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갠트리"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유니버설 로봇, 작업 반경 길어진 협동로봇 ‘UR8 Long’ 공개
유니버설 로봇이 새로운 협동로봇 ‘UR8 Long’을 공개했다. UR8 Long은 8kg 이내의 가벼운 물건을 다루면서 긴 팔을 보유한 애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하는 고객이 자동화 과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되었다. UR8 Long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8kg의 적재하중을 지원하면서, UR20과 동일한 1750mm(68.9인치)의 작업 반경 내에서 견고하고 컴팩트하며 가벼운 형태로 안정성 및 정밀성을 구현했다. 이는 복잡한 용접작업, 정밀한 완충재 피킹, 유연한 다중 지점 검사 등 공간 제약이 있는 설비 및 산업 작업에 적합하다.     UR8 Long은 유니버설 로봇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폴리스코프5(PolyScope 5) 및 폴리스코프X(PolyScope X)와 함께 작동하며, 모션플러스(MotionPlus)로 확장 가능하다. 모션플러스는 선형 축, 회전 위치 조정기 및 회전 턴테이블과의 손쉬운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유니버설 로봇의 새로운 고급 모션 제어 기술로 정밀한 제어, 더 부드러운 궤적 및 일관된 정확도를 제공한다. 유니버설 로봇의 업그레이드된 프리드라이브(Freedrive : 빠른 협동로봇 위치 잡기 기능)와 결합하면 사용자는 손쉽게 로봇 팔을 수동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드-투-티치(lead-to-teach) 프로그래밍이 더욱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며, 복잡한 부품도 빠르고 인체공학적인 설정이 가능하다. 모든 작업은 계층적 인터페이스나 외부 도구 없이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UR8 Long은 UR20보다 30% 가벼운 질량과 컴팩트한 손목 디자인으로 갠트리, 레일 또는 오버헤드 시스템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며, 외부 축을 더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UR8 Long의 컴팩트한 공구 플랜지와 빠른 손목 관절이 결합된 긴 도달 거리는 더 많은 피킹 위치를 가능하게 하며, 로봇이 빈 구석 깊숙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돕는다. 이러한 기능은 자동차 산업 등 공간 제약이 심한 셀에 통합되어, 보관함당 더 많은 피킹과 중단 없는 작업 흐름을 제공한다. 개선된 관절 구조는 이전 세대 협동로봇 대비 최대 30% 빠른 사이클 타임을 구현했다. 또한, 유니버설 로봇은 “UR8 Long은 UR20과 동일한 긴 작업 반경, 정교한 모션 제어, 높은 정밀도와 반복성을 갖추고 있어 용접 작업에도 적합하다”고 소개했다. 유니버설 로봇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북미 국제가공용접전시회(FABTECH 2025)’에서 UR8 Long을 처음 선보이는데, 전시회에서는 THG 오토메이션, 하이어보틱스, 벡티스 오토메이션 등의 유니버설 로봇 파트너 부스에서 UR8 Long의 용접 기능을 체험할 수 있다. UR8 Long은 10월부터 출하가 시작되며, 국내에서는 11월 18일 공개될 예정이다. 유니버설로봇의 장-피에르 하스우트(Jean-Pierre Hathout) 대표는 “UR8 Long은 그 어느 때보다 더 멀리 닿고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협동로봇으로, 작업 속도를 높이고 안전성을 강화하며 육체적 부담을 줄이도록 설계됐다”면서, ”우리의 새로운 협동로봇은 반복적이거나 신체에 무리를 주는 작업, 들어 올리기, 이동시키기, 취급하기 등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모든 작업을 더욱 쉽게 만들어 줄 것이다. 더욱 긴 작업 반경으로 더욱 넓은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새롭게 장착된 기능들은 기존에 수작업으로 수행되던 작업을 자동화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5-09-09
프로토텍, 쓰리디팩토리와 총판 계약 맺고 초대형 3D 프린터 공급
프로토텍은 초대형 산업용 3D 프린터 전문기업 쓰리디팩토리(3D Factory)와 총판 계약을 맺고, 올해부터 초대형 3D 프린터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프로토텍은 기존의 소형 및 중형 3D 프린터 라인업을 초대형 장비까지 확대하며, 자동차, 건축, 조선 등 대형 제조 산업에 최적화된 3D 프린팅 설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여러 산업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대형 부품 제작에 특화된 초대형 산업용 3D 프린터 시장에 본격 진출하겠다는 것이 프로토텍의 계획이다.  울산에 위치한 쓰리디팩토리는 2012년 설립된 산업용 3D 프린팅 전문 기업으로, 초대형 3D 프린터 개발 및 생산에 특화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건축, 자동차, 조선, 방위산업 등에서 요구하는 대형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해왔으며, 최대 16m급 대형 적층제조(AM)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장비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 쓰리디팩토리의 초대형 하이브리드 3D 프린터   초대형 3D 프린터는 주요 방식에 따라 로봇형(robot base)과 갠트리형(gantry base)으로 구분된다. 로봇형 3D 프린터는 6축 이상의 로봇 암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다축 제어 기술을 통해 기존 고정형 3D 프린터로 제작하기 어려웠던 복잡하고 비정형 구조의 부품을 다양한 각도에서의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 크기와 작업 영역을 로봇 암의 동작 범위와 선형 트랙의 길이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될 수 있어, 건축, 항공우주, 자동차 산업 등에서 필요로 하는 대형 구조물을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갠트리형 3D 프린터는 대형 부품 제작과 정밀 가공을 결합한 적층·절삭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대형 펠릿 3D 프린터를 기반으로 한다. 최대 5m×2.5m×1.5m 크기의 대형 부품을 출력할 수 있으며, 시간당 최대 20kg의 출력 속도를 지원한다. 이 프린터는 가격이 저렴한 범용 열가소성 수지(펠릿 형태)는 물론 고강도 복합소재를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0.2mm의 치수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어 대형 금형 제작, 정밀 기계 부품 생산 등 치수 안정성이 중요한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다. 프로토텍은 이번 총판 계약을 통해 초대형 3D 프린터 공급뿐만 아니라, 컨설팅, 기술 지원, 교육, 애프터서비스까지 포괄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대형 제조 산업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맞춤형 설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프로토텍 관계자는 “쓰리디팩토리와의 이번 협업은 단순한 장비 공급을 넘어, 국내 제조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제조 환경 구축을 지원하고, 고객들에게 최적의 설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프로토텍은 초대형 3D 프린터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과 기관을 위해 오는 2월20일 쓰리디팩토리 공장에서 오픈하우스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프로토텍은 이번 세미나가 초대형 3D 프린터의 주요 특징과 적용 사례를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된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2-06
엠아이큐브솔루션, 스마트 팩토리 넘어 제조 지능화로 ‘퀀텀 점프’ 한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및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으로서 제조 현장(Manufacturing)의 정보(Information)를 통합(Integration)하고 지능화(Intelligence)하여 제조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0년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조직 체계를 갖춘 후 재도약에 성공하였고, 지난 5월, 산업용 갠트리 로봇 시스템 전문 기업인 에스피시스템스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시너지를 통해 ‘제조 AI 선두기업’으로 ‘퀀텀 점프(Quantum Jump)’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엠아이큐브솔루션 박문원 대표이사로부터 최근 비즈니스 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에 들어보았다.   ▲ 엠아이큐브솔루션 박문원 대표이사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전문 기업, 엠아이큐브솔루션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전기/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항공, 기계, 2차전지, 제철, 식품 등 다양한 업종의 고객, 파트너와 함께 제조 현장의 정보화는 물론 디지털 전환(DT; 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한 혁신을 촉진하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스마트 팩토리의 시작부터 끝까지’. 엠아이큐브솔루션이 추구하는 가치이다. 이는 전략 컨설팅부터 시스템 구축, 통 합 및 운영까지 ‘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처음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는 기업부터 기존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지능화하려는 기업까지 포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의 주요 공급 제품과 솔루션 엠아이큐브솔루션에서는 스마트 팩토리의 중추 역할을 하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은 물론이고 제조 현장의 설비, 공정과 기간 시스템 간 연계와 통합을 위한 제반 정보 시스템 구축 및 솔루션 개발 역량을 갖추고 있다.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GS(Good Software) 1등급 인증을 획득한 MES 솔루션 ‘SmartFactory’와 웹 표준을 지원하는 제조 데이터 시각화 개발 프레임워크 ‘SmartUX’, 설비 엔지니어링 시스템(EES; Equipment Engineering System) 솔루션 ‘SmartEES’ 등 제품을 꾸준히 업그레이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제조 특화 AIDev/Ops 플랫폼 ‘SmartAI’ 기반의 제조 DT솔루션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 MICUBE Solution Map   현재 사업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 작년부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시장 내 투자가 많이 위축되어 있었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미뤄 왔던 제조 인프라 투자가 점차 증가하며 잠재되어 있던 다양한 사업 기회가 내년까지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장 수요 증가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정부는 ‘스마트제 조 2.0’ 시대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흐름에 동참하고자 엠아이큐브솔루션은 KAIST, NHN, KT 등과 함께 한국인공지능제조이니셔티브(KAMP.AI) 임원사로서 정부 주도의 제조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정책과 각종 지원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또한, SmartEES와 AutoML(Automated Machine Learning) 기술을 접목, 강화된 설비 예지보전 기능과 함께 공정과 품질 데이터를 연계한 최적 공정조건 도출, 품질 지능화 솔루션을 제공하여 ‘제조 데이터 기반 DT 조력자 (Enabler)’ 역할을 수행하고자 연구개발 중에 있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의 AI 기반 신사업 매출은 금년 포함 최근 3년 간 약 3배 이상 성장 중이다. ICBMA(IoT, Cloud, Big Data, Mobile.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DT 솔루션을 바탕으로 올해를 매출 200억원 돌파의 원년으로 삼아 다시 한번 크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엠아이큐브솔루션, ‘대규모 센서 데이터 분석용 시각화 도구’ 개발 사례 에스피스스템스 전략적 투자 유치로 사업 시너지 극대화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지난 5월, 산업용 갠트리 로봇 시스템 전문 기업인 에스피시스템스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에 성공하여 든든한 우군을 확보하였다. 더욱 고무적인 것은 에스피시스템스의 하드웨어 시스템과 엠아이큐브솔루션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이 만나 진정한 의미의 ‘토털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제공자’로서 나설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투자 유치를 계기로 에스피시스템스 심효준 대표이사가 회사 경영에 함께 참여 하게 되면서 더욱 내실을 다지는 기회를 얻었고, 사업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양사 간 견고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되어 사업 상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앞으로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계획이며,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제조 데이터 기반 설비, 품질 및 공정 지능화 중심의 미래지향적 사업을 지속 전개함은 물론, 언제, 어디서나, 어떤 장치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조 특화 SaaS(Software-as-a-Service)를 출시하여 명실상부한 제조 AI 선두기업으로 진화한다는 계획이다.
작성일 : 2021-10-26
트림블, 유로 2016 축구 경기장 3곳을 트림블 BIM 기술로 설계
트림블(Trimble)은 프랑스에서 열리는 2016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 2016)의 경기장 세 곳에 자사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이 사용됐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리용(Lyon)의 리용 올림픽 경기장(Le Parc Olympique Lyonnais), 보르도(Bordeaux)의 마트뮈 아트란티크(Matmut Atlantique), 마르세유(Marseille)의 스타드 벨로드롬(Stade Velodrome)이 해당된다. 트림블에서 제공되며 다양한 재질을 처리할 수 있는 최첨단 BIM 소프트웨어인 테클라 스트럭처스(Tekla Structures)는 세 경기장의 건설사업에 모두 활용됐다.   올해 초 완공된 최신식 스타디움인 리용의 스타드 데 뤼미에르 경기장의 규모는 5만 9000석이며, 유로 2016의 준결승전을 포함해 총 6경기가 진행될 예정이다.   프랑스 건설업체인 자일레 루비(Jaillet Rouby)는 테클라 스트럭처스를 이용해 철골 구조를 모델링 했으며, 금속 제조업체 마티퍼(Martifer) 또한 구현 연구, 제조 및 리프팅에 테클라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   테클라 소프트웨어로 설계된 해당 건축 프로젝트는 2014년 테클라 BIM 어워드에 참가한 바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구조적 특징은 아우터 링(outer ring), 불투명 이너 링(inner ring), 그리고 반투명 이너 링의 세 부분으로 이뤄진 지붕을 지지하고 있는 철골구조다.   빈치 앤 파얏(Vinci and Fayat) 그룹이 건설 및 운영하는 보르도의 마트뮈 아트란티크 스타디움은 2015년 5월에 완공됐으며, 관중들이 편안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된 건축 작품으로 손꼽힌다. 유로 2016의 공식 경기장 중 하나로, 총 5개의 경기가 진행된다. 또한, 4만 2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어, 프랑스 남서부와 대서양 연안을 통틀어 가장 큰 규모의 경기장이다.   좁은 플리넘(plenum)을 요구하는 건축학적 제약으로 인해 복잡해진 조립과정에도 불구하고, 테클라 스트럭처스는 갠트리(gantry) 타입 구조로 이뤄진 스탠드의 건설 체계 구현을 가능하게 했다.   마르세유의 스타드 벨로드롬 경기장은 2014년 10월 완료된 신축공사를 통해 기존 6만석에서 6만 7395석으로 규모를 확장했다. 유로 2016에서는 4개 팀으로 이뤄진 조별리그, 8강전, 4강전 등 총 6경기를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 경기장의 철골 건축은 호르타 코스라다(Horta Coslada)가 담당했다.   신축공사를 통해 보강된 스타드 벨로드롬의 지붕은 지름 250m, 무게 6000t에 달하며, 높이 65m에 위치한 거대 3D 아연도금강판 골격 위에 지어졌다.
작성일 : 2016-06-13
[특별기획] SIMTOS 2016 제조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특별관 및 참가업체 소개
미리 보는 SIMTOS 2016 4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리는 SIMTOS 2016(www.simtos.org)에서는 ‘캐드캠, 측정기기 및 로봇자동화관’과 함께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특별관’이 처음으로 마련되어, 제조 관련 다양한 전문 분야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한 자리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SIMTOS 2016 및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특별관’을 통해 만나볼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업체를 미리 살펴 보자.SIMTOS 2016 전시사무국은 2015년 4월 30일 이전에 조기참가신청업체 중 SIMTOS 홈페이지에 ‘마케팅 정보등록’을 완료하고, 전시회 출품품목을 확정한 참가업체를 대상으로 SIMTOS 2016 공식잡지인 CAD&Graphics에 제품홍보기사를 게재하고 있다. 공작기계 보호용 벨로우즈 커버 출품 - 딕슨 PTL■ 02-2721-7110, www.dickson-ptl.com   프랑스에 본사를 둔 산업용 원단소재기업 Dickson PTL(딕슨 PTL)은 공작기계 커버용 원단을 전문으로 개발, 제작하고 있다. 이 회사는 SIMTOS 2016에 고성능 원단으로 제작된 공작 기계 벨로우즈 커버를 출품할 계획이다. 딕슨 PTL의 벨로우즈 소재는 공작기계 제조업체의 수요에 의해서 개발된 제품으로, 최고의 내구성을 자랑한다. 특히 최소 150°C 이상의 내열성과 내화성을 비롯한 고강성 성능을 지닌 이 제품은 PH5~10도의 내화학성을 확보해 ASTM oil, MEC solvent, ammonia, LD4 Skydrol 등 절삭유 및 냉각수 등에도 높은 내성을 보인다. 특히 딕슨 PTL은 자사의 공작기계 커버용 제품을 200만 번 이상 실제 가공환경에 가깝게 테스트해 고객들에게 공급하고 있어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소성가공 시뮬레이터 AFDEX 출품 - 엠에프알씨■ 055-854-7529, www.afdex.com   소성가공 공정해석 소프트웨어 개발 및 컨설팅 전문 업체 엠에프알씨는 SIMTOS 2016에 참가해 소성가공 시뮬레이터 ‘AFDEX’를 소개할 예정이다. AFDEX(Adviser for metal Forming process Design EXperts)는 단조공정 설계 및 검증의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세계 주요 5대 공학용 소성가공 시뮬레이터 중 유일한 국내 개발 제품으로 빠른 계산시간, 높은 결과 정확성에 있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실제 공정 시 발생할 수 있는 결육, 소재 겹침 등을 예측하여 비용절감 및 시간절약으로 큰 효율을 낼 수 있다. 자동화 시스템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출품 - 유도로보틱스■ 031-350-2500, www.yudo.com     유도로보틱스는 이번 전시회에 각 가공공정의 이송, 로딩/언로딩 자동화 공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의 핵심인 갠트리로더 시스템과 다관절 로봇, 다품종 소량생산 맞춤형 퀵체인지 자동화 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유도로보틱스는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솔루션도 함께 선보이며 자동화에 대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통섭의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공구보관 솔루션 출품 - 이루미소프트■ 031-499-0731, www.elumi.net   이루미소프트는 이번 SIMTOS 2016에서 소프트웨어와 기존 공구보관함을 융합한 디지털 보관 시스템 모듈인 ‘툴 스토리지(Tool Storage)’를 론칭한다. 이 제품은 기존 앵글형 보관 선반 형태를 그대로 유지했으며 모듈화를 통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제품은 보관과 관리가 한 번에 이뤄질 수 있도록 ESL, 블랙박스 카메라, LED bar, 초음파 감지센서 등을 보관함 주변에 장착하고 바코드리더기, 이동카트, 바코드 출력기, PC 등을 유연하게 연결시켰다. 이를 통해 공구 및 자재 등의 입출고를 편리하게 했으며, 특히 기존 선반에 전원데이터 공급용 레일을 부착하고 ESL(Electronic Shelf Label) 등록을 통한 개별숫자 및 정보관리를 통해 관리를 용이하게 했다. 신제품 CYBERTECH nano 시리즈 출품 - 쿠카로보틱스코리아■ 031-501-1451~2, www.kuka-robotics.com/south-korea     세계적인 산업용 로봇전문업체 KUKA의 한국지사 쿠카로보틱스코리아는 이번 SIMTOS 2016에서 6~10kg 가반하중 등급에서 높은 퍼포먼스와 출력 밀도를 제공하는 신제품 ‘KUKA CYBERTECH nano 시리즈’를 론칭한다. 기존 저 가반하중 로봇에 적용된 출력 파라미터의 기준을 새롭게 정의한 KUKA는 이번 전시회에서 CYBERTECH nano 시리즈를 통해 핸들링 및 경로 애플리케이션에서 포괄적 과제를 위한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제공되는 완벽한 고객 맞춤형 로봇 타입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이다. IPS Cable 시뮬레이션 출품 - 피엘지정보기술■ 070-8244-6559, www.plgit.co.kr     솔루션 기반 컨설팅 전문 기업인 피엘지정보기술은 이번 SIMTOS 2016에 Wire Harness, Tubes, Hose와 같은 Flexible 제품에 물성치를 적용하여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통해 디지털 검증이 가능한 IPS 소프트웨어 ‘IPS Cable Simulation’을 소개할 계획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유연체 파트(케이블, 호스, 와이어하네스)의 굽힘 및 비틀림 모멘트 등을 메시 없이 실시간으로 해석하여 결과를 시각화할 수 있으며, 케이블 최적 길이 및 경로(Route) 예측이 가능하다. 인라인 측정기와 관련 소프트웨어 출품 - 한국미쓰도요■ 031-361-4200, www.mitutoyokorea.com     미쓰도요의 한국지사인 한국미쓰도요는 이번 SIMTOS 2016에 최근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인라인 측정기나 원클릭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MiCAT, 원클릭 화상 측정기 Quick Image 등 가공물을 쉽게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측정기 및 기술도 함께 보여 줄 예정이다. 한편 한국미쓰도요는 이번 전시회에는 전회 대비 2.5배 가량 확대해 참가한다.   기사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6-03-31
국민3D프린터를 만들자(3)
국민3D프린터 조립 방법   지난 호에서는 국민3D프린터 제작에 필요한 기본 도구와 부품, 프레임에 대해 알아 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본격적으로 익스트루더 어셈블리, 갠트리 어셈블리, 베이스 어셈블리, 최종 어셈블리 조립 방법을 통해 국민3D프린터의 제작 과정을 살펴 보겠다. 본문에 나오는 부품 번호는 지난 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 주승환(William SH Joo)│현재 전자부품연구원 연구위원으로, 부산대학교의 연구교수이자 산자부 및 미래부의 3D 프린팅 기술 로드맵 수립위원이다. 네이버 카페 '한국 3D 프린터 유저 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 오픈소스 3D 프린터 윌리봇을 개발한 바 있다.카페│http://cafe.naver.com/3dprintersE-mail│jshkoret@naver.com ■ 최우형│엔터봇의 대표이사로서 교육용 3D 프린터를 개발하고 3D 포토스캔 및 프린팅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 부경대학교 기술경영학과정과 부산대학교 전자계산학을 전공하였다.E-mail│rapida361@naver.com   1. 익스트루더 어셈블리 조립하기익스트루더 어셈블리의 기본 구조는 그림과 같다.   익스트루더(Extruder) 어셈블리는 익스트루더를 구성하는 프레임, 스테핑모터, 압출 기어, 베어링, 콜드 존, 핫엔드, 가열 히터, 써미스터(온도센서) 및 노즐로 이루어져 있다.익스트루더를 이루는 프레임외 기본 부품들은 다음 그림과 같다. 이외에도 볼트, 너트 및 스틸와셔 등으로 익스트루더를 구성한다.익스트루더의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따라하면 쉽게 조립할 수 있다. ■ 모터 바디 조립하기■ 모터 및 압출기어 조립하기■ 스테핑모터 어셈블리 조립하기■ 핫엔드 조립하기■ 익스트루더 어셈블리 조립 완성하기 이제 익스트루더 조립을 따라 해보자. 우선 익스트루더 관련 부품들을 준비하고, 육각렌치를 준비한다. (1) 모터 바디부분 조립     ⓖ 2*M3*50, ⓕ 1*M3*45로 조립한다. 볼트를 살짝 잠근 후, 다음 단계인 모터 및 베어링을 체결하고 확실히 조립한다.   ■ 상세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1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