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한국이에스아이"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8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온에어] 자동차 산업의 미래, 메가캐스팅 해석과 활용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월 24일 CNG TV는 ‘자동차 산업의 미래, 메가캐스팅 해석과 활용’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는 생산 효율성과 경량화를 동시에 추구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로 '메가캐스팅'이 주목받고 있다. 메가 캐스팅은 여러 개의 부품을 하나의 주조 공정으로 통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생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차량의 무게를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 박경수 기자   ▲ 왼쪽부터 캐드앤그래픽스 박경수 부장, 한국이에스아이 한재형 이사, 민경욱 과장   메가 캐스팅의 해석과 적용 사례 이번 웨비나에서는 캐드앤그래픽스 박경수 부장이 사회를 맡고, 한국이에스아이의 한재형 이사와 민경욱 과장이 메가 캐스팅의 개념, 적용 사례, 그리고 해석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했다. 한재형 이사는 메가캐스팅의 개념에 대해 “메가캐스팅은 여러 개의 부품을 하나로 통합하여 주조하는 기술로, 부품 수를 줄이고 경량화를 통해 생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특히 전기차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의 주행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차량의 경량화가 필수이며, 메가캐스팅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의 감소는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가져와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민경욱 과장은 메가캐스팅의 해석 방법과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해 “메가캐스팅 공법은 부품의 크기와 복잡성으로 인해 해석 과정에서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스아이의 프로캐스트(ProCAST)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주조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테슬라는 모델 Y의 프론트와 리어 섀시를 메가캐스팅 기술로 제작하여 부품 수를 70개 이상에서 단 1개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생산 시간과 비용을 줄였으며, 차량의 경량화로 주행 효율도 높였다.   ▲ 한국이에스아이 민경욱 과장   메가캐스팅의 도전 과제와 미래 전망 메가캐스팅 기술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높고 금형 개발에 많은 연구와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또한, 금형의 유연성이 제한적이어서 디자인 변경 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메가캐스팅은 생산 공정의 혁신과 차량 경량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재형 이사는 미래 전망에 대해 “메가캐스팅 기술은 현재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향후 항공, 방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형 부품의 일체형 제작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분야에서 주목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웨비나는 메가캐스팅 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었으며, 이를 통해 자동차 산업의 혁신적인 변화를 엿볼 수 있었다. 앞으로 메가캐스팅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해 나갈지 궁금하다.    ▲ 한국이에스아이 한재형 이사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3-06
[온에어] 자동차 산업에서의 다중소재 접합 및 조립 해석 기술 동향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0월 22일, CNG TV는 '자동차 산업에서의 다중소재 접합 및 조립 해석 기술 동향’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웨비나는 자동차 산업에서 다중소재를 효과적으로 접합하고 조립하는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췄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왼쪽부터 캐드앤그래픽스 박경수 부장, 한국이에스아이 최광용 이사, 안장호 부장   이번 웨비나에서는 한국에스아이(ESI) 최광용 이사와 안장호 부장이 발표자로 나서 다중 소재 접합 및 조립 해석의 중요성과 자동차 부품 생산 과정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ESI 그룹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했다. 또한 가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제품 개발 과정에서 가상 시뮬레이션의 중요성과 효율성에 대해서도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최광용 이사는 “ESI의 초점은 중요한 메가 트렌드와 산업의 역풍을 해결하는 설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전기화, 자율주행, 공장 자동화, 사물인터넷(IoT) 등과 같은 산업 분야에서 ESI그룹은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미래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자 하며, 깨끗하고 안전하며 생산적인 산업에 기여하는 최첨단 소프트웨어 설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한국이에스아이 최광용 이사   안장호 부장은 “다중 소재 접합과 조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인 CASE(연결성, 자율주행, 차량 공유, 전기차) 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전통적으로 강철 기반의 단일 제조 공정으로 최적화된 차체 설계가 지배적이었으나, 전기차 시대의 도래로 인해 경량화와 안전성을 위한 멀티 머티리얼 설계가 필요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는 배터리 기술, 자율주행 안전성, 효율적 제조 라인, 탑승자 공간 최적화 등과 같은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 한국이에스아이 안장호 부장   한편 스폿 용접 공정에서 발생하는 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적인 CAD 기반 해석 대신 성형 이력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이 도입되고 있다. 성형품을 스캐닝하고 실제 공정과 동일한 조건에서 시뮬레이션을 진행함으로써 부품 간 편차와 스프링백 변형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개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용접 순서와 클램프 위치를 최적화하여 최종 제품 변형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제조 효율성을 높이는 버추얼 빌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안장호 부장은 버추얼 어셈블리 엔지니어링을 활용해 경량 신소재의 조립 가능성과 품질 평가 사례를 설명했으며, 스팟 용접 공정에서의 변형과 품질 영향을 예측하는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했는데, 이번 발표는 자동차 용접 공정에 초점이 맞춰졌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2-04
시트 해석 소프트웨어, Virtual Seat Solution
시트 해석 소프트웨어, Virtual Seat Solution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ESI, www.esi-group.com ■ 자료 제공 : 한국이에스아이, 02-3660-4500, www.esi-group.com ESI의 VSS(Virtual Seat Solution)는 시트의 가상 프로토타이핑에 특화된 시트 전용 해석 솔루션이다.  시트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들은 VSS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물리적 프로토타입 없이도, 가상으로 설계, 제조, 시험, 사전 검증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VSS는 시트 제조 과정을 고려하기 때문에, 시트 성능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전용 더미와 인체 모델을 이용해서, 사용자는 정밀하고 정확하게 시트와 승객 사이의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시트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1. 제품의 주요 기능 및 특징 (1) Single Core Model 단일 모델(Single core model)을 기반으로 물리적 프로토 타입의 수를 줄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2) Digital Mockup 사전 인증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설계, 제조 및 시험을 가상 시트 프로토 타입으로 수행할 수 있다. (3) Whiplash 충돌 안전 설계 요구 사항을 초기에 관리함으로써 팀 내에서 시너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주요 적용 분야 (1) 디지털 목업 제작 ■ 시트 제조 과정 검증 ■ 시트 커버 조립 해석 및 검증 ■ 완성 시트 검증(H-point, 정하중/점하중, 요추 돌출량)   (2) 시트 안락감 평가 ■ 체압 평가 ■ 냉/난방 성능 평가 ■ 인간 공학적 인체 포지션 평가   (3) 시트 안전성 평가 ■ 시트 구조 강성 평가 ■ 목 상해 평가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4-02-12
구조/충돌 해석 소프트웨어, Virtual Performance Solution
구조 해석, 충돌 해석 소프트웨어, Virtual Performance Solution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ESI, www.esi-group.com ■ 자료 제공 : 한국이에스아이, 02-3660-4500, www.esi-group.com ESI의 주력 프로그램인 VPS(Virtual Performance Solution)는 최초의 충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PAM-CRASH로 시작하였으며, 주요 자동차 업체들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개발되어 왔다. 단일 부재부터 차량, 기차, 선박에 이르는 대형 구조물에 대한 해석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와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복합 해석 솔루션이다. VPS를 통하여 가상 프로토 타입을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으며, 싱글 코어 모델을 이용하여 여러 도메인(충돌, 안전, NVH, 내구성 등)에서 제품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1. 제품의 주요 기능 및 특징 (1) Single Core Model 단일 모델(Single core model)을 기반으로 하는 Multi-Domain Simulation이 가능하다. (2) High Performance Computing VPS Solver의 안정성, 확장성 및 해석 시간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지원한다. (3) Modularity for Ease of Use 모듈 모델링으로 해석 반복 및 공동 작업 관리를 단순화하여 초기 모델 설정 속도를 높일 수 있다. (4) End-to-End Composite Performances 복합재 부품의 파단 거동을 예측하고, 충돌 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복합재 모델을 제공한다. (5) Water Flow/Foaming FPM module을 사용하여 유체, 기체의 거동 및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화학식을 반영한 폼 발포 해석이 가능하다. (6) Gear-Rotary simulation 특화된 접촉(Smooth Contact) 방법으로 회전체 및 기어 해석을 원활하게 지원한다. (7) Explicit/Implicit solver Explicit solver와 Implicit solver간 자유로운 연계 해석이 가능하다. (8) Template 자동차 법규 및 정형화된 해석 프로세스의 자동화 템플릿을 제공한다.   2. 주요 적용 분야 ■ Aerospace & Defense ■ Electronics & Consumer Goods ■ Energy & Power ■ Ground Transportation ■ Heavy Industry & Machinery ■ Marine  
작성일 : 2024-02-12
진동∙소음 해석 소프트웨어, VA One
진동∙소음 해석 소프트웨어, VA One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ESI, www.esi-group.com ■ 자료 제공 : 한국이에스아이, 02-3660-4500, www.esi-group.com ESI의 구조음향 소프트웨어인 VA One은 규제, 제품 개선 요구 및 제한된 개발 일정으로부터 예상치 못한 소음·진동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지연이나 고비용의 시험기반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설계단계에서부터 소음·진동을 고려할 수 있다. VA One은 개발 과정에 앞서 예상되는 소음·진동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더 상세한 모델링이나 시험 기반의 개발을 필요로 하는 영역에서 예상되는 문제를 규명하여 위험을 관리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제품의 주요 기능 및 특징 (1) 전 주파수 대역의 소음해석 기법 탑재 저주파수 대역을 위한 FEM, BEM, 고주파수 대역을 위한 SEA, Ray Method 및 중주파수 대역을 위한 FEM-SEA 연성 등의 다양한 해석 기법이 탑재되어 있다. (2) 다양한 연성과 유연한 소음해석 기법 주파수 대역, 모델링 편의성, 해석 시간 등을 고려하면서 FEM-BEM, FEM-SEA, BEM-SEA 등의 다양한 연성 기법 적용을 통한 유연한 모델링이 가능하다. (3) 흡차음재 모델링 소음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다층 흡차음재의 FEM, TMM 기법의 Biot 모델링을 통해 해석 모델에 용이하게 부여(기공성 흡음재의 물성치를 규명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인 Foam-X와 연계 가능)할 수 있다. (4) 소음-진동 전달흐름 분석 수음점으로부터 음원까지의 소음-진동 에너지 흐름(SEA 모델링)을 분석하여 관심 주파수에 따른 용이한 소음 개선 대책이 가능하다. (5) 공력 구조음향 연성 해석 난류 등 유동으로 인한 발생한 소음원을 CFD 해석 결과의 변동표면압력으로부터 규명하고, 구조물과의 연성 해석을 통해 전달 소음 예측이 가능하다. (6) 접촉소음(래틀) 해석 부품 간의 상대 진동에 의한 발생한 접촉소음을 공차 분석, 접촉 빈도, 접촉력 해석, 방사소음 및 라우드니스 해석 등의 체계적인 모델링 과정이 제공된다. (7) 맞춤식 기능 개발 내재된 Script 작성 언어인 QuickScript나 외부의 Matlab 또는 Python 프로그램으로 VA One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부터 사용자 환경에 맞는 맞춤식 기능 개발이 가능하다. (8) 실내소음 및 외부 방사소음 해석 자동차, 철도차량, 건설기계, 선박, 항공기, 발사체 등의 복잡하고 큰 대상체의 실내소음 및 외부 방사소음을 다양한 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해석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에 따라 FEM, BEM, SEA, FEM-BEM 연성, FEM-SEA 연성 등을 유연하게 적용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특히,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SEA 해석은 산업계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9) 부품의 음향성능 해석 주파수 대역에 따른 다양한 모델링을 통하여 부품의 투과손실, 방사효율 등의 음향성능을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어, 반복 시험으로 인한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여 부품 개선에 큰 도움을 준다. (10) 흡차음재 최적화 다층 흡차음재 모델링을 통해 흡차음재에 의한 소음 개선 효과를 해석할 수 있으며, 최적화 기법을 통해 흡차음재의 개선 및 선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1) 동적 응력 해석 랜덤 진동을 받고 있는 구조물의 동적 응력 해석을 통해 피로 예측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제공해 준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4-02-12
용접 해석 소프트웨어, SYSWELD
용접 해석 소프트웨어, SYSWELD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ESI, www.esi-group.com ■ 자료 제공 : 한국이에스아이, 02-3660-4500, www.esi-group.com ESI의 용접 시뮬레이션 제품인 SYSWELD(시스웰드)는 항공, 우주, 자동차, 선박, 전자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및 연구소와 25년 이상의 협력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다양한 Heat Source 데이터베이스와 User Function을 이용한 Heat Source 제작 기능을 통해 용접 산업의 다양하고 까다로운 작업을 표현하기 용이하다.  ESI의 용접 해석 솔루션은 Shrinkage Method를 활용하여 용접 공정에 따라 변형 및 응력 분포를 해석하여 초기 용접 공정 설계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Visual Assembly와 SYSWELD Solver를 활용하여, 상변태를 고려한 열해석과 기계적 해석을 Full coupling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변형과 응력 뿐만 아니라 온도 분포, 상분포, 경도 및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 수소확산, 침탄 효과, 가공 경화 등 다양한 인자를 보다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는 Visual WELD가 있어 사용자가 업무 요구 사항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접 해석이 아닌 열처리나 외력에 의한 변형, 유도 전류, Pre-Positioning, 조립 공정 등 다양한 분야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1. 제품의 주요 기능 및 특징 (1) 상용 CAD 프로그램과의 우수한 호환성 CATIA, UG, CREO(구 PRO-E) 등의 CAD 프로그램의 파일 확장형식을 지원하여 호환성이 우수하다. (2) 다양한 DB 및 유저가 원하는 DB 제작 모재, 용가재로 주로 쓰이는 다양한 물성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Tool box를 통해 유저가 사용하는 합금의 데이터베이스 제작이 가능하다. (3) 다양한 Heat source function과 Heat source fitting 기능 제공 아크, 레이저, 하이브리드, 플라즈마 등 다양한 Heat source DB를 보유하고 있으며, User Defined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Heat source 제작이 가능하다. (4) Welding Wizard를 이용한 직관적인 용접 조건 입력 Welding Wizard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조건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해석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갖춰져 있으며, 색 표시를 통해 잘못 입력된 조건을 직관적으로 나타내어 준다. (5) Distortion Engineering을 이용한 빠른 용접 해석 정밀한 해석뿐만 아니라 온도 편차를 이용한 Distortion Engineering을 통해 용접 설계의 초기 대응을 위한 변형 및 응력 분포 해석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6) 성형, 충돌, 내구평가와의 연계 해석 용접 해석 결과를 성형, 충돌, 내구 평가 등의 해석 프로그램에 Mapping하여 연계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합적인 공정 고려가 가능하다. (7) 아크 용접 및 레이저 용접 Double ellipsoidal 형태와 Conical 형태의 Heat source를 통해 아크와 레이저 용접을 표현할 수 있다. (8) 점 용접 Sequence에 따른 용접해석이 뿐만 아니라, 전극과 Sheet를 표현하여 통전효과 및 자기장을 고려한 용접해석도 가능하다. (9) 마찰 교반 용접 팁의 모양이나 회전속도 등을 고려한 정확한 열 분포 및 응력해석이 가능하다. (10) 다층 용접 해석 일반 열해석을 통한 순차적인 Pass 형성 뿐만 아니라, Thermal Cycling을 이용한 다층 해석으로 보다 빠른 해석이 가능하다. (11) Steady state 해석 Moving Reference Frame 기능을 통해 Transient 해석 구간을 최소화하여 용접 해석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12) 구조 해석 및 열응력 해석 SYSWELD는 용접 해석 뿐만 아니라 힘이 가해지는 구조 해석이나 열응력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13) 열처리 해석(침탄/유도가열) Electro Magnetic을 고려한 Induction Heating을 구현할 수 있으며, 침탄에 의한 효과를 해석할 수 있는 모듈을 갖추고 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4-01-08
멀티피직스 해석 소프트웨어, Simulation X
멀티피직스 해석 소프트웨어, Simulation X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ESI, www.esi-group.com ■ 자료 제공 : 한국이에스아이, 02-3660-4500, www.esi-group.com ESI의 Simulation X(시뮬레이션 엑스)는 복잡한 동적 시스템의 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분석을 위한 Multi physics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잘 알려진 소프트웨어이며, Modelica 언어를 기반으로 한 상용 솔루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개발자는 Modelica 라이브러리부터 상용 라이브러리까지 방대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개발 모델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막강한 사용자 에디터 툴(Type designer)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기존의 라이브러리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쉽게 제작 및 배포할 수 있다.  FMU(Functional Mock-up Unit)/FMI(Functional Mock-up Interface)를 지원하고 다른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계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Multiphysics에 최적화되어 있어 Multi-body system과 Fluid dynamics, Control logic 등 서로 다른 물리 모델을 하나의 모델로 구현할 수 있다.  실제 물리 기반의 통합 라이브러리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는 산업 분야에서 확실한 기준으로 Simulation X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현재까지 약 27개국 700명 이상의 고객들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Simulation X를 사용하고 있다. 1. 제품의 주요 기능 및 특징 (1) Easy modeling and Fast calculation 형상 모델링이 필요 없고, 물리 기반 모델링으로 모델 구성이 쉬우며, 시스템 기반의 수학 모델 사용으로 계산 시간이 빠르다. (2) Modular system setup 방대한 시스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사용자 라이브러리 툴(Type designer)을 지원한다. (3) Easy coupling FEM, MATLAB, Simulink와 연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며, FMU/FMI를 지원한다. (4) Model library Modelica 기반의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모델을 쉽고 빠르게 구성할 수 있다. (5) Optimization 주요 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통한 제품 성능 개선을 개발 초기 단계부터 빠르게 검토할 수 있다. (6) Real-time simulation 실시간 해석으로 MiL(Model-in-the-Loop)/SiL(Software-in-the-Loop)/HiL(Hardware-in-the-Loop) 구현이 가능하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4-01-06
주조 해석 소프트웨어, ProCAST
주조 해석 소프트웨어, ProCAST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ESI, www.esi-group.com ■ 자료 제공 : 한국이에스아이, 02-3660-4500, www.esi-group.com ESI의 주조 시뮬레이션 제품인 ProCAST는 주조 산업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 세계의 주요 산업 파트너 및 학술 기관과 25년 이상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ProCAST는 까다로운 산업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광범위한 모듈 및 다양한 주조 기능을 제공한다.  형상을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유한 요소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주조 공정에 대하여 모델링뿐만 아니라 충진, 응고, 결함, 기계적 특성 및 복잡한 부품 변형을 포함하여 전체 주조 공정에 대한 예측 평가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품 공정 초기단계부터 올바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충진, 응고, 수축공 결함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하여 빠른 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초점이 맞춰진 ESI의 QuikCAST 또한 ProCAST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1. 제품의 주요 기능 및 특징 (1) 다양한 DB 보유 및 조성을 통한 DB 계산이 가능한 모듈인 Computherm 탑재 금속 물성 및 주로 쓰이는 금형이나 코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150가지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Computherm이라는 보조 모듈을 이용하여 조성만으로도 열적, 기계적, 야금학적 인자들을 계산하여 해석에 활용이 가능하다. (2) 주조 조건 최적화 기능 탑재 Optimization 기능을 활용하여 해석에 사용된 조건들을 다른 변수로 입력하였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여 가장 최적의 조건을 유출할 수 있다. (3) 미세조직 해석 초기 발생하는 핵의 성장 여부와 더불어 Grain의 형태와 성장 방향 등을 해석할 수 있는 CAFE(Cellular Automata Finite Element)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4) Advanced 복사열 해석을 통한 정확한 정밀주조 해석 Enclosure를 통하여 Viewfactor를 고려한 복사열전달 현상을 표현할 수 있어, 정밀주조 공정에서 보다 정확한 열해석이 가능하다. 2. 주요 적용 분야 (1) 정밀주조 ProCAST는 타 프로그램과 달리 Viewfactor를 고려한 복사열 해석이 가능하여 EQX/DS/SX 공정을 지원하며, FEM 기반의 정확한 형상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온에서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정밀주조 해석이 가능하다. (2) 사형주조 상용 샌드, 발열슬리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며, Microstructure 모듈과의 연계 해석을 통해 주철에서의 접종 효과 및 합금 조성에 따른 상의 분포 및 기계적인 성질 예측이 가능하다. (3) 저압/고압 다이캐스팅 Moving Mesh의 Penetration기법을 활용하여 고압주조 공정에서 움직이는 피스톤에 의한 주입 조건 표현이 용이하며, Cycling 해석을 통하여 반복작업을 하였을 때의 금형의 온도 분포 등을 해석할 수 있다. (4) 경동주조 실제 Ladle이나 Basin에서 용탕이 Tilting 되는 것을 구현하여 단순 Inlet으로 입력하는 결과보다 더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다. (5) 원심주조 수평축 및 수직축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원심주조가 가능하며, 일반 대기와 진공 환경 등의 다양한 주조 환경을 고려한 해석이 가능하다. (6) 열처리 및 일반 유체해석 ProCAST는 주조해석 뿐만 아니라 열처리 해석이나 물과 같은 일반적인 유체 해석이 가능하여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3-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