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핸드헬드"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74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아메텍, 파로 테크놀로지스 인수 완료와 함께 3D 측정 기술 강화
아메텍(AMETEK)이 파로 테크놀로지스(FARO Technologies, Inc.) 인수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인수 금액은 주당 현금 44달러로, 인수 현금을 제외한 총인수가는 약 9억 2000만 달러(약 1조 2686억 원)에 이른다. 파로는 휴대용 측정 암, 레이저 스캐너 및 트래커, 소프트웨어 설루션, 종합 서비스 등을 포함한 3D 측정 및 이미징 설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파로의 정밀 제조 및 디지털 리얼리티 설루션은 다양한 시장에 공급되고 있으며, 연간 매출은 약 3억 4000만 달러(약 4688억 원)에 이른다. 인수 이후 파로는 아메텍의 전자 계측기 그룹 산하 초정밀 기술 사업부에 속하게 된다. 아메텍은 핸드헬드 3D 스캐너 및 휴대용 좌표 측정기(CMM) 업체인 크레아폼(Creaform), 광학 계측 장비 및 고정밀 광학 부품을 전문으로 하는 자이고 코퍼레이션(Zygo Corporation), 접촉식/비접촉식 측정 장비를 통한 정밀 가공 부품의 품질 관리 설루션을 제공하는 테일러 홉슨(Taylor Hobson), 정밀 디지털 및 아날로그 측정 프로브/센서/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생산하는 솔라트론 메트롤로지(Solartron Metrology), 레이저 프로젝션을 이용한 가이드 및 검사 설루션을 제공하는 버텍 비전 인터내셔널(Virtek Vision International) 등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파로를 추가함으로써 아메텍은 3D 측정 기술을 강화하는 한편, AEC(건축·엔지니어링·건설)를 포함해 산업 시장을 넓힐 수 있을 전망이다. 아메텍의 데이비드 A. 자피코(David A. Zapico)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전략적인 인수를 마무리하게 돼 기쁘며, 파로 테크놀로지스 팀이 아메텍의 일원이 된 것을 환영한다”면서, “3D 계측 및 디지털 리얼리티 설루션 분야에서 파로가 가진 선도적인 입지는 아메텍의 정밀 측정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매력적인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7-28
웨스턴디지털, 크리에이터와 게이머 위한 고속 대용량 스토리지 설루션 3종 발표
웨스턴디지털이 샌디스크(SanDisk) 및 WD_BLACK 브랜드의 플래시 스토리지 설루션 3종을 발표했다. 새롭게 발표된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 위드 USB4 포터블 SSD(SanDisk Extreme PRO with USB4 Portable SSD)’, ‘WD_BLACK SN7100 NVMe SSD’, ‘엑스박스용 WD_BLACK C50 확장 카드(WD_BLACK C50 Expansion Card for Xbox)’ 2TB는 높은 속도와 신뢰성, 대용량을 제공하며 전문가부터 일반 소비자의 폭넓은 디지털 스토리지 니즈를 지원한다.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 위드 USB4 포터블 SSD는 USB4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SSD로, 높은 속도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전문가에게 적합한 스토리지 설루션을 제공한다. 초고속 USB4 연결성과 함께 최대 3800MB/s 읽기 및 3700MB/s 쓰기 속도를 제공하며 신속한 파일 전송을 지원해 매끄러운 워크플로, 빠른 콘텐츠 접근, 원활한 3D 렌더링을 가능하게 한다. 신제품 포터블 SSD는 러기드한 실리콘 외관과 알루미늄 본체를 통해 일상적인 사용으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며, 유저에게 신뢰성에 대한 타협 없이 원활하게 파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P65 방수/방진 설계를 갖춰 비는 물론 물이 튀거나 엎질러지는 환경을 견딜 수 있으며, 실수로 떨어트리는 경우에 대비해 최대 2미터 높이에서 낙하 충격을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USB 3.2 및 USB 2.0 기기와 역호환되며 썬더볼트 4(Thunderbolt 4)를 지원한다.   ▲  WD_BLACK SN7100 NVMe SSD   게이밍에 특화된 WD_BLACK 라인업에는 게이머에게 최상의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성능과 용량을 겸비한 신제품 2종이 추가됐다. WD_BLACK SN7100 NVMe SSD는 메인스트림 게이머에게 지속적으로 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시각적으로 화려한 몰입형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PCIe Gen 4x4 디램리스 NVMe SSD이다. 웨스턴디지털의 최신 TLC 3D 낸드를 통해 최대 7250MB/s 읽기 및 6900MB/s 쓰기 속도(1TB, 2TB 모델 기준)를 지원하며, 이전 세대 SSD 대비 최대 35%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WD_BLACK SN7100 NVMe SSD는 더욱 큰 용량을 원하는 메인스트림 게이머를 위해 기존 게임 라이브러리에 새로운 게임이나 업데이트, 다운로드 가능한 기타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옵션을 제공한다. 이번 신제품 SSD는 노트북과 핸드헬드 게이밍 기기를 염두에 두고 설계됐으며, 이전 세대 대비 100% 향상된 전력 효율을 제공한다. 또한 게임플레이 스트리밍, 스피드런 캡처와 함께 최신 게임 엔진으로 콘텐츠를 생산하거나 드라이브에 대량의 데이터 쓰기 및 삭제 작업을 하는 게이머를 위한 2TB 모델 기준 1200TBW(총 쓰기 용량)에 이르는 내구성을 지원한다. 100GB 이상의 용량을 차지하는 게임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엑스박스용 WD_BLACK C50 확장 카드 2TB는 게이머들이 필요로 하는 스토리지 공간을 지원한다. 엑스박스용 WD_BLACK C50 NVMe SSD는 빠른 속도를 제공하며, 엑스박스 벨로시티 아키텍처(Xbox Velocity Architecture), 퀵 리줌(Quick Resume)을 비롯한 엑스박스 기능과 통합으로 원활한 게이밍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번 신제품은 엑스박스 시리즈 X|S(Xbox Series X|S)의 용량을 확장하고 더욱 많은 게임 타이틀을 설치할 수 있는 손쉽고 빠른 설루션을 제공한다. 엑스박스용 WD_BLACK C50 확장 카드는 공식 라이선스 제품으로, 엑스박스 콘솔에 장착하면 엑스박스 내장 스토리지와 유사한 성능을 지원한다. ‘엑스박스 게임 패스 얼티밋(Xbox Game Pass Ultimate)’ 1개월 이용권 및 ‘디스코드 니트로(Discord Nitro)’ 1개월 이용권과 함께 제공된다.   WD_BLACK SN7100 NVMe SSD, 엑스박스용 WD_BLACK C50 확장 카드 2TB는 현재 출시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 가능하다. WD_BLACK SN7100 NVMe SSD의 국내 소비자 권장 가격은 용량에 따라 500GB 11만 원, 1TB 16만 5000원, 2TB 33만 원이며 엑스박스용 WD_BLACK C50 확장 카드 2TB의 국내 소비자 권장 가격은 55만 원이다.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 위드 USB4 포터블 SSD는 2025년 하반기 출시를 앞두고 있다.
작성일 : 2025-02-18
한국레노버, 더욱 가벼워진 휴대용 게임 PC ‘리전 고 S’ 국내 공식 출시
한국레노버가 휴대용 게임 PC ‘리전 고 S(Legion Go S)’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리전 고 S는 AMD 라이젠 Z2 Go 프로세서 기반의 핸드헬드 게이밍 기기로 높은 휴대성을 앞세웠다. 8인치 디스플레이는 WUXGA(1920×1200) 16:10 화면비, 10포인트 터치스크린을 지원한다. 120Hz 주사율과 AMD 라데온 680M 그래픽을 적용해 두 손안의 화면에서도 부드럽고 선명한 게임 플레이를 뒷받침한다. OLED 퓨어사이트(PureSight) 디스플레이는 평균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보다 37% 넓은 시청 영역을 제공한다. 100% sRGB 색상 정확도와 500니트 밝기로 선명하고 세밀한 비주얼을 구현한다. 초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55.5Whr 배터리 또한 휴대성을 높였다. 항공사에서 승인한 65W 어댑터로 이동 중에도 안전하게 게임을 이어갈 수 있다. 16GB LPDDR5X 메모리와 512GB PCle Gen4 스토리지, 최대 2TB까지 확장 가능한 마이크로 SD로 넉넉한 저장 공간과 빠른 로딩 속도를 확보했다. 무게는 740g이다. 디스플레이포트 1.4와 듀얼 USB4 타입 C 포트로 도크, TV, 게이밍 모니터 등 주변 기기로 간편하게 확장할 수 있다. 와이파이 6E로 안정적인 무선 연결, 블루투스 5.3을 통해 컨트롤러와 헤드셋 등 게이밍 기기 연결도 가능하다.     리전 고 S는 인체 공학적 설계로 휴대용 게임 PC의 특성을 한층 강화했다. 일체형 디자인과 미끄럼 방지 텍스처로 그립감을 향상했고 트리거 스위치는 누름 정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FPS, 레이싱 등 게임별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피벗 D 패드(Pivot D-Pad)로 게이머가 익숙한 컨트롤러 환경에서 맞춤형으로 조이스틱을 조정할 수 있고, 리전 스페이스(Legion Space)에서는 직관적으로 게임 제어를 설정할 수도 있다. 레노버 고유의 발열 제어 기술 ‘리전 콜드프론트(Legion Coldfront)’ 또한 적용돼 쾌적한 디바이스 환경을 유지한다. 또한, 리전 스페이스에서 엑스박스(Xbox) 게임 패스, 게임스플래닛(Gamesplanet), 스팀(Steam), 에픽 게임스(Epic Games) 등을 통해 다양한 타이틀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다. 리전 고 S 구입 후 3개월 동안은 EA 플레이를 포함한 PC 게임 패스(PC Game Pass)를 3개월 동안 무료로 구독해 콜 오브 듀티, 인디아나 존스 등 인기 타이틀을 비롯한 수백 개의 PC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레노버 리전 고 S는 글래시어 화이트(Glacier White) 색상으로 출시되며, 국내 출시 공식 소비자가는 기본 모델 기준 89만 9000원이다. 한편 한국레노버는 이번 리전 고 S 출시를 기념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온라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2월 10일부터 오늘의 집과 쿠팡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각각 블루투스 키보드와 리전 도크(Legion dock, 70명 한정)를 사은품으로 증정한다. 한국레노버는 이번 신제품에도 고객 과실로 인한 파손에도 무상 수리를 지원하는 ‘우발적 손상 보장(ADP) 서비스’와 상시 대기하는 전문 엔지니어와 전화, 이메일, 채팅 등을 통해 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케어 서비스’를 각 1년간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한국레노버의 신규식 대표는 “레노버의 최초 휴대용 게임 PC이자 큰 인기를 끈 ‘리전 고’에 이어 게이머들이 어디서나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게임 경험을 이어갈 수 있도록 이번 신제품을 출시하게 되었다”면서, “더욱 치열해지는 휴대용 게임 PC 시장에서 리전 고 S가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과 콤팩트하지만 강력한 성능으로 한 번 더 레노버 리전 생태계의 큰 도약을 이루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2-10
젠하이저, 올인원 무선 마이크 시스템 프로파일 와이어리스 출시
젠하이저가 콘텐츠 크리에이터, 비디오그래퍼, 방송 전문가를 위해 편리함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2채널 올인원 무선 마이크 시스템 ‘프로파일 와이어리스(PROFILE WIRELESS)’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프로파일 와이어리스는 카메라 및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에 빠른 연결이 가능한 수신기와 2개의 클립온 마이크 송신기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충전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품은 2.4GHz의 무선 연결을 지원하며 최대 245m의 전송 범위를 보장해, 선명하고 끊김이 없는 고품질의 오디오을 담아낸다.     프로파일 와이어리스는 안정적인 콘텐츠 제작을 위해 최대 30시간의 내부 녹음이 가능한 16GB 내장 메모리를 탑재했다. 이를 통해 녹음 신호가 약해질 때 백업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한다. 또 녹음 과정에서 오디오가 신호가 왜곡될 수 있는 클리핑(clipp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채널 모드를 적용했다. 프로파일 와이어리스 수신기의 왼쪽 채널에서는 설정한 기본 사운드 레벨로 오디오를 출력하며, 오른쪽 채널에서는 더 낮은 레벨로 출력해 클리핑 현상이 발생할 시 대체 오디오를 확보할 수 있다. 프로파일 와이어리스의 다목적 충전바는 송수신기를 보관하고 충전할 수 있으며, 윈드실드를 부착해 인터뷰용 핸드헬드 마이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콜드 슈 마운트 어댑터를 지원하여 삼각대와 연결해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며, 3.5 mm TRS 잭을 지원해 라발리에 마이크 등의 추가 장비와도 유연한 활용이 가능하다. 프로파일 와이어리스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이 제품은 자이로 센서 기반 O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기기 방향에 따라 화면을 자동으로 회전해 편리한 촬영을 지원하며, 오디오 모니터링을 위한 전용 헤드폰 출력이 포함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녹음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사전에 페어링된 상태로 제공되어 빠르고 간편하게 녹음을 시작할 수 있다. 프로파일 와이어리스의 내장 배터리는 무선 전송 작업 시 약 7시간 동안 작동하며, 녹음만 진행할 때에는 약 14시간 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구성품에 포함된 마운트 클립과 의류 부착용 자석은 발화자가 옷감의 손상 없이 마이크를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품의 가격은 44만 9000원이다. 젠하이저의 헨드릭 밀러 방송 및 영화 제품 관리자는 “제품 개발 초기부터 크리에이터와 전문가의 요구를 면밀히 분석해, 이전보다 더 안정적이고 유연한 오디오 설루션을 개발했다”면서, “프로파일 와이어리스는 크리에이터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1-02
DJI, 크리에이터를 위한 ‘제10회 스카이픽셀 사진 및 동영상 대회’ 개최
DJI가 드론 사진 및 동영상 콘텐츠 공유 온라인 커뮤니티인 스카이픽셀(SkyPixel)과 ‘제10회 SkyPixel 사진 및 동영상 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11월 7일부터 2025년 2월 1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대회는 지난 10년간 전 세계 사진 및 영상 크리에이터가 각자의 독창적인 시각으로 촬영한 콘텐츠를 공유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이를 감상하면서 성장해 온 항공 촬영 이미지 커뮤니티의 발전 과정을 잘 보여준다. 올해는 핸드헬드 카메라를 이용해 자신의 재능을 뽐내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트렌드를 반영해 ‘핸드헬드’ 카테고리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또한 참가자들의 독창적인 재능을 인정하기 위해 준비된 총상금 규모는 약 2억 2000만 원(17만 달러) 이상이다.   2014년에 시작된 스카이픽셀은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훌륭한 스토리를 공유하는 글로벌 커뮤니티이다. 이 플랫폼은 5500만 명의 등록된 사용자와 전 세계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애호가들이 매일 올리는 5000만 개 이상의 항공 촬영 이미지와 동영상을 모으며 성공을 이뤘다. 스카이픽셀은 2015년부터 총 9회의 연례 항공 촬영 사진 및 동영상 대회를 개최해 왔다. 그 결과, 전 세계 40만 건이 넘는 작품이 제출되었고 총조회수는 10억 회를 넘어섰다.     제10회를 맞이하는 이번 대회에서 DJI와 스카이픽셀은 인간 표현의 무한한 잠재력을 중심으로 한 ‘한계를 넘어 탐험하라’라는 주제로 참가자들의 도전을 독려한다. DJI 제품 사용자들의 예술적 열정을 불러일으키고 더 많은 참여를 격려하기 위해 올해 대회의 카테고리는 항공 촬영 사진, 항공 촬영 동영상, 핸드헬드 동영상 3가지 부문으로 단순화되었다. 항공 촬영 사진과 항공 촬영 동영상 카테고리 외에 올해 대회에서는 새롭게 핸드헬드 동영상 카테고리가 추가되어, 지상에서 자신의 창의력을 뽐내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진다.  또한 이번 대회는 처음으로 참가자들이 모든 DJI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작품을 제출할 수 있도록 했고, 매달 새로운 트렌드나 혁신적인 예술을 탐구하는 작품을 선정해 인기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DJI는 전 세계에서 업계 최고 자리에 있는 비디오그래퍼와 포토그래퍼가 출품작의 심사를 맡는다고 소개했다. 스카이픽셀과 DJI는 3개 부문에서 대상을 수여하고, 80개 이상의 상품을 준비해 총 약 2억 2000만 원(미화 17만 달러) 상당의 상품을 대회 기간에 증정할 예정이다. 최고 작품상 대상 수상자에게는 DJI의 시네마 카메라와 드론 등의 상품이 제공된다. 모든 대상 수상자는 스카이픽셀 트로피와 함께 공식 ‘스카이픽셀 크리에이터’로 인증을 받는다. 전체 상품 목록은 스카이픽셀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DJI 매빅 3 프로, DJI 에어 3S, DJI 아바타 2, 오즈모 포켓 3 등이 상품에 포함된다. 모든 참가자는 DJI 스토어에서 사용 가능한 DJI 크레딧을 지급받을 예정이다. DJI의 페르디난드 울프(Ferdinand Wolf)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아름다움은 보는 사람의 시선에 달려 있다. 스카이픽셀 사진 및 동영상 대회는 지난 10년간 각지의 포토그래퍼와 비디오그래퍼가 자신만의 시각으로 세상을 담아 공유한 공로를 인정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해 왔다”면서, “앞으로도 스카이픽셀 플랫폼은 지속적으로 상상력을 자극하고 이미지 예술을 재정의하며, 전 세계 개인 및 커뮤니티에서 공유하는 다양한 경험을 포용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1-08
DJI, 신규 75mm F1.8 렌즈로 항공 영화 촬영 영역 강화
DJI가 DL 75mm F1.8 렌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미디엄 망원 렌즈인 DL 75mm F1.8 렌즈는 DJI의 DL 렌즈 중 가장 넓은 조리갯값과 최장 초점 거리를 지원한다. 이 렌즈는 인스파이어 3(Inspire 3) 시네마 드론의 젠뮤즈(Zenmuse) X9-Air 짐벌 카메라 전용 렌즈로 설계되었다. DJI는 이번 DL 75mm 렌즈의 출시로 자사의 렌즈 컬렉션이 초광각, 광각, 표준 및 미디엄 망원 초점 거리 렌즈를 모두 포함하며, 보다 폭넓게 영화 촬영 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긴 초점 거리의 DJI DL 75mm 렌즈를 이용하면 피사계 심도가 더욱 깊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제작자는 풍성한 디테일을 담은 자연 풍경은 물론 빠른 속도의 차량 추격전을 안전거리에서 클로즈업 촬영할 수 있으며, 모든 장면에서 다양한 구도로 등장인물을 촬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JI DL 75mm F1.8 조리개는 야간 또는 저조도 환경에서도 향상된 이미지 성능을 제공하며 더 얕은 피사계 심도로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배경을 블러 처리하는 스타일리시한 연출도 가능하게 해준다. 인스파이어 3의 듀얼 ISO(EI 800 & 4000)와 함께 사용할 경우 DL 75mm는 도시 야경을 투명한 화질로 재현하며, 항공에서 빛과 그림자의 매력을 담아낼 수 있다. DJI DL 75mm의 광학 설계는 9군 10매 구조이며 ED 렌즈 3매를 포함한다. 한편, UMC 코팅으로 내부 반사를 더욱 최소화하여 높은 콘트라스트와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 독특한 설계는 높은 선명도와 낮은 색수차를 제공해 세밀하고 화질이 뛰어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DJI DL 75mm는 항공 영화 촬영을 위해 최적화되었다. 특히 통합 탄소 섬유 하우징 디자인 덕분에 렌즈 무게가 269g밖에 되지 않아 인스파이어 3 시네마 드론의 초고속 제어 요건을 충족한다. 또한, 피치(pitch) 축 및 요(yaw) 축 카운터웨이트 블록은 드론의 짐벌이 비행 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DJI DL 75mm F.18 렌즈의 가격은 174만 1900원이다. 구성품으로는 렌즈, 렌즈 보호 글라스, 렌즈 카운터웨이트 링, 피치 축 카운터웨이트 블록, 요 축 카운터웨이트 블록, 스크루드라이버 및 나사가 포함된다. DL 75mm F1.8 렌즈에 대한 지원 및 다양한 개선사항과 버그 수정이 포함된 DJI 인스파이어 3의 신규 펌웨어는 9월 3일부터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DJI의 페르디난드 울프(Ferdinand Wolf)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DJI는 새로운 DJI DL 75mm 렌즈를 출시함으로써 항공 및 핸드헬드 영화 촬영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영화 산업에 혁신을 가져오고자 한다”면서, “민간용 드론 및 창의적인 카메라 기술의 선두 업체로서 DJI는 영상 제작자들이 전문적인 도구를 사용해 창의적인 잠재력을 표출하고 비전을 현실로 만들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DJI는 인스파이어 3를 위한 DJI 케어 프로(DJI Care Pro) 서비스 플랜이 젠뮤즈 X9-8K Air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든 공식 DJI 렌즈를 포함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DJI 케어 프로 플랜의 가격도 조정되어 1년 플랜은 135만 원, 2년 플랜은 248만 원에 제공된다. 이미 DJI 케어 프로를 구매한 DJI 고객은 플랜 유효 기간 동안 렌즈 보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2024년 8월 3일부터 9월 3일간 기존 가격으로 DJI 케어 프로를 구매한 DJI 고객은 판매처에 문의해 무료 DJI TB51 인텔리전트 배터리를 받아볼 수 있다.
작성일 : 2024-09-04
크레아폼 코리아, ‘이노베이션 포럼’에서 3D 측정 트렌드 및 신제품 소개
3D 측정 솔루션 공급사인 크레아폼(Creaform)이 산업계 측정 트렌드를 공유하는 한편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하는 ‘크레아폼 코리아 이노베이션 포럼 2024’를 6월 13일 개최했다. 크레아폼 이노베이션 포럼은 3년 연속 개최되고 있는 오프라인 행사로, 올해는 ‘3D 측정으로 혁신하는 제조 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포럼에서는 ▲디지털 측정의 혁신 ▲고객 애플리케이션별 3차원 측정 솔루션 활용 사례와 솔루션 선택 가이드 ▲3D 스캐너 활용 자동차 용접부 인라인 품질검사 자동화 솔루션 ▲버티컬 마우스 조작 성능 개선을 위한 솔루션 및 ▲측정 자동화 혁신을 위한 안내 등의 내용이 소개됐다. 최근 크레아폼은 ‘혁신의 실현’이라는 신규 브랜딩을 발표했다. 새 브랜딩에 대해 크레아폼은 “직관적인 스캔 및 측정을 통한 만족감, 스캐너를 통한 고객 문제 해결에 주목하면서,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 핸디스캔 블랙+ 엘리트   한편, 이번 행사에서는 크레아폼의 신제품도 소개됐다. 핸디스캔 블랙+ 엘리트(HandySCAN BLACK+|Elite)와 핸디스캔 실버(HandySCAN SILVER), 핸디스캔 실버 엘리트(HandySCAN SILVER|Elite)는 향상된 정밀도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핸디스캔 블랙+ 엘리트는 0.020mm + 0.015mm/m의 최적화된 공간 정확도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플렉스 볼륨(Flex Volume)을 통해 더 큰 스캐닝 측정 볼륨을 제공하며, 근거리(200mm)에서 원거리(700mm)까지 스캔 가능 거리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핸디스캔 실버 시리즈는 제품 개발에 특화된 3D 스캐너로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함께 해상도가 향상돼 복잡한 형상 스캔을 지원하며, 다양한 표면 유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해 활용도를 높였다.   ▲ 메트라스캔 블랙+   광학 CMM 3D 스캐너인 메트라스캔 블랙+(MetraSCAN BLACK+)와 메트라스캔 블랙+ 엘리트(MetraSCAN BLACK+|Elite)는 ISO 10360 인증을 추가하여 정교한 측정을 요구하는 품질 관리에 특화된 제품으로, 대형 부품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능을 강화했다. ‘자동화 키트 솔루션’은 크레아폼의 핸드헬드 3D 스캐너 라인업을 자동화 측정 솔루션으로 변환하고 코봇,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및 워크스테이션과 결합해 경제적인 품질 관리 경험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솔루션이다.   ▲ 자동화 키트 솔루션   크레아폼 사업부의 김건아 본부장은 이번 행사에 대해 “최근 화두인 디지털 트윈과 함께 제조업 측정 혁신 기술을 담은 신제품 소개와 제조 산업에 적용하고 있는 측정 산업계의 노력을 활발히 공유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작성일 : 2024-06-14
헥사곤, 창원 국가산업단지 재도약 지원할 이노베이션 센터 개관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헥사곤 MI)가 제품 설계와 생산 및 품질 검증까지 포괄하는 헥사곤의 엔드 투 엔드 토털 솔루션 도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헥사곤 이노베이션 센터를 창원시에 개관한다고 발표했다. 헥사곤 MI는 새로 개관한 센터를 동남권 중심 거점으로 삼아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자동차, 조선·해양, 항공우주 등 새로이 수요가 개척되어 발전하는 분야의 기업과 협업해 과거 제조업 중심의 창원국가산단이 미래형 산업단지로 발전 전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지정 50주년을 맞은 창원국가산단은 창원특례시에서 적극적으로 구조재편을 추진하여 미래 성장 동력 창출과 혁신 성장 전환 가속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 중이다. 지방자치단체인 창원시와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힘을 합쳐 미래지향적 비전 및 전략을 새로 세우고 국립창원대학교는 새로운 산업 방향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할 예정이다. 헥사곤은 창원 소재 기업과 연구 및 제조 시설에 공정 전반에 걸친 디지털 전환 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헥사곤 이노베이션 센터 개관을 통해 지역 기업인, 기업 종사자, 잠재 인재와 교류하며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새로 구축한 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해 국립창원대를 비롯한 인근 교육기관과 다양한 R&D 프로젝트,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현장 중심형 커리큘럼 개발 및 수요기업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과 교류를 계획하고 있다.     국립창원대의 박민원 총장은 “창원국가산업단지의 미래 발전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서 우수 인력 공급이 매우 중요하다”며, “지자체와 대학만의 독자 노력으로 이를 이루는 것이 어려운데, 헥사곤과 같은 우수한 지식과 경험 자원을 지닌 민간 기업의 참여는 지역 내에서 꼭 필요하고, 실무에 바로 투입 가능한 실력 있는 인재를 육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창원시의 류효종 기획조정실장은 “우리나라 경제부흥기를 앞장서 이끈 창원국가산단이 신개념 혁신 산업단지로 재편되어 진해신항과 가덕도 신공항의 첨단 물류 수요를 주도적으로 담당하고, 나아가 창원시가 첨단 제조, 엔지니어링, 국제 물류가 한 플랫폼 속에서 움직이는 제조·물류 초융합 도시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며, “새롭게 개관한 헥사곤 이노베이션 센터가 창원의 산업·물류 서비스 혁신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고 동시에 우수 인재 육성 및 공급에도 큰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코리아의 성브라이언 사장은 “올해로 50주년을 맞은 창원국가산단은 과거 자동차 부품, 철강, 금형 등 제조 분야에서 방산, 우주항공 등으로 재편의 기로에 있다”며, “이미 세계 유수 기업이 검증한 헥사곤의 엔드 투 엔드 통합 솔루션과 노하우로 시장 변화에 보다 빠르게 적응하여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헥사곤은 이노베이션 센터에서 원스톱 디지털 전환 컨설팅에서 솔루션 체험까지 수도권 본사 방문 없이 최신 기술 및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도록 고정식 측정기 Global S 와 레이저 스캐너 센서 HP-L-10.10, 현장용 측정기 TIGO SF, 다중센서 및 광학식 측정기 OPTIV, 이동식 측정기의 경우 구조광 스캐너 SmartScanVR800, ZG 스캐닝 핸드헬드, 다관절 측정기 Absolute Arm, 3D 레이저 스캐너 Absolute Scanner AS1-XL, 자율이동 로봇 AMR을 결합한 레이저 트래커 등 총 9대를 구비하여 시연해 볼 수 있게 하고, 교육 시설을 확장하는 등 시설 정비를 마쳤다.
작성일 : 2024-03-04
JEAMM 700, JEAMM M1 : 제품 검사용 고정밀 핸드헬드 레이저 3D 스캐너
개발 : DUUMM 주요 특징 : 산업용 레벨의 최대 0.01mm 정확도의 블루 레이저 핸드헬드 3D 스캐너, 최대 90만 포인트의 빠른 스캔 속도, 3개의 스캐닝 모드를 지원하는 멀티 모드 스캔, 대형/정밀 제품의 스캔 지원, 실시간 스캔 이미지 표시 및 5분 이내 스캔 데이터 생성 등 공급 : 드림티엔에스     JEAMM King Scan 시리즈는 최신 광학 측정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고정밀 휴대용 3D 레이저 스캐너이다. 최대 0.01mm로 산업용 레벨의 정확도와 최대 90만 포인트의 빠른 스캔 속도로 정확하게 대상물을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멀티 모드 스캔을 통해 재질에 상관 없이 실시간 스캔 작업이 가능하며, 휴대가 편리하고 사용성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밀한 구조 스캐닝이 가능하여 자동차, 항공, 금형, 제조 및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품질 관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레이저 등급은 Level II Class이며 인터페이스는 USB 3.0을 적용했다. 출력 파일 형식은 메시 파일 형식인 stl, obj, ply, dae, fbx, ma, wrl, x3d, x3dz, zpr과 포인트 데이터 형식인 txt, asc, xyz, pnt, igs, iges, csv 파일로 추출할 수 있다.     ▲ JEAMM King Scan으로 스캔하는 모습   소프트웨어에서 직접 핸들링하지 않고 스캐너에 있는 리모컨 모드를 사용하여 스캐너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 리모컨 모드 사용   스캐너에 있는 버튼을 조작해 스캐닝 모드 변경이 가능하며, 정밀 스캐닝 모드를 사용하면 더욱 정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 정밀 스캐닝 모드로 스캔 작업   애플리케이션 검사(Inspection) 모든 제품의 품질 관리에서 필요한 단계 검사 소프트웨어(PointShape Inspector) 사용 제품의 스캔 데이터와 설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검사 편차, 뒤틀림, 휨, 단면, 치수 확인 제품 양산 전 디자인 검토 및 수정 가능 제품의 경향 분석 및 경쟁업체의 제품 분석     역설계(Reverse Engineering) 제품 설계 기술을 재현하는 프로세스 분석 및 연구를 위한 제품을 대상으로 함 제품 처리 흐름, 조직 구조, 기능적 특성 및 기술 사양 기타 설계를 추론하고 추출하는 역분석 및 리서치 분야 높은 품질과 정확한 스캔 데이터에 따라 역설계 결과물의 차이 발생 완제품 분석을 통해 제품 역설계 품질 향상     JEAMM 700 스캐너 레이저 소스 : 14 Red Laser Line 레이저 등급 : Level II Class(Eye-safe) 스캐닝 모드 : Normal(기본) , Deep Hole(홀 스캔 용도) 스캔 속도 : 초당 600,000 포인트 해상도 : 0.05mm 정확도 : 최대 0.02mm 출력 파일 메시 : stl, obj, ply, dae, fbx, ma, wrl, x3d, x3dz, zpr 포인트 : txt, asc, xyz, pnt, igs, iges, csv 인터페이스 : USB 3.0   ▲ JEAMM 스캐너를 구동하는 3D 스캐닝 소프트웨어, JEAMMWare   JEAMM M1 스캐너 레이저 소스 : 22 Blue Laser Line 레이저 등급 : Level II Class(Eye-safe) 스캐닝 모드 : Normal(기본), Fine(정밀), Deep Hole(홀 스캔 용도) 스캔 속도 : 초당 900,000 포인트 해상도 : 0.01mm 정확도 : 최대 0.01mm 출력 파일 메시 : stl, obj, ply, dae, fbx, ma, wrl, x3d, x3dz, zpr 포인트 : txt, asc, xyz, pnt, igs, iges, csv 인터페이스 : USB 3.0     ▲ JEAMM 스캐너로 스캔한 샘플 데이터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1-31
CAD&Graphics 2023년 2월호 목차
  15 THEME. 2022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시장조사 Part 1. 2023년 경제 및 주력산업 전망 Part 2. MDA/PDM 분야 Part 3. CAE 분야 Part 4. AEC 분야 Part 5. PLM 업계 인터뷰  오토데스크코리아 김동현 대표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오병준 한국지사장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김태환 부회장   INFOWORLD   Case Study 47 엔지니어링 및 설계 컨설팅 회사, 노르컨설트 AEC 설계 검토에서 VR로 병목 현상 제거 50 아프리카 유적지를 디지털로 보존한 자마니 프로젝트 트윈모션 및 리얼리티캡처로 고품질 디지털 복제본 구현   New Products 55 기계 장비 설계 전용 초고속 3D CAD iCAD Plus 58 제품 검사용 고정밀 핸드헬드 레이저 3D 스캐너 JEAMM 700, JEAMM M1 61 그래픽스 제작의 확장성 향상 및 플랫폼 최적화 유니티 2022.2 테크 스트림 76 이달의 신제품   Focus 66 인텔, 4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로 다양한 워크로드의 성능 향상 지원   On Air 68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플랜트, 스마트시티, PM의 오늘과 내일 69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엔비디아 H100 GPU 도입 검토를 위한 A to Z 웨비나   Column 70 트렌드에서 얻은 것 No. 14 / 류용효 2023 소비·라이프 트렌드 73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개인 디지털 전환 2023   79 New Books   Gallery 82 에픽 메가그랜트 2022년 산업 분야 선정작   CADPIA   Reverse Engineering 86 이미지 정보의 취득, 분석 및 활용 (2) / 유우식 단위(비교의 기준)   Analysis 93 전압 및 전류 밀도 해석으로 제품의 안전성 향상 / 김미정 SIwave의 DC IR 전압 강하 시뮬레이션 98 국산 차세대 CFD 소프트웨어의 도전 / 류제형 NFLOW LBM의 특징과 CAE 적용 분야   Mechanical 102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9.0 (7) / 박수민 손상된 중립 파일을 솔리드화하기   Manufacturing 108 NCG CAM 기능을 이용한 3D CAM 작업 (5) / 김민관 황삭 가공 전략과 평면 영역 가공   AEC 113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레빗 다이나모 소개 및 JSON에서 레빗 BIM 객체 생성 코딩하기 118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4) / 최영석 Express Tools 기능 소개 112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3 (9) / 천벼리 데이터 링크   PLM 125 제조기업의 미래를 위한 PLM 이야기 (1) / 김성희 변화하는 시대 그리고 PLM의 변화      
작성일 : 202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