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포스코A"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포커스]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과 디지털 플랫폼으로 지속가능한 산업 혁신 뒷받침한다”
다쏘시스템코리아가 6월 15일 ‘3D익스피리언스 콘퍼런스 코리아 2023’을 진행했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의 시각화,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주제로 한 이번 행사에서 다쏘시스템은 폭넓은 산업에서 지속가능한 혁신을 지원하는 자사의 비전과 전략을 선보있다. 그리고 다쏘시스템의 다양한 솔루션 및 국내 기업들의 활용 사례 등도 소개됐다. ■ 정수진 편집장     디지털 데이터에서 인사이트 얻고 산업 혁신까지 연결 다쏘시스템은‘디지털 트윈’을 확장한‘버추얼 트윈’을 내세운다. 버추얼 트윈은 제품의 외형을 3D로 구현하는 것뿐 아니라, 가상 공간에서 이를 설계, 시뮬레이션, 테스트할 수 있다는 확대된 개념에 기반을 둔다. 이런 버추얼 트윈을 중심으로 R&D, 생산, 운영 등 각각의 단계가 단절되지 않고 모든 수명주기 데이터를 통합하겠다는 것이 다쏘시스템이 설명하는 버추얼 트윈의 의미이다. 다쏘시스템코리아의 정운성 대표이사는 ▲제품 그 자체보다 제품을 사용하는 경험을 중시하는 ‘경험의 경제’로의 진화 ▲폐기물이 생기지 않는 제품 개발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는 ‘순환 경제’를 위한 기술 제공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데이터, AI(인공지능), 데이터 과학 기술을 통한 ‘지식과 노하우의 활용’ 등 다쏘시스템이 바라보는 변화의 방향을 소개했다. 그리고, “다쏘시스템은 3D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기반의 버추얼 트윈으로 현실과 가상의 차이를 줄이고, 버추얼 트윈을 통한 기업의 혁신 사례를 전달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쏘시스템의 데이비드 브라운 부사장은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지식과 노하우로 변환하고, 여기에서 통찰력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다양한 기술을 융합해 버추얼 트윈 경험을 구축할 수 있다”고 짚었다. 최근 챗GPT(ChatGPT)로 주목받는 생성형 AI가 그 한 가지 예인데, 브라운 부사장은 “자연어 처리 도구와 딥러닝 알고리즘이 인공지능의 민주화를 이끌고 있지만, 부정확한 정보의 확산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브라운 부사장은 환경, 소비자, 품질, 비용 등 산업계가 마주하는 여러 도전과제에 대해서는 데이터 사이언스가 기회를 찾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를 구조화, 맥락화하고 지식과 노하우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브라운 부사장은 “다쏘시스템의 넷바이브스(Netvibes)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인덱스해 버추얼 트윈에 투영할 수 있게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활용할 수 있다”면서, “사일로화된 데이터를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에 올려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 포스코A&C는 BIM을 기반으로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는 ‘스마트 CM 플랫폼’을 구축했다.   건설산업의 생산성과 가치 높이는 디지털 혁신 건설산업의 디지털화 수준은 여타 산업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반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점은 기회로 꼽힌다. 포스코A&C의 문현묵 DX추진반장은 “정보를 디지털로 저장하는 것뿐 아니라 이를 활용해 부가가치를 생산해야 한다는 점에 디지털화의 가치를 두고, 포스코A&C의 비즈니스 디지털화를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포스코A&C는 건축설계, CM(건설사업관리), 모듈러 건축, BIM(빌딩 정보 모델링) 기반 디지털 사업 등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디지털화를 추진해 온 포스코A&C는 지난 2021년부터는 스마트 CM 플랫폼을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 포스코A&C의 스마트 CM 플랫폼은 3D 모델과 디지털 트윈 구축을 기반으로 3D 데이터와 PIMS(프로젝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결합을 추구한다. 또한 프리콘(pre-con)/시공/조업정비의 BIM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프리콘 BIM은 3D 시뮬레이션과 4D 가상시공 체계를 구축해, 시공 현장의 여건을 반영한 시뮬레이션으로 공정을 관리한다. 시공 BIM은 현장에서 통합 건설 사업 관리를 수행한다. 조업정비 BIM은 AR을 통한 원격 지원 및 맞춤형 안전 시각화 콘텐츠, 3D 매뉴얼 등을 통해 스마트 공장을 지원한다. 문현묵 DX추진반장은 “BIM은 초기 투자가 크지만, 갈 수록 비용이 줄고 생산성은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라면서, “스마트 공장의 개념을 도입해 조업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 비용 절감 폭을 키울 수 있도록 BIM 발주 방식의 변화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 HD현대인프라코어는 제품 개발 플랫폼을 통합하는 GPDM 구축을 진행 중이다.   통합 디지털 플랫폼으로 제조 생산성 높인다 HD현대인프라코어 설계P&D팀의 홍성진 팀장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활용한 통합 PDM 구축에 대한 내용을 소개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대우중공업에서 출발해 두산인프라코어를 거쳐 지금의 회사로 바뀌면서 건설기계와 엔진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량의 설계변경 관리 및 글로벌 시장의 요구에 대한 사양 관리가 중요해지고, PLM 시스템의 통합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HD현대인프라코어는 차세대 BOM/사양 관리 체계 구축과 PLM 시스템 통합을 위한 GPDM 구축을 진행했다. 3D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에 기반한 GPDM은 단일 BOM 및 단계별 이력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기존의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바꾸고, 몇 개의 회사가 통합되는 과정에서 기존에 각사가 사용하던 PDM 시스템을 통합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홍성진 팀장은 “단일 BOM을 기반으로 엔지니어링 BOM(E-BOM)에서 제조 BOM(M-BOM)을 생성하는 로직을 단순화해 리드타임을 줄였으며, 통합 설계 환경을 구축해 협업 설계가 원활해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에는 GPDM의 업그레이드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의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하고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유니파이드 BOM 적용, 대용량 데이터 오픈 속도의 향상, 웹에서 앱처럼 사용할 수 있는 위젯 기능 도입, 사용자별 권한을 부여한 데이터 보안 관리 강화, 설계 품질과 효율을 높이는 CAD 템플릿 개발 등이 포함된다. 홍성진 팀장은 “향후 CAD/PLM 통합으로 시너지 확대를 기대하고 있으며, ERP와 인터페이스를 개발해 해외법인에 롤아웃할 계획”이라면서,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구축 전후의 준비기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IT 부문과 협업해 사용자 관점에서 지속 혁신을 추진할 수 있는 상시 조직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7-03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 콘퍼런스 2023’ 개최
다쏘시스템이 오는 6월 15일 국내 연례 콘퍼런스인 ‘3D익스피리언스 콘퍼런스 2023’을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매년 약 1000여 명의 다쏘시스템 이용자들이 참가하는 콘퍼런스로, 올해는 ‘시각화와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세계(Visualize, Model and Simulate the World for Sustainability)’를 주제로 다쏘시스템 솔루션을 활용한 성공사례와 업무 혁신을 위한 비전을 공유한다. 3D익스피리언스 콘퍼런스 2023은 다쏘시스템코리아 정운성 대표이사의 환영사로 시작해 ▲포스코 A&C 문현묵 상무 ▲HD현대인프라코어 홍성진 팀장 ▲다쏘시스템 데이비드 브라운(David Brown) 넷바이브(NETVIBES) 세일즈 부사장이 기조연사로 등단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활용한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 사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활용한 지속적인 R&D 혁신 사례와 ‘버추얼 트윈 익스피리언스’를 활용한 인공지능 분야의 산업 혁신 방안을 새롭게 조명한다. 오후 트랙에서는 밸류업을 위한 플랜트 버추얼 트윈, 3D익스피리언스를 활용한 항공기 부품 자동 프로그래밍, 버추얼트윈 팩토리 구축 사례 등을 주제로 다쏘시스템의 브랜드 전문가들과 다쏘시스템 고객사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포스코A&C, 현대자동차, HD현대인프라코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산업군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참여해 직접 다양한 디지털 혁신 방안과 사례를 공유한다. 또한 3D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내 주요 애플리케이션인 카티아(CATIA), 시뮬리아(SILMULIA), 에노비아(ENOVIA), 델미아(DELMIA), 바이오비아(BIOVIA)등을 활용한 사례와 솔루션 업데이트를 공개한다. 행사장 한편에는 전시존이 마련돼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다쏘시스템코리아의 정운성 대표이사는 “버추얼 트윈 익스피리언스는 기업의 시행착오를 줄여 업무 현장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하고, 나아가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산업 및 학계 최고의 전문가들과 함께 버추얼 트윈 익스피리언스를 활용한 성공사례와 지속가능한 혁신 방안을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통해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3-05-22
[포커스] 포스코A&C, BIM으로 플랜트의 설계-시공-운영을 혁신하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이 지난 2월 10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진행됐다. ‘플랜트 조선 분야 디지털 트윈과 DX 사례를 통한 생존 전략’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플랜트 및 조선산업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디지털 전환 사례와 이를 위한 기술 등이 폭넓게 소개됐다. ■ 정수진 편집장   같이 보기 : [포커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 디지털 전환의 실질적인 활용 노력과 기술 짚다   포스코A&C의 전동휘 부장은 ‘BIM 기반 메가프로젝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 발표했다. 포스코A&C는 건축 설계, 건설사업관리, 모듈러 건축 등을 주된 사업분야로 설계-시공-CM 프로젝트 전 단계를 서비스하는 종합 건축 서비스 기업을 지향하고 있다. 전동휘 부장은 “건설/플랜트 업계에서도 ESG 경영이 확산되며 친환경 설계의 수요가 늘고 있으며, BIM(빌딩 정보 관리) 기반의 디지털 전환 가속 및 콘테크 활용 확대가 꾸준히 진행 중”이라고 짚으면서, “포스코A&C는 디지털 사업추진 조직을 신설/통합 운영하고 있으며, 스마트 건설 기술을 내재화해 생산성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키우면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도록 대응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 포스코A&C 전동휘 부장   3D 중심의 건축 설계 기술인 BIM은 3D 데이터에 속성값을 부여해 공정관리, 원가관리 등의 표준화를 할 수 있다. 국내외에서 BIM 적용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포스코A&C는 설계단계부터 설계/프리콘, 시공, 유지보수 등 전 단계에 BIM을 적용해 이해관계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면서 리스크를 줄이고 공기를 준수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설계/프리콘 BIM에서는 계획 단계의 신속한 의사결정, 설계 완성도의 향상, 구매/조달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핵심이다. 전동휘 부장은 “포스코 A&C는 도면과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3D 모델을 중심으로 어셈블리 정합성을 검증하고, 다양한 3D 객체를 단일 소프트웨어로 통합해 다양한 관점의 설계 뷰를 얻고 있다. 또한, 기구학적인 제약요건과 시공현장의 여건 반영한 3D 시뮬레이션으로 시공 최적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시뮬레이션/VR/AR 등을 통한 4D 가상시공으로 공기 지연 요소를 차단하면서 시공 일정을 최적화하고자 한다”고 소개했다. 한편, 시공 BIM에서는 스마트 CM 플랫폼(SCP)을 기반으로 실시간 통합 건설사업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플랫폼을 통해 공정 관리, 원가 관리, 품질 관리, 스마트 트래킹, 안전/환경 관리 등을 구현함으로써 통합 건설사업 관리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 전동휘 부장의 설명이다.   같이 보기 : [포커스] 디지털화부터 자율 운영까지, 스마트 조선소를 위한 로드맵   같이 보기 : [포커스] 플랜트/조선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클라우드   같이 보기 : [포커스] 디지털 엔지니어링 및 스마트 선박을 위한 기술과 사례 소개
작성일 : 2023-03-03
[포커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 디지털 전환의 실질적인 활용 노력과 기술 짚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이 지난 2월 10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진행됐다. ‘플랜트 조선 분야 디지털 트윈과 DX 사례를 통한 생존 전략’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플랜트 및 조선산업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디지털 전환 사례와 이를 위한 기술 등이 폭넓게 소개됐다. ■ 정수진 편집장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지난 2년간 온라인 행사로 진행되었는데, 올해는 3년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면서 참가자들이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의 신안식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이라는 트렌드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플랜트 및 조선산업 역시 시대의 변화에 대응해야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3년만에 오프라인에서 개최된 이번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가 디지털 엔지니어링과 스마트 조선 분야의 전반적인 흐름을 짚어보고, 소프트웨어 기술의 최신 동향을 이해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신안식 회장   개회사에 이어 진행된 통합 세션에서는 HD현대(한국조선해양)의 채규일 상무가 ‘현대중공업 FOS 소개 및 DT 주요 추진 사례’를 소개했다. 포스코A&C의 전동휘 부장은 ‘BIM 기반 메가프로젝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 발표했으며, 메가존클라우드에서 클라우드 기술전략을 담당하는 김종찬 그룹장은 ‘조선 산업 클라우드 적용 사례 및 DX 동향’에 대해 소개했다.   같이 보기 : [포커스] 디지털화부터 자율 운영까지, 스마트 조선소를 위한 로드맵   같이 보기 : [포커스] BIM으로 플랜트의 설계-시공-운영을 혁신하다   같이 보기 : [포커스] 플랜트/조선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클라우드   또한, 통합 세션 이후에는 ‘디지털 엔지니어링&컨스트럭션’과 ‘스마트 선박&스마트 기술’ 등 두 개 트랙을 통해 플랜트와 조선 분야의 기술 개발 및 디지털 전환 적용 사례를 폭넓게 소개했다.   같이 보기 : [포커스] 디지털 엔지니어링 및 스마트 선박을 위한 기술과 사례 소개   ▲ VIP 간담회   이외에도 이번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는 VIP 간담회와 솔루션 부스 전시 등을 통해 현장에서 산업 및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플랜트를 위한 콘크리트 기초 및 파이핑 설계 솔루션을 전시한 휴엔시스템 부스   ▲ 석유·가스 등 플랜트 산업을 위한 설계 솔루션을 선보인 아비바코리아 부스   ▲ 3D 조선/플랜트 설계 솔루션 및 엔지니어링 메타버스 솔루션을 선보인 타임텍 부스   ▲ CAD 데이터 변환 및 설계 진행률 보고서 등 서드파티 솔루션을 소개한 다우데이타 부스   ▲ 디지털 전환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소개한 메가존클라우드 부스   ▲ 도면 출력을 위한 디자인젯 프린트 솔루션을 전시한 HP 코리아 부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3-03
[포커스]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으로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성 실현한다”
설립 25주년을 맞은 다쏘시스템코리아가 신임 대표이사의 선임과 함께 성장을 위한 미래 비전을 소개했다. 디지털 트윈을 확장한 개념의 ‘버추얼 트윈’을 핵심 기술로 내세운 다쏘시스템코리아는 제조, 인프라/도시, 생명과학/헬스케어 등 폭넓은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성이라는 기업의 혁신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끔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 정수진 편집장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지원 다쏘시스템은 1981년 설립 이후 3D 디자인, 디지털 목업(DMU), 3D PLM,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3DEXPERIENCE Platform) 등의 어젠다를 중심으로 기술과 솔루션을 확장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20년에는 제조, 생명과학/헬스케어, 인프라/도시 등 세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사람을 위한 버추얼 경험’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내세웠다. 한편, 한국 지사인 다쏘시스템코리아는 올해 설립 25주년을 맞았다. 현재 300여 명의 임직원을 갖추고 2만 2000여 고객을 확보했다. 서울에 본사와 기술 체험·교육 공간인 3D익스피리언스 이그제큐티브 센터를 두고 있으며, 조선·해양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대구 R&D센터에 이어 최근에는 창원 사무소를 오픈했다. 창원에는 경남 지역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이노베이션 센터도 마련했다. 다쏘시스템의 삼손 카우(Samson Khaou)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사장은 “다쏘시스템코리아는 처음 10명으로 시작해 지난 25년간 본사가 제시한 여정을 충실히 이행해 왔다. 현재는 3D, 제품 수명주기 관리,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분야에서 선도 역할을 하면서 고객의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여정을 돕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신뢰의 파트너십에 기반해 미래 성장을 위한 여정을 향해 나아가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다쏘시스템코리아 정운성 대표이사는 “버추얼 트윈과 산업 메타버스를 선도하며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리더십으로 더 큰 폭의 성장 추구 다쏘시스템코리아는 정운성 신임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리더십과 함께 미래 비전을 밝혔다. 정운성 대표이사는 인하대학교에서 금속공학을 전공했고 대우자동차 기술연구소, 한국후지쯔 PLM 사업부 등을 거쳤다. 다쏘시스템코리아에서는 18년간 서비스, 프리세일즈, 다이렉트 세일즈 등 주요 리더 보직을 맡으면서 자동차/모빌리티, 항공우주/국방, 산업장비, 조선/해양, 하이테크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고객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해 왔다. 다쏘시스템코리아로서는 오랜만에 대표이사가 교체됐기 때문에 향후 여러모로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정운성 대표이사는 “다쏘시스템은 제품, 자연, 사람의 삶을 조화롭게 만들기 위한 가상 체험을 큰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면서, “3D 기반의 가상 체험 세계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버추얼 트윈으로 가상 체험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런 비전을 기반으로 앞으로 비즈니스의 폭을 넓히면서 신규 사업에서도 큰 폭의 성장을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2조 원 규모로 추산되는 국내 제조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유지하면서, 인프라와 생명공학 시장에서도 1위를 차지하겠다는 것이 정운성 대표이사가 밝힌 포부이다.   디지털 전환과 지속 성장의 핵심은 버추얼 트윈 다쏘시스템은 자사가 내세우는 버추얼 트윈(virtual twin)에 대해 디지털 트윈을 확장한 개념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실제 제품의 외형을 3D로 구현하는 것에서 나아가 가상 공간에서 이를 설계, 시뮬레이션, 테스트하는 것이 버추얼 트윈의 출발점이다. 다쏘시스템은 “R&D, 생산, 운영 등 각각의 단계가 단절되지 않고, 제품 개발 단계의 버추얼 트윈이 운영 단계까지 연속돼서 모든 수명주기 데이터가 통합된다”는 점을 차별화 요소로 내세운다. 정운성 대표이사는 “기존에 존재하는 제품과 생산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화하는 디지털 트윈과 달리, 버추얼 트윈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생산라인과 제품을 설계하고 체험할 수 있다. 다쏘시스템은 모델링, 시뮬레이션, 데이터 인텔리전스, 협업 등 영역에 걸쳐 12개의 소프트웨어 브랜드를 제공하며, 모든 솔루션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안에서 실행되어 버추얼 트윈을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소개했다. 다쏘시스템은 이런 버추얼 트윈을 위해 통해 사물-공장-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합하는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전략과 함께, 버추얼 트윈을 구현하고 활용하는 기반으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다. 정운성 대표이사는 “버추얼 트윈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고, 이를 디지털화된 산업 메타버스(industrial metaverse)로 확장할 수 있다. 다쏘시스템코리아는 앞으로도 국내 고객 및 우리나라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동반자 역할에 충실하면서 버추얼 트윈 분야를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다쏘시스템코리아 양경란 비즈니스 컨설팅 총괄 대표는 “버추얼 트윈은 기업의 재무 성과를 높이는 데에 지속가능성이 기여할 수 있게 돕는다”고 설명했다.   지속가능성으로 새로운 시장 기회 찾는다 다쏘시스템코리아는 버추얼 트윈을 중심으로 기업과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쏘시스템코리아의 양경란 비즈니스 컨설팅 총괄 대표는 “지속가능성은 비재무 성격의 지표이자 성과이지만, 지속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실천하는 기업은 재무 성과 또한 높게 달성하고 있다. 한편으로 많은 글로벌 기업이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하고 있지만, 이를 실천하는 기업은 35%에 그치고 있으며, 국내는 그 비중이 더 낮다”고 짚었다. 이를 극복하고 지속가능성으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버추얼 트윈이 유용하다는 설명이다. 다쏘시스템은 사물, 공간, 인간 및 자연을 가상으로 구현하는 버추얼 트윈을 통해 현실 세계와 달리 이론적으로 무한한 시도를 해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탄소 배출, 물 소비,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친환경적인 대안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양경란 대표는 “여러 산업의 사례에서 에너지 소비 및 재활용 처리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면서 경제적 가치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나타난다”고 소개했다. 중국의 전기자동차 스타트업인 니오(NIO)는 버추얼 트윈으로 가상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물리적인 프로토타입 없이 제품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개발 단계에서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었고, 그 결과를 전세계 조직에 공유함으로써 의사결정 속도를 높여 3년이 채 되지 않는 기간에 친환경 자동차를 개발할 수 있었다. 프랑스의 건설 기업인 부이그(Bouygues Construction)는 빌딩을 건축하고 도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건물의 버추얼 트윈으로 단열 및 통풍 성능을 가상 시험으로 진행해 폐기물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국내 건설 기업인 포스코A&C에서는 버추얼 트윈 모델을 활용해 건설 현장의 장비와 기존 건축물의 간섭을 검증했고, 고난이도/고위험 작업 전에 엔지니어를 교육하는 데에 버추얼 트윈을 활용해 효과를 높였다. 스위스의 포장재 기업인 앰코(AMCOR)는 무게를 줄이면서 구조 강성은 높인 포장재 및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는 데에 분자 스케일의 버추얼 트윈 모델링을 활용했다. 이외에 생명과학 산업에서는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 과정에서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과 화학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해 디지털 인체 모델과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최적의 실험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양경란 총괄 대표는 “다쏘시스템코리아는 작년 초부터 지속가능성의 필요성을 꾸준히 소개해 왔다. 당시에는 기업들의 인식이 높지 않았는데, 점차 중요한 어젠다로 인식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다쏘시스템은 국내 대기업에서 디자인 및 개발의 초기단계부터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버추얼 트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한편으로, 기술 투자 여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소기업에서는 더 많은 투자 이끌어낼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삼손 카우 총괄 사장은 “한국의 제조산업은 수출 역량을 기반으로 성장해 왔다. 서구 기업들은 그린 패스포트 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지속가능성에 대한 적극 대응은 수출 중심의 한국 제조업에 더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본다”고 짚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3-03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 2월 10일 백범김구기념관 개최
  - 플랜트 조선 분야 디지털 트윈과 DX 사례 및 기술 트렌드 및 전망 소개 - 현대중공업, 포스코, 두산에너빌리티, 한국남동발전, 대우조선해양, 한국선급 등 주요 플랜트, 조선 기업 사례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가 주최하는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이 2월 10일(금)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된다.  올해 19회째를 맞은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플랜트 조선 분야 디지털 트윈과 DX 사례를 통한 생존 전략’을 주제로, 플랜트 조선 관련 엔지니어링 분야의 최신 기술과 엔지니어링 솔루션 구축 성공사례, 디지털 트윈과 DX 사례를 통한 위기해결 방안 등 국내 플랜트 조선 업계의 발전을 도모할 다양한 내용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먼저 기조연설로 한국조선해양 이태진 전무는 ‘현대중공업 FOS(Future of Shipyard) 소개 및 DT 주요 추진 사례 발표’를 주제로, 현대중공업 그룹 FOS 비전 및 목표에 대해 소개하고, FOS 추진 중장기 계획 및 추진 경과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또한 디지털 기반 조선소를 위한 DT 주요 추진 과제, 미래 현대중공업 그룹 조선소의 모습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포스코A&C 전동휘 부장은 ‘BIM 기반 메가프로젝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주제로 프리콘BIM과 포스코A&C에서 구축하여 운영중인 건설사업관리 플랫폼 SCP(Smart CM Platform)를 적용한 시공 BIM의 공정, 원가, 품질, 안전, 자재관리 사례들을 소개한다. 메가존클라우드 김종찬 그룹장은 ‘플랜트 조선 산업 클라우드 적용 사례 및 DX 동향’을 주제로 발표한다. 디지털 엔지니어링 & 컨스트랙션(Digital Engineering & Construction) 트랙에서는 플랜트 엔지니어링 분야의 이슈와 트렌드를 소개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 박진성 부장은 ‘두산에너빌리티 DX 추진 현황’을 주제로, 두산에너빌리티의 DX 추진 전략에 대해 소개하며, 발전 및 비발전 분야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AI 기반의 주요 솔루션들에 대해 설명한다. 소프트힐스 최우영 부사장은 ‘디지털 트윈 기술로 기업의 생존이 가능한가?’를 주제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기업의 다양한 응용 사례를 통해 적용 효과와 기업의 생존과 성장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방향과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라이카지오시스템즈코리아 김지한 과장은 ‘3D 광대역 스캐너의 발전과 플랜트 조선 활용 사례’를 주제로 그 동안의 3D 광대역 스캐너 기술 발전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이야기하고, 플랜트 조선에서 광대역 스캐너가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장단점에 대해 발표한다. 한국남동발전 김명규 차장은 ‘KOEN 디지털 전환 사례’를 주제로, KOEN 디지털 전환(인프라/발전소/라이프/신사업)에 대한 사례에 대해 소개한다. 대우조선해양 계열사인 DSME정보시스템 김도형 차장은 ‘도면 인식 기술을 통한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정보 디지털화’를 주제로, 엔지니어링 정보의 디지털화를 비롯해 해양 프로젝트에서 도면 인식이 필요한 사례, 도면 인식을 위한 기술 수준, 이미지 형식의 P&ID 정보 인식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스마트십 & 스마트 테크(Smart Ship & Smart Tech) 트랙에서는 조선 플랜트 분야의 스마트 기술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아비바코리아(AVEVA Korea) 김민규 차장은 ‘AVEVA 솔루션으로 보는 플랜트 조선 분야 DX 트렌드’를 주제로, 플랜트 조선 분야 발주처의 DX 관점으로 AVEVA Solution이 어떤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해 발표한다. 한국선급 이정렬 상무는 ‘스마트십 플랫폼 공동구축 추진 현황 및 방향’을 주제로, 국내 조선소 및 관련 기관들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십 플랫폼 공동 구축 현황 및 스마트십 데이터 생태계 조성과 관련한 내용들에 대해 소개한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임근태 센터장은 ‘자율운항선박기술 성능실증을 위한 인프라 구축 사례 소개’를 주제로,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서 울산 고늘지구에 구축되고 있는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와 실증 및 성능 평가를 위한 육상 및 해상 테스트베드 인프라에 대해 소개한다. 타임텍 박정욱 차장은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트윈 솔루션 WillMETA 소개’를 주제로, 3D CAD에서 생성된 3D 모델을 가상세계로 하는 메타버스 SPACE, MEETING, CAD, TWIN으로 구성된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트원 솔루션인 윌메타(WillMETA)에 대해 소개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현욱 박사는 ‘건축물 내부에서의 수소 누출과 거동, 환기 특성’을 주제로, 수소의 사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 선박, 터널, 주택 등 다양한 장소에서 수소의 누출 가능성이 촉발되는 등 각 장소별로 수소 누출 거동 및 환기에 대한 특성에 대해서 발표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캐드앤그래픽스 주관으로 이루어지며, 아비바코리아, HP코리아, 메가존클라우드, 타임텍, 휴엔시스템 등이 부스로 참여하여 최신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신안식 회장은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올해는 3년만에 오프라인에서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 행사를 개최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행사에 참여해서 플랜트 조선 분야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 트윈과 DX 사례를 통해 새로운 변화와 기술의 흐름을 파악하고 관련 분야의 사람들과 네트워킹해 보기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는 플랜트, 건설, 엔지니어링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플랜트 코드교육, 글로벌PM교육, 리틀PM 보급을 통한 PM 대중화, 선진화된 전문기술교육 등 급변화는 산업의 기술 진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미국 캐롤라인대학교와 협력해 협회 회원들에게는 장학혜택을 부여하고, 미국 석∙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관련 정보는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3과 관련 분야의 교육 정보는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작성일 : 2023-02-01
다쏘시스템-포스코A&C, 디지털 건설사업관리 비즈니스 확장 위해 협력
다쏘시스템은 종합건축서비스 기업인 포스코A&C와 디지털 건설사업관리 비즈니스(Smart CM Business) 확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A&C는 2018년부터 제철플랜트 건설에 필요한 건설사업관리기술의 디지털화를 목적으로 ‘디지털 건설사업관리 플랫폼(Smart CM Platform)’을 구축하여 다수의 건설 프로젝트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 건설사업관리 플랫폼은 ▲정보의 일관화 및 공유화 ▲정보의 디지털 트윈화 ▲가상 시공 선행화 ▲경험의 데이터화 ▲비대면 업무처리 등의 주요 기술을 바탕으로 한다. 언택트(비대면) 업무가 일상이 된 가운데 단순 커뮤니케이션 및 업무 협업 뿐만 아닌 3D 모델링, 시뮬레이션, 설계 변경 등 실질적인 건설 업무또한 언택트 방식이 필수가 되었다. 디지털 건설사업관리 플랫폼은 언택트 업무를 위한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협업 플랫폼은 계획, 설계, 일정, 시공, 안전사고 등 건설 생애주기에 발생한 모든 정보 및 데이터를 축적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해관계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개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소수의 관리자뿐만 아닌 실무 담당자가 직접 데이터에 접근하고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프로젝트 이해도 및 데이터의 투명성을 향상시켜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릴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건설사업관리 플랫폼은 다쏘시스템의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사전에 시공 시뮬레이션 및 공정을 접목한 가상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실제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지연, 공사비 증가 등의 리스크 및 안전사고 발생 요인 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시공단계에서는 3D 모델과 연계하여 자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하는 ‘스마트 트래킹 시스템(Smart Tracking System)’을 디지털 건설사업관리 플랫폼에 탑재해 자재의 제작∙이동∙검수∙설치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공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현장의 품질 활동 결과를 3D 모델에 자동 기록하여 향후 유지보수 단계에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쏘시스템코리아의 문귀동 인프라 및 라이프사이언스 비즈니스 본부 대표는 “실제 공간의 정보를 가상 공간으로 동일하게 연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은 2D 도면, 3D 모델링을 뛰어넘은 건설업무에 필수적인 혁신기술”이라며, “양사의 협력이 국내외 건설 산업에 창출할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포스코A&C의 플랜트CM사업실장인 김상억 전무는 “우수한 건설사업관리 실무역량을 자랑하는 포스코A&C와 다쏘시스템의 뛰어난 협업 플랫폼 기술이 함께 만들 시너지는 건설사업 전반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향후 실무차원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여 양사가 4차 산업혁명 물결 속 건설업계의 위기를 함께 극복하는 발판을 만들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0-07-06
코리아그래픽스 2019 성황리 개최- 최신 그래픽 트렌트와 비전 소개
국내 최대 규모의 컴퓨터 그래픽스 컨퍼런스인 ‘코리아그래픽스(Korea Graphics) 2019’가 지난 4월 18일(목)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캐드앤그래픽스(CAD&Graphics)가 주최하고 코리아그래픽스포럼이 주관한 ‘코리아그래픽스(구 코리아 그래픽스 월드)’는 올해 7회째를 맞아 국내 제조업계와 그래픽 기반의 DCC 분야를 비롯해 VR/AR, 인공지능(AI), 그리고 3D 프린팅 업계를 아우르는 최신 컴퓨터 그래픽 기술 동향과 신기술 정보 등을 제공해 관심을 모았다. 특히 올해는 모빌리티, 스마트 시티, VR/AR, AI 등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한 컴퓨터 그래픽 관련 최신 트렌드 발표와 서연이화, 포스코A&C 등 제조, 엔지니어링 기업들의 실제 적용사례, 그리고 DCC 분야의 게임, 애니메이션, VR 제작과정에 대한 소개 등 다양한 그래픽 관련 내용들이 소개됐다. 코리아그래픽스포럼 추진위원회 최성권 위원장(이화여대 겸임교수)는 개회사에서 "코리아그래픽스는 2012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그래픽 업계의 최신 정보 및 트렌드 공유의 장으로 시작해 실무에 도움이 되는 그래픽 솔루션과 성공사례 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해왔다"며, "코리아그래픽스 2019가 최신 그래픽 관련 솔루션과 기술동향을 소개하는 커뮤니티의 장으로써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3D프린팅산업협회 장중식 지회장(국민대 교수)은 축사에서 "4차 산업혁명의 거대한 혁신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의 제조 환경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을 비롯해 제조업 환경에 많은 변화가 일고 있다"며, "3D 프린팅 업계의 새로운 도약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전자 등 산업 분야 및 건축, 의료, 패션, 금형, 음식 등 다양한 분야로 3D 프린팅의 활약을 기대하고 있다"고 소감을 밝히고, "이번 코리아 그래픽스 2019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올해 첫 번째 기조발표는 홍익대학교 이근 교수(국제디자인 전문대학원장)가 ‘3D 프린팅 기법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개발 사례’를 주제로 개인용 이동 수단 디자인을 혼자 생산부터 판매까지 가능한 3D 프린팅 1인 메이커 프로세스 사례를 소개했다.  이근 교수는 자동차 환경이 큰 변화로 자율주행 등을 꼽았다. "메이저 자동차 업체들이 변신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전기화/전자화를 기반으로 자동차 플랫폼이 모듈화되면 다양한 차량의 손쉬운 조립이 가능해질 전망이다"라고 소개했다. 또한 "전문적인 엔지니어링 툴을 활용한 디자인을 통해 사실적인 프로토타입 제작이 가능해져 양산성과 구조화 해결에 도움을 주고 있다"며 실제 데모제품 개발 과정의 다양한 프로세스 변화를 소개해 관심을 모았다. 한국멀티미디어학회 김치용 회장(동의대학교 교수)는 ‘Smart City, Future City의 현황과 사례’를 주제로 범국가적인 프로젝트로 진행 중인 스마트 시티와 Future City의 미래에 대해 CG는 어디에 있고, 어떤 역할을 하며, 향후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과 해결책을 제시했다.  김치용 회장은 스마트시티의 핵심 구성요소로 스마트 교통, 스마트 경제, 스마트 생활, 스마트 정부, 스마트 피플, 스마트 환경 등을 꼽았다. 미국과 네덜란드, 중국 등의 스마트 시티 발전 사례를 소개하며 국내에서도 정부 주도로 2018년 1월부터 범정부 스마트시티 시범 도시 마련을 위한 계획이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김치용 회장은 "스마트시티, 미래 도시는 새로운 도시를 넘어 새로운 문명의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연이화 방영찬 이사(상품디자인실장)은 ‘자동차로 본 미래 디자인 트렌드(HMI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미래 디자인의 중요한 트렌드의 하나인 Shy Technology의 흐름을 알아보고, 이를 어떻게 제품 디자인에 반영할 것인지 서연이화의 '비즈모델'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 개발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방영찬 이사는 "자동차 산업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사물을 인식하고 사용하는 관점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특히 기계화, 전자화는 사용 방법의 복잡화를 가져왔는데,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디자인 행위가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존의 HMI 1.0 시대에서는 기계식의 복잡한 형태였다면 HMI 2.0 시대에서는 정전식/햅틱방식으로 디자인 구조가 표면 재질과 일체화 되어 사용하고자 할 때만 활성화되는 형태로 변화했다"며 "자동차도 기존 운송수단 개념에서 자율주행, 자동화 개념이 도입되면서 제3의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인텔코리아 이주석 전무는 ‘Workload Acceleration을 위한 End to End Solution’을 주제로 데이터 시대를 맞아 수많은 정보를 분석해서 인사이트를 도출해 내야만 하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10년간 준비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인텔에서 제공하는 솔루션에 대해 소개했다. 오후에는 2개 트랙으로 나뉘어 엔지니어링 디자인과 3D 비주얼라이제이션 부문에서 전문 발표가 이어졌다. 트랙 A인 '엔지니어링 디자인 트랙'에서는 ▲오토데스크 김지훈 Fusion 360 에반젤리스트와 상우정공 황규건 대표가 ‘디자인과 제조 융합 시대 속 오토데스크 Fusion 360의 역할’에 대해 ▲플러스플라스틱 윤상훈 대표가 ‘디자인 프로세스의 자동화 기술 및 활용’을 주제로 발표했다. ▲유니티코리아 아드리안나 라이언(Adriana Ryan) 에반젤리스트는 ‘AEC 산업 내 유니티 활용’에 대해 소개하고 ▲포스코A&C 박보성 과장이 ‘가상현실/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건설산업 적용 사례’를 이야기했다. ▲DKUNC(디케이유엔씨) 송규태 부장은 ‘사례를 통한 엔지니어링 VDI 검토’를 주제로 ▲파운드리코리아 이범희 크리에이티브 스페셜리스트는 ‘뉴발란스와 아디다스가 전사 도입한 3D 산업디자인 솔루션 성공사례’에 대해 설명했고 ▲이화여대 조형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최성권 겸임교수가 ‘적층제조(3DP&AM)를 위한 파라메트릭 및 제네레이티브 디자인’을 소개했다. 또 다른 B트랙인 '3D 비주얼라이제이션 트랙'에서는 ▲자이언트스텝 강성구 실장, 문기영 실장이 ‘리얼타임 버추얼 휴먼 제작’을 주제로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장욱상 교수가 ‘VR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미니월드 VR]’ 제작 과정에 대해 발표했다. ▲LG CNS 안무정 책임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핵심 서비스 디자인 트렌드와 전망’에 대해 ▲파운드리코리아 위원식 지사장이 ‘CAD 데이터로 가장 빠르고 손쉽게 콘텐츠 제작, 가상현실 그리고 게임엔진으로 서비스 구현하기’를 소개했다. ▲유니티코리아 오지현 리드 에반젤리스트는 ‘From CAD data to real-time 3D’에 대해 ▲비브스튜디오스 이현석 감독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씬을 창조하는 CGI’를 주제로 ▲박진호 문화재디지털복원가는 ‘When AI Meets VR : 가상현실 시대의 인공지능 콘텐츠’에 대해 발표했다. 이외에도 업계 간담회를 비롯해 인텔코리아/피씨디렉트/시스기어, 한국HPE/DKUNC, 유니티테크놀로지코리아/포비스티앤씨, 파운드리코리아/엠지에스코리아, 에이수스코리아, 실리콘스튜디오코리아, 플러스플라스틱, 카오스그룹/한국인프라, Substance by Adobe가 마련한 부스에서는 자사의 솔루션과 제품을 상세하게 소개하는 한편 데모시연 등을 통해 참관객과 만났다. 참고로, 코리아그래픽스 2019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캐드앤그래픽스 5월호에 소개될 예정이다.
작성일 : 2019-04-24
코리아 그래픽스 2019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코리아 그래픽스 2019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입니다. 코리아 그래픽스 2019에 보여주신 업체 관계자 분들의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이번 행사에 참여해 주신 모든 참석자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코리아 그래픽스 2019는 2019년 4월 18일(목)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올해 제7회째를 맞은 ‘코리아 그래픽스 2019’에서는 국내 제조 업계와 그래픽 기반의 DCC 분야를 비롯해 VR/AR/MR, AI(인공지능), 그리고 3D 프린팅 업계를 아우르는 최신 그래픽 기술 동향과 신기술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 코리아 그래픽스 2019 아젠다 이번 발표자료 중에서 정보 제공에 동의한 자료만 제공됩니다. 아래 아젠다에 PDF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발표자료가 공개된 내용입니다.  시간 내용 09:00 ~ 09:50 개회사 - 코리아그래픽스포럼 추진위원회 최성권 위원장 09:55 ~ 10:00 축사 - 3D프린팅산업협회 장중식 지회장(국민대학교 교수) 10:00 ~ 10:30  3D 프린팅 기법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개발 사례 소개 홍익대학교 이근 교수(국제디자인 전문대학원장) 10:30 ~ 11:00 Smart City, Future City의 현황과 사례 한국멀티미디어학회 김치용 회장(동의대학교 교수) 11:00 ~ 11:20 휴식 11:20 ~ 11:50 자동차로 본 미래 디자인 트렌드 (HMI를 중심으로) 서연이화 방영찬 상품디자인실장 11:50 ~ 12:20  Workload Acceleration을 위한 End to End Solution 인텔코리아 이주석 전무 12:20 ~ 13:20 점심식사 Track Track A (Engineering Design) Track B (3D Visualization) 13:20 ~ 13:50   디자인과 제조 융합 시대 속 오토데스크 Fusion 360의 역할 - 오토데스크 김지훈 Fusion 360 에반젤리스트, 상우정공 황규건 대표 리얼타임 버추얼 휴먼 제작 사례 자이언트스텝 강성구 실장, 문기영 실장 13:55 ~ 14:25   디자인 프로세스의 자동화 기술 및 활용 플러스플라스틱 윤상훈 대표  VR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미니월드 VR]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장욱상 교수 14:25 ~ 14:45  휴식 14:45 ~ 15:15   AEC (건축) 산업 내 유니티 활용 유니티코리아 아드리아나 라이언 에반젤리스트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핵심 서비스 디자인 트렌드와 전망 - LG CNS 안무정 책임 15:20 ~ 15:50  가상현실/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건설산업 적용 사례 - 포스코A&C 박보성 과장 CAD 데이터를 최소 비용으로 가장 빠르고 손쉽게 가상현실과 게임엔진에 적용하기 파운드리코리아 위원식 지사장 15:50 ~ 16:05 휴식 16:05 ~ 16:35  사례를 통한 엔지니어링 VDI 검토 DKUNC(디케이유엔씨) 송규태 부장 From CAD data to real-time 3D 유니티코리아 오지현 리드 에반젤리스트 16:40 ~ 17:10  뉴발란스와 아디다스가 전사 도입한 3D 산업디자인 솔루션 성공사례 파운드리코리아 이범희 크리에이티브 스페셜리스트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씬을 창조하는 CGI 비브스튜디오스 이현석 감독 17:15 ~ 17:45  적층제조(3DP&AM)를 위한 파라메트릭 및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이화여대 산업디자인학과 최성권 겸임교수 When AI Meets VR : 가상현실 시대의 인공지능 콘텐츠 - 박진호 소장(문화재디지털복원가) 17:45 ~ 18:00 경품 추첨, 폐회 1. 코리아 그래픽스 2019 참석자 이번 코리아 그래픽스 참석자 중에 발표자료를 받지 못했거나 추가로 받고 싶은 분들은 메일(event@cadgraphics.co.kr)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메일 제목 :  [코리아 그래픽스 2019] 참가자 발표자료 요청  내용 : 등록자명 / 전화 / 이메일 위 항목의 내용을 보내주시면 세미나 등록 여부 확인 후 발표자료 파일 링크 주소를 보내 드리겠습니다. 2. 컨퍼런스 미참석자 이번 컨퍼런스에 참여하지 않았던 분들은 유료 결제 후에 발표자료를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다만 홈페이지 다운로드 용량 제한으로 인하여 전체 자료를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는데 제약이 있어 컨퍼런스 가이드 팜플렛 파일을 올려 두었습니다. 결제 후 메일로 연락주시면 대용량 추가 자료를 별도로 보내드립니다. 홈페이지에서 직접 결제하는데 문제가 있다면 당사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메일 제목 :  [코리아 그래픽스 2019] 미참가자 결제완료 추가자료 요청 내용 : 결제시 회원명 / 전화 / 이메일 메일 보낼 곳 : event@cadgraphics.co.kr 문의 : 코리아 그래픽스 컨퍼런스 사무국 (02-333-6900)
작성일 : 2019-04-23
오토데스크 유니버시티 2015 발표자료 다운로드> 제조/건축/오토캐드/M&E
10:00 ~ 10:4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제조 산업의 미래 오전 제조 산업의 미래 디에고 탬부리니 / 오토데스크 1. 사물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방식을 급격하게 바꾸는 기술2. 사물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트렌드3.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 설계에 가지는 의미와 사물인터넷을 활용하는 기업이 누릴 수 있는 기회(자사 고객에게 부가가치 제공 가능) 디에고 탬부리니 (Diego Tamburini)시니어 인더스트리 프로그램 매니저, 제조 부분오토데스크 디에고 탬부리니(Diego Tamburini)는 오토데스크의 제조업전략산업관계(Manufacturing Strategic Industry Relations) 그룹에서 제조업 분야와 관련된 오토데스크의 비전을 정의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기술 에반젤리스트(evangelist)로서의 역할도 역임하고 있다.. 그는 오토데스크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10년간 재직하며 Microsoft Dynamics 개발팀에서 전문가 서비스용 Dynamics ERP의 첫번째 클라우드 릴리스를 개발하는 업무를 맡았고, 관리자가 되기 전에는 그 스스로가 제조업 및 엔지니어링 분야의 ISV에 대한 개발자 에반젤리스트로 일을 하기도 했다. 또한 미국 조지아공과대학(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의 PSLM (제품 및 시스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있을 때에는 엔지니어링 정보 모델링, 통합적 협업 엔지니어링을 위한 소프트웨어 인프라, 이를 위한 지식 표현(knowledge representations) 기술과 상호 운용성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OMG 그룹이 UML을 시스템 엔지니어링 목적으로 확장한 SysML 표준을 개발하고 검토하는 과정에 긴밀하게 참여하기도 했다. 건축, 건설 산업의 미래 오전 건축, 건설 산업의 미래 도미닉 타사라사 / 오토데스크 건물 및 기반 시설 건축의 미래. 오늘날 프로젝트 성과를 높이기 위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을 사용할 경우의 장점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다. 생산성, 예측 가능성, 수익성 향상은 그 중 일부에 불과하다. 하지만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한다. 오늘날의 BIM이 놓치고 있는 건 무엇일까? 3D 프린팅, 무한 컴퓨팅, 리얼리티 캡처, 크라우드 소싱, 사물인터넷 등 떠오르는 신기술이 건물과 기반 시설 자산의 계획, 설계, 자금 조달, 건설, 활용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그리고 향후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할까? 이 세션에서는 다양한 신기술 트렌드의 속성과 파괴적인 능력을 살펴보고, 앞으로 AEC 부문과 건축 환경 모두에 급격한 변화를 초래할 만한 잠재력에 대해 집중 조명해 본다.1. AEC 업계에 파괴적 혁신을 가져올 기술의 역할을 이해한다.2. 급부상하는 신기술 트렌드가 어떤 면에서 AEC 업계의 관심사, 계획 및 자금 조달, 설계, 건축 방식, 세계의 건축 환경 운영 방식을 완전히 뒤바꿔 놓을 태세를 갖추었는지 이해한다.3. 이러한 근본적 변화의 속성을 비즈니스, 업무 절차,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한다.4. 이 대대적인 변화가 이끌어내는 새로운 경쟁 구도와 여러분의 비즈니스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도미닉 타사라사 (Dominic Thasarathar)시니어 프로그램 매니저, 건축, 에너지 & 천연자원오토데스크 도미닉 타사라사(Dominic Thasarathar)는 오토데스크에서 건설, 에너지, 천연자원 산업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핵심 전문가이자 기술 에반젤리스트(Evangelist)이다. 전기 엔지니어 공인자격증 보유자인 타사라사(Thasarathar)는 지난 2011년 오토데스크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20여 년 동안 CH2M Hill (CIO (Chief Information Officer), CLM 딜리버리 파트너), Bechtel (아태지역 프로젝트 시스템 총괄), Laing O’Rourke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관리자) 등에서 중책을 역임하며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자본 프로젝트에 관여하였다. 타사라사는 전기 엔지니어 공인자격증과 IT 전문가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 Imperial College의 전기공학과를 졸업했다. IET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BCS (British Computer Society), EI (Energy Institute) 등의 정회원이기도 한 그는 석유/가스, 금속/채굴, 발전, 토목, 건설 등의 분야에서 대규모 국제 건설 공사와 초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다. 디지털 컨텐츠 제작의 미래 오전 디지털 컨텐츠 제작의 미래 마크 해머커 / 오토데스크 최근 정보 기술(IT) 트렌드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제작, 소비 방식에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데이터 센터, 고속 이동통신, 스마트 기기가 소비자와 엔터테인먼트 업계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제작되는 컨텐츠의 종류도 영향을 받는 추세이다. 여기에 제작 기법의 변화까지 가세하면서 앞으로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의 제작 방식이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제는 새로운 관점으로 제작에 임해야 하며, 컨텐츠 제작의 생태계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결국 M&E 컨텐츠 제작의 미래는 ‘연결성’에 달려 있다. 이때 연결이란 제작에 필요한 인력, 자본, 합작사, 대중과의 연결을 모두 포함한다. 다소 도발적인 이 기조 연설을 통해, 디지털 기술이 어떤 식으로 창작 과정을 바꾸어 놓고, 그에 따라 향후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기를 바란다. 마크 해머커 (Marc Hamaker)시니어 인더스트리 마케팅 매니저오토데스크 Autodesk에서 영화, TV 및 게임 시장을 관장하는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사업부의 산업 마케팅 수석 관리자로서, Maya, Maya LT, 3ds Max, Stingray, Flame Premium, Smoke를 담당하는 제품 마케팅팀을 관리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생성 및 포스트 프로덕션 분야에서 20년이 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주도하는 기술 프로세스와 시장 요소들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갖고 있다. Autodesk 입사 전에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있는 WBZ-TV/CBS에서 포스트 프로덕션 부편집장을 역임하였으며 뉴욕에서는 광고 방송 제작 업무를, 버지니아에서는 방송 홍보 업무를 담당했다. Autodesk에서는 Autodesk 제품 관리 및 고객 관계와 관련된 업무에 주력해왔으며, 애플리케이션 전문 담당 및 판매 개발 관리자의 임무를 맡기 전에는 고객 및 업계 리더들과 교류하는 일을 주로 담당하였다. 또한 Autodesk의 대외 행사에서는 제품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언론사 및 고객 패널을 이끌며 신제품 출시 행사의 사회를 보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에서 커뮤니케이션 이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디에고 탬부리니 / 오토데스크 도미닉 타사라사 / 오토데스크 마크 해머커 / 오토데스크 Revit 3ds Max, Maya, Shotgun, Stingray 모든레벨 모든레벨 초급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10:40 ~ 11:20 디자이너가 열어 가는 성공적인 미래 오전 디자이너가 열어 가는 성공적인 미래 이명학 / 쌍용자동차 디자인이 주도하는 기업, 쌍용자동차(기업의 성공을 이끌어내는 디자인)1. Design Entity : 근본적인 디자인의 고찰- 강건함과 독창성, 전문성을 기반으로한 제품개발 철학- 쌍용자동차 디자인 철학 소개- 한국적인 미에 대한 고찰과 글로벌 자동차 디자인2. The Pioneer Spirit : 쌍용자동차 디자인의 끊임없는 도전정신- 도전적이고 패기 넘치는 쌍용자동차의 디자인 DNA- 디자인 아이덴티티 만들어내는 컨셉카, 양산차 개발과정 사례3. 디자이너가 열어가는 미래- 글로벌 트렌드 예측과 소비자 분석 데이터로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시대는 지나갔다.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기업의 성공을 이끌어 내는 제품은 디자이너의 창의력과 손끝에서의 열정에서 나온다. 디자이너의 끊임없는 도전과 상상력으로 새로운 세상을 열어가자 이명학 (MyungHack Lee)상무, 디자인센터쌍용자동차 직책 : 쌍용자동차 기술개발부문 디자인센터 디자인담당경력 : 국민대학교 환경디자인연구소현대자동차 디자인연구소수상 : 대한민국 디자인 브랜드 대상 대통령상 수상대한민국 Good Design 4회 수상한국 산업디자인전 6회 수상한국공업디자인상 2회 수상 국내 건축설계사무소의 효율적인 REVIT 도입을 위한 제안 오전 국내 건축설계사무소의 효율적인 REVIT 도입을 위한 제안 진창환 /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우리는 2000년대 초 CAD 기반의 설계에서 BIM 설계로 전환을 맞게 됩니다.초기 BIM은 준비가 되지 못한 상태에서 정부 주도의 발주로 진행되었습니다.이제 BIM을 설계업무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있어 설계사무소에서 단계별, 분야별로 체계적인 준비를 해야 합니다.기존의 2D 기반 설계에서 탈피하여 Data 기반의 설계에 대한 설계프로세스 산출물 등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합니다 진창환 (Changhwan Chin)이사, 실장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희림건축, 1996~2001해안건축, 2002~현재건축설계 CAD SYSTEM 도명층 표준화에 관한 연구 (2001)건축도면 공동 표준화 지침서 제작 (2006)한옥건축 통합정보 시스템 및 3차원 한옥부재 라이브러리 구축 연구 (2010)일반건축 BIM 모델링 가이드 제작 (2012)공동주택 BIM 모델링 가이드 제작 (2013)개방형 BIM기반의 설계도서 최적화 기준 및 적용기술 개발 (2015) 만약에 공룡이 멸종되지 않았다면? – 디즈니/픽사의 새 애니메이션 "굿 다이노소어"의 제작 비화 오전 만약에 공룡이 멸종되지 않았다면? – 디즈니/픽사의 새 애니메이션 "굿 다이노소어"의 제작 비화 산제이 바크시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개봉을 앞둔 디즈니/픽사의 새로운 애니메이션 “굿 다이노소어(The Good Dinosaur)”의 제작 과정에서 오토데스크의 마야(Maya) 프로그램이 얼마나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지 살펴봅니다. 광활한 자연과 야생의 세계가 펼쳐지는 이 애니메이션에서 드넓고 실감 나는 자연 환경이 만들어지는 과정, 입체감 넘치는 구름을 만드는 작업의 어려움, 해발 고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경 화면을 만드는 과정, 수백만 그루의 나무와 수천만 개의 나뭇잎을 순차적으로 만들어내는 과정,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들을 하나의 통합된 조명 솔루션 하에서 연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입니다 산제이 바크시 (Sanjay Bakshi)Supervising Technical Director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Sanjay Bakshi는 컴퓨터 그래픽 전공으로 2002년 4월에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 입사했다. 그가 입사 후 처음으로 근무했던 부서는 툴 개발 팀으로, 여기서 그는 아카데미상 수상작인 “니모를 찾아서”, “인크레더블”, “카” 등의 작품 제작 과정에 툴 개발자로 참여했다. 이후 Bakshi는 역시 아카데미상 수상작인 “라따뚜이”의 그루밍 팀장을 맡았다. 그루밍 팀이 하는 일은 작품에 등장하는 사람과 생쥐 캐릭터들의 머리카락과 털을 담당하는 일종의 디지털 헤어 디자이너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그의 역할은 머리카락/털 그래픽 기술을 지원하고 그루밍 팀을 지휘하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몬스터 대학교”의 Supervising Technical Director를 맡았으며, 2015년 11월 25일 개봉 예정인 디즈니•픽사의 새 애니메이션 “굿 다이노소어”에서도 Supervising Technical Director를 맡았다. 인도계 캐나다인인 Bakshi는 캐나다 서스캐처원(Saskatchewan) 태생으로, 컴퓨터 그래픽에 대한 그의 높은 관심은 오래 전 Apple 2로 그래픽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하던 시절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는 서스캐처원 대학교에서 컴퓨터 그래픽 전공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지금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피드몬트에 살고 있다. 이명학 / 쌍용자동차 진창환 /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산제이 바크시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Revit 모든레벨 모든레벨 중급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11:20 ~ 11:50 Global Enterprise Design with Autodesk 오전 Global Enterprise Design with Autodesk 맷 쿠르파 / 파카 하니핀 이번 세션에서는 파카하니핀과 오토데스크가 어떻게 상호 협력을 통해 어려운 엔지니어링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움직이는 모든 것에는 파카의 부품이 들어 있습니다. 파카는 모션 및 유압/공압 제어와 관련된 고성능 부품과 시스템을 생산하여, 전세계 시장에서 고객들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오토데스크의 소프트웨어 덕분에 파카의 엔지니어들은 미래형 제조 기술에 주력하며 보다 나은 모션/제어 기술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맷 쿠르파 (Matt Krupa)기술 자원 매니저, 엔터프라이즈 엔지니어링 시스템 그룹 파카 하니핀 Matt Krupa는 파카하니핀의 엔터프라이즈 엔지니어링 시스템 그룹에 소속된 기술 자원 매니저로, 설계 툴에 대한 구현, 사용자 교육 및 지원 기능을 책임지고 있다. 그는 파카하니핀에서 재직한 지난 19년 동안, 팀원들과 함께 천 명이 넘는 투자자 사용자에 대한 교육을 담당해 왔다. 또, 파카의 엔지니어들이 소프트웨어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선 이벤트도 이끌고 있다. 새로운 시공 관리의 당면과제 오전 새로운 시공 관리의 당면과제 신야 스기우라 / 일본 오바야시 社 인프라 시설과 관련된 BIM(건물 정보 모델링)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관리자가 어떤 정보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시공 단계에서 어떤 정보를 유지 관리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오바야시 사(OBAYASHI Corp.)는 시공 후 단계의 시설 관리(FM: Facility Management)를 위하여 어떠한 시공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실제 터널 프로젝트 설계 단계에서 생성된 3D 모델을 이용하여 왔다. 또한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설계를 위한 시공 단계뿐만 아니라 합의 도출 단계에도 적극 참여함으로써 터널 프로젝트나 쓰나미 피해 복구 또는 교량 공사 프로젝트에서 주거와 지역 사회 건설에 어떠한 것이 가장 이상적인 환경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노력해왔다. 본 세션에서는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이러한 시공 및 시설 관리를 수행하는 오바야시 사의 프로젝트를 소개한다.[목표]1. 6가지 차원의 접근 (유지 관리)2. UAV를 활용한 시공 관리 신야 스기우라 (Shinya Sugiura)매니저, 토목공학 부서일본 오바야시 社 일본 BIM 엔지니어링 업계의 선구자인 그는 2012년부터 건설업 인프라 현장에서 BIM(건물 정보 모델링) 사용을 독려하는 BIM 관리자로서 80여개 고객사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서 최초로 인프라 BIM 업무를 맡았다. 현재 인프라스트럭처 BIM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인프라 BIM은 현재 오바야시(Obashi Coporation)의 터널 구역 공사를 진행하는 일본 국토 교통성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최근 건설 관리에 있어서 UAV(무인기)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중이다. 건설 효율성이 예전에 비해 40% 이상 개선되었으며, ICT를 활용해서 건설 업무가 갖고 있는 문제에 도전하는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고자 한다. 혼자서도 제작가능한 3D 애니메이션 오전 혼자서도 제작가능한 3D 애니메이션 우경민 / 모팩앤알프레드 현재 3D 프로그램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들은 디자인적인 3D애니메이션의 제작부터 실사에 가까운 리얼한 느낌의 애니메이션 제작까지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도록 준비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리얼한 3D표현에만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느꼈다. 최근 단편 애니메이션을 만들면서 3D프로그램이 디자인적인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 보았고 그것에 최적화된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보았다. 그 과정에서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고 손쉽게 3D기술 부분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기를 발표할 예정이다. 우경민 (Kyungmin Woo)감독모팩앤알프레드 모팩앤알프레드에서 애니메이션 감독을 맡고 있다. 모팩앤알프레드 스튜디오는 지금까지 주로 광고영상과 영화CG 제작을 해왔고, 최근에는 자체 IP를 가진 콘텐츠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입사부터 4년간 모션그래픽디자이너로 일해오면서 다양한 광고영상과 게임트레일러와 같은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영상작업을 해왔다. 그런 프로젝트들을 통해 쌓은 기술력과 연출력을 바탕으로 최근 단편 애니메이션 ‘Johnny Express’를 제작했으며, 현재는 감독으로서 ‘Johnny Express’의 장편화를 준비 중에 있다. 맷 쿠르파 / 파카 하니핀 신야 스기우라 / 일본 오바야시 社 우경민 / 모팩앤알프레드 Civil3D Maya, 3ds Max, Mudbox 모든레벨 모든레벨 초급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11:50 ~ 12:05 Sponsor Session 오전 Sponsor Session 강은수 / Dell 강은수 (Eunsu Gang)이사Dell Sponsor Session 오전 Sponsor Session 문선경 / Lenovo 문선경 (Sunkyung Moon)차장Lenovo Sponsor Session 오전 Sponsor Session 김도영 / NVIDIA 김도영 (Doyoung Kim)부장NVIDIA 강은수 / Dell 문선경 / Lenovo 김도영 / NVIDIA 모든레벨 모든레벨 모든레벨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12:05 ~ 13:20 휴식 및 점심식사 13:20 ~ 14:00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Keynote Session 건축실무지원을 위한 국가 BIM R&D 현황 및 성과보급 계획 오후 건축실무지원을 위한 국가 BIM R&D 현황 및 성과보급 계획 조찬원 / 빌딩스마트협회 국토교통부는 건축 실무계의 BIM도입과 지원을 위한 국가 BIM R&D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개방형 BIM 기반의 건축물 설계표준 및 인프라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사업의 책임자가 설계실무 보급을 위한 표준, 라이브러리 콘테츠 개발 현황과 이를 응용한 각종 생산성 향상 기술을 소개한다. 이번 사업은 2016년 11월 완료와 동시에 세움터를 통하여 전국의 건축설계사무소에 보급될 예정이며 본 세션에서는 이에 대한 보급계획과 그 이후의 민간 자생적 라이브러리 콘텐츠 유통 체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목표]1. 건축실무 지원을 위한 국가 BIM R&D의 표준, 라이브러리 콘테츠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2. 빌딩스마트협회의 R&D의 성과에 대한 보급 계획과 민간 자생적인 콘텐츠 유통 보급확산 방안을 발표한다. 조찬원 (Chanwon Jo)소장, 기술연구소빌딩스마트협회 연세대 건축공학과 학사, 미국 카네기멜런 대학원 건축과 석사 (Computational Design),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 (BIM) (주)정림건축 전산연구실장, 미국 카네기멜런 대학 부설 EDRC 연구원 (펜실바니아 피츠버그), 데이터프런트 소장, (사)빌딩스마트협회 기술연구소장, 개방형BIM기반의 건축물 설계표준 및 인프라 구축 책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설계도서관리․건축승인업무 개선 및 전산화 연구용역 책임 (국방부), BIM 성과분석을 통한 발전반향 마련 및 세부관리지침 개발 책임 (조달청), 설계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BIM기반 설계 환경 기획 연구 책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분류체계 정립 및 개산 견적 시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BIM 공사비 관리 책임 (조달청), 잠실 초고층프로젝트 BIM도입을 위한 컨설팅 책임 (롯데물산, 쇼핑, 호텔), 한국전력거래소-본사사옥 특성화 용역 공동연구 BIM부문 책임 (빌딩스마트협회), 국토해양부-건축분야의 BIM 적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책임 (빌딩스마트협회), 국토해양부-세움터고도화를 위한 정보화 기본계획수립 BIM부문 참여 (건축행정정보기획단, 빌딩스마트협회) BIM의 경제적 영향 오후 BIM의 경제적 영향 마렉 스코키 / 오토데스크 BIM을 도입하면 프로젝트 성과를 개선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효과는 협업을 통해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많은 이들이 동의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과연 회사가 투자하게 될 비용과 시간을 정당화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적 이득이 있는가?”라는 점입니다.BIM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조직들이 여기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해야만 합니다.1. 글로벌 조사 결과, 종합적인 BIM 도입의 경제적 이득은 무엇인가?2. 프로젝트 환경 내에서 수혜자는 누구인가?이번 세션에서는 전세계 16개 국에서 80회 이상 적용된 체계적이고 검증된 방법론의 결과를 개괄적으로 살펴볼 것입니다. 지난 3년간의 조사에서 원래 추산했던 프로젝트 비용을 5~11% 절감하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마렉 스코키 (Marek Suchocki)WWSS/Sales Development Executive오토데스크 마렉 스코키는 오토데스크의 영업 개발 이사로,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사회기반시설 공사 발주기관과 그들의 프로젝트 팀을 담당하고 있다. 토목공학을 전공한 그는 영국의 공인 자격증을 보유한 엔지니어이자 IT 전문가이며, 영국 컴퓨터 학회와 IC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및 ICES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ing Surveyors)의 회원이기도 하다. 그는 줄곧 건축/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 및 설계 공정을 지원할 정보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적용하는 일에 주력해왔다.스코키는 ICE 정보 시스템 패널을 맡고 있고, Construct IT의 의장이며, 영국 표준 B555 건축 설계 모델링 및 데이터 교환 위원회의 회원이자, 영국 정부의 BIM 이니셔티브를 추진중인 태스크그룹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오토데스크로 자리를 옮기기 전에는 Mouchel에서 IT 중역으로 재직하고, Atkins에서 연구 혁신 관리자와 수석 경영 컨설턴트를 역임하는 등, 국제적인 엔지니어링 컨설팅 업체에서 근무했다.그는 사회기반시설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와 조직에서 BIM을 도입할 수 있도록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공공 부문 및 민간 부문 고객들에게 협업 솔루션을 보급하며, IT 및 지식 관리에 대한 연구에 착수하는 등의 일을 맡고 있다. 영국의 주요 건설업체와 사회기반시설 발주기관을 위해 일하고 건설 원가 관리 업무를 맡는 등, 영국을 비롯한 유럽 지역에서 폭 넓은 경험을 축적했으며, 영국 레딩대학교의 건축경영공학과에서 연구원으로 4년간 재직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활동의 결과물로 BIM과 협업 및 신기술 적용에 관한 다양한 논문과 보고서를 저술하기도 했다. 토목 BIM 활성화를 위한 정부 추진 현황 오후 토목 BIM 활성화를 위한 정부 추진 현황 주기범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교통부에서 추진 중이고, 추진 예정인 도로, 철도 시설에 대한 BIM 도입 정책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고, 토목분야의 BIM 도입 효과를 확인하기 추진 중인 ‘설악-청평‘ 공사 구간에 대한 적용사례를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토목 BIM의 원활한 적용을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추진 중인 연구내용에 대해 설명한다.[목표]토목 분야 BIM적용의 최근 추진현황과 사례에 대한 소개 주기범 (Kibeom Ju)소장(연구위원), ICT융합연구소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토목 BIM 관련 연구로는 '도로분야의 BIM 도입방안 연구', '철도 정보모델 기술개발 기획 연구' 등을 수행한 바 있으며, 현재는 'Infra BIM 표준 및 검증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기타 활동으로는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위원, 한국BIM학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사실적인 유체 시뮬레이션을 위한 Maya Bifrost 소개 오후 사실적인 유체 시뮬레이션을 위한 Maya Bifrost 소개 김도완 / 오토데스크 Bifrost는 Maya 2015에 새롭게 소개되었으며, Maya 2016에서 보다 안정화 되고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된 유체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능이다. 이 세션에서는 Bifrost의 전반적인 이해와 작업의 흐름을 알아보며 Bifrost를 이용하여 다양한 액체 및 연기를 만들고 렌더링을 위한 최적화 작업을 소개한다. 김도완 (Dowan Kim)부장오토데스크 김도완 부장은 2012년 Autodesk Korea에 입사를 하여 현재까지 M&E(Media & Entertainment) 제품인 Maya, Mudbox, MotionBuilder, 그리고 Shotgun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게임, 그리고 교육 산업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Autodesk의 새로운 기술 전달 및 교육을 진행하며, 고객들이 Autodesk 제품 및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관해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The Future of Design(디자인의 미래) 오후 The Future of Design(디자인의 미래) 린 알렌 / 오토데스크 린 알렌 (Lynn Allen)테크니컬 에반젤리스트오토데스크 린 알렌(Lynn Allen)은 CAD 전문지인 Cadalyst의 칼럼니스트이자 오토데스크의 기술 에반젤리스트(Technical Evangelist)로, 매년 전세계 3만 명 이상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AutoCAD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22년 동안 Cadalyst에 'Circles and Lines'라는 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Cadalyst의 인기 동영상인 'Lynn Allen과 함께 알아보는 AutoCAD 팁(Tips and Tricks with Lynn Allen)' 시리즈의 목소리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그녀는 오토데스크의 소프트웨어를 25년 넘게 사용해 왔으며, 오토데스크에 입사하기 전에는 13년간 기업체와 대학에서 AutoCAD 강의를 진행했다. 특유의 유머러스한 화법으로 인기가 높은 Allen은 AU®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강사 중의 한 명으로, 세 권의 AutoCAD 관련 서적을 저술한 바 있으며 가장 최근에 펴낸 책은 'AutoCAD Professional Tips and Techniques'이다. 조찬원 / 빌딩스마트협회 마렉 스코키 / 오토데스크 주기범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도완 / 오토데스크 린 알렌 / 오토데스크 Architecture Revit Civil 3D Maya AutoCAD 모든레벨 모든레벨 모든레벨 초급 / 중급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비공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Inventor Power User를 위한 Tip 오후 Inventor Power User를 위한 Tip 박진우 / 효원시스템 설계자들인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 위주로 설계한다. 하지만 Inventor의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한다면 설계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 Inventor에는 설계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Sketch 단계 부터 Modeling, Assembly, 2D Drawing까지 각 단계의 다양한 Tip들을 알아 봄으로써 여러분의 설계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박진우 (Jinwoo Park)부장효원시스템 효원시스템은 Autodesk Gold Partner이며, 약 25년간 Autodesk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다. 효원시스템 기술팀에서 팀장을 맡고 있는 박진우 팀장은 효원시스템에서 약 10년간 근무하면서 Autodesk 제품군에 다양한 지원 경험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기업체 인원을 대상으로 Inventor, AutoCAD Mechanical, Product Design Suite Process, Factory Design Suite Process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체 대상으로 설계자동화 및 3D Process(PrDS) 전환을 위한 컨설팅 진행 경험을 가지고 있다. DWG 데이터를 이용해서 3D 모델링 하기 오후 DWG 데이터를 이용해서 3D 모델링 하기 문석봉 / 한국씨아이엠 Aberdeen Group Research의 조사에 의하면 3D를 성공적으로 사용한 업체의 특징은 '2D를 3D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2D에 3D를 추가' 하는 것이라 밝히고 있다. Autodesk Inventor의 DWG와의 호환성은 설계 생산성을 극대화한다.Autodesk Inventor는 2D 부품도를 3D 부품으로 손쉽게 전환하고 상세 설계하게 하며, 2D조립도를 3D조립품으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2D CAD와 100% 호환성을 유지하는 Inventor DWG Underlay 기능은 설계자들에게 최고의 선물이다. 좀더 생산적으로 2D CAD을 활용하는 Inventor를 경험하게 된다. 문석봉 (Seok Bong Moon)과장, 미래첨단본부 기술팀한국씨아이엠 Autodesk Platinum Partner인 한국씨아이엠에서 기술지원, 교육, 제조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 제조 현장에서 근무하여 2D 사용자가 3D로 전환하기 위해서 어떤 기능이 현실적으로 필요한지 알게 되었다. 주요 경력)- 3D를 활용한 자동차 스위치 설계 담당- 포스코 압연설비 3D 프로젝트 수행 고객 사례로 본 Inventor 튜브&파이프 적극 활용하기 오후 고객 사례로 본 Inventor 튜브&파이프 적극 활용하기 서완선 / 주노티엔씨 대부분의 산업 장비 및 플랜트 장비는 파이프 및 튜브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합리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도구가 바로 Inventor Professional의 튜브 및 파이프이다. 튜브 및 파이프의 기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고 고객사례를 통하여 적용된 형상 및 구현 방식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Inventor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및 파이프 스타일에 사용자의 환경에 맞는 설정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확인한다. 서완선 (Wansun Seo)차장 주노티엔씨 Inventor를 처음 접한지 15년이 지난 지금 Autodesk University가 국내에서 개최되어 더욱 많은 사용자 분들과 정보를 나누는 자리에 여러분과 같이 하고 싶다. 15년의 기간동안 Inventor를 적용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구조해석, 유동해석, 데이터관리, API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등 Inventor를 사용하는 분의 기술 개발 및 프로세스 변경에 노력하고 있다. Moldflow의 최신 개발 방향 오후 Moldflow의 최신 개발 방향 한세진 / 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몰드플로우 인사이트(Moldflow Insight)와 몰드플로우 시너지(Moldflow Synergy) 제품의 최신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3D 변형에 대한 잔류 응력, 섬유 배향 해석 개선, 가스 사출 성형 및 overmolding에 대한 냉각 해석, core-back이나 화학적 발포제 같은 강화된 초미세 발포 사출 성형 기술, 이방성 재료 특성, 밸브 게이트 제어, 사용자 솔버 API의 확장, 새로운 메싱 기능, 몰드플로우 시너지의 새로워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에 대해 다룬다. 또, 몰드플로우 시뮬레이션과 관련하여 현재 연구가 진행중인 주제들에 대해서도 다룰 것이다. 한세진 (Sejin Han)박사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몰드플로우 솔버 개발 팀의 일원으로, 그의 전문 분야는 사출 성형, 열경화 공정, 마이크로칩 캡슐화, 압축 성형, RTM, 초미세 발포 성형 공정 등과 관련된 시뮬레이션이다. 한 박사는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Moldflow와 연계한 Fiber-filled Plastics 복합재 구조 해석 오후 Moldflow와 연계한 Fiber-filled Plastics 복합재 구조 해석 최재현 / 오토데스크 이 class에서는 Moldflow software를 통한 사출 성형 해석에서 구조해석 software의 유한 요소 모델(FEA)로 Fiber Orientations과 material propeties를 Mapping하는 기능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다. 또한 Fiber-filled material의 비선형 재료 거동을 Simulation할 수 있는 Helius PFA software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도 거론 할 것이다. 최재현 (Jaehyun Choi)이사오토데스크 22년간 산업계 CAE분야에서 CAE 엔지니어, CAE 프로덕트 전문가, CAE 제품 영업,등을 통해 CAE 분야의 다양한 경험과 지식 보유CAE분야 외에도 CAD/CAM/PLM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으로 인해 거시적 관점의 CAE Process 이해경력 사항- LG전자 DA 연구소 CAE Engineer- SDRC CAD/CAE Pre-sales Engineer- MSC Software CAE Pre-sales 및 Sales- Siemens PLM CAE BD 및 Sales- 현 오토데스크 시뮬레이션 팀에서 근무 Performance of Alias SpeedForm- NURBS와 Polygon을 활용한 Hybrid Modeling 장점 오후 Performance of Alias SpeedForm- NURBS와 Polygon을 활용한 Hybrid Modeling 장점 엔도 기이치 / 니치난 코퍼레이션 Autodesk Alias SpeedForm은 디자이너를 위한 아이디어 구상 도구입니다. NURBS와 Polygon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델링 기능이 지원되므로, 디자이너는 이 차세대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마치 클레이 모델 다루듯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빠른 속도로 3D 모델과 이미지를 구성한 후 3D 프린터를 이용해 형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시제품 개발 및 시행 착오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됩니다. 이러한 업무 흐름을 통해 디자이너가 새로운 사실을 깨닫고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런 업무 흐름의 통합 프로세스에서 뜻밖의 소득을 얻게 되므로 디자이너의 역량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검증을 통한 의사 결정에도 유용합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실제 자동차 디자인 프로세스의 사례를 들어 NURBS와 Polygon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델링 기법의 장점과 이 방법을 컨셉트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엔도 기이치 (Endo Giichi)니치난 코퍼레이션 Nissan에서 24년 이상 디자이너 겸 관리자로 재직하면서 다양한 컨셉트 카와 상용 차량을 개발했다. 현재 일본에서 전 업종을 대상으로 하는 최대 규모의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서비스 공급업체 중 하나인 Nichinan사의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디자인 팀장이다.경력IDEX사(일본 도쿄) 1984-1986 제품 디자이너1990-2015 Nissan Global Design Center1997 일본 Nissan 디자인 수석 디자이너2006-2009 Nissan Design Europe(영국 런던)2006 Nissan 디자인 전문 디자이너2009-2013 Infiniti 디자인 부서2013-2015 Creative Box (일본 도쿄)2015 Nichinan사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디자인 팀장 박진우 / 효원시스템 문석봉 / 한국씨아이엠 서완선 / 주노티엔씨 한세진 / 오토데스크 최재현 / 오토데스크 엔도 기이치 / 니치난 코퍼레이션 Inventor Inventor Inventor Moldflow Alias Speedform 모든레벨 초급 중급 모든레벨 중급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14:00 ~ 14:10 휴식 14:10 ~ 14:50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Breakout Session BIM 생애주기의 변화 오후 BIM 생애주기의 변화 고범진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사업은 오랜 기간 동안 수많은 다양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건축주와 건축, 인테리어, 구조, 기계, 전기, 통신, 소방, 토목, 조경 등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최고의 건축물을 위한 디자인과 기술적인 부분을 종합적으로 판단을 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복잡한 일이다. 기존에는 2차원 도면과 문서로 의사소통하며 기획, 설계, 시공, FM(Facility Management) 각 단계별 업무를 진행해 왔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중대형의 건축물을 만들어 가는 과정 또한 복잡해져서 각 단계별 관계자의 숫자가 수십 명이 넘는다.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정확한 의사전달과 업무수행이 프로젝트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보다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생산성이 향상된 업무방식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BIM은 기본적으로 2차원 도면을 3차원 입체로 변화시키며 각종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어 활용하고자 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관리 및 운용이 가능한 편리한 도구이다. 분리와 통합, 부분과 전체, 형상과 정보를 필요에 의해 관리할 수 있는 BIM은 건축의 각 단계마다 큰 역할을 하여 이익을 주고 있다. 디자인 개념과 대안 검토에서 시작하여, 의사결정을 위한 논리적 근거를 만들고, 설계도서의 성과품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고, 시공을 위해 사전에 공정, 수량, 업무범위 등을 검토하여 원가 절감과 시공성을 향상시켰으며, 유지관리를 위한 실제와 동일한 3차원의 건축 가상모델이 만들어져 운영을 위한 기초정보가 구축된다. BIM은 하나의 건축물이 아이디어에서 실제 운영되기까지 건물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활용되어 크고 작은 이익과 효과를 내어 성공적인 사업 진행과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목표]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로 이어지는 건축물 생애주기의 각각 단계별로 BIM의 활용방법과 생애주기 BIM에 의한 변화를 프로젝트의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고범진 (Bumjin Ko)소장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정림건축 설계1본부, 개발기획본부, 디자이너 POOL을 거쳐 현재 정림건축 기술연구소 BIM팀을 총괄하고 있으며 17년째 건축설계를 하고 있다.- 서울고등학교 졸업 -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빌딩스마트협회 설계 및 엔지니어링 분야 전문이사 - 국민대 실내디자인학과 출강[주요 프로젝트]인천그랜드하얏트호텔, 코엑스몰리모델링, 시그니쳐타워, 베트남국립역사박물관 BIM 기반 Pre-construction Service 오후 BIM 기반 Pre-construction Service 정연석 / GS건설 선진국형 발주방식으로 발주자/설계자/시공자가 Project 기획/설계 단계에 하나의 팀을 구성하고, 각 공종별 설계의 최적화를 위하여 담당분야 Know-how를 공유/제안함으로써 발주자로 하여금 최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Service를 말한다. 최적화된 설계도서는 시공상의 불확실성이나 설계변경 RISK를 사전에 제거하게 되고, Project 운영을 최적화하여 발주자 소유 건물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목표]국내 최초 BIM 기반 PreConstruction Service 사례소개 정연석 (Yeonseok Jeong)박사, 건축 PreCon팀GS건설 정연석 차장은 GS건설 건축Precon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경희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GS건설 입사 전에는 조지아공대(Georgia Tech)에서 Post Doctoral Fellow로서 GSA(General Service Administration)에서 발주한 ‘법원건물에 대한 법규검토 시스템 개발’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GS건설 입사 후 BIM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목적으로 美 건설사인 DPR Construction사와 기술교류를 위한 MOU체결하고 조지아공대와 공동연구 수행을 이끌었다. 현재 GS건설에서는 전사 BIM 도입 및 활성화 전략수립 및 현장 기술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수행 프로젝트로는 NCSoft R&D 센터, 파르나스호텔 및 하나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BIM기술을 적용하여 Preconstruction을 수행하였다. BIM 디지털 시티 오후 BIM 디지털 시티 요시히코 후쿠치 / 오토데스크 BIM 기술이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제 도시 계획사, 설계 프로젝트 팀원은 몰입형 환경에서 Hi-Fi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세계의 조건을 고려해 도시 계획을 시각화할 수 있다. Reality Capture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제 상황을 감안한 설계의 길이 열린 한편, 게임 기술의 도움을 받아 실제 도시 근교 전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의 주도 하에 건물과 기반 시설 정보를 대규모로 모델링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가 개발되면서, 거시적 관점에서 결정을 내리고 더 나은 가치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갈수록 복잡해지는 이해 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지형 분석과 고도면을 가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시각화와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도시에서의 생활 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 모든 상황 정보를 토대로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들의 관점에서 설계를 진행한다.[목표]1. 현재와 미래의 BIM 기술, 디지털 시티와 도시 계획에 따른 ROI 전망을 언급2. 해외의 BIM 디지털 시티 사례 연구 결과를 제시 요시히코 후쿠치 (Yoshihiko Fukuchi)APAC Infrastructure Development Exec.오토데스크 일본에 거주하는 후쿠치는 APAC 내에서 성숙한 시장의 인프라 비즈니스 및 영업 개발을 책임지고 있다. 그은 일본과 한국에서 인프라 산업과 정부 간에 긴밀한 비즈니스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업무를 맡고 있다. 2016년 인프라 BIM 위임계약과 2020년 동경올림픽 디자인 부문 작업, 그리고 산업생태계의 다른 주요 인프라 책임자들이 BIM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해 MLIT의 전략 활동을 맡고 있다. 또한 NA 영업팀과 Territory 영업팀이 전략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업무도 진행 중이다. 그는 현재 일본국토교통성(MLIT) 산하 연구 기관인 일본 국토기술정책총합연구소(NILIM)와 한국 정부의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그리고 오사카 대학, 구마모토 대학,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등 인프라를 위한 BIM을 연구하는 주요 대학과 협업하고 있다. [경력] 일본의 주요 건설업체에서 15년간 건설 관리 및 기술 개발 경력을 쌓았으며, 2001년 Autodesk로 자리를 옮겼다. Autodesk에서 10년간 영업, 산업 마케팅 및 제품 관리를 맡았던 그는 미국에서는 세계 시장을, 일본에서는 국내 시장을 관리했다. 그는 Autodesk에 업계 경력을 좀 더 쌓은 후 2012년에 APAC 영업 개발 이사로 Autodesk에 다시 합류했다. 기술, 영업 및 업계 실무에 대한 뛰어난 식견과 역량을 갖추었으며 고객 관계 관리에도 능하다. 제품과 산업에 대한 깊은 지식과 업계 지도자들과의 두터운 친분으로 일본국토교통성(MLIT)의 BIM 프로젝트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그는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석사 학위를, 구마모토 대학에서 토목환경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모션그래픽 쉽게 제작하기 위한 Tips & Tricks 오후 모션그래픽 쉽게 제작하기 위한 Tips & Tricks 정진철 / 오토데스크, 박영우 / 키미데이타 3ds Max 2016에 새로 들어온 Max Creation Graph(MCG)는 모델링 및 애니메이션에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 내는 Tool 이다. 이런 MCG를 이용해 모션그래픽 소스 및 영상제작에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예제를 살펴보고, 보다 빠르고 손쉽게 모션그래픽 제작에 사용할 수 있도록 Step by Step으로 예제가 진행된다. 또한, 3ds Max2016의 신기능인 Camera Sequence와 State Set을 활용한 렌더링 기법을 사용해 필요한 이미지를 랜더링 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이렇게 State Set에서 설정된 Max 파일을 다시 Adobe After Effects로 가져와 랜더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과정을 마지막으로 3ds Max에서 신기능을 활용한 모션그래픽 제작 사례를 설명하고, 각 파트별 Tip & Trick 을 소개한다. 3ds Max는 게임과 영상등 모든 컨텐츠를 제작하는 최고의 제작 툴이다.[목표]1. 3ds Max의 MGC를 활용한 모션그래픽 활용2. State Set 및 Camera Sequence를 활용한 랜더링 기능 정진철 (Jinchul Jung)차장오토데스크 정진철 차장은 2003년부터 영화 및 VFX 관련 일을 시작으로 다수의 영화 VFX와 CF등의 영상을 제작하였다. 현재는 Autodesk Korea에서 Technical Specialist로 근무 중이며 3ds Max와 Motion Builder등 Autodesk 3D Application 기술담당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Max Script 와 Python등script관련 세미나와 강의를 진행중이다. 박영우 (Youngwoo Park)과장키미데이타 박영우 과장은 2004년부터 3ds Max관련 교육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아크로드 및 데몬베일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전주대학교 및 송담대학교에서 3ds Max관련 강의를 하였다. 총 6권의 3ds Max 관련 책을 집필하였으며 상명대 게임학과 박사과정을 수료 후, 현재 Kimi Data에서 3ds Max 관련 Specialist로 근무하고 있다. AutoCAD 2016 Tips & Tricks 오후 AutoCAD 2016 Tips & Tricks 린 알렌 / 오토데스크 린 알렌 (Lynn Allen)테크니컬 에반젤리스트오토데스크 린 알렌(Lynn Allen)은 CAD 전문지인 Cadalyst의 칼럼니스트이자 오토데스크의 기술 에반젤리스트(Technical Evangelist)로, 매년 전세계 3만 명 이상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AutoCAD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22년 동안 Cadalyst에 'Circles and Lines'라는 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Cadalyst의 인기 동영상인 'Lynn Allen과 함께 알아보는 AutoCAD 팁(Tips and Tricks with Lynn Allen)' 시리즈의 목소리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그녀는 오토데스크의 소프트웨어를 25년 넘게 사용해 왔으며, 오토데스크에 입사하기 전에는 13년간 기업체와 대학에서 AutoCAD 강의를 진행했다. 특유의 유머러스한 화법으로 인기가 높은 Allen은 AU®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강사 중의 한 명으로, 세 권의 AutoCAD 관련 서적을 저술한 바 있으며 가장 최근에 펴낸 책은 'AutoCAD Professional Tips and Techniques'이다. 고범진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정연석 / GS건설 요시히코 후쿠치 / 오토데스크 정진철 / 오토데스크, 박영우 / 키미데이타 린 알렌 / 오토데스크 Revit Revit, BIM 360 Civil 3D, Map 3D 3ds Max AutoCAD, AutoCAD based product 모든레벨 모든레벨 중급 모든레벨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비공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Inventor 를 활용한 Top Down 설계 기법 오후 Inventor 를 활용한 Top Down 설계 기법 송정식 / 이디앤씨(ED&C) 이 세션은 Autodesk Inventor를 사용하여 제품 설계를 하시는 설계자들에게 제품 설계 변경의 유연한 대처 방법과 설계자간의 협업 설계 활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설계 방법론을 설명한다. 송정식 (JungSik Song)부장이디앤씨(ED&C) 현업에 제품 구조설계를 하였고, Autodesk Inventor를 사용하여 기업의 3D 설계 프로세스의 방향과 틀을 제시하는 컨설팅 업무 및 제품 기술지원, 교육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엔지니어이다. Autodesk Inventor에 대한 기본과정 및 응용과정에 대한 책을 저술하였고, ATC 공인 강사 및 Autodesk Inventor Specialist로 활동하고 있다. Inventor 모델링에 구동 설정하기 오후 Inventor 모델링에 구동 설정하기 정제경 / 누리데이타솔루션 이 세션은 어셈블리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Invento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접합과 구속조건의 차이- 동작, 변위, 구속조건 셋트를 이용하는 방법- Sub Assembly사이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유연성을 사용하는 방법 정제경 (JaeKyung Jung)과장 누리데이타솔루션 Autodesk 공인협력업체인 ㈜누리데이타솔루션 Autodesk 사업부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다. Autodesk Product Design Suite의 조선 기자재 적용 사례 오후 Autodesk Product Design Suite의 조선 기자재 적용 사례 김효진 / 삼공사 INVENTOR 3rd party template modeling & IDW publishingAUTOCAD PARAMETRIC template designINVENTOR surface modeling & sheet metal expansionSHOWCASE visualization 김효진 (Hyojin Kim)부장삼공사 1999 ~ 2015 주식회사 삼공사 재직 중선박용 창문 설계 및 개발 업무AUTOCAD 사용 : 1999~2015, INVENTOR 사용 : 2003~2015 사출-구조 연성해석을 통한 Glass Fiber 배향성이 충격 파괴에 미치는 영향 오후 사출-구조 연성해석을 통한 Glass Fiber 배향성이 충격 파괴에 미치는 영향 김웅 / 이니츠 사출해석, 구조해석, 열해석 등이 검증 및 선행기술 개발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사출해석의 경우 수지의 특성 등을 고려 해야 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고, 사출품이 구조물로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인 등방성의 금속재질과는 다른 해석적 접근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플라스틱 제품의 특성상 사출 후에는 후변형, 잔류응력 등의 Pre-Stress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구조해석의 Isotropic Material Property 의 해석과 기계적 강성 결과의 차이를 나타낼 수 밖에 없는 중요한 이유이다. 사출조건, Cavity설계 등의 최적 조건에서도 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써 Glass Fiber Orientation에 의한 강성저하는 피할 수 없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WeldLine의 회피설계 혹은 Fiber Orientation의 최적화 등도 가능하지만 제품 디자인 문제, 금형 제작 문제, 비용 문제 등으로 이러한 회피 및 최적 설계도 용이하지 않고 추가적인 비용 발생 및 불량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사출-구조 연성해석 메커니즘의 적용은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에서 제품을 개발하기 이전에, 제품에 대한 사출 성형성을 검증하고, 사출품이 구조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를 검증하여 개발초기에 제품의 최적설계를 위한 Solution을 적용함으로써 개발비용 절감과 제품 신뢰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PPS GF 40%의 사출 성형품 에서의 Glass Fiber Orientation이 기계적 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제품 설계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사출-구조 연성해석 메커니즘을 검증한다. 김웅 (Woong Kim)선임연구원, 연구개발팀이니츠 전공 : 사출 금형 설계, 비선형 유한요소법업무 : 사출 해석, 구조 해석, 열유동 해석최근 연구 : 사출-구조 연성에 대한 CAE신뢰성에 대한 연구 Nastran In CAD를 이용한 기계 진동 해석 오후 Nastran In CAD를 이용한 기계 진동 해석 손민혁 / 오토데스크 현대 산업사회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문제는 많은 결함과 비용을 유발할 수 있다. 기계 설계 과정에서 이러한 진동 문제를 예측하고 회피할 수 있다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계 진동을 다루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기초적인 모달 해석 및 시험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본 세션에서는 기계 제품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엔지니어 및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기계 진동 문제를 해석적으로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오토데스크 3D CAD 제품인 Inventor에서 사용할 수 있는 Nastran In CAD를 이용하여 ,모달 해석, 주파수 응답 해석, 랜덤 진동 해석 등의 다양한 진동 해석 기능을 알아보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손민혁 (Minhyuk Son)차장오토데스크 현재 오토데스크 코리아에서 시뮬레이션 기술그룹에 재직 중.2011년 박사학윈를 취득하고, 네덜란드 국영 연구기관인 TNO의 자회사인 TASS international 에서 자동차 선행 안전 및 차량동역학 관련 기술지원 업무를 3년간 수행.기계 진동 및 동역학 해석과 관련한 국책과제 및 자동차 업체와 다수의 연구과제를 진행.2014년 오토데스크 코리아에 입사하여 구조해석 관련 기술업무를 맡고 있다. 현재 자동차공학회의 차체 및 섀시 전문위원회에서 관련 표준화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 Alias Transformer Rig tool 실무 활용 소개 오후 Alias Transformer Rig tool 실무 활용 소개 안정호 / 현대자동차 안정호 (Jeongho Ahn)책임 연구원, 디자인CAS팀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디자인CAS팀 소속 책임연구원2005년~ 현대자동차 입사2010년~ 현대자동차 디자인CAS팀2015년 現 현대자동차 인도CAS팀 담당매니저 활동 中 송정식 / 이디앤씨(ED&C) 정제경 / 누리데이타솔루션 김효진 / 삼공사 김웅 / 이니츠 손민혁 / 오토데스크 안정호 / 현대자동차 Inventor Inventor PrDS Moldflow Alias 중급 상급 초급 중급 모든레벨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14:50 ~ 15:00 휴식 15:00 ~ 15:40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Breakout Session 한옥 설계를 위한 BIM 적용 사례 오후 한옥 설계를 위한 BIM 적용 사례 전봉희 / 서울대학교 본 세션에서는 한옥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Revit add-in을 소개한다. 최근 한국에서는 한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신한옥 건설을 위한 기술개발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신한옥을 위한 BIM 설계도구 개발의 필요성 역시 대두되어, 국토교통부 R&D 사업을 통해 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Revit은 한국에서 가장 보급률이 높은 BIM툴로서 한옥 BIM 기술개발 역시 Revit을 활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간 개발이 진행된 BIM 기반 한옥 설계지원 기술의 개발방향을 간략히 설명하고, Revit add-in으로 개발된 한옥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소개한다.[목표]한옥 설계를 위한 BIM 도구의 개발방향과 개발기술의 소개 전봉희 (Bonghee Jeon)교수, 공과대학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에 재직 중이며, 신한옥, 한옥 활성화, 한옥 기술기준, 건축 아카이브 구축 등 한옥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2009년 부터 국토교통부의 한옥기술개발(R&D)에 참여하고 있다. 2009년에서 2013년까지 진행된 1단계 한옥 R&D 사업을 통해 한옥건축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2014년 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2단계 한옥 R&D 사업에서는 BIM 기반 한옥 설계지원 시스템 개발의 연구 책임을 맡고 있다. Lean 건설의 틀에서 본 프로젝트 수행방식과 BIM 적용의 차이 오후 Lean 건설의 틀에서 본 프로젝트 수행방식과 BIM 적용의 차이 김종훈 / 삼성물산 디자인-비드-빌드, 디자인-빌드, 디자인-어시스트, CM at Risk (GMP), IPD 등 건설산업의 대표적 프로젝트 수행방식에 따라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책임과 역할, 이들간의 workflow, 협업 (Collaboration)이 어떻게 달라지며, 이들 차이가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결정과 결과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이와 같은 이해를 토대로 각각의 프로젝트 수행환경에서 적절한 BIM 수행을 위한 목표설정, 착수시기와 수행일정, 조직 구성 및 협업체계 구성, 그리고 기대 효과에 대해 소개한다.[목표]1. 다양한 프로젝트 수행방식 따른 workflow와 프로젝트 참여자간 협업 등 차이가 무엇이고, 그 차이가 설계 및 시공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2. 다른 프로젝트 수행방식이 BIM 적용에 미치는 영향과 요소를 이해한다.3. 각각의 프로젝트 수행방식에 맞는 BIM 적용 전략과 기대효과를 이해한다. 김종훈 (Jonghoon Kim)수석삼성물산 2007년 스탠포드 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스탠포드대에서 연구와 Consulting Professor로 CM 학생들을 가르쳤다. 이후 미 DPR Construction에서 Senior BIM Manager로 일하였고, 현재는 삼성물산 BIM 파트장을 맡아 근무하고 있다. 김종훈 박사는 연구분야에 종사함으로써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여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DPR, 삼성물산 등 기업체 근무 기간 동안 많은 프로젝트에서 BIM을 적용한 경험을 갖고 있다. 한국의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 3차원 설계의 가능성과 한계 오후 한국의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 3차원 설계의 가능성과 한계 조명환 / 도화엔지니어링 1.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3차원 설계를 통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코자 합니다.2 이와 더불어 현재 국내 설계 성과품 작성 지침상으로 설계단계에서 상세한 도면 작성과 수량 산출 근거를 요구하고 있지만, 향후 3차원 설계가 일반화 된다면 이러한 요구사항이 맞는지와 현재 상태에서 3차원 설계 도입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코자 합니다. 조명환 (Myunghwan Cho)부장도화엔지니어링 (주)도화엔지니어링 기술개발연구원에 재직 중이며, 도로 분야 설계 및 재료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국책 연구 과제로 “도로 동상방지층의 효용성 검증 및 설치 기준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토목 분야 BIM 도입 동향과 도입 방안 수립”에 관한 사내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도로학회와 대한토목학회 및 방재학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새로운 인터렉티브 비주얼 제작, Autodesk Stingray 엔진 활용법 오후 새로운 인터렉티브 비주얼 제작, Autodesk Stingray 엔진 활용법 안커 모한 / 오토데스크 이 세션에서는 코어 아키텍처, Autodesk DCC 툴과의 상호 운용성, Flow라고 불리는 Stingray 비주얼 스크립팅 시스템과 Lua 스크립트를 이용한 게임 로직 설계 등, Autodesk Stingray의 주요 장점을 다룬다. 단순한 Stingray 어플리케이션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개념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는 기회도 갖는다.[목표]1. 3D 게임 엔진, Stingray 를 소개2. 단순한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중요한 Stingray 개념 이해 안커 모한 (Ankur Mohan)제품 매니저오토데스크 Scaleform가 인수되면서 2010년 3월에 Autodesk에 합류하였다. Scaleform 근무 당시에는 IME 같은 애드온 제품 구현과 Gamebryo 및 Unity와의 엔진 통합 업무를 담당했고, Autodesk에서는 Stingray 소스 배포를 관리하고 Stingray 지원 및 홍보 팀을 이끌고 있다. 메릴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조지타운 대학교(Georgetown University)에서는 MBA를 취득하였다. 현재 이스트 코스트(East Cost)의 그린벨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메일 주소는 ankur.mohan@autodesk.com 이다. 대한민국에서 단 하나! 나만의 AutoCAD 만들기 오후 대한민국에서 단 하나! 나만의 AutoCAD 만들기 박한울 / 다우데이타 AutoCAD가 많은 설계자들의 지속적인 사랑을 받는 이유 중의 하나는 편리한 사용법 때문이다. 리본메뉴, 클래식메뉴, 명령어 입력 뿐 만 아니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때 나타나는 팝업메뉴, 그립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객체를 제어하여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이 모든 메뉴는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한 곳에 모아서 사용할 수도 있고, 주요 기능의 하위 명령어를 자동으로 입력하게 만들 수도 있다. 명령어가 너무 긴 경우, 단축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사용자의 입맛에 맞도록 AutoCAD를 꾸미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려 한다. 박한울 (Hanul Park)대리, 기술지원팀다우데이타 건축설계를 전공하여 현재는 한국 Autodesk 총판인 ㈜다우데이타 Autodesk 사업부에서 엔지니어로 근무 중하고 있다. 설계사무실과 건설사에서 근무하며, AutoCAD 사용자들이 어떤 기능을 자주 사용하고 어려워하는지 잘 알게 되었다. 이렇게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현업에서 도면 제도와 관련된 컨설팅과 교육을 주 업무로 근부하고 있으며,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하우와 유용한 팁을 엮은 'Do it! 오토캐드'라는 도서를 2014버전부터 2016버전에 대해 집필하였다. 전봉희 / 서울대학교 김종훈 / 삼성물산 조명환 / 도화엔지니어링 안커 모한 / 오토데스크 박한울 / 다우데이타 Revit Revit Civil 3D Stingray DTS AutoCAD 상급 모든레벨 중급 모든레벨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15:00~15:15)Sponsor Session Lenovo / 문선경 차장 (15:00~15:15)Sponsor Session HP / 류민열 부장 i-Logic을 활용한 Inventor 기능 확장 오후 i-Logic을 활용한 Inventor 기능 확장 손광호 / 다우데이타 Autodesk Inventor I-Logic을 구현하여 필요 기능을 만들거나 Inventor를 더 편하게 사용 가능하게 튜닝을 해본다.Sample 적용 사례를 통해 실무에 사용 가능하게 접근해 보고 나만의 Inventor를 꾸며본다. 손광호 (Gwangho Son)차장, 기술지원팀 다우데이타 2004.11 ~ 2015.8 현재 : 다우데이타 SW사업본부 기술지원팀 팀장2002.1 ~ 2004.11 : ㈜ 세크론 기술연구소 기구설계팀2000.11 ~2002.12 : ㈜씨피씨 기술연구소저서 : 인벤터 10 A to Z (과학기술), 인벤터 열 한번째 이야기 (북미디어), 아이러브 인벤터 2010 (북미디어) 제품 개발을 위한 PrDS 워크플로우 소개 오후 제품 개발을 위한 PrDS 워크플로우 소개 백경민 / 코오롱베니트 AutoCAD를 활용한 2D CAD 설계자부터 Multi-CAD를 활용한 3D 설계 디자인 영역까지 Product Design Suite 제품 내에 Inventor를 활용한 제품 설계 프로세스 개선을 소개한다. 또한 Autodesk Solution만의 장점인 호환성을 이용한 다양한 Suite 제품들간의 확장된 프로세스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 백경민 (Kyungmin Baek)과장 코오롱베니트 Autodesk MFG Solution 엔지니어로써 다양한 고객들과의 직접 만날 수 있는 Autodesk University가 국내에 개체되어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고객들의 이슈와 프로젝트 경험 등을 바탕으로 AU Korea에서 그동안의 경험과 저를 비롯한 많은 MFG Solution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각자의 노하우와 경험을 공유하고 이해하며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 Inventor의 고급 서피스 모델링 오후 Inventor의 고급 서피스 모델링 김성옥 / 단군소프트 이번 세션에서는 서피스 모델링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인벤터에 포함된 다양한 서피스 생성 기능과 편집 및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김성옥 (Seong ok Kim)이사 단군소프트 Autodesk Mechanical Desktop이 출시된 1996년부터 Autodesk사의 기계 제조 분야 CAD 제품 및 PDM 제품의 기술지원 업무를 담당해 왔다. 영진출판사(현 영진닷컴)를 통해 Mechanical Desktop 2.0과 3.0 교재를 유한대학교 엄정섭 교수님과 공동 출판하였으며, 유수의 고객사에 3D 설계 프로세스 컨설팅, PDM 시스템 구축을 수행하였다. 플라스틱 제품개발에서 Moldflow장점( Warpage, Optimizing, C/T CAL.) 오후 플라스틱 제품개발에서 Moldflow장점( Warpage, Optimizing, C/T CAL.) 이도명 / 삼성전자 1. 플라스틱(사출) 부품의 휘어짐이 감소되는 Moldflow 활용 방법플라스틱 제품은 사출후 부품형상의 각 지역별로 발생하는 수축편차에 의해 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사람의 경험과 인지능력의 의해 측정되거나 계산해 낼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Moldflow S/W를 이용해 Warpage 결과를 예측 할 수 있으며, 형상변경을 통해 휨이 감소되는 사례를 소개한다.2. Moldflow와 EzOPT MOLD를 활용한 최적화 S/W 적용 사례 EzOPT Mold 활용사례소개 : EzOPT Mold S/W는 Moldflow와 연동해서 구동되는 최적화 S/W 이다. 이를 이용해 사출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게이트 위치를 자동으로 편리한 절차를 통해 그 결과를 표시한다.3. Moldflow물성 DATA BASE를 이용한 사출 Cycle Time 계산 방법사출부품의 C/T계산은 일반적으로 사출, 보압, 냉각, 형개, 취출, 형폐의 6단계로 진행이 되며 그중에서 레진의 물성 DATA를 이용해 가장 중요한 냉각시간을 계산하는데 활용하였고, 그 방법 소개한다. 이도명 (Domyuong Lee)책임연구원삼성전자 1. 현재 : 삼성전자 프린팅 솔루션사업부 책임연구원- 사출성형CAE(Moldflow) 담당2. 주요업무 : 사출성형CAE와 관련된 모든 업무3. 관심분야 : - 프린터 사출금형 개발과 사출품질 개선- CAE를 이용한 금형 및 사출불량 해결책 제시 오토데스크 구조해석의 방향과 비선형 해석 소개 오후 오토데스크 구조해석의 방향과 비선형 해석 소개 미노루 칸자 / 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연구소에서 개발중인 “Arro” 제품에 대해 소개한다.Arro는 오토데스크의 구조 해석 기술이 앞으로 나아가게 될 방향성을 제시한다.추가로, 비선형 접촉 세팅 연구에 대해서도 설명할 것이다. 미노루 칸자 (Minoru Kanja)Manager, APAC Simulation Specialist 오토데스크 7년차 FEA 사용자로, 23년째 FEA 업무에 종사해오고 있다. 그는 토요타와 혼다 같은 자동차 업체에서 FEA 엔지니어로 일했고, SDRC에서는 기술 컨설턴트로 재직했으며, KUSCO (Kubota Solid Technology)에서는 제품 마케팅 책임자를 역임했다. 현재는 오토데스크의 아태지역 시뮬레이션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Alias Technical Surfacing -Align기능을 활용한 서페이스 공차(tolerance) 마무리   오후 Alias Technical Surfacing -Align기능을 활용한 서페이스 공차(tolerance) 마무리   신현준 / Alias 모델러 Alias의 Data Release 과정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Tolerance의 정의와 구성에 대해 살펴 본다.부적절한 Tolerance의 적용으로 발생하는 모델링의 문제는 단순히 Design 과정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고, 설계 및 금형 과 같은 후반 과정 작업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발생 시키게 된다. 때문에 초기 모델링 과정에서 이런 문제를 쉽고 편리하게 해결 할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 시간의 단축과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모델링 프로세스를 제시 하고자 한다.Alias는 이러한 작업에 최적화된 우수한 모델링 Tool과 기능을 제공 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올바른 사용법의 모델링 작업을 통해 자신만의 Design Mind와 철학에 더 의미를 부여하며 작업 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현준 (Hyunjoon Shin)Alias 모델러 Alias 프리렌서 모델러로 활동, 18년 이상의 ALIAS 모델링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제품 디자인 및 중국 인도 그리고 국내 자동차 업체들과 직간접적으로 다수의 Project에 참여 하였다. 또한 ‘Alias Evangelist’로써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Alias 교재 제작과 교육에도 뜻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Facebook, Youtube 등의 Social Media를 통한 Alias의 기술 전파와 함께 국내외 여러 유저들과 교류 소통하며 Alias Surface Modeling의 발전과 기술개발에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주요 경력: . 서울산업대학교 공업디자인과 졸업 . 장애인용 특장차 EXT PARTS MODELING / CLASS-A (ALIAS) . VETNAM 현지 생산 SCOOTER MODELING / CLASS-A (ALIAS) . INDIA 수출용 INT/EXT MODELING / DESIGN MODELING (ALIAS) . CHINA 자동차 업체 INT/EXT MODELING / DESIGN MODELING (ALIAS) . POST PRODUCTION - 삼성 카메라 ST550 (한효주 CF) CF / 영상용 MODEL 제작 (ALIAS) . 기타 자동차 업체 MODELING / VR (ALIAS, SHOWCASE) .저서 : 동영상으로 배우는 Alias AutoStudio 2015 (도서출판 Nstart)’ 손광호 / 다우데이타 백경민 / 코오롱베니트 김성옥 / 단군소프트 이도명 / 삼성전자 미노루 칸자 / 오토데스크 신현준 / Alias 모델러 Inventor PrDS Inventor Moldflow Alias 상급 중급 중급 모든레벨 중급 중급 / 상급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15:40 ~ 16:05 휴식 (15:55 ~ 16:05) 휴식 (15:40 ~ 16:05) 16:05 ~ 16:45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Breakout Session 일본 건축사 사무소의 BIM 적용 현황 오후 일본 건축사 사무소의 BIM 적용 현황 카즈오 하마지 / 오토데스크 일본 AEC 비즈니스의 산업 구조에 대한 이해와 최신 사례 연구를 통해 일본 정부와 건축주의 BIM 의무화 추세, 이에 대한 건축 회사의 대응에에 대해 알아본다. 사례 연구에는 일본의 한 소프트웨어 솔루션 업체와 BIM 워크플로우를 여러 실무 영역에 걸쳐 통합한 경우도 포함되어 있다. 앞으로 BIM을 의무화한 건축주와 프로젝트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Future of Making Things'를 맞아 AEC 업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알아본다.[목표]1. 일본의 사례 연구를 통한 BIM의 발전 방향2. 건축주의 BIM 의무화에 대처하는 방안 카즈오 하마지 (Kazuo Hamaji)WWSS AEC Sales Development Executive오토데스크 APAC 내에서 성숙한 국가의 AEC 비즈니스 개발을 담당하는 일본 주재 책임자 건축 설계 관리 분야에서 15년의 경력을 쌓았으며 미국과 일본에서 BIM/디지털 설계 기술 개발 경험을 갖고 있다. 니켄세키의 디지털 디자인 연구소에서 근무했고, AMD에서는 전문 그래픽(Professional Graphics) 업무를 담당했으며 Graphisoft에서는 제품 마케팅을 담당하였다. 카즈오 하마지는 뉴욕대학교에서 도시 설계 및 건축공학을 전공했고, 현재 일본 건축 학회(AIJ: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의 회원이다. 모듈러 건축의 실증단지 구축 및 BIM 설계 오후 모듈러 건축의 실증단지 구축 및 BIM 설계 임석호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창재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근 기존방식과 차별화된 공법으로 모듈러 공법에 대한 국가 R&D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 중 하나인 '수요자 맞춤형 조립식 주택 기술개발 및 실증단지구축' 연구에서 실증단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국내 최초로 BIM을 통해 모듈러 주택의 설계를 진행하였다. 본 세션에서는 연구의 수행내용 및 지금까지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구체적 발표내용은 모듈러 주택의 실증단지 구축, 모듈러 건축의 BIM 설계의 필요성, BIM 설계 프로세스 등으로 이뤄진다. 또한 이번 세션을 통해 모듈러 및 BIM 설계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혐할 예정이다.[목표]1. 모듈러 건축의 실증단지 구축2. 모듈러 건축의 BIM 설계 임석호 (Seokho Lim)선임연구위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 선임연구위원<학력>-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공학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건축계획/공학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건축계획 및 설계/공학박사)<주요경력>- GQ마크심의 위원(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산업자원부 KS규격 창호분과위원- 한국주거학회 참여이사- 고양시 도시계획위원- 강원도 설계심의 위원<국가 R&D 수행 관련>국가 R&D연구사업(핵심연구개발사업)의 2개 총괄연구책임자로서 '리모델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유지관리프로그램개발연구'(2005완료)와 '자원순환형 유닛모듈라주택개발연구(2004-2007)'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비용절감형 장수명주택 보급모델 개발 및 실증단지 구축', '모듈러 건축 중고층화 및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등의 3개 대형 국가 R&D 연구를 수행 중이다. 특히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대표 소원과제로써 '탈현장 초고속 주택 건설기술 개발'의 총괄책임을 담당하고 있다. - 국가 R&D 중대형과제인 '수요자 맞춤형 조립식 주택 기술개발 및 실증단지구축' 연구의 총괄책임자를 맡고 있다. 이창재 (Changjae Lee)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 박사후연구원<학력>- 조선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공학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건축계획 및 설계/공학석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건축계획 및 설계/건축학박사)<주요경력>- 원광대학교 외래교수- 광주여자대학교 외래교수- 목포대학교 외래교수- 조형건축사설계사무소 근무<국가 R&D 수행 관련>- 탈현장 초고속주택 설계 및 환경성능 기술개발- 수요자 맞춤형 조립식 주택 기술개발 및 실증단지 구축- 비용절감형 장수명주택 보급모델 개발 및 실증단지 구축- 모듈러 건축 중고층화 및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첨단 측량장비를 활용한 공장 3D 역설계 방안 및 효과 오후 첨단 측량장비를 활용한 공장 3D 역설계 방안 및 효과 정택선 / 차후 2010년도 이후 눈부시게 성능이 좋아진 3D스캐너라는 첨단 공간정보 획득 장비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규모의 3D 형상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한 BIM 도면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BIM 도면의 빠른 생성은 기초적인 단계로서 이를 통해서 BIM의 활용을 더욱 가속화 하고, 일반적인 환경 및 산업현장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만든다. 건축물 / 구조물의 노후화가 심각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장수명화 이슈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장수명화를 위해서는 3D도면을 통해서 시뮬레이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저탄소 녹색성장과 기술융합을 통한 창조경제 분야가 생성된다.[목표]1. 첨단 측량장비인 3D 스캐너를 활용하여 조기 BIM 생성2. 3D 역설계를 통한 리노베이션 / 리트로핏 / 리모델링 용이 정택선 (Taeksun Jung)팀장, 3D 컨버전스 본부차후 정택선 팀장은 시설물의 산업안전 확보를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신기술을 만들어가는 ㈜차후의 3D컨버전스본부의 팀장이다. 3D 스캐닝을 활용한 산업체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였고, 국책과제에서도 과제 책임 및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였다. 중국 및 국내 프로젝트도 진행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지속적인 산업안전 확보를 위하여 기술을 확보한 시스템 확산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자 – Shotgun과 Pipeline Toolkit 오후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자 – Shotgun과 Pipeline Toolkit 앤드류 로렌스 / 오토데스크 이 세션은 Shotgun의 제작 과정 추적, 검토, 자산 관리 소프트웨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Shotgun이 전체 팀원의 팀워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도 알아볼 수 있다. 즉, 아티스트와 슈퍼바이저가 어떻게 손쉽게 협업하고 관리자가 좀 더 효율적으로 제작 결과를 검토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목표]1. 최근 많은 스튜디오 환경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이해2. Shotgun이 스튜디오 환경과 업무 흐름을 어떻게 개선하는지에 대한 논의 앤드류 로렌스 (Andrew Lawrence)제품 지원 전문가, 지원팀오토데스크 영국 런던에 있는 Shotgun 지원 팀의 일원으로, VFX 편집 및 제작 부서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수 백 개의 스튜디오에서 제작되고 있는 수천건의 프로그램에 제작 진행 및 제작 도구를 지원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앤드류 로렌스는 제작자들이 최상의 제작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언제라도 출동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다. 런던에 가면 고객 하나 하나를 만족시키기 위해 이 스튜디오에서 저 스튜디오로 거리를 분주하게 오가는 그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당신에게 제작과 관련한 아이디어가 있다면 앤드류가 기꺼이 당신과 합류하여 그 아이디어가 현실이 되도록 도와 줄 것이다. 참고로, 그가 만드는 애플 크럼블은 정말이지 환상적이다. 6시 퇴근을 위한 지름길 - AutoCAD 집중 분석 오후 6시 퇴근을 위한 지름길 - AutoCAD 집중 분석 민경훈 / 에스비씨케이 AutoCAD 사용자가 놓치기 쉬운 숨겨진 보조 프로그램을 소개한다.세션 참석 대상자는 일반사용자, 관리자 등 전체 사용자 이며 일반 IT 관리자도 이해가 가능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AutoCAD 보조 프로그램의 소개 및 데모시연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참석자는 기능소개 및 활용, 업무적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세션 진행순서1. 마이그레이션2. 디지털 서명3. 참조관리자4. 배치 표준 검사기5. 도면의 보안 민경훈 (Kyunghun Min)대리에스비씨케이 Autodesk 공인 총판사인 SBCK 에서 기술지원 리더 를 맏고 있으며 ACU(Autodesk Certified User)의 한국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발표자 저서- AutoCAD 쉽게 따라하기(2009, 2010) - AutoCAD for ACU - Autodesk Inventor 2014 Basic for Engineer 카즈오 하마지 / 오토데스크 임석호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창재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택선 / 차후 앤드류 로렌스 / 오토데스크 민경훈 / 에스비씨케이 Revit Revit Map 3D, Recap Shotgun AutoCAD 중급 모든레벨 중급 초급 / 중급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Inventor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관리 방법 오후 Inventor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관리 방법 김재철 / 유써브 1. Inventor 사용자의 공용부품 라이브러리 등록방법2. 프레임 생성기를 활용한 프로파일 프레임 만들기3. 사용자 파이프 규격을 등록하여 자동파이프 라인설계하기 김재철 (Jaechul Kim)부장유써브 현) 유써브 AUTODESK 기술지원팀장유써브 ATC센터 Inventor 중고급교육 강사Inventor ACP 자격영신기계(주) 부설연구소 18년 재직2006년(영신기계), 2011년(3P ROBOT) AUTODESK 성공사례발표 AutoCAD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관리 방안 오후 AutoCAD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관리 방안 차준호 / 오토데스크 국내 시장에서 설계 도면 및 관련 문서에 대한 데이터 관리는 PLM이라는 고정 관념이 많이 퍼져있고, 설계자와 실무자 그리고 현장 업무 담당의 입장에서는 많은 부분의 편의가 무시되고 간과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오토데스크 Vault는 이런 설계자와 문서 관리자 그리고 검토자 등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세션에서는 AutoCAD 기반의 설계자가 최소의 교육으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자동화 기능에 대하여 짧은 시간에 경험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차준호 (Junho Cha)부장 오토데스크 Application, 네트워크 및 보안 솔루션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 환경에서 On-premise와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관리 솔루션 경험을 가지고 Autodesk Vault 솔루션및 PLM360 제품을 담당하고 있다. 디지털 팩토리를 위한 Autodesk 솔루션 오후 디지털 팩토리를 위한 Autodesk 솔루션 박경태 / 코오롱베니트 디지털 공장 및 레이아웃, 생산관리를 통해 회사의 생산품목 공정개선을 시키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른 다양한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여러분들의 생산 item을 통해 공장의 생산라인 공정을 개선하고 혁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확장성과 효과를 확인 하실 수 있다. 박경태 (KyungTae Park)과장 코오롱베니트 코오롱베니트 Autodesk Tech 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기계설계 및 제조분야에 종사하는 많은 고객 분들과 많은 기술상담과 설계 혁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제조분야에서 일하고 계신 모든 분들께 많은 정보 전달을 통해 회사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한다. 사출성형에서 1차원 및 2차원 형상을 갖는 첨가제의 배향 오후 사출성형에서 1차원 및 2차원 형상을 갖는 첨가제의 배향 류민영 / 서울과학기술대 플라스틱 재료는 갈수록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금속을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제품의 디자인이 중요하게 부각 되면서 플라스틱 표면에 금속의 질감이 나도록 하는 도장이나 코팅이 활용된다. 그러나 제품생산에서 공정 수가 증가되면 불량이 증가되고 생산단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추가되는 공정을 생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플라스틱 제품에 금속질감의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플라스틱에 알루미늄 조각을 첨가 하여 컴파운드를 만든 후 사출성형하는 방법이 활용된다. 알루미늄 조각은 납작한 판 형상으로 2차원 형상을 갖는 첨가제이다. 이러한 2차원 판상형상이 사출되면서 제품표면에 편편한 면이 보이도록 배향되면 금속질감이 잘 나타나나 두께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이 표면에 보이도록 배향되면 어두운 질감을 갖는 결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2차원 판상형상이 요구되는 금속질감을 보이도록 배향을 유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표에서는 사출성형 중에 이루어지는 분자의 배향, 1차원첨가제인 유리섬유의 배향, 그리고 2차원형상의 배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류민영 (Minyoung Lyu)교수서울과학기술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교수- Polymer(Korea) 부편집위원장, Elastomers & Composites 편집위원- 제23회, 제2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삼양사 중앙연구소 수석연구원- LG생산기술연구원 주임연구원- Principal Engineer, The Institute of Polymer Engineering, The Univ. of Akron- The University of Akron, Department of Polymer Engineering, 박사- KAIST, 생산공학과, 석사- 한양대학교 기계설계학과, 학사 유한 요소 기법을 이용한 피로 파괴 해석 오후 유한 요소 기법을 이용한 피로 파괴 해석 김범근 / 인제대학교 3D CAD 로부터 FE analysis에 이르기까지 기계 산업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CAE 중에서 자동차 산업 분야의 응용과 관련하여 발표자가 수행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분야의 연구를 소개한다.- 자동차 금속 재료의 강도 및 내구성능 평가- 플라스틱 재료에서의 잔류응력 영향- 초탄성 재료의 모델링- 2차 전지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 김범근 (Beomkeun Kim)교수인제대학교 Stanford University 항공우주공학 박사학위 취득- Sandwich 구조물 적용을 위한 core materials 연구 분석현대기아 연구개발 본부, 선임연구원- FE analysis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 복합 구조 해석 및 설계인제대학교, 전자IT기계자동차공학부 교수- 연구분야: 구조 강도 및 내구성 분석, Polymer, 복합재료 또는 초탄성 재료의 모델링, 자동차 엔진의 설계, 전기화학시스템의 모델링15년 이상의 FE analysis 분야 경험 보유 차량평가의 디지털화를 위한 CAD와 V-RED 연계활용 오후 차량평가의 디지털화를 위한 CAD와 V-RED 연계활용 안성후 / 현대자동차, 유건호 / 현대자동차 다양한 디자인 변형에 대해 빠르게 대처 가능한 Transformer Rig 기능의 장점 및 적용 가능한 CAS 실무 범위에 대해 설명 합니다. 안성후 (Seonghoo Ahn)책임연구원현대자동차 유건호 (Gunho Yu)연구원현대자동차 김재철 / 유써브 차준호 / 오토데스크 박경태 / 코오롱베니트 류민영 / 서울과학기술대 김범근 / 인제대학교 안성후 / 현대자동차, 유건호 / 현대자동차 Inventor AutoCAD, Vault FDS Moldflow VRED 초급 초급 중급 상급 모든레벨 초급 / 중급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16:45 ~ 16:55 휴식 16:55 ~ 17:35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Breakout Session Navisworks와 Mobile기반 오토데스크360을 활용한 시공 현장에서의 BIM Data활용 사례 오후 Navisworks와 Mobile기반 오토데스크360을 활용한 시공 현장에서의 BIM Data활용 사례 박보성 / 포스코 포스코A&C는 Design/ Design-Build/ CM/ modular House사업을 하고있는 국내 유일한 건축설계종합회사이다.A&C 시공 현장에서 활용된 Navisworks와 Mobile기반 오토데스크360을 활용한 시공 현장에서의 BIM Data활용 사례와 모듈러 유니트 생산 공장에서 활용된 Modular System생산을 위한 BIM기반 설계 표준 모델 개발 내용을 소개 하고자 한다. 박보성 (Bosung Park)매니저포스코 포스코A&C에서 설계 실무를 익혔으며, Modular System생산을 위한 BIM기반 설계 표준 모델을 개발로 모듈러 이동형주택 사업에 참여했으며, 3D측량을 활용한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개발에 참여 했다.현재는 BIM기술팀에서 BIM기술개발과 BIM실무 교육 및 프로젝트 직접 수행으로 시공 현장 BIM지원 업무를 맡고 있으며, 조달청BIM강사로 활동 중이다. 현장을 위한 BIM 정리정돈 오후 현장을 위한 BIM 정리정돈 이명훈 / 대림산업 대림산업 BIM적용 사례를 기반으로 시공현장에서의 유용한 BIM Tools의 사용Tip들을 공유하고, 현장에 BIM 적용 시 갖추어야 할 필수 조건들에 대해서 고찰해 본다. 이명훈 (Myunghoon Lee)대리대림산업 현재 대림산업 건축기술팀에서 BIM기술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2009년 용인시민체육공원을 시작으로 다양한 BIM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도로에서 시작하는 BIM 계획 오후 도로에서 시작하는 BIM 계획 김종원 / 평화엔지니어링 1장 Big Data를 활용한 기초자료 지형도 구축- 구글어스에서 위치정보 및 작업범위 설정- DEM 데이터 3D 지표면 생성- GIS Shape(도로, 철도, 하천 등 ) 파일 현황 추가2장 BIM계획 및 시각화- Civil 3d 노선계획 및 물량산출- Infraworks Visualization·교량, 교차로 설치 및 비교검토·주행 시뮬레이션 김종원 (Jongwon Kim)부사장평화엔지니어링 < 근무경력 >2006.07~2015.09(현재) (주)평화엔지니어링 부사장2000.11~2006.07 (주)수성엔지니어링 전무1993.08~2000.10 (주)금호엔지니어링상무< 발표논문 >도로 및 공항 기술사회 회지2014.10 SMART Highway 오르막차로 설치 필요성 및 기준 연구2013.08 초고속 주행 환경에서의 종단경사 설계 기준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교통학회지2009.06 고속국도 교통사고 잦은 지점의 사고특성 분석을 고려한 기하구조 개선기법 /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상훈기록 >2009.07 대통령상 표창2006.02 한국도로공사 사장 표창2005.12 건설교통부 장관 표창 리얼타임 렌더링 기술을 활용한 건축, 건설 디자인 시각화의 미래 오후 리얼타임 렌더링 기술을 활용한 건축, 건설 디자인 시각화의 미래 마크 해머커 / 오토데스크 건축 공간의 작업을 위해 Revit® 같은 BIM 소프트웨어와 3ds Max® 같은 3D 컨텐츠 소프트웨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Autodesk사의 미래 방향은? 이와 관련하여 Autodesk의 마크 해머커(Marc Hamaker)로부터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어떻게 시스템적 연결로 보다 나은 건축 설계의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들어본다. 마크 해머커 (Marc Hamaker)시니어 인더스트리 마케팅 매니저오토데스크 Autodesk에서 영화, TV 및 게임 시장을 관장하는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사업부의 산업 마케팅 수석 관리자로서, Maya, Maya LT, 3ds Max, Stingray, Flame Premium, Smoke를 담당하는 제품 마케팅팀을 관리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생성 및 포스트 프로덕션 분야에서 20년이 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주도하는 기술 프로세스와 시장 요소들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갖고 있다. Autodesk 입사 전에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있는 WBZ-TV/CBS에서 포스트 프로덕션 부편집장을 역임하였으며 뉴욕에서는 광고 방송 제작 업무를, 버지니아에서는 방송 홍보 업무를 담당했다. Autodesk에서는 Autodesk 제품 관리 및 고객 관계와 관련된 업무에 주력해왔으며, 애플리케이션 전문 담당 및 판매 개발 관리자의 임무를 맡기 전에는 고객 및 업계 리더들과 교류하는 일을 주로 담당하였다. 또한 Autodesk의 대외 행사에서는 제품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언론사 및 고객 패널을 이끌며 신제품 출시 행사의 사회를 보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에서 커뮤니케이션 이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AutoCAD를 이용한 3D Printing의 모든 것 오후 AutoCAD를 이용한 3D Printing의 모든 것 노수황 / 메카피아 Autodesk 3D 모델링 & 제품디자인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개와 국내 교육기관 및 현업에서의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디자인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3D프린터로 출력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특히 교육기관으로서 오토데스크 솔루션의 교육 현장 활용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3D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3D프린터로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 데모를 실시하고 Autodesk 소프트웨어로 디자인한 여러가지 제품을 전시하여 세션에 참석하신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발표하고자 한다.[세션 진행순서] 1. 교육 현장에서의 오토데스크 솔루션 소개2. 오토데스크 솔루션을 이용한 교육 및 실무 사례 소개 3. 교육 현장에서의 3D 모델링과 3D프린팅 출력 활용 사례 소개 4. 3D프린터를 이용한 아이디어의 Prototype 실물화 5. 국내 3D프린팅 주요 업계 현황 노수황 (Soohwang Rho)대표이사메카피아 주식회사 ‘메카피아’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으며 주요 경력으로 공장자동화(FA)기계 및 자동차 엔진, 변속기 부품 제조 전용 설비와 공정 자동화 라인 설계를 주로 담당하였으며 수년간 설계사무소를 운영해 왔고, 지금은 인천 본점 외에 서울 가산디지털단지역 부근에 서울지점을 설치하여 ‘메카피아창도기술교육원’을 설립하고 운영 중에 있다. 특히 본 교육원은 오토데스크 공인교육센터(AATC)로서 오토데스크 제품의 실무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 오토데스크 MFG 총판 교육과 더불어 오토데스크 국제자격인증시험(ACP)을 실시하고 관리하는 ACC로 지정되어 활동하고 있다. [현재] ㈜메카피아 대표이사 도서출판 메카피아 발행인 메카피아창도기술교육원 원장 NCS국가직무능력개발위원 3D프린팅제품제작 분야 온라인 네이버 카페 메카피아 (http://cafe.naver.com/techmecha) 매니저 [발표자 주요 저서] AutoCAD 도면그리는법, 기계설계엔지니어데이터북, 3D프린터실무활용가이드북 Autodesk Inventor 2014 Basic for Engineer, Autodesk TinkerCAD+3D프린팅, Autodesk 123D Design과 3D프린팅, Autodesk Fusion360 입문편 외 다수 박보성 / 포스코 이명훈 / 대림산업 김종원 / 평화엔지니어링 마크 해머커 / 오토데스크 노수황 / 메카피아 Architecture, Revit Revit Civil 3D Stingray DTS, Revit AutoCAD, 3D Printer 상급 모든레벨 모든레벨 모든레벨 모든레벨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3D 데이터의 고급 시각화 방법(효성중공업 사례) 오후 3D 데이터의 고급 시각화 방법(효성중공업 사례) 김문수 / 주노티엔씨 3D 설계 Data 및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제조업, 디자인, Consumer 분야에 Vred 적용사례 발표.- 효성중공업 Vred 적용사례.-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 Vred 적용사례.- Consumer 분야의 Vred 적용사례.특징- 대용량 3D설계 Data를 활용한 빠른 가시화 및 동영상제작. 김문수 (Moonsu Kim)부장주노티엔씨 주노티엔씨(주)에서 Vred 컨설팅, 디자인,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고객사들과( 효성중공업, 포스코플렌텍, 에로와, 현대엘리베이터, Etc) Vred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 하였다. ’Digital Fabrication’, 문화, 교육부터 스타트업까지/스타트업을 위한 솔루션 - Fusion360 오후 ’Digital Fabrication’, 문화, 교육부터 스타트업까지/스타트업을 위한 솔루션 - Fusion360 김동현 (Donghyun Kim) / Fab lab, 김호철 / 비쥬얼데이타 ’Digital Fabrication’, 문화, 교육부터 스타트업까지 1. 3D Printer의 등장2. 제 3차 산업혁명의 시작, Prosumer3. Maker Movement 4. 디지털 제작장비를 통한 Fab Education5. Fab Lab을 통해 탄생한 스타트업 스타트업을 위한 솔루션 - Fusion360Fusion 360을 사용하면 컨셉 설정부터 제작까지 아우르는 통합된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자인 아이디어를 빠르고 쉽게 탐색할 수 있다. 이번 세션에는 Fusion 360을 통해 가능한 작업들을 알아본다. 김동현 (Donghyun Kim)팀장Fab lab 현재 TIDE Institute에서 책임연구원으로써, 기술기반의 제조 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13년 Fab Lab Seoul을 서울에 개소한 이후 현재까지 Fab Lab Seoul을 운영해오고 있다. MIT Fab Foundation에서 진행하는 Fab Academy를 수료하여, Fab Lab Instructor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전국에 있는 Maker Space들에 대한 운영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Maker Movement와 관련하여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진 사람들이 2일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협업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또 이를 3D 프린터를 비롯한 다양한 Digital Fabrication 장비와 Arduino로 대변되는 Physical Computing 툴들을 활용하여 제품을 만들어 내는 Make-A-Thon을 런칭하여, 운영해오고 있다. 김호철 (Hochul Kim)대리 비쥬얼데이타 현재 Autodesk MFG Application Engineer로 근무하고 있으며 AutoCAD, Inventor, Vault 제품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까지 3D CAD 교육, PDM 구축, 차세대 신형방독면 개발사업, 호이스트 장비 모델링 및 반도체 장비 3D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고객사의 3D 정착과 프로세스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있다. Inventor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관리 방안 오후 Inventor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관리 방안 차준호 / 오토데스크 국내 시장에서 설계 도면 및 관련 문서에 대한 데이터 관리는 PLM이라는 고정 관념이 많이 퍼져있고, 설계자와 실무자 그리고 현장 업무 담당의 입장에서는 많은 부분의 편의가 무시되고 간과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오토데스크 Vault는 이런 설계자와 문서 관리자 그리고 검토자 등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세션에서는 Inventor 기반의 설계자가 최소의 교육으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자동화 기능에 대하여 짧은 시간에 경험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차준호 (Junho Cha)부장 오토데스크 Application, 네트워크 및 보안 솔루션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 환경에서 On-premise와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관리 솔루션 경험을 가지고 Autodesk Vault 솔루션및 PLM360 제품을 담당하고 있다. Moldflow와 연계한 Fiber-filled Plastics 복합재 구조 해석 오후 Moldflow와 연계한 Fiber-filled Plastics 복합재 구조 해석 최재현 / 오토데스크 Moldflow software를 통한 사출 성형 해석에서 구조해석 software의 유한 요소 모델(FEA)로 Fiber Orientations과 material propeties를 Mapping하는 기능과 Fiber-filled material의 비선형 재료 거동을 Simulation할 수 있는 Helius PFA software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논의할 것이다. 최재현 (Jaehyun Choi)이사오토데스크 22년간 산업계 CAE분야에서 CAE 엔지니어, CAE 프로덕트 전문가, CAE 제품 영업,등을 통해 CAE 분야의 다양한 경험과 지식 보유CAE분야 외에도 CAD/CAM/PLM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으로 인해 거시적 관점의 CAE Process 이해경력 사항- LG전자 DA 연구소 CAE Engineer- SDRC CAD/CAE Pre-sales Engineer- MSC Software CAE Pre-sales 및 Sales- Siemens PLM CAE BD 및 Sales- 현 오토데스크 시뮬레이션 팀에서 근무 Autodesk CFD를 이용한 방열 냉각해석 오후 Autodesk CFD를 이용한 방열 냉각해석 박태상 / 코오롱베니트 방열 냉각 해석의 기본 이론과 Autodesk Simulation CFD를 활용한 방열냉각 해석 적용 방법 소개한다. 박태상 (Taesang Park)과장코오롱베니트 Autodesk MFG 총판 코오롱베니트 소속Autodesk Simulation CFD 제품 기술지원 담당자 3D Max를 활용한 이미지 렌더링 시스템: HMC e-Photo 오후 3D Max를 활용한 이미지 렌더링 시스템: HMC e-Photo 권정호 / 마케비전 코리아 3DS Max를 활용한 자동차 시각화 시스템 구축의 예를 소개하며, 이에 대한 현장의 활용 예를 살펴 본다. 권정호 (Jungho Kwon)부사장마케비전 코리아 마케비전코리아의 설립 멤버로 현재 마케비전코리아의 사업개발부문 부사장으로 재직중이다. 김문수 / 주노티엔씨 김동현 (Donghyun Kim) / Fab lab, 김호철 / 비쥬얼데이타 차준호 / 오토데스크 최재현 / 오토데스크 박태상 / 코오롱베니트 권정호 / 마케비전 코리아 VRED Fusion 360 Inventor, Vault Helius 3D Max 모든레벨 초급 중급 중급 초급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17:35 ~ 18:00 맺음말 & 경품추첨 13:20 ~ 14:30 Hands On Session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제조 - Fusion 360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구조해석 기반의 철골 설계 Advance Steel workflow based on analysis 오후 구조해석 기반의 철골 설계 Advance Steel workflow based on analysis 김영휘 / 오토데스크 Revit에서 모델링 한 데이터를 RSA(Robot Structural Analysis)와 Advance Steel에서 어떻게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상세설계 및 Shop drawing을 생성 하는지에 대해서 따라해 보도록 한다.[목표]1. BIM 모델링 데이터를 활용한 철골 연결부 설계방법2. 해석데이터 기반의 철골 연결부 설계 김영휘 (Younghwi Kim)차장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AEC 엔지니어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굴곡 머그컵 오후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굴곡 머그컵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Primitive (Cylinder, Turus, Sphere, Pipe, Coil)와 간단한 수정명령(Shell, Fillet)을 통하여 단순한 형태의 머그 컵이 아닌 굴곡이 있는 머그 컵을 만들어 본다. 이성훈 (Sunghoon Lee)전문강사(3D 모델링 & 3D 프린팅 Educator Expert)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 저서: 교보문고 E-book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Fusion 360)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123D Design)   -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 Printing   - Autodesk Fusion 360 설치가이드* 블로그: Blog.naver.com/3d7979 (14:00 ~ 16:00) Stingray를 이용한 인터렉티브한 자동차 디지털 쇼룸 제작하기 오후 (14:00 ~ 16:00) Stingray를 이용한 인터렉티브한 자동차 디지털 쇼룸 제작하기 박종태 / 오토데스크 최근에 출시한 Autodesk 게임엔진 Stingray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이용하여 간단 인터렉션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Stingray의 기본 설명과 3ds Max 2016에서 만든 자동차를 이용하여 차문을 여는 애니메이션과 효과음을 적용하고 카메라 애니메이션 등을 적용한 결과물을 만드는 기초 과정이다. 박종태 (Jongtae Park)오토데스크 박종태 차장은 2001년부터 게임 프로그래머로 아키에이지를 비롯한 각종 프로젝트에서 참가하여 클라이언트, UI, 서버, 엔진, 툴 개발 등 게임기술과 관련한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경력을 쌓았다. 풍부한 게임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인디 개발자 뿐 아니라 AAA급 개발사들에게도 훌륭한 조언자가 될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현재 오토데스크 코리아에서는 Technical Sales Specialist로 근무하며 다양한 미들웨어와 최신 게임엔진 Stingray에 관한 기술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김영휘 / 오토데스크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박종태 / 오토데스크 Advance Steel, Revit, Robot Structural Analysis Stingray 모든레벨 모든레벨 14:30~14:45 휴식 14:45 ~ 15:55 빌딩 퍼포먼스 어낼리시스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오후 빌딩 퍼포먼스 어낼리시스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이성우 / 오토데스크 이성우 (Sungwoo Lee)이사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AEC 엔지니어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화병 오후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화병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Primitive 기능과, Sketch, Loft, Pattern, Move 등 다양한 기능을 배우고 활용하며 또한 쉽게 수정 가능한 형태의 화병을 만들어 본다. 이성훈 (Sunghoon Lee)전문강사(3D 모델링 & 3D 프린팅 Educator Expert)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 저서: 교보문고 E-book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Fusion 360)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123D Design)   -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 Printing   - Autodesk Fusion 360 설치가이드* 블로그: Blog.naver.com/3d7979 이성우 / 오토데스크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Revit 15:55~16:10 휴식 16:10 ~ 17:20 BIM기반의 입체교차로 설계 방법론 Road Interchange Design Methodology 오후 BIM기반의 입체교차로 설계 방법론 Road Interchange Design Methodology 김덕진 / 키미데이타 BIM 기반의 입체교차로 모델링 방법론에 대해서 소개 토목 설계에 특화된 AutoCAD Civil 3D 를 활용하여 입체교차로를 모델링하는 방법의 전반적인 개요를 소개하며, 트럼펫 교차로 노즈부 모델링 방법에 대해서는 직접 솔루션을 다루어보도록 한다.[목표]1. BIM 기반의 입체교차로 설계 방법론 일반 개요2. 노즈부 코리더 모델링 방법론 개요 김덕진 (Duckjin Kim)과장키미데이타 - 평화엔지니어링 도로부 및 동부엔지니어링 도로부: 10년간 설계업무를 수행- 키미데이타 IT 사업본부 AEC/ENI팀에서 토목분야 BIM엔지니어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연필꽂이 오후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연필꽂이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Sculpt(T-Spline) 모델링을 기능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형태와 기존의 솔리드 모델링 방식을 결합한 연필꽂이를 만들어 본다. 이성훈 (Sunghoon Lee)전문강사(3D 모델링 & 3D 프린팅 Educator Expert)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 저서: 교보문고 E-book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Fusion 360)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123D Design)   -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 Printing   - Autodesk Fusion 360 설치가이드* 블로그: Blog.naver.com/3d7979 김덕진 / 키미데이타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Civil 3D 핸즈온 세션(제조-Fusion 360)에 참석하시는 분들께서는 프로그램 시연을 위한 Autodesk 계정이 필요합니다.없으신 분들은 신속한 진행을 위해 아래 링크를 이용하여 계정을 미리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계정생성 바로가기 AU KOREA 2015 서브스크립션 라운지 오토데스크 서브스크립션 고객만을 위한 특별한 라운지가 제공됩니다.서브스크립션 라운지에 오시면 다양한 혜택이 오토데스크 Subscriber분들을 기다리고 있을 예정입니다. 무료 wifi 사용 무료 커피, 차, 음료수 제공 쿠키 및 간단한 간식 거리 제공 Refreshing을 위한 공간과 서비스 기타 다양한 혜택 Subscriber 를 위한 특별 강연 세션 Time(Nov 13) Session Detail 9:00~12:20 라운지 오픈 및 운영 - Coffee, tea, beverage, cookies 제공- 휴식 공간- 무료 인터넷 12:20~13:40 서브스크립션 고객 상담 운영 - 라이선스 구매 이력, 관리 방법, 비즈니스 모델 전환, 기술 지원 등에 대한 컨설팅- 상담 고객에 무료 타로점 서비스 14:00~16:00 서브스크립션 세션 14:00~14:40 클라우드 환경 전환에 따른 소프트웨어 시장 현황 및 전망- 양희동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발표자료 다운로드 14:50~15:10 다양한 Subscription 혜택으로 누리는 Smart Factory의 시작- 박정택 과장/ 현대제철 비공개 15:20~16:00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싱 모델- 천두현 라이선스 담당관, 마이크로소프트 코리아 발표자료 다운로드 16:00~18:00 서브스크립션 고객 상담 운영 - 라이선스 구매 이력, 관리 방법, 비즈니스 모델 전환, 기술 지원 등에 대한 컨설팅- 상담 고객에 무료 타로점 서비스 * 상기 일정 및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16-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