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리비전"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6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피플&컴퍼니] 아비바 그레그 파다 엔지니어링 총괄 부사장
데이터 중심의 효율적인 협업 및 산업 디지털 전환 이끈다   아비바는 데이터 중심의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 전략을 앞세워 엔지니어링 워크플로의 효율을 높이고 산업 현장의 애자일한 협업을 지원하는 데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아비바의 그레그 파다(Greg Pada) 엔지니어링 총괄 부사장은 산업 프로젝트의 납기/예산 문제를 해소하고, AI 기술 접목 및 사용자 경험 개선을 통해 산업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시장을 넓힌다는 전략을 소개했다. ■ 정수진 편집장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 아비바의 강점은 무엇인지 아비바는 처음부터 지금까지 데이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데이터 중심 철학은 아비바의 시작인 3D CAD 시스템부터 P&ID(배관 및 계측 다이어그램), 스키매틱 드로잉, 3D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 덕분에 아비바는 엔지니어링 워크플로를 분석하고 경쟁사와 차별화된 방식으로 엔지니어들이 협업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협업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이런 아비바의 장점이 더욱 돋보인다. 아비바는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모든 관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같은 회사에 속하지 않은 프로젝트 파트너나 오너, 외주사 등도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많은 기업 프로젝트는 글로벌 전문가가 참여해 복잡성을 갖는데, 아비바는 이 과정에서 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고 본다.   아비바가 내세우는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은 무엇이며, 이를 구상하게 된 배경을 소개한다면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Unified Engineering)’은 모든 엔지니어링 도구와 역량을 통합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개인적으로는 아비바 합류 전 캐나다에서 엔지니어링 사업을 운영하면서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경험했는데, 이 과정에서 사일로(silo)화된 팀과 다양한 엔지니어링 툴의 사용으로 인한 엔지니어링 툴의 비효율을 체감했다. 예를 들어, P&ID에 정보를 추가해도 다음 단계에는 PDF 파일로 전달돼 정보의 가치가 손실되고, 워크플로의 진행이나 변경 관리가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문제는 협업의 범위가 넓어지면 상당히 복잡해진다.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은 회사원이라면 누구나 사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처럼 쉬운 협업 툴을 만들자는 데에서 출발했다.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은 데이터를 쉽게 변경하고 애플리케이션 간에 이동할 수 있는 방식을 엔지니어링 분야에 적용하고자 했다.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에서는 프로세스 엔지니어가 만든 P&ID 심벌을 3D 뷰로 변환해 파이프 설계자가 사용하거나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관련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3D나 메커니컬 등의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은 프로세스 엔지니어, 기계 엔지니어, 전기 엔지니어, 계측 엔지니어 등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팀원들이 거의 동시에 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PDF 문서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대신 동일한 데이터를 보면서 각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며, 시스템이 누가 어떤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지 제어함으로써 통제력을 유지한다. 이를 통해 워크플로가 애자일(agile)하게 움직일 수 있다.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은 기존의 툴을 연결하는 방식과 공통된 데이터 저장소 및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파이핑/기계/구조 설계자는 3D 디자인 툴을 사용하는데, 여기에 전기, 계측, P&ID 등을 위한 엔지니어링 모듈이 제공돼 동일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의 목표는 프로젝트를 더 잘 수행하고, 예측 가능성을 높이며, 납기 기간을 줄이고,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전 세계에서 대규모로 진행되는 프로젝트 가운데 적지 않은 수가 납기 지연과 예산 초과 문제를 겪고 있는데,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은 이런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은 통합된 엔지니어링 환경에서 데이터 기반의 협업을 지원하는 아비바의 전략이다.   아비바는 조선/해양, 플랜트 산업을 중심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지 아비바는 에너지 및 석유/가스 산업의 비즈니스 비중이 가장 높고 이어서 조선, 화학 산업에서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기존의 주력 분야 외에도 발전, 제약, 반도체, 폐수 처리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비바의 소프트웨어는 여러 산업에서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아비바는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 전략의 일환으로 가치 실현 기간을 단축한다는 이니셔티브를 제시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를 더욱 단순하게 만들어 기업들이 아비바의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테스트하고 가치를 체감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IT 인력이나 데이터 모델링 리소스가 부족한 기업도 쉽게 배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아비바는 각 산업 분야별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보다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다양한 산업의 작업 방식에 맞게 구성(configuration)하여 제공하는 방식을 지향한다. 예를 들어, 제약 산업의 펌프나 석유 및 가스 산업의 펌프는 산업마다 워크플로에 약간의 변화가 필요할 수 있지만, 기능이나 산출물 측면에서는 거의 동일하다.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꾸준한 관심사인 것 같다. 산업 디지털 전환에 관한 아비바의 비전과 전략을 소개한다면 많은 기업이 디지털 전환(DX)을 통해 효율을 높이고, 업무를 더 빠르게 처리하며, 리소스의 활용을 효율화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조직의 업무 방식이나 조직 자체를 바꾸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디지털 전환은 기업이 과거의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기회이며, 아비바와 같은 기업이 제공하는 기술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enabler)이다. 실제로 기술을 도입하더라도 일하는 방식과 기존 체계를 바꾸는 것은 기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모든 조직에는 정보 공유를 꺼리는 사일로 문제가 존재하며, 이는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다. 아비바의 비전은 기술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조직의 변화와 업무를 더 쉽게 만드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글 지도가 보편화되면서 사람들이 종이 지도를 쓰지 않는 것처럼, 산업용 소프트웨어도 직관적이고 저항감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유니파이드 엔지니어링의 개발 과정에서도 이런 비전이 영향을 주었고, 지금도 꾸준히 개선하고 있다. 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 및 기술 개발 방향은 단일 기술 플랫폼을 통해 AI와 같은 기술을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엔지니어링 및 운영 등 모든 데이터를 한곳에 통합하고 이를 쉽게 공유 및 사용할 때, 단절된 데이터로는 할 수 없었던 일을 수행하도록 하고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온도나 재료 등 파이프와 관련된 모든 공정 정보가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있으면, 3D 모델링 시 AI가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하여 파이프 레이아웃을 하거나 설계자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그리고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툴의 사용법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도울 수도 있다. 기술과 툴의 사용을 최대한 쉽게 만드는 것은 디지털 전환을 가속하고, 아비바가 시장을 넓히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기술 강화를 위해 최근 아비바가 진행한 파트너십 사례를 소개한다면 아비바의 가장 큰 전략적 파트너십 중 하나는 PLM 공급사인 아라스(Aras)와의 협력이다. 아비바는 주요 산업 시장에서 PLM의 개념을 활용하기 위해 아라스와 협력하여 ‘자산 수명 주기 관리(ALM)’ 개념을 구축하고 있다. 아라스의 데이터 중심 PLM 접근 방식은 아비바의 엔지니어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중심 접근 방식과 잘 맞는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조선산업 및 중공업 등의 변경 관리, 리비전 제어, 산출물 제어, 구성 관리 등에서 기존 PLM 공급사보다 더욱 효과적인 설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아비바는 프로젝트 실행 측면에서 워크팩스(WorkPack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프로젝트 워크 패키지(project work package) 개념을 한국의 엔지니어링 및 오너/운영사에 소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기업 외에 고객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소프트웨어 개발 및 개선을 진행한 사례도 있는데, 그 중 한 가지가 대규모 티어 원 EPC 기업인 사이펨(Saipem)과의 협력이다. 사이펨은 아비바의 AI 구현 방식을 활용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하며, 아비바는 사이펨과 AI 설루션 개발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한국 시장에 대한 평가 및 향후 한국 시장 전략에 대해서 소개한다면 개인적으로 한국을 매우 좋아하며, 특히 컨슈머 기술 영역에서는 발전이 빠르고 얼리 어답터 성향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반면, 산업 분야에서는 때때로 신중한 접근 방식을 보이는 것 같다. 한국 고객들은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가장 고도화된 산업 역량을 요구하지만, 클라우드나 IT 보안 등 최신 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제약이 있기도 하다. 아비바는 한국 시장의 특징을 고려해, 아비바 기술의 사용을 강요하기보다는 고객의 니즈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절충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한국의 주요 조선사와 오랜 기간 협력해 왔으며,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도 삼성전자, GS건설, LG 등 다양한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한국 산업이 직면한 인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아비바의 설루션이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한국 시장에서 성장하고 입지를 넓힐 기회가 많다고 판단한다. 더 적은 인력으로도 효율적으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비바의 설루션은 한국 기업들이 원하는 방향과 잘 맞는다고 보고 있으며, 한국 시장에서 성공적인 실행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성장을 이룰 기회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같이 보기 : [포커스] 아비바코리아, 산업 지능 기반 디지털 트윈 전략과 미래 제시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6-04
지멘스, 모든 규모의 기업이 PLM을 활용할 수 있도록 팀센터 X 확장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모든 규모의 조직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 PLM(제품 수명주기 관리)을 활용하여 제조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팀센터 X(Teamcenter X)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버전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팀센터 X 제품군은 기계, 전기, 전자 개발을 아우르는 프로세스 관리 및 크로스 도메인 기능 등 다양한 고급 기능을 사전 구성된 형태로 제공한다. 팀센터 X는 기존 두 종류의 버전에 새롭게 두 가지를 추가해, 총 네 가지 버전으로 제공된다.     팀센터 X 에센셜즈(Teamcenter X Essentials)는 간편한 배포와 낮은 운영 비용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기계 설계에 집중하는 기업을 위한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CAD 데이터 관리, 제품 구조 및 리비전 관리, 사용 위치 검색, 체크인/체크아웃, 3D 보기 및 마크업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기업의 성장에 따라 확장성을 지원한다. 새롭게 출시된 팀센터 X 스탠더드(Teamcenter X Standard)는 에센셜즈 버전을 기반으로 단순 변경 관리, 프로젝트 일정 관리, 문서 관리, 보고서 생성 등 추가적인 PLM 기능을 포함한다. 모든 기능은 사전 구성된 형태로 제공되며, 고객의 요구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역시 새롭게 출시된 팀센터 X 어드밴스드(Teamcenter X Advanced)는 제품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기계, 전자 및 전기 설계 간의 크로스 도메인 협업이 필요한 기업을 지원한다. 전기 및 전자 설계 통합 및 분류를 위한 데이터 관리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사전 구성된 상태로 제공되고 필요 시 맞춤화할 수 있다. 팀센터 X 프리미엄(Teamcenter X Premium)은 클라우드 공급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팀센터의 전체 기능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을 위한 포괄적 PLM 설루션이다. 엔터프라이즈 BOM, 비즈니스 시스템 통합, 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MBSE), 제조 계획, 품질 및 컴플라이언스 관리, 제품 비용 및 서비스 수명 주기 관리까지 포함한다. 또한 산업용 기계, 의료기기, 반도체 등 특정 산업군을 위한 사전 구성 설루션도 제공된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프랜시스 에반스(Frances Evans) 라이프사이클 협업 소프트웨어 수석 부사장은 “팀센터 X의 이번 확장은 SaaS PLM을 모든 규모의 기업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려는 지멘스의 사명을 이어가는 것”이라면서, “새로운 팀센터 X의 기능은 더 많은 고객이 빠르게 PLM 도입을 시작하고, 이후 팀센터 포트폴리오 전반을 통해 비즈니스 과제를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5-02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PLM 솔루션, Autodesk Vault PLM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PLM 솔루션 , Autodesk Vault PLM    개발 및 자료 제공 : Autodesk, 02-3484-3400, www.autodesk.co.kr    Autodesk Vault PLM (이미지 출처: 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Autodesk)는 설계 솔루션을 시작으로 협업, 관리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제조분야에 토털 솔루션을 공급해오고 있다. 인벤터(Inventor)와 오토캐드(AutoCAD) 외에도 엔지니어링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협업하기 위한 PDM 솔루션과 전체적인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최적화해서 관리할 수 있는 PLM 솔루션도 지원하고 있다.  그 중에서 제품 개발 프로세스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PLM 솔루션은 제품 개발에 참여하는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사용해야 하는 시스템이므로 구성원 모두가 손쉽게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Autodesk의 PLM은 사용하기 쉽고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적용해서 이해 당사자들에게 효율성을 제공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Autodesk의 PLM 솔루션은 Autodesk Vault PLM(오토데스크 볼트 피엘엠)으로 제품 데이터 관리를 위한 Vault(볼트)와 제품 개발 전반적인 과정에서의 제품 수명주기 관리를 위한 Fusion(퓨전) 360 Manage로 구성되어 있다.    1. 주요 특징 Autodesk PLM 솔루션이 추구하는 것은 ‘실용성’이다. Autodesk Vault PLM은 제품의 도입만으로 간단히 PLM을 구축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도입 결정과 함께 즉시 구현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용성을 위하여 Autodesk Vault PLM은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시스템을 연계하여 적용하고 있다.  (1) 강력한 보안과 CAD 통합  Autodesk Vault PLM을 구성하고 있는 Vault는 사내에 설치되고 운영되는 온프레미스 방식의 협업시스템이다. 회사의 주요 자산인 설계 데이터와 제품 관련 정보 등은 사내 Vault Server에 저장되기 때문에 시스템 보안 관점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AD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이 시스템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데, Vault는 CAD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교환할 수 있고, 특히 Autodesk의 설계 솔루션과는 완벽한 통합성을 가진다.  (2) 유연한 PLM 시스템  Autodesk가 추구하는 PLM 시스템의 핵심은 단순성, 접근성, 유연성이다. 이러한 핵심 항목을 구현하기 위해 Autodesk의 PLM 솔루션인 Fusion 360 Manage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필요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을 이용하여 PLM의 핵심 기능을 빠른 시간내에 적용하고, 쉽고 편리한 관리자 환경으로 회사의 프로세스와 가치를 최소한의 개발로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언제 어디에서나 PLM 시스템에 접근하여 제품 개발과 관련된 업무를 끊김 없이 진행할 수 있고, 고객, 협력사 등과의 협업 과정을 필요한 보안 기능을 적용하여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Autodesk Vault PLM의 Architecture는 보안과 성능, 접근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2. 주요 기능과 도입 효과 Autodesk의 PLM 솔루션은 기본적으로 제조분야의 설계 솔루션인 Inventor와 AutoCAD의 CAD 시스템을 기초로 하고, ① Vault Professional이 CAD 시스템과 통합하여 제품 데이터를 관리한다. 이러한 온프레미스 방식의 Vault는 Fusion 360 Manage와 연계되고, ② Fusion 360 Manage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사 차원의 제품 수명주기 관리를 지원한다. Autodesk Vault PLM을 구성하고 있는 Vault와 Fusion 360 Manage의 주요 기능과 효과에 대해 소개한다. (1) Autodesk Vault Professional  설계 데이터와 제품 정보를 관리하는 Vault는 사내에서 안전하고 체계적인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몇 가지 주요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효율적인 동시 설계  Vault는 Autodesk CAD 제품 내에 통합되어 설계프로세스의 변화 없이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버 저장 데이터를 열어서 작업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인/체크아웃 기능으로, CAD내에서 체크 아웃한 다른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 수정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2) BOM 관리 Vault에서는 CAD 설계 파일로부터 정확한 BOM을 추출하고 관리할 수 있다. CAD 부품 구조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BOM을 생성하고, 설계 파일 속성을 이용해서 BOM 속성을 관리한다. 또한 유사 모델이나 리비전 간에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비교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3) 리비전 관리 릴리즈되서 양산 중인 도면의 수정을 막고, 이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리비전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Vault에서는 저장된 설계 데이터와 문서에 각각 리비전 체계를 지정하고 릴리즈 되면 데이터가 잠기게 된다. 잠긴 데이터는 수정이 불가하고, 수정은 설계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서 할 수 있다.  4) ECO   체계적이고 안전한 방법의 설계 변경을 위하여 Vault에서는 설계 변경 요청에 대한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있다. 설계 변경 프로세스를 사전 정의할 수 있고, 이 라우팅에 따라서 릴리즈 된 데이터의 ECO(설계 변경 주문서)를 작성하면 관리자가 검토 후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Vault와 Fusion 360 Manage간에는 제품 개발 부서에서 만들고, 변화하며 관리하는 BOM 데이터가 연계된다. (2) Fusion 360 Manage Fusion 360 Manage는 제품개발에 관련되는 모든 구성원과 데이터, 프로세스 연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PLM 솔루션이다. 온프레미스 방식의 협업 시스템인 Vault를 이용하여 보안과 성능을 만족시키고, 클라우드 기반의 Fusion 360 Manage를 통하여 접근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Autodesk는 이 두 가지 제품을 Vault PLM이라는 이름으로 제공하고 있고 신제품 개발 관리, 전사적 BOM 관리, 협업관리, 제품 변경 관리, 그리고 품질 관리의 5가지 주요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1) 신제품 개발 관리 – NPI (New Product Introduction) NPI는 회사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품 개발 과정의 전반적 프로세스를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새로운 제품을 적시에 예산에 맞게 출시하는 과정에서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제품 개발 단계별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을 사전 정의하고 그 산출물과 마일 스톤을 통해서 신제품 개발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추적할 수 있다. 제품 개발이 어느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각 단계별 책임자를 할당하고 메일로 통지하여 신제품이 예정된 일정에 출시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전사적 BOM 관리 기업 전체에서 구조화된 제품 BOM을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고 공유하여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보장하도록 지원한다. BOM정보가 클라우드 PLM과 항상 동기화 되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리비전 제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전사적 BOM 관리로 BOM 정보가 언제 어떻게 변경되는지 정확하게 추적하는 이력 관리가 가능하다.  3) 공급업체 협업 관리 24시간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클라우드 기반 PLM 시스템은 제품 개발에 관련된 모든 구성원에게 끊김 없는 협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스템을 통해 견적, 조달 및 공급업체 관리에 필요한 정보에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다. 그래서 공급 업체의 선정이나 정기 감사,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이 시스템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진행할 수 있고, 그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4) 제품 변경 관리 제품 변경사항이 하나의 협업 환경에서 완전히 정의되고 검토, 승인, 구현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통해 시스템에서 변경 관련 정보에 바로 접근할 수 있고, 모든 사용자가 변경 요청과 변경 지시의 과정과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전사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제품 변경 활동을 관찰하고 이력 관리를 통해 과거의 추적성 확보를 가능하게 해준다.  5) 품질 관리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여 부적합 품목 식별 및 분석에서 RMA, CAPA 및 설계 변경까지의 품질 체인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표준화되고 정규화 된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사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품질 이력관리를 통하여 추적성을 확보하고 변경관리와 연계된 품질 문제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요 기능 외에도 Autodesk PLM App Store에서 좀더 상세하고 효과적인 모듈을 무상으로 추가하고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시스템과의 쉬운 연계성을 위하여 Rest API를 제공하고 있으며 3rd Party 연계 솔루션들도 제공되고 있다.  3. 클라우드 기반의 유연한 PLM Autodesk PLM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의 유연한 PLM이기 때문에 도입 결정과 함께 즉시 사용해 볼 수 있고, 조직에서 필요한 요구사항을 유연하고 쉽게 현실화할 수 있다. 최근 PLM 시장에도 클라우드의 바람이 불고 있다. PLM 서버의 유지 보수 인력과 비용 확보, 백업 정책 수립, 대체 시스템 구축,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규모 결정 등 과거 온프레미스 방식의 전통적 PLM 구축 과정에서 겪었던 어려움을 클라우드에서는 더 이상 고민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회사의 핵심 자산이라 할 수 있는 제품의 도면, 모델, 정보 등을 클라우드에 올리는 것은 아무리 강력한 보안기능이 적용되어 있다 하더라도 고객 입장에서는 망설일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될 것이다. Autodesk Vault PLM은 이러한 사용자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제품으로 데이터의 보안과 사용 성능을 확보하는 동시에 전사 차원의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24시간 끊김 없는 접근성과 구성 가능한 사용자 환경의 유연성을 통하여 지원하고 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17
스마트 제품수명주기관리 소프트웨어, DynaPLM
    스마트 제품수명주기관리 소프트웨어, DynaPLM     개발 및 자료 제공 : 아이보우소프트, 02-6956-7116, www.ibowsoft.com DynaPLM(다이나피엘엠)은 최고 성능, 최적 비용으로 PLM 솔루션을 합리적으로 구축하는 국산 PLM소프트웨어이다. 국내는 물론 일본, 중국, 대만에 레퍼런스를 보유한 국산 상용화 PLM 1호 제품이다. 1. 제품부품 (DynaPART) - 부품/제품/반제품 분류체계 (품번 부여 표준화) - 분류체계에 의한 자동 품번 발번 기능 - 설계 정보 (원재료, 규격, 표면, 색상, 단가) - 생산 정보 관리 (구매처, 외주, 자작, 사급) - 부품 사용현황 관리 (역전개, 정전개) - 연관 부품 관리(대체품, 호환품) - 버전 관리 (설계변경 이력 연계 관리) - 다중 도면 (도면 및 Data 연계 관리) - 관련 문서 (스펙, 시방서, 인증서, 카달로그) - BOM 정합성 관리 - 설계 BOM, 생산 BOM 연동 - 조건 조합 검색 기능 (유효일자, 리비전 등) - BOM 전개와 조회 (정전개, 역전개) - 도면, 부품, ECO 연계 관리 - 변경 전/후를 비교하고 활용 가능 - BOM 추가, 복사, 삭제 및 편집 - 3D 모델 구조 와 E-BOM 연결 - BOM 엑셀 Export / Import   2. 도면문서 (DynaDOCS) - 내부 원도 관리 - 도면 권한 관리 - 도면 검토 협업 (Viewer) - AutoCAD, Pro/E File 등록 지원 - 도면 정보, 버전, 버전이력, 상태 관리 - 도면 등록, 검색, 수정, 삭제 기능 - 주력 CAD-PLM 연동 (CATIA, NX, CREO) - 부품/BOM 정보 자동추출 - 공정 단계별 산출물 연계관리 - 문서/기술 스펙 분류체계 관리 - 부품/설변/프로젝트와 Link 관계 - 문서/기술 스펙정보 ,버전,이력, 상태 - 다양한 검색 조건에 의한 검색 지원 - 전자결재 및 승인/배포 - 시리즈 공용부품 연계문서 관리 기능 - 문서/Spec 번호 자동 채번 - 검토내역 등록 / 모니터링 관리 - 일반문서, 표준문서, 양식관리, 인증문서 - 품질문서 관리 (QC공정표, 작업지도서 등) 3. 설계변경 (DynaFLOW) - 설계 변경 통보(ECO), 설계 변경 요청(ECR) - Workflow를 이용한 설계변경 절차 - 설계변경 적용 시점 관리 (ERP 연계) - 설계변경 정보(원인, 유형, 비용 등) 분석 기능 - 설계변경 적용 진도 관리 - 설계변경 이력 관리 - EC별 제품정보(부품, 문서, 도면,BOM) 연계 - ECO Hardcopy (갑지,을지) 지원 4. 프로젝트 (DynaTASK) - 프로젝트 업무단계 정의 및 일정진도관리 - 기존 유사 프로젝트 일정 복사 생성 기능 -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구성 - 단계정보, 작업항목, 시작완료 일정계획 - 시작 완료시 통보지정, 작업완료 조건지정 - 태스크간 선행 후행 관리 - 프로젝트 산출물 연계 관리 - 프로젝트 일정변경 요청/통보 기능 - 프로젝트 모니터링(Gantt, Table, Block) 5. 캐드연동 (DynaCADIN) 기능 - 3D/2D CAD 시스템 연계 관리 - CAD Model 정보 관리 - Multi CAD Model File 관리 가능 - CAD Model Structure 관리 - Check In/out 관리, Version 관리. - Preview 파일 생성 및 조회. - Viewing용 파일 자동생성 - 배포용 변환 파일 - Lock/Unlock 기능 - Key-In Title, BOM 기능 (Key-in Manager) 6. 도면뷰어 (VizVIEW) - 일반 번들 뷰어, 고성능 상용 뷰어 - 전자 도면배포 실현 (도면검토, 도면배포) - 저사양 PC에서 CAD 열람 (가시화 속도 증강) - CAD 포맷 (CATIA, NX, CREO, ACAD 외) - 온라인 포맷 (PDF, Image, Office 외) - 온라인 배포용 경량 CAD 파일 변환 - 치수 측정, 디지털 서명, 도면 비교 등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17
[온에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설루션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1월 19일, CNG TV는 ‘건설·제조업의 설계 혁신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설루션’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건설, 건축, 기계 및 제조 산업에서 두루두루 활용되고 있는 지더블유캐드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데모를 통해 실제 활용법이 소개됐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왼쪽부터 캐드앤그래픽스 박경수 부장,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김현기 파트장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김현기 파트장은 “지더블유캐드코리아가 현재 국내에 보급하고 있는 제품은 CAD/CAM/CAE 전 분야”라고 소개하며, “2D 전용 CAD 소프트웨어인 ZWCAD를 비롯하여 3D CAD/CAM 제품인 ZW3D, 그리고 해석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ZWSIM이 주요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지더블유캐드코리아의 제품은 AEC산업 및 제조 산업을 포괄하고 있으며, 모바일 및 클라우드 시스템 등 추가적인 설루션을 개발하며 ZWSOFT와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ZWSOFT는 2D & 3D CAD/CAM/CAE 제품을 자체적인 엔진 커널로 개발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중국 광저우 및 미국 플로리다 등 총 6개 지역의 연구소를 포함하여 수 백명의 R&D 개발인력을 보유하고, 한국을 포함한 약 800여 개의 지사 및 파트너 등과 함께 제품군을 공급 및 지원하고 있다. 지더블유캐드코리아는 ZWSOFT의 한국 벤더사로서 전체 제품군의 국내 공급 및 기술지원을 진행하고, 국내 프로세스에 알맞게 개발팀을 운영하며 개발 및 지원하고 있다. 김현기 파트장은 ZWCAD의 GIS 모듈이 타사의 GIS 모듈을 대체할 가능성에 대해 소개하며, GeoService를 활용한 지도 가져오기(WMS/WMTS/WFS)를 비롯해 좌표계 변환, 공간 데이터 관리 등 주요 기능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했다. 또한 건설 현장 및 제조 공정에서 공간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도면과의 통합 작업을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지를 데모 시연과 함께 설명했다.   ▲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김현기 파트장   김현기 파트장은 “ZWCAD 제품은 현재 건설 및 건축, 기계 설계 및 제조 산업 프로세스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제조 전문가의 설계 표준화, 효율성 향상에 최적화된 ZWCAD MFG를 통해 ZW3D CAD와 연동해서 표준 부품, 지능형 도면 도구 및 다양한 기능과 광범위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표준화된 고품질 설계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제조 분야에 한정된 특화 기능만 선별해 제공하는 ZWCAD LM으로 효율적인 작업 관리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지더블유캐드코리아는 클라우드 저장소를 활용한 ZWCAD Mobile 제품을 통해 휴대폰 및 태블릿 앱에서 외부에서도 도면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및 IOS 등 모든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Web DAV 서버 구축을 통해 클라우드 저장소가 아닌 사내 자체 서버 공유 폴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2-04
CAD&Graphics 2024년 12월호 목차
  18 THEME. 제조·건축 디자인의 미래를 그리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트윈 AI 주도의 디자인을 바라보는 관점 : 프로세스와 사례 중심으로 / 고성찬 생성형 AI와 제조 디자인의 현재 그리고 미래 / 유훈식 이미지 생성을 넘어 : 모빌리티 디자인에서 생성형 AI의 동향과 숙제 / 박현준 제조 및 건설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디지털 트윈의 혁신 / 이문규 디지털 혁신의 시대, 건축가와 엔지니어를 위한 협업 도구 / 이경선 제조 산업의 디지털 트윈을 위한 리얼타임 렌더링 / 진득호   INFOWORLD   Editorial 17 2024년을 되돌아보며 : AI, 산업을 재정의하다   People&Company 45 시각화 콘텐츠 제작을 위한 토털 설루션 제공하는 맥슨 지브러시, 시네마4D, 레드 자이언트로 만나는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경험   Case Study 68 항공기 부품 제조 혁신에 기여하는 적층제조 3D 프린팅으로 만들어진 GE의 LEAP 연료 노즐 70 산업 분야에서 효과적인 협업을 돕는 몰입형 3D 기술 몰입형 3D 협업 앱으로 워크플로 및 생산성 개선   Column 86 현장에서 얻은 것 No.19 / 류용효 익숙함을 넘어 편리함으로 90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조형식 스마트에서 혁신으로   Focus 48 CAE 컨퍼런스 2024, 제조 혁신을 위한 CAE와 AI의 융합 전략 소개 53 빌드스마트 콘퍼런스 2024, AI/로봇공학/디지털 도구를 통한 건설의 미래 탐색 56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으로 지속 가능한 디지털 전환 이끈다” 58 앤시스, “시뮬레이션과 AI의 결합 및 접근장벽 낮추는 기술 개발 강화할 것” 73 AWS, 인더스트리 위크 통해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혁신 전략 제시 76 인텔, AI PC 위한 프로세서와 생태계로 혁신의 문을 열다 78 연세대와 IBM의 양자 혁명 : 한국 첫 양자컴퓨터 설치의 의미와 미래 80 콘진원, ‘AI로 만나는 새로운 콘텐츠 세상’... AI 콘텐츠 페스티벌 2024 개최   New Products 60 제조 및 기계 설계를 위해 최적화된 CAD 설루션 ZWCAD LM 2025 / ZWCAD MFG 2025 64 온프레미스 기반의 AI 알고리즘 솔루션 Stochos 66 통합 디지털 콘텐츠 마켓플레이스 팹   On Air 82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자동차 산업에서의 다중소재 접합 및 조립 해석 기술 동향 83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제조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헥사곤 설루션 활용 전략 84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설루션 85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마커리스 증강 및 자동 라우팅 기술을 통한 미래 BIM 전략   Directory 139 국내 주요 CAD/CAM/CAE/PDM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디렉토리   CADPIA   AEC 93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딥러닝 모델 개발 프로세스 기록/분석/가시화 및 모델 튜닝하기 98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5 (8) / 천벼리 BIM 도면의 상세 보기 132 디지털 데이터의 정리에 관하여 / 양승규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파일 관리 팁 136 새로워진 캐디안 2025 살펴보기 (1) / 최영석 최신 버전의 주요 기능 소개   Reverse Engineering 101 문화유산 분야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활용 사례 (12) / 유우식 안료 데이터베이스   Mechanical 110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11.0 (7) / 김성철 메커니즘 디자인 소개   Analysis 115 성공적인 유동 해석을 위한 케이던스의 CFD 기술 (16) / 나인플러스IT 터보 기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엔지니어 가이드 Ⅱ 118 금속 적층제조의 최적화를 위한 앤시스 애디티브 / 박준혁 적층 공정의 파라미터 최적화를 위한 애디티브 사이언스 기능 124 SimericsMP for NX CAD의 해석 과정 소개 / 케이더블유티솔루션 CAD 프로그램 내부에서 유동 해석 직접 진행하기 128 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버추얼 트윈 (7) / 임상혁 개념 설계부터 최종 제품까지 다물체 동역학 해석을 위한 심팩       캐드앤그래픽스 당월호 책자 구입하기   캐드앤그래픽스 당월호 PDF 구입하기
작성일 : 2024-11-26
지더블유캐드, 건설·제조업 설계 혁신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솔루션 소개
지더블유캐드코리아가 11월 19일(화) 오후 2시~3시까지 1시간 동안 CNG TV 웨비나를 진행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김현기 과장이 '건설·제조업의 설계 혁신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솔루션 '을 주제로 발표한다.  최근 건설, 건축, 기계 및 제조 분야에서는 설계와 데이터 관리에서 클라우드 솔루션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CAD Cloud는 현장 작업자와 설계자 간의 원활한 협업을 가능하게 하고, 실시간으로 도면 수정 및 리비전을 통해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특히, ZWCAD Cloud는 PC, 태블릿, 모바일 기기에서 언제 어디서나 도면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설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수정할 수 있어 협업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ZWCAD의 GIS 모듈이 기존의 타사의 GIS 모듈을 대체할 가능성에 대해 소개하며, GeoService를 활용한 지도 가져오기(WMS/WMTS/WFS)와 좌표계 변환, 공간 데이터 관리 등 주요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건설 현장 및 제조 공정에서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도면과의 통합 작업을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로 설명할 예정이다. 기계/제조 분야에서는 ZWCAD MFG를 통해 ZW3D CAD와의 설계 향상 방안과 가공 현장에서의 ZWCAD LM을 활용한 효율적인 작업 관리와 생산성 향상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회복하는 제조업 경기 속에서, 이번 웨비나는 설계 및 제조 프로세스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이번 웨비나는 사전등록 후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작성일 : 2024-11-18
[무료다운로드] 직스캐드 2024의 파일 비교 기능
복잡한 모델에서 인사이트를 얻고 설계 의사결정을 돕는 직스캐드 (4)   직스캐드(ZYXCAD)는 2022년 처음 출시한 국내 자체 개발 범용 CAD 솔루션 프로그램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으로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번 호에서는 도면 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직스캐드 2024의 파일 비교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소연  직스테크놀로지 기술지원팀의 대리로 직스캐드의 기술지원 및 교육을 맡고 있다. 홈페이지 | https://zyx.co.kr   직스캐드 2024의 파일 비교 기능 직스캐드 2024의 ‘도면 파일 비교’ 기능은 두 개의 도면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도구이다. 이 기능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그림 1. 파일 비교 화면   리비전 관리 용이 도면 파일 비교 기능을 사용하면 기존 도면과 수정된 도면을 쉽게 비교할 수 있어 리비전 관리가 훨씬 수월해진다. 버전 별 도면의 차이를 확인하여 어떤 부분이 수정되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수정 사항의 직관적 확인 수정된 부분은 구름형 박스와 설정된 색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설계 변경 사항을 시각적인 형태로 빠르게 이해하고 확인할 수 있다.    비교 도면 저장 및 공유 사용자는 비교된 도면 파일을 별도로 저장하고 팀원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협업이 더욱 원활해지고, 변경 사항에 대해 명확하게 소통할 수 있다.    수정 내용의 즉시 반영 기존 도면에 수정된 내용을 즉시 반영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수정 사항을 확인한 후, 필요한 변경 사항을 도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그림 2. 객체 가져오기 기능 실행   여러 줄 문자 편집 기능 소개 직스캐드 2024에서는 여러 줄 문자 편집 기능의 접근성을 개선했다. 사용자는 메뉴 바의 문자 편집기를 통해 편리하게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그림 3. 메뉴 바 문자 편집기   다양한 텍스트 스타일 지원 직스캐드는 글꼴 스타일, 굵은 글꼴, 기울임 글꼴, 밑줄 등 다양한 텍스트 스타일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워드 문서처럼 손쉽게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다.    그림 4. 문자 편집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7-04
[포커스] PTC, “크레오 10은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의 출발점”
PTC 코리아가 ‘크레오 10 론칭 기념 전국 투어 로드쇼’를 진행했다. PTC의 3D CAD 솔루션인 크레오(Creo)는 이번에 열 번째 메이저 버전을 선보이면서 설계 생산성 향상을 비롯해 제품 개발 영역에서 다양한 기능 향상이 이뤄졌다. PTC는 크레오를 중심으로 PLM과 클라우드 등을 연결해 강화된 디지털 트윈 및 디지털 스레드를 구현해 제조 혁신을 뒷받침한다는 전략이다. ■ 정수진 편집장   디지털 전환의 출발점으로서 CAD의 역할 강조 PTC는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디지털 기술로 해결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과 디지털 스레드(digital thread)를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전환 기업 및 SaaS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PTC 코리아의 김상건 지사장은 “디지털 전환의 목적은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다. 기업은 수많은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최선의 선택을 위한 인프라로서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또한, 디지털 전환을 위한 디지털 스레드 전략으로서 폐순환(closed-loop)과 연결, 데이터의 단일 소스(single source of truth)를 통한 업무 가시성 확보 등을 꼽았다. PTC는 이런 전략 아래 CAD, PLM(제품 수명주기 관리), IoT(사물인터넷), SLM(서비스 수명주기 관리), AR(증강현실) 등 제조 산업 전반에 걸친 솔루션 라인업을 제공한다.   ▲ PTC 코리아 김상건 지사장은 디지털 트윈과 디지털 스레드 중심의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설계부터 시뮬레이션·제조까지 생산성 향상 지원 프로엔지니어(Pro/ENGINEER)의 뒤를 잇는 PTC의 설계 소프트웨어인 크레오는 2011년 첫 출시 이후 이번에 10.0 버전을 선보였다. 크레오 10에서는 ▲설계와 관련한 생산성 및 활용성 ▲복합 소재 설계 및 제조를 위한 기능 ▲케이블링 및 ECAD 전장 설계 ▲인체 모형을 이용한 인간공학 개선 ▲3D 도면 작업 확장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 ▲생산 제조 기술 등을 중심으로 기능 향상이 이뤄졌다. 크레오 10은 모델 트리 디스플레이를 단순화해 CAD 사용성을 높였다. 그리고 스케치 기능 추가, 단순 홀의 주석 기능, 패턴 기능 확장, 서피스 작업 향상 등을 제공한다. 크레오 10의 새로운 복합재 설계 환경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를 검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크레오 10에서는 하네스 케이블링 작업을 구조화해 빠른 설계가 가능해졌고, 하네스 부품의 분할 및 병합 기능이 추가됐다. 크레오 10에서는 인체 모형 기능이 개선되고 라이브러리가 업데이트되어, 더욱 정확한 동작과 모션을 정의할 수 있게 됐다. 그리고 사용자 시야 영역의 분석 기능도 강화됐다. MBD(모델 기반 설계)와 GD&T(기하공차) 가능의 강화와 함께 EZ 공차분석 기능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 기능과 관련해서는 크레오 앤시스 시뮬레이션(Creo Ansys Simulation)에서 비탄성 접촉 해석 및 비선형 재질의 비탄성 해석을 추가 지원하고, 크레오 시뮬레이트(Creo Simulate)에서 다물체 부품 해석을 지원한다. 이외에 적층 가공을 위한 격자 타입이 추가되고 고속 절삭 가공을 위한 공구 지원이 강화되는 등 고품질 가공을 더욱 쉽고 빠르게 지원할 수 있게 됐다.   ▲ 이번 로드쇼에서 PTC 코리아는 크레오 10의 주요 개선점들을 소개했다.   CAD+PLM으로 디지털 트윈 구축 및 활용 한편, PTC는 크레오와 연계한 윈칠(Windchill) PLM으로 온전한 디지털 트윈을 만들 수 있다고 소개했다. MCAD, ECAD, 소프트웨어 등 데이터와 문서를 중앙 관리하는 윈칠은 제품과 관련한 데이터를 체계적, 일관적으로 연결 및 관리하면서,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또한, 실시간 시뮬레이션 데이터도 PLM에서 관리하면서 이력과 결과물을 추적하고 재사용할 수 있고, 설계/구매/품질과 관련한 협업을 시각화 데이터 기반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PTC는 윈칠 안에서 BOM 관리를 통해 설계/생산/관리 협업을 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BOM을 구성해 업무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제품군 별 BOM을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해 제품 패밀리를 관리할 수도 있고, 프로젝트 기반의 외부 설계 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보안 및 권한 통제 기능도 제공한다.   클라우드로 설계 협업과 프로세스 개선 크레오 10 버전의 출시와 함께, PTC는 크레오의 설계 기능을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로 제공하는 ‘크레오 플러스(Creo+)’도 선보였다. 크레오 플러스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실시간 설계 협업을 지원하고 라이선스 배포/관리를 개선해 CAD 소프트웨어의 소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궁극적으로는 IT 관리 및 보안을 높이면서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PTC의 설명이다. 크레오 플러스를 통해 선보이는 신규 클라우드 솔루션인 PTC 컨트롤 센터(PTC Control Center)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 자동 업데이트, 원격 관리 등을 위한 도구이다. 특히 실시간 협업 기능이 강화되었는데, 설계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해 불필요한 리비전과 설계 지연을 줄이고, 설계 탐색에 대한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 크레오 플러스는 온프레미스 버전의 크레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시뮬레이션 등 추가 기능을 SaaS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PTC는 향후 웹 브라우저에서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크레오 플러스를 업데이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PTC는 3D CAD인 크레오와 PLM인 윈칠을 연계해 제조기업의 디지털 스레드를 구현한다는 전략을 밝혔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8-02
어드밴스 스틸 : 3차원 모델로 대화하기
어드밴스 스틸과 함께 하는 철골구조물 BIM 설계 실무 (13)   오토데스크 어드밴스 스틸(Autodesk Advance Steel)은 오토데스크의 건축, 엔지니어링, 시공 전반을 다루는 건축·엔지니어링·건설 컬렉션(Autodesk Architecture, Engineering&Construction collection)에 포함되어 있는 17개 소프트웨어 중 하나이며, 철골구조 BIM설계에 특화되어 있다. 파라메트릭 기능을 활용한 3차원 철골구조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철골 곡선 모델링에 우수하며 자동 접합 상세, 모델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검증된 모델을 통한 정확한 물량산출과 제작/설치를 위한 시공 도면을 필요한 형식에 맞춰 실시간 생성할 수 있고, 잦은 설계 변경에 따른 리비전 관리가 용이한 소프트웨어이다.  이번 호에서는 철골 3차원 BIM 모델을 작성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 유상현 | 오토데스크 어드밴스 스틸의 원개발사인 프랑스 Graitec의 아태지역 프로덕트 매니저(Asia-Pacific Product Manager)로 싱가포르에서 다년간 교육과 기술지원을 업무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라인테크시스템의 Porch건축사사무소에서 기술 컨설턴트로 근무하고 있으며, 한국디지털교육원의 전문강사로 어드밴스 스틸 실무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각종 철골분야에 어드밴스 스틸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고 적용하고 있는지를 기술 카페 및 SNS, 유튜브 등을 통하여 활발하게 공유하고 있다. 이메일 | sh.yu@linetek.co.kr 홈페이지 | http://www.linetek.co.kr, http://www.koreadigital.co.kr   3차원 BIM 모델의 활용은 전문건설 종사자 이외에도 관련업무 당사자들 간의 정확하고 빠른 이해와 소통, 의사결정에 도움이 된다. 철골은 구조재로 활용되어 주로 마감내부에 있어서 눈에 뛰지 않지만 정확한 마감 작업을 위하여 구조재의 형태와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이렇듯 구조재와 마감, 구조재와 설비등과 같이 유기적인 작업을 위하여 정확한 3차원 모델이 점점 필수 작업이 되어 가고 있다. 철골구조나 어드밴스 스틸에 대한 경험이 없는 엔지니어들도 어드밴스 스틸에서 생성한 철골구조 3차원 BIM 데이터를 쉽게 열어보고 확인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과 생성한 데이터를 타 공종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1. 3차원 BIM 데이터 활용해 작업을 사전에 확인하는 방법 첫 번째로 이해당사자들이 2D 도면이 아닌 3차원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업을 사전에 확인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작업자가 어드밴스 스틸 프로그램이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그렇지 않은 여러 경우로 알아보자. 먼저 오토캐드를 사용하고 있는 엔지니어의 경우를 알아보자. 오토캐드가 있다면 어드밴스 스틸 모델을 바로 볼 수 있다. 어드밴스 스틸도 오토캐드와 동일한 DWG 포맷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모델을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단지, 도면을 열듯이 열기 버튼을 클릭하고 해당 파일을 연다. 참고로 오토캐드 버전은 어드밴스 스틸과 동일 혹은 상위 버전이어야 한다. 추가하여 필요하다면 오토캐드 버전에 맞는 Advance Steeel object enabler를 설치해야 할 경우가 있다. 해당 파일은 오토데스크 홈페이지에서 무료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그림 1. 동일한 모델을 오토캐드와 어드밴스 스틸에서 각각 연 화면  
작성일 : 2021-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