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시네마 4D"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87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벤큐, AI 시네마 프로젝터 ‘W4100i’ 국내 출시
벤큐코리아는  AI 기반 시네마 기술을 탑재한 프리미엄 홈 시네마 프로젝터 ‘W4100i’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W4100i는 4K UHD 해상도와 100% DCI-P3 색역을 지원하는 시네마급 색 정확도를 기반으로, AI 알고리즘을 통해 콘텐츠 장르 및 설치 장소의 사용 환경 변화에 따라 명암비, 색상, 해상도 등을 자동 최적화하는 ‘AI 시네마 마스터’ 기능이 탑재된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출시되는 W4100i는 영화 산업계 및 애플, 넷플릭스, 유튜브 영상 제작자들이 콘텐츠 제작의 기반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시네마 색 표준인 DCI-P3를 정확하게 구현할 뿐 아니라, HDR-PRO 기술을 통해 다양한 밝기 환경에서도 생생한 명암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메이커 모드(Filmmaker Mode), ISF 전문 색상 보정 기능이 결합되어 영화 감상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구글 인증 안드로이드TV가 내장되어 넷플릭스, 디즈니+, 유튜브 등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 리모컨과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편리한 사용자 경험도 제공한다. 벤큐는 W4100i 출시를 기념해 6월 11일부터 6월 22일까지 약 2주간 벤큐샵 및 네이버 공식 스마트스토어에서 사전 예약 구매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 동안 제품을 예약 구매한 고객은 공식 출시가 459만 원에서 약 15% 할인된 389만 원에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제품은 6월 23일부터 순차 발송될 예정이다. 벤큐코리아 프로젝터팀의 조정환 팀장은 “W4100i는 지역 대비 보정(Local Contrast Enhancer) 기술을 통한 암부 계조 표현 및 오토 컬리브레이션, 공장 캘리브레이션 레포트 제공 등으로 색 표현에 강점을 보였던 W4000i 프로젝터의 후속 모델로, 기존 W4000i 제품에 새롭게 선보이는 압축 영상의 프레임 단위 분석을 통한 화면 보정, 노이즈 제거, 스마트 알고리즘 튜닝 등의 기술을 적용한 AI 시네마 모드를 제공하여 한 층 더 강화된 화질의 최적화를 통한 선명한 화면과 높은 영상 몰입도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품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소의 주변광에 따라 최상의 화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벤큐만의 독자적인 AI 기술은 벤큐의 강점인 컬러 퍼포먼스와 함께 사용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선사할 제품”이라며, “사전 예약 이벤트를 통해 더 많은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진정한 시네마 경험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6-11
와콤, ‘신티크’ 액정 태블릿 2025 신제품 라인업 출시
와콤이 액정 태블릿 신티크(Cintiq)의 새로운 신제품 라인업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이는 제품은 ▲신티크 16 ▲신티크 24 ▲신티크 24 터치 등 세 가지 모델이다. 이들 모델은 와콤의 다양한 혁신 요소를 결합해 보다 많은 창작자들이 전문가 수준의 액정 태블릿 성능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새로운 신티크 시리즈는 와콤의 플래그십 펜인 와콤 프로 펜 3를 탑재해 한층 정밀하고 자연스러운 필기감을 구현한다. 향상된 펜 반응 속도와 압력 감도로 섬세한 펜 스트로크를 구현하며, 손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프로 펜 3는 전문 크리에이터를 겨냥한 신티크 프로, 인튜어스 프로에 제공되는 펜으로, 이번에 새로운 신티크 시리즈에 추가됐다.     신제품 신티크 라인업은 16형(2560×1600 WQXGA 해상도) 및 24형(2560×1440 WQHD 해상도)의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되며, 24형 모델은 펜 전용과 멀티 터치 지원 모델 중에 선택할 수 있다. 특히 24형은 16:9의 시네마 화면비와 최대 밝기 350 cd/㎡를 제공해 애니메이션, 영상 작업에 적합한 고사양을 제공한다. 16형과 24형 모두 100% sRGB를 제공하며, 16형은 99% DCI-P3 색상 성능을 갖추고 있다. 두 모델 모두 디스플레이는 다이렉트 본딩(direct bonding) 공법을 적용해 펜촉과 커서 사이의 단차를 줄였으며, 안티글레어(AG) 에칭 글래스를 장착해 화면 반사를 줄이고 장시간 사용 시 눈의 피로도를 덜어준다. 신티크 시리즈는 슬림한 평면 디자인으로 다양한 작업 환경에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전작 대비 제품 두께와 베젤의 넓이가 줄었지만, 작업 영역은 오히려 넓게 확보했다. 특히 신티크 24 모델은 기존 22형 모델 대비 약 50% 얇아진 21mm의 두께로 설계돼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쿨링 팬을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표면 기술을 개선해서, 장시간 고밀도 작업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제공하고 몰입도 높은 작업 환경을 지원한다. 신티크 24 모델에는 무소음의 부드럽고 안정적인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와콤 각도 조절 스탠드가 기본 제공되며, 신티크 16 모델의 경우 기본 제공되는 내장형 접이식 스탠드 외에 신티크 16 전용 각도 조절 스탠드는 별도 구매 가능하다. 두 모델 모두 VESA 마운트(75×75 mm)를 지원해 타사 모니터 암과의 호환성도 갖췄다. 모든 케이블 포트는 후면에 일괄 정리돼 있으며, USB-C 타입 연결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특히 16형 모델은 전원 공급이 가능한 단일 USB-C 타입 연결을 지원해 데스크 세팅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고(DP Alt 모드 지원 PC에 한함), 24형 모델은 HDMI 연결도 지원한다. 이번 신제품에는 클립 스튜디오 페인트 EX, MASV 등 사용자를 위한 주요 창작 소프트웨어의 기간 한정 라이선스가 포함돼 있어, 제품 설치 직후 바로 창작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와콤은 신티크 2025 시리즈 신제품을 와콤 공식 온라인스토어 및 온·오프라인 판매처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6월 15일까지 얼리버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와콤의 야노 코지(Koji Yano) 브랜드 비즈니스 수석 부사장은 “창의성은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범함 속으로 뛰어드는 데서 시작된다”면서, “새로운 신티크 라인업은 더 나은 창작을 추구하는 모든 크리에이터를 위한 도구로, ‘만약’이라는 상상을 ‘다음 단계’로 이끄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6-05
벤큐, 블루코어 레이저 광원 탑재한 프리미엄 홈시네마 프로젝터 W5800 출시
벤큐코리아는 프리미엄 홈 시네마 프로젝터인 W5800을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W5800은 블루코어 레이저 광원과 HDR-PRO 기술을 결합하여 몰입감 있는 시네마틱 화질을 구현하는 하이엔드 홈 시네마 프로젝터다. W5800의 핵심은 벤큐의 블루코어 레이저 광원을 바탕으로 독자 기술을 통해 구현한 높은 계조 표현력과 색 정확도이다. 레이저 광원을 통해 긴 수명(최대 2만 시간)과 함께 일관된 밝기 유지, 뛰어난 색 정확도를 오랜 사용기간 동안 제공하며, 기존 램프 기반 프로젝터 대비 빠른 시동과 낮은 유지보수 비용을 갖추었다. 특히, 200만:1의 초고명암비를 지원하여 깊고 풍부한 블랙 표현이 가능하며, 더욱 입체적인 화면을 연출한다. 또한, HDR-PRO 기술을 탑재하여 HDR10, HLG뿐만 아니라 HDR10+ 콘텐츠까지 지원하며, 향상된 명암비와 세부 표현력을 통해 더욱 생생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W5800은 DCI-P3 100% 색역을 지원하여 영화 제작자가 의도한 색상을 정확하게 표현하며, Delta E<2 팩토리 캘리브레이션 리포트를 제공해 사용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색상 품질을 보장한다. 여기에 정밀한 영상 튜닝을 위한 11단계 화이트 밸런스 조절 기능도 지원하며, 전문가 수준의 색상 보정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설루션을 제공한다.     W5800은 설치 편의성도 높였다. 전동 방식 1.6배 줌 렌즈 및 렌즈 시프트(수평 ±21%, 수직 ±50%)를 지원하여 다양한 공간에서도 정밀한 화면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저분산 코팅이 적용된 비구면 유리 렌즈를 탑재하여 색수차를 최소화하고 선명도를 높였으며, 멀티 채널 냉각 시스템을 적용하여 27dB~30dB의 저소음을 유지해 조용한 환경에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벤큐 빔프로젝터 팀의 조정환 팀장은 “W5800은 벤큐가 오랜만에 선보이는 프리미엄 하이엔드 홈 시네마 제품으로, 제품별 캘리브레이션 공정을 진행해 색상 표현력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라고 전했다. 또한 조 팀장은 “블루코어 레이저 광원과 DLP 기술의 조합으로 오래토록 변치 않는 화질을 제공하며, 벤큐의 독자적인 HDR-PRO 기술을 통해 영화 마니아와 AV 애호가에게 최상의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정밀한 색 재현력, 다른 프로젝터와 차별되는 높은 계조 표현력을 통해 완벽한 홈 시네마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25-02-12
벤큐, 4K 프리미엄 27인치/32인치 화이트 모니터 EW2790U 및 EW3290U 출시
벤큐는 프리미엄 엔터테인먼트 모니터 EW2790U와 EW3290U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27인치의 EW2790U와 32인치의 EW3290U는 4K UHD(3840×2160) 해상도와 DCI-P3 최대 98%를 지원하는 프리미엄 엔터테인먼트 모니터이다. 벤큐의 AI 콘트라스트(AI Contrast) 기술이 적용되어 이미지의 다른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표시되는 콘텐츠에 맞춰 자동으로 명암을 조정할 수 있다. 더불어 밝기의 범위를 실제 눈에 가까운 영역으로 확장시켜 자연스러운 색감과 음영을 구현하는 벤큐의 HDR 기술이 적용되었다. 두 제품 모두 디스플레이 HDR 품질을 지정하는 표준 적합성 인증인 베사 디스플레이 HDR 400(VESA Display HDR 400)을 획득해 더욱 생생한 HDR 영상을 구현한다.     엔터테인먼트를 환경을 위한 다양한 기능도 지원한다. 모니터 하단의 시나리오 핫키를 활용하면 표준 모드, 시네마 HDRi 모드, 게임 모드와 같이 모니터 사용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모니터 설정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프리미엄 빌트인 스피커 또한 장점이다. EW3290U는 최적의 사운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2.1채널 스피커(2Wx2, 5W 우퍼)를 탑재하였으며, EW2790U는 2채널 스피커(5Wx2)를 탑재했다. 두 제품 모두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고려한 6가지 오디오 시나리오 모드(라이브/팝, 시네마, 대화/음성, 게임, 스튜디오 모니터, 사용자 모드)를 지원하여 영화, 게임,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에 맞는 오디오 경험을 즐길 수 있다. 지원하는 단자 또한 3개의 HDMI(v2.0) 포트와 2개의 USB-C 포트, 3개의 USB-A 포트로 영화, 게임 등 폭 넓은 시청 경험을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 연결이 가능하다. 특히 EW3290U는 리모컨을 추가 지원하여 TV처럼 간편한 조작이 가능하다. EW2790U와 EW3290U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벤큐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 파일럿2(Display Pilot 2)를 지원한다. 사용자의 모니터 사용 습관을 학습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이나 필요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로 전환하거나, 사용자 오디오 모드에서 이퀄라이저를 취향에 맞게 조정하기도 간편하다. 새로운 기능인 집중력과 효율성을 높여주는 뽀모도로(Pomodoro) 타이머 사용 또한 가능하다. 건강한 디지털 환경을 위한 벤큐 디스플레이의 아이케어 기술도 적용되었다. 주변 밝기와 콘텐츠의 밝기를 감지해 자동으로 눈이 가장 편안한 화면을 구현하는 2세대 스마트 밝기 조절(Brightness Intelligence Gen2)과 글로벌 안전 기관 TUV 라인란드에서 인증 받은 플리커프리(Flicker Free) 기술, 청색광을 차단하는 로 블루라이트 플러스(Low Blue Light Plus)를 지원한다. 벤큐코리아 마케팅팀의 이상현 팀장은 “벤큐 EW2790U와 EW3290U는 4K UHD 해상도에 세련된 화이트 컬러와 전면 스피커 디자인, 모든 동작을 지원하는 인체공학적 멀티 스탠드로 책상 위에서 업무뿐만 아니라 게임, 영화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를 즐기는 데스크테리어족에게 큰 만족감을 안겨줄 것”이라며, “벤큐의 독자적인 AI 콘트라스트와 HDR 기술, 디스플레이 파일럿 2 소프트웨어로 탁월한 영상 표현력과 다양한 편의성을 고루 갖춘 제품”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1-08
[피플&컴퍼니] 시각화 콘텐츠 제작을 위한 토털 설루션 제공하는 맥슨
지브러시, 시네마 4D, 레드 자이언트로 만나는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경험   맥슨(Maxon)이 주최하는 ‘맥슨 유저 커넥트 2024’가 11월 12일 서울 강남구 슈피겐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지브러시(ZBrush), 시네마 4D(Cinema 4D), 레드 자이언트(Red Giant)의 최신 도구를 직접 체험하고, 업계 전문가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맥슨의 총판인 마루인터내셔널에서 진행한 이번 세미나는 영화, 게임, 영상, 디자인 업계 전문가뿐 아니라 관련 분야에 열정을 가진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행사 지원차 내한한 맥슨 본사 관계자로부터 최근 맥슨의 현황과 업데이트 내용에 대해 들어보았다. ■  최경화 국장   ▲ 맥슨의 사이먼 워커 교육 책임자, 이안 로빈슨 지브러시 마스터 트레이너, 플로렌스 리채널 세일즈 관리자)   맥슨에 대해 간단히 소개를 부탁드린다 맥슨은 2D/3D 디자인, 모션 그래픽, 시각 효과 및 시각화 분야에서 일하는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강력하면서도 접근하기 쉬운 소프트웨어 설루션을 개발/제공하고 있다. 맥슨 원(Maxon One)은 3D 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애니메이션 기술의 시네마 4D(Cinema 4D) 제품군, 이동 중에도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포저(Forger) 모바일 조각 앱, 혁신적인 편집, 모션 디자인 및 영화 제작 도구인 다양한 레드 자이언트(Red Giant) 라인업, 최첨단의 초고속 레드시프트(Redshift) 렌더러, 산업 표준 디지털 조각 및 페인팅 설루션인 지브러시(ZBrush)와 같은 수상 경력에 빛나는 도구를 특징으로 하는 업계를 선도하는 제품군을 가지고 있다. 맥슨은 사용자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하고 뛰어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전체 제품군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2D/3D 디자인, 모션 그래픽, 시각 효과, 제품 및 건축 시각화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와 크리에이티브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러한 도구는 올해의 오스카 수상 영화인 ‘고질라 마이너스 원’과 ‘스파이더맨 :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에미상 수상 타이틀 시퀀스인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호평을 받은 게임인 ‘스파이더맨 2’, 그리고 나이키(Nike), 멀버리(Mulberry), 삼성과 같은 최고 브랜드의 제품 디자인 등 많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었다.   맥슨의 주요 제품군은 어떤 것이 있고, 최근 업데이트된 내용은 어떤 것이 있는가 시네마 4D에서 최근 초점은 시뮬레이션과 파티클에 맞춰져 있으며, 이제 아티스트는 완전히 GPU 기반 통합 시뮬레이션 툴셋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 로프, 소프트 및 리지드 보디 시뮬레이션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연기, 불 및 파티클도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시네마 4D의 직관적인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에 완벽하게 통합된다. 레드시프트는 최근 비사실적 렌더링을 추가하여 아티스트가 선과 음영을 렌더링하여 만화나 기술 도면처럼 3D 객체를 표현할 수 있다. 동시에, 유리를 믿을 만하게 보이게 하는 초점이 맞춰진 빛인 Caustics를 렌더링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으로 사실성이 계속 향상되고 있다. 레드 자이언트는 모션 그래픽 템플릿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시각 효과를 위한 강력하고 아티스트 중심적인 소스인 맥슨 스튜디오(Maxon Studio)를 출시했다. 수백 개의 사용자 정의 가능한 캡슐 카탈로그를 갖춘 맥슨 스튜디오를 사용하면 제목, 하단 3분의 1, 구독 버튼과 같은 모션 요소부터 레드 자이언트 플러그인으로 구동되는 효과 및 전환에 이르기까지 모든 프로젝트에 엄청난 프로덕션 가치를 쉽게 추가할 수 있다. 새로운 보케와 픽셀 디더 효과로 몽환적인 렌즈 블러와 레트로 게임 미학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지브러시가 이제 아이패드에도 출시되었다. 완전히 새로운 터치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함께 지브러시 아티스트의 모든 힘을 활용하여 영감을 받은 모든 곳에서 창작하고 아이패드에서 프로젝트를 쉽게 전송하여 지브러시 또는 시네마 4D에서 데스크톱에서 추가 마무리할 수 있다.     시각화 분야에서 최근 주요한 시장 트렌드나 기술 트렌드가 있다면? 이와 관련해 맥슨에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시각화 아티스트는 실시간 속도를 기대하지만,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옵션도 유지하고 싶어한다. 레드시프트는 아티스트가 모션 그래픽과 필름 시각 효과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소재 시스템을 활용하는 실시간 설루션 ‘RT’를 반복적으로 개발해 왔다. 이를 통해 빠르고 고품질의 미리보기로 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최종 시각화를 위해 렌더링을 쉽게 다듬을 수 있다. 아티스트는 또한 다양한 사전 설정 객체 및 소재 라이브러리에 의존하며, 이를 Cloud Capsules 라이브러리를 통해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   생성형 AI, 리얼타임 렌더링, 메타버스 등 최근 트렌드가 맥슨 제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개한다면 이러한 모든 추세는 3D 아트워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제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맥슨의 도구는 항상 워크플로의 속도를 강조했으며, 아티스트가 빠르고 쉽게 창의적인 비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는 계속해서 우리의 초점이다. 생성형 AI를 통해 아티스트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교육 데이터를 소싱하고 도구 자체가 예술성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강화하도록 하는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우리는 오늘날의 까다로운 타임라인에서 아티스트가 아름다운 시각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고의 기술을 활용하는 렌더링 설루션에 전념하고 있다.   맥슨이 제품/기술 개발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이 있다면? 타사의 소프트웨어와 차별점은 무엇인가 맥슨의 경쟁 우위는 디자이너가 기술의 지루함에 빠지지 않고 창의적인 개념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 직관적인 워크플로를 통해 아티스트를 진정으로 고려하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는 광고에서 주택, 장난감, 보석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디자인하는 아티스트를 위한 혁신적이고 견고한 설루션과 이러한 디자인 우선 사고방식을 계속 결합할 것이다.   ▲아이패드용 지브러시 출시   맥슨은 아이패드용 지브러시를 출시함으로써 아티스트가 어디에 있든 도구를 제공하고, 재구성되고 고도로 사용자 정의 가능한 UI,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브러시 시스템, 애플의 펜 및 터치 기반 기능을 통해 이동 중에도 지브러시의 힘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어디에서나 조각하고, 페인트하고, 창작물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조각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지브러시가 높은 평가를 받는 파워와 기능을 아이패드의 휴대성과 직관적인 기능과 결합한 이 획기적인 제품은 아티스트가 데스크톱에서 벗어나 영감을 받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창의적일 수 있도록 해준다. 세트에서 고품질 3D 모델을 만들든, 여행 중이든, 단순히 스튜디오의 한계를 벗어나든 상관없다. 데스크톱 시스템의 기존 제약은 과거의 일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동성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생산성으로 이어지고 아티스트가 창의성의 경계를 넓힐 수 있는 힘을 준다. 우리는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들에게 불필요한 작업을 줄여 자동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맥슨의 비즈니스에서 한국은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가? 한국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동향이나 최근 주요 고객사례에 대해 소개한다면 맥슨은 한국 사용자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다. 모든 제품을 한국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오래 지속되어 온 커뮤니티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티스트들이 배출되어 한국뿐 아니라 미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활동 중이며, 아울러 맥슨에서 개최하는 세계적인 다양한 이벤트에서 그들의 창의적인 작품과 노하우를 세계 여러 아티스트와 공유하고 있다.   한국 유저를 위한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지원 계획, 마케팅 전략 등이 있다면 이번에 방한하게 된 가장 큰 목적 중의 하나는 한국 유저를 지원하기 위한 인증 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아울러 다양한 교육 컨텐츠와 튜토리얼 및 유저 가이드 등을 한국어로 제공하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한국 유저들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조만간 한국 내에 공인 트레이너(Certified Trainer)와 공인 교육센터(Certified Training Center) 및 공인 프로 아티스트(Certified Pro Artist)가 많이 배출되어 더욱 풍성한 교육 및 학습 환경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맥슨의 총판인 마루인터내셔널을 통해 주요 제품을 국내 공급하고 있다. 맥슨의 사이먼 워커 교육 책임자와 마루인터내셔널 김종효 대표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2-04
DJI, 크리에이터를 위한 ‘제10회 스카이픽셀 사진 및 동영상 대회’ 개최
DJI가 드론 사진 및 동영상 콘텐츠 공유 온라인 커뮤니티인 스카이픽셀(SkyPixel)과 ‘제10회 SkyPixel 사진 및 동영상 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11월 7일부터 2025년 2월 1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대회는 지난 10년간 전 세계 사진 및 영상 크리에이터가 각자의 독창적인 시각으로 촬영한 콘텐츠를 공유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이를 감상하면서 성장해 온 항공 촬영 이미지 커뮤니티의 발전 과정을 잘 보여준다. 올해는 핸드헬드 카메라를 이용해 자신의 재능을 뽐내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트렌드를 반영해 ‘핸드헬드’ 카테고리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또한 참가자들의 독창적인 재능을 인정하기 위해 준비된 총상금 규모는 약 2억 2000만 원(17만 달러) 이상이다.   2014년에 시작된 스카이픽셀은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훌륭한 스토리를 공유하는 글로벌 커뮤니티이다. 이 플랫폼은 5500만 명의 등록된 사용자와 전 세계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애호가들이 매일 올리는 5000만 개 이상의 항공 촬영 이미지와 동영상을 모으며 성공을 이뤘다. 스카이픽셀은 2015년부터 총 9회의 연례 항공 촬영 사진 및 동영상 대회를 개최해 왔다. 그 결과, 전 세계 40만 건이 넘는 작품이 제출되었고 총조회수는 10억 회를 넘어섰다.     제10회를 맞이하는 이번 대회에서 DJI와 스카이픽셀은 인간 표현의 무한한 잠재력을 중심으로 한 ‘한계를 넘어 탐험하라’라는 주제로 참가자들의 도전을 독려한다. DJI 제품 사용자들의 예술적 열정을 불러일으키고 더 많은 참여를 격려하기 위해 올해 대회의 카테고리는 항공 촬영 사진, 항공 촬영 동영상, 핸드헬드 동영상 3가지 부문으로 단순화되었다. 항공 촬영 사진과 항공 촬영 동영상 카테고리 외에 올해 대회에서는 새롭게 핸드헬드 동영상 카테고리가 추가되어, 지상에서 자신의 창의력을 뽐내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진다.  또한 이번 대회는 처음으로 참가자들이 모든 DJI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작품을 제출할 수 있도록 했고, 매달 새로운 트렌드나 혁신적인 예술을 탐구하는 작품을 선정해 인기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DJI는 전 세계에서 업계 최고 자리에 있는 비디오그래퍼와 포토그래퍼가 출품작의 심사를 맡는다고 소개했다. 스카이픽셀과 DJI는 3개 부문에서 대상을 수여하고, 80개 이상의 상품을 준비해 총 약 2억 2000만 원(미화 17만 달러) 상당의 상품을 대회 기간에 증정할 예정이다. 최고 작품상 대상 수상자에게는 DJI의 시네마 카메라와 드론 등의 상품이 제공된다. 모든 대상 수상자는 스카이픽셀 트로피와 함께 공식 ‘스카이픽셀 크리에이터’로 인증을 받는다. 전체 상품 목록은 스카이픽셀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DJI 매빅 3 프로, DJI 에어 3S, DJI 아바타 2, 오즈모 포켓 3 등이 상품에 포함된다. 모든 참가자는 DJI 스토어에서 사용 가능한 DJI 크레딧을 지급받을 예정이다. DJI의 페르디난드 울프(Ferdinand Wolf)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아름다움은 보는 사람의 시선에 달려 있다. 스카이픽셀 사진 및 동영상 대회는 지난 10년간 각지의 포토그래퍼와 비디오그래퍼가 자신만의 시각으로 세상을 담아 공유한 공로를 인정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해 왔다”면서, “앞으로도 스카이픽셀 플랫폼은 지속적으로 상상력을 자극하고 이미지 예술을 재정의하며, 전 세계 개인 및 커뮤니티에서 공유하는 다양한 경험을 포용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1-08
DJI, 항공 여행 사진 촬영 기능 강화된 듀얼 카메라 드론 출시
DJI가 여행 사진 촬영을 위한 고급 듀얼 카메라 드론인 DJI 에어 3S(DJI Air 3S)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에어 3S는 1인치 CMOS 메인 카메라와 70mm 미디엄 망원 카메라를 채택했으며, 각 카메라는 최대 14스톱 다이내믹 레인지와 새로운 ‘프리 파노라마’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촬영 범위를 유연하게 선택하고 풍경이나 건축물 등을 촬영할 때 보다 풍부한 디테일을 담는 것이 가능해졌다. 드론의 새로운 야경 장애물 감지 및 차세대 스마트 RTH(리턴 투 홈) 기능은 밤에도 효과적인 시네마틱 사진 촬영과 안전한 비행을 돕는다. 에어 3S의 듀얼 카메라는 10비트 및 ISO 이미지 화질을 개선해, DJI 매빅 3 프로(Mavic 3 Pro)보다 더욱 풍부한 디테일을 담은 사진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에어 3S의 듀얼 카메라는 일반 컬러 모드에서도 H.265 코덱을 사용해 10비트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대 ISO 12,800까지 높인 더욱 섬세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고 후편집 시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D-Log M 및 HLG 컬러 모드에서 최대 ISO가 3200으로 높아져, 도시 야경을 더욱 높은 밝기와 풍부한 세부 표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전 세대의 DJI 에어 3와 비교했을 때 DJI 에어 3S는 한층 향상된 비디오 인코딩 압축 알고리즘을 적용해, 영상 파일 크기를 30% 이상 줄이지만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아 크리에이터의 저장 공간을 절약한다.     두 카메라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리 파노라마’ 모드는 수동으로 선택한 피사체나 영역을 기준으로 여러 이미지를 결합해 매끄러운 파노라마 샷을 촬영하게 해 준다. 광각 카메라는 더 넓은 시야각(FOV)을 제공해 파노라마 사진 촬영 시 효율성을 높여준다. 긴 초점 거리의 미디엄 망원 카메라는 이미지 왜곡을 줄여줌으로써 여러 장의 사진에서 얻은 넓은 시야와 풍부한 디테일이 담긴 확장된 이미지를 만들어준다. 두 카메라 모두 최대 14스톱 다이내믹 레인지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고대비 장면에서도 영화와 같은 시네마틱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메인 카메라의 기본 5000만 화소, 1인치 CMOS 카메라와 24mm 렌즈는 4K/60fps HDR 및4K/120fps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며, 10비트 D-Log M 컬러 모드를 제공한다. 이 센서는 고급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과 지능형 알고리즘으로 강화되어, 일몰이나 야경 같은 저조도 환경에서도 미세한 디테일들을 놓치지 않고 촬영한다. 70mm 미디엄 망원 카메라는 3배 광학 줌으로 인물 및 차량 촬영에 적합하다. 압축된 피사계 심도로 피사체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영화와 같은 시네마 느낌을 강조한다. 이 두 번째 카메라는 4800만 화소, 1/1.3인치 CMOS 센서를 탑재했다. 메인 카메라와 동일한 동영상 사양 및 컬러 모드 지원해 시각적으로 일관된 영상을 사용할 수 있어 후편집 작업을 간소화해 준다. 주변 환경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에어 3S는 DJI 드론 중에서는 최초로 정면 라이다(LiDAR)를 탑재했으며, 하향 적외선 ToF(Time-of-flight) 센서와 6개 비전 센서(전방/후방/하단에 각 2개)를 채택해 야경 촬영 시 전방위 장애물 감지가 가능하다. 이 첨단 기능은 에어 3S가 비행과 복귀 경로에서 빌딩과 같은 장애물을 자동으로 식별하도록 해 야간 사진 촬영 작업 시 강력한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한 에어 3S는 실시간 비전 위치 추적과 지도 생성 기술을 통해 적정 조명이 있는 경우 비행 경로를 기억할 수 있다. 이 기능으로 위성 신호가 없는 위치에 이륙하더라도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다. DJI 에어 3S는 ActiveTrack 360° 기능으로 어떤 피사체도 프레임 안에 담아준다. 주변 비행 환경에 기반해 최적화된 추적 성능은 자동으로 비행 경로를 계획하고, 프레임 구도를 조정해 피사체가 중앙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 외에도 에어 3S는 새로운 ‘피사체 포커스(Subject Focusing)’ 기능을 채택해, 수동 비행 중이거나 피사체가 중심에서 벗어날 때도 피사체를 또렷한 초점으로 유지해 준다. 이 기능은 조종사가 촬영 구도와 카메라 동작과 같은 창의적인 촬영 시점에 온전하게 집중할 수 있게 해 준다. 최대 45분의 비행 시간을 지원하며, 마이크로SD 카드 없이도 촬영할 수 있는 2GB의 내장 메모리를 탑재했다. 퀵트랜스퍼(QuickTransfer)를 통해 드론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호환 USB 케이블을 사용해 스마트폰으로 파일 전송이 가능하다. 배터리 충전 허브는 PD 고속 충전을 지원하며, 배터리 잔량이 낮은 여러 개의 배터리의 전력을 잔량이 가장 높은 배터리로 전송하는 전력 축적 기능을 지원한다. DJI의 페르디난드 울프(Ferdinand Wolf)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DJI 에어 3S는 듀얼 메인 카메라와 전방위 장애물 감지 시스템과 같은 전문가급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724g의 가벼운 무게를 유지해 창작의 자유와 유연성을 제공한다”면서, “에어 3S는 여행 사진 촬영을 위한 완벽한 만능 촬영 도구로 휴가 중 특별한 순간을 담고 밤에도 안전한 촬영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DJI 에어 3S는 DJI 스토어 및 하이마트,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및 기타 공인 판매처를 통해 주문할 수 있다. 권장 소비자가격은 구성 옵션에 따라 136만 7000원부터 시작한다. DJI 제품에 대한 종합 보상 서비스 플랜인 DJI 케어 리프레시(DJI Care Refresh)가 DJI 에어 3S에도 적용됐다. DJI 케어 리프레시는 플라이어웨이, 충돌, 침수 피해를 포함하는 우발적 손상에 대해 1년 내 최대 2회(1년 플랜) 또는 2년 이내 최대 4회(2년 플랜)의 교체 서비스를 포함해 공식 워런티 및 무료 배송을 지원한다.
작성일 : 2024-10-16
에픽게임즈, 신규 통합 콘텐츠 마켓플레이스 ‘팹’ 10월 출시
에픽게임즈는 언리얼 엔진과 에픽 에코시스템의 모든 마켓플레이스를 통합한 콘텐츠 마켓플레이스 '팹(Fab)’이 오는 10월 중순 출시될 예정이며, 판매자들을 위한 퍼블리싱 포털을 먼저 오픈했다고 발표했다. 에픽게임즈는 지난 2023년 게임 개발자 콘퍼런스(GDC)에서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 스케치팹, 아트스테이션 및 퀵셀 등 언리얼 엔진과 에픽 에코시스템의 모든 마켓플레이스를 통합한 새로운 콘텐츠 마켓플레이스인 팹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팹은 애셋을 한 곳에서 검색, 구매 및 판매 그리고 공유할 수 있는 원스톱 마켓플레이스이자 게임, VFX,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 디자인, 건축, 패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크리에이터가 함께 판매자이자 구매자가 되는 커뮤니티로 운영될 계획이다. 에픽게임즈는 크리에이터가 팹에서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88:12의 수익 배분율을 적용할 방침이다. 먼저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 크리에이터는 팹 퍼블리싱 포털에서 지금 바로 제품을 팹으로 이전할 수 있다. 스케치팹은 10월 초부터 새로운 퍼블리셔의 가입 및 콘텐츠 업로드가 가능하며, 라이선스 콘텐츠를 팹으로 쉽게 이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마이그레이션 툴이 제공된다. 아트스테이션 마켓플레이스의 경우, 2025년까지 크리에이터가 팹으로 제품을 이전할 수 있도록 현재와 같이 계속 동일하게 운영된다.     에픽게임즈는 팹 출시 후 2024년 말까지 팹 스탠다드 라이선스 제품 판매에 대해 수수료 없이 100%의 수익을 판매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팹의 출시 프로모션의 일환으로, 팹에서 제품을 퍼블리싱하거나 최소 25 달러를 구매하는 신규 사용자에게 어도비 서브스턴스 페인터 및 모델러 6개월 구독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어도비와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팹에서 제공될 기능들을 살펴보면 ▲ 멀티 엔진 및 멀티 플랫폼 지원을 통해 언리얼 엔진 및 유니티 등 여러 게임 엔진과 호환되는 콘텐츠 및 블렌더, 마야, 시네마 4D, 어도비 서브스턴스 3D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툴을 제공하며 ▲ 3D 모델, 게임 엔진용 2D 애셋, 환경, 오디오, 툴, 여러 형식의 플러그인 등 다양한 애셋 유형을 지원한다. 또한 ▲ 언리얼 엔진 및 UEFN 통합으로 크리에이터는 에디터에서 바로 팹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어 애셋을 프로젝트에 바로 가져올 수 있으며 ▲ 차세대 리얼타임 3D 뷰어를 통해 크리에이터는 3D 애셋을 살펴볼 수 있고 퍼블리셔는 리얼타임 3D로 자신의 작품을 손쉽게 선보일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더불어 ▲ 강력한 검색 및 탐색 툴을 통해 적절한 가격과 원하는 라이선스의 파일 형식이나 애셋을 빠르게 찾을 수 있고 ▲ 판매자는 스탠다드 라이선스에 대한 가격 책정이 가능한 여러 라이선스 유형을 제공할 수 있어 개인 또는 전문가용 제품을 다양한 가격대로 판매할 수 있으며 ▲ AI 투명성을 통해 크리에이터는 생성형 AI 프로그램 사용유무가 명시된 제품 정보를 참고해 자신의 제품을 생성형 AI 프로그램 학습에 사용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오는 10월 팹이 정식 출시되면,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와 스케치팹 스토어의 애셋 판매 및 구매는 팹으로 이전되어 팹에서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퀵셀 메가스캔 콘텐츠도 팹으로 이전된다. 2024년 말까지 팹의 스탠다드 라이선스에 따라 엔진 및 툴에 관계 없이 모든 크리에이터에게 메가스캔 콘텐츠가 무료로 제공되며, 2025년부터는 유료 모델로 전환된다. 아트스테이션 마켓플레이스의 경우 크리에이터가 팹으로 제품을 쉽게 이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마이그레이션 툴이 2025년에 제공될 예정이다. 포트폴리오나 프린트 등 아트스테이션 마켓플레이스를 제외한 다른 모든 부분은 팹으로 이전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작성일 : 2024-09-19
DJI, 신규 75mm F1.8 렌즈로 항공 영화 촬영 영역 강화
DJI가 DL 75mm F1.8 렌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미디엄 망원 렌즈인 DL 75mm F1.8 렌즈는 DJI의 DL 렌즈 중 가장 넓은 조리갯값과 최장 초점 거리를 지원한다. 이 렌즈는 인스파이어 3(Inspire 3) 시네마 드론의 젠뮤즈(Zenmuse) X9-Air 짐벌 카메라 전용 렌즈로 설계되었다. DJI는 이번 DL 75mm 렌즈의 출시로 자사의 렌즈 컬렉션이 초광각, 광각, 표준 및 미디엄 망원 초점 거리 렌즈를 모두 포함하며, 보다 폭넓게 영화 촬영 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긴 초점 거리의 DJI DL 75mm 렌즈를 이용하면 피사계 심도가 더욱 깊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제작자는 풍성한 디테일을 담은 자연 풍경은 물론 빠른 속도의 차량 추격전을 안전거리에서 클로즈업 촬영할 수 있으며, 모든 장면에서 다양한 구도로 등장인물을 촬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JI DL 75mm F1.8 조리개는 야간 또는 저조도 환경에서도 향상된 이미지 성능을 제공하며 더 얕은 피사계 심도로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배경을 블러 처리하는 스타일리시한 연출도 가능하게 해준다. 인스파이어 3의 듀얼 ISO(EI 800 & 4000)와 함께 사용할 경우 DL 75mm는 도시 야경을 투명한 화질로 재현하며, 항공에서 빛과 그림자의 매력을 담아낼 수 있다. DJI DL 75mm의 광학 설계는 9군 10매 구조이며 ED 렌즈 3매를 포함한다. 한편, UMC 코팅으로 내부 반사를 더욱 최소화하여 높은 콘트라스트와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 독특한 설계는 높은 선명도와 낮은 색수차를 제공해 세밀하고 화질이 뛰어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DJI DL 75mm는 항공 영화 촬영을 위해 최적화되었다. 특히 통합 탄소 섬유 하우징 디자인 덕분에 렌즈 무게가 269g밖에 되지 않아 인스파이어 3 시네마 드론의 초고속 제어 요건을 충족한다. 또한, 피치(pitch) 축 및 요(yaw) 축 카운터웨이트 블록은 드론의 짐벌이 비행 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DJI DL 75mm F.18 렌즈의 가격은 174만 1900원이다. 구성품으로는 렌즈, 렌즈 보호 글라스, 렌즈 카운터웨이트 링, 피치 축 카운터웨이트 블록, 요 축 카운터웨이트 블록, 스크루드라이버 및 나사가 포함된다. DL 75mm F1.8 렌즈에 대한 지원 및 다양한 개선사항과 버그 수정이 포함된 DJI 인스파이어 3의 신규 펌웨어는 9월 3일부터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DJI의 페르디난드 울프(Ferdinand Wolf)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DJI는 새로운 DJI DL 75mm 렌즈를 출시함으로써 항공 및 핸드헬드 영화 촬영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영화 산업에 혁신을 가져오고자 한다”면서, “민간용 드론 및 창의적인 카메라 기술의 선두 업체로서 DJI는 영상 제작자들이 전문적인 도구를 사용해 창의적인 잠재력을 표출하고 비전을 현실로 만들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DJI는 인스파이어 3를 위한 DJI 케어 프로(DJI Care Pro) 서비스 플랜이 젠뮤즈 X9-8K Air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든 공식 DJI 렌즈를 포함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DJI 케어 프로 플랜의 가격도 조정되어 1년 플랜은 135만 원, 2년 플랜은 248만 원에 제공된다. 이미 DJI 케어 프로를 구매한 DJI 고객은 플랜 유효 기간 동안 렌즈 보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2024년 8월 3일부터 9월 3일간 기존 가격으로 DJI 케어 프로를 구매한 DJI 고객은 판매처에 문의해 무료 DJI TB51 인텔리전트 배터리를 받아볼 수 있다.
작성일 : 2024-09-04
DJI, SDR 기술 탑재한 경량 상업용 동영상 전송 시스템 출시
DJI가 새로운 동영상 전송 시스템인 ‘DJI SDR 트랜스미션(DJI SDR Transmission)’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소규모 및 중간 규모 영상 제작팀을 위해 설계된 이 시스템은 고급 소프트웨어 기반의 무선(SDR) 기술에 보다 쉽게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최신형 DJI SDR 트랜스미션은 강화된 안정성, 강력한 간섭 저항 및 향상된 침투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일시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Wi-Fi 전송을 동시에 지원해 현장에서 영상 제작자가 필요로 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SDR 기술을 활용한 DJI SDR 트랜스미션은 까다로운 촬영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동영상 전송을 지원한다. 영상 제작자는 1080p/60fps의 라이브 피드를 최대 20Mbps의 속도와 최저 35ms 이하의 지연율로 모니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최대 3km 떨어진 곳까지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신호 침투 성능을 통해 까다로운 촬영 현장에서도 라이브 피드 전송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채널에 간섭이 발생할 경우 2.4GHz/5.8GHz/DFS 주파수 대역을 전환하여 최적의 채널을 찾는다. DJI SDR 트랜스미션은 SDR 신호 3개 및 Wi-Fi 신호 2개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모드'에서는 각 송신기가 무한대의 수신기에 연결할 수 있어 여러 수신자에게 고품질의 모니터링 경험을 제공한다. DJI SDR 트랜스미션은 SDI/HDMI를 통해 수신기를 모니터에 연결하고, USB-C 또는 Wi-Fi를 통해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연결할 수 있다. Wi-Fi 옵션을 사용하면 별도의 수신기 없이도 비용 효율적인 듀얼 채널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DJI RS 시리즈 안정화 짐벌과 함께 사용할 경우 DJI SDR 트랜스미션은 포스 모바일과 버추얼 조이스틱 및 짐벌 중앙 복귀 기능을 지원한다. 카메라와 페어링 시 PTP 제어를 지원해 카메라의 조리개/셔터/ISO 표시 및 조정은 물론, 앱을 통해 카메라 사진 촬영 및 동영상 녹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소니 카메라에 대한 CEC 제어를 지원해 ‘미러 컨트롤 모드’를 활용할 수 있다. 촬영 중에도 원활한 협업을 위해 DJI SDR 트랜스미션은 메타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DJI SDR 트랜스미션을 ‘방송 모드’로 DJI Ronin 앱에 연결하면 앱 내에서 카메라 인덱스를 매끄럽게 전환할 수 있으며, SDI 연결을 통해 ARRI 및 RED와 같은 주요 시네마 카메라와 호환되어 감독, 시네마토그래퍼 및 DIT 팀이 디테일한 촬영 정보에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다. DJI SDR 트랜스미션은 USB-C 전원 입력 표준 PD 프로토콜 충전기를 사용한다. DJI RS 4 Pro, DJI RS 4, DJI RS 3 Pro에 장착해 사용할 경우 해당 안정화 짐벌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아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다. 단독으로 사용 시,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 업계 표준 NP-F 배터리를 지원한다. DJI SDR 트랜스미션은 이동이 잦은 팀원들도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경량의 콤팩트한 디자인을 갖춘 송신기와 수신기 각각의 무게가 145g에 불과하며, 안테나는 접이식으로 디자인되어 휴대성이 높으며 보관도 용이하다. DJI의 폴 팬(Paul Pan) 수석 제품 라인 매니저는 “DJI는 초기부터 DJI PRO 라인을 통해 전문 영상 제작자와 콘텐츠 크리에이터 및 미래의 스토리텔러 등 모든 유형의 영상제작자들을 위한 포괄적이고 안정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들에게 영감을 주는 스토리를 제작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면서, “그 동안 DJI는 사용자 피드백을 면밀히 분석 후,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카메라 기술을 개발하고자 노력해 왔다. 이번에 새롭게 소개하는 DJI SDR 트랜스미션은 영화 및 TV 제작 수준의 전송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차세대 영상 제작자가 쉽게 구매를 고려할 수 있는 가격대에 책정됐다”고 말했다. DJI SDR 트랜스미션 및 액세서리는 DJI 스토어, 공인 리테일러, 기타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다. 가격은 DJI SDR 트랜스미션 콤보가 57만 원, DJI SDR 트랜스미션 송신기 및 수신기는 각 32만 3000원, DJI SDR 트랜스미션 스마트폰 홀더 키트 및 태블릿 홀터 키트는 각 5만 6900원, 수신기 - 스마트폰 연결 케이블 1만 2000원 등이다.
작성일 :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