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한국폴리텍대학"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39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포커스] 한국생산제조학회 2025 춘계학술대회, 생산제조 기술의 미래를 논의하다
한국생산제조학회가 대한민국 생산제조 기술 혁신을 위한 ‘2025 한국생산제조학회 춘계학술대회’를 7월 16일부터 19일까지 강릉 세인트존스 호텔에서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는 20개 학술부문과 특별세션에서 총 40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양자역학 및 반도체 등 새로운 기술과 국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신산업 정책에 대한 산업계 전문가의 특별초청강연과 포럼이 진행되었다. ■ 최경화 국장     이번 대회의 중심 의제는 생산제조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미래 경쟁력 확보였다. 특히 AI 기반 스마트 공장, 디지털 바이오 융합, 친환경·경량 소재, 로봇자동화 등 고도화된 첨단기술 기반의 생산제조 기술과 산업의 전략적 연계가 집중적으로 조명되었다. 한국생산제조학회 유영은 회장(한국기계연구원)은 “올해는 창립 3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이다. 우리 학회는 4000여 회원들의 헌신과 참여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생산제조 분야를 대표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는 자율제조와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메타버스와 데이터 기반 산업 생태계가 빠르게 성장하는 중요한 시기”라면서, “이번 학술대회가 연구와 2025/8산업 활성화를 모색하는 뜻깊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반도체·양자기술 집중포럼, 산업 실용성과 신정책 조명 업계와 학계 전문가가 모여 주요 기술 이슈와 정책 방향을 논의한 집중포럼은 이번 대회의 핵심 세션으로 꼽혔다. ‘집중포럼 Ⅰ’에서는 반도체 EUV(극자외선) 기술을 주제로, 한국폴리텍대학 이동진 교수가 ‘EUV 설비 하드웨어 개선’을, 이솔 김태중 상무는 ‘EUV 마스크 검사장비 설계 기술’을 발표하며 반도체 장비 국산화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집중포럼 Ⅱ’의 주제는 양자기술이었다.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심창섭 실장은 산업부의 양자 관련 정책 동향을 발표했고, 한국기계연구원 김병주 박사는 양자 분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술 동향을 공유했다. 또한 포스코홀딩스 허창훈 박사는 단기 응용 가능한 양자컴퓨팅 기술이 산업에 미칠 영향력에 대해 글로벌 시사점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집중포럼 Ⅲ’에서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백성진 국제협력단장이 글로벌 산업협력 사업을 소개하며 국내 기술의 글로벌화 전략과 기업·정부 간 협업 노하우를 공유했다. 또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신산업정책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특히, 미·중 전략경쟁 심화 속에서 대한민국 제조업이 직면한 위기와 기회를 조명하고, 새로운 산업정책과 대응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특별초청강연 두 편과 전문가 포럼이 마련되며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첫 번째 특별초청강연은 관세법인 탑스 황선경 관세사가 맡아 ‘트럼프 관세정책과 보호무역주의, 관세행정 대응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진 두 번째 특별초청강연에서는 산업연구원 문종철 연구위원이 ‘신산업정책 연구 : 미·중 전략경쟁 시대 신 산업정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강연 후 이어진 전문가 포럼에서는 통상, 기술, 정책 분야의 핵심 인사들이 참여해 보다 구체적인 대응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포럼은 아주대 이문구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강연자로 참여한 황선경 관세사, 문종철 연구위원 외에도 박근석 PD(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이기녕 단장(한국산업기술진흥원), 노승국 책임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이 패널로 참여했다. 패널들은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가 한국 수출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이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방향, 신산업 R&D 투자 확대 필요성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토론을 진행했다.     AI, 로봇, 3D프린팅 등 차세대 제조기술 강연 및 세션 다채롭게 진행 산학 연계를 중심으로 실증 가능한 기술 공유와 미래 인재 양성 방안을 담은 다양한 세션도 마련됐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AI 기반 제조기술 강습회 ▲Handson 반도체 팹 튜토리얼 ▲3D 프린팅 기반 디지털 바이오 융합 ▲로봇 및 자동화 설계 강연이 진행됐으며, KIAT(한국산업기술진흥원)와 함께하는 신진 연구자 하이테크 세션과 청년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루키 생산제조 엔지니어 세션’ 등이 유익한 실무 중심 프로그램으로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들 프로그램은 단순한 이론 발표를 넘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기반 기술의 운영 사례와 산업 정책 흐름을 연결했다는 점에서 실용성과 확장성 모두를 갖췄다.   학회 간 교류와 발표세션 통한 공동 연구 생태계 강화 생산제조 관련 학회 간 기술 교류와 공동 연구 기반 확대를 위한 ‘관련 학회 연합 발표 세션’도 마련되었다. 이 자리에는 한국생산제조학회 유영은 회장, 한국기계가공학회 안동규 회장, 한국소성가공학회 이영선 회장이 참여하여 각 학회의 연혁, 주요 연구 주제, 사업 등을 소개했다. 발표 세션에서는 한국기계연구원 노승국 박사가 ‘국산 CNC 제어시스템 개발’, 장원석 박사가 ‘나노 구조의 초단펄스 레이저 폴리싱’, 솔루션랩 이경훈 대표가 ‘MBD(Model-Based Development)를 활용한 설계 및 제조 프로세스 통합’에 대해 소개해 호응을 얻었다.   기술 전시 부스 운영, 산·학·연 현장 기술 소통 장 마련 학술 발표 외에도 다양한 기업 및 기관이 산학협력 기술 전시관을 통해 참여해 현장과의 연결성을 강화했다. 강원대학교, 단국대학교,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한국자동차연구원 등 연구기관들은 관련 연구성과와 정부 사업을 소개했으며, 3D 프린팅 및 정밀 설루션 전문 기업인 크렐로, EOS 한국지사, 스팀솔루션, 썸텍비전, 네오나노텍 등이 참여해 자사 첨단 기술이 반영된 제품과 서비스를 시연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8-04
2023년 기계·로봇연구정보센터 연감
2023년 기계·로봇연구정보센터 연감 [1] 분야별 연구동향 1) ICRA 2023 논문을 통해 본 로봇분야 연구동향 1 2) Journal of Fluids Engineering 논문을 통해 본 유체공학 분야 최근 연구동향 26    [2] 기계·로봇 연구동향 1) 키리가미 구조를 이용한 스트레처블 에너지 하베스터 / 송지현 교수(단국대 기계공학과) 48 2) 대한민국 우주발사체 개발의 메카 나로우주센터의 추진기관 시험설비 / 김채형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57 3)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한 우주 발사체 개발 동향 / 김채형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62 4) 기계 상호작용에 따른 신경계 질환 후 운동제어(근육 간 협응)의 차이 / 박정호 박사(한국과학기술원)    68 5) 롤투롤 (Roll-to-Roll) 연속생산제조시스템 정밀 웹 이송 및 디지털 트윈 핵심기술개발 / 김재영 박사(한국기계연구원)    76 6) 운동 기능 향상을 위한 근육 간 협응 기반 훈련 및 관련 기계 기술 / 박정호 박사(한국과학기술원)    81 7) 로봇을 이용한 뇌성마비 환자의 재활 연구 / 강지연 교수(GIST융합기술원)    89 8) 임상 검진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기계 및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 박정호 박사(한국과학기술원)    94 9) 재사용 우주 발사체 개발 동향 / 김채형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101 10) 빛에서 찾는 감아차기 슛, 광스핀홀 효과의 기초와 연구 동향 / 김민경 교수(GIST 기계공학부)    106 11) 소프트 로봇의 웨어러블에서의 적용 / 정화영 박사 (KAIST 기계공학과 생체기계연구실)    113 12) 반도체 패턴 웨이퍼 전면적 계측검사를 위한 분광 타원계측기술의 패러다임 변화 / 황국현박사(전북대학교)    120 13) 종이접기 트랜스포머블 휠 프로젝트 / 이대영 교수(KAIST 항공우주공학과)    130 14) 랜드마크를 활용한 차량 위치 추정 / 김주희 교수(창원대학교 로봇제어계측공학전공)    135 15) 스마트미터링을 이용한 지역난방 온수 사용량 분석 / 임태수 교수(한국폴리텍대학 기계시스템과)    143 16) 열화학 열저장의 개념 및 TCM 반복 실험을 위한 장치 설계 / 임태수 교수(한국폴리텍대학 기계시스템과)    150 17) 소형 발사체 시장 변화와 개발 동향 / 김채형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156 18) 발사체 상단 엔진 개발 동향 / 김채형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162    [3] M-Terview 1) 원자력 안전안보 연계를 위한 원전 통합 관리 연구 / 임만성 교수(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168 2) 투명 마찰전기 나노발전기와 태양광 발전소자와의 집적 / 조대현 교수(경상국립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176 3) 정적응축 축소기저요소법을 사용한 신속 정확한 대규모 구조 해석 / 이경훈 교수(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180 4) 자기장 구동 및 초음파 통합시스템 / 박석호 교수(DGIST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185 5) 폐기물 열적변환기술을 통한 재활용 기술 연구 / 남형석 교수(경북대학교 기계공학부)    192 6) 국제 4족 로봇 자율보행 경진대회 우승, 보행로봇의 자율이동 기술 연구 / 명현 교수(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198 7) 미래 기술을 향한 도전, 가스터빈/스텔스 원천기술 국산화에 기여 / 조형희 교수(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205 8) 제어공학을 통해 보는 새로운 메커니즘의 개발과 모션의 구현 / 오세훈 교수(DGIST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214 9) 다양한 환경에서의 로봇의 매니퓰레이션 및 모션 제어 연구 / 황면중 교수(서울시립대 기계정보공학과) 220    [4] 스페셜 인터뷰​   1) 유연 압전 물질 기반의 생체신호측정 센서 제작 및 특성 평가 / 이건재 교수(KAIST 신소재공학과) 229 2)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용 전자 소자, Oxide TFT / 박상희 교수(KAIST 신소재공학과) 239    [5] 신진연구자 인터뷰 1) 열전 효율과 신축성 동시 향상을 위한 소재 및 소자 연구 / 장두준 박사 (KIST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243 2) 소프트 다공성 물질 연구 / 정소현 교수 (서울대학교 미래인재 교육연구단)    250 3) 마이크로/나노 소재 조립을 위한 본딩 및 디본딩 공정 연구 / 강수민 박사(한국기계연구원)    255 4) 융복합적인 신뢰성 평가 연구 / 이용석 교수(명지대 기계공학과/반도체공학과)    261 5) 수소에너지 기기용 박막 전극의 기계적 신뢰성 / 표재범 교수(공주대 기계자동차공학부)    267 6) 미세유체를 이용한 자유롭게 변형하는 모핑 시스템 / 하종현 교수(아주대 기계공학과)    272 7) 웨어러블 열적 전자 피부 연구 / 이진우 교수(동국대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277 8) 수술로봇 및 정밀조작 연구 / 황민호 교수(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282 9) 족형 로봇의 자율 운용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인호 교수(부산대 전자공학과)     286 10) 금속 3D 프린팅 기술의 공정 모니터링 및 제어 연구 / 정지훈 박사(Northwestern University 기계공학과)    291 11) 재생에너지 기반의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 연구 개발 / 최원재 교수(이화여자대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295 12) 인간중심 인터랙티브 기술 연구 / 윤상호 교수(KAIST 문화기술대학원)    300 13) 극한 열전달 냉각기술 및 열메타물질 / 이남규 교수(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304 14) 유연하고 자율적인 제조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 윤희택 교수(KAIST 기계공학과)    312 15) 고해상도 실시간 3D 복원기술을 위한 스캐닝 시스템 개발 연구 / 현재상 교수(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316 16) 항공용/발전용 가스터빈 고온부품 열설계 원천기술 연구 / 방민호(인천대학교 기계공학과) 321    [6] 2023 학술행사 참관기 1) 하노버메세 (Hannover Messe) 2023 산업박람회 참가기 328 2) International Symposium on Special Topics in Chemical Propulsion-13 (ISICP-13) 참관기    334 3) HPC 2023 (14th IEA Heat Pump Conference 2023) 학술대회 참관기 340    [7] 생활 속의 공학이야기 1) 적층형 3차원 메타 물질 제작 345 2) 3차원 메타 물질 제작을 위한 공정 기술 중 정렬 마크 디자인    345 3) 3차원 메타 물질 제작을 위한 공정 기술 중 스테이지 정렬 오차 보정    346 4) 3차원 나노공정법을 이용한 메타 물질 제작    348 5) 커피 잔을 들고 걸을 때 커피를 쏟는 이유    349 6) 스트레처블 디바이스(Stretchable devices)의 기술동향    352 7) 융복합적 연구의 신축성 디바이스(Stretchable devices)    359 8) 스트레처블 디바이스(Stretchable devices)에 담긴 기계공학    364 9) 오레오 크림을 반으로 나누는 방법 371     
작성일 : 2024-11-05
한국폴리텍대학-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AI 경진대회’ 진행
마이크로소프트는 한국폴리텍대학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3개 캠퍼스의 학생들이 참가해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클라우드를 활용한 AI 모델을 개발하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AI 경진대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23년 한국폴리텍대학과 MOU를 맺고, 한국 기술교육의 메카인 한국폴리텍대학을 중심으로 최신 클라우드와 AI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교육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2차 교육 사업은 여성 재취업과 클라우드 기술의 전문화를 목표로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AI에 관한 심화 교육을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3개 캠퍼스 학생들에게 제공했으며, PBL(Project Based Learning) 방식으로 진행된 교육을 위해 해커톤을 개최했다. 해커톤 대회의 주요 목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를 활용한 AI 모델 개발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기술을 익히고,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했다. 또한, 참가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시키기 위해 여러 혁신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경진대회에는 ▲서울정수캠퍼스 스마트정보통신과 ▲서울정수캠퍼스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분당융합기술교육원 AI응용소프트웨어과 ▲광명융합기술교육전문대학 데이터분석과 약 100여 명의 학생이 2인에서 5인까지 팀을 구성해 참여했다. 이들은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집중했고, 참가자들은 다양한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협업을 통해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최우수상을 받은 광명융합기술교육원전문대학의 성창민 학생은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며 협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애저 클라우드와 AI 기술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값진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우수상을 받은 분당융합기술교육원의 최윤영 학생은 “아이디어부터 실제 구현하기까지 팀원들과 시간을 보내며 많이 노력했고 앞으로도 애저 기반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장려상을 받은 서울정수캠퍼스 정봉준 학생은 “이번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AI 경진대회에서 애저 OpenAI를 활용한 따릉이 챗봇으로 장려상을 수상하게 되었고 애저 OpenAI를 활용해 챗봇을 개발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고, 서울정수캠퍼스 김정인 학생도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보면서 AI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관해 넓은 시야로 볼 수 있게 된 것 같아서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는 2025년부터 산업 트렌드와 기업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클라우드컴퓨팅' 학과를 개설하여 이 분야의 인재를 육성할 계획이며, 마이크로소프트와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글로벌 기술을 가진 인재 육성에 앞장설 예정이다.
작성일 : 2024-11-04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제11회 지멘스 디지털 CNC 경진대회’ 시상식 진행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DI) 부문이 주최한 ‘제11회 지멘스 디지털 CNC 경진대회’의 시상식이 7월 25일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지멘스 기술지원센터에서 열렸다. 지난 7월 16일 온라인 가상 플랫폼에서 진행된 ‘지멘스 디지털 CNC 경진대회’는 공작기계로 소재를 어떻게 가공할지 결정하는 프로그래밍 능력을 평가하는 대회다. 프로그래밍은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멘스 CNC(컴퓨터 수치 제어) 가공 프로그램 ‘시누트레인(SINUTRAIN)’을 활용한다. 객관식 시험 및 창의형 도면 과제를 통해 참가 학생들이 컴퓨터 응용 밀링(milling) 및 터닝(turning) 가공 역량을 쌓고, 공작기계 및 지멘스 관련 용어와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올해 대회에는 총 5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20명의 학생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한국지멘스DI는 가장 뛰어난 역량을 보여준 참가자에게 최고상인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여했으며, 이어서 국제기능 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 회장상을 비롯한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과 상품을 수여했다. 대학부 홍충기(한국폴리텍대학 창원캠퍼스) 학생, 고등부 천유준(삼천포공업고등학교) 학생이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했고, 국제기능 올림픽대회 한국위원회 회장상은 대학부 이경준(한국폴리텍대학 창원캠퍼스) 학생과 고등부 안지성(삼천포공업고등학교) 학생이 수상했다. 한국지멘스 DI 부문의 김지완 모션컨트롤 공작기계사업부장은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젊은 인재들과의 접점을 확대하는 동시에 지멘스의 CNC 소프트웨어인 시누메릭(SINUMERIK)을 활용할 수 있는 엔지니어 저변을 넓히고, 이들의 기술적 능력 함양에 기여하는 등 국내 산업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 매우 보람을 느낀다”면서, "제11회 지멘스 디지털 CNC 경진대회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가해 준 모든 학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시상 소감을 전했다.  
작성일 : 2024-07-26
MS-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클라우드 AI 경진대회 진행
마이크로소프트와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는 7월 4일 고교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해커톤 행사인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AI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AI Express 부산’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소프트웨어융합과 주도로 진행됐다. ‘AI Express 부산’은 한국폴리텍대학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역 기술 격차를 해소하고자 2023년 9월부터 한국폴리텍대학을 중심으로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AI 기술을 전파하기 위한 교육 지원사업으로 특히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 사업은 부산 지역의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교사 연수 및 학생 교육,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에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AI 정규과정 및 특강을 개설해 AI 교육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해커톤 행사에는 부산기계공고, 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와 부산진여상 등 부산지역 특성화고를 대표하는 학교들과 한국폴리텍대학 학생들이 참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클라우드에 있는 도구를 사용해 다양한 개체 감지와 이미지 분류 AI 모델을 만들어 발표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대회에 참여한 학생들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AI 교육을 받은 후에 팀을 구성해 출전했다. 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은 인공지능 설계자로서 가져야 할 윤리에 대해서 학습했고 클라우드에 대한 체험을 했다. 학생들은 경진대회 참가를 위해 5인 내외의 팀을 결성, 팀워크를 발휘하고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해 주변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모델을 구현하는 기회를 가졌다. 해커톤은 학생들이 직접 발표하고 서로 질의응답을 받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인공지능 6대 원칙을 반영해 개발자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 적용 여부, 창의적 문제 해결성 및 실현 가능성을 위주로 심사가 이뤄졌다.  경진대회 결과 학교 매점의 결제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물품 인식 모델을 제시한 부산소프트웨어 마이스터고 COPPA팀이 대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애완견의 품종을 식별하는 AI 모델, 분리수거 물품 식별기, 헬멧 감지기, 화재감지 및 대피방향 안내 모델, 장애인을 위한 바코드 인식기, 멸종위기종 개체감지 모델 등 다양한 모델이 출품되었다. 특히 부산기계공고에서는 AI기술을 기계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개체감지 모델을 이미 학교에서 학습했던 아두이노와 OCR기술과 연계하여 적용해 내는 완성물을 선보이기도 했다.     대상을 차지한 부산소프트웨어 마이스터고 COPPA팀의 강시우 학생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의 커스텀비전을 사용하여 AI를 학습하였는데 기존의 텐서플로우와 같은 코딩을 사용하는 것보다 쉽게 구현되고 실생활에서 느꼈던 불편한 점을 AI 모델을 사용해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했다”고 말했다. 이번 해커톤 대회를 참관한 각 학교 선생님들은 이번 대회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모델을 만드는 과정을 보면서 이러한 교육이 학교 교육에도 정착되기를 바란다는 의지를 밝혔다. 특히 이번 경진대회 개최를 주도한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소프트웨어융합과 학과장 김강현교수는 “클라우드 AI 저변 확대를 위한 교육지원사업 및 경진대회를 공동으로 주최하여 준 마이크로소프트에 감사를 드리며 향후 학생뿐만 아니라 신중년 및 재직자 등 다양한 사람들에게 클라우드 AI 교육 기회가 제공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4-07-16
트림블, 3D BIM 인력 양성 위한 무료 교육 진행
트림블 코리아가 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에서 무료 Cost-BIM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교육 프로그램은 이틀간 진행됐으며 전문건설업체, BIM 건설턴트, 엔지니어링, 건축적산회사 등 중소기업 종사자와 한국폴리텍대학의 학생 등 수십 여명이 참가했다. Cost-BIM이란 견적에서 BIM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LH에서 추진하고 있는 3D BIM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골조의 수량산출 방식을 말한다. 이를 활용하면 다양한 구조 재료(RC, PC, STEEL 등)의 정확한 물량 산출이 가능해 기존 2D 방식보다 견적물량과 시공물량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이번 교육에는 BIM, 구조 엔지니어링, 철골과 PC 제작 관리를 위한 트림블의 테클라 스트럭처스(Tekla Structures) 소프트웨어가 사용됐다. 교육 참여자들은 1일차에 그리드와 부재 생성, 모델 원점, 스내핑, 툴 사용 등 BIM 프로그램 사용법과 모델링 개요, 철근 상세를 배웠다. 2일차에는 APT 모델 생성, APT 철근배근, 물량산출, 모델 정보의 분류(WBS) 및 활용, 공정관리와 시각화 등을 다뤘다. 정부가 공공 공사에서 BIM 도입을 의무화하는 등 스마트 건설 산업 육성이 본격화되면서 건설 산업에서 BIM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트림블은 이러한 수요에 발맞춰 BIM 교육 캠프, BIM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BIM 인재 양성과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림블 코리아의 박완순 사장은 “트림블은 BIM 선도기업으로서 건설업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소기업 재직자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번 Cost-BIM 교육 역시 국내 BIM 생태계를 활성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스마트 BIM 건설 발전을 촉진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3-10-23
금형조합, 제20회 전국 학생 금형 3차원 CAD기술경진대회 성료
- 전국 학생 금형설계 경진대회 성료, 금형교육 22개교 179명 참여 - 대상에 한국폴리텍대학(창원) 주민돈 수상 영예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하 '금형조합')은 금형산업 경쟁력 확보의 일환으로 금형 핵심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 지원하는 산학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금형조합은 지난 8월 17일(목)과 18일(금) 양일간 한국금형기술교육원(경기도 시흥시 소재)에서 「제20회 전국 학생 금형 3차원 CAD기술경진대회」본선 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가 주최하는 2023년도 뿌리기술경기대회의 일환으로 금형조합이 개최한 이 대회는, 신규 금형설계 인재육성 및 공급을 확산하고 금형 전공자의 자긍심과 사기 고취를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는 전국 금형교육기관 22개교에서 179명이 참여하고 학교별 예선을 거쳐 최종 본선에는 22개교 112명이 참가했다. 한편, 이 대회의 경기종목은 대학부가 3차원 사출금형설계와 3차원 프레스금형설계를, 고등부는 3차원 사출금형설계를 채택하고 있으며, 금형조합은 금형산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우수 금형인재의 조기 발굴을 위해 작년부터 고등부를 신설한 이후 참여자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원활한 대회준비를 위해 참여 교육기관에 교수를 파견하여 참여 학생들이 기량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대회는 금형조합이 2004년부터 전국 대회로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및 유관기관장 포상 31명과 1,200여만원의 상금도 수여하고, 최우수 교육기관에는 단체상도 수여한다. 올해 대회의 입상자는 대학부에서 프레스금형설계분야에 참가한 한국폴리텍대학(창원캠퍼스) 주민돈 군이 대상(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금상은 사출금형설계분야에 영진전문대학교 남선우 군과 한국폴리텍대학(서울정수캠퍼스) 최현수 군, 한국폴리텍대학(대구캠퍼스) 이재한 군이, 프레스금형설계분야는 공주대학교 방영민 군과 영남이공대학교 박건중 군 등 22명이 수상하게 된다. 또한 고등부 금상은 사출금형설계분야에 금오공업고등학교 이윤준 군이 교육부장관상을,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김정훈 군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등 9명이 수상하게 되었으며, 다수의 우수 학생을 참여시켜 이 대회의 위상을 높인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기계과가 단체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 금형조합은 이 대회 입상자에게는 우수 금형기업 취업연계와 취업장려금을, 입상 교육기관에는 금형장학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등 금형산학 협력의 모범적인 사례로 만들어가고 있다. 한편, 금형조합은 1984년부터 금형장학사업을 통해 매년 우수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는 금형기술교육원을 설립하여 교육전용 시설과 금형기업 현장과 동일한 교육장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재직자, 재학생, 취업예정자, 교원연수 등 금형분야에 특화하여 매년 1,000여명에게 다양한 교육훈련 지원에 혼신을 다하고 있다. 금형조합 신용문 이사장은 “이 대회는 젊은 청년들에게 금형기술의 핵심분야인 설계능력 향상은 물론, 향후 금형기업에 취업 후 맡은 바 직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조합원사를 비롯한 금형업계가 제조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회 입상자는 조합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고, 9월말에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시상할 예정이다. 금형조합, 제20회 전국 학생 금형 3차원 CAD기술경진대회
작성일 : 2023-08-23
유아이패스-아산폴리텍대학, 자동화 솔루션 확산 및 인재 양성 위해 MOU 체결
유아이패스가 자동화 소프트웨어 확산 및 인재 양성을 위해 한국폴리텍대학 아산 캠퍼스와 MOU를 체결했다. 한국폴리텍대학은 고용노동부 산하 교육기관으로 전국 30여 개의 캠퍼스에서 기술이 융합된 교육과정 제공에 앞장서고 있다. 유아이패스는 내년부터 아산폴리텍대학 AI소프트웨어과 하이테크 과정에 자사의 사용자 친화적인 노코드(No Code) 자동화 디자인 캔버스 ‘유아이패스 스튜디오X(UiPath Studio X)’를 제공할 예정이다.     최근 자동화 소프트웨어는 국내에서 효율적인 사업 운영 및 혁신의 도구로서 각광받고 있다. 올해 유아이패스가 글로벌 컨설팅 기관 IDC에 의뢰해 진행한 ‘2022 IDC APJ 자동화 설문’에 따르면, 국내 97%의 기업이 자동화 구축은 사업 우수성과 고객경험을 확보하고, 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 응답했다. 실제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1년간 국내 5개 중 4개(83%)의 기업이 자동화 시스템 관련 투자를 큰 폭으로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동화 소프트웨어 역량 및 인재 부족(53%)이 전사 자동화 시스템 구축 시 당면하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히며 관련 인재 양성 필요성이 대두됐다. 유아이패스와 아산폴리텍대학의 협력으로 제공될 하이테크 과정은 학생들의 자동화 인식을 제고하고, 자동화 소프트웨어 인재 파이프라인을 적극적으로 개발 및 관리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기여할 예정이다. 특히, 재학생들이 자동화 소프트웨어 관련 최신 기술을 익혀 취업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교내 취업률 또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이패스 김욱 전무는 “아산폴리텍대학과 교육 지원 및 연구 과제 개발 등의 산학 사업을 함께하게 되어 기쁘다”며 “유아이패스는 국내 자동화 인식 확산 및 기술 도입, 그리고 자동화 소프트웨어 관련 취업 기회 창출 등 국내 인력의 자동화 소프트웨어 준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고 이번 MOU 역시 이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또한 “광범위한 유아이패스 파트너 및 고객 네트워크와 연계해 이번 교육 과정 수료생을 위한 취업 기회 발굴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한국폴리텍대학 아산캠퍼스 김용목 학장은 “엔터프라이즈 자동화 소프트웨어 분야의 글로벌 선두 기업과 협약을 맺게 되어 기대가 크다“며 “이번 협력으로 학생들에게 실무 기반 교육을 제공해 커리어 여정을 돕겠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2-12-19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전국 학생 금형 3차원 CAD 기술경진대회 성료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 8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한국금형기술교육원에서 ‘제19회 전국 학생 금형 3차원 CAD 기술경진대회’ 본선 대회를 개최했다. 전국 학생 금형 3차원 CAD 기술경진대회는 신규 금형설계 인재육성 및 공급을 확산하고 금형 전공자의 자긍심과 사기 고취를 위해 개최되고 있다. 올해는 전국 18개교에서 170명이 참여했으며, 학교별 예선을 거쳐 본선에는 16개교 82명이 참가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대학부가 3차원 사출금형설계와 3차원 프레스금형설계를, 고등부는 3차원 사출금형설계를 경기종목으로 채택하여 진행되었다.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은 금형전공 우수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금형산업의 중요성을 확산시키기 위해 올해부터 고등부를 신설하여 참여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원활한 대회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고등부 참여 교육기관에는 교육지원금도 별도로 지급하였다.     올해는 대학부에서 유한대학교 장정웅 군이 대상(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금상부문은 3차원 사출금형설계분야 한국폴리텍대학(인천캠퍼스) 김보성(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군과 정도성(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군이, 3차원 프레스금형설계분야는 한국폴리텍대학(인천캠퍼스) 이기덕 군과 윤두영 군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유한대학교 이호성 군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등을 수상했다. 또한 고등부 금상부문은 3차원 사출금형설계분야에 울산마이스터고등학교 황재민 군이 교육부장관상을,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 백준오 군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등을 수상하게 되었으며, 매년 다수의 우수 학생을 참여시켜 이 대회의 위상을 높인 영진전문대학교 AI융합기계과가 단체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신용문 이사장은 “금형 인력육성 및 회원사에 우수 인재 공급의 일환으로 시행하는 이 대회는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 다양한 방법으로 금형산업의 중요성을 알림으로써 금형업계에 젊고 유능한 신규 인재유입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매년 개최해 오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대학생은 물론 고등학생까지 참가 범위를 확대하였다”며 “향후에도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급변하는 금형제조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이 대회를 지속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대회의 입상자는 오는 8월말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고, 시상은 9월말에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있을 예정이다.
작성일 : 2022-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