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김용대"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2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CAE 컨퍼런스 2024]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
[CAE 컨퍼런스 2024]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내입니다. CAE 컨퍼런스 2024이 지난 11월 8일(금)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됐습니다. 올해로 14회를 맞은 ‘CAE 컨퍼런스 2024’은 CAE 수요-공급업계 관계자를 위한 정보 교류의 장으로, ‘제6회 스마트 공장 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2024)’과 동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현대오토에버, 금호타이어,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LG전자,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소프트웨어, 나니아랩스, 피도텍, 케이더블유티솔루션, HP 등 CAE 수요-공급기업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국내 제조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CAE 활용 사례와 최신 CAE 관련 기술 트렌드, 그리고 CAE 기반의 스마트 공장 솔루션이 소개되어 많은 관심을 모았습니다.  CAE 컨퍼런스 2024 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KAIST 강남우 교수는 개회사를 통해 “사전 학습된 대규모 모델의 활용이 활발해지면서, AI로 할 수 있는 일이 무궁무진해지고 있는 것 같다. 한편으로 CAE와 제조 분야에서는 어떻게 AI를 활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아직 의문점이 많다”면서, “최고 전문가들이 현장의 소리를 전하는 CAE 컨퍼런스 2024에서 이런 의문을 풀고 AI와 제조 혁신을 위한 인사이트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관련 기사]  [포커스] CAE 컨퍼런스 2024, 제조 혁신을 위한 CAE와 AI의 융합 전략 소개 [포커스] CAE 컨퍼런스 2024 발표 내용 정리   [아젠다] CAE 컨퍼런스 2024 발표자료는 정보 제공에 동의한 자료만 제공됩니다. 아래 아젠다에 PDF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발표자료가 공개된 내용입니다.    [CAE 컨퍼런스 2024] 유료결제 완료 후, 발표자료 요청 이번 컨퍼런스에 참여하지 않았던 분들은 유료 결제 후에 발표자료를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다만 홈페이지 다운로드 용량 제한으로 인하여 전체 자료를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는데 제약이 있어 첨부한 파일에는 CAE 컨퍼런스 2024 가이드 파일만 올려 두었습니다. 결제완료 후 메일(cae@cadgraphics.co.kr)로 연락주시면 대용량 추가 자료를 별도로 보내드립니다. 홈페이지에서 직접 결제하는데 문제가 있다면 당사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메일 제목 :  [CAE 컨퍼런스 2024] 유료결제완료 발표자료 요청 내용 : 결제시 회원명 / 전화 / 이메일 메일 보낼 곳 : cae@cadgraphics.co.kr 문의 : CAE컨퍼런스사무국 (02-333-6900) [CAE 컨퍼런스 2024] 발표 제목 및 발표자 소개   00. [개회사] CAE 컨퍼런스 준비위원회 강남우 위원장(KAIST 교수) 01. [기조연설] 기술독립과 통섭에서 배우는 CAE 엔지니어를 위한 ‘판타레이’ / 에스엔에이치 민태기 연구소장 02. [기조연설] AI/ML과 Digital Reality Platform을 통한 CAE 혁신 전략 /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전완호 본부장 휴식 03. [기조연설] SDV 체계 전환 및 차량SW 품질 경쟁력 강화 방안 / 현대오토에버 박경훈 실장 04. Low-code AI 플랫폼을 이용한 설계 생성/예측/최적화 방법 및 사례 / 나니아랩스 강남우 대표 05. HP 3D 프린팅 자동화 솔루션이 주도하는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HP P3D 김태화 Manager 06. 최적설계 대중화를 위한 AADO 기술 소개 / 피도텍 최병열 연구위원 07. CAD(NX)와 CFD 융합을 통한 제품 설계 혁신 / 케이더블유티솔루션 변성준 이사 08. 가전 개발에서 CAE와 AI 활용 / LG전자 박우철 책임연구원 09. 휴식 제품개발과 검증의 가속화를 위한 Simcenter AI Solutions /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이종학 프로 10. [기조연설] 타이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 / 금호타이어 김기운 전무 11. 모빌리티 아키텍처 단계 타이어 시스템의 버추얼개발 프레임워크 / 현대자동차 김용대 글로벌R&D마스터 12. NVH 해석 분야에서의 고전적 방법론과 디지털 기술 융합 사례 / 현대모비스 정원태 책임연구원     CAE컨퍼런스 2024 영상보기
작성일 : 2024-12-17
[포커스] CAE 컨퍼런스 2024 발표 내용 정리
‘AI와 CAE 융합을 통한 차세대 제조 혁신 전략’을 주제로 한 ‘CAE 컨퍼런스 2024’가 지난 11월 8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됐다.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2024) 전시회와 함께 치러진 이번 행사에서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필수로 여겨지는 CAE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제조산업에서 AI(인공지능)의 방향성을 짚는 기회가 마련됐다. ■ 정수진 편집장      ■ 같이 보기 : [포커스] CAE 컨퍼런스 2024, 제조 혁신을 위한 CAE와 AI의 융합 전략 소개   이번 ‘CAE 컨퍼런스 2024’에서는 최신 CAE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의 흐름, 산업에서의 적용 사례 등이 소개됐다. 나니아랩스의 강남우 대표는 ‘로코드 AI 플랫폼을 이용한 설계 생성/예측/최적화 방법 및 사례’ 발표를 통해, 제조 도메인 전문가가 설계안을 효과적으로 생성하고 예측하며 최적화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로코드(low-code) AI 플랫폼인 AslanX에 대해 설명했다. AslanX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내세운다. 실제 사례를 통해 AslanX의 유용성을 소개한 강남우 대표는 “로코드 AI 플랫폼은 복잡한 설계 과정을 간소화하여 제조업체가 빠르게 효율적인 설계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데이터 기반 예측 기능을 통해 기업이 설계 효율을 높이면서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미리 발견해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전했다.   ▲ 나니아랩스 강남우 대표   HP의 김태화 P3D 매니저는 ‘HP 3D 프린팅 자동화 설루션이 주도하는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과거 3D 프린팅 기술은 주로 시제품 제작에 쓰였지만, 지금은 최종 부품 생산에도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그 비중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태화 매니저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HP의 젯 퓨전 5600(Jet Fusion 5600) 3D 프린터와 자동화 시스템을 소개했다. 젯 퓨전 5600은 생산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고객 맞춤형 파라미터 조정 기능을 통해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김태화 매니저는 “젯 퓨전 3D 프린터를 중심으로 한 자동화 시스템은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며, 고객 요구에 맞는 맞춤형 제조 환경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 HP 김태화 P3D 매니저   피도텍의 최병열 연구위원은 ‘최적설계 대중화를 위한 AADO 기술’을 소개했다. 최적설계의 개념을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의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설명한 최병열 연구위원은 최적 설계 기술의 필요성이 늘면서 많은 기업이 최적화 도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해결 과제라고 짚었다. 최병열 연구위원은 “기존 최적설계 기술의 복잡한 접근 방식을 간소화해 모든 엔지니어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할 방법을 고민했다”면서, “그 결과 탄생한 AADO(AI Aided Design Optimization)는 AI와 데이터 분석, 비주얼라이제이션 기술을 결합해 최적 설계 도구의 혁신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엔지니어가 더 효율적으로 설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전했다.   ▲ 피도텍 최병열 연구위원   케이더블유티솔루션의 변성준 이사는 ‘CAD와 CFD 융합을 통한 제품 설계 혁신’ 발표에서 “CFD(전산 유체 역학)가 제품 설계 과정에서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CAD와 CFD의 통합은 설계 시간 절약과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을 높여 기업 경쟁력에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변성준 이사가 소개한 SimericsMP for NX는 NX CAD에 통합된 유한 체적법(FVM) 기반의 CFD 소프트웨어로, CAD 환경에서 직접 CFD 해석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변성준 이사는 “SimericsMP for NX는 격자 생성 시간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면서, 복잡한 형상에서 해석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 케이더블유티솔루션 변성준 이사   LG전자의 박우철 책임연구원은 ‘가전 개발에서 CAE와 AI 활용’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LG전자는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서 동역학 해석과 진동 해석을 통해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고, 극한 시나리오에 품질을 검증하는 등에 CAE를 활용하고 있다. “머신러닝은 이점과 함께 실행 과정의 복잡성도 갖고 있다”고 짚은 박우철 책임연구원은 “AI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와 생산 과정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해석 결과의 일관성을 확보할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AI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초기 투자 비용, 데이터 확장성, 전문 인력의 확보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LG전자 박우철 책임연구원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이종학 프로는 ‘제품 개발과 검증의 가속화를 위한 심센터 AI 설루션’에 대해 발표했다. 이종학 프로는 “AI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설루션은 제품 설계와 실험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지멘스의 시뮬레이션 포트폴리오인 심센터(Simcenter) 내에 탑재된 AI 기능을 소개한 이종학 프로는 “반복적인 작업의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단계에서 사용할 데이터의 수집 및 흐름을 체계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AI 모델을 활용해 최적의 디자인을 찾는 과정에서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해 반복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그 결과에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이종학 프로   현대자동차의 김용대 글로벌R&D마스터는 ‘모빌리티 아키텍처 단계 타이어 시스템의 버추얼 개발 프레임워크’에 대해 소개했다. 전기차 타이어의 경우, 배터리와 차량의 무게가 늘어남에 따라 스트레스 및 성능에 있어 새로운 요구사항이 발생한다. 이에 대응해 타이어의 재설계가 필요한데, 김용대 마스터는 “초기 개발 단계에서 가상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실물 타이어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접근에서 벗어나는 것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대 마스터는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시스템 엔지니어링 관점을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협력사와의 관계를 더욱 견고히 하고, 통합된 시스템으로 전환해 타이어 및 완성차 개발의 완성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현대자동차 김용대 글로벌R&D마스터   현대모비스의 정원태 책임연구원은 ‘NVH 해석 분야에서의 고전적 방법론과 디지털 기술 융합 사례’ 발표를 통해 “기술의 발전이 CAE의 변화와 새로운 접근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데이터 중심의 AI 및 머신러닝의 활용 가능성과 함께 도전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소개했다. 전기차의 복합 시스템 모델링 방법과 자유도 문제 해결, 모달 모델을 통한 복잡한 시스템의 간소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모터의 품질 예측 등 사례를 소개한 정원태 책임연구원은 “고전적 방법론과 AI, 머신러닝 기술의 결합은 더 빠르고 정확한 모델링을 가능케 하며, 디지털 트윈 기술은 복잡한 엔지니어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면서, 모델링과 데이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꾸준히 고민할 것을 당부했다.   ▲ 현대모비스 정원태 책임연구원
작성일 : 2024-12-04
[오늘마감] CAE 컨퍼런스 2024(11/8, 수원컨벤션센터) 초대 - 무료 선착순 이벤트
CAE 컨퍼런스 2024 내용이 보이지 않으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CAE 컨퍼런스 2024 아젠다 - AI와 CAE 융합을 통한 차세대 제조 혁신 전략 [인사말] CAE컨퍼런스 준비위원회 / 강남우 위원장(KAIST 교수) [기조연설] 기술독립과 통섭에서 배우는 CAE 엔지니어를 위한 '판타레이' / 에스엔에이치 민태기 연구소장 [기조연설] AI/ML과 Digital Reality Platform을 통한 CAE 혁신 전략 /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전완호 본부장  [기조연설] SDV 체계 전환 및 차량SW 품질 경쟁력 강화 방안 / 현대오토에버 박경훈 실장 Low-code AI 플랫폼을 이용한 설계 생성/예측/최적화 방법 및 사례 / 나니아랩스 강남우 대표 HP 3D 프린팅 자동화 솔루션이 주도하는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HP 김태화 P3D Manager    " 최적설계 대중화를 위한 AADO 기술 소개 / 피도텍 최병열 연구위원 CAD(NX)와 CFD 융합을 통한 제품 설계 혁신 / KWT Solution 변성준 이사 가전 개발에서 CAE와 AI 활용 / LG전자 박우철 책임연구원     제품개발과 검증의 가속화를 위한 Simcenter AI Solutions /  지멘스 이종학 프로 [기조연설] 타이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 / 금호타이어 김기운 전무 모빌리티 아키텍처 단계 타이어 시스템의 버추얼개발 프레임워크 / 현대자동차 김용대 글로벌R&D마스터     NVH 해석 분야에서의 고전적 방법론과 디지털 기술 융합 사례 / 현대모비스 정원태 책임연구원     폐회사(캐드앤그래픽스 최경화국장) & 경품 추첨  
작성일 : 2024-10-15
헥사곤, 한국자동차공학회 세미나에서 AI/ML 활용 미래 모빌리티 연구 발표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헥사곤 MI)가 ‘2024 한국자동차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해 현대자동차와 함께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미래 모빌리티 주행성능 버추얼 개발’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가 주관하고 헥사곤이 후원한 이번 발표에서는 100여 명의 모빌리티 분야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 산업 분야의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에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기반의 예측 모델 도입과 미래 모빌리티의 주행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세션의 세부 프로그램은 ▲AI/ML을 활용한 미래 모빌리티 주행성능 버추얼 개발 ▲AI R&H 자동화 툴을 활용한 엔지니어링 고도화 ▲소음 예측을 위한 차량과 e-파워트레인(e-powertrain)의 모델링 통합과 머신러닝 예측에의 활용 ▲AI/ML을 활용한 EV 구동모터의 방사 소음(radiation noise) 예측 ▲AI/ML을 활용한 PBV(Platform Beyond Vehicle)의 실시간 버추얼 개발 ▲헥사곤의 자동차 산업 AI/ML 연구동향 및 사례로 구성됐다. 세션에서 발표된 연구에는 다양한 주행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아담스(Adams), 다분야 구조해석 솔루션 나스트란(Nastran), 음향 솔루션 엑트란(Actran),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플랫폼 오딧세이(ODYSSEE) 등 헥사곤 제품이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됐다. 헥사곤의 아담스와 오딧세이는 고성능 스포츠카의 다양한 사례 연구에서 공차 범위를 변경하는 반복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해 기어 변속의 품질과 효율성에 직결되는 기어박스 메커니즘 최적화에 사용됐다. 아담스는 메커니즘의 동작 검토와 설계 목표 정의, DoE(실험설계)를 지원한다. 아담스에서 입력 데이터로 사용이 가능한 데이터 매트릭스를 생성한 후, 오딧세이에서 데이터 학습을 거쳐 설계 사양에 따른 새로운 설계 변수에 대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헥사곤 MI는 사례 발표를 통해 충돌 성능 예측에 활용된 오딧세이의 글로벌 사례, 헥사곤의 크래들 CFD(Cradle CFD) 솔버에 내장된 3D-ROM 기능, 딥러닝을 사용한 CT 데이터 결함 검사 등 다양한 기술과 활용 예시를 소개했다.     이번 연구 발표의 좌장을 맡은 현대자동차의 김용대 마스터는 “현대자동차와 헥사곤이 함께 진행한 이번 연구를 통해 자동차 제품 설계, 모델링, 해석에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도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됐다”면서, “헥사곤과의 협력을 통해 현대자동차의 버추얼 차량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코리아의 성브라이언 사장은 “미래 모빌리티 기술 혁신을 위한 연구에서 헥사곤의 솔루션이 활용되길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국내의 연구자들이 제품 연구 및 개발에 생산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동차공학회 춘계학술대회는 6월 19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되며, 행사기간 중 진행된 전문 연구 발표인 ‘AI/ML을 활용한 미래 모빌리티 주행성능 버추얼 개발’ 세미나는 현대자동차가 주관하고 헥사곤이 후원했다.
작성일 : 2024-06-21
지러스, 무선 네트워크 시장의 공략을 가시화하는 첫 공식 기자간담회 개최
지러스, 무선 네트워크 시장의 공략을 가시화하는 첫 공식 기자간담회 개최       무선 네트워크 솔루션 업체 ‘지러스(Xirrus)’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국내 무선 네트워크 시장의 공략을 가시화하는 첫 공식 기자간담회를 갖고, 한국이 와이파이를 포함한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세계 최강국이 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무선 네트워크 분야에서 3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지러스는 무선 네트워크 솔루션에 휴대폰 기지국 개념을 적용해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 컨트롤러를 결합시키고, 고성능 지향성 안테나를 비롯 방화벽, 스펙트럼 분석기 등을 기본적으로 내장한 무선 네트워크 어레이 제품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간의 채널중첩, 신호간섭, 성능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 어레이에 여러 개의 라디오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성능을 제공하며 기존 무선 네트워크 제품에 비해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고, 구축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와이파이의 확산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 지러스는 올해 초 CA코리아와 BEA코리아 지사장을 역임했던 김용대 지사장을 선임하고, 총판 및 채널 선정 작업을 완료했다.   탁월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지러스는 국내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작성일 : 2011-08-31
MSC.Software 2010 Korea User Conference 발표자료
MSC.Software 2010 Korea User Conference 2010년 6월 17일, 18일 , 경주 현대호텔 보이지 않을 경우 직접 링크 주소http://www.mscsoftware.co.kr/event/main.asp?m_id=ACA Day 1 (17일)   Structural Mulitbody DynamicsFatigue Nonlinear 10:30-10:55 항공기 도어 구조 해석 소개 대한항공_김주식 항공기 외부 연료탱크 수평 핀 피로해석  국방대학교_장경일 벌징공정을 위한 연소기 노즐의 구조설계 KARI_유철성 10:55-11:20 컨테이너선의 상갑판 및 종 격벽 관통 의장용 홀 설계 기준 정립 현대중공업_박준석 Ship –ice interaction을 고려한 Arctic Tanker (107k) 선수 구조부의 강도 평가 DSME_곽묘정 압축 및 내압을 받는 고무 오링의 기밀 성능 평가 ADD_박성한 11:20-11:45 리니어 압축기의 토출 배관 진동 연구 LG전자_박종찬 VPD Process를 적용한 농기계 개발 사례 및 절차에 관한 연구 대동공업_김성호 Local compression에 의한 CTOD 시편내의 용접잔류응력 재분포 RIST_주성민 11:45-12:10 MSC NASTRAN을 이용한 대형버스의 ROOF 진동 특성 평가 HMC_국종영 자동차 HEAD LAMP의 충격 내구 해석에 관한 연구 SL주식회사_이종호 하드타입 IP 조수석 전개부의 속도 및 온도에 따른 인장 특성에 관한 연구 덕양산업_김영삼 Main Conference 13:30-13:40  환영사 이찬형_한국엠에스씨소프트웨어 대표이사 13:40-14:20  MSC.Software Opening Keynote Address Dominic Gallello _CEO, MSC.Software 14:20-14:50  Customer Keynote Address : 조선부문 이수목_현대중공업 상무 14:50-15:30  MSC.Software Product Strategy 2010 Sanjay Choudhry, Vice President, Product Management 15:30-15:50  Coffee Break 15:50 ~ 16:05  MSC Product Update: Adams 유승환_한국엠에스씨소프트웨어 기술팀 차장 16:05 ~ 16:40  MSC Product Update:  Marc & SimXpert Sanjay Choudhry, Vice President, Product Management 16:40 ~ 16:50  MSC Product Update: SimManager 주동국_한국엠에스씨소프트웨어 기술팀 부장 16:50 ~ 17:25  MSC Product Update: Ptran & Nastran Sanjay Choudhry, Vice President, Product Management Day 2 (18일)   Structural Mulitbody DynamicsFatigue Nonlinear 09:30-9:55 파랑하중을 고려한 floating dock의 구조안정성 평가 STX조선_소하영 3차원 가상노면 생성 및 V/DRA 방법을 이용한 상용차량의 승차감 지수화 HMC_문일동 냉각에 의한 잔류응력에 발생 및 교정에 의한 잔류응력 저감 해석기술 포스코_정제숙 9:55-10:20 점용접 및 선용접 모델링 방식에 따른 고유모드 변화 경향 연구 HKMC_김용대 튜뷸러형 토션빔 현가계 롤특성 분석 화신_문기준 놋취가 있는 복합적층판의 파손해석 KARI_김성준 10:20-10:45 Linear Gap을 활용한 항공기 엔진 지지 구조물 유한요소 해석 KARI_박일경 차량 쏠림 해석을 위한 타이어 모델에 관한 연구 넥센타이어_김종찬 Msc.Marc를 이용한 고로 노저철피의 응력해석 RIST_최광 10:45-11:10 저가형 고세장비 복합재 주익 구조해석  ADD_전우철 공력하중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다물체 동역학 해석 아띠_송창용 비선형 해석을 이용한 연료 탱크 정부압 내구해석 동희산업_박은진 11:10-11:35 PCL을 이용한 자전거 크랭크 셋 해석 가이드 시스템 개발 한국기계연구원_이한민 파랑 반복 하중을 받는 유조선에 대한 피로해석 소개 삼성중공업_허기선 자동차용 휠 베어링 외륜의 변형 해석 일진글로벌J.Nanmugavel   [행사 관련 문의] 담당자 : 최혜정 차장(Tel_031-710-7603)E-mail : hyejung.choi@mscsoftware.com
작성일 : 2010-09-24
한국CA, 넷QoS 인수로 IT 관리 분야 강화
한국CA, 넷QoS 인수로 IT 관리 분야 강화  한국CA는 CA가 네트워크 성능관리 및 서비스 딜리버리 솔루션 제공업체인 ‘넷QoS(NetQoS)’를 2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CA는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APM),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분야 역량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한국CA 김용대 사장은 “이번 인수로 CA는 업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완전한 서비스 품질 보장 및 딜리버리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게 됐다.” 며 “넷QoS의 네트워크 플로우 모니터링, 통합 커뮤니케이션 관리, 응답 시간 분석 네트워크 솔루션을 추가해 IT 부서 및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낮은 비용에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IT 및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10년 전 설립된 넷QoS 전 세계 1,000여 개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포춘 100대 기업 가운데 50개 이상의 기업이 넷QoS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다. 지난 해 5,6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지난 5년 간 연평균 58%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넷QoS는 우선 CA의 인프라 매니지먼트 & 오토메이션 사업부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될 계획이며 조엘 트라멜(Joel Trammell) CEO는 CA 수석 부사장으로 임명될 예정이다. http://www.ca.com/kr
작성일 : 2009-11-02
한국CA, 넷QoS 인수로 IT 관리 분야 강화
한국CA, 넷QoS 인수로 IT 관리 분야 강화  한국CA는 CA가 네트워크 성능관리 및 서비스 딜리버리 솔루션 제공업체인 ‘넷QoS(NetQoS)’를 2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CA는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APM),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분야 역량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한국CA 김용대 사장은 “이번 인수로 CA는 업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완전한 서비스 품질 보장 및 딜리버리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게 됐다.” 며 “넷QoS의 네트워크 플로우 모니터링, 통합 커뮤니케이션 관리, 응답 시간 분석 네트워크 솔루션을 추가해 IT 부서 및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낮은 비용에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IT 및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10년 전 설립된 넷QoS 전 세계 1,000여 개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포춘 100대 기업 가운데 50개 이상의 기업이 넷QoS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다. 지난 해 5,6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지난 5년 간 연평균 58%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넷QoS는 우선 CA의 인프라 매니지먼트 & 오토메이션 사업부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될 계획이며 조엘 트라멜(Joel Trammell) CEO는 CA 수석 부사장으로 임명될 예정이다. http://www.ca.com/kr
작성일 : 2009-11-02
한국CA, 넷QoS 인수로 IT 관리 분야 강화
한국CA, 넷QoS 인수로 IT 관리 분야 강화  한국CA는 CA가 네트워크 성능관리 및 서비스 딜리버리 솔루션 제공업체인 ‘넷QoS(NetQoS)’를 2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CA는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APM),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분야 역량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한국CA 김용대 사장은 “이번 인수로 CA는 업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완전한 서비스 품질 보장 및 딜리버리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게 됐다.” 며 “넷QoS의 네트워크 플로우 모니터링, 통합 커뮤니케이션 관리, 응답 시간 분석 네트워크 솔루션을 추가해 IT 부서 및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낮은 비용에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IT 및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10년 전 설립된 넷QoS 전 세계 1,000여 개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포춘 100대 기업 가운데 50개 이상의 기업이 넷QoS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다. 지난 해 5,6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지난 5년 간 연평균 58%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넷QoS는 우선 CA의 인프라 매니지먼트 & 오토메이션 사업부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될 계획이며 조엘 트라멜(Joel Trammell) CEO는 CA 수석 부사장으로 임명될 예정이다. http://www.ca.com/kr
작성일 : 2009-10-29
한국CA, 넷QoS 인수로 IT 관리 분야 강화
한국CA, 넷QoS 인수로 IT 관리 분야 강화  한국CA는 CA가 네트워크 성능관리 및 서비스 딜리버리 솔루션 제공업체인 ‘넷QoS(NetQoS)’를 2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CA는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APM),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분야 역량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한국CA 김용대 사장은 “이번 인수로 CA는 업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완전한 서비스 품질 보장 및 딜리버리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게 됐다.” 며 “넷QoS의 네트워크 플로우 모니터링, 통합 커뮤니케이션 관리, 응답 시간 분석 네트워크 솔루션을 추가해 IT 부서 및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낮은 비용에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IT 및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10년 전 설립된 넷QoS 전 세계 1,000여 개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포춘 100대 기업 가운데 50개 이상의 기업이 넷QoS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다. 지난 해 5,6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지난 5년 간 연평균 58%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넷QoS는 우선 CA의 인프라 매니지먼트 & 오토메이션 사업부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될 계획이며 조엘 트라멜(Joel Trammell) CEO는 CA 수석 부사장으로 임명될 예정이다. http://www.ca.com/kr
작성일 : 2009-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