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식음료"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72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Emulate3D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Emulate3D ■ 개발 및 자료 제공 : 로크웰 오토메이션, 02-2188-4400, www.rockwellautomation.com/ko-kr.html   Emulate3D(에뮬레이트3D)는 2005년 영국 리딩에서 설립 후 2019년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인수하여 전 세계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을 지원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실제 장비를 가상에서 검증할 수 있는 동적 3D 기반 디지털 트윈 기술로 제조 생산 라인, 창고 자동화, 자재 취급 및 유통, 수하물 처리, 기계 장비 구축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된다.   1. 주요 특징   Emulate3D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해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전 프로그래밍된 카탈로그 사용으로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다양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브랜드와의 전용 프로토콜 및 OPC(Open Platform Communications)로 연결이 가능하고 클라우드 기반 배포 옵션을 통해 버전 제어, 협업 등의 유연성을 극대화한다. 이러한 특성은 교육 및 훈련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영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한다. 최근 엔비디아 옴니버스 API(NVIDIA Omniverse API)와의 통합으로 실사 수준의 그래픽 질감과 공장 규모의 동적 디지털 트윈 생성이 가능해져 여러 기계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게 됐다.   2. 주요 기능   Emulate3D는 현실감 있는 시뮬레이션과 에뮬레이션을 통해 물리적 충돌, 중력 가속도, 마찰 계수 등의 물리 엔진을 반영한 정밀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한다. 가상 시운전을 통해 실제 시스템 구현 전 동일한 조건에서 제어 로직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으며, 설계 단계에서부터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일정이 단축되고 불필요한 재설계 및 재작업 등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제조라인의 처리량 실험 기능으로 물류 차량, 설비 배치를 검토하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며 PLC 및 상위 시스템을 연결하여 생산 라인 또는 장비의 가상 시운전을 유연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에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여 엔지니어는 현장에서 소프트웨어를 재테스트하는 시간을 줄이고 프로젝트 일정을 단축할 수 있다.   3. 도입 효과   작업자 교육에서도 Emulate3D는 물리적으로 위험하거나 재현하기 어려운 상황을 가상 환경에서 안전하게 시뮬레이션하여 작업자의 숙련도를 높이고 사고 위험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Emulate3D는 단순히 자동화를 지원하는 도구를 넘어 디지털 트윈 기술로 혁신을 주도하는 플랫폼으로 기업은 더 나은 결정을 내리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4. 주요 고객 사이트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Emulate3D는 자동차, 생명 과학, 소비재, 식음료, 반도체 제조, 자재 취급, 자동창고 및 물류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광범위한 고객들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공항 수하물 처리 시스템, 우편 물류시스템과 같은 복잡한 자동화 환경에서도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쿠카(Kuka), 히라타(Hirata), 에이티씨 오토메이션(ATC Automation), 바스티안 솔루션(Bastian Solutions), 인트라록스(Intralox) 등이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7-01
슈나이더 일렉트릭, “하노버 메세 2025에서 차세대 자동화 설루션 소개”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3월 31일부터 4일 4일까지 독일 하노버에서 진행되는 산업 혁신 전시회 ‘하노버 산업 박람회 2025(하노버 메세)’에서 차세대 자동화 설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올해 하노버 메세 2025의 주제인 ‘기술로 미래를 설계하다(Shaping the Future with Technology)’에 발맞춰, 개방형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Open, Software-Defined Automation)와 디지털화, 전기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지속 가능성, 회복 탄력성 강화를 강조할 계획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부스에서는 디지털로 연결된 식음료 생태계와 그에 따른 가치 사슬(value chain)을 체험할 수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지속 가능한 사료 생산부터 자동화된 생산 및 제어, 그리고 친환경 포장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안내할 예정이다. 특히 ‘순환 제조 캠퍼스(Circular Manufacturing Campus)’ 분야에서는 AI, 데이터 기반 설루션을 활용한 개방형 자동화 기술이 실질적인 성과를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번 전시에서는 차세대 개방형 자동화 설루션인 EAE(EcoStruxure Automation Expert)의 소개와 함께, 아비바, 유니버셜 오토메이션 협회, 마이크로소프트, 캡제미니 등과의 협업을 통해 AI를 에너지 관리 설루션에 통합한 사례도 공유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하노버 메세 2025에서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올리비에 블룸(Olivier Blum) CEO와 바바라 프레이(Barbara Frei) 산업 자동화 사업부 부사장 및 리첼라 오데브레히트(Richella Odebrecht) 산업 자동화 사업부 CMO, 아비바 카스파 헤르츠버그(Caspar Herzberg) CEO 등의 전문 콘퍼런스도 진행된다. 바바라 프레이 부사장은 “산업 자동화는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을 가능하게 하며,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에너지와 원자재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번 하노버 메세 2025를 통해 AI 통합 자동화 설루션을 선보이며,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특히 식음료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통해 다양한 산업군에 영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2-26
[PLM 공급업체 리스트]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지멘스는 디지털 엔터프라이즈를 실현하기 위해 지난10년 넘게 13조원 이상 R&D 및 제조 관련 솔루션 인수 및 합병에 투자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디지털 트윈 포트폴리오를 완성해 가고 있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자동차, 전기/전자, 조선, 항공/국방, 중공업/기계, 유틸리티, 식음료, 의료기기/제약 산업에 이르기까지 전 산업 분야의 R&D 및 제조 혁신을 위한 디지털 혁신 플랫폼인 Siemens Xcelerator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개방형 디지털 혁신 플랫폼인 Siemens Xcelerator(엑셀러레이터)는 다양한 규모의 고객이 디지털 전환과 가치 창출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솔루션을 통해 더 많은 고객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전화    02-3016-2000         홈페이지    www.plm.automation.siemens.com/global/ko 사업분야     개방형 디지털 혁신 플랫폼인 Siemens Xcelerator(엑셀러레이터)를 통한 고객 Digital Transformation 지원 PLM 관련 취급 제품     팀센터(Teamcenter), 폴라리온(Polarion), NX, Solid Edge, 심센터(Simcenter), 멘딕스(Mendix), 옵센터(Opcenter), 테크노매틱스(Technomatix), Capital, Xpedition     출처 : PLM/DX 가이드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30
[PLM 공급업체 리스트] 이쓰리피에스
#이쓰리피에스    이쓰리피에스(E3PS)는 2006년 1월부터 현재까지 PTC사의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트너 회사이다. PLM 서비스(Strategic Advantage Provider), IoT 관련 서비스 자격을 부여 받아, 많은 고객사로부터 MCAD/PLM/IOT 분야에서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기술 능력을 검증 받았고, 현재 다 방면의 산업 분야(자동차,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하이테크, 일반 제조, 의류, 식음료 산업 등)에서 MCAD, PLM 및 IOT시스템을 성공리에 구축한바 있으며, 그 규모는 300여 회사에 이른다. 또한, 2016년부터 스마트 팩토리에 필수적인 밑단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IoT 플랫폼(PTC의 Thingworx)를 이용하여 다수의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수행한 바 있다.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 분야의 ALM(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서비스 분야의 SLM(Service Lifecycle Management)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표전화    02-576-2997     홈페이지    www.e3ps.com 사업분야     PLM/PMS/PDM/IoT 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 , Creo(3D CAD) 판매/교육/컨설팅 PLM 관련 취급 제품 WINDCHILL(윈칠) , FlexPLM(의류), Thingworx(씽웍스), Vuforia(뷰포리아)    출처 : PLM/DX 가이드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30
[PLM 공급업체 리스트] 센트릭 소프트웨어
센트릭 소프트웨어    실리콘 밸리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센트릭 소프트웨어는 패션, 아웃도어, 럭셔리, 식음료,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가전제품 등 소비재, 리테일 분야의 기업들이 기획, 디자인, 제품 개발, 소싱, 구매, 제조, 가격 책정, 할당, 판매 및 보충을 포함한 제품 컨셉부터 출시 단계의 전체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완벽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센트릭의 주력 상품인 제품 수명 주기 관리(PLM) Centric PLM은 제품의 디자인, 개발, 소싱 및 제조 단계에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비용 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Centric Planning은 소/도매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리테일 기획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혁신적인 클라우드 기반, AI 솔루션이다. Centric Pricing은 AI 기반의 리테일 가격 예측 자동화 및 재고 관리 플랫폼으로, 판매 시즌 전, 판매 중 그리고 판매 종료 시점까지 수요를 최적화함으로써 수익과 마진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entric Market Intelligence는 AI 기반의 경쟁사 상품 벤치마킹, 제품 가격 최적화 및 제품 트렌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Centric Visual Boards는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구색과 제품 서비스를 지원한다. 대표전화    02-2190-3762     홈페이지    www.centricsoftware.com/ko 사업분야     소비재, 리테일 분야의 기업들이 기획, 디자인, 제품 개발, 소싱, 구매, 제조, 가격 책정, 할당, 판매 및 보충을 포함한 제품 컨셉부터 출시 단계의 전체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완벽한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 PLM 관련 취급 제품 Centric Visual Boards, Centric Planning, Centric Market Intelligence, Centric Pricing & Inventory     출처 : PLM/DX 가이드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30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 소프트웨어, SAP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주요 PLM 소프트웨어 소개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 소프트웨어, SAP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개발 : SAP, www.sap.com 자료 제공 : SAP코리아, 080-219-2400, www.sap.com/korea   SAP의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솔루션은 아이디어에서 고객까지 연결된 제품정보를 관리하는 차세대 PLM 솔루션이다. Digital Twin, AI, Machine Learning 등의 혁신 기술을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도입하고, 고객의 VoC를 직접 반영하여 제품의 품질과 시장성을 조기에 확보하여, 경쟁사보다 한발 앞선 단납기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SAP의 지속가능경영 클라우드 솔루션과의 연계를 통해 설계 단계부터 지속가능 제품 개발을 위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1. 주요 특징 2D & 3D CAD 툴뿐 아니라 SAP ERP를 포함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과의 완벽한 통합으로 연구개발에서 제조, 구매, 영업, 품질에 이르는 전사 프로세스와 Seamless하게 연계되고, 지속가능한 제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제품의 탄소발자국 관리, 순환성 지표관리, 규제 준수 등의 광범위한 제품 ESG 지원 솔루션과도 결합하여 기업의 공시, 지표 관리,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다. 2. 주요 기능 SAP의 PLM은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이를 과제화하여 관리하는 ‘① Define’ 영역, 시스템 모델을 작성하고, CAD 도면을 연계하여 협업 환경에서 제품을 설계하는 ‘② Develop’ 영역, 디지털 정보를 통해 제품 정보를 재활용하고, 제품의 경험을 극대화하는 ‘③ Deliver’ 영역, 디지털 쓰레드 기반으로 전체 밸류체인에 걸쳐 제품 정보를 활용하는 ‘④ Manage’ 영역으로 프로세스를 구분하여 제품 개발 관리를 고도화한다. ① Define: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제품의 요구사항과 연계한다. 사업 영역을 고려한 포트폴리오부터 과제까지의 구조화된 체계를 통해 제품별, 과제별 시장성과 운영과제의 성과를 정확히 분석하여 경영진의 정확한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② Develop: 시스템 모델을 작성하고 CAD 데이터를 연계하여 지능화되고, 지속가능한 제품을 설계한다. 또한 PLM, ERP, MES 등 기간계 시스템 간의 완벽한 통합으로 설계 정보와 경영 정보, 제조 정보 간의 데이터 정합성을 확보하고 모델 기반 협업 환경을 구축하여 제품의 품질과 시장성을 조기에 확보한다. ③ Deliver: 디지털 정보를 통해 제품 정보를 전사적으로 재활용하고, 기업 내 뿐만 아니라 확장된 밸류 체인 상에 디지털 제품 정보를 공급하여, 새로운 사업 영역을 창출한다. 또한 제품의 실시간 운영 정보를 IoT로 확보하고 차기 제품에 반영하여 완벽한 Closed-loop product lifecycle 체계를 구축한다. ④ Manage: 제품의 원가 및 규제 준수, 지속가능 지표를 관리하여 기업의 Top-line과 Bottom-line 외에도 Green-line에 대한 목표도 준수할 수 있도록 가시성과 통찰력을 제공한다. 4. 주요 고객 사이트 ① 조립산업 : 전자, 자동차, 중공업 등 (Daimler, KUKA, KAESER KOMPRESSOREN, Kawasaki 중공업, MAN Energy Solutions, Endress+Hauser, Carl Zeiss) ② 장치산업 : 식음료, 제약, 화학 등 (Kellogg’s, Nestle, Henkel, Merck, BASF, GSK, DÖHLER)  ③ 공공 (노르웨이 공공도로 관리국)
작성일 : 2025-01-22
소비재 PLM 솔루션, Centric PLM
주요 PLM 소프트웨어 소개   소비재 PLM 솔루션, Centric PLM    개발 및 자료 제공 : 센트릭 소프트웨어, 02-2190-3762, www.centricsoftware.com/ko     실리콘 밸리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센트릭 소프트웨어는 패션, 아웃도어, 럭셔리, 식음료,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가전제품 등 소비재, 리테일 분야의 기업들이 기획, 디자인, 제품 개발, 소싱, 구매, 제조, 가격 책정, 할당, 판매 및 보충을 포함한 제품 컨셉부터 출시 단계의 전체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완벽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1. 주요 특징  센트릭의 주력 상품인 Centric PLM은 제품의 디자인, 개발, 소싱 및 제조 단계에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비용 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2. 주요 기능 Centric PLM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센트릭 소프트웨어의 여러 제품군을 서로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 출시 전체 프로세스를 완벽하게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 기술은 시장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며, 다른 솔루션과 쉽게 연동이 가능하며, 수천 가지의 다양한 작업 방식으로 맞춤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센트릭 소프트웨어의 기본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  센트릭 솔루션은 다양한 유형의 소비재, 시즌별 변화 패턴, 비즈니스 모델, 제조 방식, 문화적 특성 및 언어 등 광범위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센트릭은 기존의 맞춤형 소프트웨어 방식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바로 적용이 가능하고 빠르게 업그레이드 및 개선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센트릭은 고유한 애자일 배포 방법론을 개발함으로써 가치 실현 속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3. 도입 효과 판매율 증가, 마진 개선, 소비자와의 유대감 형성, 신제품 출시 가속화,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 구매 프로세스 최적화, 시장 출시 시간 단축 등 제품 컨셉부터 출시 단계까지의 전체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솔루션을 통해 기업이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전략적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 최대 18%의 매출 증가 - 최대 15%의 마진 증가 - 최대 60%의 할인 비용 절감 - 최대 60%까지 단축되는 시장 출시 시간 - 최대 15%의 총 소유비용 절감 - 최대 30%의 재고 감소 - 최대 50% 향상되는 업무 효율성 4. 주요 고객 Big Lots, SPC, Monoprix, Auchan, Tesco, Kroger, LVMH, Pan Pacific International Holdings, JD.com, Woolworths, F&F, Gentle Monster, MCM, Cosmecca Korea, Helinox 등 12,500 개 이상의 아이코닉한 브랜드를 위한 제품을 만드는 750 개 이상의 기업들이 센트릭 소프트웨어를 신뢰하고 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19
아비바-AWS, 지속 가능한 인더스트리얼 혁신 위해 전략적 협력
아비바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전략적 협력 협약(SCA)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아비바 애플리케이션을 즉시 사용 가능한 통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설루션으로 클라우드에 제공함으로써 인더스트리얼 고객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비바는 인공지능(AI)을 통해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AWS와 협력하고 있다. 데이터 모델 간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면 디지털 트윈 구축이 어려워지고, 데이터 모델을 만드는 데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아비바와 AWS는 데이터 사일로 및 산업 데이터 표준 전반에 걸쳐 데이터 관리 복잡성을 줄여 가치 실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핑 기능을 AWS 플랫폼에 구축할 계획이다. 아비바는 클라우드 기반 설루션으로의 전환을 통해 모든 산업 부문에서 경제적이고 민첩한 기술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지능형 엔지니어링 설루션을 대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비바는 AWS와의 이번 SCA 체결이 아비바 고객에게 중요한 가치를 제공한다고 보고 있으며, AWS와의 협력을 통해 화학 및 식음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그 이점을 더욱 확장하여 설루션 접근성을 향상시켜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클라우드 기반의 상호 운용 가능한 설루션은 고객이 더 빠르게 성과를 달성하도록 돕는다. 수개월이 걸리는 프로세스를 수 주 이내로 단축하여 시장 출시 시간을 앞당기고, IT 부서에서 광범위하게 관여해야 하거나 유지보수 하지 않아도 되므로, 혁신 주기를 단축하고 배포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아비바는 산업 제조를 위한 전문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설루션을 제공하는 전문성을 인정받아 AWS 제조 및 산업 역량 파트너 자격을 획득했다. AWS 제조 및 산업 역량 파트너로서 모범 사례에 맞춰 산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하고 탄력적이며 효율적인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한다. 아비바는 신에너지(New Energies) 부문의 AWS 에너지 컴피턴시 파트너로 함께 하고 있다. AWS의 우웸 우크퐁(Uwem Ukpong) 글로벌 서비스 부사장은 “AWS와 아비바의 전략적 협력으로 산업 기업은 한 차원 높은 수준의 협업 엔지니어링과 가치 창출을 실현할 수 있게 됐다. 양사는 함께 고객에게 클라우드 기반 엔지니어링을 생성형 AI로 강화할 수 있는 유연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아비바코리아의 김상건 대표는 “아비바는 탄소 배출 제로를 목표로 지속 가능한 혁신을 추진하며 AWS와 같은 파트너와 광범위하게 협력하고 있다. 더 많은 고객이 아비바의 수준 높은 서비스 역량과 맞춤형 산업용 SaaS 설루션을 활용하여 에너지 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을 최적화함으로써 지속 가능성 혁신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4-12-09
지멘스, 푸드체인 아이디와 협력해 PLM에 식품 공급망 규제 정보 포함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푸드체인 아이디(FoodChain ID)와 협력해 세계적 수준의 식품 공급망 규정 준수와 규제 정보를 지멘스 엑셀러레이터(Siemens Xcelerator) 산업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에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지멘스는 이를 통해 소비재(CPG) 업계가 제품 품질을 유지하면서 복잡한 현지 규정 준수를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멘스는 팀센터(Teamcenter) 소프트웨어에 푸드체인 아이디의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제품 개발 팀이 프로세스 초기에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제품을 설계, 제조, 마케팅하는 방법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현지 규정 준수의 복잡성을 줄이고, 더 우수하고 지속 가능한 소비재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 모든 작업을 선택한 안전한 데이터 관리형 PLM 소프트웨어 내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규정 준수와 규제 정보에 대한 푸드체인 아이디의 전문성은 팀센터를 기반으로 한 지멘스의 통합 라이프사이클 관리(ILM) 디지털 스레드의 일부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고객은 통합 수명주기 관리 관행을 채택해 유연성을 강화하고 협업을 최적화하며, 지적 재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해 신제품을 빠르게 혁신하고 시장에 출시함으로써 소비자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디지털 방식으로 혁신할 수 있게 됐다.     푸드체인 아이디의 클린턴 채드윅(Clinton Chadwick) 전략 파트너십 담당 부사장은 “지멘스와 협력해 제형과 규제 준수에 대한 전문성을 팀센터 에코시스템에 제공하게 돼 기쁘다. 팀센터에는 이미 공정 제조 분야에 대한 지멘스의 독보적인 전문성이 포함돼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식음료, 화장품, 퍼스널 케어 산업을 위한 업계 최고의 제형 기능과 신뢰할 수 있는 규정 준수 기능을 지멘스의 강력한 PLM 설루션에 긴밀하게 통합해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마리오 볼브라흐트(Mario Vollbracht) 소비자 제품과 소매 부문 글로벌 부사장은 “지멘스의 선도적인 ILM 디지털 스레드에 푸드체인 아이디의 규정 준수와 규제 정보를 추가했다. 이를 통해 엑셀러레이터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국가와 지역에서 제품을 설계하고 마케팅하는 방법에 대한 가시성을 조기에 제공한다. 이번 협업은 제품 설계자가 제품 품질을 유지하면서 전 세계 여러 지역의 복잡한 규정 준수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4-11-19
지멘스, ‘하노버 메세 2024’서 지속가능 미래 위한 디지털 전환 솔루션 제시
한국지멘스는 지멘스그룹이 4월 22일~26일 독일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제조업 박람회 ‘2024 하노버 산업박람회(하노버 메세)’에 참가해 제품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지멘스는 올해 2500㎡ 규모의 부스에서 ‘혁신의 가속화(Accelerate Transformation)’를 주제로 전시를 구성했다. 자동차, 식음료, 화학, 반도체 등 주요 산업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기술을 소개하면서, 첨단 기술과 파트너십을 통해 산업이 어떻게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줬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및 셰플러(Schaeffler) 그룹과 협업한 AI 머신 비전과 지멘스 인더스트리얼 코파일럿(Siemens Industrial Co-pilot)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강조했다.     지멘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엔지니어링을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제품인 ‘지멘스 인더스트리얼 코파일럿’을 발표했다. 이 제품은 숙련된 작업자 부족, 생산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향상 등과 같은 주요 과제 해결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며, 모든 규모의 산업 고객이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운영을 혁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멘스 인더스트리얼 코파일럿을 통해 엔지니어링 팀은 시간과 노력,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번 하노버 메세 기간 중 지멘스와 셰플러는 지멘스 인더스트리얼 코파일럿에 대한 공동 작업을 확대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멘스 인더스트리얼 코파일럿은 올 여름부터 개방형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인 ‘지멘스 엑셀러레이터(Siemens Xcelerator)’ 마켓플레이스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지멘스 엑셀러레이터 포트폴리오의 또 다른 제품으로 ‘일렉트리피케이션 X(Electrification X)’도 최초로 공개됐다. 확장성이 높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구축된 일렉트리피케이션 X는 상업 및 산업, 유틸리티 고객의 까다로운 전기화 인프라를 관리, 최적화, 자동화하도록 설계되었다. 비용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동시에 효율성과 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지멘스는 최근 출시된 ‘지멘스 에코테크(Siemens EcoTech)’를 선보였다. 지멘스 에코테크는 제품 데이터와 성능을 투명하게 보여줌으로써 고객이 보다 지속 가능한 선택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사적 자체 인증 라벨이다. 이 라벨이 부여된 제품은 지속 가능한 재료, 최적의 사용, 가치 회수 및 순환성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전체 제품 수명 주기 동안 일련의 기준에 따라 평가된다. 현재 모든 지멘스 에코테크 제품은 100% 재생 가능한 전기를 사용하는 생산 시설에서 제조되며, 2030년까지 전 세계 생산 시설과 건물에서 탄소 발자국을 제로로 만든다는 지멘스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전시회 기간 동안 지멘스 부스에서는 지멘스그룹 경영진을 포함한 150여 명의 고객 및 파트너 전문가들이 스테이지 프로그램 연사로 나서 다양한 업계 인사이트와 성공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지난 4월 22일에는 롤랜드 부시 지멘스그룹 회장 및 최고경영자와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및 시뮬레이션 기술 부문 부사장 레브 레바레디안(Rev Lebaredian)이 AI 기반 산업용 메타버스에 대해 논의하는 세션을 진행했다. 이 밖에도 300 회 이상의 가이드 투어와 500명 이상의 업계 전문가와의 미팅 기회를 제공했다. 한국지멘스의 정하중 대표이사·사장은 “지멘스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AI, 탄소 중립, 에너지 관리 등과 같은 현재 글로벌 산업 트렌드를 선도하는 최첨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솔루션을 소개할 수 있어 매우 뜻깊었다”며, “지멘스 엑셀러레이터와 같은 지멘스의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토대로 앞으로도 고객사들과 지속 가능한 동반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지멘스의 티노 힐데브란트(Tino Hildebrand) 선임부사장 및 디지털 인더스트리 부문장은 “올해 하노버 메세에서 지멘스는 디지털 전환의 선두주자로서 최신 기술을 대거 선보이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한걸음 앞당겼다. 지멘스 인터스트리얼 코파일럿, 산업용 메타버스, 지멘스 엑셀러레이터 등 AI 및 디지털 트윈 솔루션의 선도적인 발전을 동반한 혁신을 구현해냈다. 이번에 선보인 최신 기술을 한국 시장에 신속하게 소개하여 국내 고객이 당면한 과제를 최우선적으로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