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씽크포비엘"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8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리스트(2310개사 명단)
중소벤처기업부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공급기업 * 스마트공장사업관리시스템 (smart-factory.k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스마트공장추진단) 개방 데이터입니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사업관리시스템에 등록되고 스마트 공장을 보급하는 공급기업에 대한 정보입니다. * 데이터 구성은 부여번호, 회사명, 대표자, 주소, 담당자, 담당자직위, 담당자 전화번호 순입니다. * 상세 데이터는 첨부 파일 참조 등록일 : 2024-04-11   기업명_1 기업명_2 기업명_3 기업명_4 피플앤드테크놀로지 이성 캠틱종합기술원 케이에스콘컨설팅지원단 한국인공지능제조이니셔티브 금화이엔에스 삼성물산앤텍 에이블에스티에이 인터테크 인텔리팅스 호인 경북테크노파크 서울테크노파크 남동기계 노르마 단디코리아 모비스 섹타나인 에이씨앤티시스템 엔텔스 오시에스티 조인피아정보 진성엠텍 커머스톤컨설팅 케이피엠 콤텍시스템 킨스미디어 포에스텍 )알엠에이 3디나라 Dev. ROFA TIS 가온코리아 감소프트 강한이노시스 거화엔지니어링 경성하이테크 경한 경화상사 고영로보틱스 고영테크놀러지 고우아이티 구름소프트 국보파텍 국제아이티기술원 국진과미래 굿케이소프트 그립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금강기계산업 기맥 기승에프에이 기업혁신센터 기창인포텍 나노브레인 나눔오토메이션 나라정보시스템 나라정보시스템 나연아이티 나온웍스 나인에스티 난다소프트 난소프트 남강하이테크 네모아이씨지 네오세미텍 네오슬론 네톰 네피리티 네픽티앤에스 넥사 넥사디에스 넥스모어시스템즈 넥스젠아이씨티 넥스톰 넥스트소프트 넥스트스퀘어 넥스티지 넥스파시스템 넥투비 노도시스 노드플러스 노바소프트 노바테크 노스브릿지 노스텍 뉴럴넥서스 뉴럴테크 뉴로클 뉴젠아이엔에스 뉴트릭스테크놀로지스 니어네트웍스 닉스앤블루 다래아이엔씨 다성테크 다온에이치앤에스 다온테크놀로지 다울 다윈솔루션 다음테크 단군소프트 당야아이텍 대곤코퍼레이션 대덕시스템 대덕알앤디 대암정보기술 대연씨앤아이 대영초음파 대한테크 더더씨앤씨 더모모스 더모인비 더블유비에스(WBS) 더블유앤이케이 더블유티엠 더블제이이엔씨 더이앤비 더이지스이엔지 더존비즈온 더프라임그룹 데브짓수 데이터온 데카엔지니어링 도담솔루션 동남이앤아이 동서시스템 동서정보기술 동양기술 동연에스엔티 동우 동우글로벌 두성로보텍 두성에이엔씨 두손씨앤아이 두손씨엔에이 두타아이티 드리미 드림시스 드림에프에이 드림이앤씨 드림테크 드림티엔에스 디바텍 디비에스아이 디스코 디에스원부산공장 디에스텍 디에프엑스 디엑스솔루션즈 디엑스테크 디엔비소프트 디엘정보기술 디엠비코리아 디엠솔루션 디오시스 디원 디월드 디지포레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디트리플 디티앤조이 디파인트리 디플럭스씨앤씨 딥시스 딥테크놀러지 라보테크 라스테크 라온씨엔에스 라온테크 라인공작소 라인테크시스템 라임 랩씨드 랩이오사 랩큐 러닝랩 러닝비전 레브웨어 레인아이 로드와이즈 로멕스테크놀로지 로보게이트 로보아이 로보원 로보틱스 로봇템 로파 루비시스 루텍에스 리얼인포 리우시스템 리코시스템 리텍 리팩 링크업인포텍 링크제니시스 마로로봇테크 마리소프트 마스인포텍 마스터 마이링크 마이크로모스 마이키 마키나락스 망고시스템즈 매직시스템 맥스링솔루션 메카스 메타뷰 멘토티앤씨 명문소프트웨어 모두솔루션 모디 모로보기 무한씨앤씨 무한콘트롤 미래로시스템 미래쏘프트웨어 미래와도전 미래융합정보기술 미래이엔에이 미래정보기술 미래테크원 미르나인 바이어블비젼 바이오시스텍 바이텍테크놀로지 바이투 바질컴퍼니 바코드랩 반석시스템 밸류컴패니언 밸리언트데이터 버텍스아이디 베이스온 보강시스템 보티 본텍 봄소프트 부품디비 브라이트날리지 브레인컨설팅 브로넥스 브릭 브이엠에스솔루션스 브이웨이 블루넥스 블루넷 블루비즈 블루비즈창원지점 비스아이티 비스텔리젼스 비아이씨엔에스 비알테크 비앤비시스템 비앤에프소프트 비에스지파트너스 비엔씨정보기술 비엔아이 비엠티 비젠아이 비주얼소프트 비쥬얼데이타 비즈A&C 비즈니움 비즈데이터 비즈솔루션코리아 비즈앤테크컨설팅 비즈플러그 비즈플러스글로벌 비지언스 비타소프트 비트정보기술 비티씨 비파이브 빅데이터랩스 빅스소프트 빅아이 빅정보기술 빅토리지 빅파워솔루션 빌트원 사람과기술 사이버테크프랜드 삼부시스템 삼성디지탈솔루션 삼인시스템 삼일정보시스템 삼정산업 삼정시스템 삼정아이앤에스 삼환미디어 새롬씨앤씨 새롬테크 새힘정보기술 샘터 샤인소프트 샤코시스템 서보산전 선도솔루션 선일기연 선진기술 성공닷컴 성민소프트 성완소프트 성우인터내셔날 성창 성화정보기술 세광기전 세븐아이티 세아소프트 세인이엔에스 세인인포테크 세종 세피스 세한메카트로닉스 센소프트 센스픽스 센트럴인사이트 소금 소르테크 소프트원 소프트원창원지사 소프트탑 솔루더스 솔루윈스 솔바텍 솔브리드플러스 솔코 솔트소프트 쇼우테크 수소프트 슈가폴 스마트비전텍 스마트솔루션 스마트씨에스 스마트에스엔 스마트컴퍼니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스맥 스맥 스카다아이씨티 스코인포 스타라이트 스타웰즈 스페이스솔루션 스페이스솔루션 스피랩 시그너스 시그너스정보기술 시너젠 시너지웨어 시스너 시즐 시큐웍스 신기엔지니어링 신라정밀 신룡 신세계아이앤씨 신양전기 신일이앤씨 신화기술 심플랫폼 심플북 심플소프트랩 쌍용소프트웨어 썬소프트 쏘마 쓰리뷰 쓰리에스인포 씨디알아이 씨알정보기술 씨엘씨테크 씨엘아이코리아 씨테크시스템 씨피에스 씨피엠에스 씽크포비엘 아라아이티이엔지 아람솔루션 아림티엔씨 아마다코리아 아세아엠텍 아셀씨앤아이 아이디알시스템 아이디알인비전 아이디에스앤트러스트 아이리더스 아이메저 아이비엔티 아이비엘 아이씨엔아이티 아이에스씨 아이에스엔 아이에스티엔 아이엠 아이엠솔루션즈 아이엠알 아이엠지 아이엠티에프에이 아이오이소프트 아이워드솔루션 아이웍스 아이유티 아이지 아이지피넷 아이컴플러스 아이투프럼 아이트리온 아이티공간 아이티기술 아이티나라사람들 아이티맨 아이티에스 아이티에프 아이티엔모아 아이티엔씨 아이티엔제이 아이티케어 아이페타 아이피씨앤비 아이피에스오토 아콘스 아크라인소프트 아토스 아트만앤컴퍼니 아트만파트너스 아페스 아프로 아프로스 안랩 알소프트 알앤디씨 알앤디프로젝트 알앤씨소프트 알앤제이아이씨티 알에이비테크 알에프아이오티 알에프엑스소프트 알티자동화 알파시스템 알피네트웍스 애니스마트 애니캐스팅소프트웨어 애니토이 앰에이치솔루션 앱도 언브로 에디넷 에로바테크놀러지 에버원소프트 에스디테크 에스비아이티 에스씨티 에스아이에스 에스아이티그룹 에스알시스템 에스에스알 에스엔제이솔루션 에스엠디시스템 에스엠원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에스엠투네트웍스 에스엠티코리아 에스엠해썹 에스이랩 에스이씨 에스이파트너즈 에스지아이시스템 에스지유 에스케이팩 에스코프로 에스큐솔루션 에스티 에스티에스로보테크 에스파 에스피앤알 에어릭스 에이멕스엔지니어링 에이블정보시스템 에이스게이트 에이스정보기술 에이시에스 에이아이엠 에이아이웨어 에이아이티 에이에스씨 에이에스피엔 에이엔디시스템 에이엔솔루션 에이치시스템 에이치씨엔씨 에이치아이티에스 에이치알티시스템 에이치앤케이소프트 에이치에너지 에이치엔티 에이치지씨 에이치케이정보 에이치케이텍 에이치피에스이엔지 에이텍모빌리티 에이티씨 에이티앤지 에이티엠 에이티엠이엔지 에이티지소프트 에이프로테크 에코시안 에프로봇 에프앤제이 에프에이데이타 에프에이씨엔에스 에프엠코리아스 엑센솔루션 엑타스 엔소프트 엔스마트솔루션 엔씨비 엔씨씨 엔에스비전 엔에프에이 엔와이티지 엔이에스 엔이피에스 엔집 엔트로정보기술 엔티아이 엔티엔시스템즈 엘렉시 엘렘 엘빅스 엘제이텍 엘지헬로비전 엘케이랩 엘탑 엠디아이에스 엠브이텍 엠시스아이씨티 엠씨링크 엠씨모션 엠아이티 엠아이티아레아 엠아이티에스 엠에스링크앤솔루션 엠에스벤터 엠에쓰아이 엠에프알씨 엠엔비젼 엠엔에스아이씨티 엠유트론 엠일일사 엠제이씨솔루션 엠지아이에스 엠케이코어텍 엠티엠이엔티 엠티지 엠프라 여몽 연암테크 연합시스템 영전산기 영창로보테크 예민소프트 예즈 오렌지아이 오롯소프트 오르카아이티 오성테크놀로지 오토기기 오토로보틱스 오픈피엘씨 온코어에스엔티 올스웰 와이더 와이드티엔에스 와이시스템 와이씨디아이에스 와이앤제이테크 와이이코퍼레이션 와이제이솔루션 와이제이테크놀러지 와이즈소프트 와이즈엠시스템즈 와이티 용봉스마트 우리이노베이션 우신아이티솔루션 우원이엔지 운약근답올핏 웅진 워크앤아이티 원데이터기술 원소프트다임 원스텝 원종기계 원퍼스트 월드씨앤에스 월드웰 월드이엔지 웨다 웨이스 웰스테크 위너다임 위더스아이앤티 위더스이십일 위드아이티 위드인포텍 위버맨시 위저드정보시스템 위즈스마트 위트코시스템즈 위플랫 윈드밸리 윈텍에스에이 윈티앤에스 윈플러스정보기술 윌두 유노믹 유노비젼 유니로보틱스 유니정보 유미테크 유민커넥트 유비즈 유비즈솔루션 유비컴 유비코스 유비크코리아 유스하이텍 유아이티테크 유온아이티 유와이즈원 유일로보틱스 유토닉스 유토비즈 유티소프트 유플렉스소프트 유피시앤에스 은일 이글루시큐리티 이너피플 이노더스 이노로봇 이노베이스 이노소프트기술 이노시스아이티 이노액티브 이노테크파워 이노텍 이디코어 이레기술 이로젠 이루에프에이시스템 이룸커뮤니티 이맥스 이맥스글로넷 이맥스글로벌 이맥스솔루션 이맥스정보기술 이맥스하이텍 이씨스 이아이피 이앤비솔루션 이앤시스 이에스테크놀로지 이엔에스티 이엠텍 이유랩 이음기술 이음아이씨티 이음인터렉티브 이젠솔루션 이젬코 이즈소프트 이즈파크 이지스시스템 이지아이티컨설팅 이지엠에스아이앤씨 이지오피스 이지원플러스 이지웹 이지지오 이지테이크 이지트론 이지팜 이투이솔루션 이튜 이프온시스템 인더스트리얼에이아이 인맥 인밸류비즈 인버스 인스턴 인왕글로벌 인이지 인커스소프트 인컴솔루션 인타운 인터페이스정보기술 인텔리코드 인투솔루션즈 인투와이즈 인포솔루션 인프라시스템 일양엔지니어링 일오삼씨앤에스 일원정보기술 일주지앤에스 일진정보 임픽스 잇츠아이 잉클 재상피앤에스 제너지 제니스정보기술 제드팩토리 제스엔지니어링 제이디 제이비소프트 제이빌드테크 제이솔루션 제이스마트솔루션 제이시스 제이씨엔에스 제이에스시스템 제이에스티 제이엔이웍스 제이엠비 제이엠에스컨설팅 제이원로보틱스 제이이노텍 제이지컴퍼니 제이캐스트 제이티에스 조인트리 주원이앤에스 중원이노베이션 지능디자인 지니어스 지니어스 지니테크 지다스테크놀러지 지디엔 지디엔시 지디엠홀딩스 지란지교시큐리티 지성아이티 지승 지아이소프트랩 지앤아이 지에스아이티 지에스티 지에이치엠씨 지엘테크 지엠소프트웨어 지엠피아이티 지영커뮤니티 지오 지오넥스 지텍자율주행로봇센터 지투시스넷 지투아이넷 지티씨엔에스 지피시스템즈 진산인포시스 진성테크템 진원이엔지 진코퍼레이션 차후 창진에스씨 창해디티에스 채움아이티 청송엔지니어링 카리스마아이텍 카스 카이디어 캐드정보기술 캐디언스시스템 캠텍 캡시스 커머스랩 컬처릿 컴넷정보공학 컴젠 컴파스시스템 컴퓨터메이트 케이경영연구소 케이비드 케이시스템 케이씨에스 케이아이에스 케이알앤에이 케이앤솔루션 케이앤엘정보시스템 케이에스아이 케이에스티정공 케이에스피소프트 케이에이치시스템즈 케이원아이티 케이트 켐토피아 코드원 코디정보통신 코랩인터내셔널 코리아소프트 코리아엔지니어링 코리아트리즈 코아시스템 코아칩스 코어링크 코어스 코체인솔루션스 코티스 코포텍 콕스랩 콘웰 쿠노소프트 쿨스 쿼티시스템 퀀텀스타 퀘스트정보기술 큐라움 큐버솔루션 큐알피 큐이노텍 크로이스 클라우드나인 클루커스 클릭원스 클비시스템 타스코 태진시스템 테크네트 테크다스 테크스캔코리아 텍스타일아이앤씨 토바 토인 투곰스 투비시스템 투비트 투톤 트위니 트윔 티라로보틱스 티라이프 티씨씨아이엔에스 티아이씨 티알 티앤테크 티엔케이에이아이 티엠씨융합컨설팅법인 티즈 티지에스컨설팅 티투온라인 티허브 파란정보통신 파워웰 팜아이앤씨 팜존에스엔씨 팩토리아이씨티 팹스넷 퍼스타 퍼스트아이 퍼스트알앤디 퍼즐시스템즈 펨트론 포스아이 포스테크 포스텍 포엠텍 포원시스템 포젠정보기술 포커스윈 포커스정보 표준엔지니어링 프레버소프트 프렉소프트 프로봇 프로토코리아 프론티스 프리오 프린트로보 프린팅웍스 플라잎 플랜아이 플랜투비즈니스컨설팅 플레이오니 플로시스 피스웰 피스티스 피스페이스 피엠파이브 피케이씨소프트 픽스로봇 필드유 하이네트서비스 하이데이타 하이젠 하이컴텍 하이텍정보시스템 하티오랩 한국기술경영원 한국능률협회컨설팅 한국마이콤 한국바코드정보기술 한국비즈넷 한국오픈솔루션 한국인프라 한비이앤씨 한빛레이저 한성오토 한양포장기계 한울정보 한일솔루션 한터테크놀러지 한텍 한텍솔루션 해내시스 해밀에프에이 해솔정보기술 해썹원 허브솔루션 헤븐트리 헬퍼로보틱스 현영소프트 현정보시스템 홍익과학기술 홍익솔브 휘스커 휴넷가이아 휴맥스홀딩스 휴먼딥 휴먼아이티솔루션 휴먼텍 휴컨 휴템 흥성엔지니어링 3A-Solutions ABB코리아 BFA cicoeng CNSONE(씨엔에스원) CSW소프트 DAir(디에어) EGI GS시스템 ISL계기 LG유플러스 Listen4u MakersLo ME시스템 OK버원시스템 OPENTS SIMPAC홀딩스 SIWONSRI SK쉴더스 SK SK텔레콤 SK플래닛 SystemEngineeringKorea WILL-B WinnersAutomationCo.,Ltd. ㈜인텐스소프트 가나시스 가람전자 가온소프트 가온정보기술 가온플랫폼 가이아텍 가후자동화기술 감프정보기술 강한솔루션 거림아이티 거민시스템 건영기계 건우정밀 건흥TECH 경남테크 경동로봇 고려엔지니어링 고스포드 공유씨앤씨 구름 구슬 구우정보기술 국제전산개발 굿티소프트 그란코 그린솔루션 그린아이티 그린온 글래스돔코리아 글로벌링커스 글로벌엔지니어링 글로벌하이세스 금강F.A 금강공업 금강오토텍 기공시스템 기성테크 꿈나무이야기 나누미전산 나스텍 나이스솔루션뱅크 나이스솔루션 나인티시스템 나테크시스템 남경소프트 내담씨앤씨 네모소프트기술 네모시스템즈 네오테크 네이처아이 넥스젠(NEXGEN) 넥스타테크놀로지 넥스트 넷큐브 넷킬러 넷플러스 노리시스템 노마드랩(nomadlab) 노블시스템 노스스타컨설팅 농심엔지니어링 누리꿈소프트 누리솔루션 뉴21커뮤니티 뉴젠제트 뉴젠홀딩스 다겸 다다인포 다름 다모아시스템 다빈소프트 다빈치이미징 다성공 다우데이타 다인정보 다일시스템 다임리서치 닮은꼴소프트 대경테크 대곡엔지니어링(dkeng) 대광테크 대림스타릿 대림전기 대명산업기술 대명포장기계 대성산업정보시스템사업부 대성솔루션 대성정보시스템 대신티엔아이 대영기계공업 대웅소프트 대웅이엔지 대윤계기산업 대한에프에이시스템 대한피앤씨 대호테크 더베스트 더브로시스템 더블유피솔루션즈 더블유피솔루션즈영남지사 데이타시큐리티 데이타엠테크 데이터랩(Data-Lab) 데이터사이언스랩 데이터에듀 데이터텍 덴티움 도넛소프트 도미노코리아 도울정보기술 도원정보 동국시스템즈 동성종합상사 동우fa 동우팜투테이블 동원테크 두레정보 두베 두이엔지 듀팩장원기계 드림소프트웨어 디노웍스 디딤솔루션코리아 디바이즈솔루션 디버스코리아 디브이아레나 디비밸리 디시스 디알비오토메이션 디에스엠이정보시스템 디에스테크 디에스티 디에이치텍 디오에프연구소 디인사이트 디제이메디 디지이노 디지코리아 디지테크정보 디케이랩 디케이이노베이션 디티패스 디포커스 딥파인 라온로보틱스 라온비즈컴 라온프렌즈 라온피플 랜택시스템코리아 랩투마켓 런시스 레드빈소프트 레보소프트 레이드백 레이월드 레인보우시스템 로고스아이티 로드브레인 로드에프에이 로봇밸리 로비고스 로이랩스 로임시스템 롯데정보통신 리얼시리우스 리얼타임테크 리치앤타임 리컨소프트 리팩시스템 링크투어스 마누메디텍 마이헨지 마크로버 마크베이스 마크애니 맥스트 메가존클라우드 메디케이시스템 메리츠엔지니어링 메이커스 메이크노우 메틀러토레도코리아 명도시스템 모노소프트 모던에이아이비전솔루션 모비어스 모이다 모토텍 무진소프트 문수산업기술 미건에스티 미라콤아이앤씨 미래마킹 미래산업 미래소프트웨어 미르지엔아이 미르텍 미소정보기술 미주아이티 민소프트 민소프트 밀레테크 밀리언웨어 바로 바론코리아 바이오소프트 바인컴퍼니 바코 발멧 뱅가드랩 범광기전 범일기계 베러마인드 베셀 베스트에프에이 베이스 베텍 보국에너텍 보아스소프트 보틀즈 부광테크윈 부산인터넷방송국 부영엔지니어링엔지엠피 뷰메진 블루마린시스템 블루비즈랩 블루시스 블룸 비디에스인포컴 비아이소프트 비앤에프테크놀로지 비에스시스템 비에스엔씨 비에스엘코리아 비엑스티솔루션 비엔씨인포텍 비엔티시스템 비엘두 비자림 비전세미콘 비젠트로 비젼하이네트 비주얼테크 비컴솔루션 비컴시스템 빅메이커 사이텍 사출아카데미 삼미정보시스템 삼보엔지니어링 삼보테크놀로지 삼에이시스템즈 삼영기계 삼원에프에이 삼익THK 삼일소프트웨어 삼진웰텍 상상인테크 생각샘터 서울다이나믹스 서울마이크로시스템 서울소프트 선반도체 선우아이오티 성수이엔지 성영로보틱스 성우에스에프에이 성원파워텍 성준전기 성진아이앤드티 성창테크 성화 세경ENG 세광특수종합미싱 세명하이테크 세븐솔류션즈 세이프씨엔씨 세종뉴텍 세중아이에스 세진기계 세현Tech 센스정보통신 소프트이에스 솔라미 솔루션코리아 솔리드이엔지 솔바테크놀러지 솔뱅크정보 솔트룩스 솔트룩스이노베이션 수로보틱스 수영이엔지 수테크 수테크 쉐카이나 슈어데이터랩 슈퍼대디 스마트HACCP&팩토리 스마트잭 스마트로봇연구소 스마트마인드 스마트솔루션 스마트솔루션즈(협) 스마트업 스마트엠앤에프그룹 스마트융합센터 스마트쿱 스마트팩토리 스토리오브시스템(StoryofSystem) 스틸리언 스페이스뱅크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유한회사 슬랙앤소프트 슬로우 시그마텍시스템즈엘엘씨 시내산아이티 시너지시스템즈 시스웨어 시스트로닉스 시안소프트 신광테크 신라정보기술 신명로보텍 신성ENG 신성정보기술 신아FA 신안테크 신영솔루션 신영테크 신진메카텍 신한에어로 신현정보통신 실버태그 실크라인 심플리즘 싱글톤소프트 써로마인드 써모피셔사이언티픽코리아 썬덴코리아 썬소프트 썬에스피테크 쎌톤(SELTON) 쓰리디산업영상 쓰리샤인 쓰리코에프에이 쓰리피로봇 쓰리피체인 씨디알시스템 씨씨웰 씨아이씨소프트 씨앤씨에이드 씨에스지 씨에프티유한책임회사 씨엔로봇 씨엔비스 씨엠씨테크 씨와이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씨티아이앤씨 씨티알로보틱스 씨피툴스코리아 아강테크 아더웍스 아리아리ICT 아리아텍 아비만엔지니어링 아성테크 아세테크 아스펜스 아스프로바 아시아나IDT 아엠씨소프트 아우시스템 아이둡 아이디비 아이보우소프트 아이비센터 아이비에스 아이센트릭 아이솔루션 아이씨티웨어 아이씨티피플 아이앤디소프트 아이앤지코리아 아이앤티 아이에스비 아이엔아이티 아이엔지글로벌 아이엠로보틱스 아이엠시스텍 아이엠에스 아이원소프트뱅크 아이케이텍 아이코드랩 아이큐패드 아이테크기술 아이투 아이티이노베이션 아이티스코 아이티씨지 아이티에스시스템 아이티존 아이티즈 아이티컨버젼 아이티콤 아이티팜 아이피엘엠에스 아임토리 아주큐엠에스 아주테크윈 아크릴 아트라스콥코코리아 아티스시스템 아프로비에이 알고스 알엠텍 알파(R_Fa) 알파에프에이 알파엔지니어링 암스텍산업 애니온 앨빈즈 어플라이드테크놀로지 엄지닷컴 에너지기술서비스 에너지닥터 에너지움 에스넷시스템 에스디티 에스랩 에스링크비즈니스 에스브이솔루션 에스아이솔루션(S,I솔루션) 에스아이에스 에스에스시이엔지 에스에프존 에스엘평촌알앤디센터 에스엠에이티 에스엠피 에스엠허브솔루션 에스와이시스템 에스이랩스 에스이테크놀로지 에스제이이엔지 에스지소프트 에스텍 에스티에스 에스티엘소프트 에스피앤지 에쓰소프트 에이닷 에이드인더스트리스 에이드정보기술 에이블아이엔티 에이스정보시스템 에이스타테크 에이앤피산업 에이에프 에이엠경덕 에이엠스퀘어 에이엠알랩스 에이온 에이원 에이원솔루션 에이원정보기술 에이윈소프트 에이젠 에이치디솔루션즈 에이치비에스테크 에이치씨엔씨 에이치앤아이씨 에이치앤피테크놀로지 에이치에스글로벌 에이치에스소프트 에이치에스에스 에이치엔아이엑스 에이치엔아이엑스 에이치엔아이엔씨 에이치엔아이엔씨 에이치엔이노밸리 에이치엠씨 에이티에스 에임시스템 에코로드 에프아이티 에프원소프트 에프원테크시스템즈 엑스오 엔셀 엔솔루션스 엔아이디소프트 엔에스비 엔에이치아이에스 엔엔피시스템 엔엠시스코 엔지아이테크 엔지엘 엔클로니 엔터빌더 엔포스 엔피에스시스템 엘도움 엘바츠소프트 엘앤코리아 엘에스시스템 엘에스아이티씨 엘에스엠트론 엘에스일렉트릭 엘지에너지기술 엠디하이텍 엠시스랩 엠아이큐브솔루션 엠엔디시스템 엠엔씨오토메이션 엠엔알소프트 엠엠테크놀로지 엠이티 엠제이소프트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엠투어플 연소프트 열림정보시스템 영림산업 영림원소프트랩 예스바이오 오경정보시스템 오리진 오리진컨설팅 오상자이엘 오씨아이정보통신 오에스씨엔택 오엔에스커뮤니케이션 오토텍 오토파워 오픈컨트롤 옥토시스 온라인바다 온아이티시스템 온오프랩 올아이티 올포넷 올하우 와이시스 와이케이시스템 와프(waff) 우리테크 우림이엔지 우성기전 우영산업 우진큐&텍 울랄라랩 원더솔루션즈 원소프트 원시스템연구소 원오토메이션 원원테크 원프레딕트 웨이브그램 웰메이트 웰탑테크노스 위너스에프에이 위데이터랩 위미르 위앤아이티 위즈온협동조합 위지스 윈디 윈텍 유니닥스 유니드 유니에버 유니온시스템 유디에스 유라 유로지스넷 유림정보시스템 유비스톰 유비즈정보기술 유스엠 유앤아워스 유앤아이올투원 유엑스아이 유엔디 유일엔지니어링 유주티엔씨 유징테크 유한책임회사포엑스포 유한회사성우메카트로닉스 유한회사청천 유한회사코아시스템 유호스트 이그린테크 이노넥스소프트 이노데일 이노오토텍 이노테크 이노팀스 이노팩토리 이노포스트 이노플랫 이든비즈텍 이든앤컴퍼니 이래정보 이레엔지니어링 이룸기술 이비오 이삭엔지니어링 이상고 이솔소프트랩 이솔아이티 이수시스템 이쓰리피에스 이아이시스템 이안에스아이티 이앤디일렉트릭 이에스 이에이트 이엔아이 이엔유 이엠솔루션 이엠시티 이오정보 이지솔루션 이지시스 이지시스템 이지아이디정보 이지에스소프트 이츠코어 이큐마이크론 이크론소프트 이플러스 이피피에스 인공지능팩토리 인더스트리엑스퍼트그룹 인버터기술 인사이드솔루션 인실리코 인정보기술 인제니오에이아이 인콘소프트 인터그래텍 인터텍 인텍오토메이션 인텍원 인텔리즈 인텔리코리아 인프라닉스 일광산업기술 일진씨앤에스 자두소프트 자유로운소프트 자이솜 자이언트팩토리 자이오넥스 재단법인세종테크노파크 재성전기 재이시스템 재현AUTONICS 전진이엔지 정우엠브이에스 정우하이테크 정현소프트 제니스이엔지 제르메스 제이드테크 제이디텍 제이랩 제이메디덴 제이솔루션 제이씨엔에스(JC&S) 제이씨엠 제이앤비소프트 제이에스글로벌 제이에스테크 제이에스테크 제이엔이시스텍 제이엘테크(JLtech) 제이원솔루션 제이투테크 제이피에스코리아 제이픽스 제일엔텍 제타소프트 제트핑거소프트 젠틀에너지 젯스퍼트 조앤소프트 조은인포텍 조은전기 조이랩 조이팩토리 조인텍스컴 주)가자 주)대일엔지니어링 주)리눅스아이티 주)솔트 비에스피솔루션 가람에이앤피 가온아이티 가이온 가주정보기술 거성개발 고성엔지니어링 그린캠퍼스 글로벌탑테크 금강시스템스 기원테크 나다 나우로보틱스 나우리 나이스테크 낭만상회 내셔널옵틱스 네오유비 네오컴즈 네트워크코리아 넥솔시스템 넥스에이아이티 노드데이타 노드블랙 노리앤드 노버스메이 뉴로메카 뉴로센스 다만듬소프트 다바랩 다온씨엔에스 다인이엔지 단비 대단 대도 대성로보텍 대한아이앤에스 더모모스 더블에스텍 더블오 더블유엔피 더블유피 더블티 더쎈 데이터다이나믹스 뎁스 도구공간 도성하이텍 동아에프에이 동아티지 동양엔아이엔씨 동우지씨에스 두루소프트 두잇 드림소프트 드림이에스 디밀리언 디벨룹 디아이엔씨 디에이치테크 디에이치테크 디엑사 디엠스튜디오 디엠테크컨설팅 디와이엠씨 디지털바인즈 디코 디타스 딥브레인 라임프렌즈 라플러스 래딕스 러봇 레드키 로그인서광 로드피아 로맨 로탈 로픽 루텍 루트시스템 리더스알앤디 리쉐니에 리스너 리안 리엔씨소프트 리오소프트 리오정보기술 린치핀 마르다 마이스 마크원테크 만인의공평한법률 매일정보기술 매직에코 맨앤로봇 멀티로봇 메이븐 메이어스 메이크 메타덱스터 모빅랩 모은정보기술 몰드케어 무른모 미라클시스템즈 미러웍스 미트소프트 미트웨어 바로에이아이 바스떼 바심 바우텍 베이스원 베터리얼 벡스 보라 보토 부현 뷰시에스 브릭스 브릴리언트시스템즈 브릴스(BRILSCorp.) 블로켓 비던 비디텍 비알지 비에스소프트 비에이치데이타시스템 비엔씨테크 비잉테크 비전라이즈 비전에프에이 비즈니스인사이트 비즈비 비즈에스아이 비즈웰 비즈코퍼레이션 비즈포스 비츠로시스 비카누스 비컨코리아 사라시스템 삼영씨앤씨 삼오기공 삼익의공간 삼인에이치엔티 상동 성신에프에이 성진플러스 성하에너지 세원에스텍 소나무정보기술 소프트넷 솔루션베이 쉐어드원 스마트앤유 스마트에스아이 스마트원큐 스마트웨이브 스마트해썹앤팩토리 스콘 스피폭스 시너지솔루션 시노시스 시스노바 신라시스템 신성씨에스 심비즈코리아 심지 싸이텍 썬더디에스 썬에이치에스티 쏨텍 쓰리데이즈 쓰리디오토메이션 씨메스 씨앤디 씨앤에프에이 씨앤테크 씨에스리 씨엠티 씨테크시스템 아우라프리시젼 아이브 아이시냅스 아이에스엠씨 아이엔포 아이엠지로드 아이커넥트 아이투엘 아이티몬 아이핌 아이하랑 아인커뮤니케이션 아크웰 아테스 아프로푸드 알텐코리아 알티엠 암스 애드아임 애드온소프트 애브리 애자일소다 에스더블류에스 에스아이웨어 에스앤디인포 에스에이치아이 에스에프이 에스엠티비전 에스케이이 에스티이피 에이비에이치 에이스로보테크 에이아이네이션 에이아이비즈 에이에스씨 에이엠시 에이치비전 에이치아이디 에이치앤아이 에이치앤케이이앤지 에이케이시스템 에이투지로보틱스 에이투지시스템 에인트체인소프트 에티버스 엔에스솔루션 엔케이시스템 엔터인 엔티로보틱스 엔피비컨설팅 엘로이랩 엘앰캐드 엘지알앤디 엠디알 엠아이테크 엠이티 엠제이비전테크 엠테스 엠투코리아 엣지크로스 여누솔루션 영광테크 오웬스그룹 오즈시스템 오토 오토메스텔스타 옥토 올립스 와따 와이리즘 와이씨코퍼레이션 와이알솔루션 와이앤와이 와이젠테크 와이즈컨 와토솔루션 와트 우드앤소프트 우성기계 우진코퍼레이션 원플 웨이츠 웨코 웰티에스 웹싱크 위에이아이 위존강남사업장 위트소프트 윌네트 유니전스 유니컴퍼니 유디에이시스템 유락 유비덤 유비즈 유비테크 유시스 유일전산 이노비 이맥스아이씨티 이맥스에스엔시 이모두 이안 이에스지테크 이에스티 이엔에스코리아 이엔지소프트 이엠에스 이엠포커스 이지아이 이지엠 이트랜드 이플러스 인그리드 인더핸즈 인랩 인바이트 인베스티 인시스템 인터엑스 인포마인드 일렉트릭스 정도기술 제로클래스랩 제스엔지니어링 제스텍 제오시스 제이솔루션 제이앤케이씨 제이엘티 제이엘티 제이이엔지 제이투모로우원 제이플랩 제타 줌인테크 지경솔루텍 지넷시스템 지로보틱스 지메이드 지비소프트 지성솔루션컨설팅 지아이엠티 지앤씨소프트코리아 지앤아이시스템즈 지에스에프시스템 지에스피솔루션 지엔디비즈 지엠티 지오이즈 지오티솔루션 지텍 칼만텍 캐디언스시스템글로벌 캐롯아이 커스토메이드 컴퓨터메이트경기 케이교정원 케이디에이 케이어드밴텍 케이언트 케이이노텍 케이티 켄즈 코덱스브리지 코레토 코보시스 코아솔루션 코인트컴퍼니 쿳션 큐오 크레아텍 크레오티 키미이에스 키소스 키플러스 타이니웨이브 타키온테크 태성소프트기술 테이크 텍트원 토탈이엔지 투두 투비시스템 트니랩인 트라이비스 트라이포드랩 트러시스시스템 티라유텍 티비씨 티앤엠테크 티에스엠알앤디 티에스티이 티원 팀솔루션 파람스 파스이엔지 파시디엘 팔피엠 팜소프트 팩앤롤 팩토리솔루션 퍼스펙티브 페니소프트 평화아이씨티 포블럭스 프라이머리넷 플레이팅코퍼레이션 피엔아이 피엔에이 피엘피엔지니어링 피플인사이드 하나로보텍 하드웰소프트 하이브테크놀로지 하이스마트 하이지노 하이퍼놀로지 한경솔루션 한국네트웍스 한국미래에너지 한국스마트해썹 한국엠프로 한국유체 한국자동화기술 한다랩 한빛테크윈 한사랑시스템 한성데이타시스템 한진에프에이에스 현대디에스 호우캐스트 화담소프트 화이트박스 뉴아틀란 다울피피티 디노 마스터코리아 맥스피아 미소시스템 벗님지유아이 세정로봇 수인정보 신성정공 싸이언 에스엠피쓰리 에스지 에스티솔루션 에어풀 에이디에스테크 에이테크 에이피씨소프트 엔에스솔루션 원오토텍 위피엔피 유유랑컴퍼니 이노템즈 이디티 이엠솔루션 인써프 인포젠 제이앤케이컴즈 제패 진영비엔씨 케이피티 코어텍 큐빅스 타스 타운넷 테이큰소프트 투유즈 튜링시스템 포인트시스템 하림솔루션 한영에스에프 화인소프트 휴웰프라임 주인정보시스템 중외정보기술 중원 지남소프트 지비로터리 지성소프트(jisungsoft) 지식시스템KSTEC 지아이컴퍼니 지아이티 지아인홀딩스 지에스아이티엠 지에이치온 지엔소프트 지엔지소프트 지엔티소프트 지엔티피플 지엘티코리아 지엘파워 지오디에스(GODS) 지오디엑스 지오지에스 지원ENG 지음소프트 지이티 지인씨앤아이 지컴패니 지피헬스 진성알엔디 진승정보기술 진영에프에이 진흥기계 징코스테크놀러지 참바른기술 청아시스템 체킹 카멘스 카이엠 칸에스티엔 칼라토크 캐드윈시스템 케이데이터랩 케이디인터내셔널(KD) 케이베이스 케이아이티밸리 케이엠디지텍 케이지아이씨티 케이티에스 케이티하이텔 코너스톤테크놀러지 코닉오토메이션 코로아이 코론 코리아솔루션 코리아스마트시스템 코메스 코베스트 코비솔루션 코스카 코아글로벌 코아정보기술 코앤코시스템 코어엠 코오롱베니트 코코넛사일로 코코스소프트웨어협동조합 쿠라고아시아 쿤텍 큐브세븐틴 큐빅테크 큐시스템 큐이알피 크레스프리 크레플 크리샤 큰솔시스템 클라우드네트웍스 클래드코리아 클릭원스 키움소프트 타이거컴퍼니 타이아 태성테크놀 태진솔루션 태창기계공업 터크코리아 테라씨스템 테라앤금일 테라스트림 테스트웍스 테이아 테크앤아이코리아 텔스타 투윈시스템 트라이텍 트루메카 트리오엔지니어링 트리플렛 티쓰리큐 티아이에스 티에스아이코리아 티에스에스 티에스엔랩 티에이케이정보시스템 티엔씨파트너 티엔에스에이아이 티엠디 티오에스 티티아이 팀레피소드 팀에브리웨어 팁스밸리 파란소프트,포토솔루션 파워레이저 파워인사이트 파이오링크 파이팅랩 파인로봇 패스컴바인 퍼씨엠 평화하이텍 포메이션랩스 포스켄 포스코DX 포와이즈 포인트 포테닛 포휴먼테크 폴스타에프에이 푸른들소프트 푸름인더스트리 퓨처메인 프라임컴퓨터 프레임소프트 프로인스텍 프리즘 피디엠테크 피앤피어드바이저리(P&PAdvisory) 피엘지 피피에스 필리퍼 하나머티리얼즈 하드콘 하이네트서비스 하이로보틱스코리아 하이젠모터 하이텍앤솔 한국교정시험기술 한국도키멕대구공장 한국보싸드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소니전자 한국솔루션 한국스마트기술센터 한국아이엘에스 한국아즈빌 한국에어로소프트 한국오므론제어기기 한국요꼬가와전기 한국전기 한국전력정보 한국제일 한국코바텍 한국트럼프지엠비에이취 한국환경안전관리 한국후지냉기 한국후지필름비즈니스이노베이션 한독기술 한맥콘트롤즈 한빛에스아이 한솔피앤에스아이티서비스부문 한스마테크 한스코시스템즈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한양로보틱스 한영디에스 한울시스템 해솔정보시스템 허브디티 헤리트 헬로우피플 현대오토에버 현대정보시스템 화담소프트 화인정보기술 효원기계 효원테크 효원텍 휴먼시스템    
작성일 : 2025-04-04
한국산업지능화협회, ‘디지털 혁신 웨비나’ 통해 중견기업의 DX 인사이트 공유
한국산업지능화협회가 11월 21일 기업의 디지털 전환(DX) 추진 전략 학습을 위해 ‘중견기업 디지털 혁신 웨비나’를 진행하면서, 실제 DX 추진 중견기업인 코맥스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여정을 소개했다.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우리 기업에 적합한 공급기업을 찾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에 진행된 올해 6회차 디지털 혁신 웨비나는 이런 DX 수요 중견기업의 목소리에 맞춰, 기업에서 DX를 추진할 때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맞춤형 교육과 함께 제조 중견기업인 코맥스의 디지털 전환 추진 여정에 대해 공유했다.     첫 번째 세션은 한국산업지능화협회 디지털 혁신 기술위원회 위원장인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이사가 ‘DX 공급기업 체크리스트’라는 주제로 DX 수요기업의 공급기업 선택 방법에 대한 포인트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코맥스의 김시현 부문장이 코맥스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DX 비전과 데이터 활용 및 내부 DX 인력 개발 등 전사적인 DX 추진을 위한 노력 방안에 대해 공유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NHN 클라우드의 정수지 과장과 함께 중견기업의 DX에 대한 고민과 이슈를 주제로, 수요기업의 DX 추진 성공을 위한 다양한 의견과 조언들을 패널토의 형식으로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웨비나를 총괄한 한국산업지능화협회의 추현호 부단장은 “이번 6회차에서는 DX를 추진하고자 하는 수요 기업의 입장에서 어떤 교육이 필요할 것인지 수요자 입장에서 고민했다. 앞으로도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교육, 콘퍼런스,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3-11-21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제 1회 중견 DX 챌린지데이 개최
한국산업지능화협회가 10월 25일(수) 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지원하고자 디지털 전환 기술을 보유한 공급기업과의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중견 DX 챌린지데이’를 성료하였다고 밝혔다. ‘중견 DX 챌린지 데이’는 디지털 전환 추진을 희망하는 중견기업과 혁신 기술을 보유한 유망 공급기업을 매칭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행사로 특히 이번 1회 행사에서는 ‘공정혁신 유형 DX 솔루션’을 테마로 진행하였으며 중견기업, 대·중소기업, 투자자, 스타트업, 유관기관 150여명이 참여했다. 첫 번째 세션은 DX One Point Lesson으로 디지털혁신 기술위원회 박지환 위원장((주)씽크포비엘 대표)이 중견기업과 DX 공급기업의 협업 가이드라인을 소개하였고 법무법인 에스엔 최민령 변호사가 산업데이터 거래 가이드라인에 대해 소개하며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이해도를 높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참여한 20개 社 이상의 중견기업에 디지털 전환 혁신 기술 보유 유망 공급기업 8개 社 (㈜엔디에스, ㈜오케스트로, ㈜LG CNS, ㈜디엘정보기술, ㈜디엠테크컨설팅, 엠아이큐브솔루션(주), ㈜비에이에너지, ㈜한국데이터체인)가 기술을 소개하는 PITCHING 세션으로 진행하였다.    마지막 세션은 ‘HASH TAG MEET UP’으로 공급기업의 기술을 수요 중견기업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 해쉬태그(#)로 소개하고 수요기업이 해쉬태그를 선택하면 공급기업의 부스로 찾아가 매칭하는 네트워킹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단순히 부스에서 비즈니스 파트너링을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견기업이 애로사항을 겪는 ‘금융’,‘법률/제도’,‘인력양성’,‘컨설팅’분과로 구성된 지원협의체가 별도의 멘토링을 지원하였다. 본 1회 챌린지데이를 총괄 개최한 산업지능화협회 추현호 부단장은 “금번 챌린지데이를 통해 수요 중견기업이 디지털 전환에 쉽게 이해하고 유관 공급기업과의 협업을 가속화하는 시발점이 되었기를 바란다”며 “더 많은 중견기업들이 디지털 전환 기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협회에서 앞장서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지능화협회는 오는 10월 31일(화) 코엑스 2층 스타트업브랜치에서 DX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견기업과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지원하는 WoW STARTUP DX Open Branch 행사를 개최한다.    
작성일 : 2023-10-25
[포커스] 탄소중립 EXPO, 산업의 지속가능성 전략과 비전을 폭넓게 소개
‘2023 탄소중립 EXPO’가 지난 5월 25일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2023 기후산업 국제박람회’로 통합 개최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부산광역시가 공동 주최하고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산업지능화협회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전시·홍보관 운영을 비롯해 비즈니스·도시·리더스서밋, 정책지원 세미나, 기술이전·사업화 우수사례 발표회, 신기술·제품소개 발표회 등이 진행됐다. ■ 이성숙 기자   ▲ ‘2023 탄소중립 EXPO’ 개막식   ‘기후위기를 넘어, 지속 가능한 번영으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기후박람회는 산업 부문의 탄소중립 전환을 본격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산업의 지능화, 디지털 등 첨단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지속가능한 탄소중립의 현주소를 공유하고 미래 비전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특히 기후산업 선도 및 신성장동력화 도모를 위해 기후산업 분야 국내외 500여개 기업들이 참가해 탄소중립 관련 혁신제품 및 적정기술(그린 디지털 등)을 선보이고 2030 부산엑스포 홍보관 등이 마련된 전시장을 운영했다. 또한 수출상담회 등 비즈니스 네트워킹과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교류의 장으로도 활용되었다. 국내외 기후산업 기업이 참여하는 전시회는 청정에너지관, 에너지효율관, 미래모빌리티관, 탄소중립관, 기후환경기술관 등 5개 전시관과 부산 엑스포 홍보를 위한 EXPO 홍보관으로 구성되었다. 롯데그룹, 포스코, SK그룹 등 탄소중립 리딩기업 전시부스에서는 탄소중립 산업을 이끄는 대표 기업의 우수기술 기반 탄소중립 이행 전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삼성, 현대자동차, 카카오 등 탄소중립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주요 기업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의 주요 기관에서도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주요 사례, 성과를 전시했다.   ▲ 포스코 부스   ▲ 롯데그룹 부스   ▲ SK그룹 부스   특히 기후박람회에서는 탄소중립 관련 주요 이슈를 산업별로 소개하기 위해, 탄소중립 특별관(정부, 정책 등), 탄소중립 기술사업화 지원관(공공연, 공기업), 탄소중립 기술우수사례관(기업 등)을 운영하였다. 이 중 탄소중립 특별관에서는 ‘탄소중립선도플랜트 구축지원 사업’을 진행하는 한국생산연구원이 티와이엠, 태형물산, 프론텍 등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축시키는 대표 모델 사업장 구축을 지원하는 업체들과 함께 참가해 관련 정책 및 지원제도를 소개하고, 사업의 실증사례를 공유했다. 이와 함께 모터헤드, 에너지엑스, 21세기, 그리너스, 아이핌, 카본사우루스, 켐프, 씽크포비엘, 유메디헬스케어 등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회원사들은 이번 박람회를 통해 산업의 지능화, 디지털 등 첨단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지속가능한 산업부문의 탄소중립 전환 솔루션’을 다각도로 소개했다. 이밖에도 SK그룹, 카본사우루스, 아이핌, 그리너스, SDX 재단법인, 엔츠, 삼월삼십삼일 등이 자발적탄소시장(VCM) 및 탄소금융플랫폼을 소개했으며, 경기도 통합관에는 스마트제조 혁신기술을 보유한 경기도 중소기업들이 대거 참가해 스마트 제조가 실현하는 산업 현장의 탄소중립 기술을 소개했다.   ▲ 탄소중립 특별관   ▲ 경기도 통합관   기후박람회에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최신 제품 및 기술 소개와 함께 세계적 석학, 국내외 대표기업, 기후위기 관심 도시·국가·국제기구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 호우 등 이상기후에 대응한 한국과 국제 사회의 탄소중립 이행 노력을 공유하고, 이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서 기후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역할 등을 함께 논의하였다. 이 중 ‘비즈니스서밋(비즈니스리더 라운드테이블)’은 글로벌 기업의 녹색 비즈니스 성장전략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업의 책무를 논의하기 위해 ‘저탄소 에너지 세션’, ‘환경·사회·투명(ESG) 경영 세션’으로 나눠 25일과 26일 이틀간 진행되었다. 이 행사에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케이스케 사다모리 에너지시장.안보국장, 블룸버그의 알리 이자디 뉴 에너지 파이낸스(NEF) 아태지역 총괄, 서울대학교 김희집 교수, 뉴욕타임즈의 스티븐 던바존슨 국제부문 사장, 구글 글로벌 파트너십의 욜린 앙 아태지역 부사장,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의 서르비 싱가비 에너지전환 매니저 등이 주요 연사로 참여했다.   ▲ 2030 탄소중립 세미나   또한 벡스코 1전시장에서는 5월 25일부터 27일까지 ‘2030 탄소중립 세미나’가 4개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세미나 첫째 날 ‘탄소중립 산업정책 및 이행 지원(1)’ 세션에서는 산업연구원 이재운 소재산업환경실장의 ‘글로벌 녹색성장 확대와 한국 제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등을 포함한 4개의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또 둘째 날 오전에는 ‘탄소중립 산업정책 및 이행 지원(2)’세션에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상준 에너지정책학과 부교수의 ‘탄소중립시대, 기후변화 이슈의 국제 규범화와 시사점’ 등 3개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26일 오후에는 ‘탄소중립 대전환, 한국의 경험과 향후 과제’ 세션이 1, 2부로 나눠 진행되었다. 1부는 ‘자발적 탄소시장과 탄소금융 플랫폼’이라는 주제로 SK, 카본사우루스, 아이핌, 그리너스, SDX재단법인에서 강연을 진행했으며, ‘탄소중립 기술이전·사업화 우수사례’를 주제로 진행된 2부에서는 SK, 에너지엑스, 켐프,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성균관대학교 등이 발표를 이어갔다. 탄소중립 세미나 마지막날인 27일에는 오코텍코리아유한회사 등 10여 개 사의 탄소중립 신제품·신기술 발표와 아주대학교, 한국디스플레이협회 등의 탄소중립 및 ESG 전략 발표가 진행되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7-03
씽크포비엘, ‘밀크티’ 고도화 협력 파트너 찾는다
지난 2월 씽크포비엘과 연구개발 파트너인 충북대(축산학과)가 태국 국립 쭐랄롱꼰 대학을 방문해 ‘밀크티’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사진은 양해각서(MOU) 체결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 증서를 들고 있는 사람 중 오른쪽이 최성호 충북대 축산학과 교수이고, 사진 맨 오른쪽은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다     씽크포비엘이 5월 25일(목)부터 27일(토)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3 탄소중립 엑스포’에 참여해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축산 기술 서비스 ‘밀크티(Milk-T)’ 실증과 고도화 작업에 협력할 파트너를 물색한다. 씽크포비엘은 행사 기간 ‘밀크티’ 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시물을 관람객에게 공개하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기술 협력 상담 창구를 운영한다. 특히 엑스포가 ‘기후산업국제박람회’와 함께 열려 국내는 물론 해외 관계자가 많이 찾을 것으로 예상하고, 외국인 전담 현장 인력과 외국어 자료 등을 준비했다.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는 엑스포 부대행사로 열리는 세미나에서 AI 기술로 축산업 발전과 탄소중립 실현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씽크포비엘은 2021년과 2022년 두 차례 ‘탄소중립 엑스포’에서 ‘밀크티’를 선보여 관람객 이목을 끌었다. 앞서 참여한 두 행사가 기술 소개 중심이었다면, 올해는 ‘밀크티’ 고도화와 상용화를 위한 대외 협력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밀크티’는 활동량과 수면시간 및 소화 상태 등 젖소 상태와 산유 능력을 정밀 분석해 적정 사료량을 알려주는 AI 기반 ‘개체 정밀 사양’ 도구로, 회사 자체 개발 ‘데이터 밸런스’ 등 AI 머신러닝 기술이 활용됐다. 지난해 국내 농장 등에서 실증 연구가 진행됐고, 현재는 해외 대학‧기관 등과 공동 연구개발이 추진 중이다. 회사는 이번 엑스포를 통해 더 많은 국내외 기업‧기관과 협력이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 씽크포비엘이 ‘밀크티’ 고도화‧상용화를 위해 해외로 눈 돌릴 수 있었던 것은 지난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협력해 거둔 성과가 한몫했다. 이 회사는 NIPA 2022년 ‘핵심 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사업에 참여해 환경‧에너지 분야에서 ‘밀크티’로 축산업계 디지털 전환(DX) 가능성을 제시했다. 성과를 인정받아 2022년 사업 우수과제 사례기업으로 선정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올해는 NIPA ‘K-클라우드 사업’에 참여해 성장 기반을 닦는다. 씽크포비엘은 ‘밀크티’ 고도화를 위해선 해외 데이터 확보가 필수라고 보고 있다. 국내 데이터만으로는 다양한 축산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밀크티’를 고도화하기 힘들다고 판단해서다. 해외 협력 모색은 국내 현실이 큰 영향을 줬다. 국내 농가 대부분이 데이터 수집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다, 관련 정부 지원사업 또한 장비 보급에 치중되는 등 지능화‧정밀화 사업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편이다. 현재 씽크포비엘은 태국 국립 쭐랄롱꼰 대학(Chulalongkorn University)을 비롯해 현지 업체와 기술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쭐랄롱꼰 대학은 태국 내 대학평가 1위 학교. 회사와 연구개발 파트너인 충북대(축산학과)가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두 차례 쭐랄롱꼰 대학과 접촉한 데 이어, 5월 들어서 협력 범위 등에 대한 이견을 좁히고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아울러 필리핀‧베트남 현지 기관‧기업과는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협력 조건을 조율 중이다. 회사는 AI 연산에 특화된 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를 활용하는 K-클라우드 사업을 통해 해외에서 얻은 데이터의 탐지 정확도를 높이면, ‘밀크티’ 성능은 70% 정도 향상하고 비용은 50%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박지환 대표는 “지난해 ‘핵심 산업 클라우드 프로젝트’로 성과를 내고 NIPA 도움으로 해외 진출 비용을 절감했는데, 중소기업 스스로 해외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올해는 K-클라우드 사업으로 해외에서 기술을 인정받고 협력을 끌어낼 수 있었다”며 “엑스포 기간 국내외 많은 기관‧기업이 현존 기술 서비스 가운데 가장 적은 부담으로 가장 효과적인 탄소 저감과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밀크티에 주목하고, 활발한 기술 협력에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3-05-24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 ‘신산업‧신기술 TBT 대응협의회’ DX 분과 위원장 선임
씽크포비엘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운영하는 ‘신산업·신기술 TBT 대응협의회(이하 대응협의회)’  산하 DX 분과 위원장으로 박지환 대표가 선임되었다고 밝혔다. 국가기술표준원은 3월 15일 ‘신산업·신기술 TBT 대응협의회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회의장(모데라토)에서 출범식을 개최하였으며, 이 행사에는 이창수 국가기술표준원 국장과 이영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센터장을 비롯해 정부와 기업, 기관, 연구소, 협회‧단체에서 30여 명이 참석했다. 대응협의회는 세계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 에너지와 디지털 전환 관련 신산업·신기술 기술규제 시행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전략을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마련된 모임. 이날 5대 핵심 무역기술장벽 분과별 TBT 대응협의회 운영계획이 보고됐고, 관련분야 주제발표 등을 통한 이슈가 공유됐다. 박 대표가 이번에 DX 분과 위원장을 맡게 된 건, 씽크포비엘이 그간 DX 관련해 시장에서 인공지능(AI) 신뢰성 검증 필요성을 강조해온 게 영향을 줬기 때문. AI 신뢰성은 최근 ‘챗GPT’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해결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회사는 ‘챗GPT’ 관련 ‘탈옥’ 등의 문제가 AI가 데이터를 제대로 학습하지 못해 일어날 수 있음을 지적하고, ‘AI 신뢰성 검증’과 ‘데이터 편향 측정’ 같은 기술 등에 관심을 둬야 한다 강조해왔다. 관련된 회사의 기술기법 다섯 건이 현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단체표준으로 채택돼 있다. 박 대표는 출범식에서 AI 신뢰성 검증 관련 인력 양성에 정부 차원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회사가 그간 국가 연구개발 과제 사업으로 AI 신뢰성 검증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일부 대학에서 관련 교육을 시행했지만, 모두 단발성에 그치고 있을 뿐 장기적이면서 연속적인 교육과정으로 정착하지는 못한 현실도 소개됐다.  박 대표는 “챗GPT 문제 이후 시장에서 AI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지만 정작 기업은 ‘과연 이걸 할 수 있는 사람을 어떻게 구하지’라고 고민하고, 대학 등의 학교는 ‘AI 신뢰성 검증과 같은 교육이 미래를 위해 중요한 것은 분명한데 교육과정을 운영하면 학생의 취업 기회가 보장될 수 있을지 의문을 품고 있다”며 “기업과 학교가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분야 생태계가 조성되려면 정부가 의지를 갖고 조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는 국가 간의 서로 다른 기술 규정, 표준, 적합성평가 등을 적용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해하는 등 무역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기술적 장애 요소를 일컫는다. 관련해 국가기술표준원은 국내 기업의 TBT 관련 인식을 제고하고, 필요할 때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 세계 TBT 동향과 우리나라 TBT 대응 시책과 기업애로 해소 사례를 담은 연례보고서를 지난 2013년부터 매년 발간하고 있다. 아울러 2021년 5월에는 날로 높아져 가는 무역기술장벽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내에 ‘기술규제 대응 지원 데스크’를 설치했다. 
작성일 : 2023-03-15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 DX 시대 효과적인 특성화고 인재 양성안 제시
충남대학교 중소기업특성화고 컨설팅센터가 1월 12일(목) 대전 유성호텔 8층 ‘스타볼룸’에서 전국 특성화고 교원 대상 연수를 개최하는 가운데, 인공지능 기술 전문기업 씽크포비엘 박지환 대표가 행사에서 산업 디지털 전환(DX)에 필요한 인재 육성 방안을 제시했다. 박 대표는 이날 ‘인공지능(AI) 시대에 변화하는 기업과 인재상’을 주제 강연에서 관련 산업 동향을 비롯해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이에 따른 학생 교육 방향을 소개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DX 역량에 더해 경쟁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가 중요한데, 단순히 교육 현장에서 배운 걸 써먹는 수준의 인력 양성책으로는 이뤄낼 수 없다는 게 박 대표 주장의 핵심이다. 박 대표는 그러면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AI 신뢰성 검증 분야를 소개하고, 해당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해 씽크포비엘은 지난 2020년 이후 군산대 등에서 AI 신뢰성 검증 교육을 진행하며 새로운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확인해오고 있다. 특히 지방 학생 또는 경력단절여성 같이 상대적으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계층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박지환 대표는 “DX가 가속화될 미래 산업계에 필요한 인재는 단순 기술이나 지식을 습득한 수준에서 벗어나야 하고, 관련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맡을 수 있어야 한다”며 “강연에서 소개할 AI 신뢰성 검증 기술은 향후 수요가 클 것이라 기대되고 있는데, 관련 교육을 통해 특성화고 학생이 특화 역량을 갖추면 진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남대의 중소기업특성화고 컨설팅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지고 있다. 단순 취업 지원이 아닌 중장기 중소기업 인력 수급을 위한 특성화고 교육체계 개편을 목표로 지난 2008년 시작됐다. 현재 전국 220개 특성화고 가운데 충남대는 공업과 농생명계열 학교 120개교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수행 중이다. 올해 연수에는 교원 100여 명이 참석한다.    사진은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가 강연하는 모습    
작성일 : 2023-01-18
씽크포비엘 ‘밀크티’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씽크포비엘 스마트축산 서비스 ‘씽크팜’ 제품 가운데 하나인 ‘밀크티(Nilk-T)’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이 공동 추진한 ‘2022년 핵심 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사업 우수과제로 뽑혀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받았다. 회사는 과기정통부와 NIPA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공동으로 12월 9일(금) 오후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개최한 ‘그랜드 클라우드 컨퍼런스 2022’ 행사에서 우수과제 기업으로 상을 받고 사례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2022년 우수과제로 선정된 ‘밀크티’는 활동량, 수면시간, 소화 상태 등 젖소 상태와 산유 능력을 정밀 분석해 적정 사료량을 알려주는 AI 기반 ‘개체 정밀 사양’ 서비스다. 또한 농민에게 탄소 저감 조치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낮추고 축산농가 생산성을 향상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차별화된 기술 솔루션이다. 이번에 NIPA 지원을 통해 씽크포비엘의 특화된 인공지능 신뢰성 기술을 클라우드화함으로써 농민에게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고, 해외 진출도 활발해진 점이 대표적 성과로 꼽힌다. 밀크티는 농가 경영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해 사료효율과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크다. 젖소에 장착한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얻은 행동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수집하고, 이를 활용해 젖소의 건강 상태 분석, 우유 생산량 예측, 개체별 적정 사료량 제안, 탄소배출 저감 사료량 제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 수집되는 데이터는 향후 젖소에 대한 심층적 분석에 유용하게 쓰일 자원으로, 밀크티 서비스 고도화 및 확장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씽크포비엘은 우수사례 발표를 통해 1년간의 국내 농장 실증과 공인시험평가 과정을 거친 결과 5% 정도의 메탄가스 감소 효과가 있고, 산유량 예측 정확성도 93% 수준을 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만 수요처 5곳을 확보한 상태로, 태국‧베트남‧중국 등과 실증농장 확보를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밀크티는 앞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2021년과 2022년 ‘탄소중립 엑스포’에서 대중에게 공개된 바 있다. 이를 통해 축산업 발전과 탄소 저감을 동시에 이뤄내는 기술적 방법으로 입지를 강화했다.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는 “축산업은 가축 생애주기가 중요한데, 젖소의 경우 10년이 걸리는 상황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비즈니스 확산을 추구하는 것은 물론, 정밀 고도화를 위한 국내외 다양한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이 수월해졌다는 게 이번 사업 대표 성과”라며 “이번 프로젝트로 태국 등의 개도국 진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던 만큼, 앞으로 재원 확보와 글로벌 전략 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그랜드 클라우드 컨퍼런스 2022’ 행사는 클라우드 기업의 미래 전략 발표와 유공 표창 및 산업 대상 수여 등을 통해 클라우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에 선정된 우수과제는 밀크티가 상을 받은 ‘환경에너지’ 분야를 비롯해 ‘인프라 부문’, ‘디지털워크’, ‘디지털헬스’, ‘스마트제조’, ‘지능형 물류’ 등에서 나왔다. 지난 2020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핵심 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코로나19’와 같은 불가피한 비대면 상황에서도 경제‧사회 활동이 가능토록 업무 연속성 보장과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국내 기업 컨소시엄이 개발‧전환‧고도화 및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다가올 인공지능과 데이터 경제 시대를 위해 국내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산업별 이용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작성일 : 2022-12-11
씽크포비엘, 탄소 저감과 젖소 생산성 높일 ‘밀크티’ 고도화
씽크포비엘이 11월 2일(수)부터 4일(금)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22 탄소중립 엑스포’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팜 서비스 ‘씽크팜’(Think FARM)을 선보이고, 축산업 발전과 탄소 저감을 동시에 이뤄내는 기술적 방법을 제시했다. 씽크포비엘은 이번 전시회에서 활동량, 수면시간, 소화 상태 등 젖소 상태와 산유 능력을 정밀 분석해 적정 사료량을 알려주는 AI 기반 ‘개체 정밀 사양’ 도구 ‘밀크티’(Milk-T)를 공개했다. 씽크팜은 밀크티를 비롯해 ‘피그티’(Pig-T)와 ‘카우티’(Cow-T)로 구성돼 있다. 4일 열릴 ‘탄소중립 신기술‧제품 세미나’에서는 박지환 대표가 탄소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미래 스마트축산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회사의 ‘탄소중립 엑스포’ 참가는 2021년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해에는 스마트축산 시스템으로 축산농가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꾀하는 동시에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을 국내외에 선보여 많은 이목을 끌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축산 기술이 보편화되지 못한 상황에서, 가축 가운데 가장 사육이 힘들다고 알려진 젖소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로 소개돼 카자흐스탄 등 해외에서 큰 관심을 보였었다. 밀크티 완성도는 지난해보다 더욱 높아졌다. 회사 관계자는 “협약을 맺은 중국‧베트남 현지 농장에서 데이터 확보 등의 작업이 진행됐는데, ‘코로나19’ 확산으로 멈춰버려 실증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올해는 국내 농장과 협력해 실증 과정을 거쳤고, 의미 있는 성과를 이번에 공개하게 됐다”고 말했다. 밀크티는 이밖에 사용자인터페이스(UI)가 개선돼 편의성이 향상됐다. 또한 고정밀 센서가 적용돼 탐지 정확성도 높아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2022년 핵심 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사업’ 지원을 받아 개발이 이뤄졌다. 회사 전시 부스에는 개선된 밀크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체험존 등이 마련된다. 밀크티는 씽크포비엘이 자체 개발한 ‘데이터 밸런스’ 기술이 활용됐다. 데이터 밸런스는 AI가 산업현장의 다양한 환경에서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신뢰성을 검증하는 기술적 방법론이다. 해외 SCI(e)급 논문에 다수 소개됐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단체 표준으로 채택되는 등 공신력을 확보했다. 박지환 대표는 “젖소 사육에 들어가는 비용 중 사료비가 50%를 차지하고 젖소가 한우보다 2.5배 더 먹는다고 알려졌는데, 건강 등의 상태가 달라서 일률적인 관리가 힘든 젖소 사육을 AI 기술로 해결했다”며 “동시에 축산업계 탄소중립 실현이 매우 중요해진 상황에서, 차원 다른 AI 신뢰성 검증 기법이 적용된 ‘밀크티’로 24시간 ‘엄마의 손길’ 같은 관리는 물론, ‘환경 파수꾼’ 역할을 훌륭히 소화해 낼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2-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