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257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온에어] 의료 AI를 활용한 가상현실 기반 임상 실습 교육 소개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4월 7일 CNG TV는 줌(ZOOM) 방송을 통해 ‘의료AI 표준 환자를 활용한 가상현실 기반 임상 실습 교육 소개’를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방송에서는 VR 기반 시뮬레이션이 어떻게 의료진에게 위험 부담 없이 반복 훈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지 살펴보는 시간이 마련됐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XR(확장현실)은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MR(혼합현실)을 모두 포괄하는 상위 개념으로 현실과 가상 세계를 연결하는 몰입형(immersive) 기술이다.   의료 AI와 가상현실 기반 임상 교육의 활용 이번 웨비나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이 사회를 맡고,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 문성용 교수가 발표자로 참여했다. 문성용 교수는 의료 AI 표준 환자를 활용한 가상현실(VR) 기반 임상 실습 교육의 개발 내용과 활용 방안을 공유하며, VR 기술이 임상 및 교육 분야에서 몰입도를 높여 활용 가치가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 의료 AI 표준 환자를 활용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반의 교육은 교육의 몰입도를 높이고 임상 시뮬레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VR을 통해 3D 모델을 기반으로 종양 제거 수술 등 실습을 할 수 있으며, AR을 활용하여 수술 중 실시간 가이드 및 위치 표시가 가능하다. 국내외에서 VR 기반 실습이 도입되고 있으며, 특히 해부학 교육과 수술 술기 연습에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다. 문성용 교수는 “VR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술 계획을 수립하고 AR 내비게이션을 활용하여 실제 수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VR 교육 콘텐츠는 학생들에게 수술 환경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반복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임상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말했다. 또한 “AI 기반 가상 환자를 통해 문진 및 진단 능력을 평가하고, 햅틱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촉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VR 기반 의료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실제 수술 기회를 제공받기 어려운 상황에서 의사 수련생이나 레지던트가 술기를 익히는 과정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VR 교육 콘텐츠는 가상의 환자를 통해 수술을 실습하고 환자 모니터링을 2025/5기반으로 한 평가 시스템을 통해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적절한 교육 환경을 제공할 경우 의사의 술기 향상과 더 나은 환자 진료로 이어질 수 있다. 문 교수는 “VR 기반 교육은 해부학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미리 경험하게 하여 안전성을 높인다”며, “가상현실을 활용한 훈련은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고, 동일한 조건에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 일관된 피교육자 평가가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의료 분야의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시장에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질 높은 콘텐츠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시장성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 VR 훈련 콘텐츠 개발 시 의료인의 주도적인 참여가 필수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디테일 부족으로 인해 실제 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문 교수는 “디지털 트윈 개념을 활용한 시뮬레이터 개발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실제 환자를 모델로 한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다”며,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 분야에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전시회를 통해 정보 수집과 활용 방안 고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 문성용 교수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5-02
로보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건설기술 실·검증 연구 지원사업 선정
AIoT 기반의 로보틱스 주거 설루션 기업인 로보톰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건설연)이 주관하는 ‘2025 스마트 건설기술 실⋅검증 연구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로보톰은 ‘로보틱스 주거 구현을 위한 RA-BIM 최적화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미래형 스마트 주거 환경 구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스마트 건설기술 실검증 연구지원사업’ 은 창의적 아이디어와 기술 역량을 보유한 스타트업과 전문 연구팀 간 1:1 매칭을 통해, 실험실 수준의 기술을 실제 주거·건설 환경에 검증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이번 선정으로 로보톰과 건설연이 공동 개발하는 RA-BIM(Roboterior Automat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시스템은 공간 치수 자동 변환 모델링과 규칙 기반 자동 설계 검토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로보틱스 인테리어 ‘로보테리어’의 효율적인 배치와 공간 최적화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 이 시스템은 공간 측정, 제품 배치, 설계 검토 등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해 공간 설계 소요 시간을 80% 이상 단축하고, 기존 설계 방식 대비 비용은 70%, 오류율은 20% 이상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보톰은 “시각화된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맞춤형 공간 구성을 선택할 수 있어, 공간 설계의 접근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로보톰은 실험실 단계를 넘어 실제 현장에서도 기술의 유효성을 검증할 계획이며, RA-BIM 기반 스마트 주거 시스템을 적용하며 전시 및 실거주 테스트를 병행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반복 개선을 통해 기술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건설연 스마트건설지원센터의 한재구 센터장은 “스마트건설지원센터는 유망한 스마트 건설 기업의 발돋움을 위해 실검증 지원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로보톰이 보유한 로보테리어 설루션이 이번 사업을 통해 그 가치를 제대로 증명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로보톰의 윤세용 대표는 “로보톰은 AIoT와 로보틱스 기술을 융합하는 로보틱스 전문가와 이를 주거 공간에 구현할 수 있는 건축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다. 이번 건설연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로보톰의 핵심 기술력을 한층 더 고도화하고 로보테리어의 확산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4-03
고속도로 지반분야 BIM 활용 방안 연구 
  [자료] 고속도로 지반분야 BIM 활용 방안 연구  발행 : 2025. 2.  형식 : pdf 137 page 제작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목차 목 차    i 표 목 차    v 그림목차    vii 요 약 문    ix ABSTRACT    x 서 론    1 1.1    배경과 목적    1 1.1.1    배경과 필요성    1 1.1.2    연구의 목적    3 1.2    연구 내용, 연구 방법, 연구 기간    4 1.2.1    연구 범위와 내용    4 1.2.2    연구 방법    5 1.2.3    연구 기간    5 국내외 BIM 적용 현황 조사    6 2.1    BIM 일반사항    6 2.1.1    BIM의 정의와 핵심 요소    6 2.1.2    BIM의 활용 (BIM uses)    8 2.1.3    BIM 성숙도 수준 (Maturity Level)    10 2.1.4    BIM 표준 (BIM Standard)    11 2.1.5    BIM 요구사항과 실행    12 2.1.6    BIM 장점과 효과    13 2.1.7    유지·운영 단계 BIM 활용    14 2.2    국외 BIM 현황    15 2.2.1    BIM 도입 국가 2.2.2    국가별 BIM 도입 정책    16 2.2.3    국외 도로관리기관의 BIM 도입    18 2.3    국내 BIM 현황    19 2.3.1    국내 BIM 도입 경과    19 2.3.2    국토부 BIM 도입 정책    20 2.4    한국도로공사 BIM 도입 현황    22 2.4.1    고속도로의 BIM 도입 현황    22 2.4.2    고속도로의 BIM 도입 시사점    23 지반 BIM 모델의 개념    25 3.1    지반 BIM 정의    25 3.1.1    지반BIM과 GeoBIM의 이해    25 3.1.2    지반 BIM 모델의 구성    27 3.2    지반 BIM 모델 작성 방법    29 3.2.1    지반 정보의 표준화    29 3.2.2    지반 BIM 모델 작성 절차    31 3.2.3    지반BIM 작성의 역할론    32 지반분야 BIM S/W 조사    33 4.1    일반 BIM 소프트웨어    33 4.1.1    BIM 소프트웨어 개발사 현황    33 4.1.2    개발사별 BIM 소프트웨어 특징    35 4.1.3    전문분야별 BIM 저작 및 해석 도구    39 4.1.4    BIM 소프트웨어 현황분석 결과    42 4.2    지반분야 BIM 소프트웨어 현황    43 4.2.1    Autodesk – Civil 3D (Geotechnical Modeler)    43 4.2.2    Bentley – Leapfrog Works (with Central)    45 4.2.3    Bentley – OpenGround    48 4.2.4    Fine Software – Geo 5    48 4.2.5    MidasIT – CIM    50 지반 BIM 모델 활용 사례    51 5.1.    국외 지반 BIM 활용 사례    51 5.1.1.    영국의 실버타운 터널 프로젝트 (Merdan and Horatiu, 2018)    51 5.1.2    해안 안벽(DWQ, Deep Water Quay wall) 기본설계 검토 (Brennan, E. 2021)    52 5.1.3    영국 Crossrail 2 Project (Ben Gilson et al, 2021)    54 5.1.4    브라질의 Underground Rerservoir 건설 프로젝트 (Henriques et al, 2024)    55 5.1.5    뉴질랜드의 지반 BIM 모델 활용 사례 (Adam et al, 2019)    56 5.2    국내 지반 BIM 활용 사례    58 5.2.1    제주도 천연동굴 3D 디지털화 사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8 5.2.2    터널 페이스 매핑 자료를 이용한 지반 BIM모델 구축(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59 5.2.3    고속도로 설계에 활용된 지반 BIM 모델 (대산-당진 4공구)    60 지반 BIM 모델 시범 구축    61 6.1    지반 BIM모델 시범 구축 개요    61 6.1.1    지반 BIM 시범구축 목표    61 6.1.2    시범 구축 대상 사업 및 자료 준비    62 6.2    지반 BIM모델 시범을 위한 BIM S/W    63 6.3    지반 BIM 모델 시범 구축 프로세스    66 6.3.1    지반 BIM모델 입력 자료 준비    66 6.3.2    지반 BIM 모델 작성 프로세스    70 6.4.    지반 BIM 모델 구축    76 6.4.1    전구간 지반 BIM 모델    76 6.4.2    교량구간 지반 BIM 모델    78 6.4.3    터널구간 지반 BIM 모델    80 6.4.4    토공구간(절토사면) 지반 BIM 모델    81   6.5    지반 BIM모델의 활용    83 6.5.1    지층단면도의 작성 (종단, 횡단)    83 6.5.2    절토 및 성토수량 산정    88 6.5.3    지반수치해석과 연계 활용    92 6.6    지반 BIM 모델구축과 활용의 시사점    101 지반 BIM 활용에 대한 의견 수렴    103 7.1    대내외 실무자 및 전문가 대상 의견 수렴    103 7.1.1    공사내 실무자 대상 의견수렴    103 7.1.2    외부 전문가 대상 의견 수렴    104 7.1.3    BIM 업무 관련자 의견수렴    111 7.2    의견 수렴 시사점    112 지반분야 BIM 중장기 연구 방향    113 8.1    중장기 연구방향    113 8.2    후속 연구과제 제안    115 요약 및 결론    117 참고문헌    118  
작성일 : 2025-03-21
[온에어] 2025년 엔지니어링 기술과 산업을 전망하다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월 3일 CNG TV는 ‘엔지니어링 업계 트렌드와 2025 전망’을 주제로 줌(Zoom)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방송은 캐드앤그래픽스의 신년 특집으로 마련됐다. 이번 방송은 업계 전문가인 CNG TV 전문위원들이  모여 스마트 제조, 건축, 제품 디자인, 3D 프린팅 등 다양한 기술 트렌드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웨비나의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4차 산업혁명의 흐름과 AI 발전 전망 이번 웨비나 진행은 디지털지식연구소 조형식 대표가 맡았으며, 4차산업혁명연구소 한석희 소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 홍익대학교 최성권 교수가 연사로 참여했다. 새해부터 CNG TV 전문위원으로 합류한 한석희 소장은 4차 산업혁명의 역사와 AI 및 스마트 공장의 발전이 우리나라의 제조업에 미칠 영향을 중심으로 발표했다. 그는 “지난 20년간 4차 산업혁명은 빠르게 발전해왔으며, 이제는 5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도 시작되었다”면서, “AI 및 스마트 공장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한민국은 K-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AI 발전의 미래에 대한 전망도 제시했다. 그는 “2030년 전후로 AGI(일반 인공지능) 구현이 가능할 것”이라며, “2040년대에는 현재 AI보다 1만 배 강력한 슈퍼 AI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독자적인 AI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Grand Quest’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4차산업혁명연구소 한석희 소장   ▲ 4차 산업혁명의 흐름과 AI 발전 전망 요약   건설 AI와 디지털 트윈의 혁신 강태욱 연구위원은 AI 및 디지털 트윈 기술이 건설 산업에 접목되는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AI 기반 프로젝트 관리 및 시뮬레이션 기술이 확산되면서 건설 산업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3D 스캔과 드론을 활용한 건설 모니터링 기술이 현장 자동화를 지원하며, 스마트 빌딩 및 스마트시티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연구위원은 또한 모듈러 건축(프리패브리케이션) 방식의 확대에 주목했다. 그는 “AI 기반 자동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장에서 조립하는 모듈러 건축 방식이 확산될 것”이라며, “로봇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시공 방식이 도입되면 건설업의 생산성과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   ▲ 2025년 건설테크 10대 트렌드   3D 프린팅의 진화와 제조의 민주화 홍익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총괄을 맡고 있는 최성권 교수는 3D 프린팅 기술이 가져올 제조 산업의 변화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이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활성화될 것”이라며, “특히 프리랜서 디자이너와 스타트업이 데스크톱 3D 프린터를 활용해 빠르게 제품을 출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속 가능성(ESG) 트렌드와 3D 프린팅의 접목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바이오 플라스틱, 재활용 소재 등의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지속 가능한 제조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며, “스마트 공장과 결합해 온디맨드(on-demand) 제조 방식이 자리잡으면서 더욱 유연한 생산 시스템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홍익대학교 최성권 교수   ▲ 3D 프린팅 전망과 시사점   디지털과 피지컬의 융합, 2025년 이후의 변화 이번 방송에서 발표자들은 2025년 이후 디지털과 현실 세계가 더욱 긴밀하게 연결될 것이라는 점을 공통적으로 강조했다. AI, 디지털 트윈, 스마트 공장, 3D 프린팅 등 기술이 현실 세계에서 실질적인 가치 창출로 이어지면서 기업과 개인은 단순한 기술 적용을 넘어,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활용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이 핵심 메시지였다. 한편, 조형식 대표는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결국 인간이 살아가는 것은 물리적(피지컬) 세계”라며, 디지털 기술이 실생활에서 실질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 신년특집 방송   ▲ 디지털지식연구소 조형식 대표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2-04
[온에어] 마커리스 증강 및 자동 라우팅 기술을 통한 미래 BIM 전략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1월 21일, CNG TV는 ‘마커리스 증강 및 자동 라우팅 기술을 통한 미래 BIM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최신 AR(증강현실) 기기의 등장과 함께 가상현실 기술의 변화에 대해 다루었으며, 마커가 없이 AR을 구현할 수 있는 마커리스 증강 기술과 이를 바탕으로 한 차세대 BIM 데이터 운용 전략 등에 대해 설명했다. ■ 박경수 기자    ▲ 왼쪽부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 에스엘즈 정재헌 대표   이날 웨비나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이 사회를 맡고 에스엘즈 정재헌 대표가 발표자료 참여했다. 건설 산업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BIM(건설 정보 모델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에 맞춰 에스엘즈는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을 결합한 BIM 기술을 통해 건설 현장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정 대표는 “미래 건설의 핵심은 계획에서 시공까지의 과정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라며, 기술 도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AR 기술은 이제 마커리스(markerless)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에스엘즈가 개발한 기술은 기존 QR 코드나 마커 없이도 AR 콘텐츠를 증강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BIM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장의 좌표를 직접 활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마커 설치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현장에서 더욱 실시간으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GNSS(GPS 기술)와 결합한 야외 증강 기술은 건설 현장의 정확한 시공을 지원하며, AR 기술의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에스엘즈가 선보인 자동 라우팅 기술은 BIM 데이터를 활용해 설비를 최적 경로로 자동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설비 구조물간 충돌을 회피하며, 파이프 배치 및 엘보(곡관) 설계 과정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이 기술은 현장에서 AR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정 및 검증할 수 있어 설계와 시공의 간극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 에스엘즈 정재헌 대표   한편 에스엘즈는 엔비디아 인셉션 프로그램에 선정되며 글로벌 스타트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엔비디아의 지원 아래 AI와 BIM의 융합 기술을 개발하며 건설 AI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정 대표는 “글로벌 네트워킹과 협업을 통해 한국 기술의 가능성을 널리 알리고 있다”며, 국내외 시장에서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 대표는 AR, AI, 그리고 BIM의 통합이 건설 기술의 미래를 이끌 것이라 전망했다. AI를 활용해 설계 단계에서 로직 중심의 자동화를 구현하고, AR 기술로 현장에서의 정확한 시공을 지원하며, 위험한 작업은 로봇과 결합된 기술로 대체하는 시대가 머지않아 도래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커리스 증강과 자동 라우팅 기술은 건설 산업의 판도를 바꿀 혁신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정 대표는 “건설은 아이디어를 현실로 정확히 구현하는 과정”이라며, “기술이 인간의 상상력을 뛰어넘는 시공과 설계를 실현할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2-04
[온에어] 옴니버스를 통한 MEP 자동설계 AI 운용사례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8월 29일 CNG TV는 'Omniverse를 통한 MEP 자동설계 AI 운용사례'를 주제로 방송을 진행했다. 이번 방송에서는 MEP 자동설계 소프트웨어인 스마트 라우팅 AI(Smart Routing AI)와 레빗(Revit)의 BIM(건설 정보 모델링) 정보교환 체계에 대해 소개하고,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를 통한 BIM의 확장성 확보와 건설제조 분야의 디지털 트윈 운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이 마련됐다. ■ 박경수 기자   ▲ 왼쪽부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 에스엘즈 정재헌 대표   이번 CNG TV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이 사회를 맡고, 에스엘즈 정재헌 대표가 발표자로 참여해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이용한 MEP(기계, 전기, 배관) 자동설계 AI의 운영 사례에 대해 소개하는 한편, 이 기술이 건설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에스엘즈 정재현 대표는 “엔비디아 옴니버스는 디지털 트윈 콘셉트를 기반으로 산업 확장을 목표로 하는 플랫폼으로, 에스엘즈에서 개발한 MEP 자동 설계 AI 제품인 스마트 라우팅 AI라는 라우팅 기술을 활용하여 설계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실시간 편집 기능을 통해 라우팅 결과를 수정하고 적용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는 BIM의 확장성을 향상시키고, 디지털 트윈을 통해 건설 및 제조 분야에서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3D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도구를 통합하고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산업에서 실시간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데, 특히 BIM과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설계 및 시뮬레이션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정재헌 대표의 설명이다. 정재헌 대표는 MEP 시스템의 자동 설계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MEP는 건설 산업에서 필수인 혁신 도구로 자리잡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높이고 오류를 줄이고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IT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더 나은 설계 품질과 결과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재헌 대표는 건설/제조 분야의 디지털 트윈 운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소개하면서, “AI와 디지털 트윈의 결합으로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지면서, 건설 현장의 의사결정은 보다 데이터 중심적이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 트윈은 프로젝트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며, 전반적인 프로젝트 관리에 기여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비용 절감, 일정 준수, 품질 향상 등 다양한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에스엘즈 정재헌 대표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0-04
[온에어] 생성형 AI 시대의 BIM 기술과 스마트 건설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5월 14일 CNG TV는 ‘생성형 AI 시대 BIM 기술 동향과 해외 스마트 건설 사례’를 주제로 줌(ZOOM)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이번 방송에서는 스마트 건설과 BIM 분야에도 생성형 AI가 변화의 바람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 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BIM 생성형 AI와 스마트 건설’을 주제로 발표한 연세대 이강 교수   이날 방송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이 사회를 맡아, 건설 부문에서는 어떻게 생성형 AI를 적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축과 BIM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등을 소개했다. 연세대학교 건축학과의 이강 교수는 ‘BIM 생성형 AI와 스마트 건설’을 주제로, BIM(빌딩 정보 모델링) 기반의 생성형 AI는 어떤 것들이 있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발표했다. 그리고 싱가포르의 컨설팅 회사인 빌드닥터(Build Doctor, 구 베이시스소프트 빔닥터)의 정숭용 대표는 ’싱가포르 스마트 건설 현황 및 시사점’을 주제로 싱가포르 BIM의 시작 과정과 그 이후의 변환 과정에 대해 소개했다. 이강 교수는 연구실에서 “2년마다 BIM 도입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2017년부터 BIM 도입에 대한 연구주제를 검토해 왔는데, 그때는 통합(fully Integrated) BIM부터 시작해 린(lean) BIM으로, 그리고 챗지피티(ChatGPT)가 나온 뒤로는 AI를 혼합한 지능형 BIM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강 교수는 “궁극적으로 하고 싶은 것은 정보 기반의 의사 결정으로, 굉장히 하나하나 조금 조금씩 다가가야 되는 문제인 거 같다”며, “이러한 것들은 하루 아침에 해결되는 게 아니다. 최근 많이 이야기되는 DX(디지털 전환)도 정보의 디지털화가 목표가 아니라, 우리가 하고 싶은 것과 같은 정보 기반의 의사 결정을 위한 것이다. 어떻게 이쪽으로 점점 다가가느냐가 과제”라고 말했다.   ▲ 연세대학교 건축학과 이강 교수   빌드닥터 정숭용 대표는 ‘싱가포르 스마트 건설 현황 및 시사점’을 주제로 싱가포르 BIM의 시작 과정과 그 이후에 VDC(Virtual Design and Construction), IDD(Integrated Digital Delivery)로의 변환 과정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현재 싱가포르 건설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소개했다.  정숭용 대표는 “현재 싱가포르 BIM 현황은 2D 도면을 3D로 바꿔 나가는 과정이고, 2D 도면을 계약 도면으로 인정하면서 BIM 모델은 참조하는 정도로 진행하고 있다”며, “실질적인 BIM 수행 자체 책임은 지금은 건설사가 가지고 있다. 이게 점차 뒤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으며, 몇몇 발주처에서는 입찰부터 도면이 아닌 BIM 모델만 제공되는 프로젝트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정숭용 대표는 “싱가포르나 한국의 BIM 수준은 미국이나 영국의 50~60% 수준으로 보면 될 것 같다”며, “싱가포르와 한국의 차이점은 피라미드 구조와 역 피라미드 구조라고 본다. 각종 정부 정책 같은 정부 지원과 가이드라인은 싱가포르가 잘 되어 있고, 한국에서는 BIM 실무 능력이 싱가포르보다 월등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빌드닥터 정숭용 대표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6-03
[온에어] 생성형 AI LLM과 스테이블 디퓨전 최신 기술 및 활용 동향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4월 29일 CNG TV는 ‘생성AI LLM과 스테이블 디퓨전 최신 기술 및 활용 동향’을 주제로, 생성형 AI 전문가를 초청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번 방송에서는 최근 핫이슈로 떠오른 AI 관련 기술 동향과 개발 내용, 그리고 텍스트 입력만으로 이미지 생성이 가능한 인공지능 모델인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을 활용한 그래픽 시장의 다변화에 대해 전망해 보는 시간이 마련됐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 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이날 방송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이 사회를 맡고, 소이랩(SOY.LAB) 최돈현 대표와 인공지능팩토리 김태영 대표가 발표자로 참석했다. 이번 방송에서는 지난 2022년 말에 챗지피티(ChatGPT)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생성형 AI 시대가 문을 열고 1년여의 시간이 지난 현재 어떤 일들이 진행되고 있는지 소개되어 관심을 모았다. 특히, AI는 이제 우리의 사회, 문화, 경제 모든 부문에서 강력한 파워와 영향력을 발휘하며 게임체인저로 부상했다. 소이랩 최돈현 대표는 “VFX 영상산업에서 시네마틱과 필름 애니메이션, 그리고 게임 콘텐츠 제작 분야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아 왔는데, 지난해부터 생성형 AI를 접하고 나서 AI와 VFX 경험들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제작과 커뮤니티 활성화하기 위해 소이랩을 창업하고 국내외 아티스트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소이랩 최돈현 대표   최돈현 대표는 “소이랩은 현재 개발은 물론 콘텐츠, 커뮤니티, 컨설팅,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크리에이터와 커뮤니티 사이에서 아티스트들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있다”며, “커뮤니티 부분에서는 페이스북에 스테이블디퓨전코리아라는 유저 그룹을 만들어서 운영 중인데 회원 수가 1만 5000명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또한 “유튜브에서는 스테이블 디퓨전의 업그레이드된 기술과 다양한 활용법들을 소개하고 있고, 패스트컴퍼니와 협업을 통해 다양한 교육 콘텐츠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공지능팩토리 김태영 대표는 ‘생성형 AI LLM 최신 기술 및 활용 동향’을 주제로 이야기하면서 어떻게 창업하게 됐는지, 현재 AI를 활용해 어떤 작업들을 하고 있는지 소개했다. 김태영 대표는 “소이랩의 경우에는 이미지 생성 AI 쪽에서 큰 생태계와 함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면, 인공지능팩토리는 AI의 전반적인 내용을 가지고 또 다른 생태계를 형상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 인공지능팩토리 김태영 대표   그는 또 “현재 AI 인플루언서인 ‘타이리’를 제작해 운영 중이다. 예전에는 이런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제작하고 운영하려면 한 팀이 움직여야 했다면, 이제는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하나의 전문팀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퀄리티는 아닐지라도 개인 혼자서 충분히 가상의 인플루언서를 제작하고 운영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방송을 통해 한번 더 확실하게 알 수 있게 된 점은 생성형 AI가 시장의 대세가 됐다는 사실이다. 모든 산업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데, 이제는 누가, 언제, 어디에서, 어떤 방식으로 AI 기술을 접목해 파급력 있는 AI 모델 혹은 콘텐츠를 생성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