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에릭슨엘지"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9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헥사곤, ‘한국-스웨덴 전략산업 서밋’에서 국내 산업단지 디지털 전환 위한 MOU 체결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는 한국산업단지경영자연합회(KIBA), 글로벌선도기업협회(GLCA), 에릭슨엘지, KT와 함께 국내 산업단지 디지털 전환 협력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국 산업단지의 디지털 대전환을 도모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협약 참여 기관들은 이번 MOU를 통해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의 탄소중립 달성, 스웨덴 등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판로 마련, 그리고 산업단지 내 우수 기업과 스웨덴 현지 기업 간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산업단지 디지털 전환 및 탄소중립 실현 ▲산업단지 공간 및 설비에 디지털 트윈, 5G 등 혁신 기술 실증 지원 ▲디지털 트윈, 로봇, 5G, AI 적용 기술을 포함한 제조 공장의 디지털 전환(DX) 및 기술 협력 제공 ▲산업단지 내 국내 ICT 및 디지털 트윈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육성 및 성장 지원 등이다. 헥사곤은 이를 위해 산업단지 내 적용 가능한 디지털 전환 도입 사례를 발굴하고,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헥사곤은 특히 자사의 디지털 리얼리티 플랫폼인 ‘넥서스(Nexus)’를 통해 설계부터 품질 검사까지 제조 프로세스 전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토털 설루션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내세우면서, 국내 제조 기업의 데이터 활용 극대화를 통한 자원 최적화,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을 지원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코리아의 성 브라이언 사장은 “이번 MOU를 통해 헥사곤은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면서, “중소·중견기업이 첨단 디지털 기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헥사곤의 디지털 리얼리티 기술과 경험을 적극 공유하겠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2-06
에릭슨엘지, ‘이매진 라이브 코리아 2024’에서 최신 네트워크 기술과 인사이트 소개
에릭슨엘지는 오는 11월 19일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이매진 라이브 코리아 2024(Imagine Live Korea 2024)’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매진 라이브 코리아 2024는 에릭슨엘지의 최신 네트워크 기술과 자체 5G 특화망 솔루션인 'EP5G(Ericsson Private 5G)’의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ICT 업계 인사이트와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행사다. 국내 통신사업자를 위한 프로그램과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프로그램이 각각 오전과 오후로 나뉘어 진행된다. 통신사업자 프로그램은 ’미래의 네트워크(Networks for future)’를 주제로 진행된다. 에릭슨엘지는 5G 어드밴스드, 네트워크 API, AI, 고성능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구축 방법을 소개하고, 통신에 AI를 접목한 최신 활용 사례를 발표한다. 이와 더불어 고성능과 높은 비용 효율성을 갖춘 최신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통신사업자가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공유한다. 엔터프라이즈 프로그램은 성장하는 5G 특화망과 이를 활용한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논의한다. 주요 발표 내용으로는 ▲글로벌 5G 특화망 시장의 진화 및 트렌드 ▲최신 EP5G 솔루션 ▲국내외 다양한 산업 내 성공적인 5G 특화망 구축 사례 등을 포함한다. 또한 현장에서는 에릭슨엘지 EP5G 공식 파트너사와 직접 네트워킹과 컨설팅을 진행하는 자리도 마련될 예정이다. 에릭슨엘지 관계자는 “이매진 라이브 코리아 2024는 고객 및 파트너사가 에릭슨엘지의 최신 기술과 활용 사례를 더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면서, ”많은 분이 참석해 인사이트를 나누고 협업과 네트워킹을 통해 ICT 업계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1-07
에릭슨엘지, 통신사의 지속 성장과 수익 확대를 위한 5G 활용 방안 소개
통신 장비 기업 에릭슨엘지가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 비즈니스 리뷰 2024’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통신사의 수익 확대를 위한 5G 기반 비즈니스 영역으로 ▲모바일 광대역 성능 향상 ▲고정형 무선인터넷(FWA) 및 무선 WAN(WWAN) 서비스 도입 ▲차별화된 커넥티비티 솔루션 제공 ▲ 5G 기반 산업 생태계 확장 등을 지목했다. 5G는 4G보다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서비스를 제공한다. 5G eMBB 서비스는 4G에 비해 최대 10배 더 많은 용량을 제공하며, 에너지 효율은 30% 이상 개선한다. 통신사는 이와 같은 효율화를 통해 투자 비용당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통신사는 FWA 및 WWAN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더 높은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을 확보할 수 있다. 보고서는 5G FWA를 가장 성공적인 5G 서비스 중 하나로 꼽았다. 2023년 미국 고정 광대역 가입자 중 90%가 FWA 서비스를 선택했으며, 2029년 전 세계 통신사의 FWA 매출은 750억 달러로 전망된다. 아직 10억 명 이상의 가정과 기업이 광대역 서비스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5G FWA 시장이 갖는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사는 수익 개선을 위해 차별화된 커넥티비티 솔루션 기회를 발굴해야 한다. 기업에 5G 특화망을 제공하거나, 5G SA 전환 후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으로 소비자·기업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이 이에 포함된다. 5G는 물류,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실제로 CJ대한통운은 에릭슨엘지와 협력해 이천 2풀필먼트센터에 5G 특화망을 구축했다. 그 결과 와이파이를 이용했을 때와 비교해 생산성은 20% 향상되고, 설비투자(CAPEX)는 15%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에릭슨이 10개 산업 40개 특화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G 특화망은 네트워크와 작업자 간 연결, 무인 장비, 센서 등에 활용되고 있다.     통신사는 네트워크 API의 잠재력에도 중점을 둬야 한다. 네트워크 API를 통해 개발자에게 고도화된 5G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혁신적인 앱 및 서비스 개발로 이어진다. 통신사, 기업, 개발자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이를 통한 5G 생태계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 비즈니스 리뷰 2024에는 ▲통신사가 직면한 어려운 시장 환경 ▲소비자 대상 성공적인 5G 수익화를 위한 단계 ▲듀얼플레이(dual-play) 광대역 전략으로 경쟁하는 미국 통신사 ▲속도 차등 기반의 FWA로 가치 증대 ▲콘텐츠 사업자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네트워크 API를 활용해 가치와 수익화 기회를 창출하는 방법 ▲산업 생산성 향상시키는 5G 특화망 등 일곱 가지 주제가 포함됐다.  에릭슨의 프레드릭 예들링(Fredrik Jejdling) 네트워크 사업 부문장 겸 수석 부사장은 “이제 비즈니스 부문에서도 5G가 활용되기 시작했다”며, “4G의 도입은 모바일 앱 경제의 토대를 마련하고, 오늘날의 모바일 광대역 시장을 있게 했다. 이와 같이 통신사는 5G 네트워크의 우수한 기술을 활용해 수익성 있는 성장을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4-05-07
에릭슨, “전 세계 5G 시장 지속 성장하며 새로운 기회 제공”
에릭슨엘지는 최근 발간된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Ericsson Mobility Report)’에서 일부 시장의 경제적 어려움과 지정학적 불안에도 불구하고 5G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5G 신규 가입은 2022년보다 63% 증가한 6억 1000만 건이며, 2023년 말까지 전 세계 모바일 가입의 약 20%를 차지할 전망이다.  2023년 말부터 2029년까지 6년 동안 전 세계 5G 가입 건수는 16억에서 53억으로 3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5G 커버리지는 2023년 말에 45%에 도달하고 2029년 말에는 85%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당 전 세계 평균 데이터 소비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2023년 말부터 2029년 말 사이에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향상된 기기 기능, 데이터 집약적인 콘텐츠 증가, 구축된 네트워크 성능의 지속적인 개선과 같은 요인에 따른 것이다. 에릭슨은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소비자가 5G를 수용하고 새로운 사용 사례가 등장하면서, 데이터 트래픽의 추가 성장이 일어날 것”이라면서, “대부분의 트래픽은 사람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실내에서 발생하므로, 실외 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5G 미드밴드 커버리지를 확장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 세계 5G 미드밴드 인구 커버리지는 2022년 30%에서 올해 40%로 증가했는데, 에릭슨은 5G 미드밴드가 고용량과 넓은 커버리지를 결합하여 완전한 5G 경험을 제공하는 데 적합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보고서는 제조 산업에서 5G가 어떻게 생산량의 주요 결정 요인이 되는지, 그리고 자원의 급속한 변화와 재분배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민첩성을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생산 공장에는 작업자를 위한 무선 태블릿, 주문형 원격 지원, AGV 및 로봇, 품질 모니터링을 위해 AI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와 카메라 등이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에릭슨 보고서는 “5G 네트워크는 넓은 지역을 수용하는데 더 적합하며, 이런 면적을 커버하는 데 필요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수는 일반적으로 5G 실내 라디오 수보다 훨씬 많다. 또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핸드오버로 인해 짧은 트래픽 중단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짚었다. 특히 최대 10만 제곱미터인 일반적인 제조 작업 공간보다 5배 이상 큰 ‘기가팩토리’에서 수요에 맞춰 생산 라인 및 공장 자원을 빠르게 변경하거나 재배치하기 위해서는 5G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가 적합하다는 것이 에릭슨의 시각이다.  에릭슨의 프레드릭 제이들링(Fredrik Jejdling) 네트워크 사업부문장 겸 수석 부사장은 “올해 전 세계적으로 6억 건 이상의 5G 가입이 추가되고 모든 지역에서 증가하는 가운데 고성능 연결에 대한 수요가 강력하다는 것은 분명하다”면서, “5G의 출시가 계속되고 있으며 5G 독립형(standalone) 네트워크의 수가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와 기업 모두를 위해 더욱 다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3-12-07
[포커스] 에릭슨엘지, “초저지연 5G 기술로 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 돕는다”
‘이음5G’는 좁은 구역 안에서 사용하는 특화된 5G 통신망이다. 공장이나 건물 등에서 5G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는 통신망을 사업자가 직접 구축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에릭슨엘지는 데이터 전송의 지연속도를 줄인 28GHz 대역폭 기반의 5G 기술을 선보이는 기자 대상의 시연 행사를 지난 10월 17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에릭슨엘지는 파트너 생태계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5G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사례를 발굴하고 궁극적으로 산업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정수진 편집장   ▲ 에릭슨엘지는 초고속, 초저지연의 5G 기술이 산업 분야에서 더 많은 활용사례를 만들 것으로 보고 있다.   초고속·초저지연의 5G 기술을 산업 현장에 패키지로 공급 5G 통신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이전 세대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이다. 여기에 데이터 전송의 지연속도가 낮다는 의미의 ‘초저지연성’이 결합되면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과 새로운 시장 개척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산업 분야에서는 공장 내 센서를 연결하거나 로봇 컨트롤, 비전 분석, 자율주행, 드론, VR/AR 등 5G 통신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에릭슨엘지는 낮은 딜레이 범위 안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임 크리티컬 커뮤니케이션’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산업 IoT의 상용 서비스가 향후 몇 년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에릭슨엘지의 강지훈 팀장은 “타임 크리티컬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로봇 등 디바이스뿐 아니라 네트워크, 제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인프라 등의 포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에릭슨엘지는 단말기, 네트워크,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등을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파트너사와 협력해 완성된 패키지의 형태로 제공하고자 한다”고 소개했다. 에릭슨엘지가 추진하고 있는 이음5G 서비스는 기존의 4.7GHz(기가헤르츠) 주파수 대역과 함께 28GHz 대역을 활용해 5ms(밀리초)~50ms의 지연속도를 제공하며, 퍼블릭 네트워크와 로컬 특화망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이다. 에릭슨엘지는 “28GHz 기술을 통해 초대용량 데이터의 처리와 초저지연 통신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더욱 혁신적인 디지털 전환 사례의 구현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에릭슨엘지의 파트너사인 뉴젠스는 28GHz 네트워크의 성능을 시연과 함께 소개했다. 뉴젠스의 박형관 소장이 자사 랩에 설치된 솔루션을 기반으로 시연을 진행했는데, 4.7GHz 환경에서는 0.11Gbps(초당 기가비트)의 업링크 성능과 10ms의 지연성을 보였다. 한편 28GHz 환경에서는 1.2Gbps의 업링크 성능과 4ms의 지연성을 기록했다. 박형관 소장은 “이전에는 핵심 5G 장비의 크기 때문에 넓은 면적이 필요했는데, 에릭슨엘지의 장비는 1U 서버 2대로 구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속도와 대역폭에서도 강점이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 뉴젠스가 소개한 28GHz 5G 장비   VR 등 산업 현장의 새로운 활용사례 발굴 에릭슨엘지가 이음5G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로 주목하는 것 중 하나가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을 포괄하는 XR(확장현실)이다. VR 디바이스가 안경 사이즈로 작고 가벼워지는 추세인데, 이를 위해서는 로컬 디바이스 대신 클라우드에서 시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필수로 꼽힌다. 에릭슨엘지의 심교헌 엔터프라이즈 총괄 상무는 “VR은 많은 양의 대역폭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산업 현장에서 수십 명에 동시에 VR를 사용하려면 28GHz의 5G 통신 기술이 필수”라면서,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산업 현장에서의 대규모 VR 활용이라는 유스케이스를 발굴함으로써 5G 특화망을 보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에릭슨엘지의 파트너사인 한국인프라는 28GHz의 5G 통신망을 활용한 VR 시연을 진행했다. 한국인프라는 엔비디아의 VR 스트리밍 솔루션인 클라우드XR(CloudXR)과 다인원의 VR 기반 협업 기능을 제공하는 오토데스크의 시각화 소프트웨어 브이레드(VRED) 기반의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인프라의 서지열 전무는 “28GHz 대역의 5G 기술을 활용하면 고화질의 HMD(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화면을 여러 명이 등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화면 이동이 가능하다”면서, “이를 통해 제조, AEC, M&E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설계 협업이나 품평을 VR 기반으로 진행할 수 있고, 교육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소개했다. 한국인프라는 내부 테스트에서 30명까지는 28GHz 환경에서 원활한 VR 협업이 가능했다고 전했다. 심교헌 상무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혁신적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들 위주로 이음5G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물류와 제조 영역이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28GHz 관련 생태계가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보다 차별화된 서비스 사례 발굴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들과 국내 생태계 활성화와 서비스 사례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한국인프라가 28GHz 5G 기반의 VR 협업 서비스를 시연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11-02
CAD&Graphics 2023년 11월호 목차
  INFOWORLD   Focus 17 유니티, 디지털 트윈/XR/AI로 산업 분야서 실시간 3D 기술의 확대 추진 20 앤시스, 시뮬레이션 경험을 향상시키는 AI와 클라우드 솔루션 제시 23 AWS, “클라우드와 생성형 AI로 산업 분야의 혁신 뒷받침한다” 26 에릭슨엘지, “초저지연 5G 기술로 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 돕는다”   People&Company 28 알테어 밍 저우 전산 역학 및 최적화 총괄 연구위원 다중물리부터 AI까지… 제품 설계의 최적화를 위한 기술 혁신 이어간다   Case Study 30 디지털 트윈으로 도시, 건물, 인프라를 재구성하는 6가지 방법 데이터의 실시간 3D 시각화 통해 설계/운영/교육 등의 경험 개선 34 건설 산업에서 언리얼 엔진을 활용한 플랫폼 구축 BIM 데이터와 실시간 3D 기술 결합해 최적의 의사결정 지원   New Products 42 솔버 성능과 접촉 해석 속도 향상된 다물체 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 리커다인 2024 46 AI 기능 도입으로 설계 작업의 자동화 및 속도 향상 솔리드 엣지 2024 48 결함방지 테스트 및 요구사항 추적 기능 등 추가 매트랩 R2023b, 시뮬링크 R2023b 50 AI 및 HPC 기술 융합한 시뮬레이션 플랫폼 하이퍼웍스 2023 39 이달의 신제품   Column 56 여행에서 얻은 것 No.2 / 류용효 제주 즐기기 - 보고, 담고, 웃고, 걷고   52 New Books 54 News   Directory 123 국내 주요 CAD/CAM/CAE/PDM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디렉토리   CADPIA   AEC 61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을 위한 라마 2 설치와 사용법 64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13) / 최영석 캐디안 2023의 3D 객체 그리기 기능 Ⅳ 67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4 (7) / 천벼리 삼위일체 블록 라이브러리 70 토목 분야 BIM 기반 자동, 연동, 수동 수량산출 합산 프로세스 (4) / 이재홍 BIM 기반 자동, 연동, 수동 수량산출 내역 합산 프로세스 구축의 의미와 향후 과제   Cloud Computing 73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AWS IoT 서비스 (7) / 조상만 AWS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솔루션, IoT 트윈메이커 Ⅱ   Reverse Engineering 78 이미지 정보의 취득, 분석 및 활용 (11) / 유우식 정보의 가시화 88 포인트셰이프 디자인을 사용한 역설계 사례 / 드림티엔에스 자동차 서스펜션 스캔 데이터의 역설계 작업 과정   Mechanical 94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10.0 (6) / 박수민 크레오 파라메트릭 10.0을 사용한 금형 설계 116 국내 E-CAD 시장 분석과 전장설계 활용을 위한 제언 (1) / 구형서 국내 E-CAD 제품 시장 분석   Analysis 98 성공적인 유동 해석을 위한 케이던스의 CFD 기술 (3) / 나인플러스IT 복잡한 선박 형상의 메싱 간소화 102 앤시스 워크벤치를 활용한 해석 성공 사례 / 권기태 딥러닝을 사용한 해석 데이터 기반 메타모델 살펴보기 109 제품 개발의 새로운 방법론, MBSE (6) / 김태현, 전형재 MBSE 프레임워크와 플랫폼의 역할   PLM 120 제조기업의 미래를 위한 PLM 이야기 (9) / 김성희 클라우드 기반의 아키텍처를 고려한 PLM     캐드앤그래픽스 당월호 책자 구입하기>>   캐드앤그래픽스 당월호 PDF 구입하기>>    
작성일 : 2023-10-31
에릭슨엘지, "28GHz 서비스로 산업 현장의 5G 활용도를 넓힌다"
에릭슨엘지는 28GHz(기가헤르츠)를 사용한 이음 5G 기술을 소개하면서, 5G 네트워크 기반의 VR 서비스를 시연했다. 산업용 특화망인 '이음 5G'는 안정적으로 고속의 저지연 통신이 필요한 산업 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무선 통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에릭슨엘지는 "28GHz 기술을 통해 초대용량 데이터의 처리와 초저지연 통신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더욱 혁신적인 디지털 전환 사례의 구현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에릭슨엘지는 기자 대상의 간담회를 통해 28GHz의 차별성을 활용한 산업용 서비스 사례를 설명했다. 그리고, 에릭슨엘지의 이음 5G 솔루션인 EP5G 공식 파트너사이며 이음 5G 기간통신사업자로서 산업용 특화망 구축 경험을 갖춘 뉴젠스는 자사 랩에 설치된 EP5G 솔루션과 연동된 28GHz 네트워크 성능을 시연했다. 4.7GHz 환경에서 0.11 Gpbs 업링크 성능과 10밀리세컨드의 지연성을 보였는데, 28GHz에서는 1.2 Gpbs의 업링크 성능과 4밀리세컨드의 지연성을 기록했다.     또한, 엔비디아 공인 파트너사인 한국인프라는 엔비디아 CloudXR 환경에서 HMD를 착용하고 실감형 자동차 3D 모델 디자인을 협업으로 진행하는 데모를 진행했다. 한국인프라는 "이전에는 유선으로 연결된 무거운 GPU 장비를 몸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활동성에 제약이 있었으나, 이번 28GHz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 엔비디아의 CloudXR을 이용하면 소형 5G 28GHz 모뎀에 연결된 HMD 착용만으로 자유롭게 고해상도 VR 체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에릭슨엘지의 심교헌 엔터프라이즈 총괄 상무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혁신적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들 위주로 이음 5G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물류와 제조 영역이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면서, “점차 28GHz 관련 생태계가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보다 차별화된 서비스 사례 발굴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들과 국내 생태계 활성화와 서비스 사례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3-10-17
LG전자 주요 협력업체 및 관계사 리스트 정리
LG전자 국내 관계사 및 협력업체 명단      LG전자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 상호 주요사업 설립일 주소 엘지이노텍㈜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 매 1970.08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10로 30 ㈜하이프라자 전자제품 도,소매 1997.05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자동차부품 생산 및 판매 2021.07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322 하이엠솔루텍㈜ 기타 일반 기계 및 장비 수 리 2006.01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하이케어솔루션㈜ 용역서비스 2021.01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에이스냉동공조㈜ 공기조화장치 생산 및 판매 1998.11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수정로 299번길 43 ㈜하이텔레서비스 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 스 2009.12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56 가산빌딩A 지케이더블유라이팅시스템 즈코리아㈜ 자동차 조명 연구개발 2019.07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 322번길 ㈜하누리 사업시설 유지관리 2013.02 경기도 오산시 남부대로 464-16 이노위드㈜ 용역서비스 2012.05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5번로 26   국내 계열회사 현황 기업명 법인등록번호 ㈜LG 110111-0003543 ㈜LX홀딩스 110111-7875359 LG전자㈜ 110111-2487050 ㈜LX인터내셔널 110111-0004632 ㈜LG화학 110111-2207995 ㈜LG생활건강 110111-2208000 LG디스플레이㈜ 110111-0393134 ㈜LG유플러스 110111-1296676 LG이노텍㈜ 110111-0192180 ㈜지투알 110111-0375398 ㈜LX하우시스 110111-4071207 ㈜LX세미콘 160111-0089395 ㈜로보스타 110111-1655393 ㈜엘지헬로비전 110111-1144297 ㈜LG씨엔에스 110111-0516695 ㈜LG스포츠 110111-0359300 ㈜LG경영개발원 110111-0423494 ㈜LX엠엠에이 206211-0001805 ㈜미디어로그 110111-1905441 ㈜데이콤크로싱 110111-2234683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110111-2411520 ㈜하이프라자 131111-0028801 ㈜씨텍 110111-0589171 ㈜씨에스리더 110111-2271924 ㈜아인텔레서비스 180111-0367581 ㈜비즈테크파트너스 110111-2689507 코카콜라음료㈜ 110111-1342130 하이엠솔루텍㈜ 110111-3371989 ㈜씨에스원파트너 110111-3961756 ㈜에이치에스애드 110111-3076662 ㈜엘베스트 110111-3806267 ㈜하이텔레서비스 110111-4251552 ㈜한국음료 211311-0005197   ㈜곤지암예원 134211-0111354 해태에이치티비㈜ 110111-0900004 에이스냉동공조㈜ 135111-0047493 ㈜나눔누리 176011-0075546 이노위드㈜ 200111-0343156 ㈜하누리 134811-0262254 ㈜행복누리 150111-0172829 ㈜위드유 110111-5145556 ㈜LX판토스 110111-0208127 ㈜판토스부산신항물류센터 180111-0641133 ㈜헬리스타항공 120111-0528086 ㈜에프엠지 140111-0020096 ㈜밝은누리 150111-0206876 당진탱크터미널㈜ 165011-0011709 ㈜팜한농 110111-4362482 ㈜행복마루 110111-6140993 LG파루크㈜ 110111-6210647 ㈜미젠스토리 131111-0466580 ㈜미래엠 134211-0190259 ㈜드림누리 110111-6560282 태극제약㈜ 134811-0004367 ㈜그린누리 230111-0286144 ㈜한울타리 110111-6628337 ㈜로보메디 161511-0181019 ㈜울릉샘물 175811-0003526 ㈜루치펠로코리아 110111-5089316 ㈜에스앤아이씨엠 110111-7030507 ㈜유플러스홈서비스 110111-7343215 지케이더블유라이팅시스템즈코 리아㈜ 120111-1013094 ㈜로아코리아 110111-6932019 ㈜씨브이파트너스 110111-7687027 ㈜엘지에너지솔루션 110111-7701356 하이케어솔루션㈜ 110111-7737070 ㈜아름누리 150111-0302103 ㈜고운누리 134111-0575239 엘지마그나이파워트레인㈜ 120111-1161330   LG전자 타법인 출자 현황 (단위 : 백만원, 천주, %) 법인명 상장 여부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장부가액 엘지디스플레이㈜ 상장 1998.08.01 경영참여 3480623 엘지이노텍㈜ 상장 1999.10.01 경영참여 541538 ㈜하이프라자 비상장 1997.05.01 경영참여 136459 에릭슨엘지㈜ 비상장 2005.10.13 경영참여 38834 ㈜로보스타 상장 2018.07.17 경영참여 88112 ㈜로보티즈 상장 2017.12.15 경영참여 9000 하이엠솔루텍㈜ 비상장 2006.01.01 경영참여 3654 하이케어솔루션㈜ 비상장 2021.01.01 경영참여 - 에이스냉동공조 비상장 2011.05.01 경영참여 2480 ㈜아크릴 비상장 2018.03.16 경영참여 2000 ㈜하누리 비상장 2013.02.07 경영참여 360 ㈜하이텔레서비스 비상장 2010.01.01 경영참여 150 나라엠앤디㈜ 상장 1999.02.19 단순투자 22938 인베니아㈜ 상장 2001.01.01 단순투자 2997 비나텍 상장 2015.09.18 단순투자 13000 인공지능연구원 비상장 2016.07.28 경영참여 3000 스트라드비젼㈜ 비상장 2017.09.01 단순투자 133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비상장 2011.05.24 단순투자 1125 오라컴 비상장 2016.02.16 단순투자 833 나라엠텍 비상장 2005.11.01 단순투자 597 씨앤엠 비상장 2006.09.01 단순투자 400 이노프라 비상장 1999.02.01 단순투자 245 ㈜엔젤로보틱스 비상장 2017.05.02 단순투자 30 플레넷 비상장 2009.04.30 단순투자 - ㈜맥스웨이브 비상장 2004.12.01 단순투자 - 퓨처플레이㈜ 비상장 2019.06.27 단순투자 987 이엔테크놀로지㈜ 비상장 2019.06.27 단순투자 - 포티투닷㈜ 비상장 2019.10.01 단순투자 3500 레메디 비상장 2020.07.01 단순투자 1600 지이모션 비상장 2020.07.17 단순투자 1000 ㈜티랩스 비상장 2020.07.30 단순투자 1000 ㈜에임퓨처 비상장 2020.12.28 경영투자 800 ㈜이디더블유오 비상장 2021.01.11 단순투자 - (주)브이에이코퍼레이션 비상장 2021.07.29 단순투자 - (주)비바이노베이션 비상장 2021.08.10 단순투자 - 엘지마그나이파워트레인㈜ 비상장 2021.07.01 경영참여 - * 출처 : 2021년 6월 LG전자 사업 보고서  https://www.lge.co.kr/company/investor/businessReport   LG전자 관련 협력업체 리스트  신성델타테크 태화기업 엠에스이 디케이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삼아알미늄 TCC스틸 대성파인텍 대성파인텍  삼아알미늄   삼화콘덴서  신성델타테크  알루코  현우산업   에스지로보틱스 엔젤로보틱스 로보티즈 로보스타 아크릴 보사노바 로보틱스   * 이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관련 추가, 수정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적어주시거나 당사로 연락주세요.       
작성일 : 2022-03-13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19, 디지털 시대의 ‘리얼 트랜스포메이션’ 비전과 전략 제시
  델 테크놀로지스가 다가올 디지털 미래의 새로운 비즈니스를 위한 IT 솔루션과 신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19’ 행사를 8월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 센터 신관에서 개최한다. ‘Real Transformation’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에서는 디지털 미래로의 변화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기술들인 멀티 클라우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데이터보호, 스마트시티, 사이버 보안 등의 비즈니스 활용 방안과 이들 기술의 최신 동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국내 IT 업계 리더 및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하는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19는 김경진 총괄사장의 환영사와 존 로즈(John Roese) 델 EMC 최고기술책임자(CTO)의 기조연설로 막을 연다. 존 로즈 CTO는 기조연설을 통해 데이터 경제 시대를 이끌 신기술들과 이에 발맞춘 델 테크놀로지스의 비전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기조연설 후에는 KT 클라우드 사업을 이끄는 김주성 상무와 KB국민은행 IT그룹 이우열 대표의 혁신 사례 발표가 이어진다.  오후에는 ‘IT’, ‘애플리케이션’, ‘보안’, ‘업무 환경 혁신’ 분야를 주제로 한 총 28개의 세션이 마련된다. 각 세션에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내 맘대로 골라 쓰는 클라우드 ▲사례로 알아보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데이터관리 ▲Edge, IoT, 그리고 5G: 인간과 사물, 데이터로의 연결 ▲멀티 클라우드 세상에서 자유로운 데이터 이동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스마트 시티 등을 주제로 40분씩 강연을 진행한다. 더불어 델 테크놀로지스 산하의 VM웨어, 피보탈, RSA 또한 ▲디지털 워크스페이스 통합 관리, ▲애플리케이션 트랜스포메이션, ▲다차원 AI를 통한 보안 혁신 등 각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성공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신관 1층에 마련되는 엑스포(EXPO)에서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델 테크놀로지스의 최신 IT 인프라 솔루션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전시가 진행된다.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HCI) 및 컨버지드 인프라(CI) ▲ 스토리지 ▲네트워크 ▲서버 ▲데이터 백업 및 재해복구 등 분야별 최신 솔루션을 눈으로 확인하고 전문가로부터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량 시스템을 구축할 때 필요한 데이터의 수집, 분석, 보관 등 일련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시연도 진행되어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 예정이다.  포럼에 참석하는 여성 관람객들을 위해 ‘우먼 인 테크놀로지(Women In Technology, 이하 WIT)' 세션도 눈길을 끈다. 델 테크놀로지스의 APJ 지역 마케팅을 총괄하는 카린 브래니건(Karinne Brannigan) 수석 부사장과 ‘에릭슨엘지’의 임옥희 엔터프라이즈 기술 총괄 CTO 등 IT 분야를 이끌어온 여성 리더들의 강연과 에세이 분야 베스트셀러인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의 저자 김수현 작가와의 북콘서트가 열릴 예정이다. WIT 세션은 현업에 종사하는 여성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관람객 간의 네트워킹 기회도 제공된다. 한편 이번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19에는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삼성전자, KT, 브로케이드, 엠토스 솔루션, 대원CTS, 코오롱베니트, 에스씨지솔루션즈 등 30여 개의 글로벌 파트너사와 국내 총판사, 파트너사들이 참여해 자사의 솔루션들을 직접 소개하는 시간도 마련될 예정이다.
작성일 : 2019-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