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이영환"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9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피플&컴퍼니] 산업데이터스페이스 기술위원회 이영환 위원장
제조업 혁신 서비스와 수익모델 창출의 열쇠, ‘산업데이터스페이스’   제조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려면 디지털 사회와 연결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모두가 알고 있다. 이런 연결 수단 중 하나가 ‘데이터 스페이스’이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산업데이터스페이스(IDS, 이하 IDS) 기술위원회 위원장이자 고려대학교 디지털혁신연구센터장인 이영환 교수를 만나 국내 산업계의 데이터 서비스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들어보았다. ■ 최경화 국장     센터장을 맡고 계신 ‘고려대학교 디지털혁신연구센터’에 대해 소개 부탁드린다. ‘디지털혁신연구센터’는 고려대학교 융합연구원 산하기관으로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의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제조산업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혁신 서비스와 사업 모델, 산업 기술 정책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성과는 산업자원부의 제조산업 디지털전환 정책 연구, 과기부 AI·빅데이터 국가연구개발 과제, 지자체 빅데이터 분석 사업 등 최근 약 100여 건 이상의 과제를 수행했다. 즉, 제조산업 등 기술의 활용과 사업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산업데이터스페이스 기술위원회에 대한 소개한다면. 산업데이터스페이스(IDS : Industry Data Space) 기술위원회는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산하의 조직으로 제조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혁신 서비스와 새로운 수익모델의 개발을 목표하고 있다. 제조산업 업종별 기업들과 데이터스페이스를 기반으로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과제를 기획하고 추진하는 것이 본 기술위원회의 핵심 가치이다. 특히 데이터 기반의 이종 산업 간 융합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기회가 되기 때문에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제조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라고 생각하며 이를 위한 혁신 프로젝트를 기획 및 추진하고자 한다.   IDS가 주목받는 배경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IDS는 말 그대로 산업데이터스페이스(Industry Data Space)의 약자이며, EU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EU Data Space와 궤를 함께한다. 4차 산업혁명 이후 제조산업은 단위 공정 혹은 개별 기업 수준에서 빅데이터, AI, 디지털 트윈, 스마트공장, 로봇 등 다양한 시도가 있고 성공 사례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제조산업이 더 폭발적으로 성장하려면 디지털 사회와 연결되어야 한다. 데이터를 통해서 의료 및 금융 등 이종 산업, 스마트폰을 매개로 하는 개인, 공공 기관 등과 데이터로 연결이 되어야 한다. 이런 연결을 위한 하나의 방법이자 수단이 데이터스페이스라고 생각한다.  기술적 측면만이 아니라 법 제도와 같은 사회 시스템까지 고려해야 디지털 기반의 제조산업 생태계가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자동차에서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은 이미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건강데이터 등 개인정보를 연결하고 응급 상황 시 병원과 연결이 되어야 하는데, 아직 법 제도적인 부분이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부분까지 고려하고 구현이 되어야 IDS 기반의 디지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보다. 이미 EU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빠르게 추진하고 있기에 우리나라도 시급한 상황이다.   국내외 IDS 관련 주요 동향에 관해 소개한다면. 앞서 소개한 것처럼 EU는 데이터 기반 혁신과 디지털 단일 시장 강화를 위해 공통 유럽 데이터스페이스(Common European Data Spaces)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 산업(헬스, 농업, 에너지 등), 개인 부문 데이터의 공유와 활용을 촉진하며, 동시에 데이터 주권 확보와 보안 강화를 목표로 힌다. IDS 기술위원회가 관심이 많은 건강 분야인 유럽 헬스 데이터스페이스(EHDS : European Health Data Space)는 시민이 데이터를 통제하면서 연구자와 정책수립자들이 건강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GAIA-X(가이아엑스) 프로젝트는 유럽의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EU의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하고 안전한 데이터 공유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IDS 기술위원회와 관련해 향후 계획이 있다면. 우리 기술위원회는 진취적이고 역동적인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기조를 바탕으로 가장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시도를 할 계획한다. 제조산업에서 이종 산업 간 융합 사례를 기획 및 발굴할 것이고, 국내외 산업데이터스페이스 기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작지만 파괴적이고 혁신적 노력을 통해 거대한 비전을 천천히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운전자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동차에서 구현할 수 있는 혁신 서비스를 개발할 것이고 국내 모빌리티 시장뿐만 아니라 EU 등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것이다. 법·제도적 제약, 기술적 한계, 개인의 참여 촉진 등은 우리 기술위원회가 극복해야 할 미션이기도 하다.    IDS 이외에도 교수님이 참여하신 활동이 있다면. 한국산업지능화협회의 ‘찾아가는 DX 캐러반’에 참여하면서, 제조산업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 연구, 기술 사업화를 위해 노력했다. 서울, 경기, 인천, 강원, 대전충남, 광주전남, 부산, 울산, 강원 등 전국 시도를 순회하면서 지역 기업의 경영진과 실무진께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의 사례와 방법을 소개했고 현장의 실질적인 애로사항을 듣고 조사하기도 했다. 현장의 상황은 이상적인 모습과 달랐으며 기업의 디지털 경쟁력은 오롯이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정부, 대학, 연구소, 산업계 등 모든 주체의 협력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2-04
CAD&Graphics 2025년 2월호 목차
    18 THEME. 2024 국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시장 조사 Part 1. 2025년 경제 및 주력산업 전망 Part 2. MDA/PDM 분야 Part 3. CAE 분야 Part. 4 AEC 분야 Part 5.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업계 인터뷰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성브라이언 사장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코리아 오병준 대표이사   Infoworld   Editorial 17 트럼프 2기 시작, IT 업계의 지각 변동   On Air 53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2024 생성형 AI 트렌드 결산과 2025 전망 67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AI 시대, 디지털 전환으로 여는 플랜트·조선 산업의 미래 68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2025년 엔지니어링 기술과 산업을 전망하다   Case Study 54 건축 산업의 혁신 지원하는 지리 공간 플랫폼 복잡한 3D 지리 공간 모델링을 실시간 시각화하는 세슘 58 30년 역사의 캐릭터 제작 기업, 젠틀 자이언트 스튜디오 적층제조 기술로 품질·효율 높이고 창의적 혁신 실현   People&Company 60 산업데이터스페이스 기술위원회 이영환 위원장 제조업 혁신 서비스와 수익모델 창출의 열쇠, ‘산업데이터스페이스’   Culture 62 비트리 갤러리, 선물 그리고 현재를 주제로 ‘Present is PRESENT’ 개최   Focus 65 오라클, 엑사데이터 X11M 통해 AI 시대의 DB 성능 기준 제시   Column 70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물리적 디지털 트윈이란 무엇인가 72 엔지니어링 분야의 AI 활용을 위한 제언 / 김충섭 AI에 대한 NI(자연지능)의 첫인상 74 트렌드에서 얻은 것 No. 20 / 류용효 무르익은 AI 시대, 인간을 위한 에이전트의 탄생   New Products 82 이달의 신제품   85 New Books 86 News   Directory 131 국내 주요 CAD/CAM/CAE/PDM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디렉토리   CADPIA   AEC 88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전문 BIM 자료를 이해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 파인튜닝하기 94 새로워진 캐디안 2025 살펴보기 (3) / 최영석 유틸리티 기능 소개 Ⅰ 97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5 (10) / 천벼리 멀티뷰 블록   Reverse Engineering 100 시점 – 사물이나 현상을 바라보는 눈 (2) / 유우식 암중모색   Mechanical 107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11.0 (9) / 박수민 크레오 11의 모델 기반 정의 개선사항 112 제조 산업의 설계 혁신을 위한 ZWCAD LM & ZWCAD MFG / 지더블유캐드코리아 전문적인 기계 설계 프로세스의 조합   Analysis 114 성공적인 유동 해석을 위한 케이던스의 CFD 기술 (18) / 나인플러스IT 터보 기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엔지니어 가이드 Ⅲ 118 전고체전지의 성능·품질 향상을 위한 CAE 활용 / 하효준 Multiscale.Sim을 활용한 전고체전지의 제조 공정 해석 방법 123 디지털화 기반의 제조산업 혁신 전략 / 오재응 가상 엔지니어링과 모델 기반 개발에 CAE를 활용하는 방법       캐드앤그래픽스 당월호 책자 구입하기   캐드앤그래픽스 당월호 PDF 구입하기
작성일 : 2025-02-03
[포커스] KOIIA 산업데이터스페이스 기술위원회 발족 세미나 개최
데이터가 핵심 자원인 시대가 도래하면서 AI 기술이나 데이터스페이스는 글로벌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무기가 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유럽과 일본 등 글로벌 제조 선진국들은 ‘디지털 심화 시대’ 속 데이터 주도권과 주권 확보를 위한 산업지능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데이터스페이스(IDS) 기술위원회의 발족 세미나가 2024년 12월 10일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협업지원센터에서 개최되었다. ■ 이성숙 기자     ‘데이터 스페이스(Data Space)’는 디지털 경제에서 협력을 가능하게 하고, 진입장벽을 낮추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투명한 표준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회장 김도훈, 이하 ‘협회’)는 산업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데이터 커뮤니티 중심의 신산업 비즈니스 협력환경을 만들기 위해 결성된 KOIIA 산업데이터스페이스(IDS) 기술위원회(이하 IDS 기술위원회)의 발족 세미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을 예고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AIX)과 산업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기관, 대업, 중소·스타트업, 학계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였다. 김태환 한국산업지능화협회 부회장은 축사를 통해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개별 기업의 데이터가 아니라 업종, 산업 전체의 데이터를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를 통해 공급망의 회복력이나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설루션으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지원하는 플랫폼인 데이터스페이스를 활용하고 있다”라며, “AI, 산업데이터에 데이터스페이스를 포함하면 또 다른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IDS 기술위원회를 발족하게 되었다”라고 설명하고, “내년에는 더 많은 기업들이 모여 데이터스페이스 영역 확대에 대응할 설루션을 찾고, 신산업 창출에 기여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산업데이터스페이스 기술위 참석자 사진   IDS 기술위원회는 산업 데이터를 통한 디지털 혁신과 국제 협력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계획이며, 국내 산업데이터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예정이다. IDS 기술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고려대학교 디지털혁신연구센터장 이영환 교수는 인사말을 통해 “데이터가 미래를 선도하는 시대를 맞아, 국내 산업계의 데이터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 데이터스페이스 협력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협회와 함께 산업데이터스페이스 기술위원회 추진에 더욱 내실을 다질 계획”이라고 기술위원회의 향후 활동 계획을 공유했다. 발족식에 이어 IDS 기술위원회는 위원회 운영 방안 소개와 함께 융합데이터 선도형 생태계 조성과 신산업 비즈니스 협력 플랫폼이 될 산업데이터스페이스의 최신 트렌드 공유를 위한 세미나도 진행했다. 첫 번째 연사로 나선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김인숙 부위원장은 ‘EU 산업데이터 시장동향 및 대응전략 발표’를 주제로 유럽의 데이터스페이스 진출사례와 산업데이터 시장 동향, 커뮤니티 비즈니스 설계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 휴니버스글로벌 이상헌 대표가 의료데이터 활용사례를 소개했으며, IDS기술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포엠디엑스 김형국 대표가 모빌리티 산업데이터 사례를 발표했다.   ▲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김인숙 부위원장   ▲ 포엠디엑스 김형국 대표   주제발표 이후에는  AI 및 SW 소유자, 데이터 제공자,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자, 데이터 소비자 간 네트워킹이 진행되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최태훈 디지털전환PD는 “산업부에서는 산업데이터스페이스라는 용어 대신 산업 데이터 플랫폼 협력 포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국가적 관심 증가로 고무적인 상황”이라면서, “데이터 경제 생태계 구축에는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이는 단일 기업이나 연구기관의 역량을 넘어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IDS 기술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홍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 산업계의 협력 또한 따라주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산하 위원회로 정식 출범한 IDS 기술위원회는 산·학·연의 ‘산업데이터스페이스’ 전문가와 협회 회원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야별 전문가(데이터 제공자와 소비자, 인프라 제공자와 개발자 등)를 확보하여 IDS 생태계를 활성화 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한편, 협회는 설립 초기부터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디지털혁신 위원회, 디지털트윈위원회, 산업AI 기술위원회 등을 발족하며 회원사와 산업계 간 접점을 확대해 왔다. 이번 IDS 기술위원회는 이를 기반으로 산업 데이터 활용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1-06
한국산업지능화협회, 데이터 커뮤니티 중심 비즈니스 협력 위한 산업데이터스페이스(IDS) 기술위원회 발족
「KOIIA 산업데이터스페이스(IDS) 기술위원회」 발족 세미나 개최 산업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기 위한 산업데이터스페이스(IDS) 기술위원회가 12월 10일 한국산업지능화협회(이하 ‘협회’)의  협업지원센터에서 발족 세미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이 발족 세미나에는 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AIX)과 산업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기관, 대기업, 중소·스타트업, 학계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였다. 협회 산하 위원회로 정식 출범하는 산업데이터스페이스(IDS) 기술위원회는 산학연의‘산업데이터스페이스’전문가와 협회 회원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야별 전문가(데이터 제공자와 소비자, 인프라 제공자와 개발자 등)를 확보하여 IDS 생태계 활성화 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발족식과 더불어 IDS 기술위원회는 첫 번째 공식 행사로 한다포럼 김인숙 대표의 EU 산업데이터 시장동향 및 대응전략 발표와 휴니버스글로벌 이상헌 대표가 의료데이터 활용사례를 소개했다. 뿐만 아니라, AI 및 SW소유자, 데이터 제공자,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자, 데이터 소비자 간 네트워킹이 진행되었다. IDS기술위원회 위원장인 고려대학교 이영환 교수는 “데이터가 미래를 선도하는 시대를 맞아, 국내 산업계의 데이터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 데이터스페이스 협력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협회와 함께 산업데이터스페이스 기술위원회 추진에 더욱 내실을 다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최태훈 디지털전환PD는 "산업부에서는 산업데이터스페이스라는 용어 대신 산업 데이터 플랫폼 협력 포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국가적 관심 증가로 고무적인 상황"이라면서, "데이터 경제 생태계 구축에는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이는 단일 기업이나 연구기관의 역량을 넘어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IDS 기술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홍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 산업계의 협력 또한 따라주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협회는 설립 초기부터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디지털혁신 위원회, 디지털트윈위원회, 산업AI 기술위원회 등을 발족하며 회원사와 산업계 간 접점을 확대해 왔다. 이번 IDS 기술위원회는 이를 기반으로 산업 데이터 활용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IDS 기술위원회는 산업 데이터를 통한 디지털 혁신과 국제 협력의 중심으로성공사례로 자리 잡으며, 국내 산업데이터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예정이다.    
작성일 : 2024-12-11
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위한 ‘ON 미래-산업 디지털 전환 포럼’ 개최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이 시행됨에 따라 산적한 과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7월 14일 13시 30분부터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ON미래-산업 디지털 전환’포럼이 개최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변화가 준비되지 않은 이들에겐 혹독한 고통이 됨을 여실히 보여줬다. AI와 loT,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며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졌고 이에 따라 산업 현장은 끊임없는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IT분야 전용으로만 여겨지던 디지털 기술이 전통 산업분야까지 범위를 넓히며 산업 분야의 디지털 전환은 시대적 과제로 다가오고 있다. 차세대 산업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산업 디지털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지난해 12월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을 제정해 산업 디지털 전환을 확산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에 기업 간 데이터들이 연결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성공적인 산업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해 국회와 산업계, 학계가 힘을 모았다. 이번 토론회는 산업 디지털 전환 추진 방향 및 추진사례 발표와 국회·부처·산업계 등 각계 대표자의 패널 토론으로 나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고 효율적인 제도 마련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고려대 이영환 특임교수가 ‘산업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추진 방향’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시작했고 이어서 세아홀딩스 채민석 상무가‘산업 디지털 전환 추진사례 및 제언’을 발표했다. 발제에 이어 연세대 임춘성 교수를 좌장으로 민·관 대표들이 패널로 참여해 토론이 시작됐다. 국회미래연구원은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한 제도적 정비 필요성 제안’,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SK텔레콤에서는 자사의 산업 디지털 전환 추진현황 및 정책제언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행사를 주최한 양금희 국회의원은 “우리 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엄중한 상황에 오늘 이 자리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성공적인 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해 민간의 역량을 결집하고, 정부와 국회가 제도적으로 강력히 뒷받침하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2-07-14
플랜트 분야 밸브 전문 기업, 시퍼스파이프라인
제품 설계에 CAE 도입해 글로벌 제조 업체로 도약 꿈꾼다 산업용 밸브 제품을 설계 및 개발하고 있는 시퍼스파이프라인(http://www.cephasvalve.com)은 제품 개발에 CAE를 활용하여 생산부터 사후처리까지 효율 향상을 이루었으며, 산업용 밸브 관련 신기술 개발 및 국산화, 표준화를 실현하고 있다. 플랜트 밸브 기술력 쌓아 온 전문 기업 1990년 설립한 시퍼스파이프라인은 원자력, 수화력, 복합화력, 등 발전 플랜트 분야와 해양사업, LNG 카고 라인(Cargo Line) 등 조선 해양 분야 및 담수화 분야를 포함하는 각종 플랜트 산업 분야에 걸쳐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를 비롯한 소형에서 대형 밸브까지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시퍼스파이프라인 기술연구소의 이영환 차장은 `시퍼스파이프라인은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CE, ISO, KS, EM 등 각종 인허가 및 인증을 확보하여 고객 만족 및 신뢰도 제고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기술 개발 투자와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산학공동연구를 통한 우수인력 채용 등을 진행하면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신기술 개발은 국책과제를 통한 보조지원을 통해 기술력을 축적하는 등 중소기업의 한계 극복을 모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적 설계 및 기술 문제 해결 위해 CAE 도입 시퍼스파이프라인은 지난 1999년 기업 부설 연구소를 개소하고, 기술력 확보 및 고급 인력 확충을 위한 투자와 부산 지역 거점 대학과의 산학협력을 추진해 왔다. 이를 통해 기술 허브를 구축하고 제품의 국산화, 표준화, 원천기술 및 신기술 개발에노 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퍼스파이프라인 기술연구소에서는 사내에서 생산되는 밸브들에 대한 설계 및 개발 제품에 대한 CAE 분석 수행 및 초고압, 초고온 및 초저온 등으로 대표되는 산업용 특수밸브 개발 국책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영환 차장은 `최근 CAE를 직접 도입하여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생산 및 사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특히 특수밸브 개발에 구조해석, 진동해석, 열유동해석, 유동-구조 연성해석 등 다양한 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제품의 성능을 예측, 개량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용 밸브 제품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온/고압/초저온 등의 극한 상황에 대한 영향을 실제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는 것은 비용이나 실험 장비의 한계 등 여러 가지 제약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시퍼스파이프라인은 CAE를 접목하여 최적 설계안을 도출하고 있다. 또한 전체 매출액의 80% 이상이 해외 프로젝트에서 발생되고 있는데, CAE를 통해 해외 고객사의 RFQ(Request for Quotation)를 충족하는 설계안을 제시하고 안전성을 검증함으로써 CAE의 유용성을 체감하고 있다. 구조 안전성과 원가 절감 두 마리 토끼를 잡다 기존의 제품 설계 프로세스에서는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운사이징을 통한 원가절감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한다. 반면 CAE를 도입한 이후 시퍼스파이프라인은 특수 재질이 사용되는 산업용 특수밸브 설계에 있어서 CAE를 활용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입증하는 동시에 다운사이징을 통한 원가절감 효과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현장에 납품되어 설치된 제품에 발생한 기술 이슈나 유지 보수에 관련한 문제 대응에 CAE를 활용함으로써, 빠르고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고객사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게 되었다. 이영환 차장은 `시퍼스파이프라인에서는 앤시스(ANSYS)의 CAE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인 통합 환경을 통해 엔지니어들이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인력 수급에 한계가 있는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전문 CAE 인력이 아닌 기존 설계 인력이 쉽고 빠르게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서 `이에 따라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생산에 이르기까지 CAE를 적극 활용하여 개발 기간 단축, 원가 절감, 품질 향상을 이루는 동시에 대외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글로벌 밸브 제조업체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고 평가했다. 설계자의 CAE 활용도 높일 것 시퍼스파이프라인은 전문 CAE 팀을 운영하지 않고, 담당 엔지니어가 직접 앤시스를 활용하여 설계에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앤시스의 통합 해석 환경인 워크벤치(Workbench)의 활용도가 높은 편이라고 한다. 이영환 차장은 `워크벤치 환경은 초보자도 쉽고 빠르게 CAE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타 3D CAD와의 호환성도 좋아서 기본 설계 부서와의 데이터 호환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면서 `또한 통합 환경에서 원하는 해석 옵션을 드래그 앤 드롭하는 방식으로 연성해석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3-04-29
[세미나 자료]2008 U-City 국제컨퍼런스
  프로그램1일차 - 10월 30일(목) 구 분 주 요 내 용 및 발 표 자 그랜드볼룸 103 그랜드볼룸 105 08:30~09:30 등 록 및 입 장 기조연설    (사회: 오재인 교수)   09:30~10:00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일본의 접근방법(노무라연구소 Teruyasu Murakami) 10:00~10:30 도시 인프라의 경쟁력 혁신을 위한 과제(한국IBM 이휘성 사장) 개 회 식   (사회: 민병호 상무) 10:30~10:40 개 회 사남중수 회장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환 영 사이종상 회장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축 사권도엽 차관 (국토해양부) 정부의 U-City 정책방향 및 추진전략 (사회: 김정훈 연구위원)   10:40~11:00 국토해양부의 U-City 전략계획(국토해양부 김철흥 과장) 11:00~11:20 유럽의 미래 인터넷 전망과 전략(스마트시티, 무선도시, 디지털 도시를 위한 정부의 정책 및 전략)(프랑스 고등교육 및 연구부 Bernard Benhamou) 11:20~11:40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 및 응용분야로서 중국의 보안 및 관제산업의 발전 (중국 과학기술부 Hu Ruimin 박사) 11:40~13:20 중식   T1-S1 : U-City R&D 현황 및 기술전망(좌장: 고려대 김형중 교수) T2-S1 : U-City 비즈니스 (건설) 13:20~13:40 U-Eco City R&D 추진현황(한국토지공사 문창엽 단장) 코인츠의 중국 U-City 비지니스(코인츠 백기현 사장) 13:40~14:00 라이프케어를 위한 u-지능공간 시스템(아주대 조위덕 교수) 중국 디지털 시티의 개발현황 및 계획(중국 정보화 추진연맹 리우시엔쥔 부이사장 겸 비서장) 14:00~14:20 U-City구축을 위한 텔래매틱스 핵심기술 개발현황(ETRI 장병태 팀장) 송도 국제업무단지의 u-City 사업소개(송도 U-라이프 유한회사 장충무 상무) 14:20~14:40 U-City구현을 위한 원천기술개발현황 및 발전방향(전자부품연구원 윤명현 센터장) - 14:40~15:00 휴 식 휴 식   T1-S2 : U-City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추진 전략(좌장: 성균관대 김도년 교수) T2-S2 : U-City 비즈니스 (통신/SI) 15:00~15:20 실현가능한 유비쿼터스 공간 구축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전략: 기존 U-City 접근 방법의 비판 및 새로운 대안 제시(경희대 이경전 교수) 민간분야 U-City 사업동향(KT 이석우 부장) 15:20~15:40 U-City 추진 방법론에 대한 고찰(Bottom Up VS Top Down 모델비교)(한국토지공사 이상훈 책임연구원) 아시아나IDT의 u-City 추진 전략(아시아나IDT 변인섭 책임) 15:40~16:00 u-City 비즈니스모델 구축방안 및 구현사례(한국 전산감리원 변호섭 수석감리원) Ubiquitous City :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 가치와 구축이슈(삼성SDS 김준식 박사) 16:00~16:20 u-City 중장기 전략(국립한밭대 이상호 교수) LG CNS u-City 사업 추진 현황 소개 (LG CNS 김은정 총괄) 16:20~16:40 휴 식 휴 식   T1-S3 : U-City 산업기반 조성 및 활성화 방안(좌장: 경원대 김은형 교수) T2-S3 : U-City 비즈니스 (솔루션) 16:40~17:00 u-City 추진상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파주시 정원모 과장) u-City를 위한 RTLS 솔루션 활용(한국 IBM 김수연 차장) 17:00~17:20 유비쿼터스 서울(u-Seoul) 세계 최고의 전자정부(서울시 김종근 과장) 오라클의 U-City 프로젝트 지원 솔루션(한국오라클 장성우 상무) 17:20~17:40 u-City 구축을 통한 활성화 전략(대한주택공사 위성복 팀장) 대우정보시스템의 U-City 솔루션 및 기술(대우정보시스템 김은영 이사) 17:40~18:00 유비쿼터스 도시건설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검토( 전기통신기본법과 정보통신정책적 관점)(숭실대 박완규 교수) ※ 발표 및 시간은 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 ※ 언어: 한국어/영어 동시통역 프로그램2일차 - 10월 31일(금) 구 분 주 요 내 용 및 발 표 자 그랜드볼룸 103 그랜드볼룸 104-105 08:30~09:00 등 록 및 입 장   T3-S1 : u-IT 인프라 고도화 전략(좌장: NIA 이영로 단장) T4-S1 : U-City 융합 서비스 개발 (좌장: 연세대 유진수 교수) 09:00~09:20 IP WSNs - 센서 인터넷(IETF 6LoWPAN 제프 멀리건 의장) SDI, Standards and Digital Cities(James Farley, Autodesk) 09:20~09:40 미래지식기반 인프라 구축방향(한국정보사회진흥원 강선무 팀장) GML and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David Burggraf, Galdos Systems Inc.) 09:40~10:00 USN 기상관측환경 구축 현황 및 향후 발전 계획(기상청 김성진 주무관) Developing GeoWeb Service Networks (GSN) : a Paradigm of Mutual Prosperity(연세대학교, 유진수 교수) 10:00~10:20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구축사례 소개(경찰청 김시돈 경위) - 10:20~10:40 휴 식   T3-S2 : U-City 유형별 신규 프로젝트(좌장: 수원대 최창규 교수) T4-S2 : U-City 세계화의 전략과 문제점 진단(좌장: 건국대 이영환 교수) 10:40~11:00 대전 서남부권 U-City 구축사업 (대전시 김수천 과장)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세계화: i-Fashion 사례 (건국대 박창규 교수) 11:00~11:20 u춘천 전략계획에 따른 추진정책(춘천시 육영호 과장) u-City 글로벌 사례: 레몬C.U.P.(주) 독일 inHaus 2 구축 컨소시엄 참가 사례 (Lemon C.U.P. 박석일 고문) 11:20~11:40 u-인천 정보화 마스터플랜(인천시 한길자 과장) u-City 프로젝트 해외진출 방안 (KOTRA 함정오 처장) 11:40~12:00 원주기업도시 U-CITY 구현 모델- 전략 및 서비스 모델을 중심으로 -(롯데정보통신 신현수 이사) U-City 해외진출을 위한 세계시장 분석(건국대 이상엽 교수) 12:00~13:00 중식   T3-S3 : 건설-IT 융합기술 개발현황 및 전망(좌장: 한국토지공사 김형복 팀장) T4-S3 : U-City 비즈니스(GIS/가상건설) 13:20~13:40 u-City 구현을 위한 도시시설물 지능화 기술개발(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현상 실장) U-City 에서 GIS 인프라의 미래(선도소프트 윤훈주 본부장) 13:40~14:00 u-GIS기반의 건설정보화기술 (건국대 편무욱 교수) 3D 기반 재난유형별 예방/대비/대응 훈련 시스템 기술개발(웨이버스 이정호 이사) 14:00~14:20 전자파, 음향 및 건물환경을 개선하는 지능형 건설IT 융합기술 (KAIST IT융합연구소 김영민 팀장) 한진정보통신 U-City 추진 현황 및 전략(한진정보통신 김승용 팀장) 14:20~14:40 CIM (City Information Modeling) 구현을 위한 제안(한양대 전한종 교수) 4D GIS 기반 가상건설 시스템(연세대 최진원 교수) 14:40~15:00 휴 식   T3-S4 : 건설-IT 융합 사업모델(좌장: 건국대 구지희 교수) T4-S4 : U-City 비즈니스(보안/네트워크) 15:00~15:20 산업안전정보화 시스템 u-Safety (현대정보기술 송동석 부장) 포스데이타 U-city 사업 추진현황(포스데이타 유광욱 실장) 15:20~15:40 IT융합을 통한 현장관리의 투명성 확보 사례(GS건설의 TPMS)(GS건설 박찬정 팀장) 방송통신을 기반으로 한 U-City 센서 네트워크(피코스넷 박준성 사장) 15:40~16:00 U-City 내 단지 통합 관리 모델(아파트 지능형 단지 통합 시스템)(현대건설 노현승 부장) U-City 네트워크 보안 (Open Network에서의 Layer 2 보안)(엘지노텔 배준환 PM) 16:00~16:20 Ubiquitous 가설 네트워크 구축 방안(건설 현장에서의 Wireless MESH networking)(파이어타이드 조태진 지사장) 지능형 통신망 인프라 구축을 위한 메쉬네트워크(방송ㆍ통신망 기반 센서네트워크 구축 활성화 추진)(현대HDS 김일도 팀장) 16:20~17:00 성과보고 및 종합토론 (사회: 프로그램위원장) - 17:00 종 료 ※ 발표 및 시간은 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 ※ 언어: 한국어/영어 동시통역
작성일 : 2008-11-05
CAD&Graphics 2008년 5월호 목차
  Part 1.SMB 캐드 시스템 구축 성공 사례  교세라엘코코리아 / 대한컨트롤 / 선린전자 / 에버다임 / 포톤다이나믹스 / 3D CAD로 제품 설계의 결정적 측면을 개선하는 방법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서 캐드 이용 실태조사 3차원 정보기술의 제품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중·일 비교     34 거침없이 신입 10 / 꼬젯     36 한석희의 디지털 경영 이야기 / 한석희 Mimetic Force 40 이진욱의 CAE와 함께 하는 세상 / 이진욱 아무리 컴퓨터가 좋아도 그렇지… 없는 것 보다는 낫다? 46 PLM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 마당 / 조형식 PLM 지식 그리고 가치     105 News 100 New Products 78 New Books 104 서평     74 제9회 RTT 컨퍼런스, 오스트리아 현지 취재 생산 및 마케팅을 위한 3D 비주얼라이제이션의 가능성 모색 113 한국공작기계공업협회, SIMTOS2008 개최 세계 공작기계가 한눈에, 거대한 축제 속으로! 116 마이다스아이티, midas FEA 제품발표회 및 기술세미나 토목·건설 분야 비선형 상세해석 전용 프로그램, midas FEA 출시 118 한국오라클, 엔터프라이즈 PLM 솔루션 전략 발표 PDM과 차별되는 포괄적 기업 프로세스 관리에 초점 120  오토데스크, 앤더슨 앤더슨 아키텍처 초청 디자인 비즈 세미나 친환경 건축 설계에 BIM 소프트웨어 적극 활용 121 아키씨지, 2008 아키씨지 세미나 건축설계의 새로운 프로세스 BIM & 3ds Max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122 롯데건설, 제3회 초고층 건축 국제 심포지엄 BIM 기반의 초고층 건축이 세계의 흐름 123 이티에스소프트, Moldex3D 9.0 발표 몰덱스3D 업그레이드로 사출 성형 분야 3D CAE 확산 기대 124 한국IBM, GTS 사업부 소개 및 전략 발표 그린IT와 글로벌 기업 IT 아웃소싱 지원 강화 125 한국EMC, CMA 사업부 미디어 데이 개최 CMA 솔루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시장 공략     126 이플랜코리아, 전기 CAE 솔루션 EPLAN 국내 정식 발표 EPLAN 한글 버전 출시와 함께 전기 설계 분야 CAE 시장 본격 공략     64 정보 시각화를 통한 PLM 지식 자본가를 꿈꾸며 / 류용효     67 레이어스 애니메이션팀 조영락 / 건축 애니메이션, 그의 손끝에서 새롭게 태어나다       128 PTC, 마이크 베일 부사장 / 마이크 패리스 수석 부사장 PTC의 새로운 주자, 아보텍스트와 매쓰캐드로 PLM 환경의 기업 생산성 향상 위한 방안 제시     50 토목, 건축 분야 비선형 구조해석 소프트웨어 midas FEA V100 54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및 렌더링 솔루션 3ds Max Design 2009 56 박판성형 해석 전용 프로그램  PAM-STAMP V2008 59 전사적 애플리케이션 통합 및 관리를 위한 협업 시스템 EASA 60 스위스 스타일 선반 전용 솔루션 에스프릿 씨티즌 전용 CAM 애드온 시스템     63 AMD 워크스테이션 그래픽카드  ATI FireGL V7700     70 아키씨지 테마 갤러리     72 오∼ 필승 코리아∼ 오∼ 필승 K리그!  식지 않는 대한민국의 축구사랑은 K리그로     212 국내 주요 CAD/CAM/CAE/PDM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디렉토리 215 기자수첩     129 AutoCAD의 숨어있는 기능들(13) / 맹영완 2차원으로만 작업하기     143 CAD 프로그래밍 엔진 만들기 Ⅱ(5) / 이명렬 화면 엔진 만들기 5     166 구글 스케치업의 건축/인테리어 실무활용법(3) / 엄병호 사진을 이용한 합성과 모델링을 위한 Photo Match     172 3ds Max 2008의 새로운 기능 맛보기(5) / 조영락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 향상 + 더 편리해진 스크립트 에디터     134 기계제조 업체를 위한 AutoCAD Mechanical 가이드 / 박경태 오토캐드에서 오토캐드 미케니컬로 이전하는 이유와 사용 방법 146  Mathcad와 Pro/ENGINEER의 연동작업 / 손재영 Mathcad 14 & Pro/ENGINEER Wildfire 3.0을 이용한 계산 및 최적화 방법 152 코스모스웍스를 이용한 설계 및 해석영역의 확장(1) / 장혜정 모델 최적화를 위한 안정성 평가하기     156 차세대 가상생산기술, AR Technology / 박홍석 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 워크 176 아트몰드를 활용한 3차원 사출금형 설계(5) / 김영일 외 취출 및 냉각 설계 180 ArtCAM을 이용한 토털 모델링(2) / 최고나 지구본 모델링 2     185 SimLab을 활용한 유한요소해석 방법과 활용(2) / 안정호, 이진욱 CFD 격자 생성 및 해석 190 COMSOL 멀티피직스를 통한 다중물리 해석(4) / 이영환 구조역학 분야에서의 연성해석 193 CFDesign을 이용한 해석 성공 사례 / 이재신 항공기 제조 설비의 생산능력 개선을 위한 유동해석 Ⅰ 196 SAMCEF를 활용한 해석 사례 / 에이블맥스 윈드 터빈 모델의 해석 198 Ansys Workbench를 이용한 해석 사례 / 송지흔 압력용기 구조해석 204  오픈소스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 / 한혁섭 오픈소스의 소개와 gmsh 전처리   161 윈칠 9.0의 새로운 기능 소개 / 김진영 Windchill PDMLink 9.0의 새로운 기능   PLM 208 제품 중심의 PLM 가치 발견(3) / 박동진, 노은희, 류용효 솔루션 리뷰-CPG 제품 이노베이션
작성일 : 2008-05-02
CAD&Graphics 2001년 10월호 목차
CAD&GRAPHICS 2001년 10월호 목차 테마기획 / RP 산업, 어디로 가고 있는가(1) RP 산업이 시작된 지 10여년이 넘은 지금, RP 산업은 또다른 난관에 봉착해 있다. 비싼 장비 가격과 원재료비, 재질 문제 등으로 그 필요성과 용이성에도 불구하고 산업 자체가 성장 곡선에 제동이 걸린 상태이다. RP 산업의 대중화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이 글에서는 쾌속 조형 공정 기술의 원리 및 장비 소개, 쾌속 조형 시장 변화와 기술 개발 동향과 적용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이와함께 다음 호에는 국내외 RP 장비 판매 현황과 유저 설문 조사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Prat 1.   RP 기술 트렌드 쾌속 조형 공정의 기술 동향 및 시장의 변화 / 안동규 RP 산업의 또다른 대안, NC / 심운섭 RP를 활용한 제품 개발 주기의 변화 / 편집부 Part 2.   RP 적용 사례 현업 적용 RP기술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양화준 의료 분야의 RP 적용 사례 / 김남국 신속 조형과 농기계 개발 연구 / 정성근 Infoworld 칼럼 / 지해성   국내외 RP 시장의 변화와 새로운 전략의 출현을 기대하며  Interview EDS PLM Solutions 유창희 사장 PTC, Trenthon H. Brown 국제 세일즈 부사장 업체 탐방 라인테크시스템 / 김영봉 기자   고객지원 강화와 새로운 시장 모색 서평 / 박경수 기자   디지털 무량수전 Hardware Review 멀티 패턴 방식의 3D 스캔 소프트웨어와 스캐너        ezScan과 SNX 스캐너 시리즈 컴팩트 플래시 타입의 GPS 수신기                    iGPSⅡ Software Review 기능 추가보다 내부 기능 보강에 중점  정밀한 매핑 및 강력한 GIS 분석         건축 설비 전용 CAD                          도표 하나로 모든 것을 말한다            2D 기계 설계 및 엔지니어링용 AutoCAD   디자이너를 위한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  설계자를 위한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  촉감을 이용한 모델러                                제품 시뮬레이션을 위한 차세대 솔루션                1:1 Human Scale 투입 가상 모형 솔루션 발표         Web3D와 가상현실 대중화의 첨병                    통합 데이터 관리 및 메일머지 자동 전송 프로그램     일러스트레이터에서 CAD 기능 활용                   AutoCAD 2002 한글판Autodesk MAP 5 PhilCADAFD 한글 Visio 2002 AutoCAD Mechanical 6 CDRS 2001 DesignSpace v6.0 FreeForm V4.0 PlayMoVisConcept 버전 2.0 EON Studio 제품군 NetPIMS 1.0 Special Edition CAD-Compo Trend 디지털 인쇄의 새로운 표준 / 편집부   PRINT Image Matching 디지털 시대를 맞아 디지털 카메라와 컬러 잉크젯 프린터의 보급이 급속히 늘고 있다. 사진을 찍어 필름을 맡기고 다시 찾던 시대에서 이제는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디지털 이미지를 프린터로 직접 출력하는 시대가 되었다. CAD 툴과 PDA의 결합 / 편집부   건축 분야에 무선을 이용한 CAD 작업 확산 최근 출시된 핸드헬드와 무선 플랫폼이 현장 작업과 사무 작업을 재연결시키고 있다. 이 글은 지난 8월호 CADENCE에 실린 기사를 재정리한 것이다 참관기 제36회 서울 국제기능올림픽대회 / 김영봉 기자   21세기 새로운 도약을 향한 경제 올림픽 GRAPHICS+DESIGN 2001 KOREA / 편집부   범용 CAD 한글 IntelliCAD의 활용(5) / 가기정   단열재 자동 프로그램 Ⅱ 행사 캘린더NewsNew BooksNew Products CADPIA AutoCAD봉기자와 함께 하는 오토캐드 2000i(6) / 김영봉 기자   Surface 작업하기 오토캐드 메뉴 파일 만들기(8) / 남문식   메뉴 기법 I 오토캐드로 만드는 3차원 모델링(10) / 김종욱   동력전달 장치 모델링 AEC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시험문제 풀이(11) / 김동준   기출 문제 유형 총정리 신공법, 신주택 - 스틸하우스 / 김영봉 기자   공기단축, 비용 절감으로 스틸하우스 확산ManufacturingCATIA V5 3축 가공 프로세스 / 이원복   CATIA를 이용한 가공 Toolpath 생성 PowerMILL의 이해와 가공 활용(6) / 이무용   효율적인 고속 가공 ncg 4.0을 이용한 고속가공(1) 이주성   ncg 4.0의 업그레이드된 기능 및 특징 Simulation VRML과 관련된 깨비마당에서의 조명 및 색상 활용 사례 / 이지혜, 오동선   VRML에서의 조명 및 색상 적용법 KOVI Archi를 이용한 산업용 가상현실 컨텐츠 구축과 활용 방안(4) / 김종원   Global Illumination 처리로 Photo Realitstic VR의 구성 건축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ArchiPaint 강좌(1) / 이은정   객체 및 소재 생성하기 Mechanicalthinkdesign 6.0을 이용한 마우스 모델링(1) / 박성훈   기본 커브 및 서피스 만들기 Solid Edge의 기초와 활용(3) / 엄정섭   Solis Edge Part Ⅱ 탑다운 설계 프로세스를 이용한 제품 개발(1) / 이태우   개념 설계에서의 탑다운 프로세스의 적용CAID 디지털 디자인 A에서 Z까지(4) / 방영찬   자동차 분야에서의 디지털 디자인 Ⅳ AnalysisCATIA 해석 솔루션 소개 및 적용 사례(4) / 이영환   ABAQUS/CAT를 이용한 해석 및 적용 사례 PDM mySAP PLM과 CAD Integration(2) / 최경락   제품 전체 수명주기 상의 자료관리와 CAD 통합 지식기반공학을 이용한 설계공정자동화 / 이형기   설계공정과 엔지니어링 자동화    
작성일 : 2005-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