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박정환"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포커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 트랙 발표 내용 정리
  지난 2월 14일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가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진행됐다. ‘AI 시대, 디지털 전환으로 여는 플랜트·조선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한 이번 행사에서는 산업 AI, 디지털 트윈, 스마트 제조 등 최신 디지털 기술을 통한 플랜트·조선 산업의 혁신 방안을 논의하고,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례와 전략이 공유되었다. ■ 정수진 편집장   ■ 같이 보기 : [포커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 산업 디지털 전환과 AI 혁신 비전을 찾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에서는 세 편의 기조연설과 함께, 두 개의 트랙을 통해 디지털 엔지니어링&컨스트럭션과 스마트 십&스마트 테크에 관한 다양한 발표가 진행됐다.    플랜트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기술과 사례 발표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의 디지털 엔지니어링&컨스트럭션 트랙에서는 플랜트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술과 사례를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아비바코리아의 김민규 프로는 ‘아비바 E3D의 AI 기술 소개’ 발표를 진행했다. 아비바는 ‘AI를 위한 AI’가 아니라, AI를 활용하여 자사의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더 나은 지능형으로 만드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김민규 프로는 아비바의 주요 엔지니어링 설루션인 E3D에 적용되고 있는 AI 기능과 함께, AI 기술을 설계에 어떻게 20 ·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소개했다.   ▲ 아비바코리아 김민규 프로   포스코이앤씨의 박종환 차장은 ‘플랜트 스마트 설비/공정 원격 진단 및 최적화 설루션 개발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 박종환 차장은 플랜트 전 현장의 실시간 운전/설비 상태 데이터 수집과 원격 중앙 관리 기술을 개발/도입해 사전 리스크 추적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였다고 전했다.   ▲ 포스코이앤씨 박종환 차장   현대건설의 박혜성 책임연구원은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새로운 도시 모델 연구’에 관한 내용을 발표했다. 여기서는 UAM(도심 항공 모빌리티),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하이퍼루프 등 모빌리티 중심의 미래 도시 마스터플랜 및 모빌리티 허브 개념 모델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도시 설계 방법론 등의 내용이 소개됐다.    ▲ 현대건설 박혜성 책임연구원   SK에너지의 박혜준 PM은 ‘SK에너지 스마트 플랜트 추진 사례’를 소개했다. 박혜준 PM은 SK에너지 울산CLX의 스마트 플랜트 추진을 위해 적용한 인공지능/디지털 전환 설루션 사례를 소개하고, 이 설루션의 성공적인 현장 정착을 위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 SK에너지 박혜준 PM    PwC컨설팅의 신민용 파트너는 ‘프로세스 산업의 디지털 트윈 성공 전략과 도입 가속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신민용 파트너는 디지털 트윈의 개요 및 도입 과정에서 주요한 문제점(pain point)과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전략 등을 짚고, 디지털 트윈의 빠른 도입을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 기술 및 적용 사례에 대해서 소개했다.   ▲ PwC컨설팅 신민용 파트너   디지털 전환으로 만들어가는 스마트 조선 스마트 십&스마트 테크 트랙에서는 조선 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 기술과 디지털 생산을 위한 전략에 관한 내용이 발표됐다. 팀솔루션의 송희삼 상무는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플랜트 조선 업계의 자원 효율화 방안 제시’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송희삼 상무는 3D CAD를 이용한 디지털 트윈 모델링 방법과 함께 원격 현장 운영 및 비효율적 교육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매뉴얼을 제시했다. 그리고, 생산–운영–유지보수 차원의 디지털 트윈 확장 적용 사례도 소개했다.    ▲ 팀솔루션 송희삼 상무HD   HD현대미포의 김성민 부서장은 ‘HD현대미포 조선 특화 디지털 매뉴팩처링 구축 현황 소개’ 발표를 진행했다. HD현대미포는 HD현대에서 진행 중인 설계–생산 일관화 통합 플랫폼 구축의 일환으로, 조선 특화 디지털 매뉴팩처링(DM)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HD현대미포 김성민 부서장   클루닉스의 박정환 이사는 ‘국내 대기업 사례로 보는 R&D 디지털 전환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박정환 이사는 현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고성능 컴퓨팅(HPC)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HPC 통합 설루션을 활용해 업무 환경을 자동화하고 가속화하여 디지털 전환을에 성공한 사례를 소개했다.   ▲ 클루닉스 박정환 이사   삼성중공업의 윤시록 그룹장은 ‘삼성중공업 AI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무인화 사례 소개’ 발표를 진행했다. 윤시록 그룹장은 드론과 AI를 이용한 선박 흘수 측정 사례와 블록 물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적치장 입/반출 블록 자동 선정 사례를 소개했다.   ▲ 삼성중공업 윤시록 그룹장   세이브잡스의 장용진 대표는 ‘DX 전환의 마지막 퍼즐 – 성과제 시스템’ 발표를 통해, 디지털 전환의 마지막 퍼즐 혹은 첫 번째 퍼즐을 맞추기 위한 ‘성과제’ 생산 관리 설루션에 대해 소개했다. 장용진 대표는 공정율 기반과 실적 중심의 성과제 생산 관리 플랫폼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과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 세이브잡스 장용진 대표
작성일 : 2025-03-06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 2월 14일 백범김구기념관 개최 예정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신안식 회장, www.kapit.or.kr)가 주최하는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가 2월 14일(금)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된다. 올해 컨퍼런스는 21회째를 맞아 ‘AI 시대, 디지털 전환으로 여는 플랜트·조선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플랜트·조선 관련 엔지니어링 분야의 최신 기술과 솔루션 구축 성공사례, 디지털 트윈과 디지털 전환 사례를 통한 문제해결 방안 등 국내 플랜트 조선 업계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내용을 소개할 예정이다. 첫 번째 기조연설은 윤병동 서울대 교수이자 원프레딕트 CEO가 ‘산업AIX (AI Transformation) – 산업 생산성 관점에서 ‘파괴적 혁신’이 가능한가?’를 주제로 발표한다. 이번 강연에서는 산업 AIX(AI Transformation) 기술과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제조 산업에 적용한 성공사례를 공유하며, 마지막으로 산업 AIX 기반으로 O&M 업무 프로세스를 파괴적으로 혁신하는 미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한다. 두 번째 기조연설은 HD현대삼호 유영웅 상무가 ‘조선 디지털 혁신과 디지털 트윈’을 주제로  CAD-PLM-DM의 부분적 연동을 통합 플랫폼으로 최적화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확보하고, 디지털 환경 조성을 통해 지능형 자율운영 조선소 구현을 위한 노력과 방향성을 공유하고자 한다. 세 번째 기조연설은 소프트힐스 최우영 부사장이 ‘인간과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으로 소통하다’를 주제로 현실 세계를 3차원 디지털 세계로 복제한 디지털 트윈 개념을 확장하여 인간과 인공지능 간 데이터의 입출력, 저장, 예측 결과의 시뮬레이션 시각화 등을 통해 서로 소통하며, 진화해가는 전달 매개체로써의 디지털 트윈 활용 개념 및 사례를 소개한다. 디지털 엔지니어링 & 컨스트랙션(Digital Engineering & Construction) 트랙에서는 플랜트 엔지니어링 분야의 이슈와 트렌드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아비바코리아 김민규 프로는 ‘AVEVA E3D의 AI 기술 소개’를 주제로 AVEVA E3D에서 적용되고 있는 AI 기능과 AI 기술을 설계에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소개한다. 포스코이앤씨 박종환 차장은 ‘플랜트 스마트 설비/공정 원격 진단 및 최적화 솔루션 개발 성공사례’를 주제로 플랜트 전 현장의 실시간 운전/설비 상태 데이터 수집과 원격 중앙 관리 기술 개발 도입으로 사전 리스크(risk) 추적 개선 및 생산성 향상 등에 대해 소개한다. 현대건설 박혜성 책임연구원은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새로운 도시모델 연구(New Urban Model for Future Mobility)’를 주제로 UAM을 비롯해 자율주행차, 로봇, 하이퍼루프 등 모빌리티 중심의 미래도시 마스터플랜 및 모빌리티허브 개념 모델,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도시설계 방법론에 대해 소개한다. SK에너지 박혜준 PM은 ‘SK에너지 Smart Plant 추진 사례’를 주제로 SK에너지 울산CLX의 Smart Plant 추진을 위해 적용한 AI/DT Solution 사례를 소개하고, Solution의 성공적인 현장 정착을 위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PwC컨설팅 신민용 파트너는 ‘Process 산업의 디지털 트윈 성공 전략과 도입 가속화 방안’을 주제로 디지털 트윈 개요 및 도입 과정의 Pain Point와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전략 등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디지털 트윈의 빠른 도입을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 기술 및 적용 사례에 대해 소개한다. 스마트십 & 스마트 테크(Smart Ship & Smart Tech) 트랙에서는 조선 플랜트 분야의 스마트 기술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팀솔루션 송희삼 상무는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플랜트 조선 업계의 자원 효율화 방안 제시’를 주제로 3D CAD를 이용한 디지털 트윈 모델링 방법과 함께 플랜트 조선 업계의 ▲원격 현장 운영 및 ▲해외 노동자 고용으로 야기되는 비효율적 교육, 작업지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매뉴얼을 제시한다. HD현대미포 김성민 부서장은 ‘HD현대미포 조선 특화 Digital Manufacturing 구축 현황 소개’를 주제로 HD현대에서 진행중인 설계-생산 일관화 통합 플랫폼 구축의 일환으로 HD현대미포에서 진행 중인 조선특화 Digital Manufacturing(DM) 구축 현황을 소개한다. 클루닉스 사업본부 박정환 이사는 ‘국내 대기업 사례로 보는 R&D 디지털 전환 전략’을 주제로 현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팅(HPC)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HPC 통합 솔루션을 활용해 업무 환경을 자동화하고, 간소화하며, 가속화하여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뤄낸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삼성중공업 윤시록 그룹장은 ‘삼성중공업 AI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무인화 사례 소개’를 주제로 드론과 AI를 이용한 선박 흘수 측정(Movable Device + AI)과 블록 물류 흐름 개선을 위한 사외 적치장 입/반출 블록 자동 선정(Digitalization + AI)에 대해 소개한다. 세이브잡스 장용진 대표는 ‘DX 전환의 마지막 퍼즐 - 성과제 시스템’을 주제로 디지털 전환의 마지막 퍼즐 혹은 첫 번째 퍼즐을 맞추기 위한 ‘성과제’ 생산관리 솔루션에 대해 소개한다. 올해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는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가 주최하고 캐드앤그래픽스가 주관하며 HD현대삼호, 포스코이앤씨, 현대건설, SK에너지,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아비바코리아, 소프트힐스, 클루닉스, 팀솔루션에서 주요 플랜트 및 조선 기업의 적용 사례와 기술 특징, 트렌드에 대해 발표한다. 또한 아비바코리아, 소프트힐스, 클루닉스, 다우데이타에서는 부스로 참여해 최신 플랜트 조선 분야의 신제품과 기술들을 데모 시연 등을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의 보다 많은 참여를 위해 2월 3일까지 얼리버드 등록시 무료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한편, 캐드앤그래픽스 지식방송 CNG TV에서는 1월 20일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 프리뷰 방송으로 ‘AI 시대, 디지털 전환으로 여는 플랜트·조선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조선 업계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이날 방송에는 정영수 교수(명지대), 박진형 수석연구원(중소조선연구원), 박정식 상무(헥사곤 ALI)가 참석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트렌드와 함께 플랜트 조선 업계가 살아 남을 수 있는 해법 등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어볼 예정이다.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신안식 회장은 “올해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에서도 핫이슈로 떠오른 AI와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한 최신 기술과 기술 트렌드, 디지털 전환 사례 등 플랜트 조선 분야의 새로운 변화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라며,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네트워킹과 기술 교류를 위한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참고로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는 플랜트, 건설, 엔지니어링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플랜트 코드교육을 비롯해 글로벌PM교육, 리틀PM 보급을 통한 PM 대중화, 선진화된 전문기술교육 등 급변화는 산업의 기술 진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미국 캐롤라인대학교와 협력해 협회 회원들에게는 장학혜택을 부여하고, 미국 석∙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관련 정보는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와 관련 분야의 교육 정보는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홈페이지(www.kapit.or.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작성일 : 2025-01-21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 초대합니다(2/14 금, 백범김구기념관)
아래 내용이 보이지 않으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행사 아젠다 소개 공통 세션 [개회사]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신안식 회장 [기조연설] 산업AIX (AI Transformation) – 산업 생산성 관점에서 ‘파괴적 혁신’이 가능한가? / 원프레딕트 윤병동 CEO(서울대 교수) [기조연설] 조선 디지털 혁신과 디지털 트윈 / HD현대삼호 유영웅 상무  [기조연설] 인간과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으로 소통하다 / 소프트힐스 최우영 부사장       Track A (Digital Engineering & Construction) AVEVA E3D의 AI기술 소개 / 아비바코리아 김민규 프로 플랜트 스마트 설비/공정 원격 진단 및 최적화 솔루션 개발 성공사례 / 포스코이앤씨 박종환 차장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새로운 도시모델 연구(New Urban Model for Future Mobility) / 현대건설 박혜성 책임연구원   SK에너지 Smart Plant 추진 사례 / SK에너지 박혜준 PM   Process 산업의 디지털 트윈 성공 전략과 도입 가속화 방안 / PwC컨설팅 신민용 파트너      Track B (Smart Ship & Smart Tech)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플랜트 조선 업계의 자원 효율화 방안 제시 / 팀솔루션 송희삼 상무 HD현대미포 조선 특화 Digital Manufacturing 구축 현황 소개 / HD현대미포 김성민 부서장 국내 대기업 사례로 보는 R&D 디지털 전환 전략 / 클루닉스 사업본부 박정환 이사 삼성중공업 AI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무인화 사례 소개 / 삼성중공업 윤시록 그룹장  DX전환의 마지막 퍼즐 - 성과제 시스템 / 세이브잡스 장용진 대표 #플랜트조선컨퍼런스2025 #플랜트조선컨퍼런스 #플랜트 #조선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전환 #디지털트윈 #DT #DX #플랜트조선산업전망 #HD현대삼호 #포스코이앤씨 #현대건설 #SK에너지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아비바코리아 #소프트힐스 #클루닉스 #팀솔루션 #다우데이타 #씨앤지소프텍 #세이브잡스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캐드앤그래픽스 #플랜트조선산업동향 #도시설계 #미래모빌리티 #AI #인공지능 #생성형AI
작성일 : 2025-01-15
[온에어] 스마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우리는 지금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CNG TV 디지털 지식방송이 5월 14일로 개국 10주년을 맞았다. 처음 방송을 시작했을 때만 해도 인터넷 방송이 생소했지만 스마트 시대로 가면서 오프라인보다 더 많은 행사들이 온라인으로 대체되고 정보를 전달하는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5월 14일 진행된 CNG TV에서는 다시 보고 싶은 출연진들, 인기를 많이 끌었던 방송 출연진들을 초대하여 최근 업데이트된 근황과 스마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상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를 통해 볼 수 있다. www.cngtv.co.kr   ■ 이예지 기자 2018년 5월 14일 CNG TV 디지털 지식방송은 CNG 개국 10주년 축하 특별방송으로, ‘스마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우리는 지금’이라는 주제로 방송되었다. 디지털 지식연구소 조형식 대표는 “CNG 디지털 방송이 처음 시작할 때는 작은 스튜디오에서 인터넷 방송으로 진행되었다”면서 “앞으로 CNG TV가 발전하기 위해서 방송 출연진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많이 전파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번 방송에서는 다시 보고 싶은 출연진들, 인기를 많이 끌었던 방송의 출연진들이 최근 업데이트된 근황과 스마트 시대를 살아가는 삶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알씨케이 박수진 대표는 “디지털 콘텐츠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인 알씨케이의 대표를 맡고 있다”면서 “자사에서는 스마트 제조/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기업에 비주얼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의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토데스크코리아 장민경 상무는 “10년 동안 회사나 하는 일은 큰 변화는 없었지만, 캐드 시장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다 보니 마케팅 전략, 사용자들이 접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많이 바뀌었다”면서 “변화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오토데스크의 솔루션을 더욱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 알씨케이 박수진 대표(왼쪽), 오토데스크코리아 장민경 상무(오른쪽) 자동차 디자인 분야에서 활약 중인 서연이화 방영찬 이사는 “10년 전 CNG TV에 출연했을 당시 디자인 전반적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프로세스에 대해 소개했다”면서 “그 당시엔 디지털 프로세스를 제조업 전 과정에 걸쳐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은 디지털 프로세스를 통해 전체적인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창업 전선에 뛰어든 메가비즈 박정환 대표는 수소 에너지 분야를 공부하면서, 해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서연이화 방영찬 이사(왼쪽), 메가비즈 박정환 대표 서울과학종합대학원 한석희 교수는 “10년이라는 세월이 지나면서 전 세계는 디지털라이제이션(Digitalization)이라는 가치를 인식하고 인정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디지털라이제이션이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될 것인지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대원캐드캠 디자인직업전문학교 김창만 대표는 “스마트 시대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4차 산업혁명이 발전할수록 그 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증가할 수 있다”면서 “스마트 시대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항상 공부해야 하며, 새로운 신기술에 적응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건설 분야의 연구, 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은 “건설·건축 분야에서 현 정부의 이슈는 스마트 시티가 삶의 질을 어떻게 개선하는지, 도시재생, 일자리 창출 등과 많은 연관이 되면서 디지털 툴이 활성화되었지만, 아직까지는 기대했던 만큼의 삶의 질 향상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해 다같이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서울과학종합대학원 한석희 교수(왼쪽), 대원캐드캠 디자인직업전문학교 김창만 대표(가운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태욱 연구위원(오른쪽)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8-06-01
한국델켐, 한국CAD/CAM학회와 학생우수논문상 신설
한국델켐(www.delcam.co.kr)은 지난 2월 12일부터 13일까지 평창 휘닉스파크에서 개최된 '2014 동계 CAD/CAM학회 학술발표회'에 참가해 학생우수논문상 시상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1회 한국CAD/CAM학회 한국델켐 학생우수논문상'은 CAD/CAM 연구 개발 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CAD/CAM학회와 공동 신설한 대회로 CAD/CAM 연구 활성화 및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인력의 배양 활성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심사기준은 연구된 이론 및 개발 내용(50%), 산업 활용성 및 효과(50%)로 두었으며, 2013년 8월 또는 2014년 2월 졸업 졸업 예정인 석사/박사과정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지난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 10일까지 접수를 받았고, 1차 평가에서 선발된 6명이 CAD/CAM학회 학술발표회에서 진행된 2차 평가(발표평가)에 참가해 발표를 진행했다. 대상 수상자 1명에게는 한국CAD/CAM학회장 상장 및 부상 500만원이 제공되었고, 대상 수상자의 지도교수에게는 연구실 발전지원금 100만원이 별도로 지급된다. 우수상(2명) 및 장려상(3명) 수상자에게는 한국CAD/CAM 학회장 상장과 부상(아이패드)이 제공되었다. 올해 처음으로 시행된 학생우수논문상은 정확하고 공정한 평가를 위하여 한국델켐 기술연구소 및 기술개발팀 인원을 비롯하여 성균관대학교 노상도 교수, 영남대학교 박정환 교수, 명지대학교 박강 교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성환 교수 등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이번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서울대학교 백승엽 학생은 'Nonlinear Analysis of the Space of Human Body Shapes and Its Application to Parametric Human Modeling System'을 주제로 한 논문을 발표했다. 백승엽 학생은 "그 동안 노력했던 결과가 좋은 결실을 거둘 수 있어서 기분이 좋다. 특히 첫 회 수상자로 선정되어 큰 영광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이건우 교수님 외 논문지도위원들께 감사드린다. 또한 제 연구를 높게 평가해 주시고 이런 큰 상으로 격려해주신 한국CAD/CAM학회 및 한국델켐에도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그는 또한 이번 대회에 대해 "산업체에서 이런 방향을 통해 학술 연구를 장려하는 것은 학계, 산업계 양쪽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생각한다. 산업계에서 어느 정도의 비전과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학계가 자칫 '연구를 위한 연구'에 빠져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이루어내지 못하는 착오를 범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것과 동시에, 학계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발굴하고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유도해냄으로써 학계, 산업계 모두에게 긍정적인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델켐 정찬웅 대표이사는 영상 축사를 통해 "이번 대회가 다른 여타의 논문대회와 확연히 차별되는 것은 단순히 미래지향적인 순수 학문연구가 아니라 산업체에서 당장 활용할 수 있는 활용가치에 높은 비중을 두고 심사를 한다는 것"이라고 전하며 "본 대회를 통해 그 동안 침체되었던 주요 대학의 캐드캠 연구가 활성화되고,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인력의 활발한 배양을 통해 국가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델켐은 우수 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델켐 학생우수논문상 이외에도 세계CAM 경진대회(www.gcsc.kr), PowerMILL 실무능력자격증(www.pmskill.co.kr) 등 다양한 정책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작성일 : 2014-02-26
SIMTOS CAD/CAM/CAE 컨퍼런스 2012 발표자료 다운로드
  2012년 4월 19일(목) 시 간  내 용 12:30 - 13:00 등록 13:00 - 13:10 개회사 및 격려사 13:10 - 13:40 스마트 매뉴팩처링에서 엔지니어링 IT의 역할 - PLM BOK 조형식 대표 13:40 - 14:10 기계장치 및 설비 설계 혁신을 위한 V6 솔루션 Overview - 다쏘시스템 도화수 차장 트랙 구분 Track A Track B 14:30 - 15:00 고속프레스 설계를 위한 인벤터의 활용삼도프레스 유민 과장 기계장치 설계 혁신을 위한 V6 솔루션 – 제단기기 사례 소개오상자이엘 박용호 과장 15:05 - 15:35 [ESPRIT]을 통해 살펴본 최신의 복합가공 기술 및 CAM 시스템 활용 사례 DP테크놀러지 President Paul Ricard 공작기계설계의 Autodesk Solution 적용사례한국아이엠유 김세준 차장 15:40 - 16:10 기계장치 설계 혁신을 위한 V6 솔루션 – 유압기기 사례 소개다쏘시스템 도화수 차장 Creo 1.0 - PTC Pro/ENGINEER의 차세대 기술혁신 소개 디지테크 김성철 차장 16:15 - 16:45 기술융합을 위한 CAX 산업기반 강화의 필요성 중소기업진흥공단 박정환 실장 리커다인을 활용한 machine tool의 mechatronics 해석기법캐즈테크 이병흠 과장 16:50 - 17:20 폐회 * 상기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2012년 4월 20일(금) 시간 내용 10:00 - 10:30 등록 10:30 - 11:10 CADCAM 기술혁신을 통한 제조업 경쟁력 확보 방안 - 한국델켐 김광연 이사 11:10 - 11:50 제조 환경 변화와 엔지니어링 기술 - 한국GM 툴링센터 권성오 차장 11:50 - 13:00 점심식사 트랙 구분 Track A Track B 13:00 - 13:30 고효율 가공을 위한 혁신 전략 한국델켐 이충은 선임컨설턴트 IMT(Information & Mechatronics Technology) 융합 제조 울산대 박홍석 교수 13:35 - 14:05 가공속도 최적화로 가공시간 단축 씨아이엠에스 임재영 사장 제조공정 개선을 위한 자동화 CAM 솔루션 기술 한국델켐 이기성 수석컨설턴트 14:10 - 14:40 중소제조기업을 위한 웹기반 시뮬레이션 서비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정태 센터장 터빈블레이드와 항공기부품의 5축 가공 사례캐즈테크 신상옥 지사장 | 강돈영 차장 14:45 - 15:15 성형해석을 통한 3차원 프레스 금형설계 기술세미나웹스시스템코리아 이두연 과장 3D 프린팅: 제조업 혁명 -무한한 가능성으로의 진입-Objet 위니 추 아태세일즈담당이사 15:20 - 15:30 경품 추첨 및 폐회 * 상기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12-04-28
SIMTOS CAD/CAM/CAE Conference 2012 개최
오는 4월 19일부터 20일까지 양일간 일산 KINTEX에서 서울 SIMTOS CAD/CAM/CAE Conference 2012가 개최된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월간 CAD&Graphics의 주관하에 개최되는 이번 컨퍼런스는 ‘Smart Manufacturing을 위한 CAD/CAM/CAE’를 주제로 진행되며, 국내외에 소개된 CAD/CAM 및 CAE 솔루션과 그 성공 사례를 소개하여 국내 제조업계에 비전을 제시하고 나아가 국내 제조업체 R&D 발전을 위한 행사로 자리매김 할 예정이다.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에서 국내 제조 업계는 제품 개발 및 생산성 향상이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제조 업계에서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품 개발을 위한 R&D에 투자를 해야 할 때이며,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CAD/CAM/CAE 기술이 최신 혁신 기술이 아니라고 하지만 아직도 국내 제조업체의 상당 수가 제대로 된 CAD/CAM/CAE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하여 수많은 시행 착오로 비용을 낭비하고 있다. SIMTOS CAD/CAM/CAE Conference는 이에 대한 종합 정보를 제공하여, 국내 제조업계에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이번 행사에는 ‘제조 환경 변화와 엔지니어링 기술’(한국GM 툴링센터 권성오), 세계 제조산업동향과 제조기술의 표준화(한국델켐 김광연), 스마트 매뉴팩처링에서 엔지니어링 IT의 역할(PLM지식연구소 조형식), 중소제조기업을 위한 웹기반 시뮬레이션 서비스(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정태),  기술융합을 위한 CAX 산업기반 강화의 필요성(중소기업진흥공단 박정환), IMT(Information & Mechatronics Technology) 융합 제조(울산대 박홍석), V6 솔루션 오버뷰(다쏘시스템) 등 다양한 발표들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사전등록은 http://www.cadgraphics.co.kr/cadcam을 통해서 할 수 있다.     행 사 명: SIMTOS CAD/CAM/CAE Conference 2012일    시: 2011년 4월 19일(목)~4월 20일(금)장    소: 일산 KINTEX 신관 3층주    최: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주    관: CAD&Graphics
작성일 : 2012-03-27
[C&G TV]10월 13일 방송 당첨자 명단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첨자 100분께 기프티콘 발송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여민 010XXX1104고은주 010XXX1547구남호 011XXX6790김강산 010XXX1611김권일 010XXX9077김근영 011XXX2576김대홍 010XXX5558김도영 010XXX3838김만환 016XXX2269김병석 010XXX7497김병호 010XXX9096김상미 010XXX1383김석용 010XXX6461김성현 011XXX0637김승식 010XXX4027김우식 010XXX9465김원진 011XXX8130김유정 019XXX0544김의준 010XXX9075김인곤 016XXX3768김주영 010XXX7814김지연 011XXX7040김지영 011XXX6982김진영 011XXX3334김진희 011XXX3743김차곤 010XXX2347김태우 010XXX0705김한수 010XXX2441김현중 010XXX2061김혜은 019XXX1316김호종 019XXX4331남해현 010XXX1414노형진 011XXX6333류성민 010XXX1075리철 010XXX8995문지화 010XXX7995박성찬 011XXX2309박용일 017XXX9183박인호 010XXX0925박정환 011XXX0882박종명 010XXX7737박종화 010XXX4023박진성 016XXX5485서인교 019XXX0333설동호 011XXX5742손영아 011XXX8434송이호 010XXX0433신승열 010XXX5835심일보 010XXX9307심재승 010XXX6413심현민 011XXX0548양민아 010XXX9595양우열 010XXX2215오아름 010XXX8698오주식 010XXX1542우경진 010XXX6429이경남 010XXX1530이관식 010XXX5466이규승 010XXX1383이도경 010XXX1480이도연 010XXX9663이병구 010XXX2881이성준 010XXX4214이소현 010XXX8507이연우 010XXX1912이용안 011XXX5681이재현 018XXX8929이정선 016XXX5310이정호 010XXX4280이종학 010XXX8645이중연 010XXX6124이태용 010XXX7712임지아 010XXX6269장도석 017XXX3333장세철 010XXX7968장익준 010XXX2461전미주 010XXX7148정광조 010XXX3993정민숙 010XXX9298정성하 011XXX9623정연건 011XXX2006정연승 010XXX5692정우진 010XXX6521정의재 010XXX2378정재욱 010XXX0133정화 011XXX3100조원희 010XXX6955조익현 010XXX8698주형주 017XXX6523차명희 017XXX3185최경희 017XXX3788최윤종 010XXX2789최지혜 010XXX1024최현승 010XXX4055하종순 018XXX4950한명진 010XXX7765한문일 010XXX7287허유태 010XXX7595홍승우 010XXX2467황규배 010XXX6250
작성일 : 2009-11-03
[C&G TV]특집방송 경품 당첨자(2월 18일)
2월 18일 특집방송에 참여해주신 많은 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특집방송]2009 화두 : IT와 산업의 융합 그리고 그 해법을 찾아서 당첨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던킨도너츠 세트(설문조사 작성자에 한함, 숫자는 핸드폰 번호임, 이름 가나다순, 선물은 핸드폰으로 보내드립니다.) 강재우 0193668****고여순 0107923****고정일 0107197****김경수 0104408****김두형 0175766****김석수 0103911****김영수 0102541****김완수 0102350****김원구 0112487****김주연 0106548****김준 0109177****김지만 0108634****김창봉 0119525****김학주 0105137****김현우 0112087****김현중 0108033****김훈주 0109689****나길항 0105064****류용호 0108398****류주형 0102070****리정윤 0103780****마규하 0192055****맹진오 0102937****문병준 0103658****문지태 0103679****박경기 0107240****박상길 0107289****박성진 0177817****박수현 0103029****박용식 0116675****박인호 0102932****박정환 0119043****박해남 0104304****박홍석 0117235****설동화 0169866****설은성 0186458****소승욱 0109879****심재만 0105590****양경필 0119118****염종국 0107511****오승훈 0119929****유기영 0109755****유연옥 0108654****윤영희 0119012****이상우 0105009****이상한 0106641****이선혜 0167182****이성준 0108803****이승균 0106269****이장희 0103564****이재명 0162304****이제준 0119744****이창섭 0117625****이창용 0177106****이창훈 0119844****이현정 011-911****이혜경 0103601****임재근 0119887****장길수 0103741****전민철 0105134****정수진 0102357****정학재 0113117****조시완 0102355****조진구 0193972****조창희 0119757****조한진 0102306****조형식 0114331****진수진 0106506****차의창 0102010****최승기 0109014****최지영 0119039****최희정 0119622****한옥실 0102244****한지은 0106522****한진호 0167441****홍성우 0102322**** 2. 캐드앤그래픽스 6개월 정기구독권 설동화 0169866**** 조시완 010235**** 이승균 010626**** 3. HP 데스크젯 F2120 김영민  010322***  4. PLM 지식 3명 나길항 010-506****최선기 017904****하영민 018-205****
작성일 : 2009-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