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심운섭"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7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그래피 코스닥 상장… “형상기억 3D 프린팅 기술로 세계 디지털 치과 교정 시장 선도”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인 그래피가 코스닥 시장에 공식 상장했다고 밝혔다. 형상기억 기능을 적용한 투명 교정장치와 치과용 3D 프린팅 레진 소재를 독자 개발한 그래피는 이번 상장에 대해 “글로벌 디지털 치과 시장 확대를 위한 새로운 도약의 분기점”이라고 평가했다. 그래피는 사람의 체온인 약 36.5℃에서 활성화되는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 : Shape Memory Aligner)를 개발해 상용화했다. 환자가 장치를 착용했을 때 체온만으로 최적의 교정력이 발현되도록 설계되어, 기존 열성형 방식 대비 더욱 정밀하고 예측 가능한 치아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그래피는 디지털 덴탈 소재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그래피는 “이번 상장을 앞두고 업계와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이는 그래피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글로벌 확장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반영한 결과”라고 전했다.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은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 ▲차세대 디지털 덴탈 소재 연구개발 ▲대규모 생산 인프라 확충에 투자될 예정이다.  그래피는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주요 글로벌 교정 시장에서의 임상 적용과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높여나간다는 전략을 밝혔다. 또한, 자사의 형상기억 교정장치가 향후 글로벌 디지털 덴탈 시장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될 것이며, 교정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래피는 디지털 기반의 맞춤형 치료, 환자 친화적 장치, 완전한 3D 프린팅 제작이라는 요소가 결합하면서 교정 치료의 효율과 환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래피의 심운섭 대표는 “코스닥 상장은 그래피가 세계 시장에서 기술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형상기억 투명 교정장치와 디지털 덴탈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넘버 원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그래피의 공모가는 1만 5000원으로 책정됐으며, 청약증거금은 1623억원이다.
작성일 : 2025-08-26
[온에어] 디지털 기술이 이끄는 치과 혁신과 교정 치료의 미래
캐드앤그래픽스 지식방송 CNG TV 지상 중계   CNG TV는 4월 21일 ‘디지털 기술이 이끄는 치과 혁신과 교정 치료의 미래’를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 날 방송은 디지털 기술이 치과 진료에 가져오는 변화와 가능성에 대해 조명하는 자리로 마련돼,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최신 동향과 함께 교정 치료의 진화에 관한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디지털지식연구소 조형식 대표, 아주대학교 김수진 교수, 그래피 심운섭 대표   3D 프린팅으로 치과 교정 혁신 이 날 방송에는 그래피 임상 연구개발 원장이기도 한 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김수진 교수와 그래피 심운섭 대표가 출연했다. 두 연사는 ‘직접 출력 방식의 투명 교정 장치(Direct Printed Aligner)’의 임상적 의의와 세계적 트렌드에 대해 소개했다. 이번 방송은 K-테크놀로지가 교정학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국내 기술의 글로벌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였다. 김수진 교수는 “직접 출력 방식은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니라 기존 열성형 방식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한 진보적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기존에는 모델 출력과 열성형을 거쳐야 했지만, 직접 출력 방식은 3D 프린터를 통해 바로 교정 장치를 제작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 절감, 그리고 폐기물 감소까지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형상기억 폴리머 기술을 적용한 ‘셰인 메모리 얼라이너’는 구강 내 체온으로 원래 모양을 되찾는 특성을 활용해 환자 착용의 편의성과 정밀한 치아 이동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 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김수진 교수   그래피,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글로벌 플랫폼으로 도약 그래피 심운섭 대표는 “치과 산업은 이제 단순 진료를 넘어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그래피는 스마트 소재, 3D 프린팅, 로봇 자동화 기술을 통해 전 세계 100개국 이상에 진출한 글로벌 디지털 덴티스트리 플랫폼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3D 프린팅은 더 이상 실험 단계가 아니다”며 “IDS 등 국제 전시회에서 대부분의 기업이 프린팅 기반의 보철 설루션을 선보이고 있으며, 한국이 트렌드의 중심에 있다”고 밝혔다. 이번 방송은 디지털 교정 치료가 단순한 미래 기술이 아니라 이미 현실로 다가왔음을 보여주며, 디지털 헬스케어와 스마트 의료 기술에 관심 있는 전문가와 관계자들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전달했다. 임상 사례와 기술적 설명을 함께 사례로 보여주며 높은 호응을 얻었다.   ▲ 그래피 심운섭 대표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6-04
[이북] 3D 프린팅 가이드 V4 다운로드
  3D 프린팅 가이드 V4   캐드앤그래픽스 엮음  정가 25,000원  페이지 : 192쪽 구입문의 : 02-333-6900, www.cadgraphics.co.kr    3D 프린터에 대한 기술 동향 및 트렌드, 신제품 등을 집대성한 '3D 프린팅 가이드 V4'가 발간되었습니다. 수많은 3D 프린팅 관련 서적 속에서 '3D 프린팅 가이드'는 업계의 트렌드, 전문 기술 동향, 관련 업체 및 신제품 정보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가이드북으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업데이트되는 '3D 프린팅 가이드 V4'에서는 2014년 V1, 2015년 V2, 2017년 V3에서 다루었던 3D 프린팅에 대한 내용에 더하여 업계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3D 프린팅 시장 및 새로운 기술동향과 정보, 신제품 등을 위주로 소개하고자 했습니다.    3D 프린팅 가이드 V4 목차   PART 1. 3D 프린팅 산업 현황 및 트렌드 4 코로나19 이후 3D 프린팅 기술 도입의 의미_신상묵 8 글로벌 3D 프린팅 산업 동향 및 트렌드_송인보 14 3D 프린팅을 활용한 유인드론, 에어택시 시장 동향_주승환 17 금속 적층제조의 원리와 장단점 비교_강민철 20 3D 프린팅용 금속 소재의 글로벌 동향_구용모   PART 2. 3D 프린팅 활용 사례 26 산업용 3D 프린터로 디자인 개발 및 주조 공정의 효율 향상_KTC 29 적층제조를 이용한 타이어 금형의 열 변형 해석_메탈쓰리디 32 Metalsys Melting Pool Tomography(MPT) 기술 개발_윈포시스 34 양산 및 다양한 산업으로 3D 프린팅 활용 분야 확대_한국현 39 헬스케어를 위한 3D 프린팅 애플리케이션_3D시스템즈코리아 42 3D 프린팅을 활용한 수술 시뮬레이터 제작_신연선 45 3D스캐닝, AI, 5G 그리고 3D 프린팅_최동환   PART 3. 3D 프린팅 업계 인터뷰 48 3D프린팅연구조합 강민철 상임이사   프로토타입에서 대량생산으로, 3D 프린팅의 성공 모델 발굴한다 50 3D 시스템즈 프린터 사업부 백소령 본부장   제조산업 변화에 맞춰 대량생산을 위한 적층제조 솔루션 강화 53 HP 알렉스 랄루미에르 아시아태평양지역 3D프린팅·디지털 제조 총괄   3D 프린팅의 기술 발전과 비용 하락이 디지털 제조를 확산시킬 것 56 더블에이엠 황혜영 대표   적층제조 전문 서비스로 3D 프린팅 생태계 확장 노력 60 캐리마 이병극 대표이사   고속 대형 3D 프린팅 기술 및 기능성 소재 개발 노력 62 메탈쓰리디 주승환 CTO   금속 3D 프린팅 기반의 대량생산 시스템 기술 개발 64 인텔리코리아 3D사업본부 한명기 이사   메이커 문화 및 스마트 제조를 위한 3D 프린팅 교육 강화 66 그래피 심운섭 대표이사   글로벌 3D 프린팅 소재 전문 기업으로 도약 목표 68 HS하이테크 김윤현 부사장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비정형 건축물 제작 70 문영래정형외과병원 문영래 원장   정확도와 만족도 높아지는 의료용 3D 프린팅 72 울산의대/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김남국 부교수   의료 현장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 연구에 매진 74 에릭스코 최동환 대표   센서, AI, 5G 등 기술과 결합한 맞춤형 제조 시대 열린다 76 머티리얼라이즈 권순효 팀장   미래 공장을 위해 지속 가능한 3D 프린팅이 필요   PART 4. 주요 3D 프린터 소개 (제품명 ABC순) 101 AD One 101 ATOMm-4000 102 ATOMm-8000 96 BR-S900 102 Creator / Creator RA 98 CUBICON Style NEO-A22C 103 DAViD 90 eForm, 252P 시리즈, 403P 시리즈, HT1001P 103 EOS P110 / P396 / P770, EOS M100 / M290 / M400 / M400-4 104 FL 600 / 450 104 Form3 84 FUNMAT 시리즈 105 Hp Jet Fusion 4200 105 Hp Jet Fusion 5200 79 HP Jet Fusion 580 / 540 시리즈 82 IMC 80 J55 106 Jinie 3D pen 106 Jinie box A 200 107 JINIE BOX M250 107 LaserCore6000, AFS J1600 108 Lisa, Lisa Pro 108 Lite 300 / 450 / 600 / 800 109 LUGO pro_M 109 Mark Two 110 METALSYS 150E 110 Metalsys 250E 111 Metalsys 500 111 Morpheus E7 112 Morpheus MK5 112 Morpheus MK6 113 OMG SLA660 113 OPM250L / OPM350L 114 Original 3-in-1 114 ProX SLS 6100 93 Qubea SLA300 / 450 / 600 / 800 / 1800 115 RSPro 600 / 800 / 1400 / 2100 115 SHARK-D 116 SHARK MEGA 116 Shop System 86 SLM 125 / SLM 280.20 / SLM 280 Production Series / SLM 500 / SLM 800 117 SMITH R322 117 SMITH R435 118 sPro 140 118 sPro 230 119 SPro 60 HD-HS 119 TruPrint 1000 120 TruPrint 2000 120 TruPrint 3000 121 Ultimaker S5 121 VX1000 / VX1000-HSS 122 VX2000 122 VX4000 123 Zortrax Inkspire 123 Zortrax M200 PLUS 124 Zortrax M300 DUAL 124 Zortrax M300 PLUS   PART 5.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및 관련 제품 소개 125 3D 프린팅용 금속 분말 126 Geomagic Design X 2020, Geomagic Wrap 2021 128 3DXpert 130 PointShape Editor 132 캐디안3D 2021 134 MSC Apex Generative Design 135 Simufact Additive, Simufact Welding 136 Inspire Print3D 138 Archer 시리즈 139 Jinie 채색펜 kit 139 POWERSHOT C, POWERSHOT S, DM60 140 Solid Edge 140 NX   PART 6. 3D 프린팅 관련 업체 및 기관 소개 141 3D 프린팅 관련 업체 및 기관 디렉토리   147 부록 / 3D 프린팅 가이드 V3, V2, V1 목차   3D 프린팅 가이드 V3 목차 보기 https://blog.naver.com/3dpguide/221141290223 3D 프린팅 가이드 V2 목차 보기 https://blog.naver.com/3dpguide/220554150751 3D 프린팅 가이드 V1 목차 보기 https://blog.naver.com/3dpguide/220481490705   이북 구입하기 : 첨부 파일 결제 후 다 운로드 가능합니다.  3D 프린팅 가이드 V4 책자 구입하기 링크
작성일 : 2020-08-31
3D 프린팅 가이드 V4 구입안내
  3D 프린팅 가이드 V4   캐드앤그래픽스 엮음  정가 25,000원  구입문의 : 02-333-6900, www.cadgraphics.co.kr    3D 프린터에 대한 기술 동향 및 트렌드, 신제품 등을 집대성한 '3D 프린팅 가이드 V4'가 발간되었습니다. 수많은 3D 프린팅 관련 서적 속에서 '3D 프린팅 가이드'는 업계의 트렌드, 전문 기술 동향, 관련 업체 및 신제품 정보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가이드북으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업데이트되는 '3D 프린팅 가이드 V4'에서는 2014년 V1, 2015년 V2, 2017년 V3에서 다루었던 3D 프린팅에 대한 내용에 더하여 업계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3D 프린팅 시장 및 새로운 기술동향과 정보, 신제품 등을 위주로 소개하고자 했습니다. 책자 구입 하기 https://www.cadgraphics.co.kr/index.php?pages=shop&sub=shop01&goodscode=XNRH0806048739   3D 프린팅 가이드 V4 목차   PART 1. 3D 프린팅 산업 현황 및 트렌드 4 코로나19 이후 3D 프린팅 기술 도입의 의미_신상묵 8 글로벌 3D 프린팅 산업 동향 및 트렌드_송인보 14 3D 프린팅을 활용한 유인드론, 에어택시 시장 동향_주승환 17 금속 적층제조의 원리와 장단점 비교_강민철 20 3D 프린팅용 금속 소재의 글로벌 동향_구용모   PART 2. 3D 프린팅 활용 사례 26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 하이파이 사운드 스피커 생산_3D시스템즈코리아 28 산업용 3D 프린터로 디자인 개발 및 주조 공정의 효율 향상_KTC 31 적층제조를 이용한 타이어 금형의 열 변형 해석_메탈쓰리디 34 Metalsys Melting Pool Tomography(MPT) 기술 개발_윈포시스 36 양산 및 다양한 산업으로 3D 프린팅 활용 분야 확대_한국현 41 3D 프린팅을 활용한 수술 시뮬레이터 제작_신연선 44 헬스케어를 위한 3D 프린팅 애플리케이션_3D시스템즈코리아 46 3D스캐닝, AI, 5G 그리고 3D 프린팅_최동환   PART 3. 3D 프린팅 업계 인터뷰 49 프로토텍 신상묵 부사장 3D 프린팅 토털 솔루션 업체로 역량 확장…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한다 51 3D 시스템즈 프린터 사업부 백소령 본부장 형상 목업에서 기능성 부품의 자동화 및 대량 생산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적층제조 54 3D프린팅연구조합 강민철 상임이사 프로토타입에서 대량생산으로, 3D 프린팅의 성공 모델 발굴한다 56 더블에이엠 황혜영 대표 적층제조 전문 서비스로 3D 프린팅 생태계 확장 노력 60 머티리얼라이즈 권순효 팀장 미래 공장을 위해 지속 가능한 3D 프린팅이 필요 63 HP 알렉스 랄루미에르 아시아태평양지역 3D프린팅·디지털 제조 총괄 3D 프린팅의 기술 발전과 비용 하락이 디지털 제조를 확산시킬 것 66 캐리마 이병극 대표이사 고속 대형 3D 프린팅 기술 및 기능성 소재 개발 노력 68 메탈쓰리디 주승환 CTO 금속 3D 프린팅 기반의 대량생산 시스템 기술 개발 70 HS하이테크 김윤현 부사장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비정형 건축물 제작 72 그래피 심운섭 대표이사 글로벌 3D 프린팅 소재 전문 기업으로 도약 목표 74 인텔리코리아 3D사업본부 한명기 이사 메이커 문화 및 스마트 제조를 위한 3D 프린팅 교육 강화 76 문영래정형외과병원 문영래 원장 정확도와 만족도 높아지는 의료용 3D 프린팅 78 울산의대/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김남국 부교수 의료 현장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 연구에 매진 80 에릭스코 최동환 대표 센서, AI, 5G 등 기술과 결합한 맞춤형 제조 시대 열린다   PART 4. 주요 3D 프린터 소개 (제품명 ABC순) 114 AD One 114 ATOMm-4000 115 ATOMm-8000 106 BR-S900 115 Creator / Creator RA 96 CUBICON Style NEO-A22C 116 DAViD 84 DMP 프린터 시리즈 99 eForm, 252P 시리즈, 403P 시리즈, HT1001P 116 EOS P110 / P396 / P770, EOS M100 / M290 / M400 / M400-4 89 Figure 4 독립형 / 모듈형 / 프로덕션 117 FL 600 / 450 117 Form3 104 FUNMAT 시리즈 118 Hp Jet Fusion 4200 118 Hp Jet Fusion 5200 95 HP Jet Fusion 580 / 540 시리즈 102 IMC 82 J55 119 Jinie 3D pen 119 Jinie box A 200 120 JINIE BOX M250 120 LaserCore6000, AFS J1600 121 Lisa, Lisa Pro 121 Lite 300 / 450 / 600 / 800 122 LUGO pro_M 122 Mark Two 123 METALSYS 150E 123 Metalsys 250E 124 Metalsys 500 124 Morpheus E7 125 Morpheus MK5 125 Morpheus MK6 126 OMG SLA660 126 OPM250L / OPM350L 127 Original 3-in-1 92 ProX SLS 6100 / sPro 60 HD-HS / sPro 140 / sPro 230 108 Qubea SLA300 / 450 / 600 / 800 / 1800 127 RSPro 600 / 800 / 1400 / 2100 129 SHARK MEGA 128 SHARK-D 129 Shop System 110 SLM 125 / SLM 280.20 / SLM 280 Production Series / SLM 500 / SLM 800 130 SMITH R322 130 SMITH R435 132 TruPrint 1000 133 TruPrint 2000 133 TruPrint 3000 134 Ultimaker S5 134 VX1000 / VX1000-HSS 135 VX2000 135 VX4000 136 Zortrax Inkspire 136 Zortrax M200 PLUS 137 Zortrax M300 DUAL 137 Zortrax M300 PLUS   PART 5.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및 관련 제품 소개 138 Archer 시리즈 139 3D 프린팅용 금속 분말 140 Geomagic Design X 2020, Geomagic Wrap 2021 142 3DXpert 144 PointShape Editor 146 캐디안3D 2021 148 MSC Apex Generative Design 149 Simufact Additive, Simufact Welding 150 Inspire Print3D 152 Jinie 채색펜 kit 152 POWERSHOT C, POWERSHOT S, DM60 153 Solid Edge 153 NX   PART 6. 3D 프린팅 관련 업체 및 기관 소개 154 3D 프린팅 관련 업체 소개 177 3D 프린팅 관련 기관 및 단체 소개   181 부록 3D 프린팅 가이드 V3, V2, V1 목차   3D 프린팅 가이드 V3 목차 보기 https://blog.naver.com/3dpguide/221141290223 3D 프린팅 가이드 V2 목차 보기 https://blog.naver.com/3dpguide/220554150751 3D 프린팅 가이드 V1 목차 보기 https://blog.naver.com/3dpguide/220481490705
작성일 : 2020-08-26
[피플&컴퍼니] 그래피 심운섭 대표이사
글로벌 3D 프린팅 소재 전문 기업으로 도약 목표     그래피는 산업용 3D 프린팅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프로토타입이 아닌 최종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강성과 내충격성을 강화한 소재를 비롯해 의료, 덴탈 등 다양한 분야를 겨냥한 소재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 그래피는 소재 전문 기업으로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 정수진 편집장   제조를 위한 3D 프린팅 소재의 필요성 절감 3D 프린팅 기술이 제조산업에서 생산 기술로 자리잡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로 소재가 꼽힌다. 실제 부품 또는 제품을 만들어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하고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소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그래피는 광경화성 수지를 중심으로 3D 프린팅 소재를 개발하는 전문 기업이다. 3D 프린터 공급업체와 덴탈업체를 거치며 3D 프린팅을 생산에 활용하고자 고민해 온 그래피의 심운섭 대표이사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생산을 시도할 때 가장 한계를 느낀 것이 소재였다. 시제품이나 목업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최종 부품이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그래피를 창업하게 되었다”고 소개했다.   ▲ 그래피가 개발한 3D 프린팅 소재는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미지: 그래피 웹사이트)   산업 분야에 활용 가능한 소재 개발에 주력 2017년 설립 이후 그래피는 소재 관련 원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고, ABS보다 강도를 2~3배 높이고 내충격성도 높은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3D 프린팅할 때 레이어가 강하게 접착해서 강도를 높일 수 있게 했다. 또한 그래피는 고분자체의 광경화성 수지를 비롯해 탄성, 내충격, 내열 소재 등 다양한 3D 프린팅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심운섭 대표이사는 “메디컬, 덴탈, 제조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강성 및 탄성을 갖춘 소재 개발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덴탈 분야에서는 소재의 강도를 높여서 임시 치아가 아니라 임플란트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해 식약처 인증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와이어와 투명한 3D 프린팅 소재를 결합한 투명 치아 교정장치도 개발하고 있다. 그래피는 해외 소재와 비교해 가격 경쟁력에 강점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3D 프린팅의 친환경성이나 안전성도 중요한 이슈인데, 그래피의 소재는 솔벤트와 같은 유기용매를 쓰지 않으면서 세포독성, 유전독성 등에서 안전성을 입증받았다. 체내에 들어가도 안전한 소재를 통해 의료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설명했다.   ▲ 그래피는 인사이드 3D프린팅 전시회에서 3D 프린팅 소재 및 이를 사용한 출력물을 소개했다. 해외 시장에 본격 진출 모색 심운섭 대표이사는 3D 프린팅 소재 시장의 진입장벽이 높다면서 기술뿐 아니라 과학적 노하우 및 3D 프린터와 솔루션에 대한 노하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래피의 경우에도 연구개발 인력 비중이 40%에 이른다. 이러한 기술 개발 노력을 바탕으로 그래피는 다수의 특허 출원 및 특허 등록을 진행하고 있으며, 제약회사와 벤처 캐피탈 등의 투자 유치 및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해외 소재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해외 진출을 협의 중이라는 것이 심운섭 대표이사의 설명이다. 심운섭 대표이사는 “3D 프린터 시장이 성장을 지속하면서 데스크톱 등 대중화로 가는 추세다. 이와 함께 장비 업체의 소재 독점이 깨지고 있는데, 국내 소재 기업 수는 3D 프린터 기업에 비해 매우 적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3D 프린터 시장에서 중국이 우리나라를 앞지르고 있지만 소재 시장에서는 아직 기회가 있다는 판단이다. 그래피는 매출 30억 원을 넘어 100억 원 매출을 이루고, 글로벌 3D 프린팅 소재 시장에서 표준으로 자리잡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기존 공법과 소재의 한계를 넘고 새로운 정의를 만든다는 것이 심운섭 대표이사가 밝히는 그래피의 포부이다.   ▲ 심운섭 대표이사는 “3D 프린팅 소재와 공법의 한계를 넘고 글로벌 시장의 표준이 되는 소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9-08-02
CAD&Graphics 2019년 8월호 목차
  17 Theme. 스마트 제조 혁신의 현재 그리고 미래 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9, 스마트 제조 혁신의 가능성과 방법론을 탐색하다 모듈 기반의 제품 설계, 플랜트 특화 제조계획을 통한 유연화된 생산 구현 방안 / 오민수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커넥티드 PLM / 지수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준비하는 중소/중견 기업의 데이터 관리 첫 걸음 / 이승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방향성,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에서 찾다 / 조진형 HSM을 활용한 안전한 스마트 제조 / 김성환 딥러닝 기반의 예지보전 실패 사례와 대응 / 정일영   Infoworld   Focus 38 인사이드 3D프린팅 2019, 산업 분야를 위한 3D 프린팅 기술과 전망 소개 42 오토데스크, 혁신 기술과 융복합으로 제조/건축 생산성 높인다 45 오토데스크코리아,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BIM 도입 및 활용에 박차 48 PTC 라이브웍스 19 참관기: IoT와 AR로 기술과 산업의 융합 비전을 그리다 / 김진영 52 엔비디아, “모든 산업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및 생태계 제공할 것” 55 유니티 코리아, 게임 넘어 모든 산업 분야로 확장 본격화 64 EOS 코리아 데이 2019, 적층제조로 이루는 제조혁신 사례 공유 66 JEC 아시아 2019 콘퍼런스: 복합재, 미래 모빌리티의 중심에 서다 68 오라클, ‘2세대 클라우드’ 내세우며 국내 인프라 시장 공략 강화   Case Study 58 마이어 베르프트, 대형 크루즈 선박 제조를 혁신 / 품질 검사 소프트웨어로 선박 건조의 정확성과 효율 향상 61 언리얼 엔진으로 개발한 의료 시뮬레이션 / 미용성형, 백내장 수술 훈련 소프트웨어로 의료 혜택 넓히고 사고 예방   People&Company 70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박한구 단장 / 중소기업 스마트 공장의 양과 질을 높이는 포괄적 지원에 주력 72 그래피 심운섭 대표이사 / 글로벌 3D 프린팅 소재 전문 기업으로 도약 목표   New Product 74 경제적인 가격의 고성능 핸드핼드 3D스캐너 Fisher 시리즈 75 이달의 신제품   On-Air 78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 오토데스크 인벤터 2020의 주요 핵심기능 짚다 79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 기계 설계 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오토캐드 메커니컬 80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 오토캐드 일렉트리컬 툴셋으로 라이브러리 구성요소 제작 81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 금속 3D 프린팅 기술의 현주소 짚다   82 News 86 New Books   Column 88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제품 혁신과 스마트 혁신 90 현장에서 얻은 것 네 번째 / 류용효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술의 미래   CADPIA   AEC 93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도커 기반 케라스 딥러닝 환경 구축 및 비정형 데이터 예측 98 새로워진 캐디안 2020 살펴보기 (5) / 최영석   OLE 개체 삽입 100 레빗 아키텍처 다시 배우기 (12) / 한성열   모델 작성하기 Ⅵ 104 다이나모에 쉽게 접근하고 활용하기 (9) / 장동수   List 노드 Ⅲ   Visualization 110 산업 분야에서 실시간 3D 플랫폼 유니티 활용하기 (6) / 아드리아나 라이언   유니티3D: 시작하기 120 즐거움을 더하는 솔리드웍스 실무 레시피 Vol.3 (8) / 원동현   솔리드웍스 비주얼라이즈 활용 팁 Ⅲ   Reverse Engineering 114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8) / 유우식   환경분야에서 활용   Mechanical 123 제품 개발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크레오 파라메트릭 6.0 (4) / 김주현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델 템플릿 생성 Ⅰ   Manufacturing 128 파워밀 CAM 프로그래밍 따라하기 / 이경하   코어 가공 응용편 (6)   Analysis 131 시뮬리아를 활용한 해석 및 응용 사례 (17) / 이상훈   아바쿠스-CST 연성해석을 활용한 유도 경화 시뮬레이션 136 솔리드웍스를 통한 설계-해석-제조 솔루션 소개 (5) / 이해연   쉽게 배우는 솔리드웍스 플로 시뮬레이션 140 사출성형해석 업그레이드를 위한 몰덱스3D (4) / 임영빈   NX CAD 환경에서 사출성형해석 기술 소개 143 입자 해석의 기본에서 최신기술까지 EDEM 2019 (6) / 심정길   EDEM-CFD 연성해석 146 앤시스 워크벤치를 활용한 해석 성공사례 / 장성호   위키백과와 앤시스로 알아보는 진동해석 솔루션   PLM 150 공용화율 제고 및 안정적인 SCM 운영과 물류 개선 혁신 (3) / 조대승, 정태영, 곽인세   공용화 표준화 효과 사례       캐드앤그래픽스 2019년 8월호 목차 from 캐드앤그래픽스
작성일 : 2019-07-30
CAD&Graphics 2001년 10월호 목차
CAD&GRAPHICS 2001년 10월호 목차 테마기획 / RP 산업, 어디로 가고 있는가(1) RP 산업이 시작된 지 10여년이 넘은 지금, RP 산업은 또다른 난관에 봉착해 있다. 비싼 장비 가격과 원재료비, 재질 문제 등으로 그 필요성과 용이성에도 불구하고 산업 자체가 성장 곡선에 제동이 걸린 상태이다. RP 산업의 대중화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이 글에서는 쾌속 조형 공정 기술의 원리 및 장비 소개, 쾌속 조형 시장 변화와 기술 개발 동향과 적용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이와함께 다음 호에는 국내외 RP 장비 판매 현황과 유저 설문 조사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Prat 1.   RP 기술 트렌드 쾌속 조형 공정의 기술 동향 및 시장의 변화 / 안동규 RP 산업의 또다른 대안, NC / 심운섭 RP를 활용한 제품 개발 주기의 변화 / 편집부 Part 2.   RP 적용 사례 현업 적용 RP기술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양화준 의료 분야의 RP 적용 사례 / 김남국 신속 조형과 농기계 개발 연구 / 정성근 Infoworld 칼럼 / 지해성   국내외 RP 시장의 변화와 새로운 전략의 출현을 기대하며  Interview EDS PLM Solutions 유창희 사장 PTC, Trenthon H. Brown 국제 세일즈 부사장 업체 탐방 라인테크시스템 / 김영봉 기자   고객지원 강화와 새로운 시장 모색 서평 / 박경수 기자   디지털 무량수전 Hardware Review 멀티 패턴 방식의 3D 스캔 소프트웨어와 스캐너        ezScan과 SNX 스캐너 시리즈 컴팩트 플래시 타입의 GPS 수신기                    iGPSⅡ Software Review 기능 추가보다 내부 기능 보강에 중점  정밀한 매핑 및 강력한 GIS 분석         건축 설비 전용 CAD                          도표 하나로 모든 것을 말한다            2D 기계 설계 및 엔지니어링용 AutoCAD   디자이너를 위한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  설계자를 위한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  촉감을 이용한 모델러                                제품 시뮬레이션을 위한 차세대 솔루션                1:1 Human Scale 투입 가상 모형 솔루션 발표         Web3D와 가상현실 대중화의 첨병                    통합 데이터 관리 및 메일머지 자동 전송 프로그램     일러스트레이터에서 CAD 기능 활용                   AutoCAD 2002 한글판Autodesk MAP 5 PhilCADAFD 한글 Visio 2002 AutoCAD Mechanical 6 CDRS 2001 DesignSpace v6.0 FreeForm V4.0 PlayMoVisConcept 버전 2.0 EON Studio 제품군 NetPIMS 1.0 Special Edition CAD-Compo Trend 디지털 인쇄의 새로운 표준 / 편집부   PRINT Image Matching 디지털 시대를 맞아 디지털 카메라와 컬러 잉크젯 프린터의 보급이 급속히 늘고 있다. 사진을 찍어 필름을 맡기고 다시 찾던 시대에서 이제는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디지털 이미지를 프린터로 직접 출력하는 시대가 되었다. CAD 툴과 PDA의 결합 / 편집부   건축 분야에 무선을 이용한 CAD 작업 확산 최근 출시된 핸드헬드와 무선 플랫폼이 현장 작업과 사무 작업을 재연결시키고 있다. 이 글은 지난 8월호 CADENCE에 실린 기사를 재정리한 것이다 참관기 제36회 서울 국제기능올림픽대회 / 김영봉 기자   21세기 새로운 도약을 향한 경제 올림픽 GRAPHICS+DESIGN 2001 KOREA / 편집부   범용 CAD 한글 IntelliCAD의 활용(5) / 가기정   단열재 자동 프로그램 Ⅱ 행사 캘린더NewsNew BooksNew Products CADPIA AutoCAD봉기자와 함께 하는 오토캐드 2000i(6) / 김영봉 기자   Surface 작업하기 오토캐드 메뉴 파일 만들기(8) / 남문식   메뉴 기법 I 오토캐드로 만드는 3차원 모델링(10) / 김종욱   동력전달 장치 모델링 AEC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시험문제 풀이(11) / 김동준   기출 문제 유형 총정리 신공법, 신주택 - 스틸하우스 / 김영봉 기자   공기단축, 비용 절감으로 스틸하우스 확산ManufacturingCATIA V5 3축 가공 프로세스 / 이원복   CATIA를 이용한 가공 Toolpath 생성 PowerMILL의 이해와 가공 활용(6) / 이무용   효율적인 고속 가공 ncg 4.0을 이용한 고속가공(1) 이주성   ncg 4.0의 업그레이드된 기능 및 특징 Simulation VRML과 관련된 깨비마당에서의 조명 및 색상 활용 사례 / 이지혜, 오동선   VRML에서의 조명 및 색상 적용법 KOVI Archi를 이용한 산업용 가상현실 컨텐츠 구축과 활용 방안(4) / 김종원   Global Illumination 처리로 Photo Realitstic VR의 구성 건축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ArchiPaint 강좌(1) / 이은정   객체 및 소재 생성하기 Mechanicalthinkdesign 6.0을 이용한 마우스 모델링(1) / 박성훈   기본 커브 및 서피스 만들기 Solid Edge의 기초와 활용(3) / 엄정섭   Solis Edge Part Ⅱ 탑다운 설계 프로세스를 이용한 제품 개발(1) / 이태우   개념 설계에서의 탑다운 프로세스의 적용CAID 디지털 디자인 A에서 Z까지(4) / 방영찬   자동차 분야에서의 디지털 디자인 Ⅳ AnalysisCATIA 해석 솔루션 소개 및 적용 사례(4) / 이영환   ABAQUS/CAT를 이용한 해석 및 적용 사례 PDM mySAP PLM과 CAD Integration(2) / 최경락   제품 전체 수명주기 상의 자료관리와 CAD 통합 지식기반공학을 이용한 설계공정자동화 / 이형기   설계공정과 엔지니어링 자동화    
작성일 : 2005-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