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내비게이터"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2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칼럼] AI 대전환 : 주도권을 선점하라
트렌드에서 얻은 것 No. 20   “AI 시대에도 변하지 않는 것은 인간의 창의성과 호기심이다.” – 사티아 나델라 딥시크(DeepSeek)로 온 세상이 떠들썩하지만, ‘2025 AI 대전환’의 두 저자가 쓴 “주도권을 선점하라”는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하다. 이 책은 두 저자의 대담 형식으로 써 내려가는 부분과 두 저자의 전문 경험으로 써 내려가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AI(인공지능)의 주도권을 어떻게 잡을지 책 속으로 들어가 보자.   AI 대전환의 시대, 주도권을 잡아야 하는 이유 AI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2023년 생성형 AI의 태동 이후, AI 기술은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쳐 급속도로 확산되었으며 개인, 기업,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단순히 AI를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그 흐름을 주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AI는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경제와 사회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촉매제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AI의 주도권을 잡는 것은 곧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과 같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업과 정부는 AI를 자동화 도구로 활용하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가치 창출의 중심에 두고 있다. 특히 AI의 발전은 제조업, 금융, 헬스케어,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AI의 활용 여부에 따라 기업의 성패가 결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렇다면 AI 대전환이 가져올 변화는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까? “변화는 불가피하지만, 성장은 선택이다.” – 존 맥스웰   AI의 변화와 주요 트렌드 2025년을 주도할 AI의 주요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멀티모달 AI :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영상, 센서 데이터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AI가 확산된다. 이는 검색 엔진, 고객 서비스, 의료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문제 해결 : AI가 실제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생성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AI의 신뢰성과 정확성이 높아질 것이며, 기업은 AI를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온디바이스 AI로의 확산 : 클라우드 기반 AI에서 벗어나 개별 기기에서 AI가 실행됨으로써 보안성과 개인화가 강화된다. 이는 스마트폰, IoT 기기, 자동차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의 활용을 촉진할 것이다. 생성형 AI가 부활시킨 AI 에이전트 : 챗지피티(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는 AI 에이전트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는 고객 응대, 비즈니스 자동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이다. 오픈소스 AI 생태계의 확장 : AI 기술이 오픈소스로 개방되면서 혁신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는 기업과 연구기관이 협력하여 AI 기술을 발전시키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비용 감소 노력과 AI 반도체 발전 : AI 연산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AI 전용 반도체 개발과 최적화된 알고리즘이 AI의 대중화를 촉진할 것이다. 안정성과 책임성 강화 : AI의 윤리적 문제와 신뢰성 확보를 위한 규제 및 정책이 강화될 전망이다. 기업과 정부는 AI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소비린 AI(Sovereign AI) : 국가별 AI 독립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다.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각국은 자체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자국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를 기반으로 AI 대전환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개인, 기업, 국가가 각각의 역할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AI가 창조하는 것은 데이터이지만, 인간이 창조하는 것은 의미다.” – 레이 커즈와일   ▲ ‘2025 AI 대전환 : 주도권을 선점하라(오순영, 하정우)’ 서평 맵(Map by 류용효)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 수 있습니다.)   AI 내비게이터 : 개인, 기업, 국가의 역할 개인을 위한 AI 내비게이터 AI의 확산은 개인의 역량 강화와 직업 시장의 변화를 의미한다. AI와 협업하는 형태로 업무 방식이 변화하면서, AI 리터러시(AI 활용 능력)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개인은 AI 도구를 익히고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AI는 새로운 일자리의 창출과 기존 직업의 변화도 가져올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가, AI 윤리 전문가, AI 트레이너 등의 직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단순 반복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개인은 AI 시대에 맞는 새로운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을 위한 AI 내비게이터 기업은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강화 AI 기술을 내재화하는 조직 문화 구축 AI 윤리 및 규제 대응 전략 마련 AI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은 시장에서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업은 AI 트렌드를 면밀히 분석하고, 조직 내 AI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특히 AI를 활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자동화 시스템 도입, AI 기반 예측 모델 구축 등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국가를 위한 AI 내비게이터 AI 대전환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이 필요하다. AI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AI 전문 인력 양성 AI 친화적 규제 환경 조성 AI 인프라(클라우드, 반도체, 데이터) 구축 국가 차원에서 AI를 적극적으로 육성하지 않으면 기술 종속의 위험이 커진다. 특히 한국과 같은 기술 강국은 AI 산업을 선도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수이다. 또한, AI 거버넌스 체계를 확립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우리는 도구를 만들고, 그 도구가 우리를 만든다.” – 마셜 매클루언   AI 주도권을 위한 방향성 2025년 AI 대전환은 개인, 기업, 국가의 모든 영역에서 거대한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이 변화를 단순히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주도하는 것이 곧 생존 전략이 된다. 개인은 AI 리터러시를 갖추고, 기업은 AI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며, 국가는 AI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결국 AI 대전환의 시대에서 승자는 누구보다 먼저 변화를 준비하고 주도권을 선점한 자들이 될 것이다. 당신은 AI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 류용효 디원의 상무이며 페이스북 그룹 ‘컨셉맵연구소’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현업의 관점으로 컨설팅, 디자인 싱킹으로 기업 프로세스를 정리하는데 도움을 주며, 1장의 빅 사이즈로 콘셉트 맵을 만드는데 관심이 많다. (블로그)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3-06
지멘스 퓌르트 공장, WEF 지속 가능성 등대 공장으로 선정
한국지멘스는 독일 퓌르트(Fürth)에 위치한 지멘스 사업장이 세계경제포럼(WEF)으로부터 ‘지속 가능성 등대 공장’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세계경제포럼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선도하는 제조업 리더로 구성된 커뮤니티인 ‘글로벌 등대 네트워크(Global Lighthouse Network)’에 17개 사이트를 새로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그중 지멘스 퓌르트 공장을 포함한 5개 사이트는 탄소 중립(net-zero) 목표와 탈탄소화, 순환 경제를 추구하며 첨단 기술을 통해 에너지, 온실가스, 폐기물 감축 및 물 소비 절감에 획기적인 변화를 이뤄낸 공로를 인정받아 ‘지속 가능성 등대 공장’으로 선정되었다. 현재까지 30개국 이상, 35개 산업 분야에 걸쳐 총 189개의 사업장이 속한 네트워크에서 25개의 사업장이 지속 가능성 등대 공장으로 선정됐다. 퓌르트 공장은 지멘스그룹의 전체 목표보다 4년 앞당긴 2026년까지 탄소 배출 제로화 달성 목표를 향해 가고 있다. 지멘스의 지능형 에너지 시스템을 통해 처리 단위당 에너지 소비를 64%, 온실가스 배출량을 72% 절감하는 동시에 145%의 생산량 증가를 달성했다. 뿐만 아니라 자체 수리 서비스에서 효율적인 순환성을 확보함으로써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처리 단위당 산업 폐기물도 47% 줄인 성과를 인정받았다. 1954년 설립된 지멘스 퓌르트 공장은 13년 전인 2012년부터 사업장 내에 지속 가능성 팀을 만들어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수립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퓌르트 공장이 추구하는 지속 가능성 전략의 핵심은 제조 및 빌딩을 위한 혁신적이고 총체적인 에너지 시스템에 있다. 시매틱 에너지 매니저 프로(Simatic Energy Manager Pro), 지멘스 내비게이터(Navigator), 퍼포먼스 옵티마이저(Performance Optimizer) 등 지멘스의 설루션이 결합된 시스템이 서로 통신하고, 350개 이상의 전력계가 현장의 모든 전력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일 뿐 아니라 지속 가능성 달성을 위한 개선 사항도 자동으로 제안한다. 실제로 조명 시스템에서 연간 952메가와트시, 빌딩 자동화에서 103메가와트시의 절감을 달성했는데, 이는 약 2000 가구에 1년 동안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과 맞먹는다. 또한, 생산 제품 대부분(90%)에 대한 데이터를 지멘스의 탄소 발자국 추적 소프트웨어 ‘시그린(Sigreen)’과 연동해 제품의 탄소 발자국을 측정하고 있다.  지멘스는 파트너사와 협업해 개발한 전자기 필터링 시스템을 통해 전력망 사고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력 분배를 안정화해 기계 가동 중단에 따른 위험성을 줄였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전체 전력 소비량을 3.8% 감축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현장에 자체 수리 센터를 가동하여 산업 폐기물을 줄이고 제품 서비스 수명을 연장하는 순환 경제를 실현하고 있다. 이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폐기하거나 새로운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기가스 배출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지멘스 퓌르트 공장은 에너지를 자급자족하기 위한 추가 조치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힜다. 지난 2023년 퓌르트 사업장 내에 460kWp(킬로와트 피크) 전력 용량을 갖춘 3300제곱미터의 태양광 시스템을 설치했으며, 이는 모든 지멘스 시설 내 태양광 발전 시스템 중 가장 큰 규모에 해당한다. 지멘스는 용접 등의 공정에서 필요한 질소를 자체적으로 생산해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더 나아가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난방을 공급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 감축은 물론 자원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드릭 나이케(Cedrik Neike) 지멘스그룹 경영이사회 멤버 및 디지털 인더스트리 대표는 “이번 네 번째 등대 공장 선정은 독일 암베르크, 에를랑겐, 중국 청두와 더불어 지속 가능한 제조 분야에서 지멘스의 선도적인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한 사례”라며, “퓌르트 공장의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은 동시에 지속 가능성과 생산성이 더 이상 모순되는 용어가 아니라 함께 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이러한 혁신은 자체 운영에 도움을 주는 것을 넘어 고객에게 친환경적이면서 수익성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1-20
마이크로소프트, AI 활용 역량 강화 돕는 ‘AI 스킬 내비게이터’ 공개
마이크로소프트가 ‘AI 스킬 내비게이터(AI Skills Navigator)’를 공개하면서, 전 세계 개인과 조직의 AI 활용 역량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AI 학습 프로그램을 연결해 사용자의 수준과 목표에 맞는 맞춤형 과정을 제안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20개 언어를 지원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업무동향지표 2024’에 따르면, 한국 근로자의 73%가 직장에서 AI를 사용 중이며 85%는 회사의 지원 없이 개인적으로 AI를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31개국 3만 1000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개인과 조직 모두 AI 활용 능력을 필수 역량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는 ‘AI 내셔널 스킬 이니셔티브(AI National Skills Initiative)’를 통해 정부, 교육기관, 기업, 지역사회와 협력하며 AI 기술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AI 도구 개발을 지원하며, AI 기술의 활용과 도입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AI 기술이 사회와 경제 전반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술 직군뿐만 아니라 일반 조직에서도 AI 도구 활용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번에 선보인 AI 스킬 내비게이터는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AI 학습 프로그램을 연결하고 지원하는 학습 허브다.      한국어 콘텐츠는 국내 사용자들이 AI 기술을 보다 쉽게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국내 공공 및 민간 조직의 학습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어려움 없이 학습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AI 스킬(Microsoft AI Skills) 유튜브 채널에서도 한국어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학습자는 AI 어시스턴트 기능을 통해 학습 목표와 현재 수준에 맞는 교육 과정을 손쉽게 탐색할 수 있다.  초급 학습자에게는 기본 개념 강의가, 전문가에게는 심화 학습 자료가 제공돼 각자의 필요에 따라 학습이 가능하다. 모든 과정은 AI 스킬 내비게이터가 연결하는 학습 플랫폼인 마이크로소프트 런(Microsoft Learn)과 링크드인 러닝(LinkedIn Learning)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모든 과정을 무료로 수강할 수 있다. AI 기술 학습 프로그램은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주제별 학습 세션과 조직의 업무 효율을 강화하는 역할별 학습 세션으로 구성된다. 주제별 세션에서는 ▲생성형 AI의 기초 ▲책임 있는 AI 원칙 ▲애저 오픈AI 서비스(Azure OpenAI Service) 등을 다루며, 역할별 세션에서는 ▲AI 학습 허브 ▲정부 기관 작업 최적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활용법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I 기술을 생산성 향상, 의사 결정, 연구, 학습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본인의 업무에 접목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의 조원우 대표는 “AI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기 위해서는 AI를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필수”라면서, “AI 스킬 내비게이터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AI를 사용하고, 도구를 개발하며, 일상과 업무에 AI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출시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앞으로도 마이크로소프트는 한국의 정부 기관 및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AI 분야의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디지털 격차 해소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24-12-19
이빌드 2025 : 클라우드에서 회로도 자동 생성
개발 : Eplan 주요 특징 : 클라우드 기반에서 회로도 생성을 자동화,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간단한 프로세스 제공, 내비게이터 바에서 이빌드 구성 및 생성 프로세스 확인, 문맥 인식 기반으로 인라인 앱 사용 지원, 매크로 기술로 규칙과 구성 인터페이스 세트의 직관적인 생성 등 공급 : 이플랜코리아   회로도 생성을 자동화하면 보다 신속하게 결과를 도출하고,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이플랜(Eplan)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위해 다양한 기술적 접근방식을 개발했다. 이러한 접근방식 중 하나는 사용자가 간단한 마우스 클릭만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인 이빌드(eBuild)이다. 현재 새로운 버전인 이빌드 2025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빌드 2025는 사용 편의성, 동작, 회로도 구성 및 생성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회로도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은 새로운 기능이 아니다. 하지만 이를 지원하는 방식은 점점 더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클라우드가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플랜 클라우드(Eplan Cloud)에 통합되어 있는 이빌드 소프트웨어는 개선된 사용 편의성과 극대화된 단순성을 제공한다. 이빌드 2025는 엔지니어링에 매크로 기술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많은 개선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이플랜의 홀거 얀센(Holger Jansen) 기능 설계 부문 비즈니스 책임자는 “우리는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기능 측면에서 매우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이빌드 2025의 새로운 마법사(Wizard)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회로도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 프로세스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문맥 인식에 기반한 보다 간단한 클라우드 작업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프로젝트에 대한 개요를 파악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내비게이터(Navigator) 바는 사용자가 항상 이빌드 구성 및 생성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얀센은 “새로운 문맥 인식(context-sensitive) 인라인 앱 지원 기술은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한 결과를 제공한다”며, “이빌드에 내장된 새로운 도움말 기능은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다”고 말했다.   동작 방식 이빌드 2025는 간단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플랜 클라우드에 로그인하면 클라우드에 있는 회사 조직을 통해 자체 프로젝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빌드의 일부인 프로젝트 빌더(Project Builder)에서 해당 매크로 라이브러리를 선택한 다음, 프로젝트를 구성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새로운 내비게이터는 이러한 영역에서 선택한 프로세스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지원한다. 제품 구조화에서 실제 프로젝트 실현에 이르기까지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일관성을 유지함으로써, 시스템 측면에서도 지침과 표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더 쉽고 빠르게 결과를 얻는 클라우드 구성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를 알지 못하더라도 이플랜 매크로 기술만 이용하여 규칙과 구성 인터페이스 세트를 직관적으로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빌드에서는 이러한 이플랜 매크로 규칙 세트가 보강되었다. 사용자는 이러한 구성 방법을 이용해 머신 또는 플랜트 시스템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입력하면 된다. 이빌드 2025에는 윈도우, 안드로이드 또는 iOS 상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도 이빌드를 엔지니어링 구성요소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협업을 강화하는 클라우드에서의 생성 이빌드 2025에서는 구성과 함께 프로젝트 생성 또한 완전히 클라우드 기반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플랜 소프트웨어를 로컬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매니지(eManage)에서 제공하는 이플랜 프로젝트(Eplan Project)를 통해 클라우드에서 직접 회로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상에서 이플랜의 이뷰(eView) 뷰어를 이용하면 태블릿, 스마트폰 또는 브라우저 등 다양한 기기에서 프로젝트와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iOS 및 안드로이드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플랜을 확인하고, 뷰어의 레드라이닝 및 그린라이닝 기능을 이용해 변경사항을 프로젝트에 피드백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의 이플랜 이빌드를 이용하면, 인터넷 브라우저에서도 회로도를 생성할 수 있다. 장점은 분명하다. 회로도를 구성 설계 단계에서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찰 과정이나 사전 계획 프로젝트 단계에서 훨씬 더 빠르게 마우스 클릭만으로 이용할 수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0-07
이플랜, 클라우드에서 회로도를 자동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소개
  이플랜은 간단한 마우스 클릭으로 회로도를 생성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인 이빌드(eBuild)를 발표했다. 이빌드의 새로운 버전은 사용 편의성, 동작, 회로도 구성 및 생성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회로도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은 새로운 기능이 아니다. 하지만 이를 지원하는 방식은 점점 더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클라우드는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이플랜 클라우드(Eplan Cloud)에 통합되어 있는 이빌드(eBuild) 소프트웨어는 개선된 사용 편의성과 강화된 단순성을 제공한다. 현재 제공되는 이빌드 2025 버전은 엔지니어링에 매크로 기술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개선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이빌드 202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프로젝트에 대한 개요를 파악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내비게이터(Navigator) 바는 사용자가 항상 이빌드 구성 및 생성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사용자가 이플랜 클라우드에 로그인하기만 하면 클라우드에 있는 회사 조직을 통해 자체 프로젝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빌드의 일부인 프로젝트 빌더(Project Builder)에서 해당 매크로 라이브러리를 선택한 다음, 프로젝트를 구성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새로운 내비게이터는 이러한 영역에서 선택한 프로세스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지원한다. 제품 구조화에서 실제 프로젝트 실현에 이르기까지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일관성을 유지함으로써 시스템 측면에서도 지침과 표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를 알지 못하더라도 이플랜 매크로 기술만 이용하여 규칙과 구성 인터페이스 세트를 직관적으로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빌드에서는 이러한 이플랜 매크로 규칙 세트가 보강되었다. 사용자는 이러한 구성 방법을 이용해 머신 또는 플랜트 시스템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입력하면 된다. 이빌드 2025에는 윈도우, 안드로이드 또는 iOS 상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도 이빌드를 엔지니어링 구성요소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빌드 2025에서는 구성과 함께 프로젝트 생성 또한 완전히 클라우드 기반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플랜 소프트웨어를 로컬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매니지(eManage)에서 제공하는 이플랜 프로젝트(Eplan Project)를 통해 클라우드에서 직접 회로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상에서 이플랜의 독점 뷰어인 이뷰(eView)를 이용하면, 태블릿, 스마트폰 또는 브라우저 등 모든 기기에서 프로젝트와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iOS 및 안드로이드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플랜을 확인하고, 뷰어의 레드라이닝 및 그린라이닝 기능을 이용해 변경사항을 프로젝트에 피드백할 수 있다.
작성일 : 2024-09-03
델, 스토리지에 성능 향상과 AI 혁신 담은 ‘파워스토어 프라임’ 공개
델 테크놀로지스는 성능, 효율성, 복원력, 멀티클라우드 데이터 이동성을 강화한 ‘델 파워스토어(Dell PowerStore)’ 신제품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델은 서비스형 포트폴리오 ‘델 에이펙스(Dell APEX)’ 포트폴리오에 새로운 AIOps 오퍼링 및 멀티클라우드 및 쿠버네티스(Kubernetes) 스토리지 관리 오퍼링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델 파워스토어 스토리지는 성능을 향상시켜 빠르게 증가하는 워크로드 수요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QLC 기반 스토리지 기반으로 TLC(트리플 레벨 셀) 모델에 비해 낮은 테라바이트당 비용으로 엔터프라이즈급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소 11개의 QLC 드라이브로 시작하여 어플라이언스당 최대 5.9페타바이트(PB)의 유효 용량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지능형 로드 밸런싱 기능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TLC 및 QLC 혼합 클러스터 상에서 워크로드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델은 “데이터-인-플레이스 방식의 상위 모델 어플라이언스 업그레이드로 최대 66%까지 하드웨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델 파워스토어 신제품은 소프트웨어 개선을 통해 효율성, 보안 및 클라우드 모빌리티를 향상시켰다. 기존 고객은 추가 비용 없이 제공되는 무중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혼합 워크로드 성능을 최대 30% 향상시키고 지연 속도를 최대 20% 낮출 수 있다. 블록 및 파일 워크로드를 위한 기본 동기식 복제를 비롯해 윈도, 리눅스 및 VM웨어 환경에 대한 기본 메트로 복제를 제공한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개선해 최대 20% 향상된 데이터 절감(data reduction) 및 28% 향상된 전력 효율성을 제공한다. 파워스토어 스토리지를 클라우드 블록 스토리지인 ‘델 에이펙스 블록 스토리지(Dell APEX Block Storage)’에 연결하면,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강화하고 워크로드 모빌리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델 테크놀로지스는 고객들의 스토리지 투자를 보호하고 델 파트너사의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 오퍼링인 ‘파워스토어 프라임(PowerStore Prime)을 발표했다. 파워스토어 프라임은 고객이 IT 투자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5:1의 데이터 절감율을 바탕으로 비용 절감 및 에너지 절약 효과를 제공하며, 델 프로서포트(Dell ProSupport) 및 프로서포트 플러스(ProSupport Plus)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수명주기연장(Lifecycle Extension)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 지원, 유연한 기술 업그레이드, 용량 보상 판매, 스토리지 자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파워스토어 프라임은 델 에이펙스 구독을 통해 매월 필요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AI나 멀티 클라우드와 같은 중점 분야에서 고객들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고자 ‘델 에이펙스’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델은 AIOps 기능 및 스토리지 및 쿠버네티스 관리를 위한 신규 오퍼링을 선보이고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 델 에이펙스 AIOps(Dell APEX AIOps)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는 AI 기반의 풀 스택(full stack) 가시성 및 인시던트 관리를 통해 델 인프라의 서비스 가용성을 최적화한다. 이 솔루션은 델이 기존에 제공했던 AIOps 툴을 전격 확대한 것으로, 세 가지 통합 기능을 통해 운영을 간소화하고, IT 민첩성을 개선하며,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스트럭처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델 에이펙스 내비게이터’는 포트폴리오가 확장되면서 쿠버네티스 스토리지 관리 기능이 추가되고, ‘퍼블릭 클라우드를 위한 델 에이펙스 스토리지(Dell APEX Storage for Public Cloud)’의 지원 클라우드가 확대된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의 김경진 총괄 사장은 “파워스토어 스토리지의 성능 발전과 비용 및 운영 상의 장점이 강화되면서 올플래시 스토리지의 기준을 또 한차례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말하며, “델 에이펙스 포트폴리오에 AI와 자동화 기술을 적용해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멀티클라우드와 쿠버네티스 스토리지 관리에 새로운 수준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24-05-27
아레스 캐드 2023 : BIM 기능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3 (2)   독일 그래버트(Graebert)의 아레스 캐드(ARES CAD)는 PC 기반의 아레스 커맨더(ARES Commander), 모바일 캐드 및 뷰어인 아레스 터치(ARES Touch), 클라우드 기반의 아레스 쿠도(ARES Kudo)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호에서는 오토캐드와 호환되는 데스크톱 PC 기반의 아레스 커멘더 2023의 BIM 도면 기능 및 개선사항을 알아본다    ■ 천벼리 | 인텔리코리아 3D 솔루션 사업본부 대리로 기술영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ares@cadian.com 홈페이지 | www.graebert.co.kr 블로그 | https://blog.naver.com/graebert  유튜브 | www.youtube.com/GraebertTV   BIM 도면 기능 개선사항 ■ 명령어 : BIMSECTION   평면도, 단면도 또는 입면도와 같은 각 2D 도면은 이제 각각의 DWG 파일로 생성되며 여전히 BIM Navigator(내비게이터)에서 관리하고 액세스할 수 있다.   그림 1   또한 이제 BIM 도면에 레이어 정의(새 레이어 생성)를 추가하고 CAD 기능을 사용하여 추가 콘텐츠를 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을 삽입하거나 Revit(레빗) 또는 IFC 파일에서는 불가능했던 디테일한 부분을 도면에 그려 넣을 수 있다. BIM 파일에서 가져온 형상은 새로운 BIM 프로젝트 버전을 가져올 때 업데이트되며 사용자가 추가한 CAD 요소는 유지된다.   그림 2  
작성일 : 2022-07-01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3 (1)
신기능 및 개선사항   독일 그래버트(Graebert)의 아레스 캐드(ARES CAD)는 PC 기반의 아레스 커맨더(ARES Commander), 모바일 캐드 및 뷰어인 아레스 터치(ARES Touch), 클라우드 기반의 아레스 쿠도(ARES Kudo)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호에서는 오토캐드와 호환되는 데스크톱 PC 기반의 아레스 커멘더 2023의 새로운 기능 및 개선사항을 알아본다.  ■ 천벼리 | 인텔리코리아 3D 솔루션 사업본부 대리로 기술영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ares@cadian.com 홈페이지 | www.graebert.co.kr 블로그 | https://blog.naver.com/graebert  유튜브 | www.youtube.com/GraebertTV   View Navigator(뷰 네비게이터) ■ 명령어 : VIEWNAVIGATION   3D 환경에서 새로운 View Navigator(뷰 내비게이터) 도구를 사용할 때 한 번의 클릭으로 모델의 표준 보기와 등각 보기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View Navigator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는 3D 방향 표시등 역할을 하며 현재 뷰 방향을 나타낸다. View Navigator는 3D 환경에서 작업할 때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평행투영과 원근투영 간에 쉽게 전환할 수 있으며, 2D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림 1   Contextual ribbon tabs(상황별 탭) 도면 작업 시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작업하는데 도움이 된다. ARES Commander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제 그래픽 영역에서 특정 엔티티를 선택하거나 새 엔티티를 생성하기 위해 특정 명령을 사용할 때 상황별 적합한 리본 메뉴를 제공하도록 개선되었다. 상황별 리본 탭은 다음과 같은 편리함을 제공한다.  
작성일 : 2022-06-02
앤시스 디스커버리 2020 R2 미리 만나보기
제품 설계와 실시간 해석을 통합한 앤시스 디스커버리   앤시스 디스커버리(Ansys Discovery)는 하나의 통합 환경에서 제품 설계 및 실시간 해석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이번 호에서는 최신 버전인 앤시스 디스커버리 2020 R2의 사용 환경을 살펴보고, 지원되는 다양한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전영은 태성에스엔이 MBU M1팀의 매니저로, 구조 해석에 대한 기술지원 및 교육, 프로젝트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jye@tsne.co.kr 홈페이지 | www.tsne.co.kr   제품 설계 및 실시간 해석이 가능한 앤시스 디스커버리 라이브(Ansys Discovery Live)는 2018년 2월에 출시된 이후로 매 업그레이드마다 기능이 향상되어 왔다. 올해 7월에는 새로운 통합 환경을 가진 앤시스 디스커버리 2020 R2가 출시되었다.(그림 1)   그림 1. 앤시스 디스커버리 2020 R2   앤시스 디스커버리의 강점은 하나의 환경 안에서 설계와 해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제품의 치수, 재료, 경계 조건 별로 해석 파일을 만들지 않고 간단한 설정만으로 해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엔지니어들의 관심을 끌만한 매력적인 프로그램이다. 만약 설계 안에 대하여 정확도 높은 해석이 요구된다면, 앤시스 메커니컬(Ansys Mechanical) 또는 플루언트 솔버(Fluent Solver)를 이용하여 검증 해석이 가능하다. 앤시스 디스커버리로 설계와 해석 업무 프로세스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제품 개발 사이클이 점점 단축되는 현재의 산업 환경의 수요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1. 앤시스 디스커버리 소개 (1) 해석 프로세스 앤시스 디스커버리는 해석 프로세스를 모델(MODEL), 익스플로어(EXPLORE), 애널라이즈(ANALYZE)라는 3개의 스테이지(stage)로 구분한다. 먼저 모델 스테이지는 스케치부터 3D 형상 생성, 수정 및 부품 조립 등 제품 설계 툴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익스플로어 스테이지는 GPU 솔버를 사용한 구조 해석, 유동 해석, 열 전달 해석, 고유 진동수 해석 및 위상 최적화에 대한 실시간 해석이 가능하다. 세 번째 애널라이즈 스테이지는 앞서 익스플로어 스테이지에서 해석한 결과보다 정확도 높은 결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 앤시스 메커니컬 또는 플루언트 솔버와 연동하여 검증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익스플로어 스테이지에서 지원하지 않는 일부 경계 조건 및 격자 밀도를 제어하는 옵션도 사용할 수 있다. 각 스테이지 이름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한 화살표를 클릭하여 스테이지 간의 이동이 가능하다.(그림 2)   그림 2. 스테이지 내비게이터(Stage navigator)
작성일 : 2020-07-01
[포커스] 펑션베이, 향상된 리커다인 V9R2와 함께 시뮬레이션의 가치 향상 비전 선보여
펑션베이는 지난 10월 12일 진행한 ‘리커다인 유저스 데이’에서 사용성과 퍼포먼스 등이 폭넓게 향상된 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 리커다인(RecurDyn)의 최신 버전을 소개했다. 또한, 해석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중심으로 제조 분야의 생산성과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용 편의성과 퍼포먼스 강화된 리커다인 V9R2   이번 리커다인 유저스 데이에서는 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 리커다인(RecurDyn)의 최신 버전인 V9R2의 새로운 기능과 함께, 리커다인 활용 사례, 입자 연성해석 및 클라우드 등 최신 기술 동향 등이 소개되었다. 리커다인 V9R2에서는 모델링 관련 사용성, MFBD(Multi Flexible Body Dynamics) 관련 사용성, 솔버 성능, 입자법 관련 사용성, 툴킷 관련 사용성 등에서 개선이 이뤄졌다.  우선 CAD 임포트(Import) 기능이 향상되어, CAD의 계층 구조를 유지한 채로 리커다인에서 보디와 서브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대규모의 모델에서 특정한 모델링 요소를 그룹으로 사용자 정의하는 ‘제너럴 그룹’은 모델 내에서 필요한 엔티티를 찾기가 어려운 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리커다인 V9R2는 CAD 모델을 불러들일 때 다양한 옵션을 제공해, CAD의 계층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하위 서브시스템에서 다른 서브시스템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 내비게이터’가 추가되고, 메시 데이터를 원하는대로 얻기 위한 임프린트(imprint) 작업에 가상 면과 교차되는 엣지나 래디얼(radial) 패턴 형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리커다인 V9R2는 모델링 부분에서 여러 가지가 개선되었다. 리커다인의 핵심인 MFBD와 관련해서는 셸 메시(shell mesh) 데이터를 기반으로 솔리드 메시(solid mesh)를 만드는 옵션이 추가되어, 메시가 복잡하거나 서피스 문제가 있을 때 메싱에 실패하는 경우를 없애준다. 로컬 리메시에서 각 타깃 면에 서로 다른 최소/최대값을 지정할 수 있고, 메시의 오류를 수정하는 힐링(healing) 관련으로 2개의 노드(node)를 병합할 때 자동 수정하는 기능도 추가되었다. ▲ 요소의 ID를 툴팁으로 표시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품질 체크 과정에서 편의성을 높였다. 펑션베이의 송인호 부장은 “이외에도 외부 소프트웨어에서 계산된 pre-stress를 입력해 리커다인에서 내구해석을 수행할 수 있고, rfi 최적화 기능 및 MFBD 전/후처리 속도 등이 개선되었다”고 소개했다. 리커다인 V9R2의 솔버에는 강체와 유연체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면서, 수치 감쇄의 영향이 적어 정확도가 높아진 어드밴스드 하이브리드 적분기(Advanced Hybrid Integrator)가 탑재되었다. 펑션베이가 새롭게 개발한 어드밴스드 하이브리드 적분기는 특히 많은 수의 모드나 결합요소를 사용한 대규모 RFlex 모델에 대해 해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강체-유연체뿐 아니라 입자-유연체 연성해석까지 지원함으로써, 입자에 의한 유연체의 변형이나 변형된 유연체가 입자에 주는 영향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 리커다인 V9R2에 새롭게 탑재된 어드밴스드 하이브리드 적분기는 많은 수의 모드나 결합요소가 사용된 대규모 RFlex 모델의 해석 속도를 높였다. 동역학 해석의 확장 계획 및 활용 사례 폭넓게 소개   한편, 이번 행사에서는 자동차, 해양, 로봇, 전기 등 여러 분야에서 리커다인을 활용한 해석과 시뮬레이션 사례가 선보였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리커다인 활용 및 동역학 해석과 입자해석의 연계 등의 내용이 소개되었다. 그 중에서 자동차 산업에서는 최근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관심 및 기술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차량 동역학 모델링과 주행 시뮬레이션에서 리커다인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펑션베이 이정한 부장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실제 테스트는 점차 줄어들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토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차량의 주행 성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설계 파라미터를 동역학 해석을 통해 결정하는 차량동역학 및 주행 시뮬레이션의 활용 가능성을 소개했다. “자동차의 시스템은 다양한 하위 시스템들이 모여서 이뤄지는 종합적 모델로 볼 수 있으며, 해석을 위한 차량 시스템의 모델링은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짚은 이정한 부장은 서스펜션, 조향장치, 파워트레인 등의 자동차 서브시스템을 리커다인에서 해석 모델로 만들고 활용할 수 있다고 소개하는 동시에, 주행 시뮬레이션과 가상내구해석 등에서 리커다인의 활용 가능성을 전망했다. ▲ 펑션베이는 차량의 주행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서스펜션 등 서브시스템에 대한 동역학 해석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CAE 중심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스케일(Rescale)이 울해 국산 해석 소프트웨어 중 처음으로 리커다인을 자사 서비스에 추가했다. 입자해석 기법인 DEM(Discrete Element Method : 이산요소법)을 상용화한 EDEM은 리커다인과 연계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리커다인 연성해석의 범위를 더욱 넓혔다. 펑션베이의 장경천 대표이사는 “리커다인은 제품의 완성도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을 지속하면서 기술 지원, 데이터, 네트워킹, 문화 등 폭넓은 경험을 선보이고 있다”면서, “디지털 목업에서 가상 프로토타입, 디지털 트윈으로 변화하고 있는 CAE의 위상에 맞춰 ‘생선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솔루션’이라는 가치를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8-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