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최승현"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0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온에어] 자율주행의 미래 : AI와 데이터 통합을 통한 지멘스 ADAS 혁신
캐드앤그래픽스 지식방송 CNG TV 지상 중계   CNG TV는 6월 26일 ‘자율주행의 미래 : AI와 데이터 통합을 통한 지멘스 ADAS 혁신’을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번 방송은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최승현 솔루션 영업대표, 김상중 프로(기술지원), 엄휘수 프로(프리세일즈 컨설턴트)가 참여해 실제 도로 기반의 가상 시뮬레이션, 생성형 AI 기술, 차량 동역학 모델링 연동 등 ADAS(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전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최승현 영업대표, 김상중 프로, 엄휘수 프로   시나리오 확장부터 인증까지 최승현 영업대표는 지멘스가 자율주행 기술 개발 전반을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전략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DOE(실험 설계) 기반의 자동 시나리오 생성 도구와 HEEDS(히즈)를 통한 최적화 기능을 다양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으며, 개발 후 단계에서는 통합플랫폼을 통해 형식 인증 절차까지 통합 지원한다고 소개했다.  Prescan(프리스캔), ADA, Amesim(아메심), HEEDS 등으로 구성된 통합 시스템은 각기 다른 개발 단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실시간 검증·모델 개발·리포트까지 자동화된 워크플로를 제공한다. 최승현 영업대표는 “지멘스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분석, AI 기반 자동화, 인증까지 모두를 아우르는 플랫폼을 통해 OEM뿐만 아니라 중소 자율주행 스타트업에게도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 최승현 영업대표   AI 기반 시나리오 생성과 정밀 시뮬레이션의 진화 김상중 프로는 자율주행 개발에서 시뮬레이션이 가진 핵심적 역할을 강조하며, Simcenter Prescan과 Simcenter Amesim을 활용한 가상 검증 기술을 소개했다. 이는 실제 사고 사례를 기반으로 한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차량의 센서·제어 알고리즘·동역학 모델을 통해 정교하게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이다. 특히 Amesim은 FMU 연동을 통해 실제 차량의 물리적 반응을 더욱 정밀하게 묘사함으로써 개발 단계에서의 신뢰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상중 프로는 “위험한 시나리오를 실제로 테스트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위험하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모든 케이스를 검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김상중 프로   실도로 데이터 자동화와 생성형 AI 접목 엄휘수 프로는 실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시나리오 자동 생성 솔루션 ‘Simcenter ADA’를 소개하며, 기존 수작업 중심의 시나리오 구축에서 벗어나 데이터 업로드만으로 유의미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검증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지멘스는 생성형 AI(GAI)를 활용해 주행 영상과 법규 문서를 학습시키고 시나리오를 자동 생성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개발 중이다. 가우시안 스플래팅(Gaussian Splatting) 기법 기술을 통해 현실에 가까운 시뮬레이션 비주얼도 구현 가능하다. 엄휘수 프로는 “엔지니어가 데이터를 가공하는데 시간을 쓰기보다 검증과 분석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ADA의 핵심 가치다”고 말했다.   ▲ 엄휘수 프로   자율주행을 위한 디지털 기반 개발 혁신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통합 ADAS 시뮬레이션 전략은 ‘개발 기간 단축, 비용 절감, 안전성 향상’이라는 자율주행 기술의 3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 해법을 제시한다. 또 한, 물리 모델과 AI가 융합된 디지털 트윈 기반의 검증 체계는 차세대 차량 개발의 새로운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8-04
[온에어]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트윈을 통한 전기차 시장 경쟁력 확보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3월 6일 CNG TV 웨비나는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트윈을 통한 전기차 시장 경쟁력 확보’를 주제로, 지멘스의 시뮬레이션 및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전기차 시장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제조업체가 직면한 도전 과제(환경 영향, 가속화된 성장, 규제 등)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와 규제 강화 속에서 OEM과 부품사는 기술 혁신과 시장 요구 충족이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에 지멘스는 가상 개발 환경 구축, 설계 최적화, 생산 관리 등 다양한 설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동시에 전기차 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멘스, 전기차 시장 경쟁력에 초점 맞춰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최승현 영업대표는 “지멘스는 전기차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혁신을 통해 기업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번 웨비나에서는 배터리 사이징, 열 관리, 모터 및 구동계 설계 등 전동화 차량 개발 전반에 걸쳐 지멘스의 기술력이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기차 시장의 둔화, 강력한 배출 규제, 관세 이슈 등의 어려움 속에서 지멘스가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새로운 혁신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GM의 제로 프로토타입 개발과 같은 가상 개발이 중요하다고 소개했다. 또한 전기차의 배터리 사이징과 관련해서 차량 요구 사항에 맞춰 배터리 용량과 전압을 예측하고 검증하는 과정이 필수라고 말했다.   전기차 개발을 위한 디지털 트윈과 시뮬레이션 활용 전기차는 특정 주행 시나리오에서 냉각 전략 및 에너지 관리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해야 한다. MIMO(멀티 인풋, 멀티 아웃풋) 개념을 적용한 통합 열 관리 시스템이 전기차에 탑재되며, 여러 냉각 및 난방 전략의 복합적 검증이 필요하다. 최승현 영업대표는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냉각 시스템 전략의 효율성을 검증함으로써 전기차의 에너지 관리가 최적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기차 열 폭주 현상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안전한 설계를 통해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멘스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열폭주와 관련된 설루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전기차 성능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멘스의 PLM 시스템은 전기차 개발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며, 각 요소의 아키텍처와 스펙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차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모터, 인버터, 기어박스 등 여러 요소의 물리적 테스트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최적화된 파워트레인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과 스펙을 관리하며, 데이터 통합을 통해 개발 속도를 높이고 검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최승현 영업대표는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증하여 실제 주행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진동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며, “지멘스는 디지털 트윈 모델과 실제 제어기를 연동하여 가상 환경에서 전동 카트를 운전하며 다양한 성능 특성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4-02
Flowmaster Korea 2023 Conference
body, .maintable { height:100% !important; width:100% !important; margin:0; padding:0;} img, a img { border:0; outline:none; text-decoration:none;} p {margin-top:0; margin-right:0; margin-left:0; padding:0;} .ReadMsgBody {width:100%;} .ExternalClass {width:100%;} .ExternalClass, .ExternalClass p, .ExternalClass span, .ExternalClass font, .ExternalClass td, .ExternalClass div {line-height:100%;} img {-ms-interpolation-mode: bicubic;} body, table, td, p, a, li, blockquote {-ms-text-size-adjust:100%; -webkit-text-size-adjust:100%;} @media only screen and (max-width: 480px) { .rtable {width: 100% !important;} .rtable tr {height:auto !important; display: block;} .contenttd {max-width: 100% !important; display: block; width: auto !important;} .contenttd:after {content: ""; display: table; clear: both;} .hiddentds {display: none;} .imgtable, .imgtable table {max-width: 100% !important; height: auto; float: none; margin: 0 auto;} .imgtable.btnset td {display: inline-block;} .imgtable img {width: 100%; height: auto !important;display: block;} table {float: none;} .mobileHide {display: none !important;} }     If you can't read this email, please view it online   안녕하세요, 플로우마스터코리아 입니다. Flowmaster Korea 2023 Conference를 10월 13일 금요일에 예정하고 있습니다. Conference를 통하여 고객분들을 모시고 만남과 정보 교류의 시간을 갖는 것은 더 없는 행복이라 생각하며, Conference를 통하여 1D System 및 3D CFD Simulation에 대한 정보 교류의 시간 및 고객 여러분들의 만남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번 Conference에는 국내 산업분야 전문가분들의 1D System 및 3D CFD (Flomaster, Amesim, FLOEFD, STAR-CCM+) 에 대한 활용 사례 및 연구 사례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니 고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발표 및 기술관련 : 박종민 부장 02-2093-2685 / support@flowsystem.co.kr Conference 관련 : 한송이 과장 02-2093-2689 / mktg@flowsystem.co.kr 플로우마스터코리아 드림.   Conference 개요 / Information 일정 : 2023. 10. 13. 금요일 09:30 ~ 17:00 장소 : FKI Tower (여의도 전경련회관), 3층 에메랄드홀 참가비 무료 주차 가능   행사 내용 / Agenda 09:30 ~ 10:00   Registration     10:00 ~ 10:10   환영 인사     10:10 ~ 10:40   Key Note ● 유럽과 일본의 글로벌 자동차 OEM이 지멘스의 시스템 모델 개발 플랫폼을    도입한 사례와 효과 [ Siemens System Model Based Development ] * SIEMENS 최승현 영업대표     10:40 ~ 11:55   Presentation 1 ● ROM Builder를 이용한 예측 모델 생성 * Flowmaster Korea_최종인 대리 ● Flomaster를 활용한 발전소 계통 운전 분석 * 한국수력원자력_허민웅 선임연구원 ● 한국형발사체 발사대시스템 산화제공급계의 발사체 산화제 충전 운용 설계     및 비행시험을 통한 충전 유량 검증 * 한국항공우주연구원_서만수 Senior researcher ● 전동기 냉각용 3차원 타겟팅 열교환기 개발 분야에 대한 FLOEFD 활용 * 제너진_박범용 대표이사 ● Amesim을 이용한 수소에너지 시스템 해석 소개 (연료전지 / 수전해) * Flowmaster Korea_채준희 이사     11:55 ~ 13:30   Lunch     13:30 ~ 15:00   Presentation 2 ● 1D System(Flomaster/Amesim등) 모델링 자동화 및 해석 자동화 구축 * Flowmaster Korea_박종민 부장 ● Update 예정 * 한국전력기술_이근우 차장 ● 저궤도 위성(다목적실용위성) 추진시스템 연료배관 유동해석 사례     [ 위성 추진시스템 유동해석 사례발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_서민교 선임연구원 ● 다누리호(달궤도선) 추진시스템 연료배관 유동해석 사례     [ 위성 추진시스템 유동해석 사례발표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_김선훈 선임연구원 ● LNG ORV 시스템 열전달 모델 개발 및 FMU를 활용한 Transient 해석 * 포스코건설_이현철 차장 ● 열전달 및 물질전달을 포함하는 탱크 시스템 연동 해석 * Flowmaster Korea_이웅기 대표     15:00 ~ 15:30   Coffee Break     15:30 ~ 16:45   Presentation 3 ● 1D 3D Coupling 냉난방해석 * 현대자동차_김원식 책임연구원 ● LNG 연료선의 벙커링 시 유량 제어 * 삼성중공업_김성우 프로 ● LNG Fuelled Tanker 연료 공급 시스템 이중관 및 연료 준비실에서의    LNG Leakage에 관한Ventilation 검토 * 선박행양플랜트연구소_이다솜 전임설계원 ● 항공용 엔진 블리드 배관 유동해석 사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_전신영 박사 ● 외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Flomaster 배관망 시스템 최적화 * Flowmaster Korea_박종민 부장     16:45 ~ 17:00   시상 및 경품 추첨, Closing     상기 Agenda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23-09-11
[Conference] 2022 Flowmaster Korea User Conference가 진행됩니다!
body, .maintable { height:100% !important; width:100% !important; margin:0; padding:0;} img, a img { border:0; outline:none; text-decoration:none;} p {margin-top:0; margin-right:0; margin-left:0; padding:0;} .ReadMsgBody {width:100%;} .ExternalClass {width:100%;} .ExternalClass, .ExternalClass p, .ExternalClass span, .ExternalClass font, .ExternalClass td, .ExternalClass div {line-height:100%;} img {-ms-interpolation-mode: bicubic;} body, table, td, p, a, li, blockquote {-ms-text-size-adjust:100%; -webkit-text-size-adjust:100%;} @media only screen and (max-width: 480px) { .rtable {width: 100% !important;} .rtable tr {height:auto !important; display: block;} .contenttd {max-width: 100% !important; display: block; width: auto !important;} .contenttd:after {content: ""; display: table; clear: both;} .hiddentds {display: none;} .imgtable, .imgtable table {max-width: 100% !important; height: auto; float: none; margin: 0 auto;} .imgtable.btnset td {display: inline-block;} .imgtable img {width: 100%; height: auto !important;display: block;} table {float: none;} .mobileHide {display: none !important;} }     If you can't read this email, please view it online   안녕하세요, 플로우마스터코리아(주) 입니다. Flowmaster Korea 2022 User Conference를 6월 17일 금요일에 예정하고 있습니다. 2019년도 Conference 이후 고객 여러분을 모시고 행사를 개최하고 싶었으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방지를 위해 진행하지 못했던 User Conference를 올해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번 Conference를 통하여 고객분들을 모시고 만남과 정보 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저희 플로우마스터코리아에게 더 없는 행복이라 생각하며, Conference를 통하여 1D System 및 3D CFD 관련 Simulation에 대한 정보 교류의 시간 및 고객 여러분들의 만남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번 User Conference에서는 국내 여러 산업분야 전문가분들의 Flomaster, Amesim, FLOEFD, Flotherm 등, 관련 Simulation에 대한 활용/연구 사례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플로우마스터코리아(주) 드림.   Conference 개요 / Information 일정 : 2022. 6. 17. 금요일 장소 : FKI Tower (여의도 전경련회관), 2층 루비홀 참가비 무료 주차 가능   Agenda 09:30 ~ 10:00 Registration 10:00 ~ 10:10 환영 인사 10:10 ~ 10:40 Key Note   ● System simulation 을 이용한 플랜트 공정 디지털 트윈 운영       * 지멘스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최승현 10:40 ~ 12:00 User Presentation 1   ● Simcenter FLOEFD 1D Element 소개 및 열교환기 활용       * 플로우마스터코리아 박종민   ● Flomaster를 이용한 배관 음향학적 모드 계산 및 검증, 활용       * 삼성중공업 최충영   ● Simcenter FLOEFD를 이용한 Design Optimization       * 플로우마스터코리아 채준희  12:00 ~ 13:30 Lunch 13:30 ~ 15:10 User Presentation 2   ● Simcenter Amesim을 활용한 열관리(Thermal Management)        * 지멘스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최승현    ● Flomaster를 이용한 원자력 설계 분야 활용        * 한국전력기술 이영롱    ● Dynamic modeling and transient analysis of nitrogen       Brayton cycle coupled with sodium-cooled fast reactor        * 포항공대 정성균    ● 선박 열유체 배관 시스템 사전 성능 평가를 위한 자동화      웹 플랫폼 개발        * 한국조선해양 김미진    ● Simcenter Flomaster를 이용한 HILS 구축 소개       * 플로우마스터코리아 최종인  15:10 ~ 15:40 Coffee Break 15:40 ~ 17:00 User Presentation 3   ● Parametric Study를 위한 Flomaster 자동 Data 입력 시스템        * 플로우마스터코리아 박종민    ● 기기냉각수 계통 최적화를 위한 배관툴 개발        * 포스코건설 이성건   ● 누리호 3단형 발사체 개발과정에서의 Flomaster 활용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유이상    ● Simcenter 1D를 이용한 Rankin Cycle 및 냉동 Cycle Analysis       * 플로우마스터코리아 채준희  17:00 ~ 17:15 시상 및 경품추첨, Closing * 상기 Agenda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문의 / Contact 발표 및 기술문의 : 02-2093-2680, 2682 / support@flowsystem.co.kr Conference 관련 문의 : 02-2093-2689 / mktg@flowsystem.co.kr        
작성일 : 2022-05-23
[온에어] 연료전지 자동차의 핵심요소인 AVL 연료전지 솔루션 공개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 한국AVL 최승현 매니저, 박태상 매니저, 최원세 매니저(왼쪽부터)   11월 3일 진행된 CNG TV에서는 한국AVL 최원세 매니저, 박태상 매니저가 연료전지 자동차의 핵심요소인 연료전지 셀/스택, 배터리와 더불어 연료전지 BoP 및 차량의 성능해석을 위한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소개했다. 자동차 산업은 역사상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다. 가능한 한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전동화 파워트레인 기술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 중 연료전지 기술은 청정 동력원으로서 자동차 분야에 꾸준히 도입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산화에 의해 생기는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지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지로, 반응물이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반응생성물이 연속적으로 계의 바깥으로 제거되는 장치이다.  한국AVL 박태상 매니저는 “개별 연료전지 셀은 적층이 가능해 셀을 결합시켜 더 큰 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다”면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을 위한 휴대용 시스템에서 전기자동차를 위한 차량 엔진, 대용량 발전설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AVL의 가상 연료전지 개발 솔루션은 연료전지 시스템 레벨에서 스택 및 BoP 시스템의 미디어 공급, 열관리 시스템 개발 환경뿐만 아니라 셀/스택 구성요소의 통합 개발 환경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도구 및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 CNG TV 방송의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를 통해 볼 수 있다.
작성일 : 2020-11-30
[온에어] 전동화의 핵심 요소인 배터리, 연료전지 및 시스템 시뮬레이션 공개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8월 25일 방송된 CNG TV에서는 한국AVL이 최신 시뮬레이션 기술 동향과 새로운 솔루션에 대해 소개했다. 최근 세계 자동차 업계들은 대기오염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의 개발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앞으로 5년간 친환경 택시, 친환경 버스 등의 친환경차 보급을 지금보다 10배 이상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한국AVL 최승현 매니저는 “이처럼 친환경차의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술개발의 고도화도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기술개발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며 “AVL은 전동화의 핵심요소인 배터리, 연료전지 솔루션과 더불어 친환경차 성능해석을 위한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 한국AVL 최승현 매니저, 박태상 매니저, 최원세 매니저(왼쪽부터)    AVL은 친환경 전기 차량의 도전 과제에 있어 혁신적인 맞춤형 풀 패키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AVL의 전용 장비, 제품, 서비스는 단일 셀의 평가, 선정부터 완전히 검증된 배터리 팩의 SOP까지 배터리 개발의 모든 과정을 다루고 있다. 또한 AVL은 연료전지 개발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확장 가능한 3D, 1D/0D 시뮬레이션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AVL FIRE M을 이용하여 PEM 연료전지 셀의 성능해석을 하고 그 결과로 나온 분극 곡선을 PEM 연료전지의 물리적 모델링에 사용할 수 있다. 이번 방송에서는 AVL 시스템 시뮬레이션에 대한 소개도 이어졌다. 한국AVL 최원세 매니저는 “다양한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동시에 해석할 수 있는 멀티피직스 시뮬레이션인 AVL CRUISE M을 이용하여 연료전지 자동차를 모델링하고 연비 및 동력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작성일 : 2020-09-29
[포커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를 위한 콘퍼런스 개최
변화에 도전하는 크리에이티브 비전과 전략 소개 한국어도비시스템즈(www.adobe.com/kr)는 7월 6일 크리에이티브 콘퍼런스인 ‘MAKE IT, EVERYWHERE’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했다. 800여 명의 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들이 한 자리에 모여 크리에이티브 업계에서의 도전과 변화를 공유하고 6월 22일 공개된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의 최신 업데이트 시연을 지켜봤다. 신기술과 크리에이티브의 융합 이번 콘퍼런스는 ‘도전과 변화’를 주제로 다양한 세션들이 진행됐고, 전 세계 크리에이티브 툴의 동향과 최신 정보가 소개됐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최승억 대표는 “영감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이번 행사가 새로운 도전과 변화의 계기를 제공하길 바란다”며 콘퍼런스에 참여한 크리에이터들을 환영했다.  키노트 연사로 참여한 TBWA 크리에이티브 박웅현 대표는 돈키호테를 예로 들어 “허무맹랑하고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더라도 끝까지 밀고 나가는 정신은 현대 크리에이터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기발한 아이디어라는 것은 일상과 상식을 새로운 시각으로 다시 바라보는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강진호 상무는 “2012년 봄에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가 출시된 이후, 진화는 계속되고 있다”며 자사의 비전을 제시했다. 그리고 ‘아이디어나 영감의 고갈,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툴’에 대응할 수 있는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의 신기술을 크리에이티브 작업자들에게 제안했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김현지 과장은 효과적인 새로운 인제스트 워크플로 및 컬러 그레이딩, VR 편집 등 어도비 비디오 솔루션의 새로운 기능에 대해 소개했다. JTBC 남궁유 디자이너는 자사의 브랜드 영상인 ‘우리 마음속의 자전거’ 제작사례를 풀어놓았다. “브랜드 영상 제작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보다 브랜드의 메시지로 CF, 영화와 달리 시간의 제약으로 인한 빠르고 간명한 메시지가 부각돼야 한다”고 남궁유 디자이너는 말했다. ▲ 한국어도비시스템즈 최승억 대표 한국어도비시스템즈 홍성원 이사는 UX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홍 이사는 “콘텐츠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화로 인해 UX(User Experience)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며 UX 디자인 및 프로토타이핑 솔루션인 Adobe XD(Experience Design)을 사용하여 모바일 환경과 웹에서 사용자 경험을 증대할 수 있는 방안을 짚었다. 이어서 그래픽 업계 저명한 디렉터 3인이 제시하는 UI/UX의 미래에 대한 강연이 있었다. D.FY 황병삼 대표, RegularBold 손성일 대표, PlusX 변사범 이사는 ‘UI/UX 는 결국 사용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사람을 배려하는 나눔의 대화’라는 주제로 디자이너는 사용자에게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이어진 두 강연은 이미지 편집에 관한 내용으로 진행됐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강진호 상무는 “기술의 발달로 일반인도 전문가 수준의 사진 작업이 가능해지고 있다”며 Photoshop CC와 Lightroom CC를 사용하여 보다 완벽한 이미지를 제작하는 방법,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연동하여 이미지를 보다 쉽게 가공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했다. 오중석 사진작가는 ‘찰나(刹那)의 힘 - 사진과 포토샵의 적절한 외줄타기’라는 제목으로 어도비 포토샵, 라이트룸을 통해 디지털 시대 최적의 포토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노하우를 공개했다. 패널 토론, 크리에이티브 시장에서 살아남기 콘퍼런스와 함께 진행된 패널 토론에는 Plus X 변사범 이사, 오중석 사진작가, D.FY 황병삼 대표, RegularBold 손성일 대표가 참석했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최승현 이사의 사회로 크리에이티브 분야 리더들의 눈으로 바라본 지금까지의 크리에이티브의 발자취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소개했다. ▲ 패널 토론에 참석한 변사범 이사, 오중석 작가, 황병삼 대표, 손성일 대표, 최승현 이사 최승현 이사는 “어느 시대에서도 도전과 변화는 있었지만 근래 이러한 이야기들이 부쩍 많아진 것은 도전과 변화가 더 빨리, 깊은 영향력을 미치며 광범위하게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라며 급작스러운 변화에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패널들에게 질문했다. 이에 변사범 이사는 “연령대마다 모바일을 사용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모바일 측면의 경험이 더 확장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치며 말문을 열었다. 오중석 사진작가 역시 모바일에 대해 언급했다. 오 작가는 “어도비를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모바일은 물론 너무나 많은 신기술들을 계속 선보이고 있고,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사진가들을 비롯한 크리에이터들에게는 새로운 도전의 시대가 온 것 같다”는 의견을 보였다. 손성일 대표 역시 모바일이 크리에이티브의 주요한 기기라는 것에 동의하며 사용자를 중심으로 화두를 바꿔나갔다. 현재의 큰 변화는 ‘전문가에서 개인으로’ 중심이 옮겨지는 것이라고 손 대표는 말했다. 덧붙여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개인이 계속 작품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기회가 많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고, 지금은 아마추어가 개인 회사를 차리는 경우까지도 있다”라며 크리에이티브가 다양해지면서 전문가 집단에서 개인의 집단으로 힘이 이동하고 있는 현상을 설명했다. 전문가들의 기회가 줄어들게 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황병삼 대표는 “글로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콘텐츠, 혹은 제품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한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포토샵을 다룰 수 있는 등 디자인을 비롯해 모든 크리에이티브 분야가 상향 평준화된 시대이고, 그래서 더욱 특별한 천재가 필요한 시대”라고 말했다. 손성일 대표는 올해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서바이벌’을 짚으며 토론을 마무리했다. 그는 “회사를 운영해보니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고민뿐만 아니라 현장감과 현실감에 대한 압박감에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이 산업에 속한 회사들이 더 잘 될 수 있도록 노력해서 ‘생존’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6-07-27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패널 토론, 변화하는 크리에이티브 시장에서 살아남기
▲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변사범 이사, 오중석 사진작가, 황병삼 대표, 손성일 대표, 최승현 이사 한국어도비시스템즈는 7월 6일 크리에이티브 컨퍼런스인 ‘MAKE IT, EVERYWHERE’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했다. 800여명의 업계 국제 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들이 한 자리에 모인 이번 콘퍼런스는 ‘도전과 변화’를 주제로 다양한 세션들이 진행됐다. 콘퍼런스에서는 전세계 크리에이티브 툴의 동향과 최근의 정보가 소개됐다. 국내 유수의 디자인 수상 이력을 자랑하는 크리에이티브 업계 리더들이 참여한 패널 토론도 진행됐다.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 Regular Bold 손성일 대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업체 D.FY 황병삼 대표, 오중석 사진작가, 디자인 컨설팅 전문 업체 PluxX 변사범 이사 등이 참여한 패널 토론에서는 크리에이티브 분야 리더들의 눈으로 바라본 지금까지의 크리에이티브의 발자취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소개했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최승현 이사는 “어느 시대에서도 도전과 변화는 있었지만 근래 이러한 이야기들이 부쩍 많아진 것은 도전과 변화가 더 빨리, 깊은 영향력을 미치며 광범위하게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라며 패널들에게 빠른 변화에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질문했다. 이에 변사범 이사는 “연령대마다 모바일을 사용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모바일 쪽의 경험이 더 확장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치며 말문을 열었다. 오중석 포토그래퍼도 모바일에 대해 언급했다. 오중석 포토그래퍼는 “어도비를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모바일은 물론 너무나 많은 신기술들을 계속 선보이고 있고,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사진가들을 비롯한 크리에이터들에게는 새로운 도전의 시대가 온 것 같다”는 의견을 보였다. 손성일 대표 역시 모바일이 크리에이티브의 주요한 기기라는 것에 동의하며 사용자를 중심으로 화두를 바꿔나갔다. 현재 크게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전문가에서 개인으로’ 중심이 옮겨지는 것이라고 손 대표는 말했다. 덧붙여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개인이 계속 작품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기회가 많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고, 지금은 아마추어가 개인 회사를 차리는 경우까지도 있다”라며 크리에이티브가 다양해지면서 전문가 집단에서 개인의 집단으로 힘이 이동하고 있는 현상을 설명했다. 전문가들의 기회가 줄어들게 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황병삼 대표는 “글로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콘텐츠, 혹은 제품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한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포토샵을 다룰 수 있는 등 디자인을 비롯해 모든 크리에이티브 분야가 상향 평준화된 시대이고, 그래서 더욱 특별한 천재가 필요한 시대”라고 말했다. 손성일 대표는 올해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서바이벌’이라 짚었다. 그는 “실제 회사를 운영해보니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고민뿐만 아니라 현장감과 현실감에 대한 압박감에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이 산업에 속한 회사들이 더 잘 될 수 있도록 노력해서 ‘생존’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
작성일 : 2016-07-11
청룡영화상이 선택한 영화 ‘소원’, 안방에서 만난다
KT(www.kt.com)의 IPTV서비스 올레tv가 ‘소원’을 5일부터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올레tv에 따르면 '소원'은 지난 제34회 청룡영화상 최우수작품상과 각본상, 여우조연상을 휩쓴 작품. 최근 진행된 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는 이 작품에 출연한 배우 엄지원이 여우주연상의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준익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설경구, 엄지원 등이 주연을 맡았다. 아동 성폭력 사건 피해자인 소원이와 가족의 이야기를 그린 이 작품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 관객들에게도 소개돼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다. 지난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파리한국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돼 이준익 감독이 참석해 현지 관객을 만난 바 있다. 올레tv는 6일부터 지난 11월 개봉한 최신작 ‘동창생’도 제공한다. 아버지의 누명으로 인해 여동생과 단 둘이 살아 남아 수용소에 감금된 소년이 유일한 가족인 여동생을 살려주겠다는 제안에 남파공작원이 되는 이야기를 그렸다. 그룹 빅뱅의 최승현(TOP)과 한예리, 윤제문, 김유정 등이 출연했다. 이어 11일에는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를 서비스한다. 주인공 ‘화이’를 연기한 여진구는 청룡영화상 시상식에서 이 작품으로 신인남우상을 품에 안았다. 그는 이 작품에서 김윤석, 조진웅, 장현성 등 쟁쟁한 선배 배우들 속에서 열연을 펼쳐 호평을 얻었다.
작성일 : 2013-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