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건양대학교"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9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스트라타시스-건양대-TPC메카트로닉스, “3D 프린팅 교육 설루션으로 첨단제조 분야 인재 양성”
스트라타시스가 건양대학교 및 TPC메카트로닉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3개 기관은 ▲최첨단 3D 프린팅 인프라 구축에 대한 협력 및 관련 기술 자료 등 공유 ▲건양대학교 내 3D 프린팅 교육센터(겸 스트라타시스 전시홍보관) 운영 협력 ▲스트라타시스 인증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강사 지원 등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스트라타시스는 생산 비용 절감, 짧은 리드타임, 낮은 진입장벽 등을 내세운 3D 프린팅 설루션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의 설루션은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폴리젯(PolyJet), P3(Programmable PhotoPolymerization), SAF(Selective Absorption Fusion),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자동차·항공우주·소비재·교육·의료·패션 등의 산업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3D 프린팅에 대한 접근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학생들의 창의성과 실습에 사용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의 교육 설루션은 프로토타입에서 최종 사용 부품에 이르기까지 신뢰할 수 있는 기술을 학교에 제공하는 것은 물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강력한 서포트 시스템을 지원한다. 이러한 교육 설루션의 일환으로, 스트라타시스는 지속적으로 국내 대학교와 협력하여 첨단 제조 분야 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스트라타시스는 2024년 2월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 단국대-스트라타시스 첨단제조융합연구센터(DSC)를 개소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견인할 3D 프린팅 분야 엔지니어 양성에 뜻을 모았다.     건양대학교의 김용하 총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기관 간 협력을 통해 글로컬대학사업 분야의 인프라 구축, 인재 양성 및 교육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방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라타시스의 문종윤 지사장은 “스트라타시스는 수십 년 동안 업계 리더들과 협력한 경험을 바탕으로 3D 프린팅 설루션을 통한 첨단제조 분야 인재양성에 뜻이 있는 대학과 협업을 이어나가고 있다”면서,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건양대학교의 3D 프린팅 교육센터가 스트라타시스의 최신 장비를 기반으로 핵심 산업 전반을 선도하는 R&D 허브이자 인재의 산실로서 도약할 수 있게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3-25
[포커스] 3D Printing Dreams Come True 경진대회
청년 창업 아이템 발굴을 위한 3D 프린팅 활용 한국3D프린팅서비스협회는 2월 24일 제5회 창의메이커스필드와 함께 대학생 경진대회를 열었다. 이번 대회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청년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3D 프린팅의 대학 교육과 산업체간의 교류 및 저변 확대하자는 취지에서 개최됐다. 3D 프린팅 경진대회는 대학(원)생과 지도교수가 함께 팀을 이루어 참여하는 방식으로 대회 참가팀은 3D 프린팅을 통해 신기술을 접목하거나 산업 아이템을 만들어 제출했다. 기술 혁신 부분과 창업(산업) 부분으로 나누어 총 18팀이 수상했다. 한국3D프린팅서비스협회는 2월 24일 제5회 창의메이커스필드와 함께 대학생 경진대회를 열었다. 이번 대회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청년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3D 프린팅의 대학 교육과 산업체간의 교류 및 저변을 확대하자는 취지에서 개최됐다. 3D 프린팅 경진대회는 대학(원)생과 지도교수가 함께 팀을 이루어 참여하는 방식으로 대회 참가팀은 3D 프린팅을 통해 신기술을 접목하거나 산업 아이템을 만들어 제출했다. 기술 혁신 부분과 창업(산업) 부분으로 나누어 총 18팀이 수상했다. 기술 혁신 부문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 표창은‘ 인스턴스 촉지도’를 제작한 강남대학교 컴퓨터미디어공학부 계상우, 신광원, 양동욱, 임준혁 학생이 수상했다.   작품은 지하철 등에 비치된 기존의 촉지도를 소형화하여 휴대성을 개선하면 시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보다 안전하게 어디든지 이동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이디어에서 고안됐다. 웹 클라이언트를 통해 네이버 지도를 제공하고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위치의 지도 이미지가 서버로 전송된다. VB.NET으로 작성한 Image To STL 툴과 Braille To Image 툴을 통해 3D 모델링 파일을 제공하고 3D 프린터로 건물 위에 점자가 합성된 촉지도가 출력된다. 또한 지도에 라즈베리파이와 Makey Makey를 연동하여 음성 안내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철제 촉지도보다 크기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인스턴스 촉지도를 통하여 시각 장애인의 사회 활동과 권리 증진을 도울 것이라 기대된다. 창업(산업) 부분 창업 부문에서는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송응열, 이준협, 최재성, 배한별 학생이 산업통상자원위원장 표창을 받았다. 수상작 ‘3D 얼굴 생성 및 변형 콘텐츠 제작 툴’은 평면 인물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하여 3D 프린터로 입체 출력하는 기술이다.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3D 얼굴 데이터 가공 기술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지만, 수상작은 고가의 3D 스캐너가 아닌, 일반적인 2D 정면 인물 사진을 이용하여, 3D데이터로의 변환을 자동화했다. 이로써 기존의 기술보다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의 절약이 가능하다. 통계적 분석 방법을 활용한 2D 영상 기반의 3D 얼굴 데이터를 획득해 얼굴의 특징점과 예측된 3D 정보를 토대로 평균 3D 모델에 적용했다. 한 장의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얼굴을 예측하는 연구 분야는 매우 어려운 분야이지만, 3차원 프린터와 융합해 얼굴을 직접 출력할 수 있다. 현장에서 바로 제작과 변형이 가능하고 바로 3차원 프린터로 출력 가능한 파일 포맷 또한 표준을 따라 온라인 유통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 표창 - 인스턴스 촉지도 / 강남대학교 컴퓨터미디어공학부 계상우, 신광원, 양동욱, 임준혁 ■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 표창 -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구현을 위한 마그넷의 배치 설계 / 수원과학대 전기과 이철오, 박경선, 양영수, 김초록 - 모바일 기반 미간 적응형 양안홍채 진단기 / 순천향대학교 의료IT공학과 문초이, 홍기윤, 박성경 ■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표창 - 3D 프린팅 드론 출력 / 동명대학교 미디어공학과 임지용, 고성관, 권희승, 배선률 ■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표창 - 자전거 경량 프레임 / 영남대학교 트랜스아트 전공 황윤찬, 임창오, 백주영, 장성우 - 분말 혼합물의 토출이 가능한 head ysstem 개발 / 원광대학교 기계공학과 강내운, 최태준, 정훈진, 김희경 - 환자 맞춤형 손목/발목 캐스팅 / 건양대학교 의료신소재학과 정귀선, 정재은, 박소영, 송태은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표창 - CIED(Card type Interface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 강남대학교 컴퓨터미디어공학부 최혜선, 김성민, 김은지, 이우란 - 직접 만드는 로봇 제어 시스템 / 동명대학교 미디어공학과 송진욱, 우종화, 여정협, 황보명숙 - 3D 프린팅 백 로드 혼 스피커 / 수원대학교 정보미디어학과 정인욱 ■ 산업통상자원위원장 표창 - 3차원 프린터에 특화 된 2D얼굴을 3D얼굴 생성 및 변형 콘텐츠 제작 툴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송응, 열이준협, 최재성, 배한별 ■ 산업통상자원위원 표창 - 3D 프린팅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인솔 제작 / 제주한라대학교 정보통신과 고영민, 양도희, 김정한, 전동혁 - IOT조명 겸 가습기 / 계원예술대학 김다예, 김온진, 남희정, 박민정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 양측성 상지운동을 위한 모션 인식 기반 원격 제어 연주 시스템 / 순천향대학교 의료IT공학과 김송이, 최한 솔박,서호 ■ 중소기업청장 표창 - 유사예인체 형상의 3D 설계 / 동명대학교 기계공학과 강신화, 김상철, 김태준 ■ 창업진흥원장 표창 - 숭례문 /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영중, 김다은, 나슬기, 김아림 - BitStory(비트스토리)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김졍주 - Passion of Dreams (PoD) / 동명대학교 조선해양공학부 이대겸, 이동인, 김나은, 구예빈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7-04-03
다쏘시스템코리아-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국내 11개 대학, 한국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한 MOU 체결
다쏘시스템코리아와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및 국내 주요 11개 대학교가 10월 5일 ‘한국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다쏘시스템은 이번 협약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우리나라의 교육기관과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제조혁신 방향에 맞는 인재를 육성하고, 다양한 산학 기술협력 모델을 만들어 나가는데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약식에는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김태환 회장이 연사로 나서 ‘한국 제조산업 도약을 위한 스마트 매뉴팩처링 혁신전략’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또한 다쏘시스템의 크리스 코스말라(Kris Kosmala) 퀸틱(QUINTIQ) 아시아태평양 총괄이 ‘미래의 스마트 제조(Smart manufacturing of the future)’를 주제로 다양한 성공사례와 기술동향에 대한 연설을 이어갔다. 이번 협약식에 참여한 대학교는 거제대학교, 건양대학교, 경북대학교, 경운대학교, 계명대학교, 국민대학교, 동명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선문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총 11개 대학이다. 다쏘시스템은 솔리드이엔지, 하나티에스 등 다쏘시스템의 전문 파트너와 함께 이들 대학들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김태환 회장은 “제조업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선도할 수 있는 IT 기술과 제조업의 융합이 매우 중요하다”며,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통합적 솔루션을 전세계에 공급하는 다쏘시스템과의 협약을 통해 우리 기업과 교육기관들이 또 한번의 ‘제조업 르네상스’를 이뤄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쏘시스템코리아 조영빈 대표는 “우리나라의 제조업 인프라는 세계적 수준이지만 스마트 제조에 대한 대응은 아직 느린 편”이라며, “우리 제조 기업들이 앞으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고민해 왔으며 이번 협약식이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변화를 시작하는 작지만 큰 첫걸음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6-10-06
다쏘시스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업 생존 및 혁신전략 제시
다쏘시스템은 10월 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깨어나라 대한민국(Wake Up KOREA)’을 주제로 한 ‘2016 3D익스피리언스 포럼’을 개최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업들의 생존 및 혁신전략을 제시했다.   다쏘시스템코리아 조영빈 대표이사는 ‘일어나라 대한민국! 진짜 턴어라운드가 필요하다(Wake Up KOREA! We need real turnaround)’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조영빈 대표이사는 기조연설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현재 비즈니스 환경에서 우리 기업들이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을 활용해 변화관리경영을 해야 하는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기업 혁신 투자와 시스템에 대한 재고와 분석 ▲와해성 기술 흐름에 대한 적확한 이해 ▲사상과 프로세스 협업문화가 선순환되는 진정한 변화경영관리야 말로 기업 경영자들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번 3D익스피리언스 포럼에서는 조영빈 다쏘시스템코리아 대표이사의 기조 연설을 시작으로 ▲프랑스 항공 벤처기업인 ‘엘릭서 에어크래프트(Elixir Aircraft)’ 아서 레오폴드-레제(Arthur LEOPOLD-LEGER) CEO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활용한 2인승 비행기 개발 성공사례 ▲세계 10대 항공우주 방위산업 기업인 ‘사프란(SAFRAN)’ 티에리 토마스(Thierry THOMAS) 부사장의 혁신 사례 등의 글로벌 혁신 사례가 발표됐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쌍용자동차, 휴롬, 삼우CM 등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활용한 국내 기업들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들이 발표됐다.   또 이날 오후 다쏘시스템은 3D익스피리언스 포럼에서 기업들의 혁신을 위한 전략 및 성공사례를 제시함과 함께, 산학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해 다쏘시스템의 주요 협력사 및 스마트제조협회, 국내 주요 대학이 참여한 가운데 ‘한국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 참여한 대학교는 건양대학교,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선문대학교, 동명대학교, 한양대학교, 국민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항공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중앙대학교, 경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일대학교, 거제 대학교 등 총 11개 대학이다. 다쏘시스템은 솔리드이엔지, 하나티에스 등 다쏘시스템의 협력사들과 함께 이들 대학들의 인재양성을 위한 기술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조영빈 대표이사는 “급변하는 세계 산업 및 경제의 흐름을 지켜보며 우리 기업과 교육기관들의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이번 ‘3D익스피리언스 포럼’ 행사를 준비했다”며, “진정한 변화를 위해 기업과 교육기관이 깨어나야 한다는 다쏘시스템의 노력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대한민국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6-10-06
한국3D프린팅협회, 의료3D프린팅산업 인큐베이팅에 나서다
한국3D프린팅협회는 건양대학교 메디컬 캠퍼스 명곡홀에서 ‘3D프린팅•개인 맞춤형 의료기기 시대를 연다’는 주제로 제 1회 의료3D프린팅 국제 컨퍼런스-메디컬데이를 개최한다. 3D프린팅 기술은 개인화가 가능하다는 특성으로 인해 의료산업과의 융합에서 특히 각광받고 있다. 이는 환자 개개인의 체형과 특성에 맞춤화된 의료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료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근 부산에서 개최된 월드 IT쇼에서는 박근혜대통령이 의료 3D프린팅 부스를 방문해 직접 설명을 듣는 등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했다. 박대통령은 “3D프린팅은 의료분야에서의 융합을 통한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면서 3D프린팅 산업 육성을 강조해 왔었다. 정부 또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어 일반 의료 보조 장치, 수술 전 시뮬레이션, 의료교육용 등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한국3D프린팅협회는 연구 및 적용 활성화를 위하여 9월에 연세대학교 의료원, 건양대학교 의료원과 MOU를 체결했고 11월에 ‘제 2회 창의 메이커스테이-3D프린팅 메디컬데이’를 건양대학교 메디컬 캠퍼스 명곡홀에서 개최한다. 3D프린팅 메디컬데이에서는 의료 분야에 3D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강연을 진행한다. ‘3D FIT 임플란트’ H성형외과 백정환 원장, ‘3D프린팅 활용 인공뼈 시술(가제)’ 연세대학교 심규원 교수, ‘메디컬분야 스케폴드 3D프린팅’ 한국기계연구원 김완두 박사, ‘3D프린팅을 위한 바이오 캐드시스템’ 조선대학교 병원 문영래 교수, ‘환자 맞춤형 재활의료보조기 적용사례’ 건양대학교 재활의학과 이영진 교수와 해외 3D프린팅 전문가 1인이 주요 연사로 나선다. 또한 현재 의료분야에서 활용중인 기술을 직접 시연할 예정이다. 한국3D프린팅협회는 이번 ‘제 2회 창의메이커스데이-3D프린팅 메디컬데이’를 통해 국내 3D프린팅 산업의 발전을 위한 행보를 지속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한국3D프린팅협회에서는 전문위원회 및 협력체 구성, 백서발간 등의 기반 조성과 연구 및 학술 분야의 활성화, 유통플랫폼 형성 등의 저변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번 ‘제 2회 창의메이커스데이-3D프린팅 메디컬데이’에는 한국3D프린팅협회 변재완 협회장, 사무국장 안영배, 교육BM위원장 윤영진 이사, 건양대학교 김용하 부총장, 스트라타시스 천백민 이사, TPC메카트로닉스 이용우 상무, 대림화학 신홍현 이사 등이 참석한다.  
작성일 : 2014-10-27
솔리드이엔지, 건양대학교와 3D 프린팅 기술 융합 의료기기 산업 발전 위한 산합협력 체결
솔리드이엔지(www.solideng.co.kr)는 6월 18일 건양대학교와 3D PLM(), 3D 프린팅 및 첨단 의료기기 산업 분야의 산학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3D PLM 및 3D 프린팅 기술을 응용한 첨단 의료기기 산업 분야의 상호 발전과 양성된 전문 인력의 기업체 산업현장 실습을 통한 산학간 유대와 취업지원을 연계할 수 있게 됐다. 양 기관이 중점적으로 추진할 의료기기 산업에서 솔리드이엔지는 다년간의 3D 설계 및 컨설팅 경험을 바탕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응용한 신개념 첨단 의료 기기 개발 및 3D 설계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건양대학교는 선진 의료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의료 환경에 적합한 의료 기기 기술력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솔리드이엔지 김형구 대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으며 제조업의 혁신을 가져 올 3D 프린팅 기술을 토대로 한 첨단 의료기기 산업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은 솔리드이엔지의 차세대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면서 "건양대학교의 산학협력 선도대학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어 매우 뜻 깊다"고 밝혔다. 건양대학교 김희수 총장은 "3D PLM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솔리드이엔지와 협약을 체결하게 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향후 인적, 물적 자원의 교류로 양 기관의 공동 성장 발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4-06-23
[대구건축캐드,건축디자인학원,실내인테리어]모드컴퓨터디자인학원 방학특강, 2주특강,
    교육상담:미나쌤 전화번호:053)254-0307 카톡아이디:modsalt0707   안녕하세요^ ^ 모드컴퓨터학원에 미나쌤이예욧~ 요즘 고3학생들 노느라 정신없지요? 요즘 정시모집을 진행중인 상황에서 궁금하신 분들 많을꺼예요. 지금도 진로에 대해서 상담하러 오는 학생들이 상당히 많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실내디자인과(인테리어)학과 학교 리스트를 말씀드릴께요^^   우선 4년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가야대학교[실내디자인과] 건양대학교[기계건축토목공학부]실내건축] 경남대학교[공간조형디자인] 경동대학교[인텐리어디자인] 건국대학교[실내디자인] 경성대학교[실내건축] 계명대학교[실내디자인과] 대구대학교[주거환경디자인] 대불대학교[실내건축] 동서대학[스페이스디자인] 동신대학교[환경디자인] 동양대학교[실내디자인] 부산대학교[아동주거] 상명대[실내디자인] 세명대[실내디자인] 울산대학교[환경디자인] 인제대학교[디자인학부] 조선대학교[실내디자인] 청운대학교[인테리어디자인] 협성대학교[실내디자인] 대구한의대[실내건축]   대구보건대[의료환경디자인계열] 영진전문대학[건축디자인] 영남이공대학[실내건축디자인] 대구과학대[인테리어전공] 계명문화대[실내인테리어전공]     요즘에 많은 학생들이 실내디자인과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요~ 포털사이트에서도 실내디자인쪽으로 정보를 많이 주고 있고~ 이제는 의식주의 문제를 떠나서 디자인쪽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구권에는   4년제 - 계명대학교[실내환경디자인], 대구대학교[실내건축디자인], 대구한의대[실내디자인],   전문대 - 대구보건대[실내디자인계열], 영진전문대학[건축디자인전공],  영남이공대[건축디자인], 대구과학대[건축디자인계열], 계명문화대[건축인테리어과], 대구예술대[실내인테리어과]   이렇게 실내건축, 건축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쪽으로 전공이 있습니다. 학교별로 조금씩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진로방향을 잡아주는 것이 다를것 같습니다.   'CAD, 3D-MAX, 포토샵' 수업을 모두 진행하면서, 취업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수업하는 학교를 선택하시는게 좋은듯 싶네요^^   실내디자인쪽으로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대구모드컴퓨터디자인학원 미나쌤에게 문의하셔서 꼭! 상담받으셔요^ ^   교육상담 : 미나쌤 전화번호 : 053)254-0307 카톡아이디 : modsalt0707   오늘도 많이 춥네요ㅜㅠ 여러분~ 감기조심조심하세용^ ^   지금 모드컴퓨터디자인학원에서는 고3수험생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40%수강료 할인을 진행하고 있어요^^ 이 기회를 놓치지마세요^ ^  
작성일 : 2013-12-20
[파워유저]솔리드웍스 교육 컨설팅 업체, S.T.E.P 원동현 대표
솔리드웍스 교육 관련 다양한 활동... 국내 솔리드웍스 교육의 대명사 되고파 솔리드웍스 교육 컨설팅 전문 업체인 S.T.E.P(스텝)의 원동현 대표는 서적 집필과 온/오프라인 강의 등을 통해 솔리드웍스의 기본 지식과 활용법을 전달하는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솔리드웍스 교육에 관해서는 최고가 되고 싶다는 당찬 청년의 포부를 들어 본다. ■ 이름 | 원동현■ 소속과 직책 | 솔리드웍스 교육 컨설팅 전문 S.T.E.P 대표■ E-mail | dntrlsp24@naver.com■ 홈페이지 | http://blog.naver.com/dntrlsp24■ 카페 | http://cafe.naver.com/playsw Q. 자신에 대한 소개와 현재 하고 있는 업무에 대해 소개한다면?고등학교에서는 서양화를 공부했고, 대학교에서 기계를 전공했다. 이러한 전공을 살려 CAD를 제품 디자인에 응용하고자 결심을 하고, 독학으로 솔리드웍스를 익히기 시작했다. 대학교 졸업 후에는 광학장비와 파이프 등의 설계 업무를 통해 실무 경력을 쌓았고, 솔리드웍스와 관련해 개인 과외도 했다. 또한 솔리드웍스 최고 전문가 인증(CSWP)을 받았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솔리드웍스 관련 책도 쓰기 시작했다. 3D 모델링의 요소와 구조 등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해 ‘플레이 솔리드웍스(Play SolidWorks)’라는 제목으로 마스터와 베이직을 출간했고, 지금은 4권째 솔리드웍스 서적을 쓰고 있다. 시중에 많이 나와 있는 따라하기식의 교재보다는 솔리드웍스의 구조에 대한 접근을 중시하고 있다. 한편 솔리드웍스코리아와 협력해서 솔리드웍스 TV 웹사이트에서 동영상 강의를 진행 중이다. 솔리드웍스 동영상 강의는 현재 세 번째 시즌을 맞고 있다. 또한 오산대 인적자원개발센터와 협력해 재직자 교육을 위한 솔리드웍스 강의를 진행하고, 한국델켐 및 캐즈테크와 협력해 수원과학대학교, 건양대학교, 인천대학교,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등에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솔리드웍스 강좌는 초급자를 위한 기본 과정과 중급자를 위한 활용 팁, 고급 사용자를 위한 곡면과 판금 등 고급 기능, 시뮬레이션과 3DVIA 컴포저 등 네 가지 커리큘럼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외에 솔리드웍스 인증시험에 관한 내용도 다루고 있다. 책을 쓰면서 독자와의 소통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면서, 네이버에 Play SolidWorks 카페(http://cafe.naver.com/playsw)를 개설했다. 2010년 7월에 개설한 카페는 현재 학생과 직장인, 대학 교수 등 6,000여명의 회원이 가입해 솔리드웍스 지식을 공유하고 있다. 카페는 단순한 질의응답보다는 실무에서 필요한 내용과 초보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채워져 있다. 특히 초/중/고급 강의실 게시판의 비중이 높다. 카페 규모가 커지면서 상업화에 대한 의견도 있지만, 이 부분은 조심스럽게 고민할 부분이다. 당장의 수익보다는 부담없이 의견을 나누고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회원들의 활동을 활성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Q. 솔리드웍스를 사용하면서 느낀 장단점이 있다면?솔리드웍스는 설계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무리 없이 학습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본다. 한 달동안 기본 기능을 익히고 중급 사용법을 한 달동안 익히면 전반적인 실무 활용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솔리드웍스는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어서 학습 초기에 접근성이 높은 것이 장점이고, 기본기를 다진 후에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표현하는데 유리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쉽게 응용이 가능한 것도 장점인 것 같다. 특히 도면화 기능이 강한데, 3D 데이터를 가져와서 2D 도면을 추출하기 때문에 도면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설계 수정을 도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솔리드웍스는 3D, 도면, 분해/조리, 동영상 제작, 렌더링 등의 작업을 위해 확장성이 높은 패키지를 제공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많다고 본다. 반면 곡면을 만들 때 많은 수의 참조 베이스가 필요하고 곡면 제작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한 것은 아쉬운 점이다. 솔리드웍스를 7년째 접하고 있는데, 버전이 올라갈 수록 배울 점이 늘어나는 것 같다. 최신 버전인 솔리드웍스 2013에서도 많은 발전이 이뤄졌는데, 실무 작업자의 가려운 곳을 제대로 긁어주었다고 생각한다. 솔리드웍스와 다른 CAD의 기능 비교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데, 솔리드웍스 2013 버전에서는 이전에 솔리드웍스에 없었거나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꼈던 부분들이 상당수 개선된 것 같다. 예를 들어 치수를 입력할 때 이전에는 선을 그린 후에 따로 치수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2013에서는 스케치를 하면서 치수도 함께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설계 데이터를 불러올 때 어셈블리 파일을 필터링해서 특정 단계의 파일만 불러올 수 있게 되었고, 이드로잉이 추가되어 전자 도면을 통한 양방향 소통이 강화된 점에도 주목하고 싶다. 실제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더욱 강화되었는데, 솔리드웍스 플라스틱스와 솔리드웍스 일렉트릭이 추가되어 사출 성형 해석과 전기 설계 프로세스를 솔리드웍스에 통합하게 된 것이 그 예가 아닐까 생각한다. Q. 설계를 하고자 하는 후배들에게 당부하거나 조언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실제 취업에서는 2D보다 3D CAD가 더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한다. 기업들이 3D CAD 인력을 찾거나 2D CAD에서 3D CAD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재직자 교육을 하면서 기업에 계신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인력 채용시 지원자가 제출하는 3D CAD 포트폴리오와 실무에서의 능력은 별개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실제적인 3D CAD 능력이 요구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고 CAD 툴의 사용법에서 나아가 실제 설계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인다면 좋을 것 같다. Q 향후 귀하의 계획이 있다면?개인적으로는 10년 단위로 인생의 목표를 세우고 있다. 20대에는 솔리드웍스코리아와 협력하는 것이 목표였고, 30대에는 본격적으로 강의를 시작하면서 교육 솔루션을 제공하는 나만의 회사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앞으로는 솔리드웍스 교육과 관련한 해외 진출, 국내외에서 연구 진행 등을 이루고 싶다. 60대의 인생 목표는 바리스타나 도형심리검사 등 솔리드웍스와는 다른 분야에 도전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솔리드웍스의 공인 교육센터가 없는데, 솔리드웍스 공인 교육센터를 설립하고 전문 강사 및 교수를 대상으로 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또 하나의 목표이다. 한국에서 '솔리드웍스 교육'이라고 했을 때 내 이름이 첫 번째로 기억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Power User의 팁&테크닉솔리드웍스의 파일 이름 변경하기 솔리드웍스는 크게 세 가지 작업으로 나누어진다. 파트/어셈블리/도면 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은 파트 작업이다. 부품 파트 모델링 후 어셈블리를 작성하거나 도면을 작성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어셈블리 모델링과 도면 작업 후 사용된 부품 파트의 이름을 수정하거나 다른 폴더로 부품 파트를 이동하게 되면 그림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솔리드웍스의 파트 파일에는 파트 고유의 ID와 이름, 저장 위치 등의 정보가 담겨 있다. 파트 파일이 어셈블리나 도면 작업에 사용되면서 파트 정보도 함께 반영되는데, 작업자가 임의로 윈도우 탐색기에서 이름을 수정하거나 파트의 저장 위치를 변경하면 연결되어 있던 파트 파일 정보가 끊어지면서 어셈블리나 도면 작업에서는 수정된 이름의 파일을 잃어버리게 된다. 한 번 끊어진 파일 정보는 일일이 연결해 주어야 하며, 다량의 파트 파일의 이름이나 위치 정보를 변경했을 경우 어셈블리나 도면 작업을 재작업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솔리드웍스를 배우거나,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저라면 한 번쯤은 겪게 되는 대표적인 실수이다. 하지만 방법이 있다. 솔리드웍스 익스플로러에서 이름을 변경하거나 위치를 이동할 파트 파일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하여 이름을 수정하거나 위치를 이동하면 연결의 끊어짐 없이 수정할 수 있다. 또는 윈도우 작업창에서 이름을 수정할 파트 파일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하여 단축 버튼을 사용하면 같은 방식으로 안전하게 파트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저장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보실 수 있습니다.
작성일 : 2013-01-02
주요 CATIA 모임 사이트
  주요 CATIA 모임 사이트 동호회 이름 사이트 주소 기타 정보 틀 http://cafe.daum.net/CADCAMTL 영남권 대학 CAD/CAM 연합회 경남대학교 CATIASYS http://www.catiasys.com 일반 웹 회원 등록 가능, 다양한 정보 울산대학교 C-All Tech http://www.calltech.co.kr 2002 경남지역 CATIA 경연대회 주최 경일대학교 POINT http://point.nafly.net 일반 웹 회원 등록 가능, 다양한 정보 안동대학교 CATIA 교육 사이트 http://www.e-catia.co.kr/andong/ 무료 회원 가입, 유료 강좌 한밭대학교 CATIA-CATIZEN http://hyunam.tnut.ac.kr/~catia/ 한국항공우주연구소, 한라공조 프로젝트 참여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 전문대학원 http://gsaek.kookmin.ac.kr 국내 최초 자동차 공학 고등 교육기관, 교육부 BK21 사업단 참여 기계공학연구센터 CATIA 동호회 http://metric.or.kr 기계공학연구센터(METRIC) 회원 가입 필수(무료) CATIA User Club http://catia.user.to 개인 운영 웹 무료 사이트, 취업정보 다양 주요 대학 CATIA 동호회 일람 동호회 이름   군산대학교 M.D.C 경남정보대학교 CATINIST 한밭대학교 CATIA-CATIZEN 여주대학교 CATIA 연구회 경남대학교 CATIASYS 가톨릭상지대학교 상지디자인에이스 울산대학교 C-All Tech 동의공업대학교 CHAOS 울산대학교 C.I.M 부산정보대학교 CADAM 창원대학교 CATIS 경일대학교 POINT 부경대학교 Reo-finger 서울대학교 SNU CATIA 서울산업대학교 CADESIGN 건양대학교 CATIA 동아리 영남대학교 C-CAP 대진대학교 CATIST 경진대회 일람 경진대회 이름 사이트 주소 참가자격 전국대학생 CATIA 경연대회 http://cari.chonbuk.ac.kr 전국 대학(원)생 영남지역 CATIA 경진대회 http://www.catia-school.com 영남지역 대학(원)생, 기업체 근로자 전국 CAD 경진대회 http://www.dsc.ac.kr 학교장 추천 실업계 고교생 알아두면 좋은 카티아 사이트  한국아이비엠 공식 홈페이지 http://www.ibm.com/kr/plm 중소기업진흥공단 캐드센터  http://www.cadcenter.or.kr  카티아 온라인 교육 전문 사이트  http://www.catia-school.com 캐드캠 가상교육 사이트 http://www.e-catia.co.kr 다쏘시스템코리아 http://www.3ds.com/kr cad4you.com http://www.cad4you.com 박주삼의 카티아 홈페이지 http://www.helpcatia.com/
작성일 : 2006-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