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오실레이터"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5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AWS, 새로운 양자 컴퓨팅 칩 ‘오셀롯’ 발표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오늘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AWS 양자 컴퓨팅 센터 팀이 개발한 새로운 양자 컴퓨팅 칩 오셀롯(Ocelot)을 발표했다. AWS는 이 칩이 기존 접근 방식 대비 양자 오류 정정 구현 비용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으며, 현존 컴퓨터로는 풀 수 없는 상업적·과학적으로 중요한 문제 해결을 위한 내결함성(fault-tolerant) 양자 컴퓨터 개발에 큰 진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자 컴퓨터의 오류 정정은 실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이다. 양자 컴퓨터는 외부 환경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해 진동, 열, 전자 기기의 신호 등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여러 큐비트에 걸쳐 양자 오류를 정정하는 기술이 필요하지만, 기존 방식은 큐비트를 대량으로 요구해 비용이 매우 높았다. 오셀롯은 기존 방식의 한계를 넘어, 오류 정정에 필요한 자원을 크게 줄이는 방법을 제시한다.      AWS는 오셀롯 아키텍처의 설계 단계서부터 오류 정정 기능을 내장하고 ‘고양이 큐비트(cat qubit)’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에서 이름을 따 온 고양이 큐비트는 비트 반전 오류(bit-flip error)를 자체적으로 억제해 오류 정정을 위한 자원을 크게 절감한다. AWS 연구원들은 오셀롯을 활용해 고양이 큐비트 기술과 추가 양자 오류 정정 구성 요소를 최초로 마이크로칩에 결합했다. 이 마이크로칩은 반도체 산업에서 차용한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양자 컴퓨팅의 발전에서도 하드웨어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과거에도 대형 전자 장치가 반도체 기반 시스템으로 전환되며 컴퓨팅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듯이, 오셀롯은 실용적이고 안정적인 양자 컴퓨터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AWS의 오스카 페인터(Oskar Painter) 퀀텀 하드웨어 디렉터는 “최근 양자 연구의 발전을 통해 오류에 강하고 실용적인 양자 컴퓨터의 등장은 이제 가능성의 문제가 아닌 시간의 문제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셀롯의 등장은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오셀롯 아키텍처로 만들어진 양자 칩은 오류 정정에 필요한 자원이 큰 폭으로 줄어 비용이 기존 방식의 1/5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는 실용적인 양자 컴퓨터의 등장을 최대 5년 앞당길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오셀롯은 두 개의 실리콘 마이크로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칩은 약 1㎠ 크기다. 이 칩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 스택 형태로 결합돼 있으며, 실리콘 표면에는 양자 회로 요소를 형성하는 얇은 층의 초전도 물질이 배치되어 있다. 오셀롯 칩은 14개의 핵심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요소들에는 5개의 데이터 큐비트(고양이 큐비트)와 이를 안정화하기 위한 5개의 '버퍼 회로, 그리고 오류를 감지하기 위한 4개의 추가 큐비트가 포함된다.  AWS 연구팀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오셀롯은 비트 반전 시간(bit-flip times)이 1초에 근접하는 성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기존 초전도 큐비트보다 약 1000배 더 긴 수명을 의미한다. 또한 위상 반전 시간(phase-flip times)은 20마이크로초를 기록했으며, 이는 양자 오류 정정에 충분한 수준이다. 고양이 큐비트는 오실레이터를 통해 계산에 사용되는 양자 상태를 저장하며, 오셀롯의 고품질 오실레이터는 탄탈륨(Tantalum) 초전도 물질의 얇은 필름으로 제작되었다. AWS 재료 과학자들은 실리콘 칩에 탄탈륨을 처리하는 특정 방법을 개발하여 오실레이터 성능을 향상시켰다. 
작성일 : 2025-02-28
마이크로칩, 설정 가능한 로직이 통합된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출시
마이크로컨트롤러, 아날로그 및 플래시 IP 솔루션 전문기업인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는 보스톤에서 열린 임베디드 시스템 컨퍼런스(Embedded Systems Conference)에서 여러 종의 8비트 PIC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새롭게 선보였다. 새로 선보인 MCU는 6~20핀 패키지에 설정 가능한 로직과 수준 높은 주변장치들을 통합하고 있다. 또한 PIC10F(LF)32X와 PIC1XF(LF)150X MCU에는 설정 가능한 로직 셀(CLC : Configurable Logic Cell), 상보형 파형 생성기(CWG : Complementary Waveform Generator), 수치 제어 오실레이터(NCO : Numerically Controlled Oscillator)를 비롯한 새로운 주변장치가 통합되어 있어 이전의 핀 수가 적은 MCU로는 불가능했던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마이크로칩은 디자이너가 이러한 범용 MCU를 사용하여 가전기구(예 : 소형 주방 가전), 자동차(예 : 실내 조명), 소비자(예 : 전동 공구), 산업용 시장(예 : 유틸리티 계량기) 등에서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용과 전력 소모량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IC10F(LF)32X 및 PIC1XF(LF)150X MCU에 통합된 CLC 주변장치를 이용하면 조합 로직(Combinational Logic)과 순차 로직(Sequential logic)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주변장치와 I/O의 온칩 인터커넥션을 늘림으로써 외부 부품 수를 줄이고, 코드 면적을 절감하며 더 많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준다. CWG 주변장치는 여러 주변장치와 연동하여 불감 대역(Dead-band) 제어 및 자동 셧다운을 통해 보완적인 파형을 생성함으로써 스위칭 효율을 높여 준다. 또한 NCO 주변장치는 조명 안정기, 톤 생성 및 그 밖의 공진 제어 회로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필수적인 선형 주파수 제어 및 고분해능 사양을 구현한다. 새로 선보인 MCU는 능동 모드에서 30µA/MHz 미만, 슬립 모드에서 20nA 미만에 불과한 낮은 전력 소모량이 특징이며, 온칩 16MHz 내장형 오실레이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최대 4개의 펄스 폭 변조(PWM) 주변 장치까지 갖추고 있다. 아울러 온도 표시기 모듈이 통합되어 있어 적은 비용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칩의 스티브 드레호블(Steve Drehobl)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기술 개발 사업부 부사장은 “새로운 MCU는 PIC10F, PIC12F 및 PIC16F 제품군의 범위를 확장하여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마이크로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것”이라며 “독창적인 기능, 전력 소모량, 크기, 비용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 이들 신제품의 특징”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11-10-05
가트너, 2011년 세계 반도체 산업 매출 3,150억 달러를 기록하며, 5.1% 성장할 것으로 전망
가트너에 따르면, 2011년 세계 반도체 매출은 2010년의 2,990억 달러에서 5.1% 상승한 총 3,15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가트너가 1분기에 내놓은 6.2% 성장 전망에서 하향 조정된 것이다. 일본의 지진 및 쓰나미 사태로 실리콘 웨이퍼, 배터리, 크리스탈 오실레이터(crystal oscillators: 결정 진동자), 패키징 및 기타 특수 자재 공급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그러나, 일본 사태로 인한 공급 제한 때문에 전자 산업이 궤도를 벗어나지는 않았다. 가트너의 피터 미들턴(Peter Middleton) 수석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일본 재해 사태가 반도체 시장과 공급망에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나, 초기에 우려했던 것에 비해 그 파장이 심하지는 않았다.”면서 "일본 사태에 대한 대응으로 3월의 마지막 두 주 동안 벤더들은 불확실성과 잠재적 부족사항에 직면해 공급 확보 노력을 강화했고, 그 결과 주문이 두 배나 늘어난 경우도 있었으며, 이는 2분기에도 지속되었다. 벤더들이 2분기 예측에서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고 생각하며, 대다수는 예상을 초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들턴 애널리스트는 "그 영향이 우려했던 것보다 심각하지는 않지만, 공급망의 마찰로 일부 생산에 영향을 주면서,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2011년 3분기까지 그 잔여 파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3분기 추세가 자리를 잡고, 공급망 참여자들이 모든 이슈가 파악되었고 생산이 정상화되었다고 만족하게 되면서 재고 절감 노력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으로 2011년 후반과 2012년 초반에 반도체 시장이 둔화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가트너는 2011년 전 세계 ASSP(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 매출은 797억 달러에 이를 것이며, 2015년 말까지 994억 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애플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 주문형 반도체)투자와 인기 모바일 장치의 강력한 장악으로 ASIC 시장은 2015년까지 견실한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다. 2015년까지 전반적인 최대폭의 성장은 주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이 주도하는 비광학 센서에서 나올 것이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비디오 게임 하드웨어 등 자동차 외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센서 사용이 증가하면서 고성장이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애널리스트들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카테고리에서 급격한 반도체 성장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2013년까지 반도체 산업 매출 성장의 3분의2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에서 나올 것이다. 가트너 존 에렌센(Jon Erensen) 리서치 이사는 "스마트폰 및 미디어 태블릿의 중심을 이루는 차세대 고성능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도입은 중요한 경향"이라면서 "이러한 하이엔드 프로세서는 많은 양의 DRAM 및 NAND 플래시 메모리와 결합하여 상황 인식 컴퓨팅, 증강 현실, CP(computational photography, 전산사진) 등을 비롯한 새로운 최첨단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성능과 스토리지를 구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렌센 이사는 "스마트폰과 미디어 태블릿은 아키텍처가 비슷하기 때문에 단말기 및 태블릿 OEM은 선택한 운영 시스템을 호스트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설계를 중앙 집중화할 수 있고, 벤더들은 이러한 설계를 여러 제품 카테고리에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11-06-28
나노기술 실험 성공
IBM, 반도체산업 '혁신'  나노기술 실험 성공 ■ 한국IBM, 02-3781-5499, http://www.ibm.com/kr 한국IBM은 IBM 연구소의 연구진들이 사상 최초로 단일 '탄소 나노튜브' (Carbon Nanotube) 분자 주위에 완전한 전자 집적 회로를 구축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탄소 나노튜브'는 현재 일반화되어 있는 실리콘 반도체를 능가할 혁신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신물질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호 사이언스(Science)지에 IBM의 이름으로 발표된 논문에 소개되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대단히 의미 있는 것으로, 이 회로는 표준 반도체 프로세스를 이용해 만들어졌으며, 개별적으로 구축된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방식 대신 회로에 들어가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단일 분자를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제조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되었으며, 탄소 나노튜브를 보다 철저히 테스트하고 조정하는데 필요한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IBM 연구소에서 구축에 성공한 회로는 링 오실레이터(Ring Oscillator)로서, 회로 칩 제조사들이 새로운 제조 프로세스나 물질을 평가해 보기 위해 제작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특정한 특성에 대해 스트레스를 걸어, 전체 칩을 만드는데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면 어떻게 작용할 지를 잘 보여줄 수 있다. IBM 연구팀은 단일 나노튜브에 완전한 회로를 통합하는 이번 실험에서, 기존 복수개의 나노튜브로 구성된 회로의 경우보다 회로의 속도가 거의 1백만 배 가량 빨라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아직 이 정도의 속도는 현재 실리콘 칩의 속도보다 느리기는 하지만, IBM 연구팀은 궁극적으로 새로운 나노 제조공정을 통해 반도체 성능이 획기적으로 혁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BM 연구팀은 계속해서 이 링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향상된 탄소 나노튜브 트랜지스터와 회로에 대한 테스트, 전체 칩 설계에서의 성능 등을 측정할 계획이다.
작성일 : 2006-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