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리뉴얼"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77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설비 전 주기 통합 서비스 설루션으로 선제적 자산관리”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설비의 성능과 수명을 극대화하고, 예기치 못한 장애를 사전에 방지하는 선제적 자산관리를 지원한다고 소개했다. 최근 산업 현장에서는 설비의 복잡성 증가와 함께 에너지 사용 최적화, 탄소 배출 저감, 운영 안정성 확보가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설비의 전체 수명 주기를 고려한 관리 체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기반의 통합 설루션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러한 흐름에 맞춰 자산의 설계부터 유지보수, 현대화에 이르기까지 설비 운영의 전 주기를 아우르는 통합 서비스 설루션 포트폴리오를 선보이고 있다. 이는 에너지 진단부터 상태 기반 유지보수, 노후 설비의 디지털 리노베이션까지 전 과정에 걸쳐 고객의 운영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표적인 설루션인 에코케어(EcoCare)는 에코스트럭처(EcoStruxure) 플랫폼의 기능과 원격 컨설팅 및 현장 유지보수를 결합한 맞춤형 서비스 계약이다. 이 중 에코스트럭처 서비스 플랜은 데이터 중심의 상태 기반 유지보수 접근 방식을 통해 현장 유지보수 활동을 최적화하여 비용 및 다운타임을 줄일 수 있다.  에코스트럭처 서비스 플랜은 다양한 설비에 대한 설루션을 지원한다. 이 중에서도 모터를 위한 모니터링 설루션인 ESP 로테이팅(EcoStruxure Service Plan Rotating)과 변압기를 위한 모니터링 설루션 ETE(EcoStruxure Transformer Expert)가 대표 사례로 꼽힌다. ESP 로테이팅 설루션은 산업 현장에서 필수인 전기 모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운영 리스크를 낮추는 데 초점을 둔다. 이를 통해 타 유지보수 옵션 대비 10년간 총 소유비용(TCO)을 최대 30% 절감할 수 있으며, 설비의 이상 징후를 90% 이상의 정확도로 최대 4개월 전에 사전 예측할 수 있어 다운타임을 줄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ETE 설루션은 전력 설비의 핵심 구성 요소이지만 관리가 어려웠던 변압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예측·진단할 수 있는 디지털 설루션이다. 지능형 IoT 센서를 통해 변압기의 주요 센서 및 계기 신호를 수집하고, 오일 내 수분, 온도, 진동, 음향 및 RF 노이즈 등 다양한 운영 지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변압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에코컨설트(EcoConsult)는 전기 및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전문 컨설팅을 통해 설비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한 전기 설비 진단, 보호 계전기 협조 분석, 아크 플래시 위험도 분석 등으로 시스템의 신뢰성과 규정 준수 수준을 강화하며, 신규 설비 및 리뉴얼 설계 시 최적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에코핏(EcoFit)은 전력 설비 및 자동화 자산의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대화 설루션이다. 기존 장비의 주요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최신 기술을 반영한 설비로 업그레이드함으로써 안정성과 디지털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설계된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세 가지 설루션을 함께 활용할 경우 설비 관리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에코컨설트를 통해 도출된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에코케어의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필요 시 에코핏을 통해 설비를 업그레이드함으로써 운영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서비스 사업부의 최성환 본부장은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설비를 단순히 관리하는 것을 넘어 전 주기에 걸쳐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에코컨설트, 에코케어, 에코핏은 단일 설루션이 아닌, 기업의 운영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자산 관리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고 설명했다.
작성일 : 2025-04-30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
[자료]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 발행 : 2024. 8. 형식 : pdf 12 page 제작 : 건축공간연구원 * 이 글은 남성우 외. (2024). 2023년 공공건축물 리뉴얼 지원 및 관리. 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공공건축물의 노후화, 공간 부족과 새로운 시설 수요, 운영·관리 어려움 등의 문제로 정부(국토교통부)는 철거 후 신축 또는 리모델링 등 리뉴얼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건축계획과 설계 모델을 지원해 주는 리뉴얼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 운영한 리뉴얼 사업에서는 노후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건축공간 기반 상용화가 예정된 로봇, 자율주행차, UAM 등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기본계획과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사업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교부세, 기금, 특별회계 등 공공의 재정적 지원과 위탁개발 방식 등을 활용한 사업적 지원, 건축 기준의 완화와 같은 계획적 인센티브 제공 등의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왜 필요한가? 공공건축물은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에서 ‘공공기관이 건축하거나 조성하는 건축물 또는 공간환경’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공공청사·경찰서·소방서·학교·도서관·주민센터 등 국민의 복리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만큼 공공의 면밀한 관리가 필요한 중요 시설이다. 현재 공공건축물은 전체의 43.4%가 준공된 지 20년 이상으로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그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노후 공공건축물을 리뉴얼1) 하기 위한 사업들이 확대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2) 다만, 단순히 노후시설의 현대화와 지역의 부족한 시설들을 확충하는 리뉴얼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환경적 문제 해결, 국민 복리 증진, 그리고 산업·경제 발전이라는 보다 높은 가치 및 목표와 연계하여 리뉴얼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상세내용 첨부 참조
작성일 : 2024-10-16
다쏘시스템코리아, 26주년 맞아 오피스 리뉴얼
다쏘시스템코리아가 한국 지사 설립 26주년을 맞아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본사 오피스를 리뉴얼했다고 밝혔다. 다쏘시스템코리아는 3층에 위치한 ‘3D익스피리언스 이그제큐티브 센터 서울(3DEXPERIENCE Executive Center Seoul)’ 및 9층 오피스 리뉴얼 작업을 완료하여 보다 혁신적이고 기능적인 공간으로 국내외 기업과 파트너의 버추얼 트윈 기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활용하면 지방 및 해외와의 협업이 실시간으로 가능하여, 원격지에 있는 동료와도 효과적인 소통이 가능하다. ‘3D익스피리언스 이그제큐티브 센터 서울’은 다쏘시스템의 버추얼 트윈과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경험을 지원하고 버추얼 트윈, 스마트 팩토리, 비대면 분야에 대한 변화 요구를 감지한 고객들의 고민을 바탕으로 그에 따른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맞춤형 투어를 제공한다. 센터는 지난 2019년 6월 프랑스, 독일, 미국, 중국, 인도에 이어 6번째로 오픈한 뒤 5년간 세계적인 기업들과 협력한 다쏘시스템의 경험과 산업 지식을 바탕으로 디지털 혁신을 이끌어내는 곳으로 자리매김해왔다. 기업의 최고책임자는 전략적인 인사이트를 얻고 실무진은 구체적인 결과물을 추구하는데 지속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도 매년 약 100여 개의 기업체에서 방문객이 찾았다는 것이 다쏘시스템코리아의 설명이다.     또한, 이번 오피스 리뉴얼을 통해 센터는 공간 확장 및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 되었으며 새로운 협업 공간 ‘아고라’가 추가됐다.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에 기반한 버추얼 트윈을 실질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물론, 소통과 협업의 중심지로 거듭나며 고객들과 함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의 능력을 탐구하고 전략을 세우는 장을 만들려는 다쏘시스템코리아의 의지다. 더불어, 다쏘시스템코리아는 본 센터를 통해 대학 교수진들이 차세대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가고, 학생들은 산업 전반과 미래 본인의 업무 등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번 오피스 리뉴얼은 고객뿐 아니라 내부 고객인 임직원에게도 더욱 쾌적하고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사 곳곳에 임직원들이 자유롭게 회의를 하거나 브레이크 타임을 가질 수 있도록 미팅룸(회의실), 폰부스 그리고 카페라운지를 마련했다. 환경 친화적인 측면도 강조했다. 새로운 인테리어 디자인은 자연채광을 활용하여 전체적으로 밝고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였고, 재활용 가능한 자재를 사용한 친환경적인 시설을 도입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경영에 대한 다쏘시스템의 메세지를 강조했다. 다쏘시스템코리아의 정운성 대표이사는 “다쏘시스템은 방대한 경험과 산업 지식을 바탕으로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최적의 방향으로 진정한 디지털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면서, “이번 서울 오피스 및 3D익스피리언스 이그제큐티브 센터의 리뉴얼을 통해 앞으로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 기반 혁신을 도모하는 고객들에게 더욱 만족스러운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성일 : 2024-09-09
ZW3D 2025 : 대용량 파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CAD/CAM/CAE 솔루션 
개발 : ZWSOFT 주요 특징 : 기계/제조 분야에서 설계, 해석, 가공 분야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3D CAD/CAE/CAM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특화 설계 기능 제공, 위해 대용량 설계 데이터의 처리 향상, 국내 프로세스에 알맞은 전용 솔루션 지원, 금형 설계 및 가공 전처리 분야에서 활용성 향상 등 공급 : 지더블유캐드코리아   지더블유캐드코리아가 기계/제조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3D CAD/CAE/CAM 소프트웨어 ZW3D 2025(지더블유쓰리디 2025)를 출시했다. 이 제품군은 지더블유소프트(ZWSOFT)에서 지속적으로 개발 및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공급 및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벤더사인 지더블유캐드코리아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조 분야에서 3D CAD/CAE/CAM 라인업을 확장시키고 있다. 특히 모든 제품 군이 안정적으로 영구 라이선스를 보급함으로써, 기존 타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정책 및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군으로 주목받고 있다. 3D CAD 기능으로는 중장비 혹은 일반기계/설비에 대한 설계 과정에 있어서 약 15만여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대규모 어셈블리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렌더링 처리 효율을 최적화한 결과 약 50% 이상의 효율을 향상시켰다. 여기에는 설계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셈블리 기능의 프로세스 최적화도 포함된다.   ▲ 약 15만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사출기 중대형 설계 데이터   새롭게 추가된 설계 환경인 모션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기구적 연관 관계에 놓인 설계 데이터에서 동적인 모션에 대해 파악함과 동시에 다양한 물리적 값들을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이다. 애니메이션에는 타임라인 탭이 추가되어 시간에 따른 모델링의 움직임을 표현하기가 편리해졌고, 모델의 구동 프로세스 표현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이 적용될 수 있도록 추가되었다. 이외에도 기본적인 단축키, 빠른 실행 도구, 숏컷 기능 개선과 설계된 모델링의 재질 및 물리적 수치 정보에 대한 UI 통합, 2D 도면시트 등 설계자에게 필요한 신규 기능이나 편의성이 이전 버전보다 폭넓게 향상되었다. CAE 구조해석으로는 Harmonic Fatigue, Random Vibration Fatigue, Explicit Dynamics Drop Test 등 총 세 가지의 해석 유형이 추가되었다. 특히 제품 설계 과정에서 일반적인 선형, 비선형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피로 내구에 의한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을 개발함에 있어 엔지니어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자유 낙하에 대한 고속적인 비선형 역학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Explicit Dynamics 방식을 통해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밖에도 메싱을 위한 옵션 처리 방식과 비선형에 대한 알고리즘이 개선되었다. 3D CAM은 2.5D 밀링 가공에 대한 프로파일 피처에 대한 개선이 두드러졌다. 피처의 가공 방향과 더불어 검증을 통해 가공 영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필링 기능과 프로파일 및 홀 가공 순서에 대한 방식이 18가지로 대폭 증가되었다. 3D 툴패스 개선사항으로 황삭 가공의 공구 리프팅 감소, 황잔삭의 연산 알고리즘 개선, Z레벨 가공의 언더컷 영역 가공 개선, 코너 잔삭 최적화 등이 있다. 이외에도 툴패스 편집과 같은 사용자 편의 기능이 추가로 개선되었다. 이 밖에 ZW3D 2025에서 포함된 주요 업데이트 사항은 다음과 같다.   ZWCAD 2025에서 개선된 CAD 기능 ZW3D 2025는 기본적인 설계 모듈뿐만 아니라 파이프/튜브 설계, 하네스 설계, 구조물 설계 등 다양한 특화 설계의 기능을 지속 개발해오고 있다. 또한 중대형 설계 사용자를 위해 대용량 데이터의 설계를 부드럽게 처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최적화를 진행했다.    스케치 스케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속조건의 충돌사항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속조건 충돌 관리자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사용자가 과도하게 구속한 조건을 시스템 내에서 관리자 탭에 표시하여, 자동으로 처리해야 할 과구속에 대한 히스토리를 순서대로 나열한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구속조건을 최적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충돌된 구속조건을 자동 처리하기 위한 ‘구속조건 충돌 관리자’   또한 방대한 와이어프레임이 포함된 2D 데이터 스케치를 가져올 때 소요되는 시간이 이전 대비 50% 이상 감소되어, 2D to 3D에 대한 설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스냅에 대한 조건을 사용자별로 알맞게 커스터마이징하도록 스냅 모드를 개선했다.   파트/어셈블리 다양한 설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 부품별로 알맞은 재질 및 물리적 특성 등을 기입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아졌다. 이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ZW3D 2025에서는 재질 라이브러리와 외관 라이브러리 및 해칭 등을 통합했다. 특정 부품에서 적용한 재질, 외관 등을 다른 부품으로 빠르게 덮어쓸 수 있어, 설계 디테일을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 통합된 재질/외관/해치 라이브러리   3D 모델링 작업이 완료되면, 2D 도면 시트를 활용하여 설계된 데이터의 BOM 및 품번 기호 작성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품번 기호가 표시되지 못한 컴포넌트를 빠르게 찾고 이를 업데이트하면 자동적으로 정렬할 수 있고, BOM 테이블에서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시트 상에서 하이라이트 표시를 통해 선택한 컴포넌트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 BOM 테이블에서 선택하여 하이라이트 표시되는 컴포넌트   또한 수많은 부품이 포함된 어셈블리의 안정성을 개선했다. 기본적으로 구속조건이 문제가 있을 경우 관리자 탭에 표시가 되는데, 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내부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수 천개 이상의 부품이 조립되더라도 구속조건 관리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했다. 뿐만 아니라 과구속 혹은 구속조건에 문제가 있을 경우, 전체적인 히스토리가 아닌 개별 부품에 따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 구속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 탭   그 밖에도 어셈블리 간의 링크를 트리맵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및 스프링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 플렉서블 모델에 대한 재생성 기능도 추가되었다.    애니메이션 이번 버전에서 가장 편의성이 강화된 기능은 애니메이션이다. 애니메이션 상에서 타임라인이 추가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대에 따라 움직임을 추가/편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기본적인 메뉴 구성과 기본 기능이 리뉴얼되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조립도, 분해도, 기계적 움직임에 대한 모든 제어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작업한 분해도를 불러올 수 있는 신규 기능과 더불어 뷰 변경, 외관 재질 변경, 애니메이션 상에서의 간섭 체크, 영역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 애니메이션에 추가된 타임라인 기능   모션 시뮬레이션 새롭게 추가된 모듈인 모션 시뮬레이션은 기계적 거동 상태에 따른 동적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이다. 각 기계 부품 간의 유기적인 어셈블리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모션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동적 모션에 대한 분석을 하기 위한 전문적인 모듈이다. 이를 통해 기계적 설계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구동이 가능한지 및 그에 따른 동적 모션에 대한 그래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최종적인 움직임의 범위 등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 모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시뮬레이터 케이스   ZW3D 2025에서 개선된 CAM 기능 ZW3D 2025의 CAM 모듈은 2축 밀링(milling)과 3축 밀링 가공을 위한 다양한 개선사항을 포함한다. 2.5D 도면 가공을 주로 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2D 피처에서 시작점과 가공 방향을 가시성 있게 보여주어 보다 빠른 가공작업을 가능케 하며, 검증 시 필링 기능을 통해 생성된 툴패스의 전체적인 가공 영역을 직관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미절삭 확인과 공구 간의 스텝오버 효율을 시각적으로 체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3축 가공에서는 툴패스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툴패스 편집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 기능으로 대형 프레스 가공에서 필요한 시간대별 툴패스를 분리하거나, 불필요한 영역을 사용자가 이전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황삭, 황잔삭, 코너잔삭에 대한 알고리즘이 추가적으로 개선되어, 툴패스 생성 시간, 공구 리프팅 등 가공 측면에서 향상이 이뤄졌다.   ▲ 프로파일 피처에서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한 가공 방향 및 시작점   지더블유캐드코리아는 앞으로도 기계 및 금형 시장에서 필요한 3축 밀링 가공을 위한 특화된 기능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활발하게 공급 . 지원 중인 2축 밀링 분야에서는 ZW3D 전용 솔루션인 캠포커스(CAM Focus)를 2025에서도 업데이트하여, 부품 가공 시장에서 필수인 2D 도면 및 3D 모델링을 활용한 특화된 CAM 데이터 생성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가공 분야에서 필요한 CAM 소프트웨어로 발돋움하기 위해 한국 벤더사로서 다양한 활동과 협업을 기획하고 있다.   ZW3D 2025에서 개선된 CAE 기능 ZW3D 2025에서 활용 가능한 구조해석 제품군인 ZW3D Structural은 기본적인 구조해석 유형인 선형(linear), 비선형(nonlinear), 주파수(frequency), 피로(fatigue), 열(thermal) 해석 및 그에 따른 정적(static), 동적(dynamic) 유형을 포함한 13가지의 해석 유형에서 더욱 확장된 17가지를 추가 지원하게 된다. 가장 두드러진 추가 유형으로는 조화 응답(harmonic) 상태와 불규칙 진동(random vibration) 상태에서의 피로 조건에서의 제품 수명을 확인할 수 있고, 제품 검증에서 필수인 자유 낙하(drop test) 유형을 Explicit Dynamics 방식을 통해 결과 값을 산출할 수 있다.   ▲ Explicit Dynamics 방식을 활용한 자유 낙하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8-02
앤시스 차지 플러스의 비접촉 정전기 방전 해석
앤시스 워크벤치를 활용한 해석 성공사례   앤시스 차지 플러스(Ansys Charge Plus)는 재료의 충전과 방전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2021년에 국내에 처음 도입되었다. 앤시스 차지 플러스를 이용하면 그동안 해석하기 어려웠던 Air ESD(비접촉 정전기 방전)를 쉽고 간단하게 해석할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Air ESD의 영향을 평가하고 방전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한 앤시스 차지 플러스의 사용법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김대현 태성에스엔이 EBU HF팀 매니저로 RF/Antenna 해석 및 Ansys EMC & Charge Plus에 대한 기술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dhkim22@tsne.co.kr 홈페이지 | www.tsne.co.kr   앤시스 차지 플러스는 EMA3D Charge의 후속 버전으로, 2021년 9월에 출시되었다. 앤시스 차지 플러스는 앤시스의 다른 전자기장, 유동 제품군과 연동이 용이하고, 앤시스 디스커버리(Ansys Discovery) GUI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접근성이 뛰어나다. 앤시스 차지 플러스는 항공우주, 전기전자, 자동차 산업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대전, 입자 이동, 아크(arc) 등의 문제를 예방하거나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멀티피직스 시뮬레이션을 통해 플라스마 및 ESD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을 정확하고 빠르게 해석할 수 있고, Air ESD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앤시스 차지 플러스 소개 앤시스 차지 플러스는 과거 ‘EMA3D Charge’라고 불리던 시뮬레이션 툴이 리뉴얼되어 ‘차지 플러스’로 이름이 바뀌었다. 간략하게 소개를 하자면 ‘앤시스 EMC 플러스(Ansys EMC Plus)’와 ‘앤시스 차지 플러스(Ansys Charge Plus)’로 구분된다. EMC 플러스의 경우 플랫폼 단위에서 Electromagnetic Cable을 모델링 혹은 EMC 해석을 진행할 때 유용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이고, 차지 플러스는 다수의 솔버를 이용한 멀티피직스 해석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솔루션이다. 앤시스 차지 플러스는 시간 도메인(time domain) 솔버를 사용하여 공기, 재료의 표면 및 내부 아크를 분석하고, FEM Electromagnetics, Fluid, Particle 솔버를 통해 플라스마 환경을 해석한다. 차지 플러스는 디스커버리 GUI를 사용하여 기존의 사용자들이 쉽고 빠르게 CAD 모델을 단순화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의 정의 및 해석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림 1>은 앤시스 차지 플러스의 GUI를 나타낸 그림이다. 앤시스 차지 플러스의 GUI는 앤시스 디스커버리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그림 2>와 같이 어두운 테마(Dark Theme)와 밝은 테마(Light Theme)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취향과 환경에 맞게 테마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림 1. 앤시스 차지 플러스 GUI   그림 2. 앤시스 차지 플러스 테마   ESD란 ESD(Electrostatic Discharge)는 정전기 방전이라고 하며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된 물체가 접촉하여 일시적으로 전하의 이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주로 건조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두 물체 사이의 전압 차이가 크면 공기 또는 다른 매질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여 방전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 방전은 짧은 시간 동안 매우 높은 전류를 생성할 수 있어 전자 부품이나 회로에 손상을 입히고, 특히 반도체나 집적 회로와 같이 민감한 전자제품에 심각한 손상을 가할 수 있다. ESD는 접촉 방식과 비접촉 방식이 있다. 비접촉 방식 ESD는 물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정전기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하며, 주로 물체가 전하로 충전된 상태로 서로에게 근접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손이 전자 부품 근처에 오는 것만으로도 전자 부품 주변의 공기가 충분히 전하를 이동시키고 공기를 통해 정전기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비접촉식 ESD는 주로 공기나 다른 매질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고 이로 인해 방전이 발생한다. 접촉식의 경우 앤시스 HFSS를 통한 해석이 가능하나, 비접촉식 즉 Air ESD의 경우는 HFSS를 통한 해석이 쉽지 않았다. 그러나 앤시스 차지 플러스가 출시되면서 <그림 3>과 같은 ESD 웨이브폼(Waveform)을 사용하여 Air ESD를 간단한 설정을 통해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림 3. ESD 웨이브폼   ■ 상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3-05
자브라, 가성비 유선 헤드셋 ‘이볼브 스페셜 에디션’ 출시
자브라(Jabra)가 기존 USB PC 헤드셋을 새롭게 리뉴얼한 ‘이볼브 스페셜 에디션’을 선보인다. 자브라는 그동안 가격적인 부담으로 인해 헤드셋을 구매하기 어려워했던 학생 또는 회사원을 위해 가격을 낮춤으로써 소비자에게 고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자브라 이볼브 스페셜 에디션은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와 이어 쿠션을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가 주변 소음으로부터 방해 없이 선명한 소리로 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온라인 교육 또는 원격 교육 중인 학생은 헤드셋을 사용하면서 학습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직장인 역시 원활한 오디오 성능 덕분에 업무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헤드셋에 탑재된 28mm 스피커를 통해 고품질 사운드가 제공되어 음악 감상, 유튜브 동영상 및 OTT 콘텐츠 시청, 인터넷 강의 수강 등 다양한 상황에서 강력하고 풍성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한다.뿐만 아니라, 이볼브 스페셜 에디션에는 자브라의 청력 보호 기술인 PeakStop이 적용되어 있다. PeakStop은 118dB 이상의 소음이 갑작스럽게 발생할 때 사용자의 귀에 들리지 않도록 차단해주는 기술로, 청력이 민감한 어린이나 소음에 자주 노출되는 사람도 청력 손상 걱정 없이 안전하게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볼브 스페셜 에디션은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조절 가능한 헤드밴드가 탑재되어 맞춤형 피팅감을 제공하며, 174g의 무게와 부드러운 이어쿠션 덕분에 귀에 무리 없이 하루 종일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자브라 코리아 관계자는 “일반 소비자들이 헤드셋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 증대됨에 따라, 구매 장벽을 완화하면서도 기능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합리적인 가격의 USB PC 헤드셋을 선보이게 됐다”면서, “자브라는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학습, 음악 및 미디어 감상과 같이 모든 일상 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자브라의 이볼브 스페셜 에디션은 전국의 공식 온라인몰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 가능하며, 권장 소비자 가격은 3만 2900원이다.
작성일 : 2024-01-22
팀솔루션, 디지털 트윈 플랫폼 ‘팀플로우’ 출시
  디지털 트윈 전문 기업 팀솔루션이 제조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더욱 쉽고 유연하게 하는 통합 디지털 트윈 플랫폼 ‘팀플로우(TIM FLOW)’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2021년 첫선을 보인 팀플로우는 2년간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요꼬가와전기 등과 함께 진행한 약 5건의 고객 실증을 거쳐 표준성과 범용성을 업그레이드해 이번에 리뉴얼 출시됐다. 기존 팀플로우는 데이터 통합 시각화를 위한 4개의 모듈이 독립적으로 고객사 시스템과 연결되는 데 한계가 있었던데 반해, 새로운 팀플로우는 CAD를 활용한 3D 모델 생성 기능의 범용성과 상용성을 개선해 단독 제품으로도 판매된다. 또한 기존에는 3D 모델과 데이터 연결이 중심이었지만, 3D 모델을 활용해 매뉴얼을 생성하는 등의 간편한 기능도 추가하며 제품의 활용성을 높였다. 팀솔루션은 “리뉴얼된 팀플로우는 기업 및 프로젝트의 규모와 무관하게 단계적인 도입이 가능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허들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디지털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기업도 팀플로우를 활용하면 초기투자비 부담 없이 완제품 3D 매뉴얼을 함께 생성해 전달할 수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팀솔루션의 김지인 대표는 “고객사 실증을 통해 보다 고도화된 팀플로우의 출시를 계기로 대기업 중심의 실증 적용처에서 중견·중소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3-11-13
웨스턴디지털, 빠른 속도와 대용량 겸비한 샌디스크 솔루션 4종 발표
웨스턴디지털이 여유로운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된 샌디스크(SanDisk) 신제품 4종을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된 신제품은 ▲1.5TB 샌디스크 울트라 마이크로SD UHS-I 카드(1.5TB SanDisk Ultra microSD UHS-I card) ▲샌디스크 프로 시네마 CF익스프레스 타입 B 카드(SanDisk PRO-CINEMA CFexpress Type B card)와 함께, 리뉴얼된 ▲샌디스크 울트라 듀얼 드라이브 럭스 USB 타입 C(SanDisk Ultra Dual Drive Luxe USB Type-C) 및 ▲샌디스크 울트라 듀얼 드라이브 고 USB 타입 C(SanDisk Ultra Dual Drive Go USB Type-C)로 구성됐다.   ▲ 1.5TB 샌디스크 울트라 마이크로SD UHS-I 카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크롬북, 윈도우 노트북에 최적화된 신제품 1.5TB 마이크로SD 카드는 중요한 데이터를 더욱 많이 보관할 수 있는 대용량을 제공한다. 1.5TB 샌디스크 울트라 마이크로SD UHS-I 카드는 빠른 속도의 1.5TB UHS-I 마이크로SD 카드로, ‘샌디스크 모바일메이트 USB 3.0 마이크로SD 카드 리더(SanDisk MobileMate USB 3.0 microSD card reader)’와 함께 사용 시 최대 150MB/s의 읽기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태블릿 PC, 크롬북, 윈도우 노트북 등 UHS-I 마이크로SD 카드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스토리지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 샌디스크 프로 시네마 CF익스프레스 타입 B 카드   샌디스크 프로 시네마 CF익스프레스 타입 B 카드는 고품질의 시네마틱 영상 제작을 위한 전문가급 성능을 제공한다. 신제품 CF익스프레스 타입 B카드는 1400MB/s의 최소 지속 쓰기 속도를 통해 프레임 드롭 없이 시네마급 8K 영상 캡처를 지원한다. 최대 1미터 높이와 50뉴턴(N)의 힘을 견디는 내구성을 제공해 중요한 영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 시네마 CF익스트레스 타입 B 카드를 별도로 판매되는 ‘샌디스크 프로페셔널(SanDisk Professional)’ 브랜드의 ‘프로 리더 CF익스프레스(PRO-READER CFexpress)’와 ‘프로 도크 4(PRO-DOCK 4)’ 기기와 함께 사용하면, 확장 가능성과 동시 오프로딩을 통해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 샌디스크 울트라 듀얼 드라이브 럭스 USB 타입 C   새로운 색상 및 용량 옵션이 추가된 샌디스크 듀얼 드라이브 USB 라인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 다양한 개인용 디바이스에 더욱 많은 사진을 빠르게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회전식 USB 타입 C 및 USB 타입 A 커넥터를 탑재한 샌디스크 울트라 듀얼 드라이브 럭스 USB 타입 C는 올메탈 디자인의 2-in-1(투인원) 플래시 드라이브로, 기존 실버 색상에 더해 골드 색상 옵션(128GB, 256GB, 512GB 한정)이 추가됐다. ‘샌디스크 메모리 존 앱(SanDisk Memory Zone app)’을 통해 사진 등 파일을 자동 백업할 수 있다. 최대 1TB 용량의 샌디스크 울트라 듀얼 드라이브 럭스 USB 타입 C는 고성능 USB 3.2 Gen1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속한 파일 전송을 지원한다. 다양한 USB 타입 C 및 USB 타입 A 기기 간 사용 가능한 샌디스크 울트라 듀얼 드라이브 고 USB 타입 C는 간편성을 제공하는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기존 대비 향상된 최대 400MB/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회전식 듀얼 드라이브 디자인을 갖춰 이동 중에도 제품의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다. 64GB, 128GB, 256GB 용량 옵션 한정으로 압생트 그린(Absinthe Green), 라벤더(Lavender), 나바지오 베이(Navagio Bay) 등 3가지 신규 색상이 더해졌으며, 블랙 색상으로는 기존 32GB, 64GB, 128GB, 256GB, 512GB 옵션에 더해 새로운 1TB 용량이 추가됐다. 웨스턴디지털의 수잔 박(Susan Park) 컨슈머 솔루션 부문 부사장은 “개인용 사진, 영상, 파일부터 전문적인 콘텐츠까지 소비자의 스토리지 니즈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웨스턴디지털이 가능성의 한계를 재해석하고 뛰어넘기 위해 항상 힘쓰는 이유”라며, “웨스턴디지털은 소비자들이 지금 이 순간은 물론 앞으로도 믿고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솔루션을 계속해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새로운 솔루션을 통해 많은 소비자들이 창의력을 발휘해 다양한 창작물을 만들어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1.5TB 샌디스크 울트라 마이크로SD UHS-I 카드, 샌디스크 프로 시네마 CF익스프레스 타입 B 카드, 리뉴얼된 샌디스크 울트라 듀얼 드라이브 고 USB 타입 C는 오는 12월 국내 출시 예정이다.
작성일 : 2023-10-25
로지텍, 무소음 무선 마우스 'M240' 출시
  로지텍은 무소음 무선 마우스 ‘M240’을 국내 정식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인 M240 무소음 무선 마우스는 로지텍의 스테디셀러 마우스인 ‘M221’을 블루투스 버전으로 리뉴얼한 제품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완성도 높은 작업을 진행하길 희망하는 사용자를 겨냥했다. M240은 컴팩트한 사이즈와 가벼운 무게로 휴대성을 높이고, 사람의 손 모양과 활용도를 고려한 곡선형 좌우 대칭 디자인 설계를 갖춰 양손으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로지텍의 사일런트 터치(Silent Touch) 무소음 기술을 통해 클릭 소음을 90% 이상 줄여 야외 공간이나 정숙한 사무 공간 등 어디에서나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다. 고급 옵티컬 센서 탑재로 미끄러운 유리 표면에서도 정확하고 부드럽게 트래킹할 수 있다. 무선 연결성과 호환성도 높였다. 블루투스를 통한 빠르고 안정적인 무선 연결을 지원하며, 윈도우 기반 디바이스 연결 시 스위프트 페어(Swift Pair)를 지원해 연결할 디바이스의 블루투스를 활성화한 후 마우스 전원만 키면 바로 연결돼 간편하다. 윈도우, 맥OS, 크롬OS, 리눅스, 안드로이드, iPadOS 등 다양한 OS와 호환되며, Logi Option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사용 패턴에 맞게 버튼에 원하는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제품 컬러의 경우 그래파이트, 퓨어화이트, 파우더핑크 총 3가지 구성을 갖췄으며, 생산 시 재활용 플라스틱을 최대 48%(그래파이트 48%, 퓨어화이트 & 파우더핑크 37%) 활용하는 등 친환경 흐름에도 동참했다. AA 배터리 1개로 최대 18개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긴 배터리 수명 또한 강점이다. 로지텍 코리아의 조정훈 지사장은 “한 손에 들어오는 컴팩트한 사이즈와 무소음 설계, 뛰어난 무선 연결성을 갖춘 M240은 마우스를 활용한 작업의 효율성을 한층 높이길 원하는 이들에게 딱 맞는 제품”이라며, “로지텍은 앞으로도 소비자의 니즈를 면밀히 파악해 더욱 뛰어난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3-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