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김현기"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7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온에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설루션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1월 19일, CNG TV는 ‘건설·제조업의 설계 혁신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설루션’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건설, 건축, 기계 및 제조 산업에서 두루두루 활용되고 있는 지더블유캐드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데모를 통해 실제 활용법이 소개됐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왼쪽부터 캐드앤그래픽스 박경수 부장,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김현기 파트장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김현기 파트장은 “지더블유캐드코리아가 현재 국내에 보급하고 있는 제품은 CAD/CAM/CAE 전 분야”라고 소개하며, “2D 전용 CAD 소프트웨어인 ZWCAD를 비롯하여 3D CAD/CAM 제품인 ZW3D, 그리고 해석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ZWSIM이 주요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지더블유캐드코리아의 제품은 AEC산업 및 제조 산업을 포괄하고 있으며, 모바일 및 클라우드 시스템 등 추가적인 설루션을 개발하며 ZWSOFT와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ZWSOFT는 2D & 3D CAD/CAM/CAE 제품을 자체적인 엔진 커널로 개발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중국 광저우 및 미국 플로리다 등 총 6개 지역의 연구소를 포함하여 수 백명의 R&D 개발인력을 보유하고, 한국을 포함한 약 800여 개의 지사 및 파트너 등과 함께 제품군을 공급 및 지원하고 있다. 지더블유캐드코리아는 ZWSOFT의 한국 벤더사로서 전체 제품군의 국내 공급 및 기술지원을 진행하고, 국내 프로세스에 알맞게 개발팀을 운영하며 개발 및 지원하고 있다. 김현기 파트장은 ZWCAD의 GIS 모듈이 타사의 GIS 모듈을 대체할 가능성에 대해 소개하며, GeoService를 활용한 지도 가져오기(WMS/WMTS/WFS)를 비롯해 좌표계 변환, 공간 데이터 관리 등 주요 기능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했다. 또한 건설 현장 및 제조 공정에서 공간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도면과의 통합 작업을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지를 데모 시연과 함께 설명했다.   ▲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김현기 파트장   김현기 파트장은 “ZWCAD 제품은 현재 건설 및 건축, 기계 설계 및 제조 산업 프로세스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제조 전문가의 설계 표준화, 효율성 향상에 최적화된 ZWCAD MFG를 통해 ZW3D CAD와 연동해서 표준 부품, 지능형 도면 도구 및 다양한 기능과 광범위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표준화된 고품질 설계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제조 분야에 한정된 특화 기능만 선별해 제공하는 ZWCAD LM으로 효율적인 작업 관리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지더블유캐드코리아는 클라우드 저장소를 활용한 ZWCAD Mobile 제품을 통해 휴대폰 및 태블릿 앱에서 외부에서도 도면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및 IOS 등 모든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Web DAV 서버 구축을 통해 클라우드 저장소가 아닌 사내 자체 서버 공유 폴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2-04
지더블유캐드, 건설·제조업 설계 혁신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솔루션 소개
지더블유캐드코리아가 11월 19일(화) 오후 2시~3시까지 1시간 동안 CNG TV 웨비나를 진행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김현기 과장이 '건설·제조업의 설계 혁신 :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리비전과 GIS 통합 솔루션 '을 주제로 발표한다.  최근 건설, 건축, 기계 및 제조 분야에서는 설계와 데이터 관리에서 클라우드 솔루션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CAD Cloud는 현장 작업자와 설계자 간의 원활한 협업을 가능하게 하고, 실시간으로 도면 수정 및 리비전을 통해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특히, ZWCAD Cloud는 PC, 태블릿, 모바일 기기에서 언제 어디서나 도면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설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수정할 수 있어 협업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ZWCAD의 GIS 모듈이 기존의 타사의 GIS 모듈을 대체할 가능성에 대해 소개하며, GeoService를 활용한 지도 가져오기(WMS/WMTS/WFS)와 좌표계 변환, 공간 데이터 관리 등 주요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건설 현장 및 제조 공정에서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도면과의 통합 작업을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로 설명할 예정이다. 기계/제조 분야에서는 ZWCAD MFG를 통해 ZW3D CAD와의 설계 향상 방안과 가공 현장에서의 ZWCAD LM을 활용한 효율적인 작업 관리와 생산성 향상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회복하는 제조업 경기 속에서, 이번 웨비나는 설계 및 제조 프로세스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이번 웨비나는 사전등록 후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작성일 : 2024-11-18
[신간] 캐드의 정석 ZWCAD(최신판)
최종복, 김현기 지음 / 35,000원 / 이엔지미디어   『캐드의 정석 ZWCAD(최신판)』은 초보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ZWCAD(지더블유캐드)를 배우고 익히기 위한 최고의 학습서이다. 이 책은 ZWCAD 2023의 새로운 인터페이스와 주요 기능에 대해 자세히 소개했고, ZWCAD를 처음 사용하거나 실무에서 좀 더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길 원하는 전문가를 위해 새로운 기능에 대한 설명과 주요 팁을 차근차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ZWCAD를 혼자서 공부한다고 해도 최적화된 기능 설명과 예제를 통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외에도 ZWCAD만의 스마트 기능과 ZDREAM, ZWCAD 3rd-PARTY 등에 대한 활용법도 소개했다. ZWCAD는 전 세계 90만 고객에게 사랑받고 있는 검증된 CAD 솔루션이다. 기존의 타 캐드 솔루션에 비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이며, 정확성과 편의성 측면이 더욱 강화됐다. 더 친근하고 편해진 인터페이스와 UI, 직관적인 명령어의 사용으로 초보자들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DWG 파일 포맷을 사용하고 있어 기존 사용 중이던 어떤 CAD 소프트웨어와도 완벽하게 호환되어 어느 기업, 현장에서도 높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다.  『캐드의 정석 ZWCAD(최신판)』에서는 새로워진 ZWCAD 2023를 기반으로, 설계 업무 혹은 도면 작성을 위해 ZWCAD를 배우고자 하는 초보 사용자들뿐만 아니라 기존 사용자들도 접근하기 쉽도록 새로운 인터페이스 소개 및 바뀐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이용할 수 있는 중요한 명령, 옵션 및 도구들의 사용법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실무에서 캐드를 사용하는 분들은 자주 쓰는 기능으로만 도면을 작성한다. 이 책에는 시간 단축을 할 수 있는 기능을 넣어서 작업 시간을 좀 더 단축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도면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쉽게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쉬운 메뉴 환경과 각 단원마다 기능 설명, 따라하기 예제를 통해 혼자서도 충분히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상세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성일 : 2023-04-19
[온에어]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ZWCAD 2022 소개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 ZWCAD KOREA 김현기 팀장, 코세코 이준호 이사(왼쪽부터)   지난 10년간 디지털 기술의 빠른 변화로 자동화, 지능화가 가속되며 설계 시장에도 새로운 접근 방식과 시도가 요구되기 시작했다. 설계 시장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유형은 무엇일까? 11월 18일 CNG TV에서는 ZWCAD KOREA 김현기 팀장, 코세코 이준호 이사가 스마트한 설계 작업을 위한 빠르고 유연한 툴, 자동화 방식의 설계 기술 도입, 그리고 운영 관리 전략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재정을 제안했다. 특히 이번 방송에서는 CAD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가시화하는 방법과 빠르고 유연한 ZWCAD에 대한 기능 시연이 진행됐다. ZWCAD KOREA 김현기 팀장은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솔루션인 ZWCAD 2022는 건축/건설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IFC 파일 호환 기능이 추가됐다”면서 “IFC 파일은 스마트 구축을 위해 개발된 확장자로 BIM 프로그램에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IFC 파일을 사용하면 레빗, BIM, 스케치업 등에서 활용할 수 있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더욱 유연하게 활용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ZWCAD 2022에는 모든 분야에서 데이터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엑셀 데이터 연동 기능’도 추가됐다. 캐드 도면 데이터와 엑셀 데이터를 각각 사용하게 되면 업무 중 데이터 관리에 있어 혼선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ZWCAD 2022에서는 엑셀 데이터를 참조 링크 형식으로 불러와 연동할 수 있어 수정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 CNG TV 방송의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를 통해 볼 수 있다.
작성일 : 2021-12-01
올림푸스한국, 엉뚱한 사진관 ‘6470展’ 전시회 개최
올림푸스한국(www.olympus.co.kr)은 서울문화재단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메세나협회와 함께 예술 창작활동 지원 프로그램인 '엉뚱한 사진관 for 대학로'의 결과전시 '6470展'을 오는 27일(금)부터 11월 12일(일)까지 대학로 서울연극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엉뚱한 사진관은 예술가와 시민이 사진으로 소통하는 프로젝트로,  지난 2015년과 2016년 마포구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진행되었으며 ‘청년’과 ‘가족’을 주제로 이 시대 청년들의 아픔을 공감하고 위로하며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이한 엉뚱한 사진관은 보다 다양한 메시지를 담기 위해 대학로로 장소를 옮기고, 공모 주제를 ‘동시대 사회이슈’로 확대했다. 지난 8월 기획공모를 통해 시각예술가 ‘아티스트 105호(김현기, 신연식, 이나은)’ 팀이 선정됐으며, 최저시급인 6470원이 청년들에게 주는 의미를 되새기고 이를 사진으로 표현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돼왔다. 프로젝트의 결과 전시인 이번 ‘6470展’은 20대부터 50대에 이르는 다양한 참여자들이 편의점, 홀서빙, 과외, 콜센터 등 50여가지 아르바이트에서 겪은 경험과, 세계지도, 가방, 월세, 학비 등 각자의 의미 있는 지출 결과를 담은 사진을 전시한다. 또한 이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촬영한 ‘나에게 6470원이란’ 화보와 ‘6470원어치 물건의 가치를 보여주는 ‘6470/N’ 전시도 진행된다. 이번 프로젝트의 모든 결과물은 올림푸스의 플래그십 미러리스 카메라 OM-D E-M1 Mark II와 12-40mm F2.8 PRO 렌즈로 촬영했다. 전시는 10월 27일(금)부터 11월 12일(일)까지 진행되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전시기간 중 매주 주말에는 일반 시민들이 직접 6470 화보 촬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팝업 사진관'을 운영한다. 사전 신청 없이 현장에서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촬영된 사진은 개인 소장이 가능하도록 현장에서 출력해 전달한다. 올림푸스한국 CSR&컴플라이언스본부 박래진 본부장은 “이번 전시는 사진과 영상을 통해 최저임금을 비롯한 우리 사회의 청년문제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올림푸스한국은 앞으로도 다양한 예술 후원 프로젝트를 통해 모두가 함께 공감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7-10-27
버츄얼빌더스 4월호 뉴스레터
버츄얼빌더스(주) 월간 뉴스레터 2013년 4월호 Gong Biz, “5만여명 관람객에게 선보인다!” reported on 2013-05-06, 기획팀 김현기 사원 버츄얼빌더스(주)에서 지난해 말부터 개발해온 Gong Biz 서비스가 오는 5월 24일 일산 KINTEX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24일(금)부터 26일(일)까지 총 3일간 일산 KINTEX 제2전시장 9홀에서 GOOD GAME SHOW KOREA 2013(이하, ‘굿게임쇼코리아’)이 개최되며, 이에 버츄얼빌더스에서는 ▲Gong Biz(GongBuilder/GongManager/GongVue) ▲ArchiLighting ▲ArchiVideo를 전시한다.굿게임쇼코리아는 경기도에서 주최하고 경기콘텐츠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전시회로 단순한 게임 박람회가 아닌, 전시와 체험을 통한 콘텐츠 영역의 확장에 관점을 맞춘 기능성 게임 및 기술전시를 위한 글로벌 비즈니스 페어이며 매년 5만여명의 관람객이 방문한다. 따라서 이번 굿게임쇼코리아 2013에서도 교육, 군사, 의료, 공공, 비즈니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게임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 전시될 예정이다.특히 본 전시의 버츄얼빌더스 세 가지 콘텐츠 중 Gong Biz가 비중 있게 전시된다. Gong Biz는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간을 빠르게 저작할 수 있는 GongBuilder와 제작된 3차원 공간을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는 GongManager, 정리된 공간의 정보를 가시화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확장시킬 수 있는 GongVue 등 공간저작부터 활용까지 이르는 전 과정을 선보인다. Realistic 3D 기술 기반의 Gong Biz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활용이 가능하여 공간의 새로운 가치와 경험을 많은 이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또한, 조명의 제어 및 관제, 감성조명 시뮬에이션이 가능한 3차원 공간정보 기반 조명에너지 관리 시스템 ArchiLighting과, CCTV의 관제와 제어를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공간기반 지능형 CCTV 통합관제 및 보완 시스템 ArchiVideo를 함께 만날 수 있다.버츄얼빌더스가 참여하는 굿게임쇼코리아는 24일(금) 오전 10시에 개막되며,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굿게임쇼코리아 사무국 홈페이지 온라인 사전등록란(http://www.goodgameshow.or.kr/exhibit/3_2.asp)에서 사전등록을 신청하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한편, 본 행사장 버츄얼빌더스 부스에 방문하여 Gong Biz 이벤트에 참여하면 새롭게 재탄생한 버츄얼빌더스 캐릭터가 담긴 상품을 제공한다.   [버츄얼빌더스]BIM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시각화 솔루션 reported on 2013-04-09, K-BIM개발팀 양승규 과장 기계,건축,산업디자인 분야 엔지니어링 솔루션 전문지인 CAD&Graphics 4월호에 "BIM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시각화 솔루션과 그 활용" 특별기획으로 버츄얼빌더스(Virtual Builders)의 솔루션이 소개되었다.특별히 이번 BIM 시각화 특별기획에서는 BIM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Autodesk, Dassault Systemes, Graphisoft, Atlantis(ABVENT)와 함께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버츄얼빌더스의 솔루션이 소개되어 BIM분야에서 고도의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는 버츄얼빌더스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BIM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시각화 솔루션과 그 활용 II3차원 데이터 기반 건물/공간 정보 활용한 유지관리 능력 제고 | 버츄얼빌더스, BIM 시각화 및 위치 정보 솔루션 소개버츄얼빌더스에서는 BIM 시각화 및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3차원 지리정보 기반 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도구, 3차원 공간정보 기반 조명에너지 관리 솔루션, 건물 에너지 수요자원관리 시스템 등에 대해 소개한다.- 3차원 지리정보 기반 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도구 , UrbanSpace SDK- 3차원 공간정보 기반 조명에너지 관리 솔루션, ArchiLighting- BIM 기반 건물 에너지 관리 솔루션, ArchiEnergy- 3차원 지리정보 기반 도시공간 가시화 시뮬레이션, UrbanSpace- 생태도시계획시스템, ePSS- 도시계획 통합관리 및 도시계획 운영지원 시스템, EnerlSS- BIM 기반 지능형 빌딩 관리시스템, Khan IBS기사 상세 내용은 CAD&Graphics에서 제공하는 PDF로 보실 수 있습니다.    제10회 대한민국 국제소방안전박람회의 실내서비스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선보인 버츄얼빌더스(주) reported on 2013-05-09, 신기술연구팀 조수연 연구원 넓은 전시 공간 안에서 관람자는 자신이 현재 전시장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전시장 지도를 보고도 자신이 원하는 부스를 찾아가기가 무척 어렵다. 버츄얼빌더스(주)는 5월 8일부터 대구EXCO에서 열리는 ‘제10회 대한민국 국제소방안전박람회’에서 ‘Fire Expo 실내서비스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전시회를 좀 더 쉽고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였다.본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폰 안에서 EXCO전시장을 3D 화면으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시장 지도 위에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을 표시하는 ‘내 위치 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전시장의 입구/출구, 화장실 및 안내 시설과 같은 편의 시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각 부스 정보 가시화 및 해당 업체 홈페이지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내 위치에서부터 자신이 원하는 부스까지의 이동 경로를 가시화 하는 길찾기 서비스가 가능하여 미로처럼 형성된 부스 사이 통로에서 해당 부스까지 어렵지 않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대구 EXCO 전시장 안에는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WiLID비콘 기기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는 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시장 내 현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기존의 방식은 실내에서 측위 오차가 10m~50m를 갖고 있어 정밀도가 보장되지 않는 것에 반해, WiLID 측위 방식은 측위 정밀도를 혁신적으로 향상하여 오차 범위를 1m~7m로 줄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버츄얼빌더스㈜는 앞으로 현장에 있는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을 좀 더 빠르고 안전하게 진행 할 수 있도록 측위 서버를 통해 소방관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경로를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는 기존 무전방식으로 위치좌표를 체크하는 방식보다 정확할 뿐만 아니라, 소방대원들의 효율적인 진압이 가능하고, 소방대원들의 안전확인 또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간 기반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공공성을 목표로 한 버츄얼빌더스(주)의 좋은 역할을 기대해 본다.   최진원 대표, 산호세 소재 DPR Redwood City 방문 reported on 2013-05-12, 신사업부 황선휘 부장 당사의 최진원 대표는 BIM 솔루션 개발협력 차원에서 미국 굴지의 건설사인 DPR(San Jose 부근 Redwood City branch)를 방문했다. DPR은 올해 FORTUNE紙가 선정한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에 13위로 뽑힌 바 있다.버츄얼빌더스(주)가 그동안 개발해 온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향후 양사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유익한 자리가 되었다. 참석자 모두 버츄얼빌더스(주)의 기술력을 인정했고 이를 기반으로 공동제품을 기획, 개발한다면 DPR사의 BIM 경쟁력 제고는 물론, 글로벌 제품을 만들어 공동으로 세계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공동의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FMS, 4D 공정관리, SaaS 기반 분석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특히 깊이 있는 논의가 있었으며, 개발 중인 Model Checker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대해 인식을 같이 하게 되었다. 앞으로 몇 번의 추가 Webinar 를 통해 구체적인 개발 아이템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3차원 공간정보기반 배관관리시스템 reported on 2013-05-10, 영업부 권성환 부장 버츄얼빌더스는 지하 또는 지상에 노출된 각종 배관을 3차원 공간정보 기반으로 구축 및 관리가 가능하다.기존의 2D도면을 통합관리함으로써 배관의 특성, 용도 및 현황 정보를 직관적으로 열람하고 운전 및 보전 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위해서는 몇 가지 특화된 기술이 필요하다. 첫째로 2D 도면을 쉽고 빠르게 3D로 변환하여 초기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야 한다. 버츄얼빌더슨는 이미 자체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지형 및 건물을 생성하고 배관 저작 및 연결된 설비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두번째는 배관의 특성 및 용도에 대한 속성정보를 입력하고 조회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관련 센서를 배치하고 배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배관 안의 유해물질이 누출 시 사후조치를 시나리오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기능 구현이 필요하다. 세번째는 웹 및 모바일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 극대화하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배관정보관리를 함으로써 활용도를 높혀야 한다   거주성 종합평가 플랫폼 구상 reported on 2013-05-10, 신기술연구팀 정기택 연구원 주택 및 사무실 등의 공간은 인간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거주하는 공간으로써 공간의 사용자에 대한 거주성을 평가하는 것은 건축물의 설계면에서나 유지관리면에서나 중요하다. 기존 거주성 관련 연구들을 참조하여 안전성, 방범성, 쾌적성, 편리성, 경제성 다섯가지 평가항목들을 선정하고 이들 각가에 대하여 버츄얼빌더스가 그동한 연구 및 개발하여온 기술 중 어떤 것이 포함되는가 표형태로 나타내었다. 앞으로 사업 및 연구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거주성 각 항목에 포함되는 기술들이 누적되어 본 표는 계속하여 보완되어 갈 것이고 범용적으로 인간의 거주공간에 적용하여 거주성을 평가하는 거주성 종합평가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다. 본 플랫폼의 활용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거주공간을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물은 보다 좋은 거주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CCTV 자동최적배치 시뮬레이터 개발 reported on 2013-04-10, 신기술연구팀 정기택 연구원 방범 보안 교통 방재 등 여러 수요에 따라 CCTV시장은 날로 커지고 있고 최근에는 영상인식기술, 대규모 플랫폼과의 접목으로 CCTV분야의 기술적 수준은 현저히 높아져가고 있다. 특정 목적을 위해서 CCTV를 배치할 경우 단순히 CCTV의 대수가 많은것이 해법이 아니라 예산의 제약이 생기기 마련이며, 주어진 CCTV를 어느장소에 어떻게 배치할 것이냐가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기존에는 CCTV의 배치를 전부 사람이 하였으며 이 경우 객관성이나 타당성이 결여된 채 그 사람의 경험이나 안목에 의한 정성적 판단에 좌우되었다. 이에 반해 정량적으로 CCTV를 배치하는 방법론에 대해서는 기존에 거의 연구가 되어있지 않으며, 상용화 된 소프트웨어도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이러한 배경속에서 버츄얼빌더스는 도시(혹은 실내) 등 정해진 공간 내에서 CCTV를 자동으로 최적배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중이다.입력데이터는 다음과 같다.1. 기존 CCTV데이터-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CCTV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하기 위하여 필요2. 신규배치할 CCTV 데이터- 새로 배치할 CCTV의 사양(화각, 가시거리 등)이 있어야 CCTV의 가시영역을 판별가능3. 건물 등 장애물 데이터- CCTV의 가시범위를 제한하는 요소들에 대한 형상적 정보4. 해저드 데이터- 범죄발생율, 학교로부터거리 등 CCTV설치에 있어 보다 중요한 위치를 가늠시키는 가중치 데이터5. CCTV설치관련 법규 및 가이드라인, 그 외 정성적 요소- 사람이 CCTV를 배치할 때 고려해야하는 요소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6. CCTV 용도별 영역데이터- CCTV가 여러 용도가 존재하고 용도에 따라 정해진 영역 내에서에만 배치되어야 할 때 이를 한정할 영역이러한 입력데이터를 통해 기존CCTV의 배치상태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신규CCTV의 위치를 계산한다.그림은 기존에 CCTV가 3대 배치되어있고 여기에 추가로 12대를 배치할 경우 계산한 결과를 보여준다.본 시뮬레이터는 향후 VB의 UrbanVideo, ArchiVideo 제품에 포함되어 고도화된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작성일 : 201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