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단군소프트"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45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단군소프트, 포스트맨과 공식 파트너십 및 글로벌 파트너 선정
단군소프트는 글로벌 API 플랫폼 기업인 포스트맨(Postman)과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한국 내 포스트맨 글로벌 설루션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단군소프트는 “포스트맨은 전 세계에서 4000만 명 이상의 개발자가 사용하는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플랫폼으로, 포천(Fortune) 500 기업의 98%가 활용 중인 대표적인 API 개발 플랫폼이다. API의 설계부터 테스트, 문서화, 배포, 협업까지 API 수명주기의 전 과정을 지원하며, 글로벌 표준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단군소프트는 포스트맨의 한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국내 기업과 개발자들에게 글로벌 수준의 API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한국의 API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되는 가운데, 단군소프트는 세계적 기술 도구의 도입이 국내 개발자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트맨 파트너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와 개발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전문화된 모델로 운영된다. 단군소프트는 이 중 최고 등급인 ‘익스퍼트(Expert)’ 티어로 선정되며, 포스트맨과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기술 서비스와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방침이다. 단군소프트의 이승현 대표는 “단군소프트는 한국의 API 개발 수준을 글로벌 표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으로도 포스트맨 웨비나, 교육 과정, 전문 기술 지원 등을 통해 국내 개발자의 API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5-10-22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리스트(2310개사 명단)
중소벤처기업부_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공급기업 * 스마트공장사업관리시스템 (smart-factory.k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스마트공장추진단) 개방 데이터입니다.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사업관리시스템에 등록되고 스마트 공장을 보급하는 공급기업에 대한 정보입니다. * 데이터 구성은 부여번호, 회사명, 대표자, 주소, 담당자, 담당자직위, 담당자 전화번호 순입니다. * 상세 데이터는 첨부 파일 참조 등록일 : 2024-04-11   기업명_1 기업명_2 기업명_3 기업명_4 피플앤드테크놀로지 이성 캠틱종합기술원 케이에스콘컨설팅지원단 한국인공지능제조이니셔티브 금화이엔에스 삼성물산앤텍 에이블에스티에이 인터테크 인텔리팅스 호인 경북테크노파크 서울테크노파크 남동기계 노르마 단디코리아 모비스 섹타나인 에이씨앤티시스템 엔텔스 오시에스티 조인피아정보 진성엠텍 커머스톤컨설팅 케이피엠 콤텍시스템 킨스미디어 포에스텍 )알엠에이 3디나라 Dev. ROFA TIS 가온코리아 감소프트 강한이노시스 거화엔지니어링 경성하이테크 경한 경화상사 고영로보틱스 고영테크놀러지 고우아이티 구름소프트 국보파텍 국제아이티기술원 국진과미래 굿케이소프트 그립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금강기계산업 기맥 기승에프에이 기업혁신센터 기창인포텍 나노브레인 나눔오토메이션 나라정보시스템 나라정보시스템 나연아이티 나온웍스 나인에스티 난다소프트 난소프트 남강하이테크 네모아이씨지 네오세미텍 네오슬론 네톰 네피리티 네픽티앤에스 넥사 넥사디에스 넥스모어시스템즈 넥스젠아이씨티 넥스톰 넥스트소프트 넥스트스퀘어 넥스티지 넥스파시스템 넥투비 노도시스 노드플러스 노바소프트 노바테크 노스브릿지 노스텍 뉴럴넥서스 뉴럴테크 뉴로클 뉴젠아이엔에스 뉴트릭스테크놀로지스 니어네트웍스 닉스앤블루 다래아이엔씨 다성테크 다온에이치앤에스 다온테크놀로지 다울 다윈솔루션 다음테크 단군소프트 당야아이텍 대곤코퍼레이션 대덕시스템 대덕알앤디 대암정보기술 대연씨앤아이 대영초음파 대한테크 더더씨앤씨 더모모스 더모인비 더블유비에스(WBS) 더블유앤이케이 더블유티엠 더블제이이엔씨 더이앤비 더이지스이엔지 더존비즈온 더프라임그룹 데브짓수 데이터온 데카엔지니어링 도담솔루션 동남이앤아이 동서시스템 동서정보기술 동양기술 동연에스엔티 동우 동우글로벌 두성로보텍 두성에이엔씨 두손씨앤아이 두손씨엔에이 두타아이티 드리미 드림시스 드림에프에이 드림이앤씨 드림테크 드림티엔에스 디바텍 디비에스아이 디스코 디에스원부산공장 디에스텍 디에프엑스 디엑스솔루션즈 디엑스테크 디엔비소프트 디엘정보기술 디엠비코리아 디엠솔루션 디오시스 디원 디월드 디지포레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디트리플 디티앤조이 디파인트리 디플럭스씨앤씨 딥시스 딥테크놀러지 라보테크 라스테크 라온씨엔에스 라온테크 라인공작소 라인테크시스템 라임 랩씨드 랩이오사 랩큐 러닝랩 러닝비전 레브웨어 레인아이 로드와이즈 로멕스테크놀로지 로보게이트 로보아이 로보원 로보틱스 로봇템 로파 루비시스 루텍에스 리얼인포 리우시스템 리코시스템 리텍 리팩 링크업인포텍 링크제니시스 마로로봇테크 마리소프트 마스인포텍 마스터 마이링크 마이크로모스 마이키 마키나락스 망고시스템즈 매직시스템 맥스링솔루션 메카스 메타뷰 멘토티앤씨 명문소프트웨어 모두솔루션 모디 모로보기 무한씨앤씨 무한콘트롤 미래로시스템 미래쏘프트웨어 미래와도전 미래융합정보기술 미래이엔에이 미래정보기술 미래테크원 미르나인 바이어블비젼 바이오시스텍 바이텍테크놀로지 바이투 바질컴퍼니 바코드랩 반석시스템 밸류컴패니언 밸리언트데이터 버텍스아이디 베이스온 보강시스템 보티 본텍 봄소프트 부품디비 브라이트날리지 브레인컨설팅 브로넥스 브릭 브이엠에스솔루션스 브이웨이 블루넥스 블루넷 블루비즈 블루비즈창원지점 비스아이티 비스텔리젼스 비아이씨엔에스 비알테크 비앤비시스템 비앤에프소프트 비에스지파트너스 비엔씨정보기술 비엔아이 비엠티 비젠아이 비주얼소프트 비쥬얼데이타 비즈A&C 비즈니움 비즈데이터 비즈솔루션코리아 비즈앤테크컨설팅 비즈플러그 비즈플러스글로벌 비지언스 비타소프트 비트정보기술 비티씨 비파이브 빅데이터랩스 빅스소프트 빅아이 빅정보기술 빅토리지 빅파워솔루션 빌트원 사람과기술 사이버테크프랜드 삼부시스템 삼성디지탈솔루션 삼인시스템 삼일정보시스템 삼정산업 삼정시스템 삼정아이앤에스 삼환미디어 새롬씨앤씨 새롬테크 새힘정보기술 샘터 샤인소프트 샤코시스템 서보산전 선도솔루션 선일기연 선진기술 성공닷컴 성민소프트 성완소프트 성우인터내셔날 성창 성화정보기술 세광기전 세븐아이티 세아소프트 세인이엔에스 세인인포테크 세종 세피스 세한메카트로닉스 센소프트 센스픽스 센트럴인사이트 소금 소르테크 소프트원 소프트원창원지사 소프트탑 솔루더스 솔루윈스 솔바텍 솔브리드플러스 솔코 솔트소프트 쇼우테크 수소프트 슈가폴 스마트비전텍 스마트솔루션 스마트씨에스 스마트에스엔 스마트컴퍼니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스맥 스맥 스카다아이씨티 스코인포 스타라이트 스타웰즈 스페이스솔루션 스페이스솔루션 스피랩 시그너스 시그너스정보기술 시너젠 시너지웨어 시스너 시즐 시큐웍스 신기엔지니어링 신라정밀 신룡 신세계아이앤씨 신양전기 신일이앤씨 신화기술 심플랫폼 심플북 심플소프트랩 쌍용소프트웨어 썬소프트 쏘마 쓰리뷰 쓰리에스인포 씨디알아이 씨알정보기술 씨엘씨테크 씨엘아이코리아 씨테크시스템 씨피에스 씨피엠에스 씽크포비엘 아라아이티이엔지 아람솔루션 아림티엔씨 아마다코리아 아세아엠텍 아셀씨앤아이 아이디알시스템 아이디알인비전 아이디에스앤트러스트 아이리더스 아이메저 아이비엔티 아이비엘 아이씨엔아이티 아이에스씨 아이에스엔 아이에스티엔 아이엠 아이엠솔루션즈 아이엠알 아이엠지 아이엠티에프에이 아이오이소프트 아이워드솔루션 아이웍스 아이유티 아이지 아이지피넷 아이컴플러스 아이투프럼 아이트리온 아이티공간 아이티기술 아이티나라사람들 아이티맨 아이티에스 아이티에프 아이티엔모아 아이티엔씨 아이티엔제이 아이티케어 아이페타 아이피씨앤비 아이피에스오토 아콘스 아크라인소프트 아토스 아트만앤컴퍼니 아트만파트너스 아페스 아프로 아프로스 안랩 알소프트 알앤디씨 알앤디프로젝트 알앤씨소프트 알앤제이아이씨티 알에이비테크 알에프아이오티 알에프엑스소프트 알티자동화 알파시스템 알피네트웍스 애니스마트 애니캐스팅소프트웨어 애니토이 앰에이치솔루션 앱도 언브로 에디넷 에로바테크놀러지 에버원소프트 에스디테크 에스비아이티 에스씨티 에스아이에스 에스아이티그룹 에스알시스템 에스에스알 에스엔제이솔루션 에스엠디시스템 에스엠원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에스엠투네트웍스 에스엠티코리아 에스엠해썹 에스이랩 에스이씨 에스이파트너즈 에스지아이시스템 에스지유 에스케이팩 에스코프로 에스큐솔루션 에스티 에스티에스로보테크 에스파 에스피앤알 에어릭스 에이멕스엔지니어링 에이블정보시스템 에이스게이트 에이스정보기술 에이시에스 에이아이엠 에이아이웨어 에이아이티 에이에스씨 에이에스피엔 에이엔디시스템 에이엔솔루션 에이치시스템 에이치씨엔씨 에이치아이티에스 에이치알티시스템 에이치앤케이소프트 에이치에너지 에이치엔티 에이치지씨 에이치케이정보 에이치케이텍 에이치피에스이엔지 에이텍모빌리티 에이티씨 에이티앤지 에이티엠 에이티엠이엔지 에이티지소프트 에이프로테크 에코시안 에프로봇 에프앤제이 에프에이데이타 에프에이씨엔에스 에프엠코리아스 엑센솔루션 엑타스 엔소프트 엔스마트솔루션 엔씨비 엔씨씨 엔에스비전 엔에프에이 엔와이티지 엔이에스 엔이피에스 엔집 엔트로정보기술 엔티아이 엔티엔시스템즈 엘렉시 엘렘 엘빅스 엘제이텍 엘지헬로비전 엘케이랩 엘탑 엠디아이에스 엠브이텍 엠시스아이씨티 엠씨링크 엠씨모션 엠아이티 엠아이티아레아 엠아이티에스 엠에스링크앤솔루션 엠에스벤터 엠에쓰아이 엠에프알씨 엠엔비젼 엠엔에스아이씨티 엠유트론 엠일일사 엠제이씨솔루션 엠지아이에스 엠케이코어텍 엠티엠이엔티 엠티지 엠프라 여몽 연암테크 연합시스템 영전산기 영창로보테크 예민소프트 예즈 오렌지아이 오롯소프트 오르카아이티 오성테크놀로지 오토기기 오토로보틱스 오픈피엘씨 온코어에스엔티 올스웰 와이더 와이드티엔에스 와이시스템 와이씨디아이에스 와이앤제이테크 와이이코퍼레이션 와이제이솔루션 와이제이테크놀러지 와이즈소프트 와이즈엠시스템즈 와이티 용봉스마트 우리이노베이션 우신아이티솔루션 우원이엔지 운약근답올핏 웅진 워크앤아이티 원데이터기술 원소프트다임 원스텝 원종기계 원퍼스트 월드씨앤에스 월드웰 월드이엔지 웨다 웨이스 웰스테크 위너다임 위더스아이앤티 위더스이십일 위드아이티 위드인포텍 위버맨시 위저드정보시스템 위즈스마트 위트코시스템즈 위플랫 윈드밸리 윈텍에스에이 윈티앤에스 윈플러스정보기술 윌두 유노믹 유노비젼 유니로보틱스 유니정보 유미테크 유민커넥트 유비즈 유비즈솔루션 유비컴 유비코스 유비크코리아 유스하이텍 유아이티테크 유온아이티 유와이즈원 유일로보틱스 유토닉스 유토비즈 유티소프트 유플렉스소프트 유피시앤에스 은일 이글루시큐리티 이너피플 이노더스 이노로봇 이노베이스 이노소프트기술 이노시스아이티 이노액티브 이노테크파워 이노텍 이디코어 이레기술 이로젠 이루에프에이시스템 이룸커뮤니티 이맥스 이맥스글로넷 이맥스글로벌 이맥스솔루션 이맥스정보기술 이맥스하이텍 이씨스 이아이피 이앤비솔루션 이앤시스 이에스테크놀로지 이엔에스티 이엠텍 이유랩 이음기술 이음아이씨티 이음인터렉티브 이젠솔루션 이젬코 이즈소프트 이즈파크 이지스시스템 이지아이티컨설팅 이지엠에스아이앤씨 이지오피스 이지원플러스 이지웹 이지지오 이지테이크 이지트론 이지팜 이투이솔루션 이튜 이프온시스템 인더스트리얼에이아이 인맥 인밸류비즈 인버스 인스턴 인왕글로벌 인이지 인커스소프트 인컴솔루션 인타운 인터페이스정보기술 인텔리코드 인투솔루션즈 인투와이즈 인포솔루션 인프라시스템 일양엔지니어링 일오삼씨앤에스 일원정보기술 일주지앤에스 일진정보 임픽스 잇츠아이 잉클 재상피앤에스 제너지 제니스정보기술 제드팩토리 제스엔지니어링 제이디 제이비소프트 제이빌드테크 제이솔루션 제이스마트솔루션 제이시스 제이씨엔에스 제이에스시스템 제이에스티 제이엔이웍스 제이엠비 제이엠에스컨설팅 제이원로보틱스 제이이노텍 제이지컴퍼니 제이캐스트 제이티에스 조인트리 주원이앤에스 중원이노베이션 지능디자인 지니어스 지니어스 지니테크 지다스테크놀러지 지디엔 지디엔시 지디엠홀딩스 지란지교시큐리티 지성아이티 지승 지아이소프트랩 지앤아이 지에스아이티 지에스티 지에이치엠씨 지엘테크 지엠소프트웨어 지엠피아이티 지영커뮤니티 지오 지오넥스 지텍자율주행로봇센터 지투시스넷 지투아이넷 지티씨엔에스 지피시스템즈 진산인포시스 진성테크템 진원이엔지 진코퍼레이션 차후 창진에스씨 창해디티에스 채움아이티 청송엔지니어링 카리스마아이텍 카스 카이디어 캐드정보기술 캐디언스시스템 캠텍 캡시스 커머스랩 컬처릿 컴넷정보공학 컴젠 컴파스시스템 컴퓨터메이트 케이경영연구소 케이비드 케이시스템 케이씨에스 케이아이에스 케이알앤에이 케이앤솔루션 케이앤엘정보시스템 케이에스아이 케이에스티정공 케이에스피소프트 케이에이치시스템즈 케이원아이티 케이트 켐토피아 코드원 코디정보통신 코랩인터내셔널 코리아소프트 코리아엔지니어링 코리아트리즈 코아시스템 코아칩스 코어링크 코어스 코체인솔루션스 코티스 코포텍 콕스랩 콘웰 쿠노소프트 쿨스 쿼티시스템 퀀텀스타 퀘스트정보기술 큐라움 큐버솔루션 큐알피 큐이노텍 크로이스 클라우드나인 클루커스 클릭원스 클비시스템 타스코 태진시스템 테크네트 테크다스 테크스캔코리아 텍스타일아이앤씨 토바 토인 투곰스 투비시스템 투비트 투톤 트위니 트윔 티라로보틱스 티라이프 티씨씨아이엔에스 티아이씨 티알 티앤테크 티엔케이에이아이 티엠씨융합컨설팅법인 티즈 티지에스컨설팅 티투온라인 티허브 파란정보통신 파워웰 팜아이앤씨 팜존에스엔씨 팩토리아이씨티 팹스넷 퍼스타 퍼스트아이 퍼스트알앤디 퍼즐시스템즈 펨트론 포스아이 포스테크 포스텍 포엠텍 포원시스템 포젠정보기술 포커스윈 포커스정보 표준엔지니어링 프레버소프트 프렉소프트 프로봇 프로토코리아 프론티스 프리오 프린트로보 프린팅웍스 플라잎 플랜아이 플랜투비즈니스컨설팅 플레이오니 플로시스 피스웰 피스티스 피스페이스 피엠파이브 피케이씨소프트 픽스로봇 필드유 하이네트서비스 하이데이타 하이젠 하이컴텍 하이텍정보시스템 하티오랩 한국기술경영원 한국능률협회컨설팅 한국마이콤 한국바코드정보기술 한국비즈넷 한국오픈솔루션 한국인프라 한비이앤씨 한빛레이저 한성오토 한양포장기계 한울정보 한일솔루션 한터테크놀러지 한텍 한텍솔루션 해내시스 해밀에프에이 해솔정보기술 해썹원 허브솔루션 헤븐트리 헬퍼로보틱스 현영소프트 현정보시스템 홍익과학기술 홍익솔브 휘스커 휴넷가이아 휴맥스홀딩스 휴먼딥 휴먼아이티솔루션 휴먼텍 휴컨 휴템 흥성엔지니어링 3A-Solutions ABB코리아 BFA cicoeng CNSONE(씨엔에스원) CSW소프트 DAir(디에어) EGI GS시스템 ISL계기 LG유플러스 Listen4u MakersLo ME시스템 OK버원시스템 OPENTS SIMPAC홀딩스 SIWONSRI SK쉴더스 SK SK텔레콤 SK플래닛 SystemEngineeringKorea WILL-B WinnersAutomationCo.,Ltd. ㈜인텐스소프트 가나시스 가람전자 가온소프트 가온정보기술 가온플랫폼 가이아텍 가후자동화기술 감프정보기술 강한솔루션 거림아이티 거민시스템 건영기계 건우정밀 건흥TECH 경남테크 경동로봇 고려엔지니어링 고스포드 공유씨앤씨 구름 구슬 구우정보기술 국제전산개발 굿티소프트 그란코 그린솔루션 그린아이티 그린온 글래스돔코리아 글로벌링커스 글로벌엔지니어링 글로벌하이세스 금강F.A 금강공업 금강오토텍 기공시스템 기성테크 꿈나무이야기 나누미전산 나스텍 나이스솔루션뱅크 나이스솔루션 나인티시스템 나테크시스템 남경소프트 내담씨앤씨 네모소프트기술 네모시스템즈 네오테크 네이처아이 넥스젠(NEXGEN) 넥스타테크놀로지 넥스트 넷큐브 넷킬러 넷플러스 노리시스템 노마드랩(nomadlab) 노블시스템 노스스타컨설팅 농심엔지니어링 누리꿈소프트 누리솔루션 뉴21커뮤니티 뉴젠제트 뉴젠홀딩스 다겸 다다인포 다름 다모아시스템 다빈소프트 다빈치이미징 다성공 다우데이타 다인정보 다일시스템 다임리서치 닮은꼴소프트 대경테크 대곡엔지니어링(dkeng) 대광테크 대림스타릿 대림전기 대명산업기술 대명포장기계 대성산업정보시스템사업부 대성솔루션 대성정보시스템 대신티엔아이 대영기계공업 대웅소프트 대웅이엔지 대윤계기산업 대한에프에이시스템 대한피앤씨 대호테크 더베스트 더브로시스템 더블유피솔루션즈 더블유피솔루션즈영남지사 데이타시큐리티 데이타엠테크 데이터랩(Data-Lab) 데이터사이언스랩 데이터에듀 데이터텍 덴티움 도넛소프트 도미노코리아 도울정보기술 도원정보 동국시스템즈 동성종합상사 동우fa 동우팜투테이블 동원테크 두레정보 두베 두이엔지 듀팩장원기계 드림소프트웨어 디노웍스 디딤솔루션코리아 디바이즈솔루션 디버스코리아 디브이아레나 디비밸리 디시스 디알비오토메이션 디에스엠이정보시스템 디에스테크 디에스티 디에이치텍 디오에프연구소 디인사이트 디제이메디 디지이노 디지코리아 디지테크정보 디케이랩 디케이이노베이션 디티패스 디포커스 딥파인 라온로보틱스 라온비즈컴 라온프렌즈 라온피플 랜택시스템코리아 랩투마켓 런시스 레드빈소프트 레보소프트 레이드백 레이월드 레인보우시스템 로고스아이티 로드브레인 로드에프에이 로봇밸리 로비고스 로이랩스 로임시스템 롯데정보통신 리얼시리우스 리얼타임테크 리치앤타임 리컨소프트 리팩시스템 링크투어스 마누메디텍 마이헨지 마크로버 마크베이스 마크애니 맥스트 메가존클라우드 메디케이시스템 메리츠엔지니어링 메이커스 메이크노우 메틀러토레도코리아 명도시스템 모노소프트 모던에이아이비전솔루션 모비어스 모이다 모토텍 무진소프트 문수산업기술 미건에스티 미라콤아이앤씨 미래마킹 미래산업 미래소프트웨어 미르지엔아이 미르텍 미소정보기술 미주아이티 민소프트 민소프트 밀레테크 밀리언웨어 바로 바론코리아 바이오소프트 바인컴퍼니 바코 발멧 뱅가드랩 범광기전 범일기계 베러마인드 베셀 베스트에프에이 베이스 베텍 보국에너텍 보아스소프트 보틀즈 부광테크윈 부산인터넷방송국 부영엔지니어링엔지엠피 뷰메진 블루마린시스템 블루비즈랩 블루시스 블룸 비디에스인포컴 비아이소프트 비앤에프테크놀로지 비에스시스템 비에스엔씨 비에스엘코리아 비엑스티솔루션 비엔씨인포텍 비엔티시스템 비엘두 비자림 비전세미콘 비젠트로 비젼하이네트 비주얼테크 비컴솔루션 비컴시스템 빅메이커 사이텍 사출아카데미 삼미정보시스템 삼보엔지니어링 삼보테크놀로지 삼에이시스템즈 삼영기계 삼원에프에이 삼익THK 삼일소프트웨어 삼진웰텍 상상인테크 생각샘터 서울다이나믹스 서울마이크로시스템 서울소프트 선반도체 선우아이오티 성수이엔지 성영로보틱스 성우에스에프에이 성원파워텍 성준전기 성진아이앤드티 성창테크 성화 세경ENG 세광특수종합미싱 세명하이테크 세븐솔류션즈 세이프씨엔씨 세종뉴텍 세중아이에스 세진기계 세현Tech 센스정보통신 소프트이에스 솔라미 솔루션코리아 솔리드이엔지 솔바테크놀러지 솔뱅크정보 솔트룩스 솔트룩스이노베이션 수로보틱스 수영이엔지 수테크 수테크 쉐카이나 슈어데이터랩 슈퍼대디 스마트HACCP&팩토리 스마트잭 스마트로봇연구소 스마트마인드 스마트솔루션 스마트솔루션즈(협) 스마트업 스마트엠앤에프그룹 스마트융합센터 스마트쿱 스마트팩토리 스토리오브시스템(StoryofSystem) 스틸리언 스페이스뱅크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유한회사 슬랙앤소프트 슬로우 시그마텍시스템즈엘엘씨 시내산아이티 시너지시스템즈 시스웨어 시스트로닉스 시안소프트 신광테크 신라정보기술 신명로보텍 신성ENG 신성정보기술 신아FA 신안테크 신영솔루션 신영테크 신진메카텍 신한에어로 신현정보통신 실버태그 실크라인 심플리즘 싱글톤소프트 써로마인드 써모피셔사이언티픽코리아 썬덴코리아 썬소프트 썬에스피테크 쎌톤(SELTON) 쓰리디산업영상 쓰리샤인 쓰리코에프에이 쓰리피로봇 쓰리피체인 씨디알시스템 씨씨웰 씨아이씨소프트 씨앤씨에이드 씨에스지 씨에프티유한책임회사 씨엔로봇 씨엔비스 씨엠씨테크 씨와이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씨티아이앤씨 씨티알로보틱스 씨피툴스코리아 아강테크 아더웍스 아리아리ICT 아리아텍 아비만엔지니어링 아성테크 아세테크 아스펜스 아스프로바 아시아나IDT 아엠씨소프트 아우시스템 아이둡 아이디비 아이보우소프트 아이비센터 아이비에스 아이센트릭 아이솔루션 아이씨티웨어 아이씨티피플 아이앤디소프트 아이앤지코리아 아이앤티 아이에스비 아이엔아이티 아이엔지글로벌 아이엠로보틱스 아이엠시스텍 아이엠에스 아이원소프트뱅크 아이케이텍 아이코드랩 아이큐패드 아이테크기술 아이투 아이티이노베이션 아이티스코 아이티씨지 아이티에스시스템 아이티존 아이티즈 아이티컨버젼 아이티콤 아이티팜 아이피엘엠에스 아임토리 아주큐엠에스 아주테크윈 아크릴 아트라스콥코코리아 아티스시스템 아프로비에이 알고스 알엠텍 알파(R_Fa) 알파에프에이 알파엔지니어링 암스텍산업 애니온 앨빈즈 어플라이드테크놀로지 엄지닷컴 에너지기술서비스 에너지닥터 에너지움 에스넷시스템 에스디티 에스랩 에스링크비즈니스 에스브이솔루션 에스아이솔루션(S,I솔루션) 에스아이에스 에스에스시이엔지 에스에프존 에스엘평촌알앤디센터 에스엠에이티 에스엠피 에스엠허브솔루션 에스와이시스템 에스이랩스 에스이테크놀로지 에스제이이엔지 에스지소프트 에스텍 에스티에스 에스티엘소프트 에스피앤지 에쓰소프트 에이닷 에이드인더스트리스 에이드정보기술 에이블아이엔티 에이스정보시스템 에이스타테크 에이앤피산업 에이에프 에이엠경덕 에이엠스퀘어 에이엠알랩스 에이온 에이원 에이원솔루션 에이원정보기술 에이윈소프트 에이젠 에이치디솔루션즈 에이치비에스테크 에이치씨엔씨 에이치앤아이씨 에이치앤피테크놀로지 에이치에스글로벌 에이치에스소프트 에이치에스에스 에이치엔아이엑스 에이치엔아이엑스 에이치엔아이엔씨 에이치엔아이엔씨 에이치엔이노밸리 에이치엠씨 에이티에스 에임시스템 에코로드 에프아이티 에프원소프트 에프원테크시스템즈 엑스오 엔셀 엔솔루션스 엔아이디소프트 엔에스비 엔에이치아이에스 엔엔피시스템 엔엠시스코 엔지아이테크 엔지엘 엔클로니 엔터빌더 엔포스 엔피에스시스템 엘도움 엘바츠소프트 엘앤코리아 엘에스시스템 엘에스아이티씨 엘에스엠트론 엘에스일렉트릭 엘지에너지기술 엠디하이텍 엠시스랩 엠아이큐브솔루션 엠엔디시스템 엠엔씨오토메이션 엠엔알소프트 엠엠테크놀로지 엠이티 엠제이소프트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엠투어플 연소프트 열림정보시스템 영림산업 영림원소프트랩 예스바이오 오경정보시스템 오리진 오리진컨설팅 오상자이엘 오씨아이정보통신 오에스씨엔택 오엔에스커뮤니케이션 오토텍 오토파워 오픈컨트롤 옥토시스 온라인바다 온아이티시스템 온오프랩 올아이티 올포넷 올하우 와이시스 와이케이시스템 와프(waff) 우리테크 우림이엔지 우성기전 우영산업 우진큐&텍 울랄라랩 원더솔루션즈 원소프트 원시스템연구소 원오토메이션 원원테크 원프레딕트 웨이브그램 웰메이트 웰탑테크노스 위너스에프에이 위데이터랩 위미르 위앤아이티 위즈온협동조합 위지스 윈디 윈텍 유니닥스 유니드 유니에버 유니온시스템 유디에스 유라 유로지스넷 유림정보시스템 유비스톰 유비즈정보기술 유스엠 유앤아워스 유앤아이올투원 유엑스아이 유엔디 유일엔지니어링 유주티엔씨 유징테크 유한책임회사포엑스포 유한회사성우메카트로닉스 유한회사청천 유한회사코아시스템 유호스트 이그린테크 이노넥스소프트 이노데일 이노오토텍 이노테크 이노팀스 이노팩토리 이노포스트 이노플랫 이든비즈텍 이든앤컴퍼니 이래정보 이레엔지니어링 이룸기술 이비오 이삭엔지니어링 이상고 이솔소프트랩 이솔아이티 이수시스템 이쓰리피에스 이아이시스템 이안에스아이티 이앤디일렉트릭 이에스 이에이트 이엔아이 이엔유 이엠솔루션 이엠시티 이오정보 이지솔루션 이지시스 이지시스템 이지아이디정보 이지에스소프트 이츠코어 이큐마이크론 이크론소프트 이플러스 이피피에스 인공지능팩토리 인더스트리엑스퍼트그룹 인버터기술 인사이드솔루션 인실리코 인정보기술 인제니오에이아이 인콘소프트 인터그래텍 인터텍 인텍오토메이션 인텍원 인텔리즈 인텔리코리아 인프라닉스 일광산업기술 일진씨앤에스 자두소프트 자유로운소프트 자이솜 자이언트팩토리 자이오넥스 재단법인세종테크노파크 재성전기 재이시스템 재현AUTONICS 전진이엔지 정우엠브이에스 정우하이테크 정현소프트 제니스이엔지 제르메스 제이드테크 제이디텍 제이랩 제이메디덴 제이솔루션 제이씨엔에스(JC&S) 제이씨엠 제이앤비소프트 제이에스글로벌 제이에스테크 제이에스테크 제이엔이시스텍 제이엘테크(JLtech) 제이원솔루션 제이투테크 제이피에스코리아 제이픽스 제일엔텍 제타소프트 제트핑거소프트 젠틀에너지 젯스퍼트 조앤소프트 조은인포텍 조은전기 조이랩 조이팩토리 조인텍스컴 주)가자 주)대일엔지니어링 주)리눅스아이티 주)솔트 비에스피솔루션 가람에이앤피 가온아이티 가이온 가주정보기술 거성개발 고성엔지니어링 그린캠퍼스 글로벌탑테크 금강시스템스 기원테크 나다 나우로보틱스 나우리 나이스테크 낭만상회 내셔널옵틱스 네오유비 네오컴즈 네트워크코리아 넥솔시스템 넥스에이아이티 노드데이타 노드블랙 노리앤드 노버스메이 뉴로메카 뉴로센스 다만듬소프트 다바랩 다온씨엔에스 다인이엔지 단비 대단 대도 대성로보텍 대한아이앤에스 더모모스 더블에스텍 더블오 더블유엔피 더블유피 더블티 더쎈 데이터다이나믹스 뎁스 도구공간 도성하이텍 동아에프에이 동아티지 동양엔아이엔씨 동우지씨에스 두루소프트 두잇 드림소프트 드림이에스 디밀리언 디벨룹 디아이엔씨 디에이치테크 디에이치테크 디엑사 디엠스튜디오 디엠테크컨설팅 디와이엠씨 디지털바인즈 디코 디타스 딥브레인 라임프렌즈 라플러스 래딕스 러봇 레드키 로그인서광 로드피아 로맨 로탈 로픽 루텍 루트시스템 리더스알앤디 리쉐니에 리스너 리안 리엔씨소프트 리오소프트 리오정보기술 린치핀 마르다 마이스 마크원테크 만인의공평한법률 매일정보기술 매직에코 맨앤로봇 멀티로봇 메이븐 메이어스 메이크 메타덱스터 모빅랩 모은정보기술 몰드케어 무른모 미라클시스템즈 미러웍스 미트소프트 미트웨어 바로에이아이 바스떼 바심 바우텍 베이스원 베터리얼 벡스 보라 보토 부현 뷰시에스 브릭스 브릴리언트시스템즈 브릴스(BRILSCorp.) 블로켓 비던 비디텍 비알지 비에스소프트 비에이치데이타시스템 비엔씨테크 비잉테크 비전라이즈 비전에프에이 비즈니스인사이트 비즈비 비즈에스아이 비즈웰 비즈코퍼레이션 비즈포스 비츠로시스 비카누스 비컨코리아 사라시스템 삼영씨앤씨 삼오기공 삼익의공간 삼인에이치엔티 상동 성신에프에이 성진플러스 성하에너지 세원에스텍 소나무정보기술 소프트넷 솔루션베이 쉐어드원 스마트앤유 스마트에스아이 스마트원큐 스마트웨이브 스마트해썹앤팩토리 스콘 스피폭스 시너지솔루션 시노시스 시스노바 신라시스템 신성씨에스 심비즈코리아 심지 싸이텍 썬더디에스 썬에이치에스티 쏨텍 쓰리데이즈 쓰리디오토메이션 씨메스 씨앤디 씨앤에프에이 씨앤테크 씨에스리 씨엠티 씨테크시스템 아우라프리시젼 아이브 아이시냅스 아이에스엠씨 아이엔포 아이엠지로드 아이커넥트 아이투엘 아이티몬 아이핌 아이하랑 아인커뮤니케이션 아크웰 아테스 아프로푸드 알텐코리아 알티엠 암스 애드아임 애드온소프트 애브리 애자일소다 에스더블류에스 에스아이웨어 에스앤디인포 에스에이치아이 에스에프이 에스엠티비전 에스케이이 에스티이피 에이비에이치 에이스로보테크 에이아이네이션 에이아이비즈 에이에스씨 에이엠시 에이치비전 에이치아이디 에이치앤아이 에이치앤케이이앤지 에이케이시스템 에이투지로보틱스 에이투지시스템 에인트체인소프트 에티버스 엔에스솔루션 엔케이시스템 엔터인 엔티로보틱스 엔피비컨설팅 엘로이랩 엘앰캐드 엘지알앤디 엠디알 엠아이테크 엠이티 엠제이비전테크 엠테스 엠투코리아 엣지크로스 여누솔루션 영광테크 오웬스그룹 오즈시스템 오토 오토메스텔스타 옥토 올립스 와따 와이리즘 와이씨코퍼레이션 와이알솔루션 와이앤와이 와이젠테크 와이즈컨 와토솔루션 와트 우드앤소프트 우성기계 우진코퍼레이션 원플 웨이츠 웨코 웰티에스 웹싱크 위에이아이 위존강남사업장 위트소프트 윌네트 유니전스 유니컴퍼니 유디에이시스템 유락 유비덤 유비즈 유비테크 유시스 유일전산 이노비 이맥스아이씨티 이맥스에스엔시 이모두 이안 이에스지테크 이에스티 이엔에스코리아 이엔지소프트 이엠에스 이엠포커스 이지아이 이지엠 이트랜드 이플러스 인그리드 인더핸즈 인랩 인바이트 인베스티 인시스템 인터엑스 인포마인드 일렉트릭스 정도기술 제로클래스랩 제스엔지니어링 제스텍 제오시스 제이솔루션 제이앤케이씨 제이엘티 제이엘티 제이이엔지 제이투모로우원 제이플랩 제타 줌인테크 지경솔루텍 지넷시스템 지로보틱스 지메이드 지비소프트 지성솔루션컨설팅 지아이엠티 지앤씨소프트코리아 지앤아이시스템즈 지에스에프시스템 지에스피솔루션 지엔디비즈 지엠티 지오이즈 지오티솔루션 지텍 칼만텍 캐디언스시스템글로벌 캐롯아이 커스토메이드 컴퓨터메이트경기 케이교정원 케이디에이 케이어드밴텍 케이언트 케이이노텍 케이티 켄즈 코덱스브리지 코레토 코보시스 코아솔루션 코인트컴퍼니 쿳션 큐오 크레아텍 크레오티 키미이에스 키소스 키플러스 타이니웨이브 타키온테크 태성소프트기술 테이크 텍트원 토탈이엔지 투두 투비시스템 트니랩인 트라이비스 트라이포드랩 트러시스시스템 티라유텍 티비씨 티앤엠테크 티에스엠알앤디 티에스티이 티원 팀솔루션 파람스 파스이엔지 파시디엘 팔피엠 팜소프트 팩앤롤 팩토리솔루션 퍼스펙티브 페니소프트 평화아이씨티 포블럭스 프라이머리넷 플레이팅코퍼레이션 피엔아이 피엔에이 피엘피엔지니어링 피플인사이드 하나로보텍 하드웰소프트 하이브테크놀로지 하이스마트 하이지노 하이퍼놀로지 한경솔루션 한국네트웍스 한국미래에너지 한국스마트해썹 한국엠프로 한국유체 한국자동화기술 한다랩 한빛테크윈 한사랑시스템 한성데이타시스템 한진에프에이에스 현대디에스 호우캐스트 화담소프트 화이트박스 뉴아틀란 다울피피티 디노 마스터코리아 맥스피아 미소시스템 벗님지유아이 세정로봇 수인정보 신성정공 싸이언 에스엠피쓰리 에스지 에스티솔루션 에어풀 에이디에스테크 에이테크 에이피씨소프트 엔에스솔루션 원오토텍 위피엔피 유유랑컴퍼니 이노템즈 이디티 이엠솔루션 인써프 인포젠 제이앤케이컴즈 제패 진영비엔씨 케이피티 코어텍 큐빅스 타스 타운넷 테이큰소프트 투유즈 튜링시스템 포인트시스템 하림솔루션 한영에스에프 화인소프트 휴웰프라임 주인정보시스템 중외정보기술 중원 지남소프트 지비로터리 지성소프트(jisungsoft) 지식시스템KSTEC 지아이컴퍼니 지아이티 지아인홀딩스 지에스아이티엠 지에이치온 지엔소프트 지엔지소프트 지엔티소프트 지엔티피플 지엘티코리아 지엘파워 지오디에스(GODS) 지오디엑스 지오지에스 지원ENG 지음소프트 지이티 지인씨앤아이 지컴패니 지피헬스 진성알엔디 진승정보기술 진영에프에이 진흥기계 징코스테크놀러지 참바른기술 청아시스템 체킹 카멘스 카이엠 칸에스티엔 칼라토크 캐드윈시스템 케이데이터랩 케이디인터내셔널(KD) 케이베이스 케이아이티밸리 케이엠디지텍 케이지아이씨티 케이티에스 케이티하이텔 코너스톤테크놀러지 코닉오토메이션 코로아이 코론 코리아솔루션 코리아스마트시스템 코메스 코베스트 코비솔루션 코스카 코아글로벌 코아정보기술 코앤코시스템 코어엠 코오롱베니트 코코넛사일로 코코스소프트웨어협동조합 쿠라고아시아 쿤텍 큐브세븐틴 큐빅테크 큐시스템 큐이알피 크레스프리 크레플 크리샤 큰솔시스템 클라우드네트웍스 클래드코리아 클릭원스 키움소프트 타이거컴퍼니 타이아 태성테크놀 태진솔루션 태창기계공업 터크코리아 테라씨스템 테라앤금일 테라스트림 테스트웍스 테이아 테크앤아이코리아 텔스타 투윈시스템 트라이텍 트루메카 트리오엔지니어링 트리플렛 티쓰리큐 티아이에스 티에스아이코리아 티에스에스 티에스엔랩 티에이케이정보시스템 티엔씨파트너 티엔에스에이아이 티엠디 티오에스 티티아이 팀레피소드 팀에브리웨어 팁스밸리 파란소프트,포토솔루션 파워레이저 파워인사이트 파이오링크 파이팅랩 파인로봇 패스컴바인 퍼씨엠 평화하이텍 포메이션랩스 포스켄 포스코DX 포와이즈 포인트 포테닛 포휴먼테크 폴스타에프에이 푸른들소프트 푸름인더스트리 퓨처메인 프라임컴퓨터 프레임소프트 프로인스텍 프리즘 피디엠테크 피앤피어드바이저리(P&PAdvisory) 피엘지 피피에스 필리퍼 하나머티리얼즈 하드콘 하이네트서비스 하이로보틱스코리아 하이젠모터 하이텍앤솔 한국교정시험기술 한국도키멕대구공장 한국보싸드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소니전자 한국솔루션 한국스마트기술센터 한국아이엘에스 한국아즈빌 한국에어로소프트 한국오므론제어기기 한국요꼬가와전기 한국전기 한국전력정보 한국제일 한국코바텍 한국트럼프지엠비에이취 한국환경안전관리 한국후지냉기 한국후지필름비즈니스이노베이션 한독기술 한맥콘트롤즈 한빛에스아이 한솔피앤에스아이티서비스부문 한스마테크 한스코시스템즈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한양로보틱스 한영디에스 한울시스템 해솔정보시스템 허브디티 헤리트 헬로우피플 현대오토에버 현대정보시스템 화담소프트 화인정보기술 효원기계 효원테크 효원텍 휴먼시스템    
작성일 : 2025-04-04
[피플] 오토데스크, "디지털 전환 시대의 제조산업 트렌드 위한 폭넓은 기술 소개"
오토데스크 스리나스 조나르가다 부사장   오토데스크에서 설계 및 제조(D&M) 업계 전략을 담당하는 스리나스 조나르가다 부사장이 자사 CAM 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내한했다. 스리나스 부사장은 기계 설계 CAD 업계에서 24년 이상의 경험이 있으며, 오토데스크의 D&M 업계 전략 책임자로서 퓨전 360(Fusion 360)의 비즈니스 성장을 이끌어냈다. 스리나스 부사장으로부터 오토데스크가 바라보는 제조 업계 트렌드와 해결 방안에 대해 들어보았다. ■ 최경화 국장     제조업 트렌드와 성장의 기회 제조업계는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3가지 경향이 있는데, 첫 번째는 인력 부족으로 2030년까지 한국에서는 제조업 일자리 50만개가 결원이 생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두 번째는 원자재 등 공급망 차질이다. 세 번째는 비용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가속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고객사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이러한 변화를 잘 이용하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경쟁의 속도보다 앞서 공급망을 강화하고,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찾고, 디지털의 이점을 활용하고, 새로운 인재를 영입하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첫 번째는 스마트한 제품이다.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다른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전기차가 그 한 예가 될 것이다. 두 번째는 제조 프로세스의 디지털화이다. 부품 제조시에도 밀링, 터닝, 3D 프린팅 등 다양한 프로세스가 필요하며, 문서로 관리하기보다는 디지털화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서 공급망 차질에 잘 대응할 수 있다. 시장에 현존하는 기회가 있으나 비효율적으로 사업을 하고 있고, 분절된 소통, 여러 개의 파일 형식,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있다. 여전히 오래된 방식을 고수하는 조직에는 어떠한 변화가 필요할까. 우선 제조 프로세스를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단일 소프트웨어 상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오토데스크가 지향하는 것은 분야에 상관없이 단일의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고객과 협업을 하면서 최신 기술에 언제든지 접속해서 활용할 수 있고 클라우드 상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퓨전 360 퓨전 360은 CAD/CAM, PLM, PDM, MES의 어떠한 한 부분을 의미하지 않는다. 퓨전 360은 제품 설계 및 제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3D 모델링, CAD, CAM, CAE, PCB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하나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퓨전 360은 3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첫 번째는 빠른 속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접속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익 실현이 빠르고 자동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클라우드를 이용해 자리를 지키지 않아도 작업이 가능하며, 속도 측면에서 200~300% 빨라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퓨전 360은 유연성을 갖고 있어서, 전체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고객사가 원하는 만큼 조정하여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퓨전 360은 화면에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제품으로, 단순한 CAD/CAM 패키지가 아니라 모든 것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퓨전 360을 공급하는 방식은 서브스크립션과 익스텐션 방식이 있는데, 서브스크립션 방식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익스텐션을 추가 구입할 수 있어 니즈에 따라 유연한 선택이 가능하다. 오토데스크의 전체 매출에서 퓨전 360의 비중이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그 근거는 시장 내 다양한 주체들이 액세스하기 쉽게 만들어줄 것이고, 서브스크립션 기반으로 성장 속도도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토데스크의 제조 제품군과 관련 시장 상황 오토데스크가 제공하는 제조 관련 제품에 대해 소개하면 밀링, 터닝, EDM, 레이저와 워터젯을 이용한 판금제작, 적층 및 하이브리드 제조, 머신 시뮬레이션, CMM 머신을 사용한 검사 및 품질 관리,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은 물론 금형 설계 및 제조, 생산현장 계획 및 일정 관리, 조정 등을 지원하고 있다. 오토데스크 본사의 분야별 사업 비중을 보면 제조 분야가 35%, AEC(건축·엔지니어링·건설) 분야가 40~45%, M&E(미디어&엔터테인먼트) 분야가 나머지를 차지한다. 한국의 경우 제조 분야의 비중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며, AEC의 성장과 맞물려 향후 5년동안 제조산업 비중이 커질 것이다. 오토데스크는 동종 산업계에서 처음으로 클라우드로의 변화를 집도하고 투자를 해 왔다. 오토데스크는 연구 개발, 설계, 해석 등 모든 것을 아우르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고, 대부분의 기업에 고객이 있다. 설계 쪽으로는 산업용 기계를 만드는 많은 고객사가 사용하고 있고, CAM과 관련해서는 삼성전자 금형 부문, 현대자동차의 클레이 모델이나 금형 제작, 나이키 OEM인 태광산업 등도 사용하고 있다. 학생부터 스타트업, 중견 기업, 대기업까지 프로세스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고객이 사용하고 있다. 대기업은 혁신적 제품에 대한 관심이 있고, 투자가 공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투자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 투자는 부족하다. 반면, 중소기업의 고민은 빠른 납기에 대응해야 하는데 인력 이탈 상황에서 생산성 확보가 필요하고, 누적된 지식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많다. 플랫폼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투자 여력이 적어서 가능한 범위에서 고민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토데스크의 플랫폼은 무한한 가능성이 있고, 유연하며, 개방적이다. 타사의 ERP, PLM과도 구동이 가능하고, 여러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으며, 고객의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맞춰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타사의 솔루션과 차별성이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의 융합(convergence)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오토데스크 CAM 비즈니스의 변화 최근 CAM 관련 오토데스크 채널 비즈니스에 변화가 있었다. 파워밀(PowerMill)을 공급해 오던 HD솔루션즈(한국델켐에서 사명을 변경)의 오토데스크 제품군 사업 종료와 관련, 오토데스크코리아 오찬주 전무는 “오토데스크는 2014년에 델켐을 인수했고, 이후 한국델켐이 오토데스크 리셀러로 역할을 해 왔다. 오토데스크는 플랫폼 비즈니스로 드라이브해 왔고, 델켐은 다른 전략이 있어 상호 합의하에 계약을 해지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CAM 시장은 한국델켐이 기여한 바가 있지만 종료 후에 다우데이타, 단군소프트 등 CAM 전문 파트너들이 기술 지원을 해 나갈 계획이다. 최근 진행한 오토데스크 CAM 파워유저 세미나도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뜻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오찬주 전무는 “HD솔루션즈의 기존 고객 지원 부분은 회사 대 회사의 계약으로 유지될 것이고, 향후에는 오토데스크 전문 CAM 파트너로 이전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2-10-04
한국ATC센터 회원 리스트(서울) - 오토데스크 제품 교육기관(오토캐드/인벤터/3ds Max 외)
오토데스크 공인교육센터(ATC/ Autodesk Authorized Training Center) 오토데스크 아카데믹 파트너 (AAP/ Autodesk Authorized Academic Partner) #오토캐드교육    교육기관 전화 홈페이지 주소 하이미디어멀티캠퍼스 구로지점 02-3667-0008 https://guro.himedia.co.kr 서울 구로구 경인로 557, 4층 ㈜이디앤씨 02-2069-0099 http://www.ednc.com/calendar/ 서울 영등포구 선유로 146 1114호 ㈜한국디지털교육원 02-569-1814 http://www.kodiin.co.kr/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283, 남성빌딩 3층 현대건설기술교육원 02-2163-0917 https://edu.hdec.co.kr:4443/web/default.aspx 서울 영등포구 도림천로 19길 12-2 한국 씨.아이.엠㈜ 02-772-5800 http://www.kcim.co.kr/education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 49 서울숲코오롱디지털타워 3차 6층 태성에스엔아이 02-554-1020 http://www.tssni.com/ 서울 강남구 역삼로8길 15, 홍우빌딩 7층 메카피아 1544-1605 http://www.mechapia.com/admin/2015_index/main_02.html 서울 금천구 서부샛길 606, 제5층 제 502호 다우데이타 02-3410-5169 https://members.daoudata.co.kr/autodesk/autodesk_intro.php 서울 마포구 독막로 311, 재화스퀘어 11층 지지스쿨 02-511-9452 http://ggschool.co.kr/ggschool/main/main4.php 서울 강남구 학동로4길 15, 동화히스토리빌딩 8층 에스지에이 구로 02-866-6698 http://www.seoulgame.co.kr/main/index.php?branch=guro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12 14층 1406호 서울게임즈 02-3676-8253 https://seoulgame.co.kr/ 서울 종로구 율곡로 282, SGA빌딩 5,7층 서울게임아카데미 02-3676-8253 https://seoulgame.co.kr/ 서울 종로구 율곡로 282, SGA빌딩 5,7층 하이미디어컴퓨터학원 천호지점 02-479-0009 http://chunho.himedia.co.kr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027, 5층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 노원캠퍼스 02-938-1119 http://nw.tjoeun.co.kr/ 서울 노원구 상계로5길 32, 6층 하이미디어 아이티 컴퓨터학원 영등포 02-2678-1919 http://www.emod.co.kr/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로 208, 6-7층 단군소프트 02-538-1423 https://www.tangunsoft.com/lecture/lecture_list 서울 강남구 언주로 620, 현대인텔렉스 7층 더조은아카데미 화곡캠퍼스 02-2675-1750 http://hg.tjoeun.co.kr 서울 강서구 화곡로 149, 심당빌딩 3층 동방디자인학원 종로 02-2285-2685 http://www.dbad.co.kr/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2길 21, 8층 3호 더조은컴퓨터아카데미 강남캠퍼스 02-556-5611 http://kn.tjoeun.co.kr/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441, 서산빌딩 4층 더조은컴퓨터아카데미 종로캠퍼스 02-766-8367 http://jr.tjoeun.co.kr/ 서울 종로구 수표로 105, 8층 더조은컴퓨터학원 구로캠퍼스 02-2082-1688 http://gr.tjoeun.co.kr/ 서울 구로구 디지털로 306, 대룡포스트타워2차 203호 재단법인 서울호서직업전문학교 02-3660-0113 https://www.shoseo.ac.kr/ 서울 강서구 강서로 420 더블유컴퓨터아트학원 02-745-2173 http://www.wcomputerart.com/ 서울 종로구 대학로 149, 4층 동방디자인학원 02-2671-5338 https://dbad.modoo.at/ 서울 영등포구 경인로 886, 4층 현대정보컴퓨터학원 02-2696-1291 https://hdicom.modoo.at/ 서울 양천구 오목로 136, 202호 한백산업디자인학원 02-2636-3114 http://www.hanbak.co.kr/default/index.php 서울 영등포구 경인로71길 6, 삼승빌딩 6층 그린컴퓨터아트학원 종로캠퍼스 02-722-2111 https://jongro.greenart.co.kr/?cam_idx=2 서울 종로구 수표로 96, 2층 그린컴퓨터아카데미 신촌캠퍼스 02-715-2111 https://sinchon.greenart.co.kr/?cam_idx=3 서울 마포구 신촌로 104, 4층 그린컴퓨터아트학원 신도림캠퍼스 02-2111-2000 https://ydp.greenart.co.kr/?cam_idx=4 서울 구로구 새말로 97, 테크노마트 6층 서울현대직업전문학교 02-2638-0700 www.hyundai.or.kr 서울 구로구 구로중앙로 207, 복합건물오피스1차 2층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 천호캠퍼스 02-472-0645 http://gd.tjoeun.co.kr/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157길 14, 나비빌딩 6층 이젠컴퓨터아카데미 노원캠퍼스 02-951-0008 https://nw.ezenac.co.kr 서울 노원구 상계로 64, 화랑빌딩 7층 시드학원 ㈜시드씨엘케이 02-585-5226 http://www.seedschool.co.kr/ 서울 서초구 서초중앙로18길 29, 2층 티움솔루션즈 02-6902-6951 http://www.tiumsolutions.com/html/training_edu01.html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41길 15-19, 1층 이젠아카데미컴퓨터학원 송파캠퍼스 02-401-5660 https://sp.ezenac.co.kr/ 서울 송파구 중대로 109, 대동빌딩 8층 이젠아카데미 종로캠퍼스 02-733-0765 https://jr.ezenac.co.kr/ 서울 종로구 종로 78, 미려빌딩 3층 국제컴퓨터아카데미 02-2088-5678 http://www.gcacademy.co.kr/ 서울 관악구 신림로 340, 6층 서울덕성기술학원 02-2675-4000 http://www.duck-sung.co.kr/ 서울 동작구 노량진로 4, 대방빌딩 3층 서울덕성직업학교 02-3280-8950 https://www.ducksung.co.kr/ 서울 구로구 경인로3길 77, 3층 ㈜이젠아카데미인재개발원 신촌캠퍼스 02-393-4321 https://sc.ezenac.co.kr/ 서울 서대문구 신촌로 141, 은하빌딩 1층 101호 이젠아카데미 강남캠퍼스 02-532-6510 https://gn.ezenac.co.kr/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77길 54, 13층 나눔디지털디자인학원 02-865-9777 http://www.nanumschool.com/ 서울 구로구 디지털로26길 5, 에이스하이엔드타워 402-1호 방송정보국제교육원 한국디지털컨버전스협회 소속 02-2658-0958 http://www.iibi.or.kr/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49길 4, 태인빌딩 7층 ㈜다우데이타 02-3410-5169 https://members.daoudata.co.kr/autodesk/autodesk_intro.php 서울 마포구 독막로 311, 재화스퀘어 11층 메가스터디 컴퓨터 아카데미 02-558-3009 http://megastudy-computer.com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78길 8, 4층 그린컴퓨터아카데미 강남캠퍼스 02-3481-1005 https://gangnam.greenart.co.kr/?cam_idx=1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119, 대호레포츠빌딩 8층 그린컴퓨터아카데미 노원캠퍼스 02-6953-2002 https://nowon.greenart.co.kr/?cam_idx=27 서울 노원구 상계로3길 21, 화일빌딩 3층   출처 : http://www.m-du.co.kr/menu3/menu3_3_00.html
작성일 : 2021-04-29
[온에어] 제조기업의 생산라인 혁신을 위한 오토데스크 팩토리 유틸리티와 포지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 오토데스크코리아 김두현 이사, 단군소프트 강승문 부장(왼쪽부터)    1월 8일 진행된 CNG TV에서는 오토데스크코리아 김두현 이사와 단군소프트 강승문 부장이 오토데스크 팩토리 유틸리티(Autodesk Factory Utility)를 통한 오토모티브 디지털 공장 구축 방법과 IoT 기술이 접목된 오토데스크 포지(Autodesk FORGE)의 혁신적인 관리 방법을 소개했다. 단군소프트 강승문 부장은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기 위해 오토데스크에서는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그 중 3D 레이아웃은 3D 공장을 구현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단계이다”라고 설명했다. 3D 레이아웃을 구현하기 위한 워크플로는 제조 프로세스의 정의, 개략적인 레이아웃 공간 확보, 제조 공간을 위한 세부 설계, 배치 전 설계 검증, 설치 계획 공유로 나눌 수 있다. 3D 레이아웃을 진행하면 향후 유지보수나 관리 측면에서도 많은 이점이 있다. 강승문 부장은 “3D 모델 및 시스템을 활용해 설비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하면 정확도가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오류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토데스크의 포지 플랫폼에 대한 소개도 이어졌다. 오토데스크코리아 김두현 이사는 “오토데스크 포지는 제조, 미디어/엔터테인먼트, AEC 분야를 위한 차세대 솔루션 개발을 위해 사용하는 개발자 플랫폼이다”라고 설명했다.  오토데스크 유저는 포지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자 리소스를 바탕으로 한 확장된 에코시스템을 기반으로 설계 및 엔지니어링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연결함으로써 프로젝트 전반의 워크플로 통합성을 높이고, 확장 가능한 사용자 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새롭게 개발할 수 있다.  CNG TV 방송의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를 통해 볼 수 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0-01-31
아크로니스, ‘아크로니스 백업 12.5 출시 전국 로드쇼’ 개최
아크로니스( http://www.acronis.co.kr/)는 랜섬웨어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방어하는 기술을 탑재한 기업용 재해복구 솔루션인 ‘아크로니스 백업 12.5(Acronis Backup 12.5)’ 출시를 기념해 오는 9월 19일(화)에 강남구 역삼동 HJ컨벤션센터에서 ‘2017 아크로니스 백업 12.5 런칭 로드쇼’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아크로니스 코리아는 9월 19일(화) 오후 1시30분부터 강남구 역삼동 HJ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세미나를 시작으로, 9월 20일(수)에는 대전 레전드호텔, 9월 22일(금)에는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고객 및 파트너를 만난다. 아크로니스 코리아는 지난 2013년 아크로니스 백업 11.5를 출시한 이후 4년만에 최신 기능들을 탑재한 ‘아크로니스 백업 12.5(Acronis Backup 12.5)’를 국내 고객들에게 소개한다. ‘아크로니스 백업 12.5’는 랜섬웨어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방어하는 '액티브 프로텍션(Active Protection)' 기능을 탑재했다. 아크로니스 백업 12.5는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기업 내부 구축형) 시스템은 물론, 물리/가상 시스템, 원격 시스템, 모바일 기기 등 15가지 이상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종합 데이터 보호 솔루션이다   아크로니스는 전국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진행하는 이번 신제품 런칭 세미나에서 아크로니스 비전 및 고객 사례를 발표하고, 아크로니스 백업 12.5.5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고 직접 시연한다. 또한 최근 IT 시장 동향과 더불어 고객 IT 인프라 환경에 맞추어 최적의 시스템 및 데이터 재해복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 모델을 소개 및 시연한다. 향후 안전한 모바일 업무 환경 구축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해 사용하려고 하는 기업 및 기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자 하는 모든 파트너들을 위한 솔루션을 세미나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서호익 아크로니스코리아 지사장은 “디지털 비즈니스의 시대에 데이터는 기업의 생명과도 같다. 단 몇 분간의 데이터 손실도 비즈니스에 커다란 타격을 입힐 수 있다. 아크로니스 백업 12.5는 새로운 디지털 시대를 맞이한 기업들이 데이터의 위치에 관계없이 완벽하게 제어하고 사고로 인한 유실 혹은 외부의 공격이 발생한 상황에서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이번 아크로니스 백업 12.5 국내 출시를 통해 모든 규모의 기업에 최적화된 백업 복구 솔루션과 비즈니스 모델을 세미나를 통해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고 말하며 고객 세미나 전국 투어에 임하는 포부를 밝혔다.   무료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https://goo.gl/VuFDCz 에서 사전 등록한 후 참가할 수 있다. 행사에 대한 더욱 자세한 사항은 아크로니스 공식 총판사인 단군소프트(☎ 02-6206-2512.5)와 한국아카이브(☎ 02-558-8114), 위프로소프트(☎ 02-718-9995)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
작성일 : 2017-08-28
아크로니스코리아, 신규총판 2개사 영입으로 국내 백업복구시장 공략 강화
아크로니스(www.acronis.co.kr/)는 오늘, 케이디정보기술(www.kdit.co.kr) 및 한국아카이브(www.hankooka.com)와 기업용 백업 복구 솔루션에 대한 국내 총판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판 계약으로 ▲공공/금융/통신/제조 부문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구축에 대한 사업 협력, ▲양사의 기존 고객사의 백업 및 복구 시스템 확장 및 신규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사업 협력, ▲신규 시스템 확장 사업 기회 공동 발굴 등을 위한 협력관계를 맺게 됐다. 아크로니스코리아는 이번 신규 총판 영입을 통해, 기업용 제품 총판인 ▲단군소프트 ▲케이디정보기술 ▲한국아카이브를 비롯하여, 개인용 제품 총판인 ▲위프로소프트를 포함하여, 4대 총판 체계를 갖추게 됐다. 아크로니스는 백업 복구 관련 선도적인 기술력으로 이미 전세계적으로 선두적인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는 아크로니스의 솔루션을 케이디정보기술 및 한국아카이브의 전문적인 유통망 및 영업력을 활용하여, 국내 백업복구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아크로니스코리아는 총판사들과의 동반 성장을 위해 상시적인 총판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시장 확대를 위한 공동 영업 활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아크로니스는 총판사들과 협력 강화를 통해 잠재 고객들에게 소개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캠페인 등을 공동으로 전개하여 백업 및 복구 솔루션의 필요와 도입 효과를 알려나갈 계획이다. 특히 자사의 기술력을 입증할 수 있는 대형 엔터프라이즈와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 고객의 각기 다른 요구사항에 맞춰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아크로니스코리아는 지난 2010년 지사 설립 이후 기업용 백업복구 솔루션 ‘아크로니스 백업 (Acronis Backup)’, 개인용 백업복구 솔루션 ‘아크로니스 트루 이미지 2017(Acronis True Image 2017 New Generation)’을 비롯하여, 모바일과 클라우드 데이터 백업 솔루션 등을 공급하고 있다. 아크로니스코리아는 매년 성장세를 이어가 주요 대기업과 유통, 중공업, 병원, 교육기관 등 3,000여 고객사가 아크로니스의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 아크로니스 코리아는 이러한 국내 사업 확대에 맞춰 기존 사무실 확장과 더불어, 내부 영업 및 기술지원 인력을 보강하여 기존고객 서비스 만족도 제고 및 파트너 지원 역량 강화에 힘을 쏟을 예정이다. 케이디정보기술 이종오 대표는 “이번 아크로니스와의 총판 계약으로 국내 백업 복구 솔루션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요구에 맞는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업계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해 적극적으로 시장 공략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아카이브 이병규 대표는 “최근 클라우드, 모바일, 빅데이터 등 IT 인프라의 복잡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시스템 및 데이터의 안전한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에 업계에서 크게 주목 받고 있는 아크로니스의 백업복구 솔루션을 차별화된 고객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양사의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아크로니스코리아 조창수 영업총괄 상무는 “4대 총판사 확정을 계기로 국내 전략을 새로이 정비하고 시장 공략강화에 나설 것이다. 자사 제품들의 우수한 제품력과 총판의 영업력을 기반으로 신규 고객 발굴에 적극 나서, 올해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하고, "총판사들의 영업망을 적극 활용하고 고객과의 접점 확대를 위한 공동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등 백업복구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내 고객들이 백업복구 솔루션을 활용하여 업무효율성 제고 및 기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다"라고 말하여 각오를 다졌다.
작성일 : 2017-07-04
오토데스크 공인교육센터(ATC) 2016
이디앤씨 서울 영등포구 선유로 146이앤씨드림타워 1113호02-2069-0099 www.ednc.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Autodesk SimulationAutodesk Moldflow ShowcaseVault Professional 캐돔아카데미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329예안빌딩 2층1588-0163 www.m-du.co.kr Product Design Suite 티움솔루션즈서울시 강남구 역삼 1동 623-12 TS 빌딩 2층02-6902-6951www.tiumsolutions.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Autodesk MoldflowAlias SurfaceAlias AutomotiveVault Professional 단군소프트 서울 강남구 논현동 48-5영보빌딩 4층02-538-1423 www.tangunsoft.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153 캐드캠서울시 양천구 목 1 동 405-251협성빌딩 6층02-2678-4185 www.153cad.com Autodesk MoldflowProduct Design Suite PremiumProduct Design Suite Ultimate 배움컴퓨터 서울시 종로구 종로2 가84-8 4층02-723-2111 www.baeoom-art.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강남점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415 대동빌딩 10층02-556-5611http://kn.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강남점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374 형제빌딩 5층02-595-0776http://kn.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공간21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6402-512-2134kwoongki@naver.com Building Design Suite 솔데스크서울시 종로구 종로 12길 15 종로코아빌딩 5층02-6901-7004http://www.soldesk.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위메이드아이앤씨서울시 강남구 논현2동 234-2402-2057-5701http://www.wemadeinc.co.kr Autodesk Revit Autodesk Civil 3DAutodesk InfraworksAutodesk AuoCAD Autodesk Navisworks 서울게임아트학원서울시 종로구 종로 6가 20-3 대성빌딩 6층02-3676-8253http://www.seoulgame.co.kr/ Entertainment Creation Suite 현대건설기술교육부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동 1100-1 현대건설기술교육원02-2163-0998https://education.hdec.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신촌점서울시 마포구 노고산동 57-1 그랜드마트 7층02-716-1006http://ic.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 화곡점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149 (화곡동,심당빌딩 3-4층)02-2675-1750http://hg.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 메카피아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2004(가산동,에이스하이엔드타워 3차)02-6242-0896mechapia@mechapia.com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Autodesk MayaAutodesk ShowcaseAutodesk CFD DesignAutodesk CFD MotionAutodesk MoldflowAutodesk Nastran In-CADAutodesk Simulation Mechanical 한국BIM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4길 38-5 4층070-4367-5250www.bimacademy.co.kr Building Design Suite PremiumBuilding Design Suite Ultimate 그림컴퓨터아트학원_강남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428 만이빌딩 4층02-3476-0631http://gangnam.greenart.co.kr/ Building Design Suite PremiumMaya 더조은아트학원_종로점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78 미려빌딩02-733-8781http://jr.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글로벌산업기술교육원서울시 금천구 독산동 287-2 금형회관 4층1600-2923http://www.giec.or.kr/ Product Design Suite 지지스쿨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122-8 동화히스토리빌딩 2층02-511-9452http://ggschool.co.kr/ Product Design Suite 두드림직업전문학교_성남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 4239번지 중앙빌딩 8층031-751-3688http://www.hmhrd.or.kr/ Product Design Suite 두드림컴퓨터학원_분당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155 우방빌딩 7층031-719-3688http://www.ddream.kr/ Product Design Suite 에이펙스정보처리학원경기도 부천시 원미 상동 533-11 부건프라자 6층 602 www.it-apex.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부천우리컴퓨터학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87-11032-665-5522www.wooriit.ne.kr Building Design Suite PremiumBuilding Design Suite Ultimate 더조은아카데미_부천점경기도 부천 원미구 상곡동 177-16032-613-1414http://bc.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안양삼성컴퓨터학원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 1 동647-249 삼양빌딩 4층031-443-8413www.asci.co.kr Product Design Suite 다우데이타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23-7 디지털스퀘어 7층02-3410-5169 www.daoudata.co.kr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Revit Architecture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 의정부의정부시 의정부동 194-8 천재빌딩 4-5층031-846-5888http://uj.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중앙직업전문학교인천시 남동구 인주대로 596032-456-8080http://www.pbi.or.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 수원점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1가 11-9 세진브론즈빌 3층031-253-5225http://sw.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라인디자인캐드학원대전 서구 도산로 374, 4층042-535-7768http://www.line-design.co.kr/main/ Product Design Suite 하우디자인캐드학원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 1091번지 밀레니엄빌딩 7층042-477-1800http://www.howcad.com/ Product Design Suite Revit Architecture 동양CAD디자인전문학원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황동 23-3 동양빌딩041-555-7695http://dycad.co.kr/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이지디자인컴퓨터학원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창동 140-17 4층043-272-3550http://www.ezdesign.or.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준CAD컴퓨터학원전북 군산시 수송동 805-1 제일아파트입구 늘봄 2 층063-463-3300jun3587@nate.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오토맥클리닉센터전북 군산시 경장동 506-23번지 현대빌딩 3층063-467-6002www.prowontech.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Revit Architecture 전북대학교 TIC(CAMTIC) 전북 전주시 덕진구 유상로 67 063-219-0300 www.camtic.or.kr Factory Design Suite PremiumFactory Design Suite UltimateProduct Design Suite PremiumProduct Design Suite Ultimate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전주점전주시 덕진구 금암1동 667-52063-276-2381http://jj.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아이텍 컴퓨터학원전북 익산시 무왕로 866-3 2층063-854-5114http://itec.foredu.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대영직업전문학교전북 익산시 영등동 215-2063-838-1288http://www.dyweb.or.kr/ 대원산업기술교육원 광주 북구 동림동 899-4 062-513-1442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 광주점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 42-7번지 해암빌딩 2F, 3F 062-366-8923http://kj.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구미직업전문학교경상북도 구미시 구미중앙로 278054-456-5566www.kumo.or.kr Product Design Suite 경북직업전문학교경북 포항시 북구 죽도동 47-15054-272-2543 www.kb.co.kr Factory Design Suite PremiumFactory Design Suite Ultimate 한독직업전문학교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마디미서로 26 한독빌딩 6층055-267-7585http://www.hdkorea.asia/ Product Design Suite 나우직업전문학교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161-20 3층055-297-9555www.nowit.or.kr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새인CAD디자인학원경남 창원시 성산구 중앙동 76-2 번지 4층055-244-8666www.ilovecad.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Revit Architecture 아카데미학원경상남도 거제시 중곡로 3길19 삼정055-637-0087acasiaa@nate.com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엘리트직업능력개발교육원울산시 중구 성남동 219-163번지 청송빌딩052-243-1241www.e-elite.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미래정보컴퓨터학원울산 남구 무거동 629 - 1 052-247-1113 www.miraeac.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더조은컴퓨터아트학원_울산점울산시 중구 성남동 219-119 울산훼미리타워 6층052-212-3380http://us.tjoeu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Maya 애니마투스디자인아카데미 대구시 중구 대봉1동 117-3 3층053-423-5135www.anicg.com Max Ent. Creation Suite 네트컴퓨터학원 대구 달서구 월배로 233 T&D 빌딩 10층053-641-8777www.cadschool.co.kr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유써브대구시 북구 산격 2 동 1659 번지동아빌딩 4층053-623-4667 www.u-serv.co.kr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대경캐드그래픽컴퓨터학원 대구시 달서구 두류 3 동495-7 번지 광산빌딩 4층053-525-4321 www.dg4321.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맥산업디자인학원부산 금정구 장전동 421-5051-514-1836www.mac-desig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미래컴퓨터학원 부산 사상구 괘법동 516-27 번지사상메디컬센터 4 층051-305-7766 www.imrc21.com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부산메인직업학교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332희망빌딩 7층051-208-0170 www.maincom.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금화컴퓨터학원 부산 북구 화명3동 2271-5번지 목양타워 502호051-331-0550http://www.kumcom.co.kr/ Product Design Suite 나래디지털컴퓨터학원부산 남구 대연3동 58-11 코리치빌딩 6층051-627-2750www.naraedesign.com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유진직업전문학교부산시 부산진구 부전로 91 서면동양빌딩 2층051-714-3555http://www.yougin.co.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부산기장직업학교(영남컴퓨터)부산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408-1051-721-8022http://www.bg21c.com/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한국멀티캠퍼스학원부산 부산진구 양정1동 394-16번지 유성빌딩 7층051-853-6900http://www.kor.co.kr/ AutoCAD Utility Design 새동아직업전문학교부산 사하구 하단동 하신중앙로 323 3,6-7층051-294-2001http://xn--9d0b4b113emli.kr/ Product Design SuiteFactory Design Suite 미래직업전문학교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86번길 13(초량동)051-463-0003http://www.miraeit.or.kr/ Product Design Suite Factory Design Suite 부산부경직업전문학교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대로 15 하이페리온타워 4층051-361-4344http://www.3614344.or.kr/ Entertainment Creation Suite 출처 : 오토데스크코리아 http://www.autodesk.co.kr/adsk/servlet/index?siteID=1169528&id=11269797
작성일 : 2016-04-23
오토데스크 유니버시티 2015 발표자료 다운로드> 제조/건축/오토캐드/M&E
10:00 ~ 10:4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제조 산업의 미래 오전 제조 산업의 미래 디에고 탬부리니 / 오토데스크 1. 사물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방식을 급격하게 바꾸는 기술2. 사물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트렌드3.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 설계에 가지는 의미와 사물인터넷을 활용하는 기업이 누릴 수 있는 기회(자사 고객에게 부가가치 제공 가능) 디에고 탬부리니 (Diego Tamburini)시니어 인더스트리 프로그램 매니저, 제조 부분오토데스크 디에고 탬부리니(Diego Tamburini)는 오토데스크의 제조업전략산업관계(Manufacturing Strategic Industry Relations) 그룹에서 제조업 분야와 관련된 오토데스크의 비전을 정의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기술 에반젤리스트(evangelist)로서의 역할도 역임하고 있다.. 그는 오토데스크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10년간 재직하며 Microsoft Dynamics 개발팀에서 전문가 서비스용 Dynamics ERP의 첫번째 클라우드 릴리스를 개발하는 업무를 맡았고, 관리자가 되기 전에는 그 스스로가 제조업 및 엔지니어링 분야의 ISV에 대한 개발자 에반젤리스트로 일을 하기도 했다. 또한 미국 조지아공과대학(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의 PSLM (제품 및 시스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있을 때에는 엔지니어링 정보 모델링, 통합적 협업 엔지니어링을 위한 소프트웨어 인프라, 이를 위한 지식 표현(knowledge representations) 기술과 상호 운용성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OMG 그룹이 UML을 시스템 엔지니어링 목적으로 확장한 SysML 표준을 개발하고 검토하는 과정에 긴밀하게 참여하기도 했다. 건축, 건설 산업의 미래 오전 건축, 건설 산업의 미래 도미닉 타사라사 / 오토데스크 건물 및 기반 시설 건축의 미래. 오늘날 프로젝트 성과를 높이기 위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을 사용할 경우의 장점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다. 생산성, 예측 가능성, 수익성 향상은 그 중 일부에 불과하다. 하지만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한다. 오늘날의 BIM이 놓치고 있는 건 무엇일까? 3D 프린팅, 무한 컴퓨팅, 리얼리티 캡처, 크라우드 소싱, 사물인터넷 등 떠오르는 신기술이 건물과 기반 시설 자산의 계획, 설계, 자금 조달, 건설, 활용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그리고 향후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할까? 이 세션에서는 다양한 신기술 트렌드의 속성과 파괴적인 능력을 살펴보고, 앞으로 AEC 부문과 건축 환경 모두에 급격한 변화를 초래할 만한 잠재력에 대해 집중 조명해 본다.1. AEC 업계에 파괴적 혁신을 가져올 기술의 역할을 이해한다.2. 급부상하는 신기술 트렌드가 어떤 면에서 AEC 업계의 관심사, 계획 및 자금 조달, 설계, 건축 방식, 세계의 건축 환경 운영 방식을 완전히 뒤바꿔 놓을 태세를 갖추었는지 이해한다.3. 이러한 근본적 변화의 속성을 비즈니스, 업무 절차,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한다.4. 이 대대적인 변화가 이끌어내는 새로운 경쟁 구도와 여러분의 비즈니스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도미닉 타사라사 (Dominic Thasarathar)시니어 프로그램 매니저, 건축, 에너지 & 천연자원오토데스크 도미닉 타사라사(Dominic Thasarathar)는 오토데스크에서 건설, 에너지, 천연자원 산업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핵심 전문가이자 기술 에반젤리스트(Evangelist)이다. 전기 엔지니어 공인자격증 보유자인 타사라사(Thasarathar)는 지난 2011년 오토데스크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20여 년 동안 CH2M Hill (CIO (Chief Information Officer), CLM 딜리버리 파트너), Bechtel (아태지역 프로젝트 시스템 총괄), Laing O’Rourke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관리자) 등에서 중책을 역임하며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자본 프로젝트에 관여하였다. 타사라사는 전기 엔지니어 공인자격증과 IT 전문가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 Imperial College의 전기공학과를 졸업했다. IET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BCS (British Computer Society), EI (Energy Institute) 등의 정회원이기도 한 그는 석유/가스, 금속/채굴, 발전, 토목, 건설 등의 분야에서 대규모 국제 건설 공사와 초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다. 디지털 컨텐츠 제작의 미래 오전 디지털 컨텐츠 제작의 미래 마크 해머커 / 오토데스크 최근 정보 기술(IT) 트렌드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제작, 소비 방식에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데이터 센터, 고속 이동통신, 스마트 기기가 소비자와 엔터테인먼트 업계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제작되는 컨텐츠의 종류도 영향을 받는 추세이다. 여기에 제작 기법의 변화까지 가세하면서 앞으로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의 제작 방식이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제는 새로운 관점으로 제작에 임해야 하며, 컨텐츠 제작의 생태계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결국 M&E 컨텐츠 제작의 미래는 ‘연결성’에 달려 있다. 이때 연결이란 제작에 필요한 인력, 자본, 합작사, 대중과의 연결을 모두 포함한다. 다소 도발적인 이 기조 연설을 통해, 디지털 기술이 어떤 식으로 창작 과정을 바꾸어 놓고, 그에 따라 향후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기를 바란다. 마크 해머커 (Marc Hamaker)시니어 인더스트리 마케팅 매니저오토데스크 Autodesk에서 영화, TV 및 게임 시장을 관장하는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사업부의 산업 마케팅 수석 관리자로서, Maya, Maya LT, 3ds Max, Stingray, Flame Premium, Smoke를 담당하는 제품 마케팅팀을 관리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생성 및 포스트 프로덕션 분야에서 20년이 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주도하는 기술 프로세스와 시장 요소들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갖고 있다. Autodesk 입사 전에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있는 WBZ-TV/CBS에서 포스트 프로덕션 부편집장을 역임하였으며 뉴욕에서는 광고 방송 제작 업무를, 버지니아에서는 방송 홍보 업무를 담당했다. Autodesk에서는 Autodesk 제품 관리 및 고객 관계와 관련된 업무에 주력해왔으며, 애플리케이션 전문 담당 및 판매 개발 관리자의 임무를 맡기 전에는 고객 및 업계 리더들과 교류하는 일을 주로 담당하였다. 또한 Autodesk의 대외 행사에서는 제품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언론사 및 고객 패널을 이끌며 신제품 출시 행사의 사회를 보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에서 커뮤니케이션 이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디에고 탬부리니 / 오토데스크 도미닉 타사라사 / 오토데스크 마크 해머커 / 오토데스크 Revit 3ds Max, Maya, Shotgun, Stingray 모든레벨 모든레벨 초급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10:40 ~ 11:20 디자이너가 열어 가는 성공적인 미래 오전 디자이너가 열어 가는 성공적인 미래 이명학 / 쌍용자동차 디자인이 주도하는 기업, 쌍용자동차(기업의 성공을 이끌어내는 디자인)1. Design Entity : 근본적인 디자인의 고찰- 강건함과 독창성, 전문성을 기반으로한 제품개발 철학- 쌍용자동차 디자인 철학 소개- 한국적인 미에 대한 고찰과 글로벌 자동차 디자인2. The Pioneer Spirit : 쌍용자동차 디자인의 끊임없는 도전정신- 도전적이고 패기 넘치는 쌍용자동차의 디자인 DNA- 디자인 아이덴티티 만들어내는 컨셉카, 양산차 개발과정 사례3. 디자이너가 열어가는 미래- 글로벌 트렌드 예측과 소비자 분석 데이터로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시대는 지나갔다.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기업의 성공을 이끌어 내는 제품은 디자이너의 창의력과 손끝에서의 열정에서 나온다. 디자이너의 끊임없는 도전과 상상력으로 새로운 세상을 열어가자 이명학 (MyungHack Lee)상무, 디자인센터쌍용자동차 직책 : 쌍용자동차 기술개발부문 디자인센터 디자인담당경력 : 국민대학교 환경디자인연구소현대자동차 디자인연구소수상 : 대한민국 디자인 브랜드 대상 대통령상 수상대한민국 Good Design 4회 수상한국 산업디자인전 6회 수상한국공업디자인상 2회 수상 국내 건축설계사무소의 효율적인 REVIT 도입을 위한 제안 오전 국내 건축설계사무소의 효율적인 REVIT 도입을 위한 제안 진창환 /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우리는 2000년대 초 CAD 기반의 설계에서 BIM 설계로 전환을 맞게 됩니다.초기 BIM은 준비가 되지 못한 상태에서 정부 주도의 발주로 진행되었습니다.이제 BIM을 설계업무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있어 설계사무소에서 단계별, 분야별로 체계적인 준비를 해야 합니다.기존의 2D 기반 설계에서 탈피하여 Data 기반의 설계에 대한 설계프로세스 산출물 등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합니다 진창환 (Changhwan Chin)이사, 실장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희림건축, 1996~2001해안건축, 2002~현재건축설계 CAD SYSTEM 도명층 표준화에 관한 연구 (2001)건축도면 공동 표준화 지침서 제작 (2006)한옥건축 통합정보 시스템 및 3차원 한옥부재 라이브러리 구축 연구 (2010)일반건축 BIM 모델링 가이드 제작 (2012)공동주택 BIM 모델링 가이드 제작 (2013)개방형 BIM기반의 설계도서 최적화 기준 및 적용기술 개발 (2015) 만약에 공룡이 멸종되지 않았다면? – 디즈니/픽사의 새 애니메이션 "굿 다이노소어"의 제작 비화 오전 만약에 공룡이 멸종되지 않았다면? – 디즈니/픽사의 새 애니메이션 "굿 다이노소어"의 제작 비화 산제이 바크시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개봉을 앞둔 디즈니/픽사의 새로운 애니메이션 “굿 다이노소어(The Good Dinosaur)”의 제작 과정에서 오토데스크의 마야(Maya) 프로그램이 얼마나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지 살펴봅니다. 광활한 자연과 야생의 세계가 펼쳐지는 이 애니메이션에서 드넓고 실감 나는 자연 환경이 만들어지는 과정, 입체감 넘치는 구름을 만드는 작업의 어려움, 해발 고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경 화면을 만드는 과정, 수백만 그루의 나무와 수천만 개의 나뭇잎을 순차적으로 만들어내는 과정,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들을 하나의 통합된 조명 솔루션 하에서 연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입니다 산제이 바크시 (Sanjay Bakshi)Supervising Technical Director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Sanjay Bakshi는 컴퓨터 그래픽 전공으로 2002년 4월에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 입사했다. 그가 입사 후 처음으로 근무했던 부서는 툴 개발 팀으로, 여기서 그는 아카데미상 수상작인 “니모를 찾아서”, “인크레더블”, “카” 등의 작품 제작 과정에 툴 개발자로 참여했다. 이후 Bakshi는 역시 아카데미상 수상작인 “라따뚜이”의 그루밍 팀장을 맡았다. 그루밍 팀이 하는 일은 작품에 등장하는 사람과 생쥐 캐릭터들의 머리카락과 털을 담당하는 일종의 디지털 헤어 디자이너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그의 역할은 머리카락/털 그래픽 기술을 지원하고 그루밍 팀을 지휘하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몬스터 대학교”의 Supervising Technical Director를 맡았으며, 2015년 11월 25일 개봉 예정인 디즈니•픽사의 새 애니메이션 “굿 다이노소어”에서도 Supervising Technical Director를 맡았다. 인도계 캐나다인인 Bakshi는 캐나다 서스캐처원(Saskatchewan) 태생으로, 컴퓨터 그래픽에 대한 그의 높은 관심은 오래 전 Apple 2로 그래픽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하던 시절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는 서스캐처원 대학교에서 컴퓨터 그래픽 전공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지금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피드몬트에 살고 있다. 이명학 / 쌍용자동차 진창환 /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산제이 바크시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Revit 모든레벨 모든레벨 중급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11:20 ~ 11:50 Global Enterprise Design with Autodesk 오전 Global Enterprise Design with Autodesk 맷 쿠르파 / 파카 하니핀 이번 세션에서는 파카하니핀과 오토데스크가 어떻게 상호 협력을 통해 어려운 엔지니어링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움직이는 모든 것에는 파카의 부품이 들어 있습니다. 파카는 모션 및 유압/공압 제어와 관련된 고성능 부품과 시스템을 생산하여, 전세계 시장에서 고객들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오토데스크의 소프트웨어 덕분에 파카의 엔지니어들은 미래형 제조 기술에 주력하며 보다 나은 모션/제어 기술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맷 쿠르파 (Matt Krupa)기술 자원 매니저, 엔터프라이즈 엔지니어링 시스템 그룹 파카 하니핀 Matt Krupa는 파카하니핀의 엔터프라이즈 엔지니어링 시스템 그룹에 소속된 기술 자원 매니저로, 설계 툴에 대한 구현, 사용자 교육 및 지원 기능을 책임지고 있다. 그는 파카하니핀에서 재직한 지난 19년 동안, 팀원들과 함께 천 명이 넘는 투자자 사용자에 대한 교육을 담당해 왔다. 또, 파카의 엔지니어들이 소프트웨어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선 이벤트도 이끌고 있다. 새로운 시공 관리의 당면과제 오전 새로운 시공 관리의 당면과제 신야 스기우라 / 일본 오바야시 社 인프라 시설과 관련된 BIM(건물 정보 모델링)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관리자가 어떤 정보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시공 단계에서 어떤 정보를 유지 관리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오바야시 사(OBAYASHI Corp.)는 시공 후 단계의 시설 관리(FM: Facility Management)를 위하여 어떠한 시공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실제 터널 프로젝트 설계 단계에서 생성된 3D 모델을 이용하여 왔다. 또한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설계를 위한 시공 단계뿐만 아니라 합의 도출 단계에도 적극 참여함으로써 터널 프로젝트나 쓰나미 피해 복구 또는 교량 공사 프로젝트에서 주거와 지역 사회 건설에 어떠한 것이 가장 이상적인 환경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노력해왔다. 본 세션에서는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이러한 시공 및 시설 관리를 수행하는 오바야시 사의 프로젝트를 소개한다.[목표]1. 6가지 차원의 접근 (유지 관리)2. UAV를 활용한 시공 관리 신야 스기우라 (Shinya Sugiura)매니저, 토목공학 부서일본 오바야시 社 일본 BIM 엔지니어링 업계의 선구자인 그는 2012년부터 건설업 인프라 현장에서 BIM(건물 정보 모델링) 사용을 독려하는 BIM 관리자로서 80여개 고객사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서 최초로 인프라 BIM 업무를 맡았다. 현재 인프라스트럭처 BIM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인프라 BIM은 현재 오바야시(Obashi Coporation)의 터널 구역 공사를 진행하는 일본 국토 교통성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최근 건설 관리에 있어서 UAV(무인기)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중이다. 건설 효율성이 예전에 비해 40% 이상 개선되었으며, ICT를 활용해서 건설 업무가 갖고 있는 문제에 도전하는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고자 한다. 혼자서도 제작가능한 3D 애니메이션 오전 혼자서도 제작가능한 3D 애니메이션 우경민 / 모팩앤알프레드 현재 3D 프로그램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들은 디자인적인 3D애니메이션의 제작부터 실사에 가까운 리얼한 느낌의 애니메이션 제작까지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도록 준비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리얼한 3D표현에만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느꼈다. 최근 단편 애니메이션을 만들면서 3D프로그램이 디자인적인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 보았고 그것에 최적화된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보았다. 그 과정에서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고 손쉽게 3D기술 부분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기를 발표할 예정이다. 우경민 (Kyungmin Woo)감독모팩앤알프레드 모팩앤알프레드에서 애니메이션 감독을 맡고 있다. 모팩앤알프레드 스튜디오는 지금까지 주로 광고영상과 영화CG 제작을 해왔고, 최근에는 자체 IP를 가진 콘텐츠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입사부터 4년간 모션그래픽디자이너로 일해오면서 다양한 광고영상과 게임트레일러와 같은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영상작업을 해왔다. 그런 프로젝트들을 통해 쌓은 기술력과 연출력을 바탕으로 최근 단편 애니메이션 ‘Johnny Express’를 제작했으며, 현재는 감독으로서 ‘Johnny Express’의 장편화를 준비 중에 있다. 맷 쿠르파 / 파카 하니핀 신야 스기우라 / 일본 오바야시 社 우경민 / 모팩앤알프레드 Civil3D Maya, 3ds Max, Mudbox 모든레벨 모든레벨 초급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11:50 ~ 12:05 Sponsor Session 오전 Sponsor Session 강은수 / Dell 강은수 (Eunsu Gang)이사Dell Sponsor Session 오전 Sponsor Session 문선경 / Lenovo 문선경 (Sunkyung Moon)차장Lenovo Sponsor Session 오전 Sponsor Session 김도영 / NVIDIA 김도영 (Doyoung Kim)부장NVIDIA 강은수 / Dell 문선경 / Lenovo 김도영 / NVIDIA 모든레벨 모든레벨 모든레벨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12:05 ~ 13:20 휴식 및 점심식사 13:20 ~ 14:00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Keynote Session 건축실무지원을 위한 국가 BIM R&D 현황 및 성과보급 계획 오후 건축실무지원을 위한 국가 BIM R&D 현황 및 성과보급 계획 조찬원 / 빌딩스마트협회 국토교통부는 건축 실무계의 BIM도입과 지원을 위한 국가 BIM R&D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개방형 BIM 기반의 건축물 설계표준 및 인프라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사업의 책임자가 설계실무 보급을 위한 표준, 라이브러리 콘테츠 개발 현황과 이를 응용한 각종 생산성 향상 기술을 소개한다. 이번 사업은 2016년 11월 완료와 동시에 세움터를 통하여 전국의 건축설계사무소에 보급될 예정이며 본 세션에서는 이에 대한 보급계획과 그 이후의 민간 자생적 라이브러리 콘텐츠 유통 체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목표]1. 건축실무 지원을 위한 국가 BIM R&D의 표준, 라이브러리 콘테츠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2. 빌딩스마트협회의 R&D의 성과에 대한 보급 계획과 민간 자생적인 콘텐츠 유통 보급확산 방안을 발표한다. 조찬원 (Chanwon Jo)소장, 기술연구소빌딩스마트협회 연세대 건축공학과 학사, 미국 카네기멜런 대학원 건축과 석사 (Computational Design),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 (BIM) (주)정림건축 전산연구실장, 미국 카네기멜런 대학 부설 EDRC 연구원 (펜실바니아 피츠버그), 데이터프런트 소장, (사)빌딩스마트협회 기술연구소장, 개방형BIM기반의 건축물 설계표준 및 인프라 구축 책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설계도서관리․건축승인업무 개선 및 전산화 연구용역 책임 (국방부), BIM 성과분석을 통한 발전반향 마련 및 세부관리지침 개발 책임 (조달청), 설계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BIM기반 설계 환경 기획 연구 책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분류체계 정립 및 개산 견적 시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BIM 공사비 관리 책임 (조달청), 잠실 초고층프로젝트 BIM도입을 위한 컨설팅 책임 (롯데물산, 쇼핑, 호텔), 한국전력거래소-본사사옥 특성화 용역 공동연구 BIM부문 책임 (빌딩스마트협회), 국토해양부-건축분야의 BIM 적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책임 (빌딩스마트협회), 국토해양부-세움터고도화를 위한 정보화 기본계획수립 BIM부문 참여 (건축행정정보기획단, 빌딩스마트협회) BIM의 경제적 영향 오후 BIM의 경제적 영향 마렉 스코키 / 오토데스크 BIM을 도입하면 프로젝트 성과를 개선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효과는 협업을 통해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많은 이들이 동의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과연 회사가 투자하게 될 비용과 시간을 정당화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적 이득이 있는가?”라는 점입니다.BIM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조직들이 여기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해야만 합니다.1. 글로벌 조사 결과, 종합적인 BIM 도입의 경제적 이득은 무엇인가?2. 프로젝트 환경 내에서 수혜자는 누구인가?이번 세션에서는 전세계 16개 국에서 80회 이상 적용된 체계적이고 검증된 방법론의 결과를 개괄적으로 살펴볼 것입니다. 지난 3년간의 조사에서 원래 추산했던 프로젝트 비용을 5~11% 절감하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마렉 스코키 (Marek Suchocki)WWSS/Sales Development Executive오토데스크 마렉 스코키는 오토데스크의 영업 개발 이사로,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사회기반시설 공사 발주기관과 그들의 프로젝트 팀을 담당하고 있다. 토목공학을 전공한 그는 영국의 공인 자격증을 보유한 엔지니어이자 IT 전문가이며, 영국 컴퓨터 학회와 IC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및 ICES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ing Surveyors)의 회원이기도 하다. 그는 줄곧 건축/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 및 설계 공정을 지원할 정보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적용하는 일에 주력해왔다.스코키는 ICE 정보 시스템 패널을 맡고 있고, Construct IT의 의장이며, 영국 표준 B555 건축 설계 모델링 및 데이터 교환 위원회의 회원이자, 영국 정부의 BIM 이니셔티브를 추진중인 태스크그룹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오토데스크로 자리를 옮기기 전에는 Mouchel에서 IT 중역으로 재직하고, Atkins에서 연구 혁신 관리자와 수석 경영 컨설턴트를 역임하는 등, 국제적인 엔지니어링 컨설팅 업체에서 근무했다.그는 사회기반시설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와 조직에서 BIM을 도입할 수 있도록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공공 부문 및 민간 부문 고객들에게 협업 솔루션을 보급하며, IT 및 지식 관리에 대한 연구에 착수하는 등의 일을 맡고 있다. 영국의 주요 건설업체와 사회기반시설 발주기관을 위해 일하고 건설 원가 관리 업무를 맡는 등, 영국을 비롯한 유럽 지역에서 폭 넓은 경험을 축적했으며, 영국 레딩대학교의 건축경영공학과에서 연구원으로 4년간 재직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활동의 결과물로 BIM과 협업 및 신기술 적용에 관한 다양한 논문과 보고서를 저술하기도 했다. 토목 BIM 활성화를 위한 정부 추진 현황 오후 토목 BIM 활성화를 위한 정부 추진 현황 주기범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교통부에서 추진 중이고, 추진 예정인 도로, 철도 시설에 대한 BIM 도입 정책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고, 토목분야의 BIM 도입 효과를 확인하기 추진 중인 ‘설악-청평‘ 공사 구간에 대한 적용사례를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토목 BIM의 원활한 적용을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추진 중인 연구내용에 대해 설명한다.[목표]토목 분야 BIM적용의 최근 추진현황과 사례에 대한 소개 주기범 (Kibeom Ju)소장(연구위원), ICT융합연구소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토목 BIM 관련 연구로는 '도로분야의 BIM 도입방안 연구', '철도 정보모델 기술개발 기획 연구' 등을 수행한 바 있으며, 현재는 'Infra BIM 표준 및 검증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기타 활동으로는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위원, 한국BIM학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사실적인 유체 시뮬레이션을 위한 Maya Bifrost 소개 오후 사실적인 유체 시뮬레이션을 위한 Maya Bifrost 소개 김도완 / 오토데스크 Bifrost는 Maya 2015에 새롭게 소개되었으며, Maya 2016에서 보다 안정화 되고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된 유체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능이다. 이 세션에서는 Bifrost의 전반적인 이해와 작업의 흐름을 알아보며 Bifrost를 이용하여 다양한 액체 및 연기를 만들고 렌더링을 위한 최적화 작업을 소개한다. 김도완 (Dowan Kim)부장오토데스크 김도완 부장은 2012년 Autodesk Korea에 입사를 하여 현재까지 M&E(Media & Entertainment) 제품인 Maya, Mudbox, MotionBuilder, 그리고 Shotgun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게임, 그리고 교육 산업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Autodesk의 새로운 기술 전달 및 교육을 진행하며, 고객들이 Autodesk 제품 및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관해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The Future of Design(디자인의 미래) 오후 The Future of Design(디자인의 미래) 린 알렌 / 오토데스크 린 알렌 (Lynn Allen)테크니컬 에반젤리스트오토데스크 린 알렌(Lynn Allen)은 CAD 전문지인 Cadalyst의 칼럼니스트이자 오토데스크의 기술 에반젤리스트(Technical Evangelist)로, 매년 전세계 3만 명 이상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AutoCAD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22년 동안 Cadalyst에 'Circles and Lines'라는 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Cadalyst의 인기 동영상인 'Lynn Allen과 함께 알아보는 AutoCAD 팁(Tips and Tricks with Lynn Allen)' 시리즈의 목소리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그녀는 오토데스크의 소프트웨어를 25년 넘게 사용해 왔으며, 오토데스크에 입사하기 전에는 13년간 기업체와 대학에서 AutoCAD 강의를 진행했다. 특유의 유머러스한 화법으로 인기가 높은 Allen은 AU®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강사 중의 한 명으로, 세 권의 AutoCAD 관련 서적을 저술한 바 있으며 가장 최근에 펴낸 책은 'AutoCAD Professional Tips and Techniques'이다. 조찬원 / 빌딩스마트협회 마렉 스코키 / 오토데스크 주기범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도완 / 오토데스크 린 알렌 / 오토데스크 Architecture Revit Civil 3D Maya AutoCAD 모든레벨 모든레벨 모든레벨 초급 / 중급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비공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Inventor Power User를 위한 Tip 오후 Inventor Power User를 위한 Tip 박진우 / 효원시스템 설계자들인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 위주로 설계한다. 하지만 Inventor의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한다면 설계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 Inventor에는 설계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Sketch 단계 부터 Modeling, Assembly, 2D Drawing까지 각 단계의 다양한 Tip들을 알아 봄으로써 여러분의 설계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박진우 (Jinwoo Park)부장효원시스템 효원시스템은 Autodesk Gold Partner이며, 약 25년간 Autodesk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다. 효원시스템 기술팀에서 팀장을 맡고 있는 박진우 팀장은 효원시스템에서 약 10년간 근무하면서 Autodesk 제품군에 다양한 지원 경험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기업체 인원을 대상으로 Inventor, AutoCAD Mechanical, Product Design Suite Process, Factory Design Suite Process 관련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체 대상으로 설계자동화 및 3D Process(PrDS) 전환을 위한 컨설팅 진행 경험을 가지고 있다. DWG 데이터를 이용해서 3D 모델링 하기 오후 DWG 데이터를 이용해서 3D 모델링 하기 문석봉 / 한국씨아이엠 Aberdeen Group Research의 조사에 의하면 3D를 성공적으로 사용한 업체의 특징은 '2D를 3D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2D에 3D를 추가' 하는 것이라 밝히고 있다. Autodesk Inventor의 DWG와의 호환성은 설계 생산성을 극대화한다.Autodesk Inventor는 2D 부품도를 3D 부품으로 손쉽게 전환하고 상세 설계하게 하며, 2D조립도를 3D조립품으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2D CAD와 100% 호환성을 유지하는 Inventor DWG Underlay 기능은 설계자들에게 최고의 선물이다. 좀더 생산적으로 2D CAD을 활용하는 Inventor를 경험하게 된다. 문석봉 (Seok Bong Moon)과장, 미래첨단본부 기술팀한국씨아이엠 Autodesk Platinum Partner인 한국씨아이엠에서 기술지원, 교육, 제조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 제조 현장에서 근무하여 2D 사용자가 3D로 전환하기 위해서 어떤 기능이 현실적으로 필요한지 알게 되었다. 주요 경력)- 3D를 활용한 자동차 스위치 설계 담당- 포스코 압연설비 3D 프로젝트 수행 고객 사례로 본 Inventor 튜브&파이프 적극 활용하기 오후 고객 사례로 본 Inventor 튜브&파이프 적극 활용하기 서완선 / 주노티엔씨 대부분의 산업 장비 및 플랜트 장비는 파이프 및 튜브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합리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도구가 바로 Inventor Professional의 튜브 및 파이프이다. 튜브 및 파이프의 기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고 고객사례를 통하여 적용된 형상 및 구현 방식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Inventor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및 파이프 스타일에 사용자의 환경에 맞는 설정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확인한다. 서완선 (Wansun Seo)차장 주노티엔씨 Inventor를 처음 접한지 15년이 지난 지금 Autodesk University가 국내에서 개최되어 더욱 많은 사용자 분들과 정보를 나누는 자리에 여러분과 같이 하고 싶다. 15년의 기간동안 Inventor를 적용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구조해석, 유동해석, 데이터관리, API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등 Inventor를 사용하는 분의 기술 개발 및 프로세스 변경에 노력하고 있다. Moldflow의 최신 개발 방향 오후 Moldflow의 최신 개발 방향 한세진 / 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몰드플로우 인사이트(Moldflow Insight)와 몰드플로우 시너지(Moldflow Synergy) 제품의 최신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3D 변형에 대한 잔류 응력, 섬유 배향 해석 개선, 가스 사출 성형 및 overmolding에 대한 냉각 해석, core-back이나 화학적 발포제 같은 강화된 초미세 발포 사출 성형 기술, 이방성 재료 특성, 밸브 게이트 제어, 사용자 솔버 API의 확장, 새로운 메싱 기능, 몰드플로우 시너지의 새로워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에 대해 다룬다. 또, 몰드플로우 시뮬레이션과 관련하여 현재 연구가 진행중인 주제들에 대해서도 다룰 것이다. 한세진 (Sejin Han)박사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몰드플로우 솔버 개발 팀의 일원으로, 그의 전문 분야는 사출 성형, 열경화 공정, 마이크로칩 캡슐화, 압축 성형, RTM, 초미세 발포 성형 공정 등과 관련된 시뮬레이션이다. 한 박사는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Moldflow와 연계한 Fiber-filled Plastics 복합재 구조 해석 오후 Moldflow와 연계한 Fiber-filled Plastics 복합재 구조 해석 최재현 / 오토데스크 이 class에서는 Moldflow software를 통한 사출 성형 해석에서 구조해석 software의 유한 요소 모델(FEA)로 Fiber Orientations과 material propeties를 Mapping하는 기능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다. 또한 Fiber-filled material의 비선형 재료 거동을 Simulation할 수 있는 Helius PFA software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도 거론 할 것이다. 최재현 (Jaehyun Choi)이사오토데스크 22년간 산업계 CAE분야에서 CAE 엔지니어, CAE 프로덕트 전문가, CAE 제품 영업,등을 통해 CAE 분야의 다양한 경험과 지식 보유CAE분야 외에도 CAD/CAM/PLM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으로 인해 거시적 관점의 CAE Process 이해경력 사항- LG전자 DA 연구소 CAE Engineer- SDRC CAD/CAE Pre-sales Engineer- MSC Software CAE Pre-sales 및 Sales- Siemens PLM CAE BD 및 Sales- 현 오토데스크 시뮬레이션 팀에서 근무 Performance of Alias SpeedForm- NURBS와 Polygon을 활용한 Hybrid Modeling 장점 오후 Performance of Alias SpeedForm- NURBS와 Polygon을 활용한 Hybrid Modeling 장점 엔도 기이치 / 니치난 코퍼레이션 Autodesk Alias SpeedForm은 디자이너를 위한 아이디어 구상 도구입니다. NURBS와 Polygon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델링 기능이 지원되므로, 디자이너는 이 차세대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마치 클레이 모델 다루듯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빠른 속도로 3D 모델과 이미지를 구성한 후 3D 프린터를 이용해 형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시제품 개발 및 시행 착오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됩니다. 이러한 업무 흐름을 통해 디자이너가 새로운 사실을 깨닫고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런 업무 흐름의 통합 프로세스에서 뜻밖의 소득을 얻게 되므로 디자이너의 역량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검증을 통한 의사 결정에도 유용합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실제 자동차 디자인 프로세스의 사례를 들어 NURBS와 Polygon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델링 기법의 장점과 이 방법을 컨셉트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엔도 기이치 (Endo Giichi)니치난 코퍼레이션 Nissan에서 24년 이상 디자이너 겸 관리자로 재직하면서 다양한 컨셉트 카와 상용 차량을 개발했다. 현재 일본에서 전 업종을 대상으로 하는 최대 규모의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서비스 공급업체 중 하나인 Nichinan사의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디자인 팀장이다.경력IDEX사(일본 도쿄) 1984-1986 제품 디자이너1990-2015 Nissan Global Design Center1997 일본 Nissan 디자인 수석 디자이너2006-2009 Nissan Design Europe(영국 런던)2006 Nissan 디자인 전문 디자이너2009-2013 Infiniti 디자인 부서2013-2015 Creative Box (일본 도쿄)2015 Nichinan사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디자인 팀장 박진우 / 효원시스템 문석봉 / 한국씨아이엠 서완선 / 주노티엔씨 한세진 / 오토데스크 최재현 / 오토데스크 엔도 기이치 / 니치난 코퍼레이션 Inventor Inventor Inventor Moldflow Alias Speedform 모든레벨 초급 중급 모든레벨 중급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14:00 ~ 14:10 휴식 14:10 ~ 14:50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Breakout Session BIM 생애주기의 변화 오후 BIM 생애주기의 변화 고범진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사업은 오랜 기간 동안 수많은 다양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건축주와 건축, 인테리어, 구조, 기계, 전기, 통신, 소방, 토목, 조경 등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최고의 건축물을 위한 디자인과 기술적인 부분을 종합적으로 판단을 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복잡한 일이다. 기존에는 2차원 도면과 문서로 의사소통하며 기획, 설계, 시공, FM(Facility Management) 각 단계별 업무를 진행해 왔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중대형의 건축물을 만들어 가는 과정 또한 복잡해져서 각 단계별 관계자의 숫자가 수십 명이 넘는다.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정확한 의사전달과 업무수행이 프로젝트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보다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생산성이 향상된 업무방식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BIM은 기본적으로 2차원 도면을 3차원 입체로 변화시키며 각종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어 활용하고자 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관리 및 운용이 가능한 편리한 도구이다. 분리와 통합, 부분과 전체, 형상과 정보를 필요에 의해 관리할 수 있는 BIM은 건축의 각 단계마다 큰 역할을 하여 이익을 주고 있다. 디자인 개념과 대안 검토에서 시작하여, 의사결정을 위한 논리적 근거를 만들고, 설계도서의 성과품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고, 시공을 위해 사전에 공정, 수량, 업무범위 등을 검토하여 원가 절감과 시공성을 향상시켰으며, 유지관리를 위한 실제와 동일한 3차원의 건축 가상모델이 만들어져 운영을 위한 기초정보가 구축된다. BIM은 하나의 건축물이 아이디어에서 실제 운영되기까지 건물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활용되어 크고 작은 이익과 효과를 내어 성공적인 사업 진행과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목표]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로 이어지는 건축물 생애주기의 각각 단계별로 BIM의 활용방법과 생애주기 BIM에 의한 변화를 프로젝트의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고범진 (Bumjin Ko)소장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정림건축 설계1본부, 개발기획본부, 디자이너 POOL을 거쳐 현재 정림건축 기술연구소 BIM팀을 총괄하고 있으며 17년째 건축설계를 하고 있다.- 서울고등학교 졸업 -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빌딩스마트협회 설계 및 엔지니어링 분야 전문이사 - 국민대 실내디자인학과 출강[주요 프로젝트]인천그랜드하얏트호텔, 코엑스몰리모델링, 시그니쳐타워, 베트남국립역사박물관 BIM 기반 Pre-construction Service 오후 BIM 기반 Pre-construction Service 정연석 / GS건설 선진국형 발주방식으로 발주자/설계자/시공자가 Project 기획/설계 단계에 하나의 팀을 구성하고, 각 공종별 설계의 최적화를 위하여 담당분야 Know-how를 공유/제안함으로써 발주자로 하여금 최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Service를 말한다. 최적화된 설계도서는 시공상의 불확실성이나 설계변경 RISK를 사전에 제거하게 되고, Project 운영을 최적화하여 발주자 소유 건물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목표]국내 최초 BIM 기반 PreConstruction Service 사례소개 정연석 (Yeonseok Jeong)박사, 건축 PreCon팀GS건설 정연석 차장은 GS건설 건축Precon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경희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GS건설 입사 전에는 조지아공대(Georgia Tech)에서 Post Doctoral Fellow로서 GSA(General Service Administration)에서 발주한 ‘법원건물에 대한 법규검토 시스템 개발’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GS건설 입사 후 BIM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목적으로 美 건설사인 DPR Construction사와 기술교류를 위한 MOU체결하고 조지아공대와 공동연구 수행을 이끌었다. 현재 GS건설에서는 전사 BIM 도입 및 활성화 전략수립 및 현장 기술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수행 프로젝트로는 NCSoft R&D 센터, 파르나스호텔 및 하나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BIM기술을 적용하여 Preconstruction을 수행하였다. BIM 디지털 시티 오후 BIM 디지털 시티 요시히코 후쿠치 / 오토데스크 BIM 기술이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제 도시 계획사, 설계 프로젝트 팀원은 몰입형 환경에서 Hi-Fi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세계의 조건을 고려해 도시 계획을 시각화할 수 있다. Reality Capture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제 상황을 감안한 설계의 길이 열린 한편, 게임 기술의 도움을 받아 실제 도시 근교 전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의 주도 하에 건물과 기반 시설 정보를 대규모로 모델링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가 개발되면서, 거시적 관점에서 결정을 내리고 더 나은 가치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갈수록 복잡해지는 이해 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지형 분석과 고도면을 가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시각화와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도시에서의 생활 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 모든 상황 정보를 토대로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들의 관점에서 설계를 진행한다.[목표]1. 현재와 미래의 BIM 기술, 디지털 시티와 도시 계획에 따른 ROI 전망을 언급2. 해외의 BIM 디지털 시티 사례 연구 결과를 제시 요시히코 후쿠치 (Yoshihiko Fukuchi)APAC Infrastructure Development Exec.오토데스크 일본에 거주하는 후쿠치는 APAC 내에서 성숙한 시장의 인프라 비즈니스 및 영업 개발을 책임지고 있다. 그은 일본과 한국에서 인프라 산업과 정부 간에 긴밀한 비즈니스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업무를 맡고 있다. 2016년 인프라 BIM 위임계약과 2020년 동경올림픽 디자인 부문 작업, 그리고 산업생태계의 다른 주요 인프라 책임자들이 BIM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해 MLIT의 전략 활동을 맡고 있다. 또한 NA 영업팀과 Territory 영업팀이 전략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업무도 진행 중이다. 그는 현재 일본국토교통성(MLIT) 산하 연구 기관인 일본 국토기술정책총합연구소(NILIM)와 한국 정부의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그리고 오사카 대학, 구마모토 대학,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등 인프라를 위한 BIM을 연구하는 주요 대학과 협업하고 있다. [경력] 일본의 주요 건설업체에서 15년간 건설 관리 및 기술 개발 경력을 쌓았으며, 2001년 Autodesk로 자리를 옮겼다. Autodesk에서 10년간 영업, 산업 마케팅 및 제품 관리를 맡았던 그는 미국에서는 세계 시장을, 일본에서는 국내 시장을 관리했다. 그는 Autodesk에 업계 경력을 좀 더 쌓은 후 2012년에 APAC 영업 개발 이사로 Autodesk에 다시 합류했다. 기술, 영업 및 업계 실무에 대한 뛰어난 식견과 역량을 갖추었으며 고객 관계 관리에도 능하다. 제품과 산업에 대한 깊은 지식과 업계 지도자들과의 두터운 친분으로 일본국토교통성(MLIT)의 BIM 프로젝트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그는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석사 학위를, 구마모토 대학에서 토목환경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모션그래픽 쉽게 제작하기 위한 Tips & Tricks 오후 모션그래픽 쉽게 제작하기 위한 Tips & Tricks 정진철 / 오토데스크, 박영우 / 키미데이타 3ds Max 2016에 새로 들어온 Max Creation Graph(MCG)는 모델링 및 애니메이션에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 내는 Tool 이다. 이런 MCG를 이용해 모션그래픽 소스 및 영상제작에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예제를 살펴보고, 보다 빠르고 손쉽게 모션그래픽 제작에 사용할 수 있도록 Step by Step으로 예제가 진행된다. 또한, 3ds Max2016의 신기능인 Camera Sequence와 State Set을 활용한 렌더링 기법을 사용해 필요한 이미지를 랜더링 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이렇게 State Set에서 설정된 Max 파일을 다시 Adobe After Effects로 가져와 랜더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과정을 마지막으로 3ds Max에서 신기능을 활용한 모션그래픽 제작 사례를 설명하고, 각 파트별 Tip & Trick 을 소개한다. 3ds Max는 게임과 영상등 모든 컨텐츠를 제작하는 최고의 제작 툴이다.[목표]1. 3ds Max의 MGC를 활용한 모션그래픽 활용2. State Set 및 Camera Sequence를 활용한 랜더링 기능 정진철 (Jinchul Jung)차장오토데스크 정진철 차장은 2003년부터 영화 및 VFX 관련 일을 시작으로 다수의 영화 VFX와 CF등의 영상을 제작하였다. 현재는 Autodesk Korea에서 Technical Specialist로 근무 중이며 3ds Max와 Motion Builder등 Autodesk 3D Application 기술담당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Max Script 와 Python등script관련 세미나와 강의를 진행중이다. 박영우 (Youngwoo Park)과장키미데이타 박영우 과장은 2004년부터 3ds Max관련 교육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아크로드 및 데몬베일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전주대학교 및 송담대학교에서 3ds Max관련 강의를 하였다. 총 6권의 3ds Max 관련 책을 집필하였으며 상명대 게임학과 박사과정을 수료 후, 현재 Kimi Data에서 3ds Max 관련 Specialist로 근무하고 있다. AutoCAD 2016 Tips & Tricks 오후 AutoCAD 2016 Tips & Tricks 린 알렌 / 오토데스크 린 알렌 (Lynn Allen)테크니컬 에반젤리스트오토데스크 린 알렌(Lynn Allen)은 CAD 전문지인 Cadalyst의 칼럼니스트이자 오토데스크의 기술 에반젤리스트(Technical Evangelist)로, 매년 전세계 3만 명 이상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AutoCAD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22년 동안 Cadalyst에 'Circles and Lines'라는 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Cadalyst의 인기 동영상인 'Lynn Allen과 함께 알아보는 AutoCAD 팁(Tips and Tricks with Lynn Allen)' 시리즈의 목소리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그녀는 오토데스크의 소프트웨어를 25년 넘게 사용해 왔으며, 오토데스크에 입사하기 전에는 13년간 기업체와 대학에서 AutoCAD 강의를 진행했다. 특유의 유머러스한 화법으로 인기가 높은 Allen은 AU®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강사 중의 한 명으로, 세 권의 AutoCAD 관련 서적을 저술한 바 있으며 가장 최근에 펴낸 책은 'AutoCAD Professional Tips and Techniques'이다. 고범진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정연석 / GS건설 요시히코 후쿠치 / 오토데스크 정진철 / 오토데스크, 박영우 / 키미데이타 린 알렌 / 오토데스크 Revit Revit, BIM 360 Civil 3D, Map 3D 3ds Max AutoCAD, AutoCAD based product 모든레벨 모든레벨 중급 모든레벨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비공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Inventor 를 활용한 Top Down 설계 기법 오후 Inventor 를 활용한 Top Down 설계 기법 송정식 / 이디앤씨(ED&C) 이 세션은 Autodesk Inventor를 사용하여 제품 설계를 하시는 설계자들에게 제품 설계 변경의 유연한 대처 방법과 설계자간의 협업 설계 활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설계 방법론을 설명한다. 송정식 (JungSik Song)부장이디앤씨(ED&C) 현업에 제품 구조설계를 하였고, Autodesk Inventor를 사용하여 기업의 3D 설계 프로세스의 방향과 틀을 제시하는 컨설팅 업무 및 제품 기술지원, 교육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엔지니어이다. Autodesk Inventor에 대한 기본과정 및 응용과정에 대한 책을 저술하였고, ATC 공인 강사 및 Autodesk Inventor Specialist로 활동하고 있다. Inventor 모델링에 구동 설정하기 오후 Inventor 모델링에 구동 설정하기 정제경 / 누리데이타솔루션 이 세션은 어셈블리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Invento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접합과 구속조건의 차이- 동작, 변위, 구속조건 셋트를 이용하는 방법- Sub Assembly사이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유연성을 사용하는 방법 정제경 (JaeKyung Jung)과장 누리데이타솔루션 Autodesk 공인협력업체인 ㈜누리데이타솔루션 Autodesk 사업부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다. Autodesk Product Design Suite의 조선 기자재 적용 사례 오후 Autodesk Product Design Suite의 조선 기자재 적용 사례 김효진 / 삼공사 INVENTOR 3rd party template modeling & IDW publishingAUTOCAD PARAMETRIC template designINVENTOR surface modeling & sheet metal expansionSHOWCASE visualization 김효진 (Hyojin Kim)부장삼공사 1999 ~ 2015 주식회사 삼공사 재직 중선박용 창문 설계 및 개발 업무AUTOCAD 사용 : 1999~2015, INVENTOR 사용 : 2003~2015 사출-구조 연성해석을 통한 Glass Fiber 배향성이 충격 파괴에 미치는 영향 오후 사출-구조 연성해석을 통한 Glass Fiber 배향성이 충격 파괴에 미치는 영향 김웅 / 이니츠 사출해석, 구조해석, 열해석 등이 검증 및 선행기술 개발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사출해석의 경우 수지의 특성 등을 고려 해야 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고, 사출품이 구조물로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인 등방성의 금속재질과는 다른 해석적 접근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플라스틱 제품의 특성상 사출 후에는 후변형, 잔류응력 등의 Pre-Stress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구조해석의 Isotropic Material Property 의 해석과 기계적 강성 결과의 차이를 나타낼 수 밖에 없는 중요한 이유이다. 사출조건, Cavity설계 등의 최적 조건에서도 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써 Glass Fiber Orientation에 의한 강성저하는 피할 수 없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WeldLine의 회피설계 혹은 Fiber Orientation의 최적화 등도 가능하지만 제품 디자인 문제, 금형 제작 문제, 비용 문제 등으로 이러한 회피 및 최적 설계도 용이하지 않고 추가적인 비용 발생 및 불량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사출-구조 연성해석 메커니즘의 적용은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에서 제품을 개발하기 이전에, 제품에 대한 사출 성형성을 검증하고, 사출품이 구조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를 검증하여 개발초기에 제품의 최적설계를 위한 Solution을 적용함으로써 개발비용 절감과 제품 신뢰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PPS GF 40%의 사출 성형품 에서의 Glass Fiber Orientation이 기계적 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제품 설계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사출-구조 연성해석 메커니즘을 검증한다. 김웅 (Woong Kim)선임연구원, 연구개발팀이니츠 전공 : 사출 금형 설계, 비선형 유한요소법업무 : 사출 해석, 구조 해석, 열유동 해석최근 연구 : 사출-구조 연성에 대한 CAE신뢰성에 대한 연구 Nastran In CAD를 이용한 기계 진동 해석 오후 Nastran In CAD를 이용한 기계 진동 해석 손민혁 / 오토데스크 현대 산업사회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문제는 많은 결함과 비용을 유발할 수 있다. 기계 설계 과정에서 이러한 진동 문제를 예측하고 회피할 수 있다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계 진동을 다루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기초적인 모달 해석 및 시험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본 세션에서는 기계 제품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엔지니어 및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기계 진동 문제를 해석적으로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오토데스크 3D CAD 제품인 Inventor에서 사용할 수 있는 Nastran In CAD를 이용하여 ,모달 해석, 주파수 응답 해석, 랜덤 진동 해석 등의 다양한 진동 해석 기능을 알아보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손민혁 (Minhyuk Son)차장오토데스크 현재 오토데스크 코리아에서 시뮬레이션 기술그룹에 재직 중.2011년 박사학윈를 취득하고, 네덜란드 국영 연구기관인 TNO의 자회사인 TASS international 에서 자동차 선행 안전 및 차량동역학 관련 기술지원 업무를 3년간 수행.기계 진동 및 동역학 해석과 관련한 국책과제 및 자동차 업체와 다수의 연구과제를 진행.2014년 오토데스크 코리아에 입사하여 구조해석 관련 기술업무를 맡고 있다. 현재 자동차공학회의 차체 및 섀시 전문위원회에서 관련 표준화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 Alias Transformer Rig tool 실무 활용 소개 오후 Alias Transformer Rig tool 실무 활용 소개 안정호 / 현대자동차 안정호 (Jeongho Ahn)책임 연구원, 디자인CAS팀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디자인CAS팀 소속 책임연구원2005년~ 현대자동차 입사2010년~ 현대자동차 디자인CAS팀2015년 現 현대자동차 인도CAS팀 담당매니저 활동 中 송정식 / 이디앤씨(ED&C) 정제경 / 누리데이타솔루션 김효진 / 삼공사 김웅 / 이니츠 손민혁 / 오토데스크 안정호 / 현대자동차 Inventor Inventor PrDS Moldflow Alias 중급 상급 초급 중급 모든레벨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14:50 ~ 15:00 휴식 15:00 ~ 15:40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Breakout Session 한옥 설계를 위한 BIM 적용 사례 오후 한옥 설계를 위한 BIM 적용 사례 전봉희 / 서울대학교 본 세션에서는 한옥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Revit add-in을 소개한다. 최근 한국에서는 한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신한옥 건설을 위한 기술개발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신한옥을 위한 BIM 설계도구 개발의 필요성 역시 대두되어, 국토교통부 R&D 사업을 통해 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Revit은 한국에서 가장 보급률이 높은 BIM툴로서 한옥 BIM 기술개발 역시 Revit을 활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간 개발이 진행된 BIM 기반 한옥 설계지원 기술의 개발방향을 간략히 설명하고, Revit add-in으로 개발된 한옥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소개한다.[목표]한옥 설계를 위한 BIM 도구의 개발방향과 개발기술의 소개 전봉희 (Bonghee Jeon)교수, 공과대학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에 재직 중이며, 신한옥, 한옥 활성화, 한옥 기술기준, 건축 아카이브 구축 등 한옥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2009년 부터 국토교통부의 한옥기술개발(R&D)에 참여하고 있다. 2009년에서 2013년까지 진행된 1단계 한옥 R&D 사업을 통해 한옥건축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2014년 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2단계 한옥 R&D 사업에서는 BIM 기반 한옥 설계지원 시스템 개발의 연구 책임을 맡고 있다. Lean 건설의 틀에서 본 프로젝트 수행방식과 BIM 적용의 차이 오후 Lean 건설의 틀에서 본 프로젝트 수행방식과 BIM 적용의 차이 김종훈 / 삼성물산 디자인-비드-빌드, 디자인-빌드, 디자인-어시스트, CM at Risk (GMP), IPD 등 건설산업의 대표적 프로젝트 수행방식에 따라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책임과 역할, 이들간의 workflow, 협업 (Collaboration)이 어떻게 달라지며, 이들 차이가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결정과 결과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이와 같은 이해를 토대로 각각의 프로젝트 수행환경에서 적절한 BIM 수행을 위한 목표설정, 착수시기와 수행일정, 조직 구성 및 협업체계 구성, 그리고 기대 효과에 대해 소개한다.[목표]1. 다양한 프로젝트 수행방식 따른 workflow와 프로젝트 참여자간 협업 등 차이가 무엇이고, 그 차이가 설계 및 시공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2. 다른 프로젝트 수행방식이 BIM 적용에 미치는 영향과 요소를 이해한다.3. 각각의 프로젝트 수행방식에 맞는 BIM 적용 전략과 기대효과를 이해한다. 김종훈 (Jonghoon Kim)수석삼성물산 2007년 스탠포드 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스탠포드대에서 연구와 Consulting Professor로 CM 학생들을 가르쳤다. 이후 미 DPR Construction에서 Senior BIM Manager로 일하였고, 현재는 삼성물산 BIM 파트장을 맡아 근무하고 있다. 김종훈 박사는 연구분야에 종사함으로써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여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DPR, 삼성물산 등 기업체 근무 기간 동안 많은 프로젝트에서 BIM을 적용한 경험을 갖고 있다. 한국의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 3차원 설계의 가능성과 한계 오후 한국의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 3차원 설계의 가능성과 한계 조명환 / 도화엔지니어링 1.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3차원 설계를 통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코자 합니다.2 이와 더불어 현재 국내 설계 성과품 작성 지침상으로 설계단계에서 상세한 도면 작성과 수량 산출 근거를 요구하고 있지만, 향후 3차원 설계가 일반화 된다면 이러한 요구사항이 맞는지와 현재 상태에서 3차원 설계 도입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코자 합니다. 조명환 (Myunghwan Cho)부장도화엔지니어링 (주)도화엔지니어링 기술개발연구원에 재직 중이며, 도로 분야 설계 및 재료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국책 연구 과제로 “도로 동상방지층의 효용성 검증 및 설치 기준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토목 분야 BIM 도입 동향과 도입 방안 수립”에 관한 사내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도로학회와 대한토목학회 및 방재학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새로운 인터렉티브 비주얼 제작, Autodesk Stingray 엔진 활용법 오후 새로운 인터렉티브 비주얼 제작, Autodesk Stingray 엔진 활용법 안커 모한 / 오토데스크 이 세션에서는 코어 아키텍처, Autodesk DCC 툴과의 상호 운용성, Flow라고 불리는 Stingray 비주얼 스크립팅 시스템과 Lua 스크립트를 이용한 게임 로직 설계 등, Autodesk Stingray의 주요 장점을 다룬다. 단순한 Stingray 어플리케이션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개념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는 기회도 갖는다.[목표]1. 3D 게임 엔진, Stingray 를 소개2. 단순한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중요한 Stingray 개념 이해 안커 모한 (Ankur Mohan)제품 매니저오토데스크 Scaleform가 인수되면서 2010년 3월에 Autodesk에 합류하였다. Scaleform 근무 당시에는 IME 같은 애드온 제품 구현과 Gamebryo 및 Unity와의 엔진 통합 업무를 담당했고, Autodesk에서는 Stingray 소스 배포를 관리하고 Stingray 지원 및 홍보 팀을 이끌고 있다. 메릴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조지타운 대학교(Georgetown University)에서는 MBA를 취득하였다. 현재 이스트 코스트(East Cost)의 그린벨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메일 주소는 ankur.mohan@autodesk.com 이다. 대한민국에서 단 하나! 나만의 AutoCAD 만들기 오후 대한민국에서 단 하나! 나만의 AutoCAD 만들기 박한울 / 다우데이타 AutoCAD가 많은 설계자들의 지속적인 사랑을 받는 이유 중의 하나는 편리한 사용법 때문이다. 리본메뉴, 클래식메뉴, 명령어 입력 뿐 만 아니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때 나타나는 팝업메뉴, 그립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객체를 제어하여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이 모든 메뉴는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한 곳에 모아서 사용할 수도 있고, 주요 기능의 하위 명령어를 자동으로 입력하게 만들 수도 있다. 명령어가 너무 긴 경우, 단축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사용자의 입맛에 맞도록 AutoCAD를 꾸미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려 한다. 박한울 (Hanul Park)대리, 기술지원팀다우데이타 건축설계를 전공하여 현재는 한국 Autodesk 총판인 ㈜다우데이타 Autodesk 사업부에서 엔지니어로 근무 중하고 있다. 설계사무실과 건설사에서 근무하며, AutoCAD 사용자들이 어떤 기능을 자주 사용하고 어려워하는지 잘 알게 되었다. 이렇게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현업에서 도면 제도와 관련된 컨설팅과 교육을 주 업무로 근부하고 있으며,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하우와 유용한 팁을 엮은 'Do it! 오토캐드'라는 도서를 2014버전부터 2016버전에 대해 집필하였다. 전봉희 / 서울대학교 김종훈 / 삼성물산 조명환 / 도화엔지니어링 안커 모한 / 오토데스크 박한울 / 다우데이타 Revit Revit Civil 3D Stingray DTS AutoCAD 상급 모든레벨 중급 모든레벨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15:00~15:15)Sponsor Session Lenovo / 문선경 차장 (15:00~15:15)Sponsor Session HP / 류민열 부장 i-Logic을 활용한 Inventor 기능 확장 오후 i-Logic을 활용한 Inventor 기능 확장 손광호 / 다우데이타 Autodesk Inventor I-Logic을 구현하여 필요 기능을 만들거나 Inventor를 더 편하게 사용 가능하게 튜닝을 해본다.Sample 적용 사례를 통해 실무에 사용 가능하게 접근해 보고 나만의 Inventor를 꾸며본다. 손광호 (Gwangho Son)차장, 기술지원팀 다우데이타 2004.11 ~ 2015.8 현재 : 다우데이타 SW사업본부 기술지원팀 팀장2002.1 ~ 2004.11 : ㈜ 세크론 기술연구소 기구설계팀2000.11 ~2002.12 : ㈜씨피씨 기술연구소저서 : 인벤터 10 A to Z (과학기술), 인벤터 열 한번째 이야기 (북미디어), 아이러브 인벤터 2010 (북미디어) 제품 개발을 위한 PrDS 워크플로우 소개 오후 제품 개발을 위한 PrDS 워크플로우 소개 백경민 / 코오롱베니트 AutoCAD를 활용한 2D CAD 설계자부터 Multi-CAD를 활용한 3D 설계 디자인 영역까지 Product Design Suite 제품 내에 Inventor를 활용한 제품 설계 프로세스 개선을 소개한다. 또한 Autodesk Solution만의 장점인 호환성을 이용한 다양한 Suite 제품들간의 확장된 프로세스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 백경민 (Kyungmin Baek)과장 코오롱베니트 Autodesk MFG Solution 엔지니어로써 다양한 고객들과의 직접 만날 수 있는 Autodesk University가 국내에 개체되어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고객들의 이슈와 프로젝트 경험 등을 바탕으로 AU Korea에서 그동안의 경험과 저를 비롯한 많은 MFG Solution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각자의 노하우와 경험을 공유하고 이해하며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 Inventor의 고급 서피스 모델링 오후 Inventor의 고급 서피스 모델링 김성옥 / 단군소프트 이번 세션에서는 서피스 모델링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인벤터에 포함된 다양한 서피스 생성 기능과 편집 및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김성옥 (Seong ok Kim)이사 단군소프트 Autodesk Mechanical Desktop이 출시된 1996년부터 Autodesk사의 기계 제조 분야 CAD 제품 및 PDM 제품의 기술지원 업무를 담당해 왔다. 영진출판사(현 영진닷컴)를 통해 Mechanical Desktop 2.0과 3.0 교재를 유한대학교 엄정섭 교수님과 공동 출판하였으며, 유수의 고객사에 3D 설계 프로세스 컨설팅, PDM 시스템 구축을 수행하였다. 플라스틱 제품개발에서 Moldflow장점( Warpage, Optimizing, C/T CAL.) 오후 플라스틱 제품개발에서 Moldflow장점( Warpage, Optimizing, C/T CAL.) 이도명 / 삼성전자 1. 플라스틱(사출) 부품의 휘어짐이 감소되는 Moldflow 활용 방법플라스틱 제품은 사출후 부품형상의 각 지역별로 발생하는 수축편차에 의해 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사람의 경험과 인지능력의 의해 측정되거나 계산해 낼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Moldflow S/W를 이용해 Warpage 결과를 예측 할 수 있으며, 형상변경을 통해 휨이 감소되는 사례를 소개한다.2. Moldflow와 EzOPT MOLD를 활용한 최적화 S/W 적용 사례 EzOPT Mold 활용사례소개 : EzOPT Mold S/W는 Moldflow와 연동해서 구동되는 최적화 S/W 이다. 이를 이용해 사출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의 게이트 위치를 자동으로 편리한 절차를 통해 그 결과를 표시한다.3. Moldflow물성 DATA BASE를 이용한 사출 Cycle Time 계산 방법사출부품의 C/T계산은 일반적으로 사출, 보압, 냉각, 형개, 취출, 형폐의 6단계로 진행이 되며 그중에서 레진의 물성 DATA를 이용해 가장 중요한 냉각시간을 계산하는데 활용하였고, 그 방법 소개한다. 이도명 (Domyuong Lee)책임연구원삼성전자 1. 현재 : 삼성전자 프린팅 솔루션사업부 책임연구원- 사출성형CAE(Moldflow) 담당2. 주요업무 : 사출성형CAE와 관련된 모든 업무3. 관심분야 : - 프린터 사출금형 개발과 사출품질 개선- CAE를 이용한 금형 및 사출불량 해결책 제시 오토데스크 구조해석의 방향과 비선형 해석 소개 오후 오토데스크 구조해석의 방향과 비선형 해석 소개 미노루 칸자 / 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연구소에서 개발중인 “Arro” 제품에 대해 소개한다.Arro는 오토데스크의 구조 해석 기술이 앞으로 나아가게 될 방향성을 제시한다.추가로, 비선형 접촉 세팅 연구에 대해서도 설명할 것이다. 미노루 칸자 (Minoru Kanja)Manager, APAC Simulation Specialist 오토데스크 7년차 FEA 사용자로, 23년째 FEA 업무에 종사해오고 있다. 그는 토요타와 혼다 같은 자동차 업체에서 FEA 엔지니어로 일했고, SDRC에서는 기술 컨설턴트로 재직했으며, KUSCO (Kubota Solid Technology)에서는 제품 마케팅 책임자를 역임했다. 현재는 오토데스크의 아태지역 시뮬레이션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Alias Technical Surfacing -Align기능을 활용한 서페이스 공차(tolerance) 마무리   오후 Alias Technical Surfacing -Align기능을 활용한 서페이스 공차(tolerance) 마무리   신현준 / Alias 모델러 Alias의 Data Release 과정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Tolerance의 정의와 구성에 대해 살펴 본다.부적절한 Tolerance의 적용으로 발생하는 모델링의 문제는 단순히 Design 과정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고, 설계 및 금형 과 같은 후반 과정 작업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발생 시키게 된다. 때문에 초기 모델링 과정에서 이런 문제를 쉽고 편리하게 해결 할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 시간의 단축과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모델링 프로세스를 제시 하고자 한다.Alias는 이러한 작업에 최적화된 우수한 모델링 Tool과 기능을 제공 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올바른 사용법의 모델링 작업을 통해 자신만의 Design Mind와 철학에 더 의미를 부여하며 작업 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현준 (Hyunjoon Shin)Alias 모델러 Alias 프리렌서 모델러로 활동, 18년 이상의 ALIAS 모델링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제품 디자인 및 중국 인도 그리고 국내 자동차 업체들과 직간접적으로 다수의 Project에 참여 하였다. 또한 ‘Alias Evangelist’로써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Alias 교재 제작과 교육에도 뜻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Facebook, Youtube 등의 Social Media를 통한 Alias의 기술 전파와 함께 국내외 여러 유저들과 교류 소통하며 Alias Surface Modeling의 발전과 기술개발에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주요 경력: . 서울산업대학교 공업디자인과 졸업 . 장애인용 특장차 EXT PARTS MODELING / CLASS-A (ALIAS) . VETNAM 현지 생산 SCOOTER MODELING / CLASS-A (ALIAS) . INDIA 수출용 INT/EXT MODELING / DESIGN MODELING (ALIAS) . CHINA 자동차 업체 INT/EXT MODELING / DESIGN MODELING (ALIAS) . POST PRODUCTION - 삼성 카메라 ST550 (한효주 CF) CF / 영상용 MODEL 제작 (ALIAS) . 기타 자동차 업체 MODELING / VR (ALIAS, SHOWCASE) .저서 : 동영상으로 배우는 Alias AutoStudio 2015 (도서출판 Nstart)’ 손광호 / 다우데이타 백경민 / 코오롱베니트 김성옥 / 단군소프트 이도명 / 삼성전자 미노루 칸자 / 오토데스크 신현준 / Alias 모델러 Inventor PrDS Inventor Moldflow Alias 상급 중급 중급 모든레벨 중급 중급 / 상급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15:40 ~ 16:05 휴식 (15:55 ~ 16:05) 휴식 (15:40 ~ 16:05) 16:05 ~ 16:45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Breakout Session 일본 건축사 사무소의 BIM 적용 현황 오후 일본 건축사 사무소의 BIM 적용 현황 카즈오 하마지 / 오토데스크 일본 AEC 비즈니스의 산업 구조에 대한 이해와 최신 사례 연구를 통해 일본 정부와 건축주의 BIM 의무화 추세, 이에 대한 건축 회사의 대응에에 대해 알아본다. 사례 연구에는 일본의 한 소프트웨어 솔루션 업체와 BIM 워크플로우를 여러 실무 영역에 걸쳐 통합한 경우도 포함되어 있다. 앞으로 BIM을 의무화한 건축주와 프로젝트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Future of Making Things'를 맞아 AEC 업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알아본다.[목표]1. 일본의 사례 연구를 통한 BIM의 발전 방향2. 건축주의 BIM 의무화에 대처하는 방안 카즈오 하마지 (Kazuo Hamaji)WWSS AEC Sales Development Executive오토데스크 APAC 내에서 성숙한 국가의 AEC 비즈니스 개발을 담당하는 일본 주재 책임자 건축 설계 관리 분야에서 15년의 경력을 쌓았으며 미국과 일본에서 BIM/디지털 설계 기술 개발 경험을 갖고 있다. 니켄세키의 디지털 디자인 연구소에서 근무했고, AMD에서는 전문 그래픽(Professional Graphics) 업무를 담당했으며 Graphisoft에서는 제품 마케팅을 담당하였다. 카즈오 하마지는 뉴욕대학교에서 도시 설계 및 건축공학을 전공했고, 현재 일본 건축 학회(AIJ: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의 회원이다. 모듈러 건축의 실증단지 구축 및 BIM 설계 오후 모듈러 건축의 실증단지 구축 및 BIM 설계 임석호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창재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근 기존방식과 차별화된 공법으로 모듈러 공법에 대한 국가 R&D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 중 하나인 '수요자 맞춤형 조립식 주택 기술개발 및 실증단지구축' 연구에서 실증단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국내 최초로 BIM을 통해 모듈러 주택의 설계를 진행하였다. 본 세션에서는 연구의 수행내용 및 지금까지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구체적 발표내용은 모듈러 주택의 실증단지 구축, 모듈러 건축의 BIM 설계의 필요성, BIM 설계 프로세스 등으로 이뤄진다. 또한 이번 세션을 통해 모듈러 및 BIM 설계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혐할 예정이다.[목표]1. 모듈러 건축의 실증단지 구축2. 모듈러 건축의 BIM 설계 임석호 (Seokho Lim)선임연구위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 선임연구위원<학력>-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공학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건축계획/공학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건축계획 및 설계/공학박사)<주요경력>- GQ마크심의 위원(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산업자원부 KS규격 창호분과위원- 한국주거학회 참여이사- 고양시 도시계획위원- 강원도 설계심의 위원<국가 R&D 수행 관련>국가 R&D연구사업(핵심연구개발사업)의 2개 총괄연구책임자로서 '리모델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유지관리프로그램개발연구'(2005완료)와 '자원순환형 유닛모듈라주택개발연구(2004-2007)'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비용절감형 장수명주택 보급모델 개발 및 실증단지 구축', '모듈러 건축 중고층화 및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등의 3개 대형 국가 R&D 연구를 수행 중이다. 특히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대표 소원과제로써 '탈현장 초고속 주택 건설기술 개발'의 총괄책임을 담당하고 있다. - 국가 R&D 중대형과제인 '수요자 맞춤형 조립식 주택 기술개발 및 실증단지구축' 연구의 총괄책임자를 맡고 있다. 이창재 (Changjae Lee)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 박사후연구원<학력>- 조선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공학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건축계획 및 설계/공학석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건축계획 및 설계/건축학박사)<주요경력>- 원광대학교 외래교수- 광주여자대학교 외래교수- 목포대학교 외래교수- 조형건축사설계사무소 근무<국가 R&D 수행 관련>- 탈현장 초고속주택 설계 및 환경성능 기술개발- 수요자 맞춤형 조립식 주택 기술개발 및 실증단지 구축- 비용절감형 장수명주택 보급모델 개발 및 실증단지 구축- 모듈러 건축 중고층화 및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첨단 측량장비를 활용한 공장 3D 역설계 방안 및 효과 오후 첨단 측량장비를 활용한 공장 3D 역설계 방안 및 효과 정택선 / 차후 2010년도 이후 눈부시게 성능이 좋아진 3D스캐너라는 첨단 공간정보 획득 장비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규모의 3D 형상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한 BIM 도면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BIM 도면의 빠른 생성은 기초적인 단계로서 이를 통해서 BIM의 활용을 더욱 가속화 하고, 일반적인 환경 및 산업현장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만든다. 건축물 / 구조물의 노후화가 심각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장수명화 이슈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장수명화를 위해서는 3D도면을 통해서 시뮬레이션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저탄소 녹색성장과 기술융합을 통한 창조경제 분야가 생성된다.[목표]1. 첨단 측량장비인 3D 스캐너를 활용하여 조기 BIM 생성2. 3D 역설계를 통한 리노베이션 / 리트로핏 / 리모델링 용이 정택선 (Taeksun Jung)팀장, 3D 컨버전스 본부차후 정택선 팀장은 시설물의 산업안전 확보를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신기술을 만들어가는 ㈜차후의 3D컨버전스본부의 팀장이다. 3D 스캐닝을 활용한 산업체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였고, 국책과제에서도 과제 책임 및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였다. 중국 및 국내 프로젝트도 진행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지속적인 산업안전 확보를 위하여 기술을 확보한 시스템 확산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자 – Shotgun과 Pipeline Toolkit 오후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자 – Shotgun과 Pipeline Toolkit 앤드류 로렌스 / 오토데스크 이 세션은 Shotgun의 제작 과정 추적, 검토, 자산 관리 소프트웨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Shotgun이 전체 팀원의 팀워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도 알아볼 수 있다. 즉, 아티스트와 슈퍼바이저가 어떻게 손쉽게 협업하고 관리자가 좀 더 효율적으로 제작 결과를 검토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목표]1. 최근 많은 스튜디오 환경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이해2. Shotgun이 스튜디오 환경과 업무 흐름을 어떻게 개선하는지에 대한 논의 앤드류 로렌스 (Andrew Lawrence)제품 지원 전문가, 지원팀오토데스크 영국 런던에 있는 Shotgun 지원 팀의 일원으로, VFX 편집 및 제작 부서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수 백 개의 스튜디오에서 제작되고 있는 수천건의 프로그램에 제작 진행 및 제작 도구를 지원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앤드류 로렌스는 제작자들이 최상의 제작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언제라도 출동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다. 런던에 가면 고객 하나 하나를 만족시키기 위해 이 스튜디오에서 저 스튜디오로 거리를 분주하게 오가는 그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당신에게 제작과 관련한 아이디어가 있다면 앤드류가 기꺼이 당신과 합류하여 그 아이디어가 현실이 되도록 도와 줄 것이다. 참고로, 그가 만드는 애플 크럼블은 정말이지 환상적이다. 6시 퇴근을 위한 지름길 - AutoCAD 집중 분석 오후 6시 퇴근을 위한 지름길 - AutoCAD 집중 분석 민경훈 / 에스비씨케이 AutoCAD 사용자가 놓치기 쉬운 숨겨진 보조 프로그램을 소개한다.세션 참석 대상자는 일반사용자, 관리자 등 전체 사용자 이며 일반 IT 관리자도 이해가 가능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AutoCAD 보조 프로그램의 소개 및 데모시연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참석자는 기능소개 및 활용, 업무적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세션 진행순서1. 마이그레이션2. 디지털 서명3. 참조관리자4. 배치 표준 검사기5. 도면의 보안 민경훈 (Kyunghun Min)대리에스비씨케이 Autodesk 공인 총판사인 SBCK 에서 기술지원 리더 를 맏고 있으며 ACU(Autodesk Certified User)의 한국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발표자 저서- AutoCAD 쉽게 따라하기(2009, 2010) - AutoCAD for ACU - Autodesk Inventor 2014 Basic for Engineer 카즈오 하마지 / 오토데스크 임석호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창재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택선 / 차후 앤드류 로렌스 / 오토데스크 민경훈 / 에스비씨케이 Revit Revit Map 3D, Recap Shotgun AutoCAD 중급 모든레벨 중급 초급 / 중급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Inventor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관리 방법 오후 Inventor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 센터 라이브러리 관리 방법 김재철 / 유써브 1. Inventor 사용자의 공용부품 라이브러리 등록방법2. 프레임 생성기를 활용한 프로파일 프레임 만들기3. 사용자 파이프 규격을 등록하여 자동파이프 라인설계하기 김재철 (Jaechul Kim)부장유써브 현) 유써브 AUTODESK 기술지원팀장유써브 ATC센터 Inventor 중고급교육 강사Inventor ACP 자격영신기계(주) 부설연구소 18년 재직2006년(영신기계), 2011년(3P ROBOT) AUTODESK 성공사례발표 AutoCAD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관리 방안 오후 AutoCAD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관리 방안 차준호 / 오토데스크 국내 시장에서 설계 도면 및 관련 문서에 대한 데이터 관리는 PLM이라는 고정 관념이 많이 퍼져있고, 설계자와 실무자 그리고 현장 업무 담당의 입장에서는 많은 부분의 편의가 무시되고 간과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오토데스크 Vault는 이런 설계자와 문서 관리자 그리고 검토자 등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세션에서는 AutoCAD 기반의 설계자가 최소의 교육으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자동화 기능에 대하여 짧은 시간에 경험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차준호 (Junho Cha)부장 오토데스크 Application, 네트워크 및 보안 솔루션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 환경에서 On-premise와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관리 솔루션 경험을 가지고 Autodesk Vault 솔루션및 PLM360 제품을 담당하고 있다. 디지털 팩토리를 위한 Autodesk 솔루션 오후 디지털 팩토리를 위한 Autodesk 솔루션 박경태 / 코오롱베니트 디지털 공장 및 레이아웃, 생산관리를 통해 회사의 생산품목 공정개선을 시키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른 다양한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여러분들의 생산 item을 통해 공장의 생산라인 공정을 개선하고 혁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확장성과 효과를 확인 하실 수 있다. 박경태 (KyungTae Park)과장 코오롱베니트 코오롱베니트 Autodesk Tech 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기계설계 및 제조분야에 종사하는 많은 고객 분들과 많은 기술상담과 설계 혁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제조분야에서 일하고 계신 모든 분들께 많은 정보 전달을 통해 회사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한다. 사출성형에서 1차원 및 2차원 형상을 갖는 첨가제의 배향 오후 사출성형에서 1차원 및 2차원 형상을 갖는 첨가제의 배향 류민영 / 서울과학기술대 플라스틱 재료는 갈수록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금속을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제품의 디자인이 중요하게 부각 되면서 플라스틱 표면에 금속의 질감이 나도록 하는 도장이나 코팅이 활용된다. 그러나 제품생산에서 공정 수가 증가되면 불량이 증가되고 생산단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추가되는 공정을 생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플라스틱 제품에 금속질감의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플라스틱에 알루미늄 조각을 첨가 하여 컴파운드를 만든 후 사출성형하는 방법이 활용된다. 알루미늄 조각은 납작한 판 형상으로 2차원 형상을 갖는 첨가제이다. 이러한 2차원 판상형상이 사출되면서 제품표면에 편편한 면이 보이도록 배향되면 금속질감이 잘 나타나나 두께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이 표면에 보이도록 배향되면 어두운 질감을 갖는 결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2차원 판상형상이 요구되는 금속질감을 보이도록 배향을 유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표에서는 사출성형 중에 이루어지는 분자의 배향, 1차원첨가제인 유리섬유의 배향, 그리고 2차원형상의 배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류민영 (Minyoung Lyu)교수서울과학기술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교수- Polymer(Korea) 부편집위원장, Elastomers & Composites 편집위원- 제23회, 제2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삼양사 중앙연구소 수석연구원- LG생산기술연구원 주임연구원- Principal Engineer, The Institute of Polymer Engineering, The Univ. of Akron- The University of Akron, Department of Polymer Engineering, 박사- KAIST, 생산공학과, 석사- 한양대학교 기계설계학과, 학사 유한 요소 기법을 이용한 피로 파괴 해석 오후 유한 요소 기법을 이용한 피로 파괴 해석 김범근 / 인제대학교 3D CAD 로부터 FE analysis에 이르기까지 기계 산업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CAE 중에서 자동차 산업 분야의 응용과 관련하여 발표자가 수행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분야의 연구를 소개한다.- 자동차 금속 재료의 강도 및 내구성능 평가- 플라스틱 재료에서의 잔류응력 영향- 초탄성 재료의 모델링- 2차 전지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 김범근 (Beomkeun Kim)교수인제대학교 Stanford University 항공우주공학 박사학위 취득- Sandwich 구조물 적용을 위한 core materials 연구 분석현대기아 연구개발 본부, 선임연구원- FE analysis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 복합 구조 해석 및 설계인제대학교, 전자IT기계자동차공학부 교수- 연구분야: 구조 강도 및 내구성 분석, Polymer, 복합재료 또는 초탄성 재료의 모델링, 자동차 엔진의 설계, 전기화학시스템의 모델링15년 이상의 FE analysis 분야 경험 보유 차량평가의 디지털화를 위한 CAD와 V-RED 연계활용 오후 차량평가의 디지털화를 위한 CAD와 V-RED 연계활용 안성후 / 현대자동차, 유건호 / 현대자동차 다양한 디자인 변형에 대해 빠르게 대처 가능한 Transformer Rig 기능의 장점 및 적용 가능한 CAS 실무 범위에 대해 설명 합니다. 안성후 (Seonghoo Ahn)책임연구원현대자동차 유건호 (Gunho Yu)연구원현대자동차 김재철 / 유써브 차준호 / 오토데스크 박경태 / 코오롱베니트 류민영 / 서울과학기술대 김범근 / 인제대학교 안성후 / 현대자동차, 유건호 / 현대자동차 Inventor AutoCAD, Vault FDS Moldflow VRED 초급 초급 중급 상급 모든레벨 초급 / 중급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16:45 ~ 16:55 휴식 16:55 ~ 17:35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AutoCAD Track 1- 건축 Track 2- 건설 Track 3- 토목 Film & TV Breakout Session Navisworks와 Mobile기반 오토데스크360을 활용한 시공 현장에서의 BIM Data활용 사례 오후 Navisworks와 Mobile기반 오토데스크360을 활용한 시공 현장에서의 BIM Data활용 사례 박보성 / 포스코 포스코A&C는 Design/ Design-Build/ CM/ modular House사업을 하고있는 국내 유일한 건축설계종합회사이다.A&C 시공 현장에서 활용된 Navisworks와 Mobile기반 오토데스크360을 활용한 시공 현장에서의 BIM Data활용 사례와 모듈러 유니트 생산 공장에서 활용된 Modular System생산을 위한 BIM기반 설계 표준 모델 개발 내용을 소개 하고자 한다. 박보성 (Bosung Park)매니저포스코 포스코A&C에서 설계 실무를 익혔으며, Modular System생산을 위한 BIM기반 설계 표준 모델을 개발로 모듈러 이동형주택 사업에 참여했으며, 3D측량을 활용한 구조물의 정도관리 시스템 개발에 참여 했다.현재는 BIM기술팀에서 BIM기술개발과 BIM실무 교육 및 프로젝트 직접 수행으로 시공 현장 BIM지원 업무를 맡고 있으며, 조달청BIM강사로 활동 중이다. 현장을 위한 BIM 정리정돈 오후 현장을 위한 BIM 정리정돈 이명훈 / 대림산업 대림산업 BIM적용 사례를 기반으로 시공현장에서의 유용한 BIM Tools의 사용Tip들을 공유하고, 현장에 BIM 적용 시 갖추어야 할 필수 조건들에 대해서 고찰해 본다. 이명훈 (Myunghoon Lee)대리대림산업 현재 대림산업 건축기술팀에서 BIM기술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2009년 용인시민체육공원을 시작으로 다양한 BIM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도로에서 시작하는 BIM 계획 오후 도로에서 시작하는 BIM 계획 김종원 / 평화엔지니어링 1장 Big Data를 활용한 기초자료 지형도 구축- 구글어스에서 위치정보 및 작업범위 설정- DEM 데이터 3D 지표면 생성- GIS Shape(도로, 철도, 하천 등 ) 파일 현황 추가2장 BIM계획 및 시각화- Civil 3d 노선계획 및 물량산출- Infraworks Visualization·교량, 교차로 설치 및 비교검토·주행 시뮬레이션 김종원 (Jongwon Kim)부사장평화엔지니어링 < 근무경력 >2006.07~2015.09(현재) (주)평화엔지니어링 부사장2000.11~2006.07 (주)수성엔지니어링 전무1993.08~2000.10 (주)금호엔지니어링상무< 발표논문 >도로 및 공항 기술사회 회지2014.10 SMART Highway 오르막차로 설치 필요성 및 기준 연구2013.08 초고속 주행 환경에서의 종단경사 설계 기준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교통학회지2009.06 고속국도 교통사고 잦은 지점의 사고특성 분석을 고려한 기하구조 개선기법 /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상훈기록 >2009.07 대통령상 표창2006.02 한국도로공사 사장 표창2005.12 건설교통부 장관 표창 리얼타임 렌더링 기술을 활용한 건축, 건설 디자인 시각화의 미래 오후 리얼타임 렌더링 기술을 활용한 건축, 건설 디자인 시각화의 미래 마크 해머커 / 오토데스크 건축 공간의 작업을 위해 Revit® 같은 BIM 소프트웨어와 3ds Max® 같은 3D 컨텐츠 소프트웨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Autodesk사의 미래 방향은? 이와 관련하여 Autodesk의 마크 해머커(Marc Hamaker)로부터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어떻게 시스템적 연결로 보다 나은 건축 설계의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들어본다. 마크 해머커 (Marc Hamaker)시니어 인더스트리 마케팅 매니저오토데스크 Autodesk에서 영화, TV 및 게임 시장을 관장하는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사업부의 산업 마케팅 수석 관리자로서, Maya, Maya LT, 3ds Max, Stingray, Flame Premium, Smoke를 담당하는 제품 마케팅팀을 관리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생성 및 포스트 프로덕션 분야에서 20년이 넘는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주도하는 기술 프로세스와 시장 요소들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갖고 있다. Autodesk 입사 전에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있는 WBZ-TV/CBS에서 포스트 프로덕션 부편집장을 역임하였으며 뉴욕에서는 광고 방송 제작 업무를, 버지니아에서는 방송 홍보 업무를 담당했다. Autodesk에서는 Autodesk 제품 관리 및 고객 관계와 관련된 업무에 주력해왔으며, 애플리케이션 전문 담당 및 판매 개발 관리자의 임무를 맡기 전에는 고객 및 업계 리더들과 교류하는 일을 주로 담당하였다. 또한 Autodesk의 대외 행사에서는 제품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언론사 및 고객 패널을 이끌며 신제품 출시 행사의 사회를 보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에서 커뮤니케이션 이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AutoCAD를 이용한 3D Printing의 모든 것 오후 AutoCAD를 이용한 3D Printing의 모든 것 노수황 / 메카피아 Autodesk 3D 모델링 & 제품디자인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개와 국내 교육기관 및 현업에서의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디자인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3D프린터로 출력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특히 교육기관으로서 오토데스크 솔루션의 교육 현장 활용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3D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3D프린터로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 데모를 실시하고 Autodesk 소프트웨어로 디자인한 여러가지 제품을 전시하여 세션에 참석하신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발표하고자 한다.[세션 진행순서] 1. 교육 현장에서의 오토데스크 솔루션 소개2. 오토데스크 솔루션을 이용한 교육 및 실무 사례 소개 3. 교육 현장에서의 3D 모델링과 3D프린팅 출력 활용 사례 소개 4. 3D프린터를 이용한 아이디어의 Prototype 실물화 5. 국내 3D프린팅 주요 업계 현황 노수황 (Soohwang Rho)대표이사메카피아 주식회사 ‘메카피아’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으며 주요 경력으로 공장자동화(FA)기계 및 자동차 엔진, 변속기 부품 제조 전용 설비와 공정 자동화 라인 설계를 주로 담당하였으며 수년간 설계사무소를 운영해 왔고, 지금은 인천 본점 외에 서울 가산디지털단지역 부근에 서울지점을 설치하여 ‘메카피아창도기술교육원’을 설립하고 운영 중에 있다. 특히 본 교육원은 오토데스크 공인교육센터(AATC)로서 오토데스크 제품의 실무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 오토데스크 MFG 총판 교육과 더불어 오토데스크 국제자격인증시험(ACP)을 실시하고 관리하는 ACC로 지정되어 활동하고 있다. [현재] ㈜메카피아 대표이사 도서출판 메카피아 발행인 메카피아창도기술교육원 원장 NCS국가직무능력개발위원 3D프린팅제품제작 분야 온라인 네이버 카페 메카피아 (http://cafe.naver.com/techmecha) 매니저 [발표자 주요 저서] AutoCAD 도면그리는법, 기계설계엔지니어데이터북, 3D프린터실무활용가이드북 Autodesk Inventor 2014 Basic for Engineer, Autodesk TinkerCAD+3D프린팅, Autodesk 123D Design과 3D프린팅, Autodesk Fusion360 입문편 외 다수 박보성 / 포스코 이명훈 / 대림산업 김종원 / 평화엔지니어링 마크 해머커 / 오토데스크 노수황 / 메카피아 Architecture, Revit Revit Civil 3D Stingray DTS, Revit AutoCAD, 3D Printer 상급 모든레벨 모든레벨 모든레벨 모든레벨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발표자료 다운로드 제조 Track 1 - Digital Prototyping 1 Track 2 - Digital Prototyping 2 Track 3 - Digital Prototyping 3 Track 4 - Moldflow Track 5 - Simulation FEA and CFD Track 6 - Design & Visualization 3D 데이터의 고급 시각화 방법(효성중공업 사례) 오후 3D 데이터의 고급 시각화 방법(효성중공업 사례) 김문수 / 주노티엔씨 3D 설계 Data 및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제조업, 디자인, Consumer 분야에 Vred 적용사례 발표.- 효성중공업 Vred 적용사례.-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 Vred 적용사례.- Consumer 분야의 Vred 적용사례.특징- 대용량 3D설계 Data를 활용한 빠른 가시화 및 동영상제작. 김문수 (Moonsu Kim)부장주노티엔씨 주노티엔씨(주)에서 Vred 컨설팅, 디자인,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고객사들과( 효성중공업, 포스코플렌텍, 에로와, 현대엘리베이터, Etc) Vred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 하였다. ’Digital Fabrication’, 문화, 교육부터 스타트업까지/스타트업을 위한 솔루션 - Fusion360 오후 ’Digital Fabrication’, 문화, 교육부터 스타트업까지/스타트업을 위한 솔루션 - Fusion360 김동현 (Donghyun Kim) / Fab lab, 김호철 / 비쥬얼데이타 ’Digital Fabrication’, 문화, 교육부터 스타트업까지 1. 3D Printer의 등장2. 제 3차 산업혁명의 시작, Prosumer3. Maker Movement 4. 디지털 제작장비를 통한 Fab Education5. Fab Lab을 통해 탄생한 스타트업 스타트업을 위한 솔루션 - Fusion360Fusion 360을 사용하면 컨셉 설정부터 제작까지 아우르는 통합된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자인 아이디어를 빠르고 쉽게 탐색할 수 있다. 이번 세션에는 Fusion 360을 통해 가능한 작업들을 알아본다. 김동현 (Donghyun Kim)팀장Fab lab 현재 TIDE Institute에서 책임연구원으로써, 기술기반의 제조 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13년 Fab Lab Seoul을 서울에 개소한 이후 현재까지 Fab Lab Seoul을 운영해오고 있다. MIT Fab Foundation에서 진행하는 Fab Academy를 수료하여, Fab Lab Instructor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전국에 있는 Maker Space들에 대한 운영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Maker Movement와 관련하여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진 사람들이 2일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협업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또 이를 3D 프린터를 비롯한 다양한 Digital Fabrication 장비와 Arduino로 대변되는 Physical Computing 툴들을 활용하여 제품을 만들어 내는 Make-A-Thon을 런칭하여, 운영해오고 있다. 김호철 (Hochul Kim)대리 비쥬얼데이타 현재 Autodesk MFG Application Engineer로 근무하고 있으며 AutoCAD, Inventor, Vault 제품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까지 3D CAD 교육, PDM 구축, 차세대 신형방독면 개발사업, 호이스트 장비 모델링 및 반도체 장비 3D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고객사의 3D 정착과 프로세스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있다. Inventor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관리 방안 오후 Inventor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관리 방안 차준호 / 오토데스크 국내 시장에서 설계 도면 및 관련 문서에 대한 데이터 관리는 PLM이라는 고정 관념이 많이 퍼져있고, 설계자와 실무자 그리고 현장 업무 담당의 입장에서는 많은 부분의 편의가 무시되고 간과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오토데스크 Vault는 이런 설계자와 문서 관리자 그리고 검토자 등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세션에서는 Inventor 기반의 설계자가 최소의 교육으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자동화 기능에 대하여 짧은 시간에 경험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차준호 (Junho Cha)부장 오토데스크 Application, 네트워크 및 보안 솔루션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 환경에서 On-premise와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관리 솔루션 경험을 가지고 Autodesk Vault 솔루션및 PLM360 제품을 담당하고 있다. Moldflow와 연계한 Fiber-filled Plastics 복합재 구조 해석 오후 Moldflow와 연계한 Fiber-filled Plastics 복합재 구조 해석 최재현 / 오토데스크 Moldflow software를 통한 사출 성형 해석에서 구조해석 software의 유한 요소 모델(FEA)로 Fiber Orientations과 material propeties를 Mapping하는 기능과 Fiber-filled material의 비선형 재료 거동을 Simulation할 수 있는 Helius PFA software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논의할 것이다. 최재현 (Jaehyun Choi)이사오토데스크 22년간 산업계 CAE분야에서 CAE 엔지니어, CAE 프로덕트 전문가, CAE 제품 영업,등을 통해 CAE 분야의 다양한 경험과 지식 보유CAE분야 외에도 CAD/CAM/PLM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으로 인해 거시적 관점의 CAE Process 이해경력 사항- LG전자 DA 연구소 CAE Engineer- SDRC CAD/CAE Pre-sales Engineer- MSC Software CAE Pre-sales 및 Sales- Siemens PLM CAE BD 및 Sales- 현 오토데스크 시뮬레이션 팀에서 근무 Autodesk CFD를 이용한 방열 냉각해석 오후 Autodesk CFD를 이용한 방열 냉각해석 박태상 / 코오롱베니트 방열 냉각 해석의 기본 이론과 Autodesk Simulation CFD를 활용한 방열냉각 해석 적용 방법 소개한다. 박태상 (Taesang Park)과장코오롱베니트 Autodesk MFG 총판 코오롱베니트 소속Autodesk Simulation CFD 제품 기술지원 담당자 3D Max를 활용한 이미지 렌더링 시스템: HMC e-Photo 오후 3D Max를 활용한 이미지 렌더링 시스템: HMC e-Photo 권정호 / 마케비전 코리아 3DS Max를 활용한 자동차 시각화 시스템 구축의 예를 소개하며, 이에 대한 현장의 활용 예를 살펴 본다. 권정호 (Jungho Kwon)부사장마케비전 코리아 마케비전코리아의 설립 멤버로 현재 마케비전코리아의 사업개발부문 부사장으로 재직중이다. 김문수 / 주노티엔씨 김동현 (Donghyun Kim) / Fab lab, 김호철 / 비쥬얼데이타 차준호 / 오토데스크 최재현 / 오토데스크 박태상 / 코오롱베니트 권정호 / 마케비전 코리아 VRED Fusion 360 Inventor, Vault Helius 3D Max 모든레벨 초급 중급 중급 초급 모든레벨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발표자료 다운로드 17:35 ~ 18:00 맺음말 & 경품추첨 13:20 ~ 14:30 Hands On Session 건축, 건설, 엔지니어링 제조 - Fusion 360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구조해석 기반의 철골 설계 Advance Steel workflow based on analysis 오후 구조해석 기반의 철골 설계 Advance Steel workflow based on analysis 김영휘 / 오토데스크 Revit에서 모델링 한 데이터를 RSA(Robot Structural Analysis)와 Advance Steel에서 어떻게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상세설계 및 Shop drawing을 생성 하는지에 대해서 따라해 보도록 한다.[목표]1. BIM 모델링 데이터를 활용한 철골 연결부 설계방법2. 해석데이터 기반의 철골 연결부 설계 김영휘 (Younghwi Kim)차장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AEC 엔지니어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굴곡 머그컵 오후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굴곡 머그컵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Primitive (Cylinder, Turus, Sphere, Pipe, Coil)와 간단한 수정명령(Shell, Fillet)을 통하여 단순한 형태의 머그 컵이 아닌 굴곡이 있는 머그 컵을 만들어 본다. 이성훈 (Sunghoon Lee)전문강사(3D 모델링 & 3D 프린팅 Educator Expert)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 저서: 교보문고 E-book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Fusion 360)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123D Design)   -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 Printing   - Autodesk Fusion 360 설치가이드* 블로그: Blog.naver.com/3d7979 (14:00 ~ 16:00) Stingray를 이용한 인터렉티브한 자동차 디지털 쇼룸 제작하기 오후 (14:00 ~ 16:00) Stingray를 이용한 인터렉티브한 자동차 디지털 쇼룸 제작하기 박종태 / 오토데스크 최근에 출시한 Autodesk 게임엔진 Stingray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이용하여 간단 인터렉션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Stingray의 기본 설명과 3ds Max 2016에서 만든 자동차를 이용하여 차문을 여는 애니메이션과 효과음을 적용하고 카메라 애니메이션 등을 적용한 결과물을 만드는 기초 과정이다. 박종태 (Jongtae Park)오토데스크 박종태 차장은 2001년부터 게임 프로그래머로 아키에이지를 비롯한 각종 프로젝트에서 참가하여 클라이언트, UI, 서버, 엔진, 툴 개발 등 게임기술과 관련한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경력을 쌓았다. 풍부한 게임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인디 개발자 뿐 아니라 AAA급 개발사들에게도 훌륭한 조언자가 될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현재 오토데스크 코리아에서는 Technical Sales Specialist로 근무하며 다양한 미들웨어와 최신 게임엔진 Stingray에 관한 기술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김영휘 / 오토데스크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박종태 / 오토데스크 Advance Steel, Revit, Robot Structural Analysis Stingray 모든레벨 모든레벨 14:30~14:45 휴식 14:45 ~ 15:55 빌딩 퍼포먼스 어낼리시스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오후 빌딩 퍼포먼스 어낼리시스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이성우 / 오토데스크 이성우 (Sungwoo Lee)이사오토데스크 -오토데스크 AEC 엔지니어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화병 오후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화병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Primitive 기능과, Sketch, Loft, Pattern, Move 등 다양한 기능을 배우고 활용하며 또한 쉽게 수정 가능한 형태의 화병을 만들어 본다. 이성훈 (Sunghoon Lee)전문강사(3D 모델링 & 3D 프린팅 Educator Expert)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 저서: 교보문고 E-book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Fusion 360)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123D Design)   -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 Printing   - Autodesk Fusion 360 설치가이드* 블로그: Blog.naver.com/3d7979 이성우 / 오토데스크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Revit 15:55~16:10 휴식 16:10 ~ 17:20 BIM기반의 입체교차로 설계 방법론 Road Interchange Design Methodology 오후 BIM기반의 입체교차로 설계 방법론 Road Interchange Design Methodology 김덕진 / 키미데이타 BIM 기반의 입체교차로 모델링 방법론에 대해서 소개 토목 설계에 특화된 AutoCAD Civil 3D 를 활용하여 입체교차로를 모델링하는 방법의 전반적인 개요를 소개하며, 트럼펫 교차로 노즈부 모델링 방법에 대해서는 직접 솔루션을 다루어보도록 한다.[목표]1. BIM 기반의 입체교차로 설계 방법론 일반 개요2. 노즈부 코리더 모델링 방법론 개요 김덕진 (Duckjin Kim)과장키미데이타 - 평화엔지니어링 도로부 및 동부엔지니어링 도로부: 10년간 설계업무를 수행- 키미데이타 IT 사업본부 AEC/ENI팀에서 토목분야 BIM엔지니어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연필꽂이 오후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프린팅 - 연필꽂이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Sculpt(T-Spline) 모델링을 기능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형태와 기존의 솔리드 모델링 방식을 결합한 연필꽂이를 만들어 본다. 이성훈 (Sunghoon Lee)전문강사(3D 모델링 & 3D 프린팅 Educator Expert)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 저서: 교보문고 E-book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Fusion 360)   - 3D프린팅을 위한 3D모델링(123D Design)   - Fusion 360과 함께하는 3D Printing   - Autodesk Fusion 360 설치가이드* 블로그: Blog.naver.com/3d7979 김덕진 / 키미데이타 이성훈 / 한국 3D 프린팅 강사협회 전문강사 Civil 3D 핸즈온 세션(제조-Fusion 360)에 참석하시는 분들께서는 프로그램 시연을 위한 Autodesk 계정이 필요합니다.없으신 분들은 신속한 진행을 위해 아래 링크를 이용하여 계정을 미리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계정생성 바로가기 AU KOREA 2015 서브스크립션 라운지 오토데스크 서브스크립션 고객만을 위한 특별한 라운지가 제공됩니다.서브스크립션 라운지에 오시면 다양한 혜택이 오토데스크 Subscriber분들을 기다리고 있을 예정입니다. 무료 wifi 사용 무료 커피, 차, 음료수 제공 쿠키 및 간단한 간식 거리 제공 Refreshing을 위한 공간과 서비스 기타 다양한 혜택 Subscriber 를 위한 특별 강연 세션 Time(Nov 13) Session Detail 9:00~12:20 라운지 오픈 및 운영 - Coffee, tea, beverage, cookies 제공- 휴식 공간- 무료 인터넷 12:20~13:40 서브스크립션 고객 상담 운영 - 라이선스 구매 이력, 관리 방법, 비즈니스 모델 전환, 기술 지원 등에 대한 컨설팅- 상담 고객에 무료 타로점 서비스 14:00~16:00 서브스크립션 세션 14:00~14:40 클라우드 환경 전환에 따른 소프트웨어 시장 현황 및 전망- 양희동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발표자료 다운로드 14:50~15:10 다양한 Subscription 혜택으로 누리는 Smart Factory의 시작- 박정택 과장/ 현대제철 비공개 15:20~16:00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싱 모델- 천두현 라이선스 담당관, 마이크로소프트 코리아 발표자료 다운로드 16:00~18:00 서브스크립션 고객 상담 운영 - 라이선스 구매 이력, 관리 방법, 비즈니스 모델 전환, 기술 지원 등에 대한 컨설팅- 상담 고객에 무료 타로점 서비스 * 상기 일정 및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16-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