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동양미래대학교"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3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앤시스, 대학생·대학원생 대상 ‘앤시스 시뮬레이션 챌린지 2025’ 진행
앤시스코리아가 대학생 및 대학원생 대상의 시뮬레이션 경진대회인 ‘앤시스 시뮬레이션 챌린지 2025’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앤시스 시뮬레이션 챌린지’는 장래 엔지니어를 희망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위해 앤시스코리아가 기획한 아카데믹 경진대회다. 참가자는 앤시스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해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를 수행하고, 수상자는 다양한 특전을 제공받는다.   앤시스코리아가 주최한 첫 번째 경진대회인 올해 대회에는 카이스트,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UNIST(울산과학기술원), 한국공학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건국대학교, 전북대학교, 국민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강대학교, 숭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동국대학교 등 국내 여러 대학교에서 참여했다. 최종적으로 사전신청 98팀, 예선 참여 51팀 그리고 본선 진출 12팀을 기록했다.   지난 7월 9일 서울 포스코타워 역삼에서 진행된 본선은 앤시스코리아 박주일 대표와 강태신 전무의 환영사로 막을 올린 뒤 12개의 본선 진출 팀이 각각 15분씩 자신들의 연구 결과에 대한 발표를 이어갔다. 참가자들은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참신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해답을 제시했다는 것이 앤시스코리아의 설명이다.     대상은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에너지공학연구실 SAVE 팀(강우석, 하선교, 구윤하)에게 돌아갔다. SAVE 팀은 난이도 있는 과제에 대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적용해 실측과도 부합하는 결과를 만들었으며, 많은 UDF로 개발을 통해 노하우를 녹여낸 우수한 과제를 선보였다. 대상을 수상한 성균관대학교 SAVE 팀에게는 장학금 300만 원과 앤시스코리아 3개월 인턴십, 오는 9월 개최될 시뮬레이션 콘퍼런스 ‘앤시스 시뮬레이션 월드 코리아 2025’에서 발표자로 나설 기회가 주어진다. 이외 최우수 혁신상 수상 세종대학교 Linkers 팀(정유철, 이종현, 김의찬)과 우수 해석상 수상 서강대학교 진동제로 팀(김도영, 김지우, 박준하), 동양미래대학교 팀(최혜원, 김정현, 장연서), 경상국립대학교 DietDrone 팀(고다완, 권동현, 이동원)도 장학금 총 250만 원을 나누어 받게 됐다. 앤시스코리아 박주일 대표는 “처음으로 개최한 대회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역량의 대학생, 대학원생 여러분들이 많이 참여해 주신 덕분에 ‘앤시스 시뮬레이션 챌린지 2025’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관심을 가져 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앤시스코리아는 앞으로도 엔지니어를 지망하는 미래의 인재들이 자신들의 역량을 꽃피우고 또 실무 환경에서 활약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5-07-10
트림블 코리아, BIM 전문가 양성 위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성료
트림블 코리아가 산학협력 활성화로 BIM 전문가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트림블 코리아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 및 서일대학교와 공동으로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진행한 차세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전문가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인 ‘청년층 좋은 일자리 제공을 위한 취업 아카데미’를 성료했다고 밝혔다. 트림블과 LH, 그리고 서일대학교는 차세대 스마트 건설기술 중 하나인 Cost-BIM 전문가 육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이번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학생들에게 테클라 스트럭처스 기반의 Cost-BIM 소프트웨어 실무 교육을 실시하고 관련 업체에 취업을 연계해 주고자 마련됐다.   테클라 2020   이번 산학협력 프로그램에는 서일대학교를 비롯해 인하공업전문대학교, 동양미래대학교, 세종대학교 학생 20여명이 참여했으며, 해당 학생들은 3일 간 트림블 엔지니어로부터 테클라 스트럭처스 교육을 수료한 후 취업 서류를 제출했다. 더부엔지니어링, 바로건설기술, 빔파트너스, 성지제강, 시드소프트, 아이에스동서, 에센디엔텍, 연우피씨엔지니어링, 연우테크놀러지를 포함해 사전에 채용을 의뢰한 10개 업체들은 서류 심사 및 면접을 진행해 적합한 인재들을 채용할 계획이다.  트림블 코리아의 박완순 사장은 “트림블은 4차산업형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전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트림블은 산학협력 활성화를 통해 학생들이 전문가로부터 직접 소프트웨어 활용법을 교육받고, 각 기업에서 진행되는 현장학습을 통해 실무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트림블은 앞으로도 BIM 전문가 양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트림블은 2016년부터 매년 2회에 걸쳐 청년 취업 캠프인 ‘트림블 캠프’를 개최해 오고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무에 필요한 전문성을 갖추고, 기업들은 인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번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트림블 캠프를 확대 진행한 것으로, 지난 4년간 200명 이상의 학생이 트림블 캠프를 수료했다.
작성일 : 2020-08-24
제 30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제 30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최종 공개심사 및 시상식 - 세계적 건축가 벤 판 베르켈(유엔스튜디오)과 진행하는 실시간 비디오컨퍼런스- 출품 작품에 대한 벤 판 베르켈의 통찰력 있는 비평과 대화- 새로운 미래와 대응하는 창조적인 건축의 흐름을 읽다 공간그룹(대표 이상림)에서 제30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이하 건축상)과 제12회 공간국제학생실내건축상(이하 실내상)의 공개심사와 시상식, 전시회를 진행한다. 건축에 뜻을 두고 있는 국내외 모든 학생들의 창작의욕을 고취하고, 작품을 통해 적극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건축문화계를 이끌어 갈 건축가를 양성하고자 공간그룹에서 매년 시행한다. 올해는 30회를 맞아 ‘새로운 시대, 새로운 건축(Designing for the Inventive Economy)’을 주제로 건축상은 11월 2일부터, ‘융합(Convergence)’을 주제로 실내상은 10월 30일부터 각각 공개심사 및 시상, 전시회를 개최한다. 건축상과 실내상은 각각 24일과 22일에 1차 심사를 통과한 작품 총 30점을 발표했다. 건축상은 20점이 선정되었고, 실내상은 10점이 선정됐다. 오는 11월 2일 건축상은 1차 심사를 통과한 작품 20점 중 입상작 10점에 대한 공개 크리틱을 비디오컨퍼런스 형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심사를 맞은 네덜란드의 세계적인 건축가 벤 판 베르켈(유엔스튜디오 대표)과 진행되는 작품 개별 크리틱과 ‘새로운 시대, 새로운 건축’에 관한 주제 강연은 국내 건축공모전에서는 처음으로 접목된 실험적 형식으로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공모전의 취지를 잘 담고 있다. 실내상은 남경숙(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교수)과 김종호(디자인스튜디오 대표)가 현장에서 공개 크리틱을 통해 2차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최종심사 발표와 시상식이 당일 진행된다. 공간대상의 입선작 및 입상작들은 11월 9일까지 공간사옥에 전시된다.   01. 공간국제학생 건축상 1차 심사 합격자 명단 (입선작 이상, 접수번호 순) 작품명 참가자 The fungus; Va-mo 김태겸 배세환 최병철 (동양미래대학) Knowledge Exchange in the Inverted Industrial Cluster Eugene Tan (Architectural Association) CULTURE DROP 백동일 이경하 이재원 (서울시립대학교) Today's Choice 조현범 엄희춘 정효진 (인하대학교) Unlimited Society 김지환 전현호 김재형 (경기대학교) Cooperative Future 한성진 송승엽 이호재 (홍익대학교) Fumbling Space 김선이 박소형 전가영 (국민대학교) A.log 황윤석 (세종대학교) A.N.S 이승선 (세종대학교 대학원) Sharing cell 황인용 양지은 (세종대학교) Plug-in SOHO 이준영 (목원대학교) AR TOWER 문정준 김지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Building manual 김태구 손태형 하수진 (국민대학교) DE - IMAGE OF THE CITY 이중호 (중앙대학교) Jam Session (CO-working Office) 김송미 문재원 변다희 (경희대학교) UNDER CONSTRUCTION 시덕진 심상일 오재훈 (국민대학교) INFORMATION PLATFORM 원종훈 이필석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FILL YOUR IDENTITY 차혜민 김근 (홍익대학교) From PANOPTICON To SYNOPTICON 황영진 서영호 백윤경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VERTICAL POOL 최두형 김태완 (동국대학교) 02. 공간국제학생 실내건축상 1차 심사 합격자 명단 (입선작 이상, 접수번호 순) 작품명 참가자 Multimedia art museum 박재 김진경 (홍익대학교) hotel 󰁷 정병준 이주왕 (가천대학교) Build together , Live together 조윤정 김은영 (National Student Clearinghouse) Community in the city 이준석 이수형 (한양대학교) Change with micro 이수진 이솔지 (상명대학교) 창(倉)동(洞)하(下)리(里) 김남희 이수진 김혜현 (동양미래대학교) 한 구석 밝히기 강애리 태은희 (부천대학교) Cross over the emotion 박준근 김철진 김보영 (인덕대학교) But a significant change 김동수 전영우 (동양미래대학교) The between of am-sa ecological park 백태준 이상진 (건국대학교), 박도빈(협성대학교) 03. 공간국제학생 건축상 심사위원 약력 벤 판 베르켈(UNStudio) 벤 반 베르켈은 1957년 네덜란드 유트레트에서 태어났으며, 암스테르담 리트벨트아카데미와 런던 AA에서 건축을 전공했다. 1988년 캐롤라인 보스와 함께 암스테르담에 반 베르켈 앤 보스 건축사무소를 설립했다. 대표작은 카보우오피스 빌딩,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다리, 니메겐의 헷 볼크호프박물관, 뫼비우스집, 유트레트대학 NMR 등이 있다. 이후 1998년 유엔스튜디오로 사무실 이름을 변경하고 건축, 도시계획, 인프라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크작업을 통해 나름의 특성을 발휘하고 있다. 아른헴역 주변 재개발, 스투트가르트의 새 메르세데스벤츠뮤지엄, 오스트리아 그라츠음악당, 이탈리아 제노바항구 폰테 패러디 재개발 등도 진행했다. 그는 세계 각국의 건축학교에서 강의 중이며 현재 프랑크푸르트 스테델슐레, 미국 하버드 건축대학원 교수로 있다.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가상과 재료적 조직화와 기술건축을 융합한 포괄적인 건축작업에 대한 접근이다. 04. 공간국제학생 실내건축상 심사위원 약력 남경숙(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장식미술학과에서 실내디자인 전공으로 석사학위 취득 후, 프랑스 파리에서 Paris1 Pentheon-Sorbonne University 예술사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실내설계실 실장으로 재직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조교수로 재임 중이다. 주요 작업으로는 63빌딩 스카이라운지와 전망대, LG 트윈타워 커피숍이 있다. 김종호(디자인스튜디오 대표) 미국 유타주립대학교 환경설계학과 졸업 후, 미국 미시간대학원 건축,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디자인스튜디오 대표이자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겸임교수다. 주요 작업으로는 마카오 파라다이스 호텔과 아이파크 삼성동 펜트하우스가 있다.
작성일 : 201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