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트랜시버"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23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마이크로칩, 산업 자동화 위한 기가비트 이더넷 트랜시버 출시
마이크로컨트롤러, 혼합 신호, 아날로그 반도체 및 플래시-IP 솔루션 분야의 기업인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핵심 산업 프로세스의 동기화를 위해 정밀 타이밍 프로토콜(PTP)용 IEEE 1588v2 표준을 준수하는 LAN8840 및 LAN8841 기가비트 이더넷 트랜시버 디바이스를 공개했다.  LAN8840/41 이더넷 디바이스는 리눅스 드라이버를 기반으로, 10BASE-T, 10BASE-Te, 100BASE-TX 및 1000BASE-T를 포함해 이더넷 속도에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LAN8840/41 디바이스는 다양한 구성요소 간의 네트워크 대기시간을 결정하고 이를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의 시간과 동기화하는 고속 타임 스템프 기능을 통해 패킷 우선 순위의 중요도 지정을 보다 쉽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로보틱스(로봇공학), 분산 센서, 냉각 및 혼합 시스템과 같이 정밀한 제어 생산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에서 특히 중요하다. 강력한 애플리케이션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LAN8840/41 디바이스는 섭씨 영하 40도부터 영상 105도까지 동작 가능한 산업용 온도 표준에 부합한다.     LAN8840/41은 네트워크의 전력 소비를 줄여 기업이 지속가능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웨이크 온 랜(WoL : Wake-on-LAN) 및 에너지 감지 전원 종료 모드(EDPD : energy-detect power-down mode)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에너지 효율 이더넷(EEE : Energy-Efficient Ethernet)은 최선의 소비전력 성능을 위해 저전력 대기(low-power idle) 및 클럭 정지(clock stoppage) 모드를 제공한다. 마이크로칩은 새로운 LAN8840/41 디바이스가 가스 및 화학 공정, 배전,외환 거래시스템 등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및 밀리초(ms) 단위까지 표시한 협정 세계시를 기반으로 한 정확하고 정밀한 타임 스탬프 기능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적합한 제품이라고 밝혔다. 한편, LAN8841 이더넷 개발 시스템(EDS : Ethernet Development System) 도터카드는 호환 가능한 마이크로칩 호스트 보드에 모듈식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EDS 도터카드를 PCIe 네트워킹 어댑터와 함께 사용하면, PCIe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모든 호스트를 통해 LAN8841을 평가할 수 있다. 정밀 타이밍 프로토콜(PTP4L : Precision Timing Protocol)을 지원하는 리눅스 드라이버는 마이크로칩의 깃허브(GitHub) 저장소에 있는 LAN8841용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칩의 찰스 포니(Charles Forni) USB 및 네트워킹 사업부 부사장은 “새로운 LAN8840/41 싱글포트 트랜시버는 프로세스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의 종단간 노드에 대한 커넥티비티를 제공함으로써 마이크로칩의 고정밀 시간 네트워킹(Time Sensitive Networking) 제품을 완성시켜 준다”라며, “이 디바이스는 마이크로칩이 제공하는 다양한 부품, 개발 도구 및 지원을 하나로 잇는 종단간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해 기존 마이크로칩 이더넷 포트폴리오를 보완한다”고 설명했다.
작성일 : 2022-11-11
내쇼날인스트루먼트, 5G NR 디바이스용 테스트 시스템을 개발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이하 NI)가 스파이런트 커뮤니케이션과 손잡고 5G NR(New Radio) 디바이스용 테스트 시스템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5G 칩셋, 디바이스 제조업체들은 이 시스템을 통해 고가의 복잡한 5G 기지국(gNodeBs)을 활용하지 않고 실험실 환경에서 5G NR 스마트폰 및 IoT 디바이스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 스파이런트 커뮤니케이션은 5G 성능 솔루션 개발에 NI의 SDR(Software Defined Radio) 제품을 채택했다. 스파이런트는 NI의 USRP(Universal Software Radio Peripheral) 장치와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을 채택해, 모바일의 위치, 영상, 데이터, 오디오, 통화 성능을 측정하는 5G NR 테스트 시나리오를 적용할 예정이다. 스파이런트 커뮤니케이션의 롭 반브런트(Rob VanBrunt) 커넥티드 디바이스 사업부 총괄이사는 "NI는 5G 연구 및 프로토타이핑에 조기에 성공함으로써 플랫폼 모듈화를 접목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초기 상호운용성을 가속화했다. 이를 통해 우리 고객들도 플랫폼이 5G 규격 진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됐다”며, “5G 테스트 엔지니어들은 이미 NI의 표준 플랫폼이 유연하고 강력한 하드웨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고객들은 NI의 시그널 프로세싱이 접목된 스파이런트 8100 플랫폼을 통해 한층 강화된 제품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18-10-29
한국NI, ‘세미콘 코리아 2018’에서 반도체 테스트 통합 솔루션 공개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com/korea, 이하 NI) 가 오는 1월 31일부터 2월 2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반도체 산업 전시회 ‘세미콘 코리아 2018(SEMICON KOREA 2018)’에 참가하여 반도체 테스트 통합 솔루션과 데모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NI는 반도체 테스트 비용을 절감하고, 테스트 시간을 단축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측정 정확성을 제공하는 최신 솔루션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NI의 플랫폼 기반 방식은 특성화에서 양산 테스트에 이르기까지 테스트 전 과정에 걸쳐 전 과정에 걸쳐 고성능과 효율성을 보장하며, 각종 문제점들을 손쉽게 해결해 주는 확장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하는 PMIC(Power Management IC) 테스트 솔루션은 모바일, 웨어러블, IoT 등의 저전력 디바이스를 위한 특성화 테스트를 제공한다. 이 제품은 NI PXI SMU 기반의 자동화 테스트를 통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NI의 대표적 솔루션인 NI STS(Semiconductor Test System)는 반도체 양산 테스트 환경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통합 플랫폼이다. 1,500개 이상의 모듈형 계측기를 기반으로 유연한 테스트 솔루션 구축을 지원하며, 개발부터 양산까지 동일한 PXI 플랫폼을 사용하므로 개발 시간을 대폭 단축해준다. 또한 4.5G/5G 테스트 솔루션인 PXI 벡터 신호 트랜시버(Vector Signal Transceiver)는 세계 최초로 1GHz 대역폭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5 종류의 계측기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향상된 대역폭, EVM 성능, FPGA을 갖춰 4.5G 및 5G 를 지원하는 RF FEM(Front End Module) 테스트에도 적합하다.이외에도 장비 운영 시간 극대화를 위한 예지보전과 비용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구현하는 반도체 공정 장비 모니터링 솔루션과, 개발과 양산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NFC(Near Field Commnunication) 테스트 솔루션 등을 데모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NI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담당 권순묵 대리는 “NI는 비용, 확장성, 설계, 장비의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고성능의 스마트 솔루션을 제공하여 아날로그, 혼합신호, RF 테스트의 강화된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다”라고 말하고, “이번 행사를 통해 고객들이 테스트 및 측정 산업의 글로벌 리더인 NI의 최신 반도체 테스트 장비들을 체험하면서 NI의 기술력을 직접 확인하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18-01-29
맥심, 두 배 빠른 데이터 전송 지원 트랜시버 신제품 출시
▲MAX22500E/1E/2E RS-485 트랜시버 블록 다이어그램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www.maximintegrated.co.kr)가 ‘MAX22500E’, ‘MAX22501E’, ‘MAX22502E’ RS-485 트랜시버(transceiver) 신제품을 출시했다. 맥심의 새로운 트랜시버 시리즈는 데이터 전송률을 두 배 높이는 동시에 케이블 수용 거리를 최대 50% 연장시킨다. 모션(motion) 컨트롤 시스템은 장거리 통신에서 높은 정확도를 위해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보다 긴 케이블 수용 거리가 요구된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리고 케이블 수용 거리가 짧으면 모션 컨트롤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MAX22500E/MAX22501E(반이중∙half-duplex)와 MAX22502E(전이중∙full-duplex) ESD(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RS-485/RS-422 트랜시버는 50미터 구간에서 100Mbps(100미터는 50Mbps) 최대 속도를 지원한다. 다양한 모션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용 케이블을 통해 100Mbps 업계 초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고, 정확하고 경제적이며 견고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한다. MAX22500E, MAX22502E에서 설정 가능한 프리엠파시스(pre-emphasis) 기능은 경쟁사 대비 2배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 인코더 해상도를 높이고 지연(latency)을 줄여준다. 이 기능은 장거리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케이블 수용 거리를 최대 50%까지 확장할 수 있다. 250mV인 대형 리시버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는 EFT에 뛰어난 견고함을 제공한다. 맥심 솔루션은 유연한 저전압 공급 인터페이스로 전압을 1.6V까지 낮춘다. 시그널 통합 및 견고함을 개선해 더 저렴한 케이블을 사용해도 기존과 동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맥심 트랜시버는 소형 8∙10∙12핀 TDFN(Thin-DFN) 패키지로 구성돼 제품 크기를 소형화한다. 이 솔루션은 섭씨 -40도에서 +125도 범위에서 작동한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데이터빈스(Databeans)의 수지 이누예(Susie Inouye) 리서치 디렉터는 “맥심 RS-485 트랜시버는 산업∙모터 컨트롤 시장에 대한 맥심의 투자와 관심을 잘 보여준다. 맥심이 고객의 문제 해결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고 밝혔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의 티모시 렁(Timothy Leung) 인더스트리∙헬스케어 담당 수석 비즈니스 매니저는 “맥심은 고객의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위해 유연성과 뛰어난 성능을 갖춘 솔루션을 제공한다”며 “맥심 솔루션은 인프라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하드웨어에서 집적회로(IC)를 교체하도록 지원한다. 최종 고객도 이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전송률과 케이블 수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7-12-05
NI, ADAS와 자율주행차를 위한 안전성 및 신뢰성 테스트 시스템 향상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com/korea, 이하 NI)가 새로운 차량 레이더 테스트 시스템(Vehicle Radar Test System, 이하 VRTS)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VRTS를 사용하여 엔지니어들은 개별 레이더 센서부터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까지 대규모 생산 테스트의 R&D 실험에서 개발된 76~81 GHz 레이더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다. VRTS는 고급 시스템 통합 및 지원을 제공하는 NI 얼라이언스 파트너(NI Alliance Partner)를 통해 제공된다. VRTS에는 NI의 mmWave 프런트 엔드 기술, PXI 벡터 신호 트랜시버(VST), 애플리케이션 특정 소프트웨어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기능 동작 테스트용으로 장애물 생성만 가능한 기존 자동차 레이더 시뮬레이터와 달리, VRTS는 동적 장애물 생성과 종합 RF 특성 측정을 위해 설계된 76–81 GHz 벡터 신호 생성기/분석기를 갖추고 있다. 엔지니어들은 기존 테스트 기법과 HIL(Hardware-in-the-Loop) 테스트 기법이 모두 포함된 레이더 테스트에서 보다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자율주행 기술을 제공하여 진화하는 규제 요건을 준수할 수 있다. NI는 하이레인 테크놀로지(Hirain Technologies), 콘라드 테크놀로지(Konrad Technologies), 링크트론(Linktron), 놉츠 컴퓨터 테크닉(Noffz Computer Technik)을 비롯한 VRTS 전문 파트너를 통해 VRTS를 배포할 예정이다. VRTS 전문 파트너는 고객 요구사항을 정확히 충족시키도록 맞춤형으로 설계된 고급 레이더 테스트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콘라드 테크놀로지의 설립자 겸 CEO이자 ADAS IIT(Innovation in Test) 컨소시엄의 공동 설립자인 마이클 콘라드(Michael Konrad)는 “콘라드는 VRTS를 사용하여 업계 최첨단 ADAS 테스트 시스템을 구성하고 차량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며, “랩뷰(LabVIEW)의 사용 편의성이 결합된 PXI의 고급 동기화 기능을 통해 GNSS, 레이더, 카메라, 라이더까지 통합된 최첨단 센서 융합 환경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7-11-28
맥심, 오므론(Omron)에 ‘MAX14827A’ IO-링크 듀얼 채널 트랜시버 공급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www.maximintegrated.co.kr)가 자동화 기술 업체 오므론 코퍼레이션(Omron Corporation)에 맥심 ‘MAX14827A’ 듀얼 IO-링크(IO-Link)를 공급했다. 맥심의 고성능 MAX14827A는 IO-링크 센서를 이용해 유지보수 시간은 줄이고 가동 시간은 늘려 준다. 경쟁 제품과 비교해 열 방출이 50% 이상 적고 기존 솔루션 중 크기가 가장 작다. MAX14827A를 통해 오므론 고객은 생산 현장에서 지속적인 진단과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IO-링크는 유럽이 빠르게 도입하고 있는 표준 IO 기술이며 일본에서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각종 공장 센서와 설비를 디지털 통신으로 원활하게 연결해 스마트 공장을 실현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IO-링크의 중요성을 인식한 맥심은 MAX14827A IO-링크 듀얼 채널 트랜시버를 포함한 다양한 관련 제품을 개발해 왔다. 오므론은 주로 광전자 센서와 근접 센서에서 IO-링크 시리즈를 확장하고 있다. 오므론 IO-링크 센서는 개별 식별 확인 기능, 이상 현상 탐지 및 상황 모니터링이 가능한 고유 기능을 갖췄다. 이를 통해 장애 시간과 갑작스런 고장 발생 빈도를 줄이고, 구성 변경 시 효율성을 높이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중요 데이터를 수집해 설비 운영을 안정적으로 하고 생산 시설을 더욱 스마트하게 만들어 준다. 설비자동제어장치(PLC) 및 기타 뛰어난 컨트롤러와 함께 마스터 장치를 통한 이더캣(EtherCAT)을 이용한다.
작성일 : 2017-07-26
NI, 2세대 벡터 신호 트랜시버의 기저대역 모델 발표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com/korea, 이하 NI)는 2세대 벡터 신호 트랜시버(VST)의 기저대역 모델을 발표했다. PXIe-5820 모듈은 1 GHz 복합 I/Q 대역폭을 제공하는 업계 최초의 기저대역 VST로, 가장 까다로운 RF 프런트엔드 모듈과 ET(Envelope Tracking), 디지털 전치 왜곡(Digital Pre-Distortion), 5G 테스트와 같은 트랜시버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NI의 RF 및 와이어리스 부사장인 찰스 슈로더(Charles Schroeder)는 “2016년 NI는 1 GHz의 순간 대역폭을 갖춘 2세대 VST의 RF 모델을 선보이면서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고 밝히고, “NI는 2세대 VST의 기저대역 모델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분위기를 계속 이어 나가는 중이다. 엔지니어는 기저대역 VST를 랩뷰 시스템 설계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하여 트랜시버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발전하고 변화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엔지니어는 소프트웨어로 설계된 NI VST 아키텍처의 장점을 활용하여 설계 속도를 높이고 테스트 비용을 줄이면서 기존 테스트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측정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PXIe-5820은 광대역 I/Q 디지타이저, 광대역 I/Q 임의 웨이브폼 생성기, 사용자 프로그래머블 고성능 FPGA를 단일 2슬롯 PXI Express 모듈로 제공한다. 기저대역 VST는 1 GHz 복합 I/Q 대역폭을 통해 무선 및 셀룰러 칩셋의 기저대역 I/Q 테스팅을 비롯한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전력 증폭기용 디지털 전치 왜곡 웨이브폼의 ET와 5G, 802.11ax 및 LTE-A 프로(LTE-Advanced Pro) 와 같은 새로운 무선 표준의 생성 및 분석에 적합하다. NI의 R&D 수석 엔지니어인 루안 로렌스(Ruan Lourens)는 “기저대역 VST는 소프트웨어로 설계된 NI의 기존 아키텍처를 의도적으로 발전시킨 것”이라며, “열전기부터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영역에서 최적화해, 1 GHz 복합 I/Q 대역폭을 소형 폼팩터로 성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기저대역 VST는 PXIe-5840 RF VST와 나노초 단위의 정확도로 긴밀하게 동기화되어, 무선 칩셋의 RF 및 기저대역 차동 I/Q 테스트를 위한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기저대역 VST는 엔지니어들이 보다 스마트한 테스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NI 플랫폼과 에코시스템에서 매우 필수적이다. 이러한 테스트 시스템은 DC부터 mmWave에 걸쳐 600개 이상의 PXI 제품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들은 PCI Express Gen 3 버스 인터페이스 및 통합 시간 및 트리거가 적용된 나노초 미만 동기화를 사용하여 높은 스루풋의 데이터 이동 속도를 자랑한다. 사용자들은 랩뷰 및 TestStand 소프트웨어 환경의 생산성과 더불어 파트너사, 애드온 IP 및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로 구성된 활발한 에코시스템의 장점을 활용하여 테스트 비용을 대폭 줄이고,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하며, 미래의 까다로운 요구 사항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작성일 : 2017-07-03
NI, 광대역 5G 웨이브폼 생성 및 측정 기술 시연 성공
TestStand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com/korea, 이하 NI)는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열린 2017 국제 마이크로웨이브 심포지움(IMS)에서 프리-5G(Pre-5G) 웨이브폼 생성 및 측정 기술을 시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연의 주요 내용은 버라이즌(Verizon) 5G 기술 포럼(5GTF)과 3GPP에서 제안한 NR(New Radio) 물리층의 웨이브폼과 관련된 신호 생성 및 분석이다. 이번 기술 시연에서는 웨이브폼 변조 및 복조를 위한 프리-5G 소프트웨어와 PXIe-5840 2세대 벡터 신호 트랜시버(VST)의 1 GHz 대역폭을 결합시켰다. 웨이브폼 변조의 핵심으로는 유연한 부반송파 간격으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모두 지원하는 기능과, 3GPP 5G NR 및 버라이즌 5GTF 사양을 최대 총 대역폭 1 GHz까지 지원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설정 기능이 있다. 이번 시연에서는 최대 256-QAM의 변조 유형과 함께 전력, 인접 채널 전력, 에러 벡터 크기(EVM)를 포함한 측정 결과를 지원했다. 또한 관련된 대표적인 적용 분야로는 RF 전력 증폭기, 프런트엔드 모듈, 트랜시버와 같은 RFIC 테스팅이 있다. NI의 무선 설계 및 테스트 부문 부사장인 찰스 슈로더(Charles Schroeder)는 “NI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접근 방식을 통해 테스트와 측정을 수행하여 소프트웨어의 발전 속도에 맞춰 PXI 테스트 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며, “이러한 방식 덕분에 엔지니어는 현재 LTE-A 및 LTE-A 프로 제품 테스트에 사용하는 VST 기반 테스트 시스템으로 미래의 5G 제품을 테스트할 수 있다”고 말했다. NI의 5G 테스트 신기술은 RF 및 무선 테스트를 위한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완하며, 새 로운 소프트웨어는 802.11a/b/g/j/n/p/ac/ax, 블루투스(Bluetooth), GSM, UMTS, LTE/LTE-A, FM/RDS, GNSS 등을 테스트하는 기존 솔루션을 보완한다. NI의 RF 및 무선 스마트 테스트 시스템은 NI의 첨단 VST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엔지니어들이 테스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테스트 시스템은 DC부터 mmWave에 이르는 600개 이상 PXI 제품의 이점을 활용하고, PCI Express Gen 3 버스 인터페이스는 물론 통합 타이밍 및 트리거가 적용된 나노초 미만 수준의 동기화를 통해 높은 스루풋의 데이터 이동 속도를 자랑한다. 사용자들은 랩뷰(LabVIEW) 및 TestStand 소프트웨어 환경의 생산성과 함께 파트너사, 애드온 IP 및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로 구성된 활발한 에코시스템의 장점을 활용하여 테스트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하며, 미래의 까다로운 요구사항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작성일 : 2017-06-30
NI, 3GPP 및 버라이즌 5G 표준의 28GHz 연구용 SDR 발표
내쇼날인스트루먼트는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용 28GHz 라디오 헤드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 조합은 동종 제품 중 최초의 상용 풀 트랜시버로서, 27.5GHz ~ 29.5GHz에 이르는 대역폭에서 최대 2GHz 대역폭의 광대역폭 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SDR) 및 애플리케이션 전용 소프트웨어는 3GPP 및 버라이즌(Verizon) 5G 사양에 모두 적합하며, 5G 측정과 연구를 위한 완성도 높은 솔루션이다.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은 모든 종류의 무선 전송 테스트 시나리오에서 액세스 포인트 또는 디바이스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이 트랜시버 시스템을 활용하여 mmWave 통신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무선 스펙트럼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채널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이전에 출시된 71–76GHz용 라디오 헤드와 호환되므로,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의 RF 라디오 헤드를 교체하면 손쉽게 28GHz에 연동시킬 수 있다.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 기저대역 소프트웨어는 랩뷰(LabVIEW) 시스템 설계 소프트웨어용 소스 코드처럼 3GPP 및 버라이즌 5G 사양과 호환되는 포괄적 통신 물리 계층을 제공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자신의 연구나 테스트 영역에 따라 수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즉시 실행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므로 시스템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NI의 RF 연구 및 SDR 마케팅 디렉터인 제임스 키머리(James Kimery)는 "새로운 28 GHz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은 NI의 RF/커뮤니케이션 리드 유저 프로그램에 참가한 수많은 이들에게 핵심 기술이 되어왔다”라며, "전 세계가 5G용 스펙트럼을 할당하면서, 28GHz는 미국, 한국, 일본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에서 주요 후보지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7-06-02
인텔, 가상현실부터 인공지능, 5G 등에 주목하다!
2016 인텔 개발자 포럼(IDF) 둘쨋날을 맞아 인텔의 머시 렌두친탈라 클라이언트/사물 인터넷(IoT) 사업 및 시스템 아키텍처 그룹 사장과 다이앤 브라이언트 데이터센터 그룹 수석 부사장이 참석해 '인공지능(AI) 및 5G' 등 보다 스마트하고 연결된 미래를 주도해 나갈 기술들에 대해 발표했다.   첫째날에는 인텔의 브라이언 크르자니크(Brian Krzanich) CEO는 기술이 업계 전반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상황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가상현실부터 인공지능, 5G에 이르는 새로운 추세를 선도하고 혁신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번에 발표된 주요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공 지능(Aritificial Intelligence, AI)의 확장 우리는 데이터 시대에 살고 있다. 그리고 그 시대가 끝날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2020년까지 500억 대가 넘는 기계와 디바이스가 연결된 환경에서는 지금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의 방대한 데이터가 생성될 것이다. 실제로 커넥티드카에서는 매일 4테라바이트(TB)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커넥티드 공장에서는 매일 1페타바이트(PB) 분량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 정도 규모의 데이터가 쉽게 와 닿지 않는다면 1페타바이트 분량의 노래가 담긴 MP3 플레이어를 연속으로 재생하면 다 듣는데 중단 없이 2,000년이 걸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데이터 그 자체의 가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고급 분석을 적용하여 기계에 인간과 같은 지능을 부여하면 데이터로부터 보다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인공 지능이 정말로 흥미로워지는 지점이다. 개별 환자에게 고도로 맞춰진 암 치료 든, 더 많은 인구를 먹여살릴 곡물 수확량 향상이든, 복잡한 데이터로부터 더 깊은 통찰을 확보하는 것이야말로 기업과 사회가 데이터를 가장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는 길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인텔은 고성능 머신 러닝과 인공 지능 활용에 초점을 맞춘 제품인 차세대 인텔 제온 파이(Intel Xeon Phi) 프로세서 제품군(코드명 나이츠 밀(Knights Mill))을 공개했다. 2017년에 출시될 예정인 나이츠 밀은 스케일 아웃(scale-out) 분석을 구현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으며, 딥 러닝 훈련을 위한 핵심 개선 사항을 포함한다. 현재의 머신 러닝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인텔은 바이두(Baidu)와의 협업을 통해 메모리 사이즈가 늘어난 인텔 제온 파이 프로세서가 좀 더 효율적으로 모델 훈련을 보다 더 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여기서 핵심은 이러한 모든 데이터를 데이터센터 내외로 이동하는 문제로 이와 관련하여 인텔은 자사 최초의 100G 광학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기기)인 인텔 실리콘 포토닉스(Intel® Silicon Photonics) 상용화를 발표했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와 같은 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서는 광 신호를 사용하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대량의 정보를 초당 100기가비트의 속도로 최대 몇 킬로미터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됐다.    실리콘 포토닉스에는 20세기 가장 중요한 발명품으로 꼽히는 실리콘 집적 회로와 반도체 레
작성일 : 2016-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