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ZWCAD 2026 : 2D CAD의 새로운 기준 제시하는 차세대 설계 플랫폼
메타휴먼 5.6 : 디지털 휴먼의 제작 워크플로 향상 및 생태계 확장
HP Z북 울트라 G1a 리뷰 (1) - AI 크리에이터와 3D 작업을 위한 최적화
  • 전체
  • 기계
  • 건축
  • 그래픽
  • 시스템
산업용 AI 솔루션, 가디원 터보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산업용 AI 솔루션, 가디원 터보 개발 및 자료 제공 : 원프레딕트, www.onepredict.com    1. 가디원 터보란? 가디원 터보는 대형 회전설비의 디지털 운영 및 유지보수(O&M)를 위한 혁신적인 산업용 AI 솔루션이다. 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고장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며, 설비의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가디원 터보는 첨단 AI 기술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 되었으며, 주요 개발 배경은 대형 회전설비의 복잡성과 고장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는 산업적 요구에 있다. 이 제품은 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이 필수적인 연속 공정 산업에서 시작하여, 발전소, 석유 및 가스, 철강, 화학, 시멘트, 제지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다.  특히 발전소에서는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 같은 핵심 설비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활용되며, 석유 및 가스 산업에서는 설비 가동 중단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한다. 또한, 철강 및 화학 산업에서는 연속 공정의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며, 전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2. 주요 특징 가디원 터보는 경쟁사 제품과 비교해 진동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고장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AI 기반의 고급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 예지 보전을 제공한다.  특히,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3D 오빗 선도 등 고급 시각화 기능으로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맞춤형 유지보수 솔루션을 통해 설비 가동 중단과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한다.  또한, 자동화된 진단 보고서 생성 기능과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고객의 요구를 유연하게 충족시키며, 글로벌 경쟁사 대비 신속하고 현지화된 지원을 제공하는 점이 차별화된 강점이다. 3. 주요 기능 가디원 터보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실시간 설비 상태 모니터링 가디원 터보는 진동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설비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설비의 작동 상태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즉시 경고를 받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온도, 압력, 회전 속도 등의 핵심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며, 잠재적인 문제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2) AI 기반 고장 예측 및 이상 감지 고급 딥러닝 알고리즘과 비지도 학습 기술(VAE 기반)을 활용하여 설비의 정상 작동 패턴을 학습하고, 비정상 상태를 감지한다. 특히, 15가지 주요 고장 모드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고장 모드에는 축의 불균형(Unbalance), 정렬 오류(Misalignment), 윤활유 문제(Oil Whirl/Whip), 베어링 손상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설비의 운전 조건에 따라 동적으로 경계값을 설정하여 오경보를 줄이고, 고장의 사전 예측 정확도를 높입니다. (3) 상세 진단 보고서 자동 생성 가디원 터보는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세 진단 보고서를 자동 생성한다. 이 보고서는 설비 상태 평가, 고장 원인 분석, 판단 근거, 그리고 유지보수를 위한 권장 조치 사항 등을 포함한다. 유지보수 팀은 이 보고서를 활용하여 문제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어, 의사결정 과정을 단축하고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인다. (4) 3D 오빗 선도 기능 설비의 회전축 운동을 3차원 공간에서 시각화하여 설비의 동적 거동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기능은 미세한 정렬 오류, 불균형, 베어링 손상 등의 문제를 식별하는 데 유용하며, 설비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강력한 시각화 도구이다. (5) 디지털 트윈 및 직관적 UI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설비와 동일한 3D 모델을 제공하고, 설비의 상태와 변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한다. 또한, 카드형 대시보드와 같은 직관적인 UI를 통해 비전문가도 쉽게 설비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6) 맞춤형 유지보수 솔루션 설비 상태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에 맞춘 유지보수 계획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설비 가동 중단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유지보수를 줄이며, 설비 수명을 연장한다. 고객 맞춤형 접근 방식을 통해 설비 운영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4. 도입 효과 설비관리자들의 가장 큰 고민은 ‘설비 고장으로 인한 Downtime’이며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과제다. 설비에 문제가 생기면 필연적으로 Downtime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면 납기 지연, 수리 및 유지보수 비용 발생, 리소스 낭비, 직원들의 초과근무 등 여러가지 문제가 연쇄적으로 일어나 그 피해가 매우 크다. 가디원 터보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Root cause, Recommended action을 지원함으로써 고객의 빠른 의사결정을 돕고 있다. 특히 많은 운영사에서 운전데이터와 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소프트웨어가 다르다는 점 때문에 데이터를 통합하여 모니터링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가디원 터보는 운전데이터와 진동데이터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동 발생의 원인까지 분석함으로써 빠른 의사결정을 돕고 이에 따라 Downtime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제품이다. 5. 주요 고객 사이트 석유화학산업, 공공발전산업, 민간발전산업 전반 걸쳐 두루 존재하며, 석유화학산업으로는 GS칼텍스가 대표적이고, 민간발전 영역에서는 GS파워 안양열병합 발전소, 2025년에는 GS파워 부천열병합 발전소에 가디원 터보를 도입하게 될 예정이다. 공공발전사 중 한국중부발전의 신보령, 신서천 화력발전소에 가디원 터보를 도입되어 있다. 특히 신보령화력발전소의 경우, 2024년 한국중부발전 내부 동반성장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바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최경화 작성일 : 2025-07-30 조회수 : 992
대용량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경량 시각화 솔루션, VIZZARDX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대용량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경량 시각화 솔루션, VIZZARDX  개발 및 자료 제공 : 소프트힐스, 02-499-9998, www.Softhills.net 소프트힐스의 목표는 3D 엔지니어링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경량화, 실시간 시각화, 이기종 CAD 모델의 통합, 다양한 플랫폼과의 연계를 PC, 웹, 모바일 기반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플랫폼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 대용량 데이터 가시화를 위한 대표 형상 우선 처리 방식 적용, 3D 형상의 대표성을 기준으로 6단계로 원본 데이터 분류, 시야 범위, 모델과의 거리 등의 기준을 통해 최소 데이터로 3D 화면 처리 등 핵심 역량을 집약하여 가볍고 빠르면서 실제와 유사한 스마트 조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할 계획이다. 1. 주요 특징  소프트힐스는 2025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에서 ‘대용량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경량 시각화’ 솔루션을 중심으로 광대역 지형정보 기반 3D 모델 통합 및 경량 가시화 기술을 선보였다. 소프트힐스는 3D 엔지니어링 데이터(모델, 속성)의 경량화 및 시각화의 원천기술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3D 엔지니어링 데이터 서비스 전문기업이다. 대형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활용이 필요한 조선해양, 플랜트, 건설 산업 분야에 3D모델 경량화 및 가시화를 통한 리뷰, 공정 관리, 생산과 설계의 연계를 위한 솔루션을 공급하였다.  소프트힐스의 솔루션은 서버와 뷰어 계열로 나뉘는데 서버는 경량 변환 서버 VIZPub, 엔지니어링 데이터 관리 플랫폼 VIZOn, 간섭 체크 서버 VIZClash 등이 있고, 뷰어는 PC용 VIZZARD(비자드) / VIZZARDX(비자드엑스) / VIZDesign, 웹용 VIZWeb3D / VIZWide3D, 모바일용 VIZWing이 있다. 2. 주요 기능 소프트힐스의 솔루션은 서버와 뷰어 계열로 나뉘는데 서버는 경량 변환 서버 VIZPub, 엔지니어링 데이터 관리 플랫폼 VIZOn, 간섭 체크 서버 VIZClash 등이 있다. 뷰어는 PC용 VIZZARD / VIZZARDX / VIZDesign, 웹용 VIZWeb3D / VIZWide3D, 모바일용 VIZWing이 있다. 스마트 조선 분야에서 소프트힐스 솔루션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 경량 3D 모델의 설계, 생산, 시공, 운영, 유지보수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구현  • 교통, 환경, 기상, 관광, 소방, 에너지 등 스마트 건설 분야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3D 엔지니어링 데이터 기반으로 통합 관리 • 기업, 발주처, 협력사의 설계 및 생산 간 3D 기반 소통, 협업 환경 구축 3. 도입 효과 설계, 생산, 시공 스마트 조선 제조산업과 대형 프로젝트 산업의 생산, 시공 부문의 3D 기반 프로세스로의 전환 산업 O&M 스마트팩토리/야드 3D 가상화 모델 기반의 운영, 유지보수 체계 확립 도시환경관리 스마트시티 도시 내 교통, 환경, 기상, 관광, 소방, 에너지 등 각종 정보를 3D 엔지니어링 데이터 기반으로 통합 관리 3D 기반 비대면 협업환경 기업내부, 발주사, 협력사, 설계 및 생산 간 3D 기반 소통, 협업 환경 구축 디지털 트윈 서비스 개발, 확장 개방형 서비스 API을 통한 산업용 디지털 트윈 응용 서비스 개발 환경 제공   5. 주요 고객 사이트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화에어로스페이스, SK하이닉스, 방사청, LS인렉트릭, 퍼시스 등 조선해양 플랜트, 건설 분야외 도시 환경, 우주항공, 방위산업, 일반 기계, 소비재 분야에 솔루션을 공급하여 10개국 250개 기업에 5,000개 이상의 라이선스와 11,000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최경화 작성일 : 2025-07-29 조회수 : 1001
해상공사 통합관리 시스템, OCMS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해상공사 통합관리 시스템, OCMS   개발 및 정보 : 이엔지소프트, 02-3270-7800, www.engsoft.kr   이엔지소프트는 2010년 설립 이후 건설, 토목, 플랜트 산업 전반에서 설계, 제작, 시공 및 유지보수를 지원하는 IT 솔루션 개발에 앞장서 온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이다. 대표 제품인 OCMS(Offshor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해상공사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해상풍력 공사 경험이 풍부한 독일의 OMEXON과 협력하여 개발되었다. OCMS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스마트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되며, 구축 후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지원한다.  1. 주요 특징 OCMS는 사용자 편의성과 기술적 완성도를 갖춘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치 없이 인터넷 브라우저만으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IoT 장비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결합해 실시간 데이터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제공하여 해상공사의 복잡한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2. 주요 기능 OCMS는 프로젝트에 투입된 인원, 선박, 장비 등의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작업 계획부터 선박의 상세한 수송 계획까지 모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작업자와 선박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해 해상 교통 관제에 활용할 수 있으며, 계획의 이행 여부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프로젝트 데이터와 과정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평가 자료와 법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3. 도입 효과 해상공사는 접근이 제한된 현장, 환경 요인의 변동성, 위험 요소가 많은 작업이라는 특수성이 있다. OCMS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통합 관리 기능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며,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공사의 안정성을 강화한다. 이는 곧 해상공사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4. 주요 고객 OCMS는 다양한 해상공사 프로젝트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국내에서 유일하게 해상풍력발전단지 공사관리시스템의 현장적용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고객 사례로는 현대건설의 제주 한림해상풍력 프로젝트, 전남해상풍력 주식회사의 전남해상풍력 1단지 프로젝트, 그리고 삼해종합건설의 낙월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최경화 작성일 : 2025-07-23 조회수 : 1243
3D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FlexSim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3D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FlexSim   개발 : 오토데스크, www.autodesk.com, www.flexsim.com 자료제공 : 오토데스크코리아, www.autodesk.co.kr 오토데스크(Autodesk)는 건축, 엔지니어링, 제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위한 설계 및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1982년에 설립되었다. 오토캐드(AutoCAD)와 같은 혁신적인 CAD(컴퓨터 지원 설계) 소프트웨어로 시작해, 현재는 3D 설계, 시뮬레이션, 시각화, BIM(빌딩 정보 모델링) 및 클라우드 기반 협업 도구까지 폭넓은 솔루션을 제공 중이며, 창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고객의 설계 및 제작 방식을 혁신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1. FlexSim AutoCAD(오토캐드), Inventor(인벤터), Fusion(퓨전)과 같은 오토데스크 설계 도구는 이미 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더 나아가 최근에는 오토데스크가 새롭게 출시한 소프트웨어 FlexSim(플렉심)이 주목받고 있다. FlexSim은 오토데스크에 인수합병된 이후 산업계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3D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 제조, 물류,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시스템 성능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2. 주요 특징 ■ 3D 비주얼 시뮬레이션  플렉스심(FlexSim)은 실제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복잡한 공정이나 프로세스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직관적인 3D 모델은 비전문가도 공정의 흐름과 병목 현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모델링 기능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서 편리하다. ■ 강력한 분석 기능  FlexSim은 다양한 데이터와 통계 분석 도구를 통해 병목 현상을 식별하고 생산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측 모델링과 성능 평가를 통해 운영상의 문제를 사전에 해결할 수 있다. ■ 유연한 확장성  맞춤형 스크립트와 플러그인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자신의 특화된 요구에 맞게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다양한 산업 적용  FlexSim은 제조 라인, 창고 운영, 병원 프로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향후 전망 FlexSim은 단순히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는 도구를 넘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개선점을 찾는데 필수적인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은 더 나은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오토데스크의 FlexSim은 혁신적인 기술과 실용성을 겸비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도구이다. 복잡한 시스템의 이해와 최적화를 원하는 기업이라면, FlexSim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보기 바란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최경화 작성일 : 2025-07-13 조회수 : 1763
디지털 트윈 플랫폼, mago3D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디지털 트윈 플랫폼, mago3D   개발 및 자료 제공 : 가이아쓰리디, 042-330-0400, www.gaia3d.com   2000년에 설립한 가이아쓰리디는 전통적인 3차원 공간정보(3D GIS)를 기반으로 우주, 위성, 기상분야까지 적용분야를 확장해 온 공간정보기술 전문 소프트웨어 회사이다. mago3D(마고쓰리디)는 2023년 국토교통부와 조달청의 심의를 통과하여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되었고, 총 8건의 국내외 특허가 등록되어 있다.   1. 주요 특징 mago3D는 대용량 3차원 데이터(BIM/AEC/GIS)를 독자적인 경량화 알고리즘으로 자동변환하여 웹에서 빠르게 가시화하고, 각종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연동하여 모니터링한다. 웹 기반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으로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누구나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기기로 접근하여 단순한 객체 On/Off 에서부터 바람장이나 열섬현상, 오폐수/기름/화학물질 유출, 대기질 변화 등과 같이 현실에서 시각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각종 현상까지도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2. 주요 기능 mago3D은 mago3D CMS를 중심으로 2D/3D데이터 변환과 관리, 시뮬레이션 관리, 대시보드와 환경설정, 사용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3DTiler 와3DTerrainer로 구성된 mago3D Converter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웹서비스에 최적화된 데이터로 자동 변환하고, mago3D JS는 순수 웹 브라우저 기술 html, css, javascript만을 이용하여 3D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3차원 가상공간에서 입체적으로 표시한다. 3. 도입 효과 mago3D는 기본에 충실하다. 다양한 3차원 데이터를 웹 가시화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빠르게 가시화하고, IoT 센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현실과 결합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며, 3차원 시각화, 각종 시뮬레이션, 머신러닝(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실 문제에 대한 최적의 답을 찾아낸다.   4. 주요 고객 사이트 국토교통부, 환경부, 서울특별시, 전라남도, 울주군,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등 정부부처 및 지자체, 산학연의 많은 고객과 협력하고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최경화 작성일 : 2025-07-02 조회수 : 2223
실시간 원격 협업 도구, DTDon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실시간 원격 협업 도구, DTDon     개발 및 공급 : 이안, 02-571-2344, www.iaan.co.kr     DTDon은 당사가 개발한 협업과 소통을 지원하는 실시간 원격 협업 도구이다. BIM 데이터 기반 디지털 트윈 환경과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립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지원한다. 설계 검토, 공정 관리, 설비 점검, 시공, 감리 등 다양한 작업에서 실시간 데이터 시각화와 의사결정 지원을 제공하며, 장소와 물리적 제약 없이 원활한 협업 환경을 구축하여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1. 주요 특징   (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 기반 협업 BIM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협업을 지원하여, 설계 검토, 공정 관리, 설비 점검 등 다양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동일한 모델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의견을 교환할 수 있어 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   (2)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는 협업 현장과 사무실, 해외 등 다양한 장소에 있는 팀원들과도 실시간으로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물리적 거리의 제약 없이 데이터를 즉시 공유하고, 작업 현황을 모니터링하며 프로젝트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전 세계 어디서든 협력할 수 있어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에 효율적인 솔루션이다.   (3) 효율적인 의사소통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실시간 데이터 공유, 명확한 시각적 정보 제공, 이해관계자 간의 접근성이 용이해야 한다. DTDon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도구로, 프로젝트 데이터와 3D 모델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모든 관계자가 동일한 정보를 기반으로 협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정보의 왜곡이나 누락을 최소화하고, 의사결정 과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4) 다양한 디바이스 호환성 데스크톱, 태블릿, 모바일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접근 가능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해주며, 궁극적으로는 업무의 유연성과 접근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5)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DTDon은 직관적이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기술적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최소한의 교육만으로도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3. 주요 기능   (1) STT(Speech-to-Text), TTS(Text-to-Speech) 기능 사용자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어 문자로 소통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원활한 소통을 지원한다. 또한, 시선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화면을 주시할 수 없을 때는 필요한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함으로써 소통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중요한 알림이나 지시사항을 음성으로 듣게 함으로써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고, 작업자의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2) 실시간 화면 공유 기능 DTDon의 실시간 화면 공유 기능은 팀원들 간의 투명한 커뮤니케이션과 효과적인 협업을 지원한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작업 화면을 다른 팀원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① 투명한 커뮤니케이션 화면 공유를 통해 팀원들이 동시에 같은 정보를 보며 실시간으로 의사소통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모든 참가자가 현재 작업 상태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작업의 수정 및 개선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② 교육 및 문제해결 새로운 팀원에 대한 원격 업무 지시 및 교육, 혹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 화면 공유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지도하고 지원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복잡한 도구 사용이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정확한 지시가 필수적인 상황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작업자의 안전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4. 도입 효과   (1) 비용 절감 DTDon을 통한 원격 협업은 현장 답사와 출장에 필요한 비용을 크게 절감한다. 특히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나 다지점을 운영하는 국제적 조직에서 이점이 두드러진다. 이 기능은 물리적 현장 방문 없이도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전반적인 운영 비용을 감소시킨다.   (2) 향상된 팀 협업 DTDon은 다자간 화상통화, 실시간 현장 영상 전송, 위치기반 핀 기능을 통해 기존 협업 방식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킨다. 이러한 기능들로 팀원들은 얼굴을 보며 소통하고, 작업 환경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어 깊이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빠른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이는 프로젝트의 효율과 성공률을 높이며, 의사소통 강화와 긴밀한 팀워크를 촉진한다.   5. 주요 고객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 SDS, 하이닉스, SKT, 포스코 A&C, 포스코 DX, 포스코 퓨처엠, 한국전력기술 등.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최경화 작성일 : 2025-07-01 조회수 : 1484
셀빔 : BIM 수량산출 작성 위한 엑셀 애드인
개발 : Nomitech 주요 특징 : BIM 기반의 수량산출 작성 위한 엑셀 애드인 프로그램, BIM 모델을 불러들여서 BIM의 형상 정보 확인 및 속성 정보/체적/면적/길이 등 추출, 수식 기반의 기존 수량산출서 대체, 엑셀에서 BIM 모델을 검토하는 뷰어 제공 등 시스템 권장 사양 : 윈도우용 마이크로 오피스(2016 이상) 또는 오피스 365 데스크탑(Home, Business 또는 Enterprise), 윈도우 10 64비트 또는 윈도우 11, 인텔 i5 6세대 이상 CPU, 엔비디아 GTX 1060 또는 라데온 RX 580 이상 그래픽카드, 4.0GB 이상의 디스크 여유 공간 공급 : 한국인프라비아이엠협동조합   ▲ 휴먼 에러가 많은 수식 기반의 기존 수량산출서 대체   스마트 건설을 위한 BIM 도입 지원 국내 건설산업에서 스마트 건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BIM(건설 정보 모델링)의 도입이 건설,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다. 최근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전면 BIM 도입을 예고하면서 건설산업에서는 새로운 기술적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엔지니어링사에서는 BIM의 전사적 도입 과정에서 기술적, 비용적, 인적 부담을 겪고 있으며, 기존의 방식과 BIM 방식을 병행하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BIM은 3차원 시각화인 형상 정보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 도면 추출, 수량산출을 통한 설계 성과품의 품질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 중 BIM 기반의 수량산출은 일람표 추출 기능을 활용해 사용 프로그램별로 별도 산출하였으나, 영국 노미텍의 엑셀 애드인 프로그램인 셀빔(CellBIM)을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기존의 수량산출 작성 방식과 같은 엑셀을 사용하다 보니 최근 전면 BIM으로 엔지니어링사에서도 직접 BIM으로 수량 성과품을 작성하는데 친숙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BIM 기반의 수량산출 작성에 최적화 셀빔은 전면 BIM에 대한 발주처 요구사항으로 BIM 기반 수량산출(자동/연동/수동)을 작성하는데 최적화된 소프트웨어이다. 객체별 분류체계에 맞춰 작성된 BIM 모델을 셀빔에 불러들여서 BIM의 형상 정보 확인 뿐만 아니라 속성 정보, 체적, 면적, 길이 등을 추출할 수 있으며 수식 또한 연동이 가능하다.  BIM 프로그램의 설치 없이 셀빔 뷰어로 엑셀에서 BIM 모델을 가볍게 검토할 수 있고, 협업 공간으로의 활용과 2D 도면, PDF 등 또한 연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엔지니어링사의 BIM 도입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것이 셀빔 국내 총판인 한국인프라비아이엠협동조합(IBIMKOREA)의 설명이다.   ▲ GTX-C 정거장 MEP 수량 산출   ▲ 설계 변경에 따른 물량증감표   셀빔의 실무 적용 사례 해당 프로그램을 실무에 적용한 사례로는 여주~원주, GTX-B, GTX-C 등 다수의 국가철도공단 발주 프로젝트에서 설계 BIM 수량산출 과정에 셀빔을 통해 BIM 기반 수량 산출로 기존 수량 오류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후 시공 및 유지관리단계에서도 기성 및 스마트 건설 기술 연계 활용에 적용될 예정이다. 한국도로공사 디지털 설계 모델의 도로 건설 전주기 연계 활용 연구과제에서는 셀빔을 활용하여 설계 단계의 3D 수량산출뿐만 아니라,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 필요한 속성 정보를 모델에서 추출하여 공정/기성 및 유지관리코드 등을 연계 활용하였다.   ▲ 토공 입적표 시각화 수량산출   건설산업의 효율과 지속가능성 지원 셀빔의 최근 업데이트에서는 체적뿐만 아니라 면적 추출이 가능해져 거푸집 등 면적 기반 수량산출 부분도 강화되었다. 설계뿐만 아니라 시공 단계에서도 설계 변경사항에 대한 BIM 형상 변화에 맞춰 전/후 객체별 비교가 가능하며, 색상 구분을 통해 엑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셀빔의 도입은 정부의 BIM 도입 정책을 지원하는 동시에, 엔지니어링사들이 BIM 기술을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 내의 기술적 도전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협력을 통해, 건설산업은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셀빔은 토목 BIM 전문회사인 한국인프라비아이엠협동조합에서 국내 총판을 맡고 있으며, 프로모션도 진행하고 있어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정수진 작성일 : 2024-09-03 조회수 : 9333
올플랜 2024-1 서비스 릴리스 : 건축 설계-시공 워크플로 개선 및 건설 생산성 강화
개발 : ALLPLAN 주요 특징 : 원클릭 LCA와 통합되어 지속가능성을 위한 BIM 모델 최적화 지원, 보이드에 대한 프로비저닝 생성 기능 최적화, 형상 코드 관리자 통합 및 BS 8666 2020 표준 철근 형상 지원, 올플랜 클라우드 뷰어를 통한 IFC 파일 미리보기 제공, BIM콜랩 이슈 관리 도구와 통합 지원 등     BIM 솔루션 제공업체인 올플랜은 건설 생산성을 강화하고 설계-시공 워크플로를 혁신하기 위한 올플랜 2024(Allplan 2024)의 최신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올플랜 2024-1 서비스 릴리스는 건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확장된 도구를 제공한다. 최신 버전의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 프로세스와 향상된 BIM 기능은 보다 지속 가능한 설계와 신속한 프로젝트 납품을 지원한다. 올플랜의 에두아르도 라자로토(Eduardo Lazzarotto) 최고 제품 및 전략 책임자는 “최신 올플랜 2024-1 서비스 릴리스는 확장된 도구, 클라우드 기반 프로세스, 향상된 BIM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더 높은 효율성으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더 빠른 납기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고 품질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워크플로를 간소화하고 프로젝트 일정을 단축함으로써 사용자가 뛰어난 건축 설계, 견고한 교통 인프라 엔지니어링, 더 나은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 구축 등 진정으로 중요한 일에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건축가와 엔지니어를 위한 BIM 워크플로 개선 올플랜 2024-1은 원클릭 LCA(Life Cycle Assessment : 전과정평가)와 통합되어 빠르고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건물의 탄소 발자국을 평가하고, 자재와 시공 방법을 평가하고, 지속가능성을 위해 BIM 모델을 최적화할 수 있다. BIM 속성이 LCA 클라우드로 자동 전송되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모델이 변경되면 이전 LCA 조정 사항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므로 다시 매핑할 필요가 없다. 빈 공간(void)에 대한 프로비저닝을 생성하는 작업은 특히 규모가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프로세스로 꼽힌다. 올플랜 2024-1에서는 이 작업을 더 빠르고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 최적화되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속성 매핑의 최적화와 보이드 생성을 위해 IFC 파일에서 가져온 원통형 형상을 적용하는 기능이 더욱 향상되어, 디자이너의 일상적인 작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되었다. 구조 엔지니어와 상세 설계자의 작업에서는 국가별 표준을 준수하는 것이 필수이다. 올플랜 2024-1에서는 형상 코드 관리자(Shape Code Manager)가 통합되고, 새로운 영국 표준인 BS 8666 2020에 기반한 고객별 철근 형상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영국뿐만 아니라 영국 표준 또는 고객별 철근 형상을 사용하는 다른 많은 국가에서도 일상적인 작업이 쉬워졌다.   클라우드 기반 프로세스를 통한 협업 향상 클라우드 기반 프로세스는 효율적인 설계를 지원하여 워크플로를 구축하고 협업을 뒷받침한다. 올플랜 2024-1의 오버레이 관리자(Overlay Manager)는 2D 도면과 3D 모델을 조합하고 상호 작용을 통해 불일치를 식별하며,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여러 도면을 모델과 함께 시각화하고, 마크업을 만들어 이슈와 슬라이드쇼에 저장할 수 있으며, 페더레이션된 모델을 2D 계획으로 편리하게 확장할 수 있다. 새로운 올플랜 클라우드 뷰어(Allplan Cloud Viewer)를 통한 시간 절약형 IFC 파일 미리보기는 수정본을 완전히 업로드하고 생성하기 전에 빠르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올플랜 2024는 이슈에 대한 정보 콘텐츠를 개선하고 협업을 강화하며, 오류를 줄이고 확인 프로세스를 가속화하여 BIM콜랩(BIMcollab) 이슈 관리 도구와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다.   건설 계획을 위한 확장 도구 기본으로 제공되는 시공 계획 도구에 굴착 버팀목용 시트 파일 벽체를 소개하는 기술 미리보기가 포함되어, 건설 프로젝트의 정밀한 계획을 위한 옵션이 확대된 것도 특징이다. 코너 프로파일과 함께 단일, 이중, 삼중 형태로 제공되는 이러한 프로파일은 유연성을 높이고 다양한 지형 조건을 지원한다. 파라메트릭 구성 요소는 위치 조정을 쉽게 하기 위해 쓰인다. 올플랜 2024용 BIM2 폼(BIM2 form) 애드온에는 페리 트리오(Peri TRIO)가 통합되어, 비용 효율적인 거푸집 계획을 위한 옵션이 확대되었다. 기존에는 거푸집 계획을 수동으로 처리하거나 외부 공급업체에 의존함에 따라 비용과 프로젝트 관리 문제가 발생했다. 이 툴을 사용하면 거푸집 벽체 구성 요소의 자동 할당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올플랜 사용자는 다양한 거푸집 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하여 아웃소싱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정수진 작성일 : 2024-06-03 조회수 : 8715
캐드마스터 2025 : 리브랜딩과 함께 건축 설계의 생산성 강화
개발 및 공급 : 한국인프라 주요 특징 : 에너지 절약계획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신청용 문서 자동화 기능, 외피전개도, 평면성능내역서, 절단선 그리기, 방위부호 그리기, 다중 텍스트 관리자, 멀티 플롯 출력 기능(오토플롯) 등     한국인프라의 ‘캐드파워(CADPower)’가 ‘캐드마스터(CADMaster)’로 제품명을 바꾸고 새 버전인 캐드마스터 2025를 발표했다.  캐드파워는 오토캐드의 건축 분야 서드파티 프로그램이다. 25년 이상의 CAD 노하우와 최신 기술이 접목되어 국내 10만여 명의 유저가 이용하고 있다. 기존 캐드파워는 건축용 서드파티 프로그램에만 한정된 이름이었지만, 오토캐드용 ‘캐드마스터’, 스케치업용 ‘스케치마스터’ 등 다양한 CAD 소프트웨어의 서드파티 시리즈로 확장하기 위하여 ‘마스터’ 시리즈의 제품명을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 한국인프라의 설명이다.  캐드마스터 2025는 제품명을 바꾸면서 이름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자들이 불편해 하던 기능의 개선과 신 기능 추가 등 큰 폭의 개선이 이뤄졌다. 한국인프라의 캐드마스터 개발 담당자는 “그 동안 캐드파워를 사용하면서 요청했던 사용자의 목소리와 불편한 사항을 바탕으로 캐드마스터 2025 버전을 기획했으며, 실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넣고자 하였다”고 전했다.   캐드마스터 2025의 주요한 신 기능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효율등급 설계에 원활하고 직관적인 도움 제공 캐드마스터 2025에는 에너지 절약계획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신청용 문서 자동화 기능이 추가되었다. 대표적으로 건물의 부위별 성능 구분에 따라 면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외피전개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평면성능내역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최근의 주요한 이슈인 에너지 절약과 에너지 효율등급 설계에 대한 니즈를 충족하고자 하는 건축 설계자에게 도움이 된다.    ▲ 외피전개도 작업 화면   손쉬운 절단선 그리기를 통한 업무 생산성 향상 캐드마스터 2025는 제거해야 하는 영역을 나타내는데 필수로 사용되는 절단선 그리기 기능을 제공한다. 직접 그리기에는 번거로운 절단선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절단선 기호의 크기, 연장선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 절단선 그리기   다양한 방위부호 그리기 기능 추가 평면도, 배치도 등에서 북향을 표시하는 방위부호 그리기 기능을 통해 직접 그리기 번거로운 방위부호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설정을 사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방위부호를 수정할 수 있다.   ▲ 방위부호 그리기   도면 내 모든 텍스트 관리를 한 번에 Multiple Text Manager(다중 텍스트 관리자)는 도면 내의 모든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이다. 선택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고 다른 텍스트로 변경이 가능하며, 작성된 텍스트에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텍스트를 확대/축소하여 선택한 텍스트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캐드마스터 2025의 기능 개선사항 멀티 플롯 출력 기능(오토플롯) 출력하려는 도면의 순서 등을 편집하는 창을 오토캐드 화면에 도킹하여 새로운 창에서 열고 작업하는 수고를 줄이면서, 어떤 편집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기능 아이콘을 배치했다. 오토플롯은 규격(A4~A0)에 맞는 도곽을 사용한 도면을 자동으로 인식해 출력 범위로 설정해 주고 여려 장의 도면을 한번에 출력할 수 있는 기능으로,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출력해야 하는 도곽을 일일이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 해소 한번에 많은 도면 출력 가능 도면 내의 같은 블록을 한번에 선택해 확인 가능 불필요한 도면을 출력 전 확인해 삭제 가능 출력하는 도면의 순서를 변경해 필요한 도면을 먼저 출력할 수 있음     다중 객체 면적 산출 오토캐드 도면 상에서 선택한 객체의 면적과 평수를 자동으로 구해주는 기능이다. 여러 개의 객체를 선택한 후 각각의 면적을 한번에 도면 상에 표현할 수 있다.     폰트 복원 도면을 열었을 때 폰트가 보이지 않거나 깨지는 경우 일일이 문자 스타일을 변경해야 했다. 캐드마스터 2025의 폰트 복원 기능은 도면에 있는 여러 가지 폰트 스타일을 한 번에 일괄적으로 바꿔줄 수 있다.     폴리선 방향 표시 캐드마스터 2025의 방향 표시 기능을 이용하면 폴리선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 방향을 바꾸고자 할 경우 폴리선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객체 색상 변경 엑셀 파일의 내용을 오토캐드에 그릴 수 있다. 기존에는 *.XLS 포맷까지만 지원했지만 캐드마스터 프리미엄에서는 *.XLSX 포맷까지 지원하며, 오토캐드에서 엑셀과 같이 표를 다룰 수 있다.     캐드파워에서 캐드마스터로 제품명이 변경된 것과 관련해, 한국인프라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려 왔다. “오토데스크의 제품 사용약관 제 15.3조에 따르면, 오토캐드 LT 제품에 대한 애드온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 사유로 간주됩니다. 이에 따라, 오토캐드 LT용 캐드파워는 2021년 버전을 끝으로 단종되었습니다. 또한, 오토캐드 LT에서 지원하지 않는 방식을 통한 서드파티 프로그램의 사용과 유통은 저작권법 위반으로 오토데스크에 의해 처벌될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캐드파워(CADPower)는 2015년에 코스펙으로부터 등록된 1992년 최초 출시 프로그램 버전과 추가로 등록된 2003년 버전을 한국인프라가 인수하여, 캐드파워 2016 이후 지금까지 출시되었습니다. 한국인프라의 저작권 인수 후 이재진은 해당 상표권을 등록하였으며, 상표권 관련 소송이 진행되었습니다. 법원 조정에 따라 현재의 캐드파워 프로그램을 한국인프라와 이재진이 각각 사용하고 판매하는데 일체의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 그러나, 2024년 11월 19일 이후에는 상표권은 이재진이 독점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한국인프라는 캐드파워의 이름을 신기능과 기능 개선이 포함된 캐드마스터(CADMaster)로 변경하고, 2024년 5월부터 새로운 버전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정수진 작성일 : 2024-05-02 조회수 : 10855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 2024 : 실시간 건설 공정 관리 솔루션
개발 : Trimble, www.trimble.com 주요 특징 : 실시간 진행 상황 추적 및 다양한 현황판 추가로 프로젝트 지연 방지와 원활한 관리,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저장으로 공장-현장 간 협업과 소통 능력 강화, 실시간 공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가시성 제공으로 공정 지연 사전 예방 등 공급 : 트림블 코리아, www.tekla.com/kr   트림블 코리아가 트림블 커넥트 기반의 새로운 공정 관리 프로그램인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 2024(Trimble Connect Dashboard 2024)’ 버전을 출시했다. 최신 버전은 프로젝트 전반의 가시성을 높이고, 이해관계자 간 커넥티드 워크플로 구축을 지원한다.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 2024에는 다양한 현황판(dashboard)이 추가돼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가시성을 제공한다. 특히 부재의 각 공정별 계획일자 저장이 가능해져 제작, 출하, 입고, 설치의 계획 대비 실적 상황을 쉽게 파악해 공정 지연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 2024 사용자는 부재의 제작, 출하, 설치 상황을 추적해 모델에 반영할 수 있다. 출하 요청서와 송장을 간편하게 생성하고, 송장과 부재의 QR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해 출하, 입고, 설치 상황을 업데이트한다. 더불어 엑셀 파일을 인식해 엑셀에 입력한 진행 상태를 클라우드로 전송하고, 데이터를 즉시 반영해 현장, 공장, 설계사 간 원활한 소통을 지원한다.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 2024의 현황판은 사업, 업체, 조건, 공정 총 4가지 부문으로 구성된다.   ▲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 2024의 사업 현황판   사업 사업 현황판에서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진행 상황을 볼 수 있다. 썸네일을 등록해 프로젝트를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그래프를 통해 공정, 부재, 업체별 계획 대비 실적을 가시적으로 나타낸다.   업체 업체 현황판에서는 전체 또는 각 공장의 공정 진행 상황을 볼 수 있다. 그래프를 통해 각 공정의 진행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특정 업체의 공정 상황 조회도 가능하다. 더불어 부재의 타입에 따른 공정별 진행 상황을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건 조건 현황판에서는 전체 공정과 부분별 공정을 선택하여 리포트를 볼 수 있다. 전체 공정 선택 시 부재와 층, 공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부문별 공정 선택 시 기간, 구간, 부재 타입 등 조건에 따라 공정 진행 상황을 확인 가능하다. 선택한 조건에 따라 현황에 맞는 모델링을 자동으로 분류해 손쉬운 모델 조작을 지원한다.   공정 공정 현황판에서는 계획 물량, 제작 물량, 설치 물량 현황을 그래프로 보여준다. 특정 출하요청일을 선택하면 해당 일자를 기준으로 미생산된 부재를 자동으로 정리해 표시한다. 이를 통해 출하지연이 예상되는 부재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 2024의 공정 현황판   트림블 코리아는 “건설 현장에서 보다 유용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객 피드백을 반영해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정수진 작성일 : 2024-03-05 조회수 : 12593
총 게시글 336

ㆍ태그

캐드
CAM
CAE
PLM
BIM
워크스테이션
3D프린팅
태블릿
노트북
모니터
대형프린터
LFP
3D스캐너