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하이퍼바이저"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89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인텔-AWS, 제온 6 프로세서 기반 EC2 인스턴스 출시
인텔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급 인텔 프로세서 중 가장 높은 성능과 가장 빠른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하는 P-코어를 탑재한 인텔 제온 6 프로세서(Intel Xeon 6 processors with P-cores) 기반의 신규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 R8i 및 R8I-플렉스 인스턴스를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새로운 인스턴스는 인텔과 AWS 간 수년간 협력을 바탕으로, 확장성, 비용 효율성 및 고성능 클라우드 인프라를 추구하는 고객에게 최신 실리콘 혁신과 밀접하게 통합된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제공한다. 기업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인공지능(AI), 컴플라이언스 집약적인 워크로드 활용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유연한 고성능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필요도가 더 높아졌다. 인텔은 제온 6 프로세서가 전문적인 가속기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면서 유연한 다목적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하며, 다양한 활용 사례에 대한 배포 및 관리를 간소화해준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제온 6 기반 인스턴스의 주요 특징은 ▲고집적도 컴퓨팅 ▲ 클라우드 상에서 가장 빠른 DDR5 지원 ▲ 내장형 AI 가속 ▲인텔 QAT(QuickAssist Technology) 등이다. 제온 6는 재설계된 코어 아키텍처와 향상된 파이프라인, 더 많은 코어 수를 통해 성능과 스레드 확장성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AWS는 최대 96xlarge와 같은 대규모 인스턴스 크기를 제공해 고객이 워크로드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더욱 높은 집적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신규 인스턴스는 DDR5 메모리 속도 최대 7200 MT/s를 지원하며 분석, 머신러닝(ML),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고대역폭 메모리 및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인텔 AMX(Intel Advanced Matrix Extensions)를 통합해 AI 추론 및 머신러닝 성능을 최대 2배 향상시키며, 외부 가속기 사용 필요성을 줄이고 배포를 간편하게 한다. 이외에도 하드웨어 가속화된 암호화 및 압축을 지원하여 CPU 리소스를 절감하고, 금융, 의료, 공공 애플리케이션 등 보안에 민감하거나 규제 대상인 워크로드 성능을 향상시킨다. 인텔은 프로세서 마이크로아키텍처와 펌웨어 튜닝부터 하이퍼바이저 튜닝, 가상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에 이르기까지 스택(stack)의 모든 계층을 아우르는 최적화를 진행했다. 고객들은 이러한 통합을 통해 AWS의 글로벌 인프라 전역에서 제온 6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인텔은 이번 협력으로 AWS 및 더 광범위한 클라우드 생태계에서 핵심 기술 제공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개발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IT 리더들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혁신하고, 규모를 확장하며,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AWS의 니샨트 메타(Nishant Mehta) EC2 제품 관리 부사장은 “고객들은 가장 요구도가 높은 워크로드 속도에 맞춘 인프라가 필요하다”면서, “인텔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아마존 EC2 R8i 및 R8i-플렉스 인스턴스는 전 세대 대비 메모리 대역폭은 2.5배 더 향상되었고 가격 대비 성능은 15% 더 우수하다. 이는 고객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이라고 말했다. 인텔의 로낙 싱할(Ronak Singhal) 선임 펠로우는 “인텔 제온 6 프로세서로 구동되는 8세대 EC2 인스턴스 출시는 AWS와의 협업에서 중요한 이정표”라며, “인텔과 AWS는 AI 가속화, 메모리 성능 향상, 쉬운 배포를 통해 고객이 인사이트를 빠르게 얻고 강력한 투자수익률(ROI)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를 함께 구축했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5-08-22
뉴타닉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AOS’ 통해 데이터 플랫폼을 쿠버네티스 환경 전반으로 확장
뉴타닉스는 하이퍼바이저 없이도 뉴타닉스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및 고급 데이터 서비스를 하이퍼스케일러 쿠버네티스 서비스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베어메탈 환경으로 확장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AOS(Cloud Native AOS) 설루션을 발표했다. 데이터가 더욱 분산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데이터센터, 베어메탈 엣지 위치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하이퍼스케일러의 쿠버네티스 인프라 전반에서 데이터를 보호, 복제 및 복원할 수 있는 일관된 방법을 찾고 있다. 그동안은 베어메탈, 가상화 및 컨테이너화된 인프라에서 실행할 수 있는 공통 데이터 플랫폼이 부재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AOS는 클라우드 또는 베어메탈 어디서나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스토리지 및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한다. 해당 설루션은 하이퍼바이저가 필요 없어 사용자가 분산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에서 스토리지 관리를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신규 설루션은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과 해당 데이터에 대한 2일 차 지능형 운영을 어디서나 간소화한다. 또한, 데이터, 서비스형 플랫폼 및 AI를 위한 플랫폼의 백본(backbone)인 뉴타닉스의 AOS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와 베어메탈 환경의 상태 유지(stateful) 네이티브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로 확장한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AOS는 가용 영역,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간의 통합 재해 복구를 통해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과 해당 데이터를 보호함으로써 쿠버네티스 인프라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고객은 애플리케이션을 온프레미스 컨테이너 환경으로 다시 이동하는 기능을 포함해 여러 사이트에 걸쳐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최적으로 마이그레이션함으로써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및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뉴타닉스의 설루션은 개발자가 쿠버네티스 API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관리의 모든 측면을 자동화하고 셀프서비스 제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뉴타닉스의 토마스 코넬리(Thomas Cornely) 제품 관리 부문 수석 부사장은 “뉴타닉스는 가상화된 데이터 센터의 고급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엔터프라이즈급 인프라를 위한 완전한 플랫폼을 구축했다”면서, “이제 뉴타닉스는 퍼블릭 클라우드 및 베어메탈의 쿠버네티스 서비스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사용자에게까지 플랫폼의 범위를 확장해 엔터프라이즈 복원력, 2일 차 운영 및 보안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AOS는 현재 아마존 EKS(Amazon EKS)에서 얼리 액세스가 가능하며 올 여름에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베어메탈 서버의 온프레미스 컨테이너화된 환경에 대한 얼리 액세스는 올해 말에 제공될 예정이다.
작성일 : 2025-05-12
델, 뉴타닉스 클라우드 플랫폼 통합된 ‘델 파워플렉스’ 오퍼링 출시
델 테크놀로지스가 ‘뉴타닉스 클라우드 플랫폼’과 통합된 외장형 스토리지 오퍼링을 공식 출시했다. 델의 고성능 확장형 시스템과 뉴타닉스의 소프트웨어 정의 아키텍처가 결합된 이 오퍼링은 IT 현대화를 가속하고 운영 효율을 강화하는 동시에 스토리지 및 인프라 관리 간소화를 돕는다. ‘델 파워플렉스 위드 뉴타닉스 클라우드 플랫폼(Dell PowerFlex with Nutanix Cloud Platform)’은 회복탄력성, 보안, 확장성 및 고성능이 필수적인 대규모 미션 크리티컬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소프트웨어 정의 설루션으로서 델 파워플렉스의 확장성 및 성능과 뉴타닉스의 하이퍼바이저, 통합형 재해 복구 기능 및 네트워크 보안을 결합했다. 이제 파워플렉스는 ‘뉴타닉스 AHV(Nutanix Acropolis Hypervisor)’에 대한 지원 확장으로 더욱 유연한 하이퍼바이저 옵션을 제공하게 됐다.      이번에 출시한 델 파워플렉스 위드 뉴타닉스 클라우드 플랫폼’은 가상화 및 베어메탈 미션 크리티컬 워크로드를 단일 플랫폼에 통합하여 사일로를 없애고 운영 비용을 절감한다. 컴퓨팅 및 스토리지를 독립적으로 확장하고 각각의 자원을 손쉽게 조정함으로써 운영 중단 없이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용이하다. 이 제품은 파워플렉스 매니저(PowerFlex Manager) 및 뉴타닉스 프리즘 센트럴(Nutanix Prism Central)과 같은 자동화 툴을 사용해 업데이트, 리소스 할당, 지속적인 관리와 같은 IT 프로세스를 간소화한다. 이를 통해 IT 팀은 비즈니스 성과에 직결되는 전략적 우선순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또한, 최신 워크로드에 요구되는 고성능 및 엔터프라이즈급 보안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워크로드를 통합하고, 동적으로 확장하며, 중요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동시에 내장된 사이버 회복탄력성 및 재해 복구 기능을 통해 강력한 데이터 보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의 보안과 고가용성, 변화하는 요구 사항에 대한 적응력을 유지하여 오늘날의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높은 안정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델과 뉴타닉스는 전통적인 워크로드와 최신 워크로드를 모두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설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파워플렉스의 동급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및 컴퓨팅 기능과 뉴타닉스 클라우드 플랫폼의 가상화 및 관리 기능을 완벽하게 통합하여, 유연성, 성능, 효율성을 높인 유니파이드 설루션으로 제공한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의 김경진 총괄사장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 맞춰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민첩성과 유연성은 물론 인프라 단에서의 강력한 보안 조치를 확보해야 한다. 뉴타닉스와의 협력은 혁신을 향한 델의 꾸준한 노력에 새로운 힘을 더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5-07
HPE,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가상화를 효율화하는 VM 에센셜 출시
HPE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운영 모델로의 원활한 전환을 지원하는 비용 효율적인 가상화 설루션인 HPE VM 에센셜(HPE Virtual Machine Essentials)을 전 세계에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HPE는 파트너 중심 전략 강화를 위해 HPE VM 에센셜을 채널 생태계에 독점 제공하며, 이를 통해 파트너가 고객의 가상화 전략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PE VM 에센셜은 독립형 설루션으로, 고객이 기존 운영중인 VM웨어(VMware) 하이퍼바이저와 더불어 새로운 HPE VM 에센셜 하이퍼바이저(KVM기반)까지 광범위한 종류의 VM(가상머신)을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HPE는 국내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이 보다 개방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가상화 인프라 환경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돕는다는 계획이다. 많은 기업이 가상화 환경에서 예기치 않은 비용 증가, 비용 효율적인 엔터프라이즈 지원 가상화 옵션에 대한 요구, 벤더 락인(lock-in)에 대한 우려 등 지속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다. HPE VM 에센셜은 소켓 기반의 합리적인 가격 모델을 제공하고, VM웨어와 HPE VM 에센셜 하이퍼바이저의 통합 동시 운영을 지원하여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통합적인 클라우드 관리 설루션인 모피어스(Morpheus)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옵션을 마련하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HPE VM 에센셜은 HPE 프로라이언트 컴퓨트(HPE ProLiant Compute) Gen11 서버와 새롭게 발표된 Gen12 서버, HPE 알레트라 스토리지(Alletra Storage) MP B10000 등을 지원한다. 고객은 이를 통해 높은 가용성과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가상화 환경의 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HPE는 서버와 스토리지,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HCI) 설루션 등 자사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HPE VM 에센셜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 타사 시스템으로도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HPE는 국내 채널 지원 정책에 따라 가상화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 파트너사를 중심으로 HPE VM 에센셜 공급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파트너는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고 비용 효율적인 HPE 가상화 설루션을 제공하며, HPE VM 에센셜을 기반으로 부가가치 서비스를 구축해 고객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가상화 설루션을 찾는 기업의 총소유비용(TCO)을 절감할 수 있다. HPE의 사이먼 유잉턴(Simon Ewington) 월드와이드 채널 및 파트너 생태계 수석 부사장은 “HPE VM 에센셜 소프트웨어의 채널 중심 판매 전략은 가상화 시장의 기회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고객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낮은 총소유비용(TCO)을 제공한다”며, “또한 HPE의 에지-투-클라우드(edge-to-cloud) 전략을 실현하는 데 있어 채널의 역할이 중요해진 만큼, 설루션사들과의 생태계 구축 모델의 가속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휴렛팩커드의 김영채 대표이사는 “HPE VM 에센셜의 출시는 비용 효율적인 가상화 대안을 찾는 고객의 요구를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진전이다. 가상화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필수 기능과 성능을 갖춘 설루션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제공함으로써 HPE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으며, 파트너가 주도적으로 설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채널에 대한 기술지원 능력 강화와 판매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2-28
PAS-Arm,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표준화를 위한 파트너십 체결
파나소닉 오토모티브 시스템즈(PAS)와 Arm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을 위한 차량용 아키텍처의 표준화를 목표로 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양사는 현재와 미래의 차량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유연성을 갖춘 소프트웨어 스택을 개발한다는 공통의 비전을 공유하고 있으며, 자동차 시장 전반에서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을 촉진하는 업계 전반의 이니셔티브인 SOAFEE(Scalable Open Architecture For the Embedded Edge)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이에 뜻을 같이하고 있다. 이번 새로운 파트너십을 통해 PAS와 Arm은 디바이스 가상화 프레임워크인 VirtIO를 채택하고 확장하여,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드웨어에서 분리하고 자동차 산업 개발 주기를 가속화할 예정이다. 자동차 업계는 점점 더 전자제어장치(ECU)를 콕핏 도메인 컨트롤러(CDC) 또는 고성능 컴퓨팅(HPC)과 같은 강력한 단일 ECU로 통합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와 고성능 칩셋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하지만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와 티어 1 공급업체는 공급업체별 독점 인터페이스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한 공급업체 솔루션에서 다른 공급업체 솔루션으로 전환 시 비용과 배송 시간을 증가시킨다. PAS와 Arm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우선 개발 모델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업체 및 1차 공급업체 소프트웨어 스택과 이를 실행하는 기본 하이퍼바이저 및 칩셋 간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함으로써 자동차 파트너는 각자의 요구와 사용 사례에 최적화된 최신 세대의 기술을 더 쉽게 채택할 수 있다.     이 새로운 파트너십에는 ▲VirtIO 기반 통합 HMI를 활용한 영역 기반(zonal) 아키텍처 표준화 ▲클라우드부터 차량까지 환경적 동등성 보장 ▲VirtIO 표준화 확장 등과 같은 주요 이니셔티브가 포함된다. PAS와 Arm은 CDC/HPC와 같은 중앙 ECU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가상화뿐만 아니라 영역 기반 ECU에 연결된 원격 디바이스에도 VirtIO를 활용하고 있다. 양사는 PAS의 오픈 소스 원격 GPU 기술인 Unified HMI를 사용하여 Arm에 구축된 디스플레이 영역 기반 아키텍처(Display Zonal Architecture)를 구현하는 개념 증명을 시연했다. 이 아키텍처는 중앙 ECU에서 여러 영역 기반 ECU로 GPU 부하를 분산하여 중앙 ECU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지 않고도 발열과 하네스 무게를 줄인다. 영역 기반 ECU의 Mali-G78AE GPU의 유연한 파티셔닝은 전용 하드웨어 리소스를 다양한 워크로드에 할당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기반 아키텍처에서 결정적인 그래픽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PAS와 Arm은 자동차 업계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영역 기반 아키텍처의 표준화를 목표로 해당 작업의 SOAFEE 블루프린트 및 레퍼런스 구현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PAS의 vSkipGen은 Arm Neoverse 기반 클라우드 서버에서 작동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동일한 Arm CPU 아키텍처와 VirtIO 디바이스 가상화 프레임워크를 유지함으로써 클라우드 가상 하드웨어와 차량용 하드웨어 간의 환경적 동등성을 보장한다. PAS와 Arm은 가상 하드웨어에서 VirtIO를 구현하기 위해 협력하여 가상 및 물리적 자동차 시스템 간의 격차를 더욱 해소할 예정이다. 현재 Android Automotive 및 Automotive Grade Linux와 같은 콕핏 사용 사례에 중점을 두고 있는 PAS와 Arm은 더 많은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포괄할 수 있도록 VirtIO 표준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는 실시간 운영 체제(RTOS)용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여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 종속성에서 분리하는 것이 포함된다. PAS의 최고기술책임자인 미즈야마 마사시게(Masashige Mizuyama) 부사장은 “Arm과의 파트너십은 VirtIO의 표준화를 촉진하고 이 업계의 참조 표준을 다음 단계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양사의 전문성과 업계 리더십을 결합함으로써 이번 협력이 소프트웨어 잠재력을 실현하고 SDV를 향한 자동차 기술의 미래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Arm의 오토모티브 사업부 총괄인 딥티 바차니(Dipti Vachani) 수석 부사장은 “SDV는 오늘날 자동차 제조업체에게 가장 흥미로운 기회 중 하나이지만, 이 비전을 실현하려면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물리적 실리콘이 출시되기 전에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며, “PAS와의 파트너십은 양 기관의 SOAFEE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에서 비롯되었으며, 표준화를 통해 업계의 파편화를 줄이고 궁극적으로 파트너의 자동차 개발 주기를 가속화하려는 공동의 목표를 기반으로 한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1-11
시놀로지, 비즈니스 데이터 보호를 위한 ‘액티브프로텍트’ 어플라이언스 공개
시놀로지가 ‘액티브프로텍트(ActiveProtect)’를 발표했다. 이는 중앙 집중식 관리와 확장성을 갖춘 아키텍처를 결합하여 높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특수 목적의 데이터 보호 라인업에 새롭게 추가된 어플라이언스다. 액티브프로텍트는 조직 전반의 데이터 보호 정책, 작업, 어플라이언스를 중앙 집중화하여 통합 관리 및 제어 영역을 제공한다. 엔드포인트, 서버, 하이퍼바이저, 스토리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마이크로소프트 365 및 구글 워크스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포괄적인 적용 범위는 IT 사각지대와 여러 데이터 보호 솔루션을 운영해야 하는 필요성을 줄여준다. IT팀은 중앙 집중식 콘솔을 사용하여 분 단위 내로 액티브프로텍트 어플라이언스를 신속하게 배포하고, 글로벌 정책을 통해 포괄적인 데이터 보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불변성 및 에어 갭 정책 구현부터 복구 절차 수행에 이르기까지 액티브프로텍트는 직관적으로 설계되어 운영 오버헤드를 줄여준다.     각 액티브프로텍트 어플라이언스는 독립형 또는 클러스터 관리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스토리지 용량은 클러스터의 시놀로지 NAS/SAN 스토리지 솔루션, C2 오브젝트 스토리지 및 기타 액티브프로텍트 어플라이언스로 계층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 Synology Active Backup for Business 배포는 통합 인터페이스에서 관리할 수 있어 높은 배포 유연성을 제공한다. 액티브프로텍트 어플라이언스는 소스 측, 글로벌, 그리고 사이트 간의 중복 제거 기능을 갖춘 증분 백업을 활용하여 최소한의 대역폭 사용으로 빠른 백업과 복제를 보장한다. 액티브프로텍트는 일반적인 2대 1 이상의 중복제거 비율 대비 최대 7배 빠른 백업 속도를 제공함으로써 운영 비용을 절감시킨다. 시놀로지의 필립 웡(Philip Wong) CEO는 “액티브프로텍트의 출시는 사용자들에게 가장 소중한 자산인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려는 시놀로지의 끊임없는 노력을 반영한다”며, “오늘날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기업들은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있어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시놀로지는 새로운 액티브프로텍트 제품을 통해 모든 규모의 조직이 사이버 보안 문제를 정면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액티브프로텍트는 2024년 후반에 시놀로지 총판 및 파트너를 통해 출시될 예정이다.
작성일 : 2024-06-05
AMD, CES 2024에서 첨단 AI 엔진과 향상된 차량 내 사용자 경험 선보인다
AMD는 CES 2024에서 버설 AI 엣지 XA(Versal AI Edge XA) 적응형 SoC와 라이젠 임베디드 V2000A(Ryzen Embedded V2000A) 시리즈 프로세서 등 두 종의 새로운 디바이스를 공개하고 혁신적인 자동차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제품은 인포테인먼트와 첨단 운전자 안전 및 자율주행 등 자동차 분야의 주요 핵심 시스템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AMD는 자사의 자동차 생태계 파트너와 협력하여 새로운 디바이스 기반으로 현재 및 미래 자동차 솔루션에 활용 가능한 여러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을 시연한다.   ▲ AMD의 버설 AI 엣지 XA(왼쪽) 및 라이젠 임베디드 V2000 시리즈(오른쪽)   첨단 AI 엔진이 추가된 버설 AI 엣지 XA 적응형 SoC는 전방 카메라와 차량 내 모니터링, 라이다(LiDAR), 4D 레이더, 서라운드 뷰, 자동주차 및 자율주행을 비롯해 수많은 차세대 첨단 자동차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의 최적화를 지원한다. 또한 버설 AI 엣지 XA 적응형 SoC는 AMD 7nm 디바이스 중 최초로 자동차 품질 인증을 획득해, 안전이 핵심인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강화된 IP와 추가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버설 AI 엣지 XA 적응형 SoC는 대량의 데이터 기반 AI 추론을 수행하며 라이다, 레이더 및 카메라와 같은 에지 센서나 중앙집중식 도메인 컨트롤러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AI 엔진은 분류 및 특징 추적 등 다양한 유형의 AI 모델을 처리할 수 있다. 제품 포트폴리오는 2만 개~52만 1000개의 LUT와 5 TOPS~171 TOPS 성능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품군 전반에 걸쳐 확장이 가능해 설계자가 기존과 동일한 툴, 생태계 및 안전 인증을 이용해 간편하게 설계를 이식할 수 있다. 첫 제품은 2024년 초에 출시될 예정이며, 연말에 추가 출시도 계획되어 있다. 라이젠 임베디드 V2000A 시리즈 프로세서는 인포테인먼트 콘솔에서 디지털 계기판 및 탑승자용 디스플레이에 이르기까지 차세대 차량용 디지털 콕핏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MD는 라이젠 임베디드 V2000A 시리즈를 확장하여 최초로 자동차 품질 인증을 획득한 x86 프로세서 제품군을 출시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이동 중 차량 내에서 PC 등의 홈 엔터테인먼트와 동일한 수준의 경험을 할 수 있다. AMD 라이젠 임베디드 V2000A 시리즈 프로세서는 7nm 공정 기술과 AMD의 ‘젠 2(Zen 2)’ 코어 및 고성능 라데온 베가 7(Radeon Vega 7) 그래픽을 기반으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자동차 등급 리눅스(AGL, Automotive Grade Linux)와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Android Automotive),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기반 자동차 소프트웨어 및 향상된 보안 기능과 고화질 그래픽을 지원한다. AMD의 적응형 및 임베디드 컴퓨팅 그룹 총괄 책임자인 살릴 라제(Salil Raje) 수석 부사장은 “2년 전 자일링스(Xilinx) 인수로 합병된 자동차 부문 사업팀이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하고 있다. 이를 통해 AMD는 더욱 폭넓고 및 고도로 다각화된 자동차 포트폴리오 구축했으며, 빠르게 성장하는 자동차 시장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성일 : 2024-01-05
안랩, 2024년 ‘5대 사이버 보안위협 전망’ 발표
안랩이 2024년에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5대 사이버 보안위협 전망’을 발표했다. 안랩이 전망한 2024년 5대 보안위협은 ▲적대세력 간 사이버 공격 및 핵티비스트 활동 증가 ▲RaaS(서비스형 랜섬웨어)조직의 변화 가속화 ▲가상화 플랫폼을 노리는 랜섬웨어 활개 ▲금전 및 개인정보를 노린 안드로이드 악성 앱의 확산 ▲암호화폐 탈취목적 개인 지갑을 노린 공격 심화다. 1. 적대세력 간 사이버 공격 및 핵티비스트 활동 증가 전 세계적으로 이념, 종교, 이권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한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2024년에는 적대 세력 간 사이버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들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쓸 것으로 예상된다. 선전•선동(Propaganda, 프로파간다)를 목적으로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가짜 뉴스를 생산하거나, 과거에 유출된 내용을 새로운 해킹 결과물이라고 허위로 주장할 수 있다. 특히, 국가 배후 공격 그룹의 경우 적대 세력의 정보를 빼내기 위한 활동뿐 아니라 전력 등 인프라 장애를 노린 공격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격자는 타깃을 직접 공격하는 방법 외에 상대적으로 보안 관리가 취약한 (적대세력의)협력 업체 등을 공격하는 ‘공급망 공격’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맥락에서 ‘핵티비스트’ 활동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핵티비스트는 해커(hacker)와 행동주의자(activist)를 합친 말로, 인터넷에서 해킹을 투쟁 수단으로 하는 활동가를 지칭한다. 이들은 정치나 이념적인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손쉽게 딥페이크 음성 및 영상을 제작해 대량 유통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우에 따라 이들은 특정 국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거나 조직화될 수도 있다. 2. RaaS 조직의 변화 가속화 최근 사이버 범죄 포럼과 블랙마켓에 대한 법 집행기관의 대응은 지속해서 강화되고 있다. 특히 개인과 조직을 불문하고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 Ransomware as a Service*)’ 조직에 대한 사법기관의 국제협력 등 대응은 2024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비스형 랜섬웨어는 사이버 범죄자가 랜섬웨어 배포 및 관리에 필요한 툴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랜섬웨어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에 따라 RaaS 조직도 생태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다크웹 내 포럼과 마켓을 이동하며 이름을 바꾸는 ‘리브랜드’를 가속화할 수 있다. 또 수사기관의 추적을 어렵게 만들고 공격에 실패했을 때 대체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른 RaaS 조직이 사용하는 랜섬웨어의 변형을 활용하는 등 일명 ‘다중 랜섬웨어’ 전략을 필 것으로 보인다. 3. 가상화 플랫폼을 노리는 랜섬웨어 활개 최근 클라우드 등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상화 플랫폼’을 도입하는 기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의 주요 문서나 내부 인프라, 기밀자료들을 탈취하기 위해 ‘가상화 플랫폼’ 서버를 노린 랜섬웨어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솔루션은 공격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들어 VM웨어의 하이퍼바이저 플랫폼인 ESXi 서버를 표적으로 하는 랜섬웨어는 2020년 처음으로 나타난 이후 그 수량과 변종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그 외에도 Hyper-V, KVM, Xen 등 다양한 가상화 플랫폼이 현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만큼, 각 영역에서의 랜섬웨어에 대한 대비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4. 금전 및 개인정보를 노린 안드로이드 악성 앱의 확산 금융 서비스 이용과 사용자의 민감정보가 스마트폰으로 집중되면서 올해 다양한 악성 앱들이 발견됐다. 내년에는 사용자의 금전과 민감정보를 노린 악성 앱이 고도화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비롯해 스마트TV, 스마트워치, 스마트홈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퍼질 수 있다. 최근 발견되고 있는 사기 대출 앱은 합법적인 개인 대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명목으로 연락처와 소득 증명서 등의 개인 정보와 은행 계좌 정보와 같은 금융 정보를 수집해 유출한다. 이런 종류의 앱은 피해자가 의심하지 못하도록 모바일 웹사이트를 정교하게 제작하고 공식 구글플레이에서도 발견되는 등 점차 교묘해지고 있다. 이러한 악성앱들은 개인정보 유출, 광고 수익 창출 등을 목적으로 스마트 TV 셋톱박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홈 등 안드로이드 OS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으로 확장해 유포될 것으로 전망된다. 5. 암호화폐 탈취목적 개인 지갑을 노린 공격 심화 다양한 공격그룹은 거래 내역 추적이 어려운 암호화폐를 탈취하기 위해 사용자 개인 지갑과 블록체인 취약점 등을 꾸준히 공격하고 있다. 암호화폐를 노린 공격은 암호화폐 가격의 급등락에 맞춰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특징이 있다. 이런 가운데 2024년 4월경 암호화폐 공급량이 줄어드는 반감기가 다가옴에 따라 암호화폐 자산 전반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공격자들은 가치가 높아진 암호화폐를 탈취하기 위해 한동안 주춤했던 암호화폐 탈취 공격을 다시 전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격자들은 공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보안 시스템이 갖춰진 암호화폐 거래소의 해킹보다는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할 수 있는 개인 사용자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보안 위협을 예방하기 위해서 조직 차원에서는 △조직 내 PC, 운영체제, SW, 웹사이트 등에 대한 수시 보안점검 및 패치 적용 △보안 솔루션∙서비스 활용 및 내부 임직원 보안교육 실시 △관리자 계정에 대한 인증 이력 모니터링 △멀티팩터인증(Multi-Factor Authentication) 도입 등 조직의 환경에 최적화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개인은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 속 첨부파일∙URL 실행 자제 △콘텐츠∙SW 다운로드는 공식 경로 이용 △SW∙운영체제∙ 인터넷 브라우저 등 최신 보안 패치 적용 △ 로그인 시 비밀번호 외에 이중인증 사용 △백신 최신버전 유지 및 실시간 감시기능 실행 등 보안 수칙을 지켜야 한다. 한편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ASEC) 양하영 실장은 “이제 IT기술이 없는 일상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디지털 기술은 우리 생활 전반에 녹아있다”며, “반대로 이런 환경은 사이버 범죄자들의 활동 무대이기도 하기 때문에, 디지털 기술의 편리함을 누리기 위해서는 조직과 개인을 막론하고 보안 수칙을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3-12-29
델 테크놀로지스, AI 추론 성능과 전력 효율 높인 차세대 파워엣지 서버 공개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는 델 파워엣지(Dell PowerEdge) 포트폴리오에 13종의 차세대 모델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코어 데이터센터부터 대규모 퍼블릭 클라우드나 에지 환경까지 강력한 컴퓨팅 성능과 안정성을 구현했다. 4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Xeon Scalable) 프로세서가 탑재된 델 파워엣지 신제품군은 랙, 타워, 멀티-노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새로운 ‘스마트 플로우(Smart Flow)’ 설계를 비롯해 소프트웨어 및 엔지니어링 상의 다양한 진전을 이뤄내며, 전력 및 비용 효율성을 개선했다. 또한 델은 고객들이 서비스형(as-a-Service) 방식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델 에이펙스(Dell Apex)’ 포트폴리오에 컴퓨트 서비스를 추가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IT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새로운 델 파워엣지 서버는 인공지능 및 분석에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워크로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포트폴리오에 추가된 제품들은 엔비디아 H100 텐서코어 GPU(NVIDIA H100 Tensor Core GPU)와 풀 스택 운영 AI 플랫폼을 위한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NVIDIA AI Enterprise) 소프트웨어 제품군 등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분야의 최신 기술이 적용됐다. 델 파워엣지 HS5610 및 HS5620 서버는 1U 또는 2U 폼팩터의 2 소켓 서버로 대규모의 멀티벤더 데이터 센터를 관리하는 CSP(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에게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냉기 통로(cold aisle) 서비스 가능 구성이 가능하다. CSP가 HS5610 및 HS5620 서버와 함께 오픈BMC(OpenBMC)에 기반한 시스템 관리 솔루션인 ‘델 오픈 서버 매니저(Dell Open Server Manager)’를 이용하면 다양한 이기종의 서버들을 보다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델 파워엣지 R760을 비롯한 차세대 파워엣지 제품군은 ‘인텔 딥러닝 부스트(Intel Deep Learning Boost)’와 ‘인텔 어드밴스드 매트릭스 익스텐션(Intel Advanced Matrix Extensions)’을 내장한 4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를 탑재해, AI 추론 성능을 최대 2.9배 끌어 올렸다. 또한 이전 세대와 비교했을 때 단일 서버에서 최대 20% 더 많은 VDI 사용자를 지원하고, 50% 더 많은 SAP S&D(SAP Sales & Distribution) 사용자를 지원한다. 델 파워엣지 시스템 구매 시 엔비디아 블루필드(NVIDIA Bluefield-2) DPU를 탑재해 함께 구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가 오프로드, 가속화 및 워크로드 격리 기능을 활용하여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 구축 시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델은 간편한 서버 관리를 위해 강화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와 신규 서비스를 소개했다. 여기에는 ▲사전 예방적 모니터링, 머신러닝 및 예측 분석을 결합하여 서버가 어디에 있든 관계없이 포괄적인 뷰를 제공하는 델 클라우드IQ(Dell CloudIQ) ▲제품 수령 직후 즉시 설치가 가능하도록 고객이 원하는 운영 체제, 하이퍼바이저 소프트웨어 및 RAID, BIOS 및 iDRAC 설정으로 사전 구성하여 출고하는 델 프로디플로이 팩토리 구성 서비스(Dell ProDeploy Factory Configuration) ▲데이터센터를 확장하거나 IT 현대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운영 환경에 최적화된 랙 및 네트워크 구성을 제공하는 델 프로디플로이 랙 통합 서비스(Dell ProDeploy Rack Integration) ▲보다 간편하게 시스템을 구축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인증서 만료 알림, 델 콘솔 원격 제어, GPU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업데이트한 iDRAC(통합 Dell 원격 액세스 컨트롤러) 등이 있다. 또한, 델 파워엣지 차세대 서버는 지속가능성의 가치가 설계에 적용됐다. 이번 신제품은 2017년에 출시된 14세대 파워엣지 서버와 비교해 3배 향상된 성능을 갖췄으며, 차지하는 공간은 줄이고 더 강력하고 효율적인 기술들을 구현했다. 델 스마트 플로우(Dell Smart Flow) 설계를 적용해 이전 세대 서버 대비 냉각 팬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대 52% 절감했고, 델 오픈매니지 엔터프라이즈 파워 매니저 3.0(Dell OpenManage Enterprise Power Manager 3.0)은 탄소 배출량을 모니터링하며 전력 상한을 최대 82% 더 빨리 설정하여 전체 에너지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다. 델 파워엣지 서버 중 4개 시스템은 미국의 전자제품 친환경 인증제도인 EPEAT ‘실버’ 등급으로, 46개 시스템은 ‘브론즈’ 등급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차세대 파워엣지 서버는 조직 내 IT 환경의 제로 트러스트 구현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드웨어 수준에서 반도체 기반 RoT(root of trust)와 ‘델 시큐어드 컴포넌트 인증(Dell Secured Component Verification, SCV)’을 통해 통해 설계부터 배송 단계까지의 공급망 보안을 유지하고, 멀티팩터 인증 및 통합 iDRAC으로 접근를 승인하기 전에 사용자를 확인한다. 공급망 보안이 확보되면 기업들은 제로 트러스트 접근 방식을 강화할 수 있으며, 델 SCV를 통해 구성 요소의 암호화 검증 기능을 사용해 공급망 보안을 사업장 내부로까지 확장할 수 있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의 김경진 총괄사장은 “고객들이 델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비즈니스에 중요한 워크로드가 최적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무리 복잡한 환경이더라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스마트하게 구동되는 서버를 사용하기 원한다”고 말하며, “델의 차세대 파워엣지 서버는 전력 효율성, 성능, 안전성에 대한 기준을 다른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또 전체 IT 환경의 보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고객들이 간소화된 방식으로 제로 트러스트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델 파워엣지 R760 서버는 2월 중, 델 파워엣지 HS5620과 HS5610은 4월 중 국내에 출시될 예정이며, 차세대 파워엣지 서버 중 나머지 모델들은 상반기 중 국내 출시가 완료될 계획이다. 프로디플로이 팩토리 구성 서비스는 한국을 비롯해 전체 시장에서 이용 가능하며, 프로디플로이 랙 통합 서비스는 하반기에 국내 출시될 예정이다. 새롭게 추가되는 델 에이펙스 컴퓨트 서비스는 하반기 중 공개될 예정이다.
작성일 : 2023-02-14
[포커스] AWS,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 클라우드 인프라의 시대가 왔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지난 5월 10~11일 연례 기술 콘퍼런스인 ‘AWS 서밋 코리아 2022’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AWS는 폭넓은 분야에서 디지털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술의 폭과 깊이를 더하겠다는 전략과 함께, 자사의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방향 및 국내 산업분야의 적용사례 등을 소개했다. ■ 정수진 편집장   비즈니스 혁신 위한 클라우드의 성장세 이어간다 새로운 클라우드 기술과 성공사례를 소개하는 AWS 서밋(AWS Summit)은 올해로 8회째를 맞은 AWS의 연례 글로벌 콘퍼런스로, 국내서는 2015년 첫 시작됐다. AWS코리아의 함기호 대표는 “AWS 서비스의 발전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니즈와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으며, AWS는 투자와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이번 서밋은 클라우드 통한 비즈니스 혁신에 대한 고객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자 했으며, 산업/기술 주제별로 90여 개의 강연 및 40여 개 고객사의 AWS 솔루션 도입 경험과 성공사례를 소개했다”고 전했다. AWS의 맷 우드(Matt Wood)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담당 부사장은 기조발표에서 “IT 인프라와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고 직접 업데이트 및 관리하는 시대는 지났다”고 선언했다. 클라우드 플랫폼에 새로운 기능이 빠르게 추가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과 공공영역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되는 탄력적 인프라를 사용해 혁신 제품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드 부사장에 따르면 AWS는 컴퓨팅과 데이터베이스부터 로보틱스, 머신러닝,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애널리틱스 등 200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작년 한 해에만 3084개의 신규 서비스 및 기능을 플랫폼에 탑재시켰다. 이렇게 클라우드 서비스의 폭을 넓히면서 AWS는 아이디어를 실행하고 성과를 얻는 과정까지 빠르고 매끄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엔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별 서비스의 기능도 깊이를 더하겠다는 것이 AWS의 설명이다. AWS는 국내서도 클라우드 시장에서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AWS는 지난 2016년 전세계 12번째로 서울 리전(region)을 개설한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세 번째와 네 번째 가용영역(Available Zone : AZ)을 개설했다. 서울 리전의 경우 개설 초기 24개 서비스로 시작해 현재는 160여 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WS 코리아에 따르면, 현재 국내의 AWS 활성 고객사는 수만 개이며, 파트너사는 1000여 개로 늘었다.   ▲ AWS의 맷 우드 부사장은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하도록 돕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기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디지털 전환의 밑거름은 데이터 이번 AWS 서밋에서 AWS는 자사의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소개했다. 우드 부사장은 “모든 산업에 걸쳐 클라우드에서 재창조(reinvention)가 일어나고 있으며, 모든 디지털 전환 사례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데이터에 기반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강조했다. 지속 성장이 가능한 비즈니스를 구축하기 위해 비즈니스의 주변 환경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어떻게 의사결정에 활용할 것인지까지 전체적 관점에서 측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AW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오로라(Amazon Aurora)를 통해 데이터의 구조를 최대한 활용하고, 데이터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웠다. 오로라를 통해 데이터 저장소를 구축하면 데이터 관리 비용 및 데이터의 지연 시간을 줄이며, 데이터 기반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AWS는 오로라로 더 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상용 데이터베이스 수준의 보안, 성능, 가용성에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을 결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2017년 이후 오로라의 사용량이 10배 이상 늘었다고 소개했다. 또한, 레드시프트(Amazon Redshift)는 엔터프라이즈용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단일 서비스로서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레드시프트는 데이터 공유, 기계학습 기능 추가와 함께 쿼리 연동 기능, 하드웨어 가속기, 서버리스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머신러닝의 성숙도 높이는 기술 및 교육 제공 한 곳에 모은 데이터를 유용한 정보로 변환해 지식을 축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레이크(data lake)도 AWS의 관심사 중 하나이다. 이러한 데이터의 활용분야 중 하나가 빅데이터 기반의 머신러닝(ML)이다. 많은 고객들이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기계학습을 통한 예측 분석을 활용하면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AWS는 주요한 딥러닝 라이브러리에 대한 지원, 모델 훈련용 GPU 제공. 훈련된 모델을 애플리케이션에 임베드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폭넓은 머신러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머신러닝은 클라우드에서 딥러닝 학습이 가능해지면서 몇 년 새 기술 성숙도 또한 높아졌다.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머신러닝의 결합도 가능해졌다. AWS는 클라우드 서비스뿐 아니라 머신러닝 기반의 맞춤형 칩을 개발해 머신러닝 모델의 훈련 및 예측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웠다. Arm 아키텍처 기반으로 AWS가 개발한 범용 CPU 그래비톤(Graviton)은 현재 3세대까지 출시했는데, 높은 효율성과 파워를 제공하면서 범용 워크로드에서 가성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한편, 우드 부사장은 “2025년까지 2900만 명의 머신러닝 개발자를 트레이닝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히기도 했다.   클라우드를 더욱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지원 우드 부사장은 “거의 모든 산업에서 수백만 고객이 AWS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 고객은 초기에는 비용 절감을 위해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시작했지만 점차 더 큰 이점을 발견하고 있다”고 전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는 컨테이너 형태의 작은 서비스를 결합하는 인프라 구조인데, 이는 코딩 작업 없이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구축하고 빠르게 출시할 때 유용하다는 것이 AWS의 설명이다. 또한, AWS는 나이트로(AWS Nitro)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제공한다. 나이트로는 1대 또는 여러 대의 서버를 관리 위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를 대체해 대규모의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목적에 맞게 최신 프로세서를 포함한 500개 이상의 컴퓨팅 인스턴스 타입을 제공한다. 한편, AWS는 지역별 대규모 데이터센터인 리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에지(edge) 환경에서 자사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AWS 서비스를 더욱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구축하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AWS의 설명이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빠르게 구현한 삼성엔지니어링의 데이터 플랫폼   스마트 제조를 위한 클라우드 활용사례 소개 이번 AWS 서밋에서는 클라우드의 메가트렌드와 함께 금융, 리테일, 제조 및 하이테크, 미디어 통신, 공공 부문 등 국내 여러 산업영역에서 AWS 클라우드를 활용한 사례가 폭넓게 선보였다. 이 가운데 제조 산업에서는 ▲머신러닝을 활용한 생산 효율 향상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구축 ▲MSA를 통한 플랜트 설계 환경 혁신 ▲비전 검사 체계 개선으로 스마트 공장 구현 ▲디바이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등의 내용이 소개됐다. 한국타이어테크놀로지는 글로벌 공급 네트워크에 걸쳐 효율적인 재고 보충 및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수요계획 수립이 필요했는데, 전통적인 예측 방식으로 다양한 변수를 적용해 정확하게 수요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최적의 SCM 운영으로 효율을 높이고자 한 머신러닝을 수요예측에 적용하기 위해 한국타이어테크놀로지는 AWS의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을 통해 서비스 구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작업을 빠르게 진행했다. 또한, SCM 서버의 데이터 생성 - 데이터 전처리 - 데이터 저장/훈련/추론 - 예측 결과의 후처리 - 결과 데이터 전달까지 전체 프로세스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었다. 코웨이는 정수기와 공기청정기 등 다수의 제품을 연결하기 위한 IoT 플랫폼을 AWS 구축 기반으로 구축했다. 기존 IoT 플랫폼을 AWS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과정을 몇 달만에 완료했는데,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채택해 리소스를 줄이면서, 프로젝트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AWS 코리아는 “IoT 솔루션은 에지 디바이스, 통신, 네트워크, 서버, 데이터 분석까지 다양한 영역의 고민이 필요하다. AWS는 지속적인 변경 관리, 개선 부담을 덜 수 있는 디바이스 연결 및 관리, 데이터 저장/분석을 위한 솔루션 등을 폭넓게 제공한다. 또한, 인공지능/머신러닝과 통합해 인텔리전트 IoT 솔루션을 구축하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석유화학 플랜트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도면이나 문서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대신 3D 모델과 해석 모델 및 도면 사이에 정합성을 확보하는 방식의 개발 체계 전환을 진행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계 작업을 자동화 및 효율화하는 것뿐 아니라 개발 과정의 데이터를 분석해 AI 모델을 생성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인데, 이런 데이터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삼성엔지니어링은 MSA에 주목했다. 새로 개발하는 시스템뿐 아니라 기존 시스템까지 잘 연결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삼성엔지니어링은 서비스를 적절한 크기로 쪼개 개발하고 느슨하게 연결하는 방향을 설정했다. 그리고 각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하는 서비스는 중앙에서 일괄 개발하고, 각 앱은 이에 더해 개별 기능만 구현 및 관리하는 방식으로 전체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개발해야 하는 서비스가 줄면서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운영/유지보수의 효율화라는 효과도 얻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2-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