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특허"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84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입주기업의 성장·지원 위한 창업보육센터 개관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창업보육센터’를 가산디지털단지역 인근 가산테라타워 13층에 개관한다고 밝혔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창업보육센터는 입주기업 규모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보육실(2인실, 3인실, 4인실, 6인실 등)을 보유하고 있고, 온라인 회의가 가능한 소회의실부터 40인석 규모의 대회의실, 최대 40명이 입실할 수 있는 교육장까지 갖췄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비즈니스에 필요한 인프라를 모두 갖춘 올인원 업무 공간으로, 단순 공간 지원 뿐만 아니라 입주기업의 성장을 위한 보육 지원 혜택과 협회의 회원사로서 누릴 수 있는 혜택까지 전방위적 지원을 함께 한다”고 소개했다.  24시간·365일 개방된 업무 공간은 사무가구 및 OA 시설을 제공하고 관리비를 무상 지원한다. 개별 냉·난방 시스템 에어컨 및 흡·배기 시스템을 설치했다. 보육 지원과 관련해서는 우수 초기 창업기업 투자 지원, 노무·세무·법률·특허·BM 등 전문가 1:1 멘토링, 우수 기업 VC 연계 및 TIPS 연계 지원, 스타트업 IR 대회 지원 등이 이뤄진다. 또한, 협회는 산업기술 동향 및 최신 R&D 정보를 제공하고, 입주사 대상으로 국내외 전시 및 콘퍼런스 할인, 홍보·마케팅 지원, 입주사 간 네트워킹 지원 등을 할 예정이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이상진 본부장은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금천 G-밸리 지역에서 기업의 사무 공간 제공뿐만 아니라 기업 성장의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기업 창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며, 산업지능화 생태계 조성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창업보육센터는 오는 12월까지 보육료 할인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작성일 : 2025-08-27
델, RTX 프로 블랙웰 탑재한 ‘델 프로 맥스’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신제품 공개
델 테크놀로지스가 AI 워크로드에서 높은 성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진 ‘델 프로 맥스(Dell Pro Max)’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신제품 6종을 공개했다. 올초 델은 새로운 통합 브랜딩 전략 하에 고성능 워크스테이션 제품군을 ‘델 프로 맥스(Dell Pro Max)’ 포트폴리오로 통합했다. 기존 브랜드인 ‘델 프리시전(Dell Precision)’을 계승한 델 프로 맥스는 엔비디아 RTX 프로 블랙웰 GPU(NVIDIA RTX PRO Blackwell Generation GPU) 기반의 높은 성능과 휴대성, 델 프로(Dell Pro)의 디자인을 적용한 통일감 있고 프로페셔널한 외관을 갖춰 AI 전문가, 개발자, 그래픽 디자이너, 엔지니어 등 전문 사용자의 효율과 만족도를 높인다. 이번에 발표한 신제품은 ▲강력한 성능과 휴대성, 디자인을 겸비한 최고급 모델인 델 프로 맥스 14∙16 프리미엄 ▲넓은 화면에 데스크톱 성능을 제공하는 메인스트림급 모델인 델 프로 맥스 16∙18 플러스 ▲가벼운 워크로드를 위한 엔트리급 모델인 델 프로 맥스 14∙16 등 총 6종이다.      디자인에 중점을 둔 최고급형 모델인 ‘델 프로 맥스 14 프리미엄(Dell Pro Max 14 Premium)’과 ‘델 프로 맥스 16 프리미엄(Dell Pro Max 16 Premium)’은 휴대성과 감각적인 디자인, 높은 성능의 조화를 추구했다. CNC 알루미늄을 적용해 슬림하고 견고한 폼팩터를 완성했고, 키캡 사이 간격을 최소화한 제로 래티스 키보드를 적용해 세련된 느낌을 더했다. 엔비디아 RTX 프로 3000 블랙웰 GPU와 인텔 코어 울트라 9 285H 프로세서(45W)를 탑재해 이전 세대 대비 각각 19%, 23% 높은 그래픽 성능을 구현하여 영상 편집이나 데이터 분석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베사(VESA) DisplayHDR 트루블랙 1000 인증을 획득하고 4K 탠덤 OLED 디스플레이를 옵션으로 제공해 어두운 색상을 한 층 깊게 구현하는 등 크리에이티브 또는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에 필요한 전문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복잡하거나 데이터 집약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데스크톱 수준의 성능을 제공하는 ‘델 프로 맥스 16 플러스(Dell Pro Max 16 Plus)’와 ‘델 프로 맥스 18 플러스(Dell Pro Max 18 Plus)’는 각각 16, 18형의 넓은 화면 공간에서 멀티태스킹, 창의적 디자인, 심층 분석 워크로드 등을 넉넉히 지원한다. 엔비디아 RTX 프로 5000 블랙웰 GPU 및 인텔 코어 울트라 9 285HX 프로세서(55W)를 탑재하고, 최대 256GB의 메모리 및 16TB까지 확장할 수 있는 듀얼 스토리지를 갖췄다. 이 제품들은 이전 세대 대비 각각 53%, 44% 높은 그래픽 성능을 구현하여 AI 모델링 및 훈련부터 복잡한 시뮬레이션, 대규모 데이터 분석까지 컴퓨팅 집약적인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델 프로 맥스 플러스 제품군은 새롭게 특허 받은 방열 설계 방식을 통해 고집약적 워크로드를 실행할 때도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전체 성능을 최대 36%까지 향상시킨다. 또한, 점점 더 복잡해지는 워크로드에 대비해 CAMM2 메모리를 새로 탑재했다. 비교적 가볍고 일상적인 워크로드에 초점을 맞춘 ‘델 프로 맥스 14(Dell Pro Max 14)’와 ‘델 프로 맥스 16(Dell Pro Max 16)’은 최대 QHD+ 해상도와 16:10 화면비를 지원하는 14, 16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인텔 또는 AMD 프로세서를 선택할 수 있으며, AMD 라이젠 AI 프로세서를 탑재한 제품은 델 프로 맥스 라인업 중 50 TOPS 이상의 단독 NPU 연산 성능을 구현한 최초의 코파일럿 플러스(Copilot+) PC다. 인텔 프로세서 기반의 제품은 최대 인텔 코어 울트라 9 285H 프로세서와 엔비디아 RTX 프로 2000 블랙웰 외장 GPU를 탑재해 이전 세대 대비 각각 36%, 33% 더 강력한 성능을 구현한다. 각각 최대 18시간, 20시간의 긴 배터리 수명을 제공해 전원에 연결하지 않고 디자인 애플리케이션 실행, 대규모 엑셀 파일 처리, 2D/3D 모델 생성 등의 멀티태스킹을 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들은 기업용 PC를 위한 강력한 보안 기능을 갖춰 로컬 디바이스에서 구동하는 AI 워크로드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또한 델 고유의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반영해 재생 플라스틱(PCR), 바이오 플라스틱(bio-based plastic), 재활용∙저탄소 알루미늄 등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분리 가능한 모듈형 USB-C 포트를 탑재하여 내구성과 수리용이성을 높였다. 특히, 델 프로 맥스 플러스 제품의 경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부품을 교체할 수 있도록 제품 밑면을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김경진 총괄사장은 “델 프로 맥스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은 강력한 성능, 휴대성, 최첨단 디자인은 물론, 고급 보안과 관리 기능까지 갖춘 최상의 커머셜 AI PC이다. 델은 세계 1위 워크스테이션 제조업체로서 확보한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독보적이고 차별화된 설계와 디자인을 제공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파워 유저, 엔지니어, 크리에이터 및 AI 개발자들은 델 프로 맥스를 통해 가장 까다로운 AI 워크플로를 원활히 처리할 뿐만 아니라, 한 차원 높은 성능과 창의성을 새롭게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7-24
디지털 트윈 플랫폼, mago3D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디지털 트윈 플랫폼, mago3D   개발 및 자료 제공 : 가이아쓰리디, 042-330-0400, www.gaia3d.com   2000년에 설립한 가이아쓰리디는 전통적인 3차원 공간정보(3D GIS)를 기반으로 우주, 위성, 기상분야까지 적용분야를 확장해 온 공간정보기술 전문 소프트웨어 회사이다. mago3D(마고쓰리디)는 2023년 국토교통부와 조달청의 심의를 통과하여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되었고, 총 8건의 국내외 특허가 등록되어 있다.   1. 주요 특징 mago3D는 대용량 3차원 데이터(BIM/AEC/GIS)를 독자적인 경량화 알고리즘으로 자동변환하여 웹에서 빠르게 가시화하고, 각종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연동하여 모니터링한다. 웹 기반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으로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누구나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기기로 접근하여 단순한 객체 On/Off 에서부터 바람장이나 열섬현상, 오폐수/기름/화학물질 유출, 대기질 변화 등과 같이 현실에서 시각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각종 현상까지도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2. 주요 기능 mago3D은 mago3D CMS를 중심으로 2D/3D데이터 변환과 관리, 시뮬레이션 관리, 대시보드와 환경설정, 사용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3DTiler 와3DTerrainer로 구성된 mago3D Converter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웹서비스에 최적화된 데이터로 자동 변환하고, mago3D JS는 순수 웹 브라우저 기술 html, css, javascript만을 이용하여 3D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3차원 가상공간에서 입체적으로 표시한다. 3. 도입 효과 mago3D는 기본에 충실하다. 다양한 3차원 데이터를 웹 가시화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빠르게 가시화하고, IoT 센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현실과 결합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며, 3차원 시각화, 각종 시뮬레이션, 머신러닝(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실 문제에 대한 최적의 답을 찾아낸다.   4. 주요 고객 사이트 국토교통부, 환경부, 서울특별시, 전라남도, 울주군,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등 정부부처 및 지자체, 산학연의 많은 고객과 협력하고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7-02
슈나이더 일렉트릭, 스마트한 산업 환경 위한 지속 가능한 모터 보호 설루션 제시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산업 현장의 에너지 효율과 운영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모터 보호 설루션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운영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산업 현장에서 모터는 생산 라인, 냉난방 시스템, 물류 장비 등 핵심 설비의 동력을 공급하는 주요 장치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전체 공정의 중단과 막대한 비용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모터 보호는 운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설비 수명을 연장하며, 에너지 관리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대응해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자사의 대표 모터 관리 설루션인 ‘테시스(TeSys)’ 제품군 중 하나로 ‘테시스 데카 어드밴스드(TeSys Deca Advanced)’를 선보이고 있다. 이 설루션은 단순한 보호를 넘어, 지속 가능성과 고효율, 내구성, 유지보수 간소화 등 산업 전반의 핵심 가치를 통합하여 모터 보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에코 최적화 컨택터 플랫폼(Eco-optimized Contactor Platform)’을 기반으로 설계된 테시스 데카 어드밴스드는 9A부터 150A AC3(e), 최대 200A AC1의 전류를 지원하며, 3극(3 pole) 및 4극(4 pole) 버전으로 제공되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전자식 광대역 코일(Electronic Wide-Range Coil)을 탑재하여 제품 수명 동안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며, 고부하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안정적인 전기 성능을 제공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제품 설계 측면에서도 지속 가능성을 고려했다. 친환경 구조로 설계되어 제품의 범위 3(Scope 3)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69%까지 저감할 수 있으며, 고온·고습·진동 등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시험을 통해 내구성을 확보했다. 특허 기술인 에버링크(EverLink) 터미널은 장기간 사용에도 안정적인 배선 품질을 보장한다.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도 강점을 지닌다. 자체 소비 전력을 최대 80%까지 절감할 수 있어 상업용 건물 기준 최대 48만 kWh의 전력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면 배선 구조를 채택해 설치 편의성과 유지보수 효율도 높였다. 광대역 코일 통합을 통해 제품 가지수를 최대 80% 줄여 재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PLC 직접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도 산업 고객들에게 이점이 될 수 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테시스 데카 어드밴스드가 높은 호환성과 유연성으로 데이터 센터, HVAC, 전력 배전, 제조업, 물류 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에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IoT 기반 디지털 플랫폼인 ‘에코스트럭처(EcoStruxure)’와 연동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 예지 보전, 에너지 분석 등의 고도화된 스마트 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와 ESG 경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선택지로 주목받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파워 프로덕트 사업부의 오정훈 매니저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테시스 데카 어드밴스드는 단순한 전기 보호 기능을 넘어, 지속 가능한 스마트 산업 환경 구축을 위한 통합 설루션”이라며, “앞으로도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고효율, 고신뢰성, 디지털 기반의 전력 설루션을 통해 고객의 경쟁력 강화와 ESG 경영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5-28
[칼럼] 대한민국 산업의 미래와 산업데이터 인프라
산업데이터 스페이스와 제조업의 미래   우리나라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산업데이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산업데이터 활용 잠재력은 매우 크다. 국내에는 이미 다양한 산업분야의 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어 운영 중이다. 산업데이터의 잠재력을 성장 동력으로 연결하려면 공공기관과 기업 내부에 쌓여 있는 방대한 데이터를 끄집어내고 기관 간에 데이터의 공유와 연계를 이루는 데이터인프라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미지 출처 : 123RF) 기업은 물론 한 국가의 산업경쟁력도 디지털 전환(DX)을 빼놓고는 얘기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디지털 전환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을 모든 사업영역에 적용함으로써 조직문화, 비즈니스 모델과 프로세스 등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켜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일련의 경제활동들이 지능화되고 효율화되고 있다.  보스톤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디지털 선도기업들은 디지털 후발기업들에 비해 수익성장률(earnings growth)이 1.8배 더 높고 총 기업가치(total enterprise value) 성장률은 2배 이상이라고 한다. 또한, 세계적 시장조사기관인 Statista에 따르면 전세계 디지털전환기업의 생산액은 2018년 13.5조 달러에서 2023년 53.3조 달러로 증가하면서 전세계 GDP의 절반을 넘어섰다. 한편, 디지털기업은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 2008년 전세계 시가총액 10대 기업의 절반은 CNPC, 엑손모빌 등과 같은 에너지기업이었으나 지금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구글), 테슬라, 엔비디아, 메타(페이스북) 등 7개의 디지털기업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데이터의 90%는 산업데이터이나 60∼80%가 활용되지 못하고 사장 디지털 전환의 중심에는 데이터가 자리잡고 있다. 디지털기술을 적용하여 분산된 데이터를 가치 있게 변환시키는 것이 디지털 전환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기업내부에 쌓여 있는 경험과 노하우를 데이터화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면 비즈니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낼 수 있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은 방대한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고유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플랫폼 이용자들의 거래방식, 소비패턴 등의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고객의 요구를 확인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기회를 찾아가며 물류, 금융, 헬스케어, 클라우딩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왔다. 데이터는 크게 개인정보데이터와 산업데이터로 구분해볼 수 있다. 개인정보데이터는 개인의 취향, 동선, 사회관계, 소비행동 등으로 검색, SNS, 간편지불 등의 과정에서 생성된다.  GAFA(Google, Amazon, Facebook, Apple)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늘날 시가총액 기준 글로벌 10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한편, 산업데이터는 제품개발, 생산, 유통, 소비 등 산업활동 전과정에서 생성되며 전체 데이터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산업데이터는 연구개발(R&D)에서 생산, 유통‧마케팅에 이르는 모든 밸류체인에서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산업을 만드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산업데이터는 활용도가 높지 않으며 산업데이터 분야에 GAFA와 같은 지배적 사업자도 나타나고 있지 않다.  시장조사기관인 forrester research에 따르면 기업내 축적된 데이터중 60∼73%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EU 집행위원회도 산업데이터의 80%가 전혀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한다. 산업 데이터가 기업의 영업비밀을 포함하고 있는 데다, 각 기업 간의 데이터 형식과 호환성이 없어 데이터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보면 그 만큼 성장잠재력은 크다. 2022년 EU 집행위원회에 따르면 데이터법(Data Act)으로 산업데이터 활용이 제도적으로 보완되면 2028년까지 2,700억 유로(407조원)의 추가 GDP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미국과 중국이 세계 데이터 과점, EU와 일본은 산업데이터에 주력 현재 세계 데이터시장은 개인정보를 중심으로 GAFA가 장악해가고 있다. 미국 정부는 GAFA 등 플랫폼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통상(Digital Trade)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2017년 미무역대표부(USTR)가 매년 발간하는 국별 무역장벽보고서에 별도의 디지털무역장벽분야가 새롭게 만들어진다. 2018년 11월 체결된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에는 처음으로 디지털통상 챕터가 신설되고 데이터이전 자유화, 데이터지역화 금지, 소스코드 공개금지 등의 규범이 담긴다. 2019년 10월에는 최초의 독자적인 국제조약이면서 USMCA보다 더욱 개방된 모습으로 미일간 디지털통상협정(USJDTA)이 체결되었다. 한편, 2019년부터 시작된 WTO 디지털통상협상 과정에서 미국은 모든 서비스에서 데이터이동 자유화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세계의 공장이자 14억 인구를 가진 중국에서는 전세계 데이터의 1/4 이상이 생성되고 있으며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이 중국내 데이터시장을 주도해 가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9년 데이터를 토지, 노동, 자본, 기술과 함께 새로운 국가 생산요소로 규정하고 데이터 활용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지난 2023년 10월에는 데이터의 유통과 개인정보, 보안 등을 위해 국가데이터국을 설치하여 데이터 통제를 강화한 바 있다. 여기에 네트워크안전법, 개인정보보호법, 데이터안전법 등 법률을 제정하여 자국내 데이터의 해외반출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EU는 미중 IT기업의 데이터 과점에 대응하고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데이터정책에 집중한다. 특히, 아마존, 구글 등 거대 미국 클라우드 기업으로부터 자신들의 기술 노하우를 지키고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EU는 2020년 EU 데이터전략을 발표하고 여기서 유럽 공통 데이터 스페이스(European Common Data Spaces)를 제시한다. 데이터 스페이스는 데이터들이 원래 있던 곳에 있으면서 필요할 때마다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가이아-X, 카테나-X, 매뉴팩처링-X 프로젝트 등이 추진되고 있다. 가이아-X는 각 산업 분야를 연결하는 가장 포괄적인 데이터 스페이스이고, 카테나-X는 가이아-X 중 자동차산업의 공급망간에 데이터를 교환·공유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일본은 세계 최고수준 로봇, 센서를 바탕으로 공장자동화 등의 제조현장에서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이에 애플이나 구글 등 미국 디지털기업의 개인정보데이터에는 못 따라가지만, 강력한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산업데이터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2016년 관민 데이터활용 기본법, 2017년 데이터 거래규정, 2018년 생산성향상 특별조치법 등의 제정을 추진하였으며, 지난해 4월 우라노스 에코시스템(Ouranos Ecosystem)을 출범시켜 산업계 전반에 데이터공유와 연계를 꾀하고 있다.  산업데이터의 공유와 활용을 늘리기 위한 인프라 구축 나서야 우리나라는 세계가 주목하는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1960∼1980년대 정부주도로 철강, 석유화학 등의 산업을 육성하고 1990∼2000년대 세계화와 중국성장을 수출 확대로 연결시켰다. 그러나 최근 대외적 여건을 보면 산업의 성장엔진은 식어가고 수년 내 수출 절벽이 현실화될 수도 있어 우려스럽다. 외적으로는 미중 패권경쟁 격화, 선진국의 산업정책 부활, 보호무역 확산 등으로 글로벌가치사슬(GVC)이 급속하게 파편화, 블럭화되면서 우리의 미래 먹거리와 수출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은 첨단산업에서 자급률을 높이고 있고,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들도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산업 육성에 열을 올리면서 우리산업이 설자리를 점점 좁혀오고 있다. 대내적으로도 활로가 보이지 않는다. 지난 20년간 주력 수출품목의 변화가 없는 등 산업 역동성이 사라지고 있다. OECD 최하위 출산율과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학생들은 공대를 포기하고 의대로 진로를 바꾸고 있다. 심각한 데이터 규제로 인공지능, 메타버스와 같은 미래 새로운 산업의 발전 기반도 취약한 상태다. 국제경영개발원(IMD)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순위는 26위로 한참 뒤져 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산업데이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산업데이터 활용 잠재력은 매우 크다. 반도체‧조선 세계 1위, 석유화학‧철강‧로봇 세계 5위, 자동차 세계 7위의 세계적인 제조기반에 5G 등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디지털 기술을 제조업에 접목하기가 수월하다. 연구개발-조달-생산-유통-소비에 이르는 가치사슬(Value chain) 전반에 디지털 전환(DX)을 확산시키면 디지털 제조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의료기술과 정보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데이터, 개인정보에 대한 과감한 규제완화가 이루어진다면 원격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제2의 반도체신화를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여기에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에 혁신역량을 집중한다면 스마트제조, 스마트팜과 같은 새로운 혁신서비스가 수출의 중심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국내에는 이미 다양한 산업분야의 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어 운영 중이다 그러나 플랫폼 참여자는 개인정보, 영업비밀 보호 등 데이터 공유나 거래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부담으로 양질의 데이터 제공에 소극적일 뿐 아니라 표준화, 상호운용성 등 데이터 공유·활용을 위한 토대도 부족한 실정하다. 데이터는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서로 다른 데이터가 융합될수록 더욱 큰 가치를 창출하는 네트워크 효과가 있다. 산업데이터의 잠재력을 성장 동력으로 연결하려면 공공기관과 기업 내부에 쌓여 있는 방대한 데이터를 끄집어내고 기관 간에 데이터의 공유와 연계를 이루는 데이터인프라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그리고 구축된 인프라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수익을 창출하고 창출된 수익이 모든 참여자에게 돌아갈 수 있고 참여자들이 안전하게 데이터를 공유·거래할 수 있으며 개방적이고 투명한 표준방식으로 데이터가 연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미국과 중국이 거대 플랫폼 기업을 앞세워 세계 데이터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EU는 2014년부터 산업데이터를 중심으로 공유와 연계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있으며 일본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2년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이 제정되고서야 산업데이터 활용기반 구축이 본격화된다. 이 법에 따라 지난 2023년 1월 제1차 산업디지털전환 종합계획이 수립되었고 산업전반에 인공지능(AI)을 내재화시키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에 비해 많이 뒤져 있다. 산업데이터의 공유·활용을 위한 프로젝트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산업이 한층 더 도약하고, GAFA를 뛰어 넘는 산업데이터 거인이 우리나라에서 탄생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김용래 교수 경희대학교 첨단기술비즈니스학과 전 특허정장  
작성일 : 2025-05-13
첨단소재 RnD 발전전략
첨단소재 R&D 발전전략   1. 제안이유 ㅇ 최근 글로벌 기술패권, 탄소중립 등으로 기술 중심의 공급망 선점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인 첨단소재 기술 확보 중요 ㅇ 이에, 소재분야 R&D 혁신을 통해, 우리 산업의 초격차를 견인할 「첨단소재 R&D 발전전략」을 수립․시행하고자 함 2. 주요내용 Ⅰ. 현황 및 진단 □ (해외 현황) 미국 등 주요국은 첨단 산업 분야에 있어서 핵심 공급망을 선점하는 기술 블록화 추세가 심화 ⇒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 ※ (美)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 및 13개 AI 반도체 중국기업 추가 확대 조치(’23.10) (EU) 중국산 배터리 전기차에 대해 최대 38.1% 상계관세 부과 추진(’24.6) ㅇ 특히, 주요 산업의 임계점 돌파수단으로 소재 기술 혁신이 가속화 □ (국내 현황) 일본 수출규제(’19) 이후, 소재분야 R&D 투자를 강화하여 국산화 등의 성과*가 있었으나, 첨단소재 분야의 기술수준은 다소 저조** * 소재R&D 1.8조원(‘19~’23), 논문 4,037건(mmIF 80.48), 특허등록 571건, 기술계약 272억원 ** 기술수준 : 미국 100%, 일본 88%, 중국 87%, 한국 84% (전문가 델파이 조사, ’24.10월)   목차  Ⅰ. 추진 배경 ····················································· 1 Ⅱ. 국내외 현황 ··············································· 2 Ⅲ. 첨단소재 R&D 발전전략 ···························· 8 1. 글로벌 공급망 확보를 위한 소재 R&D 고도화 ··· 9 2. 첨단소재의 기술 성장 지원 강화 ···························· 14 3. 첨단 연구 지원을 위한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 19 Ⅳ. 향후 추진일정 ··········································· 22 [참고1] 100대 첨단소재 목록 ·································· 23 [참고2] 100대 미래소재 목록 ·································· 26     제작일 : 2024. 12. 18. 페이지 : 30페이지
작성일 : 2025-04-11
IBM, 엔터프라이즈급 AI 기술 탑재한 IBM z17 메인프레임 공개
IBM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시스템 운영 전반에 걸쳐 AI 기술을 탑재한 차세대 메인프레임 IBM z17을 공개했다. IBM 텔럼 II 프로세서(IBM Telum Processor)를 기반으로 하는 IBM z17은 거래 기반 AI(transactional AI) 기능을 넘어 새로운 워크로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 기능을 확장했다. IBM z17은 이전 제품인 z16 대비 하루 50% 더 많은 AI 추론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등 기업이 혁신을 추진하고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BM z17은 대출 리스크 완화, 챗봇 서비스 관리, 의료 이미지 분석 지원, 상거래 범죄 방지 등 250개 이상의 광범위한 AI 활용 사례로 산업 전반에 걸쳐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도록 설계되었다. IBM z17은 미국 특허청에 출원한 300개 이상의 특허를 포함한 5년간의 설계 및 개발의 결과물이다. 100여 개 이상의 고객사가 직접 제시한 의견을 반영한 것은 물론, IBM 리서치 및 소프트웨어 팀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설계된 이 새로운 시스템은 다중 모델 AI 기능, 데이터 보호를 위한 새로운 보안 기능, 시스템 사용성 및 관리 개선을 위한 AI 툴을 도입했다.     z17에 탑재된 AI 추론 기능은 향상된 주파수, 컴퓨팅 용량, 캐시 40% 증가, 하루에 4500억 건 이상의 추론 작업과 1ms의 응답 시간을 지원하는 IBM 텔럼 II 프로세서에 내장된 2세대 온칩 AI 가속기에 의해 구동된다. 2025년 4분기에 PCIe 카드를 통해 출시될 예정인 IBM 스파이어 액셀러레이터(IBM Spyre Accelerator)는 텔럼 II 프로세서를 보완하는 추가적인 AI 컴퓨팅 성능을 제공한다. 두 제품은 다중 모델 방식의 AI를 지원하기 위한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한다. 스파이어 액셀러레이터는 시스템에 포함된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를 활용해 어시스턴트를 실행하는 등 메인프레임에 생성형 AI 기능을 제공하도록 특별히 설계됐다. IBM z17은 2025년 6월 18일, IBM 스파이어 액셀러레이터는 2025년 4분기에 출시될 예정이다. z17은 개발자와 IT 운영자의 기술과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IBM 왓슨x 코드 어시스턴트 포 Z(IBM watsonx Code Assistant for Z)와 IBM 왓슨x 어시스턴트 포 Z(IBM watsonx Assistant for Z)를 포함한 AI 어시스턴트와 AI 에이전트를 활용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한편, IBM 왓슨x 어시스턴트 포 Z는 실시간 시스템 데이터를 사용해 최초로 AI 채팅 기반 사고 감지 및 해결 기능을 제공하는 Z 오퍼레이션 유나이트(Operations Unite)와 통합될 예정이다. 한국IBM의 류정훈 Z/리눅스원 사업총괄 상무는 “IBM 메인프레임은 전 세계 금융 거래의 70%를 처리하고 있다”면서, “최근 기업들이 AI 활용에 큰 관심을 보이는 만큼, AI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z17을 통해 보다 많은 업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4-10
다쏘시스템, ‘3D UNIV+RSES’ 및 AI 기반 서비스 공개
다쏘시스템이 자사의 고객을 위한 글로벌 IP 수명주기 관리(IPLM)의 핵심에 여러 생성형 AI 기술을 내장한 ‘3D UNIV+RSES’를 공개하면서, 생성형 경제(generative economy)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쏘시스템은 “미래의 게임 체인저는 최고의 지식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살아있는 세계로부터 영감을 받아 소비가 아닌 생성의 관점에서 지구에서 받은 만큼 다시 돌려주는 이들이 될 것이며 이것이 바로 다쏘시스템이 강조하는 ‘생성형 경제’다. 경험 경제와 순환 경제의 융합으로 탄생한 생성형 경제는 차별화를 위한 핵심 요소인 지식재산(IP)이 하나의 화폐 역할을 하는 가상 자산의 경제”라고 소개했다.  생성형 경제는 3D UNIV+RSES를 통해 촉진되고 활성화될 것이며, AI가 제공하는 학습 가능성을 바탕으로 가속화된다. 3D UNIV+RSES는 세계를 표현하는 새로운 차원의 방식으로, 모델링, 시뮬레이션, 실제 데이터, AI 생성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가상-현실 융합 표현을 의미한다. 이는 버추얼 트윈을 결합 및 교차 시뮬레이션하고 멀티 AI 엔진을 훈련하는 동시에, 고객의 지식재산을 보호하는 독특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계속해서 진화하는 3D UNIV+RSES의 아키텍처를 통해 고객은 새로운 공간인 최고의 디지털 환경에서 3D 디자인, 버추얼 트윈 및 PLM 데이터의 풍부한 고품질 특허를 활용해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형 시스템(XaaS, Experience as a Service)을 교육할 수 있다. 이 서비스형 시스템에는 생성형 AI 기반 경험(GenXp), 버추얼 동반자(Virtual Companions), 지능형 서비스형 버추얼 트윈(VTaaS, intelligent Virtual Twin Experience as a Service)이 포함된다. 다쏘시스템의 ‘파워바이AI(POWER'byAI)’ 접근 방식과 산업별 멀티 AI 플랫폼인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제조), 메디데이터(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센트릭(소비재 및 식품)은 고객이 높은 수준의 보안 환경에서 자사의 지식과 노하우를 빠르게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3D UNIV+RSES는 다쏘시스템이 지난 44년 동안 선보인 세계 표현 방식의 7세대에 해당한다. 이 새로운 세대는 새로운 방식으로 상상하고, 창조하고, 생산하는 길을 열었다. 오늘날 제조 산업 및 인프라·도시 분야에서 비행기, 자동차, 기계, 로봇, 첨단 기술 및 의료 장비를 개발하는 최첨단 기업들은 다쏘시스템의 고도화된 버추얼 트윈을 사용해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 성능, 안전을 보장하고 규정 및 표준을 준수한다. 다쏘시스템은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가들을 위해 동일한 접근 방식을 개발하여 세포에서 장기, 환자에 이르기까지 ‘살아있는 세계’의 버추얼 트윈을 개척해왔다. 다쏘시스템의 3D UNIV+RSES를 통해 고객은 모든 사람을 위한 모든 것의 버추얼 트윈을 생성하고 전체 생태계를 가상화할 수 있다. 3D UNIV+RSES의 핵심은 경험이며, 모션, 변형, 시간을 통합한 실험 환경으로 작동한다. 아울러 임베디드 AI 기술은 판도를 바꾸는 생성형 경험을 창출하고, 버추얼 동반자를 통해 인간의 역량을 강화하며, 미래의 인력을 향상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한다.   다쏘시스템의 버나드 샬레(Bernard Charlès) 회장은 “오랜 기간 다쏘시스템을 신뢰해 온 모든 고객들은 우리가 가상 자산이라는 ‘금광’을 보호하고, 보이지 않는 것을 밝혀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가장 가치 있는 지식재산을 생성하고 보호하기 위해서는 제품, 자연, 삶이 조화를 이루는 모든 것을 위한 버추얼 트윈 경험을 만드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다쏘시스템은 인류의 발전과 상호 이익을 위해 지식과 노하우의 궁극적인 원천인 3D UNIV+RSES를 제공함으로써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쏘시스템의 파스칼 달로즈(Pascal Daloz) CEO는 “지난 3년 동안 버나드 샬레 회장과 다쏘시스템의 전략 및 R&D 팀이 수행한 연구는 매우 인상적이었다”면서, “우리는 생성형 AI의 심층적이고 광범위한 채택을 기반으로 획기적인 설루션을 정의하고 개발하기 위해 수행한 광범위한 작업을 진행해왔다. 이를 통해 모든 분야의 고객들이 제품과 서비스 수명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AI 시대를 활용해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소비자, 환자, 시민의 일상 생활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2-10
[에디토리얼] 트럼프 2기 시작, IT 업계의 지각 변동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재선되면서 '트럼프 2.0 시대'가 열렸다. 이로 인해 보호무역주의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며, 글로벌 경제와 지정학적 질서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정치적 불안 속에서 국제 질서 변화라는 이중의 불확실성(double uncertainty)에 직면하게 됐다. 트럼프 1기 때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웠던 그는 이번에도 기술 보호주의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반도체, AI, 자율주행, 5G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대대적인 규제와 지원책을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정부는 미국 내 첨단 기술·인재 유치를 위한 세제 혜택을 확대하고, 해외 기업의 대미 투자 유치를 독려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중국 및 비미국권 국가에서 생산된 부품과 시스템에 대한 규제는 더욱 엄격해질 전망이다. ‘Made in America’ 정책이 구체화되면, 글로벌 기업들은 생산 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하거나 현지 조달 비중을 확대해야 하는 압박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제조업뿐 아니라 연구개발(R&D) 및 엔지니어링 전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1기 당시 법인세 인하 및 규제 완화로 미국 내 제조·엔지니어링 시설이 급증했으며, 2기에는 반도체·전기차 배터리·정밀 기계 분야가 핵심 산업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인프라 투자와 맞물려 자동화·로보틱스·AI와의 융합이 활발해지면서 미국 제조업의 스마트 공장 전환이 가속화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모든 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중심의 기술 생태계를 더욱 공고히 하려고 할 것이며, 이에 따라 미국 시장에 직접 진출하지 않는 기업들은 글로벌 기술 표준, 특허, 보안·품질 규제 대응에 대한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한국 IT 업계는 기존 제조 경쟁력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AI 분야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트럼프 2기 정책이 본격화될 경우,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기업들은 미국 투자를 확대해 ‘Made in America’ 정책의 혜택을 누리려 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주요 대기업들은 미국 현지 공장 설립과 R&D센터 운영을 추진 중이며, 이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유지·확대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기도 하다. 동시에, 한국은 미국과 중국 양국과 협력해야 하는 특수한 위치에 있다.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미국에서의 기술 협력을 균형 있게 조율해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한국 IT 기업들은 기술 내재화와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트럼프 2기 체제는 글로벌 IT 업계에 큰 변화를 몰고 올 전망이다.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핵심 기술을 내재화하는 한편, 글로벌 파트너십을 유연하게 활용하는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IT 업계 종사자들은 대외 정책 변화와 기술 트렌드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번 재편 과정을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   ■ 박경수 캐드앤그래픽스 기획사업부장으로, 캐드앤그래픽스가 주최 또는 주관하는 행사의 진행자 겸 사회자를 맡고 있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PLM/ DX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CAE 컨퍼런스’, ‘코리아 그래픽스’, ‘SIMTOS 컨퍼런스’ 등 다수의 콘퍼런스 기획에 참여했고, 행사의 전반적인 진행을 담당해 왔다. 또한 CNG TV 웨비나의 진행자 겸 사회자로, IT 분야에서 발로 뛰는 취재기자로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2-04
3D 프린팅 관련 업체 리스트
<3D 프린팅 가이드 V4> 에서는 3D 프린팅 관련 업체들을 소개한다. 주로 소개하는 업체들은 3D 프린터 판매업체를 비롯하여, 출력 서비스 업체, 교육업체, 관련 소프트웨어 판매 업체 및 소재 업체, 그리고 메이커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자료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으로 추가하고 싶거나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연락주기 바란다. (가나다순, cadgraphpr@gmail.com)   그래피 ■    문의 : 02-864-3056, www.itgraphy.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소재 개발 및 판매, 3D 프린터 판매 ■    취급 제품 : TeraHarz(소재), S-Plastic(소재), UNIZ(3D 프린 터), SprintRay(3D 프린터) 그래피는 3D 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4차 산업의 주요 핵심 신소재 및 의료 융합 기술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특수 소재에 적합한 고밀도 경화기를 개발 및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광경화성 수지의 핵심 원재료를 직접 합성하는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열변형 및 내수성, 내충 격성이 강한 다수의 특수 소재를 개발했다. 그 외 고객맞춤형 소재를 개발, 제조하고 있다. 산업 및 메디컬 분야 외에 덴탈 분야에서는 치과 용 교정장치를 직접 3D 프린팅할 수 있는 소재와 고강도 치관용 레진 을 개발하여 KFDA Class II, CE Class II, FDA 인증을 획득하였고, 해외 유수의 업체들과 파트너십이 진행되고 있는 유망벤처기업이다.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SOLIDWORKS) ■    문의 : 02-3270-8500, www.solidworks.co.kr ■    사업 분야 : 산업, 의료, 과학, 소비자, 교육, 기술 및 교통 ■    취급 제품 : 솔리드웍스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Dassault Systèmes SolidWorks Corp.)는 데이터를 작성, 시뮬레이션, 게시 및 관리할 수 있는 완전 한 3D 소프트웨어 도구를 제공한다. 솔리드웍스 제품은 쉽게 배우 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수한 제품을 보다 빠르고 비용 효 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솔리드웍스는 보다 많은 엔지니어, 설계 자 및 기타 기술 전문가들이 3D를 활용하여 자신의 설계를 현실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사용이 쉬운 제품을 제공하는 데 주력 하고 있다.   글룩(Gluck) ■    문의 : 070-8622-9696, www.glucklab.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서비스 및 의료 3D 프린팅 서비스 ■    취급 제품 : OMG 3D 프린터 한국 총판 글룩은 2013년부터 3D 프린팅 출력 서비스를 진행해오고 있고 건 축,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SLA 방식 3D 프린팅 출력 서비스를 주력으로 소량에서부터 대량 출력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다빈치3D프린터 ■    문의 : 070-8780-5295, www.davinci3d.co.kr ■    사업 분야 : 시제품 제작, 3D 프린터 판매, 3D 프린터 필라멘트 판 매, 3D 프린터 교육 ■    취급 제품 : 3D ENTER-CROSS 시리즈, 기타 DLP 다빈치3D프린터는 3D 프린터 출력 서비스 및 후가공 전문 업체이다.   대건테크 ■    문의 : 055-250-8000, www.dpert.co.kr ■    사업 분야 : 교육용 FDM 3D 프린터 제조 및 판매, 금속 3D 프린터 (PBF방식) 국내 제조 및 판매 , 출력서비스 ■    취급 제품 : PBF 방식 금속 3D 프린터(SLM 방식), dpert M135, dpert M200, dpert M270, dpert Mg80 대컨테크는 2018년 PBF 방식 금속 3D 프린터를 자체개발에 성공 한 후 제작 및 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 다양한 국채과제를 통해 금속 3D 프린터에 대한 기술특허 보 유 및 기술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또한 2019년 금속 3D 프린터 국내 기업 및 기관, 대학교에 판매를 진행했으며, 다양한 금속 파우더에 대한 출력 기술을 보유하고, 출력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2021년에는 대면적이 500ⅹ500ⅹ500mm 사이즈인 금속 3D 프린터를 출시할 예정이다.    대림화학 ■    문의 : 02-589-0400, www.dlchem.co.kr ■    사업 분야 : 디스플레이 소재, 특수 촉매, 에너지 소재, 3D 프린팅용 소재, 기능성 폴리머, 의약품 중간체 ■    취급 제품 : 3D 프린팅 소재(FFF용 filament, DLP용 resin, SLA용 resin), 고기능성 디스플레이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내마모 성 OPC용 폴리머, 이차전지 전해액원료, 석유화학 특수촉매, 특수 비 스페놀, 의약품중간체, Grignard reagent 등 1976년 창립된 대림화학은 창조경제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사업 비전 ‘대림화학 2.0’을 발표하고 글로벌 전자소재 전문기업으로서 디스 플레이, 특수화학, 에너지 소재, 3D 프린터용 소재 등 원천소재 분야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 프린 터의 핵심 소재를 자체 기술력으로 국산화해 생산 및 공급하고 있으며, 고굴절 LCD 광학 소재, 이차전지 첨가제, 석유화학용 특수촉매 등 친 환경을 지향한 화학소재 블루오션 제품군 발굴로 ‘글로벌 니치(Global Niche)’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차세대 산업 성장동력으로 꼽히며 전 세계적으로 주 목을 받고 있는 3D 프린터 소재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관련 산 업 소재 및 제품 기술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대림화학의 3D 프린팅 통합 브랜드인 ‘Electromer 3D’는 창조적 글로벌 스탠더드를 지향하며, 3D 프린팅의 저변을 확대하고 관련 기 술의 발전을 위해 정부, 학계, 산업계와 연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블에이엠 ■    문의 : 02-3489-3200, www.aamkorea.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및 유지보수, Applied Additive Manufacturing : 적층가공 기술 솔루션 및 응용 서비스 전문기업 ■    취급 제품 : 스트라타시스 FDM & Polyjet 장비 및 적용 애플리케 이션 출력 서비스 더블에이엠은 스트라타시스의 국내 공인 리셀러로, 스트라타시스의 산업용 전문 프린터를 다수 보유하고 국내 각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 는 3D 프린팅 시제품 제작 및 제조용 툴, 최종 사용 파트 제작을 전문 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국내 매뉴팩처링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적층가공 기술의 응용에 대한 고객 지원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더블에이 엠에서 판매하는 적층가공 기술 적용 브랜드는 AMFit, MIFit, MediFit, SurgiFit 등이 있다.   드림티엔에스 ■    문의 : 031-713-8460, www.dream3d.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3D 스캐너, 3D 프린팅, 스캔데이터 후처 리, 검사 소프트웨어 개발 ■    취급 제품 : 3D 프린터(ZORTRAX, INTAMSYS), 3D 스캐너(영 국 DUUMM, 중국 THUNK3D), 3D 스캔 소프트웨어(자체 개발한 PointShape Inspector & PointShape Editor) 드림티엔에스는 2005년 설립되었으며, 스캐닝 및 프린팅 솔루션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PointShape Editor와 PointShape Inspector(www.pointshape.com)는 3D 스캔 데이터 폴리곤 최 적화 기능 및 검사 소프트웨어로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전세계에 판매 하고 있으며 국내 고객의 니즈에 맞춰 개발하고 있다. 디에스디 ■    문의 : 010-2573-0418, www.dsdtech.co.kr ■    사업 분야 : 실물모형 및 교육용모형 제작, 시뮬레이터 제작, 선박/ 기자재 설계/제작 디에스디는 선박설계(레저선박 및 어선 포함) 및 조선소 컨설팅, 디 지털 목업 및 모형 제작, 조선해양 관련 콘텐츠 개발을 선도하기 위해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직원의 인성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해 전문기관 직무 위탁교육 및 대학원 위탁교육 과정을 채택하여 고급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외에도 해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수출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디지털핸즈(Digitalhands) ■    문의 : 031-926-7515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전시 및 콘텐츠 사업 ■    취급 제품 : 작가의 3D 콘텐츠 상품 디지털핸즈는 고도의 창의성을 가진 예술가와 디자이너의 ‘3D Contents의 Busuness’화를 모토로 한국 최초로 설립된 3D 프린팅 아트 & 디자인 전문 갤러리이다. 디지털핸즈는 그동안 공학 및 기술 분야에 치우쳐진 3D 프린팅 지 원체계를 예술, 디자인 분야로 특화 지원하여 국내외 우수 디지털 콘텐 츠를 발굴하고, 데이터베이스화, 상품화를 통한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 을 발굴하고 지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디지털핸즈 갤러리는 단순 전시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아티스트 와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극대화 시켜 보다 혁신적인 창작활동이 가능 하도록 전시 공간, 첨단 기자재와 전문 인력을 지원한다. 디지털핸즈의 지원시스템은 해당 분야 전문 큐레이터와 3D 프린팅 및 AM 전문가, 장비 운용 전문가, 후처리 전문가, 상품 개발 전문가, 마케팅 및 브랜딩 전문가 등의 종합 지원 서비스를 받게 된다. 디지털핸즈가 지향하는 것은 예술가와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발상을 보다 혁신적인 방법으로 현실화시켜 주고 이를 공정한 분배를 통해 비 즈니스에 연결하며 서로 상생하는 것이다. 디지털핸즈의 최종 목표는 창작자와 창작 작품의 가치를 가치 있게 인 정하는 문화를 만드는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가 이상이라 고 생각했던 일부를 현실로 만들어 창작자들에게 의미 있는 작은 유산을 남기는 것이다. 이것의 동력은 창작자와 디지털핸즈와의 상호 신뢰이다. 로보게이트 ■    문의 : 070-4814-0500 / 070-8796-0630, www.robogates.com ■    사업 분야 : 연구개발 컨설팅, 각종 로봇 개발, 3D CAx 솔루션 공급 서비스, 3D Printer 제조 , 복합소재 연구개발 ■    취급 제품 : Delta Pro S300L 2017 출시(KC safety/EMC 인증 취득 ), DOBOT 국내 총판, SIEMENS 3D CAE S/W 국내 대리점 로보게이트는 2010년 4월 5일 로봇 및 3D프린터 개발을 통해 시작한 회사로, 현재 SIEMENS Industry의 공식 대리점으로 FEMAP 및 Solid Edge판매/서비스, 3D프린터 제조분야는 Delta Pro S300L 2017 출시 (KC safety/EMC인증 취득), 로봇 주력아이템으로 DOBOT 국내 총판이다. 로킷 ■    문의 : 02-867-0182, http://www.rokit.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바이오 3D 프린 터 개발 및 판매, 생명공학 기술 연구, 바이 오프린팅 플랫폼 기업 ■    취급 제품 : 바이오 3D 프린터 ‘INVIVO’ 3D 프린터 및 국내 최초 바이오 3D 프린터 제조 기업, 바이오 프린 터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이다.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글로벌 바 이오 프린팅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다양한 생명공학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인비보(INVIVO)는 세계 최초 스캐폴드&바이오 잉크 겸용 바이오 3D 프린터이다. 멸균환경이 갖춰진 프린터 내부에서 경조직용 스캐폴드와 연 조직용 바이오 잉크를 3D 프린팅하여 3차원 세포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구조체는 인공뼈, 인공피부 역할을 하고 5가지 방 식의 프린팅 방식과 US FDA 승인 받은 모든 재료 사용이 가능하다.   류진랩      ■    문의 : 070-7502-7280, www.ryujinlab.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제조, 유통, 판매 및 컨설팅 ■    취급 제품 : 신개념 LIPS 방식 레진 3D 프린터 : MORPHEUS Series( E7, MK5, MK6, I24), FDM 3D 프린터 : SMITH Series(SMITH R322, SMITH R435), Channel Letter 3D 프린 터 : AD One, Flashforge사 FDM 3D 프린터 : Creator New Pro, Inventor, Inventor2, Guider2 2013년 10월부터 3D 프린팅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스타트업이 다. 보급형 FDM 3D 프린터 제작, 유통, 소호사업자와 학생들이 합 리적인 가격으로 3D 프린팅을 접할 수 있도록 컨설팅 및 교육을 병 행하고 있다. 한편, 고성능 레진 3D 프린터인 ‘모피어스 시리즈’를 개 발하고 제품화하여 양산 중이며, 전세계 17개국에 사용자를 확보하  있다. DLP 또는 SLA와는 다른, 독자기술인 LIPS(Light Induced Planar Solidification) 방식을 사용하며, 보급형 FDM 방식의 3D 프린터보다 월등한 품질의 조형물을 보다 빠르고 크게, 그리고 낮은 가 격으로 만들 수 있다. 현재는 출력 서비스도 병행하여 3D 프린팅의 저 변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리본쓰리디(Reborn3D) ■    문의 : 070-4288–9003, www.reborn3d.com ■    사업 분야 : UV DLP 3D 프린터 개발 및 제조, 판매 ■    취급 제품 : G프린터 주얼리 리본쓰리디는 2015년 3월 설립된 대한민국의 DLP 3D 프린터 개 발/제조사로 굿쓰리디에서 상호가 변경되었다. 2015년 DLP 3D 프린 터에 UV광원을 적용한 G프린터를 개발 및 출시하였으며 현재까지 대 한민국, 일본, 홍콩 등 국내외에 유통하고 있는 등 대한민국의 3D 프린 터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고 있는 강소기업이다. “오직 사람만이 가치있다”라는 슬로건과 “품질이 기술이다”라는 모토를 중심으로 사람을 위한 기술을, 더욱 완벽한 품질을 고객님들께 제 공해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리얼랩(RealLab) ■    문의 : 070-8755-7538, www.realform.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수지 개발 제조 ■    취급 제품 : R ealF orm_3DS, R ealF orm_3DEL,  RealForm_3DJ, RealForm_3DT, RealForm_3DG 리얼랩(RealLab)은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수지(Photopolymer Resin) 전문 개발/제조업체로 Application별 요구특성에 맞는 특화 특성의 수지를 개발 공급하고 있다. 당사 기본 제품으로 RealForm_3DS(고강도, 고정도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resin), RealForm_3DEL(Medical simulation용 Hyper realistic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resin), RealForm_3DJ (주얼리용 casting resin), RealForm_3DT(고투과도 무색 투명 resin), RealForm_3DG(범용 resin) 외에도 고객 요구에 따라 커스 터마이징 제품 공급이 가능하다. 만드로 ■    문의 : 070-4405-9995, http://mand.ro, http://facebook.com/mandroyo ■    사업 분야 : 전자의수 및 맞춤형 보조기 제작 ■    취급 제품 : 전자의수 절단장애인을 위한 저비용의 경량화된 전자의수 제작사로, 역설계 (3D 스캐닝, 프린팅) 및 기타 적정기술을 활용하여 완제품을 출시한 회 사이다. 머티리얼라이즈(Materialise) ■    문의 : 070-4186-4700, www.materialise.co.kr ■    사업 분야 : 소프트웨어 ■    취급 제품 : 3-matic ST L , Magics, MiniMagics P ro , MiniMagics, e-Stage, Streamics, AMCP, Build Process, Materialise Builder, 3DPrintCloud 벨기에 루벤(Leuven)에 본사와 전세계 지사를 두고 있는 머티리얼 라이즈(Materialise)는 AM(Additive Manufacturing, 3D 프린 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유럽에서 가장 큰 단일 사이트 생산 능력의 AM 장비를 보유하고 있고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업체로서 그 명성을 자랑한다. 산업과 의료 응용을 위한 AM 기술 을 통해 의료 영상처리, 외과적 시뮬레이션, 생의학 그리고 임상 솔루 션 제공 등 머티리얼라이즈만의 기술력과 경험을 십분 발휘하고 있다. 또한 머티리얼라이즈는 독특한 솔루션을 개발하여 시제품, 제작 그 리고 의학적 요구와 함께 좀 더 나은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머티리얼라이즈의 고객군은 자동차산업, 가전제품, 소비재 등 대 기업과 유명 병원, 연구 기관 및 임상의, 그리고 i.materialise를 통해 독특한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내고자 하고 3D 제작에 관심이 있는, 혹 은 .MGX 디자인 구매를 원하는 개별 소비자로 이루어져 있다. 메디트 ■    문의 : 02-2193-9600, http://meditcompany.com ■    사업 분야 : 광학식 3차원 스캐너 ■    취급 제품 : Identic a T500 / Identica i500 / Solutionix C500 / Solutionix D500 등 메디트는 지난 2000년 자체 기술을 토대로 개발한 고정밀 3차원 스 캐너를 산업용 측정 시장에 선보이며 출발한 벤처기업이다. 산업용 측 정 시장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지난 2013년 덴탈 CAD/ CAM 분야로 진출, 세계 시장을 무대로 3차원 스캔 솔루션 기업으로 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메이커스나래 ■    문의 : 070-4652-3600, www.make32.com ■    사업 분야 : 4차 산업 기술을 결합한 3D 프린팅, 코딩, AI 등 메이커 체험 교육 ■    취급 제품 : 3D 프린터, 교육용 창의융합 KIT, 메이커실 구축 컨설 팅, 시제품 등 메이커스나래는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업체로 4차 산업 기술을 기반 으로 한 교육, 개발, 판매서비스를 제공한다. 3D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자체 교육장을 보유함으로써 일반인뿐 만 아니라 초, 중, 고, 대학생을 대상으로도 수준별 맞춤 교육을 통해 쉽고 재밌게 체험할 수 있는 메이커 환경을 제공한다. 지역 공공기관, 학교, KT 등과의 업무 협약(약 14건)을 바탕으로 메 이커 문화 확산과 기존 어렵게만 생각하는 4차 산업 분야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메이커스나래는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에서 시행하는 메이커스페이스 주관기관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메카피아 ■    문의 : 1544-1605, www.mechapia.com ■    사업 분야 : 3D 모델링, 3D 프린팅, 제 품디자인, 3차원 CAD 소프트웨어 전문 교 육기관, 3D 프린터 및 소재 판매, 3D 프린팅출력서비스, 도서출판 ■    취급 제품 : 신도리코 3D 프린터, 큐비콘 3D 프린터 공식대리점, 스 트라타시스 3D 프린터 메카피아는 오토데스크 공인아카데믹파트너(AAP)로 3D모델링과 제품 디자인, 3D 프린팅 등에 대한 전문교육 및 교재출판과 더불어 3D 프린터 및 소재 판매 이외에 3D 프린팅 출력물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일선 교육기관(초, 중, 고, 대학 등)과 공공기관에서 실시하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3D CAD 교육을 다년간 실시하며 많은 경험 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전문기업으로 2D&3D 토털솔루션 제공기업 으로 온오프라인용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오토데스크사의 교육 파트너로 교육대상에 알맞게 TinkerCAD, Fusion360, Inventor, AutoCAD 이외에 Solidworks 모델링/구 조/유동해석에 대한 전문기술교육과 해석 용역도 실시하고 있다. 메탈쓰리디      ■    문의 : 052-700-7730, metal3d.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부품 및 제품 사업, 3D 프린팅 의료기기 사 업, 3D 프린팅 교육사업 ■    취급 제품 : Metalsys 250E 메탈쓰리디는 2018년 7월 25일 설립되었으며, 금속 3D 프린팅 기 반 제조기업인 윈포시스의 자회사이다. 2018년 10월 한국생산기술연 구원의 파트너 기업으로 울산지역본부에 입주하였으며, 현대 계열사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현대코어모션 등) 공동 연구를 통해, Metal 3D 프린팅 부품 제작 및 납품을 진행하고 있다. 모션웍스 ■    문의 : 031-297–4557, www.motionworks.co.kr ■    사업분야 : 응용 공작기계 제조, 고객 주 문형 전용시스템 개발, 역설계 용역 서비스 ■    취급 제품 : HBS 절삭 조형기 시리즈, MK 적층 조형기 시리즈, duoFab 하이브 리드 조형기 시리즈 맞춤제조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규모 생산을 전제로 하 던 자 본 집약적인 전통적 제조환경에서 이용되던 공작기계를 대신 할, 혁신적인 공작기계에 관한 요구 또한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모션웍스는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쌓아온 관련 기술 인프라 위에, 오랜 시간동안 고객과 소통의 결과로 얻어진 사용자 경험을 고스란히 반영한 신뢰성 높은 응용 공작기계를 개발하여 제 4차 산업혁명이 예 고하는 제조환경의 변화에 대비하고 있다. 모멘트(Moment) ■    문의 : 02-6347-1003, www.moment.co.kr ■    사업 분야 : 데스크톱 3D 프린터 제조, 3D 콘텐츠 공유 사이트 운영, 교육용 패키지 제공 ■    취급 제품 : 3D 프린터 Moment 2014년 8월에 설립된 모멘트는 데스크톱 3D 프린터 제조 업체이다. 3D 프린터 대중화를 목표로 3D 콘텐츠 공유 사이트 Yourmoment (www.yourmoment.co.kr)를 운영하고 있다. 이 사이트에서는 교 육〮취미〮생활〮발명〮예술 분야에 걸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 간에 3D 출력파일(STL)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 원하는 파일을 다 운받아 직접 3D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미래인 ■    문의 : 1800-3580, http://merain.kr ■    사업 분야 : 금속 3D 프린터 토털 솔루션 공급 ■    취급 제품 : 금속 3D 프린터 다비드 미래인은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금속 3D 프린터 제조의 핵심 기 술과 금속분말 공정 및 설계기술을 통해 고객과의 장기적인 성공에 관 심을 기울이고 있다. 금속 3D 프린터는 빠르고 안정적이며 고부가가치 핵심 사업인 항공, 자동차, 선박, 의료분야 등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및 기술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배가솔루션 ■    문의 : 032-342-7270, www.vegasol.co.kr ■    사업 분야 : 역설계, 정밀검증, 3차원 솔루션 판매, 3D 프린터판매, 시제품 제작 ■    취급 제품 : CogniTens WLS Scanner, RangeVision WLS Scanner, Delta3D Printer 배가솔루션은 제조 산업의 제품 개발 및 품질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측정 솔루션 지원과 역설계, 정밀검증, 시작품 제작 등 기술용역 서비 스를 종합 제공하는 전문적인 엔지니어링 SI(system integration) 업체이다. 현재는 CMM, 레이저 스캐너, WLS 스캐너, Vision 스캐 너, CT 스캐너 등 다양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고객들이 요구하는 목적 에 맞게 측정 서비스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저가형 3D 프린터인 Delta3D를 공급하고 있다. 비온드테크 ■    문의 : 070-7818-6853, www.beytech.co.kr ■    사업 분야 : raise3D 국내총판, basf   브룰레코리아 ■    문의 : 02-591-3866, www.brule.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및 마케팅 ■    취급 제품 : 얼티메이커, 조트랙스, 빌 더, 타입에이머신 브룰레코리아는 미국의 본사와 영국 및 일본, 그리고 중국에 지사를 가진, 글로벌 ultrafuse 필라멘트 국내 총판, 3D 프린 터 솔루션 제공 유통기업으로서, 국내 3D 프린터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는 3D 전문기업이다. 유럽의 3D 프린터사인 얼티메이커(Ultimaker)의 한국 공식 총판이며, 유럽 조트랙스(Zortrax)사와 Builder 사 및 미국 Type A Machine 사 등,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 받고 있는 Top 10 내의 3D 프린터들의 국내 공식 총판 사업자이기도 하다. 메이커봇 제품을 2013년 국내에 처음으로 공식 런칭하면서, 각 분야의 수요자들로부 터 큰 호응을 얻었다. Ultimaker 제품군을 한국 시장에서 꾸준하게 판매하고 있고, 유럽의 Zortrax M200, M300과 산업용 대형 3D 프린터인 Builder Extreme, 그리고 미국의 준산업용 3D 프린터인 Tape A Machine PRO를 국내에 런칭 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온드 테크 ■    취급 제품 : raise3D pro2, pro2 plus, e2, basf ultrafuse 필라멘트 비온드테크(Beyond Tech)는 Raise3D의 한국 총판으로 고품질 3D 프린터 보급화에 앞장서고 있다. Raise3D는 50개국이 넘는 파트 너와 함께 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한 국에서는 비온드테크와 함께 최상의 제품과 최고의 서비스를 사용자들 에게 공급하고 있다. 또한 2016년 최고의 3D 프린터 상을 수여받았으며 2017 ‘BEST OVERALL’ 제품으로 선정된 것에 이어, 2018년에는 ‘PROSUMER’ 로 선정, 2018~2019년 17 Best 3D Printers of Spring 2019를 받았으며 지속적으로 제품의 안정성과 성능을 인정받음과 동시에 전통 적인 제조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3D 프린팅 기술로 생산성의 혁신 및 4차 산업의 선두에 위치하고 있다. 빌딩포인트코리아 ■    문의 : 02-711-7530, www.buildingpoint.co.kr ■    사업 분야 : 공간데이터(2D&3D) 취득 솔루션, 건설산업 솔루션, 관계분야 R&D, H/W, S/W ■    취급 제품 : 스케치업, 3D 스캐너, MEP&Layout 기기, 토털 스테 이션, MMS, 이미징 로버 등 빌딩포인트코리아는 트림블 빌딩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전문화, 고도 화 되어가는 현대 건설산업을 위한 다양한 전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트림블 스케치업, 비코오피스, 트림블커넥트, 세파이라 등의 BIM 전문 소프트웨어를 필두로, 트림블 레이아웃 솔루션, 3D 스캐너까지 시공 BIM을 위한 장비를 제공하며, 스케치업 뷰어 for 홀로렌즈 및 Static 타입과 Portable 타입의 3D 스캐너 등의 공급을 통해, VR, 3D 프린팅 등 점차 확대되는 3D 산업에 맞게 다양한 솔루션 라인을 갖추고 있다. 또한, 자체 연구 인력으로 보다 한국 환경에 맞게 로컬라 이징된 솔루션의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 BH3D조형학원 ■    문의 : 02-2282-6796, www.bhartcenter.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활용 캐릭터 제 작교육, 3D 프린터 토이 제작 ■    취급 제품 : 3D 프린팅 캐릭터/모형 맞춤 제작, 3D 프린팅 인체해 부학모형, 전문서적, BH(비에이치)3D조형학원은 디지털 3D 조형시스템을 국내 처음으 로 도입한 교육원으로 3D프린터 전문가 양성을 위한 3D소프트웨어 (Zbrush)교육과 기초 조형 교육, 3D프린팅, 후가공, 채색등 3D프린 팅 제품제작 과정 전반을 교육하는 기관이다. BH3D조형학원은 다양한 방식의 3D프린터와 3D스캐너를 다수 보 유하고 있어 수강 시 다양한 장비체험을 할 수 있으며 자체 개발한 전 문 서적 및 교육용 모형을 통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교육 이외에도 3D프린팅 콘텐츠 제작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있어 개인 맞춤형 3D프린팅 피규어, 기업 시제품, 의료모형, 영화/CF 소품 등 다양한 분야의 3D프린팅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비즈텍코리아 ■    문의 : 042-716-5402, www.vistech.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제작 및 판매, 소 재, 소프트웨어 개발, 비전 & 자동화 검사 장비 ■    취급 제품 : FFF 방식 3D 프린터(VIS-POWER, VIS-NEO, VIS-MEGA 등), 바이오 프린터, 각종 검사계측장비 등 비즈텍코리아는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의 3D 프린터, 바이오/의료용 3D 프린터, 투명교정장치 제작용 3D 프린터와 광경화성 레진 소재, 제조 공정상 필요한 다양한 검사계측장비 등을 제 조하여 판매하고 있는 회사로 3D 프린터와 검사계측장비 시장에서 작 은 거인이 되고자 열정을 태우고 있는 작지만, 강한 벤처기업이다. 사이버메드 ■    문의 : 02-3397-3970, www.ondemand3d.com ■    사업 분야 : 의료용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사이버메드는 ‘Innovation’이라는 회사의 사훈을 바탕으로 1997 년부터 3D Medical Imaging Software를 개발해온 회사이다. 국 내에서 환자의 CT 데이터를 이용한 3D 프린팅 사업을 최초로 시도하 였고, 현재 치과용 임플란트 가이드 역시 3D 프린팅으로 제작하여 판 매하고 있다. 의료용 3D 프린팅에 활용할 수 있는 자사 소프트웨어를 개발, 이를 이용해 현재 16개국에 소프트웨어를 수출하고 있는 회사로서 덴탈 (Dental) 분야에서 엔비전(Envision)사의 World Wide Partnership을 맺고 본격적인 3D 프린터를 판매하고 있다. 삼영기계 ■    문의 : 041-840-3000, www.sym.co.kr,  www.sandgraphy.com ■    사업 분야 : 바인더 젯팅 중대형 3D 프 린터 개발 및 판매, 샌드그래피 3D프린팅 서비스(샌드 몰드/코어 제작, 시제품 제작, 소량 생산품 제작, 목업 및 조형물 제작, 비정형 건축 자재 제작, 문화재 복원 등) ■    취급 제품 : 바인더 젯팅 샌드 3D 프린터(BR-S900) 및 전후공정 설비, 샌드 3D 프린터용 퓨란 바인더 시스템, 샌드 3D 프린터용 실리카 샌드 삼영기계는 2014년 바인더 젯팅 방식의 샌드 3D 프린터를 도입하여 샌드 3D 프린팅 몰드 및 주조품 RP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샌드 3D 프린팅 기술로 고정밀/고품질의 맞춤형 제품을 합리적인 비 용으로 단기간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삼영기계는 발전소/철도/선박용 엔진의 핵심 부품을 생산하는 전문기업으로 최근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에 선정되었으며, 제 품 설계부터 해석, 3D 프린팅, 주조, 가공, 검사에 이르기까지 모든 작 업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직연계형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어, 제품 역설계를 포함한 3D 모델링부터 최종 제품 제작까지 One-stop 서비스가 가능하다. 선도솔루션 ■    문의 : 02-2082-7870, www.sundosolution.co.kr ■    사업 분야 : 3D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공급 및 유통 ■    취급 제품 : 3D 프린터(UP 300, UP BOX+, UP Mini2 ES), 소 프트웨어(PTC Creo, ArtCAM) 선도솔루션은 ‘Concept to Reality’를 기본이념으로 설립됐다. PTC 플래티넘 파트너로서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맞는 3D CAD 및 기 타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티어타임(Tiertime)사의 3D 프린터 국내 총판으로 해외에서 인정받은 보급형 3D 프린터인 UP 시리즈의 국내 총판을 담당하고 있으며, 상업용 3D 프린터 보급에도 힘쓰고 있 다. 또한 ArtCAM을 이용한 입체 패턴 디자인 솔루션의 보급을 통해 제품 외관 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세중정보기술 ■    문의 : 02-3420-1172, www.sjitrps.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3D 스캐너, 3D CAD 소프트웨어 공급 및 기술 지원, 3D 모델 시제품 출력 서비스 지원 ■    취급 제품 : 3D Systems 3D 프린터, 3D 스캐너, SIMENS SolidEdge, Solidscape 3D 프린터 세중정보기술의 3D프린터 사업부는 지난 1996년부터 국내 시장에 3D프린터를 공급하기 시작하여 현재 3D프린터, 3D 소프트웨어, 3D 스캐너, 레이저 커팅기, 진공성형기, 실내집진기 등의 제품 및 기술 서 비스로 정부기관, 연구실, 교육기관, 의료산업, 일반기업, 국가 자금 지 원 프로젝트, 산학연 프로젝트 등 다양한 고객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 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의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나, 3D Systems의 고정밀, 전문 시제품제작 용도의 MJP 3D 프린팅 방식에서부터 CMYK 풀컬러 색상구현이 가능한 CJP방식, 기 능성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최종 양산품을 출력할 수 있는 SLA, SLS 방식 및 금속 3D프린팅까지 다양한 3D 프린터 장비 라인업을 확보하 고 있다.   센트롤 ■    문의 : 02-3397-5800, www.sentrol.net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CNC 컨트롤러 ■    취급 제품 : SENTROL 3D SS150, SENTROL 3D SS600 센트롤은 1984년 CNC를 개발하여 30여 년간 각종 기계개발 혁신 에 크게 기여해 왔다. 또한 공작기계, 산업기계 분야는 물론 미래의 인 재를 양성하는 교육분야에 이르기까지 국내외 기관에 제품을 공급하면 서 높은 신뢰성과 기술력을 널리 인정받았다.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 받 고 있는 3D 프린터 기술에 착안하여 메탈 3D 프린터에 맞는 CNC 개 발과 동시에 산업용 3D 프린터를 개발하고 있다. 주물용 3D 메탈 프 린터 개발을 완료했으며, 향후 정밀 금형 및 금속부품 제조용으로 자동 차, 항공기, 발전기 및 의료, 방위산업 분야에 적합한 복합 가공방식 밀 링 3D 메탈 프린터를 개발할 계획이다. 쉐이프웨이즈코리아 (Shapewayskorea) ■    문의 : 02-511-7158, www.shapewayskorea.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교육사업, 3D 프린팅 출력사업 ■    취급 제품 : 3D 프린팅 공통과정, 다양한 3D 프린터 전문가과정, 3D모델링 전문가과정, 3D 프린팅 취창업과정, 산업연계 3D 프린팅 특별과정 쉐이프웨이즈코리아는 3D 프린팅을 활용한 혁신 기술의 교육과 공 유 서비스를 통해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핵심 회사로서 사 회적 책임과 고객의 성공과 보람을 함께 이루어 나가는 3D 프린팅 전 문 기술 서비스 그룹이다. 스텔라무브 ■    문의 : 02-6245-3000, www.stellamove.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제조, 판매 및 3D 프린팅 제작 서비스 ■    취급 제품 : B320/B420/B830, M300/M400, S300/S400 스텔라무브(Stellamove)는 3D 프린터 전문 개발사로, 하드웨어 구성 및 하드웨어 제어를 위한 모터제어 보드와 펌웨어, 그리고 사용자 소프트웨어까지 모두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기존 3D 프린터들이 사 용하는 Reprap 오픈 소스 기반 제품이 아닌 스텔라무브의 독자 기술 로 개발된 통합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사용하기 쉬운 제품을 구   성했다. 한글화된 사용자 소프트웨어와 5인치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는 어떤 3D 프린터에서도 볼 수 없는 손쉬운 사용성을 제공한다. 스토리팜 ■    문의 : 010-8531-9531, https://blog.naver.com/sool9241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레이저 컷팅, cnc 가공, 셰어오피스, 행사대관 ■    취급 제품 : 루고, s3d, 스틱 기숙형 메이커 스페이스 스토리팜은 지난 4년간 1년에 100회 이상 의 시제품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3D 프린터 30대, 레이저 컷팅기 4대, cnc 2대, 디지털장비와 120평 규모의 창작 공간, 60평 규모의 기숙형 펜션공간을 바탕으로 다양한 메이커 행사와 시제품 제작 및 양산하기 위한 전문기관으로 역할을 해 나가고 있다. 스튜디오엠에이/ 메이커스유니온스퀘어 ■    문의 : 02-512-0383, www.makersunionsquare.com ■    사업 분야 : 메이커스페이스 문래 메이커스페이스 ‘메이커스유니온스퀘어’는 창작자들의 창작활 동을 돕기 위해 창작노하우, 장비, 상품화 및 아이디어 기획 등의 차별 화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누구나 쉽게 찾아와 이용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 메이커스페이스이다. 스트라타시스코리아 ■    문의 : 02-2046-2200, www.stratasys.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장비와 재료 제 조 및 판매, 고객지원 ■    취급 제품 : 고급 래피드 프로토타이핑(RP) 및 제조용 툴링, 완성부 품 제작을 위한 다양한 제품군의 FDM, PolyJet 프린팅 솔루션 및 Grab GAD Print 등 관련 소프트웨어 솔루션 보유 응용 적층 기술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스트라타시스 (Stratasys)는 30여년간 항공우주, 자동차, 헬스케어, 소비재 및 교육 등 다양한 산업군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최우선 과제로, 고객과의 긴 밀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고객이 추구하는 비즈니스 혁신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 1200여개 이상의 적층 기술 관련 글로벌 특허 및 출원 중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의 시제품 설계에서부터 제조용 금형, 최 종 완제품 파트 생산에 이르기까지 제품 수명주기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의 3D 프린팅 에코시스템은 최첨단 소재, 복셀 (voxel) 단위 제어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정밀하고 반복생산이 가능한 높은 신뢰성의 FDM 및 PolyJet 3D 프린터,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전 문 컨설팅 서비스, 온디맨드 파트 제조 서비스를 아우르고 있으며, 다 양한 업계와의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기업의 워크플로 혁신을 위한 간 소화된 프로세스 통합을 이끌고 있다. 스트라타시스는 각 산업군에 특화된 혁신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통 해, 전 세계의 수 많은 리딩 기업들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가속화하 고, 밸류체인을 최적화하는 한편 더 나은 비즈니스 성과를 거둘 수 있 도록 기여하여 실제 현업에서의 적층 제조 기술의 가능성을 전파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는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및 이스라엘 레 호보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지난 2013년 스트라타시스 한국 지사를 설립, 국내 고객을 위한 더욱 신속하고 긴밀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시그마정보통신 ■    문의 : 02-558-5775, www.sigmainfo.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    취급 제품 : Solidscape MAX2 IT 중견기업으로 Solidscape 3D 프린 터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다. 시스템레아 ■    문의 : 010-2640-3661, http://blog.naver.com/zunghyuk ■    사업 분야 : 듀얼 3D 프린터 제조, 금형설계, 금형제작, 사출 ■    취급 제품 : 3D 프린터 시스템레아(System rhea)는 3D프린터 제조를 시작하여 델타 타 입의 듀얼/싱글 3D프린터를 제조하는 업체이다. 신도리코 ■    문의 : 02-460-1244, www.sindoh.com ■    사업 분야 : 오피스 솔루션 및 3D프린터 ■    취급 제품 : 3D W O X D P200, 3DWOX DP201 신도리코는 1960년 창립 이래 국내 사무기기 1위를 지켜온 전문기 업으로 글로벌 브랜드 Sindoh를 앞세워 디지털 복합기와 프린터 부문 의 해외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다. 2016년 1월에는 자체 개발 및 생산한 FFF방식 3D프린터 3DWOX DP200을 출시하고 그 해 연말 세계 특허를 출원한 플렉서블 베드의 교육용 3D프린터 3DWOX DP201 을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3D프린터 사업에 뛰어들었으며 현재 두 제품 은 미국, 중국, 유럽 등 전세계에서 호평받고 있다. 쓰리디(3D-SITE) ■    문의 : 010-4761-8382, http://cafe.naver.com/kopackaging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기구설계, 금형 개발, 시제품 제작 ■    취급 제품 : OBJET 350V(직접운영), Connex-500, 4축 CNC 등(외부운영) 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생활용품과 화장품 관련 기구설계와 함께 스 트라타시스의 PolyJET 방식 장비를 이용한 대형물(최대 490x390x 200mm) 프린팅 출력과 금형제작, 사출성형 설비를 갖추어 한곳에서 원스톱으로 신제품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디자인 관련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쓰리디(3D)그루 ■    문의 : 02-2606-2603, www.3dguru.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정보 사이트 (3dguru.co.kr) 운영, 3D 프린터/3D 스 캐너 판매, 3D 프린터 컨설팅, 강연, 교육 ■    취급 제품 : 3D 프린터(Zortrax, Raise3D, Formlabs,  Ultimaker, Stratasys, 신도, HP), 3D 스캐너(Einscan, Zeiss) 3D그루는 한 그루의 나무가 아니라, 3D 프린팅 회사 및 3D 프린팅을 좋아하는 분들과 함께 숲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쓰리디스토리 ■    문의 : 031-322-0211, www.3dstory.kr, www.meetbebe.com ■    사업 분야 : 3D초음파 변환 3D태아피규어 제작, 시제품 제작 ■    취급 제품 : 3D태아피규어, 탯줄인형, 첫돌인형 등 출산관련 아이템 쓰리디스토리는 3D 프린터 콘텐츠 제작/유통 사업을 하고 있다.  주요 아이템은 3D초음파 변환 3D태아피규어와 탯줄인형, 첫돌 인형 등 출산관련 아이템이 있으며, 제품 설계, 시제품 제작, 출력대행 등의 출 력소 사업도 병행한다.   쓰리디(3D)스튜디오모아 ■    문의 : 070-4694-4343 ■    홈페이지 : www.3dstudiomoa.com ■    사업 분야 : 3D스캐닝/모델링/프린팅, 모아피규어 제작, Leonar3Do 판매 ■    취급 제품 : 모아피규어, 3D모델링, 3D실사스캐닝 실사 3D프린팅 피규어 제작 업체인 모아는 2013년 2월 국내 최초 로 3D 프린팅 피규어 제작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모아의 모든 직원들은 제품 제작시 단순한 피규어를 넘어서 고객들 의 소중한 순간을 감동적인 작품으로 승화시켜낸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한 작품 한 작품에 장인정신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만들어 내고 있다. 현재 모아피규어 뿐만 아니라 고품질 3D스캐닝/모델링을 이용한 다 양한 사업분야와의 접목하고 있으며 3D콘텐츠 기업으로서의 이미지 를 계속 키워나가고 있다. -    3D프린팅: 모아피규어 및 각종 3D프린팅 시제품 및 전시작품 제작 -    3D모델링: 각종 3D모델링, 3D텍스처링, 3D랜더링 서비스 진행 / 각종 3D데이터 제작 대행 -    3D스캐닝: MIB(MOA Imaging Booth, DSLR 128ea 장착) 사용 고품질 3D스캐닝 서비스 진행(각종 CG용[게임, 영화 등] 고해상 도/멀티텍스처 CG데이터 제작) 3D시스템즈코리아 ■    문의 : 02-6262-9900, www.3dsystems.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3D 스캐닝,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 ■    취급 제품 : 플라스틱 및 금속 3D 프린터, 다양한 3D 스캐닝 하드 웨어 및 소프트웨어, 금형 설계/가공 소프트웨어 3D시스템즈(3D Systems)는 3D 프린팅 기술을 세계 최초로 발명 하고 상용화에 성공한 글로벌 리더로서, 3D 프린터 환경에서의 3차원 콘텐츠의 제작, 유통, 생산, 서비스를 위한 일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 웨어를 개발,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직접 활용되는 고사양 3D 프린터는 물론 3D 스캐닝 기술과의 완벽한 연계를 위한 역설계, 품질검사 소프트웨어 기 술, 촉각을 이용한 햅틱 기술 기반의 새로운 사용자 입력 도구 개발, 차 세대 3D 제품 설계 소프트웨어 솔루션, 사출/프레스 금형 설계 소프트웨어와 같은 다양한 전문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완벽한 3D Content-to-Print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3D Systems는 ‘MAKING 3D PRODUCTION REAL’이라는 비전 아래 최고의 기술력과 서비스, 미래를 위한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 으로 미래의 제품 설계 및 생산 방식의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쓰리디아이템즈 ■    문의 : 02-466-5873, http://3ditems.net ■    사업 분야 : 장비, 소프트웨어, 교육기 관, 단체, 시제품 출력 ■    취급 제품 : 매직몬스터 V3 2014년 설립된 쓰리디아이템즈는 3D프린팅 전문가 양성교육기관 으로서 3D프린팅 교육을 통한 진정한 Maker들을 배출하기 위해 정부 와 함께 3D프린팅 전문강사 및 일반강사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지식 재산권 및 창업 컨설팅을 제공하여 3D프린터 창업을 돕고 있다. 당사는 조립이 쉬운 구조의 교육용 3D프린터 키트 K-Wilson, 대 형시제품과 조형물 제작에 최적화 된 산업용 대형 3D프린터 Magic Monster 시리즈도 제작하였으며 유지보수 서비스 및 3D프린터를 이 용한 시제품 제작 사업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 밖에 코딩교육, 소프트웨어 판매, 진로직업체험 특강 등을 통해 쓰리디아이템즈는 1000만 Maker 양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쓰리디엠디 ■    문의 : 02-6339-5567, www.3dmd.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3D 스캐닝/모델링/설계, 각종 전시 모형 및 워킹 목업, 각종 후가공 및 전문 도색 ■    취급 제품 : 목업, 산업/전시/건축 모형, 3D 스캐닝 및 역설계, 기계 설계 및 해석 2009년 창립 이래, 3D 프린터 외에도 레이저, CNC 등의 정밀가공 장비와 전문적인 자체 후가공 기술을 더하여 높은 완성도의 모형과 시 제품을 제작해 오고 있다. 3D업앤다운 ■    문의 : 070-4128-1999, www.3dupndown.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디자인 파일을 공유, 판매하는 글로벌 플랫 폼 제공 3D(쓰리디)업앤다운은 ‘3D 프린팅 기술로 인류에게 보다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자’라는 비전을 내걸고 2013년 6월에 설립됐다. 현재 3D 프린팅 산업에 가장 핵심이 되는 프린팅용 모델링 콘텐츠 를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공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글로벌 3D 디자인 파일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3D 프린터로 출력 가능한 검증된 디자인 파일만을 공유하고, 거래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2018년에 국내 디자이너 1만명, 회원 4만명, 3D파일 8만개 보유를 목 표로 하고 있다.   쓰리디엔터(3D Enter) ■    문의 : 070-7756-7757, www.3denter.co.kr ■    사업 분야 : 고품질 3D 스캔 데이터 획 득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사용자들에게 편 리함을 극대화 ■    취급 제품 : Cross 쓰리디엔터(3D Enter)는 국내 대형 3D 프린터를 사용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기본 출력물크기 500x500x500부터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대형 사이즈를 주문 제작하고 있다. 쓰리디코리아 ■    문의 : 054-931-5664, www.3dk.or.kr ■    사업 분야 : 소재 – 3D필라멘트, 필라멘트용 펠렛 / 프린터 – 컬러 3D프린터, 특수3D프린터 ■    취급 제품 : 소재 – PLA, ABS, FLX, PETG 등 / 프린터 - GB1236M, Color Printer 쓰리디코리아는 산업용공작기계/3D컬러프린트/3D컬러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등 기타 가공공작기계 제조업체이다. 3D페이지 ■    문의 : 02-402-1218, http://3dpage.co.kr ■    사업 분야 : 3D프린터 임대, 출력, 상품 개발 ■    취급 제품 : Stratasys Dimension 시리즈(Dimension BST / SST 768 / SST 1200 / Elite), Fortus 시리즈(Fortus 200MC, Prodigy Plus), Objet 시리즈(Eden 250/260/260V) 3D페이지는 산업용 3D프린팅 장비 임대 업체이다. 쉽게 구입할 수 없는 고가 FDM 장비에서 오브젯 장비까지 다수 보유하고 있어, 사용 자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합한 프린터를 선택하여 한 달 단위로 이 용해볼 수 있다. 출력과 상품개발 서비스도 제공한다. 씨이피테크 ■    문의 : 02-749-9346, www.ceptech.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3D 스캐너, 소 프트웨어 판매 및 3D 프린팅 제작 서비스 ■    취급 제품 : 3D 시스템즈사 3D 프린터 외 보급형 3D 프린터, 다양 한 스캐너 및 소프트웨어 씨이피테크는 20년간의 3D 프린터, Additive Manufacturing, 3D 스캐너 등의 축적된 기술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3D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숙련된 기술력으로 미국 3D시스템즈사의 3D 프린터 및 다양한 3D 스캐너와 소프프트웨어를 선도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단순한 제품 판매만이 아닌 협력자로서 제품 및 기술개발 혁신을 위 해 노력하고 있다. 씨이피테크는 강력한 기술력과 신속, 정확한 고객 지원을 바탕으로 투철한 사명감과 기술을 선도한다는 자부심을 갖고, 고객 여러분이 만 족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아나츠(Anatz) ■    문의 : 02-2040-7707, www.anatz.com, https://www. facebook.com/Anatz3D ■    사업 분야 : 고품질 및 대량생산용 3D 프린터 플랫폼 개발 및 공급 ■    취급 제품 : 아나츠엔진(AnatzEngine), 아나츠엔진 빅( Anatz Engine Big) , 아나츠프린팅팜 식스틴(AnatzPrintingfarm Sixt een), 아나츠프린팅팜 팩토리 (AnatzPrintingfarm Factory), 아나츠플랫폼(AnatzFlatform), 아나츠제너레이터(AnatzGenerator), 아나츠밭봇(AnatzBaatbot) ; 도시농업 자동화기계, 아나츠하이버 (AnatzHiver) ; 스마트 벌통 국내 3D프린터 제조업체인 아나츠(Anatz)는 3D 프린터로 발전 가 능한 모든 것에 비전을 가지자는 개발 가능성을 걸고, 3D 프린터의 보 급과 저변 확대, 콘텐츠 개발, 나아가서는 Eco sys(생태계)와 Biodegradable(생분해성) 등의 융합형 개발을 하고자 한다. 또한 모 든 사람들이 상상력을 발휘하여 일상에 없어서는 안될 무언가를 창조 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새로운 시선과 가치를 생산하고자 한다. 현재 아나츠는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의료, 패션, 자동차, 교육, 제품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과들과 협업하고 있으며 갈수록 발전하는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아토시스템(Atto System) ■    문의 : 053-853-5208, www.attosystem.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EOD 로봇, 무 인비행기, 일반부품, 멀티콥터, 항공촬영 ■    취급 제품 : Athos(DLP) F1, F2, F3, H1, Porthos(FDM) I, II, Aramis(교육용 FDM) 아토시스템(Atto System)은 자체 개발한 DLP 프린터를 바 탕으로 Casting Resin을 출력할 수 있어 귀금속 및 치과용으로 최적화된 DLP 3D 프린터 업체이다. 가장 정밀한 Z축 적층 두께 인 010125m m를 실현해 최고의 퀄리티를 실현하고 일반 레진을 사용하므로 유지비용 또한 우수하다. 안코바이오플라스틱스      ■    문의 : 033-731-5845, www.ankor.com / 033-732-9157, www.topleaf.co.kr ■    사업 분야 : PLA 관련 원료 컴파운딩, PLA 3D 필라멘트 원료 생산 ■    취급 제품 : Ingreen PLA 3D Filament 안코바이오플라스틱스(구 TLC코리아)는 미국 NatureWorks의 3D 필라멘트용 Ingeo PLA 국내 독점 수입업체로서 NatureWorks 로부터 수개월의 테스트 과정을 거쳐 공식인증을 획득한 필라멘트 생 산업체이다. 지난 10년 간의 PLA 관련 경험으로 자타가 인정하는 PLA에 관한 최고의 노하우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사 용되고 있는 필라멘트는 물론 새로운 3D 프린팅 원료개발에 앞으로도 꾸준히 전념할 것이다. 알테어코리아 ■    문의 : 070-4050-9200, www.altair.co.kr, http://blog.altair.co.kr ■    사업 분야 :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    취급 제품 : 하이퍼웍스, 솔리드씽킹, PBS 웍스 등 알테어는 주력 제품인 개방형 CAE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하이퍼웍 스를 비롯하여 3D 기반의 디자인 소프트웨어인 솔리드씽킹, 수준 높은 인력을 바탕으로 각 산업 및 기업에 제공하는 CAE 컨설팅 서비스인 프로덕트 디자인, 효율적인 업무 관리를 위한 워크로드 매니저 PBS 웍스 등과 같은 제품으로 제조 단계에서의 혁신을 만들어내고 있다. 1985년 미국 미시건주 사우스필드에서 ‘알테어 엔지니어링’이라는 엔지니어링 컨설팅 기업으로 출발한 알테어는 이후 꾸준히 해석, 분석, 에측, 최적화 등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확보하여 데이터 엔지니어링 의 글로벌 리딩기업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한국알테어 역시 2001 년 지사를 설립한 이래 매년 평균 20%씩 안정적인 성장하고 있다. 알피캐스트 ■    문의 : 031-434-3690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패턴을 이용한 정밀주조 제작, 3D 프린팅 부품 제작 ■    취급 제품 : 산업용 정밀주조 부품(임펠 러, 터빈휠, 터빈하우징, 컴프레서 하우징 등) 및 건축용 주조품, 금속 정밀 Mock-up 알피캐스트는 3D 프린팅 패턴을 이용하여 금형없이 금속 정밀주조 품 제작 및 개발(알루미늄 합금, 주철, 스테인리스 스틸 등)하고 있다. 주조품의 형상이 복잡하여 금형 제작 비용이 비싸고 수량이 적은 경우 유리하다. 야마젠코리아 ■    문의 : 02-864-1755, www.yamazenkorea.co.kr ■    사업 분야 : 공작기계 관련 영업 ■    취급 제품 : MATSUURA LUMEX AVANCE-25 야마젠코리아는 일본의 공작기계 전문상사로 설치 및 A/S 전문회사이다. 에이디엠테크 ■    문의 : 055-924-7336, www.admtech.co.kr ■    사업 분야 : 3D 스캐닝, 3D 프린팅 서비스, 3D 데이터 설계, 플라스 틱/석고/정밀 주조용 왁스/금속 등 다양한 제품의 3D 프린팅 서비스 ■    취급 제품 : MJP/DLP/SLA/SLS 종류의 플라스틱 3D 프린터, 정밀 주조용 Wax Casting 3D 프린터, 석고 재질의 3D 프린터, 금속 3D 프린터 에이디엠테크는 2019년 4월에 설립된 회사로 3D 프린팅을 전문 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3D 시스템즈의 3D 프린터를 사용해 높은 정 밀도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3D 프린터와 재료를 통해 금속 프린팅 부터 플라스틱까지 사용자가 필요한 목적에 맞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3D 데이터를 제작할 수 없는 업체를 위해 설계 인력을 구성했 으며, 편하게 3D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에이엠솔루션즈 ■    문의 : 070-8811-0425, www.amsolutions.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프린팅 소재, The BubbleShop ■    취급 제품 : The BobbleShop(Scan-to-Print, 피규어 제작 솔 루션), Ceramic 3D Printer(Lithoz), Metal 3D Printer (OPTOMEC), 3D 프린팅 소재(Metal Powder, TLS, LPW) 에이엠솔루션즈는 다양한 소재(종이, 금속, 세라믹)의 3D 프린팅 기 술을 이용하여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 가전, 의료 등의 제조업과 디자 인 산업에 독보적인 3D 프린터 및 프린팅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술과 시장을 결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로 개인, 게임 캐릭터와 같은 피규어 제 작부터 기계부품, 모형, 디자인시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작서비스 와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 3D 프린팅 숍을 운영할 수 있도록 토털 솔 루션을 제공한다. 에이엠코리아 ■    문의 : 031-426-8265, www.amkorea21.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및 유지보 수, 컨설팅, 시제품 제작 ■    취급 제품 : HP사 3D 프린터, UnionTech사 SL 3D 프린터, Aspect사 SLS 3D 프린터, Coherent사 SLM 금속 3D 프린터, Sodick사 Hybrid 금속 3D 프린터, 3DCeram 사 세라믹 3D 프린 터, Wenzel CT 3D 스캐너 에이엠코리아(AMKOREA)는 그동안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3D 프린터 기술 지원과 제품판매 및 시제품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하 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적합한 산업용 3D 프린터부터 비즈니스 모델에 따른 다양한 생산형 3D 프린터 등을 취급하고 있다. 또한 3D 프린터 및 시제품 분야에서 오랫동안 실무에 종사했기 때문에 고객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컨설팅 및 AS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의 니 즈를 정확히 파악하여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    문의 : 070-7012-1314, http://pentok.co.kr ■    사업 분야 : 3D 펜, 소모품 및 3D 펜 콘 텐츠 등 ■    취급 제품 : 펜톡(PENTOK) 등 3D 펜, 3D 펜 교육 및 교재 등 관련 콘텐츠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는 RFID 모든 제품군을 개발, 제조, 판매 하는 유일한 회사로서,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MorganHill에 소 재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의 영업 및 마케팅을 수행하고 있다. 2014 년에 3D 펜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후 2016년 국내 최초 의 3D 펜 및 콘텐츠 전문 브랜드 ‘PENTOK(펜톡)’을 런칭, 3D 펜인 ‘뉴펜톡’ 고온 3D 펜과 ‘펜톡쿨’ 저온 3D 펜을 출시하였다. 고품질의 3D 펜 및 필라멘트 제품 판매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이끌어내면서 새 롭게 급성장하고 있는 3D 펜 시장을 주도하는 동시에, 강사연수, 방과 후 학교 발명·창의교실 등 3D 펜을 활용한 교육분야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에이치디씨(HDC) ■    문의 : 031-817-6210, www.hdcinfo.co.kr ■    사업 분야 : 장비판매(3D 프린터) ■    취급 제품 : DWS사 SLA 방식 / EOS사 SLS, DMLS 방식 HDC(에이치디씨)는 1999년 설립된 이래로 16년간 자동차, 전자, 캐릭터 애니메이션, 주얼리, 덴탈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3D 프린터를 접목해온 노하우를 축척해 왔으며 독일 EOS사 한국 공 식 Distributor와 이태리 DWS사 한국 총판으로 3D프린터를 공급해 오고 있다. EOS사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타입 장비로써 플라 스틱 및 메탈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DWS사는 현존 가장 깨끗한 표면을 구현 가능한 SLA(Stereo Lithography) 장비로 써 HDC사는 장비의 판매 및 취급을 비롯한 장비 사용과 관련된 모델링 노하우와 후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기술지원 및 교육 서비스까지 3D프린터를 사용한 전체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에이팀벤처스 ■    문의 : 02-742-6321, www.ateamventures.com ■    사업 분야 : 장비 및 소프트웨어 ■    취급 제품 : Creatable D3, Waggle, Shapengine 에이팀벤처스는 IT 기술로 제조를 혁신하고 있다. 에이팀벤처스는 메이커 운동을 지원하고 선도하는 하드웨 어, IoT 개발 사업부 ‘크리에이터블 랩스’와 3D 프린팅의 저변 확대를 위한 온라인 3D 프린팅 서비스 ‘쉐이프 엔진’으로 ‘제조의 민주화’를 앞 당기고 있다. 누구나 쉽게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꾸준히 3D프린터 및 관련 IoT디바이스와 프린팅 서비스를 개발 하고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에이팀벤처스는 글로벌 진출을 위해 미국 산호세(캘리포니아주)에는 2015년 3월, 중국 선전(深圳)에는 2017년 7월 법인을 설립했다. 3D프린터 시장을 확장하고 함께 성장하기 위해 더 노력할 것이다. XYZ프린팅 한국지사(삼위국 제입체열인과기고분유한공사) ■    문의 : 02-555-9776, www.xyzprinting.com ■    사업 분야: 3D프린터, 컴퓨터 및 주변장 치 판매 ■    취급 제품: da Vinci Jr. Pro, da Vinci 1.1 Plus, Nobel, Nobel 1.0A, Nobel Superfine, da Vinci Color, da Vinci Super, 3Dpen, Scanner 대만 New Kinpo Group의 자회사인 XYZ프린팅은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3D 프린터 제조업체이다. 효율성 높은 3D 프린팅을 전 세 계의 교육자, 학생, 아티스트, 일반소비자, 기업, 가정에 보급하기 위 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누구라도 쉽게 3D 프린터를 소유하고 사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XYZ프린팅의 제품은 사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설계하였으며, 3D 프린팅 업계의 주요 기술 산업 행사와 유수한 전문잡지에서 여러 차례 받은 수상을 하였다. XYZ프린팅은 현재 한국을 비롯해 미국, 유럽, 중국, 일본, 태 국에 지사를 설립하였다. 2017년 9월 1일 잉크젯 프린팅과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를 결합한 3DColorJet 기술 을 사용하는 세계 최초의 풀 컬러 3D 프린터인 da Vinci Color를 출 시하였다. 엘코퍼레이션 ■    문의 : 031-261-7330, www.lcorporation.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및 소재 판매, 출력 서비스, 교육, 플랫폼 사 업, 3D 프린터 및 소재 수출, 스타트업 육성 ■    취급 제품 : 폼랩(Formlabs), 얼티메이커(Ultimaker), 루고 (LUGO), 마크포지드(Markforged), 스냅메이커(Snapmaker), 신 트라텍(Sintratec), 샤이닝(SHINING 3D), 빅렙(BigRep), colorfabb(colorfabb) 엘코퍼레이션은 3D 프린팅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3D 프린터 전문기업으로 3D 프린터의 유통 및 출력 서비스, 플랫폼, 교육, 데이터 제작, 공간 구성 등 3D 프린터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2013년 미 래교역 3D 프린터 사업부로 시작한 엘코퍼레이션은 현재 국내외 3D 프린터 발굴 및 해외 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엘코퍼레이 션은 현재 폼랩(Formlabs), 마크포지드(Markforged), 신트라텍 (Sintratec) 등의 글로벌 3D 프린터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으며, 교육 기관, 의료 기관, 연구소 및 다수의 기업들과 파트너 계약을 맺고 있다. 영일교육시스템 ■    문의 : 1670-3463, www.yes01.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브랜드 총판, 교육장비 제조 및 판매 ■    취급 제품 : MakerBot, BigRep, APIUM, CleanGreen 3D,RIZE, Xact, Roboze, AON,ForTex,NBR 한국 총판 23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영일교육시스템은 5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으며, 교육장비 전문 글로벌 강소기업이다. 지난 6년동안 약 2000곳의 고객과 많은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축하여 3D 프린터의 선두 업체로 거듭나고 있다. 앞으로도 영일교육시스템은 고객이 불편함 없 도록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성실한 회사가 될 것이다. 오케이쓰리디(OK3D) ■    문의 : 010-9910-9707, https://cafe.naver.com/winprin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교육, 강의 및 강연, 3D 프린터 판매, 출력서 비스, 컨설팅 상담 ■    취급 제품 : 메이커봇 제품, 큐비콘 제품 ok3d는 2014년 ‘winprin’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2015년 ok3d 로 회사명을 바꾸고 현재까지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국내에서 3D 프린팅 교육에 있어서 높은 자리에서 인정받으며 꾸준히 강의를 진행하 고 있다. 오토데스크코리아 ■    문의 : 오토데스크코리아, www.autodesk.co.kr ■    취급 제품: 퓨전 360(Fusion 360), 넷팹(Netfabb) 등 오토데스크(Autodesk)는 사물을 만드는 사람들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만든다. 고성능 자동차를 운전해본 적이 있다면, 고층 건물을 보 고 감탄한 적이 있다면, 스마트폰을 사용한 적이 있다면, 좋은 영화를 감상한 적이 있다면, 수백만 오토데스크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만든 결 과물을 경험해본 것이다. 이처럼 오토데스크는 사람들이 모든 것을 만 들 수 있도록 돕는다. 오토데스크는 3D프린팅 기술이 차세대 모든 ‘만들어지는 것’의 디자 인과 제조 공정에 획기적인 역할을 해나갈 거라 믿는다. 오토데스크 퓨 전 360(Fusion 360)은 CAD, CAM 및 시뮬레이션이 하나의 패키지 로 결합된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으로, 모든 제품 개발 과정을 단일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으로 연결시켜 온라인, 오프라인, Mac, 윈도우, 그리고 모바일 상에서 사용 가능하다. 넷팹(Netfabb)은 제조 업체의 제품 설계 및 규모의 경제 검토 방식을 개선해주는 오토데스크의 적층 제조(또는 적층 가공) 솔루션으로, 콘텐츠부터 기계까지 원클릭으로 완 벽한 산업용 적층 제조 워크플로 구현이 가능하며, 3D 프린팅용 모델 을 보다 쉽고 빠르게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오토데스크는 퓨전 360 외에 팅커캐드(TinkerCAD), 마야(Maya), 위드인(Within) 등 의 3D 프린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오티에스(OTS) ■    문의 : 1899-7973, www.3dthinker.com ■    사업 분야 : RP 장비 및 3D 프린터, 레 이저 커팅기, CNC 머신 등 제조 및 유통 ■    취급 제품 : Deltabot-K-CU / Deltabot-K-IN 오티에스(OTS)는 각종 RP 장비를 제조 및 유통하고 있다. 국내 최 초로 델타형 3D 프린터 상용화에 성공했다. 3D 프린터 분야에 많은 노력을 기술을 축적했고, R&D를 통해 델타 방식의 FDM 3D프린터 뿐만 아니라 SLA, DLP, SLS 등 제품의 연구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이외에도 레이저 커팅기, CNC머신 등 기계 개발에 많은 노력과 투자 를 통해 고품질의 기기 생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위크리코퍼레이션 ■    문의 : 070-5102-3910, www.wecrecorp.kr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기반 상품 개발, 창의교육, 협업플랫폼 위크리코퍼레이션은 제품디자인 서비스 및 3D 프린팅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체상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와의 협업 을 통해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공예작가들 과 함께 협업을 통한 상품개발을 하고 있다. 윈포시스 ■    문의 : 031-609-9700, www.winforsys.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사업, 3D 프린팅 장비 제작 및 판매, M e l t i n g P o o l Tomography(MPT) 기술 개발 및 판매 ■    취급 제품 : Met alsys 150E & Metalsys 250E & Metalsys 500 윈포시스(Winforsys)는 2004년 설립 이후 꾸준히 R&D 투자를 진행했으며, 2018년부터 연구개발비 8%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또한 2013년부터 금속 3차원 프린터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국내 최초로 SLM 방식의 금속 3차원 프린터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티타늄, 코발 트 크롬,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금속에 대응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 및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수준의 금속 3D 프린터 공정 모니 터링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오에스코리아(EOS Korea) ■    문의 : 02-6330-5800, www.eos.info ■    사업 분야 : SLS, DMLS 3D 프린터 ■    취급 제품 : SLS – FORMIGA P110, P396, P770, P800/DMLS – M100, M290, M400, M400-4 EOS는 레이져 소결방식의 폴리머 및 메탈 3D 프린터 제조업체로, 고객에게 통합된 e-Manufacturing Solution을 제공한다. 독일 뮌 헨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한국 지사는 서울 가산동에 소재하여 국내 고객 통합관리 및 장비 운영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인스텍 ■    문의 : 042-935-9646, www.insstek.com ■    사업 분야 : 금속 3D 프린터 제조 및 금 속 부품 제작 서비스 ■    취급 제품 : MX-Standard(MX-600, MX-1000), MX-Grande(Custom) , MPC(Machine for porous coating), MX-Lab 인스텍은 국내 금속 3D 프린팅 기술개발에 성공한 후 DMT Direct Metal Tooling) 금속 프린팅 기술개발의 상용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AM(Additive Manufacturing) 분야의 선도기업이다. 인 스텍은 자제개발한 DMT 3D 금속 프린팅, 레이저 재료공정, 시스템 개발 등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AM과 관련된 토털 솔루션을 제 공하며 장비 제조 및 부품 제작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품 설계 부터 제작까지 고객이 DMT 금속 프린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술 을 모두 자체 개발하여 사용자가 더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을 마련하였고, 금속 3D 프린팅 시장의 선도기업으로 자리잡았다. DMT 기술은 DMT Closed-loop Feedback System을 통해 실 제 적층되는 금속층의 높이에 영향을 주는 공정변수들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매우 정밀한 두께의 금속층을 만드는 기술이다. 최근에 는 혁신적인 금속 소재 개발용 장비로 MX-Lab을 출시하였고, CVM Powder Feeder를 개발 및 장착하여 금속 3D 프린팅 시장에서 한 단계 진보된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그동안 인스텍은 독일, 러시아 등 유럽 및 세계시장에 장비를 수출해 왔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개발을 통 해 전 세계적으로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DED Metal 3D 프린 팅 시장에서 한단계 진보된 기술개발을 필두로 본격적인 세계 시장진 출을 앞두고 있다.    인텔리코리아 ■    문의 : 070-4610-5054, www.cadian3d.com, www.cadian.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콘텐츠 제작 유통, 3D 프린팅 출력 및 디자인, 시제품 제작, 3D 모델러 개발, 3D 프린팅 교육, 기타 메이커 교육 ■    취급 제품 : 캐디안(CADian), 캐디안3D(CADian3D) 인텔리코리아는 오토캐드를 대체하는 토종 캐드인 ‘캐디안’의 개발 사이다. 2D 캐드인 캐디안(CADian) 외에도 3D 프린팅, 디자인, 제품 설계를 위한 3D CAD인 캐디안3D(CADian3D)를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에 보급하고 있으며, 두터운 유저층을 보유하고 있어 3DMax, 라 이노3D, Fusion360 등을 대체하는 수 있는 국산 3D 캐드로 자리매 김하고 있다. 그 외에도 3D 프린팅 및 메이커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3D 콘텐츠 제작, 제품 디자인 및 시제품 개발 용역 서비스를 진 행하고 있다. 제이엔텍 ■    문의 : 031-605-5550, www.jntek3d.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 판매, 시제품 제작, 3D 스캐 닝 및 역설계 ■    취급 제품 : Markforged Carbon 3D 프린터, Markforged Metal 3D 프린터, Solutionix 3D 스캐너 제이엔텍은 Markforged 3D 프린터 및 Solutionix 3D 스캐너의 국내 공식 대리점으로서 장비 판매는 물론 3D 프린팅 및 스캐닝 서비스 전문 업체이다. 자동차, 전자, 항공 우주, 의료, 주얼리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최적의 토털 3D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카본&금속 3D 프린터 등 독 보적인 기술력과 노하우, 최신의 장비 도입을 통하여 고객 여러분들께 최상의 가치와 만족을 제공할 것이다. 자이브솔루션즈 ■    문의 : 031-726-5076, https://jiveus.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및 3D 스캐닝 장비 공급 ■    취급 제품 : EnvisionTEC 3D 프린터, David 스캐너(SLS-2), Creaform 3D 스캐너 자이브솔루션즈(구 주원)는 자동차, 산업기기, 환경, 계측기기 분야 에 첨단장비를 보급해 왔다. DLP(Digital Light Processing) 기술에 대한 원천특허를 보 유하고 있는 독일 EnvisionTec의 장비와 금속파우더에 선택적으로 고출력 레이저를 조사, 소결하여 도포하는 공정의 Sintering 방식 의 장비를 판매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이 필요로 하는 3D 스캐 너 및 관련 소프트웨어 등 3D 프린팅 관련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지니코딩에듀 ■    문의 : 051-331-0110, http://jcodeedu.com ■    사업 분야 : 교육용 교재 및 교구 개발, 교육 콘텐츠 개발, 교육 전문 회사 ■    취급 제품 : 3D 프린터(A200, M250), 3D 펜(Jinie 3D pen), 코 딩 드론 외 다수 지니코딩에듀는 1998년 인컴정보로 출발하여 독보적인 콘텐츠와 교육 노하우로 무장한 교육기술전문 회사이다. 3D 프린터, 3D 펜(하 드웨어)와 아두이노, 인공지능(소프트웨어) 등 지식산업사회에 꼭 필요 한 교구제를 직접 연구, 개발, 제조하여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과 앞서가는 교육과정으로 학교, 학원, 공공기관 등에 직접 교육을 제공하 고 있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    문의 : 02-3016-2000, www.plm.automation.siemens. com/global/ko/ ■    취급 제품 : Solid Edge, Siemens NX 등 3D 설계 소프트웨어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세계적인 PLM, 제조 운영관리 소프트웨어(MOM; Manufacturing Operations Management), 시스템 및 서비스 공급업체다. 미국 텍사스주 플라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이 회사는 기업이 지속적 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구현을 위해 고객들과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창성 ■    문의 : 032-450-8770, http://changsung.com ■    사업 분야 : 전장/PC/모바일용 전기전자부품과 소재사업, 금속분 말/기능성 소재/흡수·방열 소재/접점소재/전력변환용 소재 및 부품의 제조·판매 ■    취급 제품 : 3D 프린팅용 금속분말, 분말자성코아, 인덕터, 기능성 페이스트, 차폐·방열시트, 클래드 메탈, 기능성 소결부품 1980년 창립된 창성은 금속분말 제조기술을 개발한 금속소재 전문 기업이며, 자체 보유기술을 융·복합하여 기능성 페이스트, EMC(전자 파차폐재/방열재), 클래드메탈, 분말자성코아, 코일(인덕터)까지 다양 하게 그 사업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기차와 신재생 에너지용 부품 공급에 집중하고 있다. 금속분말에 대한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3D 프린팅 산업 초기부터 3D 프린팅용 금속분말에 대응해 왔으며, 현재 Fe계, Ni 계, Co계 등 다양한 조성의 분말을 안정된 품질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 중 치과 의료용 Co계 합금은 KGMP 인증 과 함께 양산 납품이 진행중이며, Ni계 고온소재 또한 항공부품용으로 양산대응 중이다. 창성은 3D 프린팅 산업의 활성화에 일조하고자 3D프린팅 산업에 최적화된 금속분말 제조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 ■    문의 : 02-3450-0700, www.canon-bs.co.kr ■    사업 분야 : 복합기/사무기기/프린터 ■    취급 제품 : 마브(MARV) MW15 / GB15(조달제품)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이하 CKBS)은 앞선 기술력과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선진 오피스 환경을 리드하며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소형 계산기에서부터 복사기, 팩스,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복합기는 물론 디지털 상업인쇄, 리테 일 포토 등 풀 라인업을 갖추고, 모든 사무기기에 있어 속도와 품질, 디 자인과 성능의 혁신을 선보이고 있다. CKBS는 모든 첨단 디지털 사무 기기의 제공으로 새로운 오피스 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캐리마 ■    문의 : 02-3663-8877, www.carima.co.kr ■    사업 분야 : DLP 3D 프린터 개발, 제조, 수출, 유통 판매, 기술교육, 3D 프린팅 서비스, 3D 스캐닝 서비스, 3D 역설계 ■    취급 제품 : 3D 프린터 : DM250K, DM400a, IMD, IMC, TM4K 등, 3D 스캐너 : 전신 3D 스캐너, FACE 전용 3D 스캐너 등 캐리마는 전 세계의 3D 프린팅 시장을 선도하는 국내 최초의 DLP 프린터 기업으로서 20년간 지속적인 DLP 3D 프린터 및 친환경 레진 소재 연구 개발과 최고 수준의 기술로 3D 프린팅 솔루션 시장에 기술적, 산업적 기여를 하고 있다. 현재 미국, 일본, 러시아 등 해외 15개국에 3D 프린팅 솔루션을 수 출 및 지원하며, 선진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으며, 캐리마는 대한민국의 미래지향적 접근으로 4차 산업혁명에 기술강국 위상을 높 이기 위해 대중화 및 세계화에 노력하고 있다. 2020년 신제품 DM250K, DM400a 제품과 업그레이드된 IMD, IMC, TM4K 제품으로 고객에게 낮은 자세로 함께 연구하고, 함께 이 윤 창출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 아울러 3D 스캐너 FARO inc와 리 셀러 협약으로 3D 토털 솔루션 지원사업과 자사 개발한 전신 3D 스캐 너 및 FACE 전용 3D 스캐너 론칭으로 광학 엔진 분야에 세계적 선도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케이랩스 ■    문의 : 052-283-4296, www.klabs.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개발, 제작, 판매, 역설계, 시제품 제작 ■    취급 제품 : COBEES3, SHARK PLUS, SHARK-D, SHARK MEGA 케이랩스는 3D 프린터 전문회사로 부담없이 사용가능한 보급형 3D 프린터 COBEES 시리즈와 전문가용 3D 프린터 SHARK 시리즈의 꾸준한 개발과 판매에 이어 기업이나 연구소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고 객 맞춤형 3D 프린터도 개발, 제작하고 있다. 또한 3D 프린터와 연계 한 시제품 및 개발품 제작, 역설계 및 R&D 수행 등 상품 개발을 위한 전 과정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케이에이엠아이(KAMI) ■    문의 : 02-6670-4114, www.kami.biz ■    사업 분야 : 금속 3D 프린팅 장비 판매, 제작 서비스 ■    취급 제품 : 금속 3D 프린터 레이저 큐징(Laser CUSING) 케이에이엠아이(KAMI)는 금속 3D 프린터인 독일 컨셉 레이저(現 GE Additive member company) 국내 독점 대리점으로, 사내에 Mlab R, M2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벤치마크 테스트 및 장비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케이엔씨 ■    문의 : 031-8033-0310, www.knckorea.kr ■    사업 분야 : SLS 3D프린터, 마이크로 EDM 3-5축 가공기, 소프트 웨어 ■    취급 제품 : 산업용 금속 및 플라스틱 3D 프린터, 소형 데스크톱 3D 프린터, 레이저 및 잉크젯 방식 사형 3D 프린터 케이엔씨는 EOS GmbH, Sinterit, Sarix 및 Dyemansion, materialise 등 SLS 방식의 3D 프린터와 마이크로 EDM 3-5축 가 공기, 후처리 장비, 소프트웨어 등을 국내에 소개하고 기업의 기술과 경제적 효율성을 위해 도입 및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 시스템·소프트웨어 컨설팅 및 시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케이티씨 ■    문의 : 0505-874-5550, http://kvox.co.kr, http://ktcmet.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3D 프린터 재료 공급 ■    취급 제품 : VX1000, VX1000- HSS, VX2000, VX4000, ATOMm-4000, ATOMm-8000 케이티씨(KTC)는 3D 프린터 판매부터 시제품 제작까지 토털 솔루 션을 제공하고 있다. 코보트 ■    문의 : 031-492-9333, www.kobot.co.kr ■    사업 분야 : FFF방식 3D프린터 및 FFF 방식 출력물 표면 적층 훈증식 후처리기 ■    취급 제품 : 뽀샤시245, 뽀샤시250E, 뽀샤시500E, 뽀샤시1200, 뽀샤시액(표면처리시약) 코보트는 2014년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주문형 대형 FFF방식 3D 프린터 제작 및 출력물의 표면 적층을 매끄럽게 표면처리 해주는 장비 ‘뽀샤시’와 표면처리시약을 판매하고 있다. 30년 경력의 자동화기계관련 엔지니어가 창업하였으며, 현재 주물 주형용 목형 제작을 위한 3D프린터 및 표면처리 시스템을 개발 진행 중이다. 코보트는 3D프린터와 3D프린터 출력물의 표면 적층 훈증식 표면처 리기 전문 제조업체이며, 산업용 로봇 설계 및 제작을 하는 회사이다.   큐비콘 ■    문의 : 1661-4371, www.3dcubicon.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제조 및 판매 ■    취급 제품 : 3D 프린터(큐비콘 Style, 큐비콘 Style Plus, 큐비콘 Single Plus, 큐비콘 Style NEO) 큐비콘은 하이비젼시스템의 자회사로서 2015년 3D 프린터 브랜 드 큐비콘을 런칭하면서 설립되었다. 17년 독립법인으로 분사하고 모 회사의 핵심 역량 기술인 영상처리기술, 신호처리기술, 모션제어기술 을 바탕으로 FDM 3D 프린터부터 산업용 SLA 3D 프린터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제품을 제조 판매하며 3D Solution Provider로서 입 지를 다져 나가고 있다. 여러 신기술을 적용한 보급형 3D 프린터 공 급으로 이미 국내 누적 판매대수로 1만대 이상 기록하고 있고 글로벌 화에 따른 해외공급을 확대하고 있는 큐비콘은 4차 산업혁명의 중심 에서 모든 필요한 곳에 24시간 사용될 수 있는 3D 프린터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속의 큐비콘으로 발전해 나갈 계획 이다. 타이드 인스티튜트(TIDE Institute) ■    문의 : http://tideinstitute.org ■    사업 분야 : 글로벌 창업 문화 확산과 선도형 기술창업 지원 TIDE Institute(타이드 인스티튜트)는 과학기술(Technology), 상상력(Imagination), 디자인(Design), 기업가 정신 (Entrepreneurship) 네 가지 핵심요소의 최신 트렌드에 대한 정보 를 한국사회에 공유하고 글로벌 창업 문화 확산과 선도형 기술창업을 지원한다. 현재 TIDE Institute에서는 전국 각지에 디지털 제작공방을 운영 중이며 대표적으로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에 위치한 FabLab Seoul이 있다. FabLab Seoul은 전 세계에 300개가 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에선 최초이다. 이는 현재 전국 각지에 퍼져있는 무한상상 실을 비롯해 기타 오픈 메이커 스페이스의 롤모델이기도 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직접 위탁운영하기도 한다. 수원시 영통구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 위치한 셀프제작소를 운영 하고 있다. FabLab(Fabrication Laboratory)과 경기지방중소 기업청 셀프제작소는 3D 프린터와 LaserCutter 등 디지털 제작 장비(Digital Fabrication)을 사용하여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어렵지 않고 저비용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게끔 도와주고 있으며 이 중 3D 프린터를 이용한 시제품 제작은 전국의 모든 예비창업자들에게 큰 각광을 받 고 있다. 기존에는 엄청난 고비용과 전문 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던 시제품 생산들이 별도의 3D 프린터를 구매하지 않아도 Fab Lab Seoul과 셀프제작소를 통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에 이는 상당 한 자본이 있어야만 가능했던 제조 창업에 대한 장벽을 낮춰주고 있 다. 최근에는 가정용 3D 프린터뿐만 아니라 산업용 3D 프린터인 Projet 160 제품도 들여와 더 많은 시제품 제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탑쓰리디(TOP3D) ■    문의 : 070-8118-3230, www.top3d.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재료/ 원료, 3D PLA 필라멘트, 3D 기능성 PLA 필라멘트 ■    취급 제품 : PLA-Top/PLA-Ultra/PLA-Super/PLA- Normal Filament(색상: 반투명, natural, white, red, black, yellow 등 추가됨.) 탑쓰리디(TOP3D)는 다년간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고품질의 3D 프린터 전용 필라멘트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TOP3D 필라멘트는 PLA의 입체이성질체를 활용한 최적의 분자조합과 탑쓰리디의 분자구조제어시스템 및 친환경 첨가제의 개발 로 탄생한 세계적 수준의 3D 프린팅 원료로서, 소비자의 각종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티모스      ■    문의 : 02-6297-5750, www.thymos.co.kr ■    사업 분야 : 3D프린터( Stratasys, Makerbot, 큐비콘, 신도리코), 3D 스캐 너(Zeiss, Medit), 역설계 및 시제품 제작 서비스 ■    취급 제품 : 3D프린터(Stratasys, Makerbot, 큐비콘, 신도리 코), 3D 스캐너(Zeiss, Medit) 티모스는 3D 프린터와 3D 스캐너(Scanner) 판매 및 기술지원, 제 품 용역 서비스 등 제품 개발에서 검사까지 모든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티모스의 제품라인은 3D 프린터와 3D 스캐너 그리고 메이커스페이 스 구성 가능 제품으로 되어 있다. 3D 프린터는 전문가용 Stratasy제품과 보급형인 Makerbot, 큐 비콘, 신도리코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Stratasys) 제품은 기능성 Engineering Plastic인 ABS, PC, PC-ABS, Nylon, Ultem, PPSF 등을 사용할 수 있 는 FDM 시리즈의 3D 프린터와 액상의 합성 폴리머 소재를 분사하여 적층 함으로써, 단일 소재 뿐만이 아닌, 두 소재를 혼합하여 적층할 수 있는 기능 및 Full Color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모델을 보유한 Polyjet 방식을 공급하고 있다. 3D 스캐너는 자이스(Ziess) 및 메디트(Medit)사의 제품을 공급하 고 있다. 자이스의 핸디형 및 광학 제품과 메디트의 자동측정테이블이 탑재 된 광학식 스캐너는 시장경쟁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메이커 스페이스에 제공 가능한 다양한 제품의 라인업이 구축 되어 있다. TPC메카트로닉스 ■    문의 : 1588-5982, www.tpcpage.co.kr ■    사업 분야 : 공장 자동화(공압, 모션콘트롤, 3D 프린터, 협동로봇) ■    취급 제품 : FINEBOT(파인봇) 지난 40년 이상의 꾸준한 기술개발과 시장개척을 통하여 TPC 메카 트로닉스는 공장 자동화의 핵심부품인 공갑기기의 핵심부품인 공압기 기의 국내최대 생산업체로 입지를 확보하였고 모션콘트롤, 3D 프린팅, 협동로봇 사업 분야를 순차적으로 추가하여 2016년부터는 ‘스마트팩 토리 융합 솔루션’을 사업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스마트팩토리 융합 솔루션을 고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4차 산업혁 명이 시작된 급변하는 산업현장에서 고객들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고객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이 핵심 미션인 TPC는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하여 차별화된 솔루 션과 신속한 서비스를 고객들께 제공하여 4차 산업혁명의 변환기에 다 품종 소량생산의 환경 아래서도 고객들이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 도록 기여를 할 것이다. 트렌드서울 ■    문의 : 02-525-4530, www.trendseoul.com ■    사업 분야 : 적층제조 솔루션 및 교육 ■    취급 제품 : FaaS, FaaS_mini 트렌드서울은 FaaS Middleware 플랫폼 및 3D 프린팅 다중 제 어기술을 활용한 FaaS 기반의 다품종 소량생산 서비스(생산 엑셀레 이션), FaaS_mini 미니어처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FaaS 기반 다품종 소량서비스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들을 대 상으로 시제품 컨설팅에서 생산, 후가공 처리, 제품 검사 등 최적의 시제품 생산의 전과정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FaaS 미니어처 기반 스마트팩토리 교육 플랫폼은 기존 FaaS 스마 트팩토리 운영 하드웨어 플랫폼을 스케일 다운시켜 만들어진 교육용 라인으로, 실제 라인에 비해 비용적인 측면에서 실용적으로 라인을 구 성한 교육을 위한 플랫폼이다. 포던테크 ■    문의: 070-4286-3133, www.fordentech.com ■    사업 분야 : 3D프린터, 자동제어 ■    취급 제품 : 필라멘트 제조기, 펠렛, 필 라멘트 포던테크는 독일어의 Fordern(강화하다, 촉진시키다)의 뜻과 영어 tech(기술)이라는 뜻의 합성어로 강화된 기술 즉 신기술을 받아들여 일상에서 꼭 필요한 신제품을 강화시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미 래성장 동력의 하나인 3D프린팅의 핵심소재(재료인 필라멘트)를 실험, 개발, 생산 할 수 있는 필라멘트를 개발, 생산, 판매하는 회사이다. 적층형 3D프린터에서 필수 소모품인 필라멘트를 사용자가 직접 제 조해서 사용하는 필리봇(FILIBOT), 필리봇프로(FILIBOT PRO)와 출력된 필라멘트를 감아주는 권선기 즉, 필라스(FILAS)가 주력 제품 이다. 이외 원료(PELLET), 특수 필라멘트 등이 있다. 필리봇프로 (FILIBOT PRO)는 △여러 소재의 혼합 압출 가능 △23~600℃ 빠 른 온도 전환 △생성된 재료의 품질을 위한 순간 냉각 장치, 굵기 측정 센서 장치의 장착 등의 특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도 보유한 상태이다. 또한 본 제품은 해외 선진국 시장은 물론 저 개발 도상국가에서도 산업의 핵심인 소재를 개발하는 목적으로 적합 하다. 포디게이트 ■    문의 : 02-542-3995, www.4d-gate.com ■    사업 분야 : 3D 스캐너 정밀형수입사, 3D 스캐너 광대역수입사, 사진계측 소프트 웨어, 3D 스캐닝, 3D 프린터&3D 프린팅 출력 ■    취급 제품 : 캐나다 POLYGA, 미국 FARO, 한국HRCLS300, HRCLS400 포디게이트는 국내에 12년 이상의 스캐닝 프린팅 솔루션을 국내에 공급하는 회사이다. 아울러 3D 프린팅 및 스캐닝 관련 노하우 및 3D 스캔, 프린팅 종합 컨설팅이 가능한 회사이다.   포머스팜 ■    문의 : 070-4837-1137, www.formersfarm.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제조, 프린팅 서비스 ■    취급 제품 : Sprout, Sprout Mini 포머스팜은 국내 기술력을 바탕으로 PineTree, Sprout, Sprout Mini까지 보급형 FDM 방식의 3D 프린터를 개발 및 판매하고 있다. 우수한 제품 설계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프린팅 품질에서 우수한 평가 를 받고 있으며, 젊은 기업다운 성실한 AS로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퓨전테크놀로지 ■    문의 : 031-342-8263, www.fusiontech.co.kr ■    사업 분야 : 산업용 3D 프린터 판매, 출력 서비스, 소프트웨어 교육, 소프트웨어 판매 및 소재 판매 ■    취급 제품 : SLM Solutions사의 금속 3D 프린터 라인업, Farsoon Technologies사의 산업용 플라스틱 SLS 3D 프린터 라인업, J.H TECH.ELECTRONIC (GZ) LTD사의 산업용 Qubea SLA 3D 프 린터 라인업, Raise3D사의 FDM 3D 프린터 라인업, 메디컬 엔지니 어링 소프트웨어(Materialise Mimics innovation Suite, 3-matic), 위상최적화 소프트웨어(solidThinking INSPIRE) 퓨전테크놀로지는 업력 25년 이상의 전문가인 김인명 대표가 이끄 는 국내 산업용 3D 프린팅 토털솔루션 회사이다. 1991년 SLA 방식 의 3D 프린터를 국내 최초로 도입하여 산업체에 컨설팅하고 납품한 경험을 기반으로, 현재는 SLM, SLS, SLA 방식의 산업용 3D 프린 터를 국내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교 및 의료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프로메테우스 ■    문의 : 02-6929-4117, www.promet.co.kr ■    사업 분야 : 제작서비스, 기구설계, 3D 프린팅 컨설팅, 3D 프린팅 교육 ■    취급 제품 : 제품제작서비스(3D 프린팅, CNC, 진공주형, 기구설 계, 후처리), 3D 프린팅 컨설팅, 3D 프린팅 교육사업 프로메테우스는 3D프린터 토탈 솔루션 공급 업체로서 업계를 선두해온 프로토텍의 자회사이다. 2004년 이후 줄곧 최고의 3D 프린터 판매/유지보수 업체로 시장에 자리매김한 프로토텍은, 동 시에 전문화된 3D프린팅 서비스도 제공해 왔다. 2013년 정밀공학회 생산기술상, 2016년 AS9100인증, 2017년 기술평가우수기 업인증 등 끊임없이 혁신해 왔다. 프로메테우스는 이를 발전적으 로 이어받아, 전문화된 제작 서비스를 부각하고 더욱 강화시키고 자 설립되었다. 프로메테우스는 3D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CNC, 진공주형, 스캐닝/역설계, 후처리까지 전문화된 토탈 제작 서비스를 제공한 다. Stratasys의 Global Manufacturing Network(GMN) 멤버로서 세계적 서비스 또한 가능하다. 특히 3D프린팅 기술은 새 로운 제조방법으로서, 제조 현장의 생산성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극 대화하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해외에서는 자동차, 항공, 소비재, 의료, 교육, 예술 등 모든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면서 기업/ 기관의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프로토텍 ■    문의 : 02-6959-4113, www.prototech.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3D 스캐너 판매, 시제품 제작 서비스, 3D 프린팅 관련 소프트웨어 ■    취급 제품 :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터, 금속 3D 프린터(TRUMPF, Desktop Metal), 3D 스캐너, 3D 프린팅 서비스 3D프린팅 토털솔루션 기업 프로토텍은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제조 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프로토텍은 20여년 넘게 3D프린팅 관련 서비스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3D프린터기업 스트라타시스(Stratasys)의 국내 최대 파트너사로 서 FDM 및 PolyJet 방식 3D프린터 판매와 기술지원을 책임지고 있 으며,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3D프린팅 컨설팅을 책임진다. 솔루션 확장을 위해 TRUMPF, Desktop Metal사와 금속 3D프린터 국내 총판 계약도 체결했다. 초소형 스캐너부터 광대역 스캐너까지 다양한 3D스캐너와 역설계 소프트웨어 솔루션도 공급하고 있다. 또한 프로메테우스 자회사를 설립하여 전문적인 제작 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으며, GMN(Global Manufacturing Network) 멤버로 서 업계 최초 AS9100 인증을 받았다. 프로토텍은 업계 최대의 전문 인력이 최고의 컨설팅 능력으로 고객 맞춤형 제안을 해드리고 있으며, 고객만족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고 객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충실한 파트너가 되고자 한다.   플러스플라스틱 ■    문의 : 02-6453-5575, www.plusplastic.com, www. byrhino3d.com ■    사업 분야 : 디지털 디자인 소프트웨어 공급, 개발 ■    취급 제품 : Rhinoceros, KeyShot, Vray 등 디자인 소프트웨어 및 3차원 프린터 플러스플라스틱은 디지털 디자인 전문기업으로 제품디자인 및 설 계, 건축설계, 역설계, 커스텀 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Rhinoceros를 디자인 플랫폼으로 3D모델링, 렌더링, 3D제 작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어도비(Adobe)의 그래픽 소프트웨어, 마이 크로소프트의 OS, 사무용 소프트웨어 등 디자이너(제품, 건축, 주얼 리, 기계 등)에게 필요한 디지털디자인 솔루션을 공급하며, 라이노를 기반으로 고객 요구에 따라 플러그인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PTC코리아 ■    문의 : 02-3484-8000, www.ptc.com/ko/ ■    사업 분야 : IoT, PLM, CAD, ALM, SCM, SLM ■    취급 제품 : ThingWorx, Creo, Windchill, ThingWorx Navigate, ThingWorx Studio, PTC Mathcad 등 PTC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IoT 및 AR 플랫폼 과 비즈니스 현장에서 성능을 증명한 다양한 솔루션을 통해 물리적 세계 와 디지털 세계를 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86년 PTC는 디지털 3D 설계의 혁신을 일으켰고, 1998에는 인터넷 기반 PLM을 최 초로 출시한 바 있으며, 현재 스마트 커넥티드 프로덕트, 운영 및 시스템 을 위한 기술 플랫폼 및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공급하고 있다. 한국기술 ■    문의 : 1899-8731, www.ktech21.com ■    사업 분야 : 산업용 및 전문가용 3D 프린터와 3D 스캐너 장비 판매, 3D 소프트웨어 판매, 기술지원, 시제품 제작 서비스, 3D 프린팅 융합 교육 ■    취급 제품 : 3D시스템즈 산업용 메탈/SLS/SLA 3D 프린터와 전문가용 MJP/CJP 3D 프린터 한국기술은 ISO/ASTM52900-15에 따른 7가지 공식 3D 프린 팅 방식 중 6가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3D시스템즈와 국내 독점 대리점 계약을 1990년에 체결하고 국내 최초로 산업용 SLA 3D 프린 터를 보급한 이래, 30년간 3D 프린팅 솔루션 전문 업체로 자리잡아 왔다. 1990년부터 한국 300여 개 이상의 기업과 정부기관 및 교육기 관에 3D 프린터 공급을 하였으며 현대자동차 그룹, GM자동차, 삼성 전자, LG전자 등의 납품업체로 성장했다. 10명의 숙련된 전문 엔지니 어를 보유하고 있으며 철저한 사전/사후 서비스 체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아카이브 ■    문의 : 02-558-8114, www.hankooka.com ■    사업 분야 : 3D분야 토털 솔루션 공급, 치기공 분야, IT 공공 사업분야 ■    취급 제품 : 3D Systems 3D 프린터, Actify, Artec, 3Dconnexion, Roland 한국아카이브는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이 요구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업체로서 착실한 성장을 해오고 있으며, 각 관련분야 국 내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3D Systems의 3D 프린터(쾌속 조형기, RP)뿐만 아니라 연관되 는 3D Visualization을 위한 Actify의 제품, 3D Data의 Motion Control을 위한 3Dconnexion의 제품, Roland의 3D 밀링과 3D 스캐너 제품, 3Shape의 정밀 3D스캐너, SensAble의 촉각 모델링 시스템, 디지털 치기공솔루션까지 3D분야의 다양한 솔루션을 연구, 개 발 및 제공하고 있다. 그 동안 고객의 성원 속에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보다 통합되고 가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만족하지 않고 국내 산업발전과 고객의 성공을 위해 계속해서 솔루션을 연구, 개발 및 발전 시켜 나갈 것이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    문의 : 02-530-8000, www.adobe.com/kr ■    사업 분야 : 소프트웨어 ■    취급 제품 : 어도비 포토샵 CC(Adobe Photoshop CC) 어도비는 떠오르는 신예 아티스트에서부터 글로벌 브랜드에 이르는 다양한 고객들에게 디지털 콘텐츠를 창작하고 이를 통해 최고의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하고 있다.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Adobe Creative Cloud)는 세계 적인 크리에이티브 데스크톱 앱, 모바일 앱, 그리고 어도비 스톡 (Adobe Stock)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의 모든 기능은 CC 라이브러리(CC Library)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데스크톱과 모바일 기기를 아우 르는 크리에이티브 워크플로우가 제공되어 사용자들이 보다 손쉽게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어도비 포토샵(Photoshop), 일 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인디자인(InDesign) 등의 크리에이티 브 클라우드 앱으로 최고의 작품을 제작 가능하다. 크리에이티브 클 라우드의 가치는 제품 업데이트와 신기능을 통해 끊임없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ATC센터 ■    문의 : 1588-0163, www.eatc.co.kr ■    사업 분야 : 민간자격증 한국ATC센터는 1995년 11월 17일 설립되어 ATC 자격시험 (AutoCAD, 3dsMax, Inventor)을 매월 2, 4주 토요일에 시행하고 있다. 연간 3만 명 이상이 응시하고 있는 민간자격시험으로 다양한 분 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3D 프린터 관련 기술자격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엠에스씨소프트웨어 ■    문의 : 031-710-7611, www.mscsoftware.com/kr ■    사업 분야 : CAE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제공 ■    취급 제품 : MSC Nastran, Adams, Marc 등 다양한 분야의 전 문적인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제공 한국엠에스씨소프트웨어는 제품개발 단계에서 여러 환경과 조건 하 에 발생할 수 있는 현상들에 대해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툴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시제품 제작과 테스트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 함과 동시에, 설계의 최적화와 혁신적인 제품개발을 돕고 있다. 현우데이타시스템 ■    문의 : 02-545-6700, www.3dinus.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    취급 제품 : EOS P-Series, M-Series 1987년 설립된 이래, 미국 데이터카드(DataCard)의 카드 시스템 (Card System)으로 데이터 관리시스템 보급을 선도하며 고객의 신 뢰를 쌓아오고 있다. 2013년 독일의 EOS GmbH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3DINUS의 브랜드명으로 국내 3D 산업시장에 진출했다. 30여년 간 쌓아온 시스템 기술 분야의 독자적인 노하우와 경험을 접목 하여 소프트웨어와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헵시바 ■    문의 : 032-509-5814, www.hebsiba.co.kr ■    사업 분야 : 냉난방기제품, 신재생에너지, 3D프린터 ■    취급 제품 : 산업용 에어컨, 히터, 태양광인버터, 3D프린터 헵시바는 1986년 전자컨트롤 기술을 내세워 설립되었으며, 90년대에는 대기업 가전제품의 컨트롤러 개발과 이보클라의 치과관련장비의 개발과 납품을 하기도 했다. 제어기술을 바탕으로 OEM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특수냉난방기와 전력변환인버터의 개발 제조의 강소기업으로 성장했다. 2012년부터는 Veltz3D 브랜드로 3D프린터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 작하여, 정부과제 ‘맞춤형 치과 3D프린팅 장비 소재 개발사업’의 컨소 시엄을 주관사에 선정되어 3D프린팅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과제 2년차 만에 상용화에 성공하고 지난 1년간 호실적을 거두며 성 공적으로 치과업계에 진출했다. 특히 덴탈 분야의 장비와 소재, 소프트웨어의 융합에 집중하면서 3D프린팅 산업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올해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 춘 제품출시를 통해 해외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황금에스티 메트롤로지 사업부 ■    문의 : 02-6121-4671, http://metro.hwangkum.com ■    사업 분야 : 3D 스캐너, 검사자동화 장비, 면품질검사 장비, 갭단차 측정 장비, 측정 서비스용역, 소프트웨어 ■    취급 제품 : T-SCAN CS, T-SCAN LV(자이스 옵토테크닉사의 레이저 주사식 3D스캐너), COMET 6 8M/16M, COMET L3D(자 이스 옵토테크닉사의 패턴 주사식 3D스캐너), ABIS(자이스 옵토테크 닉의 면품질검사 장비), CO MET Au t o mat ed, T- SC AN AUTOMATION(자이스 옵토테크닉사의 치수검사자동화 장비), 소프 트웨어(PolyWorks, Geomagic). 황금에스티는 2015년 6월)는 세계적인 기업(자이스)과 전략적인 합병 을 한 후 자이스 옵토테크닉(Carl Zeiss Optotechnik GmbH)으로 회사 명칭이 변경 되었고 3차원 측정기 부분의 혁신적인 발전을 예고하고 있다. 황금에스티 메트롤로지 사업부는 독일 스타인비클러 (STEINBICHLER)와 자이스(ZEISS)가 합병해서 만든 후 자이스 옵 토테크닉(Carl Zeiss Optotechnik GmbH)의 공식 인증공급 업체 이다.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수검사, 역설계, 품질관리를 위한 자동화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우주항 공, 전자, 중공업, 군수산업 분야의 개발단계에서 양산에 이르기까지 산업전반에 3Ds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HP ■    문의 : 02-780-6200, www8.hp.com/kr ■    사업 분야 : UV DLP 3D 프린터 개발 및 제조, 판매 ■    취급 제품 : HP Jet Fusion 4200, HP Jet Fusion 5200, HP Jet Fusion 580/540 HP는 워크스테이션에서 3D 프린팅에 이르기까지 제조의 미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과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 신규 추가 업체 크렐로 ■ 문의 : 02-565-7074, https://creallo.com ■ 사업 분야 : 온라인 제조 서비스 ■ 취급 서비스 : 3D 프린팅, 진공주형, CNC가공, 판금가공, 플라스틱 사출 크렐로는 온라인 제조 서비스를 통해 3D프린팅, CNC, 판금, 진공주형, 금형 사출 등 다양한 생산 기술을 활용, 시제품 1개부터 대량 생산까지 개인 및 기업들이 바로 제조를 시작할 수 있는 빠르고 안정적인 제조 인프라를 제공한다.  또한, 자체 개발한 AI 기술로 설계 파일의 생산 가능성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견적과 납기일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견적 산출부터 주문까지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에 위치한 제조 시설을 중심으로 긴급 생산 대응, 현지 생산자 파트너십 관리, 부품 소싱, 품질 그리고 배송을 관리하고 있다.   * 3D 프린팅 업체 리스트 파일 첨부     제작 : 캐드앤그래픽스 출처 : 3D 프린팅 가이드 V4 상세보기 https://www.cadgraphics.co.kr/newsview.php?pages=lecture&sub=lecture01&catecode=7&num=67585  
작성일 :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