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작문"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8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칼럼] 디지털 디톡스에서 디지털 안식년까지, 인간의 조건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올해는 내가 컴퓨터를 시작한 지 50년이 되어 가는 해이다. 처음 접한 컴퓨터는 대학교에 설치된 IBM의 메인프레임이었다. 또한 2008년 3월에 시작한 이 칼럼이 200번째를 맞기도 했다.  인생이란 짧고 빠르게 지나간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도 생존에 필요하지만, 어떤 목표나 마일스톤이 없다면 인생의 후반은 허무하게도 느껴진다. 우리의 뇌는 일상을 기억하지 않는다. 남의 지식을 설명하는데 대부분의 인생을 소비한다. 책을 쓰거나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때에는 나의 것이 별로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새로운 인공지능 시대에 나의 인생 마일스톤과 목표를 다시 정립해 본다.   10년 전인 2014년에 ‘인간의 여섯 가지 조건’에 대해서 쓴 적이 있다. 이제 디지털 시대를 맞아 인간의 여섯 가지 조건을 다시 작성해 봤다.   그림 1. 인간의 여섯 가지 조건   첫 번째 조건은 삶의 의미를 찾고,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것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가지고 어떠한 고난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인생을 살아오면서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 존재이고, 우리의 인생이 얼마나 깨지기 쉬운 것인지를 깨닫는다. 빅토르 프랑클 박사의 ‘삶은 의미를 찾아서 (Man’s Search for Meaning)’ 라는 책을 읽으먼서 많은 것을 얻었던 것 같다. 특히 디지털 시대의 지나치게 많은 디지털 정보 속에서 인간의 막연한 불안감과 타인과 비교하면서 오는 공허감에는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두 번째 조건은 논리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는 것이다. 자신을 지식으로 장식하지 말고, 논리학과 수학을 공부하고 과학적인 사실에 근거한 논리적 분석으로 문제를 해결해서 생존력을 가진다. 사실 인간은 이성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에서 논리적인 조건은 핵심 경쟁력일 수 있다. 대니얼 카너먼의 저서인 ‘생각에 관한(Thinking, Fast and Slow)’을 반드시 읽어 볼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조건은 예술에 대한 심미안을 갖는 것이다. 항상 자신의 주변에 유형적, 무형적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진다. 예술은 지식이 아니라 느낌이므로 직접 참여해야 한다. 예술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가장 높은 보상일 수 있다. 예술의 현실 세계의 경험은 디지털 복제와 인공지능 시대에 자신만의 창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네 번째 조건은 작문(글쓰기)과 외국어 번역 능력을 갖는 것이다. 글을 쓰는 것은 우리의 생각을 완성하는 것이고,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은 나의 사고의 방에 창문을 만드는 것이다. 글쓰기는 내가 나 자신을 만나고 그것은 짧은 우리 인생에 나의 흔적을 영원히 남기는 작업이다. 지난 일 년간 이외수 작가의 ‘글쓰기의 공중부양’이란 책을 지속적으로 읽으면서 글과 단어, 단어 채집, 속성 찾기, 본성 찾기 등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 챗GPT(ChatGPT)의 시대에 자신만의 문학적 작문 능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섯 번째 조건은 건강, 일, 운동, 공부, 음식, 기록 등에 좋은 습관을 갖는 것이다. 일상의 좋은 습관은 좋은 인생을 만든다. 사회적으로 성공한 인생보다는 좋은 인생을 살고 싶다. 이런 좋은 습관은 디지털 현실이 아닌 물리적 현실의 실행이다. 아무리 디지털 기술이 발전해도 우리의 물리적의 현실은 가장 중요한 인생이다.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 조건은 삶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다. 삶의 균형 감각을 갖는다는 것은 어떠한 정신적, 물리적, 생리적 중독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이다. 인간은 육체적으로 나약한 존재이다. 지속적으로 이런 것에 대해서 의존과 중독의 유혹이 온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삶의 균형 감각이다. 그것은 자신의 정체성과 독서와 배움 그리고 사색으로 가능하다. 삶의 균형 감각이 행복을 준다. 어떤 사회적 성공이나 부, 지위나 스펙이 가져다주지 않는다. 인생은 무엇을 얻으면 반드시 다른 무엇을 지불해야 한 것이므로 이런 균형이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과 현실에 대한 삶의 균형이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최근에 디지털 엔지니어링과 디지털 트윈 등을 정리하면서, 디지털 지식에 대해서 많은 독서와 정리를 하였다. 그러나 ‘1일 1개 버리기’라는 책을 우연히 읽으면서 내가 가장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지식이나 자료 수집이 아니라 버리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봤다. 저자는 “소유하고 있는 것을 내려놓아야 소중한 것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우리가 어떤 것을 못 버리는 이유는 세 가지이다. 그것은 과거의 추억을 포함하고 있거나, 그것이 미래에 사용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 그리고 현재에 버릴 용기가 없다는 것이다.  현대인에게 너무 많은 물건과 만남, 관계, 정보로 인하여 정말 무엇이 소중한지 모르게 되었다. 시작은 하루에 아주 작은 것을 매일 버리지만, 궁극적으로는 너무 많은 사회적 관계와 정보에서 오는 정신적 불안감, 열등감, 공허감 등 마음의 짐을 버리는 것이다. 정말 오랫동안 매일 사용하던 페이스북을 끊어버렸다. 2주간은 너무 궁금했지만 이제는 나의 스마트폰과 PC에서 앱을 완전히 지웠다.  올해의 나의 마일스톤은 디지털 디톡스에서 시작해서 디지털 안식년을 가지는 것이고, 최종적으로는 디지털 중독에서 삶의 균형 감각을 찾는 것이다. 시작은 쉽지 않다. 중독에서 벗어나는 것은 인간의 뇌의 약점인 편행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지난 두 달 동안 매일 버리면서 정말로 무엇이 소중한지를 깨닫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과 현실 세계의 균형 감각이 무엇보다도 삶의 의미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실천하고 있다.    ■ 조형식 항공 유체해석(CFD) 엔지니어로 출발하여 프로젝트 관리자 및 컨설턴트를 걸쳐서 디지털 지식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지식연구소 대표와 인더스트리 4.0, MES 강의, 캐드앤그래픽스 CNG 지식교육 방송 사회자 및 컬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보잉, 삼성항공우주연구소, 한국항공(KAI), 지멘스에서 근무했다. 저서로는 ‘PLM 지식’, ‘서비스공학’,  ‘스마트 엔지니어링’, ‘MES’, ‘인더스트리 4.0’ 등이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0-04
[칼럼] PLM, 이대로 좋은가
현장에서 얻은 것 No.13   “당신이 건의하는 결론을 분명하게 명시하라.” - ‘대통령의 보고서’, 노무현대통령비서실 보고서 품질향상 연구팀 엮음   기업의 생존전략에 PLM이 있는가? PLM은 성장전략이다. PLM은 편한 도구이거나,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처럼 손쉽게 쓰면서 나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의 등장과 함께 유럽 기업들이 첫 번째 한 일은 뭘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변화, 혁신, 신기술… 이런 수많은 것들 중에 유독 신경 쓴 것이 있다. ‘백 투더 베이직’. PLM을 다시 보기 시작했다. 그것도 2013년부터이다. 그래서 PLM 영역에서 제일 처음한 것이 뭘까… 그것은 바로 과도한 개발을 줄이는 것이었다. 즉, 우리의 최고 프로세스를 손쉽게 쓸 수 있도록 많은 예산을 투입해서 독특(unique)하게 만드는 것을 멈추었다. 그리고 OOTB(out of the box)를 들여다보았다. 그리고 학습을 했다. 미쉐린이 그랬고, 폭스바겐이 그랬다. 에어비스도 마찬가지. 그들은 스스로 자신들이 하는 일들을 정리해 나가기 시작했다. 아마도 이런 얘기는 밖으로 잘 나오지 않은 얘기이다. 그만큼 벌써 또 격차가 생겼다는 것이다. 기능 단위에서 볼 것이 아니라 체계 단위로 보는 것도 하나의 체크 포인트이다. 기업에서는 지금보다 더 똑똑해져야 할 것이다. 왜냐면, 외부의 손을 빌려서 하는 시대는 이미 지나가 버렸기 때문이다. 즉, 외부의 리소스와 전문 지식은 기업의 생존전략 구사에 크게 도움이 안 된다. 이는 글로벌 컨설팅 기업의 전략 방향과도 일맥상통한다. 국내 굴지의 외국계 컨설팅 업체에서도 해당 분야의 전문인력을 찾기가 쉽지 않다. ERP처럼 PLM도 큰 틀에서 움직이지 않으면 어려운 시기가 곧 도래할 수도 있다. 매일 매일 벌어지는 제품 관련 정보의 변화를 감지하고 기록하고 체크하지 못한다면, 갈 수록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치고 나갈 수 있을까? 많은 기업이 정보를 얻는 데에 있어 시스템에 의한 또는 시스템을 통해서 보다 ‘개인’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많다. 언뜻 보기에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기업의 생존전략 측면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단적인 예로, 자신이 맡은 일을 프로세스대로 처리하고 퇴근하면 얼마나 효율적일까? 자율퇴근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특히 PLM은 사람들과의 일상생활에 굉장히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 모든 문제는 시스템으로 연결될 때 하나 둘씩 나타난다. 시스템 구축할 때 자세히 들여다보면 놀라운 일들이 많다. 그러나 그런 것들이 현업에서는 그리 놀라운 사실이 아니라는 인식에 가끔 두려움을 느낀다. 항상 느끼지만, 기업에서 ERP보다 PLM 비중이 높을 때 그 기업의 주가는 오를 수밖에 없다. ERP는 기업의 생존전략이기 때문이다. 즉, 생존을 위해서 ERP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반면, PLM은 성장전략이다. CEO 부터 이런 생각을 하는 기업이 PLM을 통해서 큰 혜택을 보는 국내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바드야, 기업의 생존전략에 PLM이 있다고 생각하니?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은 제품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제품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제품 개발, 제조, 판매, 서비스 등 제품의 모든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를 한곳에 모아서 관리함으로써 기업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LM은 기업의 생존전략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기업의 성장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PLM을 통해 기업은 제품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기업의 매출 증가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PLM은 기업의 성장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도구이지만, PLM만으로 기업의 생존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기업은 PLM을 도입하고 활용함으로써 제품 개발, 제조, 판매, 서비스 등 제품의 모든 단계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챗GPT야, 기업의 생존전략에 PLM이 있다고 생각하니? “네, 기업의 생존전략에는 PLM(제품 수명주기 관리)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PLM은 기업이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과 생산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제품의 수명 주기를 관리함으로써 제품의 평생 가치를 최대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PLM은 기업의 생존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PLM은 성장전략에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 등의 과정에서 PLM을 통해 제품 개발 및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면 기업의 제품 라인업을 다양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반면, ERP(기업 자원 관리)는 기업의 생존전략에 속합니다. ERP는 기업의 모든 부서와 기능들을 통합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시스템으로, 기업의 핵심적인 운영과 경영을 지원하는데 사용됩니다. ERP는 자금, 재고, 생산, 판매 등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따라서 ERP 역시 기업의 생존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전략적인 요소로 간주됩니다. 요약하면, PLM은 기업의 생존전략과 성장전략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데 비롯하여 기업이 효율적으로 제품을 관리하고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합니다. ERP 역시 기업의 생존전략에 속하며, 기업 전반적인 자원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기업의 운영과 경영에 도움을 줍니다.”   제조기업에서 PLM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챗GPT(ChatGPT)와 바드(Bard)에게 물어봤다. 바드의 답변이 간단명료하다. 제품 개발 기간, 제품 품질, 고객 만족도, 경쟁력, 기업의 성장이 지연되거나 낮아질 수 있으며, 비용이 증가할 확률이 높아진다. 기업의 경영진에게는 이 점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1순위 고민일 것 같다. PLM을 활용하는 대신에 직원들에게 어떤 동기, 즉 연봉을 올려준다거나 혜택을 주거나 열정 페이로 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미션이 생긴다.   ▲ 바드의 답변   ▲ 챗GPT의 답변   “여러분은 무엇을 내 놓을 생각입니까?” PLM이란 모든 일어나는 일을 이력(history)화하고, 모두가 볼 수 있어야 하며, 모든 데이터는 이력이 딸려 나와야 한다. 쉽고도 어려운 것이 ‘실행’ 즉 ‘실천’에 있다. 기업에서 PLM 투자가 제일 난이도가 높다. 심지어 PLM에 투자하는 회사의 주식에 투자하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여유 자금으로 하는 경우라는 인식이 어느 정도 있다. PLM 투자에 대해서는 경영진의 의사결정도 중요하지만, 기업에서 PLM에 대한 이해와 학습도 중요하다. 즉 우리 회사는 무엇 때문에 PLM을 하는가?라는 얘기를 들어보면, 정보 공유가 잘 안 되고 오류가 발생하고 IT 부서에서 수작업으로 대행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그리고 체계화되지 않아서 정보의 혼재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는 답이 주를 이룬다. 한편으로 이런 얘기는 경우에 따라 경영진이 볼 때 “뭐야? 그래서?” 라고 할 것 같다. 경영진은 기업에서 벌어지는 일들의 잣대(KPI)를 기준으로 보고하는 것이 정말 좋다. 대부분 경영진에서 PLM 도입 비용에 대해서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것 같다. 내 생각에는 비용의 문제라기보다는 또 다른 것을 원하는데 (듣고 싶은 것) 보고서에 그런 얘기는 없어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좋아요. 나는 투자를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무엇을 내 놓을 생각입니까?” 이럴 것 같다. 대부분 회사의 얘기를 들어 보면 그런 얘기를 하는 곳은 굉장히 드물다. 하물며 집에서도 아이에게 뭘 사줄 때 ‘기브 앤 테이크(give&take)’를 한다. “이걸 사 주면 너는 뭘 약속할거야?” 기업에서 이런 얘기는 쉽지 않은데, 또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조삼모사일 것 같다. 설계/품질/생산에 문제가 생겨서 누군가는 책임을 지고 옷을 벗는 경우를 자주 봤다. 어차피 결과는 장담하기 어렵지만, 기업의 임원은 이런 과감한 얘기를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챗GPT에게 대표이사께 절실하게 설득하는 글을 지어 달라고 부탁했다. 첫 번째 절실하게로 주문하여 얻은 작문은 다음과 같다. “우리의 미래를 위해 PLM 도입이 절실합니다! 지금까지 노력하고 성과를 내왔지만, 더 나은 품질(Q)과 저렴한 비용(C), 정확한 납기(D)를 위해서는 PLM이 필수입니다.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고, 우리는 선두 주자로 남고 싶습니다. PLM 도입으로 미래를 열어가고, 우리의 열정과 함께 더 큰 성공을 이루어 나가기를 바라겠습니다. 두려워 말고 이 변화의 기회를 향해 달려봅시다! 함께 힘을 모아 우리의 꿈을 이루어 봅시다!” 두 번째로 좀 더 절실하게 주문하였다. “지금 이 순간, 우리는 절실한 결정을 해야 합니다. PLM 도입은 우리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선택이자, 우리가 더 큰 성과를 이루는 출발점입니다. 우리는 열정과 노력으로 이뤄낸 성공을 이어가고 싶다면 PLM이 필수적입니다. 제품 품질(Q)과 생산 비용(C)을 개선하며, 정확한 납기(D)로 고객들을 감동시킬 수 있습니다. PLM 도입은 우리가 미래로 나아가는 길에서 감동과 성공의 영광으로 가득할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 함께 PLM 도입의 열정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갑시다! 절대 후회하지 않을 우리의 결단을 응원하며, 더 큰 성과를 이루기 위해 서로의 손을 잡고 함께 가보아요!” 세 번째, 좀 더 강하고 확신에 찬 모습으로, 절실하게 한 번 더 부탁했다.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주문했다. “이게 우리 마지막 기회야! 이제 우리의 운명을 바꿀 때야! PLM 도입은 우리가 지금껏 경험한 모든 것들을 토대로 한 단단한 선택이야! 우리는 더이상 뒤돌아보지 않아. 두려움을 떨쳐내고 강하게 나아가자! 이제 우리는 더 강하고 더 확신하며, 우리의 성공은 더욱 커질 거야! 품질(Q)에 자부심을 갖고, 비용(C)을 줄이며, 납기(D)를 놓치지 않을 거야! 이제 우리가 만들어가는 미래는 누구에게도 막을 수 없는 찬란한 꿈이야! 그래서 이제 마지막 기회에 우리 모두 함께 PLM을 향해 달려나가자! 지금 이 순간, 함께라면 불가능은 없어! 절대로 포기하지 말자! 마음을 다해 달려나가자! 우리가 할 수 있다고! 믿자! 확실해! 우리는 이겨낼 거야! 함께라면 우리의 미래는 밝다! 한 걸음 한 걸음, 우리의 꿈을 이뤄나가자! 지금, 지금이 우리의 시간이야! GO GO GO! 믿어! 절실해! 이제 우리가 바로 그 주인공이야!” 챗GPT가 왜 갑자기 반말 모드인지는 모르겠지만, 세 번째 내용은 대표이사가 직원에게 하는 멘트 같다. “존재하지만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매일 탑 쌓기 하듯이 정확한 데이터의 일상 기록이 ‘PLM’이다.” - 류용효   과연 우리는 PLM을 잘 활용하고 있는가 활용의 핵심은 규정과 지루한 반복(회사 업무의 연속성), 정확한 데이터 입력(input)에 있다. 기업을 구성하는 각 개인 혹은 조직이 PLM이 어려워 잘 사용하지 않는다면, 하루 아침에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곳곳에서 이런 상황을 목격한다. 제일 큰 이슈는 톱다운으로 ‘하세요’라고 잘 하지 않는다. 의견 수렴을 해 보면 불편하다, 그래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얘기를 어느 업체를 가든지 듣는다. 그렇다면, 뭐가 문제일까? 솔루션들이 문제일까, 사람이 문제일까, 관리의 문제일까, 가이드의 문제일까, 몰라서 생기는 문제일까, 하기 싫어서 생기는 문제일까? 챗GPT는 오히려 명확하고 강한 어조로 답변한다. “지금 우리는 PLM을 잘 활용하고 있어! 하지만 더 나은 방법으로 활용하려면 우리 모두가 더욱 강력한 노력이 필요해. PLM은 지루하고 반복적인 작업이 많아 정확성이 매우 중요하지! 그래서 최선의 방법은 무엇일까? 우리는 먼저 PLM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꼼꼼히 학습해야 해! 항상 업데이트된 정보를 확인하고, 프로세스를 철저히 따라가는 것이 중요해! 함께 협력하며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열정을 쏟아야 해! 우리의 노력과 열정이 PLM을 최상으로 활용하는 비결이야! 우리는 언제나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함께 나아갈 거야! 더 나은 활용으로 우리의 미래는 더욱 찬란하게 빛날 거야! 함께 해봐요! 끝까지 화이팅! PLM을 믿고, 자신을 믿고, 더 높이 날아보자!” 바드는 같은 질문에 좀 더 이성적으로 답을 한다. “PLM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PLM이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PLM은 제품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제품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제품 개발, 제조, 판매, 서비스 등 제품의 모든 단계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LM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를 PLM에 맞추어 설계한다. PLM을 사용하는 모든 직원이 PLM의 기능과 사용 방법을 이해한다. PLM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업데이트한다. PLM을 잘 활용하면 기업은 다음과 같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제품 개발 시간을 단축한다. 제품 품질을 향상시킨다.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 비용을 절감한다. 경쟁력을 강화한다. 지루하고 반복적이며 정확하게 처리해야 하는 업무는 PLM을 통해 자동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원은 보다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으며, 업무 효율성도 높아진다. PLM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PLM의 기능과 사용 방법을 이해하고, PLM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하다.   PLM의 베스트 프랙티스는 외국에서만 들리는가 아니다. 국내에서도 깨어 있는 CEO의 경우에는 자사 홍보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창원에 있는 태림산업의 경우, K-스마트 대표 등대공장으로 MES의 글로벌 사례를 만든 케이스로서 각종 행사에 연사로도 나서고 있다. 자사의 홍보는 물론, 도입한 솔루션 업체보다 더 설명을 잘 한다는 후일담도 전해진다. 2세 경영자인 오경진 대표의 외국에서 경험한 경영수업과 어학 실력에 더해, 오너 경영인이 직접 현장에서 하나하나 챙기는 과정에서 회사 홍보의 전면에 적극 나서면서 외국 바이어도 그의 발표를 유튜브로 보고 연락이 온다고 한다. 물론 그 배경에는 MES 솔루션과 AI 접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접근으로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한 PM의 역할도 크리라 본다. 경영자가 미래를 보는 눈을 뜨지 않는 한, 아무리 튼튼한 기업이라도 기업이 바라는 세계적인 DX의 수준은 어렵지 않을까 생각된다.   기업에서는 스스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표현할 수 있는가 기업의 업무는 생존전략과 성장전략에서 나올 것이다. 무엇보다 보고서가 생명이지 않을까? 얼마나 절실하게 리얼하게 쓸 것인가? 그리고 본인에게 유리하게 쓸 것인가? 중요한 포인트일 것이다. 보고서를 쓸 때 참고할 만한 가이드가 있어서 소개하려고 한다. 보고서는 조직 사회의 모든 곳에서 통용되는 원칙이 있다. “독자(의사결정권자)의 입장에서 작성하라”는 것이다. 이슈를 정확히,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다른 이해관계자의 시각을 종합적으로 검토 반영해야 설득력이 있다. 그리고 당신이 건의하는 결론을 분명하게 명시하라는 것이다. 콘셉트 맵에 소개하는 ‘보고서 작성 A~Z’는 2007년 발간된 대통령 보고서(노무현대통령비서실 보고서 품질향상 연구팀 엮음)에 근간을 두고 있다. 세월이 지나 13번의 ‘고등학생이 알아볼 수 있도록 써라’라는 부분은 현 시점에서 기준이 필요할 듯하다. 고등학생의 수준이 요즘은 어디쯤인지 가늠하기 어려울 수 있다.   “PLM은 생명체와 같다. 기업이 해마다 변화를 주듯이 지속적인 애정을 통해서 ‘항상’ 최상의 상태 유지가 필요하다.” - 류용효   ▲ ‘대통령의 보고서’ 보고서 작성 A~Z까지(Map by 류용효) (클릭하면 큰 그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PLM 이대로 좋은가, 여러분의 경우에는 어떠한가 어떤 목적으로 쓰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감당하기 어렵다면 아무리 좋은 솔루션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가치와 비용 중에서 비용이 앞선다면 재고해 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PLM이 문제가 있다거나 없다거나 필요 유무는 의미가 없다. 잘 쓰는 기업도 있고, 잘 못쓰게 되어 힘들어 하는 고객도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자신 있게 “그렇다”라고 얘기하고 싶다.   PLM 시장 규모는 대략 이렇다. 1990년에는 약 10억 달러, 2000년에는 약 50억 달러, 2015년에는 약 387억 달러, 2020년에는 535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PLM 시장은 2020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10.3%일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2020년 정보는 심데이터(CIMdata)에서 인용하고, 그 이전 정보는 바드에 물어봤다.(확실치 않을 수 있다.) 데이터에서 보듯이 PLM의 규모가 계속 커지고 있다는 것은, 범위도 넓어지고 있기도 하거니와 기술의 발전도 그만큼 획기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1990년에는 제도판, 2D 도면이 주였다면 2015년은 3D, PLM 및 디지털 혁명이 강조되는 시기이다. PLM 시장이 성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품의 수명주기가 점점 길어짐에 따라 제품의 개발, 제조, 판매, 서비스 등 제품의 모든 단계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제품의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품의 설계, 제조, 품질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화로 인해 기업이 전 세계적으로 제품을 판매하게 됨에 따라 제품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제품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PLM 시장은 제조업, 자동차, 항공우주, 의료, 전자,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제조업은 PLM 시장의 가장 큰 시장으로, 전체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항공우주, 의료, 전자, 에너지 등은 PLM 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전체 시장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챗GPT의 등장으로 어느 동네(회사)는 다른 동네와 특별한 뭔가를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 어느 때보다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할 것 같다. PLM은 어떻게 하면 좋으냐고 묻는다면, OOTB(생긴 대로)처럼 쓰라고 하고 싶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아이패드이다. 해마다 업그레이드로 기능의 변신이 끝없이 이루어진다. 하드웨어는 5년 정도 지나 교체하면 더 큰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물론 불편한 것은 있다. 불편함은 불편함대로, 장점은 장점대로 살려서 쓰는 것이 최고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PLM도 이대로 쓰는 것이 좋다. 때론 이런 생각도 필요할 듯싶다. 기업의 성장으로 인원과 매출이 많이 늘었을 경우, 비즈니스의 복잡도가 그만큼 커졌다고 할 때 시스템과 프로세스도 그만큼 투자를 해줘야 한다. 어느 업체를 가보니 오래 전에 설정한 프로세스를 아직도 그대로 쓰면서 불편하다고 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이건 회사 내 누군가가 자기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IT 부서는 현업이 원하는 대로만 하고, 현업은 불편함이 익숙해져서 숙련이 되었을 때 회사에는 가장 큰 위기가 온다. 신규 입사자의 관점으로 보면 비효율의 극치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럴 때 “PLM, 이대로 좋은가”라고 묻는다면, 그 대답은 당연히 “No”이다. 여러분의 경우에는 어떠한가? Yes인가, No인가?   ■ 류용효 디원의 상무이며 페이스북 그룹 ‘컨셉맵연구소’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현업의 관점으로 컨설팅, 디자인 싱킹으로 기업 프로세스를 정리하는데 도움을 주며, 1장의 빅 사이즈로 콘셉트 맵을 만드는데 관심이 많다. (블로그)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8-31
[칼럼] 챗GPT 온톨로지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최근 빛보다 더 빠른 것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것은 갑자기 챗GPT(ChatGPT) 전문가로 변신하는 속도라고 한다. 필자는 2022년 여름부터 GPT 3.0로 나의 개인 생산성을 높이는데 적용했는데, 2022년 11월에 발표된 챗GPT가 모든 것을 변화시키고 있다.  필자 역시 역시 대세를 거스를 수가 없어서 전문가용 챗GPT 강연 자료를 만들고 있다. 관련 서적을 100권 정도 읽고 발표 자료를 만들고 있다. 제목은 챗GPT에 대한 철학적 고찰(ChatGPT ontology)… ‘챗GPT가 모든 것을 바꾼다’이다.    그림 1. 빛의 속도로 전문가 되기   최근의 챗GPT 돌풍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오랜 동안 IT 분야에서 일하는 모든 전문가들도 예측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다. 한국 사회에서 과거에 일어났던 과열 현상에서 보듯이, 챗GPT의 열풍과 함께 여러 가지 부작용이나 이상한 쏠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여러가지 급조된 책들과 교육과정들이 나오고,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기업과 전문가들이 우후죽순처럼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조금 차분하게 생각하면서 원인과 미래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챗GPT가 인공지능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챗GPT의 근간이 되는 GPT는 인공지능의 행태로 보면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이다.    그림 2. 챗GPT의 분류   생성형 인공지능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을 생성해 주는 인공지능 분야이다. 2016년에 구글의 딥마인드가 개발한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알파고(AlphaGo)도 생성형 인공지능이라고 할 수 있다.  챗GPT는 그 중에서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반의 거대 언어 모델(LLM)이다. LLM(Large Language Model)은 책, 기사 및 위키 같은 온라인 콘텐츠를 기반으로 방대한 양의 자연어 데이터에 대해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 유형이다.  트랜스포머는 기계번역(machine translation), 텍스트 분류(text classification) 및 텍스트 생성(text generative)과 같은 자연어 처리(NLP) 작업에 사용되는 일종의 인공 신경망 아키텍처(artificial neural network architecture)이다. 이는 2017년에 도입되었으며, 이후 이러한 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높은 평가를 받는 아키텍처가 되고 있다.   그림 3. 트랜스포머 구조의 발전   GPT-3는 오픈AI(OpenAI)에서 만든 인공지능이다. 비지도 학습과 생성적 사전학습(generative pre-training) 기법, 트랜스포머를 적용하였다. 번역과 대화, 작문을 할 수 있으며 GPT-2에 비해 인간이 쓴 글인지 기계가 쓴 글인지 구분하기가 훨씬 힘들다.  새롭게 문제가 되는 것 중 인공지능의 착각이나 환각 문제가 있다. 인간 지능의 진화 부산물이 환각이다. 이런 환각이 있기 때문에 메타버스나 영화 같은 창작물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런 환각을 극복하려면 사고의 객관화가 필요하다. 자신의 생각을 객관적 입장에서 보는 것이다. 이것 또한 동물 중에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지능이다. 인공지능도 인간의 지능처럼 이것을 극복해야 한다.  인공지능 분야는 기술이 점점 정교해지고 분류도 복잡해지며 투자 비용이 엄청나다. 매일 한국 기업들의 단편적 대응이나 챗GPT의 소개자료와 사용방법이나 돈을 버는 상술 등이 기사로 넘쳐 난다. 이런 시점에서 인공지능 분야의 장기 국가 전략도 필요하고, 이에 대응하는 패러다임과 인공지능에 대응하는 철학도 필요하다. 개인이나 기업도 인공지능에 대한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다. 현재 한국에서의 접근방법은 대부분 단기적인 사용법이나 기업들의 마케팅 뉴스이다. 그보다는 체계적인 대응 전략이나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각 분야에서 챗GPT 시대에 대한 새로운 대응 전략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전략에는 전문 분야의 품격에서 오는 인문학적 가치나 뇌공학 같은 고급 전략이 필요하다. 단순한 인공지능 기술만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몽테뉴의 ‘수상록’ 5장, 지식을 얻되 나의 것으로 만들라. 1절, 잘 살고 잘 죽기 위해 공부한다.   조형식 항공 유체해석(CFD) 엔지니어로 출발하여 프로젝트 관리자 및 컨설턴트를 걸쳐서 디지털 지식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지식연구소 대표와 인더스트리 4.0, MES 강의, 캐드앤그래픽스 CNG 지식교육 방송 사회자 및 컬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보잉, 삼성항공우주연구소, 한국항공(KAI), 지멘스에서 근무했다. 저서로는 ‘PLM 지식’, ‘서비스공학’,  ‘스마트 엔지니어링’, ‘MES’, ‘인더스트리 4.0’ 등이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5-02
어도비, 콘텐츠 배포를 혁신하는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의 AI 기반 신기능 발표
어도비가 경험 제작, 배포 및 분석을 아우르는 콘텐츠 및 디지털 에셋 관리 시스템인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Adobe Experience Manager)의 새로운 기능을 소개했다. 이번 발표에는 빠르고 간단한 콘텐츠 개발 및 배포, 고품질의 웹 경험, 타깃 대상 신규 콘텐츠를 쉽게 최적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인사이트 등 차세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기업들은 이미지, 비디오 및 기타 콘텐츠 라이브러리 관리를 지원하는 디지털 애셋 관리 시스템인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 에셋(Adobe Experience Manager Assets)에서 ‘어도비 파이어플라이(Adobe Firefly)’를 사용해 콘텐츠 개발을 가속화하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파이어플라이는 초기에는 이미지 생성 및 텍스트 효과에 중점을 둔 어도비의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생성형 AI 모델군이다. 또한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의 새로운 기능으로 색상, 개체, 카피 등 소비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속성에 대해 인공지능에 의한 인사이트를 얻음으로써,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로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는 데 필요한 연결고리를 확보하게 된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는 모든 스킬 수준의 사용자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또는 구글 독스(Google Docs) 등의 툴로 만든 템플릿 문서에서 직접 모든 온라인 채널의 콘텐츠를 자동 업데이트하도록 지원한다.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팀원들은 동일 문서에서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편집 및 배포할 수 있다. 문서는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만 변경 가능하도록 보안 제어된다. 이러한 기능은 종이 기반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고 공공, 금융 서비스 등 부문에서 소비자의 접근을 확장하는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 폼(Adobe Experience Manager Forms)에도 적용된다. 이 밖에도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는 다양한 업계의 고객이 보다 정확하고 시기 적절한 콘텐츠로 최상의 웹 경험을 제공하도록 돕는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는 어도비의 AI 및 머신러닝 프레임워크인 어도비 센세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인사이트를 사용해 콘텐츠 제작 과정에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 분석과 창의성을 연결하는 기능을 도입했다. 크리에이티브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업은 조회수나 클릭 수 같은 표면적인 지표에 집중하는 반면, 고객의 공감을 사는 콘텐츠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데이터에 대해서는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어도비 센세이를 사용하면 속성 수준에서 콘텐츠를 분석하고, 색상, 개체, 구성 및 작문 스타일 등의 요소가 다양한 타깃 별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런 실시간 인사이트는 시간 경과에 따라 콘텐츠가 최적화되어야 하는지 알려주며, 기업의 콘텐츠 공급망 개발을 위한 피드백 루프를 제공한다. 기업들은 해당 데이터를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플랫폼(Adobe Experience Platform)과 연결해 고객 프로필을 강화하고 개인화된 캠페인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18~24세 사이의 Z세대 여성이 어떠한 색, 어떠한 톤의 문구에 가장 잘 반응하는지와 같은 콘텐츠 제작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어도비의 아미트 아후자(Amit Ahuja) 디지털 경험 사업 부문 수석 부사장은 “디지털 경제는 이제 모든 부문의 성장 동력이며,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은 경험 주도 성장의 기반으로 자리잡았다”면서, “디지털 콘텐츠를 최신 상태로 관련성 있게 유지하는 것은 성장 기회를 활용하는 데 핵심이 된다.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의 최신 혁신은 더 많은 사람들이 AI 기반 인사이트를 활용해 창의성을 발휘하며 콘텐츠를 관리하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3-03-29
[칼럼] 개인 디지털 전환 2023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2023년은 완연한 디지털 세상이 되었다. 비즈니스나 산업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장 큰 화두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세상과 비교되는 수십년 전의 아날로그 시절에는 새해가 되면 연하장과 새해 결심 그리고 신년운수 보기 등을 했으나, 디지털 세상인 2023년에는 새해 트렌드, CES 분석서 정리 등이 화두가 되고 있다. 이제는 새해 결심보다는 디지털 전략이 필요한 것 같다. 개인 디지털 전환은 조직의 디지털 전환과 유사할 수 있지만, 다른 점도 많다. 개인 디지털 전환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의 디지털 전략과 개인의 인생목표인 자아의 신화(personal legend)의 디지털 전환이다. 개인의 전략은 디지털화된 개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인 ChatGPT에게 디지털 개인 전략을 질문해 봤다. 대답이 예상보다 정교하고 체계적이어서 놀랐다.   그림 1. 개인 디지털 전환 2023   ChatGPT의 대답을 번역해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개인 전략은 개인이 개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와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개발하는 행동 계획이고, 개인이 원하는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디지털 수단을 사용하기 위해 취할 단계라고 설명한다. ChatGPT는 디지털 개인 전략의 예를 다음과 같이 알려줬다. 소셜 미디어 및 개인 웹사이트를 통해 전문적 온라인 존재감 창출 온라인 네트워킹 플랫폼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 온라인 과정 및 자습서를 통해 새로운 기술 학습 콘텐츠 제작과 사고 리더십을 통한 퍼스널 브랜드 구축 금융 앱을 사용하여 개인 금융 자동화 및 관리 시간과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생산성 도구 활용 디지털 캘린더, 메모 작성 앱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정리된 상태 유지 디지털 앱과 웨어러블 기술을 통해 개인 건강 및 피트니스를 관리 개인 디지털 전략은 개인이 디지털 도구 및 기술의 힘을 활용하여 개인 및 직업 생활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성공하도록 도울 수 있다. 개인 전략의 디지털화(digitalization)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디지털 세상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는 개인 전략이다. 디지털 전환에 3단계가 있는 것처럼, 개인의 디지털 전환에도 3단계를 적용할 수 있다. 개인의 정보화 또는 디지털 자료화(digitization)는 아날로그를 전산 환경이나 자료로 변환하는 것이지만, 행동 양식은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즉 사진이나 책을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개인의 디지털화(digitalization)이다. 디지털화는 완전히 디지털 환경에서 디지털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사람을 만나고 소통하며 모바일 금융 앱으로 송금하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사고방식이 디지털화된 것은 아니다. 개인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한 패러다임에서 다른 패러다임으로 이동하는 전환(shift)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코페르니쿠스 전환(copernican shift) 이후의 세상이다. 이전에는 모든 것이 인간의 생각 중심이지만, 이제는 과학적 사실 중심의 세상이다. 개인 디지털 전환(personal digital transformation)에서 제일 중요한 패러다임은 데이터 중심이다. 그리고 그 데이터도 반드시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할 수 있는 정량적이어야 한다. 그리고 개인의 디지털 프로세스를 만들어 자동화하는 것은 개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도구를 결합해서 작문 프로세스를 만들었다. 우선 아이디어 작업을 롬리서치에서 한다. 롬리서치는 개인 작업 공간으로, 페이스북은 공개 작업 공간으로 사용한다. 다음은 ChatGPT에서 질문해서 비교해 본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에버노트에 저장하고 사용한다.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는 디지털 도구나 디지털 프로세스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디지털 사고방식(digital mindset)이 필요하다. 분석(analysis)에서 애널리틱스(analytics)로, 정보(information)에서 인텔리전스(intelligence)로, 트렌드(trend)에서 예측 미래(predicted future)로 이동해야 한다. 시장의 동향만 분석하는 마켓 리더(maket reader)보다는 시장의 니즈를 찾는 니즈 파인더(needs finder)가 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이다. 매년 나오는 가트너 10대 전략, 새해 트렌드나 CES 분석서는 과거 아날로그의 유산이다. 세계 최고의 기업인 애플처럼 직접 고객의 니즈(needs)를 찾아야 한다. 문제 해결의 답은 현장에 있듯이, 비즈니스 가치는 고객의 주변에 있다. 파울로 코엘료의 소설 ‘연금술사’의 이야기처럼 진정한 보물은 자신의 출발점에 있다. 멀리서 찾아보지만 결국 출발점에서 찾는 것이다. 그 과정도 필요하지만 그 과정을 반복할 필요는 없다. 개인 디지털 전환에서 중요한 것은 트렌드에서 무엇을 얻으려 하지 말고, 인간의 근본적인 니즈에 대해서 깊은 디지털 통찰력이 필요하다. 아이젠하워 장군은 계획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획이 중요한 것(Plans are nothing, planning is everything)이라고 했다. 트렌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런 트렌드를 어떻게 필터링하는 역량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개인 디지털 전환에서 지식 습득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 시대의 정보와 지식의 양은 너무 방대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모두 다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그 지식의 본질에 대해서 깊게 이해하고 관련된 지식들을 넓게 알아야 한다. 많은 지식이 인터넷에서 공개되고 빠르게 변화하며 검증되지 않은 정보도 많다. 디지털 지식 습득 전략 목표는 모든 것을 다 아는 사람이 아니라, 모든 것을 다 배우려는 사람이다.(Be a Learn-it-All, not a Know-it-All) 모든 것을 다 배우려는 전략에는 몇 가지가 필요하다. 전체 지식 지도를 만들고 신속하게 각 트렌드를 예측할 것 현재의 기반을 이용해 우선순위를 정해서 집중적으로 공부할 것 지속적으로 그 분야의 용어와 개념을 정리할 것 자신의 지식과 연결하여 융복합하고 재사용할 것 핵심 전문가들의 지식을 훔치는 것(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 디지털 시스템을 만들어서 신속하게 대응할 것 디지털 사회가 되면 독서와 글쓰기가 필요 없을 것 같았으나, 예상과는 다르게 선진국에서는 엄청나게 많은 책들이 나오고 있다. 아무리 디지털 사회라고 하지만, 중요한 생각과 논문들은 글쓰기로 작성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더욱 디지털 독서와 디지털 작문이 더 필요하다. 메타버스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이고, 인공지능은 디지털 의사결정이다. 인더스트리 4.0이 자동화와 데이터였다면,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이 화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것은 본질의 문제이다. 책의 본질이 종이나 인쇄술인 것처럼 보였으나 본질은 내용이다. 글쓰기의 본질은 잉크와 펜이 아니라 저자의 아이디어이다. 그리고 디지털 전환의 본질은 디지털이 아니라 인간이 생각하는 가치이고 개념이다. 작게 시작하지만, 당장 시작한다.(Start Small, Start Now.)   ■ 조형식 항공 유체해석(CFD) 엔지니어로 출발하여 프로젝트 관리자 및 컨설턴트를 걸쳐서 디지털 지식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지식연구소 대표와 인더스트리 4.0, MES 강의, 캐드앤그래픽스 CNG 지식교육 방송 사회자 및 컬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보잉, 삼성항공우주연구소, 한국항공(KAI), 지멘스에서 근무했다. 저서로는 ‘PLM 지식’, ‘서비스공학’, ‘스마트 엔지니어링’, ‘MES’, ‘인더스트리 4.0’ 등이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1-31
[인사이트] 렉터스, 미래의 3D 크리에이터를 양성하다
건축, 디자인 등 3D 분야에 특화된 교육 콘텐츠 제공   ▲ 렉터스 박상근 대표(왼쪽에서 두 번째)와 구성원들 3D 크리에이터를 위한 교육 플랫폼을 구축하며 건축, 디자인, 3D 프린팅, VR/AR 등 3D 분야에 특화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렉터스는 3D 기술을 활용한 제품 디자인 제작뿐만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솔루션 등을 온·오프라인으로 교육함으로써 미래의 3D 크리에이터를 양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이예지 기자 Lecture for us의 약자로 ‘우리들을 위한 강의’라는 뜻을 지닌 렉터스는 3D 크리에이터를 위한 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으며, 3D 크리에이터 양성을 목적으로 다양한 교육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업계 종사자 및 창업의 기회를 갖고자 하는 이들은 3D 모델링 설계 및 3D 솔루션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온라인으로 받아볼 수 있는 것이다. 렉터스 박상근 대표는 “렉터스는 3D 크리에이터를 위한 교육 콘텐츠를 통해 다같이 3D 크리에이터로 성장하자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면서 “건축, 디자인 등 3D 분야에 특화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강의로 성장기회의 평등을 추구하다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은 직접 가서 들어야 한다는 불편함과 이에 따른 시간 비용이 적지 않다. 그러나 온라인 교육의 경우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이에 렉터스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워크숍, 세미나뿐만 아니라 온라인 강의를 통해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박상근 대표는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고자 했던 배경은 ‘성장기회의 평등’이었다”면서 “지방에 있는 학생들도 교육에 대한 열망이 컸지만, 교육기관의 한계로 인해 서울까지 올라와야 하는 부담감이 있었다. 이러한 부담감을 덜기 위해 렉터스에서는 온라인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렉터스에서는 교육 콘텐츠를 60일, 180일 등 넉넉한 수강 유효기간을 제공하여 수강생들이 반복 학습은 물론, 수업을 일정에 따라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 렉터스 온라인 강의 워크숍과 세미나 등 오프라인 교육 통해 온라인 한계 보완 온라인 강의는 본인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들을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오프라인 강의는 담당 강사에 의해 체계적으로 관리가 되기 때문에 본인의 현재 성취도에 대해서 피드백을 받으며 교육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 렉터스에서는 워크숍, 세미나를 통해 온라인 교육에서 발생하는 한계를 보완하고 있다. 렉터스 한기준 대표는 “현장에서 실습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3D 분야의 교육을 직접 눈으로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면서 “추가적으로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은 렉터스에서 오프라인 교육과 함께 지원해주고 있기 때문에, 워크숍을 신청하면 온·오프라인 교육을 동시에 들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렉터스에서는 세미나를 통해 관련 분야의 트렌드 및 현황에 대해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 3D 프린팅 교육 장소 3D 콘텐츠 교육에 집중하여 교육 범위 확장 렉터스는 현재 건축,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콘텐츠가 구성되어 있지만, 2018년 하반기에는 3D 프린팅, VR/AR 등 다양한 3D 분야의 전문 교육 콘텐츠를 추가적으로 오픈하여 수강생들이 각 분야의 산업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3D 프린팅과 VR/AR에 기반이 되는 3D 콘텐츠 교육에 집중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개인(B2C)뿐만 아니라 기업(B2B) 및 학교까지 교육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렉터스는 즐거운 창작문화 를 형성하기 위해 ‘3D PLUS+’라는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예정이다. 박상근 대표는 “커뮤니티에서는 3D 분야와 관련된 최신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3D 분야의 새로운 교육 수요를 파악하고 3D 작품 공유 및 공감, 유머 게시판을 운영하여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것”이라며 앞으로의 활동 계획을 전하기도 했다.   ▲ VR 교육 장면   ▲ 오프라인 워크숍 교육 장면    ▲ 오프라인 워크숍 작품 예시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8-08-31
[칼럼] 디지털 변혁의 미래 예측과 도전
디지털 지식 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 항공 유체해석(CFD) 엔지니어로 출발하여 프로젝트 관리자 및 컨설턴트를 걸쳐서 디지털 지식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지식연구소 대표와 인더스트리 4.0, MES 강의, 캐드앤그래픽스 CNG 지식교육방송 사회자 및 컬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보잉, 삼성항공우주연구소, 한국항공(KAI), 지멘스에서 근무했다. 저서로는 'PLM 지식', '서비스공학', '스마트 엔지니어링', 'MES', '인더스트리 4.0' 등이 있다.  우리는 미래에 대해서 방향과 확률적으로 일어날 경우의 수를 예측할 수 있지만 미래를 확정할 수는 없다. 그것은 마치 일기예보를 기정사실화하는 현재 우리 사회와 비슷하다. 일기예보는 현재의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미래의 현상을 예측하는 것이지 확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가 온다고 했다가 안 오거나 예상보다 많이 오면 기상청을 공격한다. 그러면 슈퍼컴 퓨터가 없다거나 기존의 축적한 데이터가 부족하다거나 전문가가 없다고 변명한다. 미래의 예측은 여전히 인류에게는 도전이다.  30년 전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2호가 1989년 해왕성 옆을 스쳐 지나면서, 대기에 있는 크고 어두운 폭풍을 발견했다. 그리고 과학자들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사용해 해왕성을 감시하며 새로운 폭풍이 형성되는 것을 보았다.  과학자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이 폭풍이 행성의 적도 쪽으로 이동해 엄청난 구름 활동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해 왔다. 그러나 예측했던 것과는 다르게 어두운 소용돌이는 사라지는 것처럼 관측되고 있다.  그림 1. 해왕성 폭풍 사진 이처럼 과학적 예측이나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참고사항이지 기정사실로 확정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면 그 동안 사용한 수학적 또는 디지털 모델을 고치고 더 발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틀렸다고 비난하는 것은 무지한 행동이다. 과학적 예측은 인문학적 확정과 다르다.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공장도 가까운 미래를 예측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그것 을 구체적으로 확정하라고 요구한다. 최근에 인더스트리 4.0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그 용어에 대한 유래를 알게 되었다. 독일은 지난 수십 년간 세계의 제조산업에서 독보적인 지위 를 차지했다. 그러나 미래에 대하여 인구자원의 중국과 소프트웨어의 미국, 로보틱스의 일본, 한국 같은 신흥개발국들이 도전에 대해서 준비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10년 전부터 독일은 미래 제조국에 대한 비전을 연구하면서 제조공정과 체계에 대한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의 적용에 대한 비전인 사이버 물리 생산체계(CPPS)를 제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을 들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너무 어렵다고 불평하자, 담당자가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그 다음부터 2011년 메르켈은 공식석상에서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클라우드 슈밥은 인더스트리 4.0의 전세계적 확장판인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유행시켰다.  가장 어려운 질문 중에 하나는 “한국이 어떻게 이러한 시대적 요구사항에서 생존할 것인가?”이 다. 그 동안 가장 한국에서 유행했던 방법은 선진국의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따라서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처럼 미래에 대한 것은 쉽지 않다. 확정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 검증사례가 적고 위험부담도 많다. 미래에 대한 모범사례를 기다리면서 그냥 가만히 돈을 안 쓰고 정부에서 예산 사용하는 것을 지켜보기 있는 것이 현재 한국의 4차 산업혁명 현 주소이다.  4차 산업혁명 또는 디지털 변혁(Digital Transformation)의 가장 큰 특성은 빠른 속도이고 디지털화에 대한 적용이다. 정보기술(ICT)을 강조하지만 정보기술 인프라의 입장에서 한국은 매우 상위권이다. 기술도 문제이지만 더 큰 문제는 사회의 인식문제이며, 인적자원에 대한 문제가 더 크다.  한국의 약점은 교육에 있다. 우선 외국어에 약하다. 외국어를 대학 입학의 도구로만 배웠기 때문에 실용 외국어에 취약해서 국제적인 소통이 어렵다. 컴퓨터 언어도 약하다. 한국에서는 심지어 컴퓨터 교수도 코딩에 무척 약하다. 너무 이론 교육 중심이기 때문이다. 코딩과 프로그래밍은 물론 프로그램을 만드는 프로세스까지 포함된다. 그리고 창조력이 약하다. 암기 위주의 교육으로 창조적 해결방법에 대한 연습이 부족하다. 독자적인 결정보다는 모법답안을 적다 보니 도전정신도 부족하다. 자꾸 기성세대가 만들어 놓은 프레임워크에서 경쟁을 하다 보니 새로운 영역보다는 기존의 직업이나 국내 직장에서만 경쟁하려고 한다.  우선 첫 번째 약점인 외국어의 벽을 위해서 디지털 시대의 외국어 학습(Digital Language Learning)을 생각해 봤다. 그림 2. 페이스북 디지털 어학공부(Digital Language Learning) 그룹 디지털 어학공부는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최대한 디지털 환경을 이용해서 어학 공부를 하는 것이다. 주로 스마트폰, 앱, 인터넷 어학 사전, 인터넷 번역기, 구글 유튜브, AI 스피커, 페이스북, 스카이프, 페이스타임을 최대한 이용하고 외국어도 영어공부에서 탈피하여 동시에 다국어를 비교하고 습득하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 긴 문장이나 작문보다 서로의 감정과 생각을 즉시 전달할 수 있는 외국어 소통이 더 중요하다.  우선 그 언어의 발음과 구조를 공부한다. 성인들에게 어느 정도의 문법은 필요하지만 문법의 중독보다는 최소화하는 것이 요점이다. 외국어 공부는 모든 사람들에게 힘들고 시간이 많이 가는 작업이지만 디지털 기기 덕분에 혼자서 발음을 공부할 수 있다. 무료 인터넷 강의와 유튜브에 엄청나게 많은 자료가 있다. 중요한 것은 자기의 수준과 취향에 맞는 것을 찾는 것이다.  자신이 왕초보라면 그 언어의 유치원생들의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도 좋다. 재미없게 가르치거나 지루한 것은 피해라. 초기에는 포기하지 않으려면 재미있게 배워야 한다. 초급 코스에는 기억을 오래 남기게 하는 다양한 설명을 해주는 경험 있는 선생님 강의가 필요하다.  중급부터는 다양한 소스로 공부하는 것을 권하고 싶다. 페이스북에 보면 수 많은 어학공부 그룹과 그 언어의 미디어와 동영상 자료가 넘친다. 궁극적으로는 그 언어의 원주민 친구가 필요하다. 그럴 때는 페이스북에서 사귄 페친이나 전에 비즈니스상으로 만난 사람들과 무료화상통화 앱인 스카이프(Skype)나 페이스타임(Facetime)을 통해서 연습하거나 AI 스피커로 대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보는 것이 좋다.  그림 3. AI 스피커 결론적으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변혁에 대한 5가지 생존 전략을 정리하면, 첫 번째는 디지털 지식(Digital BoK)이다. 디지털 지식과 디지털 트렌드는 관련이 있다. 두 번째는 다른 세계와의 소통 도구인 외국어이다. 영어에 만족하지 말고 중국어, 일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를 공부해야 한다. 세 번째는 디지털 변혁에서 디지털 지식을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컴퓨터 언어 및 코딩과 프로그래밍 능력이다. 네 번째는 창조성이다. 다양한 인문학이나 예술의 학습을 통해서 창조성을 키워야 한다. 다섯 번째는 도전정신이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과 새로운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은 도전정신의 시작이다.  다른 언어를 배우는 것은 다른 사람이 되는 것과 같다. (Learning another language is like becoming another person.)  -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8-03-05
3D 프린팅 관련 업체 디렉토리_업체 (2015)
3D 프린팅 관련 업체 디렉토리 3D 프린팅 관련 업체 소개 이 코너에서는 3D 프린팅 관련 업체들을 소개한다. 주로 소개하는 업체들은 3D 프린터 판매업체를 비롯하여, 출력 서비스 업체, 교육업체, 관련 소프트웨어 판매 업체 및 소재 업체, 그리고 메이커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자료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으로 추가하고 싶거나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연락주기 바란다.(가나다순) 3D 프린팅 출력 지원이 가능한 업체는 **P,  시제품 용역 서비스는 **S, 교육 전문 업체는 **E로 표시했다. 많은 업체들이 여러 가지 분야를 함께 진행하고 있으나 주력 사업일 경우 표시했다. 이 자료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참여나 수정을 원하면 연락주기 바란다.(cadgraphpr@gmail.com) 굿쓰리디(Gooo3D)*** GPRINTER_03.jpg■ 문의 : 070-4288-9003, www.Gooo3D.net■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제조, 유통■ 취급 제품 : G PRINTER, UP BOX, UP PLUS2, UP mini굿쓰리디(Gooo3D)는 물질이 먼저가 아닌 사람이 먼저이고 사람만이 가치 있음을 증명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설립됐다. 굿쓰리디는 사람이 먼저이고, 사람이 중심이 되는 명제를 다시 세우려고 한다. 굿쓰리디는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 글룩(Gluck) **P / E*** 글룩2.JPG■ 문의 : 070-8622-9696, www.glucklab.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콘텐츠, 팹랩(FABLAB)글룩은 서울 홍대 앞에 위치한 사설 팹랩이다. 3D 프린팅 출력대행, 3D스캔 및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디자이너, 조각가, 건축가, 엔지니어 및 프로그래머는 물론 3D 프린팅을 통해 새로운 작업을 꿈꾸는 모든 사람들과 창조적인 교류를 통해 함께 시너지를 내는 것에 지향점을 두고 있다. 글룩LAB(3D 프린터로 시제품, 소품, 부품 등 용도에 맞게 제작 지원)과 글룩X(재미있는 프로젝트와 세미나, 교육이 함께 하는 공간)를 운영 중이다. 다빈치3D프린터   **P /S/ E■ 문의 : 070-8780-5295, www.davinci3d.co.kr■ 사업 분야 : 시제품 제작, 3D 프린터 판매, 3D 프린터 필라멘트 판매, 3D 프린터 교육■ 취급 제품명 : 3D ENTER-CROSS 시리즈, 오브젝트빌드-윌리봇 MS다빈치3D프린터는 3D 프린터 출력 서비스 및 후가공 전문 업체이다.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SOLIDWORKS)**솔리드웍스04.png■ 문의 : 02-3270-8500, www.solidworks.co.kr  ■ 사업 분야 : 산업, 의료, 과학, 소비자, 교육, 기술 및 교통■ 취급 제품명 : 솔리드웍스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Dassault Systèmes SolidWorks Corp.)는 데이터를 작성, 시뮬레이션, 게시 및 관리할 수 있는 완전한 3D 소프트웨어 도구를 제공한다. SolidWorks 제품은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수한 제품을 보다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SolidWorks는 보다 많은 엔지니어, 설계자 및 기타 기술 전문가들이 3D를 활용하여 자신의 설계를 현실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사용이 쉬운 제품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대건테크*** 대건테크_MyD_S160_1■ 문의 : 055-250-8000, www.daeguntech.com, www.myd3d.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취급 제품 : 3D 프린터 MyD(S140, S160, P250)대건테크는 반도체 제조 관련 장비. 의료분석, 칩 마운터, 공작 기계 등과 같은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장비의 전장부 및 케이블 하네스의 설계, 생산, 장비조립, 시험평가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또한 방위산업 제품의 각종 시험기기, 생산용 점검장비, 방산 케이블 하네스의 설계, 제작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대림화학 ** 대림 FDM소재.JPG■ 문의 : 02-589-0400, www.dlchem.co.kr■ 사업 분야 : 디스플레이 소재, 특수 촉매, 에너지 소재, 3D 프린팅용 소재, 기능성 폴리머, 의약품 중간체■ 취급 제품명 : 3D 프린팅 소재(FFF용 filament, DLP용 resin, SLA용 resin), 고기능성 디스플레이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내마모성 OPC용 폴리머, 이차전지 전해액원료, 석유화학 특수촉매, 특수 비스페놀, 의약품중간체, Grignard reagent 등1976년 창립된 대림화학은 창조경제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사업비전 ‘대림화학 2.0’을 발표하고 글로벌 전자소재 전문기업으로서 디스플레이, 특수화학, 에너지 소재, 3D 프린터용 소재 등 원천소재 분야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 프린터의 핵심 소재를 자체 기술력으로 국산화해 생산 및 공급하고 있으며, 고굴절 LCD 광학 소재, 이차전지 첨가제, 석유화학용 특수촉매 등 친환경을 지향한 화학소재 블루오션 제품군 발굴로 ‘글로벌 니치(Global Niche)’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차세대 산업 성장동력으로 꼽히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3D 프린터 소재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관련 산업 소재 및 제품 기술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대림화학의 3D 프린팅 통합 브랜드인 ‘Electromer 3D’는 창조적 글로벌 스탠더드를 지향하며, 3D 프린팅의 저변을 확대하고 관련 기술의 발전을 위해 정부, 학계, 산업계와 연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디지털핸즈(Digitalhands)**디지털핸즈.jpg■ 문의 : 031-817-6210, www.digitalhands.co.kr■ 사업 분야 : 3D프리팅 전시 및 콘텐츠 사업■ 취급 제품명 : 작가의 3D 콘텐츠 상품디지털핸즈는 고도의 창의성을 가진 예술가와 디자이너의 ‘3D Contents의 Busuness’ 화를 모토로 한국 최초로 설립된 3D 프린팅 아트 & 디자인 전문 갤러리이다.디지털핸즈는 그동안 공학 및 기술 분야에 치우쳐진 3D 프린팅 지원체계를 예술, 디자인 분야로 특화 지원하여 국내외 우수 디지털 콘텐츠를 발굴하고, 데이터베이스화, 상품화를 통한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지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디지털핸즈 갤러리는 단순 전시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아티스트와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극대화 시켜 보다 혁신적인 창작활동이 가능하도록 전시 공간, 첨단 기자재와 전문 인력을 지원한다.디지털핸즈의 지원시스템은 해당 분야 전문 큐레이터와 3D 프린팅 및 AM전문가, 장비 운용 전문가, 후처리 전문가, 상품 개발 전문가, 마케팅 및 브랜딩 전문가 등의 종합 지원 서비스를 받게 된다.디지털핸즈가 지향하는 것은 예술가와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발상을 보다 혁신적인 방법으로 현실화시켜 주고 이를 공정한 분배를 통해 비즈니스에 연결하며 서로 상생하는 것이다.디지털핸즈의 최종 목표는 창작자와 창작 작품의 가치를 가치 있게 인정하는 문화를 만드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가 이상이라고 생각했던 일부를 현실로 만들어 창작자들에게 의미 있는 작은 유산을 남기는 것입니다. 이것의 동력은 창작자와 디지털핸즈와의 상호 신뢰이다. 로보게이트*** 로보게이트1.jpg (프린터 하나만 넣어도 됨)■ 문의 : 070-8796-0630, www.robonuri.com, www.robogates.com■ 사업 분야 : 연구개발 컨설팅, 각종 로봇개발, 3D CAx 솔루션 공급 서비스, 3D Printer 제조판매,  Composites 복합소재 연구개발■ 취급 제품 : 3가지의 3D 프린터를 제작하고 있는데 S300이 주력이고, S600은 기업용 주문제작, Mini Size는 제작 예정로보게이트는 2010년 4월 5일 창업한 회사로 현재 SIEMENS Industry의 공식 대리점으로, S300과 S600, 그리고 미니 사이즈를 제작해 공급할 예정이다. 로킷 ■ 문의 : 02-867-0182, www.3dison.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연구 개발 , 제조 및 판매, 3D 프린팅 에코 시스템 구축■ 취급 제품명 : 3D 프린터 에디슨 시리즈로킷은 FDM 방식의 데스크톱 3D 프린터를 제조 및 양산한 선도 기업으로, 국내 3D 프린팅 시장의 형성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FDM 방식의 3D 프린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프린터를 개발함으로써 3D 프린터의 진정한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국내 시장은 물론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 역시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류진랩(랩C)■ 문의 : 070-7502-7280, http://labc.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유통, 제작, 교육, 판매, 통합 솔루션 제공, 컨설턴트, 메이커스 랩■ 취급 제품 : 중국 플래시포지(FLASHFORGE)의 제품군(Creator Pro, Dreamer, Finder) 외에도 Stratasys의 제품군(objet, Eden, objet connex, Mojo, uPrint, Dimension, Fortus 등), 3D systems의 제품군(Cube, Cube Pro, Projet), 그리고 Matter and Form, Simplify의 Simplify3d, NTREX의 Rexbot류진랩이 운영하고 있는 랩C는 미래 사회 및 트렌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고, 이를 직접 실험하여 관련 분야 참여자들에게 다양한 인사이트를 주고자 하는 스타트업이다. 랩C는 제조자 운동에서 모티브를 받아 시작된 프로젝트로 '3D 프린팅 및 제조자 운동'을 위한 신규 서비스 명칭이자 3D 프린팅 랩이다. Materialise   ■ 문의 : 070-4186-4700, www.materialise.co.kr■ 사업 분야 :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명 : 3-matic***위첨자STL , Magics, MiniMagics***위첨자Pro, MiniMagics, e-Stage, Streamics, AMCP, Build Process, Materialise Builder, 3DPrintCloud벨기에 루벤(Leuven)에 본사와 전세계 지사를 두고 있는 머터리얼라이즈(Materialise)는 AM(Additive Manufacturing, 3D 프린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유럽에서 가장 큰 단일 사이트 생산 능력의 AM 장비를 보유하고 있고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업체로서 그 명성을 자랑한다. 산업과 의료 응용을 위한 AM 기술을 통해 의료 영상처리, 외과적 시뮬레이션, 생의학 그리고 임상 솔루션 제공 등 머터리얼라이즈만의 기술력과 경험을 십분 발휘하고 있다. 또한 머터리얼라이즈는 독특한 솔루션을 개발하여 시제품, 제작 그리고 의학적 요구와 함께 좀 더 나은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머터리얼라이즈의 고객 군은 자동차산업, 가전제품, 소비재 등 대기업과 유명 병원, 연구 기관 및 임상의, 그리고 i.materialise를 통해 독특한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내고자 하고 3D 제작에 관심이 있는, 혹은 .MGX 디자인 구매를 원하는 개별 소비자로 이루어져 있다. 메디트*** 메디트1.JPG■ 문의 : 02-2193-9600, http://meditcompany.com, www.solutionix.com■ 사업 분야 : 비접촉 백색광 3차원 스캐너■ 취급 제품 : RexcanCS plus, RexcanDS3, Rexcan4, Identica Hybrid메디트는 비접촉 광학 방식의 고정밀 3차원 스캐너를 순수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하고 공급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해가고 있는 3D 측정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국내외 덴탈 CAD/CAM 시장에 공급해 왔다. 국내외 산업용(Industrial) 3차원 스캐너 시장을 이끌어 오던 솔루션닉스(2000년도 설립)와 합병되어 3차원 측정 관련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메이커스시스템(Makers System)   **S **jjjun.com.jpg (그림 일부만 잘라 쓸 것)  ■ 문의 : 010-2922-3123, www.makerssystem.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을 응용한 디자인 상품 개발/캐드용역/디자인 의뢰/디지털 컨텐츠 개발■ 취급 제품명 : 3D 프린팅으로 제작할 수 있는 모든 것 메이커스시스템은 3D 프린팅을 응용한 디자인 상품 개발/캐드용역/디자인 의뢰/디지털 컨텐츠 개발 하는 3D 디자인 회사이다. 모멘트(Moment)*** moment_01.jpg■ 문의 : 02-6347-1003, www.moment.co.kr■ 사업 분야 : 데스크탑 3D 프린터 제조, 3D 콘텐츠 공유 사이트 운영, 교육용 패키지 제공■ 취급 제품 : 3D 프린터 Moment2014년 8월에 설립된 모멘트는 데스크탑 3D 프린터 제조 업체이다. 3D 프린터 대중화를 목표로 3D 콘텐츠 공유 사이트 Yourmoment(www.yourmoment.co.kr)를 운영하고 있다. 이 사이트에서는 교육∙취미∙생활∙발명∙예술 분야에 걸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 간에 3D 출력파일(STL)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 원하는 파일을 다운받아 직접 3D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미래교역(3Developer) **미래교역_ultimaker2.png  ■ 문의 : 031-719-7372, www.3developer.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및 필라멘트 국내외 유통■ 취급 제품명 : 프린터봇 심플(Printrbot simple), 프린터봇 심플 메탈(Printrbot Simple Metal), 얼티메이커2(ultimaker2), Form1+, 칼라팹(ColorFabb) 필라멘트3Developer는 ‘3D 프린팅의 대중화를 위해’라는 비전 아래 구축된 미래교역의 새로운 브랜드로 세계 각국의 유기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세계 전문가들에게 인정받은 3D 프린터를 국내에 소개하고 있으며, 3D 프린터 이용자 확대를 선도하기 위하여 렌탈/리스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배가솔루션■ 문의 : 032-342-7270, www.vegasol.co.kr■ 사업 분야 : 역설계, 정밀검증, 3차원솔루션판매, 3D 프린터판매, 시제품제작■ 취급 제품명 : CogniTens WLS Scanner, RangeVision WLS Scanner, Delta3D Printer배가솔루션은 제조 산업의 제품 개발 및 품질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측정 솔루션 지원과 역설계, 정밀검증, 시작품 제작 등 기술용역 서비스를 종합 제공하는 전문적인 엔지니어링 SI(system integration) 업체이다. 현재는 CMM, 레이저 스캐너, WLS Scanner, Vision Scanner, CT Scanner 등 다양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고객들이 요구하는 목적에 맞게 측정 서비스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저가형 3D 프린터인 Delta3D를 공급하고 있다. 브룰레코리아 ■ 문의 : 02-591-3866, www.brule.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취급 제품명 : 메이커봇브룰레코리아는 미국의 본사와 영국 및 일본, 그리고 중국에 지사를 가진, 글러벌 유통기업으로서, 국내 3D 프린터 분야의 선도 기업 자리 잡고 있는 3D 전문기업이다. 미국 3D 프린터사인 메이커봇의 국내 공식 리셀러이며, 유럽 Zortrax사 등의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 받고 있는 3D 프린터들의 국내 공식 총판 사업자이다. 메이커봇 제품을 2013년 국내에 처음으로 공식 런칭하면서, 각 분야의 수요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최신형 메이커봇 시리즈 제품들(5세대, 미니, Z18 등)을 꾸준하게 판매하고 있고, 유럽의 Zortrax M200과 미국의 대형 3D 프린터인 Tape A  Machine PRO를 국내에 소개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BH조형교육원  **비에이치1.jpg■ 문의 : 02-2282-6796 / 070-8276-7281, www.bhartcenter.com■ 사업 분야 : 교육기관■ 보유 장비 : 미술 해부학 관련 서적및 모형, 3D 프린터(Stratasys Objet24, FDM방식 3D 프린터), 3D 스캐너(HDI Advance 3D)BH(비에이치)조형교육원은, 개원 8년차의 인체조형교육원이다. BH조형교육원은, 인체조형 교육뿐만 아니라, 미술해부학, 피규어, 구체관절, 3D 프린터 관련 전문 서적까지 출판하는 전문 출판사 '시옷' 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3D조형 시스템을 국내 처음으로 도입한 교육원으로, 3D 프린터 활용을 위한 지브러쉬와 라이노 등의 소프트웨어 교육과 후가공 전문 교육을 진행하는, 3D 프린터 전문가 양성 교육 기관이다. BH조형교육원은, 3D 캐릭터• 원화• 피규어• 구체관절인형• 영화 특수효과 산업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3D디지털 교육을,  세분화된 기초 조형 교육프로그램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교육기관이다. 사이버메드   ■ 문의 : 02-3397-3970, https://www.ondemand3d.com■ 사업 분야 : 의료용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명 : 사이버메드는 ‘Innovation’이라는 회사의 사훈을 바탕으로 1997년부터 3D Medical Imaging Software를 개발해온 회사로 국내에서 환자의 CT DATA를 이용한 3D Printing 사업을 최초로 시도하였고, 현재 치과용 Implant Guide 역시 3D 프린팅으로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다.의료용 3D 프린팅에 활용할 수 있는 자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를 이용해 현재 16개국에 소프트웨어를 수출하고 있는 회사로서 덴탈(Dental) 분야에서 엔비전(Envision)사의 World Wide Partnership을 맺고 본격적인 3D 프린터를 판매하고 있다. 선도솔루션   **선도_UP Box.png■ 문의 : 02-2082-7870, www.sundosolution.co.kr■ 사업 분야 : 3D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공급 및 유통■ 취급 제품 : 3D 프린터(InspireD255, InspireD290, InspireA450), 소프트웨어(PTC Creo, ArtCAM) 선도솔루션은 ‘Concept to Reality’를 기본 이념으로 설립됐다. PTC 골드 파트너로서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맞는 3D CAD 및 기타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티어타임(Tiertime)사의 3D 프린터 국내 총판으로 해외에서 인정받은 보급형 3D 프린터인 UP Series의 국내 총판을 담당하고 있으며, 상업용 3D 프린터 보급에도 힘쓰고 있다. 또한 ArtCAM을 이용한 입체 패턴 디자인 솔루션의 보급을 통해 제품 외관 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세중정보기술** 세중.png■ 문의 : 02-3420-1172, www.sjitrps.co.kr, www.sj3dprinter.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3D 스캐너, 3D CAD 소프트웨어 공급 및 기술 지원, 3D 모델 시제품 출력 서비스 지원 ■ 취급 제품명 : 3D Systems 3D 프린터, 3D 스캐너, SIMENS SolidEdge, Solidscape 3D 프린터 세중정보기술은 지난 1997년부터 국내 유수의 대학, 연구소, 정부산하 기관, 디자인 센터 등 다양한 분야의 고객사를 위한 3D 프린터, 3D 스캐너, 3D CAD 소프트웨어 제품의 판매 및 고객 서비스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FDM, CJP, MJM, SLA, SLS, DMP 등의 최신의 3D 출력 기술이 탑재된 3D Systems 사의 3D 프린터 전 라인업을 제공하며, 또한 SIMENS 사의 Gold Partner로서 SolidEdge 3D CAD 소프트웨어 제품 판매 및 기술 지원으로 업계 최고의 토탈 3D 솔루션을 제공한다. 센트롤*** SENTROL 3D SS600.jpg■ 문의 : 02-6299-5050, www.sentrol.net■ 사업 분야 : 3D 프린터, CNC 컨트롤러, LED■ 취급 제품 : SENTROL 3D SS150, SENTROL 3D SS600센트롤은 1984년 한국 최초로 CNC를 개발하여 30여 년간 각종 기계개발 혁신에 크게 기여해 왔다. 또한 공작기계, 산업기계 분야는 물론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분야에 이르기까지 국내외 기관에 제품을 공급하면서 높은 신뢰성과 기술력을 널리 인정받았다.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3D 프린터 기술에 착안하여 메탈 3D 프린터에 맞는 CNC 개발과 동시에 산업용 3D 프린터를 개발하고 있다. 주물용 3D 메탈 프린터 개발을 완료했으며, 향후 정밀 금형 및 금속부품 제조용으로 자동차, 항공기, 발전기 및 의료, 방위산업 분야에 적합한 복합 가공방식 밀링(Milling) 3D 메탈 프린터를 개발할 계획이다. 소나글로벌*** 소나2.jpg■ 문의 : 02-6212-9901, www.cel-robox.co.kr, www.m-one3d.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유통, 3D 프린팅 콘텐츠 및 교육■ 취급 제품 : ROBOX 3D Printer(FDM 방식), M-ONE 3D Printer(DLP 방식)소나글로벌은 FDM 방식의 로복스(ROBOX_를 비롯해 DLP 방식의 M-ONE 3D 프린터 등 세계의 리딩 브랜드와 국내 파트너십 게약을 체결하여 해당 브랜드의 국내 마케팅 및 유통 판매하고 있다. 쉐이프웨이즈코리아(Shapewayskorea)   *E  **P*** 쉐이프_교육.jpg■ 문의 : 02-511-7158, www.shapewayskorea.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교육사업, 3D 프린팅 출력사업■ 취급 제품 : 3D 프린팅 공통과정, 다양한 3D 프린터 전문가과정, 3D모델링 전문가과정, 3D 프린팅 취창업과정, 산업연계 3D 프린팅 특별과정쉐이프웨이즈코리아는 3D 프린팅을 활용한 혁신 기술의 교육과 공유 서비스를 통해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핵심회사로써 사회적 책임과 고객의 성공과 보람을 함께 이루어 나가는 3D 프린팅 전문 기술 서비스 그룹이다. 슈퍼쓰리디엠(SUPER3DM)*** 슈퍼_20151123_203951 ■ 문의 : 070-4741-6666, www.super3dm.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출력 서비스, 3D 프린팅 콘텐츠 개발, 시제품 제작, 3D 프린터 판매 및 강의슈퍼쓰리디엠(SUPER3DM)은 3D프린터 제품연구소라는 이름으로 3D프린터와 관련된 제품제작, 강의, 판매등의 서비스를 하고 있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제품 공유, 판매 및 3D 프린팅 문화를 만들어 모두가 즐기는 ‘3D 프린터 플레이스’를 만드는데 앞장서고 싶다.국내의 작은 3D 프린터 시장에 한 발 내 딛어 3D 프린터 출력 연구를 통해 좋은 제품 및 출력물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3D 프린팅 시장의 발전을 위해 질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서비스 향상에 노력하겠다. 스텔라무브■ 문의 : 031-935-5688, www.stellamove.com■ 사업분야 : 3D 프린터 제조 및 판매■ 취급 제품 :  T5 스텔라무브(Stellamove)는 3D 프린터 전문 개발사로, 하드웨어 구성 및 하드웨어 제어를 위한 모터제어 보드와 펌웨어, 그리고 사용자 소프트웨어까지 모두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기존 3D 프린터들이 사용하는 Reprap 오픈 소스 기반 제품이 아닌 스텔라무브의 독자 기술로 개발된 통합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사용하기 쉬운 제품을 구성했다. 한글화된 사용자 소프트웨어와 5인치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는 어떤 3D 프린터에서도 볼 수 없는 손쉬운 사용성을 제공한다. 스튜디오엠에이(Studio MA)***Boonongjelly.jpg■ 문의 : 02-512-0383, www.boonongjelly.com■ 사업 분야 : 리쏘페인, 3D 프린팅 패션 액세서리, 몰드 등■ 취급 제품 : 부농젤리: 메모리얼 스탠드, 메모리얼 박스스튜디오엠에이는 3D 프린팅을 기반으로 하는 아이디어 디자인 메이커 그룹이다. 리쏘페인을 주력으로 하는 ‘부농젤리(boonongjelly)’ 브랜드와 아날로그 감수성을 담은 패션&액세서리 브랜드 ‘고와요(gowayo)’를 보유 중이다. 부농젤리 브랜드는 곡면 디자인과 수공예를 접목한 리쏘페인 제품을 최초로 상용화했다. 또한 그림자 램프와 리쏘페인을 결합한 형태의 캔들 홀더를 10월 말에 대중에 선보일 예정이다. 고와요 브랜드는 아날로그 정서에 스토리를 담은 액세서리 시리즈를 11월 초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내부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외부 작가 및 업체들과의 콜라보를 통해 제품개발이 진행 중이며 예술가들의 작품이 대중에게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소통 창구가 되고자 한다. 스트라타시스코리아*** 스트라타시스_ Eden260VS.jpg■ 문의 : 02-2046-2200, www.stratasys.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장비와 재료 제조 및 판매■ 취급 제품 : 아이디어 시리즈, 디자인 시리즈, 프로덕션 시리즈, 직접 디지털 제조(DDM) 등 데스크탑 3D 프린터에서 대형 고급 3D 제조 시스템까지 다양한 3D 프린터 제품군 보유 3D 프린팅과 적층 제조 솔루션의 세계적 선도 기업인 스트라타시스(Stratasys)는 특허 받은 FDM, 폴리젯 및 WDM 3D 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3D CAD 파일 혹은 기타 3D 콘텐츠로부터 곧바로 다양한 시제품 및 제품군을 생산하고 있다. 1988년에 설립된 미국 스트라타시스는 2012년 12월 이스라엘 오브젯(Objet)와 합병했다. 스트라타시스는 아이디어 개발, 프로토타이핑과 직접 디지털 제조(Direct Digital Manufacturing, DDM)에 필요한 3D 프린터를 아우르는 시스템을 구축해 왔으며, 디지털 부품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800개 이상의 3D 프린터 재료 제조 관련 글로벌 특허 및 특허 출원 중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는 2013년 12월에 한국 내 3D 프린팅 관련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는 스트라타시스코리아가 설립하고 다니엘 톰슨(Daniel Thomsen) 지사장을 중심으로 영업력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5월에는 메이커봇(MakerBot)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 총괄 본부 설립했다. 시그마정보통신■ 문의 : 02-558-5775, www.sigmainfo.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취급 제품 : Solidscape MAX2IT 중견기업으로 Solidscape 3D 프린터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다. 시스템레아   ■ 문의 : 010-2640-3661, www.caferhea.com■ 사업 분야 : PLA 필라멘트 제조, 3D 프린터 제조■ 취급 제품명 : PLA 필라멘트, 3D 프린터시스템레아(System rhea)는 PLA 필라멘트 제조를 시작으로 델타 타입의 3D 프린터를 제조하는 제조업체이다. 신도리코   ** 신도리코_3세대 큐브 제품컷.jpg■ 문의 : 02-460-1244, www.sindoh.com■ 사업 분야 : 디지털복합기, 고속 레이저 프린터, 감광지, 문서보안솔루션■ 취급 제품명 : 3세대 Cube, 큐브Pro신도리코는 사무기기의 제조, 영업, 유통, 서비스에 전문성을 갖춘 회사이다. 글로벌 사무기기의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한 한국시장에서도 54년 동안 국내 사무용 복합기 점유율 1위를 수성해 왔다. 최근 변화하는 오피스 환경에 맞춰 기업 고객들에게 비용을 줄이며 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문서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구축해 주고 있다. 국내 브랜드 신뢰를 살려 'Sindoh'라는 글로벌 브랜드로 해외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3D 프린터 시장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해외 유수 업체와 유통 계약을 체결, 3D 프린터의 대중화를 이끌 제품들을 출시하는 한편,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쓰리디(3D-SITE)  **S*** 쓰리디.jpg■ 문의 : 010-4761-8382, http://cafe.naver.com/kopackaging■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기구설계, 금형개발, 시제품 제작■ 사용 장비 : OBJET 350V(직접운영), Connex-500, 4축 CNC 등(외부운영)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생활용품과 화장품 관련 기구설계와 함께 스트라타시스의 PolyJET 방식 장비를 이용한 대형물(최대 490x390x200mm) 프린팅 출력과, 금형제작, 사출성형 설비를 갖추어 한곳에서 원스톱으로 신제품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디자인 관련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쓰리디박스(3D BOX)** 3dbox_02■ 문의 : 032-548-0128, www.3d-box.co.kr■ 사업 분야 : 고품질 3D 스캔 데이터 획득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극대화■ 취급 제품 : 3D BOX-300, NEW MEISTER쓰리디박스(3D BOX)는 2013년부터 세계 최고급 스펙의 중대형 FFF 방식의 3D 프린터를 연구, 개발, 제작하고 있다. 2014년 11월에 FDM(FFF) 방식의 3D 프린터인 ‘3D BOX-300’을 출시했다. 급변하는 3D 프린팅 시장에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쓰리디스토리  ** 쓰리디스토리1.jpg■ 문의 : 031-322-0211, www.3dstory.kr■ 사업 분야 : 3D초음파 변환 3D태아피규어 제작, 시제품 제작■ 취급 제품명 : 3D태아피규어, 첫돌인형 등 출산관련 아이템쓰리디스토리는 3D 프린터 콘텐츠 제작/유통 사업을 하고 있다. 주요 아이템은 3D초음파 변환 3D태아피규어와 첫돌 인형 등 출산관련 아이템이 있으며, 제품 설계, 시제품 제작, 출력대행 등의 출력소 사업도 병행한다. 쓰리디(3D)스튜디오모아   ■ 문의 : 070-4694-4343■ 홈페이지 : www.3dstudiomoa.com■ 사업 분야 : 모아피규어 판매, Leonar3Do 판매, 3D모델링/프린팅 ■ 취급 제품명 : 모아피규어, 3D모델링실사 3D프린팅 피규어 제작 업체인 모아는 2013년 2월 국내 최초로 3D 프린팅 피규어 제작 서비스를 도입하였다.모아의 모든 직원들은 제품 제작시 단순한 피규어를 넘어서 고객들의 소중한 순간을 감동적인 작품으로 승화시켜낸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한 작품 한 작품에 장인정신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만들어 내고 있다. 3D 모델링을 이용한 다양한 사업분야와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으며 3D콘텐츠 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계속 키워나가고 있다. 쓰리디시스템즈코리아   쓰리디시스템즈1_metal-logo-hand-3dsystems (1).jpg■ 문의 : 02-6262-9900, www.3dsystems.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3D 스캐닝,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 취급 제품명 : 프로젯(Projet) 3D 프린터 및 큐브(Cube) 개인용 3D 프린터, 캡처(CAPTURE) 3D 스캐닝 솔루션, 지오매직(Geomagic) 소프트웨어3D시스템즈(3D Systems)는 3D 프린팅 기술을 세계 최초로 발명하고 상용화에 성공한 글로벌 리더로서, 3D 프린터 환경에서의 3차원 콘텐츠의 저작, 유통, 생산, 서비스를 위한 일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직접 활용되는 고사양 3D 프린터는 물론 일반 소비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3D 프린터를 개발하여 3D 프린팅 기술의 대중화에 가장 앞장서고 있다. 3D시스템즈는 3D 프린터 이외에도 3D 스캐닝 기술과의 완벽한 연계를 위한 역설계/품질검사 소프트웨어 기술, 촉각을 이용한 햅틱 기술 기반의 새로운 사용자 입력 도구 개발, 차세대 3D 제품 설계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같은 다양한 전문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완벽한 3D Content-to-Print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3D시스템즈는 ‘Manufacturing the Future’라는 비전 아래 최고의 기술력과 서비스, 미래를 위한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미래의 제품 설계 및 생산 방식의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쓰리디아이템즈   ***E   **쓰리디아이템즈추가.jpg■ 문의 : 02-466-5873 ■ 홈페이지 : http://3ditems.net■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교육, 3D 프린터 생산 및 유통■ 취급 제품명 : 매직 몬스터2쓰리디아이템즈는 3D 프린팅 전문가 인력양성 교육기관으로 진정한 1,000만 Maker를 배출하기 위해 정부와 함께 3D 프린팅 전문강사 및 일반강사를 양성하고 있다.대형 시제품 조형 제작에 최적화 된 산업용 대형 3D 프린터 매직몬스터2 제작 및 유지보수 서비스와 시제품 제작 사업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쓰리디엠디   **S***쓰리디엠디1.jpg■ 문의 : 02-6942-9508■ 홈페이지 : www.3dmd.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3D 스캐닝/모델링/설계, 각종 전시 모형 및 워킹 목업, 각종 후가공 및 전문 도색■ 취급 제품명 : 목업, 산업/전시/건축 모형, 3D 스캐닝 및 역설계, 기계 설계 및 해석2009년 창립 이래, 3D 프린터 외에도 레이저, CNC 등의 정밀가공장비와 전문적인 자체 후가공 기술을 더하여 높은 완성도의 모형과 시제품을 제작해 오고 있다. 3D업앤다운■ 문의 : 070-4128-1999, www.3dupndown.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 디자인 파일을 전 세계적으로 공유, 판매하는 글로벌 플랫폼 제공3D(쓰리디)업앤다운은 ‘3D 프린팅 기술로 인류에게 보다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자’라는 비전을 내걸고  2013년 6월에 설립됐다. 현재 3D 프린팅 산업에 가장 핵심이 되는 프린팅용 모델링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공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글로벌 3D 디자인 파일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3D 프린터로 출력 가능한 검증된 디자인 파일만을 공유하고, 거래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2016년에 국내 디자이너 5천명, 회원 2만명, 3D파일 3만개 보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 쓰리디엔터(3D Enter)** Cross3.5.jpg■ 문의 : 070-7756-7757, www.3denter.co.kr■ 사업 분야 : 고품질 3D 스캔 데이터 획득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극대화■ 취급 제품 : Cross3.5, Alpha2.0쓰리디엔터(3D Enter)는 국내 대형 3D 프린터를 사용화하여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기본 출력물크기 500*500*500부터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대형 사이즈를 주문 제작하고 있다. 쓰리디커넥션   ** 첨장조명_Touch■ 문의 :  070 7527 4907■ 홈페이지 : www.3dconnection.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기반 상품 개발, 플랫폼 개발쓰리디커넥션은 제품디자인 서비스 및 3D 프린팅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체상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 산업을 위한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쓰리디텍  **P■ 문의 : 041-589-0580■ 홈페이지 : www.3dtek.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출력 및 후가공■ 취급 제품명 : 3D 프린팅을 이용한 고객 맞춤형 명판 등쓰리디텍은 3D스캐닝과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꼭 필요한 것을 창조하는 회사이다. ‘꼭 필요한 것을 만드는 일, 그것이 기술이 해야 할 일’이라는 슬로건 아래 전직원이 단합하여 최고의 3D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3디페이지■ 문의 : 031-245-1218, http://3dpage.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장비 렌탈, 출력■ 취급 제품 :  Stratasys Dimension 시리즈(Dimension BST / SST 768 / SST 1200 / Elite), Fortus 시리즈(Fortus 200MC, Prodigy Plus), Objet 시리즈(Eden 250/260)3디페이지는 산업용 3D 프린팅 장비를 렌탈 서비스하는 업체다. 쉽게 구입할 수 없는 고가의 FDM 장비에서 오브젯 장비까지 다수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사용자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합한 프린터를 선택해 한달 단위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씨이피테크    *** 씨이피테크_추가.jpg■ 문의 : 02-749-9346, www.ceptech.co.kr■ 취급 제품 : 3D Printers, 3D Scanner씨이피테크는 미국 3D Systems의 3D 프린터를 공급하고 있다. RP장비인 3D PRINTER의 국내 판매 및 A/S 계약을 체결하고, 장비 판매를 하고 있다. 개인용 프린터부터 산업체에서 매뉴팩처링 장비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덕션(Production) 장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비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 16년 동안 3D 프린터만 공급한 회사로써 오랜 기간 지속적인 공급과 A/S로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로 고객 만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아나츠(Anatz)*** 아나츠엔진.jpg■ 문의 : 02-2040-7707, www.anatz.com, https://www.facebook.com/Anatz3D■ 사업 분야 : 고품질 및 대량생산용 3D 프린터 플랫폼 개발 및 공급■ 취급 제품 : 아나츠엔진, 아나츠엔진 톨, 아나츠엔진 와이드, 아나츠엔진 빅, 아나츠 프린팅팜 식스틴, 아나츠 프린팅팜 패션국내 3D프린터 제조업체인 아나츠(Anatz)는 3D 프린터로 발전 가능한 모든 것에 비전을 가지자는 개발 가능성을 걸고, 3D 프린터의 보급과 저변 확대, 콘텐츠 개발, 나아가서는 Ecosys(생태계)와 Biodegradable(생분해성) 등의 융합형 개발을 하고자 한다. 또한 모든 사람들이 상상력을 발휘하여 일상에 없어서는 안될 무언가를 창조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새로운 시선과 가치를 생산하고자 한다. 현재 아나츠는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의료, 패션, 자동차, 교육, 제품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과들과 협업하고 있으며 갈수록 발전하는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아이위버   ■ 문의 : 031-323-7311, www.iweaver.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시제품 제작■ 취급 제품명 : Zeepro Zim‘창조’라는 단어가 어느새 우리의 삶 속에 깊이 들어와 있는 지금, 3D 프린터는 아이디어를 실현시킬 수 있는 하나의 혁신적인 도구가 되었다.이전까지 3D 프린터는 대부분 제조업 분야에서 시제품 제작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시제품 제작뿐만 아니라 의료, 영상, 예술 교육 등의 분야로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저가 장비의 보급으로 개인 사용자의 접근이 쉬워지고 있다.하지만 3D 프린터는 조형방식과 품질에 따라 100만 원대 저가제품부터 수억 원에 달하는 고가제품까지 매우 다양하며, 대부분 수입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사실상 3D 프린터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이 이 수많은 제품들 중 나에게 꼭 맞는 것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아이위버는 고객들의 합리적인 제품 선택에 도움을 드리고자 설립되었으며, 다년간 3D 프린터 시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께 가장 적합한 3D 프린터를 제안할 것이다. 아토시스템(Atto System)*** 아토_포르토스.jpg■ 문의 : 053-853-5208, www.attosystem.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EOD 로봇, 무인비행기, 일반부품, 멀티콥터, 항공촬영■ 취급 제품 : Athos(DLP) F1, F2, F3, H1, Porthos(FDM) I, II, Aramis(교육용 FDM) 아토시스템(Atto System)은 자체 개발한 DLP 프린터를 바탕으로 Casting Resin을 출력할 수 있어 귀금속 및 치과용으로 최적화된 DLP 3D 프린터 업체이다. 가장 정밀한 Z축 적층 두께인 010125mm를 실현해 최고의 퀄리티를 실현하고 일반 Resin을 사용하므로 유지비용 또한 우수하다. 알엠에스 ■ 문의 : 070-4010-7107■ 홈페이지 : www.rmsolutions.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소프트웨어 판매■ 취급 제품명 : rapidshape, netfabb, Anarkik3D알엠에스는 3차원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대중화를 목표로 독일 rapidshape사의 3D 프린터, 독일 netfabb사의 STL 수정 소프트웨어, 영국 Anarkik 3D사의 촉각 모델링 시스템 등 합리적인 가격의 3D 솔루션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알테어**알테어_Inspire_2014_spring.jpg■ 문의 : 070-4050-9200, www.altair.co.kr/, http://blog.altair.co.kr/■ 사업 분야 :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취급 제품 : 하이퍼웍스, 솔리드씽킹, PBS 웍스 등알테어는 주력 제품인 개방형 CAE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하이퍼웍스를 비롯하여 3D 기반의 디자인 소프트웨어인 솔리드씽킹, 수준 높은 인력을 바탕으로 각 산업 및 기업에 제공하는 CAE 컨설팅 서비스인 프로덕트 디자인, 효율적인 업무 관리를 위한 워크로드 매니저 PBS 웍스 등과 같은 제품으로 제조 단계에서의 혁신을 만들어내고 있다. 1985년 미국 미시건주 사우스필드에서 ‘알테어 엔지니어링’이라는 엔지니어링 컨설팅 기업으로 출발한 알테어는 이후 꾸준히 해석, 분석, 에측, 최적화 등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확보하여 데이터 엔지니어링의 글로벌 리딩기업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한국알테어 역시 2001년 지사를 설립한 이래 매년 평균 20%씩 안정적인 성장하고 있다. 야마젠코리아  ■ 문의 : 02-864-1755, WWW.YAMAZENKOREA.CO.KR■ 사업 분야 : 공작기계관련영업■ 취급 제품명 : MATSUURA LUMEX AVANCE-25 일본의 공작기계 전문상사로 설치 및 A/S 전문회사 에이엠솔루션즈  ■ 전화 : 070-8811-0425■ 홈페이지 : www.amsolutions.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프린팅 소재, The BubbleShop■ 취급 제품명 : The BobbleShop(Scan-to-Print, 피규어 제작 솔루션),  Ceramic 3D Printer(Lithoz),  Metal 3D Printer(OPTOMEC), 3D 프린팅 소재(Metal Powder, TLS, LPW)에이엠솔루션즈는 다양한 소재(종이, 금속, 세라믹)의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 가전, 의료 등의 제조업과 디자인 산업에 독보적인 3D 프린터 및 프린팅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술과 시장을 결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로 개인, 게임 캐릭터와 같은 피규어 제작부터 기계부품, 모형, 디자인시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작서비스와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 3D Printing Shop을 운영할 수 있도록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에이엠코리아(AM Korea) *** 에이엠코리아_SLM-50.jpg■ 문의 : 031-426-8265, www.amkorea21.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및 유지보수■ 취급 제품 : Realizer의 금속 3D 프린터 시리즈(SLM 50, SLM 100, SLM 250, SLM 300)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에이엠코리아는 그 동안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3D 프린터 기술 지원과 제품판매 및 시제품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쉽게 구입할수 있는 보급형 3D 프린터에서부터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하는 전문가형 3D 프린터, 실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는 생산형 3D 프린터 및 금속 3D 프린터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고객의 성공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3D 프린터 및 시제품 분야에서 오랫동안 실무에 종사했기 때문에 고객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컨설팅 및 AS기술을 보유화고 있다. 또한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고객의 필요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에일리언_3Doodler 2.0.jpg■ 문의 : 070-7012-1318, http://alien3d.co.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3D스캐너, 3D펜, 소모품 및 기타■ 취급 제품 : 3D 프린터 BUCCANEER, MOMENT, KEVVOX / 3D 스캐너 FUEL3D, Sense, MATTER and FORM / 3D펜 3Doodler 등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는 RFID 분야에서 8년간 쌓아온 경험과 글로벌 IT산업 유통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3년 3D솔루션 사업부를 신설하여 Alien3D라는 3D 프린터 관련 하드웨어 전문 브랜드로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3D 프린터 시장의 급성장에 발맞춰 발전된 기술과 노하우를 가진 다양한 3D 프린터, 3D스캐너, 3D펜 등을 국내시장에 소개 및 유통하고 있다. 에이치디씨(HDC)   ***HDC.jpg■ 문의 : 031-817-6210, www.hdcinfo.co.kr■ 사업 분야 : 장비판매(3D 프린터)■ 취급 제품명 : DWS사 SLA 방식 / EOS사 SLS, DMLS 방식HDC(에이치디씨)는 1990년 설립된 이래로 16년간 자동차, 전자, 캐릭터 애니메이션, 주얼리, 덴탈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3D 프린터를 접목해온 노하우를 축척해 왔으며 독일 EOS사 한국 공식 Distributor와 이태리 DWS사 한국 총판으로 3D프린터를 공급해 오고 있다. EOS사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타입 장비로써 Plastic 및 Metal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DWS사는 현존 가장 깨끗한 표면을 구현 가능한 SLA( Stereo Lithography) 장비로써 HDC사는 장비의 판매 및 취급을 비롯한 장비 사용과 관련된 모델링노하우와 후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기술지원 및 교육 서비스까지 3D프린터를 사용한 전체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XYZprinting 한국지사■ 문의 : XYZprinting.com (Global), http://kr.xyzprinting.com (Korea)■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컴퓨터 및 주변장치 판매■ 취급 제품 : daVinci 1.0A, daVinci 2.0A Duo, da Vinci 1.0 AiO, Nobel 1.0, da Vinci JR지난 2013년 설립된 XYZprinting은 전문성과 기술력, 그리고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3D 프린팅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XYZprinting의 모회사인 킨포그룹(Kinpo Group)은 개인용 및 상업용 프린터, 스캐너 개발 및 제조분야에서 15년 이상의 경험을 갖고 있다. XYZprinting의 첫 번째 프린터 dA vinci 1.0A는 3D 프린터 제품으로, 국제가전전시회(CES 2014)에서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드(Editor’s Choice Award)’를 받았고, 같은 해에 톰스 가이드(Tom’s Guide)에서 ‘리더스 초이스 어워드(Reader’s Choice Award)’를 받았다. 본사는 대만에 있으며 현재 중국과 일본, 미국, 유럽 및 한국에 지사를 두고 있다. 엔터봇 ■ 문의 : 070-8018-4119, www.enterbot.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장비 판매■ 취급 제품명 : E-universal엔터봇은 국민보급형 교육용 3D 프린터 개발을 통하여 전 국민이 쉽고 친숙하게 3D 프린팅 세계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디자인과 이해하기 쉬운 프린터 구조,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교육 제공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력을 발산시키는 환경을 제공한다. 영일교육시스템■ 문의 : 02-2024-0077, www.yes01.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취급 제품명 : 메이커봇영일교육시스템은 ‘자동차교육장비, 냉동공조 교육장비, 자동화 교육장비, 전기전자통신 교육 장비’를 제조하여 국내 및 해외에 판매하고 있으며, 해외의 분야별 넘버원인 교육용 장비와 연구용 장비를 생산하는 회사의 한국 에이전트이다. 또한 보급형 3D 프린터의 세계 판매 1위인 MakerBot의 한국 리셀러이다. 오브젝트빌드■ 문의 : 031-421-7567, www.objectbuild.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개발 및 연구■ 취급 제품 : MONAMI, GOLIATH 300, GOLIATH DUAL, 골리앗300, 골리앗1000, 골리앗H200, MS GOV, 골리앗DLP오브젝트빌드는 3D 프린터 연구 및 개발을 하는 업체이다. 국내 3D 프린터 분야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워크샵을 매주 진행하고 있다. 전국 13개 대리점(서울, 경기, 인천, 부산, 제주 등)망을 운영하고 있다. 오토데스크*** Autodesk_123D ■ 문의 : https://spark.autodesk.com/, https://ember.autodesk.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솔루션 개발■ 취급 제품 : 스파크(Spark), 엠버(Ember), 오토데스크 123D 오토데스크는 3D 프린팅을 위한 오픈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스파크(Spark)와 이를 구현할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3D 프린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3D 프린터인 엠버(Ember)는 레퍼런스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프린터는 스파크의 파워를 보여주고, 3D 프린팅 사용자 경험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마련해 나갈 것이다. 또한 이 모든 것은 제품 디자이너와 하드웨어 제조사, 소프트웨어 개발자, 재료 과학자들이 3D 프린팅 기술의 한계에 도전하는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오토데스크는 스파크를 하드웨어 제조사를 비롯해 3D 프린팅에 관심을 갖고 있는 관계자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무료로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티에스(OTS)***오티에스_in_prd.jpg■ 문의 : 1899-7973, www.3dthinker.com■ 사업 분야 : RP 장비 및 3D 프린터, 레이저 커팅기, CNC머신 등 제조 및 유통■ 취급 제품 : Deltabot-K-CU / Deltabot-K-IN오티에스(OTS)는 각종 RP장비를 제조 및 유통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델타형 3D 프린터 상용화에 성공했다. 3D 프린터 분야에 많은 노력을 기술을 축적했고, R&D를 통해 델타 방식의 FDM 3D프린터 뿐만 아니라 SLA, DLP, SLS 등 제품의 연구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이저 커팅기, CNC머신 등 기계 개발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통해 고품질의 기기 생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오픈크리에이터즈   ***E*** 오픈크리에이터즈_마네킹 사진 3.jpeg**■ 문의 : 070-8828-4812, www.opencreators.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제조 및 교육■ 취급 제품 : 아몬드(ALMOND), 마네킹(MANNEQUIN)오픈크리에이터즈는 전작 NP-Mendel(멘델)을 통해 국내 3D 프린터 산업의 First Move로 알려져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3D 프린터를 즐길 수 있도록 워크숍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성화했고 이를 통해 3D 프린터 유저 및 3D 프린터 제조사가 늘어나고 있다. 오픈크리에이터즈의 두 번째 모델인 아몬드(Almond)는 기계에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쓸 수 있도록 기능을 업그레이드했다. 출력 면의 수평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기능인 오토레벨링, 출력물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급속 냉각이 가능한 노즐냉각기능을 반영하였다. 오픈크리에이터즈는 창작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 중고교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온라인 커뮤니티 및 용산 전자상가에 ‘Opencreators::Space’를 마련하여 3D 프린터와 다양한 공작기계를 이용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월드PC정비학원** 월드pc.jpg DIY 생활소품 머리 빗 제품기획 디자인 3D프린팅(3D프린팅 활용실무 과정 4기 이정훈 수료생 작품) ■ 문의 : 02-3141-1212, www.worldpca.co.kr■ 사업분야: (평생직업교육학원, 고용노동부 국비지원(NCS) 과정 전문 훈련기관)2000년 2월 교육청 인허가 학원 설립 후 PC정비 및 하드웨어, 네트워크, 3D프린팅 전문 실습 중심의 운영방침 학원이다. 주요 훈련과정은 3D프린팅 활용실무, PC정비 A/S실무, 네트워크시스템구축, 노트북 메인보드 수리, 데이터복구, 스마트폰 수리 과정 등이다.교육과정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3D 프린터는 3DISON Plus Single, 3DISON Multi Dual, MAKER BOX 2.0, : TOAST 등이다. 인스텍 *** 인스텍_MX-4.jpg ■ 문의 : 042-935-9646, www.insstek.com■ 사업 분야 : 양산용 금속 3D 프린터 제조 및 판매■ 취급 제품 : MX-4, MX-3, MPC, LMX-1국내 최초로 DMT(Laser aided Direct Metal Tooling) 금속 3D프린팅 기술을 개발한 업체로 핵심 기술부터 소프트웨어, 장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생산하고 있다. DMT 금속 3D 프린팅 기술은 DED 방식의 프린팅으로, 단조재에 뒤지지 않는 뛰어난 물성치를 자랑하는 등 다른 방식의 프린팅과 차별화되는 특징들로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자동차, 항공, 전자, 국방, 의료 및 제조산업의 양산에 적용되면서 탄탄한 기술력을 국내외 시장에서 인정받았다. 인텔리코리아   ***E **P*** 인텔리코리아_3D모델러 CADian3D 전체화면.jpg■ 문의 : 070-4610-2340, www.cadian.com, www.cadian3d.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콘텐츠 제작 유통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디자인 용역, 3D 프린팅 출력 대행, 3D 프린팅 교육, 3D 프린팅을 위한 3D모델러 개발 & 스마트 슬라이서(Smart Slicer) 개발■ 취급 제품 :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툴 CADian3D 2015, 3D 프린팅 인력 양성 교육인텔리코리아는 오토캐드를 대체하는 토종 CAD인 CADian 개발사이다. 3ds Max, Maya, 라이노3D 등을 대체할 수 있는 CADian3D를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에 보급하고 있으며, 3D 프린팅 교육 사업, 3D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구축하여 용역 서비스를 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3D 프린팅 메이커 1천만명 양성 사업을 위해 무료강좌, 기본강좌, 전문가 양성강좌 등 수준에 맞는 다양한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인하공방    **E■ 문의 : 010-7557-0449■ 사업 분야 : 3d 모델링 교육 및 RP 장비 제작인하공방은 제품설계 능력을 중심으로 학우들의 R&D 능력을 키워주고 젊은 개발자 양성을 목표로 하는 유일무이한 개발 동아리이다. 2D CAD/3D Modeling 교육 후, 3D 프린터 사용방법을 익혀 기술 혹은 아이디어 관련 공모전활동에 참여하거나 사업화 및 설계기술에 대한 지식들을 습득하여 한층 더 성숙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주원*** 주원_EnvisionTEC 제품군.JPG■ 문의 : 031-726-1585, www.joowon3dprinter.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 및 3D 스캐닝 장비 공급 ■ 취급 제품 : EnvisionTEC 3D Printer, David Scanner (SLS-2), Creaform 3D Scanner주원은 1975년 설립되어 약 40년간 자동차, 산업기기, 환경, 계측기기 분야에 첨단장비를 보급해 왔다. LCD 관련 자회사를 두고 있으며 2009년 발족한 기술연구소에서는 소프트웨 개발 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청에 의한 다양한 신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DLP(Digital Light Processing) 기술에 대한 원천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독일 EnvisionTec의 장비와 금속파우더에 선택적으로 고출력 레이저를 조사, 소결하여 도포하는 공정의 Sintering 방식의 장비를 판매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이 필요로 하는 3D Scanner 및 관련 소프트웨어 등 3D 프린팅 관련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 지멘스PLM소프트웨어코리아 *** 지멘스_Solid Edge 1.jpg■ 문의 : 02-3016-2000, www.plm.automation.siemens.com/ko_kr■ 사업 분야 : PLM, CAD, CAM, CAE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 : NX, Solid Edge지멘스 디지털 팩토리 디비전(Digital Factory Division)의 사업 부서인 Siemens PLM Software는 전 세계 약 900만 건 이상의 라이선스 시트를 공급했고, 7만 7,000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PLM, 제조운영관리 소프트웨어(MOM; Manufacturing Operations Management), 시스템 및 서비스 공급업체다. 미국 텍사스주 플라노에 본사를 두고 있는 Siemens PLM Software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구현을 위해 고객들과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Siemens PLM Software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www.siemens.com/plm)에서 제공된다. 지오시스템■ 문의 : 02-702-7600, http://buildingsolution.geosys.co.kr■ 사업 분야 : 공간데이터(2D&3D) 취득 솔루션, 건설산업 솔루션, Mapping & GIS 기기 판매 및 솔루션, GNSS기기 판매 및 측위 솔루션, 인프라 구축 및 S/W 개발■ 취급 제품 : 스케치업, 3D 스캐너, MEP&Layout 기기, 토털 스테이션, MMS, 이미징 로버, GNSS 수신기, MGIS, 인프라, 조선&해양 등지오시스템은 발전을 거듭하는 인공위성 측위 기술과 함께 트림블 GNSS 측위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입지를 다져왔다. GNSS 소프트웨어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고객을 위한 여러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발 더 나아가 전문화, 고도화 되어가는 현대 건설산업을 위한 트림블 빌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3D 스캐너의 경우 Static 타입과 Portable 타입을 공급하여 점차 확대되는 3D 프린팅 산업에 맞는 솔루션 라인을 갖추고 있다. 카미(KAMI)*** 카미_M1 cusing.jpg■ 문의 : 02-6670-4114, www.kami.biz■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장비 렌탈, 출력■ 취급 제품 : 금속 3D 프린터 레이저 큐징(Laser CUSING)카미(KAMI)는 금속 3D 프린터인 독일 컨셉 레이저(Concept Laser) 국내 독점 대리점으로, 사내에 Mlab R, M2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벤치마크 테스트 및 장비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  *** 캐논_big01.jpg■ 문의 : 02-3450-0700, www.canon-bs.co.kr■ 사업 분야 : 복합기/사무기기/프린터■ 취급 제품명 : 마브(MARV) MW101985년 한국의 롯데그룹과 일본의 캐논사가 합작해 설립한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대표이사 김천주, 이하 CKBS)은 앞선 기술력과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선진 오피스 환경을 리드하며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소형 계산기에서부터 복사기, 팩스,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복합기는 물론 디지털 상업인쇄, 리테일 포토 등 풀 라인업을 갖추고, 모든 사무기기에 있어 속도와 품질, 디자인과 성능의 혁신을 선보이고 있다. CKBS는 모든 첨단 디지털 사무기기의 제공으로 새로운 오피스 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캐리마   ** 캐리마_MasterEV■ 전화 : 02-3283-8877, www.carima.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기 제조 및 수출■ 취급 제품명 : Master Plus, Master EV캐리마는 국내 3D 프린터기 제조 업체로, 자체 개발한 DLP 엔진방식의 3D프린터를 국내 및 전 세계 수출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노비즈 및 ISO, CE, 프로그램 인증 등의 인증과 9개 이상의 특허와 실용신안을 보유, 전문 분야인 산업용 3D프린터 외에 곧 데스크톱용 소형 미니 3D프린터 출시를 앞둔 3D 프린터 전문 업체이다. 케이티씨(KTC)*** ktc_5d8bd4916c.jpg■ 문의 : 0505-874-5550, www.ktcmet.co.kr, www.kvox.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3D 프린팅 서비스■ 취급 제품 : ATOMm-4000, ATOMm-8000케이티씨(KTC)는 고객의 아이디어 상품화 과정에 필요한 쾌속 조형기의 판매에서부터 시제품 제작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3D 프린팅 업체이다. 제조업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제품의 성공 여부는 개발기간 단축과 빠르고 정확한 오류 수정이라고 확신하여 수년간 다져온 KTC만의 노하우로 고객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있다. 최고보다는 늘 고객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코보트***코보트_250E-11.JPG■ 문의 : 070-4686-8868, www.kobot.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및 자동 후처리기■ 취급 제품명 : 뽀샤시245, 뽀샤시250E, 뽀샤시500E, "뽀샤시액코보트는 2014년 창업한 스타트업 회사로 전문가용 주문형 대형 FDM 3D 프린터 제작 및 출력물의 표면 적층을  부드럽게 표면처리 해주는 장비 ‘뽀샤시’ 및 시약을 개발, 판매하고 있다. 25년 경력의 자동화기계관련 Engineer와 15년 경력의 생체재료전공자가 공동 창업하였으며, 현재 생체용 고분자재료 및 광조형 방식의 3D 프린터 개발 중에 있다. 코스모스(COSMOS)**퍼니폴리1■ 문의 : 070-7530-3236, www.funnypoly.com■ 사업 분야 : 3D 모델 콘텐츠 오픈 마켓■ 서비스명 : 퍼니폴리3D 모델 콘텐츠 오픈마켓으로서 3D 디자인 데이터를 팔고 사는 서비스에 프린팅 기능과 후가공을 접목하여 프린팅 제품 이외에도 쥬얼리, 실리콘 몰드 등 3D프린트로 보다 다양한 분야의 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타이드 인스티튜트(TIDE Institute)■ 홈페이지 : http://tideinstitute.org■ 사업 분야 : 글로벌 창업 문화 확산과 선도형 기술창업 지원TIDE Institute(타이드 인스티뉴트)는 과학기술(Technology), 상상력(Imagination), 디자인(Design),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네 가지 핵심요소의 최신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한국사회에 공유하고 글로벌 창업 문화 확산과 선도형 기술창업을 지원한다. 현재 TIDE Institute에서는 전국 각지에 디지털 제작공방을 운영 중이며 대표적으로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에 위치한 FabLab Seoul이 있다. FabLab Seoul은 전 세계에 300개가 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에선 최초이다. 이는 현재 전국 각지에 퍼져있는 무한상상실을 비롯해 기타 오픈 메이커 스페이스의 롤모델이기도 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직접 위탁운영하기도 한다. 수원시 영통구에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 위치한 셀프제작소를 운영하고 있다. FabLab(Fabrication Laboratory)과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셀프제작소는 3D Printer와 LaserCutter 등 디지털 제작장비(Digital Fabrication)을 사용하여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어렵지 않고 저비용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게끔 도와주고 있으며 이 중 3D Printer를 이용한 시제품 제작은 전국의 모든 예비창업자들에게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에는 엄청난 고비용과 전문 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던 시제품 생산들이 별도의 3D Printer를 구매하지 않아도 FabLab Seoul과 셀프제작소를 통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에 이는 상당한 자본이 있어야만 가능했던 제조 창업에 대한 장벽을 낮춰주고 있다. 최근에는 가정용 3D 프린터뿐만 아니라 산업용 3D 프린터인 Projet 160 제품도 들여와 더 많은 시제품 제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탑쓰리디(TOP3D)   ■ 문의 : 070-8118-3230■ 홈페이지 : www.top3d.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재료/ 원료, 3D PLA 필라멘트, 3D 기능성 PLA 필라멘트■ 취급 제품명 : PLA-Top/PLA-Ultra/PLA-Super/PLA-Normal Filament (색상: 반투명, natural, white, red, black, yellow 등 추가됨.)탑쓰리디(TOP3D)는 다년간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고품질의 3D 프린터 전용 필라멘트를 개발하였다.개발된 TOP3D 필라멘트는 PLA의 입체이성질체를 활용한 최적의 분자조합과 탑쓰리디의 분자구조제어시스템 및 친환경 첨가제의 개발로 탄생한 세계적 수준의 3D 프린팅 원료로서, 소비자의 각종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티모스***티모스■ 문의 : 070-4010-5750, www.thymos.co.kr■ 사업분야 : 3D 프린터, 3D스캐너, 시제품 제작 서비스, 역설계/검사 서비스 ■ 취급 제품명 : Stratasys 3D 프린터, Solutionix 3D 스캐너티모스는 3D 프린터와 3D 스캐너(Scanner) 판매 및 기술지원, 제품 용역 서비스 등 제품 개발에서 검사까지 모든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티모스의 제품라인은 3D 프린터와 3D 스캐너로 구성되어 있다. 3D 프린터는 Stratasys사의 3D 프린터를 공급하고 있다. 기능성 Engineering Plastic인 ABS, PC, PC-ABS, Nylon, Ultem, PPSF 등을 사용할 수 있는 FDM 시리즈의 3D 프린터와 액상의 합성 폴리머 소재를 분사하여 적층 함으로써, 단일 소재 뿐만이 아닌, 두 소재를 혼합하여 적층할 수 있는 기능까지 탑재된 모델을 보유한 Polyjet 방식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2014년 상반기에 3가지 소재를 혼합 적층 할 수 있는 Connex 3장비가 출시됨에 따라, 아크릴 계열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직접 컬러 구현이 가능한 제품까지 라인업이 구축되어 있다. 3D 스캐너의 경우 솔루션닉스(SOLUTIONIX)사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제품 라인업은 Rexcan 4, Rexcan CS plus, Rexcan DS² 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Rexcan CS Plus의 턴테이블은 스켄대상 제품을 단순히 회전만 시키는 것이 아닌, 자동 스윙기능까지 탑재되어 있어, 좀더 편리하게 제품을 스캔할 수 있으며, Rexcan 4는 다른 브랜드의 경우 렌즈 한 개당 한가지 스켄 영역을 선택 할 수 있는 것에 비해, 렌즈 한 개당 4개의 스켄 영역을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고가의 렌즈를 보유하지 않아도 운용상에 효율성을 증대 할 수 있으며, 좀더 편리하게 고정밀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티엘씨(TLC)코리아■ 문의 : 033-732-9157, www.topleaf.co.kr■ 사업 분야 : PLA 관련 원료 컴파운딩, PLA 3D 필라멘트 원료 생산■ 취급 제품 : Ingreen PLA 3D Filament티엘씨코리아는 미국 NatureWorks의 3D 필라멘트용 Ingeo PLA 국내 독점 수입업체이자 국내에서 유일하게 NatureWorks로부터 수개월의 테스트 과정을 거쳐 공식인증을 획득한 필라멘트 생산업체이다. 지난 10년 간의 PLA 관련 경험으로 자타가 인정하는 PLA에 관한 최고의 노하우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필라멘트는 물론 새로운 3D 프린팅 원료개발에 앞으로도 꾸준히 전념할 것이다. TPC메카트로닉스 ***TPC_FINEBOT 9600A.jpg■ 문의 : 032-580-0670, www.TPC3d.com, www.finebot.kr ■ 사업 분야 : 제조, 디자인, 의료, 완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3D 프린터 개발■ 취급 제품 : FINEBOT 9600A, FINEBOT Z420A, FINEBOT Touch S, FINEBOT ACADEMY1979년 설립된 TPC메카트로닉스(이하 약칭 ‘TPC’)는 자동화 핵심 부품인 공기압기기 생산업체로서, 2013년 10월, 3D 프린터 전문 제조기업인 애니웍스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본격적인 3D 프린터 사업에 뛰어들었다. 애니웍스의 3D 프린터 관련 기술력에 더하여 TPC의 초정밀 제어 기술 및 핵심 부품인 모터 원천 기술 등을 결합해 ‘파인봇’을 판매하고 있다.TPC는 인천 서구 단해창도클러스터 3D 프린터 전용 생산공장을 완공, 국내 3D 프린터 최대 제조라인을 보유, 월 500대에서 1,000대 가량의 3D 프린터를 생산할 수 있는 대량 생산 능력을 갖추었다. 또한 3D 프린터 하드웨어만이 아닌 엔지니어 전문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메카피아닷컴’과 3D 프린터 포털사이트(www.3dhub.co.Kr)를 운영하여 3D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PC는 현재 정부 자금을 지원받아 샤프트 리니어 모터를 개발 중이며, 이를 활용하여 금속 분야에 적용되는 새로운 방식의 고급형 3D 프린터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포디웰컴  ■ 문의 : 031-8069-8800■ 홈페이지 : www.4Dwel.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교육 아카데미, 3D 프린터 출력 서비스, 3D 모델링 도면 공유 플랫폼, 3D Studio Momento■ 취급 제품명 : 3D 피규어, 3D 스캐너포디웰컴은 국내 3D 프린터 교육, 출력, 도면 공유 플랫폼, 스튜디오 네 가지 사업영역을 정하여 넓혀가고 있는 벤처기업이다. 특히 3D 출력서비스 사업으로는 인물 피규어(전신, 반신, 두상, 액자) 외에도 집약적인 기술력이 요구되는 애완동물 피규어(스탠드, 액자)를 비롯해 태아 및 아기, 유아 스케치, 주얼리, 메디컬, 건축지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연구개발 전담부서 인증, 벤처기업 인증, 특허출원 등 3D 프린터 관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고, 관련 업종의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타 3D 프린팅 업체 대비 풍부한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점이 차별화된 경쟁력이다.또한, 후지필름과의 전략적 업무제휴를 통해 해피피규어(HAFi-Figure)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런칭하여 신촌 오프라인 매장에 안테나샵을 개장하였다. 이 외에도 백화점 내 3D Momento Studio가 입점 예정이며 이러한 성장 기류를 이어나가고자 신규 사업 진출 및 해외시장 개척을 추진하고 있다. 포머스팜*** 포머스팜_MINI정면.png■ 문의 : 070-4837-1137, www.formersfarm.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제조, 프린팅 서비스■ 취급 제품 : Sprout, Sprout Mini포머스팜은 지난 3년간 국내 기술력을 바탕으로 PineTree, Sprout, Sprout Mini까지 보급형 FDM 방식의 3D 프린터를 개발 및 판매하고 있다. 우수한 제품 설계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프린팅 품질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젊은 기업다운 성실한 AS로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프로토텍**프로토텍_회사소개이미지_Objet260Connex2_LeftHer■ 문의 : 02-6959-4113, www.prototech.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3D 스캐너 판매, 시제품 제작 서비스, 역설계 서비스■ 취급 제품명 : Stratasys 3D 프린터, NextEngine, Geomagic, Breuckmann, FARO 3D 스캐너프로토텍은 2005년 설립되었으며, 3D 프린터뿐만 아니라 3D스캐너, 시제품 및 역설계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3D 프린팅 토털 솔루션 기업이다.스트라타시스(Stratasys)의 FDM 방식과 Polyjet 방식의 3D 프린터를 10년 넘게 판매하고 있는 국내 최대 공식 판매사로서, 오랜 경력과 노하우로 전문 컨설팅과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프로토텍은 기존 고객의 서비스 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주 고객사로는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있다. 시제품 제작 및 역설계 서비스는 전문 인력의 상담을 통해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BS플라스틱, PC, 고무계열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자동차, 전자, 의료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플러스플라스틱   ■ 문의 : 02-6453-5575, www.plusplastic.com, www.byrhino3d.com■ 사업 분야 : 디지털 디자인 소프트웨어 공급, 개발■ 취급 제품명 : Rhinoceros, KeyShot, Vray 등 디자인 소프트웨어 및 3차원 프린터플러스플라스틱은 디지털 디자인 전문기업으로 제품디자인 및 설계, 건축설계, 역설계, 커스텀 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Rhinoceros를 디자인 플랫폼으로 3D모델링, 렌더링, 3D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어도비(Adobe)의 그래픽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소프트의 OS, 사무용 소프트웨어 등 디자이너(제품, 건축, 주얼리, 기계 등)에게 필요한 디지털디자인 솔루션을 공급하며, 라이노를 기반으로 고객 요구에 따라 플러그인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PTC코리아**ptc-크리오01.png■ 문의 : 02-3484-8000, http://ko.ptc.com■ 사업분야 : PLM, CAD, ALM, SCM, SLM, IoT ■ 취급 제품명 : PTC Creo, PTC Windchill, PTC Arbortext, PTC Servigistics, ThinWorx 등PTC코리아는 스마트 커넥티드 프로덕트, 운영 및 시스템을 위한 기술 플랫폼 및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PTC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은 제조 업계 및 다른 산업군의 기업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운영하며, 분석하며,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업계 수상 경력에 빛나는 씽웍스(ThingWorx)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대표되는 PTC의 플랫폼 기술들은 기업들이 IoT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초기 CAD 소프트웨어 업계인 선도기업인 PTC는 이후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와 서비스 수명주기 관리(SLM) 분야로 비즈니스를 확대한 바 있다. 하이비젼시스템   ***하이비젼시스템.jpg■ 문의 : 031-735-1574■ 홈페이지 : www.3dcubicon.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기 제조 및 수출■ 취급 제품명 : 큐비콘 싱글(cubicon single, 3DP-110F)현재 국내에는 고가의 3D 프린터에서부터 일반 가정용을 표방한 다양한 제품들이 선보이고 있다. 최고의 정밀도를 위해서는 당연 고가의 제품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개발단계의 시제품 혹은 전체가 아닌 일부 부품까지 출력한다는 것은 비용과 시간 등에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반면 일반 가정보급형 제품으로는 구현할 수 있는 출력물의 수준이 지극히 제한적이다. 하이비젼시스템은 큐비콘을 통해 기존 3D 프린터 사용 업체의 효율적 활용을 제안함과 동시에 창조적 제조업을 꿈꾸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마케팅 활동과 전략적 제휴를 병행해 나가고 있다. 또한 하이비젼시스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기술과 특허(특허 3건 출원 ▪ 3건 예정, 상표1건 출원, 디자인 4건 출원) 그리고 동급 성능의 3D 프린터 대비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산업별로 특화된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한편 연말에 기능을 한층 강화한 추가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내년 2015 CES에 참가하여 한국의 3D 프린터의 수준과 위용을 알릴 계획이다. 해외 진출과 관련하여 현재 하이비젼시스템의 해외 파트너사들이 큐비콘의 현지 판매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이들과의 협력을 다각도로 협의 중이다. 기존 신뢰도를 기반으로 현지에 별도의 유통망 구축 없이도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차로 아시아 시장을 기반으로 이어 북미, 유럽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향후에는 일반 기능 이외에도 의료장비, 특수부품 혹은 산업적 특성에 부합하는 제품 생산에 적합한 맞춤형 모델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며 지역자치단체, 중소기업, 대학 등과 지속적인 협력과 교류를 통해 제품의 개발과 판매 이윤의 사회환원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한국기술  **한국기술■ 문의 : 031-478-4950, www.ktech21.com■ 사업분야 : 3D Systems 공식 지정 리셀러로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 판매 및 기술지원, Materialize社 Magic RP SW 공급 및 기술지원, 시제품 제작 서비스 사업, 3D 융합교육 사업 ■ 취급 제품명 : 3D Systems의 Production 3D 프린터(Metal, SLS, SLA), Professional 3D 프린터(Projet 5500x/3510 series), Personal 3D 프린터(Cube)한국기술은 1990년 Rapid Prototyping 시스템의 선두 업체인 미국 3D systems사와 국내 독점대리점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최초로 SLA Rapid Prototyping(RP)을 공급한 이래로 각종 산업에 RP시스템 및 3D Printer를 공급하고 기술지원을 하며 시제품 제작 솔루션 전문업체로 성장하여 왔다. 고객의 아이디어가 제품으로 실현될 수 있는 시제품 제작 솔루션 전문업체로의 성장을 지향하며 3D Printer 시스템의 공급에서 시제품 용역수행에 이르기까지 3D Printer와 관련한 모든 영역에서 귀사와 긴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기를 희망하며 협력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다. 한국아카이브*** 한국아카이브_ProJet x60 Sample-■ 문의 : 02-558-8114, www.hankooka.com■ 사업 분야 : 3D분야 토털 솔루션 공급, 치기공 분야, IT 공공 사업분야■ 취급 제품명 : 3D Systems 3D 프린터, Actify, Artec, 3Dconnexion, Roland한국아카이브는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이 요구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업체로서 착실한 성장을 해오고 있으며, 각 관련분야 국내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3D Systems의 3D 프린터(쾌속 조형기, RP)뿐만 아니라 연관되는 3D Visualization을 위한 Actify의 제품, 3D Data의 Motion Control을 위한 3Dconnexion의 제품, Roland의 3D 밀링과 3D 스캐너 제품, 3Shape의 정밀 3D스캐너, SensAble의 촉각 모델링 시스템, 디지털 치기공솔루션까지 3D분야의 다양한 솔루션을 연구, 개발 및 제공하고 있다. 그 동안 고객의 성원 속에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보다 통합되고 가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만족하지 않고 국내 산업발전과 고객의 성공을 위해 계속해서 솔루션을 연구, 개발 및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 문의 : 02-530-8000, www.adobe.com/kr■ 사업 분야 :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명 : 어도비 포토샵 CC(Adobe Photoshop CC)어도비는 사용자의 디지털 경험을 통해 세상을 바꾼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에 대한 뉴스와 업데이트는 한국어도비시스템즈의 공식 트위터(www.twitter.com/AdobeKorea)와 공식 페이스북(www.facebook.com/AdobeKorea)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기반의 구독 서비스인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를 통해 디바이스와 데스크톱, 웹을 넘나들며 자신의 작업을 창작하고 출판하며 공유할 수 있다. 한국ATC센터■ 문의 : 1588-0163, www.eatc.co.kr■ 사업 분야 : 민간자격증한국ATC센터는 1995년 11월 17일 설립되어 ATC 자격시험(AutoCAD, 3dsMax, Inventor)을 매월 2, 4주 토요일에 시행하고 있다. 연간 3만 명 이상이 응시하고 있는 민간자격시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3D 프린터 관련 기술자격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MI ■ 문의 : 042-935-3618, www.hkmi.co.kr■ 사업 분야 : 제품설계, 3D 프린팅, 시제품 제작■ 취급 제품명 : 실험장비 및 캐릭터 도장한국MI는 제품개발 전문회사로 제품설계에서부터 특허지원과 시제품제작까지 이루어지는 통합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인근 학교 학생들의 창작의욕 상승을 위하여 재학생에 한하여 저렴하게 3D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우데이타시스템**현우_메탈4.JPG■ 문의 : 02-545-6700, www.3dinus.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취급 제품 : EOS P-Series, M-Series1987년 설립된 이래, 미국 데이터카드(DataCard)의 카드 시스템(Card System)으로 데이터 관리시스템 보급을 선도하며 고객의 신뢰를 쌓아오고 있다. 2013년 독일의 EOS GmbH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3DINUS의 브랜드명으로 국내 3D 산업시장에 진출했다. 30여년 간 쌓아온 시스템 기술 분야의 독자적인 노하우와 경험을 접목하여 소프트웨어와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헵시바주식회사** 헵시바_X1(3).jpg■ 문의 : 032-509-5820, www.veltz3d.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산업용 HVAC, 전력변환인버터(태양광/풍력), 전자컨트롤러■ 취급 제품 : E1 Plus, Miicraft, Miicraft Plus 등1986년 설립된 헵시바주식회사는 HVAC 부문과 신재생 분야 전력변환 인버터를 제조해온 30년 전통의 노하우를 겸비한 전문 제조기업이다. 2012년부터 지속성장을 위해 3D솔루션사업부를 설립했고, 3D솔루션 브랜드 ‘Veltz3D’를 론칭했다. Veltz3D는 교육용 3D 프린터에서 산업용 스캐너를 공급하는 종합 3D솔루션 브랜드이다. 3D 프린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재료를 포함한 원천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소재부문에서는 광중합 소재를 특허를 개발했다. 3D프린터는 FDM, DLP 방식을 시작으로 현재 SLA, 3D스캐너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도 3D 관련 콘텐츠 사업을 확대하여 융합이 중시되는 세계적인 산업 트렌드에 발맞춰 고객의 경쟁력을 높이는 창의적 파트너로 성장해 나갈 계획이다. 황금에스티 메트롤로지 사업부 *** 황금에스티.jpg■ 문의 : 02-850-9793, 02-850-9748, http://metro.hwangkum.com■ 사업 분야 : 3D 스캐너, 검사자동화 장비, 면품질검사 장비, 갭단차측정 장비, 측정 서비스용역,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 : T-SCAN CS, T-SCAN LV (자이스 옵토테크닉사의 레이저 주사식 3D스캐너), COMET 6 8M/16M, COMET L3D (자이스 옵토테크닉사의 패턴 주사식 3D스캐너), ABIS (자이스 옵토테크닉의 면품질검사 장비), COMET Automated, T-SCAN AUTOMATION (자이스 옵토테크닉사의 치수검사자동화 장비), CALIPRI (NEXTSENSE사의 갭단차측정 장비), 소프트웨어 (PolyWorks, Geomagic, InspectPlus). 그 외 사용 장비는 T-SCAN CS, T-SCAN LV (자이스 옵토테크닉), COMET 6 8M/16M, COMET L3D이 있다. 황금에스티는 2015년 6월)는 세계적인 기업 (자이스)와 전략적인 합병을 한 후 자이스 옵토테크닉(Carl Zeiss Optotechnik GmbH)으로 회사 명칭이 변경 되었고 3차원 측정기 부분의 혁신적인 발전을 예고하고 있다.황금에스티 메트롤로지 사업부는 독일 스타인비클러(STEINBICHLER)와 자이스(ZEISS)가 합병해서 만든 후 자이스 옵토테크닉(Carl Zeiss Optotechnik GmbH)의 공식 인증공급 업체이다.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수검사, 역설계, 품질관리를 위한 자동화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우주항공, 전자, 중공업, 군수산업 분야의 개발단계에서 양산에 이르기까지 산업전반에 3Ds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작성일 : 2016-09-13
3D 프린팅 관련 업체 소개(가나다순)(2014)
여기에 3D 프린팅 관련 업체들을 소개한다. 주로 소개하는 업체들은 3D 프린터 판매업체를 비롯하여, 출력 서비스 업체, 교육업체, 관련 소프트웨어 판매 업체 및 소재 업체, 그리고 메이커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자료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으로 추가하고 싶거나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연락주기 바란다.(가나다순)  글룩(Gluck)■ 전화 : 070-8622-9696■ 홈페이지 : www.glucklab.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PRINTING) 출력, 서비스, 3D 프린트 콘텐츠 개발글룩은 3D 프린팅 출력소임과 동시에 팹랩(FAB LAB)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순한 3D 프린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3D 프린팅만이 가질 수 있는 특별함과 희소성으로 콘텐츠 개발과 하나의 또 다른 문화가 될 수 있는 뉴미디어 시장을 새로운 기술과 예술의 감성을 교차시킬 수 있는 접점을 발견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만드는 회사이다. 다빈치3D프린터■ 전화 : 070-8780-5295■ 사업 분야 : 시제품 제작, 3D 프린터 판매, 3D 프린터 필라멘트 판매, 3D프린터 교육■ 취급 제품명 : 3D ENTER-CROSS 시리즈, 오브젝트빌드-윌리봇 MS다빈치3D프린터는 3D프린터 출력 서비스 및 후가공 전문 업체이다. 대림화학■ 전화 : 02-589-0400■ 홈페이지 : www.dlchem.co.kr■ 사업 분야 : 디스플레이 소재, 특수 촉매, 에너지 소재, 3D 프린팅용 소재, 기능성 폴리머, 의약품 중간체■ 취급 제품명 : 3D프린팅 소재(FFF용 filament, DLP용 resin, SLA용 resin), 고기능성 디스플레이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내마모성 OPC용 폴리머, 이차전지 전해액원료, 석유화학 특수촉매, 특수 비스페놀, 의약품중간체, Grignard reagent 등1976년 창립된 대림화학은 창조경제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사업비전 ‘대림화학 2.0’을 발표하고 글로벌 전자소재 전문기업으로서 디스플레이, 특수화학, 에너지 소재, 3D 프린터용 소재 등 원천소재 분야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 프린터의 핵심 소재를 자체 기술력으로 국산화해 생산 및 공급하고 있으며, 고굴절 LCD 광학 소재, 이차전지 첨가제, 석유화학용 특수촉매 등 친환경을 지향한 화학소재 블루오션 제품군 발굴로 ‘글로벌 니치(Global Niche)’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차세대 산업 성장동력으로 꼽히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3D 프린터 소재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관련 산업 소재 및 제품 기술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대림화학의 3D 프린팅 통합 브랜드인 ‘Electromer 3D’는 창조적 글로벌 스탠더드를 지향하며, 3D 프린팅의 저변을 확대하고 관련 기술의 발전을 위해 정부, 학계, 산업계와 연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로킷■ 전화 : 02-867-0182 (FAX : 02-865-0182)■ 홈페이지 : www.3dison.co.kr■ 사업 분야 : 3D프린터 연구 개발 , 제조 및 판매, 3D프린팅 에코 시스템 구축■ 취급 제품명 : 3D프린터 에디슨 시리즈로킷은 FDM 방식의 데스크톱 3D프린터를 제조 및 양산한 선도 기업으로, 국내 3D프린팅 시장의 형성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FDM 방식의 3D프린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프린터를 개발함으로써 3D프린터의 진정한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국내 시장은 물론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 역시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Materialise■ 전화 : 070-8246-2988■ 홈페이지 : www.materialise.co.kr■ 사업 분야 :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명 : Magics, 3-matic, MiniMagics, MiniMagics, e-Stage, Streamics, AutoFab RnD, Build Process벨기에 루벤(Leuven)에 본사와 전세계 지사를 두고 있는 머터리얼라이즈(Materialise)는 AM(Additive Manufacturing, 3D 프린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유럽에서 가장 큰 단일 사이트 생산 능력의 AM 장비를 보유하고 있고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업체로서 그 명성을 자랑한다. 산업과 의료 응용을 위한 AM 기술을 통해 의료 영상처리, 외과적 시뮬레이션, 생의학 그리고 임상 솔루션 제공 등 머터리얼라이즈만의 기술력과 경험을 십분 발휘하고 있다. 또한 머터리얼라이즈는 독특한 솔루션을 개발하여 시제품, 제작 그리고 의학적 요구와 함께 좀 더 나은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머터리얼라이즈의 고객 군은 자동차산업, 가전제품, 소비재 등 대기업과 유명 병원, 연구 기관 및 임상의, 그리고 i.materialise를 통해 독특한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내고자 하고 3D 제작에 관심이 있는, 혹은 .MGX 디자인 구매를 원하는 개별 소비자로 이루어져 있다. 미래교역(3Developer)■ 전화 : 031-719-7372■ 홈페이지 : www.3developer.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및 필라멘트 국내외 유통■ 취급 제품명 : 프린터봇 심플(Printrbot simple), 프린터봇 심플 메탈(Printrbot Simple Metal), 얼티메이커2(ultimaker2), 칼라팹(ColorFabb) 필라멘트3Developer는 ‘3D 프린터의 대중화를 위해’라는 비전 아래 구축된 미래교역의 새로운 브랜드로 세계 각국의 유기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세계 전문가들에게 인정받은 3D 프린터를 국내에 소개하고 있으며, 3D 프린터 이용자 확대를 선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기획, 제안하는 회사이다. 배가솔루션■ 전화 : 032-342-7270■ 홈페이지 : www.vegasol.co.kr■ 사업 분야 : 역설계, 정밀검증, 3차원솔루션판매, 3D 프린터판매, 시제품제작■ 취급 제품명 : CogniTens WLS Scanner, RangeVision WLS Scanner, Delta3D Printer배가솔루션은 제조 산업의 제품 개발 및 품질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측정 솔루션 지원과 역설계, 정밀검증, 시작품 제작 등 기술용역 서비스를 종합 제공하는 전문적인 엔지니어링 SI(system integration) 업체이다. 현재는 CMM, 레이저 스캐너, WLS Scanner, Vision Scanner, CT Scanner 등 다양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고객들이 요구하는 목적에 맞게 측정 서비스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저가형 3D 프린터인 Delta3D를 공급하고 있다. 브룰레코리아 ■ 전화 : 02-591-3866■ 홈페이지 : www.brule.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취급 제품명 : 메이커봇브룰레코리아는 미국의 본사와 영국 및 일본에 지사를 가진, 글러벌 유통기업으로서 미국 3D프린터사인 메이커봇의 국내 공식 1대 총판 사업자이다. 메이커봇의 국내 영업과 마케팅을 총괄하고 있는 브룰레코리아는 3D프린터 메이커봇 리플리케이터2와 리플리케이터2X를 2013년 국내에 처음으로 공식 런칭하면서 각 분야의 수요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최신형 메이커봇 시리즈 제품들(5세대, 미니, Z18 등)을 꾸준하게 판매하고 있고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BH조형교육원■ 전화 : 02-2282-6796 / 070-8276-7281■ 홈페이지 : www.bhartcenter.com■ 사업 분야 : 교육기관■ 보유 장비 : 미술 해부학 관련 서적및 모형, 3D 프린터(Stratasys Objet24, FDM방식 3D 프린터), 3D 스캐너(HDI Advance 3D)BH(비에이치)조형교육원은, 개원 8년차의 인체조형교육원이다. BH조형교육원은, 인체조형 교육뿐만 아니라, 미술해부학, 피규어, 구체관절, 3D프린터 관련 전문 서적까지 출판하는 전문 출판사 '시옷' 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3D조형 시스템을 국내 처음으로 도입한 교육원으로, 3D 프린터 활용을 위한 지브러쉬와 라이노 등의 소프트웨어 교육과 후가공 전문 교육을 진행하는, 3D 프린터 전문가 양성 교육 기관이다. BH조형교육원은, 3D 캐릭터• 원화• 피규어• 구체관절인형• 영화 특수효과 산업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3D디지털 교육을,  세분화된 기초 조형 교육프로그램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교육기관이다. 사이버메드■ 전화 : 02-3397-3970 ■ 홈페이지 : https://www.ondemand3d.com■ 사업 분야 : 의료용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명 : 사이버메드는 ‘Innovation’이라는 회사의 사훈을 바탕으로 1997년부터 3D Medical Imaging Software를 개발해온 회사로 국내에서 환자의 CT DATA를 이용한 3D Printing 사업을 최초로 시도하였고, 현재 치과용 Implant Guide 역시 3D 프린팅으로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다.의료용 3D 프린팅에 활용할 수 있는 자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를 이용해 현재 16개국에 소프트웨어를 수출하고 있는 회사로서 덴탈(Dental) 분야에서 엔비전(Envision)사의 World Wide Partnership을 맺고 본격적인 3D 프린터를 판매하고 있다. 선도솔루션■ 전화 : 02-2082-7875■ 홈페이지 : www.sundosolution.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Tiertime) 판매 및 기술지원 ■ 취급 제품명 : 3D 프린터(Up plus2, Inspire), PTC Creo, ArtCAM 선도솔루션은 3D 관련 기구/디자인 소프트웨어와 3D 프린터 판매 업체로서, 제조업 3D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와 3D 프린터를 기반으로 3D 콘텐츠 관련 비즈니스를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다. 세중정보기술■ 전화 : 02-3420-1162■ 홈페이지 : www.sjitrps.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3D 스캐너, 3D CAD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명 : 3D Systems 3D 프린터, Solidscape 3D 프린터, SIEMENS 3D CAD 소프트웨어세중정보기술은 1997년부터 3D 프린터, 3D 스캐너, 3D CAD 소프트웨어 및 토탈 3D 솔루션 제공을 위한 판매 및 고객 서비스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FDM 방식의 퍼스널 프린터군에서부터, CJP(컬러잉크젯), MJM(멀티젯) 방식의 프로페셔널 프린터군, SLA, SLS, 다이렉트메탈 프로덕션 프린터군에 이르기까지 3D Systems사의 3D 프린터 전 라인업을 제공하고 있다. 소나글로벌■ 전화 : 02-6212-9901■ 홈페이지 : www.cel-robox.co.kr■ 사업 분야 : ROBOX 3D 프린터, 3D 프린팅 콘텐츠 및 교육■ 취급 제품명 : ROBOX(로복스)영국에 기반을 둔 CEL-Robox는 ‘The Best Desktop 3D Print for Home and Office’ 라는 슬로건으로 10여 년간 멀티기능을 갖춘 트랜스포머형 전동공구 개발 및 제조기술로 모터와 구동축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선보인 3D프린터 ROBOX는 CES 2014의 공식 파트너인 미국 온라인 리뷰 매체, 리뷰드 닷컴(Reviewed.com)에서 ‘기자가 선정한 베스트상품(Editors’ Choice Award Winners)’으로 3D 프린터 부문, 사용자 중심 혁신상에 선정되는 영예를 얻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과 제품성을 인정받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스트라타시스코리아■ 전화 : 02-2046-2200■ 홈페이지 : www.stratasys.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재료 공급 및 유지보수■ 취급 제품명 : 3D 프린터Stratasys(스트라타시스)는 시제품 제작 및 제품 제조를 위한 3D 프린터 및 재료를 제공하고 있는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미국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 및 이스라엘 레호보트 두 곳에 각각 본사를 두고 있다. 스트라타시스의 특허 기술인 FDM, PolyJet 3D 프린팅 기술은 3D CAD 파일을 비롯한 다양한 3D 콘텐츠로부터 직접 시제품과 최종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보유 시스템으로는 아이디어 개발에서부터 시제품 제작 및 직접 디지털 제조(DDM)를 아우르는 다양한 제품군이 있다. 이밖에도 자회사로 메이커봇(MakerBot), 솔리드스케이프(Solidscape) 및 레드아이(RedEye) 디지털 제조 서비스를 별도 운영하고 있다. 전세계 2500 여명의 직원과 600 여건 이상의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관련 글로벌 특허/특허출원중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25회 이상의 다양한 업계 수상 경력을 통해 기술력과 리더십을 인정받고 있다. 3D시스템즈코리아■ 전화 : 02-6262-9900■ 홈페이지 : www.3dsystems.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팅, 3D 스캐닝,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 취급 제품명 : 프로젯(Projet) 3D 프린터 및 큐브(Cube) 개인용 3D 프린터, 캡처(CAPTURE) 3D 스캐닝 솔루션, 지오매직(Geomagic) 소프트웨어3D시스템즈(3D Systems)는 3D 프린팅 기술을 세계 최초로 발명하고 상용화에 성공한 글로벌 리더로서, 3D 프린터 환경에서의 3차원 콘텐츠의 저작, 유통, 생산, 서비스를 위한 일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직접 활용되는 고사양 3D 프린터는 물론 일반 소비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3D 프린터를 개발하여 3D 프린팅 기술의 대중화에 가장 앞장서고 있다. 3D시스템즈는 3D 프린터 이외에도 3D 스캐닝 기술과의 완벽한 연계를 위한 역설계/품질검사 소프트웨어 기술, 촉각을 이용한 햅틱 기술 기반의 새로운 사용자 입력 도구 개발, 차세대 3D 제품 설계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같은 다양한 전문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완벽한 3D Content-to-Print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3D시스템즈는 ‘Manufacturing the Future’라는 비전 아래 최고의 기술력과 서비스, 미래를 위한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미래의 제품 설계 및 생산 방식의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쓰리디아이템즈■ 전화 : 02-466-5873■ 홈페이지 : http://3ditems.net■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생산, 유통 및 교육■ 취급 제품명 : 매직 몬스터쓰리디아이템즈는 3D프린터 시장의 조기 활성화 및 전문가 양성을 위해 3D 프린터 관련 기술 교육과 모델링 교육 및 창업지원 컨설팅을 실시하고 있고, 자체 기술력 확보 및 시장요구에 따라 FDM 방식의 중대형 프린터도 제작 판매하여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전화 : 02-6942-9508■ 홈페이지 : www.3dmd.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및 3D 프린팅 후가공, 완성 모형 및 시제품 제작■ 취급 제품명 : 목업, 산업/전시/건축 모형, 3D 스캐닝 및 역설계, 기계 설계 및 해석쓰리디엠디는 2009년 창사 이래 종합 모형은 물론, 3D 프린터를 중점적으로 이용한 시제품 및 목업 제작에 있어 국내 선두의 위치에 있는 기업이다. 단순 프린팅 서비스에 더하여 설계와 후가공, 기타 성형,가공 장비와의 결합을 통하여 최적화된 모형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쓰리디(3D-SITE)■ 전화 : 010-4761-8382■ 홈페이지 : http://cafe.naver.com/kopackaging■ 사업 분야 : 시제품제작 용역서비스 업체■ 사용 장비 : OBJET 350V(직접운영), Connex-500, 4축 CNC 등(외부운영)경기도 안양에 위치한 쓰리디는 폴리젯 방식의 프린터를 통해 다양한 시제품제작 용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기구설계 및 금형, 사출, 조립, 내용물 충진까지 한 곳에서 가능하도록 하였다. 국내 생활용품 관련 대기업의 신제품 개발업무와 공공기관, 중소기업의 개발 컨설팅, 시제품제작 장비 운영 등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디자인이나 패키지 관련 과제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단순히 도면을 출력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상의 문제점이나 양산을 위한 금형, 생산 등의 전반적인 확인을 통해 업체와 소통하고 개발에 따른 비용, 시간적인 문제 해결을 돕고 있다. 3D BOX■ 전화 : 032 205 5934■ 홈페이지 : www.3d-box.co.kr■ 사업 분야 : 모델링 허브, 3D 프린터■ 취급 제품명 : 3D BOX - 3003D BOX(쓰리디박스)는 3D 프린터용 3D 모델링 데이터 공유 허브를 운영하고 자체 기술로 3D 프린터를 제작 및 판매하는 업체이다. 2013년 YTN 사이언스 ‘제 3의 산업혁명이 온다. 3D 프린터’에 방영된 적이 있다. 2013년 6월부터는 3D 모델링을 공유하고 있는데 현재는 2000여 개의 고급 모델링 파일이 공유되고 있다. 2014년 11월 5일 3D BOX의 FDM(FFF) 방식 3D 프린터 첫 제품인 ‘3D BOX – 300’이 출시됐다. 3D스튜디오모아■ 전화 : 070-4694-4343■ 홈페이지 : www.3dstudiomoa.com■ 사업 분야 : 모아피규어 판매, Leonar3Do 판매, 3D모델링/프린팅 교육■ 취급 제품명 : 모아피규어, Leonar3Do실사 3D프린팅 피규어 제작 업체인 모아는 2013년 2월 국내 최초로 3D 프린팅 피규어 제작 서비스를 도입하였다.모아의 모든 직원들은 제품 제작시 단순한 피규어를 넘어서 고객들의 소중한 순간을 감동적인 작품으로 승화시켜낸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한 작품 한 작품에 장인정신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3D 모델링의 대중화를 위해 풀 3D 모델링 솔루션인 Leonar3Do(레오나르도쓰리디)를 수입/판매하고, 3D 프린팅 피규어 제작 교육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3D스튜디오모아는 단순 제품 생산업체를 벗어나 3D 콘텐츠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쓰리디엔터(3D Enter)■ 전화 : 070-7716-7757■ 홈페이지 :  www.3denter.co.kr / http://café.naver.com/3dente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취급 제품명 : Cross 3.0쓰리디엔터(3D Enter)는 국내 대형 3D 프린터기를 상용화하여 제작, 판매하고 있다. 기본 출력물 크기 500*500*500부터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대형 사이즈를 주문 제작하고 있다. 쓰리디커넥션■ 전화 :  070 7527 4907■ 홈페이지 : www.3dconnection.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기반 상품 개발, 플랫폼 개발쓰리디커넥션은 제품디자인 서비스 및 3D 프린팅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체상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 산업을 위한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3디페이지■ 전화 : 031-245-1218■ 홈페이지 : www.3dpage.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장비 렌탈, 출력■ 취급 제품명 : Stratasys Dimension 시리즈(Dimension BST/SST 768/SST 1200/Elite), Fortus 시리즈(Prodigy Plus), Objet 시리즈(Eden 250)3디페이지는 산업용 3D 프린팅 장비를 렌탈하는 업체이다. 쉽게 구입할 수 없는 고가 FDM 장비에서 오브젯 장비까지 다수 보유하고 있어, 사용자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합한 프린터를 선택하여 한 달 단위로 이용해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스템레아■ 전화 : 010-2640-3661■ 홈페이지 : www.caferhea.com■ 사업 분야 : PLA 필라멘트 제조, 3D 프린터 제조■ 취급 제품명 : PLA 필라멘트, 3D 프린터시스템레아(System rhea)는 PLA 필라멘트 제조를 시작으로 델타 타입의 3D 프린터를 제조하는 제조업체이다. 신도리코■ 전화 : 02-460-1244■ 홈페이지 : www.sindoh.com■ 사업 분야 : 디지털복합기, 고속 레이저 프린터, 감광지, 문서보안솔루션■ 취급 제품명 : 3세대 Cube, 큐브Pro신도리코는 사무기기의 제조, 영업, 유통, 서비스에 전문성을 갖춘 회사이다. 글로벌 사무기기의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한 한국시장에서도 54년 동안 국내 사무용 복합기 점유율 1위를 수성해 왔다. 최근 변화하는 오피스 환경에 맞춰 기업 고객들에게 비용을 줄이며 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문서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구축해 주고 있다. 국내 브랜드 신뢰를 살려 'Sindoh'라는 글로벌 브랜드로 해외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3D프린터 시장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해외 유수 업체와 유통 계약을 체결, 3D프린터의 대중화를 이끌 제품들을 출시하는 한편,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씨이피테크■ 전화 : 02-749-9346■ 홈페이지 : www.ceptech.co.kr■ 취급 제품명 : 프로젯(ProJet) 3D 프린터 3D 프린터 업계에서 15년의 경력을 가진 씨이피테크는 미국 3D Systems의 한국 공식 딜러이다. 본사에서 제공하는 3D 프린터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 창조적 콘텐츠를 개발하고, 디자인 제품 툴과 고해상도, 내구성을 갖춘 정밀한 맞춤형 파트를 제공하는 3D 솔루션계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아주 유용한 제품이다. 다양한 색상의 컬러 파트는 물론이고, 우수한 품질의 재료로 고해상도의 투명한 플라스틱 파트까지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파트의 제작이 가능하며, 기능 테스트, 콘셉트 모델, 적합성 테스트,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건축모형, 쾌속툴링, 교육분야의 작품 제작 등 그 활용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아이위버■ 전화 : 031-323-7311■ 홈페이지 : www.iweaver.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시제품 제작■ 취급 제품명 : Zeepro Zim‘창조’라는 단어가 어느새 우리의 삶 속에 깊이 들어와 있는 지금, 3D 프린터는 아이디어를 실현시킬 수 있는 하나의 혁신적인 도구가 되었다.이전까지 3D 프린터는 대부분 제조업 분야에서 시제품 제작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시제품 제작뿐만 아니라 의료, 영상, 예술 교육 등의 분야로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저가 장비의 보급으로 개인 사용자의 접근이 쉬워지고 있다.하지만 3D 프린터는 조형방식과 품질에 따라 100만 원대 저가제품부터 수억 원에 달하는 고가제품까지 매우 다양하며, 대부분 수입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사실상 3D 프린터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이 이 수많은 제품들 중 나에게 꼭 맞는 것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아이위버는 고객들의 합리적인 제품 선택에 도움을 드리고자 설립되었으며, 다년간 3D 프린터 시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께 가장 적합한 3D 프린터를 제안할 것이다. 알엠에스■ 전화 : 070-4010-7107■ 홈페이지 : www.rmsolutions.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소프트웨어 판매■ 취급 제품명 : rapidshape, netfabb, Anarkik3D알엠에스는 3차원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대중화를 목표로 독일 rapidshape사의 3D 프린터, 독일 netfabb사의 STL 수정 소프트웨어, 영국 Anarkik 3D사의 촉각 모델링 시스템 등 합리적인 가격의 3D 솔루션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애니웍스■ 전화 : 053-523-4868 ■ 홈페이지 : www.finebot.kr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및 소재 개발, 3D 프린터 교육, 시제품 설계 및 출력, 게임 개발, 각종 E-비지니스■ 취급 제품명 : 파인봇 FB-9600, 파인봇 FB-ACADEMY2000년 초반 오락실용 체감 아케이드 게임기를 만들어 수출하는 일을 시작하며 기술을 쌓아 2003년 애니웍스를 설립하였다. 다양한 3D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3D 프린터를 중점 개발하고 있다.3D 산업 분야는 3D 프린터 기기를 만드는 하드웨어 기술, 기기의 재료를 만드는 소재 기술, 그리고 3D 도면을 그리고 변환시키는 소프트웨어 기술로 나뉘는데, 애니웍스는 이 3가지를 모두 보유하고 있다.불가능 없이 진취적으로 무엇이든지 도전하기 위해 지은 이름이 ‘애니웍스’이다. 애니웍스(Anyworks)는 ‘무엇이든지 모든 것을 만들어낸다’는 뜻으로 3D 프린터 발전의 리더가 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애니웍스는 더 나은 프린터 및 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여 3D 프린터가 가지는 어려움을 해소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야마젠코리아■ 문의 : 02-864-1755, WWW.YAMAZENKOREA.CO.KR■ 사업 분야 : 공작기계관련영업■ 취급 제품명 : MATSUURA LUMEX AVANCE-25 일본의 공작기계 전문상사로 설치 및 A/S 전문회사 에이엠솔루션즈■ 전화 : 070-8811-0425■ 홈페이지 : www.amsolutions.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프린팅 소재, The BubbleShop■ 취급 제품명 : The BobbleShop(Scan-to-Print, 피규어 제작 솔루션),  Ceramic 3D Printer(Lithoz),  Metal 3D Printer(OPTOMEC), 3D 프린팅 소재(Metal Powder, TLS, LPW)에이엠솔루션즈는 다양한 소재(종이, 금속, 세라믹)의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 가전, 의료 등의 제조업과 디자인 산업에 독보적인 3D 프린터 및 프린팅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술과 시장을 결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로 개인, 게임 캐릭터와 같은 피규어 제작부터 기계부품, 모형, 디자인시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작서비스와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 3D Printing Shop을 운영할 수 있도록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에이엠코리아■ 전화 : 031-426-8265■ 홈페이지 : www.amkorea21.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판매 및 유지보수■ 취급 제품명 : Realizer GmbH사 SLM 금속 3D 프린터, netfabb GmbH사 netfabb Software(3D프린터 전용 소프트웨어)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에이엠코리아는 그 동안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3D 프린터 기술 지원, 제품판매 및 시제품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보급형 3D 프린터에서부터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하는 전문가형 3D 프린터, 실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는 생산형 3D 프린터 및 금속 3D 프린터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고객의 성공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또한 3D 프린터 및 시제품 분야에서 오랫동안 실무에 종사했기 때문에 고객 여러분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컨설팅, A/S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을 만들기 위하여 고객의 필요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고객과의 약속은 지켜 나갈 계획이다. AJ Networks(에이제이네트웍스)■ 전화 : 02-6363-9951(3D 솔루션팀)■  홈페이지 : www.ajnet.co.kr (기업홈페이지)  http://aj3d.co.kr (3D 솔루션)■ 사업 분야 : 렌탈 서비스(계측기, 프린팅솔루션, 건설장비, 고소장비, 문화컨텐츠, 파렛트, 3D 솔루션)■ 취급 제품명 : Mcor-IRIS, CEL-ROBOX2000년 설립 이래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온 AJ(에이제이)네트웍스는 PC/노트북/복사기 등의 정보기기, 통신관련 계측기, 텐트/관람석 등의 이벤트 전시용품, 타워크레인, 고소장비 등의 건설 중장비 및 파렛트 물류시스템을 포함, 4,000억의 렌탈자산을 보유한 국내 최대 종합렌탈사이다. 새롭게 시작하는 3D 솔루션팀은 국내 3D프린터의 고객 접근성 및 시장 확산을 위해 유통 판매와 렌탈 판매를 병행하고 있다. 에일리언■ 전화 : 070-7012-1318■ 홈페이지 : www.alien3d.co.kr■ 사업 분야 : 3D프린터, 3D스캐너, 3D펜, 복합기, 소모품 등■ 취급 제품명 : 3Doodler, 3D 프린터 SP4300/SP6200, Buccaneer, 풀 컬러 프린터 ProDesk3D, 3D스캐너 Fuel3D, Matter and Form, 3D복합기 Zeus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는 RFID 분야에서 7년간 쌓아온 경험과 글로벌 IT산업 유통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3년 3D솔루션 사업부를 신설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3D프린터 시장의 급성장에 발맞춰 3D프린터, 3D스캐너, 3D프린팅 펜, 3D복합기, 소모품 등 다양한 제품들을 국내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다.현재 3D프린팅 펜인 3Doodler와 Kevvox사의 전문분야용 고정밀 DLP 프린터인 SP4300/SP6200을 판매하고 있으며, 2014년 하반기에는 저렴한 고사양 프린터인 Buccaneer와 FFF(FDM)방식의 세계 최초 풀 컬러 프린터 ProDesk3D, 고해상도 핸디형 3D스캐너 Fuel3D, 저가의 고성능 고정형 스캐너 Matter and Form, 스캔과 프린팅, 파일 전송이 모두 탑재된 3D복합기 Zeus 등을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의 3D프린팅 하드웨어 전문 브랜드인 '에일리언3D'는 다양한 제품들을 합리적인 가격대에 공급하여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취미생활부터 전문직업까지 어떠한 분야와 연령대에서도 손쉽게 3D프린팅 기술을 접할 수 있도록 국내 3D프린팅 시장 확대에 힘써 나아갈 것이다. HDC■ 전화 : 031-817-6210■ 홈페이지 : www.hdcinfo.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취급 제품명 : DWS, EOSHDC(에이치디씨)는 독일 EOS사 한국 공식 Distributor와 이탈리아 DWS 한국 공식 Distributor 및 총판으로 3D 프린터를 공급하는 회사이다.HDC는 16년간 3D 프린터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동차, 전자, 캐릭터 애니메이션, 주얼리, 덴탈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Working 목업 및 최종 엔지어니어링 파트 제작이 가능한 EOS P(플라스틱) 장비와 DMLS(Direct Metal Laser Sintering) EOS M(메탈) 장비와 현존하는 가장 깨끗한 출력이 가능한 이태리 DWS 3D 프린터를 공급하고 있다. XYZprinting 한국지사■ 전화 : 02-555-9776■ 홈페이지 : http://kr.xyzprinting.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컴퓨터 및 주변장치 판매■ 취급 제품명 : da Vinci 1.0A전세계 전자제조 분야에서 오랫동안 그 실력을 인정받아 온 킨포 그룹(Kinpo Group)이 설립한 XYZprinting(엑스와이지프린팅)은 2013년부터 전세계 개인 및 기업의 업무와 비지니스에 큰 도움이 될 3D 프린터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다. 대만 본사를 필두로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지사에 이어 2014년 10월 한국 지사가 설립되었고, 11월에는 그 첫 번째 3D프린터인 da Vinci(다빈치) 1.0A를 성공적으로 런칭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da Vinci 1.0은 소비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고퀄리티임에 불구하고 믿기지 않을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제품의 우수성은 미국(CES 2014)에서 3D 프린팅 부문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드(Editors’ Choice Award)를 수상하며 입증되었다. 같은 해 톰스 가이드(Tom’s Guide) 리더스 초이스 어워드(Readers’ Choice Award)도 수상하였다. 엔터봇 ■ 개발 : 엔터봇■ 홈페이지 : www.enterbot.co.kr■ 사업 분야 : 3D프린팅 장비 판매■ 취급 제품명 : EnterBot E-one, E-universal(출시예정)엔터봇은 국민보급형 교육용 3D프린터 개발을 통하여 전 국민이 쉽고 친숙하게 3D 프린팅 세계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디자인과 이해하기 쉬운 프린터 구조,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교육 제공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력을 발산시키는 환경을 제공한다. 오브젝트빌드■ 전화 : 031-421-7567■ 홈페이지 : www.objectbuild.com ■ 사업 분야 : 3D 프린터 개발,연구■ 취급 제품명(있을 경우) : Willybot MS, Goliath300,MONAMIObjectbuild는 3D 프린터 연구,개발을 하는 업체이다. 국내 3D 프린터 분야를 더욱 활성화 하기 위하여  워크샵을 진행 매주 진행하고 있다. 전국13개 대리점(서울,경기,인천,부산,제주등)망을 운영하고 있다.   오토데스크■ 홈페이지 : www.autodesk.com/spark■ 사업 분야 : 3D 프린터 개발■ 취급 제품명 : 스파크, 123D오토데스크는 3D프린팅을 위한 오픈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스파크(Spark)’와 이를 구현할 3D 프린터를 선보인다. 스파크는 3D 모델을 더욱 간편하게 프린팅하고, 실제 프린팅 과정을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 프린터는 스파크의 파워를 보여주고, 3D프린팅 사용자 경험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마련해 나갈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제품 디자이너와 하드웨어 제조사, 소프트웨어 개발자, 재료과학자들이 3D프린팅 기술의 한계에 도전하는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오토데스크는 스파크를 하드웨어 제조사를 비롯, 3D 프린팅에 관심을 갖고 있는 업계 관계자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무료로 라이선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오티에스■ 전화 : 070-8262-6606■ 홈페이지 : www.3dthinker.com■ 사업 분야 : 3D Printer■ 취급 제품명 : Deltabot-K-CU오티에스는 델타형 3D프린터를 상용화하여 제조, 판매를 하고 있다. 2009년부터 3D프린터 연구 개발을 시작하여, 2013년 DELTA 방식 3D프린터를 특허 출원했다.2013년 Delta type 3D printer DELTABOT-K 상용화에 성공하고, 오티에스 회사를 설립하였으며, ISO9001 인증을 받았다. 2014년 보우덴 방식에 최적화 된 필라멘트 공급기 상용화 성공하였으며, 2014년 3월 DELTABOT-K MINI를 정식으로 출시하였다. 오픈크리에이터즈■ 전화 : 070-7777-4812■ 홈페이지 : www.opencreators.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기 제조 및 교육■ 취급 제품명 : 아몬드(Almond)오픈크리에이터즈는 전작 NP-Mendel(멘델)을 통해 국내 3D 프린터 산업의 First Move로 알려져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3D 프린터를 즐길 수 있도록 워크숍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성화했고 이를 통해 3D 프린터 유저 및 3D 프린터 제조사가 늘어나고 있다. 오픈크리에이터즈의 두 번째 모델인 아몬드(Almond)는 기계에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쓸 수 있도록 기능을 업그레이드했다. 출력 면의 수평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기능인 오토레벨링, 출력물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급속 냉각이 가능한 노즐냉각기능을 반영하였다. 오픈크리에이터즈는 창작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 중고교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온라인 커뮤니티 및 용산 전자상가에 ‘Opencreators::Space’를 마련하여 3D 프린터와 다양한 공작기계를 이용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인스텍■ 전화 : 042-935-9646■ 홈페이지 : www.insstek.com■ 사업 분야 : DMT 시스템, 레이저 재료 공정, 금속 3D 프린터■ 취급 제품명 : DMT 3D Metal Printer(MX-4 외)인스텍은 AM(additive manufacturing) 분야의 기업으로, 금속 RP&T(rapid prototyping & Tooling)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 가운데 하나인 DMT 기술과 레이저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쾌속생산과 관련된 하드웨어로부터 기술용역 및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TCT 전문회사다. 인텔리코리아■ 전화 : 070-4610-2340■ 홈페이지 : www.cadian3d.com■ 사업 분야 : 3D프린팅 콘텐츠 제작 유통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디자인 용역, 3D프린팅 출력 대행, 3D프린팅 교육, 3D 바이오 프린팅 소프트웨어 개발■ 취급 제품명 : CADian3D인텔리코리아는 오토캐드를 대체하는 토종CAD인 CADian 개발사이다. 3ds 맥스, 마야, 라이노3D 등을 대체할 수 있는 CADian3D를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 보급하고 있으며, 3D 프린팅 교육 사업, 3D콘텐츠 제작 플랫폼을 구축하여 용역 서비스를 하고 있다. 정부의 3D프린팅 메이커 천만인 양성 사업을 위해 무료 강좌, 기본 강좌, 전문가 양성 강좌 등 수준에 맞는 다양한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인하공방■ 전화 : 010-7557-0449■ 사업 분야 : 3d 모델링 교육 및 RP 장비 제작인하공방은 제품설계 능력을 중심으로 학우들의 R&D 능력을 키워주고 젊은 개발자 양성을 목표로 하는 유일무이한 개발 동아리이다. 2D CAD/3D Modeling 교육 후, 3D프린터 사용방법을 익혀 기술 혹은 아이디어 관련 공모전활동에 참여하거나 사업화 및 설계기술에 대한 지식들을 습득하여 한층 더 성숙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제이제이준(jj jun)■ 전화 : 010-2922-3123■ 홈페이지 : www.jjjun.com■ 사업 분야 : 3d 프린팅 콘텐츠■ 취급 제품명 : 3D 프린팅으로 제작할 수 있는 모든 것 아이디어를 현실화하여 3D  프린터를 활용해 원하는 제품을 제작해주는 곳이다. 주원  ■ 전화 : 031-726-1585■ 홈페이지 : www.joowon.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3D 스캐너, 가스분석기, 열화상카메라■ 취급 제품명 : 산업용 3SP Type 3D Printers, 산업용 High-End 3SP Type 3D Printers주원은 1975년 설립하여 약 40년간 자동차, 산업기기, 환경, 계측기기 분야에 첨단장비를 보급하고 있다. LCD관련 자회사를 두고 있으며 2009년 발족한 기술연구소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청에 의한 다양한 신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DLP(Digital Light Processing) 기술에 대한 원천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EnvisionTec(엔비전텍, 독일)사의 장비와 DAVID(독일)사의 3D 스캐너(Scanner) 및 관련된 MCAD 소프트웨어 등 토털 판매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 전화: 02-3016-2000■ 홈페이지: http://www.plm.automation.siemens.com/ko_kr/■ 사업 분야: PLM, 3D CAD 설계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명(있을 경우): NX, Solid Edge지멘스 산업 자동화 사업 본부의 Siemens PLM Software는 전 세계 약 900만 건 이상의 라이선스 시트를 공급하며, 7만 7,000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PLM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공급업체다. 미국 텍사스주 플라노에 본사를 두고 있는 Siemens PLM Software는 수천 개 기업의 계획 및 개발부터 생산과 지원에 이르기까지 수명주기 프로세스를 최적화함으로써 훌륭한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돕는다. NX, 솔리드엣지 등 캐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3D 프린팅을 지원하며, HD-PLM 비전은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 속한 모든 사람들이 제품을 만들 때 필요한 정보를 원하는 때에 제공해 스마트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한다. KAMI■ 전화 : 02-6670-4114■ 홈페이지 : www.kami.biz■ 사업 분야 : 첨단 공작기계 및 각종 플라즈마 기술 제공, 금속 3D 프린터 판매■ 취급 제품명 : 금속 3D 프린터 (레이저 큐징) KAMI(카미)는 첨단 공작기계 및 플라즈마 등 기술•장비 공급기업이다. 지난 1992년 설립된 회사는 제조업 강국인 독일, 스위스 등 유럽에서 ▲ 고속가공기 ▲ 자동차 도장 전처리용 진공 플라즈마 장비 ▲ 오픈 에어 플라즈마 시스템 ▲ 금형제조 무인 유연 생산 시스템 등을 국내에 처음으로 들여와 우리 자동차, 전자, IT 제조업계가 한 단계 발전하는데 기여했다. KAMI는 현재 Plasmatreat, CONCEPTLASER, Z+K, Roeders, POWERGRIP 등 독일 및 스위스 선진기업으로부터 자동차, 전자, IT산업에 쓰이는 대기업 표면 개질 장비, 고속가공기, CNC정밀 방전기, 수평식 분말제조기, 초정밀 주조기, 금속 3D프린터 등 최신 기술과 기계를 수입 판매하고 있다. KAMI는 독일의 금형 전문 3D 프린팅 기업인 컨셉레이저(CONCEPTLASER)의 금속 3D프린터를 2007년에 국내에 도입, 6대 설치했다. KAMI는 3D 프린팅 산업과 함께 시장 성장성이 유망한 금속분말소재도 국산화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  ■ 전화 : 02-3450-0700■ 홈페이지 : www.canon-bs.co.kr■ 사업 분야 : 복합기/사무기기/프린터■ 취급 제품명 : 마브(MARV) MW101985년 한국의 롯데그룹과 일본의 캐논사가 합작해 설립한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대표이사 김천주, 이하 CKBS)은 앞선 기술력과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선진 오피스 환경을 리드하며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소형 계산기에서부터 복사기, 팩스,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복합기는 물론 디지털 상업인쇄, 리테일 포토 등 풀 라인업을 갖추고, 모든 사무기기에 있어 속도와 품질, 디자인과 성능의 혁신을 선보이고 있다. CKBS는 모든 첨단 디지털 사무기기의 제공으로 새로운 오피스 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캐리마■ 전화 : 02-3283-8877■ 홈페이지 : www.carima.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기 제조 및 수출■ 취급 제품명 : Master Plus, Master EV캐리마는 국내 3D 프린터기 제조 업체로, 자체 개발한 DLP 엔진방식의 3D프린터를 국내 및 전 세계 수출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노비즈 및 ISO, CE, 프로그램 인증 등의 인증과 9개 이상의 특허와 실용신안을 보유, 전문 분야인 산업용 3D프린터 외에 곧 데스크톱용 소형 미니 3D프린터 출시를 앞둔 3D 프린터 전문 업체이다. KTC■ 전화 : 0505-874-5550■ 홈페이지 : http://ktcmet.cafe24.com/default/■ 사업 분야 : 3D 프터트 판매, 3D 프린팅 서비스■ 취급 제품명 : CMET (일본), VOXELJET (독일)KTC(케이티씨)는 고객의 아이디어 상품화 과정에 필요한 쾌속 조형기의 판매에서 시제품 제작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전문 업체이다. 제조업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제품의 성공 여부는 개발기간 단축과 빠르고 정확한 오류 수정이라고 확신하여 수년간 다져온 KTC만의 노하우로 고객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있다. 늘 최고 보다는 고객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회사가 될 것이다. 코보트■ 전화 : 070-4686-8868■ 홈페이지 : www.kobot.co.kr■ 사업 분야 : 산업용 3D 프린터, 3D 프린터 출력물 표면처리기■ 취급 제품명 : 3D 프린터 출력물 표면처리기 뽀샤시코보트는 3D 프린터의 발전과 더불어 요구되는 출력물의 표면처리 장치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업체이다. 독특한 기술과 성능으로 고객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또한 산업용 및 모듈형 3D 프린터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회사이다.자사가 개발한 3D 프린터 출력물 표면처리기, 뽀샤시를 사용하면 ABS는 물론 PLA, HIPS, SPLA 등 가장 많이 보급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표면처리에 약 1분 30초라는 짧은 시간 표면처리를 완료할 수 있고 마치 사출로 생산한 제품 같은 표면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TIDE Institute■ 홈페이지 : http://tideinstitute.org■ 사업 분야 : 글로벌 창업 문화 확산과 선도형 기술창업 지원TIDE Institute(타이드 인스티뉴트)는 과학기술(Technology), 상상력(Imagination), 디자인(Design),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네 가지 핵심요소의 최신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한국사회에 공유하고 글로벌 창업 문화 확산과 선도형 기술창업을 지원한다. 현재 TIDE Institute에서는 전국 각지에 디지털 제작공방을 운영 중이며 대표적으로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에 위치한 FabLab Seoul이 있다. FabLab Seoul은 전 세계에 300개가 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에선 최초이다. 이는 현재 전국 각지에 퍼져있는 무한상상실을 비롯해 기타 오픈 메이커 스페이스의 롤모델이기도 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직접 위탁운영하기도 한다. 수원시 영통구에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 위치한 셀프제작소를 운영하고 있다. FabLab(Fabrication Laboratory)과 경기지방중소기업청 셀프제작소는 3D Printer와 LaserCutter 등 디지털 제작장비(Digital Fabrication)을 사용하여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어렵지 않고 저비용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게끔 도와주고 있으며 이 중 3D Printer를 이용한 시제품 제작은 전국의 모든 예비창업자들에게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에는 엄청난 고비용과 전문 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던 시제품 생산들이 별도의 3D Printer를 구매하지 않아도 FabLab Seoul과 셀프제작소를 통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에 이는 상당한 자본이 있어야만 가능했던 제조 창업에 대한 장벽을 낮춰주고 있다. 최근에는 가정용 3D 프린터뿐만 아니라 산업용 3D 프린터인 Projet 160 제품도 들여와 더 많은 시제품 제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탑쓰리디(TOP3D)■ 전화 : 070-8118-3230■ 홈페이지 : www.top3d.co.kr■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재료/ 원료, 3D PLA 필라멘트, 3D 기능성 PLA 필라멘트■ 취급 제품명 : PLA-Top/PLA-Ultra/PLA-Super/PLA-Normal Filament (색상: 반투명, natural, white, red, black, yellow 등 추가됨.)탑쓰리디(TOP3D)는 다년간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고품질의 3D 프린터 전용 필라멘트를 개발하였다.개발된 TOP3D 필라멘트는 PLA의 입체이성질체를 활용한 최적의 분자조합과 탑쓰리디의 분자구조제어시스템 및 친환경 첨가제의 개발로 탄생한 세계적 수준의 3D 프린팅 원료로서, 소비자의 각종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TPC■ 전화 : 032-580-0670■ 홈페이지 : http://www.TPC3d.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 취급 제품명 : FINEBOT 9600, FINEBOT 9600T, FINEBOT ACADEMY1979년 설립된 TPC메카트로닉스(이하 약칭 ‘TPC’)는 자동화 핵심 부품인 공기압기기 생산업체로서, 2013년 10월, 3D프린터 전문 제조기업인 애니웍스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본격적인 3D프린터 사업에 뛰어들었다. 애니웍스의 3D 프린터 관련 기술력에 더하여 TPC의 초정밀 제어 기술 및 핵심 부품인 모터 원천 기술 등을 결합해 ‘파인봇’을 판매하고 있다.TPC는 올 해 8월, 인천 서구 단해창도클러스터 3D프린터 전용 생산공장을 완공, 국내 3D프린터 최대 제조라인을 보유, 월 500대에서 1,000대 가량의 3D프린터를 생산할 수 있는 대량 생산 능력을 갖추었다. 또한 3D프린터 하드웨어만이 아닌 엔지니어 전문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메카피아닷컴’과 3D프린터 포털사이트(www.3dhub.co.Kr)를 운영하여 3D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PC는 현재 정부 자금을 지원받아 샤프트 리니어 모터를 개발 중이며, 이를 활용하여 금속 분야에 적용되는 새로운 방식의 고급형 3D 프린터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프로토텍■ 전화 : 02-6959-4113■ 홈페이지 : www.prototech.co.kr■ 사업 분야 : Stratasys 3D 프린터, 3D 스캐너, 시제품■ 취급 제품명 : Stratasys 3D 프린터프로토텍은 2005년 설립되었으며, 3D 프린터뿐만 아니라 3D스캐너, 시제품 제작 서비스, 역설계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3D 프린팅 토털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스트라타시스(Stratasys)의 FDM 방식과 Polyjet 방식의 3D 프린터를 10년 넘게 판매하고 있으며, 프로토텍의 노하우를 가지고 전문 컨설팅과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프로토텍은 많은 고객을 보유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 고객 사로는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있다. 시제품제작 및 역설계 분야에서는 상담을 통해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재 사용 가능으로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텍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로 3D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많은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플러스플라스틱■ 전화 : 02-6453-5575■ 홈페이지 : http://www.plusplastic.com, http://www.byrhino3d.com■ 사업 분야 : 디지털 디자인 소프트웨어 공급, 개발■ 취급 제품명 : Rhinoceros, KeyShot, Vray 등 디자인 소프트웨어 및 3차원 프린터플러스플라스틱은 디지털 디자인 전문기업으로 제품디자인 및 설계, 건축설계, 역설계, 커스텀 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Rhinoceros를 디자인 플랫폼으로 3D모델링, 렌더링, 3D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어도비(Adobe)의 그래픽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소프트의 OS, 사무용 소프트웨어 등 디자이너(제품, 건축, 주얼리, 기계 등)에게 필요한 디지털디자인 솔루션을 공급하며, 라이노를 기반으로 고객 요구에 따라 플러그인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티모스■ 전화 : 070-4010-5750■ 홈페이지 : www.thymos.co.kr■ 사업분야 : 3D 프린터, 3D스캐너, 시제품 제작 서비스, 역설계/검사 서비스 ■ 취급 제품명 : Stratasys 3D 프린터, Solutionix 3D 스캐너티모스는 3D 프린터와 3D 스캐너(Scanner) 판매 및 기술지원, 제품 용역 서비스 등 제품 개발에서 검사까지 모든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티모스의 제품라인은 3D 프린터와 3D 스캐너로 구성되어 있다. 3D 프린터는 Stratasys사의 3D 프린터를 공급하고 있다. 기능성 Engineering Plastic인 ABS, PC, PC-ABS, Nylon, Ultem, PPSF 등을 사용할 수 있는 FDM 시리즈의 3D 프린터와 액상의 합성 폴리머 소재를 분사하여 적층 함으로써, 단일 소재 뿐만이 아닌, 두 소재를 혼합하여 적층할 수 있는 기능까지 탑재된 모델을 보유한 Polyjet 방식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2014년 상반기에 3가지 소재를 혼합 적층 할 수 있는 Connex 3장비가 출시됨에 따라, 아크릴 계열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직접 컬러 구현이 가능한 제품까지 라인업이 구축되어 있다. 3D 스캐너의 경우 솔루션닉스(SOLUTIONIX)사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제품 라인업은 Rexcan 4, Rexcan CS plus, Rexcan DS² 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Rexcan CS Plus의 턴테이블은 스켄대상 제품을 단순히 회전만 시키는 것이 아닌, 자동 스윙기능까지 탑재되어 있어, 좀더 편리하게 제품을 스캔할 수 있으며, Rexcan 4는 다른 브랜드의 경우 렌즈 한 개당 한가지 스켄 영역을 선택 할 수 있는 것에 비해, 렌즈 한 개당 4개의 스켄 영역을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고가의 렌즈를 보유하지 않아도 운용상에 효율성을 증대 할 수 있으며, 좀더 편리하게 고정밀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포머스팜■ 전화 : 070-4837-1137■ 홈페이지 : www.formersfarm.com■ 사업 분야 : 제조업 (3D 프린터)■ 취급 제품명 : Sprout, PineTree 2.5포머스팜(Former’s Farm)은 3D 프린터를 제조, 판매하는 3D 프린터 전문 업체이다. 2013년 10월 파인트리(Pine Tree)를 정식 출시하였고 이후 2014년 5월에 스프라우트(Sprout)와 파인트리 2.5(Pine Tree 2.5)를 정식 출시하여 현재 판매 중에 있다. 포머스팜은 2013년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교 후 우수 기업으로 졸업하였고, 현재는 부산 기장에 본사와 서울 청담에 지사가 있다. 또한 포머스팜은 스프라우트를 이용한 출력 서비스와 국내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3D 프린터 교육까지 3D 프린터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하이비젼시스템■ 전화 : 031-735-1574■ 홈페이지 : www.3dcubicon.com■ 사업 분야 : 3D 프린터기 제조 및 수출■ 취급 제품명 : 큐비콘 싱글(cubicon single, 3DP-110F)현재 국내에는 고가의 3D프린터에서부터 일반 가정용을 표방한 다양한 제품들이 선보이고 있다. 최고의 정밀도를 위해서는 당연 고가의 제품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개발단계의 시제품 혹은 전체가 아닌 일부 부품까지 출력한다는 것은 비용과 시간 등에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반면 일반 가정보급형 제품으로는 구현할 수 있는 출력물의 수준이 지극히 제한적이다. 하이비젼시스템은 큐비콘을 통해 기존 3D 프린터 사용 업체의 효율적 활용을 제안함과 동시에 창조적 제조업을 꿈꾸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마케팅 활동과 전략적 제휴를 병행해 나가고 있다. 또한 하이비젼시스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기술과 특허(특허 3건 출원 ▪ 3건 예정, 상표1건 출원, 디자인 4건 출원) 그리고 동급 성능의 3D 프린터 대비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산업별로 특화된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한편 연말에 기능을 한층 강화한 추가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내년 2015 CES에 참가하여 한국의 3D 프린터의 수준과 위용을 알릴 계획이다. 해외 진출과 관련하여 현재 하이비젼시스템의 해외 파트너사들이 큐비콘의 현지 판매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이들과의 협력을 다각도로 협의 중이다. 기존 신뢰도를 기반으로 현지에 별도의 유통망 구축 없이도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차로 아시아 시장을 기반으로 이어 북미, 유럽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향후에는 일반 기능 이외에도 의료장비, 특수부품 혹은 산업적 특성에 부합하는 제품 생산에 적합한 맞춤형 모델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며 지역자치단체, 중소기업, 대학 등과 지속적인 협력과 교류를 통해 제품의 개발과 판매 이윤의 사회환원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한국기술■ 문의 : 031-478-4950, www.ktech21.com■ 사업분야 : 3D Systems社 공식 지정 리셀러로 3D프린터 및 3D 스캐너 판매 및 기술지원, Materialize社 Magic RP SW 공급 및 기술지원, 시제품 제작 서비스 사업, 3D 융합교육 사업 ■ 취급 제품명 : 3D Systems 社의 Production 3D프린터(Metal, SLS, SLA), Professional 3D프린터(Projet 5500x/3510 series), Personal 3D프린터(Cube)한국기술은 1990년 Rapid Prototyping 시스템의 선두 업체인 미국 3D systems사와 국내 독점대리점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최초로 SLA Rapid Prototyping(RP)을 공급한 이래로 각종 산업에 RP시스템 및 3D Printer를 공급하고 기술지원을 하며 시제품 제작 솔루션 전문업체로 성장하여 왔다. 고객의 아이디어가 제품으로 실현될 수 있는 시제품 제작 솔루션 전문업체로의 성장을 지향하며 3D Printer 시스템의 공급에서 시제품 용역수행에 이르기까지 3D Printer와 관련한 모든 영역에서 귀사와 긴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기를 희망하며 협력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다. 한국아카이브■ 전화 : 02-558-8114■ 홈페이지 : www.hankooka.com■ 사업 분야 : 3D분야 토털 솔루션 공급, 치기공 분야, IT 공공 사업분야■ 취급 제품명 : 3D Systems 3D프린터, Actify, Artec, 3Dconnexion, Roland한국아카이브는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이 요구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업체로서 착실한 성장을 해오고 있으며, 각 관련분야 국내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3D Systems의 3D프린터(쾌속 조형기, RP)뿐만 아니라 연관되는 3D Visualization을 위한 Actify의 제품, 3D Data의 Motion Control을 위한 3Dconnexion의 제품, Roland의 3D 밀링과 3D 스캐너 제품, 3Shape의 정밀 3D스캐너, SensAble의 촉각 모델링 시스템, 디지털 치기공솔루션까지 3D분야의 다양한 솔루션을 연구, 개발 및 제공하고 있다. 그 동안 고객의 성원 속에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보다 통합되고 가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만족하지 않고 국내 산업발전과 고객의 성공을 위해 계속해서 솔루션을 연구, 개발 및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 전화 : 02-530-8000■ 홈페이지 : www.adobe.com/kr■ 사업 분야 : 소프트웨어■ 취급 제품명 : 어도비 포토샵 CC(Adobe Photoshop CC)어도비는 사용자의 디지털 경험을 통해 세상을 바꾼다. 한국어도비시스템즈에 대한 뉴스와 업데이트는 한국어도비시스템즈의 공식 트위터(www.twitter.com/AdobeKorea)와 공식 페이스북(www.facebook.com/AdobeKorea)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기반의 구독 서비스인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를 통해 디바이스와 데스크톱, 웹을 넘나들며 자신의 작업을 창작하고 출판하며 공유할 수 있다. 한국ATC센터■ 전화 : 1588-0163■ 홈페이지 : www.eatc.co.kr■ 사업 분야 : 민간자격증한국ATC센터는 1995년 11월 17일 설립되어 ATC 자격시험(AutoCAD, 3dsMax, Inventor)을 매월 2, 4주 토요일에 시행하고 있다. 연간 3만 명 이상이 응시하고 있는 민간자격시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3D프린터 관련 기술자격을 11월에 시행할 예정이다. 한국MI■ 문의 : 042-935-3618, www.hkmi.co.kr■ 사업 분야 : 제품설계, 3D프린팅, 시제품 제작■ 취급 제품명 : 실험장비 및 캐릭터 도장한국MI는 제품개발 전문회사로 제품설계에서부터 특허지원과 시제품제작까지 이루어지는 통합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인근 학교 학생들의 창작의욕 상승을 위하여 재학생에 한하여 저렴하게 3D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헵시바■ 전화 : 032-509-5820■ 홈페이지 : www.weg.co.kr■ 사업 분야 : 3D프린터, 산업용 HVAC, 전력변환인버터(태양광/풍력)■ 취급 제품명 : WEG K1, MIICRAFT/MIICRAFT Plus헵시바는 1986년 창립되어 산업용 특수냉난방기를 시작으로 자사 브랜드인 에어렉스 브랜드로 세계 3대 메이커로 성장시켜 수출산업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전력변환 인버터의 성공적인 개발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산업계에 고효율의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수입대체와 국산화에 기여하고 있다. 향후 기업의 신성장 동력을 3D 프린터로 정하여 2012년부터는 3D솔루션사업부를 신설, 산업용 FDM 3D프린터와 주얼리, 덴탈용 3D프린팅 종합 솔루션을 출시하였으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재료를 포함한 원천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현우데이타시스템■ 문의 : 02-545-6700, www.3dinus.co.kr■ 사업 분야 : 공작기계관련영업■ 취급 제품명 : EOS 3D-Printer독일 EOS 社와 대리점 공급계약 체결하고 3D 프린터 공급   ■ 상세 내용은 PDF 파일로 제공됩니다. 출처 : 3D Printing Guide 자료제공 : 캐드앤그래픽스 www.cadgraphics.co.kr
작성일 : 2015-02-09
미래의 조건(Condition of Future)
PLM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 PLM 지식 연구소(PLMBOK) 대표E-mail : hyongsikcho@korea.com홈페이지 : www.plmbok.com트위터 : @hyongcho 어떤 해는 그 해를 목표를 모두 완성하고 느긋하게 보낸 해도 있고, 막판까지 밀어내기로 보낸 해도 있다. 매년 1월 칼럼을 쓰면서 이번 일년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 것인가 생각해 본다. 새해 2015년에는 어떤 세상이 올 것인가?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 어떤 결심을 가지고 살 것인가를 생각한다. 모든 정보와 지식이 인터넷에서 공유하는 세상, 그리고 개인의 지식이 가장 많고 자유가 역사상 가장 보장되는 세상에서 우리는 행복하다는 느낌을 가지지 못한다. 너무 빨리 변하는 세상에서 원칙을 잃고 생각 없이 무조건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에게 미래의 변하지 않는 삶의 가치를 생각해 본다. 삶의 의미를 찾고,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한다 자신의 정체성을 가지고 어떠한 고난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빅터 프랭클이라는 정신과 의사 겸 철학자는 “인간이 왜 사는지를 알면 어떤 상황도 견딜 수 있다”고 했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어떤 인기나 지위 그리고 체력을 가졌다고 해도 쉽게 무너지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가치는 자신만의 의미 있는 삶을 발견하고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것이다. 논리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다 선진 사회의 교육 과정에 인문계에서 논리학 그리고 이공계에서는 수학을 통해서 문제해결 능력을 형성하지만 우리 사회의 교육 과정은 이런 것이 없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자신을 지식으로 장식하지 말고, 논리학과 수학을 공부하고, 과학적인 사실에 근거한 논리적 분석으로 문제를 해결해서 생존력을 가진다. 엔지니어부터 컨설턴트까지 논리적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하다. 예술에 대한 심미안을 가진다 항상 자신의 주변에 유형적, 무형적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진다. 예술은 지식이 아니라 느낌이므로 직접 참여해야 한다. 몇 년 전부터 인문학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예술에 대한 인성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부족한 인성이 예술에 대한 것이다. 압축 경제 발전과 우리 사회를 양분하는 이념논쟁으로 우리의 심연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마음이 메말라 버렸다. 예술이란 순수기술(Fine Art)이라고 한다. 기술은 지식의 기억보다는 부단한 학습과 연습을 통해서 잘 할 수 있는 것이다. 작문(글쓰기)과 외국어 번역 능력을 가진다. 글을 쓰는 것은 우리 생각을 완성하는 것이고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은 나의 사고의 방에 창문을 만드는 것이다. 글쓰기는 내가 나 자신을 만나는 것이고 짧은 우리 인생에 나의 흔적을 영원히 남기는 작업이다. 우리에게 작문과 외국어 번역 능력을 가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두 가지 다 잘 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는 정확하게 배우고, 두 번째는 꾸준히 연습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사회인들이 이 두 가지가 당장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의 인생 경력에 이 두 가지는 가장 중요하다. 또한 이 두 가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외국어를 능통하게 하기 위해서 자신의 모국어 공부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할 것이다. 우리 사회가 십 수년 전부터 세계화를 외쳤지만 우리 사회에 얼마나 많은 전문가들이 영어로 자신의 생각이나 이론을 세계에 알리고 있는가? 자신의 전문분야와 외국어 번역 능력은 점점 더 필요해질 것이다. 건강, 일, 운동, 공부, 음식, 시간관리, 기록 등에 좋은 습관을 가진다 일상의 좋은 습관은 좋은 인생을 만든다. 살다 보면 좋은 습관과 나쁜 습관들을 가지게 된다. 좋은 습관을 많이 만들고 나쁜 습관을 줄여나가는 것이 좋은 인생을 만드는 것이다. 좋은 습관은 자신에게 자신감을 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좋은 습관은 주위에서 좋은 습관을 보고 배우는 습관일 수 있다. 삶의 균형 감각을 가진다 삶의 균형 감각을 가진다는 것은 어떤 정신적, 물리적, 생리적 중독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이다. 인간은 육체적으로 나약한 존재이다. 지속적으로 이런 것들에 대해서 의존과 중독의 유혹이 온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삶의 균형 감각이다. 그것은 자신의 정체성과 독서와 배움 그리고 사색으로 가능하다. 삶의 균형 감각이 행복을 준다. 어떤 사회적 성공이나 부, 지위나 스펙이 가져다 주지 않는다. 인생은 무엇을 얻으면 반드시 다른 무엇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균형이 필요하다. 무엇을 말할 지를 아는 것은 지식이고 그것을 어느 때에 말해야 하는 지를 아는 것은 지혜이다. (Knowledge is knowing what to say. Wisdom is knowing when to say it.)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