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게이트웨이"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70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워크데이, 차세대 업무 환경을 위한 AI 에이전트 개발·협업 파트너 네트워크 발표
워크데이는 전 세계 파트너사가 워크데이의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ASOR)에 연결 가능한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워크데이 에이전트 파트너 네트워크(Workday Agent Partner Network)’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네트워크에는 액센츄어, 어도비, 아마존웹서비스(AWS), 오디토리아.AI(Auditoria.AI), 컴파(Compa), 딜로이트, 글린(Glean), 구글 클라우드, IBM, 카이노스(Kainos), KPMG, 마이크로소프트, 패러독스(Paradox), PwC, 워크보드AI(WorkBoardAI) 등의 기업이 초기 파트너로 참여해 AI 에이전트가 업무 수행의 중심이 되는 미래 환경에서 고객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운영을 위해 공동 지원할 예정이다. 운영 효율화부터 완전히 새로운 업무 방식의 구현, 의사결정 지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AI 에이전트는 이제 업무 수행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현실은 조직 내 역할, 워크플로, 그리고 팀의 정의 자체를 새롭게 재편하고 있으며, 디지털 워커가 점점 더 중요한 구성원으로 부상함에 따라 기업은 인간 직원을 채용하고 관리하듯 AI 에이전트에 대해서도 채용, 관리, 컴플라이언스 확보, 성과 측정 등의 접근 방식을 새롭게 정의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AI 에이전트가 워크포스의 핵심 구성원으로 자리 잡음에 따라, 워크데이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ASOR)는 기업이 사람을 관리하듯 에이전트를 채용, 온보딩, 역할 부여, 성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제공한다. 워크데이 ASOR은 기업이 에이전트의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접근 가능한 데이터 범위를 설정하며, 수행 가능한 작업을 통제하고, 성과를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모든 인간과 에이전트 구성원이 동일한 비즈니스 목표를 갖도록 지원한다.  에이전트가 워크데이, 파트너사, 혹은 고객사, 어디에서 개발되었던지 간에, 워크데이 ASOR은 해당 에이전트가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며 책임감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워크데이는 파트너사들이 자사의 AI 에이전트를 워크데이 ASOR에 연결함으로써, 시스템 전반에 걸쳐 더욱 유기적이고 지능적이며 협업 중심적인 업무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워크데이는 이를 통해 조직이 업무의 효율성과 민첩성, 그리고 실행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채용 담당자나 인사 매니저가 인터뷰 일정을 신속하게 조율해야 할 경우, 워크데이 ASOR 내의 패러독스(Paradox) 인터뷰 스케줄링 에이전트를 활용할 수 있다. 패러독스는 워크데이 채용(Workday Recruiting) 시스템과 직접 통합되어 있어, 사용자는 일정 조율부터 알림 발송, 후보자 질문에 대한 응답 등 인터뷰 전반에 걸친 과정을 지원하는 스케줄링 에이전트를 즉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워크데이는 고객이 워크데이 및 에이전트 파트너 네트워크의 AI 에이전트를 ASOR 내에서 손쉽게 연결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에이전트 게이트웨이(Agent Gateway)’도 함께 발표했다. 워크데이의 새로운 에이전트 게이트웨이는 파트너들이 자사의 AI 에이전트를 워크데이 ASOR에 보다 손쉽게 연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워크데이와 파트너사에서 개발한 에이전트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과 에이전트 간 통신 프로토콜(A2A) 등 공통된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협업하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워크데이는 에이전트 파트너 네트워크와 함께 제공하는 다양한 에이전트가 워크데이 마켓플레이스(Workday Marketplace)를 통해 공식적으로 제공된다고 전했다. 현재 워크데이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한 일루미네이트(Illuminate) 기반 에이전트에는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 에이전트(Business Process Optimize Agent) ▲재무 감사 에이전트(Financial Audit Agent) ▲급여 에이전트(Payroll Agent) ▲채용 에이전트(Recruiting Agent) ▲인재 이동성 에이전트(Talent Mobility Agent) 등이 포함된다. 고객은 이들 에이전트를 워크데이 ASOR을 통해 간편하게 배포 및 관리할 수 있다. 워크데이의 매튜 브란트(Matthew Brandt) 글로벌 파트너 담당 수석 부사장은 “지난 20년간 워크데이는 단일화되고 안전한 플랫폼을 통해 조직이 인사업무와 재무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며, “이제 AI 에이전트가 인간과 점차 협업하게 되면서,고객들은 인사와 재무, 그리고 에이전트를 모두 신뢰할 수 있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워크데이는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통제력을 유지하면서도 이러한 통합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업계를 선도하는 기술 기업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7-17
HPE 아루바 네트워킹, 중소기업 위한 엔터프라이즈급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 출시
HPE는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중소기업(SMB)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새로운 다기능 네트워크 설루션인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HPE Networking Instant On Secure Gateway)’를 선보였다. 이는 엔터프라이즈급 보안을 간편한 구축 및 관리 기능과 결합해 전문 IT 인력이나 많은 리소스 없이도 중소기업이 자사의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지능적으로 모니터링, 필터 및 운영을 통해 안전하고 허가된 활동만을 허용하고, 악의적인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는 1차 방어선 역할을 한다. 방화벽 보호, 침입 탐지 및 차단, VPN 지원, WAN 고가용성 등 핵심 보안 기능을 하나의 간편한 설루션에 통합함으로써, 중소기업이 직면한 주요 사이버 보안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네트워크 보호를 간소화한다.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는 두 가지 모델로 제공되며, 각 모델은 규모와 사용자 요구에 맞는 적절한 성능과 보호 수준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 SG1004(HPE Networking Instant On Secure Gateway SG1004)는 1기가만 지원하는 4포트 유선 시큐어 게이트웨이로, 기본 라우팅, WAN 복원력, VPN, 방화벽 및 IDS/IPS 옵션을 제공한다.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 SG2505P(HPE Networking Instant On Secure Gateway SG2505P)는 멀티 기가 지원 5포트 시큐어 게이트웨이로, 더 높은 성능과 클래스 4 POE 지원을 제공하며, 액세스 포인트에 총 64W의 전력 공급 및 SG1004가 지원하는 모든 기능을 포함한다.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IDS/IPS 서명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실시간 위협 탐지 및 차단 기능을 제공, 새로운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 여러 핵심 보안 기능을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함으로써 여러 도구와 벤더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네트워크 보안 관리의 최신화를 촉진한다. 보안 기능을 통합한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는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하고 서드파티 도구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한다. 고가용성 기능을 통해 다운타임을 최소화하며, 자동화된 사고 대응으로 위협을 신속하게 해결해 비즈니스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한다. 또한, 자동화된 정책 시행 및 감사 추적 기능을 통해 클라우드 관리형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보호와 로그 기록을 자동화하여 규제 준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는 하나의 통합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소기업이 전체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단일 클라우드 시스템을 제공, 전문 IT 인력 없이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투명한 구독 모델은 숨겨진 비용을 없애 중소기업이 고급 엔터프라이즈급 보안을 보다 쉽게 접근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의 아몰 미트라(Amol Mitra) 월드와이드 SMB 총괄 부사장은 “오늘날 중소기업은 제한된 IT 자원과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복잡해지는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방어해야 하는 지속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전담 보안팀이나 충분한 예산이 없는 많은 중소기업이 효과적인 네트워크 보호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기존 보안 설루션은 민첩성과 유연성, 클라우드 보안, 고도화된 위협 탐지 기능이 부족해 보안에 대한 잘못된 안정감을 주고, 결과적으로 기업을 위협에 노출시킨다.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는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고, 중소기업이 많은 자원 없이도 엔터프라이즈급 보호를 제공받으며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안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의 마크 애블릿(Mark Ablett) 아태 지역 부사장은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 지역의 중소기업은 혁신을 확대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일자리와 기회를 창출함으로써 지역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잠재력을 온전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유한 과제와 요구에 맞춘 특화된 설루션이 필요하다”며, “HPE 네트워킹 인스턴트 온 시큐어 게이트웨이는 이러한 기업들이 네트워크 보호와 운영 간소화를 위한 고급 보안 설루션을 제공하며, 관리가 용이한 기능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더욱 안전하게 혁신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혁신은 중소기업들이 더욱 연결되는 환경 속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요소”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5-08
BPMN은 무엇일까?
BPMN을 활용하여 제품 개발의 소통과 협업 극대화하기 (2)   지난 호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Business Process Modeling)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최근의 제품 개발이 복잡한 절차와 다양한 참여자, 그리고 광범위한 자원의 투입으로 시장의 변화에 빠르고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주요 참여자들이 정보를 빠르게 추적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환경을 요구하고 있는데, 그동안 익숙하고 편하게 사용해온 오피스(문서) 기반, 특히 엑셀을 활용한 WBS 관리 및 간트(Gantt) 차트 작성으로는 이러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정리해 보았다. 이번 호부터는 BPMN(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에 대해 알아보고, 어떠한 특징과 장점이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에게 요구되는 최근의 제품 개발 환경에 어떻게 적용해 나갈 수 있는지 차근차근 파악해 보도록 하자.   ■ 연재순서 제1회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이 필요한 이유 제2회 BPMN은 무엇일까? 제3회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을 배워보자 제4회 간단한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디자인해보기 제5회 클라우드 서버 환경에서 BPMN을 연결하는 설루션 탐구   ■ 윤경렬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책임연구원   ■ 가브리엘 데그라시 이탈리아 Esteco사의 프로젝트 매니저   BPMN은 비영리 컴퓨터 산업 표준을 연구하고 제정하는 OMG(Obejct Management Group)에서 개발하여 오픈소스로 배포하는 개방형 정보 표준 체계이다. BPMN 1.0은 2006년에 릴리스되었으며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2011년에는 BPMN 2.0이 발표되었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중요한 기능들의 모습이 이때부터 갖추어지게 되었는데,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및 IEC(International Electotechnical Commisson)는 BPMN 2.0을 2013년 ISO/IEC 19510:2013로 명시하여 국제 표준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이제부터는 BPMN이 무엇인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BPMN의 구성 요소   그림 1. BPMN의 기본 구성 요소 1   그림 2. BPMN의 기본 구성 요소 2   우선 BPMN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participants(참여자 또는 행위대상의 구별), sub-process(하부 프로세스), task(수행업무), gateways(논리적 선택), data(데이터 객체 및 스토리지), events(이벤트) 등 종류도 많고 다양한데 활용하는 방법 또한 무궁무진하다.  우리는 BPMN의 구성 요소를 하나하나 상세하게 분석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므로, BPMN의 간단한 작성 예제를 통해 주요 기능과 특징을 개괄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BPMN 모델링 간단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요구사항 – CAD 입수 – 해석 모델링 – 베이스 해석 – 민감도 해석 – 최적화 해석)에 대한 BPMN 모델링을 <그림 3~4>와 같이 구성하였다.    그림 3.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모델링 1   그림 4.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모델링 2   이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요구사항 태스크(enter requirement)를 처리한 이후 도면 준비 태스크(prepare CAD design)를 수행하고, 해석 모델링 태스크(prepare FEA design)와 비용 계산 모델 태스크(prepare cost model)를 병행 게이트웨이(parallel gateway)로 처리한다. 다음에는 베이스 해석 태스크(run baseline design)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시스템 또는 자동화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태스크로 정의할 수 있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4-02
포티넷, 중요 인프라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OT 보안 플랫폼’ 업데이트 공개
포티넷 코리아는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중요 인프라 및 산업 현장을 더욱 강력하게 보호하고자 자사의 ‘OT 보안 플랫폼(OT Security Platform)’을 업데이트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포티넷 OT 보안 플랫폼’은 포티가드 OT 보안 서비스(FortiGuard OT Security Service)를 기반으로 OT에 특화된 심도 깊은 위협 가시성을 제공하며, 열악한 환경에서 세분화(segmentation) 및 5G를 지원하는 확장된 러기드 설루션, 자동화된 위협 대응 및 규정 준수(컴플라이언스) 추적을 지원하는 업그레이드된 OT 보안운영(SecOps) 포트폴리오가 포함되어 있다. 포티넷은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포티넷 OT 보안 플랫폼에 OT 보안 강화를 위한 새로운 기능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포티가드 OT 보안 서비스(FortiGuard OT Security Service)’의 업데이트 사항이 반영된 새로운 ‘포티게이트 러기드 NGFW(FortiGate Rugged NGFW)’는 OT 환경에서 높은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기업들이 3300개 이상의 OT 프로토콜 규칙, 약 750개의 OT IPS 규칙, 1500개의 가상 패치 규칙 전반에서 위협을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들 기능은 알려진 익스플로잇 취약점(KEV) 및 기타 사이버 위험으로부터의 조직을 보호하며, 레거시 OT 시스템에 대한 가상 패치를 통해 지능적인 위협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새로운 시큐어 네트워킹 OT 기능에 FortiSRA에 대한 업데이트가 포함되었으며, OT 환경에서 보다 향상된 시크릿(secret) 및 패스워드 관리 기능을 통해 안전한 원격 액세스를 더욱 강화한다.   포티넷은 보다 안전한 세분화를 보장하기 위해 ‘포티스위치 러기드 108F(FortiSwitch Rugged 108F)’ 및 ‘포티스위치 러기드 112F-POE(FortiSwitch Rugged 112F-POE)’를 선보이며 산업용 소형 폼 팩터 스위치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이들 러기드 스위치 제품은 포트 차원에서 세분화된 보안을 실행할 수 있어, 포티넷의 보안 에코시스템과 통합을 유지하면서 OT 네트워크 전반에서의 무단 측면 이동 공격(unauthorized lateral movement)을 방지한다. 또한, 포티넷의 통합 FortiOS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및 보안 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포티넷은 보안 및 회복성을 강화하기 위해 원격 OT 사이트에 빠른 속도로 안전한 연결성을 제공하는 IP67 등급의 5G 무선 WAN 게이트웨이 ‘포티익스텐더 러기드 511G(FortiExtender Rugged 511G)’와 IP64 등급의 차량용 5G 라우터인 ‘포티익스텐더 비히클 511G(FortiExtender Vehicle 511G)' 등 2개의 러기드 5G 설루션을 선보였다. 두 설루션 모두 내장형 Wi-Fi 6와 새로운 eSIM 기능을 갖추고 있어 물리적인 SIM 카드가 필요 없고, 통신사 선택을 간소화시켜준다. 포티넷은 OT를 위한 ‘AI 기반 보안 운영(SecOps)’ 기능도 강화했다고 밝혔다. 업데이트된 ‘포티애널라이저 7.6(FortiAnalyzer 7.6) 및 ‘포티디셉터 6.1(FortiDeceptor 6.1)’은 보안 위협에 대한 심도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OT 보안 팀을 위한 규정 준수(컴플라이언스) 리포팅을 간소화한다. 업데이트된 FortiNDR 클라우드(FortiNDR Cloud)는 위협 헌팅(threat hunting)을 위한 새로운 OT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FortiNDR(온-프레미스)에는 퍼듀 모델 뷰(Purdue Model view)와 OT 및 마이터 어택 ICS 매트릭스(Mitre ATT&CK ICS Matrix)를 포함한 새로운 디바이스 인벤토리 등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포티넷의 니라브 샤(Nirav Shah) 제품 및 솔루션 담당 수석 부사장은 “포티넷은 20년 이상 업계 선두의 OT 보안 플랫폼을 구축해 왔으며, 여전히 OT 보안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면서, “에너지, 운송, 제조와 같은 산업 전반과 중요 인프라에 대한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되고 있는 만큼, 포티넷은 OT 환경에 최적화된 포괄적인 보안 설루션을 제공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기업들은 단일 통합 플랫폼을 통해 OT 보안 태세를 향상시키고 규제 요건을 준수하는데 필요한 도구를 더욱 원활히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3-13
델 테크놀로지스, 에지의 AI 활용 고도화하는 ‘네이티브엣지’ 소프트웨어 기능 확대
델 테크놀로지스는 에지에 AI를 구축하고 확장해 사용하는 방법을 간소화하도록 고안된 ‘델 네이티브엣지(Dell NativeEdge)’ 에지 운영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기능을 확대하고 고도화했다고 밝혔다. 가트너에 따르면 2025년까지 기업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의 50% 이상이 데이터센터 또는 클라우드 외부에서 생성 및 처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에지로의 이동이 늘어나고 AI가 새로운 에지 워크로드를 증폭시킴에 따라, 여러 곳의 에지 위치에 지속적으로 AI 모델을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민첩하고 안전한 연결형 시스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델 AI 팩토리(Dell AI Factory)의 일부이자 에지 운영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델 네이티브엣지는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고, AI 소프트웨어 통합 및 고가용성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업 및 기관이 에지에서 AI를 구축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회복탄력성과 안정성을 높인다.  델 네이티브엣지는 대규모의 안전한 디바이스 온보딩, 원격 관리 및 멀티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오케스트레이션을 제공하는 에지 운영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델 네이티브엣지는 델 파워엣지(Dell PowerEdge) 서버, 옵티플렉스(OptiPlex) 및 프리시전(Precision) 워크스테이션과 델 게이트웨이(Dell Gateways) 등의 네이티브엣지 엔드포인트(NativeEdge Endpoint)에 대한 멀티 노드 고가용성 클러스터링을 지원한다. 네이티브엣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엔드포인트를 클러스터링해 마치 단일 시스템과 같이 운영하면, 네트워크 중단이나 디바이스 장애 발생시에도 중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에지 AI 워크로드를 지속할 수 있는 고가용성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가상 머신(VM) 마이그레이션과 자동 애플리케이션, 컴퓨팅 및 스토리지 페일오버(failover)를 통해 안정성 및 지속적인 운영을 향상시킨다. 델은 “네이티브엣지가 소매/유통점에서부터 거대 유틸리티 업종(전력, 가스, 수도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변화하는 워크로드 수요에 간편하게 대응할 수 있다”면서, “네이티브엣지 엔드포인트를 델 파워스토어(Dell PowerStore) 및 델 파워볼트(Dell PowerVault) 등의 외장 스토리지 설루션과 통합해 에지에 싱글 티어, 2개 티어, 3개 티어 등 다양한 설루션에서 AI 모델 트레이닝 및 구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에지에서 AI 추론을 구현하는 경우 많게는 수백 개의 에지 위치에 AI 애플리케이션과 설루션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델은 55개 이상의 사전 제작된 ‘델 네이티브엣지 블루프린트(Dell NativeEdge Blueprints)’로 구성된 포괄적인 카탈로그를 제공하여, AI 애플리케이션과 프레임워크를 신속하게 구축하고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을 내세운다. 네이티브엣지 블루프린트를 사용하면 새로운 활용 사례와 AI 추론 기능을 에지에서 손쉽게 조합하고 구축할 수 있으며, 매뉴얼 셋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오류를 줄여준다. 델은 ▲에지 사용 사례에 맞춤화된 오픈소스 도구로 AI 설루션의 빠르고 효율적인 구축 지원 ▲통합 운영, 빌딩 시스템, 마스터 플랜, 지능형 도시 모빌리티 및 중요 연결성 등 도시 인프라 현대화 촉진 ▲소매점 운영에 실시간 분석을 사용한 매장 내 쇼핑객 경험 향상 ▲빠른 속도로 센서 및 IoT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집 및 다양한 위치 ▲에지에서 컴퓨터 비전 AI 모델 개발 가속화 ▲에지에서 AI 추론 기능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배포 및 수동 설정 시간 단축과 오류 최소화 등 카탈로그를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델 네이티브엣지의 업데이트 기능은 2025년 1월에 제공될 예정이며, 델 네이티브엣지 고객은 델을 통해 엔비디아 GPU용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NVIDIA AI Enterprise) 라이선스를 구매하고 활성화할 수 있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의 김경진 총괄사장은 “AI는 전례 없는 속도로 새로운 에지 워크로드와 기회를 가속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에지에 AI를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하며, “네이티브엣지는 비즈니스 연속성을 지원하는 기능을 통해 에지 AI 워크로드의 배포 및 관리를 자동화하므로, 기업에서는 최신 AI 기술을 활용하여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긍정적인 고객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4-11-13
[포커스] 알테어, ‘ATC 2024’에서 최신 AI/시뮬레이션/HPC  기술 공유
한국알테어가 지난 8월 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알테어 테크놀로지 콘퍼런스 코리아 2024(이하 ATC 2024)’를 개최했다. ATC 2024는 ‘가능성의 과학(The Science Of Possibility)’을 주제로 각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의 엔지니어 및 오피니언 리더 1000여 명이 모여 혁신적인 엔지니어링 솔루션과 최신 디지털 전환 기술을 공유하고 논의했다. ■ 최경화 국장   ▲ 알테어 테크놀로지 콘퍼런스 코리아 2024    올해로 22회를 맞이한 ATC 2024에서는 8개 트랙을 통해 시뮬레이션, 데이터 분석/AI, HPC 기술의 융합을 탐구하는 67편의 기술 발표가 진행되었다.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HD현대중공업, LS전선, 한국항공우주산업, 롯데중앙연구소 등 각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의 엔지니어 및 오피니언 리더가 참석해 혁신적인 엔지니어링 솔루션과 최신 디지털 전환 기술에 대해 공유하고 정보를 교환했다.  한국알테어 김도하 지사장은 환영사에서 “알테어 테크놀로지 콘퍼런스는 매년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해왔다”면서, “이번 주제인 ‘가능성의 과학’은 알테어의 핵심 가치인 혁신과 도전 정신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콘퍼런스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알테어와 함께 다양한 기술적 도전 과제들을 해결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한국알테어 김도하 지사장   기조연설에서는 각 산업별 고객사의 성공사례와 기술 시연 및 데모 체험 등이 공개되었으며 ▲시뮬레이션 ▲인공지능 기반 엔지니어링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시뮬레이션 기반 설계 ▲전동화 ▲기업 솔루션 ▲유체역학 ▲다중물리학 등 총 8개 트랙에서 엔지니어링 및 설계 과정에서의 혁신과 최적화를 추구하는 기술과 방법론이 다양한 세션으로 소개되었다. 알테어의 스테파니 버크너(Stephanie Buckner)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기조연설에서 “알테어는 디지털 혁신의 최전선에서 오늘날 산업이 직면한 복잡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인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면서, “인공지능(AI), 시뮬레이션, 고성능 컴퓨팅 등의 기술들이 통합되고 이러한 혁신들이 산업 전반에 걸쳐 효율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알테어는 고객들에게 미래 지향적이고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알테어 스테파니 버크너 최고운영책임자   LG전자에서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의 김용연 팀장은 알테어와 LG전자가 공동으로 개발한 ‘알테어 옵티스트럭트(OptiStruct) 기반 다물리 누적 손상 해석기법’을 발표했다. 김용연 팀장은 “자동차 부품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격, 온도, 진동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험이 필요하지만, 이를 CAE로 종합해 구현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라면서, “LG전자와 알테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물리 기반의 단일 모델(one model), 단일 해석기(one solver)를 개발하여, 다양한 물리 현상을 단일 모델에서 포괄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개발 과정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고 말했다.   ▲ LG전자 VS사업본부 김용연 팀장   이어서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인공지능경제 교수이자 시멘틱그래프의 황문기 대표는 ‘알테어 래피드마이너 젠(Gen) AI 솔루션과 지식그래프(Knowledge Graph)를 통합한 대형언어모델 서비스와 구현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황문기 대표는 “기업들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AI 기술을 도입하려고 하지만,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예측 불가능성과 설명이 어려운 블랙박스 특성으로 인해 환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알테어는 젠 AI와 그래프 스튜디오(Graph Studio)를 결합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LLM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고, 지식그래프를 활용해 신뢰할 수 있는 AI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환각을 제거하고 응답 품질을 개선한다”고 말했다.   ▲ 시멘틱그래프의 황문기 대표   롯데중앙연구소는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시뮬레이션 기술을 도입해 제조 공정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효율과 품질을 높였다. 롯데중앙연구소 공정기술팀은 “가상 환경에서 제조 공정을 테스트해 실제 생산 과정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면서, “이를 통해 더욱 안전하고 품질 높은 식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추가적인 성과를 이끌어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알테어는 시뮬레이션과 AI, HPC의 융합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과 콘셉트 디자인을 위한 알테어 하이퍼웍스(Altair HyperWorks), 데이터 분석과 AI, IoT 및 스마트 제품 개발을 위한 알테어 래피드마이너(Altair RapidMiner),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알테어 HPC웍스(Altair HPCWorks) 등 3가지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필요한 모든 제품을 한 곳에서 찾을 수 있는 클라우드 혁신 게이트웨이 알테어 원(Altair One)을 통해 전체 제품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특히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AI 기반의 엔지니어링과 시뮬레이션 기술 및 솔루션 등이 주목을 끌었으며, 알테어가 인공지능을 통해 기업의 의사결정을 돕고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례를 볼 수 있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0-04
슈나이더 일렉트릭, GR3N과 플라스틱 재활용 위한 개방형 자동화 시스템 구축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폐 폴리에스테르(PET)의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보유한 스위스 기업 ‘GR3N’과 첨단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을 위한 최초의 개방형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98%가 화석연료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은 생산부터 폐기까지 생애 주기 전반에 걸쳐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소재로, 기후변화 대응에 큰 장애물로 꼽히고 있다. 플라스틱의 전 세계 수요는 2060년까지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바다에 있는 플라스틱의 양이 물고기의 수를 초과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더욱이 플라스틱은 종류나 성분이 다양해 재활용 자체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2022년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는 비율은 9%에 불과하다. GR3N은 폐 플라스틱의 순환성을 높이기 위한 솔루션인 MADE(Microwave Assisted DEpolymerization)를 선보이고 있다. 이는 PET를 화학적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포장재 및 섬유에 사용할 수 있는 신품과 같은 품질의 새로운 PET 펠릿(pellet)으로 재결합한다. 알칼리 가수분해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 기술보다 더 많은 불순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GR3N은 IEC 61499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인 에코스트럭처 오토메이션 엑스퍼트(EcoStruxure Automation Expert)를 도입하여 스페인에 MADE 공장을 새롭게 구축할 예정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EAE는 UAO 런타임 엔진을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의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이다. 이는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에서 분리하고 여러 자동화 공급 업체의 제안을 원활하게 통합하도록 설계돼 산업 분야에서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산업 자동화 시스템 통합업체 및 OEM에게는 보다 뛰어난 민첩성과 간편함을 제공한다. GR3N의 스페인 MADE 공장은 UAO 런타임 엔진을 사용하는 최초의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으로, 연간 4만 톤 이상의 PET 폐기물을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GR3N의 파비오 실베스트리(Fabio Silvestri) 마케팅 및 비즈니스 개발 책임자는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및 하드웨어 독립성을 통해 GR3N은 운영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기술의 한계를 확장할 수 있었다”면서, “특히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때 시스템을 빠르게 재구성할 수 있었고, 하드웨어에 구애받지 않는 시스템 덕분에 공급망 문제도 줄일 수 있다. 이는 대규모로 고급 플라스틱 재활용을 실현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크리스토프 드 마이스트르(Christophe de Maistre) 에너지 및 화학, 산업 자동화 부문 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4억 6000만 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는 가운데,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 주기 전체에 걸친 통합,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모듈화, 그리고 고급 분석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솔루션이 필수적”이라면서, “GR3N과의 이번 협력을 통해 유연성 및 확장성, 효율성을 개선하고, 산업 규모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0-02
AMD, 신규 에픽 8004 프로세서 발표로 4세대 서버 프로세서 제품군 완성
AMD가 AMD 에픽 8004 시리즈(AMD EPYC 8004 Series) 프로세서를 선보이며, 완성된 4세대 AMD 에픽 프로세서 제품군을 발표했다. '젠 4c(Zen 4c)' 코어 기반의 AMD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제조사의 효율적이고 차별화된 플랫폼 개발을 지원하며 유통, 제조 및 통신을 포함한 인텔리전트 에지(intelligent edge)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스토리지 등을 위한 데이터 센터까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도움을 준다. AMD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는 높은 성능은 물론 에너지 효율, 플랫폼 집적도, 저소음 구동 등 다양한 고객 요구에 맞춰 4세대 AMD 에픽 제품군에 한 층 더 확장된 기능을 지원한다. 젠 4c 코어 기반의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는 새로운 SP6 소켓의 간소화된 메모리 및 I/O 기능을 활용해 경쟁사 최상위 네트워킹 모델 대비 시스템 와트당 최대 두 배 더 높은 SPECpower 성능을 제공한다. 제한된 공간 및 인프라에서도 높은 와트당 성능에 대한 업계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는 뛰어난 에너지 효율성과 균형 잡힌 성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에픽 8534P 프로세서는 비디오 인코딩 워크로드에서 경쟁사 동급 네트워킹 제품 대비 최대 2.4배 우수한 프레임, 인코딩 시간, 시스템 전력 소비을 제공한다. 8코어 에픽 8024P 프로세서 기반 서버는 IoT 에지 게이트웨이(IoT Edge gateway) 워크로드에서 경쟁사 8코어 프로세서 대비 8kW 랙당 최대 1.8배 더 높은 총 처리량 성능을 제공한다. 인텔리전트 에지 구축은 데이터 센터 내 예상되는 풀랙(full racks)이 아닌 소규모 서버 노드에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1, 3, 10대의 서버로 구성된 인텔리전트 에지 시스템 구축 시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 기반 서버는 향상된 코어 집적도 및 처리량으로 경쟁 제품 대비 뛰어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며, 향후 5년 동안 수천 달러의 잠재적인 에너지 비용을 절감한다. AMD의 댄 맥나마라(Dan McNamara) 에픽 사업부 총괄 수석 부사장은 “새로운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는 공간 및 전력에 제약이 있는 인프라에서도 뛰어난 CPU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며 한 단계 더 진화된 싱글 소켓 플랫폼 성능을 지원한다”면서, “AMD는 엔터프라이즈 및 클라우드부터 인텔리전트 에지, 기술 컴퓨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워크로드에 뛰어난 효율과 성능을 제공해 왔다. 이번 발표로 완성된 4세대 에픽 프로세서 제품군을 선보이며 기술 혁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AMD의 주요 OEM 및 파트너사는 AMD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의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시스템 및 솔루션을 공개했다.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는 전력 및 온도 등 여러 요구사항에 적합한 성능은 물론 고집적도 데이터 센터, 도시 내 통신사 건물, 공장 현장과 같은 극한의 물리적 환경에서의 원활한 구축을 지원한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델 파워엣지 C6615(Dell PowerEdge C6615)’ 서버를 새롭게 출시했다. 효율적인 폼 팩터로 컨테이너, 마이크로서비스와 같은 스케일 아웃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성능과 합리적인 TCO (Total Cost of Ownership, 총 소유비용)을 제공한다. 에릭슨은 AMD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를 활용한 클라우드 RAN 컴퓨팅 가속화 솔루션을 출시했는데, 에픽 8004 시리즈 프로세서의 코어 집적도 및 AVX512 기능으로 FDD 및 TDD 스펙트럼에서 과부하된 사이트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지원한다. 레노버는 최신 플래그십 엣지 최적화 서버인 ‘레노버 씽크엣지 SE455 V3(Lenovo ThinkEdge SE455 V3)’를 발표했다. 씽크엣지 SE455 V3 서버는 엣지 환경에서 차세대 AI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에너지 효율성을 지원하고 에지 AI 워크로드에서 동급 제품 대비 최상의 성능, 스토리지 및 확장성을 내세운다. 슈퍼마이크로는 AMD 에픽 8004 시리즈를 지원하는 신규 에지 플랫폼을 공개했다. 슈퍼마이크로 H13 세대 WIO 서버 기반의 신규 플랫폼은 에지 및 통신사 데이터 센터에 강력한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작성일 : 2023-09-19
AWS의 에지 컴퓨팅 서비스, IoT 그린그래스 Ⅱ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AWS IoT 서비스 (4)   지난 호에서는 AWS IoT 그린그래스(AWS IoT Greengrass)의 개념 및 활용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AWS IoT 그린그래스가 제공하는 주요한 5가지 기능에 대해 소개하고, 지난 호에 언급한 일종의 소프트웨어 모듈인 컴포넌트(component)의 개념 및 배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도록 한다.   ■ 연재순서 제1회 AWS IoT를 활용한 스마트 공장의 구현 제2회 AWS IoT의 핵심 서비스, IoT 코어 제3회 AWS의 에지 컴퓨팅 서비스, IoT 그린그래스 Ⅰ 제4회 AWS의 에지 컴퓨팅 서비스, IoT 그린그래스 Ⅱ 제5회 산업용 데이터를 쉽게 수집하고 분석하게 해주는 AWS IoT 사이트와이즈 제6회 AWS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솔루션, IoT 트윈메이커 Ⅰ 제7회 AWS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솔루션, IoT 트윈메이커 Ⅱ   ■ 조상만 | AWS코리아에서 AWS 클라우드를 통해 제조 대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기술적으로 돕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smcho@amazon.com 홈페이지 | https://aws.amazon.com/ko   AWS IoT 그린그래스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대표적으로 AWS IoT 그린그래스를 적용할 수 있는 기능 사례로는 다음의 다섯 가지가 있다.   로컬 메시징 AWS IoT 그린그래스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 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능으로, 로컬 환경에서 클라우드와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도 로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간 MQTT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클라우드와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단절된 경우 AWS IoT 그린그래스 코어 디바이스가 일종의 게이트웨이 역할인 로컬 MQTT 메시지 브로커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로컬 메시징 기능에 대한 설명은 <그림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의 아래쪽에 있는 2개의 개별 디바이스(Publisher & Subscriber)는 AWS의 IoT 코어 서비스를 통해 클라우드에 등록되었지만, 클라우드 연결 없이도 AWS IoT 그린그래스를 통해 디바이스 간 통신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우리나라와 같이 통신 환경이 매우 우수한 경우에는 크게 의미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동남아 또는 중동과 같이 인터넷 상황이 열악한 환경에서 다수의 디바이스 연동이 필요한 비즈니스에는 오프라인 시나리오를 준비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그림 1. AWS IoT 그린그래스 서비스의 로컬 메시징 기능   산업용 데이터의 수집 공장과 같은 산업용 설비 현장에서는 AWS IoT 그린그래스 코어 디바이스가 일종의 OPC-UA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며, 산업용 업계 표준 통신 프로토콜인 OPC-UA를 통해 설비에서 발생하는 산업용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수집한다. 만약 OPC-UA가 아닌 모드버스(Modbus)와 같은 또 다른 산업용 프로토콜로 연결된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면,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일종의 애플리케이션인 컴포넌트를 AWS IoT 그린그래스 코어 소프트웨어 위에 구현할 경우 클라우드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데이터 스트림의 관리 기존에는 공장의 설비와 같은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되는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의 대부분을 클라우드에 업로드하여 분석을 시도하였으나, 실제로 상당수의 설비 데이터가 분석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AWS IoT 그린그래스 코어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스트림 매니저 기능을 사용하여 로컬 AWS IoT 그린그래스 코어 디바이스에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높은 가치를 지니는 데이터만 클라우드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필터링된 데이터는 <그림 2>와 같이 AWS IoT 애널리틱스(AWS IoT Analytics), 아마존 키네시스 데이터 스트림(Amazon Kinesis Data Streams), AWS IoT 사이트와이즈(AWS IoT SiteWise), 아마존 S3(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Amazon S3) 등 AWS가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 및 저장 서비스로 전송된다. <그림 2>는 스트림 매니저를 통한 AWS 클라우드로의 데이터 유입 아키텍처를 보여준다.   그림 2. AWS IoT 그린그래스의 스트림 매니저를 이용한 AWS 클라우드로의 데이터 전송   ■ 기사의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8-02
에이수스, RISC-V 아키텍처 기반 싱글보드 컴퓨터 Tinker V 출시
에이수스(ASUS) 코리아는 리눅스 데비안(Linux Debian) 및 욕토(Yocto) 운영 체제를 모두 지원하며 64비트 RISC-V 기반 프로세서로 구동되는 에이수스 IoT의 다목적 SBC(Single-Board Computer)인 Tinker V(팅커 V)를 출시했다. 팅커 V 팩은 콤팩트한 Pico-ITX 폼팩터에 다양한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지원과 보장된 수명을 제공하여 다양한 IoT 및 게이트웨이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RISC-V 프로세서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원칙에 기반한 오픈소스 ISA(Instruction Set Architecture)를 사용하며, 기존 x86 및 Arm 플랫폼과 달리 ISA가 오픈소스로 제공된다. 이로 인해 개인 개발자와 기업 모두가 RISC-V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라이선스 및 저작권 비용을 우회하여 자유롭게 변경, 최적화 및 배포할 수 있다. 에이수스는 "RISC-V 기반의 팅커 V의 출시로 편리하고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IoT 기술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리눅스 데비안 및 욕토를 실행하도록 설계된 팅커 V SBC는 초소형 사이즈를 특징으로 높은 성능, 포괄적인 기능 및 풍부한 연결성을 제공해 다양한 산업용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제품이다. 특히, 1.0GHz 작동 주파수를 지원하는 RISC-V AndesCore AX45MP 단일 코어가 통합된 르네사스(Renesas) RZ/Five MPU가 장착되어 있으며, GPIO, 마이크로 USB, 듀얼 기가비트 이더넷, 한 쌍의 CAN 버스 인터페이스 및 두 개의 RS232 COM 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1GB의 내장 RAM과 16GB eMMC(옵션)를 제공하며, 최저 -20℃에서 최고 60℃까지의 작동 온도를 지원한다. 팅커 V를 구매한 고객은 에이수스 IoT로부터 최소 5년의 지원을 보장받으며,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가속화할 수 있는 전담 현장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르네사스 엔터프라이즈(Renesas Enterprise) 카토 시게키(Shigeki Kato) 인프라 사업부 부사장은 "우리는 에이수스와 협력하여 범용 RZ/Five MPU가 IoT 시스템의 RISC-V 확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보게 되어 기쁘다"면서, "에이수스는 팅커 V SBC에 당사의 장치를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협업을 통해 고객에게 더욱 포괄적인 RISC-V 기반 MPU 솔루션을 소개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데스 테크놀로지(Andes Technology)의 사장 겸 CTO인 찰리 수 박사(Dr Charlie Su)는 "안데스는 흥미로운 팅커 V 제품을 위해 에이수스 IoT와 협력했다. 이 강력한 SBC는 안데스 AX45MP를 채택하고 있으며, 안데스의 고급 RISC-V 프로세서 제품군으로 구축된 장치가 글로벌 산업 시장에서 조기에 채택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