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조인트"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19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리스트(2310개사 명단)
중소벤처기업부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공급기업 * 스마트공장사업관리시스템 (smart-factory.k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스마트공장추진단) 개방 데이터입니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사업관리시스템에 등록되고 스마트 공장을 보급하는 공급기업에 대한 정보입니다. * 데이터 구성은 부여번호, 회사명, 대표자, 주소, 담당자, 담당자직위, 담당자 전화번호 순입니다. * 상세 데이터는 첨부 파일 참조 등록일 : 2024-04-11   기업명_1 기업명_2 기업명_3 기업명_4 피플앤드테크놀로지 이성 캠틱종합기술원 케이에스콘컨설팅지원단 한국인공지능제조이니셔티브 금화이엔에스 삼성물산앤텍 에이블에스티에이 인터테크 인텔리팅스 호인 경북테크노파크 서울테크노파크 남동기계 노르마 단디코리아 모비스 섹타나인 에이씨앤티시스템 엔텔스 오시에스티 조인피아정보 진성엠텍 커머스톤컨설팅 케이피엠 콤텍시스템 킨스미디어 포에스텍 )알엠에이 3디나라 Dev. ROFA TIS 가온코리아 감소프트 강한이노시스 거화엔지니어링 경성하이테크 경한 경화상사 고영로보틱스 고영테크놀러지 고우아이티 구름소프트 국보파텍 국제아이티기술원 국진과미래 굿케이소프트 그립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금강기계산업 기맥 기승에프에이 기업혁신센터 기창인포텍 나노브레인 나눔오토메이션 나라정보시스템 나라정보시스템 나연아이티 나온웍스 나인에스티 난다소프트 난소프트 남강하이테크 네모아이씨지 네오세미텍 네오슬론 네톰 네피리티 네픽티앤에스 넥사 넥사디에스 넥스모어시스템즈 넥스젠아이씨티 넥스톰 넥스트소프트 넥스트스퀘어 넥스티지 넥스파시스템 넥투비 노도시스 노드플러스 노바소프트 노바테크 노스브릿지 노스텍 뉴럴넥서스 뉴럴테크 뉴로클 뉴젠아이엔에스 뉴트릭스테크놀로지스 니어네트웍스 닉스앤블루 다래아이엔씨 다성테크 다온에이치앤에스 다온테크놀로지 다울 다윈솔루션 다음테크 단군소프트 당야아이텍 대곤코퍼레이션 대덕시스템 대덕알앤디 대암정보기술 대연씨앤아이 대영초음파 대한테크 더더씨앤씨 더모모스 더모인비 더블유비에스(WBS) 더블유앤이케이 더블유티엠 더블제이이엔씨 더이앤비 더이지스이엔지 더존비즈온 더프라임그룹 데브짓수 데이터온 데카엔지니어링 도담솔루션 동남이앤아이 동서시스템 동서정보기술 동양기술 동연에스엔티 동우 동우글로벌 두성로보텍 두성에이엔씨 두손씨앤아이 두손씨엔에이 두타아이티 드리미 드림시스 드림에프에이 드림이앤씨 드림테크 드림티엔에스 디바텍 디비에스아이 디스코 디에스원부산공장 디에스텍 디에프엑스 디엑스솔루션즈 디엑스테크 디엔비소프트 디엘정보기술 디엠비코리아 디엠솔루션 디오시스 디원 디월드 디지포레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디트리플 디티앤조이 디파인트리 디플럭스씨앤씨 딥시스 딥테크놀러지 라보테크 라스테크 라온씨엔에스 라온테크 라인공작소 라인테크시스템 라임 랩씨드 랩이오사 랩큐 러닝랩 러닝비전 레브웨어 레인아이 로드와이즈 로멕스테크놀로지 로보게이트 로보아이 로보원 로보틱스 로봇템 로파 루비시스 루텍에스 리얼인포 리우시스템 리코시스템 리텍 리팩 링크업인포텍 링크제니시스 마로로봇테크 마리소프트 마스인포텍 마스터 마이링크 마이크로모스 마이키 마키나락스 망고시스템즈 매직시스템 맥스링솔루션 메카스 메타뷰 멘토티앤씨 명문소프트웨어 모두솔루션 모디 모로보기 무한씨앤씨 무한콘트롤 미래로시스템 미래쏘프트웨어 미래와도전 미래융합정보기술 미래이엔에이 미래정보기술 미래테크원 미르나인 바이어블비젼 바이오시스텍 바이텍테크놀로지 바이투 바질컴퍼니 바코드랩 반석시스템 밸류컴패니언 밸리언트데이터 버텍스아이디 베이스온 보강시스템 보티 본텍 봄소프트 부품디비 브라이트날리지 브레인컨설팅 브로넥스 브릭 브이엠에스솔루션스 브이웨이 블루넥스 블루넷 블루비즈 블루비즈창원지점 비스아이티 비스텔리젼스 비아이씨엔에스 비알테크 비앤비시스템 비앤에프소프트 비에스지파트너스 비엔씨정보기술 비엔아이 비엠티 비젠아이 비주얼소프트 비쥬얼데이타 비즈A&C 비즈니움 비즈데이터 비즈솔루션코리아 비즈앤테크컨설팅 비즈플러그 비즈플러스글로벌 비지언스 비타소프트 비트정보기술 비티씨 비파이브 빅데이터랩스 빅스소프트 빅아이 빅정보기술 빅토리지 빅파워솔루션 빌트원 사람과기술 사이버테크프랜드 삼부시스템 삼성디지탈솔루션 삼인시스템 삼일정보시스템 삼정산업 삼정시스템 삼정아이앤에스 삼환미디어 새롬씨앤씨 새롬테크 새힘정보기술 샘터 샤인소프트 샤코시스템 서보산전 선도솔루션 선일기연 선진기술 성공닷컴 성민소프트 성완소프트 성우인터내셔날 성창 성화정보기술 세광기전 세븐아이티 세아소프트 세인이엔에스 세인인포테크 세종 세피스 세한메카트로닉스 센소프트 센스픽스 센트럴인사이트 소금 소르테크 소프트원 소프트원창원지사 소프트탑 솔루더스 솔루윈스 솔바텍 솔브리드플러스 솔코 솔트소프트 쇼우테크 수소프트 슈가폴 스마트비전텍 스마트솔루션 스마트씨에스 스마트에스엔 스마트컴퍼니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스맥 스맥 스카다아이씨티 스코인포 스타라이트 스타웰즈 스페이스솔루션 스페이스솔루션 스피랩 시그너스 시그너스정보기술 시너젠 시너지웨어 시스너 시즐 시큐웍스 신기엔지니어링 신라정밀 신룡 신세계아이앤씨 신양전기 신일이앤씨 신화기술 심플랫폼 심플북 심플소프트랩 쌍용소프트웨어 썬소프트 쏘마 쓰리뷰 쓰리에스인포 씨디알아이 씨알정보기술 씨엘씨테크 씨엘아이코리아 씨테크시스템 씨피에스 씨피엠에스 씽크포비엘 아라아이티이엔지 아람솔루션 아림티엔씨 아마다코리아 아세아엠텍 아셀씨앤아이 아이디알시스템 아이디알인비전 아이디에스앤트러스트 아이리더스 아이메저 아이비엔티 아이비엘 아이씨엔아이티 아이에스씨 아이에스엔 아이에스티엔 아이엠 아이엠솔루션즈 아이엠알 아이엠지 아이엠티에프에이 아이오이소프트 아이워드솔루션 아이웍스 아이유티 아이지 아이지피넷 아이컴플러스 아이투프럼 아이트리온 아이티공간 아이티기술 아이티나라사람들 아이티맨 아이티에스 아이티에프 아이티엔모아 아이티엔씨 아이티엔제이 아이티케어 아이페타 아이피씨앤비 아이피에스오토 아콘스 아크라인소프트 아토스 아트만앤컴퍼니 아트만파트너스 아페스 아프로 아프로스 안랩 알소프트 알앤디씨 알앤디프로젝트 알앤씨소프트 알앤제이아이씨티 알에이비테크 알에프아이오티 알에프엑스소프트 알티자동화 알파시스템 알피네트웍스 애니스마트 애니캐스팅소프트웨어 애니토이 앰에이치솔루션 앱도 언브로 에디넷 에로바테크놀러지 에버원소프트 에스디테크 에스비아이티 에스씨티 에스아이에스 에스아이티그룹 에스알시스템 에스에스알 에스엔제이솔루션 에스엠디시스템 에스엠원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에스엠투네트웍스 에스엠티코리아 에스엠해썹 에스이랩 에스이씨 에스이파트너즈 에스지아이시스템 에스지유 에스케이팩 에스코프로 에스큐솔루션 에스티 에스티에스로보테크 에스파 에스피앤알 에어릭스 에이멕스엔지니어링 에이블정보시스템 에이스게이트 에이스정보기술 에이시에스 에이아이엠 에이아이웨어 에이아이티 에이에스씨 에이에스피엔 에이엔디시스템 에이엔솔루션 에이치시스템 에이치씨엔씨 에이치아이티에스 에이치알티시스템 에이치앤케이소프트 에이치에너지 에이치엔티 에이치지씨 에이치케이정보 에이치케이텍 에이치피에스이엔지 에이텍모빌리티 에이티씨 에이티앤지 에이티엠 에이티엠이엔지 에이티지소프트 에이프로테크 에코시안 에프로봇 에프앤제이 에프에이데이타 에프에이씨엔에스 에프엠코리아스 엑센솔루션 엑타스 엔소프트 엔스마트솔루션 엔씨비 엔씨씨 엔에스비전 엔에프에이 엔와이티지 엔이에스 엔이피에스 엔집 엔트로정보기술 엔티아이 엔티엔시스템즈 엘렉시 엘렘 엘빅스 엘제이텍 엘지헬로비전 엘케이랩 엘탑 엠디아이에스 엠브이텍 엠시스아이씨티 엠씨링크 엠씨모션 엠아이티 엠아이티아레아 엠아이티에스 엠에스링크앤솔루션 엠에스벤터 엠에쓰아이 엠에프알씨 엠엔비젼 엠엔에스아이씨티 엠유트론 엠일일사 엠제이씨솔루션 엠지아이에스 엠케이코어텍 엠티엠이엔티 엠티지 엠프라 여몽 연암테크 연합시스템 영전산기 영창로보테크 예민소프트 예즈 오렌지아이 오롯소프트 오르카아이티 오성테크놀로지 오토기기 오토로보틱스 오픈피엘씨 온코어에스엔티 올스웰 와이더 와이드티엔에스 와이시스템 와이씨디아이에스 와이앤제이테크 와이이코퍼레이션 와이제이솔루션 와이제이테크놀러지 와이즈소프트 와이즈엠시스템즈 와이티 용봉스마트 우리이노베이션 우신아이티솔루션 우원이엔지 운약근답올핏 웅진 워크앤아이티 원데이터기술 원소프트다임 원스텝 원종기계 원퍼스트 월드씨앤에스 월드웰 월드이엔지 웨다 웨이스 웰스테크 위너다임 위더스아이앤티 위더스이십일 위드아이티 위드인포텍 위버맨시 위저드정보시스템 위즈스마트 위트코시스템즈 위플랫 윈드밸리 윈텍에스에이 윈티앤에스 윈플러스정보기술 윌두 유노믹 유노비젼 유니로보틱스 유니정보 유미테크 유민커넥트 유비즈 유비즈솔루션 유비컴 유비코스 유비크코리아 유스하이텍 유아이티테크 유온아이티 유와이즈원 유일로보틱스 유토닉스 유토비즈 유티소프트 유플렉스소프트 유피시앤에스 은일 이글루시큐리티 이너피플 이노더스 이노로봇 이노베이스 이노소프트기술 이노시스아이티 이노액티브 이노테크파워 이노텍 이디코어 이레기술 이로젠 이루에프에이시스템 이룸커뮤니티 이맥스 이맥스글로넷 이맥스글로벌 이맥스솔루션 이맥스정보기술 이맥스하이텍 이씨스 이아이피 이앤비솔루션 이앤시스 이에스테크놀로지 이엔에스티 이엠텍 이유랩 이음기술 이음아이씨티 이음인터렉티브 이젠솔루션 이젬코 이즈소프트 이즈파크 이지스시스템 이지아이티컨설팅 이지엠에스아이앤씨 이지오피스 이지원플러스 이지웹 이지지오 이지테이크 이지트론 이지팜 이투이솔루션 이튜 이프온시스템 인더스트리얼에이아이 인맥 인밸류비즈 인버스 인스턴 인왕글로벌 인이지 인커스소프트 인컴솔루션 인타운 인터페이스정보기술 인텔리코드 인투솔루션즈 인투와이즈 인포솔루션 인프라시스템 일양엔지니어링 일오삼씨앤에스 일원정보기술 일주지앤에스 일진정보 임픽스 잇츠아이 잉클 재상피앤에스 제너지 제니스정보기술 제드팩토리 제스엔지니어링 제이디 제이비소프트 제이빌드테크 제이솔루션 제이스마트솔루션 제이시스 제이씨엔에스 제이에스시스템 제이에스티 제이엔이웍스 제이엠비 제이엠에스컨설팅 제이원로보틱스 제이이노텍 제이지컴퍼니 제이캐스트 제이티에스 조인트리 주원이앤에스 중원이노베이션 지능디자인 지니어스 지니어스 지니테크 지다스테크놀러지 지디엔 지디엔시 지디엠홀딩스 지란지교시큐리티 지성아이티 지승 지아이소프트랩 지앤아이 지에스아이티 지에스티 지에이치엠씨 지엘테크 지엠소프트웨어 지엠피아이티 지영커뮤니티 지오 지오넥스 지텍자율주행로봇센터 지투시스넷 지투아이넷 지티씨엔에스 지피시스템즈 진산인포시스 진성테크템 진원이엔지 진코퍼레이션 차후 창진에스씨 창해디티에스 채움아이티 청송엔지니어링 카리스마아이텍 카스 카이디어 캐드정보기술 캐디언스시스템 캠텍 캡시스 커머스랩 컬처릿 컴넷정보공학 컴젠 컴파스시스템 컴퓨터메이트 케이경영연구소 케이비드 케이시스템 케이씨에스 케이아이에스 케이알앤에이 케이앤솔루션 케이앤엘정보시스템 케이에스아이 케이에스티정공 케이에스피소프트 케이에이치시스템즈 케이원아이티 케이트 켐토피아 코드원 코디정보통신 코랩인터내셔널 코리아소프트 코리아엔지니어링 코리아트리즈 코아시스템 코아칩스 코어링크 코어스 코체인솔루션스 코티스 코포텍 콕스랩 콘웰 쿠노소프트 쿨스 쿼티시스템 퀀텀스타 퀘스트정보기술 큐라움 큐버솔루션 큐알피 큐이노텍 크로이스 클라우드나인 클루커스 클릭원스 클비시스템 타스코 태진시스템 테크네트 테크다스 테크스캔코리아 텍스타일아이앤씨 토바 토인 투곰스 투비시스템 투비트 투톤 트위니 트윔 티라로보틱스 티라이프 티씨씨아이엔에스 티아이씨 티알 티앤테크 티엔케이에이아이 티엠씨융합컨설팅법인 티즈 티지에스컨설팅 티투온라인 티허브 파란정보통신 파워웰 팜아이앤씨 팜존에스엔씨 팩토리아이씨티 팹스넷 퍼스타 퍼스트아이 퍼스트알앤디 퍼즐시스템즈 펨트론 포스아이 포스테크 포스텍 포엠텍 포원시스템 포젠정보기술 포커스윈 포커스정보 표준엔지니어링 프레버소프트 프렉소프트 프로봇 프로토코리아 프론티스 프리오 프린트로보 프린팅웍스 플라잎 플랜아이 플랜투비즈니스컨설팅 플레이오니 플로시스 피스웰 피스티스 피스페이스 피엠파이브 피케이씨소프트 픽스로봇 필드유 하이네트서비스 하이데이타 하이젠 하이컴텍 하이텍정보시스템 하티오랩 한국기술경영원 한국능률협회컨설팅 한국마이콤 한국바코드정보기술 한국비즈넷 한국오픈솔루션 한국인프라 한비이앤씨 한빛레이저 한성오토 한양포장기계 한울정보 한일솔루션 한터테크놀러지 한텍 한텍솔루션 해내시스 해밀에프에이 해솔정보기술 해썹원 허브솔루션 헤븐트리 헬퍼로보틱스 현영소프트 현정보시스템 홍익과학기술 홍익솔브 휘스커 휴넷가이아 휴맥스홀딩스 휴먼딥 휴먼아이티솔루션 휴먼텍 휴컨 휴템 흥성엔지니어링 3A-Solutions ABB코리아 BFA cicoeng CNSONE(씨엔에스원) CSW소프트 DAir(디에어) EGI GS시스템 ISL계기 LG유플러스 Listen4u MakersLo ME시스템 OK버원시스템 OPENTS SIMPAC홀딩스 SIWONSRI SK쉴더스 SK SK텔레콤 SK플래닛 SystemEngineeringKorea WILL-B WinnersAutomationCo.,Ltd. ㈜인텐스소프트 가나시스 가람전자 가온소프트 가온정보기술 가온플랫폼 가이아텍 가후자동화기술 감프정보기술 강한솔루션 거림아이티 거민시스템 건영기계 건우정밀 건흥TECH 경남테크 경동로봇 고려엔지니어링 고스포드 공유씨앤씨 구름 구슬 구우정보기술 국제전산개발 굿티소프트 그란코 그린솔루션 그린아이티 그린온 글래스돔코리아 글로벌링커스 글로벌엔지니어링 글로벌하이세스 금강F.A 금강공업 금강오토텍 기공시스템 기성테크 꿈나무이야기 나누미전산 나스텍 나이스솔루션뱅크 나이스솔루션 나인티시스템 나테크시스템 남경소프트 내담씨앤씨 네모소프트기술 네모시스템즈 네오테크 네이처아이 넥스젠(NEXGEN) 넥스타테크놀로지 넥스트 넷큐브 넷킬러 넷플러스 노리시스템 노마드랩(nomadlab) 노블시스템 노스스타컨설팅 농심엔지니어링 누리꿈소프트 누리솔루션 뉴21커뮤니티 뉴젠제트 뉴젠홀딩스 다겸 다다인포 다름 다모아시스템 다빈소프트 다빈치이미징 다성공 다우데이타 다인정보 다일시스템 다임리서치 닮은꼴소프트 대경테크 대곡엔지니어링(dkeng) 대광테크 대림스타릿 대림전기 대명산업기술 대명포장기계 대성산업정보시스템사업부 대성솔루션 대성정보시스템 대신티엔아이 대영기계공업 대웅소프트 대웅이엔지 대윤계기산업 대한에프에이시스템 대한피앤씨 대호테크 더베스트 더브로시스템 더블유피솔루션즈 더블유피솔루션즈영남지사 데이타시큐리티 데이타엠테크 데이터랩(Data-Lab) 데이터사이언스랩 데이터에듀 데이터텍 덴티움 도넛소프트 도미노코리아 도울정보기술 도원정보 동국시스템즈 동성종합상사 동우fa 동우팜투테이블 동원테크 두레정보 두베 두이엔지 듀팩장원기계 드림소프트웨어 디노웍스 디딤솔루션코리아 디바이즈솔루션 디버스코리아 디브이아레나 디비밸리 디시스 디알비오토메이션 디에스엠이정보시스템 디에스테크 디에스티 디에이치텍 디오에프연구소 디인사이트 디제이메디 디지이노 디지코리아 디지테크정보 디케이랩 디케이이노베이션 디티패스 디포커스 딥파인 라온로보틱스 라온비즈컴 라온프렌즈 라온피플 랜택시스템코리아 랩투마켓 런시스 레드빈소프트 레보소프트 레이드백 레이월드 레인보우시스템 로고스아이티 로드브레인 로드에프에이 로봇밸리 로비고스 로이랩스 로임시스템 롯데정보통신 리얼시리우스 리얼타임테크 리치앤타임 리컨소프트 리팩시스템 링크투어스 마누메디텍 마이헨지 마크로버 마크베이스 마크애니 맥스트 메가존클라우드 메디케이시스템 메리츠엔지니어링 메이커스 메이크노우 메틀러토레도코리아 명도시스템 모노소프트 모던에이아이비전솔루션 모비어스 모이다 모토텍 무진소프트 문수산업기술 미건에스티 미라콤아이앤씨 미래마킹 미래산업 미래소프트웨어 미르지엔아이 미르텍 미소정보기술 미주아이티 민소프트 민소프트 밀레테크 밀리언웨어 바로 바론코리아 바이오소프트 바인컴퍼니 바코 발멧 뱅가드랩 범광기전 범일기계 베러마인드 베셀 베스트에프에이 베이스 베텍 보국에너텍 보아스소프트 보틀즈 부광테크윈 부산인터넷방송국 부영엔지니어링엔지엠피 뷰메진 블루마린시스템 블루비즈랩 블루시스 블룸 비디에스인포컴 비아이소프트 비앤에프테크놀로지 비에스시스템 비에스엔씨 비에스엘코리아 비엑스티솔루션 비엔씨인포텍 비엔티시스템 비엘두 비자림 비전세미콘 비젠트로 비젼하이네트 비주얼테크 비컴솔루션 비컴시스템 빅메이커 사이텍 사출아카데미 삼미정보시스템 삼보엔지니어링 삼보테크놀로지 삼에이시스템즈 삼영기계 삼원에프에이 삼익THK 삼일소프트웨어 삼진웰텍 상상인테크 생각샘터 서울다이나믹스 서울마이크로시스템 서울소프트 선반도체 선우아이오티 성수이엔지 성영로보틱스 성우에스에프에이 성원파워텍 성준전기 성진아이앤드티 성창테크 성화 세경ENG 세광특수종합미싱 세명하이테크 세븐솔류션즈 세이프씨엔씨 세종뉴텍 세중아이에스 세진기계 세현Tech 센스정보통신 소프트이에스 솔라미 솔루션코리아 솔리드이엔지 솔바테크놀러지 솔뱅크정보 솔트룩스 솔트룩스이노베이션 수로보틱스 수영이엔지 수테크 수테크 쉐카이나 슈어데이터랩 슈퍼대디 스마트HACCP&팩토리 스마트잭 스마트로봇연구소 스마트마인드 스마트솔루션 스마트솔루션즈(협) 스마트업 스마트엠앤에프그룹 스마트융합센터 스마트쿱 스마트팩토리 스토리오브시스템(StoryofSystem) 스틸리언 스페이스뱅크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유한회사 슬랙앤소프트 슬로우 시그마텍시스템즈엘엘씨 시내산아이티 시너지시스템즈 시스웨어 시스트로닉스 시안소프트 신광테크 신라정보기술 신명로보텍 신성ENG 신성정보기술 신아FA 신안테크 신영솔루션 신영테크 신진메카텍 신한에어로 신현정보통신 실버태그 실크라인 심플리즘 싱글톤소프트 써로마인드 써모피셔사이언티픽코리아 썬덴코리아 썬소프트 썬에스피테크 쎌톤(SELTON) 쓰리디산업영상 쓰리샤인 쓰리코에프에이 쓰리피로봇 쓰리피체인 씨디알시스템 씨씨웰 씨아이씨소프트 씨앤씨에이드 씨에스지 씨에프티유한책임회사 씨엔로봇 씨엔비스 씨엠씨테크 씨와이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씨티아이앤씨 씨티알로보틱스 씨피툴스코리아 아강테크 아더웍스 아리아리ICT 아리아텍 아비만엔지니어링 아성테크 아세테크 아스펜스 아스프로바 아시아나IDT 아엠씨소프트 아우시스템 아이둡 아이디비 아이보우소프트 아이비센터 아이비에스 아이센트릭 아이솔루션 아이씨티웨어 아이씨티피플 아이앤디소프트 아이앤지코리아 아이앤티 아이에스비 아이엔아이티 아이엔지글로벌 아이엠로보틱스 아이엠시스텍 아이엠에스 아이원소프트뱅크 아이케이텍 아이코드랩 아이큐패드 아이테크기술 아이투 아이티이노베이션 아이티스코 아이티씨지 아이티에스시스템 아이티존 아이티즈 아이티컨버젼 아이티콤 아이티팜 아이피엘엠에스 아임토리 아주큐엠에스 아주테크윈 아크릴 아트라스콥코코리아 아티스시스템 아프로비에이 알고스 알엠텍 알파(R_Fa) 알파에프에이 알파엔지니어링 암스텍산업 애니온 앨빈즈 어플라이드테크놀로지 엄지닷컴 에너지기술서비스 에너지닥터 에너지움 에스넷시스템 에스디티 에스랩 에스링크비즈니스 에스브이솔루션 에스아이솔루션(S,I솔루션) 에스아이에스 에스에스시이엔지 에스에프존 에스엘평촌알앤디센터 에스엠에이티 에스엠피 에스엠허브솔루션 에스와이시스템 에스이랩스 에스이테크놀로지 에스제이이엔지 에스지소프트 에스텍 에스티에스 에스티엘소프트 에스피앤지 에쓰소프트 에이닷 에이드인더스트리스 에이드정보기술 에이블아이엔티 에이스정보시스템 에이스타테크 에이앤피산업 에이에프 에이엠경덕 에이엠스퀘어 에이엠알랩스 에이온 에이원 에이원솔루션 에이원정보기술 에이윈소프트 에이젠 에이치디솔루션즈 에이치비에스테크 에이치씨엔씨 에이치앤아이씨 에이치앤피테크놀로지 에이치에스글로벌 에이치에스소프트 에이치에스에스 에이치엔아이엑스 에이치엔아이엑스 에이치엔아이엔씨 에이치엔아이엔씨 에이치엔이노밸리 에이치엠씨 에이티에스 에임시스템 에코로드 에프아이티 에프원소프트 에프원테크시스템즈 엑스오 엔셀 엔솔루션스 엔아이디소프트 엔에스비 엔에이치아이에스 엔엔피시스템 엔엠시스코 엔지아이테크 엔지엘 엔클로니 엔터빌더 엔포스 엔피에스시스템 엘도움 엘바츠소프트 엘앤코리아 엘에스시스템 엘에스아이티씨 엘에스엠트론 엘에스일렉트릭 엘지에너지기술 엠디하이텍 엠시스랩 엠아이큐브솔루션 엠엔디시스템 엠엔씨오토메이션 엠엔알소프트 엠엠테크놀로지 엠이티 엠제이소프트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엠투어플 연소프트 열림정보시스템 영림산업 영림원소프트랩 예스바이오 오경정보시스템 오리진 오리진컨설팅 오상자이엘 오씨아이정보통신 오에스씨엔택 오엔에스커뮤니케이션 오토텍 오토파워 오픈컨트롤 옥토시스 온라인바다 온아이티시스템 온오프랩 올아이티 올포넷 올하우 와이시스 와이케이시스템 와프(waff) 우리테크 우림이엔지 우성기전 우영산업 우진큐&텍 울랄라랩 원더솔루션즈 원소프트 원시스템연구소 원오토메이션 원원테크 원프레딕트 웨이브그램 웰메이트 웰탑테크노스 위너스에프에이 위데이터랩 위미르 위앤아이티 위즈온협동조합 위지스 윈디 윈텍 유니닥스 유니드 유니에버 유니온시스템 유디에스 유라 유로지스넷 유림정보시스템 유비스톰 유비즈정보기술 유스엠 유앤아워스 유앤아이올투원 유엑스아이 유엔디 유일엔지니어링 유주티엔씨 유징테크 유한책임회사포엑스포 유한회사성우메카트로닉스 유한회사청천 유한회사코아시스템 유호스트 이그린테크 이노넥스소프트 이노데일 이노오토텍 이노테크 이노팀스 이노팩토리 이노포스트 이노플랫 이든비즈텍 이든앤컴퍼니 이래정보 이레엔지니어링 이룸기술 이비오 이삭엔지니어링 이상고 이솔소프트랩 이솔아이티 이수시스템 이쓰리피에스 이아이시스템 이안에스아이티 이앤디일렉트릭 이에스 이에이트 이엔아이 이엔유 이엠솔루션 이엠시티 이오정보 이지솔루션 이지시스 이지시스템 이지아이디정보 이지에스소프트 이츠코어 이큐마이크론 이크론소프트 이플러스 이피피에스 인공지능팩토리 인더스트리엑스퍼트그룹 인버터기술 인사이드솔루션 인실리코 인정보기술 인제니오에이아이 인콘소프트 인터그래텍 인터텍 인텍오토메이션 인텍원 인텔리즈 인텔리코리아 인프라닉스 일광산업기술 일진씨앤에스 자두소프트 자유로운소프트 자이솜 자이언트팩토리 자이오넥스 재단법인세종테크노파크 재성전기 재이시스템 재현AUTONICS 전진이엔지 정우엠브이에스 정우하이테크 정현소프트 제니스이엔지 제르메스 제이드테크 제이디텍 제이랩 제이메디덴 제이솔루션 제이씨엔에스(JC&S) 제이씨엠 제이앤비소프트 제이에스글로벌 제이에스테크 제이에스테크 제이엔이시스텍 제이엘테크(JLtech) 제이원솔루션 제이투테크 제이피에스코리아 제이픽스 제일엔텍 제타소프트 제트핑거소프트 젠틀에너지 젯스퍼트 조앤소프트 조은인포텍 조은전기 조이랩 조이팩토리 조인텍스컴 주)가자 주)대일엔지니어링 주)리눅스아이티 주)솔트 비에스피솔루션 가람에이앤피 가온아이티 가이온 가주정보기술 거성개발 고성엔지니어링 그린캠퍼스 글로벌탑테크 금강시스템스 기원테크 나다 나우로보틱스 나우리 나이스테크 낭만상회 내셔널옵틱스 네오유비 네오컴즈 네트워크코리아 넥솔시스템 넥스에이아이티 노드데이타 노드블랙 노리앤드 노버스메이 뉴로메카 뉴로센스 다만듬소프트 다바랩 다온씨엔에스 다인이엔지 단비 대단 대도 대성로보텍 대한아이앤에스 더모모스 더블에스텍 더블오 더블유엔피 더블유피 더블티 더쎈 데이터다이나믹스 뎁스 도구공간 도성하이텍 동아에프에이 동아티지 동양엔아이엔씨 동우지씨에스 두루소프트 두잇 드림소프트 드림이에스 디밀리언 디벨룹 디아이엔씨 디에이치테크 디에이치테크 디엑사 디엠스튜디오 디엠테크컨설팅 디와이엠씨 디지털바인즈 디코 디타스 딥브레인 라임프렌즈 라플러스 래딕스 러봇 레드키 로그인서광 로드피아 로맨 로탈 로픽 루텍 루트시스템 리더스알앤디 리쉐니에 리스너 리안 리엔씨소프트 리오소프트 리오정보기술 린치핀 마르다 마이스 마크원테크 만인의공평한법률 매일정보기술 매직에코 맨앤로봇 멀티로봇 메이븐 메이어스 메이크 메타덱스터 모빅랩 모은정보기술 몰드케어 무른모 미라클시스템즈 미러웍스 미트소프트 미트웨어 바로에이아이 바스떼 바심 바우텍 베이스원 베터리얼 벡스 보라 보토 부현 뷰시에스 브릭스 브릴리언트시스템즈 브릴스(BRILSCorp.) 블로켓 비던 비디텍 비알지 비에스소프트 비에이치데이타시스템 비엔씨테크 비잉테크 비전라이즈 비전에프에이 비즈니스인사이트 비즈비 비즈에스아이 비즈웰 비즈코퍼레이션 비즈포스 비츠로시스 비카누스 비컨코리아 사라시스템 삼영씨앤씨 삼오기공 삼익의공간 삼인에이치엔티 상동 성신에프에이 성진플러스 성하에너지 세원에스텍 소나무정보기술 소프트넷 솔루션베이 쉐어드원 스마트앤유 스마트에스아이 스마트원큐 스마트웨이브 스마트해썹앤팩토리 스콘 스피폭스 시너지솔루션 시노시스 시스노바 신라시스템 신성씨에스 심비즈코리아 심지 싸이텍 썬더디에스 썬에이치에스티 쏨텍 쓰리데이즈 쓰리디오토메이션 씨메스 씨앤디 씨앤에프에이 씨앤테크 씨에스리 씨엠티 씨테크시스템 아우라프리시젼 아이브 아이시냅스 아이에스엠씨 아이엔포 아이엠지로드 아이커넥트 아이투엘 아이티몬 아이핌 아이하랑 아인커뮤니케이션 아크웰 아테스 아프로푸드 알텐코리아 알티엠 암스 애드아임 애드온소프트 애브리 애자일소다 에스더블류에스 에스아이웨어 에스앤디인포 에스에이치아이 에스에프이 에스엠티비전 에스케이이 에스티이피 에이비에이치 에이스로보테크 에이아이네이션 에이아이비즈 에이에스씨 에이엠시 에이치비전 에이치아이디 에이치앤아이 에이치앤케이이앤지 에이케이시스템 에이투지로보틱스 에이투지시스템 에인트체인소프트 에티버스 엔에스솔루션 엔케이시스템 엔터인 엔티로보틱스 엔피비컨설팅 엘로이랩 엘앰캐드 엘지알앤디 엠디알 엠아이테크 엠이티 엠제이비전테크 엠테스 엠투코리아 엣지크로스 여누솔루션 영광테크 오웬스그룹 오즈시스템 오토 오토메스텔스타 옥토 올립스 와따 와이리즘 와이씨코퍼레이션 와이알솔루션 와이앤와이 와이젠테크 와이즈컨 와토솔루션 와트 우드앤소프트 우성기계 우진코퍼레이션 원플 웨이츠 웨코 웰티에스 웹싱크 위에이아이 위존강남사업장 위트소프트 윌네트 유니전스 유니컴퍼니 유디에이시스템 유락 유비덤 유비즈 유비테크 유시스 유일전산 이노비 이맥스아이씨티 이맥스에스엔시 이모두 이안 이에스지테크 이에스티 이엔에스코리아 이엔지소프트 이엠에스 이엠포커스 이지아이 이지엠 이트랜드 이플러스 인그리드 인더핸즈 인랩 인바이트 인베스티 인시스템 인터엑스 인포마인드 일렉트릭스 정도기술 제로클래스랩 제스엔지니어링 제스텍 제오시스 제이솔루션 제이앤케이씨 제이엘티 제이엘티 제이이엔지 제이투모로우원 제이플랩 제타 줌인테크 지경솔루텍 지넷시스템 지로보틱스 지메이드 지비소프트 지성솔루션컨설팅 지아이엠티 지앤씨소프트코리아 지앤아이시스템즈 지에스에프시스템 지에스피솔루션 지엔디비즈 지엠티 지오이즈 지오티솔루션 지텍 칼만텍 캐디언스시스템글로벌 캐롯아이 커스토메이드 컴퓨터메이트경기 케이교정원 케이디에이 케이어드밴텍 케이언트 케이이노텍 케이티 켄즈 코덱스브리지 코레토 코보시스 코아솔루션 코인트컴퍼니 쿳션 큐오 크레아텍 크레오티 키미이에스 키소스 키플러스 타이니웨이브 타키온테크 태성소프트기술 테이크 텍트원 토탈이엔지 투두 투비시스템 트니랩인 트라이비스 트라이포드랩 트러시스시스템 티라유텍 티비씨 티앤엠테크 티에스엠알앤디 티에스티이 티원 팀솔루션 파람스 파스이엔지 파시디엘 팔피엠 팜소프트 팩앤롤 팩토리솔루션 퍼스펙티브 페니소프트 평화아이씨티 포블럭스 프라이머리넷 플레이팅코퍼레이션 피엔아이 피엔에이 피엘피엔지니어링 피플인사이드 하나로보텍 하드웰소프트 하이브테크놀로지 하이스마트 하이지노 하이퍼놀로지 한경솔루션 한국네트웍스 한국미래에너지 한국스마트해썹 한국엠프로 한국유체 한국자동화기술 한다랩 한빛테크윈 한사랑시스템 한성데이타시스템 한진에프에이에스 현대디에스 호우캐스트 화담소프트 화이트박스 뉴아틀란 다울피피티 디노 마스터코리아 맥스피아 미소시스템 벗님지유아이 세정로봇 수인정보 신성정공 싸이언 에스엠피쓰리 에스지 에스티솔루션 에어풀 에이디에스테크 에이테크 에이피씨소프트 엔에스솔루션 원오토텍 위피엔피 유유랑컴퍼니 이노템즈 이디티 이엠솔루션 인써프 인포젠 제이앤케이컴즈 제패 진영비엔씨 케이피티 코어텍 큐빅스 타스 타운넷 테이큰소프트 투유즈 튜링시스템 포인트시스템 하림솔루션 한영에스에프 화인소프트 휴웰프라임 주인정보시스템 중외정보기술 중원 지남소프트 지비로터리 지성소프트(jisungsoft) 지식시스템KSTEC 지아이컴퍼니 지아이티 지아인홀딩스 지에스아이티엠 지에이치온 지엔소프트 지엔지소프트 지엔티소프트 지엔티피플 지엘티코리아 지엘파워 지오디에스(GODS) 지오디엑스 지오지에스 지원ENG 지음소프트 지이티 지인씨앤아이 지컴패니 지피헬스 진성알엔디 진승정보기술 진영에프에이 진흥기계 징코스테크놀러지 참바른기술 청아시스템 체킹 카멘스 카이엠 칸에스티엔 칼라토크 캐드윈시스템 케이데이터랩 케이디인터내셔널(KD) 케이베이스 케이아이티밸리 케이엠디지텍 케이지아이씨티 케이티에스 케이티하이텔 코너스톤테크놀러지 코닉오토메이션 코로아이 코론 코리아솔루션 코리아스마트시스템 코메스 코베스트 코비솔루션 코스카 코아글로벌 코아정보기술 코앤코시스템 코어엠 코오롱베니트 코코넛사일로 코코스소프트웨어협동조합 쿠라고아시아 쿤텍 큐브세븐틴 큐빅테크 큐시스템 큐이알피 크레스프리 크레플 크리샤 큰솔시스템 클라우드네트웍스 클래드코리아 클릭원스 키움소프트 타이거컴퍼니 타이아 태성테크놀 태진솔루션 태창기계공업 터크코리아 테라씨스템 테라앤금일 테라스트림 테스트웍스 테이아 테크앤아이코리아 텔스타 투윈시스템 트라이텍 트루메카 트리오엔지니어링 트리플렛 티쓰리큐 티아이에스 티에스아이코리아 티에스에스 티에스엔랩 티에이케이정보시스템 티엔씨파트너 티엔에스에이아이 티엠디 티오에스 티티아이 팀레피소드 팀에브리웨어 팁스밸리 파란소프트,포토솔루션 파워레이저 파워인사이트 파이오링크 파이팅랩 파인로봇 패스컴바인 퍼씨엠 평화하이텍 포메이션랩스 포스켄 포스코DX 포와이즈 포인트 포테닛 포휴먼테크 폴스타에프에이 푸른들소프트 푸름인더스트리 퓨처메인 프라임컴퓨터 프레임소프트 프로인스텍 프리즘 피디엠테크 피앤피어드바이저리(P&PAdvisory) 피엘지 피피에스 필리퍼 하나머티리얼즈 하드콘 하이네트서비스 하이로보틱스코리아 하이젠모터 하이텍앤솔 한국교정시험기술 한국도키멕대구공장 한국보싸드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소니전자 한국솔루션 한국스마트기술센터 한국아이엘에스 한국아즈빌 한국에어로소프트 한국오므론제어기기 한국요꼬가와전기 한국전기 한국전력정보 한국제일 한국코바텍 한국트럼프지엠비에이취 한국환경안전관리 한국후지냉기 한국후지필름비즈니스이노베이션 한독기술 한맥콘트롤즈 한빛에스아이 한솔피앤에스아이티서비스부문 한스마테크 한스코시스템즈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한양로보틱스 한영디에스 한울시스템 해솔정보시스템 허브디티 헤리트 헬로우피플 현대오토에버 현대정보시스템 화담소프트 화인정보기술 효원기계 효원테크 효원텍 휴먼시스템    
작성일 : 2025-04-04
[무료다운로드] 크레오 11.0에서 향상된 주요 기능 소개
제품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11.0 (1)   ■ 김성철 디지테크 기술지원팀의 이사로 Creo 전 제품의 기술지원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홈페이지 | www.digiteki.com   PTC는 사용자가 작업을 더욱 쉽고 빠르게 완료할 수 있도록 사용자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매년 크레오의 새 릴리스를 출시하고 있다. 지난 4월 출시된 크레오 파라메트릭 11.0(Creo Parametric 11.0)은 설계 엔지니어가 자주 사용하는 사용성 및 생산성 기능을 포함하여 CAD 모델 관리/조작/이해용 도구를 개선하고 전자화, 복합소재, 모델 기반 정의(MBD), 시뮬레이션 기반 설계, 제조 기능 등 다양한 부분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이번 호에서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11.0의 주요 기능 향상 내용을 알아보자.   생산성 및 유용성 개선 크레오 파라메트릭 11.0은 작업을 간소화하고 설계를 더 빨리 생성할 수 있도록 다중 보디 설계, 서피싱, 모델 트리 관리 기능이 개선되었다. 판금 설계에서 다중 보디를 지원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의 판금 모델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 워크플로가 향상되었다.     다중 보디로 구성된 판금 부품은 각 보디의 두께를 다르게 지정하거나 플랫 상태를 개별로 생성 및 시각화할 수 있고 부울 연산, 분할, 트림, 제거, 복사 패턴, 대칭복사 등의 일반적인 보디 작업을 지원한다.     새 보디를 추가하고 유형을 솔리드 혹은 판금으로 선택하여 생성할 수 있고 첨부되지 않은 벽을 생성할 때 보디 옵션을 사용하여 새 보디를 추가할 수도 있다.     용접 피처에 새 용접 및 조인트 트리가 추가되어 모델의 모든 용접 피처를 모델 트리에서 쉽게 확인 및 편집할 수 있고, 스폿 용접에서 스케치, 투영, 커브 위, 오프셋 등 모든 기준점을 사용하여 스폿 용접을 정의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스폿 용접 생성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새 영역 선택 기능으로 올가미 선택 및 추적 선택이 추가되어, 부품 및 어셈블리에서 여러 서피스를 더 다양한 방법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추가된 선택 기능을 이용하여 모델 서피스에 색상을 지정하거나 3차원 주석에 대한 의미 참조를 더 빠르게 선택하고 정의할 수 있다. 새로운 슈링크랩 옵션을 사용하여 참조된 원본 어셈블리에서 보디를 수집하여 부품에 추가할 수 있다. 모든 솔리드 형상 자동 수집 옵션을 사용하여 솔리드 보디를 결과 형상 유형으로 수집하고, 원본 부품의 모든 보디를 대상 부품에 별개의 객체로 복사하고 유지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솔리드 형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6-03
[무료다운로드] 오픈AI CLIP 모델의 이해/코드 분석/개발/사용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이번 호에서는 생성형 AI의 멀티모달 딥러닝 기술 확산의 계기가 된 오픈AI(OpenAI)의 CLIP(Contrastive Language-Image Pre-Training, 2021) 코드 개발 과정을 분석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 강태욱 건설환경 공학을 전공하였고 소프트웨어 공학을 융합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분석하거나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건설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이와 관련된 작은 메시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BIM/GIS/FM/BEMS/역설계 등과 관련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메일 | laputa99999@gmail.com 페이스북 | www.facebook.com/laputa999 홈페이지 | https://dxbim.blogspot.com 팟캐스트 | http://www.facebook.com/groups/digestpodcast CLIP은 구글이 개발한 자연어 번역 목적의 트랜스포머 모델, 비전 데이터 변환에 사용되는 VAE(Variational Autoencoder) 개념을 사용하여 멀티모달 학습 방식을 구현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그 과정을 설명하고 파이토치로 직접 구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CLIP을 이용하면 유튜브, 넷플릭스와 같은 영상에서 자연어로 질의해 해당 장면을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참고로, CLIP에서는 트랜스포머가 핵심 컴포넌트로 사용되었다. CLIP과 같이 트랜스포머가 자연어 번역 이외에 멀티모달의 핵심 기술이 된 이유는 비정형 데이터를 연산 가능한 차원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 임베딩 기술의 발전과 트랜스포머의 Key, Query, Value 입력을 통한 여러 학습 데이터 조합이 가능한 특징이 크게 작용했다.    그림 1. 멀티모달 시작을 알린 오픈AI의 CLIP 모델(Learning Transferable Visual Models From Natural Language Supervision, 2021)   트랜스포머와 VAE를 이용한 멀티모달 CLIP 네트워크를 좀 더 깊게 파헤쳐 보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트랜스포머, 임베딩과 관련된 개념에 익숙하다면, CLIP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CLIP에 대한 이해 오픈AI에서 개발한 CLIP 모델은 공유 임베딩 공간 내에서 이미지 및 텍스트 형식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개념은 기술과 함께 이미지와 텍스트를 넘어 다른 양식을 수용한다.(멀티모달) 예를 들어, 유튜브 등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텍스트 검색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공통 임베딩 공간에서 비디오 및 텍스트 형식을 결합하여 모델을 학습시켰다. 사실, 임베딩 텐서를 잠재 공간(Latent Space)으로 이기종 데이터를 변환, 계산, 역변환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는 VAE 기술, 구글의 트랜스포머 논문(2017)을 통해 개발자들 사이에 암시되어 있었다. 이를 실제로 시도해본 연구가 CLIP이다.  참고로, CLAP(Contrastive Language-Audio Pretraining)은 동일한 임베딩 공간 내에서 텍스트와 오디오 형식을 통합하는 또 다른 모델로, 오디오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검색 기능을 개선하는 데 유용하다. CLIP은 다음과 같은 응용에 유용하다. 이미지 분류 및 검색 : CLIP은 이미지를 자연어 설명과 연결하여 이미지 분류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텍스트 쿼리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하고 유연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허용한다. 콘텐츠 조정 : CLIP은 부적절하거나 유해한 콘텐츠를 식별하고 필터링하기 위해 이미지와 함께 제공되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온라인 플랫폼의 콘텐츠를 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메타 AI(Meta AI)는 최근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깊이, 열, IMU 데이터 등 6가지 양식에 걸쳐 공동 임베딩을 학습하는 이미지바인드(ImageBind)를 출시했다. 두 가지 모달리티를 수용하는 최초의 대규모 AI 모델인 CLIP은 이미지바인드 및 기타 다중 모달리티 AI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CLIP은 배치 내에서 어떤 N×N(이미지, 텍스트) 쌍이 실제 일치하는지 예측하도록 설계되었다. CLIP은 이미지 인코더와 텍스트 인코더의 공동 학습을 통해 멀티모달 임베딩 공간을 만든다. CLIP 손실은 트랜스포머의 어텐션 모델을 사용하여, 학습 데이터 배치에서 N개 쌍에 대한 이미지와 텍스트 임베딩 간의 코사인 유사성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음은 이를 설명하는 의사코드이다. 1. img_en = image_encoder(I)   # [n, d_i] 이미지 임베딩 인코딩을 통한 특징 추출  2. txtxt_emdn = textxt_emdncoder(T)    # [n, d_t] 텍스트 임베딩 인코딩을 통한 특징 추출 3. img_emd = l2_normalize(np.dot(img_en, W_i), axis=1)    # I×W 결합(조인트) 멀티모달 임베딩 텐서 계산 4. txt_emd = l2_normalize(np.dot(txtxt_emdn, W_t), axis=1)  # T×W 결합(조인트) 멀티모달 임베딩 텐서 계산 5. logits = np.dot(img_emd, txt_emd.T) * np.exp(t)   # I×T * E^t 함수를 이용한 [n, n]코사인 유사도 계산 6. labels = np.arange(n) 7. loss_i = cross_entropy_loss(logits, labels, axis=0)  # 이미지 참값 logits과 예측된 label간 손실 8. loss_t = cross_entropy_loss(logits, labels, axis=1)  # 텍스트 참값 logits과 예측된 label간 손실 9. loss = (loss_i + loss_t)/2   # 이미지, 텍스트 손실 평균값   실제 오픈AI 논문에는 <그림 2>와 같이 기술되어 있다.(동일하다.)   그림 2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5-02
[포커스] 유니버설로봇, 신제품 협동로봇 출시와 함께 산업용 로봇과 본격 경쟁 기대
유니버설로봇이 기존 제품보다 더 큰 무게를 다룰 수 있는 협동로봇 신제품 ‘UR30’을 공개했다. 공간 활용과 유연성 등 협동로봇의 이점을 강화하면서 속도와 안정성을 높인 신제품을 통해, 산업용 로봇이 쓰이는 영역에서 본격적인 경쟁도 가능해졌다는 것이 유니버설로봇의 시각이다. ■ 정수진 편집장   ▲ 유니버설로봇의 UR30   간편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협동로봇의 이점 강화 코봇(cobot)으로도 불리는 협동로봇(collaboration robot)은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함께 작업할 수 있는 로봇을 가리킨다. 기존의 산업용 로봇은 크기가 커서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사람과 충돌해 사고가 나지 않도록 안전망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협동로봇은 센서를 탑재해 사람과 부딪치면 정지하도록 해 안전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유니버설로봇은 지난 2008년 첫 번째 제품을 선보인 이후 현재까지 7만 5000대 이상의 협동로봇을 판매해 왔으며, 전 세계에 20개 지사와 1000여 명의 임직원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다. 유니버설로봇은 자사의 협동로봇이 산업용 로봇에 비해 콤팩트하면서 사용이 간편하다는 점을 내세운다. 유니버설 로봇 코리아의 이내형 대표는 “몇 시간의 교육만으로 비전문가도 로봇의 기본 조작을 익힐 수 있고, 트레이닝센터에서 어느 정도 교육을 받으면 제조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전했다.   성능과 사용 편의성 강화한 UR30 국내 시장에 새롭게 내놓은 UR30은 지난 해 출시한 UR20에 이어 유니버설로봇의 5세대 제품으로 꼽힌다. 로봇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무게를 뜻하는 가반하중이 30kg으로 늘었지만 로봇 자체의 무게는 63.5kg으로 산업용 로봇에 비하면 가볍고, 지름 245mm의 공간만 있으면 바닥뿐만 아니라 벽이나 천장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로봇의 모든 관절이 360도 회전하기 때문에 움직임의 자유도가 높다는 점도 특징이다. UR30은 더 무거운 무게를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개선이 이뤄졌다. 속도와 안정성을 높이면서 더욱 부드러운 제어를 위해 소프트웨어를 개선했고, 자동화 시스템을 더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했다. 유니버설로봇 코리아의 심재호 차장은 “고장이 생겼을 때 로봇을 제거하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수리와 부품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빠르게 생산라인을 재가동할 수 있다”면서, “로봇에 내장된 조인트 부품의 수를 기존 제품 대비 50% 줄였고, 누구나 쉽게 로봇의 움직임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도 업데이트됐다”고 설명했다.   ▲ 유니버설로봇 코리아의 심재호 차장은 산업용 로봇과 경쟁을 기대할 수 있는 단계라고 전했다.   산업용 로봇과 경쟁 및 협동로봇 시장 확대 추진 UR30은 여러 개의 그리퍼를 활용해 다양한 작업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조인트 제어의 자유도를 통해 좁은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아졌다. 개선된 토크 센서로 토크 제어의 정밀도도 향상됐으며, 무거운 물건을 반복해서 옮기는 작업에서 속도가 향상돼 시간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유니버설로봇은 협동로봇의 속도와 정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산업용 로봇이 많이 쓰이는 분야에서 본격적인 경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간과 자유도의 이점 및 유연성과 사용 편의성을 앞세워 산업용 로봇 대비 경쟁력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심재호 차장은 “산업용 로봇의 활용 분야에 협동로봇이 근접할 수 있는 단계에 왔다고 본다. 산업용 로봇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다고 보기는 이르지만, 공간 활용 등 협동로봇이 가진 이점을 살리면서 속도와 안정성을 높여 산업용 로봇과 경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유니버설로봇은 국내외 시장에서 많은 제조사가 등장하면서 협동로봇 시장 전체가 꾸준히 커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고품질과 퍼포먼스를 요구하는 제조 분야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한다는 것이 유니버설로봇이 밝힌 올해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이다. 이내형 대표는 “작년 국내 시장에서 매출이 크게 늘었는데, 이는 협동로봇 시장 자체가 확대된 영향도 있을 것이다. 2차 전지나 자동차 등의 산업을 중심으로 복잡한 동작이나 극한 상황이 요구되는 시장에서 협동로봇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 올해도 큰 폭의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자사 제품의 퍼포먼스를 내세워 고퀄리티/하이엔드 협동로봇 고객에 집중하면서, 학교에서 협동로봇에 대해 배우고 직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사업도 강화해 협동로봇의 인지도 및 시장을 넓히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유니버설로봇 코리아의 이내형 대표는 협동로봇의 인지도 확대와 하이엔드 시장 공략 계획을 밝혔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3-04
Visual Crash Studio : 충돌 구조물의 설계 해석 및 최적화 프로그램
개발 : Impact Design Europe 주요 특징 : 설계 초기 단계부터 차량의 충돌 성능 평가/개선 및 최적화 지원, SFE 및 SBE 기반으로 충돌하중을 받는 박판구조물의 설계/해석/최적화, 간편한 모델링 및 설계 변경, 빠른 계산 속도 및 신뢰성 있는 결과 도출, 사용자 친화적인 통합 작업 환경 등 사용 환경 : 윈도우 PC/랩톱 자료 제공 : 브이에스텍   그림 1. 유한요소 모델   그림 2. VCS 모델   차량 충돌 안전 법규 및 상품성 평가는 실제 충돌 상황을 최대한 반영하고 승객의 사망 및 심각한 상해를 줄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고,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러한 평가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의 안전 등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충돌 테스트는 제품 설계 및 개발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해 가상 엔지니어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에 크게 의존하는 차량 제조업체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설계 단계에서 CAD 모델 준비, 각 하중 케이스/물리적 테스트에 대한 유한요소(FE) 모델 생성, 평가 및 개선 작업이 필요하므로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간편하고 빠르게 차량의 충돌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것이 큰 관심사이다. 특히, 프로토타입 제작 및 개발 프로세스 후반의 설계 변경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 콘셉트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설계에 대한 충돌 성능의 평가 및 개선을 통한 충돌 성능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매크로요소법(Macro Element Method)을 사용하는 Visual Crash Studio(VCS)는 비전형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접근 방식으로 단순한 설계 환경에서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며, 설계 초기 단계부터 차량의 충돌 성능 평가/개선 및 최적화가 가능한 CAE 소프트웨어이다.   그림 3   VCS의 주요 특징 매크로요소법, 수퍼폴딩요소(SFE : Super-folding Element) 및 수퍼빔요소(SBE : Super-beam Element) 개념을 기반으로 객체지향유한요소(OOEF : Object Oriented Finite Element) 정식화와 결합된 충돌하중을 받는 박판구조물의 설계, 해석 및 최적화가 가능 다양한 재료의 박판구조물의 대변형 붕괴 거동의 예측에 성공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유한요소 솔버와 경쟁이 아닌 보완 관계 매크로요소법에 기반한 간편한 모델링 및 설계 변경, 빠른 계산 속도 및 신뢰성 있는 결과의 도출을 통해 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충돌 부재의 충돌 성능 분석 및 최적화 가능 사용자 친화적인 통합(all-in-one) 작업 환경 주요 기능 : Material Editor, Cross Section Editor, 3D environment, Cross Section Optimizer, Chart Wizard 단면 수준에서 부재의 충돌 특성 파악 및 설계를 위한 2D 환경 제공 부재, 어셈블리 및 전체 구조물 등의 복잡한 충돌 해석 및 설계를 위한 3D 환경 제공 2D 및 3D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설계 수정 및 계산이 가능하며, 각 환경에서의 수정 및 계산 결과는 자동으로 전 모델에 반영 통합 전/후처리 도구 : 솔버와 통합된 전/후처리 프로세스로 모델링 및 설계 변경이 간단하여 다양한 설계안의 충돌 성능 평가가 빠른 시간에 가능하고 챗 위저드(Chart Wizard) 등으로 다양한 결과의 비교 분석이 용이   그림 4. VCS의 일반적 설계 및 계산 프로세스   VCS의 작업 프로세스 박판 충돌구조물의 설계, 해석 및 최적화는 통합 환경에서 수행되며, 일반적인 작업 프로세스는 <그림 4>와 같다. <그림 5>는 VCS의 메인 뷰(Main View) 화면이며, 메인 툴바(Main Toolbar)는 작업 프로세스에 따른 툴 그룹(File, Model, Calculate and Results, Analysis, View 및 Help Tool)으로 구성된다. ‘Model Tool’은 모델 생성 프로세스에 필요한 모든 도구(Select, Nodes, Beams, Spine-line, Rigid, Contact, Group, Special, Measure 등)를 제공하며, ‘Calculate and Results Tool’은 계산 및 결과 비교에 유용한 처리 장치(Processing Unit), Chart Wizard, 애니메이션 도구 모음 등의 기능이 있다. ‘Analysis Tool’은 단면자동분석(Cross Section Analyzer) 기능 전용이며 ‘View Tool’은 추가 3D 보기 도구를 제공한다. ‘Help Tool’에서는 VCS 소프트웨어의 모든 기능에 대한 최신 설명서와 도움말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개발사 홈페이지에서도 모든 사용 매뉴얼과 따라하기 매뉴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림 5. VCS의 메인 뷰 화면   VCS의 작업 프로세스의 순서에 따른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FE Mesh/Initial geometry import 다양한 FE 데이터 및 CAD 지오메트리(geometry) 불러오기 기능을 제공한다.   재료 정의(Material Editor) 재료상수(Material Constraint) : Hardening Factor, Mass Density, Poisson Ratio, Proof Strain, Proof Stress, Young Modulus 응력-변형률(Stress-Strain) 특성 : Array, Power Law, Polynomial, User Function-2D, Array 3D 변형률속도(strain rate) 특성 : Cowper Symonds, Modified Cowper Symonds, User defined function-3D, Johnson Cook   Fracture Indicator : Surface strains, Cockcroft-Latham/Norris LS-DYNA MAT24(MAT_PIECEWISE_LINEAR_PLASTICITY) 호환 Material & Characteristic Repository 기능   2D Structure(Cross Section Editor) : Cross Sections & Cross Section analysis Cross Section Editor는 단면의 충돌 성능 최대화를 위한 설계, 계산 및 최적화를 위한 편집기이다. 여기서 처리된 단면은 3D 수퍼빔요소(SBE)에 사용되며, Cross Section Editor의 이론적 배경의 핵심은 수퍼폴딩요소(SFE)이다. Point, plate, segment, SFE 및 connection으로 모든 단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쉽고 편리한 단면 형상 및 재료 특성의 변경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빠른 변경이 가능하다. Cross Section 계산 결과 단면 상태에서는 7가지의 충돌 거동(Axial Response, Design Recommendations, Bending Response, Lateral Response, Denting Response, Torsion Response, Elastic Properties-축/굽힘/전단 강성 등)을 결과로 표시 각 결과는 주어진 붕괴 응답 모드에 대한 특성 파라미터((최대 하중 및 모멘트, 에너지 흡수 능력, 굽힘힌지의 총 회전 등과 같은 변형제한 값)의 정보 표시 Design Recommendations   효과적인 축방향 붕괴를 위한 단면 최적화 프로세스 : 결함이 있는 단면은 점진적 붕괴가 발생하지 않고 불규칙한 접힘으로 인해 많은 에너지 흡수가 적음 상세 단면 형상 근사화를 위한 단순화 모델링 과정을 통한 결함 제거 : 단면 수준에서 허용 가능한 접힘 모드를 선택하면 다음단계로 단면에 대한 각 SFE에 대해 결함 제거 과정을 수동으로 진행 단면 계산 결과 비교 툴 제공 및 결과 report 생성   3D Structure : Super Beams 3D 가상 설계 공간은 SBE를 기반으로 한 부재 및 박판구조물의 모델링과 계산에 사용 유한요소 모델로부터 SFE를 바로 생성할 수 있는 도구 제공 VCS 3D 모델을 구성하는 모든 객체는 빔(beam)과 강체(rigid body)를 정의할 수 있는 노드(node)로 구성되며, 노드는 VCS 객체에 대한 공간 참조 point로 사용 노드 속성 : 형상(CoG, Origine), 질량(mass, Concentrated Mass) 및 관성(Concentrated Inertia, Principal Moments, Transformed Moments) SBE는 두개의 노드로 구성되고 2D 계산에서 사용된 단면 형상이 적용되며, 하나의 노드에 다수의 SBE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동적 해석(초기/구속 조건 등)을 위해 필요한 많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3차원 공간에서 구조물(부재, 어셈블리, 전체 차량)의 생성을 위해서는 Node, Beam, Rigid body 등이 사용되며, 매크로요소법에 기반한 SFE가 포함된 SBE의 생성으로 시작 다양한 충돌 하중조건에 대한 풀 카(full car)의 해석을 위해 VCS 전용 배리어가 제공 차량 충돌 설계를 위해 매크로요소법을 사용하는 데 있어 유한요소법 대비 주요 장벽은 구조물 조인트의 강성을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것이다. VCS는 구조적 조인트에 대해 교차하는 하중 전달 빔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연결되며, X, Y 및 Z 오프셋은 위치와 길이를 수정하기 위해 교차하는 빔의 시작과 끝에 적용할 수 있어 구조물의 실제 형상과 조인트의 강체 코어를 보다 사실적으로 근사화할 수 있다.   3D : Additional elements & Mass distribution 엔진 및 기어박스와 같이 충격 하중 동안 거의 변형되지 않는 부품은 강체로 모델링 강체를 생성하기 위해 부품의 무게 중심에 있는 노드가 정의되고 이 노드에 총 질량 및 관성 행렬(inertia matrix)이 할당 노드는 나머지 구조물에 직접 연결되는 반면, 여러 장착 위치의 경우 간단한 원형 단면을 갖는 SBE를 사용할 수 있음 3D 환경에서 생성된 각 객체의 질량 정보는 해당 요소가 정의된 노드에 위치하며, 추가 질량은 노드에 집중질량으로 정의하거나 정의된 질량/또는 밀도로 새로운 강체를 생성하여 추가   Initial & Boundary conditions 및 Contact settings 초기 및 경계조건(Kinematic Constraints-Angular Velocities & Linear Velocities, Concentrated Loadings- Forces & Moments)은 모두 노드에 정의 전체 모델이 구축되면 접촉을 정의하며, 접촉 정의에 필요한 부품의 부피를 나타내기 위해 질량이 없는 강체(sphere, cone, cylinder and box 형상)가 이 절점에서 생성되고, 모델의 형상에 따라 배치한 후 접촉 정의 - 전용 접촉 감지 루틴으로 물리적 접촉 메커니즘을 구현 변형체의 접촉 정의를 위해 변형가능 배리어(Deformable barrier) 툴 제공   Solution Settings Solution Explorer tree에서 자세한 솔루션 파라미터를 정의 : Attributes, Animation Progress, Time Stepping Routine, Fields and global parameters, Settings 및 Statistics section 특히, Statistics section은 모델 확인의 마지막 단계에서 유용하며, 모델의 요소 수, 질량 및 무게중심에 대한 정보 제공   Calculations & Animation 계산 프로세스는 Process Unit에서 한번의 클릭으로 진행되며, Process Unit 창에서 시각적으로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전체 차량 충돌 해석은 일반 데스크탑 PC/노트북에서 1분 내외로 계산이 완료되며, 다중 계산이 가능하여 계산시간 추가 단축 가능 계산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 하중 조건에 따른 해석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SBE를 색깔 별로 간단히 구분하여 SBE의 순간 변형 상태를 쉽게 분석   Results : Chart Wizard 애니메이션과 함께 다양한 결과를 그래프로 생성하며, 사용자는 VCS 결과 파일 내에서 어느 객체든 선택 후 결과를 볼 수 있음 3D view에서 선택한 VCS 모델의 각 객체는 Selection Window에 자동으로 추가   VCS의 도입 효과 설계 초기 콘셉트 안으로 충돌 부재 단면 최적화가 가능하여 제품 개발 프로세스 촉진 장비 도입/운영 비용 절감 : 매크로 요소법에 기반한 빠른 계산으로 랩톱에서도 수초 또는 수분내에 계산이 가능 단순한 작업 환경에서 간편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여, 해석 엔지니어가 아닌 설계 엔지니어도 쉽게 활용 가능   VCS의 주요 적용 분야 자동차 산업 및 조선산업 등에서 충돌하중을 받는 박판구조물의 설계, 해석 및 최적화 충돌/충격 부재의 단면 충돌 특성 평가/개선 및 최적화 컴포넌트(에너지 흡수 구조 부품, bumper back beam, FR Side 멤버, Fillar component 등)의 충돌 특성 평가 및 개선 부분 충돌 모델 및 풀 카 충돌 모델의 충돌 성능 평가 및 개선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2-01
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 T-FLEX Dynamics
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 T-FLEX Dynamics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Top Systems ■ 자료 제공 : 설아테크, 02-1661-3215, www.t-flex.co.kr T-FLEX Dynamics는 T-FLEX CAD 환경을 벗어나지 않고 CAD 설계의 물리 기반 모션 동작을 연구하기 위한 범용 모션 시뮬레이션 애드온 애플리케이션이다. T-FLEX Dynamics는 어셈블리의 성능을 이해하는데 관심이 있는 엔지니어와 설계자를 위한 가상 프로토타이핑 소프트웨어이다. 설계를 구축하기 전에 설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1. 기계 어셈블리의 동작 자동차 서스펜션 또는 항공기 랜딩 기어와 같은 기계 시스템을 설계할 때 다양한 구성 요소를 이해해야 한다.(공압, 유압, 전자 등) 작동 중에 이러한 구성 요소가 생성하는 힘과 상호 작용한다. T-FLEX Dynamics는 기계 어셈블리의 복잡한 동작을 해석하기 위한 모션 시뮬레이션 솔루션이다. T-FLEX Dynamics를 사용하면 움직이는 어셈블리를 설계 및 시뮬레이션하여 수많은 물리적 프로토타입을 제작 및 테스트할 필요없이 설계 실수를 찾아 수정하고, 가상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고, 성능,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물리적 프로토타입이 적어지면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출시 시간이 단축되어 처음에 올바르게 제작된 더 나은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2. 공학 조건과 관련된 물리학 기반 모델 T-FLEX Dynamics는 실제 작동 조건을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관절 및 힘 옵션을 제공한다. T-FLEX CAD 어셈블리 모델을 구축할 때 T-FLEX Dynamics는 어셈블리 구속 조건과 모델 지오메트리에서 생성하는 메커니즘의 부품, 조인트 및 접점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Parasolid 지오메트리를 기반으로 접촉 몸체의 정확한 해석을 제공하므로 접촉 유형에 제한이 없으므로 수동 접촉 구속을 정의할 필요가 없다. 각 접점 쌍은 특정 충격 및 마찰 파라메터로 설명할 수 있다. T-FLEX Dynamics를 사용하면 설계가 중력 및 마찰과 같은 동적 힘에 어떻게 반응할지 결정할 수 있다. 마찰, 힘을 사용하여 스프링 및 댐핑 엘레먼트, 작동 및 제어 힘, 기타 여러 부품 상호 작용을 모델링할 수 있다. 계산 중에 부품을 드래그하여 대화식으로도 힘을 적용할 수 있다. 3. 산업 응용 물리 기반 모션을 T-FLEX CAD의 어셈블리 정보와 결합함으로써 T-FLEX Dynamics는 다음과 같은 광범위한 산업 응용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유압, 전자, 공압과 같은 제어 시스템 해석, 작동 중 로봇 성능 이해, 회전 시스템에서 힘 불균형을 최적화하거나 최소화한다. 기어 드라이브 이해, 현실적인 모션과 서스펜션 시스템의 부하를 시뮬레이션 한다. 발사대 및 위성과 같은 우주 어셈블리의 동적 거동 평가 소비자 및 비즈니스 전자 제품 최적화; 피로, 소음 또는 진동에 대한 구성 요소 및 시스템 부하를 예측한다. 4. 결과 검토 어셈블리를 시뮬레이션 한 후 XY 그래프 또는 변위, 속도, 가속도, 관절 위치의 힘 벡터, 트레이스 표시의 수치 데이터 형태의 다양한 결과 시각화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전체 시뮬레이션 중 신체의 어느 지점에서든. 특수한 몸체 쌍 센서는 접촉 지점에서 반력과 마찰을 측정한다. 시뮬레이션 도중 또는 시뮬레이션 직후에 메커니즘을 애니메이션할 수 있다. T-FLEX 소프트웨어 내의 애니메이션 및 XY 그래프를 사용하여 모터/액추에이터의 크기를 결정하고, 전력 소비량, 연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캠을 개발하고, 스프링/댐퍼의 크기를 결정하고, 접촉 부품의 작동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동기화된 그래프 및 애니메이션은 힘 및 가속도 값을 메커니즘 위치와 직접 연관시킨다. T-FLEX Dynamics는 또한 구조 해석을 위한 하중 케이스를 정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하중을 계산한다. 5. 사용자 인터페이스 T-FLEX Dynamics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T–FLEX CAD의 원활한 확장이다. T–FLEX CAD 소프트웨어 및 교육에 대한 귀하의 투자는 보존되고 강화되며 제품 설계의 형태와 적합성 및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강력한 새로운 도구를 갖게 된다. CAD와 기하학적 데이터를 교환하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인 다른 제품과 달리 T–FLEX Dynamics는 설계를 설명하는 동일한 지오메트리에서 직접 작동한다. 6. 대형 모델의 빠르고 정확한 처리 오늘날 산업 개발 프로세스에서 대형 프로토 타입 모델의 사용은 이러한 대형 모델을 처리하는 방식의 효율성과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효과적인 해결 기술과 고급 데이터 조작을 통해 T-FLEX Dynamics는 대형 모델 가공에 활용된다. 솔버에 구현된 알고리즘은 올바른 정확도를 제공하고 결과를 빠르게 제공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7. –FLEX CAD의 익스프레스 다이나믹 T–FLEX Dynamics의 제한된 버전인 익스프레스 Dynamics를 사용하면 링크, 모터, 액추에이터, 캠, 기어, 스프링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설계의 기능적 성능을 작동하는 동안 설계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확인하여 평가할 수 있다. 작동할 때 설계의 모든 구성 요소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무엇보다도 이미 가지고 있다. 익스프레스 Dynamics는 모든 T–FLEX CAD 사본과 함께 제공된다. 8. T–FLEX Dynamics 이점 가상 테스트에서 얻은 시간 절약을 사용하여 더 많은 디자인 아이디어를 평가함으로써 보다 혁신적인 제품을 만든다. 설계의 실제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파라메터를 식별하고 최적화한다. 원하는 메커니즘 동작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힘과 토크를 계산하여 모터 및 액추에이터의 치수를 지정한다. 기기 고장으로 인해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악천후, 실제 테스트에 수반되는 공통 요소로 인해 일정이 뒤처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없이 안전한 가상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 개발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더 나은 설계 정보를 확보하여 위험을 줄인다. 물리적 프로토타입 테스트에 필요한 것보다 훨씬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계 변경 사항을 분석한다. 전체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설계 변형을 탐색하여 제품 품질을 개선한다 물리적 계측, 테스트 픽스처 및 테스트 절차를 수정하지 않고도 수행되는 해석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 있다.  
작성일 : 2024-01-21
모터 조인트 스캔 데이터 역설계 작업 과정
포인트셰이프 디자인을 사용한 역설계 사례   포인트셰이프 디자인(PointShape Design)은 드림티엔에스에서 자체 개발한 3D CAD 기반의 역설계 소프트웨어이다. CGM(CATIA) 커널이 적용되었으며, 사용자에게 친숙한 디자인 프로세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제품의 3D CAD 모델을 쉽게 생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자료 제공 : 드림티엔에스   이번 호에서 설명한 역설계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스캔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정렬 스캔 데이터 단면 추출 및 스케치 모델링 툴과 편집 툴을 사용하여 3D 모델 작업 Analyzing 기능을 통한 설계 데이터 편차 확인 최종 설계 데이터 완성   스캔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정렬(Import & Alignment) 3D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스캔 데이터를 <그림 1>과 같이 프로그램에서 불러온다. 스캔 데이터의 좌표 정렬 상태는 스캔 당시 스캐너의 좌표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대좌표 상태이기 때문에, 스캔 데이터를 절대좌표에 정렬 후 역설계를 진행한다. 3-2-1 Alignment 기능을 사용하여 좌표 정렬할 스캔 데이터를 선택하고 평면, 벡터, 점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스캔 데이터를 절대 좌표에 정렬한다.   그림 1   그림 2   스캔 데이터 단면 추출 및 스케치(Plane(Offset) - 2D Sketch) Ref. Plane의 오프셋(Offset) 기능을 사용하여 해당 위치에 2개의 평면을 생성한 후, 해당 평면을 스케치 평면으로 사용하여 단면 폴리라인(Polyline)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단면 폴리라인을 따라 스케치한다. 스케치를 한 후 트림(Trim) 기능을 이용하여 라인들을 다듬는다.   그림 3   그림 4   ■ 기사의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8-02
메타휴먼 애니메이터 : 고퀄리티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빠르게 제작
개발 및 공급 : 에픽게임즈 주요 특징 : 아이폰 또는 스테레오 헤드 마운트 카메라로 얼굴을 캡처해 고퀄리티 페이셜 애니메이션으로 적용 가능, GPU 하드웨어를 사용해 빠르게 최종 애니메이션 완성, 4D 솔버를 사용해 비디오와 뎁스 데이터를 메타휴먼 캐릭터와 결합, 캡처한 애니메이션 데이터의 타임코드 지원 등   아이폰과 PC만으로 배우의 연기를 캡처해서 메타휴먼의 고퀄리티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단 몇 분 만에 만들 수 있을까? 게임 콘퍼런스인 GDC 2023(Game Developers Conference)에서 처음 선보인 메타휴먼 애니메이터(MetaHuman Animator)는 쉽고 빠른 디지털 휴먼 파이프라인으로 메타휴먼을 위한 고퀄리티 퍼포먼스 캡처 기능을 제공한다.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는 아이폰 또는 스테레오 헤드 마운트 카메라(Head-Mounted Camera : HMC) 시스템으로 배우의 연기를 캡처하고, 수작업 없이 모든 메타휴먼 캐릭터에 고퀄리티 페이셜 애니메이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다.     ▲ 이미지 출처 : 메타휴먼 애니메이터 출시 영상 캡처   이 새로운 기능은 사람 얼굴의 모든 미묘한 표정, 모습, 감정을 정확하게 캡처하여 디지털 휴먼으로 충실히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법이 간단하고 직관적이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멋진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퍼포먼스 캡처를 처음 사용한다면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를 사용해 실제 연기를 기반으로 한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메타휴먼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미 퍼포먼스 캡처 사용 경험이 있다면 이 새로운 기능으로 기존의 캡처 워크플로를 크게 개선하고, 시간과 노력을 줄이며, 보다 창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를 기존의 버티컬 스테레오 헤드 마운트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면 훨씬 뛰어난 퀄리티를 구현할 수 있다.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고퀄리티 페이셜 애니메이션 기존에는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라도 배우의 연기에 담긴 모든 뉘앙스를 디지털 캐릭터에 충실히 재현하려면 수 개월이 걸렸다. 그러나 이제 메타휴먼 애니메이터가 훨씬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이 어려운 작업을 대신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새로운 기능은 4D 솔버를 사용해 비디오와 뎁스 데이터를 연기자의 메타휴먼 캐릭터와 결합한다. 애니메이션은 GPU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로컬에서 제작되며, 몇 분 만에 최종 애니메이션이 완성된다. 이 모든 과정은 내부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카메라를 배우에게 맞춰 녹화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캡처가 완료되면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는 배우의 개성 있는 연기와 모습을 모든 메타휴먼 캐릭터에 정확하게 재현한다.   ▲ 이미지 출처 : 언리얼 엔진 홈페이지(관련 영상)   또한 애니메이션 데이터는 적절한 릭 컨트롤을 사용해 정확하고 시간적으로 일관되며 컨트롤 전환이 부드럽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애니메이션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에픽게임즈는 이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로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이 어디까지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쇼케이스 영상도 함께 선보였다. 에픽게임즈의 제품군 중 하나인 3Lateral 팀이 유명 배우 라디보예 부크빅(Radivoje Bukvić)을 비롯한 세르비아 현지 아티스트들과 협업하여 제작한 단편 영화 ‘Blue Dot’이다. 이 단편 영화에서 라디보예 부크빅은 미카 앤틱(Mika Antic)의 시를 바탕으로 한 독백을 선보였다. 이 연기는 테이크원(Take One) 스튜디오의 모캡 스테이지에서 촬영되었으며, 이반 시작(Ivan Šijak)이 촬영 감독을 맡았다. 이 단편 영화는 아티스트와 영화 제작자가 스테레오 헤드 마운트 카메라 시스템과 전통적인 영화 제작 기법을 메타휴먼 애니메이터와 함께 사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퀄리티를 보여준다. 팀은 최고의 메타휴먼 애니메이터 결과물에 최소한으로 개입하며 인상적인 수준의 애니메이션 퀄리티를 얻을 수 있었다.   ▲ 이미지 출처 : Blue Dot: 3Lateral 메타휴먼 애니메이터 쇼케이스 영상 캡처   모든 메타휴먼을 위한 페이셜 애니메이션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로 캡처한 페이셜 애니메이션은 몇 번의 클릭만으로 모든 메타휴먼 캐릭터 또는 새로운 메타휴먼 페이셜 디스크립션 표준을 채택한 모든 캐릭터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캐릭터를 디자인할 수 있다. 기술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메시 투 메타 휴먼은 이제 단 3 프레임의 비디오와 아이폰으로 캡처하거나 버티컬 스테레오 헤드 마운트 카메라에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재구성한 뎁스 데이터로 메타휴먼 아이덴티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솔버를 배우에 맞게 개인화하여 메타휴먼 애니메이터가 모든 메타휴먼 캐릭터에서 작동하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디오를 사용하여 사실적인 혀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도 있다.   아이폰으로 캡처하기   ▲ 이미지 출처 : 언리얼 엔진 홈페이지   에픽게임즈는 고사양 캡처 시스템을 갖춘 전문가만이 할 수 있는 페이셜 퍼포먼스 캡처를 모든 크리에이터가 사용할 수 있도록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를 제작했기 때문에, 아이폰(12 이상)과 데스크톱 PC만 있으면 아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업데이트된 Live Link Face iOS 앱으로 원본 비디오와 뎁스 데이터를 캡처한 다음 디바이스에서 언리얼 엔진으로 직접 수집하도록 처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메타휴먼 애니메이터와 함께 기존의 버티컬 스테레오 헤드 장착 카메라 시스템을 사용하면 훨씬 높은 퀄리티를 구현할 수 있다.   ▲ 이미지 출처 : 언리얼 엔진 홈페이지   아이폰을 사용하든 스테레오 HMC를 사용하든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는 캡처 워크플로의 속도와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촬영 요건과 원하는 퀄리티에 맞춰 가장 적합한 하드웨어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 캡처한 애니메이션 데이터는 타임코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페이셜 연기 애니메이션을 보디 모션캡처 및 오디오와 손쉽게 연동하여 완벽한 캐릭터 퍼포먼스를 구현할 수 있다.   ▲ 이미지 출처 : 언리얼 엔진 홈페이지   촬영장에서 창의적 작업을 위한 솔루션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는 모든 메타휴먼 캐릭터에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빠르게 처리하고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중에 창의적인 반복 작업을 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배우의 더 나은 연기를 이끌어내거나, 다른 감정에 몰입하게 하거나, 단순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싶다면 다시 촬영하기만 하면 된다. 커피 한 잔 마시는 짧은 시간에 결과물을 검토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하는 동안 언리얼 엔진에서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바로 검토할 수 있어, 최종 캐릭터가 애니메이팅되기 전에 캡처의 퀄리티를 미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배우가 스테이지에 있는 동안 재촬영을 할 수 있어, 추후 모든 관계자를 다시 모으기 위해 시간과 비용을 들일 필요 없이 그 자리에서 최고의 장면을 얻을 수 있다.   ▲ 이미지 출처 : 메타휴먼 애니메이터 활용에 관한 Aaron Sims Creative와 이반 시작의 인터뷰 영상 캡처   커스텀 캐릭터를 위한 새로운 메시 투 메타휴먼 워크플로 이번 출시 버전에서는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뿐만 아니라 메시 투 메타휴먼(Mesh to MetaHuman)도 확장하여 템플릿 메시 포인트 위치를 직접 설정할 수 있게 됐다. 메시 투 메타휴먼은 형태를 맞추는 작업을 수행할 때 어떠한 토폴로지라도 사용 가능하지만 이 경우 입력한 메시의 볼륨과 유사한 형태를 얻을 수밖에 없었는데, 이번 버전에서는 템플릿 메시를 설정할 수 있고 이 때 메타휴먼 토폴로지를 철저하게 준수하면 유사한 형태가 아닌 정확한 형태의 리깅된 메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메시와 조인트에 대한 뉴트럴 포즈를 설정하는 DNA 캘리브레이션 기능과 함께 사용하면 커스텀 캐릭터에서 빠르게 집중할 수 있다. 새로운 메타휴먼 허브에서 메시 투 메타휴먼을 비롯한 메타휴먼 프레임워크의 모든 측면을 다룬 문서를 살펴볼 수 있다. 메타휴먼 허브는 에픽 툴에 대해 학습하고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에픽 디벨로퍼 커뮤니티에 있으며, 커뮤니티에는 작품을 선보이거나 질문을 할 수 있는 포럼 섹션, 에픽 및 사용자가 만든 튜토리얼 콘텐츠로 구성된 튜토리얼 섹션도 마련돼 있다. 이제 모바일 기기 하나로 누구나 손쉽게 고퀄리티의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자신의 디지털 휴먼에 적용할 수 있게 됐다. 물론, 기존에 사용하던 스테레오 헤드 마운트 카메라 시스템이 있다면 더 뛰어난 퀄리티의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이 에픽게임즈가 메타휴먼 애니메이터를 출시한 이유이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8-02
CAD&Graphics 2023년 8월호 목차
17 THEME. 제조 산업의 혁신 돕는 디지털 전환 전략과 기술 반도체 장비 사례에서 본 모듈러 디자인과 PLM의 연계 디지털 전환 시대의 성공적인 반도체 PLM 구축 전략 제조 기업의 성공을 견인하는 스마트한 데이터 활용 챗GPT와 PLM 활용 시나리오 버추얼 트윈 기반의 버추얼 팩토리 구축 솔루션 및 사례 제조 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트윈 전략 효과적인 3D 데이터 활용과 데이터 공유 및 디지털화 실현   INFOWORLD   Case Study 45 항공 정비 교육용 XR 콘텐츠, AK GO 항공기 정비에 인공지능과 확장현실을 융합하다   New Products 48 고퀄리티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빠르게 제작 메타휴먼 애니메이터 51 쉽고 편한 디지털 도면 관리 솔루션 아스트라 PDM 23.0 54 터보 기계 해석을 위한 CFD 소프트웨어 패키지 피델리티 CFD 56 기계 라이브러리 및 유틸리티로 편리한 설계 지원 progeM   People&Company 59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마우리지오 파로디 부사장, 패트릭 니븐 이사 시뮬레이션으로 포괄적이면서 실행 가능한 디지털 트윈 구현   Focus 62 PTC, “크레오 10은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의 출발점” 64 레노버, “워크스테이션의 최우선 가치는 성능·확장성·안정성” 66 SAP, 기업의 비즈니스 혁신 돕는 핵심 전략으로 AI/지속가능성/네트워크 제시 68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컴퓨터 그래픽스 연구의 현재와 미래 짚는 학술대회 진행 70 유아이패스, 생성형 AI로 비즈니스 자동화의 가치 극대화   Column 73 책에서 얻은 것 No.18 / 류용효 거인의 리더십 76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디지털 스레드, 디지털 트윈, MBSE, PLM 연결에 필요한 디지털 연속성과 디지털 신임성   On Air 84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아트&디자인 분야 AI의 인공 창의성과 NFT, 작업 이야기 소개 85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스마트 건설을 위한 토목분야 BIM 전면설계의 중요성 86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메디컬 트윈과 의료 AI 발전 방향   82 New Books 79 News   Directory 139 국내 주요 CAD/CAM/CAE/PDM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디렉토리   CADPIA   AEC 87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인공지능 미디어 아트 작업을 위한 생성형 AI 도구 소개 92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10) / 최영석 3D 객체 그리기 기능 96 토목 분야 BIM 기반 자동, 연동, 수동 수량산출 합산 프로세스 (1) / 이재홍 BIM 기반 수량산출 관련 정책 및 지침 동향 100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4 (3) / 천벼리 아레스 캐드의 트리니티 개념과 기능   Mechanical 103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10.0 (3) / 김주현 향상된 인체 공학 설계   Reverse Engineering 108 이미지 정보의 취득, 분석 및 활용 (8) / 유우식 측정 결과의 분석 118 포인트셰이프 디자인을 사용한 역설계 사례 / 드림티엔에스 모터 조인트 스캔 데이터 역설계 작업 과정   Analysis 122 앤시스 워크벤치를 활용한 해석 성공 사례 / 김선명 L-PBF 방식 적층공정 해석 보상 모델로 열 변형 해결하기 128 제품 개발의 새로운 방법론, MBSE (3) / 이상훈, 안치우, 윤재민 MBSE 실현을 위한 다분야 솔루션 통합 환경 구축 및 활용 방안   PLM 132 제조기업의 미래를 위한 PLM 이야기 (7) / 김성희 위기의 시대와 PLM   Cloud Computing 134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AWS IoT 서비스 (4) / 조상만 AWS의 에지 컴퓨팅 서비스, IoT 그린그래스 Ⅱ      
작성일 : 2023-07-27
용접 해석 소프트웨어, Cast-Designer Weld
  주요 CAE 소프트웨어 소개     ■ 개발 : C3P Software, www.cast-designer.com ■ 자료 제공 : 캣솔루션, 02-1688-4374, www.catsolutions.co.kr Cast-Designer Weld(캐스트 디자이너 웰드)는 웰드/용접 산업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이다. 웰드/용접 정밀 해석 뿐만 아니라 3D 웰드 비드 설계 기술과 웰드 공정의 설계, 제품 접합의 소재 분석 기능까지 탑재하고 있으며, 아크용접(TIG/MIG/MAG 등), OSLW, YAG, SPOT 등 모든 용접 공정에 대응한다.  1. 주요 기능 (1) 웰드 설계  1) Weld 계산기 ■ 용접성 : 재료간의 용접 능력을 분석하여 용접 프로세스를 검증 ■ 냉각시간, 예열온도, 용접재료의 수량 ■ 위상 변화 밸런스 ■ HAZ 경도, 인장 강도   2) 스마트 웰드 최적화 CO2 연속 웨이브 레이저 용접, Nd: YAG 레이저 용접 및 비소모성 아크 용접 공정을 위한 최적의 용접 분석을 지원한다. ■ 웰드 주위의 온도 ■ 웰드 크기(폭, 깊이, 단면 등) ■ 공정 파라미터 ■ 금속 두께의 영향   (2) 웰드/용접 해석 ■ 열, 금속 충전, 응고 및 냉각 공정의 물리적 현상과 기계적 거동을 시뮬레이션 ■ 열, 유동, 응력 및 미세 구조 솔버가 완전히 연동 ■ 완전 자동 메시 기능 ■ 다양한 열원 모델 ■ 용접 시퀀스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로세스 환경설정 ■ FEM, FVM 듀얼 솔버 기술로 완전 연동 ■ 자동 최적화 기능 지원(DOE, GA, PSO) ■ CAD 엔진 탑재로 설계 파라미터 연동 가능   (3) 웰드 기술 1) 다양한 열원 ■ Double ellipsoid heat source ■ 2D Gaussian heat source ■ 3D Gaussian heat source ■ 3D uniform heat source ■ 3D Conical heat source ■ 3D print heat source ■ Combined heat source ■ FSW heat source   2) 다중 웰드 디자인 및 해석 Multi Pass 웰드 조인트는 결함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부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잔류 인장 응력은 구조 수명과 취성 파괴 저항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Cast-Designer Weld는 다중 웰드의 용접 시퀀스 및 간헐적 용접 설계를 구현하고 왜곡, 잔류 응력이나 기타 문제를 해소하는 최적의 설계값을 도출한다. 3) 조인트 템플릿 ■ MAG/MIG 강철, 레이저 용접 및 알루미늄에 대한 30개 이상의 조인트 템플릿 제공 ■ 사용자가 새로운 템플릿 생성 가능   (4) 다양한 웰드 기능 1) 웰드 어셈블리 대형 구조물의 용접 조립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쉬운 프런트 엔드 역할 기능을 제공한다. ■ 열주기, 재료 상태의 변화, 응력, 소성 병형, 열 변형, 재료의 항복 응력 및 과도 용접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모든 결과 ■ Gantt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용접 공정 시각화 ■ 용접 순서, 냉각, 클램핑, 릴리스 시간을 최적화   2) FSW - 마찰 교반 용접 FSW는 재료를 녹이지 않고 두개의 마주 보는 공작물을 결합하는 공정이다. Cast-Designer Weld는 FSW 이후 잔류 왜곡, 잔류 응력 및 미세 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 3) 스팟 용접 전자기학, 열 전달, 야금 및 역학을 통해 시뮬레이션하고 결과를 제공한다. 4) 웰드 견적 계산 용접 프로세스에 관련된 상세 견적서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통화, 공정, 인력 비용 및 용접 공정, 제조 비용 및 기타 운영 비용을 계산하고 견적서로 생성할 수 있다. (5) 용접 최적화 DOE, GA, PSO를 기반으로 다중 기준 비선형 최적화를 실행할 수 있다. ■ 다중 기준 목표 : 변형, 변위, 응력 및 온도 등을 포함한 모든 물리적 문제를 최적화 ■ 다중 설계 또는 공정 변수 : 허용되는 설계요소는 부품 치수, 용접 비드 치수와 같은 CAD 파라미터이거나 재료 속성, 용접 속도, 용접 전류 및 전압 또는 고정력, 릴리스 시간 및 용접 시퀀스 순서와 같은 공정 파라미터도 가능   2. 도입 효과 Cast-Designer Weld는 웰드/용접 산업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이다. 웰드/용접 정밀 해석뿐만 아니라, 3D 웰드 비드 설계 기술과 웰드 공정의 설계, 시퀀스 제어, 제품 접합의 소재 분석 기능까지 탑재하여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웰드 방안을 찾아낼 수 있다. 3. 주요 고객 사이트 삼성전자, 현대, AUDI, Nissan, Honda, Fiat, NASA, Rolls-Royce, Bosch, Renault, MAGNA, Posco, Daewoo를 비롯해 자동차, 전자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3-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