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아웃스케일"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3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다쏘시스템, 아웃스케일 11번째 버전 공개하며 디지털 주권과 AI를 전면에 내세워
다쏘시스템의 브랜드인 아웃스케일(OUTSCALE)은 11번째 버전 출시를 맞아, 인공지능과 유럽의 디지털 자율성을 주제로 한 연례 행사에서 ‘소버린 경험(Sovereign Experience)’을 핵심 주제로 내세웠다. 아웃스케일이 이 행사를 통해 발표한 다섯 가지 핵심 내용은 ▲소버린 모드로 작동하는 엔터프라이즈용 AI 어시스턴트인 미스트랄 AI(Mistral AI)의 ‘르 샤(Le Chat)’ ▲엔터프라이즈 AI의 완전한 소버린화를 위한 아웃스케일 클라우드 기반 미스트랄 AI의 ‘라 플랫폼(La Plateforme)’ ▲성능, 복원력, 소버린을 강화하는 아웃스케일 쿠버네티스 서비스(Kubernetes as a Service)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Quantum as a Service : QaaS) ▲디지털 헬스 혁신을 지원하는 아웃스케일 × 파리상테 캠퍼스(PariSanté Campus) 파트너십 등이다. 아웃스케일은 2025년 9월부터 세크넘클라우드(SecNumCloud) 3.2 인증을 받은 소버린 클라우드에 미스트랄 AI의 다국어 어시스턴트 ‘르 샤(Le Chat)’를 도입하며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아웃스케일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르 샤는 데이터, 도구, 팀을 단일 인터페이스에 통합하여, 보고서, 마케팅 콘텐츠, 코드의 자동 생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르 샤는 내장형 자동 확장 기능 기능을 통해 워크로드(workload)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성능을 유지하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즈니스, 마케팅, 재무, 인사, 데이터 과학,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미스트랄 AI의 생성형 기술력과 아웃스케일의 주권 클라우드 역량을 결합해 혁신 가속화, 팀의 민첩성 향상, 조직의 경쟁력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아웃스케일과 미스트랄 AI는 아웃스케일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미스트랄 AI의 ‘라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 서비스는 세크넘클라우드 3.2 인증을 받은 인프라 상에서 운영되며, 다쏘시스템과 미스트랄 AI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만들어졌다. 또한, 라 플랫폼은 GPU 사용량을 최대 절반까지 절감하도록 최적화된 오픈소스 및 클로즈드 웨이트(close weights) 모델 카탈로그를 제공한다. 그리고 문서 인식 AI(OCR)와 코드 어시스턴트 등 산업 맞춤형 계층 기능이 추가되어, 공공 클라우드의 유연성과 내장된 보안 제어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라 플랫폼은 2025년 9월부터 운영되며, 아웃스케일과 미스트랄 AI의 전문가들이 보안 강화, 성능 최적화, 완전한 제어 권한을 지원한다. 아웃스케일 쿠버네티스 서비스 는 각 기업에 전용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수 분 내에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시끄러운 이웃(noisy neighbor) 현상 없이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제공한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오픈소스 표준과 호환되며, 퍼블릭 클라우드의 확장성과 관리 서비스의 편의성을 결합한 형태이다. 또한 세크넘클라우드 3.2 인증을 획득한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 상에서 운영되어, 엄격한 규제를 받는 산업에서도 데이터 주권과 기밀성을 보장한다. 2025년 3월 출시 이후 아웃스케일 쿠버네티스 서비스는 유럽 내 두 지역에 걸쳐 멀티 AZ 구성을 지원한다. 각 클러스터는 자동으로 세 개의 가용 영역에 분산 배치되어, 최대 99.95%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통해 서비스 중단 없이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한다. 또한, 컨트롤 플레인과 워크로드는 이중화되어 있고, VPC(Virtual Private Cloud) 격리와 암호화된 저장소를 통해 높은 수준의 보안도 함께 제공한다. 2025년 9월부터는 가용 영역 간 오토스케일링(cross-AZ autoscaling) 기능이 도입되어, 워크로드에 따라 컴퓨팅 및 스토리지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양자 컴퓨팅의 부상과 함께 새롭게 대두되는 주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아웃스케일은 유럽 최초의 완전한 주권 기반 양자 서비스인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을 출시한다.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은 내장된 오류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 노이즈 없는 계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은 미래 기술 환경에 대비해 설계되었으며, 2025년 11월부터 아웃스케일 데이터 센터를 통해 베타 버전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아웃스케일은 기업과 기관이 외국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고 24시간 365일 접근 가능한 환경에서 양자 알고리즘 개발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웃스케일과 파리상테 캠퍼스는 프랑스 및 유럽 전역의 디지털 헬스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세크넘클라우드 및 HDS(Hébergeur de Données de Santé) 인증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아웃스케일의 클라우드 및 AI 전문성을 바탕으로, 아웃스케일이 디지털 헬스 생태계를 위한 주권 기술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작성일 : 2025-06-24
다쏘시스템, 소버린 클라우드 기반의 정신과 의료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
다쏘시스템과 프랑스 과학 연구 재단인 ‘폰다멘탈 재단(FondaMental Foundation)’은 프랑스에 ‘정신과 전용 건강 데이터 웨어하우스(Health Data Warehouse)’를 전국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폰다멘탈 재단은 정신 건강 분야의 공동 의료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2007년에 설립됐다. 이 프로젝트는 프랑스의 2025년 공중보건 우선순위인 ‘진단 및 치료 연구와 혁신 역량 강화’, 즉 주권 기반의 보안성이 높은 프레임워크 내에서 복잡한 임상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활용하여 정신질환의 이해, 진단 및 치료를 개선하는 것에 부합한다. 다쏘시스템은 이 의료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구축함으로써 아웃스케일(OUTSCALE) 브랜드를 통해 처리 및 분석을 위한 의료 데이터 보안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 사항을 해결한다. 이 설루션은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증, 치료 저항성 우울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복잡한 질환에 대한 폰다멘탈 재단의 연구를 지원한다. 건강 데이터 호스팅 인증을 받고 프랑스 사이버방첩국(ANSSI)의 SecNumCloud 3.2 인증을 받은 ‘아웃스케일 소버린 클라우드’는 민감한 데이터, 특히 건강 데이터 보호를 위한 높은 수준의 표준을 충족한다. 다쏘시스템의 아웃스케일은 고성능의 독립적이고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며 컴퓨팅 성능,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결합해 정신 건강 상태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보다 정밀하고 개인화된 치료 접근 방식을 가능하게 돕는다. 프랑스 고등교육연구부가 설립한 폰다멘탈 재단은 정신의학 연구와 치료 개선에 전념하는 과학 협력 재단이다. 이 재단은 병리별로 특화된 54개의 전문가 센터 네트워크를 조정하며, 의료 전문가가 환자를 의뢰하여 종합적인 평가(신체, 정신, 신경심리)를 받도록 한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개인 맞춤형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환자의 동의를 얻어 대량의 임상 데이터와 생물학적 샘플을 수집한 후 익명화 해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와 바이오뱅크에 수집한다. 폰다멘탈 재단을 통해 지금까지 2만 명 이상의 환자가 상담을 받고 6000명이 진단을 받았으며, 각 전문가 센터에서 환자당 2000개 이상의 임상 변수가 수집됐다. 다쏘시스템과 폰다멘탈 재단이 구축하기로 협력한 ‘건강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정신과 의사, 일반의, 전문의 간의 더 나은 협업을 통해 환자 모니터링 개선, 치료 경로 최적화 ▲보다 정교한 진단과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가능 ▲엑스레이, MRI 또는 CT 스캔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의료 영상 분야의 현재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고급 분석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을 내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정신 건강에 통합하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쏘시스템은 폰다멘탈 재단과의 성공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희귀 질환, 심혈관 질환, 당뇨병, 신경과학 및 관련 의료 기관과 같은 다른 병리 분야로 접근 방식을 확장할 예정이다.  폰다멘탈 재단의 마리온 르보이어(Marion Leboyer) 전무이사는 “다쏘시스템과의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는 정신의학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도구를 갖추게 됐다”며, “안전하고 주권적인 환경에서 멀티모달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정신 질환에 대한 더 나은 이해, 더 정확한 진단, 더 적합한 치료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다쏘시스템과의 협업 덕분에 우리는 환자와 의료 전문가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정밀 정신의학에 대한 우리의 노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다쏘시스템 아웃스케일의 필립 밀틴(Philippe Miltin) CEO는 “폰다멘탈 재단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는 안전하고 규정을 준수하며 최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정신 건강 연구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면서, “이 안전한 건강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모두를 위해 건강 데이터에 관한 새로운 공동의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 우리의 설루션은 AI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보다 개인화되고 예측 가능하며 인간 중심적인 의료를 함께 구축한다는 대담한 포부를 담고 있으며, 이러한 혁신에 참여하고자 하는 다른 기관을 위한 진정한 참조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5-21
[칼럼] PLM에 AI를 품다
현장에서 얻은 것 No.18   “미래의 성공은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활용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 챗GPT   PLM에 AI 도입 본격화 지난 2022년 11월 챗GPT(ChatGPT)가 시장에 출시되고 난 후, 지멘스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2023년 4월 하노버 메세에서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생성형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문제 보고, 시각적 품질 검사를 통해 공장 자동화 AI 활용을 시장에 내놓았다. 그리고 생성형 설계(Generative Design)에 AI를 접목하는 것은 이미 상당히 현실화되었다. SAP는 2024년 6월 자사 AI 솔루션인 쥴(Joule)을 통해 클라우드 포트폴리오 전반에 비즈니스 AI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2024년 7월 다쏘시스템은 미스트랄 AI(Mistral AI)를 AI 파트너로 선정하여 PLM에 본격적인 AI 도입을 진행 중이다.(표 1)   표 1. PLM에 AI 도입 본격화, 요약 정리(Gemini)    그리고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기대되는 영역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표 2)   표 2.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AI 활용, 요약 정리(Gemini)    “기술이 발전할수록 인간의 창의성이 더 중요한 자산이 된다.” - 챗GPT   글로벌 PLM,ERP 기업의 AI 도입 전략 다쏘시스템은 미스트랄 AI와의 협업을 통해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플랫폼에 생성형 AI를 도입하여, 자연어 명령만으로도 3D 모델을 생성하거나 설계를 수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버추얼 트윈 기술과 연계하여 실제 제품과 동일한 가상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제품 개발 전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는데 AI가 큰 도움을 주리라 예상된다. 지멘스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업을 통해 애저 AI(Azure AI)를 활용하여 엑셀러레이터(Xcelerator) 포트폴리오의 예측 유지보수 기능을 고도화하고, 품질 관리 시스템을 강화한다. 오픈AI(OpenAI)의 GPT 모델을 활용하여 자연어 처리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지속 가능한 생산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SAP는 쥴(Joule)을 통해 제품 전체에 AI를 확장하여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AI 플랫폼을 구축하려고 한다. 머신러닝, 딥러닝 등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예측 분석을 통해 의사 결정을 지원하며, S/4HANA와의 긴밀한 통합을 통해 기업의 모든 데이터를 활용하여 더욱 정확한 예측과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PTC는 크레오(Creo)에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기능을 추가하여 엔지니어들이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설계 옵션을 빠르게 생성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R(증강현실) 기술과 결합하여 엔지니어가 실제 제품을 보듯이 설계를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여 사물인터넷(IoT) 데이터를 활용한 예측 유지보수, 품질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차이점 및 시사점을 살펴보면, 각 기업은 자사의 강점과 비즈니스 목표에 맞는 AI 파트너를 선택하여 협력하고 있다. 주요 기술은 생성형 AI, 디지털 트윈, AR, 머신러닝 등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며, 차별화 포인트는 각 기업은 자사의 플랫폼과 강점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 다쏘시스템은 버추얼 트윈, 지멘스는 디지털 트윈, SAP는 ERP와의 통합, PTC는 제너레이티브 디자인과 AR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대 효과로는 모든 기업의 공통적인 목표는 AI를 활용하여 제품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주요 PLM 기업들은 AI를 활용하여 제품 개발 과정을 혁신하고,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각 기업은 자사의 강점과 시장 환경에 맞는 AI 전략을 추진하며, 경쟁적으로 AI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는 제조업의 미래를 변화시키고, 더욱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는 도구다.” - 챗GPT   미래를 설계하는 AI : 다쏘시스템의 PLM 혁신 전략 다쏘시스템의 AI 전략은 산업계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전환점에 있다. PLM(제품 수명주기 관리) 솔루션과 인공지능(AI)의 접목은 기업이 제품 개발, 제조, 공급망 관리, 그리고 고객 경험 등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2024년 7월 ‘다쏘시스템-미스트랄AI와 파트너십 체결… 3D익스피리언스에 LLM 제공해 고성능 생성형 AI 경험 제공’이라는 소식이 알려졌다. 미스트랄 AI는 프랑스의 언어 모델 개발 및 관련 서비스 제공 기업이다. 양적은 물론 질적인 면에서도 유럽권을 선도하고 있는 인공지능 업체이며, 아파치 라이선스 기반의 오픈소스 정책을 통한 확장 정책을 펼치고 있다. 활성 매개변수를 통한 높은 효율성을 위주로 홍보하고 있다. 2023년 4월, 구글 딥마인드와 메타의 파리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임직원들이 설립했다. 2023년 6월, 에릭 슈밋 등의 투자자들로부터 2억 4000만 유로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으며 1억 500만 유로 투자를 조달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다쏘시스템과 미스트랄 AI 두 회사가 어떤 전략을 시장에 내어 놓을지 알아보고자, 전략과 주요 내용을 홈페이지 등에서 찾아서 기업 성장 맵으로 만들어 보았다.    그림 1. 기업 성장 맵 ‘다쏘시스템의 AI 협업 전략’(Map by 류용효) (클릭하면 큰 그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쏘시스템과 미스트랄 AI의 협업 전략 : LLM 기반의 혁신 미스트랄 AI는 LLM(대규모 언어 모델)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과 결합하여 PLM 솔루션의 기능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이 협업을 통해 다쏘시스템은 PLM 솔루션 내에서 AI를 활용한 예측 분석, 데이터 통합, 그리고 사용자 정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 및 설계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미스트랄 AI의 LLM은 대규모 언어 모델링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자연어 처리 및 생성에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이를 통해 다쏘시스템의 고객들은 제품 설계와 개발 단계에서 더욱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AI는 방대한 설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거나, 공급망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여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쏘시스템은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웃스케일(OUTSCALE)을 통해 AI 솔루션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아웃스케일은 미스트랄 AI와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 보안과 시스템 성능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다쏘시스템은 고객들에게 고도의 데이터 보호와 동시에 신속한 처리 능력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웃스케일의 보안 클라우드 환경에서 AI 모델을 훈련시키고 배포할 수 있는 능력은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산업군에서 특히 중요하다. 이는 생명 과학, 헬스케어, 금융 등과 같은 분야에서 AI의 활용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아웃스케일의 성능 최적화와 더불어, 다쏘시스템의 고객들은 다양한 AI 응용 프로그램을 유연하게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AI와 PLM의 결합 :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 AI와 PLM의 결합은 미래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다쏘시스템의 전략은 이 두 기술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을 가속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I는 제품의 수명주기 전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제품 개발과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중심의 접근 방식은 특히 복잡한 공급망 관리, 고객 맞춤형 제품 개발, 그리고 지속 가능성 목표 달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AI는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여, 기업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AI는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기업이 미래의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상업적 적용과 라이선스 문제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필요성 다쏘시스템의 AI 전략은 상업적 적용 및 라이선스 문제에 있어서도 중요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미스트랄 AI의 기술을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라이선스 계약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AI 기술의 상용화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다쏘시스템이 미래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에 있어 필수 요소이다. 예를 들어,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 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은 AI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 비용과 사용 조건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다쏘시스템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고객들에게 명확하고 투명한 라이선스 정책을 제공함으로써, AI 기술의 도입과 확산을 지원하고 있다.   디지털 혁신의 촉매제로서의 AI 다쏘시스템의 AI 전략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디지털 혁신의 촉매제로서 작용하고 있다. PLM 솔루션과 AI의 결합은 제조업 및 설계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으며, 기업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다쏘시스템은 이러한 전략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욱 강력한 도구와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자 한다. “변화에 대한 저항이 아닌, 변화에 대한 준비가 기업을 성공으로 이끈다.” - 챗GPT   마무리하면서 이 글을 쓰면서 또 한 번 씁쓸하지는 마음이 있다. 생성형 AI가 나왔을 때, 한국에서는 지구 어느 나라보다도 뜨겁게 이슈가 되었다. 하지만, 2년의 시간이 흘러 우리는 여전히 어디로 가야 할 지 모르는 미궁 상태로 보인다. 기업이든 솔루션 회사든 결단이 필요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용기가 필요해 보인다. 정부 지원이나 작은 스케일로 접근하는 우리나라의 접근 방식이 글로벌 시대의 변화에 맞는가 하는 의문은 계속 생긴다. 생성형 AI 역시 외국 기업에서 또 다시 큰 비중을 차지해 나가며, 만들어지는 솔루션을 또 다시 우리나라 기업에서는 도입해야만 할 것 같아 보인다. 뭐가 문제일까? 세계 속에서 주목할 만한 우리의 소프트웨어는 게임 외에는 없을까? 여전히 따라가야만 할까?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저력은 디테일함에서 온다고 믿는다. 떄론 무모한 질문 때문에 한국을 ‘도깨비 나라’라고 부르던 외국인도 있었지만, 지금은 사정이 달라질 것 같다. 지금은 질문을 많이 그리고 디테일하고 창의적인 방향으로 하는 시대임에는 분명하다. 변화의 준비, 그리고 무모함이 우리를 또 한 번 크게 변화시키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류용효 디원의 상무이며 페이스북 그룹 ‘컨셉맵연구소’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현업의 관점으로 컨설팅, 디자인 싱킹으로 기업 프로세스를 정리하는데 도움을 주며, 1장의 빅 사이즈로 콘셉트 맵을 만드는데 관심이 많다. (블로그)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0-04
다쏘시스템 아웃스케일, 쿠버네티스 전문 기업 ‘새틀라이즈’ 인수
다쏘시스템의 아웃스케일(OUTSCALE)이 24시간 관리 전문성을 제공하는 쿠버네티스 서비스 개발 및 운영 전문 기업 새틀라이즈(Satelliz)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전략적 인수로 아웃스케일은 쿠버네티스를 통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분야에서 새로운 역량을 갖춰 클라우드 기술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전망이다. 아웃스케일은 새틀라이즈와 함께 가용성과 보안성이 뛰어난 쿠버네티스 솔루션을 통합해 확장된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이루고, 계속해서 증가하는 현대 기업의 유연성, 효율성 및 보안에 대한 요구를 직접적으로 충족한다. 새틀라이즈의 기술을 통합하며 아웃스케일은 24시간 매니지드 쿠버네티스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새틀라이즈 인수를 통해 아웃스케일은 고객이 기존처럼 복잡하게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민첩성을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아웃스케일의 전문성과 결합한 새틀라이즈의 매니지드 솔루션을 사용하면 동적인 시장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6년까지 컨테이너 인스턴스의 75%가 공공 클라우드 환경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3년의 50%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에 있어서 쿠버네티스가 필수가 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장은 IT 인프라를 현대화하고 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신속하게 적응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아웃스케일은 이번 인수로 고객은 완전 관리형 쿠버네티스 인프라를 이용해 현재의 확장성과 고가용성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할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워크로드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쏘시스템의 필립 마틴(Philippe Miltin) 아웃스케일 CEO는 “이러한 역량은 혁신을 추구하고 데이터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기업에게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아웃스케일의 쿠버네티스 최적화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벤더의 컨테이너화된 제품을 지원할 필요성을 충족해 새로운 통합과 협업 가능성에 대한 유연성과 개방성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런 접근 방식은 최적의 성능과 전례 없는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프랑스와 유럽의 데이터 주권 규정을 엄격하게 준수한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4-07-18
다쏘시스템-미스트랄 AI, 신뢰할 수 있는 AI 기반의 산업용 솔루션 위한 파트너십 발표
  다쏘시스템과 프랑스의 인공지능 기업인 미스트랄 AI(Mistral AI)가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 최첨단 AI의 역량을 산업 분야에 제공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다쏘시스템은 자사가 내세우는 ‘생성 경제(Generative Economy)’의 시대에서 “산업은 제품에서 경험과 지속 가능성으로 전환하고, 가상 세계를 활용하여 실제 세계를 확장하고 개선해야 한다”면서, 미스트랄 AI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비롯한 AI 기술의 발전이 이 여정을 가속화할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버추얼 트윈 경험은 과학적 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AI를 결합하여 미래의 인력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들은 산업 지식과 노하우를 드러내며, 지적 재산을 보호하면서 신뢰성을 요구하는 산업의 요구에 부응한다. 다쏘시스템은 미스트랄 AI의 LLM, 특히 엔터프라이즈급의 ‘미스트랄 라지(Mistral Large)’ 모델이 자사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정확성, 응답성 및 지속가능성 성능 사이에서 균형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쏘시스템과 미스트랄 AI는 파트너십을 통해 다쏘시스템의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웃스케일(OUTSCALE)에 ‘LLMaaS(Large Language Models as a Service)’를 추가할 계획이다. 이 신규 아웃스케일 서비스는 아웃스케일의 인프라를 활용하며, 미스트랄 AI의 상업용 LLM을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기준인 SecNumCloud와 함께 제공된다. 또한, 양사는 몇 초 안에 방대한 산업 지식과 노하우를 탐색하고, 다쏘시스템의 35만 여 산업 고객을 위한 대규모 데이터 자산을 강화하는 등 LLM이 지원하는 생성형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미스트랄 AI의 아서 멘쉬(Arthur Mensch) CEO는 “다쏘시스템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모든 사람을 위한 고성능, 효율성,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라는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하게 됐다”면서, “다쏘시스템의 인프라와 산업 솔루션을 활용하여 최첨단 생성형 AI의 사용을 촉진하는 공동 미션을 진전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다쏘시스템의 플로렌스 휴-오비니(Florence Hu-Aubigny) R&D 부문 수석 부사장은 “우리는 AI 기반의 버추얼 트윈으로 전 세계 산업을 재창조하는 여정을 계속하고 있다. 미스트랄 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 생성 경험을 제공하여 과학적 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AI, LLM을 포함한 독특한 조합을 아웃스케일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파트너십은 AI 기반 산업용 솔루션을 위한 강력한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우리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4-07-09
다쏘시스템, 다쏘 에비에이션과 '주요 국방 프로그램'에 클라우드 협약 체결
다쏘시스템과 다쏘 에비에이션(Dassault Aviation)은 지난 6월 20일(현지시각) 파리 에어쇼에서 양사 간 장기 파트너십에 이어 주요 국방 프로그램에 클라우드 상에서 최고 수준의 보안성과 주권, 그리고 협업을 제공하기 위해 협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다쏘 에비에이션은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클라우드 상에서 활용해 차세대 전투기를 개발할 계획이며, 이는 유럽의 안보와 국방에 자주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미래전투항공시스템(FCAS, Future Combat Air System) 산업 협력의 핵심 프로젝트다. 해당 클라우드는 다쏘 에비에이션의 기존 환경 내에 구축될 예정이며, 프랑스 국가 사이버 보안 기관으로부터 최고 수준의 보안 인증인 ‘섹넘클라우드(SecNumCloud)’ 자격을 획득한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아웃스케일(OUTSCALE)을 통해 운영된다. ▲ 다쏘시스템 파리 에어쇼 2023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다쏘 에비에이션과 파트너들이 고도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환경에서 더욱 신속하게 전투기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전용 소버린 국방 클라우드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그램 관리, 설계, 시뮬레이션 및 기타 분야에서 다쏘시스템이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제공하는 최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에릭 트라피에(Eric Trappier) 다쏘 에비에이션 회장 겸 CEO는 “프랑스와 유럽은 최상의 기능을 갖춘 공동 국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소버린 클라우드 역량을 구축해야 한다. 이미 유럽 외부에서는 이러한 이니셔티브가 시행되고 있으며, 경쟁에서 뒤쳐지기 않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쏘 에비에이션은 산업 설계자이자 주권 기술, 프랑스 및 다국적 협력에서 주요 군사 프로그램에 대한 주요 계약 경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를 통한 산업 제품 개발 디지털 솔루션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다쏘시스템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국방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사이버 규정에 적합하고 클라우드에 맞춰 진화하는 최초의 협업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쏘시스템은 다쏘에비에이션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해당 인프라를 다쏘 에비에이션의 모든 신규 프로그램까지 확대해 원활하고 규정을 준수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관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버나드 샬레(Bernard Charlès) 다쏘시스템 회장 겸 CEO는 "현대 사회는 시민의 보다 안전한 미래를 보장할 수 있는 국방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고도로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산업 혁신자들은 개발의 모든 단계를 보호하기 위해 프로그램과 생태계의 기존 협업 방식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쏘 시스템과 다쏘 에비에이션의 파트너십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최고 수준의 보안성을 갖춘 유럽 소버린 클라우드 출범을 위한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다쏘 시스템은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소버린 클라우드 파트너로서, 국방 분야 수준의 보안성을 의료 및 공공 서비스와 같은 다른 산업에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쏘 에비에이션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이 가진 ‘위닝컨셉(Winning Concept)’, ‘프로그램 엑설런스(Program Excellence)’, ‘코-티자인투타겟(Co-Design to Target)’, ‘레디 포 레이트(Ready for Rate)’ 등의 산업 솔루션 경험을 바탕으로 매우 복잡한 시스템과 프로그램의 개발을 단순화하고 효율화해 예산, 일정, 성능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작성일 : 2023-07-04
다쏘시스템,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 아웃스케일 브랜드 공개
다쏘시스템은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신뢰감 있고 유지 가능한 클라우드 시스템인 아웃스케일(OUTSCALE)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2010년 설립된 아웃스케일은 엔터프라이즈 급의 클라우드 인프라(IaaS) 및 온프레미스(on-premise)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2017년 다쏘시스템에 인수됐다. 다쏘시스템은 데이터 과학, 버추얼 트윈 경험 및 프로세스 모델링을 결합한 아웃스케일 생태계를 통해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비전을 내세우고 있다.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브랜드로 재편된 아웃스케일은 하이퍼 확장이 가능한 인프라 제공부터 비즈니스 경험을 기반으로 한 주요 환경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까지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토대로 아웃스케일은 정부 및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전략적 파트너로서 이점을 취하고, 기업 고객의 내부 시스템 상에서 신뢰 있는 협업을 제안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아웃스케일은 사용자가 기존 데이터의 장점을 활용하고 시장정보 및 조직과 생태계에 관한 노하우를 전달하도록 돕는다.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잘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비즈니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아웃스케일은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위한 시장 정보 및 비용 최적화, 인재 관리, 혁신 가속화, 자산 정보 등을 제공한다. 아웃스케일은 회사의 풍부한 데이터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체 플랫폼들을 확장시키며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을 돕는다. 다쏘시스템은 40년간 축적되어온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생태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아웃스케일은 비즈니스 경험을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사이버 거버넌스(cyber governance)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다쏘시스템은 국가별 정부에 대응하는 유럽 국가 클라우드(European Sovereign Cloud)를 위한 첫 연합 구성을 발표했다. 이 연합은 방크 데 테리토리스(Banque des Territoires), 라포스테 그룹의 디지털 자회사인 도카포스테(Docaposte), 부이그 텔레콤(Bouygues Telecom)과의 합작으로 이루어진다. 아웃스케일의 창업자인 로렌 세로(Laurent Seror)는 이사회를 이끌게 된다. 그리고 프랑스의 다국적 기술 컨설팅 기업 아토스(Atos)의 디지털 산업 부분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필립 마틴(Philippe Miltin)이 아웃스케일의 최고경영책임자(CEO)로 임명되었다. 그는 아웃스케일의 기존 구축된 클라우드 솔루션 포트폴리오 및 마케팅을 담당할 예정이다. 또한 아너드 벌트랜드(Arnaud Bertrand)는 R&D 부문 수석 부사장으로 아웃스케일에 합류했다. 그는 최근까지 최근까지 아토스의 자회사인 불(Groupe Bull)에서 근무하며 빅 데이터 및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다쏘시스템의 파스칼 다로즈(Pascal Daloz)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다쏘시스템은 각 고객의 핵심 비즈니스와 밀접하게 연결되고 여러 수준에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도출할 수 있는 종단 간 독립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40년간의 업계 전문 지식을 적용하고 있다”며 “헌신적이고 풍부한 경험,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진 아웃스케일은 고객의 파트너로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2-11-29
다쏘시스템, 자회사 통해 일본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
다쏘시스템은 클라우드 부문 자회사인 3DS 아웃스케일(3DS OUTSCALE)이 도쿄 인근에 3개의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고 일본 시장에서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0년 설립된 아웃스케일은 엔터프라이즈 급의 클라우드 인프라(IaaS) 및 온프레미스(on-premise)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2017년 다쏘시스템에 인수되면서 '3DS 아웃스케일'로 회사명을 바꾸었다. 보안 기능을 갖춘 자체 클라우드 운영체제인 TINA OS를 기반으로 오픈소스 개발과 API를 통한 자동화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3DS 아웃스케일은 유연성과 보안을 내세운 온디맨드 리소스 카탈로그가 포함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서비스로는 ▲맞춤형 가상머신(VM) ▲아웃스케일 오브젝트 스토리지(OOS)를 포함한 블록 모드(BSU) 및 오브젝트 모드의 스토리지 서비스 ▲가상 프라이빗 클라우드, 가상 사설망, 로드 밸런서 유닛 및 다이렉트링크(DirectLink) 등 네트워크와 보안 서비스 등이 있다. 이번에 오픈하는 3DS 아웃스케일의 일본 서비스는 3개의 데이터센터와 두 개의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으로 구성된 클라우드 리전을 통해 제공된다. 3DS 아웃스케일은 미국, 유럽에 이어 일본 시장까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확장하고, 산업 및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하는 현지 기업에게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 지식과 역량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3DS 아웃스케일은 "일본 서비스는 첨단 기술과 높은 수준의 국제 표준 인증을 받았으며, 일본 내 규정에 따른 데이터 주권과 보안을 보장한다"고 밝혔다.  IDC에 따르면 일본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특히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도입 속도 증가에 힘입어 2024년에는 264억 달러(약 29조 8700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2019년과 비교하면 5년 만에 2.4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3DS 아웃스케일의 David Chassan CSO(최고전략책임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채택과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고려하면, 일본이 아시아 지역에서 3D 아웃스케일의 클라우드 허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1-03-29
MapR, 데이터 패브릭 환경 구현하는 새로운 MapR Orbit Cloud Suite 출시
MapR(MapR Technologies, www.mapr.com)이 MapR Orbit Cloud Suite를 출시했다. 광범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역량을 제공하는 MapR Orbit은 기업들이 단일이나 다수의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또는 엣지(edge) 환경에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패브릭(data fabric)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클라우드 빌더(cloud builder)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를 위한 고급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기업들은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경제성, 비즈니스 민첩성 등의 혜택을 얻고자 하지만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요소적인 접근은 다수의 서비스에 의존해야 하며 이는 기업의 심각한 복잡성을 야기한다. 클라우드 제공업체 간의 비호환성에 따른 종속성을 예로 들 수 있다. 엣지 단까지 아우르지 못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데이터 격리를 발생시키며, 자국의 클라우드 규제 사항과 지리적으로 분산된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과의 균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도전과제들이 있다. MapR은 이러한 도전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MapR Orbit Cloud Suite를 새롭게 출시했다. MapR Orbit은 MapR 단일 데이터 플랫폼을 최적화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분석 및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비즈니스 민첩성 및 오브젝트 티어링(object tiering)과 같은 클라우드-규모 경제성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프랑스의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아웃스케일(Outscale)의 최고경영자(CEO) 롭 로스보루그(Rob Rosborough)는 “아웃스케일은 전세계적인 IaaS 클라우드 제공업체로서 MapR 단일 데이터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파일, 데이터베이스, 이벤트 스트림에 저장돼 있는 데이터에 신속한 접근을 제공하고 비즈니스의 주요한 운영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며, “MapR을 서비스 형태 또는 비즈니스 연속성 솔루션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을 위해 아웃스케일은 글로벌 데이터센터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퍼블릭, 하이브리드,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많은 고객들이 이미 MapR이 제공하는 멀티-테넌트 기능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우리는 MapR을 통해 다양한 업계에서 미래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17-09-05
다쏘시스템, 클라우드 기업 아웃스케일 최대 주주로
다쏘시스템(www.3ds.com/ko)은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아웃스케일(Outscale)의 지분 다수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다쏘시스템은 빠르게 성장하는 클라우드 기업 가운데 하나로 위상을 강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산업 부문 기업들의 디지털 혁신 지원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 지난 2010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아웃스케일은 시스코 CMSP Advanced, 100% Intel Cloud Technology, 넷앱 알타볼트 등 업계 최고 기준 인증을 받은 엔터프라이즈급 서비스형 클라우드 인프라(IaaS) 업체로 유럽, 북미, 아시아 등에 위치한 10 개 데이터센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웃스케일은 계산,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클라우드 리소스 조정 및 자동화를 통해 복잡한 환경에서도 클라우드 플랫폼을 손쉽게 구축, 관리하고 가용성을 향상시켜주는 안정적인 자체 클라우드 운영시스템 TINA OS를 개발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다양한 현장에서 유연한 시간 활용을 통해 제품 혁신이 필요한 기업에게 복잡한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의 인프라 구축 및 관리 업무를 없애면서도, 즉각적인 구축, 탄력적인 컴퓨팅 및 스토리지 리소스, 데이터 보안, 지속적인 지원, 모니터링 및 운영, 단일 데이터 소스를 통한 실시간 협업, 시공간적인 접근성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다쏘시스템은 아웃스케일의 초기 투자자로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과 12 개 산업 분야의 3D 설계, 시뮬레이션, 디지털 제조를 지원하는 최대 규모의 산업 솔루션 제품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데 있어 아웃스케일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다쏘시스템은 클라우드 리소스 및 서비스에 대한 원활한 관리를 통해 ▲활동 피크 관리 ▲산업 부문 다각화 ▲신규 기능 구축 ▲향상된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아웃스케일의 로랑 세라(Laurent Seror) CEO는 “다쏘시스템의 이번 투자를 통해 아웃스케일은 기술적 혁신과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을 위한 위한 추가적인 리소스를 확보했다”고 말하며 “클라우드에 특화된 아웃스케일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고객의 비즈니스 민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우리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다쏘시스템의 파스칼 달로즈(Pascal Daloz) 기업 브랜드 개발 담당 부사장은 “아웃스케일은 데이터 주권 컴플라이언스를 충족시키는 엔터프라이즈급 클라우드 리소스를 전세계적으로 제공하며 자사의 고유한 클라우드 아키텍쳐의 역량을 증명해왔다”고 말하며 “다쏘시스템은 이와 같은 아웃스케일의 접근 방식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점차 확장되고 있는 사용자와 사용용도에 따라 더욱 합리적이고 편리한 방식으로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고객들에게 더 다양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작성일 : 201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