 기조연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창호 건설산업진흥본부장의 얼라이언스 2023년 성과 및 2024년 계획발표가 이루어졌다. 이어 2부에서는 SK에코엔지니어링 최현철 기술고문이 '스마트건설의 흐름과 방향성'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얼라이언스 기술위원회·특별위원회의 2024년 계획안 발표, 얼라이언스 운영 방향 등에 대한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이 진행되었다. 김오진 국토교통부 1차관은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가 스마트 건설기술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기능을 넘어, “주요 이슈를 선도하고 건설업계를 리드하는 대표 협의체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면서, “정부는 물심양면으로 필요한 모든 지원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11월 22일부터 24일까지 개최된 스마트건설 엑스포(EXPO)에는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특별전시관이 설치되어 위원회별로 핵심 기술에 대한 전시・시연과 함께 얼라이언스에 대한 설명 등이 제공되었다. 이번 전시회에는 스마트건설 산업분야 국내외 전문가와 200여 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BIM, 데이터 및 플랫폼, 지능형 건설장비, 스마트안전 등 다양한 시스템과 제품 등이 전시되었다.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주요 아젠다 및 추진과제    
작성일 : 2023-12-22
BIM AWARDS 2023 국토교통부장관상 및 수상작 발표
빌딩스마트협회는 BIM 공모전인 ‘BIM AWARDS 2023’에서 국토교통부장관상 일반부문에 HDC현대산업개발, 빔파트너스 구조기술사사무소, 연우테크놀러지, 학생부문에 성균관대학교(전진규, 박재호)가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BIM AWARDS 2023은 국토교통부 후원으로 빌딩스마트협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주최하였다. 심사위원들의 심사 및 심층 논의를 통하여 ▲대상(국토교통부장관상) 2점 ▲최우수상(빌딩스마트협회장상 2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상 2점) 4점 ▲우수상 7점 ▲장려상 10점 ▲특별상(아키캐드상, 오토데스크상) 3점 등 장관상 및 수상작 총 26점이 선정됐다. 최우수상은 총 4점이 선정됐다. 그 중 빌딩스마트협회장상 일반부문에는 쌍용건설, 대우건설, 학생부문에는 국민대학교(금정민, 김민성, 박현우)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상 일반부문에는 한국도로공사, 고려소프트웨어, 학생부문에는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서진혁, 이현재, 이남용)가 선정됐다. 우수상은 총 7점으로 일반부문 3점 및 학생부문 4점이 선정됐으며, 장려상은 일반부문 4점 및 학생부문 6점 등 10점을 선정했다. 특별상은 총 3점으로 아키캐드상 일반부문 1점과 오토데스크상 일반부문 1점 밈 학생부문 1점을 선정했다. BIM AWARDS 2023의 시상식은 오는 11월 23일에 열리는 ‘빌딩스마트 콘퍼런스 2023’ 행사 중 진행한다. 빌딩스마트협회는 "2009년부터 건설 분야의 BIM 활성화에 기여한 단체 및 개인을 발굴하고 시상하여 한국 건설산업의 선진화 및 경쟁력 향상, BIM 기술의 올바른 활용 및 확산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일반부문 대상(국토교통부장관상) 수상작
작성일 : 2023-10-20
대우건설, 미래 도심항공교통 산업 육성 위해 전라남도, 고흥군과 업무협약 체결
대우건설이 전라남도 고흥군 드론특화지식산업센터에서 전라남도 및 고흥군과 ‘미래 도심항공교통(UAM) 산업육성 및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체결한 업무협약에 담긴 주요 내용은 ▲UAM 기체·항로 개발 및 분석을 위한 국가사업 공동유치 ▲지역거점 UAM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공동유치 ▲섬 지역 항공교통, 물자수송, 재난 등 특수목적형 UAM 인프라 구축 및 실증 공동추진 ▲UAM 관련기업 전남도내 투자유치 공동협력 등 4가지 사항으로, 대우건설은 추후 전라남도 및 고흥군과 긴밀한 협력과 추가적인 협의를 거쳐 사업을 구체화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라남도 김영록 도지사, 대우건설 백정완 사장, 고흥군 공영민 군수(왼쪽부터)   한편, 항공분야 신사업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국내 건설사 최초로 건설 산업용 드론관제시스템을 구축한 대우건설은 지난 5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 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 참여를 위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제안서를 제출하였고, 7월에 개최된 국토부 주관 ‘2022 대한민국 드론·UAM 박람회’에 참석하여 K-UAM 운영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또한, 대우건설은 컨소시엄에 참여 중인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아스트로엑스, 휴맥스모빌리티와 함께 전라남도에 드론 및 UAM 관련 다양한 실증 사업도 제안한 바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UAM 분야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대우건설에게 2165개 섬이 있는 전라남도와 나로우주센터가 위치하고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 장소로 선정된 고흥군은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며,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다도해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실증 사업을 수행하고자 하며, 특히 UAM 기체 이착륙장인 버티포트 구축을 위한 설계, 시공 및 운영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2-12-16
2022 해외건설·플랜트의 날 기념행사 개최와 해외건설 유공자 시상 - 해외건설 재도약
국토교통부는 해외건설협회와 함께 11월1일(화) 건설회관(서울 강남)에서 “글로벌 대전환의 시대, 해외건설이 다시 뜁니다”라는 슬로건으로 '2022 해외건설· 플랜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해외건설·플랜트의 날(11월 1일)은 해외건설을 촉진하고 해외 건설인의 자긍심 고취와 사기 진작을 위해 해외건설 첫 수주일(65년 11월 현대건설 : 태국 파타니 - 나리티왓 고속도로)인 11월 1일을 지정하여 2005년 시작으로 2006년부터 격년제로 기념행사를 개최해 오고 있다. 이번 기념행사는 해외 건설인들의 노고를 치하하면서 해외건설 재도약을 위한 목표를 선언하고, 해외건설 1·2 세대의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젊은 3세대가 해외현장에 나가면서 각오와 다짐하는 퍼포먼스 행사와 함께 해외건설 유공자 시상식 등을 진행했다. 1세대로는 전 대우건설(주) 윤국진 전무, 2세대는 현 DL이앤씨 이원의 부장), 3세대는 마이스터고 3학년 이재호 군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김병욱 국회의원, 박선호 해외건설협회장, 신안식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장 등을 비롯하여 유관기관 단체장, 임직원, 수상자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해외건설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49명에게 정부포상(15명)과 국토교통부 장관표창(34명)이 수여되었다.   특히, 최고의 영예인 은탑산업훈장은 약 20여년간 해외현장에 근무하면서 국내 건설업체 최초로 호주 PPP 사업(멜버른 North East 연결 도로 등) 수주와 베트남 탄손낫 국제공항 간선도로 건설 등 다수 공로가 있는 前 GS건설(주) 이상기 부사장이 수상하였으며, 현대건설(주) 임용진 부사장이 동탑산업훈장을, (주)대우건설 최성환 부장이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하였다. 삼성물산(주) 이병수 부사장 등 3명이 산업포장을, 현대엔지니어링(주) 정외환 상무 등 4명이 대통령 표창을, ㈜포스코건설 남관우 부장, 삼성엔지니어링 박성연 부사장 등 5명이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국토교통부는 “우리 기업은 지난 57년간 중동 등에서 9,243억불 이상의 해외수주 성과를 달성하는 등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선봉적 역할을 하여 왔으나,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 지금까지의 성과 및 발전과는 또 다른 새로운 도전과제를 마주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이에 정부는 2027년까지 해외건설 연 500억불 수주와 세계 4대 해외건설 강국 진입이라는 새로운 목표로 해외건설 3.0 시대를 선언한다.”라고 밝혔다. 정부는 특히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원팀 코리아를 구성하여 외교와 금융 등 전방위적으로 적극 지원하고, 고부가가치 분야의 기술개발도 적극적 지원할 계획이다.”라며, 아울러 “한국의 우수한 스마트 기술과 한류 문화까지 인프라 건설 사업에 담아낸 스마트 인프라 패키지를 활용하여 사우디 네옴시티 등 해외 인프라 사업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11월초 우리 기업들과 함께 사우디를 방문하여 원팀 코리아 로드쇼를 개최하고 기업들을 적극 홍보하면서 현지 네트워크를 견고히 구축하는 등 외교 수주전 첫 발을 내딛을 계획이다.  
작성일 : 2022-11-04
[포커스] 유니티 웨이브 2022, 메타버스·디지털 트윈 등 미래 핵심 기술 공유
유니티 코리아가 5월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유니티 웨이브 2022(Unity Wave 2022)’ 행사를 개최했다. 유니티 웨이브 2022에는 유니티 엔진의 최신 기술 및 정보를 크리에이터들과 공유하고자 다양한 기술 강연과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 됐으며, ▲유니티 엔진 ▲게임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5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유니티와 협업한 유수 기업들의 실제 활용 사례와 노하우가 소개됐다. ■ 이예지 기자     유니티는 게임, 애니메이션,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 메타버스 프로젝트 등 모든 종류의 콘텐츠를 만들 때 유니티를 활용해 방향을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지원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에 맞춰 유니티 엔진은 게임 개발을 넘어 비주얼 콘텐츠, 제조, 건축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최신 안정화 버전인 유니티 2021 LTS에서는 워크플로 개선, 품질 향상, 그래픽 개선, 다양한 플랫폼 지원 등에 초점을 맞췄다. 유니티 코리아의 김범주 본부장은 “유니티 엔진은 다양한 방향과 목표를 가진 프로젝트에 적합한 툴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폭넓은 분야에 범용적으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워크플로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반복 작업을 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기능 개선과 함께 코딩, 비주얼 스크립트/비주얼 그래픽 시스템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사람이 유니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유니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부터 분야별 사례 및 동향 소개 이번 행사의 디지털 트윈 세션에서는 메타버스 활용 사례부터 디지털 트윈 구현 기술 사례, BIM을 이용한 사이버 모델하우스 제작 플랫폼 개발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이 진행됐다.   IT 업계의 관심사로 떠오른 메타버스에 대해 집중 조명 ‘메타버스 시대, 시스템 개발 전략’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맡은 유니티 코리아 오주용 팀장은 메타버스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기능과 요소들을 소개하고, 메타버스 시대의 개발 전략에 대해 전했다.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하는 메타버스는 유저에게 새로운 경험을 전달하는 기능 중 하나로, 이를 활용해 통합적인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오주용 팀장은 “최근 게임 산업뿐 아니라 건설, 제조 산업에서도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기업에서는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회사가 운영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을 갖추는 것이 메타버스 시대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메타버스는 궁극적으로 3D 파이프라인이라는 중앙체계에서 단일 시스템, 모듈화,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는 기술이다”라며, “즉 프로세스를 연결한다는 것은 비즈니스의 벨류체인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는 메타버스 시대에 추구해야 하는 목적이고 목표이다”고 전했다.   ▲ 유니티 코리아 오주용 팀장   건설 산업의 메타버스 적용 사례 및 전망 최근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며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새로운 경험 기반의 메타버스 시대로의 전환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외 건설사들도 VR, AR, 디지털 트윈, 라이프로깅 기술이 접목된 메타버스를 건설 전 과정에 도입하기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 노력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명배 연구위원은 “건설 산업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획/설계, 시공/유지관리, 재난/재해, 교육 및 협업 등 전 단계에서 접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이와 함께 XR 기반의 원격 협업 플랫폼 개발 및 실용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명배 연구위원   사실감을 극대화한 사이버 모델하우스 이번 행사에서 대우건설 정명호 팀장, 정헌재 사원은 설계/시공 단계에서 제작되는 레빗 파일을 Unity Editor(유니티 에디터)로 불러와 체험형 사이버 모델하우스를 구현한 ‘메타갤러리’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했다. 대우건설이 메타갤러리를 개발하게 된 배경에 대해 대우건설 정명호 팀장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이 되는 사이버 공간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니즈가 있었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됐다”고 전했으며, “BIM과 자유로운 호환이 가능하고, 동일한 품질 기준으로 봤을 때 유니티로 작업을 하면 끊기는 현상 없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기 때문에 유니티 엔진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 대우건설 정명호 팀장   대우건설이 개발한 메타갤러리는 기존 ‘메타버스 모델하우스’나 ‘사이버 모델하우스’와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큰 차이점은 1인칭 시점으로 게임을 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가상공간을 직접 돌아다니며 현실감 있게 모델하우스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대우건설 정헌재 사원은 “메타갤러리는 3차원 BIM 모델을 기반으로 해 현실감 있는 가상공간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유니티 엔진을 활용해 사용자는 1인칭 시점으로 게임을 하는 것과 같이 위치와 시점을 이동하고 문을 개폐하는 것과 같은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공간을 이동하며 각종 분양 옵션 제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시용 상품 여부도 클릭 한번으로 확인 가능하다.   ▲ 실물 견본주택과 가상 견본주택의 차이점   유니티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구축 조선소는 설계, 용접, 도장 등 전통 제조 기술 영역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라인생산이 아닌 조선업은 아직 사람의 손으로 많은 업무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공정을 예측하고 미리 대응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대우조선해양은 디지털 트윈과 스마트 공장을 구축해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앞장서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박건일 책임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은 유니티와의 협력으로 작업장 및 적치장 배치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로직을 수립하고 실제 데이터 적용을 위한 기술검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으며, “기술 검증을 통해 시설물 및 공간적 제약사항과 실제 야드 데이터를 반영해 현장의 사실적 3D를 구현해 내고, 운반 기기의 이동과 적치장 내 블록 배치에 대한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동 로직 개발 및 스마트 야드의 확대 영역 검토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 유니티 웨이브 2022 현장 모습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2-06-02
빌딩스마트협회, BIM공모전 'BIM 어워드 2021' 수상작 발표
국토교통부장관상 수상자로 비전부문 서울주택도시공사,   일반부문 현대건설, 학생부문 인천대학교(이성진) 선정 빌딩스마트협회가 국내 최대의 BIM 공모전인 ‘BIM 어워드 2021’에서 국토교통부장관상에 ‘비전부문’에는 서울주택도시공사, ‘일반부문’에는 현대건설, ‘학생부문’에는 인천대학교(이성진)를 선정하였다.  협회는 2009년부터 건설 분야의 BIM 활성화에 기여한 단체 및 개인을 발굴하고 시상하여 한국 건설산업의 선진화 및 경쟁력 향상, BIM 기술의 올바른 활용 및 확산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BIM 어워드 2021은 국토교통부 후원으로 빌딩스마트협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주최하였으며 심사는 10월 19일에 심사위원(위원장 권오철 대림대학교 교수)들의 심사 및 심층 논의를 통하여 ▲대상(국토교통부장관상) 3점 ▲최우수상(빌딩스마트협회장상 2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상 2점) 4점 ▲우수상 6점 ▲장려상 9점 ▲특별상(아키캐드상) 2점 등 장관상 및 수상작 총 24점이 선정됐다. 심사결과 대상은 총 3점이 선정되었으며, ‘비전부문’에는 서울주택도시공사, ‘일반부문’에는 현대건설(주), ‘학생부문’에는 인천대학교(이성진)가 선정되어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최우수상은 총 4점으로 그 중 빌딩스마트협회장상 ‘일반부문’에는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학생부문’에는 한동대학교 정재홍, 조서연, 박가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상 ‘일반부문’에는 금문철강, ‘학생부문’에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지은, 강승완이 선정됐다. 우수상은 총 6점으로 ‘일반부문’ 3점, ‘학생부문’ 3점이 선정됐으며 장려상은 ‘일반부문’ 4점, ‘학생분야’ 5점 등 9점을 선정했다. 특별상은 총 2점으로 아키캐드상 ‘일반부문’ 1점, ‘학생부문’ 1점을 선정했다.   대상(국토교통부장관상) Vision부문 - 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BEST 2030비전”   IM AWARDS 2021 수상작 명단 수상명 구분 수상자명 작품명 대상 3 국토교통부 장관상 3 비전1 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BEST 2030 비전 일반1 현대건설 스마트건설, 현대건설의 Bespoke 전략 학생1 인천대학교 / 이성진 연결과 틈의 도서관 최우수상 4 빌딩스마트 협회장상 2 일반2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BIM을 통한 데이터센터 설계의 전문성 및 생산성 강화 학생2 한동대학교 / 정재홍,조서연,박가영 BIM을 활용한 모듈형 음압병동 설계 최적화 한국건설기술 연구원장상 2 일반2 금문철강(주) BIM을 활용한 PSM교량 철근선조립 학생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김지은,강승완 Green Business Town 우수상 6 우수상 6 일반3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BIM 비사용자와 co-work을 위한 효율적인 BIM 활용법 비아이엠팩토리, 롯데건설 디지털 협업 플랫폼을 활용한 BIM 프로세스 혁신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을지로 3 가구역 제 12 지구 업무시설 학생3 한동대학교 / 조선주,이요한,신윤정 Generative Modular Dormitory 인하공업전문대학 / 방경식,이주은 주거를 잃어버린 사람들을 위한 피난처 한양대학교 ERICA / 송소진,유채경,이선진 라온 힐조 장려상 9 장려상 9 일반4 ㈜대림, 디엘건설㈜,㈜코스펙이노랩 BIM기반 지능형 공사계획 수립기술 (주)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국립소방병원 건립공사 현대엔지니어링 BIM & 스마트건설기술 연계 및 고도화, 힐스테이트 여의도 (주)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주)대우건설 수원 영흥공원 BIM CM 프로젝트(건설사업관리에서의 BIM활용방안 제시) 학생5 한양대학교 ERICA / 김연후,손찬미,이채린 옹기종기(무궁화를 품은 한옥, 전주 시외버스터미널 재건축) 충북대학교 / 이의상,오승은,정한영 NEWSCHOOL 서울시립대학교 / 김영우,김형주,노호성 서울 메이드뮤지엄 리모델링 프로젝트 아주대학교 / 신현주,공영우 BIM 기반 FM 데이터-자산관리 자동화 연계 시스템 개발 동의대학교 / 이유정,김백준 빌딩풍에 완화를 위한 고층빌딩 디자인 설계 특별상 2 아키캐드상 2 일반1 (주)금문스틸텍, 현대스틸산업 BIM을 활용한 CFT복합기둥제작 학생1 경상국립대학교 / 황재영,강효정,차상민 건설현장사진, BIM을 만나다: BIM모델의 ViewPoint연동 기술을 통한 현장 사진정보의 활용방안   상세 수상작에 대한 내용과 이미지는 첨부 파일에서 확인 가능하다.  
작성일 : 2021-11-26
건설업계 구인랭킹, 삼성물산 1위, 현대건설·GS건설·DL이앤씨 '빅4'
현대엔지니어링, LT삼보,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계선… 부문별 1위   건설워커가 2021년 11월 건설사 취업인기순위를 공개했다. 건설워커 가 발표한 ‘11월 건설워커 랭킹’에 따르면, ​​삼성물산이 종합건설 부문에서 49개월 연속 부동의 1위를 기록했다. 현대엔지니어링(엔지니어링 부문), LT삼보(전문건설 부문),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건축설계·CM 부문), 계선(실내건축 부문)이 부문별 1위를 지켰다. 건설워커 랭킹은 월간 건설사 취업인기순위차트다. ​건설워커는 △구인정보 조회수 △키워드 검색량 △기업DB 조회수 △회원투표결과 등 자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구직자들의 취업선호도와 관심도를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매월 건설사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업계를 대표하는 종합건설 부문은 토건 시공능력평가 순위와 브랜드파워 등을 고려해 유의미한 데이터가 축적된 80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순위를 매긴다.   ​​​■ 종합건설 부문 톱30 올해 시공능력평가 1위인 삼성물산이 49개월째 취업인기순위 1위 자리를 지켰다. 다른 메이저 건설사들의 거센 도전에도 삼성물산(1위, 이하 괄호 안은 2021년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순위)의 아성은 '넘사벽'이다. 현대건설(2위), GS건설(3위), DL이앤씨(8위), 포스코건설(4위), 대우건설(5위), 롯데건설(7위), △HDC현대산업개발(9위), SK에코플랜트(10위), 한화건설(11위)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11위~30위는 △DL건설(12위) △호반건설(13위) △태영건설(14위) △대방건설(15위) △코오롱글로벌(16위) △계룡건설산업(18위) △한신공영(20위) △동부건설(21위) △금호건설(22위) △서희건설(23위) △우미건설(25위) △두산건설(28위) △한라(29위) △쌍용건설(30위)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31위) △KCC건설(32위) △효성중공업(33위) △반도건설(34위) △금강주택(36위) △중흥건설(40위) 순이다. ​■ 전문건설 부문 톱10 (괄호안은 주력업종) LT삼보(토공)가 35개월째 1위 자리를 지켰다. 이어 △구산토건(토공) △동아지질(보링·토공) △현대스틸산업(철강재설치) △특수건설(토공) △우원개발(토공) △다스코(금속창호) △흥우산업(수중·토공) △삼호개발(토공) △도양기업(토공·철콘)이 뒤를 이었다. ​지난달 신입 및 경력사원 공채를 진행한 동아지질이 6위에서 3위로 3계단 뛰어올랐다. ​​​■ 엔지니어링·감리·CM 부문 톱20 (괄호안은 주력분야) △현대엔지니어링(플랜트종합) △삼성엔지니어링(플랜트종합) △도화엔지니어링(토목종합) △한국종합기술(토목종합) △건원엔지니어링(CM) △유신(토목종합) △벽산엔지니어링(토목·플랜트) △동명기술공단(토목·건축) △삼안(토목종합) △건화(토목종합) 순으로 상위 10위에 올랐다. ​ 11위~20위는 △KG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토목/건축) △이산(토목종합) △선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토목/건축) △서영엔지니어링(토목종합) △태조엔지니어링(토목종합) △수성엔지니어링(토목종합) △동일기술공사(토목종합) △동부엔지니어링(토목종합) △경호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토목/건축) △다산컨설턴트(토목종합) 순이다. ​ ■ 건축설계·CM 부문 톱10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한미글로벌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순으로 톱10을 형성했다. ​ ​​​ ■ 실내건축(인테리어) 부문 톱10 △계선 △국보디자인 △다원앤컴퍼니 △은민에스엔디 △삼원에스앤디 △두양건축 △대혜건축 △엑사이엔씨 △엄지하우스 △한샘 순으로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실내건축 공종 시평액 순위(1~10위)는 △국보디자인 △다원앤컴퍼니 △은민에스엔디 △삼원에스앤디 △두양건축 △동일인테리어 △모투스컴퍼니 △대혜건축 △엑사이엔씨 △계선 순이다.
작성일 : 2021-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